KR20140121788A -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 Google Patents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1788A
KR20140121788A KR20140041021A KR20140041021A KR20140121788A KR 20140121788 A KR20140121788 A KR 20140121788A KR 20140041021 A KR20140041021 A KR 20140041021A KR 20140041021 A KR20140041021 A KR 20140041021A KR 20140121788 A KR20140121788 A KR 20140121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er
needle bed
cam
torque spring
cam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6837B1 (ko
Inventor
미노루 소노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12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캐리지에 탑재되는 싱커캠에 의하여 직접 제어하는 가동싱커에서도, 싱커 개폐 시에 토크 스프링의 응력진폭이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가압캠면(13a)은,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와 작용암(1lb)의 사이를 기단(12b)으로 하는 토크 스프링(12)의 선단(12a)을 가압하여 토크 스프링(12)을 통하여 싱커(11)를 가압하기 때문에, 폐쇄상태에서 강하게 하더라도 개방상태에서는 약하게 할 수 있다. 토크 스프링(12)의 응력도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보다 커지지 않기 때문에, 캐리지에 탑재되는 싱커캠에 의하여 직접 제어하는 가동싱커(10)에서도, 싱커 개폐 시에 토크 스프링(12)의 응력진폭이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FLATBED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MOVABLE SINKER}
본 발명은, 편성포를 밀어내리는 것이 가능한, 가동싱커(可動sinker)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횡편기에서는 편침과 함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에서 스티치(stitch)를 형성하는 싱커(sinker)를,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싱커캠(sinker cam)에 의하여 직접 조작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2를 참조). 이러한 가동식의 싱커는, 니들베드의 니들베드갭 근방에서 회전변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피벗지지부(pivot支持部)와, 피벗지지부로부터 니들베드갭측으로 연장되는 작용암(作用arm)과, 피벗지지부로부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연장되는 수동암(受動arm)을 구비한다. 피벗지지부는, 원호 모양이고, 니들베드측에 형성되는 원호 모양으로 오목한 지지부(支持部)에 결합되어 원호의 중심을 가상적인 지점(支點)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서 지지된다. 가동식의 싱커에는 작용암을 기단(基端)으로 하는 토크 스프링(torque spring)도 사용된다. 토크 스프링은, 싱커의 피벗지지부보다 내측의 지점 근방의 공간에 수용되어 작용암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작용암에는 편사수용부가 설치되어, 편성되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수직으로 내려가는 편성포의 스티치를 하방으로 밀어내리는 기능을 갖는다. 토크 스프링의 선단은 니들베드에 세워서 설치되는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에 의하여 지지된다.
편침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켜서 훅(hook)에 편사를 공급하는 스티치를 형성할 때 등에는, 작용암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시킬 필요가 있다. 토크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작용암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입시키는 폐쇄상태에 대하여, 토크 스프링의 탄성에 저항하여 작용암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니들베드측으로 후퇴시키면 개방상태가 된다. 싱커를 개방상태로 하기 위하여 니들베드를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에, 싱커의 수동암에 작용하는 싱커 제어용의 후부캠(後部cam)이 싱커의 피벗지지부보다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떨어진 후방의 위치에 면하도록 탑재된다. 토크 스프링은, 개방상태에서 최대한으로 가압수축되어 응력(應力)이 최대가 되고, 폐쇄상태에서는 응력이 작아진다. 니들베드갭에서 하방으로 밀어내리는 편성포가 없는 무부하에서는, 작용암은 최대한으로 니들베드갭으로 진입하여 토크 스프링의 응력은 최소가 된다. 폐쇄상태에서 큰 하강압력을 얻으려고 하면, 개방상태에서의 토크 스프링의 응력이 커지게 되어 스프링으로서의 한계를 넘을 우려가 있다.
이상과 같은 가동싱커의 기본적인 구성은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는, 작용암이 진퇴하는 니들베드 선단의 싱커 안내홈으로 편사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편사낙하 방지수단을 설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5-83657호 공보 (특허문헌2)일본국 특허 제2700204호 공보
특허문헌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동식의 싱커에서는, 토크 스프링에 대하여 싱커 개폐 시의 토크의 변화에 의한 응력진폭(應力振幅)이 커져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지에 탑재하는 싱커캠에 의하여 직접 제어하는 가동싱커에서도, 싱커 개폐 시에 토크 스프링의 응력진폭이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니들베드갭에 면하는 니들베드의 선단측에 복수의 싱커가 배열되어 설치되고,
각 싱커는,
피벗지지부와, 피벗지지부로부터 니들베드갭측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만곡한 작용암과, 작용암보다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의 후방에 설치되는 수동암을 구비하고, 피벗지지부가 니들베드갭 근방의 니들베드에서 회전변위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아울러,
작용암과 피벗지지부의 사이를 기단으로 하여 선단까지 연장되고, 작용암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토크 스프링을 구비하고,
작용암이 니들베드갭으로 진입하는 폐쇄상태와, 작용암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하는 개방상태를, 니들베드를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에 탑재되는 싱커캠에 의하여 절환할 수 있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토크 스프링의 선단은, 니들베드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싱커캠은,
토크 스프링의 선단에 압력을 작용시키는 방향으로 요철을 구비하는 가압캠면과,
싱커의 수동암에 작용하는 요철에 의하여 싱커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캠면을 포함하고,
싱커의 폐쇄상태에서는, 가압캠면이 볼록하게, 개폐캠면이 오목하게 되고,
싱커의 개방상태에서는, 가압캠면이 오목하게, 개폐캠면이 볼록하게 되는 위상관계를 구비하고,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킨 편침에 급사를 받을 때에는 싱커를 개방상태로,
급사를 받은 편침을 니들베드로 끌어들일 때에는 싱커를 폐쇄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싱커의 상기 폐쇄상태에서, 상기 싱커캠의 상기 가압캠면의 위치를, 상기 압력을 작용시키는 방향으로 변경하여 상기 토크 스프링의 상기 선단에 대한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토크 스프링의 상기 선단은, 상기 싱커의 상기 피벗지지부보다 상기 전방으로 돌출되고,
싱커의 상기 수동암은, 피벗지지부보다 상기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싱커캠은,
토크 스프링의 선단에 면하는 위치에 상기 가압캠면이 형성되는 토크 스프링 제어캠과,
싱커의 수동암에 면하는 위치에 상기 개폐캠면이 형성되는 개폐제어캠으로 나누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싱커의 상기 수동암은, 상기 작용암과 상기 피벗지지부의 사이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니들베드로부터 부상하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토크 스프링의 선단은, 수동암보다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서 니들베드로부터 부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싱커캠은,
상기 후방과 상기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상기 가압캠면과 상기 개폐캠면을 각각 구비하고,
개폐캠면과 가압캠면의 사이에, 싱커의 수동암의 선단과 토크 스프링의 선단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변위할 수 있는 싱커의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를 절환하는 싱커캠은, 캐리지에 탑재되고, 싱커를 직접 조작하는 가압캠면과 개폐캠면을 구비한다. 개폐캠면은, 싱커의 수동암에 작용하는 요철에 의하여 싱커의 작용암이 니들베드갭으로 진입하는 폐쇄상태와, 작용암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하는 개방상태의 절환을 제어한다. 가압캠면은, 압력을 작용시키는 방향으로 요철을 구비하고, 토크 스프링의 선단을 가압하여 토크 스프링을 통하여 싱커를 작용암이 니들베드갭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압력을 폐쇄상태에서 강하게 하더라도 개방상태에서는 약하게 할 수 있다. 토크 스프링의 응력이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보다 커지지 않아, 캐리지에 탑재되는 싱커캠에 의하여 직접 제어하는 가동싱커에서도, 싱커 개폐 시에 토크 스프링의 응력진폭이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조정수단에 의하여 싱커의 폐쇄상태에서의 싱커캠의 가압캠면의 위치를, 압력을 작용시키는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압력에 의하여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킨 편침의 훅에 신루프를 형성하는 편사가 급사된 후에, 훅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시켜서 니들베드로 끌어들이고 있는 사이에, 편침에 결합되어 있는 구루프의 편사는 싱커의 편사수용부에 의하여 압입된다. 압력의 변경에 의하여, 스티치의 크기나 편사의 강약 등과 같이 편성포를 편성할 때의 조건에 대응하여 싱커가 편사를 압입하는 힘을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캠은, 토크 스프링의 선단에 면하는 가압캠면이 형성되는 토크 스프링 제어캠과, 싱커의 수동암에 면하는 개폐캠면이 형성되는 개폐제어캠으로 나누어서 설치된다. 토크 스프링 제어캠을 종래의 전부캠, 개폐제어캠을 종래의 후부캠과 마찬가지로 배치하여, 싱커 개폐 시의 응력진폭이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캠은, 싱커의 수동암의 선단과 토크 스프링의 선단을, 니들베드측으로부터 돌출되는 2개의 버트로 하여 대향하는 개폐캠면과 가압캠면의 사이에 수용하여 구동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로서의 가동싱커(10)를 구비하는 횡편기(1)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2는, 실시예1의 횡편기(1)에 사용하는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의 배치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캠 배치도이다.
도3은, 도1의 가동싱커(10)를 구성하는 싱커(11) 및 토크 스프링(12)과, 니들베드(3)를 구성하는 기대(4) 및 니들 플레이트(5)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측면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2로서의 가동싱커(30)를 구비하는 횡편기(21)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5는, 도3의 가동싱커(30)를 구성하는 싱커(31) 및 토크 스프링(32)과, 니들베드(23)를 구성하는 기대(24) 및 니들 플레이트(25)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도1, 도2 및 도3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1로서의 가동싱커(可動sinker)(10)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1)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다. 도4 및 도5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2로서의 가동싱커(30)를 구비하는 횡편기(21)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다. 실시예1과 실시예2에서 대응하는 부분은, 참조부호의 수치를 20만큼 다르게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2에 대한 설명에서는, 실시예1에 대응하는 부분과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대상이 되는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참조부호를 붙여서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또 도1 및 도4에 나타내는 니들베드(needle bed)(3, 23)는, 실제의 횡편기(1, 21)에서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2, 22)측이 높고, 니들베드갭(2, 22)으로부터 멀어지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수평의 자세로 나타낸다. 또한 횡편기(1, 21)에서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3, 23)가 니들베드갭(2, 22)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하나의 니들베드(3, 23)만을 나타낸다. 이하, 전방은 니들베드(3, 23)를 따라 니들베드갭(2, 22)으로 향하는 방향이라고 하고, 후방은 니들베드갭(2, 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라고 한다. 상방은 니들베드(3, 23)로부터 부상(浮上)하는 방향이라고 하고, 하방은 니들베드(3, 23)로 가라앉는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가동싱커(10, 30)와 함께 편침 등도 사용되지만,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다. 또한 특허문헌2와 같은 편사낙하 방지수단도 설치되지만,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다.
(실시예1)
도1은 실시예1로서, 가동싱커(10)를 구비하는 횡편기(1)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도1(a)는 폐쇄상태, 도1(b)는 개방상태에서 각각 나타낸다. 횡편기(1)는, 니들베드갭(2)측에서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하여 니들베드(3)를, 기대(基臺)(4)에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5)를 나란하게 설치하여 형성한다. 지면(紙面)과 수직의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pitch)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니들 플레이트(5)의 사이에는, 니들홈이 형성되어 래치바늘(latch needle)이나 복합바늘(compound needle) 등의 편침이 수용된다. 기대(4)와 니들 플레이트(5)는, 지면과 수직의 방향으로 관통하는 와이어(wire)(6)에 의하여 위치결정된다. 기대(4)가 니들베드갭(2)에 면하는 선단에는, 싱커 안내홈(4a)이 형성된다.
가동싱커(10)는 싱커(sinker)(11) 및 토크 스프링(torque spring)(12)을 포함한다. 다만 싱커(11)와 토크 스프링(12)은 일체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가동싱커(10)는, 니들베드갭(2)에 면하는 니들베드(3)의 선단측에 배열되어 복수 개가 설치된다. 각 싱커(11)는, 피벗지지부(pivot支持部)(11a)와, 피벗지지부(11a)로부터 니들베드갭(2)측으로 만곡(彎曲)하여 연장되는 작용암(作用arm)(1lb)과, 피벗지지부(11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수동암(受動arm)(11c)을 구비한다. 토크 스프링(12)은,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와 작용암(1lb)의 사이를 기단(基端)(12b)으로 하여 선단(先端)(12a)까지 연장된다. 토크 스프링(12)의 선단(12a)은 니들 플레이트(5)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의 가동싱커(10)에서는, 싱커(11)와 토크 스프링(12)은 판자 모양의 금속소재로부터 펀칭가공(punching加工)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싱커(11)와 토크 스프링(12)은 별체(別體)이더라도 좋다. 별체인 경우에 예를 들면 특허문헌1과 마찬가지로 토크 스프링으로서 선스프링(線spring)을 사용하고, 싱커에 형성되는 스프링 결합부에 결합시키면 좋다.
피벗지지부(11a)는, 원호 모양의 외주가 니들베드갭(2) 근방의 니들 플레이트(5)에 형성되는 원호 모양의 오목부인 싱커 지지부(sinker 支持部)(5a)에 결합하여 회전변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가동싱커(10)에서는, 싱커(11)가 니들 플레이트(5)에 형성되는 싱커 수용부(sinker 收容部)(5b)에 수용되어, 작용암(1lb)이 니들베드갭(2) 내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폐쇄상태와, 작용암(1lb)이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개방상태를 절환(切換)할 수 있다. 절환은, 니들베드(3)를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에 탑재되는 싱커캠의 토크 스프링 제어캠(torque spring 制御cam)(13)과 개폐제어캠(開閉制御cam)(14)에 의하여 가동싱커(10)를 직접 조작하여 이루어진다. 토크 스프링 제어캠(13)에는, 토크 스프링(12)의 선단(12a)에 대한 요철(凹凸)에 의하여 압력을 작용시키는 가압캠면(加壓cam面)(13a)이 형성된다. 개폐제어캠(14)에는, 싱커(11)의 수동암(11c)에 대한 요철에 의하여 개폐를 절환하는 개폐캠면(開閉cam面)(14a)이 형성된다. 토크 스프링(12)의 선단(12a)과 수동암(11c)은, 싱커 수용부(5b)의 전방과 후방에서, 니들 플레이트(5) 및 기대(4)에 의하여 형성되는 니들베드(3)의 외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가압캠면(13a)과 개폐캠면(14a)의 작용을 각각 받을 수 있다.
도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쇄상태에서는, 토크 스프링 제어캠(13)의 가압캠면(13a)의 볼록한 부분에 의하여 토크 스프링(12)의 선단(12a)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개폐제어캠(14)의 개폐캠면(14a)은, 오목한 부분이 대응하는 위상관계가 된다. 토크 스프링(12)은, 기단(12b)을 통하여 싱커(11)를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가압한다. 싱커(11)는 작용암(1lb)이 니들베드갭(2)측으로 진입하도록 가압된다. 작용암(1lb)은 편사수용부(11d) 및 싱커루프 형성부(sinker loop 形成部)(11e)를 구비한다.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는, 원호 모양의 외주의 가상적인 중심을 지점(支點)(11f)으로 하여 회전변위한다.
도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상태에서 싱커(11)의 수동암(11c)은, 개폐캠면(14a)의 볼록한 부분에 의하여 밀려 내려가서, 싱커(1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변위시켜서 작용암(1lb)이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니들베드(3)측으로 후퇴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토크 스프링 제어캠(13)의 가압캠면(13a)은 오목한 부분이 대응하는 위상관계가 되지만, 오목한 부분은 토크 스프링(12)의 선단(12a)의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로서 기능을 시킬 수 있다. 선단(12a)의 상승을 제한하는 위치는, 특허문헌1, 2와 같이 니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위치보다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토크 스프링(12)의 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개방상태에서, 가압캠면(13a)이 토크 스프링(12)의 선단(12a)으로부터 떨어져서 비작용(非作用)이 되도록 하면, 토크 스프링(12)의 응력을 최소로 할 수 있다. 가압캠면(13a)은,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와 작용암(1lb)의 사이를 기단(12b)으로 하는 토크 스프링(12)의 선단(12a)에 대한 압력에 의하여, 토크 스프링(12)에 의하여 싱커(11)에 대한 가압을 조정하기 때문에, 폐쇄상태에서 강하게 하더라도 개방상태에서는 약하게 할 수 있다. 토크 스프링(12)의 응력이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보다 커지지 않아, 캐리지에 탑재하는 싱커캠에 의하여 직접 제어하는 가동싱커(10)에서도, 싱커 개폐 시에 토크 스프링(12)의 응력진폭(應力振幅)이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토크 스프링 제어캠(13) 및 개폐제어캠(14)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서의 도1의 「전부캠(前部cam)(4)」 및 「후부캠(後部cam)(3)」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여, 개방상태에서 「가압판(34)」이 「선스프링(28)의 유단부(遊端部 : idle end portion)(28a)가 밀려내려가서 가압되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가압캠면(13a)의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토크 스프링(12)의 선단(12a)의 상승을 제한하여, 개폐 시의 응력진폭이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싱커(11)는, 니들 플레이트(5)에 형성되는 밴드관통부(band貫通部)(5c)를 지면과 수직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밴드(band)(15)에 의하여 상방으로 부상하지 않도록 가압된다.
본 실시예는, 싱커(11)의 폐쇄상태에서, 싱커캠인 토크 스프링 제어캠(13)의 가압캠면(13a)의 위치를, 압력을 작용시키는 방향으로 변경하여 토크 스프링(12)의 선단(12a)에 대한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수단(壓力調整手段)(16)을 더 포함한다. 압력조정수단(16)은, 제어판(16a), 피니언 기어(pinion gear)(16b) 및 부착 베이스(附着 base)(16c)를 구비한다. 피니언 기어(16b)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제어판(16a)은, 도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6b)와 맞물리는 래크(rack)(16f)를 구비한다. 피니언 기어(16b)의 회전에 의하여 제어판(16a)은 도1의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제어판(16a)에는, 홈캠(16d) 및 안내홈(16e)이 형성된다. 홈캠(16d) 및 안내홈(16e)에는 핀(16g) 및 안내나사(16h)의 축부(軸部)가 각각 결합된다. 제어판(16a)을 도1의 지면과 수직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토크 스프링 제어캠(13)을 도1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가압캠면(13a)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변경하여, 토크 스프링(12)의 선단(12a)에 작용시키는 압력을 약하게 또는 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부착 베이스(16c)는 압력조정수단(16)을 캐리지에 부착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러한 압력조정수단(16)을 사용함으로써 싱커(11)의 폐쇄상태에서의 가압캠면(13a)의 위치를, 압력을 작용시키는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압력에 의하여 니들베드갭(2)으로 진출시킨 편침의 훅에 신루프(新loop)를 형성하는 편사의 급사를 받은 후에, 훅을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후퇴시켜서 니들베드(3)로 끌어들이고 있는 사이에는, 편침에 결합되어 있는 구루프(舊loop)의 편사가 싱커(11)의 편사수용부(11d)에 의하여 압입된다. 압력의 변경에 의하여, 스티치의 크기나 편사의 강약 등과 같은 편성조건에 대응하여 싱커(11)가 편사를 압입하는 힘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압력조정수단(16)은, 제어판(16a)에 래크(16f)를 설치하여 피니언 기어(16b)를 통하여 구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특히 2단계의 절환을 하는 경우에 실린더나 솔레노이드 등의 액츄에이터(actuator)에 의하여 제어판(16a)을 직접 구동하더라도 좋다. 또한 토크 스프링 제어캠(13)을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직접 이동시켜도 좋다. 절환의 단수(段數)가 많은 경우에 볼나사를 사용하여도 좋다.
도2는, 실시예1의 횡편기(1)에서, 캐리지에 탑재되어 편침으로서 래치바늘을 사용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캠의 배치를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도2(a)는 토크 스프링 제어캠(13) 및 개폐제어캠(14)의 배치를 나타내며, 상방이 니들베드(3)에 면하는 방향이 된다. 도2(b)는 스티치 형성용 캠(18) 및 트랜스퍼용 캠(17)의 배치를 포함한다. 스티치 형성용 캠(18)에는, 스티치캠(stitch cam)(18a, 18b)과 니들 레이징캠(needle rasing cam)(18c)이 포함된다. 캠은, 캐리지가 좌행(左行)하는 경우에도 우행(右行)하는 경우에도 동등한 작용을 하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캐리지가 좌행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한다.
토크 스프링 제어캠(13)은 제어판(16a)을 래크(16f)에 대한 구동에 의하여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홈캠(16d)이 결합하고 있는 핀(16g)을 밀어올려서 가압캠면(13a)의 위치를 도면의 상방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홈캠(16d)은 3단계로 가압캠면(13a)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홈캠(16d)의 단수의 변화에 의하여 위치의 절환 단수를 변경할 수 있고 또 연속한 경사홈으로 하면 무단계(無段階)로 가압캠면(13a)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안내홈(16e)에는 부착 베이스(16c)에 고정되는 안내나사(16h)의 축부가 결합되어, 제어판(16a)이 도면의 좌우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토크 스프링 제어캠(13)은, 도면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안내홈(16i)을 구비하고, 부착 베이스(16c)에 설치되는 안내나사(16j)의 축부가 안내홈(16i)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도2(a)의 상방은, 도1에서는 하방이 된다.
개폐제어캠(14)은, 개폐캠면(14a)의 볼록한 부분이 이동캠(移動cam)(14b)에 형성된다. 이동캠(14b)은, 좌행을 시작한 후에 싱커(12)의 수동암(12c)에 접촉하면 홈(14c)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니들베드갭(2)에서 편침에 급사를 받은 위치(A)에서, 싱커(11)의 작용암(1lb)을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후퇴시켜서 싱커(12)를 개방상태로 한다. 또한 개폐제어캠(14)에는, 캐리지의 주행방향의 선행측에서, 일단 싱커(11)의 편사수용부(11d)를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후퇴시키기 위한 가동캠(可動cam)(14d)도 설치되어 있다. 캐리지가 우행하는 경우에는 가동캠(14e)으로 절환된다. 또 스티치캠(18b)이 편침을 끌어들이는 위치(B)에서는, 가압캠면(13a)의 볼록한 부분이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가압캠면(13a)의 위치에 의하여 토크 스프링(12)의 선단(12a)에 작용하는 압력을 조정할 수 있어, 가압캠면(13a)의 위치가 니들베드(3)에 가까워지면 커지게 되고, 니들베드(3)로부터 멀어지면 작아지게 된다.
도3은, 도1의 가동싱커(10)를 구성하는 싱커(11) 및 토크 스프링(12)과, 니들베드(3)를 구성하는 기대(4) 및 니들 플레이트(5)의 형상을 나타낸다.
토크 스프링(12)에서는, 선단(12a)과 기단(12b)의 사이에서 굴곡되어 되돌려지는 만곡부(灣曲部)(12c)를 형성할 수 있다. 만곡부(12c)는,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의 내측에서 지점(11f)을 우회(迂回)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지점(11f)은, 피벗지지부(11a)의 외주가 되는 원호의 가상적인 중심이다.
니들 플레이트(5)는 싱커 지지부(5a), 싱커 수용부(5b) 및 밴드관통부(5c)를 구비하고, 하부를 기대(4)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하여 고정된다.
토크 스프링(12)은 싱커(11)에 회전변위를 위한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면, 형상이 다르게 되더라도 좋다.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싱커(11)와 토크 스프링(12)을 일체로 하는 경우에는, 토크 스프링(12)도 싱커(11)와 동일한 판재로 형성할 필요가 있지만, 일체로 함으로써 가동싱커를 구성하는 부품의 점수를 감소시켜서 조립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토크 스프링(12)과 싱커(11)를 별체로 하면, 토크 스프링(12)은 싱커(11)와 다른 탄성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2)
도4는 실시예2로서, 가동싱커(30)를 구비하는 횡편기(21)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도4(a)는 폐쇄상태, 도4(b)는 개방상태에서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싱커(31)의 수동암(31c)은, 작용암(3lb)과 피벗지지부(31a)의 사이로부터 분기(分岐)되어 니들 플레이트(25)의 상방으로 돌출된다. 토크 스프링(32)의 선단(32a)은, 수동암(31c)보다 후방의 위치에서 니들 플레이트(25)의 상방으로 돌출된다. 니들 플레이트(25)는 기대(24)와 함께 니들베드(23)를 형성하고, 수동암(31c)과 토크 스프링(32)의 선단(32a)이 돌출되는 것은 니들베드(32)의 외측이 된다.
싱커캠은 싱커(31)의 수동암(31c)의 선단과 토크 스프링(32)의 선단(32a)을, 니들베드(33)로부터 돌출되는 2개의 버트로 하여 개폐제어캠(34)의 개폐캠면(34a)과 토크 스프링 제어캠(33)의 가압캠면(33a)이 대향하는 사이에 수용한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1과는 캠의 배치가 다르지만, 각각 대응하는 것이 설치되어 있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한 캠면의 요철의 패턴도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압력조정수단(36)은, 실시예1의 압력조정수단(16)과 마찬가지로 토크 스프링(32)의 선단(32a)에 작용하는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5는, 도4의 가동싱커(30)를 구성하는 싱커(31) 및 토크 스프링(32)과, 니들베드(23)를 구성하는 기대(24) 및 니들 플레이트(25)의 형상을 나타낸다.
1, 21 : 횡편기
2, 22 : 니들베드갭
3, 23 : 니들베드
4, 24 : 기대
5, 25 : 니들 플레이트
10, 30 : 가동싱커
11, 31 : 싱커
12, 32 : 토크 스프링
13 : 토크 스프링 제어캠
13a, 33a : 가압캠면
14 : 개폐제어캠
14a, 34a : 개폐캠면
16, 36 : 압력조정수단

Claims (4)

  1.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에 면하는 니들베드(needle bed)의 선단측에 복수의 싱커(sinker)가 배열되어 설치되고,
    각 싱커는 가동싱커(可動sinker)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가동싱커는,
    피벗지지부(pivot支持部)와, 피벗지지부로부터 니들베드갭측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만곡(彎曲)한 작용암(作用arm)과,
    작용암보다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의 후방에 설치되는 수동암(受動arm)을 구비하고,
    작용암과 피벗지지부의 사이를 기단(基端)으로 하여 선단까지 연장되고, 작용암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토크 스프링(torque spring)을 구비하고,
    피벗지지부가 니들베드갭 근방의 니들베드에서 회전변위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아울러,
    작용암이 니들베드갭으로 진입하는 폐쇄상태와, 작용암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하는 개방상태를, 니들베드를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싱커캠(sinker cam)에 의하여 절환(切換)할 수 있고,
    토크 스프링의 선단은 니들베드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싱커캠은,
    토크 스프링의 선단에 압력을 작용시키는 방향으로 요철(凹凸)을 구비하는 가압캠면(加壓cam面)과,
    싱커의 수동암에 작용하는 요철에 의하여 싱커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캠면(開閉cam面)을
    포함하고,
    싱커의 폐쇄상태에서는, 가압캠면이 볼록하게, 개폐캠면이 오목하게 되고,
    싱커의 개방상태에서는, 가압캠면이 오목하게, 개폐캠면이 볼록하게 되는
    위상관계를 구비하고,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킨 편침에 급사(給絲)를 받을 때에는 싱커를 개방상태로,
    급사를 받은 편침을 니들베드로 끌어들일 때에는 싱커를 폐쇄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커의 상기 폐쇄상태에서, 상기 싱커캠의 상기 가압캠면의 위치를, 상기 압력을 작용시키는 방향으로 변경하여 상기 토크 스프링의 상기 선단에 대한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수단(壓力調整手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스프링의 상기 선단은, 상기 싱커의 상기 피벗지지부보다 상기 전방으로 돌출되고,
    싱커의 상기 수동암은, 피벗지지부보다 상기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싱커캠은,
    토크 스프링의 선단에 면하는 위치에 상기 가압캠면이 형성되는 토크 스프링 제어캠(torque spring 制御cam)과,
    싱커의 수동암에 면하는 위치에 상기 개폐캠면이 형성되는 개폐제어캠(開閉制御cam)으로
    나누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싱커의 상기 수동암은, 상기 작용암과 상기 피벗지지부의 사이로부터 분기(分岐)되어 상기 니들베드로부터 부상(浮上)하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토크 스프링의 상기 선단은, 수동암보다 상기 후방으로 멀어지는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싱커캠은,
    상기 후방과 상기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상기 가압캠면과 상기 개폐캠면을 각각 구비하고,
    개폐캠면과 가압캠면의 사이에, 싱커의 수동암의 선단과 토크 스프링의 선단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020140041021A 2013-04-08 2014-04-07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01576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80597 2013-04-08
JP2013080597A JP6161375B2 (ja) 2013-04-08 2013-04-08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788A true KR20140121788A (ko) 2014-10-16
KR101576837B1 KR101576837B1 (ko) 2015-12-11

Family

ID=5047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021A KR101576837B1 (ko) 2013-04-08 2014-04-07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789718B1 (ko)
JP (1) JP6161375B2 (ko)
KR (1) KR101576837B1 (ko)
CN (1) CN10409971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66U (ko) * 2017-10-14 2019-04-2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장갑 편성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7263B2 (ja) 2015-02-03 2017-08-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WO2024075449A1 (ja) * 2022-10-05 2024-04-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可動シンカ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16912A (de) * 1963-11-15 1966-07-15 Paliz Ag Doppelbettstrickmaschine
DE3917934A1 (de) * 1988-06-13 1989-12-14 Schieber Universal Maschf Flachstrickmaschine
JPH03504991A (ja) * 1988-06-13 1991-10-31 ウニヴエルザル マシーネンフアブリーク ドクトル ルドルフ シーベ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ムパニー カーゲー 平床編機
JPH03206161A (ja) * 1989-12-28 1991-09-09 Shima Seiki Seisakusho:Kk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JP2700204B2 (ja) * 1992-12-15 1998-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IT1269644B (it) * 1994-05-06 1997-04-08 Protti S P A Fabbrica Macchine Macchina rettilinea per maglieria con mezzi per facilitare la formazione e lo scarico delle maglie
JP5414670B2 (ja) * 2008-06-13 2014-02-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2011094266A (ja) * 2009-10-30 2011-05-12 Shima Seiki Mfg Ltd 可動シンカーおよび横編機
JP2012012735A (ja) * 2010-07-01 2012-01-19 Shima Seiki Mfg Ltd 可動シンカー部材、および横編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66U (ko) * 2017-10-14 2019-04-2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장갑 편성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99718B (zh) 2016-05-18
EP2789718A1 (en) 2014-10-15
JP6161375B2 (ja) 2017-07-12
CN104099718A (zh) 2014-10-15
JP2014201861A (ja) 2014-10-27
EP2789718B1 (en) 2016-11-09
KR101576837B1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5978B2 (ja) 可動糸ガイド部材を備えた横編機
KR100478553B1 (ko)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
KR101576837B1 (ko)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EP0567282B1 (en)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JPH06158485A (ja) 横編機の編地プレッサー
KR20200007693A (ko) 횡편기
JP5415501B2 (ja) 横編機の給糸装置
US6799443B2 (en) Flatbed knitting machine
KR20180014002A (ko) 환편기를 위한 지지 및 조절 장치
KR100397029B1 (ko) 원형편기에있어서의편직기구제어장치
EP2341172A1 (en) Stitch cam device
KR20050004887A (ko)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01569012B1 (ko)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KR200429583Y1 (ko) 양말편직기용 분할캠장치
EP3054041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CN208949491U (zh) 可分段压针且压针相对位置可调的菱角、下盘提花编织机构及针织圆纬机
JP2009068135A (ja) 横編機およびラッチニードル
JP2004316026A (ja) 編成タイミング切換装置を備えた丸編機
KR20170044589A (ko) 편성시작장치
KR102544766B1 (ko) 원형 편직기 및 원형 편직기의 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KR20120005539U (ko) 횡편기
CN109853120B (zh) 针织横机机头的生克装置、针织横机的机头及针织横机
CN110592793A (zh) 一种针织机械的压圈装置
CN206289386U (zh) 经编机用电动集圈机构
KR20190002530U (ko)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