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029B1 - 원형편기에있어서의편직기구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원형편기에있어서의편직기구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029B1
KR100397029B1 KR1019960023845A KR19960023845A KR100397029B1 KR 100397029 B1 KR100397029 B1 KR 100397029B1 KR 1019960023845 A KR1019960023845 A KR 1019960023845A KR 19960023845 A KR19960023845 A KR 19960023845A KR 100397029 B1 KR100397029 B1 KR 100397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ing
sinker
knitting
cam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583A (ko
Inventor
쇼조 요리스에
다카오 시바다
신지 하시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7000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요동편(rocker bar)을 사용하는 편직기구(knitting tool) 제어장치에 있어서, 요동편의 버트가 뿌러지거나, 편성 캠으로부터 벗겨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 구성으로서는, 편직기구(2)와 동일한 홈에 장착되어, 편직기구를 제어하는 요동편 모재(4)와, 이 요동편 모재에 의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적어도 1 개의 요동편(5)을 가진 편직기구 제어장치이다. 더욱이 상기 요동편(5)의 양단에 각각 대응한, 적어도 1 쌍의 흡착부재(13a, 13b)와, 상기 요동편(5)을 상승시키는 적어도 1 개의 요동편 레이징 캠(raising cam)(12)과, 상기 편직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캠(7, 8)과, 요동편 모재(4)를 제어하는 중간캠(10, 11)이 설치되어 있다. 편직기구는 예컨대 싱커 (sinker)(2)나 편침(編針)(1)이다.

Description

원형 편기에 있어서의 편직기구 제어장치
본 발명은 원형 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에 있어서의 편직기구(knitting tool), 예컨대 싱커, 편침[래치침(latch needle), 복합침], 중간부재[잭(jack) 등), 훅 부재(hook member) 등의 동작을 전자적(電磁的)으로 제어하여 무늬모양을 편성하는 자카아드(jackard) 무늬짜기(紋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싱커에 의한 파일 무늬내기 장치를, 예를 들면, 종래의 장치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 평 3-45755 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첨부한 제 11 도 참조). 즉, 회전 실린더(C)의 바늘홈에 장착되어 캠 부재로 제어되는 편침(N)과, 상기 회전 실린더(C)의 상부 외주쪽에 싱커 다이얼(SD)을 설치하고, 이 싱커 다이얼(SD)의 캠홈에 복수의 상하 1 쌍을 이루는 싱커(S) 및 선택 잭(SJ: select jack)을 수평방향으로 각 캠 부재로 밀어 움직이도록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끼워 장착하고 있다. 이 선택 잭(SJ) 각각의 외단부에 복수의 버트(butt)(SJ1)를 형성하고, 이 각 버트에 대응하여 설치된 작동기(A)를 선택적으로 밀어 움직이게 함으로써 상기 선택 잭(SJ)의 각 버트(SJ1)를 밀어 움직이게 하여, 이 선택 잭(SJ)과 맞물림하는 싱커(S)를 수평방향으로 밀어 움직이게 함과 동시에 편침(N)의 편성작용에 의하여 파일 무늬내기 동작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일본국 특개 평 5-239751 호에는 요동편(rocker bar)에 의하여 제어되는 편직기구를 사용한 원형 편기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일본국 특개 평 3-45755 호의 파일 무늬내기 장치는 작동기의 작동편에 의하여 파일 싱커의 외단부의 버트를 압동(押動)하고 있으나, 이들의 동작전달 속도가 빠르지 않기 때문에 원형 편기의 회전속도가 제한되어 고속운전이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제 11 도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편성요부의 외주부에 있는 지지부재나 작동기에 의하여 편성요부의 시야가 가려져 있기 때문에, 편성요부의 편성 상태를 확인하거나, 혹은 편성사(knitting yarn)가 절단되었을 때에 편성사를 사도(yarn path) 부재(部材)를 통하여 편침에 공급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일본국 특개 평 5-239751 호에는 편침뿐만 아니라, 싱커에도 요동편을 사용한 제어가 가능하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싱커제어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편침의 제어에 관해서는 요동편에는 복수의 돌출한 제어버트가 설치되어 있으나, 실의 마디(knot) 등을 편성할 때 편침의 동작 버트가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편침 자신의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어 요동편의 버트가 뿌러질 위험성이 있었다.
더욱이, 제어버트와 맞물리는 편성캠은 수직 단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요동편에 어떤 외력이 작용하면 제어버트가 편성캠으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편직기구 제어장치는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의 것이다.
즉, 편직기구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원형 편기에 있어서의 자카아드 편지(編地)의 제어장치로서, 상기 편직기구와 동일한 홈에 장착되어 편직기구를 제어하는 요동편 모재와, 상기 요동편 모재에 의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적어도 1 개의 요동편과, 상기 요동편의 양단에 각각 대응한 적어도 1 쌍의 흡착부재와, 상기 요동편을 상승시키는 적어도 1 개의 요동편 레이징 캠과, 상기 편직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캠과, 요동편 모재를 제어하는 중간캠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표적인 편직기구는 회전 실린더의 상부에 고착된 싱커 다이얼의 싱커홈에 장착되며, 단독으로 동작제어 가능한 제어수단에 의하여 제어되는 싱커, 혹은 회전 실린더 또는 다이얼의 바늘홈에 장착되어, 단독으로 동작 제어가능한 제어수단에 의하여 제어되는 실린더 침(針)이다.
요동편 모재에는 적어도 1 개의 버트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요동편 모재와 싱커의 사이에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1 개의 버트를 가진 중간부재와, 상기 중간부재를 상승시키는 중간부재 레이징 캠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요동편 레이징 캠의 상향 경사부가 사다리꼴 단면이고, 상기 상향 경사부에 맞물리는 요동편의 단부가 쐐기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늬정보 신호에 의거하여 흡착부재에 의하여 흡착된 요동편이 요동편 레이징 캠과 맞물려서 요동편을 피벗(pivot) 지지하고 있는 요동편 모재와 함께 밀어낸다. 요동편 모재의 안쪽의 싱커홈에 삽입되어 있는 중간부재를 요동편 모재가 밀어내어 중간부재를 상승(전진)시킨다. 상승(전진)한 중간부재의 버트가 중간부재 레이징 캠과 맞물리고, 중간부재는 더욱 상승(전진)한다. 중간부재는 중간부재의 안쪽의 싱커홈에 삽입되어 있는 편직기구를 상승(전진)시킨다. 상승(전진)한 편직기구에 의하여 자카아드 편지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제 1 도 내지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싱커 제어장치의 요부이다. 제 1 도는 캠, 싱커(2), 중간부재(중간 잭)(3), 요동편 모재(4), 요동편(5)의 배열도 및 편침(1)과 싱커(2)의 동작선(1L, 2L)을 도시한 것이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편기의 회전 실린더(15)의 상부에 싱커 다이얼(16)이 고착되고, 싱커 다이얼(16)의 상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싱커홈이 있으며, 싱커홈에는 싱커(2)가 설정되어 있다.
싱커(2)의 상부에 파일 편성에 있어서의 바닥실(GY: ground yarn)과 파일실(PY: pile yarn)의 2 종류의 편사를 편침에 공급하는 야안 캐리어(6)(제 1 도, 제 2 도 ∼ 제 6 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야안 캐리어(6)에는 바닥실(GY)을 공급하는 바닥실 공급구(6a)와 파일실(PY)을 공급하는 파일실 공급구(6b)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싱커(2)는 싱커 다이얼(16)에 대응한 싱커 캡(17)에 부착되어 있는 인너 싱커캠(7), 아우터 싱커캠(8)의 작용에 의하여 싱커홈을 반경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싱커(2)는 그 수직 가장자리부(2e, 2d)가 인너 싱커캠(7)의 측단부(7a, 7b)에 의하여 끼워 지지되며, 또한 그 버트(2a)가 캠 트랙(T2)(제 1 도 참조)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다.
싱커(2)의 외주방향의 싱커홈에는 중간부재(3)가 설정되어 있다. 중간부재(3)에는 적어도 1 개의 버트(3a)가 있고, 대향하는 싱커 캡(17)에 부착되어 있는 아우터 싱커캠(8)과 제 1 중간캠(10)에 의하여 형성된 캠 트랙(T3)(제 1 도 참조)을 따라 싱커홈 속을 반경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한다.
중간부재 레이징 캠(9)(제 1 도, 제 6 도 참조)은 중간부재(3)의 버트를 작용, 비작용의 위치 사이에서 제어한다. 중간부재 레이징 캠(9)이 작용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파일 또는 비파일의 선택이 가능하고, 비작용 위치에서는 비파일만으로 된다.
중간부재 레이징 캠(9)은 출몰가능한 기구(mechanism)로 하는 것이 좋다. 제 12 도에 있어서, 손잡이(9c)를 돌림으로써 손잡이에 고착되어 있는 나사(9b)가 싱커 캡과의 나사 결합작용으로 중간부재 레이징 캠(9)을 당겨 넣을 수 있다. 중간부재 레이징 캠(9)이 제 6 도와 같이 돌출한 상태에서는 비파일만 선택되고, 예컨대 게이지(gauge)를 조정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중간부재 레이징 캠(9)은스프링(9a)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중간부재 레이징 캠(9)에 이상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중간부재 레이징 캠(9)은 후퇴하여 중간부재(3)의 버트(3a)의 파손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제 1 도 및 제 10 도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간부재(3)의 외주방향의 싱커홈에는 요동편 모재(4)가 설정되고, 이 요동편 모재(4)의 상부에는 요동 가능하게 요동편(5)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요동편 모재(4)는 제 1 중간캠(10)과 제 2 중간캠(11)에 의하여 형성된 캠 트랙(T4)에 의하여 제어되는 적어도 1 개의 버트(4a)를 가진다. 요동편 모재(4)의 상부는 반원형상의 오목부(4e)로 되어 있다. 이 오목부(4e)에 대응하도록 요동편(5)의 하부로부터 원형의 돌기부(5e)가 돌출하며, 상기 오목부(4e)와 돌기부(5e)는 피벗식으로 서로간에 연결되어 있다. 요동편(5)의 좌우단부는 좌우 대칭이고, 위쪽에 쐐기부(5c, 5d)를, 아래쪽에 피흡착부(5a, 5b)를 형성하고 있다. 좌우 피흡착부(5a, 5b)와 중앙 하단부의 사이에는 단차(段差)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동편(5)에 대향하여 흡착부재(13a, 13b)(제 1 도, 제 3 도 참조)가 싱커 캡(17)에 부착되어 있다. 미리 설정한 소정의 무늬정보에 의하여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거하여, 이들 흡착부재(13a, 13b)가 요동편(5)의 피흡착부(5a, 5b)를 선택적으로 흡착한다. 그리고, 요동편(5)이 흡착부재(13a, 13b)에 진입하기 전에, 요동이 자유로운 상태에 있는 요동편(5)을 요동편 캔슬 캠(cancelling cam)(14)(제 1 도, 제 10 도 참조)의 경사면에 의하여 수평으로 가지런히 한 후에 요동편(5)이 흡착부재(13a, 13b)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착부재(13a, 13b)로서 제어 전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싱커(2)를 전진시킬 때에는, 흡착부재(13b)에 콘트롤러로부터 신호를 보내고, 흡착부재(13b)에 대응한 요동편(5)의 피흡착부(5b)를 흡착시킨다[제 3 도 (제 1 도의 B - B 단면도) 참조]. 이때까지에 상기 바닥실 공급구(6a)로부터 바닥실(GY)이 상기 싱커(2)의 싱커 톱(sinker top)(2f) 위를 타넘어 편침(1)에 공급된다.
상기 피흡착부(5b)가 흡착부재(13b)를 통과한 후, 요동편(5)의 쐐기부(5d)가 요동편 레이징 캠(12)의 사다리꼴 단면의 상향 경사부(12a)와 맞물리며, 요동편(5)은 요동편 모재(4)와 함께 편직기의 중심방향으로 밀려나온다[제 4a 도 (제 1 도의 C - C 단면도) 참조].
밀려나온 요동편 모재(4)의 앞쪽 단부(4b)는 중간부재(3)의 뒷쪽 단부(3b)를 밀어낸다. 중간부재(3)의 버트(3a)는 중간부재 레이징 캠(9)의 상향 경사부(9a)에 맞물리며, 중간부재(3)는 편직기의 중심방향으로 밀려나온다[제 5a 도 (제 1 도의 D - D 단면도) 참조].
밀려나온 중간부재(3)의 앞쪽 단부(3c)에 의하여 싱커(2)의 뒷쪽 단부(2c)가 밀려나온다. 중간부재(3)가 중간부재 레이징 캠(9)의 정점(9b)에 도달했을 때에, 밀려나온 중간부재(3)에 의하여 싱커(2)가 싱커 노우즈(2b) 위에서 파일 루프를 편성할 수 있는 위치까지 전진한다[제 6a 도 (제 1 도의 E - E 단면도) 참조]. 이때, 상기 파일실 공급구(6b)로부터 파일실(PY)이 상기 싱커(2)의 싱커 노우즈(2b) 위를 타넘어 편침(1)에 공급된다. 제 7 도는 전진한 싱커(2)에 의하여 싱커 노우즈(2b)위에서 파일 루프(PL)를 편성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중간부재 레이징 캠(9)의 정점(9b)에서는, 밀려나온 싱커(2)의 노우즈(2b)의 선단부가 편침의 원주 동작선으로부터 안쪽으로 0.3 mm 이상 이동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싱커 노우즈(2b)의 선단으로부터 0.3 mm 이상 떨어진 위치에서 파일 루프를 확실히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요동편 모재(4)에 의하여 중간부재(3)가 중간부재 레이징 캠(9)에 맞물리는 위치로 밀려나온 후, 요동편 모재(4)의 버트(4a)가 제 1 중간캠(10)의 하향 경사부(10b)에 맞물려서 요동편 모재(4)는 요동편(5)과 함께 비파일 위치까지 되돌려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중간부재(3)와 중간부재 제어 캠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요동편 레이징 캠(12)이 요동편(5)을 요동편 모재(4)와 함께 밀어내고 요동편 모재(4)가 직접 싱커(2)를 밀어내게 된다.
싱커(2)를 전진시키지 않을 때에는 흡착부재(13a)에 콘트롤러로부터 신호를 보내고, 흡착부재(13a)에 대응한 요동편(5)의 피흡착부(5a)를 흡착한다(제 3 도 참조). 그리고, 제 3 도에서는 작도상의 한계 때문에 피흡착부(5a, 5b)의 어느 것이 흡착부재(13a, 13b)의 어느 것에 흡착되어 있는지가 명료하지는 않다.
흡착부재(13a)에 흡착된 요동편(5)은, 요동편 레이징 캠(12)의 상향 경사부(12a)와 맞물림이 없이 요동편(5)은 요동편 레이징 캠의 상향 경사부(12a)의 아래쪽을 통과하며, 요동편(15)·요동편 모재(4)·중간부재(3)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원주방향으로 진행한다(제 4b 도, 제 5b 도, 제 6b 도 참조). 싱커(2)는 중간부재(3)와 맞물리지 않고 싱커캠(7, 8)만으로 제어된다. 이 때, 파일실(PY)을 공급하여도 싱커 톱(2f) 위에서 편성되기 때문에 파일 루프(PL)를 형성하지 않는다. 바닥실(GY)은 파일실(PY)과 함께 상기 싱커(2)의 싱커 톱(2f) 위를 타넘어 편침(1)에 공급된다[제 6b도 (제 1 도의 E - E 단면도)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싱커 제어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콘트롤러로부터 출력한 무늬신호에 의거하여 파일과 비파일의 선택을 하여, 凹凸이 있는 자카아드 편지를 편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도의 편침의 동작선을 도시한 1L은 편의상 니트 선침(選針)의 동작선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공지의 편성장치(메카니컬 선침, 전자(電磁) 선침, 전자(電子) 선침)에 의하여 니트(knit), 턱(tuck), 웰트(welt)의 3 포지션의 선침이 가능하다.
또, 제 1 도의 캠 부재는 편의상 직선적으로 일체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형 편기 제작의 형편상 원주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것을 조합하여도 좋다.
제 2 실시예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장치요부의 캠, 싱커, 중간부재, 요동편 모재, 요동편의 배열도 및 편침과 싱커의 동작선을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에서는 복수의 싱커 노우즈(21b, 22b)(제 8 도에서는 2 단의 싱커 노우즈를 도시하고 있다)를 구비한 싱커(21)와 복수의 제어부에 의하여 복수의 다른 높이의 파일 루프(21PL, 22PL)와 비파일의 3 레벨의 편지(제 9 도 참조)를 편성할 수 있다.
즉, 제 1 흡착부재(131b)에 의하여 흡착된 요동편(5)은 제 1 요동편 상향 경사부(121a)와 맞물려 요동편 모재(4)와 함께 상승한다. 요동편 모재(4)의 상승에 의하여 밀려나온 중간부재(3)는 제 1 중간부재 레이징 캠(91)과 맞물려 제 2 싱커 노우즈(22b)가 높이 Y의 파일 루프(22PL)(높은 파일 루프)를 형성하는 위치까지 전진한다.
또한, 제 2 흡착부재(132b)에 의하여 흡착된 요동편(5)은 제 2 요동편 상향 경사부(121b)와 맞물려, 요동편 모재(4)와 함께 상승한다. 요동편 모재(4)의 상승에 의하여 밀려나온 중간부재(3)는 제 2 중간부재 레이징 캠(92)과 맞물려 제 1 싱커 노우즈(21b)가 높이 X의 파일 루프(21PL)(낮은 파일 루프)를 형성하는 위치까지 전진한다.
한편, 제 1 흡착부재(131a) 및 제 2 흡착부재(132a)에 의해 흡착된 요동편(5)은 제 1 요동편 상향 경사부(121a) 및 제 2 요동편 상향 경사부(121b)의 하부를 통과하므로, 싱커(21)를 전진시키지 않고, 따라서 비파일의 선택으로 되어, 파일 루프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 8 도의 2 단 노우즈의 싱커(21)를 제 1 도의 싱커 제어장치에 사용하여 콘트롤러로부터 출력한 무늬신호에 의거하여 저파일(21PL)과 고파일(22PL)의 2 레벨의 선택을 함으로써 고·저의 자카아드 파일 편지를 편성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은 자카아드 파일 편지를 제조하는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싱커, 실린더 침(針), 다이얼 침, 잭 등의 편직기구를 적어도 2 종류의 통로에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에 폭넓게 응용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는 실린더 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3 도, 제 14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장치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 13 도는 캠, 싱커(2), 중간부재(31), 선택 잭(41)(제 1 실시예와 용어를 통일시키기 위하여 이후「요동편 모재(41)」라고 한다), 요동편(51)의 배선도 및 편침과 싱커의 동작선(1L2, 2L2)을 도시한 것이고, 제 14 도는 편성요부 종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 1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5)의 외주에는 실린더 축선 방향으로 뻗는 침(針) 홈(15a)이 형성되고, 그 침 홈내에서 편침(1), 중간부재(중간 잭)(31) 및 요동편 모재(41)가 일직선상으로 수용되어 있다.
편침(1)은 캠 호울더(35)에 부착된 편성 캠(71, 72)의 캠 트랙(T10)에 맞물리는 버트(1a)를 가지며, 통상적인 캠 작용에 의하여 상하로 미끄럼운동을 한다.
중간부재(31)는 실린더 축선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제 1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재(31)는 그 상단(31a) 부근에 캠 트랙(T11)에 의하여 제어되는 버트(31b)가 설치되고, 대략 중앙부에 캠 트랙(T12)에 의하여 제어되는 버트(31c)가 설치되며, 또한 그 아래에는 길이방향으로 뻗는 연장부(31d)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편 모재(41)는 선침 장치(36)에 의하여 비작용 위치로부터 작용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제 1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편 모재(41)는 그 상단에 상기 연장부(31d)를 끼워 지지하는 U 자형부(41f)가 설치되고, 그 하단에 만곡부(41g)가 설치되어 있다. 만곡부에는 요동가능하게 요동편(51)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요동편 모재(41)는 캠 트랙(T13)에 의하여 제어되는 버트(41b)와, 캠트랙(T14)에 의하여 제어된 버트(41a)를 가진다. 요동편 모재(41)의 상부는 반원형상의 오목부(41e)로 되어 있고, 이 오목부(41e)에 대응하도록 요동편(51)의 하부로부터 원형의 돌기부(51e)가 돌출하며, 상기 오목부(41e)와 돌기부(51e)는 피벗식으로 서로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요동편(51)에 대향하여 흡착부재(133a, 133b)가 선침장치(36)에 부착되어 있다. 미리 설정된 소정의 무늬정보에 의하여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거하여 이들 흡착부재(133a, 133b)가 요동편(51)의 피흡착부(51a, 51b)를 선택적으로 흡착한다. 그리고, 요동편(51)이 흡착부재(133a, 133b)에 진입하기 전에 요동이 자유로운 상태에 있는 요동편(51)을 요동편 캔슬 캠(141)(제 13 도 참조)의 경사면에 의하여 수평으로 가지런히 한 후, 요동편(51)이 흡착부재(133a, 133b)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착부재(133a, 133b)로서 제어 전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편침(1)을 상승시키지 않을 때에는 흡착부재(133b)에 콘트롤러로부터 신호를 보내어 흡착부재(133b)에 대응한 요동편(51)의 피흡착부(51b)를 흡착시킨다. 상기 피흡착부(51b)가 흡착부재(133b)를 통과한 후, 요동편(51)의 쐐기부(51d)가 요동편 레이징 캠(120)의 사다리꼴 단면의 상향 경사부(120a)와 맞물린 다음, 요동편(5)은 요동편 모재(41)와 함께 위쪽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요동편 모재(41)의 U 자형부(41f)의 바로 아래의 캔슬 캠(102)과 맞물렸다 떨어지는 작용을 하는 버트(41b)가 캔슬 캠(102)의 경사면(102a)에 의하여 중심방향으로 밀려나온다.
밀려나온 요동편 모재(41)의 U 자형부(41f)는 중간부재(31)의 연장부(31d)를밀어낸다. 중간부재(31)의 버트(31b)는 중간부재 레이징 캠(93)의 상향 경사부(93a)에 맞물리지 않으므로 중간부재(3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원주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편침(1)은 웰트 위치를 취한다.
요동편 모재(41)가 요동편 레이징 캠(120)의 정점(120b)을 통과한 후, 요동편 모재(41)의 버트(41a)가 중간캠(110)의 하향 경사부(110b)와 맞물림으로써 요동편 모재(41)는 요동편(51)과 함께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진다.
편침(1)을 상승시킬 때에는, 흡착부재(133a)에 콘트롤러로부터 신호를 보내어 흡착부재(133a)에 대응한 요동편(51)의 피흡착부(51a)를 흡착 한다. 흡착부재(133a)에 의해 흡착된 요동편(51)은 요동편 레이징 캠(120)의 상향 경사부(120a)와 맞물리지 않고, 요동편(51)은 요동편 레이징 캠의 상향 경사부(120a)의 아래쪽을 통과한다.
요동편 모재(41)의 버트(41b)는 캠 트랙(T13)을 통과하기 때문에, 요동편 모재(41)는 캔슬 캠(102)에 의해 밀려남이 없이 원주방향으로 이동한다. 중간부재(31)의 버트(31b)는 중간부재 레이징 캠(93)의 상향 경사부(93a)에 맞물림으로써 중간부재(31)는 상승한다. 상승한 중간부재(31)의 앞쪽 단부(端部)(31c)에 의하여 편침(1)의 뒷쪽 단부(1c)가 밀려 올라간다. 중간부재(31)가 중간부재 레이징 캠(93)의 정점(93b)에 달하였을 때에, 밀려나온 중간부재(31)에 의하여 편침(1)이 니트 위치(knitting position)까지 상승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편침 제어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콘트롤러로부터 출력한 무늬신호에 의거하여 니트 위치와 웰트 위치[필요한 경우에는, 더욱이 턱위치(tucking position)]의 선택을 하여, 자카아드 편지를 편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캠, 바늘, 싱커, 중간부재, 요동편, 요동편 모재의 배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제 1 도의 A - A 단면에 있어서의 싱커제어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제 1 도의 B - B 단면에 있어서의 싱커제어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제 1 도의 C - C 단면에 있어서의 싱커제어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 4 도 (a)는 파일 선택도, 제 4 도 (b)는 비(非)파일 선택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제 1 도의 D - D 단면에 있어서의 싱커제어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 5 도 (a)는 파일 선택도, 제 5 도 (b)는 비파일 선택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제 1 도의 E - E 단면에 있어서의 싱커제어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 6 도 (a)는 파일 선택도, 제 6 도 (b)는 비파일 선택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제 1 도의 F - F 단면에 있어서의 싱커제어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캠, 바늘, 싱커, 중간부재, 요동편, 요동편 모재의 배열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배열에 의하여 형성되는 2 단 파일 루프와 2 단 노우즈 싱커의 사시도.
제 10 도는 요동편 제어부에 있어서의 요동편 캔슬 캠, 흡착부재, 요동편 레이징 캠 및 요동편과 요동편 모재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제 11 도는 종래의 파일 무늬내기 장치의 단면도.
제 12 도는 출몰가능한 중간부재 레이징 캠을 끌어넣은 싱커 제어장치의 단면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장치 요부에 있어서의 캠, 싱커, 중간 부재, 요동편 모재, 요동편의 배열도 및 편침과 싱커의 동작선도.
제 14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편성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편침(編針) 2 : 싱커(sinker)
2b : 싱커 노우즈(sinker nose) 3, 31 : 중간부재
4, 41 : 요동편 모재(搖動片母材) 4e, 41e : 오목부
5, 51 : 요동편(rocker bar) 5a, 5c, 51a, 51c : 피흡착부
5d, 51d : 쐐기부 5e, 51e : 돌기부
6 : 야안 캐리어(yarn carrier)
7 : 인너 싱커캠(inner sinker cam)
8 : 아우터 싱커캠(outer sinker cam)
9, 91, 92 : 중간부재 레이징 캠(raising cam)
10 : 제 1 중간캠 10b : 하향 경사부
11 : 제 2중간캠 12, 121 : 요동편 레이징 캠
12a, 121a : 상향 경사부 13, 131 : 흡착부재
14, 141 : 요동편 캔슬 캠(cancelling cam) GY : 바닥실
PL : 파일 루프 PY : 파일 야안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요동편은 흡착된 요동편의 피흡착부의 단부에 있는 쐐기형으로 된 쐐기부가 사다리꼴 단면의 요동편 레이징 캠과 확실히 맞물린다. 따라서, 요동편 레이징 캠과 맞물린 요동편은 요동편 레이징 캠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므로 선택 미스가 없는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요동편은 돌출한 버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어 미스가 발생하여도 버트가 뿌러질 위험성의 거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싱커 제어장치에서는 싱커의 반경방형의 방향 전환점에서, 싱커의 수직방향 가장자리부는 인너 싱커 캠의 측단부에 의하여 끼워 지지된 상태에서 싱커의 버트가 캠 트랙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다. 이에 의하여 파일 자카아드 편직기를 무지기(無地機)와 마찬가지의 고속회전으로 운전할 수 있다.
더욱이, 단일 종류의 제어부재인 요동편을 제어하기 때문에, 제어장치의 흡착부재도 소형화 할 수 있고, 또한 컴퓨터에 의하여 자카아드의 무늬를 제어하고 있으므로 무늬범위가 넓은 편지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7)

  1. 편직기구(2, 1)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원형 편기에 있어서의 자카아드 편지의 제어장치로서,
    상기 편직기구와 동일한 홈에 장착되어 편직기구를 제어하는 요동편 모재(4, 41)와,
    상기 요동편 모재(4, 41)에 의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적어도 1 개의 요동편(5, 51)과,
    상기 요동편(5, 51)의 양단에 각각 대응한 적어도 1 쌍의 흡착부재(13a, 13b ; 131a, 131b ; 132a, 132b ; 133a, 133b)와,
    상기 요동편(5, 50)을 상승시키는 적어도 1 개의 요동편 레이징 캠(12, 121)과,
    상기 편직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캠(7, 8 ; 71)과,
    요동편 모재(4, 41)를 제어하는 중간캠(10, 11 ; 101 ; 102, 110)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기에 있어서의 편직기구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편직기구가, 회전 실린더의 상부에 고착된 싱커 다이얼의 싱커홈에 장착되어, 단독으로 동작제어 가능한 제어수단에 의하여 제어되는 싱커(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기에 있어서의 편직기구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편직기구가, 회전 실린더 또는 다이얼의 침(針) 홈에 장착되어, 단독으로 동작제어 가능한 제어수단에 의하여 제어되는 편침(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기에 있어서의 편직기구 제어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동편 모재(4, 41)에 적어도 1 개의 버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기에 있어서의 편직기구 제어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동편 모재(4, 41)와
    편직기구의 사이에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1 개의 버트(3a ; 31a, 31b) 를 가진 중간부재(3, 31)와,
    상기 중간부재(3, 31)를 상승시키는 중간부재 레이징 캠(9 ; 91 ; 92 ; 9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기에 있어서의 편직기구 제어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동편 레이징 캠(12)의 상향 경사부(12a)가 사다리꼴 단면이고, 상기 상향 경사부(12a, 121a)와 맞물리는 요동편(5, 51)의 단부가 쐐기형(5d, 51d)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기에 있어서의 편직기구 제어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싱커(2)는, 복수의 싱커 노우즈(21b, 22b)를 가진것이고,
    흡착부재가 복수쌍(131a, 131b ; 132a, 132b)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편기에 있어서의 편직기구 제어장치.
KR1019960023845A 1995-07-04 1996-06-26 원형편기에있어서의편직기구제어장치 KR100397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243995A JP3540448B2 (ja) 1995-07-04 1995-07-04 丸編機における編みツール制御装置
JP95-192439 1995-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583A KR970006583A (ko) 1997-02-21
KR100397029B1 true KR100397029B1 (ko) 2003-12-24

Family

ID=1629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3845A KR100397029B1 (ko) 1995-07-04 1996-06-26 원형편기에있어서의편직기구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540448B2 (ko)
KR (1) KR100397029B1 (ko)
CN (1) CN1074475C (ko)
TW (1) TW31360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946B1 (ko) * 1996-06-20 2005-07-29 가부시키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환편기에있어서의편직공구제어장치
KR200464663Y1 (ko) 2011-10-12 2013-01-15 김영수 환편기용 실린더 바늘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258A (ja) * 1998-06-16 2000-01-11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編成部品冷却装置
JP2004149997A (ja) * 2002-11-01 2004-05-27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ジャガードパイルの編成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シンカー
CN100422413C (zh) * 2003-12-19 2008-10-01 天津市亚历山大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纯羊毛针织面料的织造工艺
CN1300401C (zh) * 2004-12-13 2007-02-14 冯加林 沉降片控制装置
JP5987180B2 (ja) * 2012-02-15 2016-09-07 岡本株式会社 パイル長を変化できる編機及びパイル長を変化させた編地の製造方法
CN103924374B (zh) * 2014-05-06 2015-08-26 石狮市宝翔针织机械有限公司 一种提花毛圈机的编织机构
JP2016204769A (ja) 2015-04-17 2016-12-08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シングルニット・ジャガード柄の編成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複合編地
CN106521791B (zh) 2015-09-10 2021-05-14 株式会社福原精机制作所 圆形针织机及其针织用具控制装置及编织方法
JP2017071880A (ja) 2015-10-08 2017-04-13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における電磁選針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15926A (fr) * 1962-07-11 1966-06-30 Beguin Rene Dispositif pour la sélection des aiguilles d'une machine à tricoter
FR2706491B1 (fr) * 1993-06-17 1995-07-28 Chomarat Textiles Plastiques Procédé et installation pour la réalisation d'un tricot velours jacquard sur un métier circulaire et nouveau type de tricot ainsi réalis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946B1 (ko) * 1996-06-20 2005-07-29 가부시키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환편기에있어서의편직공구제어장치
KR200464663Y1 (ko) 2011-10-12 2013-01-15 김영수 환편기용 실린더 바늘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21042A (ja) 1997-01-21
CN1141974A (zh) 1997-02-05
TW313600B (ko) 1997-08-21
JP3540448B2 (ja) 2004-07-07
KR970006583A (ko) 1997-02-21
CN1074475C (zh)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7029B1 (ko) 원형편기에있어서의편직기구제어장치
JP3899269B2 (ja) 横編機の給糸装置
US6988385B2 (en) Yarn feeder of wef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feeding yarn for weft knitting machine
JP2006016747A (ja) 少なくとも1つのストライプ模様入れ付属機構を備えた編み機
EP0567282B1 (en)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JP2005042260A (ja) 丸編機における給糸切換装置及び方法
US6609398B2 (en) Needle for knitting, warp knitting or hosiery machines and a knitting machine equipped therewith
KR101470668B1 (ko) 급사 전환기에서의 스트라이프 무늬 편성 장치와 그 방법
US5408849A (en) Flat bed knitting machine
KR101347668B1 (ko) 양말 편성기
EP1514963B1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EP0863239A3 (en) Yarn feeding and changing mechanism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EP3165652B1 (en) Knitting method and circular knitting machine
EP1469111B1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a knitting timing switching device
JP2012153990A (ja) 横編機
US10612169B2 (en) Knitting mechanism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US3025687A (en) Hand flat knitting machines
KR20190002530U (ko)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
US3748873A (en) Carriage mechanism of a hand knitting apparatus
JPS6252064B2 (ko)
US2773372A (en) Knitting machine
KR20060111454A (ko) 이동체 연동상태 절환이 가능한 횡편기
JP2002105809A (ja) 丸編機
JP2909991B2 (ja) 二重編布の立体模様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