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468A -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 Google Patents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468A
KR20140105468A KR20147016107A KR20147016107A KR20140105468A KR 20140105468 A KR20140105468 A KR 20140105468A KR 20147016107 A KR20147016107 A KR 20147016107A KR 20147016107 A KR20147016107 A KR 20147016107A KR 20140105468 A KR20140105468 A KR 20140105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composition layer
contact member
polyvinyl chloride
therm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1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239B1 (ko
Inventor
히데마끼 야노
겐지 오추카
마사끼 토노
가츠히로 나카자토
로타 아마수기
게니찌 마츠무라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세키스이가가쿠 호카이도 고교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세키스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세키스이가가쿠 호카이도 고교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세키스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5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65Physical fire-barriers having as the main closure device materials, whose characteristics undergo an irreversible change under high temperatures, e.g. intum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31Curv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19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4Extrusion nozzles or die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together components, e.g. melts within the di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2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2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halogen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우수한 표면 외관 및 내화성을 보이고 수밀성, 기밀성 및 기계적 강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이 제공된다.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은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에 돌기부와 본체부를 포함하다. 열팽창성 다층 패킹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을 포함하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을 형성하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은 염소화 폴리염화비닐수지 및/또는 EPDM으로 구성되는 수지 성분 100 중량부, 열팽창성 흑연 3 ~ 300 중량부, 무기 충전재 3 ~ 200 중량부 및 가소제 20 ~ 20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은 각각 열팽창성 수지조성물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으로부터 동시 공-압출에 의해 성형된다.

Description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THERMALLY EXPANDABLE MULTILAYER PACKING FOR BUILDING MATERIAL}
본 발명은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에 관한 것이다.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체는 화재 등 열에 노출되면 팽창하여 불연성의 팽창 잔류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팽창 잔류물을 이용하여 화염 및 연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체는 널리 건축재의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체로서 열팽창성 흑연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을 압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배관재가 제안되고 있다.
폴리염화비닐 응용 예의 하나로서 염소 함유량 60 ~ 71 중량 %의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100 중량 부에 대하여, 인 화합물과 중화 처리된 열팽창성 흑연과의 총량이 20 ~ 200 중량부의 범위이며, 무기 충전재가 30 ~ 500 중량부, 인 화합물의 중량 및 중화 처리된 열팽창성 흑연의 중량의 비율이 9:1 ~ 1:9의 범위에 있는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이 제안되어있다 (특허문헌 1 및 2).
이러한 선행기술 문헌들에 의하면, 상기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을 압출 성형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된다.
또한 폴리염화비닐 다른 응용 예의 하나로서 열팽창성 흑연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을 압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배관재가 제안되고 있다.
구체적인 선행기술로서 폴리염화비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팽창성 흑연을 1 ~ 15 중량부로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내화 팽창층 및 열팽창성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피복층을 갖춘 다층 내화 배관재가 제안된다 (특허문헌 3 및 4).
이러한 선행기술들에 의하면 내화 팽창층, 내화 팽창층 내부의 피복층 및 내화 팽창층의 외부의 피복층으로 이루어진 삼층 구조가 삼층 공-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가열되면 팽창을 시작하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압출 성형을 실시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곤란하다.
상기 선행기술들에 개시되어있는 다층 구조의 성형체의 형상은 원통형이다. 성형체의 단면 형상이 압출 방향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형상의 경우에는 성형체에 균등하게 열이 걸리기 때문에 성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원통형 이외의 형상에 대해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는 경우에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형상의 성형체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하여는 선행기술들로는 확인할 수 없다.
선행기술
특허문헌 1: 공개 공보 9-227747
특허문헌 2: 특허 공개 공보 10-95887
특허문헌 3: 특허 공개 2008-180367
특허문헌 4: 공개 공보 2008-180068
열팽창성 흑연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의 압출 성형에 대해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성형품의 단면 형상이 중심 축을 가지는 대칭적인 형상과 다를수록 상기 성형 제품의 외관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을 알았다.
상기 성형품의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는 조성이 다른 두 개 이상의 수지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가 열팽창성 흑연이 포함된 둘 이상의 수지조성물을 동시에 압출하여 다층 성형물을 성형하는 경우에 심해진다.
한편 최근의 내화 기술의 진전에 따라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체에 대해 고도의 방수, 고도의 기밀성, 고강도 등과 같이 내화성과는 다른 성질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 내화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방수, 기밀, 기계적 강도 등의 기능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 형상에 돌기부와 본체부를 포함한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으로,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및/또는 EPDM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이 동시 압출에 의해 성형된 건축자재용 열 팽창성 다층 패킹이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에 돌기부와 본체부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으로,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이 적어도 열 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을 형성하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은 수지 성분 100 중량부, 열팽창성 흑연 3 ~ 300 중량부, 무기 충전재 3 ~ 200 중량부 및 가소제 20 ~ 20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에 포함된 수지 성분이 염소 함유량이 60 ~ 72 중량 %의 범위인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EPDM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이 각각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및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동시 공-압출에 의해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 상기 동시 공-압출 방향에 대한 수직 기준면을 기준으로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단면의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과의 경계가 만곡 및/또는 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에 포함된 본체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상기 [1] 또는 [2] 기재의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4]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이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및 EPDM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서 되는 상기 [1] ~ [3] 중 하나에 따라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5]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이, 열 안정제, 윤활제, 가공 조제, 열분해 발포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안료, 가교제 및 가교 촉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1] ~ [4] 중 어느 한 항에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6]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이 유리공사 (grazing) 채널, 밀착부재 (tight member), 가스켓 또는 유리공사 비드 (bead) 중 하나인 상기 [1] ~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시 공-압출에 의해 조성이 다른 두 개 이상의 수지조성물 층을 포함하는 외관이 뛰어나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이 화재 등 열에 노출된 경우에는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이 팽창하여 팽창 잔류물 (residue)을 형성한다.
상기 팽창 잔류물은 불연성이고,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이 설치된 건축 자재의 틈새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팽창 잔류물에 의해 화재 등으로 인해 발생한 불길이나 연기가 건축 자재의 틈새를 통해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은 내화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을 포함한다.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의 용도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 소수성의 유연한 합성수지를 채용하여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에 대한 높은 수밀성을 부여 할 수 있다.
또한 예를들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 틈새의 폐쇄성이 뛰어난 합성수지를 채용하여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에 대해 높은 기밀성을 부여 할 수 있다.
또한 예를들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 강성이 뛰어난 합성수지를 채용하여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에 고강도 성질을 부여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화성 이외에, 방수, 기밀, 기계적 강도 등의 기능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은 상기 동시 공-압출 방향에 대한 수직 기준면을 기준으로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단면의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과의 경계가 만족 및 선형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단면의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과의 경계가 직선의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의 접촉 면적이 커지므로, 성형 후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이 분리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이 유리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3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4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5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6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7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8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9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0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11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사시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와 문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와 문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13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14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15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1은 실시예 16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2는 실시예 17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3은 실시예 18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4는 실시예 19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5는 실시예 20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6은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7은 실시예 22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8은 실시예 23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9는 실시예 24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0은 실시예 25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1은 실시예 26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2는 실시예 26에 따른 밀착부재와 문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단면도이다.
도 33은 실시예 27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4는 실시예 28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5는 실시예 29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6은 실시예 30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7은 실시예 31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8은 실시예 32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9는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0은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사시도이다.
도 41은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 및 벽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단면도이다.
도 42는 실시예 34에 따른 가스켓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3은 실시예 35에 따른 가스켓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4는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5는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사시도이다.
도 46은 실시예 37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7은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및 실시예 37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와 유리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8은 실시예 38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9는 실시예 39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0은 실시예 40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1은 실시예 41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2는 실시예 4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3은 실시예 43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4는 실시예 44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5는 실시예 45에 따른 가스켓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사용하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팽창성 수지조성물은 수지 성분 100 중량부, 열팽창성 흑연 3 ~ 300 중량부, 무기 충전재 3 ~ 200 중량부 및 가소제 20 ~ 20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팽창성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은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및 EPDM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염소화물이다. 상기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염소 함량이 부족하면 내열성이 저하되고 많아지면 용융 압출이 곤란하므로 60 ~ 72 중량 %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임의의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로는 예를들면, 염화비닐 동종중합체, 염화비닐 단량체 및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염화비닐 단량체 이외의 중합체 또는 염화비닐 단량체 이외의 공중합체에 염화비닐을 그라프트 공중합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1종 또는 2종 이상의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로는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등의 α-올레핀 류,
비닐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등의 비닐 에스테르 류,
부틸 비닐 에테르, 세틸 비닐 에테르 등의 에테르 류,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류,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류,
N-페닐 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의 N-치환 말레이미드 류 등을 포함한다.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1 종 또는 2종 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 이외의 중합체 또는 염화비닐 단량체 이외의 공중합체로는 염화비닐을 그라프트 중합하는 것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 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일산화탄소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일산화탄소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염소화 폴리에틸렌,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작으면 성형체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커지면 용융 점도가 높아져 용융 압출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600 ~ 15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PDM은 에틸렌, 프로필렌 및 가교용 디엔 단량체의 삼원 공중합체다.
상기 EPDM에 사용되는 가교용 디엔 단량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5-프로필리덴-5-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5-비닐-2-노르보르넨, 5-메틸렌-2-노르보르넨, 5-이소프로필리덴-2-노르보르넨, 노루보루나디엔 등의 환형 디엔 류, 1,4-헥사디엔, 4-메틸-1,4-헥사디엔, 5-메틸-1,4-헥사디엔 5-메틸-1,5-헵타디엔, 6-메틸-1,5-헵타디엔, 6-메틸-1,7-옥타디엔 등의 사슬상 비공액 디엔 류 등을 포함한다.
상기 EPDM은 무니 점도 (ML1 +41 25 ℃)가 4 ~ 3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니 점도가 4 이상이면 유연성이 뛰어나다. 또한 무니 점도가 30 이하의 경우는 너무 경성화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니 점도는 무니 점도계에 의한 EPDM 점도를 의미한다.
상기 EPDM은 2.0 중량 % ~ 5.0 중량 % 범위의 가교용 디엔 단량체 함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중량 % 이상이면, 분자간의 가교가 촉진되어 유연성이 뛰어나고 5.0 중량 % 이하의 경우에는 내후성이 우수하다.
상기 열 팽창성 흑연은 종래 공지의 물질이며, 천연 편상 흑연, 열분해 흑연, 키쉬 흑연 등의 분말을 진한 황산, 질산, 셀렌산 등의 무기 산과 진한 질산, 과염소산, 염소산염, 과망간산염, 중크롬산염, 과산화수소 등의 강산화제에 의해 처리하여 얻어진 흑연 층간 화합물이다. 생성된 열팽창성 흑연은 탄소 층상 구조를 유지하는 결정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팽창성 흑연은 산 처리하여 얻은 열팽창성 흑연을 암모니아, 지방족 저급 아민, 알칼리 금속 화합물,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 등으로 중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저급 아민으로는 예를들면, 모노 메틸 아민, 디메틸 아민, 트리메틸 아민, 에틸 아민, 프로필 아민, 부틸 아민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 및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로서는 예를들면, 칼륨, 나트륨, 칼슘, 바륨, 마그네슘 등의 수산화물, 산화물, 탄산염, 황산염, 유기산염 등을 포함한다.
열팽창성 흑연의 구체적인 예는 예를들면, Nippon Kasei Chemical Company Limited에서 입수되는 "CA-60S" 등이 있다.
상기 열 팽창성 흑연의 입도가 너무 작으면 흑연 팽창도가 작아, 발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입도가 너무 크면, 팽창도가 크다는 점에서 효과가 있지만 수지와 혼련 할 때 분산성 및 성형성이 저하되어 얻어진 압출 성형체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열 팽창성 흑연의 입도는 20 ~ 200 메쉬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열 팽창성 흑연의 첨가량은 적으면 내화 성능 및 발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많아지면 압출하기 어려워, 얻어진 성형체의 표면성이 나빠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열 팽창성 흑연의 첨가량은 3 ~ 300 중량부의 범위이다. 상기 열 팽창성 흑연의 첨가량의 범위는 10 ~ 200 중량부의 범위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충전재는 일반적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무기 충전재이면 특히 제한은 없다. 구체적으로는, 예를들면, 실리카, 규조토, 알루미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철, 산화주석, 산화안티몬, 페라이트,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아연, 탄산바륨, 도오소나이트, 히드로탈사이트, 황산칼슘, 황산바륨, 석고 섬유, 규산칼슘, 탈크, 클레이, 운모,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활성 백토, 해포석, 이모고라이트, 견운모, 유리 섬유, 유리 비드, 중공 실리카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실리콘, 카본블랙, 흑연, 탄소 섬유, 중공 탄소, 목탄 분말, 각종 금속 분말, 티탄산 칼륨, 황산마그네슘, 티탄산 지르코니아 납, 붕산알루미늄, 황화몰리브덴, 탄화규소, 스테인리스 섬유, 붕산 아연, 각종 자성 분말, 슬래그 섬유, 플라이 애쉬, 탈수 슬러지 등을 포함한다.
그 중에서도 탄산칼슘 및 가열 시 탈수 흡열 효과가 있는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수분 무기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 안티몬은 난연성 향상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충전재는 1종 또는 두 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의 첨가량이 적으면 내화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많아지면 압출하기 어려워, 얻어진 성형체의 표면성이 나빠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무기 충전제의 첨가량은 상기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 200 중량부의 범위이다. 상기 무기 충전제의 첨가량은 10 ~ 150 중량부 범위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일반적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가소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들면,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DOP), 디부틸프탈레이트 (DBP), 디헵틸프탈레이트 (DHP),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DIDP) 등의 프탈레이트 가소제,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DOA), 디이소부틸아디페이트 (DIBA), 디부틸아디페이트 (DBA)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가소제, 에폭시화 대두유 등의 에폭시화 에스테르 가소제, 아디프산 에스테르, 아디프산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 가소제, 트리-2-에틸헥실트리멜리테이트 (TOTM), 트리이소노닐트리멜리테이트 (TINTM) 등의 트리멜리트산 에스테르 가소제, 트리메틸 포스페이트 (TMP),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TEP) 등의 인산 에스테르 가소제, 광유 등의 프로세스 오일 등이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1종 또는 두 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첨가량이 적으면 압출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많아지면 얻어진 성형체가 너무 부드러워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의 첨가량은 20 ~ 200 중량부의 범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하는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은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 열팽창성 흑연, 무기 충전재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다.
상기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은 인산 에스테르 가소제를 제외한 인 화합물을 함유하면 압출 성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인산 에스테르 가소제를 제외한 인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다. 또한 앞서 언급한 가소제 인 인산 에스테르 가소제를 함유 할 수 있다.
압출 성형성을 저해하는 인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적린 (red phosphorous),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질 포스페이트, 트리실레닐 포스페이트, 크레질디페닐 포스페이트 및 실레닐디페닐 포스페이트 등의 각종 인산 에스테르,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인산마그네슘 등의 인산 금속염, 폴리인산암모늄 류, 및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3은 수소, 탄소수 1 ~ 16의 직쇄상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 16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R2는 수산기, 탄소수 1 ~ 16의 직쇄상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 탄소수 1 ~ 16의 직쇄상 또는 분지형의 알콕실기, 탄소수 6 ~ 16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6 ~ 16의 아릴록시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예를들면 메틸포스폰산, 메틸포스폰산 디메틸, 메틸포스폰산 디에틸, 에틸포스폰산, 프로필포스폰산, 부틸포스폰산, 2-메틸프로필포스폰산, t-부틸포스폰산, 2, 3-디메틸-부틸포스폰산, 옥틸포스폰산, 페닐포스폰산, 디옥틸페닐 포스포네이트, 디메틸포스핀산, 메틸에틸포스핀산, 메틸프로필포스핀산, 디에틸포스핀산, 디옥틸포스핀산, 페닐포스핀산, 디에틸 페닐 포스핀산, 디페닐 포스핀산, 및 비스(4-메톡시페닐) 포스핀산을 포함한다.
폴리인산암모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폴리인산암모늄, 멜라민-변성 폴리인산암모늄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압출특성을 저해하는 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에는 그 물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 화합물 이외의 열 안정제, 윤활제, 가공 조제, 열 분해 발포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안료, 가교제, 가교 촉진제 등이 첨가된다.
상기 열 안정제로서는 예를들면, 3염기성 황산 납, 3염기성 아황산 납, 2염기성 황산 납, 스테아린산 납, 2염기성 스테아린산 납과 같은 납 열 안정제,
유기주석 메르캅토, 유기주석 말레이트, 유기주석 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말레이트와 같은 유기주석 열 안정제,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칼슘 등의 금속 비누 열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 안정제는 1종 또는 두 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윤활제로서는 예를들면, 폴리에틸렌, 파라핀, 몬탄 산 등의 왁스 류,
각종 에스테르 왁스 류, 스테아린산, 리시놀산 등의 유기산 류,
스테아릴 알코올 등의 유기알코올 류,
디메틸 비스아미드 등의 아미드 화합물 류 등을 포함한다.
상기 윤활제는 1종 또는 두 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공 조제로서 예를들면, 염소화 폴리에틸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고분자량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을들 수 있다.
상기 열분해 발포제로서는 예를들면, 아조디카본아미드 (ADCA),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DPT),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OBSH),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IBN)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들면, 페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로서는 예를들면, 아미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료로는 예를들면, 아조 류, 프탈로시아닌 류, 인단트렌 류, 염료 레이크 류 등의 유기안료, 산화물 안료, 크롬 몰리브덴 류, 황화물 및 셀렌 안료, 페로시아닌화물 류 등의 무기 안료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예를들면, 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교 촉진제로서는 예를들면, 디에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N, N, N', N'-테트라에틸티우람디설파이드, 디에틸 디티오 카르밤산 벤질 에스테르 등을 포함한다.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의 예]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수지 성분, 열 팽창성 흑연, 무기 충전재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
(b) 상기 (a)의 수지조성물에, 열 안정제, 윤활제, 가공 조제, 열분해성 발포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안료, 가교제 및 가교 촉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조성물.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로 압출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으로서, 예를들면 폴리염화비닐 수지 (PVC)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 (CPVC),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EPDM), 클로로프렌 (C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ASA), 아크릴로니트릴 / 에틸렌-프로필렌-디엔 / 스티렌 공중합체 (AES) 등을 포함한다.
상기 수지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PVC),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 (CPVC),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에틸렌-프로필렌-가교 디엔 단량체 공중합체 (EPDM), 클로로프렌 (CR)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임의의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로는 예를들면, 염화비닐 동종중합체,
염화비닐 단량체 및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염화비닐 단량체 이외의 중합체 또는 염화비닐 단량체 이외의 공중합체에 염화비닐을 그라프트 공중합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을 포함하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로는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등의 α-올레핀 류,
비닐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등의 비닐 에스테르 류,
부틸 비닐 에테르, 세틸 에테르 등의 에테르 류,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류,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류,
N-페닐 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의 N-치환 말레이미드 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의 1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 이외의 중합체 또는 염화비닐 단량체 이외의 공중합체로는 염화비닐을 그라프트 중합하는 것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일산화탄소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일산화탄소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염소화 폴리에틸렌,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작으면 성형체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커지면 용융 점도가 높아져 용융 압출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600 ~ 15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 (CPVC)로, 예를들면 앞서 설명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PVC)를 염소화 한 것 등을 포함한다.
상기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염소 함량이 낮을 때 용융 압출이 용이해지고 많아지면 내열성이 향상되므로 60 ~ 72 중량 %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PDM으로는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의 수지 성분으로 사용하는 EPDM의 경우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에 상기 무기 충전재, 상기 가소제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는 그 물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압출 성형 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열 안정제, 윤활제, 가공 조제, 열분해성 발포제, 산화방지제, 대전 방지제, 안료 등이 첨가된다.
이러한 특정 예시는 먼저 예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의 예]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c) 수지 성분 및 무기 충전재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
(d) 수지 성분, 가소제 및 무기 충전재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
(e) 상기 (c)의 수지조성물에 대해, 열 안정제, 윤활제, 가공 조제, 열분해 형 발포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안료, 가교제 및 가교 촉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조성물,
(f) 상기 (d)의 수지조성물에 대해, 열 안정제, 윤활제, 가공 조제, 열분해 형 발포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안료, 가교제 및 가교 촉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조성물.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사용되는 수지 성분을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수지 성분으로서 염화비닐 수지,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 EPDM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성분으로서 염화비닐 수지,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 EPDM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선택한 경우에는 얻어지는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유연성, 기밀성, 수밀성, 강도에 우수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사용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은 종래 공지이며, 예를들면 일본 공업 규격 (JIS)에 규정 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은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및 경질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이 있다.
일반적으로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며, 경질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은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가소제로는 앞서 언급한 가소제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로는, 예를들면 일본 공업 규격에 정하는 연질 폴리염화비닐 콤파운드 (JIS K6723)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질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로는, 예를들면 일본 공업 규격에 정하는 무가소제 폴리염화 비닐 성형 및 압출 재료 (JIS K6740-1~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수지조성물은 압출 성형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단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에서 130~170 ℃에서 용융시켜 동시 공-압출함으로써 적어도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길이가 긴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긴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을 용도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은, 예를들면, 창문, 문 등의 건축자재에 사용된다.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의 구체적인 예는 예를들면, 유리공사 채널 등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리공사 채널 (grazing channel) (100)의 구조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1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 기준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보인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이 유리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단면도이다.
실시예 1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00)은 둘 이상의 유리를 적층하여 형성된 유리 패널 (600)의 주변부 (610)에 장착된다. 상기 유리공사 채널 (100)은 상기 유리 패널 (600) 끝면 (601)에 대향하는 바닥 벽 (1)과, 상기 바닥 벽 (1)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 패널 끝면 (6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리 패널 주변부 (610)를 덮는 측벽 (2)을 갖는다. 상기 바닥 벽 (1)과 상기 측벽 (2)은 상기 유리공사 채널 (100)의 본체부 (10)를 형성한다.
상기 유리공사 채널 (100)에 포함되는 상기 바닥 벽 (1) 및 측벽 (2)은 경질 염화비닐 수지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있다.
상기 측벽 (2)의 상단에 돌출부 (20)가 설치되어있다. 상기 돌출부 (20)는 안쪽, 즉 유리 패널 (600)쪽을 향해 돌출된 외향 날개 (21a, 21a) 및 내향 날개 (21b, 21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 (20)는 외부, 즉 유리 패널 (600) 쪽과는 반대편에 홈부 (21c, 21c)를 포함한다. 새시 (620)의 단부를 상기 홈부 (21c, 21c)에 삽입하여 새시 (620)에 상기 유리공사 채널 (10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 (20)는 표 1에 나타낸 배합비를 갖는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은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유연성이 있다.
[유리공사 채널 (100)의 제조 예]
표 1에 나타낸 예정량의 염소화 염화비닐 수지 (TOKUYAMA SEKISUI Co., Ltd. 제품, “HA-53K”라고 알려진 중합도: 1000, 염소함량: 67.3중량%, “CPVC-1”), 염화비닐 수지 (TOKUYAMA SEKISUI Co., Ltd. 제품, “TS-1000R”라고 알려진 중합도: 1000, “PVC”), 중화 처리된 열팽창성 흑연 (Tosoh Corporation 제품, “GREP-EG”라고 알려짐), 탄산칼슘 (SHIRAISHI CALCIUM KAISHA Ltd. 제품, “WHITEN BF300”라고 알려짐),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J-PLUS Co., Ltd. 제품, “DID P”, “DIDP”로 알려짐), Ca-Zn 복합 안정제 (MIZUSAWA INDUSTRIAL CHEMICALS Ltd. 제품, “NT-231”로 알려짐), 스테아린산 칼슘 (SAKAI CHEMICAL INDUSTRY Co., Ltd. 제품, “SC-100”로 알려짐), 염소화 폴리에틸렌 (IKAIKINKOH Co., Ltd. 제품, “135A”로 알려짐)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MITSUBISHI RAYON Co., Ltd. 제품, “P-530A”로 알려짐)로 이루어진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및,
PVC, 탄산칼슘 (SHIRAISHI CALCIUM KAISHA Ltd. 제품, “WHITEN BF300”로 알려짐),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DIDP”), Ca-Zn 복합 안정제 (MIZUSAWA INDUSTRIAL CHEMICALS Ltd. 제품, “NT-231”로 알려짐), 스테아린산 칼슘 (SAKAI CHEMICAL INDUSTRY Co., Ltd. 제품, “SC-100”로 알려짐), 염소화 폴리에틸렌 (IKAIKINKOH Co., Ltd. 제품, “135A”로 알려짐)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MITSUBISHI RAYON Co., Ltd. 제품, “P-530A”로 알려짐)로 이루어진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을 단축 압출기 (IKEGAI KIHAN Co., Ltd. 제품, 65mm 압출기)에 공급하고, 150t 하중에서 1m/hr의 속도로 동시 공-압출을 수행하여 도 1에 표시된 단면 형상의 긴 이형 성형체를 형성한다.
상기 압출기 및 금형을 관찰하고, 수지조성물의 부착이 관찰된 경우를 ×, 수지조성물의 부착이 관찰되지 않은 경우를 ○로 표 1에 결과를 설명했다.
얻어진 긴 이형 성형체를 상기 긴 이형 성형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00)이 얻어진다. 상기 유리공사 채널 (100)은 외관이 우수하다.
[유리공사 채널 (100)의 작용]
도 1에 도시된 유리공사 채널 (100)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를 갖는다.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은 화재 등의 열에 의해 팽창하므로 방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은 유리 패널 (60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00)은 기능이 다른 수지조성물 층을 2 이상 갖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유리공사 채널 (100)에 대해 완전히 다른 여러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공사 채널 (100) 및 유리 패널 (600)을 가지는 새시 (620)가 화재와 같은 열적 환경에 노출되면,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는 팽창한다. 팽창에 의해 초래된 팽창 잔류물은 유리 패널 (600) 및 새시 (620) 사이의 간격을 막는다. 팽창 잔류물로 인하여 유리 패널 (600) 및 새시 (620) 사이 간격을 통과하는 화재로 인한 화염 및 연기 진입이 억제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의한 유리공사 채널 (100)을 가지는 새시 (620)는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2
유리공사 채널 (110)의 구조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실시예 1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00)은 상기 돌출부 (20)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이고, 상기 본체부 (10)가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이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10)은 상기 돌출부 (20)가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이고, 상기 본체부 (10)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인 점이 다르다.
실시예 2의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에 사용된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은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PVC, 탄산칼슘 (SHIRAISHI CALCIUM KAISHA Ltd. 제품, “WHITEN BF300”로 알려짐),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DIDP”), Ca-Zn 복합 안정제 (MIZUSAWA INDUSTRIAL CHEMICALS Ltd. 제품, “NT-231”로 알려짐), 스테아린산 칼슘 (SAKAI CHEMICAL INDUSTRY Co., Ltd. 제품, “SC-100”로 알려짐), 염소화 폴리에틸렌 (IKAIKINKOH Co., Ltd. 제품, “135A”로 알려짐)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MITSUBISHI RAYON Co., Ltd. 제품, “P-530A”로 알려짐)로 구성된다.
[유리공사 채널 (110)의 제조 예]
실시예 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10)은 상기 돌출부 (20)의 성형에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고, 상기 본체부 (10)의 성형에 실시예 1에 이용한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배합 예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상기 유리공사 채널 (110)은 외관이 우수하다.
[유리공사 채널 (110)의 작용]
도 4의 유리공사 채널 (110)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를 갖는다.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은 화재 등의 열에 의해 팽창하므로 방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은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로부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리공사 채널 (110)의 돌출부 (20)는 유연성을 가지며, 유리 패널 (600)과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 (20)는 유리 패널 (600)에 결로수 등이 창문 내부 등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기 때문에 방수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10)는 기능이 다른 수지조성물 층을 둘 이상 갖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유리공사 채널 (110)에 대해 완전히 다른 여러 기능을 부여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10)은 도 3에서 유리공사 채널 (100) 대신에 사용한 경우에도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진 상기 유리공사 채널 (110)의 본체부 (10)가 화재 등의 열에 의해 팽창한다. 이러한 팽창 잔류물에 의해 유리 패널 (600)과 새시 (620)의 간격을 폐쇄할 수 있다.
실시예 3
유리공사 채널 (120)의 구조
도 5는 실시예 3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실시예 1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00)은 상기 돌출부 (20)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이고, 상기 본체부 (10)가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이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3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20)은 상기 돌출부 (20) 및 상기 본체부 (10)가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이고, 상기 본체부 (10)에 접하는 내부 바닥 벽 (4)이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인 점이 다르다.
또한 상기의 내부 바닥 벽 (4)은 바닥 벽 (1) 및 측벽 (2)에 접해 설치된다.
실시예 3의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에 사용된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은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이며, 실시예 2에 사용된 것과 동일하다.
[유리공사 채널 (120)의 제조 예]
실시예 3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20)은 상기 돌출부 (20) 및 본체부 (10)의 성형에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고, 상기의 바닥 벽 (4)의 성형에 실시예 1에 이용한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배합 예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상기 유리공사 채널 (120)은 외관이 우수하다.
[유리공사 채널 (120)의 작용]
도 5의 유리공사 채널 (120)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 및 본체부 (10)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내부 바닥 벽 (4)를 갖는다.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은 화재 등의 열에 의해 팽창하므로 방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은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로부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리공사 채널 (120)의 돌출부 (20) 및 본체부 (10)는 유연성을 가지며, 유리 패널 (600)과 밀착시켜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 (20)는 유리 패널 (600)에 결로수 등이 창문의 내부 등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기 때문에 방수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3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20)는 기능이 다른 수지조성물 층을 2 이상 갖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유리공사 채널 (120)에 대해 완전히 다른 여러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 4
유리공사 채널 (130)의 구조
도 6은 실시예 4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실시예 1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00)은 상기 돌출부 (20)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이고, 상기 본체부 (10)가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이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4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30)은 상기 돌출부 (20)가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 (10)가 경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층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 (10)에 접하는 내부 바닥 벽 (4)이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점이 다르다.
또한 상기의 내부 바닥 벽 (4)이 바닥 벽 (1) 및 측벽 (2)에 접해 설치되는 점은 실시예 3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유리공사 채널 (130)의 제조 예]
실시예 4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30)은 상기 돌출부 (20) 및 본체부 (10)의 성형에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고, 상기의 내부 바닥 벽 (4)의 성형에 실시예 1에 이용한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 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배합 예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상기 유리공사 채널 (130)은 외관이 우수하다.
[유리공사 채널 (130)의 작용]
도 6의 유리공사 채널 (130)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 및 본체부 (10)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내부 바닥 벽 (4)를 가진다.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은 화재 등의 열에 의해 팽창하므로 방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돌출부 (20)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은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 염화비닐 수지조성물로부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리공사 채널 (130)의 돌출부 (20)는 유연성을 가지며, 유리 패널 (600)과 밀착시켜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 (20)는 유리 패널 (600)에 결로수 등이 창문의 내부 등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기 때문에 방수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 (10)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은 경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 염화비닐 수지조성물로부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리 패널 (600)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4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30)는 기능이 다른 수지조성물 층을 2 이상 갖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유리공사 채널 (130)에 대해 완전히 다른 여러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 5
유리공사 채널 (140)의 구조
도 7은 실시예 5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실시예 5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40)은 앞의 실시예 4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30)의 변형예이다.
전기 실시예 4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30)의 경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내부 바닥 벽 (4)이 상기 본체부 (10)의 내부에 접해 설치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5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40)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외부 바닥 벽 (5)이 상기 본체부 (10)의 외측에 접하여 설치되어있는 점이 다르다.
그 이외는 실시예 4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4의 경우와 같이,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상기 유리공사 채널 (140)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상기 유리공사 채널 (140)은 외관이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 4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유리공사 채널 (140)에 대해 완전히 다른 여러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 6
유리공사 채널 (150)의 구조
도 8은 실시예 6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실시예 6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50)는 전기 실시예 4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30)의 변형예이다.
전기 실시예 4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30)의 경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내부 바닥 벽 (4)이 상기 본체부 (10)의 내부에 접해 설치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6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50)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내부 벽 (6, 6)이 상기 본체부 (10)의 측벽 (2, 2) 안쪽에 각각 접하고 설치되어있는 점이 다르다.
그 이외는 실시예 4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4의 경우와 같이,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상기 유리공사 채널 (150)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상기 유리공사 채널 (150)은 외관이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 4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유리공사 채널 (150)에 대해 완전히 다른 여러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 7
유리공사 채널 (160)의 구조
도 9는 실시예 7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실시예 7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60)는 앞의 실시예 4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30)의 변형예이다.
전기 실시예 4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30)의 경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내부 바닥 벽 (4)이 상기 본체부 (10)의 내부에 접해 설치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7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60)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외부 벽 (7, 7)이 상기 본체부 (10)의 측벽 (2, 2) 외부에 각각 접하고 설치되어있는 점이 다르다.
그 이외는 실시예 4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4의 경우와 같이,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상기 유리공사 채널 (160)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상기 유리공사 채널 (160)은 외관이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 4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유리공사 채널 (160)에 대해 완전히 다른 여러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 8
유리공사 채널 (170)의 구조
도 10은 실시예 8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실시예 8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70)는 전기 실시예 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10)의 변형예이다.
전기 실시예 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10)의 경우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를 구비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8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70)은 실시예 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30)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본체부 (10)에 접하고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외부 본체부 (8)를 구비하는 점이 다르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2의 경우와 같이,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상기 유리공사 채널 (170)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상기 유리공사 채널 (170)은 외관이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 2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유리공사 채널 (170)에 대해 완전히 다른 여러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 9
유리공사 채널 (180)의 구조
도 11은 실시예 9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실시예 9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80)은 전기 실시예 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10)의 변형예이다.
전기 실시예 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10)의 경우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을 사용한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에서 되는 본체부 (10)를 구비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9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80)은 바닥 벽 (1)이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지고, 측벽 (2, 2)이 경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을 사용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점이 다르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2의 경우와 같이,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상기 유리공사 채널 (180)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상기 유리공사 채널 (180)은 외관이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 2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유리공사 채널 (180)에 대해 완전히 다른 여러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 10
유리공사 채널 (190)의 구조
도 12는 실시예 10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실시예 10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90)는 전기 실시예 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10)의 변형예이다.
전기 실시예 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10)의 경우 제조시 동시 공-압출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리공사 채널 (110)의 단면에 있어서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 과의 경계선 (14)이 직선으로 되어있다 (도 4 참조).
이에 대해 실시예 10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90)의 단면에 있어서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과의 경계선 (15)은 곡선으로 되어있다 (도 12 참조).
상기 경계선 (15)을 만곡화 함으로써, 상기 유리공사 채널 (190) 단면의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과의 접촉 면적을 전기 실시예 2의 경우와 비교하여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리공사 채널 (190) 단면의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과의 계면 박리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 2의 경우와 같이,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상기 유리공사 채널 (190)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상기 유리공사 채널 (190)은 외관이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 2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유리공사 채널 (190)에 대해 완전히 다른 여러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0의 경우, 상기 유리공사 채널 (190)에 충격 등이 가해져도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의 계면 박리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뛰어나다.
실시예 11
유리공사 채널 (200)의 구조
도 13은 실시예 11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실시예 11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200)는 전기 실시예 10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90)의 변형예이다.
전기 실시예 10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90)의 경우 제조시 동시 공-압출 방향에 대한 수직 기준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리공사 채널 (190)의 단면에 있어서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과의 경계선 (15)이 곡선이었다.
이에 대해 상기 유리공사 채널 (200) 단면의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과의 경계선 (16)은 절선(broken line)이다.
상기 절선 형성 변곡점의 수에는 제한이 없지만, 1 ~ 100의 범위이면 바람직하고, 1 ~ 20의 범위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1 ~ 10의 범위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경계선 (16) 절선으로, 상기 유리공사 채널 (190)의 단면에 있어서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과의 접촉 면적을 전기 실시예 2의 경우와 비교하여 확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리공사 채널 (200) 단면의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의 계면의 박리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 10의 경우와 같이,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상기 유리공사 채널 (200)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상기 유리공사 채널 (200)은 외관이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 10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유리공사 채널 (200)에 대해 완전히 다른 여러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1의 경우, 상기 유리공사 채널 (200)에 충격 등이 가해져도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의 계면 박리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뛰어나다.
또한, 이하 실시예의 경우에도 단면의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과 경계 형상은 만곡 및 선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실시예 12
밀착부재 (tight member) (210)의 구조
도 14는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 기준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사시도이다. 또한 도 16과 도 17는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와 문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단면도이다.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와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를 가진다.
상기 본체부 (10)는 고정부 (22) 및 관부 (2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 (20)는 만곡부 (24)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 (20)의 내부에는 상기 만곡부 (24)과 관부 (23)에 의해 포위된 공간 (25)이 형성되어있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문 (700)은 프레임 (710)에 대하여 개폐된다. 상기 문 (700)을 프레임 (710)에 접촉시키면, 상기 문 (700)은 상기 밀착부재 (210)의 돌출부 (20)의 만곡부 (24)에 접촉한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210)의 본체부 (10)의 고정부 (22)는 프레임 (710) 홈부 (711)의 내부에 삽입되어있다. 상기 고정부 (22)가 상기 홈부 (7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밀착부재 (210)는 프레임 (7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 (210)의 돌출부 (20)는 유연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 (700)이 프레임 (710)에 접촉되면, 상기 밀착부재 (210) 공간 (25)이 변형하여 상기 문 (700)과 상기 프레임 (710)의 간격을 폐쇄할 수 있다.
[밀착부재 (210)의 제조 예]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제조방법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동시 공-압출에 사용하는 수지조성물의 배합을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돌출부 (20)의 성형에 실시예 1에 이용한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본체부 (10)의 성형에 실시예 1에 이용한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상기 밀착부재 (210)을 제조할 수 있다. 생성된 밀착부재 (210)는 외관이 우수하다.
[밀착부재 (210)의 작용]
도 16 및 도 17에 표시된 밀착부재 (210)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를 갖는다.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은 화재 등의 열에 의해 팽창하므로 방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은 유연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문 (700)과 프레임 (710)의 간격을 방해하는 기밀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은 상기 문 (70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돌출부 (20)를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 (10)는 밀착부재 (210) 전체 강도를 기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은 기능이 다른 수지조성물 층을 2 이상 갖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밀착부재 (210)에 대해 완전히 다른 여러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 16과 도 17에 표시된 밀착부재 (210)를 갖춘 프레임 (710) 및 문 (700)이 화재 등 열에 노출된 경우,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는 팽창한다. 이러한 팽창에 의해 발생한 팽창 잔류물이 문 (700)과 프레임 (710)의 간격을 폐쇄한다.
이러한 팽창 잔류물에 의해 화재에 의해 생긴 화염, 연기 등이 문 (700)과 프레임 (710)의 간격을 통해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쪽으로 침입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을 갖춘 프레임 (710) 및 문 (700)은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13
[밀착부재 (220)의 구조]
실시예 13에 따른 밀착부재 (220)는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변형예이다.
도 18은 실시예 13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13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3에 따른 밀착부재 (220)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 및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구성된 돌출부 (20)를 가진다. 동시 공-압출에 사용하는 수지조성물의 배합을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본체부 (10)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26, 26) 및 관부 (27)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 (20)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만곡부 (24)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 (20) 내부에는 상기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만곡부 (24) 및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관부 (27)에 의해 포위된 공간 (25)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2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220)의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220)을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13에 따른 밀착부재 (220)도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220)는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220)는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14
[밀착부재 (230)의 구조]
실시예 14에 따른 밀착부재 (230)는 실시예 13에 따른 밀착부재 (220)의 변형예이다.
도 19는 실시예 14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14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13에 따른 밀착부재 (220)의 경우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 및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14에 따른 밀착부재 (230)은 본체부 (10) 및 돌출부 (20)가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점, 상기 본체부 (10)의 관부 (29)의 내부에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관 내부 (30)가 설치되어있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12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230)의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230)을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14에 따른 밀착부재 (230)도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 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230)는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하는 건축 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23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15
[밀착부재 (240)의 구조]
실시예 15에 따른 밀착부재 (240)는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변형예이다.
도 20은 실시예 15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15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경우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를 가지고 했다.
이에 대해 실시예 15에 따른 밀착부재 (240)는 돌출부 (20)에 공간 (25)이 없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점이 다르다.
실시예 12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240)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240)을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15에 따른 밀착부재 (240)도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240)는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240)는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16
[밀착부재 (250)의 구조]
실시예 16에 따른 밀착부재 (250)는 실시예 13에 따른 밀착부재 (220)의 변형예이다.
도 21은 실시예 16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16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13에 따른 밀착부재 (220)의 경우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 및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16에 따른 밀착부재 (250)는 돌출부 (20)에 공간 (25)이 없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점이 다르다.
실시예 13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250)의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250)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16에 따른 밀착부재 (250)도 실시예 13에 따른 밀착부재 (2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250)는 실시예 13에 따른 밀착부재 (2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25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17
[밀착부재 (260)의 구조]
실시예 17에 따른 밀착부재 (260)는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변형예이다.
도 22는 실시예 17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17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경우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를 가지고 했다.
이에 대해 실시예 17에 따른 밀착부재 (260)의 경우도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를 가지며, 또한 상기 본체부 (10)에 연결부 (31)를 가지고 있고, 상기 연결부 (31)에 의해 고정부 (22)와 관부 (32)가 연결되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12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260)의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260)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17에 따른 밀착부재 (260)도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260)는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26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18
[밀착부재 (270)의 구조]
실시예 18에 따른 밀착부재 (270)는 실시예 17에 따른 밀착부재 (260)의 변형예이다.
도 23은 실시예 18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18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17에 따른 밀착부재 (260)의 경우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를 가지며, 또한 상기 본체부 (10)에 연결부 (31)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 (31)에 의해 고정부 (22)와 관부 (32)가 연결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18에 따른 밀착부재 (270)의 경우 고정부 (33, 33)가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점이 다르다.
실시예 17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270)의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270)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18에 따른 밀착부재 (270)도 실시예 17에 따른 밀착부재 (26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270)는 실시예 17에 따른 밀착부재 (26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27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19
[밀착부재 (280)의 구조]
실시예 19에 따른 밀착부재 (280)는 실시예 18에 따른 밀착부재 (270)의 변형예이다.
도 24는 실시예 19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19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18에 따른 밀착부재 (270)의 경우는 고정부 (33)가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지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연결부 (31)에 설치되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19에 따른 밀착부재 (280)의 경우는 연결부 (31)에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확장부 (34, 34)를 갖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18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280)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280)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19에 따른 밀착부재 (280)도 실시예 18에 따른 밀착부재 (27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280)은 실시예 18에 따른 밀착부재 (27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28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20
[밀착부재 (290)의 구조]
실시예 20에 따른 밀착부재 (290)는 실시예 19에 따른 밀착부재 (280)의 변형예이다.
도 25은 실시예 20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20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19에 따른 밀착부재 (280)의 경우는 본체부 (10)에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관부 (32)을 제공했다.
이에 대해 실시예 20에 따른 밀착부재 (290)의 경우, 상기 관부 (32)을 대신 판상부 (35)가 설치되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19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290)의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290)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20에 따른 밀착부재 (290)도 실시예 19에 따른 밀착부재 (28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290)는 실시예 19에 따른 밀착부재 (28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28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21
[밀착부재 (300)의 구조]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는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변형예이다.
도 26은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경우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와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를 가지고 있고, 상기 돌출부 (20)은 반원이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경우에는 돌출부 (20)를 형성하는 날개 (36)의 형상이 내부에 공간이 없는 대략 초승달 형상이고, 상기 본체부 (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점이 다르다.
여기에서 대략 초승달 모양은 곡면을 다른 곡면으로 잘라 얻어지는 형상의 것을 말하며, 바깥쪽으로 부드러운 돌출 곡선과 안쪽으로 부드러운 돌출 곡선을 포함하는 외주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 (10)에 대한 상기 돌출부 (20)의 설치 위치는 상기 본체부 (10)의 단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12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300)의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300)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도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300)는 실시예 12에 따른 밀착부재 (2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300)는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22
[밀착부재 (310)의 구조]
실시예 22에 따른 밀착부재 (310)는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변형예이다.
도 27은 실시예 22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22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경우는, 상기 본체부 (10)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22에 따른 밀착부재 (310)의 경우, 상기 본체부 (10)의 고정부 (37, 37)가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에 의해 형성되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21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310)의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310)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22에 따른 밀착부재 (310)도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310)는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31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23
[밀착부재 (320)의 구조]
실시예 23에 따른 밀착부재 (320)는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변형예이다.
도 28은 실시예 23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23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경우는, 상기 본체부 (10)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23에 따른 밀착부재 (320)의 경우, 상기 본체부 (10)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 (10)의 공간 (38)에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관 내부 (39)가 적층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또한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40)가 상기 본체부 (10)에 설치되어있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21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320)의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320)을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23에 따른 밀착부재 (320)도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320)는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32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24
[밀착부재 (330)의 구조]
실시예 24에 따른 밀착부재 (330)는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변형예이다.
도 29은 실시예 24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24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경우는 대략 초승달 형상의 날개 (36)인 상기 돌출부 (20)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하나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24에 따른 밀착부재 (330)의 경우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대략 초승달 형상의 날개 (36)로 상기 돌출부 (20)가 둘 형성되어있다 점이 다르다.
실시예 21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330)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330)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24에 따른 밀착부재 (330)도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330)는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330)는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25
[밀착부재 (340)의 구조]
실시예 25에 따른 밀착부재 (340)는 실시예 22에 따른 밀착부재 (310)의 변형예이다.
도 30은 실시예 25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25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22에 따른 밀착부재 (310)의 경우는 대략 초승달 형상의 날개 (36)인 상기 돌출부 (20)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하나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24에 따른 밀착부재 (330)의 경우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대량 초승달 형상의 날개 (36)가 둘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22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340)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340)을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25에 따른 밀착부재 (340)도 실시예 22에 따른 밀착부재 (3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340)는 실시예 22에 따른 밀착부재 (3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340)는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26
[밀착부재 (350) 구조]
실시예 26에 따른 밀착부재 (350)는 실시예 24에 따른 밀착부재 (330)의 변형예이다.
도 31은 실시예 26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26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24에 따른 밀착부재 (330)의 경우는 본체부 (10)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에서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26에 따른 밀착부재 (350)의 경우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구성된 관부 (41) 및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연결부 (43)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44, 44)를 본체부 (10)가 갖추고 있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24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350)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35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32는 실시예 26에 따른 밀착부재와 문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단면도이다.
도 32에 표시된 문 (720)은 프레임 (730)에 대하여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문 (720)이 프레임 (730)에 완전하게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문 (720)은 상기 밀착부재 (350) 돌출부 (20)를 형성하는 날개 (36)에 접촉한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350) 본체부 (10)의 고정부 (44)는 프레임 (730)의 홈부 (711) 내부에 삽입되어있다. 상기 고정부 (44)가 상기 홈부 (7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밀착부재 (350)는 프레임 (73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 (350) 돌출부 (20)를 형성하는 날개 (36)는 유연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 (720)을 프레임 (730) 방향으로 닫으면, 상기 밀착부재 (350) 날개 (36)가 변형하여 상기 문 (720)과 상기 프레임 (730)의 간격을 폐쇄할 수 있다.
실시예 26에 따른 밀착부재 (350)도 실시예 24에 따른 밀착부재 (3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350)는 실시예 24에 따른 밀착부재 (3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하는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350)는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27
[밀착부재 (360) 구조]
실시예 27에 따른 밀착부재 (360)는 실시예 26에 따른 밀착부재 (350) 변형예이다.
도 33은 실시예 27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27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26에 따른 밀착부재 (350)의 경우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구성된 관부 (41) 및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연결부 (43)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의 고정부 (44, 44)를 본체부 (10)가 제공하였다.
이에 대해 실시예 27에 따른 밀착부재 (360)의 경우는 상기 연결부 (43)에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확장부 (45, 45)를 본체부 (10)에서 제공하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26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360)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360)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27에 따른 밀착부재 (360)도 실시예 26에 따른 밀착부재 (35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360)는 실시예 26에 따른 밀착부재 (35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360)의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28
[밀착부재 (370)의 구조]
실시예 28에 따른 밀착부재 (370)는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변형예이다.
도 34은 실시예 28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28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경우는 돌출부 (20)의 형상이 내부에 공간이 없는 대략 초승달 모양의 날개 (36)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 (10)의 단부에 설치되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28에 따른 밀착부재 (370)의 경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의 중심부에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가 설치되어있는 점, 상기 돌출부 (20)가 끝으로 갈수록 앞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날개 (48)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21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370)의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370)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28에 따른 밀착부재 (370)도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370)는 실시예 21에 따른 밀착부재 (3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37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29
[밀착부재 (380)의 구조]
실시예 29에 따른 밀착부재 (380)는 실시예 28에 따른 밀착부재 (370)의 변형예이다.
도 35는 실시예 29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29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28에 따른 밀착부재 (370)의 경우는 본체부 (10)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구성된 관부 (46)와 고정부 (47)를 갖추고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29에 따른 밀착부재 (380)의 경우는 본체부 (10)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관부 (49)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28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380)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380)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29에 따른 밀착부재 (380)도 실시예 28에 따른 밀착부재 (37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380)는 실시예 28에 따른 밀착부재 (37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38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30
[밀착부재 (390)의 구조]
실시예 30에 따른 밀착부재 (390)은 실시예 28에 따른 밀착부재 (370)의 변형예이다.
도 36은 실시예 30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30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28에 따른 밀착부재 (370)의 경우는 본체부 (10)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구성된 광부 (46)와 고정부 (47)를 갖추고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30에 따른 밀착부재 (390)의 경우는 본체부 (10)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50)에 의해 형성되어있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30에 따른 밀착부재 (390)은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 소형 경량 밀착부재가 요구되는 용도에 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 28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390)의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390)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30에 따른 밀착부재 (390)도 실시예 28에 따른 밀착부재 (37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390)는 실시예 28에 따른 밀착부재 (37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390)는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31
[밀착부재 (400)의 구조]
실시예 31에 따른 밀착부재 (400)는 실시예 30에 따른 밀착부재 (390)의 변형예이다.
도 37은 실시예 31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31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30에 따른 밀착부재 (390)의 경우는 본체부 (10)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50)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 (20)가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층으로 구성된 테이퍼 형상의 날개 (48)에 의해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31에 따른 밀착부재 (400)의 경우 본체부 (10)가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51)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52)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30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400)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400)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31에 따른 밀착부재 (400)도 실시예 30에 따른 밀착부재 (39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400)는 실시예 30에 따른 밀착부재 (39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40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32
[밀착부재 (410)의 구조]
실시예 32에 따른 밀착부재 (410)은 실시예 30에 따른 밀착부재 (390)의 변형예이다.
도 38은 실시예 32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32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30에 따른 밀착부재 (390)의 경우는 본체부 (10)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50)에 의해 형성되고 돌출부 (20)가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층으로 구성된 테이퍼 형상의 날개 (48)에 의해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32에 따른 밀착부재 (410)의 경우는 본체부 (10)가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51)로 구성되며, 돌출부 (20)가 열 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구성된 테이퍼 형상의 날개 (53)와, 상기 테이퍼 형상의 날개 (53)의 외면을 덮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코팅부 (54)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30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410)의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410)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32에 따른 밀착부재 (410)도 실시예 30에 따른 밀착부재 (39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410)는 실시예 30에 따른 밀착부재 (39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41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33
가스켓 (420)의 구조
도 39는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40은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사시도이다. 또한 도 41은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 및 벽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단면도이다.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 (420)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본체부 (10)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를 가진다.
상기 본체부 (10)는 관부 (55) 및 상기 관부 (55)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있는 확장부 (57, 57) 및 (58, 58)로 구성된다. 이러한 관부 (55), 확장부 (57, 57) 및 (58, 58)은 각각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관 내부 (56)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 (20)는 만곡부 (59)가 있다. 상기 만곡부 (59)는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 (20)의 내부에는 상기 만곡부 (59) 및 관부 (55)에 의해 포위된 공간 (60)이 형성되어있다.
도 41에 표시된 외벽 (740, 740) 연결부 (741)에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 (420)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420)을 상기 연결부 (741)에 삽입하면, 상기 가스켓 (420)의 확장부 (57,57,58,58) 및 상기 돌출부 (20)가 외벽 (740, 740)에 끼워져 상기 가스켓 (420)을 상기 연결부 (741)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 (420)의 확장부 (58,58) 및 상기 돌출부 (20)는 유연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 (420)을 상기 연결부 (741)에 삽입하면, 상기 가스켓 (420)의 확장부 (57,57,58,58) 및 상기 돌출부 (20)에 의해 상기 연결부 (741)는 차단된다.
[가스켓 (420)의 제조 예]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 (420)의 제조방법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동시 공-압출에 사용하는 수지조성물의 배합을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돌출부 (20)의 성형에 실시예 1에 이용한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 염화 수지조성물을 사용하고, 상기 본체부 (10)의 성형에 실시예 1에 이용한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 염화 수지조성물 및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상기 가스켓 (420)을 제조할 수 있다. 얻어진 가스켓 (420)은 외관이 우수하다.
[가스켓 (420)의 작용]
도 41에 표시된 가스켓 (420)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을 내부에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로 구성된다.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은 화재 등의 열에 의해 팽창하므로 방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은 유연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외벽 (740, 740) 사이 연결부 (441)를 차단하여 기밀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 (420)는 기능이 다른 수지조성물 층을 2 이상 갖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가스켓 (420)에 대해 완전히 다른 여러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 41에 표시된 가스켓 (420)을 갖춘 외벽 (740, 740)이 화재 등 열에 노출된 경우,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는 팽창한다. 이러한 팽창에 의해 생성된 팽창 잔류물이 외벽 (740, 740) 사이 연결부 (741)를 차단한다.
이러한 팽창 잔류물에 의해 화재에 의해 생긴 화염, 연기 등이 외벽 (740, 740) 사이 연결부 (741)를 통해서 화재 발생하지 않는 쪽으로 침입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 (420)을 갖춘 외벽 (740, 740)의 연결부 (741)은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34
[가스켓 (430) 구조]
실시예 34에 따른 가스켓 (430)은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 (420)의 변형예이다.
도 42은 실시예 34에 따른 가스켓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34에 따른 가스켓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 (420)의 경우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본체부 (10)와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34에 따른 가스켓 (430)은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 및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돌기부 (20)를 가지고 있다.
상기 본체부 (10)는 축부 (61), 상기 축부 (61)에 직교하는 받침대 (64) 및 상기 축부 (61)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부 (20) 측에 비스듬하게 돌출되는 확장부 (62, 62) 및 (63, 63)로 구성된다. 상기 축부 (61), 받침대 (64), 확장부 (62, 62) 및 (63,63)는 각각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 (20)는 공동부 (65)가 있다. 상기 만곡부 (65)는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 (20) 내부에는 상기 만곡부 (65) 및 받침대 (64)에 의해 포위된 공간 (6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 (60)의 내부에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관 내부 (66)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33의 경우와 같이, 상기 가스켓 (430)을 삽입할 수 있는 연결부를 가지는 외벽을 사용하여 상기 연결부에 상기 가스켓 (430)을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34에 따른 가스켓 (430)도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 (4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가스켓 (430)은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 (4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 (43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35
[가스켓 (440) 구조]
실시예 35에 따른 가스켓 (440)은 실시예 34에 따른 가스켓 (430)의 변형예이다.
도 43은 실시예 35에 따른 가스켓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35에 따른 가스켓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34에 따른 가스켓 (430)의 경우는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 및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돌기부 (20)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35에 따른 가스켓 (440)은 실시예 34의 단면 T 자형의 축부 (61) 및 상기 축부 (61)에 직교하는 받침대 (64)을 대신하여 관부 (55)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관부 (55)의 내부에는 공간 (69)이 형성된다.
실시예 34의 경우와 같이, 상기 가스켓 (440)을 삽입할 수 있는 연결부를 가지는 외벽을 사용하여 상기 연결부에 상기 가스켓 (440)을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35에 따른 가스켓 (430)도 실시예 34에 따른 가스켓 (4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가스켓 (440)은 실시예 34에 따른 가스켓 (4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 (44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36
유리공사 비드 (450) 구조
도 44은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5은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사시도이다.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50)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와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를 가진다. 동시 공-압출에 사용하는 수지조성물의 배합을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돌출부 (20)는 날개 (70, 70, 70) 및 고정부 (71)로 구성된다.
[유리공사 비드 (450)의 제조 예]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50)의 제조 방법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동시 공-압출에 사용하는 수지조성물의 배합을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돌출부 (20)의 성형에 실시예 1에 이용한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 염화 수지조성물을 사용하고, 상기 본체부 (10)의 성형에 실시예 1에 이용한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상기 유리공사 비드 (450)를 제조할 수 있다. 얻을 수 유리공사 비드 (450)는 외관이 우수하다.
실시예 37
[유리공사 비드 (460)의 구조]
실시예 37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60)는 실시예 36에 따른 비드 (450) 변형예이다.
도 46은 실시예 37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37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50)의 경우, 날개 (fin) (70, 70, 70)가 상기 본체부 (10)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37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60)는 상기 본체부 (10)의 양쪽에 날개 (72, 7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날개 (72, 72)가 연결부 (7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날개 (72, 72), 연결부 (73) 및 본체부 (10)에 의해 공간 (74)이 형성되어있는 점이 다르다.
[유리공사 비드 (460)의 제조 예]
실시예 37에 따른 비드 (460)의 제조방법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동시 공-압출에 사용하는 수지조성물의 배합을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돌출부 (20)의 성형에 실시예 1에 이용한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 염화 수지조성물을 사용하고, 상기 본체부 (10)의 성형에 실시예 1에 이용한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 성형에 의해 상기 유리공사 비드 (460)를 제조할 수 있다. 얻을 수 유리공사 비드 (460)은 외관이 우수하다.
[유리공사 비드 (460)의 작용]
도 47은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50) 및 실시예 37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60)와 유리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상기 유리공사 비드 (450, 460)를 각각 프레임 (750)에 설치하여 상기 유리공사 비드 (450, 460)를 이용하여 유리 (630)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50) 돌출부 (20)를 형성하는 날개 (70, 70, 70) 및 실시예 37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60) 돌출부 (20)를 형성하는 날개 (72, 72)가 각각 유리 (630)를 접촉한다.
상기 유리공사 비드 (450) 돌기부 (20) 및 상기 유리공사 비드 (460) 돌출부 (20)가 유리를 유지하여 유리 (63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의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유리공사 비드 (450) 본체부 (10) 및 상기 유리공사 비드 (460) 본체부 (10)를 형성하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은 화재 등의 열에 의해 팽창하므로 방화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이 실시예 37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50, 460)는 기능이 다른 수지조성물 층을 2 이상 갖고 있기 때문에 각각 유리공사 비드 (450, 460)에 대해 완전히 다른 여러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유리공사 비드 (450, 460)는 각각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38
[유리공사 비드 (470)의 구조]
실시예 38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70)는 실시예 37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60)의 변형예이다.
도 48은 실시예 38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38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37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60)의 경우, 상기 본체부 (10)의 양쪽에 날개 (72, 7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날개 (72, 72)가 연결부 (73)에 의해 연결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38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70)의 경우는 연결부 (75)가 상기 본체부 (10)에 접하여 설치되어있는 점이 다르다.
상기 날개 (72, 72) 및 연결부 (73, 75)로 이루어진 돌출부 (20)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공동부 (74)가 있다.
실시예 3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레임에 실시예 38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70)을 고정하여 상기 유리공사 비드 (470)에 의해 유리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38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70)도 실시예 37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6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유리공사 비드 (470)는 실시예 37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6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리와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공사 비드 (460)는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39
[유리공사 비드 (480)의 구조]
실시예 39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80)는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50)의 변형예이다.
도 49는 실시예 39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39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50)의 경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에 직접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날개 (70, 70, 70)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39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80)의 경우, 상기 본체부 (10)가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 염화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판상부 (77)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에서 되는 판상부 (76)가 적층되어 있다. 또한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 염화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79)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연결부 (78)에 연결되어 있다.
실시예 3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레임에 실시예 39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80)를 고정하여 상기 유리공사 비드 (480)에 의해 유리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39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80)도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5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유리공사 비드 (480)는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5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리와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공사 비드 (48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40)
[유리공사 비드 (490)의 구조]
실시예 40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90)은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50)의 변형예이다.
도 50은 실시예 40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40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50)의 경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에 직접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 염화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71)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40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90)의 경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부 (10)와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 염화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79)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연결부 (7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실시예 3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레임에 실시예 40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90)를 고정하여 상기 유리공사 비드 (490)에 의해 유리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40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90)도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5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유리공사 비드 (490)는 실시예 36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5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리와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공사 비드 (490)는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41
[유리공사 비드 (500)의 구조]
실시예 41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500)는 실시예 40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90)의 변형예이다.
도 51은 실시예 41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41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40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90)의 경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의 내부 공간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실시예 41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500)의 경우, 상기 본체부 (10)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구성된 관부 (80)를 가지고 있는 점이 다르다.
또한 전기 실시예 40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90)의 경우 날개 (70, 70, 70) 대신에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 염화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판상부 (81)가 설치되어있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레임에 실시예 41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500)을 고정하여 상기 유리공사 비드 (500)에 의해 유리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41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500)도 실시예 40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9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유리공사 비드 (500)는 실시예 40에 따른 유리공사 비드 (49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리와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공사 비드 (500)는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비교예 1 및 2]
표 1에 제시된 배합에 따라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형을 시도했다. 사용된 폴리인산암모늄은 “AP422” (Clariant (Japan) K.K. 제품)이었다.
비교예 1 및 2의 두 경우 모두 압출기 스크류 및 금형에 수지조성물의 부착이 관찰되었다.
Figure pct00002
또한 표 1 ~ 표 5의 경우 팽창층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의 약어이며, 수지층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의 약어이다. 경질 PVC는 경질 폴리염화비닐의 약어이며, 가소제의 양은 0 이상 40 중량부 미만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질 PVC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의 약자이며, 가소제의 양이 40 중량부 이상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실시예 42
[유리공사 채널 (510)의 구조]
실시예 42 실시예 2의 변형예이다.
도 52는 실시예 4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실시예 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10)은 상기 돌출부 (20)가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이고, 상기 본체부 (10)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이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4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510)은 상기 돌출부 (20a)가 EPDM 수지조성물 층이고, 상기 본체부 (10a)가 EPDM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인 점이 다르다.
실시예 42에 사용할 수 있는 배합 예를 표 6에 나타낸다.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표 2의 배합에 의해, 실시예 4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510)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3
[유리공사 채널 (520) 구조]
실시예 43 실시예 2의 변형예이다.
도 53은 실시예 43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실시예 2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110)은 상기 돌출부 (20)가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이고, 상기 본체부 (10)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이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43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520)은 상기 돌출부 (20b)가 EPDM 함유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이고, 상기 본체부 (10b)가 EPDM 수지조성물 층인 점이 다르다.
실시예 43에 사용할 수 있는 배합 예를 표 6에 나타낸다.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표 2의 배합에 의해, 실시예 43에 따른 유리공사 채널 520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4
[밀착부재 (530) 구조]
실시예 44에 따른 밀착부재 (530)는 실시예 18에 따른 밀착부재 (270)의 변형예이다.
도 54은 실시예 44에 따른 밀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44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18에 따른 밀착부재 (270)의 경우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33)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 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를 가지며, 또한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10)에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연결부 (31)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 (31)에 의해 고정부 (33)와 관부 (32)가 연결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44에 따른 밀착부재 530의 경우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에 사용되는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 대신에, EPDM이 사용되는 점이 다르다.
또한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에 사용되는 연질 폴리염화비닐 대신에, EPDM이 사용되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18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 (530) 본체부 (10)를 끼울 수 있는 홈부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밀착부재 (530)을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44에 따른 밀착부재 530도 실시예 18에 따른 밀착부재 (27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밀착부재 (530)는 실시예 18에 따른 밀착부재 (27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 53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45
[가스켓 (540) 구조]
실시예 45에 따른 가스켓 (540)은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 (420)의 변형예이다.
도 55은 실시예 45에 따른 가스켓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실시예 33에 따른 밀착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 (420)의 경우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본체부 (10) 및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진 돌출부 (20)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 (10)에 포함되는 관부 (55) 및 상기 관부 (55)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있는 확장부 (57,57) 및 (58,58)은 각각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에서 형성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 관 내부 (56)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이 적층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 돌출부 (20)는 공동부 (59)를 가지고 있고, 상기 만곡부 (59)는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에서 형성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 돌출부 (20)의 내부에는 상기 만곡부 (59) 및 관부 (55)에 의해 포위된 공간 (60)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45에 따른 가스켓 (540)의 경우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에 사용되는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 대신에, EPDM이 사용되는 점이 다르다.
또한 연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층에 사용되는 연질 폴리염화비닐 대신에, EPDM이 사용되는 점이 다르다.
실시예 33의 경우와 같이, 상기 가스켓 (540)을 삽입할 수 있는 연결부를 가지는 외벽을 사용하여 상기 연결부에 상기 가스켓 (540)을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45에 따른 가스켓 (540)도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 (4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시 공-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얻어지는 상기 가스켓 (540)는 실시예 33에 따른 가스켓 (4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과 프레임을 구비한 건축부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 (540)은 외관 및 내화성이 우수하다.
산업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은 건축 재료의 내화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추가 할 수 있기 때문에 내화성이 요구되는 건축 용도, 선박 용도 등의 재료로 널리 활용할 수 있다.
Figure pct00007
1 바닥 벽
2 측벽
4 내부 바닥 벽
5 외부 바닥 벽
6 내부 측벽
7 외부 측벽
8 외부 본체부
10, 10a, 10b 본체부
14, 15, 16 경계
20, 20a, 20b 돌출부
21a 외향 핀
21b 내향 핀
21c 홈부
23, 27, 29, 32,32a, 41, 46, 49, 55, 55a, 80 관부
24, 24a, 59, 59a, 65 만곡부
25, 25a, 38, 60, 60a, 69, 74, 82 공간
22, 26, 33, 33a, 37, 40, 42, 44, 47, 50, 51, 52, 71, 79 고정부
30, 39, 56, 56a, 66 관 내부
31, 31a, 43, 73, 75, 78 연결부
34, 45, 57, 57a, 58, 58a, 62, 63 확장부
35, 76, 77, 81 판상부
36, 48, 53, 70, 72 핀
54 코팅부
61 축부
64 받침대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510, 520 유리공사 채널
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 300, 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 390, 400, 410, 530 밀착부재
420, 430, 440, 540 가스켓
450, 460, 470, 480, 490, 500 유리공사 비드
600 유리패널
601 유리패널 끝면
610 유리패널 주변부
620 새시
630 유리
700, 720 문
710, 730, 750 프레임
711 홈부
740 외벽
741 연결부

Claims (10)

  1.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면을 기준으로 단면 형상에 돌기부와 본체부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에 있어서,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이 적어도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수지조성물 층들로 구성되고,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을 형성하는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은 수지 성분 100 중량부, 열팽창성 흑연 3 ~ 300 중량부, 무기 충전재 3 ~ 200 중량부 및 가소제 20 ~ 20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이 염소 함유량이 60 ~ 72 중량 %의 범위인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EPDM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이 각각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으로부터 동시 공-압출에 의해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공-압출 방향에 대한 수직 기준면을 기준으로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단면의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과의 경계가 만곡 및 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에 포함되는 본체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지는,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에 포함되는 본체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열팽창성 수지조성물 층으로 이루어지는,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5. 제3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및 EPDM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6. 제4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층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수지조성물 및 EPDM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은 열 안정제, 윤활제, 가공 조제, 열분해 발포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안료, 가교제 및 가교 촉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팽창성 수지조성물은 열 안정제, 윤활제, 가공 조제, 열분해 발포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안료, 가교제 및 가교 촉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은 유리공사 (grazing) 채널, 밀착부재 (tight member), 가스켓 또는 유리공사 비드 (bead) 중 하나인,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은 유리공사 (grazing) 채널, 밀착부재 (tight member), 가스켓 또는 유리공사 비드 (bead) 중 하나인,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KR1020147016107A 2011-11-29 2012-11-29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KR101974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59719 2011-11-29
JPJP-P-2011-259719 2011-11-29
JPJP-P-2012-220845 2012-10-02
JP2012220845 2012-10-02
PCT/JP2012/007688 WO2013080562A1 (ja) 2011-11-29 2012-11-29 建材用熱膨張性多層パッキ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468A true KR20140105468A (ko) 2014-09-01
KR101974239B1 KR101974239B1 (ko) 2019-04-30

Family

ID=4853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107A KR101974239B1 (ko) 2011-11-29 2012-11-29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40345886A1 (ko)
EP (1) EP2787035B1 (ko)
JP (1) JP5347103B1 (ko)
KR (1) KR101974239B1 (ko)
CN (1) CN104066784B (ko)
AU (1) AU2012345254B9 (ko)
CA (1) CA2854601A1 (ko)
WO (1) WO20130805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564A (ko) * 2015-02-09 2016-08-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종재질 봉입형 필터 실 구조
KR20200142273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실링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4246B2 (en) 2010-04-08 2019-01-22 California Expanded Metal Products Company Fire-rated wall construction product
US10077550B2 (en) 2012-01-20 2018-09-18 California Expanded Metal Products Company Fire-rated joint system
US9045904B2 (en) * 2012-11-16 2015-06-02 Firestone Building Products Co., LLC Thermoplastic membranes containing expandable graphite
JP6214168B2 (ja) * 2013-02-08 2017-10-18 三協立山株式会社 開口部装置
JP6397324B2 (ja) * 2013-12-20 2018-09-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防火性を付与した建具用タイト材
US10415249B2 (en) * 2014-07-03 2019-09-17 Firestone Building Products Co., LLC EPDM roofing membranes with expandable graphite as flame retardant
JP6345039B2 (ja) * 2014-08-27 2018-06-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気密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70253716A1 (en) * 2014-08-27 2017-09-07 Sekisui Chemical Co., Ltd. Resin composition
JP2016075127A (ja) * 2014-10-09 2016-05-12 Ykk Ap株式会社 建具
JP6564178B2 (ja) * 2014-10-27 2019-08-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材用熱膨張性多層パッキン
JP2016223168A (ja) * 2015-05-29 2016-12-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材用熱膨張性多層パッキン
JP6106345B1 (ja) * 2015-08-25 2017-03-2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耐火部材
JP5992589B1 (ja) * 2015-09-04 2016-09-14 株式会社レグルス 熱膨張性塩化ビニル系樹脂製材料及び熱膨張性塩化ビニル系樹脂製材料の製造方法
WO2017069264A1 (ja) * 2015-10-23 2017-04-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防火性建具
JP6408976B2 (ja) * 2015-11-13 2018-10-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材用熱膨張性多層パッキン
WO2017099216A1 (ja) * 2015-12-10 2017-06-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グレージングチャンネル
JP2018071288A (ja) * 2016-11-02 2018-05-1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気密材
US11486150B2 (en) 2016-12-20 2022-11-01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Finishing accessory with backing strip
CN106582178A (zh) * 2016-12-30 2017-04-26 芜湖顺景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安全过滤的电气自动化除尘设备
EP3594424B1 (en) * 2017-03-06 2022-12-28 Sekisui Chemical Co., Ltd. Multicolor molded article molding material with excellent rigidity and fire resistance
CN106832685A (zh) * 2017-03-21 2017-06-13 南京南油节能科技有限公司 用于制备间隔型材的聚氯乙烯组合物及其得到的间隔型材
CN107501821B (zh) * 2017-07-20 2020-03-20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交联氯化聚氯乙烯泡沫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9094409A (ja) * 2017-11-21 2019-06-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耐火樹脂組成物及び成型体
US10753084B2 (en) 2018-03-15 2020-08-25 California Expanded Metal Products Company Fire-rated joint component and wall assembly
US11162259B2 (en) 2018-04-30 2021-11-02 California Expanded Metal Products Company Mechanically fastened firestop flute plug
JP6603758B2 (ja) * 2018-06-18 2019-11-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材用熱膨張性多層パッキン
CA3052184C (en) 2018-08-16 2022-11-29 California Expanded Metal Products Company Fire or sound blocking components and wall assemblies with fire or sound blocking components
US10914065B2 (en) 2019-01-24 2021-02-09 California Expanded Metal Products Company Wall joint or sound block component and wall assemblies
US11268274B2 (en) 2019-03-04 2022-03-08 California Expanded Metal Products Company Two-piece deflection drift angle
US11959329B2 (en) * 2019-09-22 2024-04-16 Filobe Co., Ltd. Installation structure of elastic gasket attached and installed as sealing member to glass-supporting insulation bracket in sliding window having two-side supporting frame window chassis
US11920343B2 (en) 2019-12-02 2024-03-05 Cemco, Llc Fire-rated wall joint component and related assemblies
CN112229138B (zh) * 2020-09-12 2021-10-22 西安交通大学 一种具有强密封效果的冰箱门封胶条
USD1026252S1 (en) 2020-11-12 2024-05-07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Control joint
US11885138B2 (en) 2020-11-12 2024-01-30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Control joint
US20230203807A1 (en) * 2021-12-27 2023-06-29 Cemco, Llc Fire-rated gaskets and wall assemblies
GB2621972A (en) * 2022-07-08 2024-03-06 Ram Extrusion Ltd Edge-protecting device for a door lea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7747A (ja) * 1995-12-22 1997-09-02 Sekisui Chem Co Ltd 塩素化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GB2356885A (en) * 1999-11-30 2001-06-06 Lorient Polyprod Ltd Smoke and fire seal
KR20060015305A (ko) * 2003-05-26 2006-02-16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방화성 수지 새시
KR20070116733A (ko) * 2006-06-06 2007-12-1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체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6541A (en) * 1969-03-06 1971-03-02 Rixson Inc Protective barrier for products of combustion
FR2243319A1 (en) * 1973-09-12 1975-04-04 Marantier Bernard Window or door firestop seal - has additional expanding component becoming effective at high temperatures
CA1186498A (en) * 1980-10-20 1985-05-07 Bernard Dixon Intumescent seals
DE3404221A1 (de) * 1984-02-07 1985-08-08 Lentia GmbH Chem. u. pharm. Erzeugnisse - Industriebedarf, 8000 München Verfahren zur im brandfall wirksamen abdichtung von oeffnungen in bauteilen
AT380292B (de) * 1984-05-17 1986-05-12 Atlas Blech Center Gmbh Dichtung fuer gebaeudeteile
PL177444B1 (pl) * 1995-07-10 1999-11-30 Myslowski Wlodzimierz Uszczelka pęczniejąca ognioochronna oraz sposób wytwarzania uszczelki pęczniejącej ognioochronnej
JPH1095887A (ja) 1995-12-22 1998-04-14 Sekisui Chem Co Ltd 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H11216765A (ja) * 1998-02-03 1999-08-10 Sekisui Chem Co Ltd 耐火性ゴム成形品の製造方法
JP3688508B2 (ja) * 1998-04-22 2005-08-3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耐火性多層シート
GB9810529D0 (en) * 1998-05-15 1998-07-15 P F C Surechem Limited Intumescent composition
US6207085B1 (en) * 1999-03-31 2001-03-27 The Rectorseal Corporation Heat expandable compositions
JP2001105467A (ja) * 1999-10-08 2001-04-17 Sanyo Electric Co Ltd 押出成形用の樹脂材料および押出成形品
GB2376706B (en) * 2001-06-21 2005-03-30 Lorient Polyprod Ltd Fire retardant strip
US20030024184A1 (en) * 2001-07-31 2003-02-06 Orr William H. Door frame with concealed intumescent material
SE524875C2 (sv) * 2002-07-03 2004-10-19 Daloc Futura Ab Karmstycke
US20050268559A1 (en) * 2004-05-21 2005-12-08 Ellingson Robert T Rollable door seal with integral intumescent strips
AT500875A1 (de) * 2004-07-23 2006-04-15 Intumex Gmbh Intumeszierende klippprofile für brandschutzeinrichtungen
CN101023133B (zh) * 2004-09-17 2011-11-02 东丽株式会社 树脂组合物和由其形成的成型品
US20090176045A1 (en) * 2005-12-22 2009-07-09 Jsr Corporation Molded Composite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CN1880062A (zh) * 2006-04-29 2006-12-20 厉朝岳 柔性膨胀防火材料
JP4440287B2 (ja) * 2006-08-04 2010-03-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築用配管材およびこの建築用配管材の成形方法
JP4960806B2 (ja) 2006-12-28 2012-06-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複層耐火配管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9028057A1 (ja) * 2007-08-29 2009-03-05 Sekisui Chemical Co., Ltd. 耐火配管材
CN101638501B (zh) * 2008-07-29 2011-08-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阻燃剂组合物和含有该阻燃剂组合物的热塑性弹性体
GB2472680A (en) * 2009-07-27 2011-02-16 Schlegel Systems Inc Intumescent weatherseal
JP5330295B2 (ja) * 2010-03-01 2013-10-30 帝人株式会社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EP2378048A1 (en) * 2010-04-15 2011-10-19 Norsound Limited Seal for mounting to door frame
US20120121842A1 (en) * 2010-04-27 2012-05-17 Mitsubishi Plastics, Inc. Fire-resistant piping material
JP4669573B1 (ja) * 2010-07-07 2011-04-13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防火用熱膨張性目地材
DE102010032372B4 (de) * 2010-07-27 2017-11-16 Aik Flammadur Brandschutz Gmbh Türdichtung
JP5481420B2 (ja) * 2011-03-28 2014-04-23 ビニフレーム工業株式会社 サッシ用気密材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7747A (ja) * 1995-12-22 1997-09-02 Sekisui Chem Co Ltd 塩素化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GB2356885A (en) * 1999-11-30 2001-06-06 Lorient Polyprod Ltd Smoke and fire seal
KR20060015305A (ko) * 2003-05-26 2006-02-16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방화성 수지 새시
KR20070116733A (ko) * 2006-06-06 2007-12-1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564A (ko) * 2015-02-09 2016-08-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종재질 봉입형 필터 실 구조
KR20200142273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실링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345254B9 (en) 2015-05-28
US20140345886A1 (en) 2014-11-27
AU2012345254B2 (en) 2014-11-13
CN104066784B (zh) 2016-05-04
JPWO2013080562A1 (ja) 2015-04-27
KR101974239B1 (ko) 2019-04-30
EP2787035B1 (en) 2019-01-02
WO2013080562A1 (ja) 2013-06-06
AU2012345254A1 (en) 2014-05-22
EP2787035A1 (en) 2014-10-08
JP5347103B1 (ja) 2013-11-20
EP2787035A4 (en) 2015-07-08
CN104066784A (zh) 2014-09-24
CA2854601A1 (en) 201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239B1 (ko) 건축자재용 열팽창성 다층 패킹
JP6792026B2 (ja) 熱膨張性耐火樹脂組成物
JP6947692B2 (ja) 樹脂組成物
JP5961101B2 (ja) サッシ用熱膨張性多層枠材
JP2016223168A (ja) 建材用熱膨張性多層パッキン
JP6408976B2 (ja) 建材用熱膨張性多層パッキン
JP2018071288A (ja) 気密材
WO2018212337A1 (ja) 熱膨張性樹脂組成物及び建材用多層耐火成形体
JP6564178B2 (ja) 建材用熱膨張性多層パッキン
JP6603758B2 (ja) 建材用熱膨張性多層パッ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