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192A -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192A
KR20140103192A KR1020120101145A KR20120101145A KR20140103192A KR 20140103192 A KR20140103192 A KR 20140103192A KR 1020120101145 A KR1020120101145 A KR 1020120101145A KR 20120101145 A KR20120101145 A KR 20120101145A KR 20140103192 A KR20140103192 A KR 20140103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rrier tape
cover
separating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5369B1 (ko
Inventor
키미유키 야마사키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369B1/ko
Priority to PCT/KR2013/002742 priority patent/WO2014042327A1/en
Priority to JP2015530998A priority patent/JP6270850B2/ja
Priority to CN201380047589.4A priority patent/CN104620689B/zh
Priority to US14/427,682 priority patent/US9414536B2/en
Priority to PCT/KR2013/003424 priority patent/WO2014025120A1/en
Priority to CN201380041893.8A priority patent/CN104541595B/zh
Priority to US14/419,781 priority patent/US10667450B2/en
Publication of KR2014010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65D73/02Articles, e.g. small electrical components, attached to we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61Severing delaminating means [e.g., chisel, etc.]
    • Y10T156/1967Cutting dela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는, 커버 테이프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테이프 지지부와, 커버 테이프의 제1측부를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부와, 제1 측부가 분리된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며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벤딩 가이드부와, 제1 측부가 커버 테이프의 제2 측부를 넘어 아래로 내려가도록 접히게 하는 접힘 안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Tape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hip mounter}
실시예들은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 테이프와 캐리어 테이프를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 함께 배출 처리할 수 있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품 장착 장비는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실장(surface mounting)하는 장비로서, 부품 공급기로부터 집적 회로, 다이오드, 콘덴서, 저항 등과 같은 각종 전자 부품을 공급받아 인쇄회로기판의 실장 위치까지 이동시킨 다음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부품 장착 장비는 부품을 구비한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와,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노즐들을 구비하여 테이프 공급 장치로부터 부품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하는 헤드 어셈블리와, 헤드 어셈블리를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 등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공급 장치는 전자 부품을 구비한 캐리어 테이프를 연속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캐리어 테이프의 표면에 부착된 커버 테이프를 분리시킴으로써 헤드 어셈블리가 전자 부품을 흡착할 수 있도록 전자 부품을 노출시킨다. 커버 테이프가 벗겨진 캐리어 테이프는 테이프 공급 장치의 전방으로 배출되고, 캐리어 테이프에서 분리된 커버 테이프는 테이프 공급 장치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커버 테이프를 신속히 수거하지 않으면, 매우 얇은 비닐 소재의 커버 테이프가 서로 엉키면서 정전기를 발생시키거나 테이프 공급 장치의 다른 부속품들과 간섭을 일으킴으로써 테이프 공급 장치 및 부품 장착 장비의 전체의 운행을 중지시켜야 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US2003/0230617호(2003.12.18)는 캐리어 테이프에서 분리된 커버 테이프를 분리하는 수단을 구비한 테이프 공급 장치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테이프 공급 장치에서는 커버 테이프를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캐리어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를 별도로 수거해야 한다. 따라서 분리된 커버 테이프를 계속 감거나 별도의 수거함으로 유입시켜 배출하기 위해 별도의 부속품들을 테이프 공급 장치에 설치해야 하므로, 테이프 공급 장치의 부품수가 증가함과 아울러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US2003/0230617호(2003.12.18)
실시예들의 목적은 커버 테이프와 캐리어 테이프를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 함께 배출 처리할 수 있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폭의 캐리어 테이프와 다양한 크기의 전자 부품을 효율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는 동작이 안정적이며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는, 일면에 커버 테이프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테이프 지지부와, 커버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제1측부를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부와,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커버 테이프의 제1 측부가 분리된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며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벤딩 가이드부와, 분리된 커버 테이프의 제1 측부가 커버 테이프의 분리되지 않은 제2 측부를 넘어 아래로 내려가도록 접히게 하는 접힘 안내부를 구비한다.
커버 테이프는 캐리어 테이프에 대하여 225도 이상 315도 이하의 각도의 범위로 절곡될 수있다.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는 테이프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캐리어 테이프를 결속하여 이동시키도록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에서 분리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로켓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이 테이프 지지부의 하면과 밀착되면서 이동되도록 테이프 지지부와 한 쌍의 스프로켓이 배치될 수 있다.
분리부는 한 쌍의 스프로켓과 캐리어 테이프의 접촉점에서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분리부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분리부의 두께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을 따라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벤딩 가이드부는 분리부의 상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고, 플레이트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분리부가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은 플레이트의 경사면이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보다 클 수 있다.
벤딩 가이드부는 분리부의 상측에 배치된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을 구비할 수 있고,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의 각각은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접힘 안내부는 분리부 위에 배치되는 상판과, 상판으로부터 절곡되어 캐리어 테이프의 측면을 덮도록 하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측면판을 구비할 수 있다.
벤딩 가이드부는 분리부의 상측으로부터 테이프 지지부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하는 제1 로드와, 제1 로드와 교차하도록 테이프 지지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로드를 구비할 수 있다.
접힘 안내부는, 테이프 지지부의 가장자리에서 제1 로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제1 로드에 의해 휘어진 커버 테이프의 제1 측부가 캐리어 테이프의 가장자리로 접히게 하는 도입부와, 테이프 지지부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가장자리에서 접힌 커버 테이프의 제1 측부를 덮는 측면판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로드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연장하는 제1 연장부와, 제1 연장부의 단부에서 테이프 지지부의 하측을 향해 굴곡되어 측면판을 향하도록 연장하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분리부가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은 제1 연장부가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보다 클 수 있다.
제2 연장부는 측면판의 내측에 연결될 수 있다.
벤딩 가이드부는 하측을 향해 개구된 반원의 단면을 갖도록 만곡되며 분리부로부터 테이프 지지부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할 수 있다.
접힘 안내부는, 벤딩 가이드부에 의해 휘어진 커버 테이프의 제1 측부가 테이프 지지부의 가장자리에서 캐리어 테이프의 측면으로 접히게 하는 도입부와, 테이프 지지부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측면으로 접힌 커버 테이프의 제1 측부를 덮는 측면판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는, 커버 테이프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테이프 지지부와, 커버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부를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부와,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커버 테이프의 제1 측부가 분리된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며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벤딩 가이드부와, 분리된 커버 테이프의 제1 측부가 분리되지 않은 커버 테이프의 제2 측부에서 접히게 하는 접힘 안내부와, 분리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로켓을 구비하며, 분리부는 한 쌍의 스프로켓과 캐리어 테이프의 접촉점을 통과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커버 테이프의 제1 측부는, 분리되지 않은 커버 테이프의 제2 측부를 넘어 아래로 내려가도록 180도 이상 회전하여 접힐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부품 장착 장비용 부품 공급 방법은, 커버 테이프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내부에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을 테이프 지지부의 하면과 접촉시키며 부품 장착 장비의 흡착(pick-up)위치로 공급(providing)하는 단계와, 커버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부를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separating)하는 단계와, 분리된 커버 테이프의 제1 측부를 커버 테이프의 제2 측부의 밖으로 넘어 내려오도록 절곡(bending)하는 단계와, 적어도 제1 측부가 분리된 캐리어 테이프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절곡하는 단계는, 분리된 커버 테이프의 제1 측부를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멀어지도록 1차 절곡(bending)하는 단계와, 1차 절곡된 커버 테이프의 제1 측부가 캐리어 테이프에 대해 반전되도록 2차 절곡하는 단계와, 2차 절곡된 커버 테이프의 제1 측부가 커버 테이프의 제2 측부를 넘어 아래를 향하도록 3차 절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절곡하는 단계, 2차 절곡하는 단계 및 3차 절곡하는 단계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지 않은 별도의 부재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1 측부를 분리하는 단계는,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로켓과 캐리어 테이프의 접촉점을 통과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분리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하는 단계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에서 분리부의 후방(상류)에 배치된 제1 스프로켓 및 분리부의 전방(하류)에 배치된 제2 스프로켓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부품 장착 장비용 부품 공급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로켓에 의하여 커버 테이프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내부에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부품 장착 장비의 흡착(pick-up) 위치로 공급(providing)하는 단계와, 커버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부를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커버 테이프의 제1 측부를 접어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커버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분이 분리된 캐리어 테이프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측부를 분리하는 단계는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로켓과 캐리어 테이프의 접촉점을 통과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분리부에 의하여 수행된다.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단계는, 분리된 커버 테이프의 제1 측부를 커버 테이프의 제2 측부 밖으로 넘어 내려오도록 절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은, 커버 테이프의 일부분이 캐리어 테이프의 가장자리에서 휘어져 접히는 동안 커버 테이프의 다른 일부분은 캐리어 테이프에 부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므로 전자 부품이 픽업이 된 이후에 캐리어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가 함께 테이프 공급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캐리어 테이프에 장착되는 전자 부품의 크기에 따라 캐리어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의 폭이 더 넓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는데, 상술한 실시예들에 관한 테이프 공급 장치에서는 커버 테이프가 캐리어 테이프의 측면으로 접힌 상태에서 캐리어 테이프와 함께 테이프 공급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캐리어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의 폭의 변화에 맞추어 캐리어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의 수거 장치를 다르게 설계할 필요가 없고 캐리어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의 폭이 넓은 경우에도 테이프 공급 장치의 폭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분리부가 캐리어 테이프와 제1 스프로켓의 접촉점에 대응하도록 테이프 지지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므로, 캐리어 테이프에서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에 사용되는 부품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관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테이프 공급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테이프 공급 장치에서 일부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테이프 공급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테이프 공급 장치에서 Ⅵ-Ⅵ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테이프 공급 장치에서 Ⅶ-Ⅶ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테이프 공급 장치에서 캐리어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의 작동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캐리어 테이프에서 Ⅸ-Ⅸ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캐리어 테이프에서 Ⅹ-Ⅹ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캐리어 테이프에서 ⅩⅠ-ⅩⅠ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a는 도 5의 테이프 공급 장치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에서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는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와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테이프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에 사용되는 부품릴의 사시도이다.
부품 장착 장비에 장착되는 테이프 공급 장치(tape feeder)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부품릴(8)에서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3)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부품릴(8)에는 대략 2000개 내지 5000개 정도의 전자 부품들이 수납될 수 있다. 부품릴(8)에 감기어 있는 캐리어 테이프(3)에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3a)이 형성된다. 캐리어 테이프(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각각의 수납공간(3a)에는 반도체 칩과 같은 전자 부품(5)이 수납된다. 캐리어 테이프(3)의 상부에는 커버 테이프(2)가 부착되며, 전자 부품(5)이 수납된 수납공간(3a)을 밀봉한다. 캐리어 테이프(3)의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이송공(3b)이 형성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관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의 측면도이다.
부품 장착 장비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의 테이프 공급 장치(100)의 복수 개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테이프 공급 장치(100)는 캐리어 테이프(3)를 부품 흡착 위치(A)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테이프 공급 장치(100)는 부품릴(미도시)에서 캐리어 테이프(3)를 풀어냄과 동시에, 캐리어 테이프(3)에 부착된 커버 테이프를 벗겨낸 후 커버 테이프의 벗겨진 부분을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어서 캐리어 테이프(3)와 함께 테이프 공급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한다.
부품 장착 장비의 헤드 어셈블리(7)의 흡착 노즐(7a)은 캐리어 테이프(3)에서 커버 테이프가 벗겨진 부분에 부착된 전자 부품(미도시)을 흡착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전자 부품(미도시)을 픽업하고, 픽업한 전자 부품을 부품 장착 장비의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의 소정 위치로 이송한다.
베이스 프레임(80)에는 제1 스프로켓(71)과 제2 스프로켓(7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베이스 프레임(80)의 상측에는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운동을 안내하는 테이프 지지부(10)가 설치된다. 테이프 지지부(10)는 제1 스프로켓(71)과 제2 스프로켓(72)과 접하도록 설치된다. 제1 스프로켓(71)과 제2 스프로켓(72)이 회전함에 따라 캐리어 테이프(3)는 테이프 지지부(10)와 제1 스프로켓(71)과 제2 스프로켓(72)의 사이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3은 도 2의 테이프 공급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테이프 공급 장치에서 일부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테이프 공급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는,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운동을 안내하는 테이프 지지부(10)와, 테이프 지지부(10)에 형성되어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을 분리하는 분리부(20)와,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분리된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변형하며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벤딩 가이드부(30)와, 커버 테이프(2)의 변형된 일부분이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히도록 안내하는 접힘 안내부(40)를 구비한다.
테이프 지지부(10)는 캐리어 테이프(3)가 이동하는 방향, 즉 도 3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합성 수지나 금속 판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테이프 지지부(10)는 캐리어 테이프(3)가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테이프 지지부(10)에는 캐리어 테이프(3)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을 분리하는 분리부(20)가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분리부(20)는 테이프 지지부(10)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었다. 그러나 실시예는 분리부(20)의 이와 같은 제작 방법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분리부(20)를 테이프 지지부(10)와 별도로 제작한 이후에 테이프 지지부(10)에 분리부(20)를 용접하거나 리벳이나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테이프 지지부(10)에 분리부(20)를 결합할 수도 있다.
벤딩 가이드부(30)는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멀어지며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벤딩 가이드부(30)는 분리부(20)의 상측에 배치된 제1 플레이트(31)와 제2 플레이트(32)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벤딩 가이드부(30)가 제1 플레이트(31)와 제2 플레이트(32)의 두 개의 플레이트를 구비하지만, 실시예는 플레이트의 개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플레이트의 개수를 더 늘리거나, 1개만 설치할 수도 있다.
제1 플레이트(31)와 제2 플레이트(32)의 각각은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제1 경사면(31a)과 제2 경사면(32a)을 구비한다. 제2 플레이트(32)의 제2 경사면(32a)의 경사각 θ3은 제1 플레이트(31)의 제1 경사면(31a)의 경사각 θ2 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θ3>θ2).
접힘 안내부(40)는 제2 플레이트(32)의 상면을 덮는 상판(41)과, 상판(41)에서 테이프 지지부(10)의 타측 가장자리(10a)의 측면을 덮도록 하측을 향해 연장하는 측면판(42)을 구비한다.
상판(41)은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제3 경사면(41a)을 구비한다. 제3 경사면(41a)의 경사각 θ4는 제2 플레이트(32)의 제2 경사면(32a)의 경사각 θ3 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θ4>θ3).
테이프 지지부(10)는 베이스 프레임(8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80)은 제1 스프로켓(71)과 제2 스프로켓(72)을 구비한다. 제1 스프로켓(71)과 제2 스프로켓(72)은 테이프 지지부(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캐리어 테이프(3)와 접촉하며 캐리어 테이프(3)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테이프 지지부(10)는 제1 스프로켓(71)과 제2 스프로켓(72)의 돌기부(71a, 72a)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공(11, 12)을 구비한다. 장공(11, 12)도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제1 스프로켓(71)과 제2 스프로켓(72)은 캐리어 테이프(3)의 이송공(3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L2) 상에 배치된다.
테이프 지지부(10)는 캐리어 테이프(3)에서 커버 테이프(2)가 분리된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부품 픽업용 구멍(13)을 구비한다.
분리부(20)는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에 대해 θ1의 각도의 경사를 이루도록 테이프 지지부(10)의 일측 가장자리(10b)에 배치된다. 분리부(20)는 제1 스프로켓(71)과 캐리어 테이프(3)의 접촉점(P1)에서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L1)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제1 플레이트(31)가 분리된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잘 휘어지도록 안내하기 위해 제1 플레이트(31)의 제1 경사면(31a)의 경사각 θ2는 분리부(20)의 경사각 θ1 보다 더 작게 설정될 수 있다(θ1>θ2).
테이프 지지부(10)가 베이스 프레임(80)에 결합된 상태에서 캐리어 테이프(3)가 X축 방향으로 공급되며,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벗겨지고, 캐리어 테이프(3)에서 헤드 어셈블리(7)의 흡착 노즐(7a)에 의해 전자 부품(5)의 픽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테이프 지지부(10)와 캐리어 테이프(3)의 적어도 일부분이 베이스 프레임(80)에 대해 진동할 수 있다.
테이프 지지부(10)가 캐리어 테이프(3)를 이동시키며 전자 부품(5)의 픽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테이프 지지부(10)와 캐리어 테이프(3)와 제1 스프로켓(71)의 접촉점(P1)에서 테이프 지지부(10)와 제1 스프로켓(71)의 상호간의 위치 변동이 최소화되도록 설계된다. 즉 접촉점(P1)에서 베이스 프레임(80)에 대해 테이프 지지부(10)와 제1 스프로켓(71)의 위치 변화가 최소로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부(20)가 접촉점(P1)을 통과하여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L1)을 가로지르도록 테이프 지지부(10)의 일측 가장자리(10b)에 배치되므로, 캐리어 테이프(3)가 이동하는 동안 분리부(20)가 캐리어 테이프(3)에서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을 분리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분리 동작이 발생되는 분리부(20)의 전방과 후방의 각각에서 제1 스프로켓(71)과 제2 스프로켓(72)이 캐리어 테이프(3)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며 캐리어 테이프(3)를 분리부(20)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커버 테이프(2)가 분리될 때에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테이프 공급 장치에서 Ⅵ-Ⅵ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테이프 공급 장치에서 Ⅶ-Ⅶ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캐리어 테이프(3)가 테이프 지지부(10)에 의해 안내되며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분리부(20)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3)의 상면에 부착된 커버 테이프(2)의 일부가 분리된다. 분리부(20)는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고 있어서, 커버 테이프(2)는 테이프 지지부(10)의 일측 가장자리(10b)에서부터 분리된다.
도 6에는 커버 테이프(2)가 캐리어 테이프(3)에서 분리된 부분을 분리부(2b; 제1 측부)로, 커버 테이프(2)가 캐리어 테이프(3)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을 부착부(2a; 제2 측부)로 도시하였다.
캐리어 테이프(3)에서 분리된 커버 테이프(2)의 분리부(2b)는 벤딩 가이드부(30)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멀어지며 테이프 지지부(10)의 타측 가장자리(10a)를 향하여 휘어진다. 벤딩 가이드부(30)에 의해 휘어진 커버 테이프(2)의 분리부(2b)는 접힘 안내부(40)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3)의 가장자리에서 접힌다. 즉 커버 테이프(2)가 캐리어 테이프(3)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측을 향하던 커버 테이프(2)의 분리부(2b)의 일면(2b-1)이 부착부(2a)를 넘어 아래로 내려가 캐리어 테이프(3)의 가장자리의 측면(3d)을 향하도록, 커버 테이프(2)가 접힘 안내부(40)에 의해 접힌다.
커버 테이프(2)의 분리부(2b)의 일부분이 접히는 동안 커버 테이프(2)의 부착부(2a)는 캐리어 테이프(3)에 부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며, 캐리어 테이프(3)에서 분리되기 전에 캐리어 테이프(3)에 부착되어 있었던 커버 테이프(2)의 분리부(2b)의 타면(2b-2)은 접힘 안내부(40)의 측면판(42)을 향한다. 접힌 커버 테이프(2)는 측면판(42)에 의해 측면판(42)의 내부로 유도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캐리어 테이프(3)에서 분리된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테이프 공급 장치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테이프(2)가 분리된 후 일정 시간 동안에는 일부 부품이 정전기 현상에 의해 벤딩 가이드부(30)에 의해 휘어지는 커버 테이프(2)에 붙은 상태로 커버 테이프(2)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도 커버 테이프(2)에 붙어 이동하는 부품이 커버 테이프(2)가 접히는 측면으로 낙하하므로 캐리어 테이프(3)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8은 도 5의 테이프 공급 장치에서 캐리어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의 작동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캐리어 테이프에서 Ⅸ-Ⅸ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캐리어 테이프에서 Ⅹ-Ⅹ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8의 캐리어 테이프에서 ⅩⅠ-ⅩⅠ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전의 도면에 도시되었던 일부 구성 요소들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캐리어 테이프(3)가 X축 방향으로 공급되는 경로의 중간에 배치된 분리부(20)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분리된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캐리어 테이프(3)가 분리부(20)에 도달하면, 캐리어 테이프(3)의 표면의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분리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캐리어 테이프(3)에서 분리된 커버 테이프(2)의 분리부(2b)는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멀어지도록 휘어진다. 커버 테이프(2)는 캐리어 테이프(3)에 대하여 225도 이상 315도 이하의 각도의 범위로 절곡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커버 테이프(2)의 분리부(2b)가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힌다. 도 10 내지 도 11에서 커버 테이프(2)의 분리부(2b)가 휘어져 접히는 동안 커버 테이프(2)의 부착부(2a)는 캐리어 테이프(3)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므로,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전자 부품이 픽업이 된 이후에는 캐리어 테이프(3)와 커버 테이프(2)가 함께 테이프 공급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캐리어 테이프(3)에 장착되는 전자 부품의 크기에 따라 캐리어 테이프(3)와 커버 테이프(2)의 폭이 더 넓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테이프 공급 장치에서는 커버 테이프(2)의 부착부(2a)가 캐리어 테이프(3)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커버 테이프(2)의 분리부(2b)가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힌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캐리어 테이프(3)와 커버 테이프(2)의 폭이 넓은 경우에도 테이프 공급 장치의 폭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부품 장착 장비에 복수의 테이프 공급 장치가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테이프 공급 장치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부품 장착 장비의 단위 면적당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2a는 도 5의 테이프 공급 장치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에서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는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와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캐리어 테이프(3)가 분리부(20)를 통과하는 동안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분리되어 분리부(2b)가 되고, 커버 테이프(2)의 나머지 부분은 캐리어 테이프(3)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부착부(2a)가 된다.
분리부(20)는 두께 방향에서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룬다. 즉 분리부(20)의 두께는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점점 두꺼워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분리부(20)는 캐리어 테이프(3)를 향하는 전방 단부에 경사면(20a)을 구비한다.
커버 테이프(2)가 캐리어 테이프(3)에서 원활하게 분리되기 위해서는 분리부(20)의 전방 단부의 경사면(20a)이 캐리어 테이프(3)의 표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B)가 커버 테이프(2)가 분리부(20)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박리되면서 캐리어 테이프(3)의 표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A) 보다 크게 설정되어야 한다(B>A).
만일, 커버 테이프(2)가 분리부(20)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박리되면서 캐리어 테이프(3)의 표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A)가 분리부(20)의 전단의 경사면(20a)이 캐리어 테이프(3)의 표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B)보다 크면(A>B), 커버 테이프(2)의 박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서 T는 분리부(20)의 두께를 나타낸다.
커버 테이프(2)가 캐리어 테이프(3)에 부착될 때 커버 테이프(2)와 캐리어 테이프(3)의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위치와 양이 불규칙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테이프(2)를 캐리어 테이프(3)에서 원활하게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리부(20)의 폭(W/2)은 커버 테이프(2)의 폭(W)의 대략 절반의 수준이 되어야 한다.
커버 테이프(2)가 캐리어 테이프(3)에서 분리되는 동안 캐리어 테이프(3)의 가장자리에 커버 테이프(2)의 부착부(2a)가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부착부(2a)가 캐리어 테이프(3)에서 박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커버 테이프(2)가 분리부(20)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3)에서 박리되는 각도(C)가 부착부(2a)를 분리시키게 될 각도 보다 작도록 분리부(20)의 두께(T)를 설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테이프 공급 장치에 의하면 캐리어 테이프(3)와 제1 스프로켓(71)의 접촉점(P1)을 지나는 직선상에 배치된 분리부(20)에 의해 커버 테이프(2)가 분리되므로, 커버 테이프(2)의 분리 동작이 정밀하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만이 캐리어 테이프(3)에서 분리된 이후에, 분리된 부분이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힌 상태에서 캐리어 테이프(3)와 커버 테이프(2)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며 테이프 공급 장치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테이프 공급 장치에서 커버 테이프(2)를 수거하기 위한 기구적인 요소들을 생략할 수 있어서 테이프 공급 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는,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운동을 안내하는 테이프 지지부(210)와, 테이프 지지부(210)에 형성되어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을 분리하는 분리부(220)와,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분리된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변형하며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벤딩 가이드부(230, 233)와, 커버 테이프(2)의 변형된 일부분이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히도록 안내하는 접힘 안내부(240)를 구비한다.
테이프 지지부(210)는 제1 스프로켓(미도시)과 제2 스프로켓(미도시)의 돌기부(미도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X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장공(211, 212)을 구비한다. 또한 테이프 지지부(210)는 캐리어 테이프(3)에서 커버 테이프(2)가 분리된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부품 픽업용 구멍(213)을 구비한다.
분리부(220)는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에 대해 θ8의 각도의 경사를 이루도록 테이프 지지부(210)의 일측 가장자리(210b)에 형성된다. 분리부(220)는 제1 스프로켓(미도시)과 캐리어 테이프(3)의 접촉점(P1)에서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L1)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벤딩 가이드부(230, 233)는 분리부(220)의 상측으로부터 테이프 지지부(210)의 측면을 향하여 연장하는 제1 로드(230)와, 제1 로드(230)를 교차하도록 테이프 지지부(210)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제2 로드(233)를 구비한다.
접힘 안내부(240)는 테이프 지지부(210)의 타측 가장자리(210a)에서 제1 로드(230)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제1 로드(230)에 의해 휘어진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히게 하는 도입부(241)와, 테이프 지지부(210)의 타측 가장자리(210a)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하여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힌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을 덮는 측면판(242)을 구비한다.
제1 로드(230)는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각 θ7로 경사를 이루며 연장하는 제1 연장부(231)와, 제1 연장부(231)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굴곡되며 측면판(242)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제2 연장부(232)를 구비한다.
제1 로드(230)의 제1 연장부(231)는 분리부(220)에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간격(Tc)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분리부(220)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3)에서 분리된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은 제1 연장부(231)에 의해 안내되며 테이프 지지부(310)의 타측 가장자리(210a)를 향하여 휘어진다.
제2 연장부(232)는 측면판(242)의 내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장부(232)의 단부가 측면판(242)의 내측에 용접되거나 접착제로 고정되거나 별도의 고정 수단에 의해 측면판(242)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로드(230)의 제2 연장부(232)가 측면판(24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1 연장부(231)가 분리부(220)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Tc)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커버 테이프(2)가 휘어지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1 연장부(231)에 의해 휘어진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은 제2 로드(233)와 제2 연장부(232)의 교차점에서 제2 연장부(232)에 의해 더 휘어짐으로써, 캐리어 테이프(3)의 가장자리의 측면을 덮도록 접힌다.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은 캐리어 테이프(3)의 가장자리의 측면을 덮도록 접힌 상태로 제2 연장부(232)에 의해 안내되며 측면판(242)과 테이프 지지부(210)의 사이로 이동한다.
제1 연장부(231)가 분리된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잘 휘어지도록 안내하기 위해 제1 연장부(231)의 경사각 θ7은 분리부(220)의 경사각 θ8 보다 더 작게 설정될 수 있다(θ8>θ7).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테이프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는,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운동을 안내하는 테이프 지지부(310)와, 테이프 지지부(310)에 형성되어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을 분리하는 분리부(320)와, 캐리어 테이프(3)로부터 분리된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변형하며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벤딩 가이드부(330)와, 커버 테이프(2)의 변형된 일부분이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히도록 안내하는 접힘 안내부(340)를 구비한다.
테이프 지지부(310)는 제1 스프로켓(미도시)과 제2 스프로켓(미도시)의 돌기부(미도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X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장공(311, 312)을 구비한다. 또한 테이프 지지부(310)는 캐리어 테이프(3)에서 커버 테이프(2)가 분리된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부품 픽업용 구멍(313)을 구비한다.
분리부(320)는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에 대해 θ9의 각도의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분리부(320)는 제1 스프로켓(미도시)과 캐리어 테이프(3)의 접촉점(P1)에서 캐리어 테이프(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L1)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벤딩 가이드부(330)는 하측을 향해 개구된 반원의 단면을 갖도록 만곡되며 분리부(320)로부터 테이프 지지부(310)의 타측 가장자리(310a)를 향하여 연장한다. 벤딩 가이드부(330)는 테이프 지지부(310)의 상면에 부착되는 베이스(333)와, 베이스(333)에서 상측을 향해 만곡되어 테이프 지지부(310)의 일측 가장자리(310b)에 배치된 분리부(320)에 의해 분리된 커버 테이프(2)를 테이프 지지부(310)의 타측 가장자리(310a)를 향해 휘어지게 하는 벤딩부(331)와, 벤딩부(331)에 의해 휘어진 커버 테이프(2)를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안내하는 안내부(332)를 구비한다.
벤딩부(331)에 의해 휘어져 안내부(332)를 통과한 커버 테이프(2)는 접힘 안내부(340)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힌다.
접힘 안내부(340)는, 테이프 지지부(310)의 가장자리에서 벤딩 가이드부(330)에 의해 휘어진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이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히게 하는 도입부(341)와, 테이프 지지부(310)의 타측 가장자리(310a)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하여 캐리어 테이프(3)의 측면으로 접힌 커버 테이프(2)의 일부분을 덮는 측면판(342)을 구비한다.
2b-2: 타면 30, 330: 벤딩 가이드부
2b-1: 일면 31: 제1 플레이트
2a: 부착부 31a: 제1 경사면
2b: 분리부 32: 제2 플레이트
2: 커버 테이프 32a: 제2 경사면
3d: 측면 40, 240, 340: 접힘 안내부
3a: 수납공간 41: 상판
3b: 이송공 41a: 제3 경사면
3: 캐리어 테이프 42, 242, 342: 측면판
5: 전자 부품 71: 제1 스프로켓
7: 헤드 어셈블리 72: 제2 스프로켓
7a: 흡착 노즐 80: 베이스 프레임
8: 부품릴 100: 테이프 공급 장치
10b, 210b, 310b: 일측 가장자리 71a, 72a: 돌기부
10a, 210a, 310a: 타측 가장자리 230: 제1 로드
10. 210, 310: 테이프 지지부 231: 제1 연장부
13, 213, 313: 부품 픽업용 구멍 232: 제2 연장부
20a: 경사면 233: 제2 로드
20, 220, 320: 분리부 241, 341: 도입부
11, 12, 211, 212, 311, 312: 장공 331: 벤딩부
332: 안내부 333: 베이스

Claims (30)

  1. 일면에 커버 테이프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테이프 지지부;
    상기 커버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제1측부를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1 측부가 분리된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며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벤딩 가이드부; 및
    분리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1 측부가 상기 커버 테이프의 분리되지 않은 제2 측부를 넘어 아래로 내려가도록 접히게 하는 접힘 안내부;를 구비하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테이프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대하여 225도 이상 315도 이하의 각도의 범위로 절곡되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결속하여 이동시키도록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에서 상기 분리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로켓을 더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기 상면이 상기 테이프 지지부의 하면과 밀착되면서 이동되도록 상기 테이프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스프로켓이 배치되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한 쌍의 스프로켓과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접촉점에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의 두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을 따라 두꺼워지도록 형성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가이드부는 상기 분리부의 상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가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경사면이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보다 큰,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가이드부는 상기 분리부의 상측에 배치된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을 구비하고,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들의 각각은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안내부는 상기 분리부 위에 배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측면을 덮도록 하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측면판을 구비하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가이드부는 상기 분리부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테이프 지지부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하는 제1 로드와, 상기 제1 로드와 교차하도록 상기 테이프 지지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로드를 구비하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안내부는, 상기 테이프 지지부의 상기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 로드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로드에 의해 휘어진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1 측부가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기 가장자리로 접히게 하는 도입부와, 상기 테이프 지지부의 상기 가장자리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기 가장자리에서 접힌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1 측부를 덮는 측면판을 구비하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연장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테이프 지지부의 하측을 향해 굴곡되어 상기 측면판을 향하도록 연장하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하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가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보다 큰,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측면판의 내측에 연결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가이드부는 하측을 향해 개구된 반원의 단면을 갖도록 만곡되며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테이프 지지부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하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안내부는, 상기 벤딩 가이드부에 의해 휘어진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1 측부가 상기 테이프 지지부의 상기 가장자리에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측면으로 접히게 하는 도입부와, 상기 테이프 지지부의 상기 가장자리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측면으로 접힌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1 측부를 덮는 측면판을 구비하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18. 커버 테이프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테이프 지지부;
    상기 커버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부를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1 측부가 분리된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며 휘어지도록 안내하는 벤딩 가이드부;
    분리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1 측부가 분리되지 않은 상기 커버 테이프의 제2 측부에서 접히게 하는 접힘 안내부; 및
    상기 분리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로켓;을 구비하며,
    상기 분리부는 상기 한 쌍의 스프로켓과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접촉점을 통과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1 측부는, 분리되지 않은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2 측부를 넘어 아래로 내려가도록 180도 이상 회전하여 접히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의 두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을 따라 두꺼워지도록 형성된,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가이드부는 상기 분리부의 상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안내부는 상기 분리부 위에 배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측면을 덮도록 하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측면판을 구비하는,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24. 커버 테이프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내부에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을 테이프 지지부의 하면과 접촉시키며 부품 장착 장비의 흡착(pick-up)위치로 공급(providing)하는 단계;
    상기 커버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부를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separating)하는 단계;
    분리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1 측부를 상기 커버 테이프의 제2 측부의 밖으로 넘어 내려오도록 절곡(bending)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제1 측부가 분리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품 장착 장비용 부품 공급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하는 단계는, 분리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1 측부를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멀어지도록 1차 절곡(bending)하는 단계;
    1차 절곡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1 측부가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대해 반전되도록 2차 절곡하는 단계; 및
    2차 절곡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1 측부가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2 측부를 넘어 아래를 향하도록 3차 절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품 장착 장비용 부품 공급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절곡하는 단계, 상기 2차 절곡하는 단계 및 상기 3차 절곡하는 단계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지 않은 별도의 부재에 의하여 수행되는 부품 장착 장비용 부품 공급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를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로켓과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접촉점을 통과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분리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부품 장착 장비용 부품 공급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에서 상기 분리부의 후방(상류)에 배치된 제1 스프로켓 및 상기 분리부의 전방(하류)에 배치된 제2 스프로켓에 의하여 실행되는, 부품 장착 장비용 부품 공급 방법.
  29. 적어도 하나의 스프로켓에 의하여, 커버 테이프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내부에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부품 장착 장비의 흡착(pick-up) 위치로 공급(providing)하는 단계;
    상기 커버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부를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1 측부를 접어 상기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커버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분이 분리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부를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프로켓과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접촉점을 통과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분리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부품 장착 장비용 부품 공급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단계는,
    분리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상기 제1 측부를 상기 커버 테이프의 제2 측부 밖으로 넘어 내려오도록 절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품 장착 장비용 부품 공급 방법.
KR1020120101145A 2012-08-06 2012-09-12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 KR102025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145A KR102025369B1 (ko) 2012-09-12 2012-09-12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
PCT/KR2013/002742 WO2014042327A1 (en) 2012-09-12 2013-04-03 Tape feeder and tape feeding method for chip mounter
JP2015530998A JP6270850B2 (ja) 2012-09-12 2013-04-03 部品装着装備用テープ供給装置及びそのテープ供給方法
CN201380047589.4A CN104620689B (zh) 2012-09-12 2013-04-03 用于贴片机的带送进器和带送进方法
US14/427,682 US9414536B2 (en) 2012-09-12 2013-04-03 Tape feeder and tape feeding method for chip mounter
PCT/KR2013/003424 WO2014025120A1 (en) 2012-08-06 2013-04-23 Carrier tape feeding device, chip mounting system, and chip mounting method
CN201380041893.8A CN104541595B (zh) 2012-08-06 2013-04-23 载带送进装置、芯片安装系统以及芯片安装方法
US14/419,781 US10667450B2 (en) 2012-08-06 2013-04-23 Carrier tape feeding device, chip mounting system, and chip moun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145A KR102025369B1 (ko) 2012-09-12 2012-09-12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192A true KR20140103192A (ko) 2014-08-26
KR102025369B1 KR102025369B1 (ko) 2019-09-25

Family

ID=5027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145A KR102025369B1 (ko) 2012-08-06 2012-09-12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14536B2 (ko)
JP (1) JP6270850B2 (ko)
KR (1) KR102025369B1 (ko)
CN (1) CN104620689B (ko)
WO (1) WO20140423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2399B2 (en) * 2013-08-26 2017-10-31 Fuji Machine Mfg. Co., Ltd. Feeder
JP6194017B2 (ja) * 2013-12-26 2017-09-06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フィーダ
CN105307414B (zh) * 2014-07-28 2018-03-27 上海儒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贴片机的供料装置
EP3270675B1 (en) * 2015-03-09 2019-05-08 FUJI Corporation Feeder
JP6663915B2 (ja) * 2015-06-02 2020-03-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表面実装機、及び部品の供給方法
JP6514328B2 (ja) * 2015-06-18 2019-05-15 株式会社Fuji フィーダ
DE112015006996B4 (de) * 2015-10-01 2023-12-21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Bandverarbeitungsverfahren und Bandreparaturelement
JP6492289B2 (ja) * 2015-10-14 2019-04-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装着装置
JP6785403B2 (ja) * 2016-01-26 2020-1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及び部品実装装置
US10015919B2 (en) * 2016-02-26 2018-07-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mponent supply device
US10667447B2 (en) * 2016-03-30 2020-05-26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Components feeder
US10716248B2 (en) * 2016-10-14 2020-07-14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Component supply device
DE112017007808T5 (de) 2017-08-01 2020-06-10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Verarbeitungsverfahren für ein vorderes Ende eines Bands, Vorrichtung zur Verarbeitung eines vorderen Endes eines Bands und Verarbeitungsvorrichtung für ein vorderes Ende eines Bands
DE102020100614B4 (de) * 2020-01-14 2021-10-07 Asm Assembly Systems Gmbh & Co. Kg Bauteilkassette mit passivem Bauteilausgabeantrieb, Annahmevorrichtung und System aus Bauteilkassette und Annahmevorrichtung
JP2021002685A (ja) * 2020-10-06 2021-01-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及び部品実装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6089A (ja) * 1997-07-24 1999-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および実装装置
US20030230617A1 (en) 2002-06-18 2003-12-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ape feeder
JP2011211169A (ja) * 2010-03-30 2011-10-20 Sts Kk キャリアテープの供給装置
JP2012009579A (ja) * 2010-06-24 2012-01-12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部品装着装置、及び部品供給装置
JP2012164866A (ja) * 2011-02-08 2012-08-30 Panasonic Corp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テープ装着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2948B2 (ja) * 1986-10-30 1997-10-15 ニツト− システム テクノロジ− インコ−ポレ−テツド チップテープのトップテープ除去装置
JPH0691343B2 (ja) 1987-01-20 1994-1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装置
JPH11261293A (ja) 1998-03-10 1999-09-24 Ohm Denki Kk 電子部品供給装置
US7220095B2 (en) * 2001-05-24 2007-05-22 Lyndaker David W Self-threading component tape feeder
ATE360980T1 (de) * 2003-11-07 2007-05-15 Mydata Automation Ab Ein verfahren und eine anlage zur aussetzung elektronischer bauteilen
JP4596963B2 (ja) * 2005-04-14 2010-12-15 Juki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JP2007280979A (ja) 2006-04-03 2007-10-25 Urawa Denken Kk カバーテープ剥離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テープフィーダー
JP4820728B2 (ja) 2006-10-03 2011-11-2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並びに表面実装機
JP4321610B2 (ja) * 2007-03-09 2009-08-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KR20110087114A (ko) * 2010-01-25 2011-08-02 미래산업 주식회사 테이프피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6089A (ja) * 1997-07-24 1999-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および実装装置
US20030230617A1 (en) 2002-06-18 2003-12-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ape feeder
JP2011211169A (ja) * 2010-03-30 2011-10-20 Sts Kk キャリアテープの供給装置
JP2012009579A (ja) * 2010-06-24 2012-01-12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部品装着装置、及び部品供給装置
JP2012164866A (ja) * 2011-02-08 2012-08-30 Panasonic Corp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テープ装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70850B2 (ja) 2018-01-31
CN104620689B (zh) 2017-11-21
JP2015531541A (ja) 2015-11-02
US9414536B2 (en) 2016-08-09
US20150351294A1 (en) 2015-12-03
WO2014042327A1 (en) 2014-03-20
KR102025369B1 (ko) 2019-09-25
CN104620689A (zh)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3192A (ko)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
US7784660B2 (en) Tape feeder
EP3041334B1 (en) Feeder
CN107135642B (zh) 部件供给装置
EP3041332B1 (en) Feeder
US9345186B2 (en) Electronic component carrier tape feed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carrier tape feeding method
JP6569082B2 (ja) 部品供給装置
KR101823926B1 (ko)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KR101020561B1 (ko)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JP2009188235A (ja) テープフィーダ
JP5375875B2 (ja) テープフィーダ
KR101133789B1 (ko)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자동공급장치의 테이프 가이드
JP4331561B2 (ja) 部品供給装置
JP6546542B2 (ja) テープフィーダー、部品実装機
JP6467642B2 (ja) スプライシング方法
KR100987883B1 (ko) 캐리어 테이프 공급용 커버 테이프 분리장치
KR20240007098A (ko)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KR101499616B1 (ko) 테이프 접착 장치
JP6883737B2 (ja) 部品供給装置
JP6467641B2 (ja) 部品供給装置
JP6999698B2 (ja) テープフィーダ
KR20120033221A (ko)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JP2017152589A (ja) 部品供給装置
JPWO2020161868A1 (ja) テープフィーダ
KR20120025032A (ko) 테이프 피더 및 이를 구비하는 부품 실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