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02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023A
KR20140102023A KR1020130015397A KR20130015397A KR20140102023A KR 20140102023 A KR20140102023 A KR 20140102023A KR 1020130015397 A KR1020130015397 A KR 1020130015397A KR 20130015397 A KR20130015397 A KR 20130015397A KR 20140102023 A KR20140102023 A KR 20140102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s
driving unit
data
lin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0789B1 (ko
Inventor
김소운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5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789B1/ko
Priority to EP13195964.5A priority patent/EP2767868A1/en
Priority to US14/152,746 priority patent/US9564091B2/en
Priority to CN201410048950.1A priority patent/CN103984134B/zh
Priority to JP2014025075A priority patent/JP2014153720A/ja
Publication of KR20140102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 그리고 상기 기판의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과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연결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연결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선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사선부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방향 변환부를 서로 연결한 선은 곡선 형태를 가진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를 이루는 표시판 중,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표시판은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표시 장치 등에서 각 화소를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으로써 사용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은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주사 신호 배선 또는 게이트 배선과 화상 신호를 전달하는 화상 신호선 또는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 게이트 배선을 덮어 절연하는 게이트 절연층 및 박막 트랜지스터와 데이터 배선을 덮어 절연하는 층간 절연층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 배선은 표시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인가 받는다. 이 때,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데이터 배선과 표시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을 형성한다. 이 때, 각 구동부 연결선을 각 데이터 배선에 연결하기 위하여, 구동부 연결선은 그 뻗은 방향이 변화되는 방향 변환부가 형성된다.
한편, 표시 장치에 배향막 등의 물질층을 형성할 때, 스핀 코팅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의 방향 변환부를 따라, 스핀 코팅의 방법으로 적층되는 물질층의 두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표시 장치의 표시판 위에 적층되는 물질층의 두께 차이로 인하여,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의 방향 변환부에서의 법선 방향을 따라, 표시 영역에서 얼룩이 시인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의 방향 변환부에서의 법선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표시 영역의 얼룩 등의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 그리고 상기 기판의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과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연결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연결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선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사선부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방향 변환부를 법선 방향으로 서로 연결한 선은 곡선 형태를 가진다.
상기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제2 연결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제1 부분과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부분과 상기 복수의 제2 부분은 교대로 하나씩 배치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뻗을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부분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뻗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중심으로 상기 표시 영역을 향해 왼쪽 아래를 향해 뻗은 사선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구동부 연결선과 상기 표시 영역을 향해 오른쪽 아래를 향해 뻗은 사선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구동부 연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구동부 연결선 중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기준으로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 제3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방향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기준으로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제4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방향 변환부를 이은 기준 직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방향 변환부를 가지는 제5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사선부에서 상기 기준 직선까지의 최대 간격에 대한 최소 간격의 비율은 약 20%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구동부 연결선 중에서, 상기 기준 직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방향 변환부를 가지는 상기 제5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사선부에서 상기 기준 직선까지의 최대 간격에 대한 최소 간격의 비율은 약 24%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구동부 연결선 중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기준으로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 제6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방향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기준으로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제7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방향 변환부를 이은 기준 직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방향 변환부를 가지는 제8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사선부에서 상기 기준 직선까지의 최대 간격에 대한 최소 간격의 비율은 약 20%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구동부 연결선 중에서, 상기 기준 직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방향 변환부를 가지는 상기 제8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사선부에서 상기 기준 직선까지의 최대 간격에 대한 최소 간격의 비율은 약 24%이상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전기장 생성 전극, 그리고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기장 생성 전극과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제2 전기장 생성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의 데이터 배선과 데이터 구동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의 방향 변환부들을 일직선으로 위치하지 않도록 형성하여,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의 방향 변환부에서의 법선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표시 영역의 얼룩 등의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부 연결선의 방향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배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배치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그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은 복수의 게이트선(GL), 복수의 데이터선(DL), 복수의 트랜지스터(T), 그리고 트랜지스터(T)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 전극(PX)을 포함한다.
주변 영역(PA)에는 복수의 데이터 패드부(DLP), 데이터 구동부(DP), 복수의 데이터 패드부(DLP)와 데이터 구동부(DP)를 연결하는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PO)을 포함한다.
데이터 패드부(DLP)는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선(DL)의 한쪽 끝이다. 데이터 패드부(DLP)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부 연결선(PO)은 데이터선(DL) 및 데이터 패드부(DLP)와 유사하게, 데이터선(DL) 및 데이터 패드부(DLP)이 형성되는 기판 위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고, 필름 형태로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데이터 패드부(DLP)와 연결될 수도 있다. 데이터 구동부(DP) 역시 데이터선(DL) 및 데이터 패드부(DLP)와 유사하게, 데이터선(DL) 및 데이터 패드부(DLP)이 형성되는 기판 위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고, 필름 형태 또는 칩 형태로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구동부 연결선(PO)과 연결될 수도 있다.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PO)은 데이터 패드부(DLP)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부와 데이터 구동부(DP)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 그리고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사선부(O)를 포함한다.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PO) 각각의 제2 연결부와 사선부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방향 변환부(P)를 법선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면 곡선(R1, R2) 형태가 된다.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PO) 중 일부(PO(n), PO(n+1), PO(n+2))의 사선부는 제2 연결부로부터 제1 연결부를 향하여 데이터 구동부(DP)를 기준으로 왼쪽 아래를 향해 뻗어 있고,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PO) 중 나머지 일부는 제2 연결부로부터 제1 연결부를 향하여 오른쪽 아래를 향해 뻗어 있다.
제2 연결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제1 부분과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하나씩 교대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는 게이트선과 평행한 제1 방향(X)으로 뻗는 복수의 제1 부분과 데이터선과 평행한 제2 방향(Y)으로 뻗는 복수의 제2 부분을 가지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연결되어 있다.
그러면,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층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고하면,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진 절연 기판(110) 위에 게이트 전극(124)을 포함하는 게이트선(GL)이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선(121)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며 주로 제1 방향(X)으로 뻗어 있다. 각 게이트선(121)은 게이트선(121)으로부터 돌출한 복수의 게이트 전극(124)과 다른 층 또는 외부 구동 회로와의 접속을 위하여 면적이 넓은 끝 부분(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게이트선(121) 위에는 질화규소(SiNx) 또는 산화규소(SiOx) 따위로 만들어진 게이트 절연막(140)이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반도체(154), 저항성 접촉 부재(ohmic contact)(163, 165), 소스 전극(173)을 포함하는 데이터선(171) 및 드레인 전극(175)이 위치한다. 반도체(154)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도체(154)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경우, 저항성 접촉 부재(163, 165)는 생략된다.
데이터선(171)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주로 제2 방향(Y)으로 뻗어 게이트선(121)과 교차한다. 데이터선(171)은 게이트 전극(124)을 향해 뻗은 소스 전극(source electrode)(173)을 포함한다. 드레인 전극(175)은 데이터선(171)과 분리되어 있으며 게이트 전극(124)을 중심으로 소스 전극(173)과 마주한다.
하나의 게이트 전극(124), 하나의 소스 전극(173) 및 하나의 드레인 전극(175)은 반도체(154)와 함께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이루며,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channel)은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의 반도체(154)에 배치된다.
반도체(154)는 데이터선(171), 드레인 전극(175) 및 그 아래의 저항성 접촉 부재(163, 16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모양이다. 그러나, 반도체(154)에는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를 비롯하여 데이터선(DL) 및 드레인 전극(175)으로 가리지 않고 노출된 부분이 있다. 데이터선(171),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하부막(171p, 173p, 175p)과 상부막(171q, 173q, 175q)의 이중막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데이터선(171),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단일막 또는 삼중막 이상의 다층막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데이터선(171) 아래에는 선형 반도체층(151) 및 선형 저항성 접촉 부재(161)가 배치되어 있고, 선형 반도체층(151) 및 선형 저항성 접촉 부재(161)는 데이터선(DL)과 동일한 평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반도체(154)는 선형 반도체층(151)으로부터 뻗어 나와 있고, 저항성 접촉 부재(163)는 선형 저항성 접촉 부재(161)로부터 뻗어 나와 있다.
드레인 전극(175)의 일부, 그리고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전기장 생성 전극(E1)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전기장 생성 전극(E1)은 ITO 또는 IZO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이나 알루미늄, 은, 크롬 또는 그 합금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데이터선(171), 드레인 전극(175), 노출된 반도체(154), 그리고 제1 전기장 생성 전극(E1) 위에는 보호막(passivation layer)(180)이 배치되어 있다.
보호막(180)은 무기 절연물 또는 유기 절연물 따위로 만들어지며 표면이 평탄할 수 있다. 무기 절연물의 예로는 질화규소와 산화규소를 들 수 있다. 유기 절연물은 감광성(photosensitivity)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유전 상수(dielectric constant)는 약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보호막(180)은 유기막의 우수한 절연 특성을 살리면서도 노출된 반도체(154) 부분에 해가 가지 않도록 하부 무기막과 상부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막(180)의 일부분 위에는 제2 전기장 생성 전극(E2)이 배치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은 절연 기판(110) 위에 위치되어,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하는 제1 전기장 생성 전극(E1)과 제2 전기장 생성 전극(E2)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제1 전기장 생성 전극(E1)과 제2 전기장 생성 전극(E2) 중 어느 하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이 아니라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과 마주하는 표시판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러면,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표시 영역(DA)의 데이터선의 끝 부분인 복수의 데이터 패드부는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PO(L), PO(R))의 제1 연결부(S1, S11)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연결부(S1, S11)는 사선부(O1, O2)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선부(O1, O2)는 제2 연결부(S2, S22)와 연결되어 있다. 제2 연결부(S2, S22)는 데이터 구동부(DP)에 연결된다.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PO(L), PO(R)) 중 제1 구동부 연결선들(PO(L))의 제1 사선부(O1)는 데이터 구동부(DP)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S2)로부터 제1 연결부(S1)를 향해 데이터 구동부(DP)를 기준으로 왼쪽 아래를 향해 뻗는다. 또한,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PO(L), PO(R)) 중 제2 구동부 연결선들(PO(R))의 제2 사선부(O2)는 데이터 구동부(DP)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S22)로부터 제1 연결부(S11)를 향해 데이터 구동부(DP)를 기준으로 오른쪽 아래를 향해 뻗는다.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PO(L), PO(R)) 중 제1 구동부 연결선들(PO(L))의 제1 사선부(O1)와 제2 연결부(S2)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제1 방향 변환부(P1)를 법선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면 제1 곡선(R1) 형태가 된다. 이와 유사하게,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PO(L), PO(R)) 중 제2 구동부 연결선들(PO(R))의 제2 사선부(O2)와 제2 연결부(S22)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제2 방향 변환부(P2)를 법선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면 제2 곡선(R2) 형태가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곡선(R1)의 형태와 제2 곡선(R2)의 형태는 서로 대칭을 이루지만,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제1 곡선(R1)의 형태와 제2 곡선(R2)의 형태는 서로 대칭이 아닐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데이터 구동부(DP)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S2, S2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제1 부분과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하나씩 교대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S2, S22)는 게이트선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제1 부분과 데이터선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제2 부분을 가지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구동부 연결선들의 사선부와 데이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방향 변환부를 이은 가상의 선이 직선 형태가 아니라 곡선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구동부 연결선들의 사선부와 데이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방향 변환부를 이은 가상의 선은 표시 영역(DA)의 가장 자리로부터 표시 영역(DA)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직선 형태가 아니다.
표시 영역(DA)의 가장 자리로부터 표시 영역(DA)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화살표(D)가 향하는 방향은 액정 표시 장치에 배향막 등의 물질층을 스핀 코팅의 방법으로 형성할 때, 표시 영역(DA)에 가해지는 원심력의 방향과 평행하다. 한편, 스핀 코팅의 방법으로 배향막 등의 물질층을 적층할 때, 구동부 연결선들의 사선부와 데이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는 각기 도 3의 화살표(D)가 향하는 방향인 원심력이 향하는 방향을 둘러싸는 형태로, 화살표(D)와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 연결선들의 사선부와 데이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방향 변환부 근처에서 스핀 코팅으로 증착하는 물질층이 쌓일 수 있다.
만일, 구동부 연결선들의 사선부와 데이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방향 변환부를 이은 가상의 선이 표시 영역(DA)에 가해지는 원심력의 방향과 나란하다면, 방향 변환부들 근처에서 높이가 높아진 물질층이 원심력 방향을 따라 일직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방향 변환부를 이은 가상의 선을 따라 표시 영역에 까지 물질층의 높이가 다른 부분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배향막 등의 물질층의 높이 차이는 얼룩 등 표시 품질 저하를 가져온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구동부 연결선들의 사선부와 데이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방향 변환부를 이은 가상의 선이 직선 형태가 아니라 곡선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구동부 연결선들의 사선부와 데이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방향 변환부를 이은 가상의 선은 표시 영역(DA)의 가장 자리로부터 표시 영역(DA)의 중심을 향하는 스핀 코팅 시 원심력의 방향과 일치하는 직선 형태가 아니다. 그러므로, 스핀 코팅 공정 시, 방향 변환부들 근처에서 높이가 높아진 물질층이 원심력 방향을 따라 일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향막 등의 물질층의 높이 차이에 따른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부 연결선의 방향 변환부들을 이은 선이 이루는 곡선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부 연결선의 방향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배치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들의 사선부는 데이터 구동부(DP)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S2)로부터 제1 연결부(S1)를 향해 데이터 구동부(DP)를 기준으로 왼쪽 아래를 향해 뻗는다. 구동부 연결선들의 사선부(O1)와 데이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S2)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방향 변환부를 이은 가상의 선은 곡선을 이룬다. 이 때, 기준 직선(LR)은 구동부 연결선들 중 데이터 구동부(DP)를 기준으로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 제1 구동부 연결선(PO1)의 사선부(O1)와 제2 연결부(S2) 사이의 방향 변환부(PP1)와 데이터 구동부(DP)를 기준으로 가장 중심에 위치하는 제2 구동부 연결선(POx)의 사선부(O1)와 제2 연결부(S2) 사이의 방향 변환부(PPx)를 지나가는 선이라 할 때, 기준 직선(LR)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방향 변환부를 가지는 제3 구동부 연결선(POMax)의 사선부(O1)에서 기준 직선(LR)까지의 최대 간격(D1)에 대한 최소 간격(D2)의 비율은 약 20%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 2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들의 사선부가 데이터 구동부(DP)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로부터 제1 연결부를 향해 데이터 구동부(DP)를 기준으로 오른쪽 아래를 향해 뻗는 경우에도, 유사한 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데이터 구동부(DP)와 구동부 연결선들의 사선부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부 연결선(PO)의 제2 연결부(S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제1 부분과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하나씩 교대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 연결선(PO)의 제2 연결부는 게이트선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제1 부분과 데이터선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제2 부분을 가지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들과는 달리,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들은 제1 구동부 연결선들(PO(L), 제3 구동부 연결선들(PO(R1)), 그리고 제4 구동부 연결선들(PO(R2))을 포함한다.
제1 구동부 연결선들(PO(L))의 제1 사선부(O1)는 데이터 구동부(DP)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S2)로부터 표시 영역(DA)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부(S1)를 향해 데이터 구동부(DP)를 기준으로 왼쪽 아래를 향해 뻗는다. 또한, 제3 구동부 연결선들(PO(R1))의 제2 사선부(O2)는 데이터 구동부(DP)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S22)로부터 표시 영역(DA)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부(S11)를 향해 데이터 구동부(DP)를 기준으로 오른쪽 아래를 향해 뻗는다. 이와 유사하게, 제4 구동부 연결선들(PO(R2))의 제3 사선부(O3)는 데이터 구동부(DP)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S222)로부터 표시 영역(DA)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부(S111)를 향해 데이터 구동부(DP)를 기준으로 오른쪽 아래를 향해 뻗는다.
그러나, 제3 구동부 연결선들(PO(R1))의 사선부와 제2 연결부 사이의 방향 변환부들을 이은 선은 제3 곡선(R11) 형태를 이루고, 제4 구동부 연결선들(PO(R2))의 사선부와 제2 연결부 사이의 방향 변환부들을 이은 선은 제4 곡선(R22) 형태를 이루며, 제3 곡선(R11)과 제4 곡선(R22)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진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데이터 구동부(DP)와 구동부 연결선들의 사선부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부 연결선(PO)의 제2 연결부(S2, S22, S22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제1 부분과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하나씩 교대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 연결선(PO)의 제2 연결부(S2, S22, S222)는 게이트선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제1 부분과 데이터선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제2 부분을 가지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구동부 연결선들의 각 사선부와 제2 연결부 사이의 방향 변환부가 이루는 선들의 형태 및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방향 변환부들이 이루는 선과 스핀 코팅 공정 시 원심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향막 등의 물질층의 높이 차이에 따른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많은 특징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유사하다.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PO(L), PO(R)) 중 제1 구동부 연결선들(PO(L))의 사선부(O)와 제2 연결부(S2)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방향 변환부를 법선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면 제1 곡선(R1) 형태가 된다. 이와 유사하게,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PO(L), PO(R)) 중 제2 구동부 연결선들(PO(R))의 사선부와 제2 연결부(S2)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방향 변환부를 법선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면 제2 곡선(R2) 형태가 된다. 제1 곡선(R1)과 제2 곡선(R2)은 같은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제1 구동부 연결선들(PO(L))의 개수는 제2 구동부 연결선들(PO(R))의 수보다 더 많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데이터 구동부(DP)와 구동부 연결선(PO(L), PO(R))의 사선부(O1, O2)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부 연결선(PO(L), PO(R))의 제2 연결부(S2, S2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제1 부분과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하나씩 교대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 연결선(PO(L), PO(R))의 제2 연결부(S2, S22)는 게이트선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제1 부분과 데이터선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제2 부분을 가지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구동부 연결선들의 각 사선부와 제2 연결부 사이의 방향 변환부가 이루는 선들의 형태 및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방향 변환부들이 이루는 선과 스핀 코팅 공정 시 원심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향막 등의 물질층의 높이 차이에 따른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많은 특징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유사하다.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PO(L), PO(R)) 중 제1 구동부 연결선들(PO(L))의 사선부(O)와 제2 연결부(S2)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방향 변환부를 법선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면 제5 곡선(RRR1) 형태가 된다. 이와 유사하게,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PO(L), PO(R)) 중 제2 구동부 연결선들(PO(R))의 사선부와 제2 연결부(S2)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방향 변환부를 법선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면 제6 곡선(RRR2) 형태가 된다. 제5 곡선(RRR1)과 제6 곡선(RRR2)은 곡률 반경이 일정한 곡선이 아니라, 일정한 진폭으로 진동하는 파동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데이터 구동부(DP)와 구동부 연결선(PO(L), PO(R))의 사선부(O)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부 연결선(PO(L), PO(R))의 제2 연결부(S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제1 부분과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하나씩 교대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 연결선(PO(L), PO(R))의 제2 연결부(S2)는 게이트선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제1 부분과 데이터선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제2 부분을 가지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구동부 연결선들의 각 사선부와 제2 연결부 사이의 방향 변환부가 이루는 선들의 형태 및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방향 변환부들이 이루는 선과 스핀 코팅 공정 시 원심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향막 등의 물질층의 높이 차이에 따른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많은 특징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데이터선,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 그리고
    상기 기판의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과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연결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연결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선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사선부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방향 변환부를 법선 방향으로 서로 연결한 선은 곡선 형태를 가지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제2 연결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제1 부분과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부분과 상기 복수의 제2 부분은 교대로 하나씩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부분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중심으로 상기 표시 영역을 향해 왼쪽 아래를 향해 뻗은 사선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구동부 연결선과 상기 표시 영역을 향해 오른쪽 아래를 향해 뻗은 사선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구동부 연결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구동부 연결선 중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기준으로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 제3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방향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기준으로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제4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방향 변환부를 이은 기준 직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방향 변환부를 가지는 제5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사선부에서 상기 기준 직선까지의 최대 간격에 대한 최소 간격의 비율은 약 20%이상인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구동부 연결선 중에서, 상기 기준 직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방향 변환부를 가지는 상기 제5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사선부에서 상기 기준 직선까지의 최대 간격에 대한 최소 간격의 비율은 약 24%이상인 표시 장치.
  7. 제4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2 구동부 연결선 중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기준으로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 제6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방향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기준으로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제7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방향 변환부를 이은 기준 직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방향 변환부를 가지는 제8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사선부에서 상기 기준 직선까지의 최대 간격에 대한 최소 간격의 비율은 약 20%이상인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2 구동부 연결선 중에서, 상기 기준 직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방향 변환부를 가지는 상기 제8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사선부에서 상기 기준 직선까지의 최대 간격에 대한 최소 간격의 비율은 약 24%이상인 표시 장치.
  9. 제4항에서,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전기장 생성 전극, 그리고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기장 생성 전극과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제2 전기장 생성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구동부 연결선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중심으로 상기 표시 영역을 향해 왼쪽 아래를 향해 뻗은 사선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구동부 연결선과 상기 표시 영역을 향해 오른쪽 아래를 향해 뻗은 사선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구동부 연결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구동부 연결선 중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기준으로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 제3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방향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기준으로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제4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방향 변환부를 이은 기준 직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방향 변환부를 가지는 제5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사선부에서 상기 기준 직선까지의 최대 간격에 대한 최소 간격의 비율은 약 20%이상인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구동부 연결선 중에서, 상기 기준 직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방향 변환부를 가지는 상기 제5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사선부에서 상기 기준 직선까지의 최대 간격에 대한 최소 간격의 비율은 약 24%이상인 표시 장치.
  13. 제10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2 구동부 연결선 중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기준으로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 제6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방향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기준으로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제7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방향 변환부를 이은 기준 직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방향 변환부를 가지는 제8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사선부에서 상기 기준 직선까지의 최대 간격에 대한 최소 간격의 비율은 약 20%이상인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2 구동부 연결선 중에서, 상기 기준 직선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방향 변환부를 가지는 상기 제8 구동부 연결선의 상기 사선부에서 상기 기준 직선까지의 최대 간격에 대한 최소 간격의 비율은 약 24%이상인 표시 장치.
  15. 제10항에서,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전기장 생성 전극, 그리고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기장 생성 전극과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제2 전기장 생성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항에서,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전기장 생성 전극, 그리고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기장 생성 전극과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제2 전기장 생성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30015397A 2013-02-13 2013-02-13 표시 장치 KR102060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397A KR102060789B1 (ko) 2013-02-13 2013-02-13 표시 장치
EP13195964.5A EP2767868A1 (en) 2013-02-13 2013-12-06 Display device
US14/152,746 US9564091B2 (en) 2013-02-13 2014-01-10 Display device having connection lines connected between a data driver and data lines
CN201410048950.1A CN103984134B (zh) 2013-02-13 2014-02-12 显示装置
JP2014025075A JP2014153720A (ja) 2013-02-13 2014-02-13 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397A KR102060789B1 (ko) 2013-02-13 2013-02-13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023A true KR20140102023A (ko) 2014-08-21
KR102060789B1 KR102060789B1 (ko) 2019-12-31

Family

ID=49725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397A KR102060789B1 (ko) 2013-02-13 2013-02-1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64091B2 (ko)
EP (1) EP2767868A1 (ko)
JP (1) JP2014153720A (ko)
KR (1) KR102060789B1 (ko)
CN (1) CN10398413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971B1 (ko) * 2017-12-12 2019-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6284B (zh) * 2014-08-27 2018-01-0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其扇形区域
KR102328177B1 (ko) 2017-12-22 2021-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491153A (zh) * 2018-11-15 2019-03-19 成都中电熊猫显示科技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及液晶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791A (ja) * 1996-11-25 1998-06-09 Hitachi Ltd 屈曲配線電極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JPH11326933A (ja) * 1998-05-19 1999-11-26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2002169487A (ja) 2000-09-22 2002-06-14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2214634A (ja) 2001-01-17 2002-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素子用透明樹脂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パネル
JP2003140181A (ja) 2001-11-02 2003-05-14 Nec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859513B1 (ko) * 2002-03-07 2008-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기판
CN1567030A (zh) * 2003-06-11 2005-01-19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显示幕导线配线组件
KR100611153B1 (ko) 2003-11-27 2006-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소자
JP2007188763A (ja) 2006-01-13 2007-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TWI325507B (en) * 2006-02-21 2010-06-01 Au Optronics Corp Electronic device with uniform-resistance fan-out blocks
KR20070117268A (ko) 2006-06-08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판
KR101249984B1 (ko) 2007-02-08 2013-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팬-아웃부, 그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제조 방법
US8008665B2 (en) 2007-01-02 2011-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an-out, display substrat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substrate
KR100906103B1 (ko) * 2007-12-31 2009-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JP5380726B2 (ja) * 2008-03-31 2014-01-0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引き出し配線の設計方法
JP5429775B2 (ja) 2008-10-16 2014-0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パネル
JP2010243527A (ja) 2009-04-01 2010-10-28 Sony Corp 液晶パネル
KR101529557B1 (ko) 2011-06-09 2015-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971B1 (ko) * 2017-12-12 2019-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901275B2 (en) 2017-12-12 2021-0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84134B (zh) 2019-04-02
KR102060789B1 (ko) 2019-12-31
EP2767868A1 (en) 2014-08-20
US20140225818A1 (en) 2014-08-14
US9564091B2 (en) 2017-02-07
JP2014153720A (ja) 2014-08-25
CN103984134A (zh)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5713B2 (en) Display device
US11334206B2 (en) Touch panel and touch-panel-integrate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touch electrodes with floating units
US20190157311A1 (en) Flexible array substr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101866705B1 (ko) 마이크로 커버층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003036B2 (en) Pixel array substrate
CN107887416B (zh) 背板基板和使用该背板基板的柔性显示器
US8942000B2 (en) Lead line structure and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US20180259805A1 (en) Display device
US8575617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having improved connectivity between shorting bar and data lines
TWI697141B (zh) 元件基板
KR20190044716A (ko) 표시 장치
KR20230125768A (ko) 벤딩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750431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KR20110097077A (ko) 터치 센서를 내장한 액정 표시 장치
KR20140102023A (ko) 표시 장치
WO2020196085A1 (ja) フレキシブルパネル装置
JP2013050472A (ja) 液晶表示装置
US11644733B2 (en)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panel
US853732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electric power supply pad arranged at a corner portion of a substrate and a connection electrode having a slit that crosses signal lines
CN105807465A (zh) 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