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971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971B1
KR101984971B1 KR1020170170518A KR20170170518A KR101984971B1 KR 101984971 B1 KR101984971 B1 KR 101984971B1 KR 1020170170518 A KR1020170170518 A KR 1020170170518A KR 20170170518 A KR20170170518 A KR 20170170518A KR 101984971 B1 KR101984971 B1 KR 101984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fan
wirings
printed circuit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성
김형욱
이억이
정현석
조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0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971B1/ko
Priority to US16/191,890 priority patent/US1090127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4Drivers integrated o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8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groups of the same main 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2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in the same plane, e.g. auxiliary printed circuit insert mounted in a main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4Assemblies of printed circuits
    • H05K2201/049PCB for one component, e.g. for mounting onto mother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7Electric details
    • H05K2201/0776Resistance and impedance
    • H05K2201/0784Uniform resistance, i.e. equalizing the resistance of a number of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27Layout details of a plurality of traces, e.g. escape layout for Ball Grid Array [BGA] mou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72Layout details of angles or cor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05K2201/10136Liquid Crystal display [LC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팬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표시 기판의 팬아웃 영역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 인쇄 회로 기판의 중앙부로부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배치되는 구동 집적 회로, 인쇄 회로 기판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제1 회로 기판 배선, 인쇄 회로 기판의 중앙부로부터 제2 방향에 배치되고,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제2 회로 기판 배선, 팬아웃 영역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제1 회로 기판 배선과 연결되는 제1 팬아웃 배선, 그리고 팬아웃 영역의 중앙부로부터 제2 방향에 배치되고, 제2 회로 기판 배선과 연결되는 제2 팬아웃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 배선의 길이는 제2 회로 기판 배선의 길이보다 크고, 제1 팬아웃 배선의 길이는 제2 팬아웃 배선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구동 집적 회로가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발광 방식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등으로 분류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에 배치된 게이트 배선들, 데이터 배선들 및 이들과 연결된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구동 집적 회로와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 또는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을 연결하는 팬아웃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표시 장치가 대형화되고, 하나의 구동 집적 회로에 연결된 팬아웃 배선들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팬아웃 배선들 간의 길이(저항) 편차가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팬아웃 배선들 간의 신호 지연(RC delay) 편차가 발생하여 표시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품질 저하를 개선하기 위하여 팬아웃 배선들의 폭들을 조절하거나, 팬아웃 배선들을 지그재그(zig-zag)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팬아웃 배선들 간의 길이(저항) 차이에 의한 신호 지연 편차를 균일하게 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다만, 최근 좁은 베젤을 구현하기 위하여 팬아웃 배선들이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의 폭을 점점 좁게 형성함에 따라 전술한 팬아웃 배선의 구조 변경만으로 신호 지연 편차를 균일하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좁은 베젤(bezel)을 가지는 동시에 팬아웃(fan-out) 배선들 간의 저항 차이에 의한 신호 지연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이 이와 같은 목적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팬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상기 표시 기판의 상기 팬아웃 영역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배치되는 구동 집적 회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제1 회로 기판 배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제2 회로 기판 배선, 상기 팬아웃 영역의 상기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 배선과 연결되는 제1 팬아웃 배선, 그리고 상기 팬아웃 영역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회로 기판 배선과 연결되는 제2 팬아웃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 기판 배선의 길이는 상기 제2 회로 기판 배선의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제1 팬아웃 배선의 길이는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배선의 길이와 상기 제1 팬아웃 배선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제2 회로 기판 배선의 길이와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의 길이의 합과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배선은 상기 제1 방향과 사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회로 기판 배선은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1 방향과 사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 기판 배선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배선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배선은 적어도 한 번 꺾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팬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상기 표시 기판의 상기 팬아웃 영역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고 서로 대향하는 제2 방향 및 제3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1 구동 집적 회로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 또는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 그리고 상기 팬아웃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의 길이들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고,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의 길이들은 상기 팬아웃 영역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의 길이들과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의 길이들의 합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의 길이들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감소하고,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의 길이들은 상기 팬아웃 영역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는 일 측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에 위치하는 타 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 중에서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회로 기판 배선들의 개수와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회로 기판 배선들의 개수는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 및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은 상기 제1 방향과 0도 보다 크거나 실질적으로 같고 90도 보다 작은 사잇각들을 갖고, 상기 사잇각들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은 상기 제1 방향과 0도 보다 크거나 실질적으로 같고 90도 보다 작은 사잇각들을 갖고, 상기 사잇각들은 상기 팬아웃 영역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 또는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 또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은 각각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과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팬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상기 표시 기판의 상기 팬아웃 영역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고 서로 대향하는 제2 방향 및 제3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인쇄 회로 기판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1 구동 집적 회로;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에 배치되는 제2 구동 집적 회로,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회로 기판 배선들,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배선들, 그리고 상기 팬아웃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회로 기판 배선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배선들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회로 기판 배선들의 길이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배선들의 길이들은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며,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의 길이들은 상기 팬아웃 영역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제1 회로 기판 배선들의 길이들과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의 길이들의 합들 및 서로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배선들의 길이들과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의 길이들의 합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는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에 인접한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의 일 측면에 대향하는 타 측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는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에 인접한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의 일 측면에 대향하는 타 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복수의 제1 회로 기판 배선들은 각각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배선들과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구동 집적 회로를 배치하고,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회로 기판 배선들의 길이들이 중앙부에서 좌측부 또는 우측부로 갈수록 감소함으로써, 좁은 베젤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팬아웃 배선들 간의 저항 차이에 의한 신호 지연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D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외곽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110) 및 표시 기판(110)의 비표시 영역(NDA)에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표시 기판(110) 상에 이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대향 기판(미도시) 및 표시 기판(110)과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대향 기판 및 상기 액정층의 도시는 생략한다.
표시 기판(110) 상에는 표시 영역(DA)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들(PX), 화소들(PX)에 각각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GL1~GLm) 및 화소들(PX)에 각각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DL1~DLn)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기판(110) 상에는 m X n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들(PX)이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화소(PX)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에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배선(GL1~GLm)으로부터 연장된 게이트 전극, 데이터 배선(DL1~DLn)으로부터 연장된 소스 전극 및 상기 화소 전극과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팬아웃 영역(FAN)을 포함하고, 인쇄 회로 기판(120)은 팬아웃 영역(FAN)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20)은 팬아웃 영역(FAN)을 통해 표시 영역(DA)에 연결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20)에는 구동 집적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집적 회로는 게이트 배선들(GL1~GL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 또는 데이터 배선들(DL1~DLn)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화소(PX)에 구비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순차적으로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시킬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는 복수의 시프트(shift) 레지스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들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생성한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배선들(GL1~GLm)을 통해 순차적으로 화소들(PX)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는 상기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와 동기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의 기준 전압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기준 전압들을 데이터 배선들(DL1~DLn)을 통해 화소들(PX)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는 기준 전압들을 생성 및 공급하는 기준 전압 생성 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상기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가 배치되는 3 개의 인쇄 회로 기판들(120) 및 상기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가 배치되는 5 개의 인쇄 회로 기판들(120)을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다양한 수의 인쇄 회로 기판들(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하나의 팬아웃 영역(FAN) 및 이에 연결되는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20)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구조는 나머지 팬아웃 영역들(FAN) 및 나머지 인쇄 회로 기판들(1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팬아웃 영역(FAN)은 표시 영역(DA)으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팬아웃 영역(FAN)은 중앙부(FANC)와 중앙부(FANC)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고 서로 대향하는 제2 방향 및 제3 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측부(FAN1) 및 제2 측부(FAN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20)은 팬아웃 영역(FAN)의 중앙부(FANC)에 연결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20)은 팬아웃 영역(FAN)의 중앙부(FANC)의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팬아웃 영역(FAN)에는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150)이 배치될 수 있다. 팬아웃 배선들(150)은 각각 게이트 배선들(GL1~GLm) 또는 데이터 배선들(DL1~DLn)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아웃 배선들(150)은 상기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로부터 게이트 배선들(GL1~GLm)에 상기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거나, 상기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로부터 데이터 배선들(DL1~DLn)에 상기 기준 전압들을 공급할 수 있다.
팬아웃 배선들(150)은 팬아웃 영역(FAN)의 중앙부(FANC)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120)으로부터 팬아웃 영역(FAN)의 중앙부(FANC), 제1 측부(FAN1) 및 제2 측부(FAN2)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DA)에 배치되는 게이트 배선들(GL1~GLm) 또는 데이터 배선들(DL1~DLn)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아웃 배선들(150)의 길이들은 팬아웃 영역(FAN)의 중앙부(FANC)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팬아웃 영역(FANC)의 중앙부(FANC)에 배치되는 제1 팬아웃 배선(150a)의 길이는 팬아웃 영역(FANC)의 중앙부(FANC)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 팬아웃 배선(150b)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팬아웃 배선(150a)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팬아웃 영역(FAN)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앙선(CL)에 가장 인접한 팬아웃 배선(150)이고, 제2 팬아웃 배선(150b)은 제1 팬아웃 배선(150a)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가장 멀리 위치한 팬아웃 배선(150)일 수 있다. 이 경우, 팬아웃 배선들(150)의 길이(저항) 차이에 의한 신호 지연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팬아웃 배선들(150)의 길이(저항) 차이에 의한 신호 지연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구성들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B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인쇄 회로 기판(120)에는 제1 구동 집적 회로(131), 제2 구동 집적 회로(132) 및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140)이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20)에는 두 개의 구동 집적 회로들(131, 13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집적 회로(131)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132)는 인쇄 회로 기판(120)의 중앙부(PCBC)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쇄 회로 기판(120)은 중앙부(PCBC)와 중앙부(PCBC)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측부(PCB1) 및 제2 측부(PCB2)를 포함하고, 제1 구동 집적 회로(131)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132)는 각각 인쇄 회로 기판(120)의 제1 측부(PCB1) 및 제2 측부(PCB2)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구동 집적 회로(131)는 인쇄 회로 기판(120)의 중앙부(PCBC)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는 일 측면에 인접하고, 제2 구동 집적 회로(132)는 인쇄 회로 기판(120)의 중앙부(PCBC)로부터 상기 제3 방향에 위치하는 타 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일 측면은 인쇄 회로 기판(120)의 좌측면이고, 상기 타 측면은 인쇄 회로 기판(120)의 우측면일 수 있다.
회로 기판 배선들(140)은 제1 구동 집적 회로(131) 또는 제2 구동 집적 회로(132)에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 배선들(140)은 각각 제1 구동 집적 회로(131) 또는 제2 구동 집적 회로(132)를 팬아웃 배선(150)에 연결시킬 수 있다.
회로 기판 배선들(140)의 길이들은 인쇄 회로 기판(120)의 중앙부(PCBC)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 회로 기판(120)의 중앙부(PCBC)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 배선(140a)의 길이는 인쇄 회로 기판(120)의 중앙부(PCBC)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 배선(140b)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로 기판 배선(140a)은 중앙선(CL)에 가장 인접한 회로 기판 배선(140)이고, 제2 회로 기판 배선(140b)은 제1 회로 기판 배선(140a)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가장 멀리 위치한 회로 기판 배선(140)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회로 기판 배선(140a)과 제1 팬아웃 배선(150a)은 서로 연결되고, 제2 회로 기판 배선(140b)과 제2 팬아웃 배선(150b)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회로 기판 배선들(140)의 길이들과 팬아웃 배선들(150)의 길이들의 합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회로 기판 배선(140a)의 길이와 제1 팬아웃 배선(150a)의 길이의 합은 제2 회로 기판 배선(140b)의 길이와 제2 팬아웃 배선(150b)의 길이의 합과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팬아웃 배선들(150)의 길이(저항) 차이에 의한 신호 지연 편차가 보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로 기판 배선들(140)의 길이들은 인쇄 회로 기판(120)의 중앙부(PCBC)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감소하고, 팬아웃 배선들(150)의 길이들은 팬아웃 영역(FAN)의 중앙부(FANC)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증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웃하는 회로 기판 배선들(140)의 길이들의 차이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이웃하는 팬아웃 배선들(150)의 길이들의 차이는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로 기판 배선들(140) 중에서 제1 구동 집적 회로(131)와 연결되는 회로 기판 배선들(140)의 개수와 제2 구동 집적 회로(132)와 연결되는 회로 기판 배선들(140)의 개수는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팬아웃 영역(FAN)에 배치되는 팬아웃 배선들(150)의 개수가 960 개인 경우에, 팬아웃 배선들(150)과 회로 기판 배선들(140)은 일대일로 대응하므로 인쇄 회로 기판(120)에는 960 개의 회로 기판 배선들(140)이 배치될 수 있고, 제1 구동 집적 회로(131)와 연결되는 회로 기판 배선들(140)의 개수와 제2 구동 집적 회로(132)와 연결되는 회로 기판 배선들(140)의 개수는 각각 480 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로 기판 배선들(140)과 팬아웃 배선들(150)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회로 기판 배선(140a), 제2 회로 기판 배선(140b), 제1 팬아웃 배선(150a) 및 제2 팬아웃 배선(150b)은 모두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종래에는 팬아웃 배선들(150)의 길이(저항)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팬아웃 영역(FAN)의 중앙부(FANC)에 위치하는 팬아웃 배선들(150)이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었으나, 이에 따라 팬아웃 영역(FAN)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폭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팬아웃 배선들(150)은 직선 형상을 가지고, 제1 구동 집적 회로(131)와 제2 구동 집적 회로(132)의 배치 및 회로 기판 배선들(140)의 길이들을 통해 팬아웃 배선들(150)의 길이(저항)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신호 지연 편차를 보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로 기판 배선들(140)은 상기 제1 방향과 0도 보다 크거나 실질적으로 같고 90도 보다 작은(바람직하게는, 약 45도 보다 작은) 사잇각들(θ1)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사잇각들(θ1)은 인쇄 회로 기판(120)의 중앙부(PCBC)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회로 기판 배선(140a)은 상기 제1 방향과 사선으로 연장되고, 제2 회로 기판 배선(140b)은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팬아웃 배선들(150)은 상기 제1 방향과 0도 보다 크거나 실질적으로 같고 90도 보다 작은(바람직하게는, 약 45도 보다 작은) 사잇각들(θ2)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사잇각들(θ2)은 팬아웃 영역(FAN)의 중앙부(FANC)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팬아웃 배선(150a)은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팬아웃 배선(150b)은 상기 제1 방향과 사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B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다른 예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예와 일부의 회로 기판 배선들(140)의 형상들이 상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120)의 중앙부(PCBC)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배선들(140)은 적어도 한 번 꺾인 형상을 갖고, 인쇄 회로 기판(120)의 중앙부(PCBC)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 배선들(140)과 팬아웃 배선들(150)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회로 기판 배선(140a)은 적어도 한 번 꺾인 형상을 갖고, 제2 회로 기판 배선(140b), 제1 팬아웃 배선(150a) 및 제2 팬아웃 배선(150b)은 모두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팬아웃 배선들(150)이 회로 기판 배선들(140)보다 상대적으로 길고 회로 기판 배선들(140)이 전부 직선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인쇄 회로 기판(120)의 중앙부(PCBC)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배선들(140)이 신호 지연 편차를 충분히 보상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120)의 중앙부(PCBC)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배선들(140)은 적어도 한 번 꺾인 형상을 가짐으로써, 신호 지연 편차를 충분히 보상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D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외곽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210) 및 표시 기판(210)의 비표시 영역(NDA)에 연결되는 제1 인쇄 회로 기판(221)과 제2 인쇄 회로 기판(2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에 있어서,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표시 영역(NDA)은 팬아웃 영역(FAN)을 포함하고, 제1 인쇄 회로 기판(22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222)은 팬아웃 영역(FAN)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쇄 회로 기판(22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222)은 팬아웃 영역(FAN)을 통해 표시 영역(DA)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인쇄 회로 기판(22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222)은 팬아웃 영역(FAN)의 중앙부(FANC)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쇄 회로 기판(221)과 제2 인쇄 회로 기판(222)은 팬아웃 영역(FAN)의 중앙부(FANC)의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인쇄 회로 기판(22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222)은 팬아웃 영역(FAN)의 중앙부(FANC)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인쇄 회로 기판(221)에는 제1 구동 집적 회로(231) 및 복수의 제1 회로 기판 배선들(241)이 배치되고, 제2 인쇄 회로 기판(222)에는 제2 구동 집적 회로(232) 및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배선들(24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인쇄 회로 기판(221)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222)에는 각각 하나의 구동 집적 회로(231, 23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집적 회로(231)는 제1 인쇄 회로 기판(221)의 중앙부(PCBC1)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배치되고, 제2 구동 집적 회로(232)는 제2 인쇄 회로 기판(222)의 중앙부(PCBC2)로부터 상기 제3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인쇄 회로 기판(221)은 중앙부(PCBC1)와 중앙부(PCBC1)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는 제1 측부(PCB1)를 포함하고, 제1 구동 집적 회로(231)는 제1 인쇄 회로 기판(221)의 제1 측부(PCB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쇄 회로 기판(222)은 중앙부(PCBC2)와 중앙부(PCBC2)로부터 상기 제3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측부(PCB2)를 포함하고, 제2 구동 집적 회로(232)는 제2 인쇄 회로 기판(222)의 제2 측부(PCB2)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구동 집적 회로(231)는 제2 인쇄 회로 기판(222)에 인접한 제1 인쇄 회로 기판(221)의 일 측면에 대향하는 타 측면에 인접하고, 제2 구동 집적 회로(232)는 제1 인쇄 회로 기판(221)에 인접한 제2 인쇄 회로 기판(222)의 일 측면에 대향하는 타 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인쇄 회로 기판(221)의 상기 일 측면 및 상기 타 측면은 각각 제1 인쇄 회로 기판(221)의 우측면 및 좌측면이고, 제2 인쇄 회로 기판(222)의 상기 일 측면 및 상기 타 측면은 각각 제2 인쇄 회로 기판(222)의 좌측면 및 우측면일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 배선들(241)은 제1 구동 집적 회로(231)에 연결되고, 제2 회로 기판 배선들(242)은 제2 구동 집적 회로(2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 배선들(241)은 각각 제1 구동 집적 회로(231)를 팬아웃 배선(250)에 연결시키고, 제2 회로 기판 배선들(242)은 각각 제2 구동 집적 회로(232)를 팬아웃 배선(25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 배선들(241)의 길이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고, 제2 회로 기판 배선들(242)의 길이들은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제1 회로 기판 배선들(241)의 길이들과 팬아웃 배선들(250)의 길이들의 합들 및 서로 연결되는 제2 회로 기판 배선들(242)의 길이들과 팬아웃 배선들(250)의 길이들의 합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아웃 배선들(250)의 길이(저항) 차이에 의한 신호 지연 편차가 보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회로 기판 배선들(241)의 길이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갈수록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감소하고, 제2 회로 기판 배선들(242)의 길이들은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감소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웃하는 제1 회로 기판 배선들(241)의 길이들의 차이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이웃하는 제2 회로 기판 배선들(242)의 길이들의 차이는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구동 집적 회로(231) 및 제1 회로 기판 배선들(241)은 각각 제1 인쇄 회로 기판(221)과 제2 인쇄 회로 기판(222)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앙선(CL)을 기준으로 제2 구동 집적 회로(232) 및 제2 회로 기판 배선들(242)과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로 기판 배선들(241)의 개수와 제2 회로 기판 배선들(242)의 개수는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팬아웃 영역(FAN)에 배치되는 팬아웃 배선들(250)의 개수가 960 개인 경우에, 팬아웃 배선들(250)과 제1 및 제2 회로 기판 배선들(241, 242)은 일대일로 대응하므로 제1 회로 기판 배선들(241)의 개수와 제2 회로 기판 배선들(242)의 개수는 각각 480 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MP3 플레이어 등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들에 대하여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설시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표시 장치 110, 210: 표시 기판
120: 인쇄 회로 기판 221: 제1 인쇄 회로 기판
222: 제2 인쇄 회로 기판 131, 231: 제1 구동 집적 회로
132, 232: 제2 구동 집적 회로 140: 회로 기판 배선들
241: 제1 회로 기판 배선들 242: 제2 회로 기판 배선들
150, 250: 팬아웃 배선들 DA: 표시 영역
FAN: 팬아웃 영역

Claims (20)

  1.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팬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상기 표시 기판의 상기 팬아웃 영역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배치되는 구동 집적 회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제1 회로 기판 배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제2 회로 기판 배선;
    상기 팬아웃 영역의 상기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 배선과 연결되는 제1 팬아웃 배선; 및
    상기 팬아웃 영역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회로 기판 배선과 연결되는 제2 팬아웃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 배선의 길이는 상기 제2 회로 기판 배선의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제1 팬아웃 배선의 길이는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의 길이보다 작은,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배선의 길이와 상기 제1 팬아웃 배선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제2 회로 기판 배선의 길이와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의 길이의 합과 같은,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배선은 상기 제1 방향과 사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회로 기판 배선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1 방향과 사선으로 연장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 기판 배선은 직선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배선은 직선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배선은 적어도 한 번 꺾인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8.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팬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상기 표시 기판의 상기 팬아웃 영역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고 서로 대향하는 제2 방향 및 제3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1 구동 집적 회로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 또는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 및
    상기 팬아웃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의 길이들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고,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의 길이들은 상기 팬아웃 영역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의 길이들과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의 길이들의 합들은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의 길이들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균일하게 감소하고,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의 길이들은 상기 팬아웃 영역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균일하게 증가하는, 표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는 일 측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에 위치하는 타 측면에 인접하는, 표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 중에서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회로 기판 배선들의 개수와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회로 기판 배선들의 개수는 같은, 표시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 및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은 직선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로 기판 배선들은 상기 제1 방향과 0도 보다 크거나 같고 90도 보다 작은 사잇각들을 갖고,
    상기 사잇각들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은 상기 제1 방향과 0도 보다 크거나 같고 90도 보다 작은 사잇각들을 갖고,
    상기 사잇각들은 상기 팬아웃 영역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표시 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 또는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 또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은 각각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과 연결되는, 표시 장치.
  17.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팬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상기 표시 기판의 상기 팬아웃 영역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고 서로 대향하는 제2 방향 및 제3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인쇄 회로 기판 및 제2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1 구동 집적 회로;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에 배치되는 제2 구동 집적 회로;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회로 기판 배선들;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배선들; 및
    상기 팬아웃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회로 기판 배선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배선들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회로 기판 배선들의 길이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배선들의 길이들은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며,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의 길이들은 상기 팬아웃 영역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제1 회로 기판 배선들의 길이들과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의 길이들의 합들 및 서로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배선들의 길이들과 상기 복수의 팬아웃 배선들의 길이들의 합들은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는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에 인접한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의 일 측면에 대향하는 타 측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는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에 인접한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의 일 측면에 대향하는 타 측면에 인접하는, 표시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복수의 제1 회로 기판 배선들은 각각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인쇄 회로 기판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복수의 제2 회로 기판 배선들과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표시 장치.
KR1020170170518A 2017-12-12 2017-12-12 표시 장치 KR101984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518A KR101984971B1 (ko) 2017-12-12 2017-12-12 표시 장치
US16/191,890 US10901275B2 (en) 2017-12-12 2018-11-15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518A KR101984971B1 (ko) 2017-12-12 2017-12-12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971B1 true KR101984971B1 (ko) 2019-06-03

Family

ID=6669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518A KR101984971B1 (ko) 2017-12-12 2017-12-12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01275B2 (ko)
KR (1) KR1019849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6328A1 (zh) * 2020-03-31 2021-10-0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液晶显示面板
CN114708797A (zh) * 2022-03-31 2022-07-0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73187A1 (en) * 2018-09-03 2020-03-05 Chongqing Hkc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0921658B2 (en) * 2019-04-30 2021-02-1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CN110853511B (zh) * 2019-10-24 2021-07-06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038A (ko) * 2002-03-07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기판
KR20070002278A (ko) * 2005-06-30 2007-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40102023A (ko) * 2013-02-13 2014-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585B1 (ko) 2003-06-12 2010-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80022359A (ko) 2006-09-06 2008-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903568B1 (ko) * 2012-07-19 2018-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038A (ko) * 2002-03-07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기판
KR20070002278A (ko) * 2005-06-30 2007-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40102023A (ko) * 2013-02-13 2014-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6328A1 (zh) * 2020-03-31 2021-10-0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液晶显示面板
CN114708797A (zh) * 2022-03-31 2022-07-0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708797B (zh) * 2022-03-31 2024-02-27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01275B2 (en) 2021-01-26
US20190182948A1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971B1 (ko) 표시 장치
KR101903568B1 (ko) 표시 장치
US9875699B2 (en) Display device
KR102129336B1 (ko) 표시 장치 및 멀티 패널 표시 장치
KR102330882B1 (ko) 표시 장치
US9841833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display device
WO2011027589A1 (ja) デバイス基板
KR2008001777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연성부재
KR201900900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9779B1 (ko) 칩 온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384089A1 (en) Display device
US10007159B2 (en) Display device
CN106896592B (zh) 液晶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8242213B (zh) 显示装置
US10901276B2 (en) Display device
US1152020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00286922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applying the same
KR20220023913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072508A (ko) 표시장치
KR102004400B1 (ko) 표시 장치
KR20210048630A (ko) 연성 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62960B1 (ko) 면적이 감소된 연성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CN219574556U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070058826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46602A (ko) 평판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