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561A -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561A
KR20140099561A KR1020127025682A KR20127025682A KR20140099561A KR 20140099561 A KR20140099561 A KR 20140099561A KR 1020127025682 A KR1020127025682 A KR 1020127025682A KR 20127025682 A KR20127025682 A KR 20127025682A KR 20140099561 A KR20140099561 A KR 20140099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piezoelectric actuator
main surface
pole
flexibl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3957B1 (ko
Inventor
시게노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99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2Interconnections, e.g. connection electrodes of multilayer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07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multiple elements
    • B06B1/0611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multiple elements in a p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bending displacement, e.g. unimorph, bimorph or multimorph cantilever or membrane benders
    • H10N30/2047Membrane ty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6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only longitudinal or thickness displacement, e.g. d33 or d31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5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having a stacked or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5Further connection or lead arrangements, e.g. flexible wiring boards, terminal pi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과제] 압전 소자에 접합된 플렉시블 기판이 장기간 구동해도 압전 소자로부터 박리되는 일없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압전 액추에이터(1)는 내부 전극(2) 및 압전체층(3)이 적층된 적층체(4)와, 적층체(4)의 한쪽 주면에 내부 전극(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표면 전극(5)을 구비한 압전 소자(10)와, 한쪽 주면에 도전성 접합 부재(7)를 통하여 일부가 접합되고, 표면 전극(5)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 도체(61)를 구비한 플렉시블 기판(6)을 갖고 있고, 한쪽 주면 중 적어도 플렉시블 기판(6)이 접합된 영역은 다른쪽 주면보다 평탄도가 나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PIEZOELECTRIC ACTUATOR, PIEZOELECTRIC VIBRATION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압전 진동 장치, 휴대 단말에 적합한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압전 액추에이터로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101)과 압전체층(102)이 복수 적층된 적층체(103)의 표면에 표면 전극(104)을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바이모르프형 압전 소자(10)를 사용한 것이나(특허문헌 1을 참조), 압전 소자(10)의 주면에 플렉시블 기판(105)을 도전성 접합 부재(106)로 접합하여 압전 소자(10)의 표면 전극(104)과 플렉시블 기판(105)의 배선 도체(107)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를 참조).
또한, 바이모르프형 압전 소자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나 일단을 진동판에 고정한 압전 진동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3, 4를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2-1039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6-14396호 공보 국제공개 제 2005/004535호 일본 특허공개 2006-238072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압전 액추에이터에서는 압전 소자의 평탄도가 좋은 주면에 플렉시블 기판(105)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진동이나 플렉시블 기판(105) 자체의 공진에 의한 액추에이터의 진동에 추종하지 않는 이상한 플렉시블 기판(105)의 진동이 일어남으로써 특히 접합부의 근원에 응력 집중의 부하가 걸리고, 플렉시블 기판(105)이 압전 소자로부터 박리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이고, 그 목적은 압전 소자에 접합된 플렉시블 기판이 장기간 구동되어도 압전 소자로부터 박리되는 일없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압전 액추에이터는 내부 전극 및 압전체층이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의 한쪽 주면에 상기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표면 전극을 구비한 압전 소자와, 상기 한쪽 주면에 도전성 접합 부재를 통하여 일부가 접합되고, 상기 표면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 도체를 구비한 플렉시블 기판을 갖고 있고, 상기 한쪽 주면 중 적어도 상기 플렉시블 기판이 접합된 영역은 다른쪽 주면보다 평탄도가 나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압전 진동 장치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와, 상기 압전 소자의 상기 다른쪽 주면에 접합된 진동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 전자 회로, 디스플레이, 및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상기 다른쪽 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하우징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압전 소자에 접합된 플렉시블 기판이 장기간 구동하여도 압전 소자로부터 박리되는 일없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A-A선으로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b)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b)는 도 1(b)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압전 진동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휴대 단말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A-A선으로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B-B선으로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종래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A-A선으로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나타내는 A-A선으로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압전 액추에이터(1)는 내부 전극(2) 및 압전체층(3)이 적층된 적층체(4)와, 적층체(4)의 한쪽 주면에 내부 전극(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표면 전극(5)을 구비한 압전 소자(10)와, 한쪽 주면에 도전성 접합 부재(7)를 통하여 일부가 접합되고, 표면 전극(5)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 도체(61)를 구비한 플렉시블 기판(6)을 갖고 있고, 한쪽 주면 중 적어도 플렉시블 기판(6)이 접합된 영역은 다른쪽 주면보다 평탄도가 나쁘게 되어 있다.
압전 소자(10)를 구성하는 적층체(4)는 내부 전극(2) 및 압전체층(3)이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복수의 내부 전극(2)이 적층 방향으로 겹쳐지는 활성부(41)와 그 이외의 불활성부(42)를 갖고, 예를 들면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또는 하우징에 장착하는 압전 액추에이터의 경우에는, 적층체(4)의 길이로서는 예를 들면 18㎜~28㎜가 바람직하고, 22㎜~25㎜가 더욱 바람직하다. 적층체(4)의 폭은 예를 들면 1㎜~6㎜가 바람직하고, 3㎜~4㎜가 더욱 바람직하다. 적층체(4)의 두께는 예를 들면 0.2㎜~1.0㎜가 바람직하고, 0.4㎜~0.8㎜가 더욱 바람직하다.
적층체(4)를 구성하는 내부 전극(2)은 압전체층(3)을 형성하는 세라믹스와 동시 소성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제 1 극(21) 및 제 2 극(22)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제 1 극(21)이 그라운드극이 되고, 제 2 극(22)이 정극 또는 부극이 된다. 압전체층(3)과 교대로 적층되어서 압전체층(3)을 상하에서 사이에 두고 있고, 적층 순으로 제 1 극(21) 및 제 2 극(22)이 배치됨으로써 그것들 사이에 끼워진 압전체층(3)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다. 이 형성 재료로서, 예를 들면 압전 세라믹스와의 반응성이 낮은 은이나 은-팔라듐 합금을 주성분으로 하는 도체, 또는 구리, 백금 등을 포함하는 도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들에 세라믹 성분이나 유리 성분을 함유시켜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극(21) 및 제 2 극(22)의 단부가 각각 적층체(4)의 대향하는 1쌍의 측면으로 번갈아서 도출되어 있다.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또는 하우징에 장착하는 압전 액추에이터의 경우에는, 내부 전극(2)의 길이는 예를 들면 17㎜~25㎜가 바람직하고, 21㎜~24㎜가 더욱 바람직하다. 내부 전극(2)의 폭은 예를 들면 1㎜~5㎜가 바람직하고, 2㎜~4㎜가 더욱 바람직하다. 내부 전극(2)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5㎛가 바람직하다.
적층체(4)를 구성하는 압전체층(3)은 압전 특성을 갖는 세라믹스로 형성된 것이고, 이러한 세라믹스로서 예를 들면 티탄산 지르콘산 납(PbZrO3-PbTiO3)으로 이루어지는 페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 니오브산 리튬(LiNbO3), 탄탈산 리튬(LiTaO3)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압전체층(3)의 1층의 두께는 저전압으로 구동시키기 때문에, 예를 들면 0.01~0.1㎜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큰 굴곡 진동을 얻기 위해서 200pm/V 이상의 압전 d31 정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4)의 한쪽 주면에는 내부 전극(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표면 전극(5)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의 표면 전극(5)은 큰 면적의 제 1 표면 전극(51), 작은 면적의 제 2 표면 전극(52) 및 제 3 표면 전극(53)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표면 전극(51)은 제 1 극(21)이 되는 내부 전극(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표면 전극(52)은 한쪽 주면측에 배치된 제 2 극(22)이 되는 내부 전극(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 3 표면 전극(53)은 다른쪽 주면측에 배치된 제 2 극(22)이 되는 내부 전극(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또는 하우징에 장착하는 압전 액추에이터의 경우에는, 제 1 표면 전극(51)의 길이는 예를 들면 17㎜~23㎜가 바람직하고, 19㎜~21㎜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표면 전극(51)의 폭은 예를 들면 1㎜~5㎜가 바람직하고, 2㎜~4㎜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표면 전극(52) 및 제 3 표면 전극(53)의 길이는 예를 들면 1㎜~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표면 전극(52) 및 제 3 표면 전극(53)의 폭은 예를 들면 0.5㎜~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전 액추에이터(1)는 압전 소자(10)를 구성하는 적층체(4)의 한쪽 주면에 도전성 접합 부재(7)를 통하여 일부가 접합된 플렉시블 기판(6)을 갖고 있다.
이 플렉시블 기판(6)은 배선 도체(61)를 구비하고, 도전성 접합 부재(7)를 통하여 표면 전극(5)과 배선 도체(6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플렉시블 기판(6)의 일부가 적층체(4)의 한쪽 주면에 접합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판(6)은, 예를 들면 수지 필름 중에 2개의 배선 도체(61)가 매설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이고, 한쪽 끝에는 외부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도전성 접합 부재(7)로서는 도전성 접착제나 땜납 등이 사용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접착제인 것이 좋다.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실리콘 고무, 합성 고무 등의 탄성률(영률)이 낮은 수지 중에 은 분말, 금 분말 등의 금속 분말이나, 수지볼에 Au 도금 등의 도전 피복을 실시한 것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 입자를 분산시켜서 이루어지는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땜납에 비하여 진동에 의해 생기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접착제 중에서도 이방성 도전재인 것이 좋다. 이방성 도전재는 전기적 접합을 담당하는 도전 입자와 접착을 담당하는 수지 접착제로 이루어진다. 이 이방성 도전재는 두께 방향으로는 도통되고, 면내 방향으로는 절연되기 때문에 협피치의 배선에 있어서도 이극(異極)의 표면 전극간에서 전기적으로 쇼트되는 일이 없고, 플렉시블 기판(6)과의 접속부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소자(10)를 구성하는 적층체(4)의 한쪽 주면 중 적어도 플렉시블 기판(6)이 접합된 영역은 다른쪽 주면보다 평탄도가 나쁘게 되어 있다.
평탄도가 나쁘게 되어 있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평탄하지 않고, 보다 큰 요철 또는 단차가 있는 것이며, 예를 들면 10~200㎛의 평탄도이다.
플렉시블 기판(6)이 접합된 영역의 평탄도를 나쁘게 해 둠으로써 플렉시블 기판 자체의 공진 등에 의한 액추에이터의 진동에 추종하지 않는 이상한 진동에 의해 특히 접합부의 근원에 응력 집중의 부하가 걸려도 적층체(4)의 한쪽 주면의 두께가 얇아져 있는 부위(오목부 등)에서는 플렉시블 기판(6)과 접속되는 도전성 접합 부재(7)의 탄성률이 낮기 때문에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은 두께가 얇아져 있는 부위(오목부 등)에서는 플렉시블 기판(6)과 적층체(4)의 간격이 길어져 1개의 도전 입자에 의한 접합이 되기 어려워짐으로써 수지만이 연속되어 있어 탄성률이 낮은 접합이 되는 것에 의한다. 따라서, 플렉시블 기판(6)이 압전 소자(10)로부터 박리된다는 문제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장기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평탄도를 나쁘게 해 둠으로써 도전성 접합 부재(7)와의 접합 면적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접합 강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2)은 제 1 극(21)과 제 2 극(22)을 포함하고, 내부 전극(2)의 제 1 극(21) 및 제 2 극(22)이 적층 방향으로 겹쳐지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활성부(41)와 그 이외[활성부(41) 이외]의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불활성부(42) 사이에서 한쪽 주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6)은 한쪽 주면의 활성부(41)로부터 불활성부(42)에 걸쳐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불활성부(42)의 플렉시블 기판(6)과의 접합부에 도전성 접합 부재(7)를 보다 많이 형성해 둘 수 있다. 따라서, 추종하지 않는 이상한 플렉시블 기판(6)의 진동에 의해 생기는 접합부의 응력, 특히 압전 소자(10) 외주 부근에서의 접합부의 응력을 억제할 수 있어 접합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불활성부(42)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소자(10)의 외주에 배치하는 이외에,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소자(10)의 내측에 배치해도 상관없다.
또한,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소자(10)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 장척 형상체이고,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2)은 제 1 극(21)과 제 2 극(22)을 포함하고, 내부 전극(2)의 제 1 극(21) 및 제 2 극(22)이 적층 방향으로 겹쳐지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폭 방향의 중앙 영역과 그 이외(중앙 영역 이외)의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폭 방향의 단부 영역 사이에서 한쪽 주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6)은 한쪽 주면의 폭 방향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의 단부 영역에 걸쳐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단부 영역의 플렉시블 기판(6)과의 접합부에 도전성 접합 부재(7)를 보다 많이 형성해 둘 수 있다. 따라서, 단부 영역을 기점으로 도전성 접합 부재(7)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도 2(a)의 영역 A로 둘러싸이는 플렉시블 기판(6)의 근원에 부하가 걸린 경우라도 플렉시블 기판(6)이 압전 소자(10)로부터 박리되는 일은 없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6)이 외부 요인에 의해 진동한 경우라도 그 진동을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단부 영역에 의해 많이 형성한 도전성 접합 부재(7)가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압전 소자(10)에 불필요한 진동이 생기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압전 소자(10)의 다른쪽 주면을 평탄하게 해 둠으로써, 예를 들면 진동을 가하는 대상물(예를 들면 후술하는 진동판 등)에 다른쪽 주면을 접합했을 때에 진동을 가하는 대상물과 일체가 되어서 굴곡 진동을 일으키기 쉬워져, 전체적으로 굴곡 진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압전 액추에이터(1)는 소위 바이모르프형 압전 액추에이터로서, 표면 전극(5)으로부터 전기 신호가 입력되어서 한쪽 주면 및 다른쪽 주면이 굴곡면이 되도록 굴곡 진동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압전 액추에이터로서는 바이모르프형에 한정되지 않고, 유니모르프형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후술하는 진동판에 압전 액추에이터의 다른쪽 주면을 접합함(서로 붙임)으로써 유니모르프형이라도 굴곡 진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압전 액추에이터(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압전체층(3)이 되는 세라믹 그린 시트를 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압전 세라믹스의 가소 분말과, 아크릴계, 부티랄계 등의 유기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바인더와, 가소제를 혼합해서 세라믹 슬러리를 제작한다. 그리고, 닥터 블레이드법, 캘린더롤법 등의 테이프 성형법을 사용함으로써 이 세라믹 슬러리를 이용하여 세라믹 그린 시트를 제작한다. 압전 세라믹스로서는 압전 특성을 갖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티탄산 지르콘산 납(PbZrO3-PbTiO3)으로 이루어지는 페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소제로서는 프탈산 디부틸(DBP), 프탈산 디옥틸(DO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내부 전극(2)이 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은-팔라듐 합금의 금속 분말에 바인더 및 가소제를 첨가 혼합함으로써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한다. 이 도전성 페이스트를 상기 세라믹 그린 시트 상에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내부 전극(2)의 패턴으로 도포한다. 또한, 이 도전성 페이스트가 인쇄된 세라믹 그린 시트를 복수매 적층하고, 소정의 온도에서 탈바인더 처리를 행한 후 900~1200℃의 온도에서 소성하고, 평면 연삭반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이 되도록 연삭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교대로 적층된 내부 전극(2) 및 압전체층(3)을 구비한 적층체(4)를 제작한다.
이러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 도전성 페이스트가 인쇄된 세라믹 그린 시트를 복수매 적층한 후, 예를 들면 프레스 장치의 상측(한쪽 주면측)의 금형으로서 오목부를 갖는 금형이나 수지형을 사용하고, 프레스 장치의 하측(다른쪽 주면측)의 금형으로서 평탄한 금형이나 수지형을 사용함으로써 도 1(b)에 나타내는 형상의 압전 액추에이터(1)를 제작할 수 있다.
적층체(4)는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 전극(2)과 압전체층(3)을 복수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적층체(4)를 제작할 수 있다면 어떤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되어도 된다.
그 후,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도전 입자와 유리를 혼합한 것에 바인더, 가소제 및 용제를 첨가해서 제작한 은 유리 함유 도전성 페이스트를 표면 전극(5)의 패턴으로 적층체(4)의 주면 및 측면에 스크린 인쇄법 등에 의해 인쇄해서 건조시킨 후 650~750℃의 온도에서 베이킹 처리를 행하여 표면 전극(5)을 형성한다.
또한, 표면 전극(5)과 내부 전극(2)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경우 압전체층(3)을 관통하는 비아를 형성해서 접속시켜도, 적층체(4)의 측면에 측면 전극을 형성해도 되고, 어떤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되어도 된다.
이어서, 도전성 접합 부재(7)를 사용하여 플렉시블 기판(6)을 압전 소자(10)에 접속 고정(접합)한다.
우선, 압전 소자(10)의 소정의 위치에 도전성 접합 부재용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도포 형성한다. 그 후, 플렉시블 기판(6)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도전성 접합 부재용 페이스트를 경화시킴으로써 플렉시블 기판(6)을 압전 소자(10)에 접속 고정한다. 또한, 도전성 접합 부재용 페이스트는 플렉시블 기판(6)측에 도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전성 접합 부재(7)가 도전성 접착제인 경우로서, 도전성 접착제를 구성하는 수지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도전성 접착제를 압전 소자(10) 또는 플렉시블 기판(6)의 소정의 위치에 도포 형성한 후 압전 소자(10)와 플렉시블 기판(6)을 도전성 접착제를 통하여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열 가압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가 연화 유동하고, 그 후 상온으로 되돌림으로써 다시 열가소성 수지가 경화하고, 플렉시블 기판(6)이 압전 소자(10)에 접속 고정된다.
특히, 도전성 접합 부재(7)로서 이방성 도전 부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근접하는 도전 입자가 접촉하지 않도록 가압량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술에서는 도전성 접착제를 압전 소자(10) 또는 플렉시블 기판(6)에 도포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냈지만 미리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도전성 접착제의 시트를 압전 소자(10)와 플렉시블 기판(6)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가열 가압해서 접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압전 진동 장치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액추에이터(1)와, 압전 액추에이터(1)의 다른쪽 주면에 접합된 진동판(81)을 갖는 것이다.
진동판(81)은 직사각형의 박판 형상을 갖고 있다. 진동판(81)은 아크릴 수지나 유리 등의 강성 및 탄성이 큰 재료를 적합하게 사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진동판(81)의 두께는, 예를 들면 0.4㎜~1.5㎜로 설정된다.
진동판(81)은 압전 액추에이터(1)의 다른쪽 주면에 접합 부재(82)를 통하여 접합되어 있다. 접합 부재(82)를 통하여 진동판(81)에 다른쪽 주면의 전체면이 접합되어 있어도 되고, 대략 전체면이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접합 부재(82)는 필름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접합 부재(82)는 진동판(81)보다 유연하여 변형되기 쉬운 것으로 형성되어 있고, 진동판(81)보다 영률, 강성률, 체적탄성률 등의 탄성률이나 강성이 작다. 즉, 접합 부재(82)는 변형 가능하여 같은 힘이 가해졌을 때에 진동판(81)보다 크게 변형한다. 그리고, 접합 부재(82)의 한쪽 주면(도면의 +z 방향측 주면)에는 압전 액추에이터(1)의 다른쪽 주면(도면의 -z 방향측 주면)이 전체적으로 고착되고, 접합 부재(82)의 다른쪽 주면(도면의 -z 방향측 주면)에는 진동판(81)의 한쪽 주면(도면의 +z 방향측 주면)의 일부가 고착되어 있다.
접합 부재(82)는 단일인 것이어도, 몇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복합체이어도 상관없다. 이러한 접합 부재(82)로서는, 예를 들면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가 부착된 양면 테이프나, 탄성을 갖는 접착제인 각종 탄성 접착제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합 부재(82)의 두께는 압전 액추에이터(1)의 굴곡 진동의 진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두꺼우면 진동이 감쇠되므로, 예를 들면 0.1㎜~0.6㎜로 설정된다. 단, 본 발명의 압전 진동 장치에 있어서는 접합 부재(82)의 재질에 한정은 없고, 접합 부재(82)가 진동판(81)보다 단단하여 변형되기 어려운 것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접합 부재(82)를 갖지 않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본 예의 압전 진동 장치는 전기 신호를 가함으로써 압전 액추에이터(1)를 굴곡 진동시키고, 그것에 의해 진동판(81)을 진동시키는 압전 진동 장치로서 기능한다. 또한, 진동판(8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 단부[도면의 -y 방향 단부나 진동판(81)의 둘레가장자리부 등]를 도시하지 않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해도 상관없다.
본 예의 압전 진동 장치는 불필요한 진동의 발생이 저감된 압전 액추에이터(1)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진동의 발생이 저감된 압전 진동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압전 진동 장치는 압전 액추에이터(1)의 평탄한 다른쪽 주면에 진동판(81)이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압전 액추에이터(1)와 진동판(81)이 강고하게 접합된 압전 진동 장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액추에이터(1)와, 전자 회로(도시 생략)와, 디스플레이(91)와, 하우징(92)을 갖고 있고, 압전 액추에이터(1)의 다른쪽 주면이 하우징(92)에 접합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A-A선으로 절단한 개략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B-B선으로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압전 액추에이터(1)와 하우징(92)이 변형 가능한 접합 부재를 이용하여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 및 도 6에 있어서는 접합 부재(82)가 변형 가능한 접합 부재이다.
변형 가능한 접합 부재(82)로 압전 액추에이터(1)와 하우징(92)을 접합함으로써 압전 액추에이터(1)로부터 진동이 전달되었을 때 변형 가능한 접합 부재(82)가 하우징(92)보다 크게 변형한다.
이때, 하우징(92)으로부터 반사되는 역위상의 진동을 변형 가능한 접합 부재(82)로 완화할 수 있으므로 압전 액추에이터(1)가 주위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하우징(92)에 강한 진동을 전달시킬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접합 부재(82) 중 적어도 일부가 점탄성체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압전 액추에이터(1)로부터의 강한 진동을 하우징(92)에 전하는 한편, 하우징(92)으로부터 반사되는 약한 진동을 접합 부재(82)가 흡수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가 부착된 양면 테이프나, 탄성을 갖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구성의 접합 부재를 사용할 수 있고, 이것들의 두께로서는 예를 들면 10㎛~20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압전 액추에이터(1)는 디스플레이(91)의 커버가 되는 하우징(92)의 일부에 장착되고, 이 하우징(92)의 일부가 진동판(922)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압전 액추에이터(1)가 하우징(92)에 접합된 것을 나타냈지만 압전 액추에이터(1)가 디스플레이(91)에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하우징(92)은 1개의 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의 하우징 본체(921)와, 하우징 본체(921)의 개구를 폐쇄하는 진동판(922)을 갖고 있다. 이 하우징(92)[하우징 본체(921) 및 진동판(922)]은 강성 및 탄성률이 큰 합성수지 등의 재료를 적합하게 사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진동판(922)의 둘레가장자리부는 하우징 본체(921)에 접합재(93)를 통하여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접합재(93)는 진동판(922)보다 유연하여 변형되기 쉬운 것으로 형성되어 있고, 진동판(922)보다 영률, 강성률, 체적탄성률 등의 탄성률이나 강성이 작다. 즉, 접합재(93)는 변형 가능하여 같은 힘이 가해졌을 때에 진동판(922)보다 크게 변형한다.
접합재(93)는 단일인 것이어도, 몇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복합체이어도 상관없다. 이러한 접합재(93)로서는, 예를 들면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가 부착된 양면 테이프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접합재(93)의 두께는 지나치게 두꺼워져서 진동이 감쇠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고, 예를 들면 0.1㎜~0.6㎜로 설정된다. 단, 본 발명의 휴대 단말에 있어서는 접합재(93)의 재질에 한정은 없고, 접합재(93)가 진동판(922)보다 단단하여 변형되기 어려운 것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접합재(93)를 갖지 않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전자 회로(도시 생략)로서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91)에 표시시키는 화상 정보나 휴대 단말에 의해 전달하는 음성 정보를 처리하는 회로나, 통신 회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회로 중 적어도 1개이어도 되고, 모든 회로가 포함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다른 기능을 갖는 회로이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전자 회로를 갖고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전자 회로와 압전 액추에이터(1)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접속용 배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디스플레이(91)는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이고,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기지의 디스플레이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91)는 터치패널과 같은 입력 장치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91)의 커버[진동판(922)]가 터치패널과 같은 입력 장치를 갖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디스플레이(91) 전체나, 디스플레이(91)의 일부가 진동판으로서 기능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디스플레이(91) 또는 하우징(92)이 귀의 연골 또는 기도를 통해서 소리 정보를 전달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예의 휴대 단말은 진동판[디스플레이(91) 또는 하우징(92)]을 직접 또는 다른 물체를 통하여 귀에 접촉시켜서 귀의 연골에 진동을 전함으로써 소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진동판[디스플레이(91) 또는 하우징(92)]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귀에 접촉시키고, 귀의 연골에 진동을 전함으로써 소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주위가 시끄러울 때에도 소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진동판[디스플레이(91) 또는 하우징(92)]과 귀 사이에 개재하는 물체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의 커버이어도 되고, 헤드폰이나 이어폰이어도 되며, 진동을 전달 가능한 물체라면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진동판[디스플레이(91) 또는 하우징(92)]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공기 중에 전파시킴으로써 소리 정보를 전달하는 휴대 단말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복수의 루트 를 통하여 소리 정보를 전달하는 휴대 단말이어도 상관없다.
본 예의 휴대 단말은 불필요한 진동의 발생이 저감된 압전 액추에이터(1)를 사용해서 소리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고품질의 소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압전 액추에이터를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작했다.
압전 소자는 길이가 23.5㎜이고, 폭이 3.3㎜이고, 두께가 0.5㎜인 직육면체상으로 했다. 또한, 압전 소자는 두께가 30㎛인 압전체층과 내부 전극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하고, 압전체층의 총수는 16층으로 했다. 압전체층은 티탄산 지르콘산 납으로 형성했다. 내부 전극은 은 팔라듐의 합금을 사용했다.
활성부를 불활성부보다 두껍게 하기 위해서 은 팔라듐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페이스트가 인쇄된 세라믹 그린 시트를 적층한 후 프레스 장치의 상측(한쪽 주면과 접촉하는 측)의 금형으로서 오목부를 갖는 수지형을 사용하고, 프레스 장치의 하측(다른쪽 주면과 접촉하는 측)의 금형으로서 평탄한 금형을 사용해서 적층체를 프레스하여 활성부가 불활성부보다 두꺼워진 적층 성형체를 제작했다.
그 후, 소정의 온도에서 탈지를 행한 후 1000℃에서 소성을 행하여 적층 소결체를 얻었다.
이어서, 표면 전극을 내부 전극보다 양단에서 1㎜씩 길어지도록 인쇄했다.
완성된 압전 소자는 한쪽 주면에 있어서 활성부가 불활성부에 대하여 50㎛ 돌출되어 있었다. 한편, 다른쪽 주면은 거의 평평했다.
표면 전극을 통하여 내부 전극 사이(제 1 극 사이, 제 2 극 사이)에 2kV/㎜의 전계 강도의 전압을 인가하고, 압전 소자에 분극을 실시했다.
그 후, 플렉시블 기판과 접합하는 압전 소자의 표면에 도전 입자로서 금 도금한 수지볼을 포함한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 형성하고, 플렉시블 기판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열 가압함으로써 플렉시블 기판을 압전 소자에 도통, 고정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압전 액추에이터(시료 No.1)를 제작했다.
또한, 비교예로서 한쪽 주면, 다른쪽 주면 모두 평평한 것 이외는 상술한 시료 No.1과 같은 구성인 본 발명의 범위 외인 압전 액추에이터(시료 No.2)를 제작했다.
그리고, 각각의 압전 액추에이터에 대해서 플렉시블 기판을 통하여 압전 소자에 1kHz의 주파수로 실효치 ±10Vrms의 정현파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 시험을 행한 결과, 시료 No.1, 시료 No.2 모두 100㎛의 변위량을 갖는 굴곡 진동이 얻어졌다.
그 후, 10만사이클의 정현파 신호를 연속적으로 가해서 구동 시험을 행했다. 본 발명의 범위 외인 시료 No.2는 이상 진동이 발생하고, 9만사이클에서 플렉시블 기판이 압전 소자로부터 박리되어버려 있었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의 시료 No.1의 압전 액추에이터는 10만사이클을 경과한 후라도 이상 진동이 발생하지 않고 구동을 계속하고 있었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을 접속 고정하고 있는 도전성 접착제에 크랙이나 균열 등은 보이지 않고, 플렉시블 기판의 박리는 보이지 않았다.
1 : 압전 액추에이터 2 : 내부 전극
21 : 제 1 극 22 : 제 2 극
3 : 압전체층 4 : 적층체
41 : 활성부 42 : 불활성부
5 : 표면 전극 51 : 제 1 표면 전극
52 : 제 2 표면 전극 53 : 제 3 표면 전극
6 : 플렉시블 기판 61 : 배선 도체
7 : 이방성 도전재 81 : 진동판
82 : 접합 부재 91 : 디스플레이
92 : 하우징 921 : 하우징 본체
922 : 진동판 93 : 접합재

Claims (10)

  1. 내부 전극 및 압전체층이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의 한쪽 주면에 상기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표면 전극을 구비한 압전 소자와,
    상기 한쪽 주면에 도전성 접합 부재를 통하여 일부가 접합되고, 상기 표면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 도체를 구비한 플렉시블 기판을 갖고 있고,
    상기 한쪽 주면 중 적어도 상기 플렉시블 기판이 접합된 영역은 다른쪽 주면보다 평탄도가 나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극은 제 1 극과 제 2 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극 및 상기 제 2 극이 적층 방향으로 겹쳐지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활성부와 상기 활성부 이외의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불활성부 사이에서 상기 한쪽 주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한쪽 주면의 상기 활성부로부터 상기 불활성부에 걸쳐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 장척 형상체이고, 상기 내부 전극은 제 1 극과 제 2 극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전극의 상기 제 1 극 및 상기 제 2 극이 적층 방향으로 겹쳐지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상기 폭 방향의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 이외의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상기 폭 방향의 단부 영역 사이에서 상기 한쪽 주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한쪽 주면의 상기 폭 방향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단부 영역에 걸쳐서 접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쪽 주면은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합 부재는 이방성 도전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액추에이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전 액추에이터와, 상기 압전 소자의 상기 다른쪽 주면에 접합된 진동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와 상기 진동판은 변형 가능한 접합 부재를 이용하여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전 액추에이터, 전자 회로, 디스플레이, 및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다른쪽 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하우징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와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하우징은 변형 가능한 접합 부재를 이용하여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하우징은 귀의 연골 또는 기도를 통하여 소리 정보를 전달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1020127025682A 2012-05-12 2012-08-31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 KR101603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10132 2012-05-12
JPJP-P-2012-110132 2012-05-12
PCT/JP2012/072198 WO2013171913A1 (ja) 2012-05-12 2012-08-31 圧電アクチュエータ、圧電振動装置および携帯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561A true KR20140099561A (ko) 2014-08-13
KR101603957B1 KR101603957B1 (ko) 2016-03-16

Family

ID=4958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682A KR101603957B1 (ko) 2012-05-12 2012-08-31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52598B2 (ko)
JP (1) JP5474261B1 (ko)
KR (1) KR101603957B1 (ko)
CN (1) CN103534827B (ko)
TW (1) TWI499102B (ko)
WO (1) WO20131719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2311A (ja) * 1997-07-25 1999-04-06 Ishihara Sangyo Kaisha Ltd 無定形ベンゾイルウレア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温血動物の寄生虫防除剤
JP5905292B2 (ja) * 2012-02-21 2016-04-20 日本碍子株式会社 圧電素子及び圧電素子の製造方法
JP6193748B2 (ja) * 2013-12-05 2017-09-06 京セラ株式会社 圧電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圧電振動装置、携帯端末、音響発生器、電子機器
JP2015185819A (ja) * 2014-03-26 2015-10-22 京セラ株式会社 バイモルフ型圧電素子の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電子機器
US9293683B2 (en) * 2014-05-12 2016-03-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ethod for connecting piezoelectric element and cable substrate, piezoelectric element having cable substrate, and inkjet head including piezoelectric element with cable substrate
KR20170011067A (ko) *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엠플러스 압전진동모듈
KR101790880B1 (ko) 2016-04-29 2017-10-26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90892B1 (ko) 2016-05-17 2017-10-26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음향 신호를 촉각 신호로 변환하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햅틱 장치
KR101790895B1 (ko) 2016-06-14 2017-10-26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다방향성 구동 모듈
JP7163570B2 (ja) * 2017-09-20 2022-11-01 Tdk株式会社 積層型圧電素子及び振動デバイス
KR101899538B1 (ko) 2017-11-13 2018-09-19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햅틱 제어 신호 제공 장치 및 방법
JP6720959B2 (ja) * 2017-12-27 2020-07-08 Tdk株式会社 振動デバイス
NZ771861A (en) 2018-06-15 2022-07-01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testing method therefor
TWI673476B (zh) * 2018-10-04 2019-10-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軟性基板之應變量測與應力優化之方法、裝置、回授系統與電腦可讀取記錄媒體
JP7200796B2 (ja) * 2019-03-27 2023-01-10 Tdk株式会社 圧電素子
EP3718470A1 (en) * 2019-04-02 2020-10-07 Roche Diabetes Care GmbH Ambulatory medical device with vibrator
CN110139478B (zh) * 2019-04-02 2021-08-13 苏州诺莱声科技有限公司 一种一致性好的压电元件与柔性电路板连接方法
US20220192880A1 (en) * 2019-05-17 2022-06-23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Surgical handpiece for providing transverse and longitudinal motion to a surgical tip
JP7234341B2 (ja) 2020-12-31 2023-03-07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装置及び振動発生装置
US20240072687A1 (en) * 2022-08-23 2024-02-29 Tdk Corporation Energy harvesting module and method of making an energy harvesting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396A (ja) * 1991-11-30 1994-01-21 Nippon Dempa Kogyo Co Ltd 超音波探触子
JP3352140B2 (ja) * 1993-03-31 2002-12-03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誘電体積層部品とその製造方法
JP3501860B2 (ja) * 1994-12-21 2004-03-02 日本碍子株式会社 圧電/電歪膜型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236536B2 (ja) * 1997-07-18 2001-12-10 日本碍子株式会社 セラミック基体及びこれを用いたセンサ素子
JP2002010393A (ja) 2000-04-19 2002-01-11 Murata Mfg Co Ltd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US6653762B2 (en) 2000-04-19 2003-11-25 Murata Manufacturing Co., Ltd. Piezoelectric type electric acoustic converter
US6864620B2 (en) * 2000-12-22 2005-03-08 Ngk Insulators, Ltd. Matrix type actuator
JP4465934B2 (ja) * 2001-08-29 2010-05-2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圧電変換素子及びその加工方法、並びにその圧電変換素子を使用したアクチエータ
JP4235804B2 (ja) * 2003-03-04 2009-03-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圧電素子形成部材、圧電素子形成ユニット及び圧電素子ユニット並びに液体噴射ヘッド
JP4328113B2 (ja) * 2003-03-13 2009-09-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超音波モータ
US20070177746A1 (en) 2003-07-02 2007-08-02 Kazuhiro Kobayashi Panel type speaker
JP4438374B2 (ja) * 2003-10-21 2010-03-2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組立体
JP2006222184A (ja) * 2005-02-09 2006-08-24 Nec Tokin Corp 積層型圧電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2006238072A (ja) 2005-02-25 2006-09-07 Nec Tokin Corp 音響振動発生用圧電バイモルフ素子
JP2008085537A (ja) * 2006-09-27 2008-04-10 Fujifilm Corp 超音波用探触子
JP4358220B2 (ja) * 2006-11-21 2009-11-04 Tdk株式会社 積層型圧電素子
US8084922B2 (en) 2007-08-01 2011-12-27 Panasonic Corporation Array scanning type ultrasound probe
JP2009268182A (ja) * 2008-04-22 2009-11-12 Olympus Corp 積層圧電素子及び超音波モータ
JP2010062494A (ja) * 2008-09-08 2010-03-18 Seiko Epson Corp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液滴吐出ヘッド、液滴吐出装置、半導体装置
JP5675137B2 (ja) * 2010-03-23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振動装置に用いられる圧電素子、振動装置、及び振動装置を有する塵埃除去装置
US9007320B2 (en) 2010-10-27 2015-04-14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equipment and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3171913A1 (ja) 2016-01-07
CN103534827A (zh) 2014-01-22
US8952598B2 (en) 2015-02-10
WO2013171913A1 (ja) 2013-11-21
KR101603957B1 (ko) 2016-03-16
TW201347251A (zh) 2013-11-16
CN103534827B (zh) 2016-09-28
TWI499102B (zh) 2015-09-01
JP5474261B1 (ja) 2014-04-16
US20140055932A1 (en)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957B1 (ko)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
KR101601748B1 (ko)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
KR101571451B1 (ko) 압전 액츄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
JP6140731B2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圧電振動装置および携帯端末
KR101523535B1 (ko) 압전소자, 그리고 이것을 구비한 압전 진동장치, 휴대단말, 음향 발생기, 음향 발생장치 및 전자기기
KR101607168B1 (ko)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
KR101601750B1 (ko)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
KR101579121B1 (ko)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
JP6741609B2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圧電振動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40089031A (ko)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
JP6193748B2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圧電振動装置、携帯端末、音響発生器、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