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741A -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케이싱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케이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741A
KR20140093741A KR1020147017505A KR20147017505A KR20140093741A KR 20140093741 A KR20140093741 A KR 20140093741A KR 1020147017505 A KR1020147017505 A KR 1020147017505A KR 20147017505 A KR20147017505 A KR 20147017505A KR 20140093741 A KR20140093741 A KR 20140093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wall
portions
ceiling plate
contact
wall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4116B1 (ko
Inventor
유우스케 나카가와
미키오 가가와
시게키 가미타니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0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outlet air in upwar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실외기의 케이싱(5)은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수직 벽부(41 내지 46)를 갖는 지주(27)와, 이 지주(27)의 상단부에 적재되는 천장판(24)을 구비한다. 지주(27)의 상단부에는, 수직 벽부(41, 42)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됨과 함께, 수직 벽부(41 내지 46)의 상단부로부터 천장판(24)을 들뜨게 한 상태에서 당해 천장판(24)의 하면에 면접촉하는 대략 수평인 접촉부(51, 52)가 설치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케이싱{CASING FOR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빌딩 등의 건물이나 일반 주택에 있어서 이용되는 공기 조화 장치로서,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한 세퍼레이트 타입의 것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 중 실외기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싱의 내부에 압축기나 열교환기 등의 각종 기기를 수납하고 있다. 또한, 실외기의 케이싱은, 각종 기기를 올려놓는 저판과, 이 저판에 세워 설치된 복수개의 지주와, 이 지주의 상단부에 연결된 천장판과, 지주의 사이의 개구를 막는 측면 패널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27991호 공보
상기와 같은 실외기는, 창고 등에 보관될 때 상하 방향으로 단쌓기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하측에 배치된 실외기의 케이싱의 천장판에는 상측에 배치된 실외기의 하중이 하향으로 부여되고, 이 하중은 오로지 지주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지주는 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이나 L자 형상 등으로 굴곡 형성되고, 그 사각 형상이나 L자 형상의 작은 면적의 상단면에서 천장판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천장판은 그 접촉 부분에 있어서 지주로부터 큰 압력을 받는다. 특히, 지주에 있어서의 사각 형상이나 L자 형상의 굴곡부(절곡부)가 천장판에 접촉함으로써 응력이 집중되어, 천장판에 압흔이나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지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천장판에 발생하는 응력 집중을 억제할 수 있는 실외기의 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은,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수직 벽부를 갖는 지주와, 이 지주의 상단부에 적재되는 천장판을 구비한 실외기의 케이싱이며,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는, 상기 수직 벽부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됨과 함께, 당해 수직 벽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천장판을 들뜨게 한 상태에서 당해 천장판의 하면에 면접촉하는 대략 수평인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케이싱에 의하면, 지주의 상단부에는, 수직 벽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천장판을 들뜨게 한 상태에서 당해 천장판의 하면에 면접촉하는 대략 수평인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천장판에 대한 지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천장판이 지주로부터 받는 압력을 가급적 작게 하여, 천장판에 발생하는 응력 집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는 수직 벽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되므로, 수직 벽부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부품 개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2) 상기 수직 벽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는, 천장판측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완충부가 설치됨으로써, 실외기를 단쌓기할 때 등 천장판에 강한 충격이 가해졌다고 해도 그 충격을 지주측에서 완화하여, 천장판에 과대한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상기 완충부는 상기 수직 벽부와 상기 접촉부의 경계부를 라운드 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에 의해 완충부를 설치할 수 있다.
(4) 상기 지주는 상기 천장판의 코너부에 합쳐서 배치된 2개의 수직 벽부를 갖고 있고, 이 2개의 수직 벽부로부터 상기 접촉부가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비교적 강도가 높은 천장판의 코너부에 합쳐서 배치된 2개의 수직 벽부로부터 접촉부가 연장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이 접촉부가 면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천장판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5) 상기 지주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직 벽부를 갖고, 이 중 2개의 수직 벽부가 상기 천장판의 코너부에 합쳐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천장판의 코너부에 합쳐서 배치된 2개의 수직 벽부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비교적 강도가 높은 천장판의 코너부에 합쳐서 배치된 2개의 수직 벽부로부터 접촉부가 연장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이 접촉부가 면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천장판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천장판의 코너부에 합쳐서 배치된 2개의 수직 벽부 이외의 다른 2개의 수직 벽부의 상단부에 대해서도 직접적으로 천장판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당해 상단부가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여 천장판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상기 천장판은, 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이며, 상기 천장판의 코너부에는 평탄한 적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장판의 각 변에 대하여, 상기 코너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은 장치측으로 후퇴 배치된 후퇴부로 되어 있고,
상기 후퇴부의 단부와 상기 적재부가 상승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지주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적재부의 하면에 면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천장판은, 각 변의 중간 부분에 장치측으로 후퇴 배치된 후퇴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후퇴부에 나사못이나 볼트의 삽입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이 삽입 관통 구멍을 사용하여 천장판의 고정을 행함으로써, 수송 시나 보관 시에 복수의 실외기끼리가 근접하여 배치되는 경우에도, 인접하는 실외기 간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이나 볼트의 헤드부가 옆의 실외기와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다. 또한, 천장판의 각 코너부에는 평탄한 적재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후퇴부의 단부와 적재부가 상승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실외기를 단쌓기하여 보관하는 경우라도, 평탄한 적재부에 의해 상방의 실외기로부터의 하중을 받을 수 있고, 또한, 리브로서 기능하는 상승부에 의해 적재부의 내하중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의 실외기와 하측의 실외기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를 간소화할 수 있어, 보관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천장판에 발생하는 응력 집중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의 외관 및 일부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외기의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외기에 있어서의 케이싱의 지주의 상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지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지주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주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천장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천장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천장판의 상승부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의 외관 및 일부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실외기의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실외기(2)는 예를 들면 빌딩용 멀티 타입의 공기 조화 장치에 사용되는 것이며, 케이싱(실외기 본체)(5)과, 이 케이싱(5)에 내장된 실외 열교환기(13), 압축기(11), 사방 전환 밸브(12), 어큐뮬레이터(20), 오일 세퍼레이터(21) 등의 냉매 회로를 구성하는 기기와, 전장품 유닛(38)과, 송풍 팬(23)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실외기(2)는 송풍 팬(23)의 구동에 의해 케이싱(5)의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실외 열교환기(13)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 후에 케이싱(5)의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상방 분출 타입으로 되어 있다.
케이싱(5)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 프레임(26), 지주(27), 하측면 패널(29), 상측면 패널(25), 천장판(24) 등을 갖고 있다. 바닥 프레임(26)은, 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로 대향하는 2변에는 지면에 접지하는 다리부(26a)가 설치되어 있다. 지주(27)는 상하 방향으로 긴 장척 부재를 포함하고, 바닥 프레임(26)의 4코너에 볼트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지주(27)의 형상이 간략화된 상태(단면 대략 L자 형상)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지주(27)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주(27)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판(24)은 바닥 프레임(26)과 대략 동일한 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 프레임(26)의 상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천장판(24)의 4코너는 각 지주(27)의 상단부에 적재되고, 천장판(24)은 볼트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해 상측면 패널(25) 등에 연결되어 있다. 천장판(24)에는 대략 사각 형상의 통풍구(24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통풍구(24a)에는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그릴(24b)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5)의 상부에는 벨 마우스(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벨 마우스(30)는 송풍 팬(23)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통풍 가이드(통풍 부재)(30a)를 갖고 있고, 통풍 가이드(30a)는 송풍 팬(23)의 원 형상의 회전 궤적을 따른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케이싱(5)으로부터의 공기의 분출구를 형성하고 있다.
벨 마우스(30)의 주위에 있어서의 케이싱(5)의 4개의 측면에는 상측면 패널(25)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 팬(23), 벨 마우스(30) 및 전장품 유닛(38)은, 상측면 패널(25)이나 천장판(24)에 의해 덮임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5)의 바닥 프레임(26) 상에는, 실외 열교환기(13), 압축기(11), 폐쇄 밸브(18, 19), 어큐뮬레이터(20), 오일 세퍼레이터(21), 사방 전환 밸브(12) 등의 기기가 탑재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13)는 크로스 핀 코일식이며, 알루미늄제의 다수의 핀을 전열관이 수평으로 관통하여, 전열관을 흐르는 냉매와 실외 열교환기(13)를 유통하는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13)는 케이싱(5)의 하나의 코너부(좌측 전방측의 코너부)(5A)를 제외한 범위에서 4개의 측면에 대향(대응)하고, 또한 4개의 측면을 따라서 대략 사각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실외 열교환기(13)는 케이싱(5)의 전방측의 측면(전방면)을 따르는 전방 열교환부(32)과, 우측의 측면을 따르는 우측 열교환부(33)와, 후방측의 측면(후방면)을 따르는 후방 열교환부(34)와, 좌측의 측면을 따르는 좌측 열교환부(35)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전방 열교환부(32)와 우측 열교환부(33) 사이, 우측 열교환부(33)와 후방 열교환부(34) 사이 및 후방 열교환부(34)와 좌측 열교환부(35) 사이가 대략 90도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5)은 실외 열교환기(13)의 하나의 측단부(전방 열교환부(32)의 좌단부)(32a)와 좌측 전방측의 지주(27) 사이, 및 이 지주(27)와 실외 열교환기(13)의 다른 측단부(좌측 열교환부(35)의 전단부)(35a) 사이에, 각각 하측면 패널(29)(도 1 참조)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폐쇄되는 개구부(36A, 36B)를 구비하고 있다.
폐쇄 밸브(18, 19)는 케이싱(5)의 전방 개구부(36A)를 향하도록 설치대를 사이에 두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11)는 전방 개구부(36A)의 우측 근방에 배치되고, 전방 개구부(36A)를 통하여 전방으로부터 대략 전체를 시인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바닥 프레임(26) 상의 어큐뮬레이터(20)나 오일 세퍼레이터(21)는 케이싱(5) 내의 후방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실외기에 있어서의 케이싱의 지주의 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지주의 평면도, 도 5는 지주의 정면도이다.
지주(27)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수직 벽부(41 내지 46)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지주(27)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 형상으로 배치된 제1 내지 제4 수직 벽부(41 내지 44)를 갖고 있다. 제1, 제2 수직 벽부(41, 42)는 서로 대략 90°의 각도로 굴곡되어, 천장판(24)의 코너부(24c)에 합쳐서 배치되어 있다. 제3 수직 벽부(43)는 제1 수직 벽부(41)에 대하여 대략 90도의 각도로 굴곡되어, 제2 수직 벽부(42)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고 있다. 제4 수직 벽부(44)는 제2 수직 벽부(42)에 대하여 대략 90도의 각도로 굴곡되어, 제1 수직 벽부(4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고 있다. 제3 수직 벽부(43)와 제4 수직 벽부(44) 사이에는 개구(4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주(27)는 제5, 제6 수직 벽부(45, 46)를 갖고 있다. 제5 수직 벽부(45)는 제3 수직 벽부(43)에 대하여 대략 90도의 각도로 굴곡되어, 제1 수직 벽부(41)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6 수직 벽부(46)는 제4 수직 벽부(44)에 대하여 대략 90도의 각도로 굴곡되어, 제2 수직 벽부(42)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제5, 제6 수직 벽부(45, 46)는 바닥 프레임(26)이나 측면 패널(25, 29) 등을 지주(27)에 설치할 때의 설치부로 된다.
제1 수직 벽부(41)의 상단부에는 제1 접촉부(51)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접촉부(51)는 제1 수직 벽부(41)에 대하여 대략 90도의 각도로 절곡되어,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수직 벽부(42)의 상단부에는 제2 접촉부(52)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접촉부(52)는 제2 수직 벽부(42)에 대하여 대략 90도의 각도로 절곡되어,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천장판(24)은 제1, 제2 접촉부(51, 52)의 상면에 적재됨으로써 지주(27)에 지지되어 있다. 즉, 천장판(24)은 제1, 제2 접촉부(51, 52)에 의해 각 수직 벽부(41 내지 46)의 상단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당해 상단부로부터 들뜬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제1 수직 벽부(41)와 제1 접촉부(51)의 경계부(55) 및 제2 수직 벽부(42)와 제2 접촉부(52)의 경계부(56)는 라운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제1 접촉부(51) 및 제2 접촉부(52)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경계부(55, 56)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모가 나지 않아, 당해 경계부(55, 56)가 직접 천장판(24)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1 접촉부(51)와 제2 접촉부(52) 사이에는 절입(5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계부(55, 56)는 서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외기(2)는 예를 들면 창고 등에 보관될 때 상하 방향으로 단쌓기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하측에 배치되는 실외기(2)의 천장판(24)에는 하향의 하중이 부여되고, 그 반력으로서 천장판(24)은 지주(27)로부터 상향의 하중을 받는다. 실외기(2)의 천장판(24)은 대략 수평인 제1, 제2 접촉부(51, 52) 상에 적재되어, 제1, 제2 접촉부(51, 52)에 면접촉함으로써 지주(27)와의 접촉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주(27)로부터 상향의 하중(반력)을 받았다고 해도, 천장판(24)에 부여되는 압력을 작게 할 수 있어, 천장판(24)에 발생하는 응력 집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주(27)의 수직 벽부(41 내지 46)의 사이에는 굴곡부(61 내지 65)가 형성되고, 특히, 이들 굴곡부(61 내지 65)가 접촉하는 부분에서 천장판(24)에 응력이 집중되기 쉬워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천장판(24)은 지주(27)의 각 수직 벽부(41 내지 46)의 상단부로부터 들뜬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굴곡부(61 내지 65)에도 접촉하지 않고, 그 때문에 응력 집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수직 벽부(41, 42)와 제1, 제2 접촉부(51, 52)의 경계부(55, 56)는 라운드 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제1, 제2 접촉부(51, 52)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으므로, 실외기(2)를 단쌓기할 때 등 천장판(24)에 큰 충격이 부여된 경우라도, 제1, 제2 접촉부(51, 52)의 탄성 변형에 의해 충격을 완화하여, 천장판(24)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 제1, 제2 수직 벽부(41, 42)와 제1, 제2 접촉부(51, 52)의 경계부(55, 56)는 천장판(24)에 부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제1, 제2 접촉부(51, 52)의 사이에 절입(59)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1, 제2 접촉부(51, 52)가 상하 방향으로 보다 탄성 변형하기 쉬워져, 천장판(24)에 부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이 높여져 있다.
또한, 제1, 제2 접촉부(51, 52)는 비교적 강도가 높은 천장판(24)의 코너부(24c)에 합쳐서 배치된 제1, 제2 수직 벽부(41, 42)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제2 접촉부(51, 52)가 면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천장판(24)의 변형 등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실외기(2)를 단쌓기하는 경우, 양자의 사이에는, 통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 부재가 삽입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지주(27)에는 완충부로서 기능하는 경계부(55, 56)가 형성되므로, 완충 부재의 박육화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주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주(27)에 있어서의 제1, 제2 수직 벽부(41, 42)뿐만 아니라, 제3, 제4 수직 벽부(43, 44)에도 접촉부(제3, 제4 접촉부)(53, 5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보다도 지주(27)와 천장판(24)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보다 응력 집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3, 제4 수직 벽부(43, 44)와 제3, 제4 접촉부(53, 54)의 경계부(57, 58)는 라운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천장판(24)이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가 보다 향상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천장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예에 있어서의 천장판(24)의 통풍구(24a)의 주연에는, 천장판(24)의 표면보다도 약간 낮은 저부(24d)가 형성되고, 이 저부(24d)에 의해 오목부(24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저부(24d)의 4코너에는 너트(24f)가 고착되고, 이 너트(24f) 및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사용하여, 그릴(24b)(도 1 참조)이 오목부(24e) 내에 배치되어 있다.
천장판(24)의 4개의 코너부(24c)에는 평탄한 적재부(7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장판(24)의 각 변에 대하여, 천장판(24)의 코너부(24c)를 제외한 중간 부분, 바꾸어 말하면, 각 변의 양단부의 적재부(70) 간은 후퇴부인 경사면(71)으로 되어 있다. 이 「후퇴부」는 그 표면이 천장판(24)의 코너부(24c)의 테두리(24g)보다도 장치 내부측으로 후퇴 배치된 부분이며, 이 후퇴 배치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스는 근접하여 배치된 다른 실외기와 서로 간섭하는 일은 없다.
경사면(71)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나사못의 삽입 관통 구멍(72)이 뚫려 형성되어 있고, 천장판(24)은 삽입 관통 구멍(72)을 이용한 나사못(도시 생략)에 의해 상측면 패널(25)의 상단부 테두리에 설치된다. 또한, 상측면 패널(25)의 상단부 테두리는, 천장판(24)의 경사면(71)의 경사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절곡 가공되어 있다. 나사못의 헤드부는 경사면(71)의 후퇴 배치된 스페이스에 위치하므로, 복수의 실외기를 근접시켜 수송, 보관하는 경우라도, 당해 나사못의 헤드부가 인접하는 실외기의 케이싱과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복수의 실외기의 사이에 완충 부재를 삽입하는 경우라도, 이 완충 부재에 나사못의 헤드부를 흡수하는 부위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완충 부재를 간소화하여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천장판(24)의 각 코너부(24c)에 형성된 적재부(70)와, 경사면(71)의 단부(71a)는 대략 삼각 형상의 수직면(73)을 포함하는 상승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평탄한 적재부(70)는 수직 방향의 하중을 받을 수 있고, 또한, 수직면(73)은 리브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천장판(24)의 내하중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실외기(2)를 단쌓기하여 보관하는 경우에, 양자의 사이에는 두꺼운 완충 부재를 삽입할 필요가 없어, 완충 부재를 간소화하여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완충 부재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어, 실외기(2)의 보관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천장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 형태의 천장판(24)에는, 각 코너부(24c)의 사이의 후퇴부가, 제3 실시 형태와 같은 경사면(71)이 아니라, 대략 90도로 굴곡되는 단차부(171)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삽입 관통 구멍(72)에 삽입한 나사못의 헤드부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퇴부(171)의 단부와 적재부(70)를 접속하는 상승부로서, 대략 사각 형상의 수직면(173)이 채용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상승부가 적재부(7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수직면(73, 173)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도 9의 (a) 참조), 이 이외에, 도 9의 (b)에 도시된 경사면(75)이나, 도 9의 (c)에 도시된 곡면(76)을 상승부로 할 수 있다. 이들 경사면(75) 및 곡면(76)은 리브로서 기능하여, 적재부(70)의 내하중을 크게 하는 데 기여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지주(27)의 형상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주(27)는 제5, 제6 수직 벽부(45, 46)를 생략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지주(27)는 제5, 제6 수직 벽부(45, 46)를 생략함과 함께, 제3 수직 벽부(43)와 제4 수직 벽부(44)를 접속함으로써, 개구(47)를 구비하지 않는 사각 통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지주(27)는 제1, 제2 수직 벽부(41, 42)만을 포함하는 형상(평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접촉부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벽부로부터 연장 설치할 수 있다. 단, 천장판(24)과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 2 이상의 수직 벽부로부터 접촉부를 연장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촉부(51 내지 54)는 수직 벽부(41 내지 44)의 내측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었지만, 외측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방 분출 타입의 실외기(2)에 한하지 않고, 지주(27)와 천장판(24)을 갖는 케이싱(5)을 구비한 모든 실외기에 적용할 수 있다.
2 : 실외기
5 : 케이싱
24 : 천장판
24c : 코너부
27 : 지주
41 : 제1 수직 벽부
42 : 제2 수직 벽부
43 : 제3 수직 벽부
44 : 제4 수직 벽부
45 : 제5 수직 벽부
46 : 제6 수직 벽부
51 : 제1 접촉부
52 : 제2 접촉부
53 : 제3 접촉부
54 : 제4 접촉부
55 내지 58 : 경계부(완충부)
70 : 적재부
71 : 경사면(후퇴부)
73 : 수직면(상승부)
75 : 경사면(상승부)
76 : 곡면(상승부)
171 : 단차부(후퇴부)
173 : 수직면(상승부)

Claims (6)

  1.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수직 벽부(41 내지 46)를 갖는 지주(27)와, 이 지주(27)의 상단부에 적재되는 천장판(24)을 구비한 실외기의 케이싱이며,
    상기 지주(27)의 상단부에는, 상기 수직 벽부(41 내지 44)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됨과 함께, 당해 수직 벽부(41 내지 44)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천장판(24)을 들뜨게 한 상태에서 당해 천장판(24)의 하면에 면접촉하는 대략 수평인 접촉부(51 내지 5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케이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벽부(41 내지 44)와 상기 접촉부(51 내지 54) 사이에, 천장판(24)측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55 내지 58)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케이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55 내지 58)는, 상기 수직 벽부(41 내지 44)와 상기 접촉부(51 내지 54)의 경계부를 라운드 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케이싱.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27)는, 상기 천장판(24)의 코너부(24c)에 합쳐서 배치된 2개의 수직 벽부(41, 42)를 갖고 있고,
    이 2개의 수직 벽부(41, 42)로부터 상기 접촉부(51, 52)가 연장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케이싱.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27)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직 벽부(41 내지 44)를 갖고, 이 중 2개의 수직 벽부(41, 42)가 상기 천장판(24)의 코너부(24c)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51, 52)가, 상기 천장판(24)의 코너부(24c)에 합쳐서 배치된 2개의 수직 벽부(41, 42)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케이싱.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판(24)은, 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이며, 상기 천장판의 코너부(24c)에는 평탄한 적재부(7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장판(24)의 각 변에 대하여, 상기 코너부(24c)를 제외한 중간 부분은 장치측으로 후퇴 배치된 후퇴부(71, 171)로 되어 있고,
    상기 후퇴부(71, 171)의 단부와 상기 적재부(70)가 상승부(73, 173, 75, 76)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지주(27)의 상기 접촉부(51 내지 54)는, 상기 적재부(70)의 하면에 면접촉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케이싱.
KR1020147017505A 2011-11-30 2012-10-10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케이싱 KR101464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2432 2011-11-30
JP2011262432A JP5310829B2 (ja) 2011-11-30 2011-11-30 空気調和装置における室外機のケーシング
PCT/JP2012/076218 WO2013080677A1 (ja) 2011-11-30 2012-10-10 空気調和装置における室外機のケーシン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741A true KR20140093741A (ko) 2014-07-28
KR101464116B1 KR101464116B1 (ko) 2014-11-21

Family

ID=4853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7505A KR101464116B1 (ko) 2011-11-30 2012-10-10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케이싱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12845B2 (ko)
EP (1) EP2787290B1 (ko)
JP (1) JP5310829B2 (ko)
KR (1) KR101464116B1 (ko)
CN (1) CN203810594U (ko)
AU (1) AU2012345177B2 (ko)
ES (1) ES2593626T3 (ko)
WO (1) WO20130806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537B1 (ko) * 2015-01-05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조 방법
JP6730671B2 (ja) * 2016-05-31 2020-07-2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879458B2 (ja) * 2017-03-15 2021-06-0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673375B2 (ja) * 2018-01-31 2020-03-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EP3764489A4 (en) * 2018-04-09 2021-03-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TUNABLE WAVELENGTH LASER
CN108944346B (zh) * 2018-08-27 2023-10-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壳体及方舱空调
US11754331B2 (en) * 2019-10-25 2023-09-12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Divider panel for HVAC system
CN114593470A (zh) * 2020-12-04 2022-06-07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用于空调室外机的出风罩体、空调室外机及其控制方法
CN113983564B (zh) * 2021-11-09 2023-05-05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室外机机壳及其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040A (en) * 1914-01-27 1915-02-16 Franklin P Smith Joint for structural metal-work.
US1369109A (en) * 1918-04-03 1921-02-22 Claudius H Huston Metal article and method of jointing the same
US2028058A (en) * 1933-02-11 1936-01-14 Gen Motors Corp Quick-assembled sectional cabinet
US2520506A (en) * 1946-03-14 1950-08-29 Designers For Industry Inc Sectional wall cabinet
US3182846A (en) * 1961-04-11 1965-05-11 Borg Warner Cabinet structure
GB1101356A (en) * 1964-05-04 1968-01-31 C & N Electrical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ructural members and arrangements, particularly for use with modular units of equipment
US3220365A (en) * 1964-06-19 1965-11-30 Larson Co Charles O Table leg assembly
US3379481A (en) * 1965-10-20 1968-04-23 Jessie M. Fisher Cover for external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3994241A (en) * 1975-10-06 1976-11-30 Keyrack Company, Inc. Removable stacking frame assembly for pallets
US4309365A (en) * 1980-03-03 1982-01-05 David Van Ness Non-corrosive, non-staining evaporative cooler
US4553484A (en) * 1982-09-30 1985-11-19 Cox Clayton E Cornerboard for pallets
US4600252A (en) * 1984-02-23 1986-07-15 Barber Steven C Modular metal cabinet
US5022719A (en) * 1990-02-23 1991-06-11 Amstore Corporation Lighted display case
GB2286963A (en) * 1994-02-25 1995-09-06 Ub Office Systems Co Ltd Cabinet side panel and interlocking frame strip assembly
US5918551A (en) * 1998-02-04 1999-07-06 Liu; Ching Rong Trestle stage
US6023898A (en) * 1998-06-01 2000-02-15 Ground Star, Llc Metal frame building construction
KR100425736B1 (ko) * 2001-12-28 200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실외유니트용 외부케이스
JP3719233B2 (ja) * 2002-07-04 2005-11-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05056882A (ja) * 2003-08-04 2005-03-03 Kyocera Mita Corp フレームの連結構造
JP4894299B2 (ja) * 2005-11-01 2012-03-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US7690613B2 (en) * 2006-01-25 2010-04-06 Kearney-National Inc. Transformer base for lighting poles
JP4986647B2 (ja) * 2007-02-07 2012-07-2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4835585B2 (ja) 2007-11-28 2011-12-1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1196665A (ja) * 2010-03-24 2011-10-0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2132659A (ja) * 2010-12-24 2012-07-12 Sanyo Electric Co Ltd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US8456814B2 (en) * 2011-02-28 2013-06-04 Hubbell Incorporated Enclosure for an electrical system
EP2711640B1 (en) * 2011-05-20 2018-04-04 Daikin Industries, Ltd. Outdoor unit for refrigeration device
JP5240377B2 (ja) * 2011-05-20 2013-07-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ES2702236T3 (es) * 2011-05-20 2019-02-28 Daikin Ind Ltd Unidad exterior para dispositivo de refrigeración
US20130047857A1 (en) * 2011-08-31 2013-02-28 John R. Bohlen Air cleaner with an electrical current in a corona wire correlating to air speed
JP5304865B2 (ja) * 2011-09-29 2013-10-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5360186B2 (ja) * 2011-11-30 2013-12-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5353998B2 (ja) * 2011-11-30 2013-11-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5218629B2 (ja) * 2011-12-12 2013-06-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ヒ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7290B1 (en) 2016-07-13
ES2593626T3 (es) 2016-12-12
AU2012345177B2 (en) 2014-10-02
EP2787290A1 (en) 2014-10-08
US9212845B2 (en) 2015-12-15
WO2013080677A1 (ja) 2013-06-06
KR101464116B1 (ko) 2014-11-21
AU2012345177A1 (en) 2014-07-17
JP2013113554A (ja) 2013-06-10
CN203810594U (zh) 2014-09-03
EP2787290A4 (en) 2015-04-15
US20140339968A1 (en) 2014-11-20
JP5310829B2 (ja) 201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116B1 (ko)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케이싱
KR101439813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US9459039B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device
JP5899489B2 (ja) ファンガード、及び、空気調和装置
KR102360951B1 (ko) 배터리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US10359211B2 (en)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vice
CN105848444B (zh) 一种新型机柜
JP200730378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及び室外機の取付け脚の製造方法
KR101757701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JP5516476B2 (ja) 空気調和機の包装装置
CN219371810U (zh) 一种抗振机柜底座结构
CN217125758U (zh) 一种防撞结构及具有其的集装箱
JP686881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CN211860868U (zh) 机柜固定装置及箱式数据中心
KR101222044B1 (ko) 진동 흡수 장치
JP6635131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EP2921793A1 (en) Integrated indoor-outdoor unit type air conditioner
JPWO2016175270A1 (ja) 蓄電装置および補強構造
JP2006303280A (ja) 電気電子機器収納箱及びその組立方法
JP2014240734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4240298A (ja) 空気調和装置の梱包装置
CN112761329A (zh) 铝合金地板及其支撑架
CN110822566A (zh) 一种l型支撑结构及空调
JP2018203321A (ja) パレット
JP2010091225A (ja) 分割型冷却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