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813B1 -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9813B1 KR101439813B1 KR1020147017508A KR20147017508A KR101439813B1 KR 101439813 B1 KR101439813 B1 KR 101439813B1 KR 1020147017508 A KR1020147017508 A KR 1020147017508A KR 20147017508 A KR20147017508 A KR 20147017508A KR 101439813 B1 KR101439813 B1 KR 1014398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door unit
- bottom frame
- heat exchanger
- plate
- lowe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6—Drip trays for outdoor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0—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outlet air in upward dir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열 교환기로부터 적하하는 결로수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실외기를 제공한다. 실외기(2)의 바닥 프레임(26)에서의 열 교환기(13)의 하방에 배수구(42, 44)가 형성되고, 바닥 프레임(26)의 기초 다리(40)는 바닥 프레임(26)의 하면에 접촉하는 상판(51b, 52b), 설치면(G)에 고정되는 하판(51a, 52a) 및 상판(51b, 52b)과 하판(51a, 52a)을 접속하는 수직판(51c, 52c)으로부터 단면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부분(51)과 제2 부분(52)을 포함하고, 제1 부분(51)은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단면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하판(51a)이 설치면(G)에 대하여 고정되고, 제2 부분(52)은 적어도 기초 다리(4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배수구(42, 44)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됨과 함께 수평 방향의 내측으로 개방되는 단면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상판(52b)이 배수구(42, 44)의 하방 영역을 피한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실외기의 바닥 프레임에는, 열 교환기나 압축기 등의 냉매 회로를 구성하는 기기가 탑재되고, 열 교환기의 하방이며 바닥 프레임의 전방 가장자리 및 후방 가장자리의 하면에는, 설치면에 고정되는 기초 다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초 다리는, 지면에 접하는 하판과, 바닥 프레임의 하면에 접하는 상판과, 상판으로부터 하판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판으로부터 단면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 프레임의 전방 가장자리에 설치된 기초 다리는, 전방으로 개방된 역ㄷ자 형상으로 되고, 바닥 프레임의 후방 가장자리에 설치된 기초 다리는, 후방으로 개방된 역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실외기의 바닥 프레임은, 난방 운전 시에 열 교환기에서 발생한 결로수를 받는 드레인 팬으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고, 바닥 프레임의 적소에는 결로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한냉지 등에서 사용되는 실외기의 경우, 결로수가 열 교환기에 부착된 채 동결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동결된 결로수를 녹여서, 열 교환기로부터 적하시키는 디프로스트 운전이 행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실외기는, 열 교환기로부터 적하한 결로수가 드레인 구멍으로부터 배출될 때까지 바닥 프레임 상을 흐르기 때문에, 빠르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바닥 프레임 상에서 다시 동결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열 교환기로부터 적하하는 결로수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은 바닥 프레임과, 이 바닥 프레임 상에 탑재된 열 교환기와, 이 열 교환기의 하방이며 상기 바닥 프레임의 하면에 설치된 기초 다리를 구비하고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이며,
상기 바닥 프레임에서의 상기 열 교환기의 하방에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초 다리는 상기 바닥 프레임의 하면에 접촉하는 상판과, 설치면에 적재되는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을 접속하는 수직판으로부터 단면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기초 다리는, 길이 방향의 일부인 제1 부분과, 길이 방향의 다른 일부인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단면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그 하판이 상기 설치면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기초 다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배수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됨과 함께, 수평 방향의 내측으로 개방되는 단면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판이 상기 배수구의 하방 영역을 회피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바닥 프레임에서의 열 교환기의 하방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 교환기로부터 적하한 결로수를 빠르게 배수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디프로스트 운전 등에 의해 녹은 결로수가 바닥 프레임 상에서 재동결되어 버리는 경우는 거의 없다. 또한, 기초 다리의 제2 부분의 상판이, 배수구의 하방 영역을 회피한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그 상판이 방해되지 않고 배수구로부터 실외기의 외부로 적절하게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은, 수평 방향의 내측으로 개방된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수구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나 기초 다리를 타고 흐른 물의 자국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도 거의 없다. 또한, 기초 다리의 제1 부분은,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치면에 대하여 기초 다리를 고정할 때 작업성이 손상되는 경우도 없다.
(2) 상기 제2 부분의 상판은 적어도 상기 배수구의 부근에 있어서 그 배수구보다도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후퇴한 후퇴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2 부분의 상판을 간소한 구조로 하면서, 배수구로부터 실외기의 외부로 적절하게 물을 배출할 수 있다.
(3)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후퇴부보다도 수평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 프레임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2 부분의 상판이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후퇴한 후퇴부를 갖고 있으면, 그 상판에 접촉하는 바닥 프레임의 면적이 작아져서, 지지 강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지만, 후퇴부보다도 수평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설치함으로써 바닥 프레임의 지지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4)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수구를 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지지부에 의해 배수구로부터의 배수성이 손상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상기 바닥 프레임에는, 상기 열 교환기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가 상방으로 불룩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적재부에 상기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열 교환기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적재부에 배수구를 형성함으로써, 열 교환기로부터 적하하는 물의 배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6) 상기 제1 부분의 하판과 상기 제2 부분의 하판의 경계부, 또는 상기 제2 부분의 하판에는, 그 제2 부분의 하판으로부터 상기 제1 부분의 하판으로의 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물 유출 방지 구조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배수구로부터 배출된 결로수가 제2 부분의 하판 상으로 적하하더라도, 제1 부분의 하판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결로수의 흐름이나 그 자국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 교환기로부터 적하하는 결로수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실외기를 갖는 공기 조화 장치의 냉매 회로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실외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실외기의 측면 패널 및 천장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실외기 내부의 평면도.
도 5는 후방측 기초 다리와 바닥 프레임의 일부를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전방측 기초 다리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기초 다리의 제1 부분의 단면도.
도 8은 기초 다리의 제2 부분의 단면도.
도 9는 기초 다리의 단부와 지주의 연결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의 (a)는 지주와 빔 부재의 연결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b)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과 볼트의 치수차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지주와 빔 부재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실외기의 기초 다리 일부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실외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실외기의 측면 패널 및 천장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실외기 내부의 평면도.
도 5는 후방측 기초 다리와 바닥 프레임의 일부를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전방측 기초 다리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기초 다리의 제1 부분의 단면도.
도 8은 기초 다리의 제2 부분의 단면도.
도 9는 기초 다리의 단부와 지주의 연결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의 (a)는 지주와 빔 부재의 연결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b)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과 볼트의 치수차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지주와 빔 부재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실외기의 기초 다리 일부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실외기를 갖는 공기 조화 장치의 냉매 회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예를 들어 빌딩용 멀티 타입의 공기 조화 장치이며, 1개 또는 복수의 실외기(2)에 대하여 복수의 실내기(3)가 병렬로 접속되어, 냉매가 유통될 수 있도록, 냉매 회로(10)가 형성되어 있다.
실외기(2)에는, 압축기(11), 사방 전환 밸브(12), 실외 열 교환기(13), 실외 팽창 밸브(14), 어큐뮬레이터(20), 오일 세퍼레이터(21) 등이 설치되고, 이들은 냉매 배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외기(2)에는, 송풍 팬(23)이 설치되어 있다. 실내기(3)에는, 실내 팽창 밸브(15) 및 실내 열 교환기(16) 등이 설치되어 있다. 사방 전환 밸브(12)와 실내 열 교환기(16)는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17a)에 의해 접속되고, 실외 팽창 밸브(14)와 실내 팽창 밸브(15)는 액측 냉매 연락 배관(17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실외기(2)의 내부 냉매 회로의 단말기부에는, 가스측 폐쇄 밸브(18)와 액측 폐쇄 밸브(19)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측 폐쇄 밸브(18)는 사방 전환 밸브(12)측에 배치되어 있고, 액측 폐쇄 밸브(19)는 실외 팽창 밸브(14)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스측 폐쇄 밸브(18)에는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17a)이 접속되고, 액측 폐쇄 밸브(19)에는 액측 냉매 연락 배관(17b)이 접속된다.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장치(1)에 있어서, 냉방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사방 전환 밸브(12)가 도 1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유지된다.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가스 상태 냉매는, 오일 세퍼레이터(21) 및 사방 전환 밸브(12)를 거쳐서 실외 열 교환기(13)로 유입되고, 송풍 팬(23)의 작동에 의해 실외 공기와 열 교환하여 응축·액화한다. 액화한 냉매는, 완전 개방 상태인 실외 팽창 밸브(14)를 통과하여, 액측 냉매 연락 배관(17b)을 통해서 각 실내기(3)로 유입된다. 실내기(3)에 있어서, 냉매는, 실내 팽창 밸브(15)로 소정의 저압으로 감압되고, 또한 실내 열 교환기(16)에서 실내 공기와 열 교환하여 증발한다. 그리고, 냉매의 증발에 의해 냉각된 실내 공기는, 도시하지 않은 실내 팬에 의해 실내로 분출되어, 그 실내를 냉방한다. 또한, 실내 열 교환기(16)에서 증발하여 기화한 냉매는,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17a)을 통해서 실외기(2)로 되돌아가서, 사방 전환 밸브(12) 및 어큐뮬레이터(20)를 거쳐서 압축기(11)로 흡입된다.
한편, 난방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사방 전환 밸브(12)가 도 1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유지된다.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가스 상태 냉매는, 오일 세퍼레이터(21) 및 사방 전환 밸브(12)를 거쳐서 각 실내기(3)의 실내 열 교환기(16)로 유입되고, 실내 공기와 열 교환하여 응축·액화한다. 냉매의 응축에 의해 가열된 실내 공기는, 실내 팬에 의해 실내로 분출되어, 그 실내를 난방한다. 실내 열 교환기(16)에 있어서 액화한 냉매는, 완전 개방 상태인 실내 팽창 밸브(15)로부터 액측 냉매 연락 배관(17b)을 통해서 실외기(2)로 되돌아간다. 실외기(2)로 되돌아간 냉매는, 실외 팽창 밸브(14)로 소정의 저압으로 감압되고, 또한 실외 열 교환기(13)에서 실외 공기와 열 교환하여 증발한다. 그리고, 실외 열 교환기(13)에서 증발하여 기화한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12) 및 어큐뮬레이터(20)를 거쳐서 압축기(11)로 흡입된다.
도 2는 실외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실외기의 측면 패널 및 천장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실외기(2)는 상향 분출 타입이며, 실외기 본체(케이싱)(5)와, 이 실외기 본체(5)에 내장된 실외 열 교환기(13), 압축기(11), 사방 전환 밸브(12), 어큐뮬레이터(20), 오일 세퍼레이터(21) 등의 냉매 회로(10)(도 1 참조)를 구성하는 기기와, 전장품 유닛(38)과, 실외기 본체(5)의 상부에 설치된 송풍 팬(23)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실외기(2)는 송풍 팬(23)의 구동에 의해 실외기 본체(5)의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 열 교환기(13)와의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한 후에 실외기 본체(5)의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 본체(5)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 프레임(26), 지주(27), 빔 부재(28), 하측면 패널(29), 상측면 패널(25), 천장판(24) 등을 갖고 있다. 바닥 프레임(26)은 평면에서 볼 때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 프레임(26)의 전후에 대향하는 2변에는, 지면에 접지하는 기초 다리(40)가 설치되어 있다. 지주(27)는 상하 방향으로 긴 부재로 이루어지고, 바닥 프레임(26)의 네 코너에 볼트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판(24)은 바닥 프레임(26)과 대략 동일한 평면에서 볼 때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 프레임(26)의 상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천장판(24)의 네 코너에는, 각 지주(27)의 상단부가 볼트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천장판(24)에는, 대략 사각 형상의 통풍구(24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통풍구(24a)에는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망(24b)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부재(28)는 지주(27)의 상부측이며, 천장판(24)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되고, 전후 좌우로 인접하는 지주(27)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실외기 본체(5)는 바닥 프레임(26), 천장판(24), 지주(27), 빔 부재(28)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조 부재에 의해 골격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빔 부재(28)에는, 벨 마우스(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벨 마우스(30)는 송풍 팬(23)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통풍 가이드(통풍 부재)(30a)를 갖고 있으며, 통풍 가이드(30a)는 실외기 본체(5)로부터의 공기의 분출구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전후의 빔 부재(28)에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대가 가설되어 있고, 이 지지대에 송풍 팬(23)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빔 부재(28)는 송풍 팬(23)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재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도 4는 실외기 내부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 본체(5)의 바닥 프레임(26)의 상면에는, 실외 열 교환기(13), 압축기(11), 어큐뮬레이터(20), 오일 세퍼레이터(21), 사방 전환 밸브(12) 등의 기기가 탑재되어 있다. 실외 열 교환기(13)는 크로스 핀 코일식이며, 알루미늄제의 다수의 핀을 전열관이 수평으로 관통하여, 전열관을 흐르는 냉매와 실외 열 교환기(13)를 유통하는 공기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외 열 교환기(13)는 실외기 본체(5)의 1개의 코너부(좌 전방측의 코너부)(5A)를 제외한 범위에서 4개의 측면에 대향(대응)하고, 또한 4개의 측면을 따라서 대략 사각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실외 열 교환기(13)는 실외기 본체(5)의 전방측의 측면(전방면)을 따르는 전열교환부(32)와, 우측의 측면을 따르는 우열교환부(33)와, 후방측의 측면(후방면)을 따르는 후열교환부(34)와, 좌측의 측면을 따르는 좌열교환부(35)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전열교환부(32)와 우열교환부(33) 사이, 우열교환부(33)와 후열교환부(34) 사이 및 후열교환부(34)와 좌열교환부(35) 사이가 대략 90도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실외기 본체(5)는 전열교환부(32)의 좌측 단부(32a)와 좌 전방측의 지주(27)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36)(전방측 개구부(36A)), 및 이 지주(27)와 좌열교환부(35)의 전단부(35a)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36)(좌측 개구부(36B))를 폐쇄하는 하측면 패널(29)을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도 2 참조).
또한, 실외 열 교환기(13)의 각 열교환부(32 내지 35)는 실외기 본체(5)의 측면에 대하여 반드시 평행하게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경사진 상태에서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품 유닛(38)은 실외기(2)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판, 압축기(11)나 송풍 팬(23)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판(인버터 기판), 리액터, 단자대 등의 전기 부품과, 이들 전기 부품을 수용하는 전장품 상자(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장품 유닛(38)은 실외기 본체(5)에서의 1개의 코너부(5A), 즉 실외 열 교환기(13)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실외기 본체(5)의 코너부(5A)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전장품 유닛(38)은 코너부(5A)에 배치된 지주(27)나, 이 지주(27)에 연결되는 빔 부재(28) 등에 볼트 등에 의해 설치되고, 지지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밸브(18, 19)는, 실외기 본체(5)의 전방측 개구부(36A)를 향하도록 설치대(37)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11)는 전방측 개구부(36A)의 우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되어, 전방측 개구부(36A)를 통해서 전방으로부터 대략 전체를 시인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바닥 프레임(26) 상의 어큐뮬레이터(20)나 오일 세퍼레이터(21)는 실외기 본체(5) 내의 후방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바닥 프레임(26)에서의 실외 열 교환기(13)의 하방에는, 상방으로 약간 불룩한 적재부(41)가 복수 개소에 형성되고, 실외 열 교환기(13)는 이 적재부(41) 상에 탑재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적재부(41)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타원 형상 또는 대략 긴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적재부(4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배수구(42)가 형성되어 있다. 실외 열 교환기(13)의 하방이며, 인접하는 적재부(41) 사이에는, 오목 형상의 배수로(4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로(43)에도 배수구(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난방 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 실외 열 교환기(13)에 발생한 결로수는, 적재부(41) 및 배수로(43)에 형성된 배수구(42, 44)로부터 바닥 프레임(26)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또한, 실외 열 교환기(13)에 있어서 동결된 결로수가 디프로스트 운전 등에 의해 녹여진 경우에도, 배수구(42, 44)로부터 바닥 프레임(26)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들 배수구(42, 44)는, 실외 열 교환기(13)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결로수를 빠르게 배출할 수 있고, 특히 디프로스트 운전에 의해 녹은 결로수가 바닥 프레임(26) 상 등에서 다시 동결되어 버리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프레임(26)의 전방 가장자리 및 후방 가장자리에는 기초 다리(40)가 설치되어 있고, 이 기초 다리(40)가 실외기(2)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면(기초면) G(도 7 및 도 8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도 5는 후방측 기초 다리와 바닥 프레임의 일부를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전방측 기초 다리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기초 다리의 제1 부분의 단면도, 도 8은 기초 다리의 제2 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기초 다리(40)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부분(51)과, 제2 부분(5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부분(51)은 기초 다리(4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상당하는 부분이며, 제2 부분(52)은 길이 방향 양단부의 제1 부분(51) 사이에 상당하는 부분이다.
제1 부분(51) 및 제2 부분(52)은 모두 설치면 G에 적재되는 하판(51a, 52a)과, 바닥 프레임(26)의 하면에 접촉하는 상판(51b, 52b)과, 하판(51a, 52a)과 상판(51b, 52b)을 접속하는 수직판(51c, 52c)으로 이루어지고, 단면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부분(51)은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개방된 단면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부분(52)은 전후 방향의 내측으로 개방된 단면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 기초 다리(40)에 있어서는, 제1 부분(51)이 후방으로 개방되고, 제2 부분(52)이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기초 다리(40)는 제1 부분(51)이 전방으로 개방되고, 제2 부분(52)이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1 부분(51) 및 제2 부분(52)의 하판(51a, 52a)은, 기초 다리(40)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기초 다리(40)는 판재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51)의 하판(51a)에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51a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판(51a)을 설치면 G 위에 적재하고, 이 설치면 G에 심어 설치된 앵커 볼트(55)를 볼트 삽입 관통 구멍(51a1)에 삽입 관통하고, 앵커 볼트(55)에 너트(56)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기초 다리(40)가 설치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부분(51)의 상판(51b)에는, 암나사 구멍(51b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판(51b) 위에 바닥 프레임(26)을 적재하고, 바닥 프레임(26)의 코너부에 형성된 볼트 삽입 관통 구멍(26a)에 볼트(57)를 삽입 관통해서 암나사 구멍(51b1)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기초 다리(40)에 바닥 프레임(26)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부분(51)은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개방된 단면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볼트 삽입 관통 구멍(51a1)에 앵커 볼트(55)를 삽입 관통하는 작업을 외부에서 시인하면서 행할 수 있고 또한 앵커 볼트(55)에 너트(56)를 나사 결합하는 작업도 실외기(2)의 외측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분(52)의 하판(52a)은 설치면 G 위에 적재되지만, 제1 부분(51)의 하판(51a)과 같이 앵커 볼트(55)에 의해 직접 고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바닥 프레임(26)의 하면은, 제2 부분(52)의 상판(52b)에 접촉하여, 직접 지지되어 있다.
이 제2 부분(52)에서의 상판(52b)은 제1 부분(51)의 상판(51b)(도 7 참조)보다도 전후 방향의 폭이 작고, 바닥 프레임(26)에 형성된 배수구(42)나 배수구(44)(도 6 참조)의 하방 영역으로부터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후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실외 열 교환기(13)로부터 유하한 결로수가 배수구(42, 44)로부터 배출되었을 때 상판(52b)이 방해되지 않고, 설치면 G측으로 적절하게 결로수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52)은 전후 방향의 내측으로 개방된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수구(42)로부터 배수된 결로수나 이 결로수가 타고 흐른 자국 등이, 수직판(52c)에 의해 가려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실외기(2)의 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도 거의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상판(52b)은 그 길이 방향의 전체에 있어서 전후폭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상판(52b) 전체에는, 배수구(42)의 하방 영역으로부터 후퇴하는 후퇴부(52b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후퇴부(52b1)는, 배수구(42)의 하방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부분(52)은 배수구(42, 44)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초 다리(4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제1 부분(51)이 형성되고, 그 사이 전체가 제2 부분(52)으로 되어 있지만, 기초 다리(40)의 양단부의 제1 부분(51) 사이 중, 배수구(42, 44)에 대응하는 부분만을 전후 방향의 내측으로 개방되는 제2 부분(52)으로 하고, 그 밖의 배수구(42, 44)에 대응하지 않는 부분은 제1 부분(51)과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구조로 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제2 부분(52)의 상판(52b)에는 후퇴부(52b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바닥 프레임(26)에 대한 접촉 면적이 작아져서, 그만큼, 바닥 프레임(26)의 지지 강도가 저하된다는 폐해가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기초 다리(40)에는, 상판(52b)과 함께 바닥 프레임(26)을 지지하는 지지부(60)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60)는 기초 다리(40)와는 별체로 형성된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제2 부분(52)의 수직판(52c)으로부터 전후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60)에는, 바닥 프레임(26)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 구멍(6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60)는 바닥 프레임(26)에 형성된 배수구(42, 44)를 피한 위치, 구체적으로는, 인접하는 배수구(42, 44)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60)를 구비함으로써, 제2 부분(52)의 상판(52b)에 후퇴부(52b1)를 형성했다고 하더라도, 바닥 프레임(26)의 지지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지부(60)는 하나뿐이지만, 배수구(42, 44)를 피한 복수 개소에 지지부(60)를 설치해도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다리(40)의 제2 부분(52)의 수직판(52c)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2군데에, 운반용 로프나 포크리프트의 갈고리를 삽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개구부(4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초 다리(40)의 제1 부분(51)의 하판(51a)과 제2 부분(52)의 하판(52a)의 경계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5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리브(53)는 배수구(42, 44)로부터 적하한 결로수가 제2 부분(52)의 하판(52a)으로부터 제1 부분(51)의 하판(51a) 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물 유출 방지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개방된 제1 부분(51)으로부터 결로수가 유출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리브(53)는 하판(51a)과 하판(52a)의 경계에 한하지 않고, 하판(52a)의 길이 방향 도중의 적당한 개소에 형성해도 된다. 하판(52a)의 어느 하나의 개소에 형성되어 있어도, 제1 부분(51)의 하판(51a)으로부터 유출되는 결로수를 적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리브(53)는 하판(52a)을 부분적으로 상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구성해도 되고, 다른 부재를 하판(52a)에 고정함으로써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1 부분(51)의 상판(51b)과, 제2 부분(52)의 상판(52b)은, 서로 좌우 방향에 대하여 오버랩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1 부분(51) 및 제2 부분(52)을 1매의 판재로부터 절곡 가공할 때 그 가공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9는 기초 다리의 단부와 지주의 연결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다리(40)의 단부에는, 지주(27)의 하단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40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부(40a)는 기초 다리(40)의 제1 부분(51)의 상판(51b)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부분(51)의 수직판(51c)의 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굴곡지는 지지판(40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판(40b)에는 암나사 구멍(40b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주(27)는 평면에서 볼 때 1개의 코너부가 개방된 대략 사각 통형상으로 굴곡된 본체부(27a)와, 본체부(27a)의 개방 부분의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설치판(27b)을 갖고 있다. 그리고, 지주(27)의 본체부(27a)를 끼워맞춤부(40a)에 끼워 맞추게 함과 함께, 한쪽 설치판(27b)에 형성된 볼트 삽입 관통 구멍(도시 생략)에 삽입 관통한 볼트(58)를 지지판(40b)에 형성된 암나사 구멍(40b1)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지주(27)가 기초 다리(40)에 고정된다. 또한, 지주(27)는 그 설치판(27b)이 바닥 프레임(26)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도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된다.
도 3의 A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7)와 빔 부재(28)는 소정의 연결 구조(7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10은 지주와 빔 부재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지주와 빔 부재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연결 구조(70)는 빔 부재(28)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 결합 훅(71)과, 지주(27)에 형성된 걸림 결합 구멍(72)을 갖고 있다. 걸림 결합 훅(71)은 빔 부재(28)의 일부를 전방측으로 L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결합 훅(71)은 기단부(상단부)의 폭 a1보다도 선단부(하단부)의 폭 a2쪽이 작게,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 결합 훅(71)의 하방에는, 암나사 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해, 지주(27)에 형성된 걸림 결합 구멍(72)은 걸림 결합 훅(71)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 결합 구멍(72)은 상단부 가장자리의 폭 b1보다도 하단부 가장자리의 폭 b2쪽이 작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 결합 구멍(72)의 상하 방향의 높이 b3는, 걸림 결합 훅(71)의 상하 방향의 높이 a3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 결합 구멍(72)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폭 b2는, 걸림 결합 훅(71)의 기단부의 폭 a1과 동일 치수이거나, 약간 큰 치수로 되어 있고, 양자의 치수차(b2-a1)는 도 10의 (b)에 도시하는 치수 α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치수 α는 걸림 결합 구멍(72)의 하방에 형성된 볼트 삽입 관통 구멍(74)의 직경 d와, 암나사 구멍(73)의 직경 c(볼트(75)의 나사 직경)의 차이다.
빔 부재(28)는 걸림 결합 훅(71)을 걸림 결합 구멍(72)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지주(27)에 임시 고정되고, 볼트 삽입 관통 구멍(74)에 삽입 관통한 볼트(75)를 암나사 구멍(73)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걸림 결합 훅(71)을 걸림 결합 구멍(72) 내에 삽입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림 결합 훅(71)의 기단부를 걸림 결합 구멍(72)의 하부 가장자리에 걸림 결합시킨다. 이때, 암나사 구멍(73)과 볼트 삽입 관통 구멍(74)이 위치 정렬되므로, 이 볼트 삽입 관통 구멍(74)에 볼트(75)를 삽입함과 함께, 암나사 구멍(73)에 볼트(75)를 나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걸림 결합 훅(71)의 기단부의 폭 a1은, 걸림 결합 구멍(72)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폭 b2와 동일하거나 그 폭 b2보다도 약간 작으므로, 걸림 결합 훅(71)의 기단부를 걸림 결합 구멍(72)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걸림 결합시켰을 때의 양자의 간극은 거의 없다. 그로 인해, 지주(27)와 빔 부재(28)의 연결 위치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걸림 결합 훅(71)의 기단부의 폭 a1과 걸림 결합 구멍(72)의 하단부 가장자리의 폭 b2의 치수차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74)과 암나사 구멍(73)의 치수차 α보다도 작으므로, 걸림 결합 훅(71)의 기단부를 걸림 결합 구멍(72)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볼트 삽입 관통 구멍(74)과 암나사 구멍(73)을 확실하게 위치 정렬할 수 있어, 볼트(75)를 볼트 삽입 관통 구멍(74)에 삽입 관통하여 암나사 구멍(73)에 나사 결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걸림 결합 구멍(72)은 그 상단부 가장자리의 폭 b1이 하단부 가장자리의 폭 b2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여유를 갖고 걸림 결합 구멍(72)에 걸림 결합 훅(71)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걸림 결합 훅(71)은 그 기단부의 폭 a1보다도 선단부의 폭 a2쪽이 작으므로, 이에 의해서도, 걸림 결합 구멍(72)에 대하여 걸림 결합 훅(71)을 삽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기초 다리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기초 다리(40)는 제2 부분(52)에 설치된 지지부(60)가 수직판(52c)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따라서, 기초 다리(40)와는 별도로 지지부(지지판)(60)를 제작함과 함께, 지지부(60)를 기초 다리(40)에 설치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조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 프레임(26)의 전방 가장자리부와 후방 가장자리부의 하면에 기초 다리(40)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바닥 프레임(26)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와 왼쪽 가장자리부의 하면에 기초 다리(40)가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바닥 프레임(26)의 4변 모든 가장자리부의 하면에 기초 다리(40)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기초 다리(40)에 있어서, 제2 부분(52)의 상판(52b)에 형성된 후퇴부(52b1)는, 상판(52b)을 전후 방향(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후퇴시킨 형태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배수구(42, 44)에 대응한 형상의 구멍 또는 개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실외기 본체(5)의 3개의 측면을 따라서 역ㄷ자 형상으로 배치된 실외 열 교환기나, 실외기 본체(5)의 2개의 측면을 따라서 L자 형상으로 배치된 실외 열 교환기를 구비하고 있는 실외기(2)에 대해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향 분출 타입의 실외기(2)에 한하지 않고, 가로 방향 분출 타입의 실외기(2)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실외기(2)는 1대의 압축기(11) 및 송풍 팬(23)을 구비하고, 바닥 프레임(26)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2대(또는 그 이상)의 압축기(11) 및 송풍 팬(23)을 구비하고, 바닥 프레임(26)을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대형화한 실외기(2)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초 다리(40)는 바닥 프레임(26)의 긴 변 및/또는 짧은 변의 가장자리부에 설치할 수 있다.
1 : 공기 조화 장치
2 : 실외기
13 : 실외 열 교환기
26 : 바닥 프레임
27 : 지주
40 : 기초 다리
41 : 적재부
42 : 배수구
43 : 배수로
44 : 배수구
51 : 제1 부분
51a : 하판
51b : 상판
51c : 수직판
52 : 제2 부분
52a : 하판
52b : 상판
52c : 수직판
52b1 : 후퇴부
53 : 리브(물 유출 방지 구조)
60 : 지지 부재(지지부)
2 : 실외기
13 : 실외 열 교환기
26 : 바닥 프레임
27 : 지주
40 : 기초 다리
41 : 적재부
42 : 배수구
43 : 배수로
44 : 배수구
51 : 제1 부분
51a : 하판
51b : 상판
51c : 수직판
52 : 제2 부분
52a : 하판
52b : 상판
52c : 수직판
52b1 : 후퇴부
53 : 리브(물 유출 방지 구조)
60 : 지지 부재(지지부)
Claims (6)
- 바닥 프레임(26)과, 이 바닥 프레임(26) 상에 탑재된 열 교환기(13)와, 이 열 교환기(13)의 하방이며 상기 바닥 프레임(26)의 하면에 설치된 기초 다리(40)를 구비하고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이며,
상기 바닥 프레임(26)에서의 상기 열 교환기(13)의 하방에 배수구(42, 44)가 형성되고,
상기 기초 다리(40)는 상기 바닥 프레임(26)의 하면에 접촉하는 상판(51b, 52b)과, 설치면(G)에 적재되는 하판(51a, 52a)과, 상기 상판(51b, 52b)과 하판(51a, 52a)을 접속하는 수직판(51c, 52c)으로부터 단면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기초 다리(40)는 길이 방향의 일부인 제1 부분(51)과, 길이 방향의 다른 일부인 제2 부분(5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51)은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단면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그 하판(51a)이 상기 설치면(G)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2 부분(52)은 적어도 기초 다리(4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배수구(42, 44)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됨과 함께, 수평 방향의 내측으로 개방되는 단면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상판(52b)이 상기 배수구(42, 44)의 하방 영역을 회피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52)의 상판(52b)이 적어도 상기 배수구(42, 44)의 부근에 있어서 그 배수구(42, 44)보다도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후퇴하는 후퇴부(52b1)를 갖고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52)에는, 상기 후퇴부(52b1)보다도 수평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 프레임(26)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60)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60)가 상기 배수구(42, 44)를 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26)에는, 상기 열 교환기(13)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41)가 상방으로 불룩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적재부(41)에 상기 배수구(42)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51)의 하판(51a)과 상기 제2 부분(52)의 하판(52a)의 경계부, 또는 상기 제2 부분(52)의 하판(52a)에는, 그 제2 부분(52)의 하판(52a)으로부터 상기 제1 부분(51)의 하판(51a)으로의 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물 유출 방지 구조(53)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262616 | 2011-11-30 | ||
JP2011262616A JP5218628B2 (ja) | 2011-11-30 | 2011-11-30 |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
PCT/JP2012/078831 WO2013080760A1 (ja) | 2011-11-30 | 2012-11-07 |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8625A KR20140088625A (ko) | 2014-07-10 |
KR101439813B1 true KR101439813B1 (ko) | 2014-09-12 |
Family
ID=4853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17508A KR101439813B1 (ko) | 2011-11-30 | 2012-11-07 |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9541323B2 (ko) |
EP (1) | EP2787292B1 (ko) |
JP (1) | JP5218628B2 (ko) |
KR (1) | KR101439813B1 (ko) |
CN (1) | CN103917829B (ko) |
AU (1) | AU2012345066B2 (ko) |
WO (1) | WO201308076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47026B2 (en) | 2020-04-21 | 2023-09-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423452B (zh) | 2014-09-12 | 2019-01-22 | Lg电子株式会社 | 空气调节器的室外机 |
KR20160031230A (ko) | 2014-09-12 | 2016-03-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JP1524065S (ko) * | 2014-11-19 | 2015-05-25 | ||
JP6115551B2 (ja) * | 2014-11-20 | 2017-04-19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冷凍装置ユニット |
KR101753955B1 (ko) | 2014-12-17 | 2017-07-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US20160178290A1 (en) * | 2014-12-17 | 2016-06-23 | Lg Electronics Inc. | Outdoor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
US9702638B2 (en) * | 2015-07-17 | 2017-07-11 | Spx Flow Technology Systems, Inc. | Frame for a heat exchanger |
JP6288147B2 (ja) * | 2016-04-06 | 2018-03-07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熱源ユニット |
JP6361685B2 (ja) * | 2016-04-21 | 2018-07-2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熱源ユニット |
JP6269717B2 (ja) * | 2016-04-21 | 2018-01-31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熱源ユニット |
USD822151S1 (en) * | 2017-03-07 | 2018-07-03 | EcoloBlue, Inc. | Atmospheric water generator |
USD822790S1 (en) * | 2017-03-07 | 2018-07-10 | EcoloBlue, Inc. | Atmospheric water generator |
USD822152S1 (en) * | 2017-03-07 | 2018-07-03 | EcoloBlue, Inc. | Atmospheric water generator |
USD822150S1 (en) * | 2017-03-07 | 2018-07-03 | EcoloBlue, Inc. | Atmospheric water generator |
USD822153S1 (en) * | 2017-03-07 | 2018-07-03 | EcoloBlue, Inc. | Atmospheric water generator |
USD822789S1 (en) * | 2017-03-07 | 2018-07-10 | EcoloBlue, Inc. | Atmospheric water generator |
USD822788S1 (en) * | 2017-03-07 | 2018-07-10 | EcoloBlue, Inc. | Atmospheric water generator |
CN107525162A (zh) * | 2017-08-22 | 2017-12-29 | 合肥奕达机电科技有限公司 | 一种分体式空调外机的底板连接结构 |
JP6673375B2 (ja) * | 2018-01-31 | 2020-03-2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
JP6936160B2 (ja) * | 2018-01-31 | 2021-09-1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
JP6907964B2 (ja) * | 2018-01-31 | 2021-07-21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
JP6610691B2 (ja) * | 2018-03-13 | 2019-11-27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熱源ユニット |
CN109323339A (zh) * | 2018-11-16 | 2019-02-12 |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 一种接水盘及具有其的空调室外机 |
KR20220019442A (ko) * | 2020-08-10 | 2022-02-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18487A (ko) * | 1999-08-19 | 2001-03-05 | 구자홍 | 공기조화기의 접지장치 |
KR20070005173A (ko) * | 2005-07-05 | 2007-01-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JP2007147250A (ja) | 2005-11-01 | 2007-06-14 | Daikin Ind Ltd |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
KR20090044508A (ko) * | 2007-10-31 | 2009-05-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64430A (en) * | 1996-12-09 | 1997-09-09 | Carrier Corporation | Removable condensate pan |
JPH10318563A (ja) * | 1997-05-20 | 1998-12-04 | Fujitsu General Ltd | 空気調和機の室外機 |
JP2000130800A (ja) * | 1998-10-29 | 2000-05-12 | Sharp Corp | 空気調和機の室外機 |
JP2002188834A (ja) * | 2000-12-20 | 2002-07-05 | Fujitsu General Ltd | 空気調和機の室外機 |
JP3722109B2 (ja) * | 2002-07-05 | 2005-11-30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
KR100988572B1 (ko) * | 2003-08-14 | 2010-10-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EP1837608B1 (en) * | 2004-12-24 | 2014-01-29 | Toshiba Carrier Corporation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CN101300454A (zh) * | 2005-11-01 | 2008-11-05 | 大金工业株式会社 | 截止阀安装构造及具有该构造的空调装置的室外单元 |
US7708052B2 (en) * | 2006-01-20 | 2010-05-04 | Carrier Corporation | Coil support |
KR100772236B1 (ko) * | 2006-11-16 | 2007-11-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JP4892713B2 (ja) * | 2008-08-25 | 2012-03-07 | シャープ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MY152066A (en) * | 2008-09-30 | 2014-08-15 | Chevron Usa Inc | A 110 neutral base oil with improved properties |
CN201973812U (zh) * | 2011-01-27 | 2011-09-14 | 约克广州空调冷冻设备有限公司 | 一种变频空调室外机 |
-
2011
- 2011-11-30 JP JP2011262616A patent/JP5218628B2/ja active Active
-
2012
- 2012-11-07 CN CN201280054622.1A patent/CN103917829B/zh active Active
- 2012-11-07 KR KR1020147017508A patent/KR10143981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1-07 EP EP12853752.9A patent/EP2787292B1/en active Active
- 2012-11-07 AU AU2012345066A patent/AU2012345066B2/en not_active Ceased
- 2012-11-07 US US14/361,659 patent/US9541323B2/en active Active
- 2012-11-07 WO PCT/JP2012/078831 patent/WO201308076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18487A (ko) * | 1999-08-19 | 2001-03-05 | 구자홍 | 공기조화기의 접지장치 |
KR20070005173A (ko) * | 2005-07-05 | 2007-01-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JP2007147250A (ja) | 2005-11-01 | 2007-06-14 | Daikin Ind Ltd |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
KR20090044508A (ko) * | 2007-10-31 | 2009-05-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47026B2 (en) | 2020-04-21 | 2023-09-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000321A1 (en) | 2015-01-01 |
EP2787292A1 (en) | 2014-10-08 |
EP2787292B1 (en) | 2016-04-06 |
AU2012345066B2 (en) | 2014-11-06 |
CN103917829A (zh) | 2014-07-09 |
KR20140088625A (ko) | 2014-07-10 |
JP5218628B2 (ja) | 2013-06-26 |
EP2787292A4 (en) | 2015-04-15 |
JP2013113563A (ja) | 2013-06-10 |
WO2013080760A1 (ja) | 2013-06-06 |
US9541323B2 (en) | 2017-01-10 |
CN103917829B (zh) | 2016-07-06 |
AU2012345066A1 (en) | 2014-07-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9813B1 (ko) |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 |
AU2012260057B2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464117B1 (ko) |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 |
EP2787291B1 (en) |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ing device | |
US10208968B2 (en) | Outdoor unit | |
US11112131B2 (en) | Heat source unit with corrugated bottom plate | |
RU2644042C1 (ru) | Охлаждаемый стеллаж | |
KR20110139834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JP2013113558A (ja) |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及びこれに用いる閉鎖弁用の支持部材 | |
KR102168620B1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EP3514457B1 (en) | Heat source unit | |
JP5516554B2 (ja) |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 |
KR101172681B1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WO2023053280A1 (ja) | チリングユニット及びチリングユニットシステム | |
US20230366566A1 (en)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WO2019053852A1 (ja) |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 |
JP6628931B2 (ja) |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 |
JP6755401B2 (ja) | 空気調和装置 | |
JP2019100597A (ja) | 冷凍サイクル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