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681B1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681B1
KR101172681B1 KR1020050058076A KR20050058076A KR101172681B1 KR 101172681 B1 KR101172681 B1 KR 101172681B1 KR 1020050058076 A KR1020050058076 A KR 1020050058076A KR 20050058076 A KR20050058076 A KR 20050058076A KR 101172681 B1 KR101172681 B1 KR 101172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gas
outdoor unit
valve
gas valv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2509A (ko
Inventor
진창수
정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8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681B1/ko
Publication of KR2007000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5Cos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밸브 브라켓이 높은 강도를 갖고 복수의 냉매관과 밸브를 효율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게 하는 구조를 가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외기는 벤딩구조를 형성하도록 대략 직각을 이루어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설치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져서 하우징의 바닥판에 설치되는 밸브 브라켓을 구비한다. 제 1 설치면에는 상단에서 하부를 향해 컷팅된 제 1 컷팅홀이 형성되고, 제 2 설치면에는 상단에서 하부를 향해 컷팅된 제 2 및 제 3 컷팅홀이 형성되어 각각 저압가스 밸브와 고압가스 밸브, 그리고 충진가스 밸브가 안치되어 지지되게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외면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밸브 브라켓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3은 복수의 냉매관과 밸브가 밸브 브라켓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복수의 냉매관과 밸브가 밸브 브라켓에 결합되어 지지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하우징 20: 압축기
30,31,32: 냉매관 35,36,37: 밸브
38: 플랜지 40: 밸브 브라켓
41: 제 1 설치면 42: 제 2 설치면
43,44,45: 컷팅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리 및 점검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저압 및 고압가스 밸브와 충진가스 밸브를 지지하기 위한 밸브 브라켓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들이 설치된 냉매관들을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게 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하우징에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일체형 타입과,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 구성되어 실내기에는 증발기가 설치되고 실외기에는 응축기와 압축기가 설치되는 분리형 타입으로 구분된다.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통상적으로 건물의 외벽이나 베란다에 설치되어 냉매관들에 의해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연결되는데, 최근에는 여러 실내공간을 냉방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실내기에 하나의 실외기가 연결되는 멀티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이 채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다수개의 실내기에 연결되는 하나의 실외기는 하나의 실내기에만 연결되어 사용되는 실외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압축용량과 응축용량이 요구되어 압축기와 응축기의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실외기의 크기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제조비용을 줄이고 운반 및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실외기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가능한 그 크기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실외기에는 압축기와 연결되는 저압 및 고압가스 냉매관과 충진가스 냉매관, 그리고 각각 이들을 개폐하기 위한 저압 및 고압가스 밸브와 충진가스 밸브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냉매관들과 밸브들을 지지하기 위한 밸브 브라켓이 설치되게 되는데, 이러한 밸브 브라켓이 설치된 실외기의 일례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90467호가 있다.
상기 종래의 실외기는 밸브 브라켓이 평면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복수의 밸브 및 냉매관이 평면적으로 배치되어 지지되게 되는데, 이렇게 밸브 브라켓이 평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강도가 취약하게 되어 냉매관들에 연결된 밸브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제조 및 운반과정과 설치과정에서 얇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밸브 브라켓이 변형될 가능성이 높아서 교체작업에 따른 비용손실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실외기는 밸브 브라켓이 평면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실외기의 바닥판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냉매관들과 밸브들이 평면적으로 열을 이루어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실외기 내부공간의 활용을 효율적으로 하기가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밸브들에 연결된 냉매관들의 배치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 브라켓이 높은 강도를 갖고 복수의 냉매관과 밸브를 효율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게 하는 구조를 가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 상기 압축기와 연결된 복수의 냉매관, 상기 각 냉매관에 연결된 복수의 밸브, 상기 복수의 밸브를 지지하기 위한 밸브 브라켓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밸브 브라켓은 벤딩구조를 형성하도록 일정 각도를 이루어 배치되는 복 수의 설치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설치면은 제 1 설치면과 제 2 설치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설치면과 제 2 설치면은 서로 직각을 이루어 배치된다.
상기 제 1 설치면에는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상단에서 하부를 향해 컷팅된 제 1 컷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설치면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상단에서 하부를 향해 컷팅된 제 2 및 제 3 컷팅홀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냉매관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밸브가 각각 안치되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냉매관은 고압가스 냉매관과 저압가스 냉매관, 그리고 충진가스 냉매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밸브는 고압가스 밸브와 저압가스 밸브, 그리고 충진가스 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컷팅홀에는 상대적으로 폭이 크게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상기 저압가스 냉매관을 개폐하는 상기 저압가스 밸브가 안치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컷팅홀에는 상대적으로 폭이 작게 형성되어 각각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상기 고압가스 냉매관과 충진가스 냉매관을 개폐하는 상기 고압가스 밸브와 충진가스 밸브가 안치되어 지지되게 한다.
상기 저압가스 밸브 및 고압가스 밸브와 충진가스 밸브는 양측 단부에 나사홀이 형성된 플랜지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설치면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외면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전면판(11)과 후면판(12)과 양 측면판(13), 그리고 상면판(14)과 바닥판(15)을 구비하여 대략 박스형상을 이루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20)와 응축기(21), 그리고 송풍팬(22)을 구비한다.
하우징(10)은 횡방향으로 배치된 구획판(16)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획되어 구획판(16)의 하부에는 압축기(20)가 설치되고, 구획판(16)의 상부에는 응축기(21)와 송풍팬(22)이 설치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는 하우징(10)에 구획판(16)을 설치하지 않고 압축기(20)와 응축기(21), 그리고 송풍팬(22)을 하우징(10)의 바닥판(15)에 설치하는 구조로 될 수도 있다.
압축기(20)는 실내기를 순환하여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가스로 압축시키게 되고, 응축기(21)는 압축기(20)에서 배출된 고온 고압의 가스냉매를 액냉매로 상 변화시키게 되며, 송풍팬(22)은 외부공기가 하우징(10)의 내부로 강제 송풍되도록 하여 압축기(20)와 응축기(21)를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압축기(20)가 설치된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밸브 브라켓(40)이 설치되어 압축기(20)에 연결되는 복수의 냉매관(30)(31)(32)의 유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밸브(35)(36)(37)를 지지하게 되는데, 이 밸브 브라켓(40)의 구조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밸브 브라켓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3은 복수의 냉매관과 밸브가 밸브 브라켓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복수의 냉매관과 밸브가 밸브 브라켓에 결합되어 지지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브라켓(40)에는 복수의 냉매관(30)(31)(32)의 유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밸브(35)(36)(37)가 결합되어 지지되게 되는데, 복수의 냉매관(30)(31)(32)은 예를 들면 실내기(미도시)를 순환하여 저온 저압으로 된 가스냉매를 압축기(20)로 안내하는 저압가스 냉매관(30)과, 압축기(20)에서 압축된 가스냉매를 응축기(21)로 안내하는 고압가스 냉매관(31)과, 장기간 사용하여 부족한 냉매를 보충시키기 위한 충진가스 냉매관(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밸브(35)(36)(37)는 각각 저압가스 및 고압가스 냉매관(30)(31)과 충진가스 냉매관(32)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저압가스 밸브(35)와 고압가스 밸브(36), 그리고 충진가스 밸브(37)로 된다.
밸브 브라켓(40)은 상술한 복수의 냉매관(30)(31)(32)과 밸브(35)(36)(37)가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의 설치면을 가지는데, 예를 들면 제 1 설치면(41)과 제 2 설치면(42)이 벤딩구조를 형성하도록 일정 각도를 이루어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용접 또는 나사 결합방식 등으로 하우징(10)의 바닥판(15)에 결합된다(도 2 참조). 바람직하게는, 제 1 설치면(41)과 제 2 설치면(42)이 대략 직각을 이루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렇게 밸브 브라켓(40)이 벤딩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직선구간이 대폭 줄어들게 되고 제 1 및 제 2 설치면(41)(42)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하우징(10)의 바닥판(15)에서 적당한 빈 공간에 설치될 수 있게 되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고압가스 밸브(35)와 저압가스 밸브(36), 그리고 충진가스 밸브(37)가 밸브 브라켓(40)에 안치되어 지지되게 하기 위해 제 1 설치면(41)에는 제 1 컷팅홀(43)이 형성되고, 제 2 설치면(42)에는 제 2 컷팅홀(44)과 제 3 컷팅홀(45)이 형성된다.
제 1 컷팅홀(43)은 제 1 설치면(41)의 상단에서 일정 폭으로 하향으로 컷팅되어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제 2 및 제 3 컷팅홀(44)(45)은 제 2 설치면(42)의 상단에서 일정 폭으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나란히 배치된다.
제 1 내지 제 3 컷팅홀(43)(44)(45)의 컷팅된 깊이는 서로 다른 길이가 되도록 하여 저압가스 및 고압가스 냉매관(30)(31)과 충진가스 냉매관(32)의 배치가 동일한 높이에서 이루어지지 않게 함으로써 냉매관(30)(31)(32)들의 배관 배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저압가스 냉매관(30)은 고압가스 냉매관(31)과 충진가스 냉매관(3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며, 따라서 저압가스 냉매관(3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제 1 컷팅홀(43)의 폭은 각각 고압가스 냉매관(31)과 충진가스 냉매관(3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제 2 및 제 3 컷팅홀(43)(44)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저압가스 및 고압가스 밸브(35)(36), 그리고 충진가스 밸브(37)는 각각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플랜지(38)를 구비하고, 이 플랜지(38)들의 양 측단에는 나사 홀(3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설치면(41)의 제 1 컷팅홀(43)의 하단부의 좌우측과, 제 2 설치면(42)의 제 2 및 제 3 컷팅홀(44)(45)의 하단부의 각 좌우측에는 플랜지(38)의 나사홀(39)에 대응하는 나사홀(4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가스 냉매관(30)이 연결된 저압가스 밸브(35)를 밸브 브라켓(40)의 제 1 설치면(41)에 형성된 제 1 컷팅홀(43)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하향으로 끼워 넣어서 위치 고정시킨 후에 나사홀(39)(46)들을 통해 나사(50)를 체결하게 되면 저압가스 밸브(35)가 간편하게 제 1 설치면(41)에 결합되어 지지되게 된다.
같은 방식으로 각각 고압가스 냉매관(31)과 충진가스 냉매관(32)이 연결된 고압가스 밸브(36)와 충진가스 밸브(37)를 제 2 설치면(42)에 형성된 제 2 및 제 3 컷팅홀(44)(45)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하향으로 끼워 넣어 위치 고정시킨 후에 나사홀(39)(46)들을 통해 나사(50)를 체결하게 되면 고압가스 밸브(36)와 충진가스 밸브(37)가 간편하게 제 2 설치면(42)에 결합되어 지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과정에서 밸브 브라켓(40)의 제 1 설치면(41)과 제 2 설치면(42)이 대략 직각을 이루는 벤딩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저압가스 냉매관(30)은 고압가스 냉매관(31)과 충진가스 냉매관(32)과는 다른 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게 되어 배관 배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컷팅홀(43)(44)(45)의 깊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냉매관(30)(31)(32)들이 서로 다른 높이에서 배치시킬 수 있게 되어 배관 배치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밸브 브라켓이 벤딩구조로 이루어져서 강도가 향상되고 복수의 냉매관과 밸브를 효율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작과 운반 및 설치 시 또는 장기간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방지하여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하우징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고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 상기 압축기와 연결된 복수의 냉매관, 상기 각 냉매관에 연결된 복수의 밸브, 상기 복수의 밸브를 지지하기 위한 밸브 브라켓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밸브 브라켓은 벤딩구조를 형성하도록 일정 각도를 이루어 배치되는 복수의 설치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치면은 제 1 설치면과 제 2 설치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설치면과 제 2 설치면은 서로 직각을 이루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치면에는 상단에서 하부를 향해 컷팅된 제 1 컷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설치면에는 상기 제1 컷팅홀보다 작은 폭으로 상단에서 하부를 향해 컷팅된 제 2 및 제 3 컷팅홀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냉매관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밸브가 각각 안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냉매관은 고압가스 냉매관과 저압가스 냉매관, 그리고 충진가스 냉매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밸브는 고압가스 밸브와 저압가스 밸브, 그리고 충진가스 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컷팅홀에는 폭이 크게 형성되어 직경이 큰 상기 저압가스 냉매관을 개폐하는 상기 저압가스 밸브가 안치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컷팅홀에는 폭이 작게 형성되어 각각 직경이 작은 상기 고압가스 냉매관과 충진가스 냉매관을 개폐하는 상기 고압가스 밸브와 충진가스 밸브가 안치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가스 및 고압가스 밸브와 충진가스 밸브는 양측 단부에 나사홀이 형성된 플랜지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설치면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050058076A 2005-06-30 2005-06-30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172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076A KR101172681B1 (ko) 2005-06-30 2005-06-30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076A KR101172681B1 (ko) 2005-06-30 2005-06-30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509A KR20070002509A (ko) 2007-01-05
KR101172681B1 true KR101172681B1 (ko) 2012-08-09

Family

ID=3786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076A KR101172681B1 (ko) 2005-06-30 2005-06-30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6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1378B (zh) * 2018-01-26 2023-08-01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管路、管路系统及空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509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8628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US6895777B2 (en) Front suction/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CN203823946U (zh) 空调装置的室外机
EP0959308A2 (en) Air conditioner
EP2787291B1 (e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ing device
US20160178290A1 (en) Outdoor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US20210041115A1 (en) Indoor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202927976U (zh) 空调装置的室外机及该室外机使用的截止阀用的支承构件
CN107208907A (zh) 室外机
EP3514457B1 (en) Heat source unit
KR101172681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3574774B (zh) 空调机
US7191616B2 (en) Front suction/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and outdoor unit installation system using it
JP2006177620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20030036366A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JP2013007557A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1174643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0065376A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WO2021205499A1 (ja) 室外機
US20130105114A1 (en) Air conditioner
JP2010159924A (ja) 冷凍機凝縮ユニット
KR100690143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압축기설치구조
WO2024111046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075967B1 (ko) 이층 구조를 갖는 벽체 매립형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WO2022158574A1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