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117B1 -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117B1
KR101464117B1 KR1020147017507A KR20147017507A KR101464117B1 KR 101464117 B1 KR101464117 B1 KR 101464117B1 KR 1020147017507 A KR1020147017507 A KR 1020147017507A KR 20147017507 A KR20147017507 A KR 20147017507A KR 101464117 B1 KR101464117 B1 KR 101464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drain
bottom plate
outdoor unit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4648A (ko
Inventor
후미아키 고이케
미키오 가가와
다다시 사오
시게키 가미타니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4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6Drip trays for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판(31), 측판(44, 54, 55) 및 저판(30)을 포함하는 대략 직육면체형 케이싱(22) 내에 있어서, 상기 저판(30)에 열교환기(13)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외기(2). 상기 열교환기(13)는, 상기 저판(30)에 형성된 복수의 팽출부(60) 상에 적재되어 있다. 상기 팽출부(60)에는, 상기 열교환기(13)로부터의 드레인을 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배수공(63)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열교환기(13) 하방이며 상기 팽출부(60) 이외의 저판(30)에, 상기 제1 배수공(63)보다도 작은 제2 배수공(65)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OUTDOOR MACHINE FOR AN AIR-CONDITION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실외기 케이싱 저판의 구조에 개량이 실시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는, 통상, 직육면체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강판으로 제작된 천장판, 측판 및 저판을 포함하는 케이싱 내에, 압축기나 실외측 열교환기 등이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실외기 중, 실외 열교환기가 저판 상에 적재되는 타입의 것에서는, 실외 열교환기의 핀에 부착되어 있었던 성에가 디프로스트 시에 녹아 낙하한 드레인을 효율적으로 기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당해 실외 열교환기 하방의 저판에 배수공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2 참조). 특허문헌 1 내지 2에 기재된 실외기에서는, 실외 열교환기 하방의 배수공에서 배출되지 못한 드레인을 배출하기 위한 서브 배수공이, 실외 열교환기 하방 이외의 저판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30013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071531호 공보
그런데, 디프로스트 시에 발생한 드레인이 낙하하는 개소(실외 열교환기의 핀의 하방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드레인의 배수공을 형성하면, 실외 열교환기의 핀으로부터 낙하한 드레인이 당해 배수공에 이르는 도중에 드레인이 재동결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배수공은 실외 열교환기 하방에 집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공을 실외 열교환기 하방에 집중시키는 방법으로서, 각 배수공의 면적을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이 방법에서는 저판의 강도가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저판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열교환기 하방의 드레인 배수를 위한 개구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이하, 간단히 「실외기」라고도 함)는, 천장판, 측판 및 저판을 포함하는 대략 직육면체형 케이싱 내에 있어서, 상기 저판에 열교환기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로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저판에 형성된 복수의 팽출부 상에 적재되어 있고,
상기 팽출부에는, 상기 열교환기로부터의 드레인을 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열교환기 하방이며 상기 팽출부 이외의 저판에, 상기 제1 배수공보다도 작은 제2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배수공은, 상기 팽출부에 있어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류의 상류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외기에서는, 케이싱을 구성하는 저판에 형성된 복수의 팽출부 상에 열교환기가 적재되어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가 적재된 팽출부에, 드레인을 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배수공을 형성하고, 당해 열교환기 하방이며 상기 팽출부 이외의 저판에, 상기 제1 배수공보다도 작은 제2 배수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디프로스트 시에 열교환기의 핀으로부터 낙하한 드레인을 효율적으로 당해 배수공으로부터 기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수공은, 강도적으로 보강된 팽출부에 형성되므로, 그 개구 면적을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하여, 드레인의 배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배수공 및 제2 배수공은 열교환기 하방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교환기로부터의 드레인을 신속하게 기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열교환기 하방 위치로부터 이격한 개소에 형성된 배수공으로부터 드레인을 배출하는 경우와 같은 「드레인의 재동결」이라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성에는 열교환기의 상류측의 핀에 많이 부착되는데, 제1 배수공을, 팽출부에 있어서 당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류의 상류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드레인을 효율적으로 기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2) 상기 (1)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수공은, 인접하는 팽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팽출부에 형성된 제1 배수공으로부터 배출되지 않은 드레인을, 제2 배수공으로부터 기기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삭제
(3) 상기 (1) 또는 (2)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는 타원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의 평면 형상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4) 상기 (3)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공은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며, 당해 긴 구멍의 장축이 상기 팽출부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팽출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에 의하면, 저판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열교환기 하방의 드레인 배수를 위한 개구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실외기를 갖는 공기 조화 장치의 냉매 회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외기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되는 실외기의 천장판 및 측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되는 실외기 내부의 상부측을 도시하는 평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되는 실외기 내부의 하부측을 도시하는 평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되는 실외기에 있어서의 저판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외기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실외기(2)를 갖는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매 회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예를 들어 빌딩용 멀티 타입의 공기 조화 장치이며, 1대 또는 복수의 실외기(2)에 대하여 복수의 실내기(3)가 병렬로 접속되어 냉매가 유통될 수 있도록, 냉매 회로(10)가 형성되어 있다.
실외기(2)에는, 압축기(11), 사방 전환 밸브(12), 실외 열교환기(13), 실외 팽창 밸브(14) 및 송풍기(23)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내기(3)에는, 실내 팽창 밸브(15) 및 실내 열교환기(16) 등이 설치되어 있다. 사방 전환 밸브(12)와 실내 열교환기(16)는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17a)에 의하여 접속되고, 실외 팽창 밸브(14)와 실내 팽창 밸브(15)는 액측 냉매 연락 배관(17b)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실외기(2)의 내부 냉매 회로의 단말기부에는, 가스측 폐쇄 밸브(18)와 액측 폐쇄 밸브(19)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측 폐쇄 밸브(18)는 사방 전환 밸브(12)측에 배치되어 있고, 액측 폐쇄 밸브(19)는 실외 팽창 밸브(14)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스측 폐쇄 밸브(18)에는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17a)이 접속되고, 액측 폐쇄 밸브(19)에는 액측 냉매 연락 배관(17b)이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의 실외기(2)에는, 2대의 압축기(11)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이 2대의 압축기(11)는, 인버터에 의하여 회전수 제어가 행해지는 용량 가변의 인버터 압축기와,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지는 정용량의 정용량 압축기의 조합으로 해도 되고, 동일한 용량 또는 상이한 용량의 2대의 인버터 압축기의 조합, 또는 2대의 정용량 압축기의 조합으로 해도 된다.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 장치(1)에 있어서, 냉방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사방 전환 밸브(12)가 도 1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유지된다.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가스형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12)를 통하여 실외 열교환기(13)로 유입되고, 송풍기(23)의 작동에 의하여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액화한다. 액화한 냉매는, 완전 개방 상태의 실외 팽창 밸브(14)를 통과하여, 액측 냉매 연락 배관(17b)을 통하여 각 실내기(3)로 유입된다. 실내기(3)에 있어서, 냉매는, 실내 팽창 밸브(15)에서 소정의 저압으로 감압되고, 또한 실내 열교환기(16)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한다. 그리고, 냉매의 증발에 의하여 냉각된 실내 공기는, 도시하지 않은 실내 팬에 의하여 실내로 분출되어, 당해 실내를 냉방한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16)에서 증발하여 기화한 냉매는,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17a)을 통하여 실외기(2)로 복귀되고, 압축기(11)에 흡입된다.
한편, 난방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사방 전환 밸브(12)가 도 1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유지된다.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가스 상태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12)를 통하여 각 실내기(3)의 실내 열교환기(16)로 유입되고,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액화한다. 냉매의 응축에 의하여 가열된 실내 공기는, 실내 팬에 의하여 실내에 분출되어, 당해 실내를 난방한다. 실내 열교환기(16)에 있어서 액화한 냉매는, 완전 개방 상태의 실내 팽창 밸브(15)로부터 액측 냉매 연락 배관(17b)을 통하여 실외기(2)로 복귀된다. 실외기(2)로 복귀된 냉매는, 실외 팽창 밸브(14)에서 소정의 저압으로 감압되고, 또한 실외 열교환기(13)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한다. 그리고, 실외 열교환기(13)에서 증발하여 기화한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12)를 통하여 압축기(11)에 흡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외기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되는 실외기의 천장판 및 측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되는 실외기 내부의 상부측을 도시하는 평면 설명도이다.
실외기(2)는, 케이싱(22)과, 이 케이싱(22)의 측면을 따르도록 배치된 실외 열교환기(13)를 갖고 있다. 케이싱(22)은, 강판 등에 의하여 대략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저판(30), 천장판(31), 지주(32), 횡가재(33a 내지 33d), 측판(44, 54, 55)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판(30)은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 특히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판(30)의 4개의 코너에는, 각각 지주(32)의 하부가 볼트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각 지주(32)는, 예를 들어 저판(30)의 코너부의 형상에 적합한 대략 L자형의 앵글 부재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판(31)은, 저판(30)과 대략 동일한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저판(30) 상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천장판(31)의 4개의 코너에는, 각 지주(32)의 상단부가 볼트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천장판(31)에는, 2개의 사각형 통풍구(35)가 좌우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풍구(35)에는,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그릴(36)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가재(33a 내지 33d)는, 지주(32)의 상부측이며 천장판(31)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되고, 전후 좌우로 인접하는 지주(32)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22)은, 지주(32) 및 횡가재(33a 내지 33d)를 포함하는 구조 부재에 의하여 골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골격에 상기 저판(30), 천장판(31) 및 측판(44, 54, 55)이 나사못이나 볼트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커버 부재(21)(도 3 참조)도 케이싱(22)의 골격을 형성하는 구조 부재(강도 부재)로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2)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횡가재(33a, 33b) 및 케이싱(22)의 후방부측에 배치된 횡가재(33d)는,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나 L자형 등인, 좁고 긴 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케이싱(22)의 전방부측에 배치된 횡가재(전방 횡가재)(33c)는, 전후 방향의 폭 w가 약간 넓게 형성된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방 횡가재(33c) 상에는, 전장품 유닛(24)이 배치되어 있다. 즉, 전방 횡가재(33c)는 전장품 유닛(24)의 지지대로서 사용되고 있다. 전장품 유닛(24)은, 상자형 케이싱 내부에 실외기(2)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판이나 압축기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 기판, 그 외의 전기 부품을 수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장품 유닛(24)은, 실외기(2)의 좌우 방향의 폭 전체 또는 대부분을 차지하는 넓은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 횡가재(33c)와 후방 횡가재(33d) 사이에는, 2개의 지지대(41)가 좌우로 배열되어 가설되어 있다. 각 지지대(41)에는, 송풍기(23)의 모터(23a)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가재(33a 내지 33d)에는, 송풍기(23)의 외주를 둘러싸 통풍로를 형성하는 벨 마우스(42)가 설치되어 있다. 전장품 유닛(24)은, 그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좌우 2개의 송풍기(23) 사이(벨 마우스(42) 사이)의 데드 스페이스로 돌출된 돌출부(24a)를 갖고 있으며, 이 돌출부(24a)에 의하여 전장품 유닛(24)의 내부 용량의 증대가 도모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보재(33a 내지 33d)와 천장판(31) 사이에 위치하는 케이싱(22)의 4개의 측면에는 상부 측판(44)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23), 벨 마우스(42) 및 전장품 유닛(24)(도 3 참조)은, 상부 측판(44)이나 천장판(31)에 의하여 덮임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방면의 상부 측판(44)은, 전장품 유닛(24)의 전방면부를 개폐 가능하게 폐쇄하는 덮개 부재를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되는 실외기의 내부의 하부측을 도시하는 평면 설명도이다. 케이싱(22)의 저판(30) 상면에는 실외 열교환기(13), 압축기(11), 어큐뮬레이터(45), 오일 세퍼레이터(46) 등의 기기가 탑재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13)는, 소위 크로스 핀형 핀 앤드 튜브식 열교환기이며, 알루미늄제의 다수의 핀(47)과 구리제의 전열관(48)을 구비하고 있다. 전열관(48)은, 냉매가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유통되기 위한 냉매 유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각 전열관(48)은, 복수의 핀(47)을 직교형으로 관통함과 아울러, 실외 열교환기(13)의 양측 측단부에서 U자형으로 180° 만곡됨으로써 사행하고 있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13)의 한쪽 측단부(13a)에는, U자형으로 만곡되는 전열관(48)(U자형 배관(48a))만이 돌출되고, 다른 한쪽 측단부(13b)에는, U자형으로 만곡되는 전열관(48) 외에, 모세관이나 헤더 관 등을 포함하는 배관군(群)(49)에 접속되는 전열관(48)의 단부가 돌출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13)는, 케이싱(22)의 4개의 측면을 따르도록 대략 사각형으로 굴곡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외 열교환기(13)는, 케이싱(22)의 전방측 측면(전방면)을 따른 전방 열교환부(50)와, 우측 측면을 따른 우측 열교환부(51)와, 후방측 측면(후방면)을 따른 후방 열교환부(52)와, 좌측 측면을 따른 좌측 열교환부(53)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전방 열교환부(50)와 우측 열교환부(51) 사이, 우측 열교환부(51)와 후방 열교환부(52) 사이, 및 후방 열교환부(52)와 좌측 열교환부(53) 사이가, 90° 또는 그에 가까운 각도로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열교환부(50)의 좌측 단부와 좌측 열교환부(53)의 전단부가, 각각 실외 열교환기(13)의 한쪽 측단부(13a)와 다른 한쪽 측단부(13b)를 구성하고 있다.
전방 열교환부(50)는 케이싱(22)의 전방면 중, 대략 우측 절반의 범위를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열교환부(53)는 케이싱(22)의 좌측면 중, 대략 후방측 절반의 범위를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실외 열교환기(13)의 한쪽 측단부(13a)와 다른 한쪽 측단부(13b) 사이, 즉 케이싱(22)의 전방면의 좌측 절반과, 좌측면의 전방측 절반에는, 실외 열교환기(13)가 존재하지 않는 개구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20)는 지주(32)에 의하여 2개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22)의 전방면의 개구부(20a)는 전방측판(54a, 54b)에 의하여 폐색되고, 케이싱(22)의 좌측면의 개구부(20b)는 좌측판(55)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측판(54a, 54b) 및 좌측판(55)을 제거함으로써 개구부(20a, 20b)를 개방하여, 실외기 본체(2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상부 측판(44), 전방측판(54a, 54b) 및 좌측판(55) 이외의 실외기 본체(22)의 측면 부분에는 측판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실외 열교환기(13)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지만, 공기의 유통을 허용하는 통풍구가 형성된 측판이나, 복수 개의 선재를 격자형으로 짠 격자 형상 부재를 실외 열교환기(13)와 대향하는 실외기 본체(22)의 측면 부분에 설치해도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밸브(18, 19)는, 케이싱(22)의 전방면의 개구부(20a)를 향하도록 브래킷(57)을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배관군(49)은 좌측면의 개구부(20b)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2대의 압축기(11) 중 좌측에 배치된 압축기(11a)는, 전방면의 개구부(20a)를 통하여 전방에서 대략 전체를 시인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우측에 배치된 압축기(11b)는, 개구부(20a)보다도 약간 우측으로 인입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45)나 오일 세퍼레이터(46)는, 케이싱(22) 내의 후방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22) 내부에 배치된 압축기(11)나 밸브 등의 기기는, 정기적인 점검이나 유지 보수의 대상으로 되며, 이들 작업은 개구부(20)를 통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22)에 배치된 기기의 교환 작업도 개구부(20)를 통하여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작업을 행할 때, 유지 보수 등에 사용하는 공구나 교환하는 기기 등이 실외 열교환기(13)의 측단부(13a)로부터 돌출된 U자형 배관(48a)에 접촉하면, 당해 U자형 배관(48a)를 손상시켜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실외기(2)에는 U자형 배관(48a)를 덮는 커버 부재(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커버 부재(21)에 의하여 U자형 배관(48a)이 보호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외기(2)는, 전술한 케이싱(22)을 구성하는 저판(30)의 구조에 특징이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되는 실외기(2)에 있어서의 저판(30)의 평면 설명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저판(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 특히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강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저판(30)의 주연부에는, 실외 열교환기(13)의 평면 형상에 맞춰 복수의 팽출부(60), 구체적으로는 14개의 팽출부(60)가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60)는 저판(30)의 4개의 변 모두에 대하여 변 길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각 변에 대하여, 적어도 그 일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상변과 우변은, 변 길이 전체에 걸쳐 팽출부(60)가 배치되어 있고, 하변과 좌변은, 변 길이의 일부를 따라서만 팽출부(60)가 배치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13)는, 이와 같이 대략 C자형으로 배치된 팽출부(60) 상에 적재된다.
한편, 저판(30)의 중앙부에는, 실외 열교환기(13)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압축기(11)나 어큐뮬레이터(45) 등의 기기를 적재하기 위한 볼록부(61) 및 보강용 띠형 오목부(62)가, 상기 팽출부(60)와 마찬가지로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61) 및 띠형 오목부(62)의 위치 및 형상은, 압축기(1) 등의 기기류의 배치 개소나 저판(30)에 요구되는 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팽출부(60)는, 적재 면적이 작은 소형 팽출부(60a)와, 이 소형 팽출부(60a)보다 적재 면적이 큰 대형 팽출부(60b)를 갖고 있다. 소형 팽출부(60a) 및 대형 팽출부(60b)는, 모두 타원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소형 팽출부(60a)에는 1개의 긴 구멍(63)이 형성되어 있고, 대형 팽출부(60b)에는 2개의 긴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63)은 디프로스트 시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기(13)의 핀에 부착된 성에가 녹아 낙하한 드레인을 기기 외부로 직접 배출하는 배수공(제1 배수공)으로서 기능하며, 어느 쪽 긴 구멍(63)도, 그 장축이, 소형 팽출부(60a) 및 대형 팽출부(60b)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형 팽출부(60b)에 형성되는 2개의 긴 구멍(63)은, 당해 대형 팽출부(6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 배출공으로서의 긴 구멍(63)이, 실외 열교환기(13)가 적재되는 팽출부(6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즉 실외 열교환기(13) 하방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드레인을 효율적으로 당해 긴 구멍(63)으로부터 기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긴 구멍(63)은 배수 튜브 등을 경유하여 기기 외부로 드레인을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드레인을 「직접」 기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실외 열교환기(13)의 핀으로부터 낙하한 드레인이 기기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저판(30)의 내표면이나 상기 배수 튜브 내 등에서 재동결하는 일이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판(30)의 4개의 코너부 중 3개의 코너부(도 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좌측 상방 코너부, 우측 상방 코너부 및 우측 하방 코너부)에 있어서, 한 쌍의 대형 팽출부(60b)가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3개의 코너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팽출부(60)는, 이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하중에 대한 강도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당해 팽출부(60)에 형성되는 긴 구멍(63)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실외 열교환기(13)로부터의 드레인을 효율적으로 기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긴 구멍(6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출부(60)의 평탄한 상면(64)에 있어서, 저판(30) 외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실외기(2)에서는, 장치 상부에 배치된 송풍기(23)에 의하여, 실외 열교환기(13)의 외측으로부터 기기 내부를 향하여 흡인된 외기가, 천장판(31)에 배치된 그릴(36)로부터 기기 외부로 배기된다. 이 때문에, 실외 열교환기(13)의 핀에 있어서, 내측 부분보다도 외기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외측 부분에 많은 성에가 부착된다. 따라서, 긴 구멍(63)을 외측에 가까운 위치(상류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디프로스트 시에 발생하는 드레인을 효율적으로 모아 기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팽출부(60)와 팽출부(60) 사이, 및 선형으로 배치된 일련의 팽출부(60) 중 맨 앞의 팽출부(60-f)의 앞쪽 및 맨 뒤의 팽출부(60-e)의 뒤쪽에, 서브 배출공으로서의 둥근 구멍(65)(제2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 팽출부(6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팽출부(60) 양측에 둥근 구멍(6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둥근 구멍(65)은, 저판(30)의 주연부에 있어서, 당해 저판(30)의 외형을 따라, 또한 실외 열교환기(13)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홈(66)의 저부(66a)에 형성되어 있다. 홈(6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66a) 양측에 경사면(66b)을 갖고 있다. 경사면(66b)의 경사각은, 배수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이 둥근 구멍(65)도 외기에 개방되어 있으므로, 실외 열교환기(13)로부터 낙하하여, 상기 경사면(66b)을 경유하여 둥근 구멍(65)에 도달한 드레인은, 당해 둥근 구멍(65)으로부터 직접 기기 외부로 배출된다. 둥근 구멍(65)이 형성되는 홈(66)의 저부(66a)는 팽출부(60)에 비하면 강도가 작으므로, 상기 긴 구멍(63)과 같이 개구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없으며, 그 면적은 긴 구멍(63)의 면적의 1/3 내지 1/5 정도이다.
둥근 구멍(65)은, 실외 열교환기(13)의 핀으로부터 낙하한 드레인 중, 상기 긴 구멍(63)으로부터 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홈(66)로 유입된 드레인을 기기 외부로 배출한다. 그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둥근 구멍(6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외측으로 플랜지부(67)가 돌출되는 버링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드레인이 둥근 구멍(65)의 내측(기기 내부측) 주연에 표면 장력에 의하여 저류되지 않고, 드레인을 원활하게 기기 외부로 흐르게 할 수 있다.
〔그 외의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배수공을 긴 구멍으로 하고, 제2 배수공을 둥근 구멍으로 하고 있지만, 드레인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한, 배수공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배수공을 둥근 구멍으로 하고, 제2 배수공을 긴 구멍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긴 구멍이나 둥근 구멍 이외의, 예를 들어 다각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 열교환기가 적재되는 팽출부의 형상을 타원형으로 하고 있지만, 직사각형 등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 열교환기가 케이싱의 4개의 측판에 대략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외 열교환기가 케이싱의 1개의 측판, 2개의 측판 또는 3개의 측판에만 대향하여 배치되는 타입의 실외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도, 저판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열교환기 하방의 드레인 배수를 위한 개구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 공기 조화 장치
2: 실외기
3: 실내기
10: 냉매 회로
11: 압축기
13: 실외 열교환기
22: 케이싱
30: 저판
31: 천장판
32: 지주
33a 내지 33d: 횡가재
35: 통풍구
36: 그릴
60: 팽출부
61: 볼록부
62: 띠형 오목부
63: 긴 구멍(제1 배수공)
65: 둥근 구멍(제2 배수공)
66: 홈
66a: 저부
67: 플랜지부

Claims (5)

  1. 천장판(31), 측판(44, 54, 55) 및 저판(30)을 포함하는 직육면체형 케이싱(22) 내에 있어서, 상기 저판(30)에 열교환기(13)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외기(2)로서,
    상기 열교환기(13)는, 상기 저판(30)에 형성된 복수의 팽출부(60) 상에 적재되어 있고,
    상기 팽출부(60)에는, 상기 열교환기(13)로부터의 드레인을 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배수공(6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13) 하방이고 상기 팽출부(60) 이외의 저판(30)에, 상기 제1 배수공(63)보다도 작은 제2 배수공(65)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배수공(63)은, 상기 팽출부(60)에 있어서, 열교환기(13)를 통과하는 공기류의 상류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외기(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수공(65)은, 인접하는 팽출부(6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외기(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60)는 타원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13)의 평면 형상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외기(2).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공(63)은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며, 당해 긴 구멍의 장축이 상기 팽출부(60)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팽출부(6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외기(2).
  5. 삭제
KR1020147017507A 2011-11-30 2012-11-09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KR101464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1105 2011-11-30
JP2011261105A JP5353998B2 (ja) 2011-11-30 2011-11-30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PCT/JP2012/079085 WO2013080772A1 (ja) 2011-11-30 2012-11-09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648A KR20140094648A (ko) 2014-07-30
KR101464117B1 true KR101464117B1 (ko) 2014-11-21

Family

ID=4853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7507A KR101464117B1 (ko) 2011-11-30 2012-11-09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338384A1 (ko)
EP (1) EP2787289B1 (ko)
JP (1) JP5353998B2 (ko)
KR (1) KR101464117B1 (ko)
CN (1) CN203823946U (ko)
AU (1) AU2012345079B2 (ko)
WO (1) WO20130807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0829B2 (ja) * 2011-11-30 2013-10-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における室外機のケーシング
WO2014203500A1 (ja) * 2013-06-18 2014-12-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284077B2 (ja) * 2014-02-14 2018-0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20160031230A (ko) * 2014-09-12 2016-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CN105423452B (zh) * 2014-09-12 2019-01-22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的室外机
KR101753955B1 (ko) 2014-12-17 2017-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US20160178290A1 (en) * 2014-12-17 2016-06-23 Lg Electronics Inc. Outdoor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WO2017017813A1 (ja) * 2015-07-29 2017-02-02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ユニット
JP2017053577A (ja) * 2015-09-11 2017-03-16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室外機
JP6361685B2 (ja) * 2016-04-21 2018-07-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源ユニット
JP6495860B2 (ja) * 2016-04-21 2019-04-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源ユニット
JP6269717B2 (ja) * 2016-04-21 2018-01-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源ユニット
WO2018100601A1 (ja) * 2016-11-29 2018-06-0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US20180180347A1 (en) * 2016-12-22 2018-06-28 Brian S. Kim Wicking pad using hot coil for refrigerator
JP6936160B2 (ja) * 2018-01-31 2021-09-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CN109323340A (zh) * 2018-11-16 2019-02-12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接水盘及具有其的空调室外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9926U (ko) * 1986-10-27 1988-05-11
JPS63111337A (ja) * 1986-10-27 1988-05-16 Sanyo Electric Co Ltd 熱交換ユニツト
JPH10300131A (ja) * 1997-04-30 1998-11-13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6029Y2 (ko) * 1985-01-14 1989-11-02
US4748828A (en) * 1987-06-29 1988-06-07 Carrier Corporation Self-draining base pan for an air conditioner
JPS6431930U (ko) * 1987-08-17 1989-02-28
AU1959800A (en) * 1999-12-30 2001-07-16 Carrier Corporation Coil support pan for an air handling unit
US6497255B1 (en) * 2001-07-13 2002-12-24 Carrier Corporation Floor panel for air handling unit
KR100988572B1 (ko) * 2003-08-14 2010-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7032406B2 (en) * 2004-08-05 2006-04-25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Ice machine including a condensate collection unit, an evaporator attachment assembly, and removable sump
US7708052B2 (en) * 2006-01-20 2010-05-04 Carrier Corporation Coil support
KR101371886B1 (ko) * 2007-10-31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4892713B2 (ja) * 2008-08-25 2012-03-07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309824B2 (ja) 2008-09-17 2013-10-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9926U (ko) * 1986-10-27 1988-05-11
JPS63111337A (ja) * 1986-10-27 1988-05-16 Sanyo Electric Co Ltd 熱交換ユニツト
JPH10300131A (ja) * 1997-04-30 1998-11-13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13513A (ja) 2013-06-10
AU2012345079B2 (en) 2014-09-11
AU2012345079A1 (en) 2014-07-17
WO2013080772A1 (ja) 2013-06-06
EP2787289A1 (en) 2014-10-08
JP5353998B2 (ja) 2013-11-27
EP2787289A4 (en) 2014-12-24
US20140338384A1 (en) 2014-11-20
EP2787289B1 (en) 2016-04-06
KR20140094648A (ko) 2014-07-30
CN203823946U (zh) 201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117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JP5240377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5360186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5500725B2 (ja) ヒートポンプ式の熱源機
JP5447580B2 (ja) 空調機の室外機
WO2018056209A1 (ja) 熱交換器
JP5398283B2 (ja) 空調室外機
EP3514457B1 (en) Heat source unit
KR20200017081A (ko) 제습기
JP7260805B2 (ja) 冷凍装置
JP7011187B2 (ja) 冷媒分流器、及び、空気調和機
JP607039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US10920998B2 (en)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17980688A (zh) 热交换器和空调装置
JP2021081079A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