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449A - 페이스 마스크 및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이스 마스크 및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449A
KR20140091449A KR1020130162927A KR20130162927A KR20140091449A KR 20140091449 A KR20140091449 A KR 20140091449A KR 1020130162927 A KR1020130162927 A KR 1020130162927A KR 20130162927 A KR20130162927 A KR 20130162927A KR 20140091449 A KR20140091449 A KR 20140091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face mask
layer
skin
nanofib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7475B1 (ko
Inventor
김익수
기카이
케이 와타나베
야에코 아카다
김규오
히로코 콘도
Original Assignee
신슈 다이가쿠
(주)씨네이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슈 다이가쿠, (주)씨네이처 filed Critical 신슈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40091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에서 유리한 오염이 피부와 페이스 마스크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공한다.
기재층과,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은, 콜라겐함유 나노섬유를 함유한다.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에서 유리한 오염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에서 유리한 오염이 피부와 페이스 마스크와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페이스 마스크 및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FACE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페이스 마스크 및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재층(910)과 섬유층(920)을 갖춘 페이스 마스크(900)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도 13은, 종래의 페이스 마스크(900)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종래의 페이스 마스크(900)은, 이른바 필 오프 타입의 페이스 마스크이며, 피부에 장착하여 일정시간 경과한 후 페이스 마스크를 피부에서 떼어내는 것으로 피부 표면의 오염을 제거한다. 종래의 페이스 마스크(900)에 있어서, 섬유층(920)은, 친수성을 가지며, 화장액이 함유되어 있다. 종래의 페이스 마스크(900)에 있어서는, 화장액으로서, 피지흡수용 화장액이나 각질제거용 화장액을 이용한다.
종래의 페이스 마스크(900)에 따르면, 화장액으로서, 피지흡수용 화장액이나 각질제거용 화장액을 이용하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900)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 표면의 오염(오래된 각질이나 피지, 오염 등)을 피부에서 유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해당 오염이 페이스 마스크(900)와 피부 사이에 형성된 화장액의 피막에 체류하여, 페이스 마스크(900)를 피부에서 떼어낼 때에, 페이스 마스크(900)와 함께 화장액의 피막마다 해당 오염을 피부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페이스 마스크(900)에 따르면, 기재층(910)을 가지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900)를 피부에서 떼어낼 때에, 화장액의 피막이 찢어져 피부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따라서, 피막에 체류하고 있던 오염이 피부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494334호
그러나 종래의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는,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에서 유리한 오염이 피부와 페이스 마스크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것으로,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에서 유리한 오염이 피부와 페이스 마스크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는, 기재층과 콜라겐 함유 나노섬유층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의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에서 유리한 오염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 이동시킨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에서 유리한 오염이 피부와 페이스 마스크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갖추기 위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의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한편, 보습성분을 가지는 동시에 피부에 스며들기 쉬운 콜라겐을 함유함으로써,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의 표면으로부터 유리한 오염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 이동시키기 쉬워져, 많은 오염을 피부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의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의 피부촉감이 좋다.
[2]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는,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은, 콜라겐함유 나노섬유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와의 접촉면적이 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를 함유하기 때문에, 콜라겐함유 나노섬유를 통하여 다량의 콜라겐을 피부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콜라겐이 가지는 미용효과(보습효과 등)를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3]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는,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은,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로만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한 효과를 한층 더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4]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는,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은, 콜라겐을 함유하지 않은 나노섬유로 구성된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에 콜라겐을 함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피부와 높은 접촉면적을 가지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에 콜라겐을 함침시키기 때문에,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에 함침시킨 콜라겐을 피부에 스며들기 쉽게 한다. 그 결과, 콜라겐이 가지는 미용효과(보습효과 등)를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이 높은 흡액성을 가지는 나노섬유로 구성되기 때문에,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에 다량의 콜라겐을 함침 시킴으로써 다량의 콜라겐을 함유하는 콜라겐 함유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다량의 콜라겐을 피부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5]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상기 콜라겐 함유 나노섬유층을 구성하는 나노섬유와는 다른 나노섬유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기재층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로 구성되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에, 피부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으로 유리한 오염을 더욱 기재층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오염이 피부와 페이스 마스크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하는 것으로 더욱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에, 피부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으로 유리한 오염을 더욱 기재층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의 표면으로부터 유리한 오염을 페이스 마스크에 의해 크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페이스 마스크를 피부에서 떼어낼 때에, 더욱 많은 오염을 피부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6]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는, 상기 기재층은 친수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에, 기재층의 위에서 화장액을 분사하는 것으로, 기재층 및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통하여 화장액을 피부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7]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은, 화장액을 내포한 캡슐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에, 캡슐에 내포된 화장액을 피부에 스며들게 하는 것으로, 화장액이 가지는 미용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화장액을 캡슐에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기 전에, 캡슐에 내포된 화장액이 증발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화장액을 손실 없이 피부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8]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는,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는 반대쪽 면에, 장착 전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서 박리시킨 박리층을 더 갖추어, 상기 기재층은, 발유성이 있으며,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은, 피부의 표면에서 오염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 표면의 오염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유하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에, 많은 오염을 피부의 표면에서 유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페이스 마스크를 피부에서 떼어낼 때에, 많은 오염을 피부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기재층이 발유성을 가지기 때문에,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이 기재층을 통하여 외부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오일을 손실 없이 피부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9]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는, 상기 기재층과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사이에 위치하여, 콜라겐을 함유하지 않은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을 더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 이동한 오염을 더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에서 유리한 오염이 피부와 페이스 마스크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하는 것으로 더욱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따르면,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 이동한 오염을 더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페이스 마스크를 피부에서 떼어낼 때에, 피부 표면으로부터 많은 오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10]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는,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은, 친수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의 기재층의 위에서 화장액(또는 약물)을 분사하는 것에 의해, 기재층,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 및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통하여 피부에 화장액(또는 약물)을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11]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는,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은, 화장액 또는 약물을 내포한 캡슐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에, 캡슐에 내포된 화장액 또는 약물을 피부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화장액 또는 약물이 가지는 여러 가지 효능을 피부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화장액을 내포한 캡슐을 함유하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기 전에, 캡슐에 내포된 화장액 또는 약물이 증발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화장액을 손실 없이 피부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12]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는,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의 반대쪽 면에 박리층을 더욱 갖추고, 상기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은 발유성을 가지는 폴리머가 되며,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은, 피부의 표면에서 오염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 표면의 오염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유하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에, 많은 오염을 피부의 표면에서 유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페이스 마스크를 피부에서 떼어낼 때에, 많은 오염을 피부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기재층이 발유성을 가지기 때문에,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이 기재층을 통하여 외부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오일을 손실 없이 피부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13]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1]~[3] 중 하나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으로서, 기재층을 준비하는 기재층 준비공정과, 전계방사법에 의해, 상기 기재층의 한쪽면에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콜라겐 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에 있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해, 제조된 페이스 마스크는, 피부에서 유리한 오염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 이동시킨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의 스며들기 어렵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에 있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한편, 보습성분을 가지는 동시에 피부에 스며들기 쉬운 콜라겐을 함유하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해,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의 표면으로부터 유리한 오염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 이동시키기 쉬운 페이스 마스크가 되어, 피부로부터 많은 오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에 있어서는,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장착했을 때의 피부촉감이 좋은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14]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4]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으로서, 기재층을 준비하는 기재층 준비공정과, 전계방사법에 의해, 상기 기재층의 한쪽면에 콜라겐을 함유하지 않은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 형성공정과, 상기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에 콜라겐을 함침 시킴으로써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한 특징을 가지는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에 있어, 피부와 높은 접촉면적을 가지는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에 콜라겐을 함침시키기 때문에,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에 함침시킨 콜라겐을 피부에 스며들기 쉽게 한다. 그 결과, 콜라겐이 가지는 미용효과(보습효과 등)를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이 높은 흡액성을 가지기 때문에,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에 다량의 콜라겐을 함침 시킴으로써 다량의 콜라겐을 함유하는 콜라겐 함유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다량의 콜라겐을 피부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15]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준비공정에서, 전계방사법에 의해,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구성하는 나노섬유와는 다른 나노섬유의 기재층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정으로 하는 것에 의해, 기재층 준비공정에서, 피부 세포의 구조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의 기재층을 형성하기 위해, 장착했을 때의, 피부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으로 유리한 오염을 더욱 기재층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에서 유리한 오염이 피부와 페이스 마스크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하는 것으로 더욱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공정으로 하는 것에 의해, 기재층 준비공정에서, 피부 세포의 구조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의 기재층을 형성하기 위해,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에, 피부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으로 유리한 오염을 더욱 기재층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페이스 마스크를 피부에서 떼어낼 때에, 많은 오염을 피부 표면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16]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9]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으로서, 기재층을 준비하는 기재층 준비공정과, 전계방사법에 의해, 상기 기재층의 한쪽면에 콜라겐을 함유하지 않은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과, 전계방사법에 의해, 상기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에 있어 상기 기재층과는 반대쪽 면에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에 있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해, 장착할 때에 피부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으로 유리한 오염을 더욱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가 된다. 따라서, 피부에서 유리한 오염이 피부와 페이스 마스크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에 있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해, 장착할 때에, 피부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으로 유리한 오염을 더욱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페이스 마스크를 피부에서 떼어낼 때에, 피부로부터 많은 오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따르면,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에서 유리한 오염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 이동시킨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에서 유리한 오염이 피부와 페이스 마스크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갖추기 위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의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한편, 보습성분을 가지는 동시에 피부에 스며들기 쉬운 콜라겐을 함유함으로써,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의 표면으로부터 유리한 오염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 이동시키기 쉬워져, 많은 오염을 피부에서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의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의 피부촉감이 좋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2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3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4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5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7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8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페이스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페이스 마스크 및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관해서, 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1.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구성.
먼저,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도 1(a)은 페이스 마스크(1)의 전체도를 나타내며, 도 1(b)은 페이스 마스크(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는, 이른바 필 오프 타입의 페이스 마스크이며, 피부에 장착하여 일정시간 경과 한 후 페이스 마스크를 피부에서 떼어내는 것으로 피부 표면의 오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눈, 코 및 입 등을 제외한 얼굴 전체를 가리는 타입의 페이스 마스크이다.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10)과,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을 갖춘다.
기재층(10)은 부직포로 되어 친수성을 가진다. 기재층(10)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2mm 범위 내이다. 기재층(10)의 두께가 20㎛ 이하의 경우에는, 페이스 마스크(1)를 피부로부터 떼어낼 때에 페이스 마스크(1)를 잡기 어렵기 때문에 떼어 내기 어렵고, 또한 페이스 마스크(1)가 뜯어지거나 찢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기재층(10)의 두께가 2mm 이상의 경우에는, 페이스 마스크(1)을 장착하여 화장액을 기재층(10)의 위에까지 분사했을 때(「3.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사용방법」 참조.)에 화장액이 피부까지 스며드는 것에 시간이 걸린다. 화장액이 스며들기까지의 시간을 고려하면, 기재층(10)의 두께는 가급적 20㎛~500㎛ 범위 내의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10)을 구성하는 섬유직경은, 예를 들어, 1㎛~100㎛ 범위 내에 있다.
기재층(10)의 재료로서는,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코튼을 이용한다.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은, 기재층(10)의 한쪽 면에 적층되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로만 구성된다.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의 두께는, 예를 들어, 5μm~50μm 범위 내이다.
콜라겐함유 나노섬유는, 콜라겐을 함유한 나노섬유로 된다. 콜라겐함유 나노섬유는, 콜라겐을 분산시킨 폴리머 용액을 전계방사 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콜라겐함유 나노섬유 내의 콜라겐 함유량은, 적절히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제조 시나 보존 시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현실적으로는 95% 이하의 함유량이 된다.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의 섬유직경은, 1nm~3000nm 범위 내이다.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에 이용하는 콜라겐으로, 적절한 콜라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소 진피 콜라겐을 이용한다.
2.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
다음,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 준비공정(S10)과,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S12)과 이 순서를 포함한다.
(1)기재층 준비공정(S10)
기재층 준비공정(S10)에 있어서, 긴 시트 형태로 형성된 부직포로 된 기재층 (10)을 준비한다.
(2)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S12)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S12)에 있어서, 전계방사법에 의해, 기재층 (10)의 한쪽 면에, 콜라겐함유 나노섬유로 구성된 콜라겐 함유 나노섬유층(2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동결 건조시킨 분말 상의 콜라겐을 용매에 분산한 후 폴리머 용액을 제작한다. 폴리머 용액 작성 시의 온도 및 습도는 상온에서 한다. 다음, 이렇게 제작한 폴리머 용액을 전계방사장치의 노즐에 공급하여 기재층(10)의 한쪽 면에 전계방사하여 가교 시킨다. 이를 통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을 형성한다. 이렇게, 기재층(10)과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과 적층된 적층체를 형성한다.
콜라겐으로는, 동물의 진피와 뼈, 꼬리, (물고기의) 비늘 등에서 얻는 동물 유래의 콜라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아카시아 등의 식물 유래의 콜라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아카시아 유래의 콜라겐을 이용한다.
폴리머 용액에 이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헥사 플루오로 -2- 프로판올이나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와 에탄올을 1:1로 혼합한 용액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종류의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폴리머 용액에서는, 도전성 향상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헥사 플루오로 -2- 프로판올을 이용한다.
폴리머 용액에 이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1,1,1,3,3,3 - 헥사 플루오로 -2- 프로판올(HFIP)이나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와 에탄올을 1:1로 혼합한 용액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종류의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폴리머 용액에서는 도전성 향상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1,1,1,3,3,3 - 헥사 플루오로 -2- 프로판올을 이용한다.
전계방사법은 널리 일반에 알려져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전계방사를 할 때의 인가전압은 예를 들면, 10kV~30kV 범위 내이다.
가교 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글루타르알데히드 25% 수용액에서 발생하는 증기로 채워진 데시케이터 내에 소정의 시간(12시간~24시간 정도) 놔둔 후에 글리신을 이용하여 미반응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교 시키는 방법으로서는 180℃의 전기로 내에서 30분 정도 열처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
다음, 기재층(10)과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이 적층된 적층체를 얼굴의 윤곽이나 기복, 코, 입 등의 개구부에 맞게 잘라내어(도 1(a) 참조.) 페이스 마스크(1)를 제조한다.
3.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사용방법
다음,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사용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를 장착했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도 3(a)은 피부에 페이스 마스크(1)를 장착하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이며, 도 3(b)은 페이스 마스크(1)의 위에서 분사SP로 화장액을 분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며, 도 3(c)은 화장액이 피부에 스며들어 가는 것과 동시에 피부 표면의 오염이 페이스 마스크(1)에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며, 도 3(d)은 페이스 마스크(1)를 피부에서 떼어내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이스 마스크(1)의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을 피부와 접촉하도록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한다.
다음,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10)의 위쪽에서 화장액(M)을 분사SP로 분사한다. 화장액으로서는 각질제거용 화장액을 이용한다. 분사된 화장액(M)은 기재층(10) 및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을 통하여 피부(S)에 스며든다. 이때, 화장액(M)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을 통과할 때에 화장액(M)의 수분에 의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의 콜라겐(C)이 일부 용해하고, 콜라겐(C)도 피부에 스며든다. 이와 같이 피부에 스며들어가는 화장액(M)의 작용에 의해 피부(S)의 표면에서 오염(D)이 유리한다. 피부(S)에서 유리한 해당 오염(D)은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이동한다.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이스 마스크 1을 피부 S에서 떼어낸다. 이때,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20에 흡수된 오염 D도 동시에 제거시킨다.
각질제거용 화장액으로서는, 양이온 성, 음이온 성, 양 이온성 염 생성기, 더 구체적으로 카르복실기, sulfone acid residue, sulfate residue, phosphate residue, acid residue, 아미노기, 암모늄기 등의 염 생성기를 함유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폴리 염화 Trimethylamine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액에는, 어떤 용도에도, 화장액에 통상 배합된 성분, 예를 들어, 비타민C나 태반 추출물 등의 미백 성분, 글리시리진산 염 등의 소염성분, 색소, 안료, 계면활성제, 방부제 및 살균제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4.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 및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의 효과
이하,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 및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의 효과를 기재한다.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1)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이 피부(S)와 페이스 마스크(1)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M)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을 갖추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한편, 보습성분을 가지는 동시에 피부(S)와 친숙해지기 쉬운 콜라겐(C)을 함유함으로써, 페이스 마스크(1)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S)의 표면에서 유리한 오염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이동시키기 쉽게 되어, 많은 오염(D)을 피부(S)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이 피부(S)의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1)을 장착했을 때의 피부촉감이 좋다.
또한,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이 피부(S)와의 접촉면적이 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를 함유하기 때문에, 콜라겐함유 나노섬유를 통하여 다량의 콜라겐(C)을 피부(S)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콜라겐(C)이 가지는 미용효과(보습효과 등)를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에 따르면, 페이스 마스크(1)를 장착했을 때의, 기재층(10)의 위에서 화장액(M)을 분사하는 것으로, 기재층(10) 및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을 통하여 화장액(M)을 피부(S)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S12)에 있어, 피부(S)의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된 페이스 마스크는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페이스 마스크(1)을 장착했을 때의,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이 피부(S)와 페이스 마스크(1)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M)이 피부(S)에 스며들기 어렵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S12)에 있어, 피부(S)의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한편, 보습성분을 가지는 동시에 피부(S)와 친숙해지기 쉬운 콜라겐(C)을 함유하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을 형성하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1)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S)의 표면에서 유리한 오염(D)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이동시키기 쉬운 페이스 마스크가 되어, 피부(S)에서 많은 오염(D)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S12)에 있어서, 피부(S)의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을 형성하기 때문에, 장착했을 때의 피부촉감이 좋은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2]
도 4는 실시형태 2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2)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실시형태 2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2)는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의 구성이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경우와는 다르다. 즉, 실시형태 2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2)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2)은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22')에 콜라겐(C)을 함침 시켜서 된다.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22')은 콜라겐을 함유하지 않은 나노섬유로 된다.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22')의 두께는 예를 들어, 5㎛~50㎛ 범위 내이다. 또한, 나노섬유의 섬유직경은 1nm~3000nm 범위 내이다.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22')의 재료로서는, 높은 공극률 및 친수성을 가지는 재료이면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2의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22')의 재료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PVA)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PVA)에는 불용화처리를 하여도 좋다.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2)은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22')에 콜라겐C를 함침 시켜서 된다. 구체적으로, 콜라겐C를 용해한 용액에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22')을 침지하는 것으로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22')에 콜라겐(C)을 함침 시켜서 된다.
실시형태 2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페이스 마스크(2)를 제조하는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으로서, 기재층 준비공정과, 전계방사법에 의해, 상기 기재층의 한쪽면에 콜라겐을 함유하지 않은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 형성공정과,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에 콜라겐을 함침 시킴으로써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2)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의 구성이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경우와는 다르나,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2)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2)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2)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이 피부(S)와 페이스 마스크(2)와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M)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2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2)에 의하면, 피부(S)와 높은 접촉면적을 가지는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22')에 콜라겐(C)을 함침 시키기 때문에,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22')에 함침시킨 콜라겐(C)을 피부(S)에 스며들기 쉽게 된다. 그 결과, 콜라겐(C)이 가지는 미용효과(보습효과 등)를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2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2)에 의하면,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22')이 높은 흡액성을 가지기 때문에,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22')에 다량의 콜라겐(C)을 함침 시키는 것으로 다량의 콜라겐(C)을 함유하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2)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다량의 콜라겐(C)을 피부(S)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2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 형성공정에 있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된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장착했을 때의 피부촉감이 좋은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2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에 있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은 피부(S)와 높은 접촉면적을 가지는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22')에 콜라겐(C)을 함침 시키기 때문에, 콜라겐에 함침 시킨 콜라겐(C)을 피부에 스며들기 쉽게 된다. 그 결과, 콜라겐이 가지는 미용효과(보습효과 등)를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2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2)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의 구성 이외의 점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가 가지는 효과 중 해당하는 효과를 가진다.
[실시형태 3]
도 5는, 실시형태 3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3)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실시형태 3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3)는,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기재층이 나노섬유로 되는 점이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경우와는 다르다. 즉, 실시형태 3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노섬유의 기재층(12)과, 콜라겐을 함유하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을 가진다.
기재층(12)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을 구성하는 나노섬유와는 다른 나노섬유로 된다. 기재층(12)의 섬유 직경은, 1nm~3000nm 범위 내이다. 기재층(12)의 재료로서는, 친수성을 가지는 재료라면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실시형태 3에서는, 폴리우레탄(PU)을 이용한다.
실시형태 3의 기재층 준비공정에서는, 전계방사법에 의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20을 구성하는 나노섬유와는 다른 나노섬유의 기재층(1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3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3)는 기재층이 나노섬유로 되는 점이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경우와는 다르나,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3)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이 피부(S)와 페이스 마스크(3)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M)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3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3)에 의하면, 기재층(12)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로 구성되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3)를 장착했을 때의, 피부(S)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유리한 오염(D)을 더욱 기재층(12)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오염(D)이 피부(S)와 페이스 마스크(3)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M)이 피부(S)에 스며들기 어렵게 하는 것을 더욱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3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3)에 의하면, 페이스 마스크(3)를 장착했을 때의 피부(S)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유리한 오염(D)을 더욱 기재층(12)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페이스 마스크(3)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S)의 표면에서 유리한 오염(D)을 페이스 마스크(3)에 더 많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페이스 마스크(3)를 피부S에서 떼어낼 때에, 더 많은 오염(D)을 피부(S)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3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기재층 준비공정(S10)에서, 피부 세포의 구조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의 기재층(12)을 형성하기 위해, 장착했을 때의, 피부(S)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유리한 오염(D)을 더욱 기재층(12)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이 피부(S)와 페이스 마스크(4)와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이 피부(S)에 스며들기 어렵게 하는 것을 더욱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3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기재층 준비공정(S10)에서, 피부(S)의 세포구조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의 기재층(12)을 형성하기 위해, 페이스 마스크(4)를 장착했을 때의 피부(S)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유리한 오염을 더욱 기재층(12)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페이스 마스크(4)를 피부(S)에서 떼어낼 때에, 많은 오염(D)을 피부(S)의 표면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3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3)는 기재층이 나노섬유로 된 점 이외의 점에서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가 가지는 효과 중 해당하는 효과를 가진다.
[실시형태 4]
도 6은, 실시형태 4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4)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실시형태 4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4)는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화장액을 내포한 캡슐을 함유하는 점이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경우와는 다르다. 즉, 실시형태 4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4)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10)과, 화장액을 내포한 캡슐(40)을 함유하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4)을 가진다.
캡슐(40)은 외피의 안쪽부분에 화장액을 내포하고 있다. 캡슐(40)에서는 기재층(10)의 외부에서 수분을 분사하여, 캡슐(40)의 외피에 수분이 접촉하는 것으로 외피가 찢어져, 내포하고 있는 화장액이 새어 나와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을 통하여 피부(S)에 스며든다.
캡슐(40)의 외피는 수용성의 폴리머로 된다. 캡슐(40)의 외피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젤라틴, 글리세린, 왁스 등의 것이 가능하며, 제조하는 시트 형태 팩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캡슐(40)에 내포되어 있는 화장액으로서는, 물, 글리세린, 콜라겐, 알코올류, 보습유류, 식물엑기스 류, 각종 당류, 보습용 고분자 류, PH조절제 등의 것이 가능하며, 제조하는 페이스 마스크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4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4)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화장액을 내포한 캡슐을 함유하는 점이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경우와는 다르나,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4)가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4)를 장착했을 때의 화장액(M)에 의해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4)에 유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이 피부(S)와 페이스 마스크(5)와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M)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4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4)에 의하면,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에, 캡슐(40)에 내포된 화장액(M)을 피부(S)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화장액(M)이 가지는 여러 가지 효능을 피부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4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4)에 의하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4)이 화장액 M을 내포한 캡슐 40을 함유하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기 전에, 캡슐(40)에 내포된 화장액이 증발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화장액(M)을 손실 없이 피부(S)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4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4)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화장액을 내포한 캡슐을 함유하는 점 이외의 점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이 가지는 효과 중 해당하는 효과를 가진다.
[실시형태 5]
도 7은, 실시형태 5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5)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실시형태 5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5)는,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박리층을 더욱 갖추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의 표면에서 오염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유하는 점이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경우와는 다르다. 즉, 실시형태 5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5)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10)과, 피부의 표면에서 오염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유하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과, 장착 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에서 유리시킨 유리층(30)을 가진다.
기재층(10)은 발유성을 가진다. 기재층(10)으로, PU등의 부직포에 불소 코팅을 함으로써 발유성을 가지는 기재층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재층(10)의 재료로서 발유성을 가지는 나노파이버화 가능한 재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은,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에 피부 표면에서 오염(D)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침 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기재층(10)과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이 적층된 적층체를 형성하여, 해당 적층체를 오일에 침지하여 형성된다.
박리층(30)은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의 기재층(10)과는 반대쪽 면에 설치되고,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에서 오일이 외부에 빠져나가지 않도록 커버하는 발유성 필름이다. 박리층(30)은, 페이스 마스크(4)의 장착 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에서 박리 된다. 박리층(30)이 벗겨 내어진 후, 페이스 마스크(5)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을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장착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5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5)는, 박리층을 더욱 갖추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의 표면에서 오염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유하는 점이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경우와는 다르나,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5)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이 피부(S)와 페이스 마스크(5)와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M)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5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5)에 의하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이 피부(S)의 표면 오염(D)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유하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에, 많은 오염(D)을 피부(S)의 표면에서 유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페이스 마스크를 피부에서 떼어낼 때에, 많은 오염(D)을 피부(S)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5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5)에 의하면, 기재층(14)이 발유성을 가지기 때문에,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에 함유된 오일이 기재층(14)을 통하여 외부에 빠지는 것의 방지가 가능하며, 오일을 손실 없이 피부(S)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5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5)는 박리층을 더욱 갖추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의 표면에서 오염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유하는 점 이외의 점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가 가지는 효과 가운데 해당되는 효과를 가진다.
[실시형태 6]
도 8은,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를 장착했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는,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을 더욱 갖추고 있는 점이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경우와는 다르다. 즉,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10)과,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과,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을 갖춘다.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은, 기재층(10)과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콜라겐을 함유하지 않는다.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은, 친수성을 가진다.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의 재료는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시형태 6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이용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PVA)에는 불용화 처리를 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 준비공정(S20)과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S24)과의 사이에, 전계방사법에 의해, 기재층(10)과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콜라겐을 함유하지 않은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을 형성하는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S22)을 더 포함한다.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사용방법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사용방법과 동일하지만,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유리한 오염(D)의 적어도 일부가,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는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을 더욱 갖추고 있는 점이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경우와는 다르나,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이 피부(S)의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6)를 장착했을 때의 화장액(M)에 의해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유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이 피부와 페이스 마스크(6)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M)이 피부(S)에 스며들기 어렵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에 의하면,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6)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S)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이동한 오염(D)을 더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이 피부(S)와 페이스 마스크(6)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M)이 피부(S)에 스며들기 어렵게 하는 것을 더욱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에 의하면,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이 피부(S)의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6)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S)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이동한 오염(D)을 더욱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페이스 마스크(6)를 피부(S)에서 떼어낼 때에, 피부(S)의 표면에서 많은 오염(D)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또한,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에 의하면,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S22)에서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을 형성하기 때문에, 장착할 때에 피부(S)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유리한 오염(D)을 더욱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가 된다. 따라서,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이 피부(S)와 페이스 마스크(6)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M)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에 의하면,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S22)에서, 피부(S)의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을 형성하기 때문에, 장착할 때에, 피부(S)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유리한 오염(D)을 더욱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페이스 마스크(6)를 피부(S)에서 떼어낼 때에, 피부(S)에서 많은 오염(D)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S22)에서 피부(S)의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을 형성하기 때문에, 장착할 때에 피부(S)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유리한 오염(D)을 더욱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가 된다. 따라서,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이 피부(S)와 페이스 마스크(6)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M)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S22)에서, 피부(S)의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을 형성하기 때문에, 장착할 때에 피부(S)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유리한 오염(D)을 더욱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페이스 마스크(6)를 피부(S)에서 떼어낼 때에, 피부(S)에서 많은 오염(D)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는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을 더 갖추는 점 이외의 점에서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실시형태 1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가 가지는 효과 중 해당하는 효과를 가진다.
[실시형태 7]
도 11은, 실시형태 7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7)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실시형태 7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7)는,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화장액을 내포한 캡슐을 함유하는 점이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의 경우와는 다르다. 즉, 실시형태 7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7)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10)과,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과, 화장액을 내포한 캡슐(40)을 함유하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4)을 갖춘다.
화장액(M)을 내포한 캡슐(40)을 함유하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4)의 구성은, 실시형태 4의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4)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7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7)은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화장액을 내포한 캡슐을 함유하는 점이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의 경우와는 다르나,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의 경우와 동일하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4)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4)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이 피부(S)와 페이스 마스크와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M)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7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7)에 의하면,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에, 캡슐(40)에 내포된 화장액(M)을 피부(S)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화장액(M)이 가지는 여러 가지 효능을 피부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7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7)에 의하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4)이 화장액(M)을 내포한 캡슐을 함유하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기 전에, 캡슐(40)에 내포된 화장액(M)이 증발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화장액(M)을 손실 없이 피부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7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7)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화장액을 내포한 캡슐을 함유하는 점 이외의 점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가 가지는 효과 중 해당하는 효과를 가진다.
[실시형태 8]
도 12는, 실시형태 8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8)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실시형태 8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8)는,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박리층을 더욱 갖추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의 표면에서 오염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유하는 점이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의 경우와는 다르다. 즉, 실시형태 7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7)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10)과,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2)과, 피부의 표면에서 오염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유하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과, 장착 전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서 유리시킨 유리층(30)을 갖춘다.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2)은 발유성을 가진다.
오일을 함유하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 및 박리층(30)의 구성은 실시형태 4의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 및 박리층(30)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8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8)는 박리층을 더욱 갖추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의 표면에서 오염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유하는 점이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의 경우와는 다르나,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의 경우와 동일하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이 피부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S)에서 유리한 오염(D)이 피부(S)와 페이스 마스크(1)의 사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여 화장액(M)이 피부에 스며들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8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8)에 의하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이, 피부(S)의 표면 오염(D)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유하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에, 많은 오염(D)을 피부(S)의 표면에서 유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페이스 마스크를 피부(S)에서 떼어낼 때에, 많은 오염(D)을 피부(S)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8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8)에 의하면,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2)이 발유성을 가지기 때문에,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6)에 함유된 오일이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2) 및 기재층(10)을 통하여 외부에 빠지는 것의 방지가 가능하며, 오일을 손실 없이 피부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8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8)는 박리층을 더욱 갖추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피부의 표면에서 오염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유하는 점 이외의 점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실시형태 6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6)가 가지는 효과 가운데 해당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그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측면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1)상기 실시형태 1~3, 5~6 및 8에서, 화장액으로서, 각질제거용 화장액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적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화장액으로서, 유화용 화장액, 안정화용 화장액, 보습용 화장액, 미백용 화장액, 자외선 차단용 화장액, 수렴용 화장액, 각질 유연용 화장액 그 외의 화장액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화장액으로서, 각질제거용 화장액에 상기한 화장액을 더 더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2)상기 실시형태 1~3, 5~6 및 8에서, 페이스 마스크에 화장액을 분사(SP)로 분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적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페이스 마스크에 물이나 약물을 분사(SP)로 분사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약물으로서는, 알란토인 등의 소염작용이 있는 성분을 함유하는 약물이나 진크피리티온 등의 항균작용이 있는 성분을 함유하는 약물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3)상기실시형태 5 및 8에서, 기재층(10)과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이 적층된 적층체, 또는 기재층(10)과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50)과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이 적층된 적층체를 오일에 침지시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4)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적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오일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면 좋고, 오일의 기름방울을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0)에 스며들게 함으로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24)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4)상기 실시형태 1 및 3~8에서,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로만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적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이 콜라겐함유 나노섬유를 함유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5)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한 후에 페이스 마스크의 위로부터 화장액을 분무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적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피부의 위에 화장액을 분무한 후 페이스 마스크를 장착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6)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얼굴 전체를 가리는 페이스 마스크의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적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코나 뺨 등 일부 부위를 가리는 페이스 마스크의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1,2,3,4,5,6,7,8 : 페이스 마스크
10,12,14 : 기재층
20,22,24,26 :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22' :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
30 : 박리층
40 : 캡슐
50,52 :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
C : 콜라겐
M : 화장액
D : 오염
S : 피부

Claims (16)

  1. 기재층과 콜라겐 함유 나노섬유층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
  2. 제1항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은, 콜라겐함유 나노섬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
  3. 제2항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은,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
  4. 제1항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은, 콜라겐을 함유하지 않은 나노섬유로 구성된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에 콜라겐을 함침 시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구성하는 나노섬유와는 다른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친수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은, 화장액 또는 약물을 내포한 캡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는 반대쪽 면에, 장착 전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서 박리시킨 박리층을 더 갖추며,
    상기 기재층은 발유성이 있으며,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은, 피부의 표면에서 오염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사이에 위치하여, 콜라겐을 함유하지 않은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을 더욱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
  10. 제9항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은, 친수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
  11. 제9항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은, 화장액 또는 약물을 내포한 캡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
  12. 제9항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의 반대쪽 면에, 장착 전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에서 박리시킨 박리층을 더 갖추어,
    상기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은, 발유성을 가지는 폴리머가 되며,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은, 피부의 표면에서 오염을 유리시키기 위한 오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으로서,
    기재층을 준비하는 기재층 준비공정과,
    전계방사법에 의해, 상기 기재층의 한쪽면에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
  14. 제4항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으로서,
    기재층을 준비하는 기재층 준비공정과,
    전계방사법에 의해, 상기 기재층의 한쪽면에 콜라겐을 함유하지 않은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 형성공정과,
    상기 콜라겐 함침 전 나노섬유층에 콜라겐을 함침 시킴으로써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기재층 준비공정에서는, 전계방사법에 의해 상기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구성하는 나노섬유와는 다른 나노섬유의 기재층을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
  16. 제9항에 기재한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하는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으로서,
    기재층을 준비하는 기재층 준비공정과,
    전계방사법에 의해, 상기 기재층의 한쪽면에 콜라겐을 함유하지 않은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과,
    전계방사법에 의해, 상기 콜라겐 비함유 나노섬유층에 있어 상기 기재층과는 반대쪽 면에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콜라겐함유 나노섬유층 형성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20130162927A 2012-12-30 2013-12-24 페이스 마스크 및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1567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89273A JP2014128523A (ja) 2012-12-30 2012-12-30 フェイスマスク及びフェイスマスクの製造方法
JPJP-P-2012-289273 2012-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449A true KR20140091449A (ko) 2014-07-21
KR101567475B1 KR101567475B1 (ko) 2015-11-10

Family

ID=50660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927A KR101567475B1 (ko) 2012-12-30 2013-12-24 페이스 마스크 및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4128523A (ko)
KR (1) KR101567475B1 (ko)
CN (1) CN103784330B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7609A (zh) * 2015-06-19 2015-09-09 广州科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保湿面膜液及其制备方法
WO2016032297A1 (ko) * 2014-08-28 2016-03-0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6093585A1 (ko) * 2014-12-10 2016-06-1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0910A (ko) * 2014-12-10 2016-06-2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건식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9359A (ko) * 2014-12-26 2016-07-0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미용 팩
WO2016171331A1 (ko) * 2015-04-24 2016-10-27 박종철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WO2016171330A1 (ko) * 2015-04-24 2016-10-27 박종철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60126634A (ko) * 2015-04-24 2016-11-02 박종철 종방향으로 평량이 상이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20160126632A (ko) * 2015-04-24 2016-11-02 박종철 횡방향으로 평량이 상이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WO2017034215A1 (ko) * 2015-08-24 2017-03-02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3240A (ko) 2015-08-19 2017-03-03 (주) 에이치엔에이파마켐 천연 유래 다당류를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7177A (ko) *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피부부착형 패치
CN108468215A (zh) * 2018-05-15 2018-08-31 南通纺织丝绸产业技术研究院 一种具有蛋白质浓度梯度分布的无纺布的制备方法
KR101951261B1 (ko) * 2017-12-19 2019-02-22 주식회사 클린그린 마스크팩 및 이를 제조하는 마스크팩 제조방법
KR20200045208A (ko) * 2018-10-22 2020-05-04 이병수 기능성 성분이 캡슐에 탑재된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87572A (ko) * 2019-01-11 2020-07-21 주식회사 아이노스 토타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KR20230116318A (ko) 2022-01-28 2023-08-04 박지현 마이크로파이버 제조 방법 및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683B1 (ko) * 2015-06-01 2018-05-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흡착 멤브레인이 내장된 마스크
KR20170024543A (ko) * 2015-08-24 2017-03-07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JPWO2017122625A1 (ja) * 2016-01-15 2018-11-01 東レ株式会社 フェイスマスク
CN106333865A (zh) * 2016-09-12 2017-01-18 杨耀辉 一种生物活性干式复合贴膜
CN107374983A (zh) * 2017-07-05 2017-11-24 北京化工大学 一种富含胶原蛋白的复合纤维面膜及其制备方法
CN107510619B (zh) * 2017-09-06 2020-11-24 深圳肽之妃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多肽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394672B1 (ko) * 2017-11-03 2022-05-06 (주)아모레퍼시픽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CN108078820A (zh) * 2018-01-04 2018-05-29 湖北瑞晟生物有限责任公司 一种易吸收的玫瑰精油面膜
CN109568173B (zh) * 2019-01-21 2021-09-28 诺斯贝尔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以透明质酸为骨架的胶原纳米速溶面膜及制备方法
KR102253534B1 (ko) 2019-03-11 2021-05-18 이영우 천연 유래 다당류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664619A (zh) * 2019-10-30 2020-01-10 诺斯贝尔化妆品股份有限公司 酵母重组胶原蛋白的胶原纳米速溶面膜及制备方法
CN113712826B (zh) * 2021-10-11 2023-07-21 上海萧雅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定向澎润型抗皱面膜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4716U (ja) * 1983-09-01 1985-03-29 株式会社資生堂 皮膚用粘着シ−ト
JP2005104929A (ja) * 2003-10-01 2005-04-21 Kanae Technos:Kk パック用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6034951A (ja) * 2004-06-22 2006-02-09 Nippo Corp 美容、医療または健康増進用具
GB0426255D0 (en) * 2004-11-30 2004-12-29 Younger Skin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roducts for skin treatment
JP5070075B2 (ja) * 2008-02-01 2012-11-07 太陽化学株式会社 重合型カテキンナノファイバー
EP2271301A4 (en) * 2008-03-27 2014-07-02 Agigma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DELIVERY OF AGENTS
US20090241242A1 (en) * 2008-03-31 2009-10-01 Heidi Beatty Facial mask
CN101390814A (zh) * 2008-10-29 2009-03-25 东南大学 基于电纺纳米纤维的美容面膜
JP2011132633A (ja) 2009-12-24 2011-07-07 Kao Corp ナノファイバシート
JP5651076B2 (ja) * 2010-06-29 2015-01-07 花王株式会社 ナノファイバ積層シート
CN201949364U (zh) * 2011-01-19 2011-08-31 康魄商贸(上海)有限公司 一种生物纤维面膜
JP5871594B2 (ja) * 2011-12-07 2016-03-01 シンワ株式会社 化粧用シート
CN102602092A (zh) * 2012-03-06 2012-07-25 昆山汇维新材料有限公司 一种三维纳米纤维复合膜及其制备方法
CN102670415A (zh) * 2012-04-20 2012-09-19 费兰克·K·高 一种纳米纤维面膜纸
JP5392377B2 (ja) * 2012-06-14 2014-01-22 Jnc株式会社 肌装着用シートおよびその装着方法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9287B (zh) * 2014-08-28 2020-11-27 阿莫生命科学有限公司 美容片及其制造方法
WO2016032297A1 (ko) * 2014-08-28 2016-03-0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06659287A (zh) * 2014-08-28 2017-05-10 阿莫生命科学有限公司 美容片及其制造方法
US10143292B2 (en) 2014-08-28 2018-12-04 Amolifescience Co., Ltd. Beauty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60070910A (ko) * 2014-12-10 2016-06-2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건식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WO2016093585A1 (ko) * 2014-12-10 2016-06-1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US10743638B2 (en) 2014-12-10 2020-08-18 Amolifescience Co., Ltd. Beauty care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231320A4 (en) * 2014-12-10 2018-07-18 Amolifescience Co., Ltd. Beauty care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60079359A (ko) * 2014-12-26 2016-07-0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미용 팩
WO2016171331A1 (ko) * 2015-04-24 2016-10-27 박종철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WO2016171330A1 (ko) * 2015-04-24 2016-10-27 박종철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60126634A (ko) * 2015-04-24 2016-11-02 박종철 종방향으로 평량이 상이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20160126632A (ko) * 2015-04-24 2016-11-02 박종철 횡방향으로 평량이 상이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CN104887609A (zh) * 2015-06-19 2015-09-09 广州科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保湿面膜液及其制备方法
KR20170023240A (ko) 2015-08-19 2017-03-03 (주) 에이치엔에이파마켐 천연 유래 다당류를 이용한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0470983B2 (en) 2015-08-24 2019-11-12 Amolifescience Co., Ltd. Cosmetic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17034215A1 (ko) * 2015-08-24 2017-03-02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0907A1 (ko) * 2016-12-12 2018-06-21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피부부착형 패치
KR20180067177A (ko) *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피부부착형 패치
US11717657B2 (en) 2016-12-12 2023-08-08 Amolifescience Co., Ltd. Dermal adhesive patch
KR101951261B1 (ko) * 2017-12-19 2019-02-22 주식회사 클린그린 마스크팩 및 이를 제조하는 마스크팩 제조방법
CN108468215A (zh) * 2018-05-15 2018-08-31 南通纺织丝绸产业技术研究院 一种具有蛋白质浓度梯度分布的无纺布的制备方法
KR20200045208A (ko) * 2018-10-22 2020-05-04 이병수 기능성 성분이 캡슐에 탑재된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87572A (ko) * 2019-01-11 2020-07-21 주식회사 아이노스 토타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KR20230116318A (ko) 2022-01-28 2023-08-04 박지현 마이크로파이버 제조 방법 및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28523A (ja) 2014-07-10
CN103784330A (zh) 2014-05-14
KR101567475B1 (ko) 2015-11-10
CN103784330B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475B1 (ko) 페이스 마스크 및 페이스 마스크의 제조방법
CN107106416B (zh) 美容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619223B1 (ko)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CA2386810C (en) Electrospun skin masks and uses thereof
AU2013275328B2 (en) Liquid-retaining sheet and face mask
US8642172B2 (en) Nanofiber sheet
KR102412540B1 (ko) 생체 부착용 막 및 그 제조 방법
CN101716376B (zh) 生长因子缓释型双层人工皮肤
US20150272855A1 (en) Cosmetic sheet formed from nanofiber with controlled dissolution veloc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4114057A (zh) 面膜
KR101623779B1 (ko) 천연 유래 성분으로 구성된 메쉬 및 이를 지지체로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JP6824024B2 (ja) フェイスマスク
CN106714641A (zh) 擦拭片
KR20170077658A (ko) 복합 나노섬유를 이용한 소프트 나노섬유 마스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5371B1 (ko) 크림형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US6562357B2 (en) Blackhead removing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blackhead removing sheet
KR101685058B1 (ko)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0910A (ko) 건식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614324B1 (ko) 생체친화형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64139A (ko) 셀룰로오즈를 이용한 모세관 겔망 구조를 가진 하이드로겔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WO2016204280A1 (ja) 美容フェイスマスク用シート
DE69919112T2 (de) Lösung von einem Polyacryl- und/oder Polyvinyl-Polymer mit einem Füllstoff und einem keratolytischen Agentien dazu, und kosmetische Vorrichtung zum Reinigen und Pflegen
KR102608317B1 (ko) 자가 용융 습식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DE102011007060A1 (de) Wasserdichte, schnelltrocknende und wasserdampfdurchlässige Gewebepflaster
KR20180107991A (ko) 수용성 고분자 및 비수용성 고분자가 복합된 나노섬유 마스크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