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058B1 -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058B1
KR101685058B1 KR1020150046230A KR20150046230A KR101685058B1 KR 101685058 B1 KR101685058 B1 KR 101685058B1 KR 1020150046230 A KR1020150046230 A KR 1020150046230A KR 20150046230 A KR20150046230 A KR 20150046230A KR 101685058 B1 KR101685058 B1 KR 101685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andle
water
soluble polymer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013A (ko
Inventor
이지현
조준근
정용식
구송희
박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50046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058B1/ko
Priority to CN201580067333.9A priority patent/CN107106416B/zh
Priority to JP2017531749A priority patent/JP2018505707A/ja
Priority to EP15867508.2A priority patent/EP3231320B1/en
Priority to PCT/KR2015/013357 priority patent/WO2016093585A1/ko
Publication of KR20160118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058B1/ko
Priority to US15/616,223 priority patent/US10743638B2/en
Priority to JP2021092187A priority patent/JP7189275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미용 팩은 릴리이스 필름과, 상기 릴리이스 필름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미용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미용시트는 지지체와, 지지체에 적층되는 메쉬부재와, 상기 메쉬부재에 적층되고 수용성 고분자가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되는 섬유층과, 상기 섬유층에 적층되고 수용성 고분자 및 보습물질로 이루어진 보습층과, 상기 보습층에 적층되고 수용성 고분자 및 기능성 물질이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되어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고 수분에 의해 용융되면서 유효성분이 피부에 흡수되므로 기능성 물질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DRY MASK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에 부착시 수분에 의하여 녹아 피부에 흡수되는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미용 팩은 직포나 부직포상에 천연 추출물, 단백질, 비타민 등의 영양 물질을 포함하는 에센스를 함유시켜, 미백, 주름개선, 수분공급, 피부 트러블 완화, 피부 탄력 부여 등의 기능을 가지도록 제조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의 미용 팩은 직포나 부직포를 기반으로 제조되므로 피부와 접촉하는 계면에서 충분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효성분을 피부의 깊은 곳까지 충분히 전달할 수 없었으며, 과량의 에센스를 첨가하여 피부와의 접착력이나 부착력을 향상시켜왔다.
따라서 종래 미용 팩을 부착하고 활동하는데 미용 팩 자체의 자중에 의한 흘러내림과 초과된 에센스의 흘러내림에 의해 사용이 불편하고, 에센스가 낭비되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미용 팩을 착용하게 되면 일상적인 활동이 어렵게 되는 경우도 많아 착용시간 내내 누워있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하이드로겔 타입의 미용 팩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이드로겔 미용 팩은 착용감이 우수하여 일상적인 활동이 가능하기는 하나 두께가 두꺼워 밀착성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과잉의 에센스의 흘러 내림이나 착용 시간이 지난 후에는 별도로 떼어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 전기방사 기법을 이용하여 섬유의 직경을 1㎛ 미만의 나노섬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나노섬유는 제조와 동시에 3차원 세공구조를 갖는 적층구조로 형성되어 미용분야에 이용할 경우 종래 직포나 부직포에 비해 월등히 큰 피부 접촉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 제조시에 각종 기능성 물질을 방사용액에 혼합하여 방사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이 탑재된 나노섬유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종래의 마스크 팩은 한국 공개특허 10-2011-08006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상에 2중층의 나노섬유층을 형성하고, 상기 2중층의 나노섬유층 상에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한 피부 미용 팩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부직포상에 나노섬유층을 복합화하는 공정과 플라즈마 처리 등의 2차 공정을 포함하여 공정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부직포와 나노섬유층을 복합화 하는데 화학적 접착제 등을 사용한 라미레이션, 열접합 또는 초음파 본딩 등의 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기능성 에센스나 수분 등에 의해 부직포와 나노섬유층 간의 박리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더욱이, 2중층 구조의 나노섬유를 방사하는데 있어 코어/셀 형태로 방사하여 코어 부분은 폴리우레탄 등으로 하고, 피부와 접촉하는 셀 부분은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피부와의 트러블을 최소화하려 했으나 독성 용매의 사용으로 인해 잔류용매를 100% 제거하지 않을 경우 잔류용매에 의한 2차 오염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상기 종래기술에서 사용한 대부분의 생분해성 고분자는 소수성 특성으로 인해 플라즈마 공정을 통해 친수화 처리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공정비용의 상승은 물론 방사시 탑재된 기능성 물질의 변질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 10-2011-08006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성 물질이 포함된 나노섬유 웹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고 수분에 의해 용해되면서 유효성분이 피부에 흡수되므로 기능성 물질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용성 고분자와 기능성 물질을 동시 전기방사하여 건조한 시트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보관 및 포장이 쉽고 편리하며, 건조한 시트를 얼굴에 부착하므로 사용이 편리한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체에 메쉬부재를 구비하여 기능성 물질이 지지층에 남지않고 전부 피부에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미용 팩은 릴리이스 필름과, 상기 릴리이스 필름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미용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미용시트는 지지체와, 지지체에 적층되는 메쉬부재와, 상기 메쉬부재에 적층되고 수용성 고분자가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되는 섬유층과, 상기 섬유층에 적층되고 수용성 고분자 및 보습물질로 이루어진 보습층과, 상기 보습층에 적층되고 수용성 고분자 및 기능성 물질이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되는 미용층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는 부직포, 실리콘, PET, PE, PP, PU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금속 망사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 망사는 알루미늄 재질의 와이어를 제직하여 망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쉬부재는 폴리에스터, PET, PE, PP, 직포, 부직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메쉬부재의 통공 사이즈는 0.1 내지 10m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섬유층은 수용성 고분자, 용매 및 첨가제를 혼합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습층은 수용성 고분자, 용매 및 보습물질이 혼합된 방사용액을 전기분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용층은 수용성 고분자, 용매 및 기능성 물질이 혼합된 방사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나노섬유 웹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미용시트는 얼굴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 미용시트와, 얼굴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 미용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미용시트의 하단에는 코에 감싸지는 코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미용시트의 상단에는 상기 코부가 삽입되는 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미용시트의 상면 중앙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이마선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미용시트의 하면 중앙에는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턱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용시트의 측면에는 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용 손잡이는 미용시트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1손잡이와, 상기 제1손잡이에서 연장되고 접어서 제1손잡이부의 일면에 덮어지는 제2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에는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손잡이에는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와 메쉬부재는 접착제에 의해 합지되고, 상기 접착제는 핫멜트 웹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용 팩 제조방법은 지지체에 수용성 고분자가 혼합된 제1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 형태의 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섬유층에 수용성 고분자와 보습물질이 혼합된 제2방사용액을 전기분사하여 보습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습층에 수용성 고분자와 기능성 물질이 혼합된 제3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 형태의 미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미용시트를 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되도록 커팅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용 손잡이를 접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섬유층, 보습층 및 미용층이 서서히 녹으면서 피부에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섬유층, 보습층 및 미용층의 적어도 하나는 가교화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팩의 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팩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팩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팩을 제조하기 위한 전기방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팩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 팩은 지지체(20)와, 지지체(20)에 적층되는 메쉬부재(30)과, 메쉬부재(30)에 적층되고 수용성 고분자와 기능성 물질 등을 함께 전기방사하여 형성되는 멤브레인(10)으로 이루어지는 미용시트(40)와, 미용시트(40)에 부착되고 사용할 때 분리되는 릴리이스 필름(42)을 포함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 팩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 미용시트(100)와, 얼굴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 미용시트(200)와, 상부 미용시트(10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상부 릴리이스 필름(44)과, 하부 미용시트(20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부 릴리이스 필름(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미용시트(100)와 하부 미용시트(200)는 코를 중심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부 미용시트(100)의 하단에는 코부(13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 미용시트(200)의 상단에는 코부(130)와 대응하는 코홈부(1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미용시트(100)와 하부 미용시트(200)의 중앙에는 미용시트를 반으로 접기 편리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절단된 접는 선(1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미용시트(100)의 상면 중앙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이마선(136)이 형성되고, 하부 미용시트(200)의 하면 중앙에는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턱선(138)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용 팩은 동양인의 얼굴 형태에 맞도록 형성되어 있다.
미용 팩을 얼굴에 부착할 때 릴리이스 필름(42)을 미용시트(40)에서 떼어낸다. 이때, 손으로 미용시트(40)의 멤브레인(10)을 만지게 되어 멤브레인(10)이 손상되거나 손에 있는 각종 세균이 멤브레인(10))에 침투하여 멤브레인(10)이 오염될 우려가 있다.
또한, 릴리이스 필름(42)을 미용시트(40)에서 떼어내기가 쉽지 않다. 즉, 미용시트(40)와 릴리이스 필름(42)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미용시트(40)의 원래 형상이 변화되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미용시트(40)의 일측에 분리용 손잡이(110)를 형성하여 릴리이스 필름(42)을 미용시트(40)에서 분리할 때 분리용 손잡이(110)를 잡고 떼어내면 되므로 분리 작업이 쉽고 간편하며, 미용시트(40)의 멤브레인(10)이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용 손잡이(110)는 미용시트(4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서 연장되는 제1손잡이(112)와, 제1손잡이(112)에서 연장되고 접어서 제1손잡이부(112)의 일면에 덮어지는 제2손잡이(114)를 포함한다.
제1손잡이(112)와 제2손잡이(114) 사이에는 제2손잡이(114)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일정 간격으로 절단되는 형태의 접는 선(1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손잡이(114)의 측면에는 끼움 돌기(12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손잡이(112)에는 끼움 홈(122)이 형성되어 제2손잡이(114)를 제1손잡이(112)에 겹쳐지도록 접은 후 끼움 돌기(120)를 끼움 홈(122)에 삽입하여 제1손잡이(112)와 제2손잡이(64)가 겹쳐진 상태를 고정한다.
이러한 분리용 손잡이(110)는 제2손잡이(114)를 제1손잡이(112)에 겹쳐지도록 접으면 분리용 손잡이(110)의 외면에는 지지체(20)가 배치되고 분리용 손잡이(110)의 내면에는 멤브레인(10)이 배치되어 분리용 손잡이(110)를 손으로 잡을 때 지지체(20)를 손으로 잡게 되므로 멤브레인(10)에 포함된 미용물질이 손에 묻거나 손에 묻은 각종 세균들로 인하여 멤브레인(10)을 오염시킬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분리용 손잡이(110)는 상부 미용시트(10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상부 손잡이(140)와, 하부 미용시트(20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하부 손잡이(142)를 포함할 수 있다.
릴리이스 필름(42)은 PET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미용시트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다. 상부 릴리이스 필름(44)은 상부 미용시트(1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 릴리이스 필름(46)은 하부 미용시트(2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 릴리이스 필름(44)에는 상부 손잡이(96)가 형성되고, 하부 릴리이스 필름(54)에는 하부 손잡이(98)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부 손잡이(96)와 하부 손잡이(98)은 위에서 설명한 분리용 손잡이(1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미용 팩은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 구조 이외에, 얼굴 전체에 부착되는 한 장의 미용 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 미용시트와 하부 미용시트가 각각 개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마용 팩은 얼굴에 부착되는 마스크 팩 타입 이외에 목 부위에 부착되는 목 패드와, 코의 외면에 감싸지게 부착되어 코의 피지제거 및 코의 미용기능을 수행하는 코팩이나, 눈밑에 부착되어 눈밑 주름제거 및 다크 서클을 제거하는 아이패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용 팩은 이러한 종류 이외에, 신체에 부착하여 영양물질을 피부에 흡수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20)는 미용시트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체(20)의 재질로는 부직포 이외에, 실리콘 시트, PET 시트, PE, PP, PU 등 미용 시트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지지체(20)와 메쉬부재(30) 사이는 접착제에 의해 상호 합지되고, 접착제는 핫멜드 웹(Hotmelt web)이 사용될 수 있다.
지지체(20)는 디자인을 아름답게 하면서 미용시트 전체를 지지할 수 있는 망사가 사용된다. 망사는 은사, 섬유사, 알루미늄 재질의 와이어, 수지재질의 실을 제직하여 망사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망사는 메쉬부재(30)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빛을 반사하여 반짝거리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디자인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메쉬부재(30)의 구멍 사이즈는 멤브레인(10)을 메쉬부재(30)에 전기방사하면 나노섬유 웹이 포집될 수 있는 사이즈를 갖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메쉬부재(30)의 구멍 사이즈는 0.1 내지 10mm, 바람직하기는 0.1 내지 5mm로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10)은 수용성 고분자와 용매가 혼합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되는 섬유층(12)과, 섬유층(12)에 적층되고 수용성 고분자, 보습물질 및 용매가 혼합된 방사용액을 전기분사하여 형성되는 보습층(14)과, 보습층(14)에 적층되고 수용성 고분자, 용매 및 기능성 물질이 혼합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형성되는 미용층(16)을 포함한다.
섬유층(12)은 수용성 고분자 및 용매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한 후,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섬유직경 1㎛ 미만인 나노섬유를 형성하고, 이 나노섬유를 적층하여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은 방사용액 기준으로 5 내지 50wt%의 범위로 설정하여 방사용액의 점도를 비교적 높게 형성함으로써, 통공을 갖는 메쉬부재에 나노섬유 웹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섬유층(12)에는 글리세린이 포함될 수 있고, 글리세린의 함량은 방사용액 기준으로 10 wt% 정도의 범위로 한다.
보습층(14)은 수용성 고분자, 보습물질 및 용매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한 후, 방사용액을 전기분사하면 섬유층(12)에 방사용액이 스프레이되어 형성된다.
보습물질은 글리세린이 사용될 수 있고, 글리세린 대신에 보습 기능을 갖는 기능성 물질이면 어떠한 물질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보습물질의 함량은 수용성 고분자 대비 5 내지 80wt%, 바람직하기는 30 내지 50wt% 범위로 설정하여 보습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미용층(16)은 용매에 수용성 고분자와 기능성 물질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한 후, 전기방사하여 섬유 직경 1㎛ 미만인 나노섬유를 형성하고, 이 나노섬유를 적층하여 미세기공을 가지는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한다.
기능성 물질의 첨가 함량은 수용성 고분자 대비 0.1 내지 30wt%, 특히 20wt% 내외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층(12), 보습층(14) 및 미용층(16)을 형성하는 방사용액에 포함된 용매로는 물이나 알코올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유기용매 사용에 따른 피부 트러블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사 방법은 일반적인 전기방사(electrospinning), 에어 전기방사(AES: Air-Electrospinning), 전기분사(electrospray), 전기분사방사(electrobrown spinning), 원심전기방사(centrifugal electrospinning), 플래쉬 전기방사(flash-electrospinning)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미용시트(40)을 제조할 때 수용성 고분자의 가교화(cross-linking)를 위해 방사용액에 가교제를 혼합한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물질을 용해할 때 가열 교반하면서 방사용액을 제조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가교제를 첨가하여 방사용액이 가교화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가교제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용시트(40)를 제조할 때에도 방사용액 제조시 가교제의 투입은 수용성 고분자를 물이나 알코올에 용해하고 기능성 물질을 첨가한 후 최종 단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되는 가교제의 함량은 고분자 대비 0.1 내지 2wt%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가교화는 열풍, 열처리 캘린더링, UV조사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 목적에 따라 가교제의 함량과 가교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 물질은 전기방사가 가능한 물질로 합성 고분자나 천연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 고분자 내지는 천연 고분자를 단독 내지는 복합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물이나 알코올에 용해되어 전기방사에 의해 나노섬유를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이러한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는, 일예로 PVP(polyvinyl pyrrolidone), PVA(polyvinyl alcohol), PEO(polyethylene oxide), CMC(carboxyl methyl cellulose), 전분(starch), PAA(polyacrylic acid)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으로 구성되는 고분자 물질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능성 물질로는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성분(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아스코글루코사이드), 피부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성분(레티놀, 아데노신), 자외선 차단을 도와주는 성분(티타늄디옥사이드), 보습 및 피부탄력에 도움을 주는 성분(달팽이 점액 여과물, 아세틸헥사펩타이드, 홍삼 콜라겐, 아쿠아 세라마이드, 재생펩타이드, 갈라토미세스 발효액)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물질로는 수용성 콜라겐, 식물성 플라티나, 토코페롤, 자일리톨 및 식물성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가교제(cross-linking agent, co-cross-linking agent)로는 TSA(para-toluene sulfonic acid), 폴리우레아-co-포름알데히드(poly(urea-co-formaldehyde), TMPTMA(tri-methylopropane trimethacrylate), DVB(Divinylbenzene), N-(1-하이드록시-2,2-디메톡시에틸)아크릴아미드 (N-(1-Hydroxy-2,2-dimethoxyethyl)acrylamide), N,N.-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N,N.- Methylenebisacrylamide),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acrylate),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acrylate), 보론산(boric acid), 글루타 알데하이드(glutaraldehyde)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서 미용시트의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시트 제조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시트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미용시트 제조장치는 수용성 고분자과 용매가 혼합된 제1방사용액이 저장되는 제1저장탱크(50)와, 수용성 고분자, 보습물질 및 용매가 혼합된 제2방사용액이 저장되는 제2저장탱크(52)와, 수용성 고분자, 기능성 물질 및 용매가 혼합된 제3방사용액이 저장되는 제3저장탱크(54)와, 고전압 발생기가 연결되고 제1저장탱크(50)와 연결되어 섬유층(12)을 형성하는 제1방사노즐(60)과, 고전압 발생기와 연결되고 제2저장탱크(52)와 연결되어 보습층(14)을 형성하는 제2방사노즐(62)과, 고전압 발생기와 연결되고 제3저장탱크(54)와 연결되어 미용층(16)을 형성하는 제3방사노즐(64)을 포함한다.
제1방사노즐(60), 제2방사노즐(62) 및 제3방사노즐(64)은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섬유층(12), 보습층(14) 및 미용층(16)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한다.
방사노즐들(60,62,64)의 하부에는 섬유층(12), 보습층(14) 및 미용층(16)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콜렉터(80)가 구비된다. 그리고, 콜렉터(80)와 방사노즐(60,62,64) 사이에 90~120Kv의 고전압 정전기력을 인가함에 의해 나노섬유가 방사되고 콜렉터(80)에 나노섬유가 축적되어 나노섬유 웹을 형성한다.
콜렉터(80)의 전방에는 메쉬부재(30)가 합지된 지지체(20)가 감겨지고 지지체(20)를 콜렉터(80)로 공급하는 제1롤(70)이 배치되고, 콜렉터(80)의 후방에는 다수의 층으로 제조된 미용시트(40)에 릴리이스 필름(42)을 적층하는 제2롤(72), 미용시트(40)를 가압하는 가압롤러(76) 및 완성된 미용시트가 감겨지는 제3롤(78)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미용시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미용시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콜렉터(80)가 구동되면, 제1롤(70)에 감겨진 지지체(20)가 콜렉터(80)의 상면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콜렉터(80)와 제1방사노즐(60) 사이에 고전압 정전기력을 인가함에 의해 제1방사노즐(60)에서 제1방사용액을 나노섬유로 만들어 지지체(20)에 방사한다. 그러면 지지체(20)에 나노섬유가 축적되어 나노섬유 웹 형태의 섬유층(12)이 형성된다(S10).
이때, 제1방사용액에 포함되는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을 5 내지 50wt% 범위로 설정하여 통공을 갖는 메쉬부재(30)에 나노섬유 웹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섬유층(12)의 제조가 완료되면, 콜렉터(80)가 구동되어 섬유층(12)이 제2방사노즐(62)의 하부로 이동되고 콜렉터(80)와 제2방사노즐(62) 사이에 고전압 정전기력을 인가함에 의해 제2방사노즐(62)에서 제2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한다. 그러면 제2방사용액이 스프레이 형태로 섬유층(12)에 분사되어 보습층(14)을 형성한다(S20).
이때, 제2방사용액에 포함되는 보습물질의 함량은 충분한 보습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수용성 고분자 대비 20 내지 80wt% 범위로 설정한다.
그리고, 보습층(14)의 제조가 완료되면, 콜렉터(80)가 구동되어 보습층(14)이 제3방사노즐(64)의 하부로 이동되고 콜렉터(80)와 제3방사노즐(64) 사이에 고전압 정전기력을 인가함에 의해 제3방사노즐(64)에서 제3방사용액을 나노섬유로 만들어 보습층(14)에 방사한다. 그러면 보습층(14)에 나노섬유가 축적되어 나노섬유 웹 형태의 미용층(16)이 형성된다(S30).
이때, 제3방사용액에 포함되는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수용성 고분자 대비 10 내지 30wt% 범위로 설정하여 미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미용층(16)을 보호하기 위한 릴리이스 필름(42)이 적층된다.
그리고, 미용시트(40)가 수분이나 미스트에 의해 용융되는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가교화 및 나노섬유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열압착 공정을 수행한다(S40).
이와 같이, 제조공정을 완료한 미용 팩은 커팅 공정을 수행하여 얼굴 형태 또는 신체에 부착되는 부위에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S50) 이때, 미용 팩의 양쪽 측면에는 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된다.
분리용 손잡이는 제1손잡이(112), 제1손잡이(112) 및 제1손잡이(112)와 제2손잡이(114) 사이에 형성되는 접는 선으로 구성되고, 제2손잡이(114)의 측면에는 끼움 돌기(8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손잡이(112)에는 끼움 홈(82)이 형성된다.
그리고, 분리용 손잡이의 제1손잡이와 제2손잡이를 접는 공정을 수행한다.(S60) 즉, 제2손잡이(114)를 제1손잡이(112)에 겹쳐지도록 접은 후 끼움 돌기(80)를 끼움 홈(82)에 삽입하여 제1손잡이(112)와 제2손잡이(64)가 겹쳐진 상태를 고정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멤브레인 12: 섬유층
14: 보습층 16: 미용층
20: 지지체 30: 메쉬부재
40: 미용시트 42: 릴리이스 필름

Claims (23)

  1.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접착제에 의해 합지되고, 통공 사이즈 0.1-10mm의 범위를 가지는 메쉬부재; 및
    상기 메쉬부재에 적층되는 멤브레인으로 구성되는 미용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수용성 고분자가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되는 섬유층,
    상기 섬유층에 적층되고 수용성 고분자 및 보습물질로 이루어진 보습층, 및
    상기 보습층에 적층되고 수용성 고분자 및 기능성 물질이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되는 미용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체와 메쉬부재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부직포, 실리콘, PET, PE, PP, PU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금속 망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망사는 알루미늄 재질의 와이어를 제직하여 망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수용성 고분자, 용매 및 첨가제를 혼합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불투명한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층은 수용성 고분자, 용매 및 보습물질이 혼합된 방사용액을 전기분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층은 수용성 고분자, 용매 및 기능성 물질이 혼합된 방사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나노섬유 웹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시트는 얼굴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 미용시트와,
    얼굴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 미용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미용시트의 하단에는 코를 감싸는 코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미용시트의 상단에는 상기 코부와 대응하는 코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미용시트의 상면 중앙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이마선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미용시트의 하면 중앙에는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턱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시트의 측면에는 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용 손잡이는 미용시트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1손잡이와,
    상기 제1손잡이에서 연장되고 접어서 제1손잡이부의 일면에 덮어지는 제2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손잡이에는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손잡이에는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핫멜트 웹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미용층에 부착되고, 피부 부착시 제거되는 릴리이스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16. 지지체에 통공 사이즈 0.1-10mm의 범위를 가지는 메쉬부재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단계;
    상기 메쉬부재에 수용성 고분자가 혼합된 제1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 형태의 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섬유층에 수용성 고분자와 보습물질이 혼합된 제2방사용액을 전기분사하여 보습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습층에 수용성 고분자와 기능성 물질이 혼합된 제3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 형태의 미용층을 형성하여 미용시트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미용시트를 커팅하여 형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단계는 미용시트의 양측에 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되도록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손잡이는 제1손잡이와, 상기 제1손잡이에서 연장되고 접어서 제1손잡이의 일면에 덮어지는 제2손잡이를 구비하고,
    미용시트의 커팅 후 분리용 손잡이를 접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 보습층 및 미용층이 서서히 녹으면서 피부에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섬유층, 보습층 및 미용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가교화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 보습층 및 미용층을 형성하는 방사용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용매는 물 또는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사용액은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사용액 중의 보습물질의 함량은 수용성 고분자 대비 30 내지 80wt%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방사용액 중의 기능성 물질의 함량은 수용성 고분자 대비 10 내지 30wt%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KR1020150046230A 2014-12-10 2015-04-01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685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230A KR101685058B1 (ko) 2015-04-01 2015-04-01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CN201580067333.9A CN107106416B (zh) 2014-12-10 2015-12-08 美容面膜及其制备方法
JP2017531749A JP2018505707A (ja) 2014-12-10 2015-12-08 美容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5867508.2A EP3231320B1 (en) 2014-12-10 2015-12-08 Beauty care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15/013357 WO2016093585A1 (ko) 2014-12-10 2015-12-08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US15/616,223 US10743638B2 (en) 2014-12-10 2017-06-07 Beauty care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21092187A JP7189275B2 (ja) 2014-12-10 2021-06-01 美容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230A KR101685058B1 (ko) 2015-04-01 2015-04-01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013A KR20160118013A (ko) 2016-10-11
KR101685058B1 true KR101685058B1 (ko) 2016-12-09

Family

ID=5716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230A KR101685058B1 (ko) 2014-12-10 2015-04-01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0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340A1 (ko) * 2021-06-30 2023-01-05 주식회사 블리스팩 다층 구조의 피부미용 패치 및 페이셜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955B1 (ko) * 2016-11-15 2018-07-03 (주)코바스 마스크 팩 코팅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TWI738224B (zh) * 2020-02-25 2021-09-01 飛暘國際事業股份有限公司 高拉伸性保濕面膜
KR102505623B1 (ko) * 2022-09-27 2023-03-03 주식회사 에이디코스 망사형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9128A (ja) * 1998-10-13 2000-04-25 Nitto Denko Corp 化粧用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19676A (ja) * 2011-12-07 2013-06-17 Shinwa Co Ltd 化粧用シート
JP2014147463A (ja) * 2013-01-31 2014-08-21 Ishii Sangyo Kk フェイス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3371A (ja) * 2005-02-15 2006-08-31 Toa Kiko Kk パック用シート及びパック用シート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9128A (ja) * 1998-10-13 2000-04-25 Nitto Denko Corp 化粧用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19676A (ja) * 2011-12-07 2013-06-17 Shinwa Co Ltd 化粧用シート
JP2014147463A (ja) * 2013-01-31 2014-08-21 Ishii Sangyo Kk フェイスマス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340A1 (ko) * 2021-06-30 2023-01-05 주식회사 블리스팩 다층 구조의 피부미용 패치 및 페이셜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013A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6416B (zh) 美容面膜及其制备方法
US11167525B2 (en) Cosmetic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0470983B2 (en) Cosmetic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619223B1 (ko)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01009B1 (ko) 피부부착형 패치
JP6158178B2 (ja) 保液シート及びフェイスマスク
KR101685058B1 (ko)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704744B1 (ko)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미용 팩
KR102009451B1 (ko) 미용 시트
KR102371114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646710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2872A (ko) 화장용 마스크팩
KR101704743B1 (ko) 건식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640837B1 (ko)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US20220232950A1 (en) Dry cosmetic sheet
KR102517755B1 (ko) 다층 미용 마스크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