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837B1 -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 Google Patents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837B1
KR101640837B1 KR1020140160978A KR20140160978A KR101640837B1 KR 101640837 B1 KR101640837 B1 KR 101640837B1 KR 1020140160978 A KR1020140160978 A KR 1020140160978A KR 20140160978 A KR20140160978 A KR 20140160978A KR 101640837 B1 KR101640837 B1 KR 101640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uty sheet
sheet
handle
beauty
rele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9555A (ko
Inventor
백규원
김찬
이승훈
구송희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40160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8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얼굴에 부착되는 미용시트와, 상기 미용시트의 일면에 부착되어 미용시트을 보호하는 릴리이스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미용시트와 릴리이스 필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미용시트를 상기 릴리이스 필름에서 떼어낼 때 손으로 잡는 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미용시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Mask Pack having Hand Grip}
본 발명은 얼굴에 부착하여 기능성 물질을 피부에 흡수시킬 수 있는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하도록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마스크 팩은 부직포상에 천연 추출물, 단백질, 비타민 등의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에센스를 함유시켜, 미백, 주름개선, 수분공급, 피부 트러블 완화, 피부 탄력 부여, 항균 등의 기능을 가지도록 제조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의 마스크 팩은 부직포를 기반으로 제조되므로 피부와 접촉하는 계면에서 충분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효성분을 피부의 깊은 곳까지 충분히 전달할 수 없었으며, 과량의 에센스를 첨가하여 피부와의 접착력이나 부착력을 향상시켜왔다.
따라서 종래 마스크 팩을 부착하고 활동하는데 미용시트 자체의 자중에 의한 흘러내림과 초과된 에센스의 흘러내림에 의해 사용이 불편하고, 불쾌한 느낌을 초래하였으며, 에센스가 낭비되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미용시트를 착용하게 되면 일상적인 활동이 어렵게 되는 경우도 많아 착용시간 내내 누워있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하이드로겔 미용시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마스크 팩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5038호(2011년 08월 05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한지에 도포된 하이드로겔로 구성된 마스크 팩으로, 부직포를 하이드로겔상에 도포하고, 부직포에 에센스를 투입하며, 피부 사용시에는 부직포를 분리하여 한지,하이드로겔 및 에센스를 팩으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종래의 마스크 팩에는 추가적으로 하이드로겔 및 에센스를 보호하기 위한 릴리이스 필름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사용시 미용시트에서 릴리이스 필름을 분리한 후 하이드로겔을 얼굴에 부착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미용시트는 부직포나 릴리이스 필름을 하이드로겔에서 분리할 때 하이드로겔을 손으로 잡고 분리해야되므로 손에 묻은 각종 세균이 하이드로겔에 침투할 우려가 있어 위생상 좋지 못하고, 부직포나 릴리이스 필름을 분리하기 어려워 분리 과정에서 형상이 변화되거나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5038호(2011년 08월 05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용시트와 릴리이스 필름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용 손잡이를 구비하여 릴리이스 필름을 미용시트에서 떼어내기 편리하고, 미용시트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용성 고분자와 기능성 물질을 함께 전기방사하여 얻어진 나노섬유 웹을 사용함으로써, 수분에 의해 용융되면서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피부에 흡수되도록 하는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얼굴에 부착되는 미용시트와, 상기 미용시트의 일면에 부착되어 미용시트을 보호하는 릴리이스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미용시트와 릴리이스 필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미용시트를 상기 릴리이스 필름에서 떼어낼 때 손으로 잡는 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용시트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기능성 물질을 함께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되고 수분에 의해 용융될 수 있다.
상기 릴리이스 필름은 그 일측에 반으로 접힌 릴리이스 필름을 펼치기 위한 개구홈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분리용 손잡이가 상기 릴리이스 필름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그립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용 손잡이는 상기 미용시트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미용시트에 부착되는 스티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용시트는 얼굴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미용시트와, 얼굴의 하부에 부착되는 제2미용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미용시트에는 제1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제2미용시트에는 제2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릴리이스 필름에는 상기 제1분리용 손잡이가 배치되는 제1그립홈과, 제2분리용 손잡이가 배치되는 제2그립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기능성 물질을 함께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되고 수분에 의해 용융되는 미용시트와, 상기 미용시트의 일면에 부착되는 릴리이스 필름과, 상기 미용시트의 타면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미용시트에는 제1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필름에는 제2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필름은 보습 유지기능을 하는 폴리우레탄 필름, 실리콘 필름, 다공성 부직포 또는 미세기공이 형성되는 펄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용시트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 기능성 물질 및 가교제를 함께 용매에 용해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직경 1㎛ 미만의 나노섬유를 형성하고, 상기 나노섬유를 축적하여 미세기공을 가지는 나노섬유 웹으로 제조되고, 상기 나노섬유의 함량(평량)은 10-50gsm(gram per square meter) 범위로 설정되고, 피부에 부착시 수분에 의해 상기 나노섬유 웹은 서서히 녹으면서 피부에 흡수되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는, PVA(polyvinyl alcohol), PVP(polyvinyl pyrrolidone), PEO(polyethylene oxide), CMC(carboxyl methyl cellulose), 전분(starch), PAA(polyacrylic acid)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으로 구성되는 고분자 물질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물질로는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성분(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아스코글루코사이드), 피부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성분(레티놀, 아데노신), 자외선 차단을 도와주는 성분(티타늄디옥사이드), 산화방지 성분,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 성분, 항균 성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은 미용시트와 릴리이스 필름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용 손잡이를 구비하여 릴리이스 필름을 미용시트에서 떼어내기 편리하고, 미용시트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은 수용성 고분자와 기능성 물질을 함께 전기방사하여 얻어진 나노섬유 웹을 사용함으로써, 수분에 의해 용융되면서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피부에 흡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릴리이스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릴리이스 필름이 접힌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100)은 얼굴에 부착하여 영양 물질을 피부에 흡수시킬 수 있는 미용시트(10)와, 미용시트(10)의 일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미용시트(10)를 보호하는 릴리이스 필름(20)을 포함한다.
미용시트(10)를 얼굴에 부착할 때 릴리이스 필름(20)을 미용시트(10)에서 떼어낸다. 이때, 손으로 미용시트(10)를 만지게 되어 손에 있는 각종 세균이 미용시트(10))에 침투하여 미용시트(10)가 오염될 우려가 있다.
또한, 릴리이스 필름(20)을 미용시트(10)에서 떼어내기가 쉽지 않다. 즉, 미용시트(10)와 릴리이스 필름(2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미용시트(10)의 원래 형상이 변화되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미용시트(10)의 일측에 분리용 손잡이(30)를 형성하여 릴리이스 필름(20)을 미용시트(10)에서 분리할 때 분리용 손잡이(30)를 잡고 떼어내면 되므로 분리작업이 쉽고 간편하며, 미용시트(1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릴리이스 필름(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T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미용시트(1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고,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접는 선(22)이 형성된다.
이러한 릴리이스 필름(20)에 미용시트(10)를 적층하면 미용시트(10)가 얼굴 형태의 원형이기 때문에 릴리이스 필름(20)의 모서리 부분이 노출된다. 따라서, 미용시트(10)를 릴리이스 필름(20)에서 분리할 때 모서리 부분이 손으로 잡는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릴리이스 필름(20)의 일측에는 릴리이스 필름(20)을 접는 선(22)을 중심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릴리이스 필름(20)을 펼칠 때 릴리이스 필름(20)의 타측이 노출되도록 하여 펼치기 편하게 하는 개구홈(24)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미용시트(10)에 형성된 분리용 손잡이(30)를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그립홈(26)이 형성된다.
미용시트(10)는 그 일측에 분리용 손잡이(30)가 형성되고, 분리용 손잡이(30)는 릴리이스 필름(20)에 형성된 그립홈(26)에 배치되도록 하여 릴리이스 필름(20)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 팩(100)은 릴리이스 필름(20)에 형성된 그립홈(26)에 미용시트(10)에 형성되는 분리용 손잡이(30)가 배치되므로 릴리이스 필름(20)의 외부로 분리용 손잡이(30)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포장이 쉽고 디자인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분리용 손잡이는 미용시트 뿐만 아니라, 릴리이스 필름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릴리이스 필름이 미용시트의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경우 릴리이스 필름에도 분리용 손잡이를 형성하여 두 분리용 손잡이를 잡고 미용시트를 릴리이스 필름에서 떼어낸다.
분리용 손잡이(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용시트(10)을 제조할 때 일체로 형성되고, 미용시트(10)의 일측에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분리용 손잡이(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용시트(10)과 별도로 제조되어 미용시트(10)에 부착하는 스티커 형태로 형성되고, 분리용 손잡이(30)는 육안으로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릴리이스 필름(20)과는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분리용 손잡이(30)는 릴리이스 필름(20)을 미용시트(10)에서 분리하기 편리하도록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미용시트(10)를 얼굴에 부착한 상태에서 릴리이스 필름을 분리할 경우 사용자의 육안 확인이 어려운 상태에서도 분리용 손잡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미용시트(10)는 친수성 고분자와 기능성 물질을 용매에 용해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한 후,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섬유직경 1㎛ 미만인 나노섬유를 형성하고, 이 나노섬유를 축적하여 미세기공을 가지는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사 방법은 일반적인 전기방사(electrospinning), 에어 전기방사(AES: Air-Electrospinning), 전기분사(electrospray), 전기분사방사(electrobrown spinning), 원심전기방사(centrifugal electrospinning), 플래쉬 전기방사(flash-electrospinning)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미용시트(10)는 수용성 고분자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블렌드(blend) 방사할 수 있으며, 이때 용매는 사용하는 고분자에 대해 상용성을 갖는 물이나 알코올 등을 선택하여 단독 내지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미용시트(10)를 제조할 때 수용성 고분자의 가교화를 위해 방사용액에 가교제를 혼합한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물질을 용해할 때 가열 교반하면서 방사용액을 제조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가교제를 첨가하여 방사용액이 가교화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가교제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용시트(10)를 제조할 때에도 방사용액 제조시 가교제의 투입은 수용성 고분자를 물이나 알코올에 용해하고 기능성 물질을 첨가한 후 최종 단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되는 가교제의 함량은 고분자 대비 0.1wt.%-2wt.%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가교화는 열풍, 열처리 캘린더링, UV조사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 목적에 따라 가교제의 함량과 가교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 물질은 전기방사가 가능한 물질로 합성 고분자나 천연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 고분자 내지는 천연 고분자를 단독 내지는 복합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물이나 알코올에 용해되어 전기방사에 의해 나노섬유를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이러한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는, 일예로 PVA(polyvinyl alcohol), PVP(polyvinyl pyrrolidone), PEO(polyethylene oxide), CMC(carboxyl methyl cellulose), 전분(starch), PAA(polyacrylic acid)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으로 구성되는 고분자 물질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기능성 물질로는 일예로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성분들(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아스코글루코사이드 등), 피부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성분들(레티놀, 아데노신 등), 그리고 자외선 차단을 도와주는 성분들(티타늄디옥사이드 등 포함)이 될수 있으며, 이외에 현재 산화방지,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 유화안정, pH 조절, 항균 등의 목적으로 미용시트에 사용되는 모든 성분들이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물질로는 수용성 콜라겐, 식물성 플라티나, 토코페롤, 자일리톨 및 식물성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되고, 기능성 물질의 첨가 함량은 수용성 고분자 대비 0.5~50wt.%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cross-linking agent, co-cross-linking agent)로는 TSA(para-toluene sulfonic acid), 폴리우레아-co-포름알데히드(poly(urea-co-formaldehyde), TMPTMA(tri-methylopropane trimethacrylate), DVB(Divinylbenzene), N-(1-하이드록시-2,2-디메톡시에틸)아크릴아미드 (N-(1-Hydroxy-2,2-dimethoxyethyl)acrylamide), N,N.-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N,N.- Methylenebisacrylamide),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acrylate),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acrylate), 보론산(boric acid), 글루타 알데하이드(glutaraldehyde)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평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200)은 코를 중심으로 얼굴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미용시트(12)와, 얼굴의 하부에 부착되는 제2미용시트(14)와, 제1미용시트(12)와 제2미용시트(14)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제1미용시트(12) 및 제2미용시트(14)를 보호하는 릴리이스 필름(20)을 포함한다.
제1미용시트(12)에는 제1분리용 손잡이(32)가 형성되고, 제2미용시트(14)에는 제2분리용 손잡이(34)가 형성된다.
그리고, 릴리이스 필름(20)의 일측에는 개구홈(24)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제1분리용 손잡이(32)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제1그립홈(40)과, 제2분리용 손잡이(34)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제2그립홈(42)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200)은 제1미용시트(12)와 제2미용시트(14)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둘 중 하나만 얼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둘 모두 얼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미용시트(12)는 제1분리용 손잡이(32)를 잡고 릴리이스 필름(20)에서 떼어내고, 제2미용시트(14)는 제2분리용 손잡이(34)를 잡고 릴리이스 필름(20)에서 떼어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도면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300)은 얼굴에 부착하는 미용시트(10)와, 미용시트(10)의 일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릴리이스 필름(20)과, 미용시트(10)의 타면에 부착되는 보호필름(50)을 포함한다.
미용시트(10)는 위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미용시트(10)와 동일하다.
보호필름(50)은 미용시트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미용시트의 수분이 마르는 것을 방지하는 보습 유지기능을 하는 폴리우레탄 필름, 디자인을 아름답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실리콘 필름, 다공성 부직포 또는 미세기공이 형성되는 펄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필름(50)은 마스크 팩을 얼굴에 부착한 상태로 야외에서 활동을 할 때 디자인을 아름답게 하고, 자외선 등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미용시트(10)의 일측에는 제1분리용 손잡이(62)가 형성되고, 보호필름(50)의 일측에는 제2분리용 손잡이(52)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릴리이스 필름(10)이 미용시트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경우 릴리이스 필름에는 제3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릴리이스 필름(20)은 그 일측에 개구홈(68)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 제1분리용 손잡이(62)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제1그립홈(64)과, 제2분리용 손잡이(62)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제2그립홈(66)이 형성된다.
보호필름(50) 이외에, 미용시트에 다른 특성을 갖는 시트들이 더 적층될 경우 이 시트들에도 마찬가지로 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된다.
마스크 팩은 위에서 설명한 형태 이외에, 코의 외면에 감싸지게 부착되어 코의 피지제거 및 코의 미용기능을 수행하는 코팩, 눈밑에 부착되어 눈밑 주름제거, 다크서클을 제거하는 아이패드, 목에 감싸지게 부착되어 목 주름을 제거하는 팩 등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음에서 미용시트의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친수성 고분자와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방사용액의 제조
수용성 고분자를 물이나 알콜과 같은 용매에 방사 가능한 농도로 용해하여 미용시트을 형성하기 위한 방사용액을 준비한다. 방사용액의 농도는 방사시 섬유상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농도가 적당하며, 방사용액(용매+고분자 물질)에서 고분자 물질은 약 5 - 70 wt.%의 범위가 적당하다.
고분자의 비율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전기방사시 나노섬유를 형성하기 보다는 낮은 농도에 기인한 드롭이 형성되어 섬유를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70 wt.% 초과인 경우에는 고분자의 함량이 너무 많아 방사 불량으로 나노섬유를 형성하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하는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섬유가 형성될 수 있는 적당한 농도 범위에서 방사용액을 제조할 필요가 있다. 특히, 2 이상의 고분자를 블렌드하여 방사할 경우, 고분자와 용매는 상용성이 있어야 하며, 상분리 등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용매는 1종 내지는 2종을 혼합하여 용매의 휘발에 대해서도 고려하면서 방사용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능성 물질과 가교제를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할 경우에는 고분자 물질을 용해한 후 상온에서 기능성 물질과 가교제를 투입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할 필요가 있다. PVA 등을 고분자로 사용할 경우 방사용액 제조시 가열 교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때 가교제를 투입하면 가교화 반응이 일어나 용액을 형성하지 못하고 고형분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미용시트 형성
전기 방사장치는 방사용액을 전기 방사하는 방사노즐과, 방사노즐에서 방사되는 초극세 섬유가닥들이 축적되어 미용시트과 보습 유지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콜렉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전압 발생기를 사용하여 방사노즐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방사를 실시한다. 사용 전압은 2kV-100kV의 범위에서 방사가 가능한 전압으로 실시한다.
방사시 토출량은 홀당 0.01 - 5cc/hole·min으로 토출하여 방사하고, 방사시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챔버 내에서 상대습도 10 - 90%의 환경에서 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취급성 향상을 위하여 나노섬유 웹의 평량은 10 - 50gs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방사노즐에서 방사용액을 초극세 섬유 가닥들로 만들어 릴리이스 필름(20)의 의 표면에 방사한다. 그러면 릴리이스 필름(20)의 표면에 초극세 나노 섬유들이 축적되어 다수의 기공을 갖는 나노섬유 웹 형태의 미용시트(10)이 형성된다.
가교화 및 열압착(캘린더링)
전기방사된 나노섬유 웹이 수분이나 미스트에 의해 용융되는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가교화, 그리고 나노섬유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열압착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가교화는 완전 가교 내지는 부분 가교를 진행하여 수분이나 미스트 등에 의해 시간에 따라 자가 용융되도록 조절한다. 가교화는 열압착 내지는 캘린더링하기 전 또는 이후에 실시할 수 있으며, 캘린더링과 동시에 가교화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부분 가교를 위해서는 방사용액에 가교제의 종류와 함량과 열풍, 열처리 캘린더링, UV 조사시 시간 등을 통해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기능성 물질의 변질이나 파괴가 일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0 - 100 ℃의 범위에서 30분 이내에 실시하며, 150℃ 가열 캘린더링을 실시할 경우에는 30초 이내에 실시하여 기능성 물질의 변질과 부분 가교가 진행되는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나노섬유 웹으로 구성된 미용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에 수분환경을 조성하거나 미스트를 분산한 후 미용시트를 피부에 부착함에 의해 가교화를 통해 원하는 시간 동안 유효성분을 피부에 적절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10: 미용시트 12: 제1미용시트
14: 제2미용시트 20: 릴리이스 필름
22: 접는 선 24: 개구홈
26: 그립홈 30: 분리용 손잡이
32: 제1분리용 손잡이 34: 제2분리용 손잡이
40: 제1그립홈 42: 제2그립홈

Claims (13)

  1. 얼굴에 부착되는 미용시트; 및
    상기 미용시트의 일면에 부착되어 미용시트을 보호하는 릴리이스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미용시트에는 상기 미용시트와 상기 릴리이스 필름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릴리이스 필름은 상기 분리용 손잡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그립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시트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기능성 물질을 함께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되고 수분에 의해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손잡이는 상기 미용시트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미용시트에 부착되는 스티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시트는 얼굴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미용시트와, 얼굴의 하부에 부착되는 제2미용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미용시트에는 제1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제2미용시트에는 제2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이스 필름에는 상기 제1분리용 손잡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그립홈과, 제2분리용 손잡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그립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7.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기능성 물질을 함께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되고 수분에 의해 용융되는 미용시트;
    상기 미용시트의 일면에 부착되는 릴리이스 필름; 및
    상기 미용시트의 타면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미용시트에는 제1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필름에는 제2분리용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릴리이스 필름은 상기 제1분리용 손잡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그립홈과, 상기 제2분리용 손잡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그립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보습 유지기능을 하는 폴리우레탄 필름, 실리콘 필름, 다공성 부직포 또는 미세기공이 형성되는 펄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시트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 기능성 물질 및 가교제를 함께 용매에 용해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직경 1㎛ 미만의 나노섬유를 형성하고, 상기 나노섬유를 축적하여 미세기공을 가지는 나노섬유 웹으로 제조되고,
    상기 나노섬유의 함량(평량)은 10-50gsm(gram per square meter) 범위로 설정되고, 피부에 부착시 수분에 의해 상기 나노섬유 웹은 서서히 녹으면서 피부에 흡수되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는, PVA(polyvinyl alcohol), PVP(polyvinyl pyrrolidone), PEO(polyethylene oxide), CMC(carboxyl methyl cellulose), 전분(starch), PAA(polyacrylic acid)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으로 구성되는 고분자 물질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로는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성분(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아스코글루코사이드), 피부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성분(레티놀, 아데노신), 자외선 차단을 도와주는 성분(티타늄디옥사이드), 산화방지 성분, 피부 및 모발 컨디셔닝 성분, 항균 성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의 첨가 함량은 상기 수용성 고분자 대비 0.5~50wt.%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KR1020140160978A 2014-11-18 2014-11-18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KR101640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978A KR101640837B1 (ko) 2014-11-18 2014-11-18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978A KR101640837B1 (ko) 2014-11-18 2014-11-18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555A KR20160059555A (ko) 2016-05-27
KR101640837B1 true KR101640837B1 (ko) 2016-07-20

Family

ID=5610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978A KR101640837B1 (ko) 2014-11-18 2014-11-18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465B1 (ko) * 2017-05-29 2017-11-01 손철용 마스크팩
CN109688869B (zh) * 2017-07-31 2021-10-22 塚本进一 片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156Y1 (ko) * 2003-11-01 2004-01-24 백연화 마스크 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933A (ja) * 1998-01-13 1999-07-27 Shinko Silk:Kk 美顔用マスクの装着補助具
US20080147022A1 (en) * 2006-12-15 2008-06-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kin care delivery device having a releasable backing
KR200455038Y1 (ko) 2008-09-22 2011-08-11 (주) 제이티 에센스겔 마스크팩
KR101454421B1 (ko) * 2012-10-25 2014-11-0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가 용융형 나노섬유로 구성된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156Y1 (ko) * 2003-11-01 2004-01-24 백연화 마스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555A (ko) 2016-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223B1 (ko)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7189275B2 (ja) 美容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04744B1 (ko)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미용 팩
KR102001009B1 (ko) 피부부착형 패치
US11167525B2 (en) Cosmetic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0470983B2 (en) Cosmetic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454421B1 (ko) 자가 용융형 나노섬유로 구성된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09451B1 (ko) 미용 시트
KR101646710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CN111148452A (zh) 面膜及其制造方法
KR101640837B1 (ko)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KR101685058B1 (ko)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704743B1 (ko) 건식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