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755B1 - 다층 미용 마스크 시트 - Google Patents

다층 미용 마스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755B1
KR102517755B1 KR1020170072535A KR20170072535A KR102517755B1 KR 102517755 B1 KR102517755 B1 KR 102517755B1 KR 1020170072535 A KR1020170072535 A KR 1020170072535A KR 20170072535 A KR20170072535 A KR 20170072535A KR 102517755 B1 KR102517755 B1 KR 102517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mask sheet
polym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598A (ko
Inventor
조형진
이현종
김기영
강내규
이경섭
송준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072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75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미용 마스크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 방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층을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 마스크 시트에 포함된 피부 유효성분의 피부 투과량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Description

다층 미용 마스크 시트{Multi layered cosmetic mask sheet}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미용 마스크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얼굴의 미용을 위한 방법으로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햇볕에 타고 피로할 때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여 얼굴 피부를 탄력있게 가꾸기 위하여 세안 후 마사지를 행한다. 이때,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하여 천연 재료나 마사지용 크림, 영양 팩, 클렌징 팩, 표백 팩 등의 팩제를 바른 상태에서 얼굴에 미용 티슈나 기타 보조 수단을 사용하여 덮어줄 수 있다.
또한, 손쉽게 이를 적용하기 위하여 부직포, 미용필름 등을 일정한 형태로 압축시켜서 마사지할 얼굴 부위에 덮어 씌울 수 있도록 원형이나 얼굴 모양의 여러 가지 종류의 마스크 시트가 출시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마스크 시트는 마스크 시트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을 변경 또는 추가하여 기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고, 마스크 시트의 기술 발전을 통한 유효성분의 투과율 향상에 대한 개발은 특별하게 진행된 바가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642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스크 시트에 포함되는 피부 유효성분의 피부 투과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마스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부와 부착하는 층인 함침시트층; 및 통기 방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층을 포함하는 다층 마스크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마스크 시트에 포함되는 피부 유효성분의 피부 투과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마스크 시트를 연구하던 중, 다층 마스크 시트로서 피부와 부착하는 층인 함침시트층; 및 통기 방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층을 포함하여 마스크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특히 통기 방수성 고분자로서 PTFE(polytetrafluoroethylene)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 유효성분의 투과도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함침시트층은 피부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의 기본 시트이다. 함침시트층은 유효성분 조성물의 피부 전달 디바이스로서 재질, 종류 또는 원재료에 따라 다양한 사용감, 착용감과 효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함침시트층으로는 업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부직포, 순면부직포, 펄프(Pulp), 스펀지,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직물, 면(Cotton), 나일론, 큐프라(Cupra), 레이온(Rayon), 코팅 원단, 셀룰로오스 시트, 코코넛 시트, 극세사(Micro Fiber) 및 하이드로겔 시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성 섬유, 합성 섬유, 천연 섬유를 단독 또는 혼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무작위로 배향된 복수의 섬유를 포함하는 웹(web)을 의미하며, 여기서, 상기 섬유는 스테이플 섬유 또는 연속 필라멘트일 수 있다.
부직포는 제작 방법의 관점에서 멜트블로운(meltblown) 부직포,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천연 섬유의 경우, 산 또는 알칼리를 처리함으로써, 섬유의 탄수화물, 섬유질, 단백질을 가수 분해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의 혼방 직물은 방적 또는 재직에 의해 직조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섬유(fiber)와 혼방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열가공 처리, 표면 화학 처리, 염색 가공 처리 등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함침시트층은 마스크 시트의 적용 부위, 적용 대상 등에 따라 모양, 크기, 두께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얼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디자인의 시트나 상/하단의 2장으로 나뉜 시트, 눈밑/눈가/입가 등의 특정 부위에 맞춘 시트 등 다양한 형태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함침시트층에 포함되는 피부 유효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노인산, 코엔자임 큐텐,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콜라겐, 카페인, 키토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볼롤, 토코페롤,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레티놀아세테이트,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및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유효성분은 마스크 시트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양의 유효성분을 피부에 공급하는 것과 사용 시의 임의의 불편함(예를 들어, 액체의 흘림 등)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을 보장하는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침시트층은 용이한 취급 특성, 가공성 등을 보장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PET)와 같은 고분자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에서, 상기 함침시트층의 함량은 마스크 시트의 총 중량 대비 10 내지 90 중량%일 수 있다. 함침시트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0.01 내지 2 mm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함침시트층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25 내지 500 gsm 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분자 층은 통기 방수성 고분자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통기 방수성 고분자"는 시트 형태로 고분자를 제조하였을 때 기체는 통과시키지만 액체를 통과시키지는 않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통기 방수성 고분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등이 포함된다.
상기 통기 방수성 고분자는 평균 직경이 0.01 내지 100 ㎛, 0.1 내지 50 ㎛ 또는 1 내지 10 ㎛인 기공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약 10% 이상, 약 20% 이상, 약 40% 이상, 약 60% 이상, 약 80% 이상 또는 약 90% 이상의 기공도(porosity)를 가지면서 자체적으로 공기의 통풍이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통기 방수성 고분자 중에서, PTFE 고분자는 타 고분자 재료에 비해 열적, 화학적, 기계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또한 친수성이기 때문에, 에어로졸 샘플링(aerosol sampling), 공기 벤팅(air venting)과 기체여과, 특히 수증기를 함유한 환경하에서 유용한 고분자이다.
상기 PTFE 고분자로는 다공성 PTFE(porous PTFE), e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팽창 PTFE), emPTFE(expanded modified PTFE), PTFE 팽창 코폴리머(expanded copolymers of PTFE)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공성 PTFE란, PTFE 고분자 필름이나 중공사 등을 잡아 당기어, 일반 PTFE 고분자보다 더욱 다공성을 부여한 고분자이며, 결정성 고분자 내의 비결정성 부분이 결정성 부분에 비하여 약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연신이 일어나며 추가의 기공이 형성 되게 된다. 또한 연신이 일어나면서 연신 방향으로 아주 미세한 fibril들도 생겨난다.
일 구현예에서 다공성 PTFE는 약 40% 이상, 약 60% 이상, 약 80% 이상 또는 약 90%이상의 기공도(porosity)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다공성 PTFE로서, ePTFE, emPTFE 등은 현재 의약품 분야 및 고분자 소재 분야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ePTFE 및 emPTFE 고분자는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예컨대 Sumitomo electronic사의 PoreflonTM; POREX사의 상품명 POREX® Porous PTFE 등). 또한 ePTFE, emPTFE 등 다공성 PTFE 재료가 다수의 특허, 예컨대 US 3,953,566(Gore), US 5,476,589(Bacino) 및 US 7,306,729(Bacino et al.)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PTFE 고분자의 팽창가능한 혼방(expandable blends of PTFE), 팽창가능한 변형된 PTFE(expandable modified PTFE) 및 PTFE의 팽창 코폴리머(expanded copolymers of PTFE)는, 비제한적으로, 미국 특허 제5,708,044호(Branca); 미국 특허 제6,541,589호(Baillie); 미국 특허 제 7,531,611호(Sabol et al.); 미국 특허 제 8,637,144호(Ford); 및 미국 특허출원 제12/410,050호(Xu et al.)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열거한 통기 방수성 고분자 중에서도 PTFE 고분자, 특히 e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를 사용하여 다층 마스크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함침시트층에 함침된 피부 유효성분의 피부 투과도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통기 방수성 고분자로서 ePTFE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 실험예에서 확인한 것과 같이 ePTFE를 포함하는 고분자 층을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는 다른 소재에 비하여 월등하게 피부 투과도가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에서, 상기 고분자 층의 함량은 마스크 시트의 총 중량 대비 10 내지 90 중량%일 수 있고, 상기 고분자 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0.01 내지 2 mm의 범위 일 수 있다. 함침시트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0.01 내지 2 mm 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함침시트층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5 내지 100 gsm 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침시트층 및 고분자 층은 1 : 0.01 내지 4 의 중량비(함침시트층 : 고분자 층)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0.01 내지 2 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01 내지 1 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분자 층은 상기 함침시트층에 접합되어 마스크 시트를 형성한다. 함침시트층과 고분자 층 사이의 접합은 접착제 층, 가융성 필름(fusible film), 열 또는 초음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마스크 시트는 함침시트층과 고분자 층 사이에 하나 이상의 추가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접합층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접착제가 접합 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접착제 층은 아크릴 접착제, 폴리우레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 접착제, 실리콘 접착제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 접착제, 폴리우레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 접착제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는 피부 자극 없이 고분자 층의 탈층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착제 층의 함량은 마스크 시트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0.5 중량% 일 수 있다.
접착제 층은 본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 예를 들어, 코팅 공정, 증착(침착) 공정(evaporation (deposition) process) 등을 사용하여 함침시트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 마스크 시트에 포함된 피부 유효성분의 피부 투과량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도 1은 통기 방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단면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부직포 층, 부직포 층 및 고분자 층을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피부 투과도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각각 폴리우레탄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와 ePTFE 섬유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레이온 부직포(큐프라 원단)와 밀착시킨 상태에서 핫멜트 방식으로 라미네이팅하여 접착시켜 마스크 시트를 제조하였다.
각각 원단은 구매하여 사용하였고 두께는 큐프라 원단 0.02mm, 폴리우레탄 0.13mm, 폴리에틸렌 0.14mm, ePTFE 0.2mm이며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ePTFE 섬유는 자체적으로 공기의 통풍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 피부 투과도 향상 확인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시트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피부 투과도가 얼마나 향상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돼지 피부를 장착한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각각 제조된 마스크 시트의 유효성분의 피부 투과량을 나타내었다. 실험을 위하여 사용된 유효물질은 형광물질인 rhodamine-b이고, 비교예로서 부직포 층만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를 사용하였다.
통기 방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층의 통기 방수성 고분자로는 폴리우레탄(실시예 1), 폴리에틸렌(실시예 2), ePTFE(실시예 3)를 사용하였다. 피부 투과도 실험 결과는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24시간 후에 돼지 피부 조직을 회수하여 진피를 분리한 후, 용매로 추출하여 rhodamine-b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흡광도가 제일 낮은 부직포 마스크 시트의 진피층에서 확인된 흡광도를 기준(1)으로 상대적 투과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부직포
(비교예)
부직포/폴리우레탄
(실시예 1)
부직포/폴리에틸렌
(실시예 2)
부직포/ePTFE
(실시예 3)
표피 2.1 8.3 9.7 15.3
진피 1 1.7 2.3 4.4
상기 표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대적 투과도 비교 결과 일반적인 부직포 층만 포함하는 비교예와 달리 통기 방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층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 표피와 진피의 투과도 모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ePTFE 멤브레인과 조합한 실시예 3의 경우 표피는 15.3배, 진피는 4.4배 투과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여 어떠한 소재보다도 현저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함침시트층; 및
    통기 방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피부 미용 마스크 시트로서,
    상기 통기 방수성 고분자는 e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 마스크 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시트층은 부직포, 순면부직포, 펄프(Pulp), 스펀지,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직물, 면(Cotton), 나일론, 큐프라(Cupra), 레이온(Rayon), 코팅 원단, 셀룰로오스 시트, 코코넛 시트, 극세사(Micro Fiber) 및 하이드로겔 시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 마스크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시트층은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 마스크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층의 두께는 0.01 내지 2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 마스크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시트층 및 고분자 층은 1 : 0.01 내지 1 의 중량비(함침시트층 : 고분자 층)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 마스크 시트.
KR1020170072535A 2017-06-09 2017-06-09 다층 미용 마스크 시트 KR102517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535A KR102517755B1 (ko) 2017-06-09 2017-06-09 다층 미용 마스크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535A KR102517755B1 (ko) 2017-06-09 2017-06-09 다층 미용 마스크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98A KR20180134598A (ko) 2018-12-19
KR102517755B1 true KR102517755B1 (ko) 2023-04-03

Family

ID=6500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535A KR102517755B1 (ko) 2017-06-09 2017-06-09 다층 미용 마스크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7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089Y1 (ko) * 2003-06-14 2003-11-10 (주) 맑은하루 마스크 팩용 부직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1581A1 (en) * 2008-02-26 2009-08-27 Vishal Bansal Respiratory mask with microporous membrane and activated carbon
KR101013365B1 (ko) 2008-06-04 2011-02-14 (주)아모레퍼시픽 해조류 섬유를 함유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7113A (ko) * 2014-04-09 2015-10-19 조제목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089Y1 (ko) * 2003-06-14 2003-11-10 (주) 맑은하루 마스크 팩용 부직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98A (ko)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7657B2 (en) Dermal adhesive patch
TWI524906B (zh) 創傷被覆材用表面片材及創傷被覆材
CN106659287B (zh) 美容片及其制造方法
US10470983B2 (en) Cosmetic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6158178B2 (ja) 保液シート及びフェイスマスク
JP6089262B2 (ja) 傷手当用品
EP1423065B1 (en) Elastic bandage
US11167525B2 (en) Cosmetic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3206725B1 (en) "device for wound dressing"
KR101567471B1 (ko) 시트 형태의 팩 기재 및 시트 형태의 팩
KR102371114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JP2005124916A (ja) 美容シート用不織布及び美容シート
TW201404428A (zh) 口罩
JP5226948B2 (ja) 積層シート及び身体貼付用シート
KR101685058B1 (ko)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96776A (ko) 2종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시이트형하이드로겔 팩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17755B1 (ko) 다층 미용 마스크 시트
EP3960025B1 (en) Fiber layered bod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CN210355410U (zh) 一种护肤式蚕丝与石墨烯纤维多层面膜
KR101773451B1 (ko) 중앙 분리형 이형층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피부밀착성 미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284373A (ja) 吸水伸縮性シート
KR102274598B1 (ko) 수용성 고분자 및 비수용성 고분자가 복합된 나노섬유 마스크 시트
KR101723013B1 (ko) 나노 섬유를 구비한 피부용 점착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EP4201251A1 (en) Laminate sheet for cosmetic, and cosmetic set
KR20230083029A (ko) 나노섬유 미용시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