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142A -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142A
KR20140083142A KR1020120152182A KR20120152182A KR20140083142A KR 20140083142 A KR20140083142 A KR 20140083142A KR 1020120152182 A KR1020120152182 A KR 1020120152182A KR 20120152182 A KR20120152182 A KR 20120152182A KR 20140083142 A KR20140083142 A KR 20140083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output pads
lines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927B1 (ko
Inventor
윤중선
윤순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2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927B1/ko
Priority to US13/928,131 priority patent/US9218764B2/en
Priority to DE102013106760.3A priority patent/DE102013106760B4/de
Priority to CN201310295680.XA priority patent/CN103903557B/zh
Publication of KR2014008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30Simulation of view from aircraft
    • G09B9/301Simulation of view from aircraft by computer-processed or -generated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화소영역으로 구성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영역에는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에 제1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원배선이 형성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되고, 구동집적회로와, 상기 구동집적회로에 연결되는 다수의 출력패드와, 상기 제1전원을 출력하고 상기 다수의 출력패드와 교대로 배치되는 다수의 전원출력패드와, 상기 다수의 출력패드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isplay Device Including Driving Uni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신호 출력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 출력패드를 구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 중 하나인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표시장치는 높은 휘도와 낮은 동작 전압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 발광형이기 때문에 대조비(contrast ratio)가 크고, 초박형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가능하며, 응답시간이 수 마이크로초(㎲) 정도로 동화상 구현이 쉽고, 시야각의 제한이 없으며 저온에서도 안정적이고, 직류 5V 내지 15V의 낮은 전압으로 구동하므로 구동회로의 제작 및 설계가 용이하다.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은 증착(deposition) 및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이 전부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매우 단순하다.
그런데,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발광다이오드에 전류를 공급하여 빛을 방출하는 전류구동방식이므로, 통합전원배선(BUS line)을 통하여 각 화소영역에 다양한 대용량의 전원을 공급하여야 한다.
이러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통합전원배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 패널(20)과, 발광다이오드 패널(20)에 연결되어 각각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게이트 구동부(미도시) 및 다수의 데이터 구동부(30)를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 패널(20)은 다수의 화소영역(P)으로 구성되는 표시영역(DA)과 표시영역(DA)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하고, 표시영역(DA)에는 다수의 화소영역(P)으로 제1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원배선(54)이 형성되고, 비표시영역(NDA)에는 다수의 제1전원배선(54)에 연결되어 외부회로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구동부(3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제1전원을 다수의 제1전원배선(54)에 전달하는 제1통합전원배선(50)이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영역(DA)에는 다수의 화소영역(P)으로 제2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제2전원배선이 형성되고, 비표시영역(NDA)에는 다수의 제2전원배선에 연결되어 외부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제2전원을 다수의 제2전원배선에 전달하는 제2통합전원배선(52)이 형성된다.
다수의 데이터 구동부(30)는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와 같이 필름(32) 상부에 구동집적회로(driving integrated circuit: DIC)(34)를 장착한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데이터 구동부(30) 각각의 양단부에는 외부로부터 제1전원이 공급되는 제1전원공급선(36)이 형성되며, 제1전원공급선(36)은 제1통합전원배선(50)에 연결된다.
그리고, 발광다이오드 패널(20)에는 필름 온 글래스(film on glass: FOG)와 같은 전송부(40)가 연결될 수 있는데, 전송부(40)에는 제2전원공급선(42)이 형성되며, 제2전원공급선(42)은 제2통합전원배선(52)에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데이터 구동부(30) 각각은, 필름(32)과, 필름(32)에 장착되는 구동집적회로(34)를 포함하는데, 필름(32)에는 다수의 데이터입력선(34a), 다수의 데이터출력선(34b), 전원공급선(36) 및 다수의 출력패드(38)가 형성된다.
다수의 데이터입력선(34a)은 외부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영상데이터 및 데이터제어신호를 구동집적회로(34)에 입력하고, 다수의 데이터출력선(34b)은 구동집적회로(34)로부터 출력되는 다수의 데이터신호를 발광다이오드 패널(20)에 전달하며, 전원공급선(36)은 구동집적회로(34)의 양측에 형성되어 외부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제1전원을 발광다이오드 패널(20)에 전달한다.
그리고, 다수의 출력패드(38)는 다수의 데이터출력선(34b) 및 전원공급선(36)의 일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다수의 데이터입력선(34a), 다수의 데이터출력선(34b) 및 전원공급선(36)은, 필름(32)을 구성하는 2개의 절연층 사이에 도전배선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출력패드(38)는 필름(32) 하부로 노출되어 발광다이오드 패널(20)의 배선과 접촉한다.
한편, 발광다이오드 패널(20)에는, 제1통합전원배선(50), 전원공급배선(51), 다수의 제1전원배선(54) 및 다수의 데이터배선(60)이 형성된다.
전원공급배선(51)은 전원공급선(36) 일단의 출력패드(38) 및 제1통합전원배선(50)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선(36)의 제1전원을 제1통합전원배선(50)으로 전달하고, 인접한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전원배선(54)은 각각 제1통합전원배선(50)에 연결되어 제1전원을 공급 받는다.
그리고, 다수의 데이터배선(60)은 다수의 데이터출력선(34b) 일단의 출력패드(38) 및 다수의 화소영역에 연결되어, 다수의 데이터출력선(34b)의 데이터신호를 다수의 화소영역에 전달한다.
이러한 종래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0)에서, 제1 및 제2전원은 각각 전원전압(VDD) 및 기저전압(VSS)일 수 있는데, 하나의 제1통합전원배선(50)과 하나의 제2통합전원배선(52)을 통하여 발광다이오드 패널(20)의 다수의 화소영역(P) 모두에 제1 및 제2전원을 공급하므로, 제1통합전원배선(50)과 제2통합전원배선(52) 각각에는 과도한 양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통합전원배선(50)과 제2통합전원배선(52) 자체가 전기적으로 단선(electric open)되거나 연소될 수 있으며, 상하부의 절연층이 파괴되어 교차하는 다른 배선과 전기적으로 단락(electric shortage)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제1통합전원배선(50)과 제2통합전원배선(52)의 불량은 제1전원배선(54) 또는 제2전원배선으로 전파되어 확산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대면적 표시장치의 경우 더 많은 구동전류를 필요로 하므로, 이러한 불량이 더 큰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구동집적회로와 전원공급선 사이에 교대로 배치된 데이터신호용 출력패드 및 전원용 출력패드를 형성함으로써, 패널의 전기적 단락 또는 연소와 같은 불량이 방지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화소영역으로 구성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영역에는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에 제1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원배선이 형성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되고, 구동집적회로와, 상기 구동집적회로에 연결되는 다수의 출력패드와, 상기 제1전원을 출력하고 상기 다수의 출력패드와 교대로 배치되는 다수의 전원출력패드와, 상기 다수의 출력패드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출력패드 및 상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는, 상기 구동집적회로와 상기 전원공급선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출력패드는, 상기 구동집적회로와 상기 전원공급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다수의 출력패드와 상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집적회로와 상기 다수의 출력패드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출력선과; 상기 전원공급선과 상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전원연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선, 상기 다수의 출력선 및 상기 다수의 전원연결선은 2개의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의 도전배선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구동집적회로를 감싸는 U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의 개수는 상기 다수의 출력패드의 개수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집적회로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더미선과; 상기 다수의 더미선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더미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더미선은 제2전원을 상기 표시패널에 공급하고, 상기 제1 및 제2전원은 각각 전원전압(VDD) 및 기저전압(VSS)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부 또는 상기 표시패널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구동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집적회로와 전원공급선 사이에 교대로 배치된 데이터신호용 출력패드 및 전원용 출력패드를 형성함으로써, 패널의 전기적 단락 또는 연소와 같은 불량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동집적회로의 변경 없이 구동집적회로가 장착되는 필름의 배선구조만 변경하여 패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신규 구동집적회로를 위한 설계비용 및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COF)에 형성되는 다수의 도전배선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하나의 도전배선층(single layer)으로 구동부의 필름을 구성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필름의 크기 증가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B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C영역을 확대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설명하는데,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B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10)는, 영상을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 패널(120)과, 발광다이오드 패널(120)에 연결되어 각각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게이트 구동부(미도시) 및 다수의 데이터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 패널(120)은 다수의 화소영역(P)으로 구성되는 표시영역(DA)과 표시영역(DA)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NDA)을 갖는 제1 및 제2기판(미도시)을 포함하고, 제1기판의 표시영역(DA)에는 다수의 화소영역(P)으로 제1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원배선(152)이 표시영역(DA)의 수직방향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1기판의 비표시영역(NDA)에는 다수의 제1전원배선(152)에 연결되어 외부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제1전원을 다수의 제1전원배선(152)에 전달하는 다수의 제1전원링크배선(150)이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기판의 표시영역(DA)에는 다수의 화소영역(P)으로 제2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제2전원배선이 추가로 형성되고, 제1기판의 비표시영역(NDA)에는 다수의 제2전원배선에 연결되어 외부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제2전원을 다수의 제2전원배선에 전달하는 제2전원링크배선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데이터 구동부(130)는 각각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와 같이 필름(132) 상부에 구동집적회로(driving integrated circuit: DIC)(134)를 장착한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집적회로(134)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er: DAC)와 출력버퍼(output 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데이터 구동부(130) 각각의 필름(132)에는 외부회로로부터 제1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선(136)이 형성되는데, 전원공급선(136)은 구동집적회로(134)를 감싸는 U자 형태를 가지며, 발광다이오드 패널(120)의 다수의 제1전원링크배선(150)에 연결되어 제1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데이터 구동부(130) 각각의 필름(132)의 양단부에는 외부회로로부터 제2전원이 공급되는 제2전원용 전원공급선이 추가될 수 있으며, 제2전원용 전원공급선은 발광다이오드 패널(120)의 제2전원링크배선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데이터 구동부(130) 각각은, 필름(132)과, 필름(132)에 장착되는 구동집적회로(134)를 포함하는데, 필름(132)에는 다수의 데이터입력선(134a), 다수의 데이터출력선(134b), 전원공급선(136), 다수의 전원연결선(136a),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 다수의 더미(dummy)패드(138c) 및 다수의 더미선(139)이 형성된다.
다수의 데이터입력선(134a)은 외부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영상데이터 및 데이터제어신호를 구동집적회로(134)에 입력하고, 다수의 데이터출력선(134b)은 구동집적회로(134)로부터 출력되는 다수의 데이터신호를 발광다이오드 패널(120)에 전달한다.
전원공급선(136)은 구동집적회로(134)를 감싸는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회로로부터 제1전원을 공급 받는데, 특히 전원공급선(136)은,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 및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의 외측으로 배치되며, 그에 따라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 및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는 다수의 데이터출력선(134b)과 전원공급선(136)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전원공급선(136)은, 다수의 데이터입력선(134a) 및 다수의 데이터출력선(134b)과 다수의 더미선(139) 사이에 배치된다.
다수의 전원연결선(136a)은 전원공급선(136)에 연결되는데, 전원공급선(136)으로부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 및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의 외측으로 배치된다.
다수의 더미선(139)은 모델에 따라 추가되는 신호 또는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배선인데, 외부회로로부터 제2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다이오드 패널(120)에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는 다수의 전원연결선(136a)의 일단에 연결되고,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는 다수의 데이터출력선(134b)의 일단에 연결되고, 다수의 더미패드(138c)는 다수의 더미선(139)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와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는 교대로 배치되는데, 예를 들어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의 개수는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의 개수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데이터입력선(134a), 다수의 데이터출력선(134b), 전원공급선(136), 다수의 전원연결선(136a) 및 다수의 더미선(139)은 각각, 필름(132)을 구성하는 2개의 절연층 사이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도전배선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 및 다수의 더미패드(138c)는 필름(132) 하부로 노출되어 발광다이오드 패널(120)의 배선과 접촉할 수 있다.
특히, 전원공급선(136) 및 다수의 전원연결선(136a)은,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 및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의 외측으로 배치되므로,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 및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데이터출력선(134b)과 서로 교차 또는 중첩되지 않는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구동집적회로(134)에 연결되는 다수의 데이터출력선(134b)과 전원공급선(136)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므로,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가 구동집적회로(134)와 전원공급선(136)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필수조건이며, 이러한 필수조건을 만족하는 배치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전원연결선(136a) 및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를 전원공급선(136) 외측에 배치하여,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가 구동집적회로(134)와 전원공급선(136) 사이에 배치되고, 전원공급선(136)이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와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선(136) 및 다수의 전원연결선(136a)과 다수의 데이터출력선(134b)을 하나의 도전배선층(single layer)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나머지 다수의 데이터입력선(134a) 및 다수의 더미선(139) 역시 동일한 하나의 도전배선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발광다이오드 패널(120)에는, 다수의 제1전원링크배선(150), 다수의 제1전원배선(152), 다수의 데이터배선(160) 및 다수의 게이트배선(162)이 형성된다.
다수의 제1전원링크배선(150)은 다수의 전원연결선(136a) 일단의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 및 다수의 전원배선(152)에 각각 연결되어, 전원공급선(136)의 제1전원을 다수의 제1전원배선(152)에 전달한다.
다수의 제1전원배선(152)은 인접한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제1전원링크배선(150)을 통하여 전원공급선(136)의 제1전원을 공급 받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더미선(139)이 제2전원을 전달할 경우, 발광다이오드 패널(120)에는 다수의 더미선(139) 일단의 다수의 더미패드(138c)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2전원링크배선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전원은 각각 전원전압(VDD) 및 기저전압(VSS)일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데이터배선(160)은 다수의 데이터출력선(134b) 일단의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 및 다수의 화소영역에 연결되어, 다수의 데이터출력선(134b)의 데이터신호를 다수의 화소영역에 전달한다.
다수의 게이트배선(162)은 다수의 화소영역에 연결되어, 게이트 구동부의 게이트신호를 다수의 화소영역에 전달한다.
따라서, 다수의 화소영역은 각각 게이트신호, 데이터신호 및 제1전원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10)에서는, 데이터 구동부(130)의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를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 사이에 교대로 배치하여 발광다이오드 패널(120)에 제1전원을 분할하여 공급함으로써, 제1전원 공급을 위한 발광다이오드 패널(120)의 통합전원배선을 제거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기적 단선, 연소 또는 전기적 단락과 같은 불량이 방지된다.
그리고, 구동집적회로(134)의 내부 구성과 다수의 출력핀의 배치를 변경하지 않고, 필름(132)에 전원공급선(136), 다수의 전원연결선(136a) 및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만 추가로 형성하여 제1전원을 분할 공급할 수 있으므로, 신규 구동집적회로를 위한 설계비용 및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전원공급선(136) 및 다수의 전원연결선(136a)은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 및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의 외측에 배치되고, 구동집적회로(134)의 다수의 출력핀(미도시)에 연결되는 다수의 데이터출력선(134b)은 다수의 전원출력패드(138a) 및 다수의 데이터출력패드(138b)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전원공급선(136)과 다수의 데이터출력선(134b)을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선(136)과 다수의 데이터출력선(134b)을 하나의 도전배선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데이터 구동부(130)의 크기 증가가 최소화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원공급선 및 다수의 전원출력패드를 게이트 구동부에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C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210)는, 영상을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 패널(220)과, 발광다이오드 패널(220)에 연결되어 각각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게이트 구동부(230) 및 다수의 데이터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 패널(220)은 다수의 화소영역(P)으로 구성되는 표시영역(DA)과 표시영역(DA)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NDA)을 갖는 제1 및 제2기판(미도시)을 포함하고, 제1기판의 표시영역(DA)에는 다수의 화소영역(P)으로 제1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원배선(252)이 표시영역(DA)의 수평방향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제1기판의 비표시영역(NDA)에는 다수의 제1전원배선(252)에 연결되어 외부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제1전원을 다수의 제1전원배선(252)에 전달하는 다수의 제1전원링크배선(250)이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기판의 표시영역(DA)에는 다수의 화소영역(P)으로 제2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제2전원배선이 추가로 형성되고, 제1기판의 비표시영역(NDA)에는 다수의 제2전원배선에 연결되어 외부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제2전원을 다수의 제2전원배선에 전달하는 제2전원링크배선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게이트 구동부(230)는 각각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와 같이 필름(232) 상부에 구동집적회로(driving integrated circuit: DIC)(234)를 장착한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집적회로(234)는 쉬프트 레지스터(shifter register), 레벨 쉬프터(level shifter), 출력버퍼(output 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게이트 구동부(230) 각각의 필름(232)에는 외부회로로부터 제1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선(236)이 형성되는데, 전원공급선(236)은 구동집적회로(234)를 감싸는 U자 형태를 가지며, 발광다이오드 패널(220)의 다수의 제1전원링크배선(250)에 연결되어 제1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게이트 구동부(230) 각각의 필름(232)의 양단부에는 외부회로로부터 제2전원이 공급되는 제2전원용 전원공급선이 추가될 수 있으며, 제2전원용 전원공급선은 발광다이오드 패널(220)의 제2전원링크배선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게이트 구동부(230) 각각은, 필름(232)과, 필름(232)에 장착되는 구동집적회로(234)를 포함하는데, 필름(232)에는 다수의 게이트입력선(234a), 다수의 게이트출력선(234b), 전원공급선(236), 다수의 전원연결선(236a),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 다수의 더미(dummy)패드(238c) 및 다수의 더미선(239)이 형성된다.
다수의 게이트입력선(234a)은 외부회로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제어신호를 구동집적회로(234)에 입력하고, 다수의 게이트출력선(234b)은 구동집적회로(234)로부터 출력되는 다수의 게이트신호 및 다수의 리셋신호를 발광다이오드 패널(220)에 전달한다.
전원공급선(236)은 구동집적회로(234)를 감싸는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회로로부터 제1전원을 공급 받는데, 특히 전원공급선(236)은,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 및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의 외측으로 배치되며, 그에 따라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 및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는 다수의 게이트출력선(234b)과 전원공급선(236)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전원공급선(236)은, 다수의 게이트입력선(234a) 및 다수의 게이트출력선(234b)과 다수의 더미선(239) 사이에 배치된다.
다수의 전원연결선(236a)은 전원공급선(236)에 연결되는데, 전원공급선(236)으로부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 및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의 외측으로 배치된다.
다수의 더미선(239)은 모델에 따라 추가되는 신호 또는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배선인데, 외부회로로부터 제2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다이오드 패널(220)에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는 다수의 전원연결선(236a)의 일단에 연결되고,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는 다수의 게이트출력선(234b)의 일단에 연결되고, 다수의 더미패드(238c)는 다수의 더미선(239)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와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는 교대로 배치되는데, 예를 들어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의 개수는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의 개수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게이트입력선(234a), 다수의 게이트출력선(234b), 전원공급선(236), 다수의 전원연결선(236a) 및 다수의 더미선(239)은 각각, 필름(232)을 구성하는 2개의 절연층 사이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도전배선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 및 다수의 더미패드(238c)는 필름(232) 하부로 노출되어 발광다이오드 패널(220)의 배선과 접촉할 수 있다.
특히, 전원공급선(236) 및 다수의 전원연결선(236a)은,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 및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의 외측으로 배치되므로,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 및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게이트출력선(234b)과 서로 교차 또는 중첩되지 않는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구동집적회로(234)에 연결되는 다수의 게이트출력선(234b)과 전원공급선(236)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므로,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가 구동집적회로(234)와 전원공급선(236)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필수조건이며, 이러한 필수조건을 만족하는 배치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전원연결선(236a) 및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를 전원공급선(236) 외측에 배치하여,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가 구동집적회로(234)와 전원공급선(236) 사이에 배치되고, 전원공급선(236)이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와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선(236) 및 다수의 전원연결선(236a)과 다수의 게이트출력선(234b)을 하나의 도전배선층(single layer)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나머지 다수의 게이트입력선(234a) 및 다수의 더미선(239) 역시 동일한 하나의 도전배선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발광다이오드 패널(220)에는, 다수의 제1전원링크배선(250), 다수의 제1전원배선(252), 다수의 데이터배선(260) 및 다수의 게이트배선(262)이 형성된다.
다수의 제1전원링크배선(250)은 다수의 전원연결선(236a) 일단의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 및 다수의 제1전원배선(252)에 각각 연결되어, 전원공급선(236)의 제1전원을 다수의 제1전원배선(252)에 전달한다.
다수의 제1전원배선(252)은 인접한 제1 및 제2화소영역(P1, P2)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제1전원링크배선(250)을 통하여 전원공급선(236)의 제1전원을 공급 받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더미선(239)이 제2전원을 전달할 경우, 발광다이오드 패널(220)에는 다수의 더미선(239) 일단의 다수의 더미패드(238c)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2전원링크배선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전원은 각각 전원전압(VDD) 및 기저전압(VSS)일 수 있다.
다수의 데이터배선(160)은 다수의 화소영역에 연결되어, 데이터 구동부의 데이터신호를 다수의 화소영역에 전달한다.
그리고, 다수의 게이트배선(262)은 다수의 게이트출력선(234b) 일단의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 및 다수의 화소영역에 연결되어, 다수의 게이트출력선(234b)의 게이트신호 및 리셋신호를 다수의 화소영역에 전달한다.
따라서, 다수의 화소영역은 각각 게이트신호, 데이터신호 및 제1전원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210)에서는, 게이트 구동부(230)의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를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 사이에 교대로 배치하여 발광다이오드 패널(220)에 제1전원을 분할하여 공급함으로써, 제1전원 공급을 위한 발광다이오드 패널(220)의 통합전원배선을 제거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기적 단선, 연소 또는 전기적 단락과 같은 불량이 방지된다.
그리고, 구동집적회로(234)의 내부 구성과 다수의 출력핀의 배치를 변경하지 않고, 필름(232)에 전원공급선(236), 다수의 전원연결선(236a) 및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만 추가로 형성하여 제1전원을 분할 공급할 수 있으므로, 신규 구동집적회로를 위한 설계비용 및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전원공급선(236) 및 다수의 전원연결선(236a)은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 및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의 외측에 배치되고, 구동집적회로(234)의 다수의 출력핀(미도시)에 연결되는 다수의 게이트출력선(234b)은 다수의 전원출력패드(238a) 및 다수의 게이트출력패드(238b)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전원공급선(236)과 다수의 게이트출력선(234b)을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선(236)과 다수의 게이트출력선(234b)을 하나의 도전배선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게이트 구동부(230)의 크기 증가가 최소화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120: 발광다이오드 패널
130: 데이터 구동부 134: 구동집적회로
136: 전원공급선 136a: 전원연결선
138a: 전원출력패드 138b: 데이터출력패드
150: 전원링크배선 152: 전원배선

Claims (10)

  1. 다수의 화소영역으로 구성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영역에는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에 제1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원배선이 형성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되고, 구동집적회로와, 상기 구동집적회로에 연결되는 다수의 출력패드와, 상기 제1전원을 출력하고 상기 다수의 출력패드와 교대로 배치되는 다수의 전원출력패드와, 상기 다수의 출력패드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을 포함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출력패드 및 상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는, 상기 구동집적회로와 상기 전원공급선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출력패드는, 상기 구동집적회로와 상기 전원공급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다수의 출력패드와 상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집적회로와 상기 다수의 출력패드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출력선과;
    상기 전원공급선과 상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전원연결선
    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선, 상기 다수의 출력선 및 상기 다수의 전원연결선은 2개의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의 도전배선층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구동집적회로를 감싸는 U자 형태를 갖는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원출력패드의 개수는 상기 다수의 출력패드의 개수와 같거나 작은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집적회로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더미선과;
    상기 다수의 더미선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더미패드
    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더미선은 제2전원을 상기 표시패널에 공급하고, 상기 제1 및 제2전원은 각각 전원전압(VDD) 및 기저전압(VSS)인 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부 또는 상기 표시패널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구동부인 표시장치.
KR1020120152182A 2012-12-24 2012-12-24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26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182A KR102026927B1 (ko) 2012-12-24 2012-12-24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3/928,131 US9218764B2 (en) 2012-12-24 2013-06-26 Display device including driving unit
DE102013106760.3A DE102013106760B4 (de) 2012-12-24 2013-06-27 Anzeigevorrichtung mit Treibereinheit
CN201310295680.XA CN103903557B (zh) 2012-12-24 2013-07-15 包括驱动单元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182A KR102026927B1 (ko) 2012-12-24 2012-12-24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142A true KR20140083142A (ko) 2014-07-04
KR102026927B1 KR102026927B1 (ko) 2019-10-01

Family

ID=5087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182A KR102026927B1 (ko) 2012-12-24 2012-12-24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18764B2 (ko)
KR (1) KR102026927B1 (ko)
CN (1) CN103903557B (ko)
DE (1) DE102013106760B4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250A (ko) * 2014-07-21 2016-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이 분산된 표시장치
KR20160126765A (ko)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구동 드라이버
KR20180003656A (ko) * 2016-06-30 2018-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80057762A (ko) * 2016-11-21 2018-05-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90120846A (ko) * 2018-04-16 2019-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557644B2 (en) 2019-11-04 2023-01-17 Lg Display Co., Ltd. Transparent display panel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4673B2 (en) * 2012-11-22 2016-12-06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60005859A (ko) * 2014-07-07 2016-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93456B1 (ko) 2015-04-17 2021-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102483894B1 (ko) * 2016-04-05 2023-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57244B1 (ko) * 2016-05-19 2022-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24081A (ko) 2016-08-25 2018-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180027693A (ko) 2016-09-06 2018-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66296B1 (ko) 2016-09-07 2023-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6847151B (zh) * 2017-01-06 2019-11-19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集成电路及手机和显示器
CN107910337B (zh) * 2017-11-30 2020-05-1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89595B1 (ko) * 2017-12-15 202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칩 온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15911A (ko) * 2018-04-04 2019-10-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 스트립
KR20190129153A (ko) * 2018-05-09 2019-1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831910B (zh) * 2018-06-07 2021-01-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CN211376151U (zh) 2019-05-03 2020-08-28 神盾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驱动装置
CN110738968A (zh) * 2019-11-29 2020-01-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覆晶薄膜及显示装置
DE102020133360A1 (de) * 2019-12-27 2021-07-01 Lg Display Co., Ltd. Anzeigevorrichtung
CN211182209U (zh) * 2020-03-23 2020-08-04 北京京东方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oled显示装置的引线布置结构和显示装置
CN113608387B (zh) * 2021-07-30 2023-04-28 惠科股份有限公司 覆晶薄膜和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951A (ko) * 2001-03-26 2002-10-0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실장 방법 및 그 구조
KR20060032829A (ko) * 2004-10-13 2006-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1948A1 (fr) 1995-01-13 1996-07-18 Seiko Epson Corporation Dispositif semi-conducteur, support de bande et panneau d'affichage
JP3938367B2 (ja) 2002-09-03 2007-06-27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に用いる駆動回路基板
KR100583139B1 (ko) * 2004-10-08 2006-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KR101138429B1 (ko) 2005-07-22 2012-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25492B1 (ko) * 2005-09-24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JP4701069B2 (ja) 2005-10-21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一体型位置検出装置
KR100720143B1 (ko) * 2005-12-13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807277B1 (ko) * 2006-08-10 200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80017773A (ko) * 2006-08-22 200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연성부재
KR101352344B1 (ko) * 2006-09-13 2014-0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호전송 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4425264B2 (ja) 2006-12-15 2010-03-03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走査線駆動回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951A (ko) * 2001-03-26 2002-10-0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실장 방법 및 그 구조
KR20060032829A (ko) * 2004-10-13 2006-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250A (ko) * 2014-07-21 2016-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이 분산된 표시장치
KR20160126765A (ko)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구동 드라이버
KR20180003656A (ko) * 2016-06-30 2018-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80057762A (ko) * 2016-11-21 2018-05-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90120846A (ko) * 2018-04-16 2019-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557644B2 (en) 2019-11-04 2023-01-17 Lg Display Co., Ltd. Transparent display panel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106760B4 (de) 2022-12-22
US9218764B2 (en) 2015-12-22
CN103903557A (zh) 2014-07-02
KR102026927B1 (ko) 2019-10-01
DE102013106760A1 (de) 2014-06-26
US20140175977A1 (en) 2014-06-26
CN103903557B (zh)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927B1 (ko)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395636B1 (ko) 전원링크배선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JP7422869B2 (ja) アレイ基板、表示パネル、スプライシング表示パネル、及び表示駆動方法
KR102571354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34112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CN109285862B (zh) 显示装置
KR101800356B1 (ko) 게이트 인 패널 구조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어레이 기판
WO2009055920A1 (en) High aperture ratio pixel layout for display device
KR20200031738A (ko) 표시 장치
TWI715190B (zh) 顯示裝置
TWI795688B (zh) 透明顯示面板
KR20080102948A (ko) 유기 el 패시브 매트릭스 소자의 구동장치
KR102360171B1 (ko) 구동 드라이버
KR102127974B1 (ko) 표시장치
US11929012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545076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reset line for supplying a reset signal
WO2021005855A1 (ja) 表示装置
KR20220078932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925080B2 (en) Display device
KR20190054581A (ko) 표시 장치
KR20240046328A (ko) 표시 장치
CN118055657A (zh) 显示面板和包括该显示面板的显示装置
CN115810638A (zh) 显示基板和显示模组
KR2021007659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18762A (ko)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