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308B1 -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308B1
KR100984308B1 KR1020080077420A KR20080077420A KR100984308B1 KR 100984308 B1 KR100984308 B1 KR 100984308B1 KR 1020080077420 A KR1020080077420 A KR 1020080077420A KR 20080077420 A KR20080077420 A KR 20080077420A KR 100984308 B1 KR100984308 B1 KR 100984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array substrate
line
pixel
vc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8762A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riority to KR1020080077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308B1/ko
Publication of KR20100018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45Subdivided pixels, e.g. for grey scale or redunda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거리 목도용 대화면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어레이기판(110)과 대향기판(130)이 상호 접합되어 디스플레이패널(140)을 구성하며, R, G, B 서브픽셀(131)이 조합된 단위픽셀(133)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기판(110)에는 상기 서브픽셀(131)이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화소전극(111) 및 이 화소전극(111)에 데이터신호를 스위칭하여 공급하는 스위칭소자(113)가 배치되며; 상기 어레이기판(110) 또는 대향기판(1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픽셀(131) 또는 단위픽셀(133)을 구획하도록 실이 도포되어 격벽(101, 10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종래 LED 전광판에 비해 제조코스트가 저렴하고 양산이 용이하며 전압구동제어로 계조표현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고, 구성품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으며, 패널 외곽의 실영역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 베젤 폭을 슬림하게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조합된 Tiled 형태의 멀티스크린 구성시 영상 단절 현상을 제거하고 화면 연속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 격벽, 픽셀, LCD, AMOLED, 화소전극, TFT, 실라인

Description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having partitions between pixel}
본 발명은 원거리 목도용 대화면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LED 전광판에 비해 제조코스트가 저렴하고 양산성이 검증된 LCD, OLED, AMOLED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로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며, 단위픽셀의 사이즈를 크게 하고 픽셀들 사이의 영역에 실을 도포하여 격벽을 형성한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형 디스플레이장치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PDP(Plasma Discharge Display)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서는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가 차세대 평판형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주목받고 있다.
위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들 중 LCD와 AMOLED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들은 비록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장치이지만, 공통적으로 R(Red), G(Green), B(Blue) 3개의 서브픽셀(sub pixel)들이 단위픽셀(또는 Dot)을 형성하고, 각 화소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스위칭소자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LCD의 경우에는, TFT(Thin Film Transistor)가 배치된 어레이기판과 칼라필터기판과 같은 대향기판 사이에 액정이 봉입되고, 액정의 배열 변화에 따라 액정을 통과하는 빛의 광학특성이 변화되어 칼라화된 영상을 출력한다. AMOLED의 경우에는, TFT가 배치된 어레이기판과 유기물을 봉지하기 위한 대향기판이 배치되며, 양극(Anode)에서 주입된 정공과 음극(Cathode)에서 주입된 전자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면, 여기자가 안정된 상태로 돌아오면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빛으로 변하여 발광한다. LCD와 AMOLED의 차이점은, LCD는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못하므로 별도의 BLU(Back Light Unit)가 필요하지만, AMOLED는 자체적으로 발광하므로 별도의 BLU가 필요치 않으며 LCD에 비해 응답속도가 빨라 고선명의 영상을 표시하는데 적합하다는 것이다.
도 1은 위와 같은 종래 평판형 디스플레이장치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을 보인 부분발췌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기판(10)의 상면에 대향기판(30)이 접합된다. 도 1은 LCD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예시한 것으로서, 대향기판(30)은 칼라필터기판이며, 대향기판(30) 상에는 R, G, B의 서브픽셀(31)을 형성하는 칼라필름이 인쇄된다. 도면에서 은선으로 박스친 부분은 R, G, B 3개의 서브픽셀(31)이 조합된 단위픽셀(33)을 나타낸다. 만약, AMOLED라면, 대향기판에 위와 같은 칼라필름이 형성되지 않을 것이다.
LCD와 AMOLED는 공통적으로 어레이기판(10) 상에 서브픽셀의 위치에 대응하여 화소전극(11)이 형성되며, 이 화소전극(11)은 TFT(13)의 드레인단자에 연결된다. 어레이기판(10)의 횡방향으로는 게이트신호선(15)이 배선되며, 이 게이트신호선(15)은 각 TFT(13)의 게이트단자와 접속되어 TFT(13)에 게이트신호를 인가한다. 어레이기판(10)의 종방향으로는 데이터신호선(17)이 배선되며, 이 데이터신호선(17)은 각 TFT(13)의 소스단자와 접속되어 TFT(13)에 데이터신호를 인가한다. 어레이기판(10)의 에지부에는 더미패드(19)가 인쇄되며, 이 더미패드(19)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제조공정 중 게이트신호선(15) 및 데이터신호선(17)에 테스트용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패드이다. 또한, 도면부호 21은 전하축적용 커패시터(21)이다.
LCD의 경우에 있어, 대향기판(30)에는 서브픽셀(31)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사선으로 해칭처리된 것과 같이 BM(Black Matrix, 35)이 형성된다. 이 BM(35)은 화소전극(11) 사이를 지나가는 신호선을 은폐하고 각 서브픽셀(31)에서 외부로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 서브픽셀(31)들 사이의 BM(35)은 대략 수십㎛의 폭을 갖는 신호선 하나만이 배선될 수 있을 정도로 그 폭이 매우 협소하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불가피하게 게이트신호선(15)은 횡방향으로 배선되고 데이터신호선(17)은 종방향으로 배선되는, 즉, 두 신호선(15, 17)이 상호 교차하여 배선되는 규칙을 갖게 되었다.
도 2는 상기한 어레이기판(10)과 대향기판(30)이 접합된 상태의 디스플레이패널(40)을 보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패널(40)의 외곽에는 많은 수의 구성품들이 실장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40) 외곽에 해칭처리된 것과 같은 영상불표시영역(50)의 폭이 크게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LCD의 예를 들어 영상불표시영역(50)이 증가하는 원인을 알아본다. 물론, 아래의 예들 중 몇가지는 AMOLED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첫째로, 상기한 신호선 배선의 규칙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패널(40)의 일측방 에지부에는 게이트신호선(15)에 게이트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IC(41)들이 실장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패널(40)의 하방 에지부에는 데이터신호선(17)에 소스신호를 인가하는 소스IC(43)들이 실장된다. 도시된 예에서 게이트IC(41) 및 소스IC(43)는 각각 COF(Chip On the Film) 형태로 실장되었지만, 글래스기판 상에 COG(Chip On the Glass) 형태로 실장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IC(41)를 대체하여 디스플레이패널(40) 외곽의 글래스기판 상에 ASG(Amorphous Silicon Gate circuit)가 실장될 수도 있다. 도면 중 부호 70은 드라이브IC들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T_con블록(70)이다.
통상 디스플레이장치는 점차 고해상도로 설계되고 있다. 예컨대, 640× 480의 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307200개의 단위픽셀을 필요로 한다. 이는 307200× 3의 서브픽셀이 배치됨을 의미한다. 즉, 게이트IC(41) 및 소스IC(43)와 같은 드라이브IC에서 무수히 많은 신호선들에 배선을 하는 팬아웃(Fanout)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영상불표시영역(50)에 절대적인 공간이 필요하다.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팬아웃을 위한 절대적인 공간은 더욱 넓어지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40) 외곽의 영상불표시영역(50)은 더욱 증가된다.
둘째로, 도 2에서 보여지듯이, 디스플레이패널(40)의 외곽라인을 따라 Vcom 라인(45)이 형성된다. Vcom라인(45)은 어레이기판(10)과 대향기판(30)측에 기준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레이기판(10)에 형성된 전하축적용 커패시터(21)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사용된다. 또한, 대향기판(30)측에 Vcom신호를 인가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Vcom라인(45)은 디스플레이패널(40)의 모서리부 및 외곽라인을 따라 다중의 통전부(short point, 47)를 형성한다. 통전부(47)들은 어레이기판(10) 및 대향기판(30)측에 기준전위를 제공한다. 이때, 대화면 디스플레이장치에서의 플리커 및 잔상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각 통전부(47)들은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기준전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전위가 차등지는 다중의 통전부(47)를 구성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의 Vcom라인(45)이 필요하게 되며, 이는 곧 디스플레이패널(40) 외곽의 영상불표시영역(50)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셋째로, 어레이기판(10)과 대향기판(30)은 각각 외곽영역에 실(seal)이 도포되고, 이 실에 의해 상호 접합된다. 이러한 실링구조는 어레이기판(10)과 대향기판(30)을 상호 접합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시키며, LCD의 경우에는 내부에 주입된 액정을 밀봉하고, AMOLED의 경우에는 내부에 주입된 유기물을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대략 40인치 이상의 대화면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어레이기판(10)과 대향기판(30)은 더욱 높은 강도의 접합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실라인의 폭이 그만큼 넓어져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실라인은 BM 등에 의해 은폐되어야 하며, 역시 디스플레이패널(40) 외곽의 영상불표시영역(50)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위와 같은 드라이브IC의 실장영역, 팬아웃에 대한 공간 확보, Vcom라인 실장 을 위한 영역, 실라인의 도포 영역 등은 상호 간섭받지 않을만큼 충분한 공간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 외곽의 영상불표시영역(50)은 대략 수십mm의 폭을 갖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 외곽의 베젤 폭은 그에 대응하여 상당한 영역을 차지하게 된다.
일반적인 LCD, AMOLED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 외곽부의 베젤 폭 증가는 큰 문제점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40인치 이상의 대화면 디스플레이장치(80) 복수개를 조합하여 이른바 "Tiled" 형태의 멀티스크린(82)을 구성하는 경우, 각 디스플레이장치(80) 외곽의 베젤(84)이 상당한 폭을 차지함으로 인해 영상이 단절되어 표시되며, 화면 연속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예컨대, 단위픽셀(33)들간의 간격이 0.5mm이고, 베젤(84) 폭이 15mm라고 가정하면, 도 3에서 디스플레이장치(80)의 접경부는 30mm의 폭을 갖게 된다. 이는 곧, 접경부에서 60개 라인의 픽셀에 달하는 정보가 유실됨을 의미한다. 60개 라인에 표시될 정보를 측방의 디스플레이장치(80)로 시프트하여 표시한다고 하여도, 영상이 단절되는 현상은 피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80)들 사이에서 불가피하게 정보가 누락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예컨대, Tiled 형태의 멀티스크린(82)으로 이루어진 대형 디스플레이장치들 중에서 빌딩의 옥상에 설치되는 광고용 디스플레이장치, 경마장이나 카지노 등에 설치되는 대형 디스플레이장치, 주식 시황 표시용 디스플레이장치 등에서 위와 같은 영상의 단절은 중요한 정보를 누락시킬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대형의 디스플레이장치들은 대개 원거리(예컨대, 100m 이상 의 거리)에서 목도되므로, 고해상도로 구현될 필요가 없다. 즉, 단위픽셀의 크기가 비교적 커도 원거리에서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이 원거리에서 목도되는 대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특성상 종종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전광판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LED 전광판은 비록 해상도는 크게 떨어지지만 픽셀의 크기가 크고 픽셀 사이의 간격이 넓어, 다수의 모듈을 연결할 경우 연결지점에서 픽셀의 누락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거리에서 목도시 영상 단절이나 화면 연속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하지만, 개별 LED 패키지를 모아서 중형의 모듈을 제작하고, 다시 중형의 모듈을 연결하여 수백인치급의 대형 모듈을 제작하는 경우, 제조공정에 많은 시간이 걸리며 동일 면적 대비 LCD로 구성된 멀티스크린에 비해 서너배 이상의 코스트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LED 전광판은 쉽게 눈의 피로를 유발시키며, 전류구동방식이므로 전력 소모가 상당하며, 방열 시스템이 복잡해지며, 미세전류 제어가 어려워 계조표현에 한계가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원거리에서 목도되는 용도의 대화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해상도가 높지 않아도 정보 획득에 큰 영향이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종래 LED 전광판의 단점을 해소한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되, 단위픽셀의 사이즈를 크게 하여 전체 픽셀수를 줄임으로써 구성품을 대폭 간소화하고 제조코스트를 크게 다운시키며, 단위픽셀들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여기에 실을 도포하여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어레이기판과 대향기판간의 접합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패널의 접합구조가 매우 안정적이며, 상대적으로 패널 외곽의 실 도포영역을 최소한으로 줄여 베젤 폭을 슬림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Tiled 형태의 멀티스크린 구성시 디스플레이장치들의 접경부에서 영상 단절현상을 없애고 화면 연속성을 양호하게 하는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격벽이 형성된 영역에 다중의 신호선을 수용하여 패널 외곽의 드라이브IC에서의 팬아웃을 위한 공간을 축소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 외곽의 영상불표시영역을 보다 축소 설계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IC와 소스IC를 패널의 일측 에지부에 함께 실장하고, 상기 격벽을 통해 각 IC로부터의 신호선 배선을 실시하여 3면 에지부의 베젤 폭을 상대적으로 더욱 슬림하게 설계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신호선과 데이터신호선이 각각 서로의 이형 메탈레이 어를 경유하여 배선되도록 하여, 드라이브IC의 팬아웃을 위한 공간을 최소한으로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격벽에 Vcom라인을 배선하여 패널 외곽에서의 Vcom라인 배선을 위한 공간을 줄이거나 없앰으로써, 보다 내로우한 폭의 베젤 설계를 가능하게 하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벽에 배선되는 Vcom라인이 데이터신호선의 메탈레이어와 게이트신호선의 메탈레이어를 이용하여 배선되도록 하여, Vcom라인 배선을 위한 추가의 메탈레이어를 형성할 필요가 없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어레이기판(110)과 대향기판(130)이 상호 접합되어 디스플레이패널(140)을 구성하며, R, G, B 서브픽셀(131)이 조합된 단위픽셀(133)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기판(110)에는 상기 서브픽셀(131)이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화소전극(111) 및 이 화소전극(111)에 데이터신호를 스위칭하여 공급하는 스위칭소자(113)가 배치되며; 상기 어레이기판(110) 또는 대향기판(1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픽셀(131) 또는 단위픽셀(133)을 구획하도록 실이 도포되어 격벽(101, 10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격벽(101, 103)은 상기 서브픽셀(131) 또는 단위픽셀(133)을 횡방향으로 구획하는 횡방향의 격벽(101)과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종방향의 격벽(103)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횡방향의 격벽(101)과 종방향의 격벽(103)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레이기판(110) 상에는 상기 격벽(101, 103)이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소자(113)에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선(115, 117)이 다중으로 배선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횡방향의 격벽(101)에는 상기 스위칭소자(113)에 게이트신호를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신호선(115)이 배선되고, 상기 종방향의 격벽(103)에는 상기 스위칭소자(113)에 소스신호를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신호선(117)이 배선되며, 상기 어레이기판(110)의 적어도 일측방 에지부에는 게이트IC(141)가 실장되고, 상기 게이트IC(141)로부터 상기 게이트신호선(115)으로의 배선은 종방향의 격벽(103)을 부분적으로 경유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횡방향의 격벽(101)에는 상기 스위칭소자(113)에 게이트신호를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신호선(115)이 배선되고, 상기 종방향의 격벽(103)에는 상기 스위칭소자(113)에 소스신호를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신호선(117)이 배선되며, 상기 어레이기판(110)의 상측 또는 하측 에지부에는 소스IC(143)가 실장되고, 상기 소스IC(143)로부터 상기 데이터신호선(117)으로의 배선은 횡방향의 격벽(101)을 부분적으로 경유하여 이루어진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횡방향의 격벽(101)에는 상기 스위칭소자(113)에 게이트신호를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신호선(115)이 배선되고, 상기 종방향의 격벽(103)에는 상기 스위칭소자(113)에 소스신호를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신호선(117)이 배선되며, 상기 어레이기판(110)의 일측 에지부에는 게이트IC(141)와 소스IC(143)가 함께 실장되고, 상기 게이트IC(141)로부터 상기 게이트신호선(115)으로의 배선은 종방향의 격벽(103)을 부분적으로 경유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소스IC(143)로부터 상기 데이터신호선(117)으로의 배선은 횡방향의 격벽(101)을 부분적으로 경유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신호선(115) 또는 상기 데이터신호선(117)은 각각 서로의 이형 메탈레이어를 경유하여 배선되고, 이형 메탈레이어로 변곡되는 지점에서 컨택트마스크(118)에 의해 접속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격벽(101, 103)을 따라 Vcom라인(145) 이 실장되고, 상기 Vcom라인(145)은 디스플레이패널(140)의 외곽라인을 따라 형성된 통전부(135)와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중의 Vcom라인(145)이 통전부(135)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Vcom전압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Vcom라인(145)은 게이트신호선(115)의 메탈레이어 또는 데이터신호선(117)의 메탈레이어를 이용하여 배선된다.
또한, 상기 Vcom라인(145)이 이형의 메탈레이어로 변곡되는 지점에서 컨택트마스크(118)에 의해 접속된다.
본 발명의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서브픽셀 또는 단위픽셀을 구획하도록 실을 도포하여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어레이기판과 대향기판이 상호 패널 중앙부에서 많은 접합지점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대화면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조하는 경우 패널의 접합력이 크게 향상되고 접합구조가 안정적임은 물론 상대적으로 패널 외곽의 실 도포영역을 최소한으로 줄여 베젤 폭을 슬림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Tiled 형태의 멀티스크린 구성시 디스플레이장치들간의 접경부가 차지하는 영역이 실제 픽셀간 격벽과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설계할 수 있어 접경부에서의 영상 단절현상을 없애고 화면 연속성을 양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서, 종래 원거리 목도용 옥외 디스플레이로서 주로 이용되었던 LED 전광판을 대체하여 양산성 등 많은 이점이 검증된 LCD, AMOLED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들을 이용할 수 있어, LED 전광판에 비해 제조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며, 복잡한 방열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어 제품의 간소화를 지향할 수 있으며, 미세 전압구동제어로 보다 자유로운 계조표현이 가능하며, 안정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단위픽셀의 크기를 크게 하여 비록 해상도가 저하되지만 이는 원거리 목도용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큰 문제점으로 작용하지 않으며, 오히려 불필요한 화소의 픽셀의 낭비를 방지하고 드라이브IC와 구동장치 등의 구성품을 간소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제조코스트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픽셀들을 구획하도록 격벽이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횡방향의 격벽과 종방향의 격벽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호 단절됨으로써, 액정이나 플라즈마 가스 등과 같은 봉지물이 단위픽셀들간에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에 의해 격벽이 형성된 영역에 게이트신호선 및 데이터신호선과 같은 신호선을 다중으로 수용함으로써, 신호선을 횡방향 격벽 및 종방향 격벽으로 자유롭게 변곡시켜 배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패널 에지부의 드라이브IC로부터의 팬아웃을 위한 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어 디스플레이장치의 베젤 폭을 더욱 슬림하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종의 드라이브IC를 패널 일측의 에지부에 함께 수용하고 드라이브IC로부터의 배선을 격벽의 공간에 자유롭게 배선하여 각각의 스위칭소자에 전달함으로써, 패널의 3면 에지부를 상대적으로 더욱 슬림하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신호선 및 데이터신호선이 각각 종횡방향으로 자유롭게 배선되도록 함에 있어, 각각의 신호선을 이형 메탈레이어를 이용하여 배선하도록 하고 이형 메탈레이어로 변곡되는 지점에서 컨택트마스크를 형성하여 접속함으로써, 신호선을 다중으로 배선하는 경우에도 추가의 메탈레이어를 구성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격벽이 형성되는 영역에 Vcom라인을 실장함으로써, 패널 외곽에서 Vcom라인이 실장되는 영역을 최소화하거나 없앨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패널 외곽의 베젤 폭을 더욱 슬림하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화면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플리커 및 잔상을 제거하기 위해 각기 다른 Vcom전압을 전달하는 다중의 Vcom라인을 설계하는 경우에도, 횡방향의 격벽 및 종방향의 격벽을 이용하여 다중의 Vcom라인을 분산하여 실장할 수 있음에 따라 Vcom라인의 증가에 따른 패널 외곽의 베젤 폭 증가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격벽을 이용하여 Vcom라인을 실장함에 있어 별도의 메탈레이어를 구성하지 않고 게이트신호선 및 데이터신호선의 메탈레이어를 이용하여 배선할 수 있으며, 이형의 메탈레이어로 변곡되는 경우에도 컨택트마스크를 이 용하여 접속점을 형성하여 배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원거리에서 목도되는 용도의 대화면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단일 디스플레이장치로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들을 조합하여 Tiled 형태의 멀티스크린을 구성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R, G, B 3개의 서브픽셀들이 하나의 단위픽셀(또는 Dot)을 형성하는 모든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는 어레이기판과 대향기판이 상호 접합되어 디스플레이패널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어레이기판에는 서브픽셀들에 대응하여 TFT와 같은 스위칭소자가 배치되며, 상기 대향기판은 어레이기판과의 사이에 액정 또는 유기물 등을 봉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LCD, OLED, AMOLED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LCD를 예를 들어 어레이기판과 대향기판이 접합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언급되지 않겠지만, LCD의 경우에는 어레이기판과 대향기판 사이에 액정이 봉입되고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BLU가 장착되며, AMOLED의 경우에는 내부에 유기물이 봉지되고 별도의 BLU가 필요하지 않는 등의 구 성은 당업계에서 지극히 자명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보인 부분발췌 분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어레이기판(110)과 대향기판(130)이 상호 접합되어 디스플레이패널(140)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는 LCD에 대한 것으로서, LCD의 경우 대향기판(130)에는 칼라필터가 인쇄되거나 코팅되어 R, G, B 3개의 서브픽셀(131)이 조합된 단위픽셀(133)을 형성한다. 이와는 달리, AMOLED는 대향기판이 단지 유기물을 봉지하고 어레이기판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만 이용된다. "픽셀"은 다른 말로 "화소"로 지칭될 수 있으며, "단위픽셀"은 "도트"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 서브픽셀(131)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는 BM(135)이 인쇄되어, 신호선 등을 은폐한다.
어레이기판(110)에는 서브픽셀(131)의 위치에 대응하는 곳에 화소전극(111)이 형성된다. 이 화소전극(111)은 스위칭소자(113)를 통해 공급되는 소스전압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에서 스위칭소자(113)는 게이트 구동방식의 모든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TFT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TFT(113)로 언급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TFT(113)의 드레인단자에 화소전극(111)이 연결된다. TFT(113)의 게이트단자에는 횡방향으로 배선되는 게이트신호선(115)이 연결되며, 소스단자에는 종방향으로 배선되는 데이터신호선(117)이 연결된다. 따라서, TFT(113)는 후술하는 게이트IC(141)에 의해 트리거되며, 소스IC(143)로부터 소스신호를 공급받는다. 도4 및 도 5에서 보여지듯이, 어레이기판(110)의 좌측 에지부와 상측 에지부에는 더미패드(119)가 인쇄될 수 있다. 이 더미패드(119)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제조공정 중 게이트신호선(115) 및 데이터신호선(117)에 테스트용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패드이다. 또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21은 전하축적용 커패시터(121)이다.
여기서, 각각의 단위픽셀(133) 둘레에는 각 단위픽셀(133)들을 구획하는 격벽(101, 103)이 형성된다. 격벽(101, 103)은 단위픽셀(133)들 둘레에 실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01, 103)은 단위픽셀(133)을 횡방향으로 구획하는 횡방향의 격벽(101)과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종방향의 격벽(103)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각각의 단위픽셀(133)을 구획하도록 격벽(101, 103)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격벽(101, 103)은 둘 이상의 단위픽셀(133)을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 이상의 서브픽셀(131)을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서브픽셀(131) 사이의 BM(135)은 하나의 신호선(115, 117)이 지나갈 수 있을 만큼 협소한 폭을 가지므로, 실제로는 실을 도포할 수 없는 영역이다. 비록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이 과장되게 표현되었지만, 서브픽셀(131)들 사이의 BM(135) 폭은 100㎛ 정도이며, 신호선(115, 117)의 폭은 이보다 약간 작은 수십㎛ 정도이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수준에서 가장 좁은 실라인의 폭은 대략 1mm 정도이므로, 종래와 같은 좁은 폭의 BM(135)에는 실라인을 도포할 수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원거리 목도용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비록 해상도는 저하되지만 비교적 큰 단위픽셀(133)을 갖는다. 예컨대, 각 단위픽 셀(133)은 대략 수mm의 폭을 갖는다. 따라서, 단위픽셀(133)들 사이에 역시 수mm의 공간을 확보하여 실을 도포하여 격벽(101, 103)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픽셀(133)은 4mm의 폭을 가지며 단위픽셀(133)들 사이에는 2mm의 격벽(101, 103)이 형성된다. 즉, 단위픽셀(133)들은 6mm의 피치로 배치된다. 이처럼 넓은 폭의 격벽(101, 103)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원거리에서 목도시 단위픽셀(133)에서 방출되는 광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격벽(101, 103)의 공간이 인식되지 않는 일종의 착시현상에 기인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격벽(101, 103)은 단위픽셀(133)을 완전히 밀폐되도록 구획한다. 이 경우 격벽(101, 103)에 의해 밀폐된 하나 이상의 단위픽셀(133)에는 개별적으로 액정 등이 주입되어야 한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어느 하나의 격벽(101, 103)에 개구를 형성하여 액정 등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실라인을 도포하여 단위픽셀(133)을 구획하는 격벽(101, 103)을 형성함으로써, 어레이기판(110)과 대향기판(130)간 접합력을 강하게 하고 패널 외곽에서의 실라인 폭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격벽(101, 103)을 형성하는 실라인은 반드시 패널 에지부까지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횡방향의 격벽(101)과 종방향의 격벽(103)들이 각각 단절되어 형성됨으로써,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봉입된 액정 등이 보다 자유롭게 소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스크린 구성예를 보인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80)들이 조합되어 Tiled 형태의 멀티스크린(182)을 구성한 것을 예 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각 디스플레이장치(180)들이 3× 3의 단위픽셀(133)을 갖는 것을 예시하였다. 물론, 실제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보다 더욱 높은 해상도로 설계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픽셀(133)들 사이에 형성된 격벽(101, 103)은 d1의 폭을 갖는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80)는 격벽(101, 103)에 실을 도포함으로써, 어레이기판(110)과 대향기판(130)이 대형화되어도 어레이기판(110)과 대향기판(130)간 안정된 접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80) 외곽부에서 실라인은 최소한의 폭(대략 1mm 정도의)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장치(180) 외곽의 베젤(184) 폭을 대략 1mm 정도로 설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만약 격벽(101, 103)의 폭(d1)이 2mm라면, 디스플레이장치(180)들 사이의 접경부 폭(d2) 역시 이와 유사한 2mm 근처로 좁힐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80)를 이용하여 멀티스크린(182)을 구성하는 경우, 단위픽셀(133)간 간격(d1)과 디스플레이장치(180)들의 접경부 폭(d2)을 근사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80)들의 접경부에서 유실되는 픽셀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80)들의 접경부에서의 영상 단절 현상을 없애고 화면 연속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패널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팬아웃을 예시한 부분발췌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발전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기판(110)과 대향기판(130)이 접합되어 디스플레이패널(140)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패널(140)의 우측 에지부에는 게이트신호선(115)에 게이트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IC(141)들이 실장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패널(140)의 하측 에지부에는 데이터신호선(117)에 소스신호를 인가하는 소스IC(143)들이 실장된다. 게이트IC(141) 및 소스IC(143)는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COF(Chip On the Film) 형태로 본딩되어 실장되거나, 글래스기판 상에 COG(Chip On the Glass) 형태로 실장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게이트IC(141)는 TFT(113)에 게이트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브IC로서 ASG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적어도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게이트IC(141)는 ASG와 등가물로 이해된다. 그리고 도면 중 부호 170은 드라이브IC들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T_con블록(170)이다.
디스플레이패널(140)의 외곽라인을 따라서는 영상불표시영역(150)이 형성된다. 이 영상불표시영역(150)은 실라인이 도포되는 영역으로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IC(41) 및 소스IC(43)와 같은 드라이브IC에서 신호선(115, 117)들을 배선하기 위하여 영상불표시영역(150)에서의 팬아웃이 요구된다. 이러한 팬아웃을 위하여 영상불표시영역(150)에는 절대적인 폭(d4)의 공간이 필요하다.
도 8의 실시예는 팬아웃을 위한 절대적인 공간을 최소한으로 축소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통상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TFT(113) 둘레에는 최소한 하나의 게 이트신호선(115)과 데이터신호선(117)이 배선되어야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단위픽셀(133) 둘레로 비교적 넓은 공간의 격벽(101, 103)이 형성되므로 여기에 다중의 신호선(115, 117)을 배선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게이트IC(141) 및 소스IC(143)에서의 팬아웃은 영상불표시영역(150)이 아닌 격벽(101, 103)을 통해서 배선된다. 이에 따라 영상불표시영역(150)은 더욱 슬림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의 베젤 폭 역시 매우 슬림해질 수 있다.
도 8에서 기본적인 횡방향의 게이트신호선(115) 및 종방향의 데이터신호선(117)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 서브픽셀(131)의 둘레에 최소한 1라인의 신호선(115, 117)이 종횡으로 배선되어 있으므로, 격벽(101, 103)을 통해 드라이브IC의 팬아웃이 이루어지는 지점에서 신호선(115, 117)들은 다중으로 배선될 것이다. 하지만, 격벽(101, 103)의 폭이 신호선(115, 117)의 폭에 비해 충분히 넓으므로 다중의 신호선(115, 117)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배선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소스IC(143)로부터 데이터신호선(117)으로의 배선은 횡방향의 격벽(101)을 부분적으로 경유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게이트IC(141)로부터 게이트신호선(115)으로의 배선 역시 종방향의 격벽(103)을 부분적으로 경유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드라이브IC(141, 143)로부터의 배선은 횡방향의 격벽(101)과 종방향의 격벽(103)을 자유로이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드라이브IC(141, 143)로부터의 팬아웃은 게이트신호선(115)의 메탈레 이어 및 데이터신호선(117)의 메탈레이어와 다른 새로운 메탈레이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브IC(141, 143)로부터의 배선은 기존의 메탈레이어들을 이용하여 배선된다.
통상 게이트신호선(115)의 메탈레이어와 데이터신호선(117)의 메탈레이어는 절연체에 의해 절연되는 이형의 메탈레이어다. 이때, 드라이브IC(141, 143)에서의 배선이 이형의 메탈레이어를 경유하는 경우, 이형 메탈레이어로 변곡되는 지점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마스크(118)로 변곡지점을 접속한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소스IC(143)의 두 번째 배선을 살펴보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IC(143)의 배선은 우선 종방향의 격벽(103) 1피치를 지나게 된다. 이때, 소스IC(143)의 배선은 우측 세로라인의 서브픽셀(131)에 대응하여 이미 배선된 데이터신호선(117)과의 이격되어 배선된다. 이 소스IC(143)의 배선은 종방향의 격벽(103)이 끝나는 지점에서 좌측의 횡방향의 격벽(101)으로 변곡되어 배선된다. 그리고, 횡방향의 격벽(101)에서 다시 종방향으로 복수개의 선이 분기되도록 배선되어 종방향의 데이터신호선(117)들에 접속된다. 이때, 소스IC(143)의 배선이 종방향의 격벽(103)에서 횡방향의 격벽(101)으로 변곡되는 지점에서 배선은 이형의 메탈레이어로 전환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변곡지점에 컨택트마스크(118)를 형성하여 이형 메탈레이어를 상호 접속시킴으로써, 격벽(101, 103)에서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면으로 예시하지 않았지만, 게이트IC(141)에서의 팬아웃 역시 이와 마찬가지로 격벽(101, 103)이 형성된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일실시예일 뿐이며, 각 드라이브IC(141, 143)에서의 배선은 보다 자유롭게 종횡으로 변곡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 구성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다 발전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격벽(101, 103)에 다중의 신호선(115, 117)들이 배선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IC(141, 143)의 팬아웃이 격벽(101, 103)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라이브IC(141, 143)의 팬아웃을 위해 영상불표시영역(150)에서 넓은 폭의 공간(드라이브IC의 폭에 비해 상당히 넓은 폭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드라이브IC(141, 143)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원거리의 TFT(113)에 자유로이 신호선(115, 117)을 배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IC(141)와 소스IC(143)를 패널의 일측방 에지부에 몰아서 실장할 수 있다. 비록 도 9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게이트IC(141) 및 소스IC(143)에서 도 8에 도시된 배선예와 같이 패널 전체 영역의 TFT(113)에 신호선(115, 117)을 배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종의 드라이브IC(141, 143)를 패널 일측방 에지부에 함께 실장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의 나머지 3면 에지부는 보다 슬림한 베젤 폭을 갖게 된다.
이처럼 디스플레이장치의 3면 에지부를 슬림하게 설계하면, Tiled 형태의 멀티스크린 구성시 접경부 폭을 보다 축소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80)를 3× 2로 배치하는 경우, 중앙에 배치된 2개의 디스플레이장치(180)는 3면이 타 디스플레이장치(180)와 접하게 된다. 이러한 중앙의 디스플레이장치(180)들을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작한다면, 디스플레이장치(180)들간의 접경부는 더욱 좁아질 수 있으며, 화면 연속성은 더욱 좋아질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Vcom라인의 배선 예를 보인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격벽(101, 103)에는 Vcom라인(145)이 실장될 수 있다. Vcom라인(145)은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어레이기판(110)과 대향기판(130)측에 기준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레이기판(110)에 형성된 전하축적용 커패시터(121)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사용된다. 또한, 대향기판(130)측에 Vcom신호를 인가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Vcom라인(145)은 횡방향의 격벽(101) 및 종방향의 격벽(103) 사이를 자유롭게 변곡하여 배선된다. 이때, Vcom라인(145)은 격벽(101, 103)을 통해 배선된 신호선(115, 117)들과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신호선(115, 117)들로부터 이격하여 배선된다. 격벽(101, 103)을 통해 배선된 Vcom라인(14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널 외곽부의 통전부(147)와 접속된다. 그리고, 이 통전부(147)에서 어레이기판(110) 또는 대향기판(130)측에 기준전위를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대화면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그러하듯이 플리커 및 잔상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각 통전부(147)들은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기준전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통전부(147)에 접속되는 Vcom라인(145)들은 통 전부(147)의 위치에 따라 차등지는 기준전압을 통전부(147)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격벽(101, 103)을 통해 복수의 Vcom라인(145)들을 배선할 수 있으므로, 각기 차등지는 기준전위를 제공하기 위해 다중의 Vcom라인(145)을 실장하는 경우에도 패널 외곽의 영상불표시영역(150)이 증가하지 않는다.
격벽(101, 103)을 통해 배선되는 Vcom라인(145) 역시 기존의 메탈레이어와 다른 새로운 메탈레이어를 이용하여 배선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새로운 메탈레이어를 이용하는 경우 절연층 등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패널의 두께 증가 및 제조공정의 지연 등이 예상된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Vcom라인(145)의 배선에도 기존의 메탈레이어를 이용한다.
Vcom라인(145)이 기존의 신호선(115, 117)을 위한 메탈레이어를 이용하여 배선되는 것은 앞서 언급한대로 드라이브IC(141, 143)의 팬아웃이 이형의 메탈레이어를 이용하여 배선되는 실시예들과 유사하다. Vcom라인(145)은 격벽(101, 103)을 경유하면서 신호선(115, 117)들의 메탈레이어에 배선되는 경우, 기 배선된 신호선(115, 117)과 이격된다면 신호선(115, 117)과의 쇼트는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Vcom라인(145)이 횡방향의 격벽(101)에서 종방향의 격벽(103)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곡되는 지점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컨택트마스크(118)를 이용하여 이형 메탈레이어를 접속함으로써, 이형 메탈레이어를 통해 자유로운 배선의 변곡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일반적 구성을 보인 부분발췌 분해도
도 2는 종래 어레이기판과 대향기판이 접합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 멀티스크린 구성예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보인 부분발췌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발췌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스크린 구성예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패널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따른 팬아웃을 예시한 부분발췌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 구성예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Vcom라인의 배선 예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격벽 103 : 격벽
110 : 어레이기판 111 : 화소전극
113 : 스위칭소자, TFT 115 : 게이트신호선
117 : 데이터신호선 118 : 컨택트마스크
119 : 더미패드 121 : 커패시터
130 : 대향기판 131 : 서브픽셀
133 : 단위픽셀 135 : BM
140 : 디스플레이패널 141 : 게이트IC
143 : 소스IC 145 : Vcom라인
147 : 통전부 150 : 영상불표시영역
170 : T_con블록 180 : 디스플레이장치
182 : 멀티스크린 184 : 베젤

Claims (13)

  1. 어레이기판(110)과 대향기판(130)이 상호 접합되어 디스플레이패널(140)을 구성하며, R, G, B 서브픽셀(131)이 조합된 단위픽셀(133)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기판(110)에는 상기 서브픽셀(131)이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화소전극(111) 및 이 화소전극(111)에 데이터신호를 스위칭하여 공급하는 스위칭소자(113)가 배치되며;
    상기 어레이기판(110) 또는 대향기판(1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픽셀(131) 또는 단위픽셀(133)을 구획하는 격벽(101, 103)이 형성되고, 이 격벽(101, 103)에는 실(seal)이 도포되며, 상기 격벽(101, 103)을 따라 Vcom라인(145)이 실장되고, 상기 Vcom라인(145)은 디스플레이패널(140)의 외곽라인을 따라 형성된 통전부(135)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다중의 Vcom라인(145)이 통전부(135)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Vcom전압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 1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Vcom라인(145)은 게이트신호선(115)의 메탈레이어 또는 데이터신호선(117)의 메탈레이어를 이용하여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Vcom라인(145)이 이형의 메탈레이어로 변곡되는 지점에서 컨택트마스크(118)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80077420A 2008-08-07 2008-08-07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0984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420A KR100984308B1 (ko) 2008-08-07 2008-08-07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420A KR100984308B1 (ko) 2008-08-07 2008-08-07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762A KR20100018762A (ko) 2010-02-18
KR100984308B1 true KR100984308B1 (ko) 2010-09-30

Family

ID=4208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420A KR100984308B1 (ko) 2008-08-07 2008-08-07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3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699A (ko) * 2002-10-28 2004-05-0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62826A (ko) * 2006-12-29 2008-07-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00018764A (ko) * 2008-08-07 2010-02-18 (주)코텍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00018772A (ko) * 2008-08-07 2010-02-18 (주)코텍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699A (ko) * 2002-10-28 2004-05-0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62826A (ko) * 2006-12-29 2008-07-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00018764A (ko) * 2008-08-07 2010-02-18 (주)코텍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00018772A (ko) * 2008-08-07 2010-02-18 (주)코텍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762A (ko)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6937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984311B1 (ko)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1736930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N109216398B (zh) Led显示面板和使用该led显示面板的显示器
US11742358B2 (en) Display panel an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937329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display device
US20200058730A1 (en) Tiling display device
US7830341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2535148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27927A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JP6701781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338012A (ja)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65739A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TWI795688B (zh) 透明顯示面板
KR20150078344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80121292A (ko)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206543A (ja) 多分割駆動ディスプレイ及び表示装置
JP6620601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210085642A (ko) 표시장치
KR102127974B1 (ko) 표시장치
JP5209109B2 (ja) 表示装置
KR100978635B1 (ko)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523881B1 (ko) 평판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84308B1 (ko)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0947272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