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666A - 스위칭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칭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666A
KR20140081666A KR1020130139568A KR20130139568A KR20140081666A KR 20140081666 A KR20140081666 A KR 20140081666A KR 1020130139568 A KR1020130139568 A KR 1020130139568A KR 20130139568 A KR20130139568 A KR 20130139568A KR 20140081666 A KR20140081666 A KR 20140081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circuit
sta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3003B1 (ko
Inventor
도시히로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1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6Arrangements for supplying an adequate voltage to the control circuit of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과제)
기동불량을 발생시키지 않고,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콘덴서를 소용량화 할 수 있는 스위칭 전원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스위칭 소자(Q1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회로(3a)와, 트랜스(T)의 3차권선(P2)에 발생하는 전압을 정류평활하여 제어회로(3a)에 전원전압(Vcc)으로서 공급하는 제2정류 평활회로(다이오드(D10), 콘덴서(C10))를 구비하는 스위칭 전원장치로서, 전원전압(Vcc)이 제어회로(3a)의 기동전압(Von)(정지전압(Voff))보다 낮은 제1임계전압(V1) 이하인 경우와 기동전압(Von)을 초과할 경우에는, 제1정전류(Ia)를 기동전류(Ist)로서 제어회로(3a)에 공급함과 아울러, 전원전압(Vcc)이 제1임계전압(V1)을 초과하여 기동전압(Von) 이하인 경우에는, 제1정전류(Ia)보다 큰 제2정전류(Ib)를 기동전류(Ist)로서 제어회로(3a)에 공급하는 기동회로(1a)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스위칭 전원장치{START-UP CIRCUIT FOR A SWITCHING POWER SUPPLY}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전력변환을 하는 스위칭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에 기동전류를 공급하는 기동회로(起動回路)를 정전류회로(定電流回路)로 구성한 스위칭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칭 전원장치에 있어서 직류전원의 투입시에,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에 대하여 기동전류를 공급하는 기동회로를 정전류회로로 구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종래의 스위칭 전원장치는,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콘덴서(C1)와, 기동회로(1)와, 1차권선(P1), 2차권선(S1) 및 3차권선(P2)을 구비하는 트랜스(T)와, 예를 들면 MOSFET로 이루어지는 스위칭 소자(Q10)와, 스위칭 소자(Q1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저항(R10)과, 스위칭 소자(Q1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회로(3)와, 다이오드(D11) 및 콘덴서(C11)로 이루어지는 제1정류 평활회로와, 다이오드(D10) 및 콘덴서(C10)로 이루어지는 제2정류 평활회로와, 검출회로(7)를 구비하고 있다.
콘덴서(C1)는, 교류전원을 정류평활하여 스위칭 전원에 입력하는 경우의 평활 콘덴서 등으로, 스위칭 전원의 입력부에 붙이는 콘덴서를 등가적(等價的)으로 나타낸다. 콘덴서(C1)에 의하여 스위칭 전원에 입력된 직류전원(E)이 차단되어도 즉시 전압이 제로가 되지 않는다. 기동회로(1)는, 콘덴서(C1)의 정측단자(正側端子)와 트랜스(T)의 1차권선(P1)의 일단(一端)과의 접속점과, 제어회로(3)의 전원입력단자(VCC) 사이에 접속되고, 직류전원(E)이 항상 또는 단속적으로 인가된다. 제어회로(3)는, 기동전압(Von)(예를 들면 18V)으로 기동하고, 정지전압(Voff)(예를 들면 9V)으로 정지한다. 제어회로(3)는, 검출회로(7)에 의하여 검출된 출력전압(Vout)에 의거하여 스위칭 소자(Q10)를 온/오프 시킴으로써 출력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제어한다.
기동회로(1)는, 저항(R1)과 정전류회로(CC1)와 스위치(SW1)와 다이오드(D1)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와, 비교기(CP)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저항(R1)과 정전류회로(CC1)와 스위치(SW1)와 다이오드(D1)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가, 콘덴서(C1)의 정측단자와 트랜스(T)의 1차권선(P1)의 일단과의 접속점과, 제어회로(3)의 전원입력단자(VCC)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비교기(CP)는, 비반전 입력단자가 다이오드(D1)의 캐소드와 제어회로(3)의 전원입력단자(VCC)와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반전 입력단자가 기준전원(Vr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비교기(CP)의 출력단자는 스위치(SW1)의 접점에 접속되어 있다. 비교기(CP)는 히스테리시스 특성(hysteresis 特性)을 구비하여, 반전 입력단자가 제어회로(3)의 기동전압(Von)(예를 들면 18V)이 되면 H레벨을 출력하고, 출력이 H레벨의 상태로부터 반전 입력단자가 제어회로(3)의 정지전압(Voff)(예를 들면 9V)이 되면 L레벨을 출력한다.
이렇게 구성된 스위칭 전원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시간(t1)에서 직류전원(E)이 입력되면, 기동회로(1)에서는 저항(R1)을 통하여 정전류회로(CC1)에 입력전압(Vst)이 인가된다. 이때에 비교기(CP)의 출력은 L레벨이기 때문에 스위치(SW1)는 온하고 있다. 따라서 정전류회로(CC1)에 의하여 소정의 정전류(Ic)(예를 들면 2.5mA)가 기동전류(Ist)로서 흘러,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콘덴서(C10)가 충전되어, 콘덴서(C10)의 전압이 상승한다. 콘덴서(C10)의 전압은 제어회로(3)의 전원입력단자(VCC)에 공급되어, 제어회로(3)의 전원전압(Vcc)이 된다.
최초에 전원전압(Vcc)은 제어회로(3)의 기동전압(Von) 이하이므로, 비교기(CP)의 출력은 L레벨로서 스위치(SW1)는 온을 계속한다. 시간(t2)에서의 전원전압(Vcc)이 기동전압(Von)에 도달하면 제어회로(3)가 기동한다. 제어회로(3)가 기동되면, 제어회로(3)로부터 구동신호(Drv)가 송출되어 스위칭 소자(Q10)가 온/오프를 시작한다. 이 때문에 트랜스(T)의 1차권선(P1)에 단속적으로 직류전원(E)이 인가되어, 2차권선(S1)에 전압을 유기(誘起)한다. 2차권선(S1)에 발생한 전압은 다이오드(D11), 콘덴서(C11)에 의하여 정류평활되어, 부하(5)에 출력전압(Vout)이 공급된다. 부하(5)에 공급되는 출력전압(Vout)은 검출회로(7)에 의하여 기준전압과 비교되어, 그 오차신호가 제어회로(3)에 입력된다. 제어회로(3)는 오차신호에 의거한 듀티(duty)의 구동신호(Drv)를 생성하여, 스위칭 소자(Q10)를 온/오프 시킨다.
또한 시간(t2)에서 전원전압(Vcc)이 기동전압(Von)으로 됨과 동시에, 비교기(CP)의 출력이 L레벨로부터 H레벨이 되어 스위치(SW1)가 오프한다. 이에 따라 기동회로(1)에 의한 콘덴서(C10)의 충전은 정지되고, 이후에 트랜스(T)의 3차권선(P2)에 발생한 전압을 다이오드(D10), 콘덴서(C10)에 의하여 정류평활한 직류전압이 제어회로(3)에 공급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3-333840호 공보
그러나 최근에는 제어회로(3)의 기동을 빠르게함과 아울러, 비용절감을 위하여 전원전압(Vcc)을 공급하는 콘덴서(C10)의 소용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콘덴서(C10)를 소용량화하였을 경우에, 종래기술에서는 기동불량이 되어 버리는 우려가 있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전원전압(Vcc)이 기동전압(Von)으로 됨과 동시에, 콘덴서(C10)에 대한 기동회로(1)에 의한 충전이 정지되어, 트랜스(T)의 3차권선(P2)에 전압이 발생할 때까지는 콘덴서(C10)에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콘덴서(C10)를 소용량화하였을 경우에는, 제어회로(3)의 기동에 따라 전원전압(Vcc)이 급격하게 저하하여 제어회로(3)의 정지전압(Voff)을 하회(下回)하여, 기동불량을 발생시켜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에는 제어회로(3)의 기동과 정지가 반복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기술의 상기 문제를 해결하여, 기동불량을 발생시키지 않고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콘덴서를 소용량화할 수 있는 스위칭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칭 전원장치는, 트랜스의 1차권선을 통하여 직류전원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와,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에 발생하는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제1정류 평활회로와, 상기 트랜스의 3차권선에 발생하는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제어회로에 전원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제2정류 평활회로를 구비하는 스위칭 전원장치로서,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제어회로의 기동전압보다 낮은 제1임계전압 이하인 경우와 상기 기동전압을 초과할 경우에는, 제1정전류를 기동전류로서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제1임계전압을 초과하여 상기 기동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정전류보다 큰 제2정전류를 상기 기동전류로서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하는 기동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칭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임계전압은, 상기 제어회로의 정지전압보다 낮게 설정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칭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동회로는,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제어회로의 기동전압보다 높은 제2임계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전원전압의 상승에 따라 상기 제1정전류를 저하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기동회로는, 트랜스의 1차권선을 통하여 직류전원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와,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에 발생하는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제1정류 평활회로와, 상기 트랜스의 3차권선에 발생하는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제어회로에 전원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제2정류 평활회로를 구비하는 스위칭 전원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직류전원의 투입시에 기동전류를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하는 기동회로로서,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제어회로의 기동전압보다도 낮은 제1임계전압 이하인 경우와 상기 기동전압을 초과할 경우에는, 제1정전류를 기동전류로서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임계전압을 초과하여 상기 기동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정전류보다 큰 제2정전류를 기동전류로서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회로의 기동후에 트랜스의 3차권선에 발생하는 전압이 동작전압까지 상승할 때까지의 전원전압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전압의 안정을 얻을 수 있어, 전원전압의 충전용인 콘덴서를 소용량화해도 기동불량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칭 전원장치의 제1실시형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회로구성도이다.
도2는 도1의 각 부분의 신호파형 및 동작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3은 도1에 나타내는 제어회로의 전원입력단자(VCC)와 접지단자(GND) 사이가 단락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각 부분의 신호파형 및 동작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칭 전원장치의 제2실시형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회로구성도이다.
도5는 도4의 각 부분의 신호파형 및 동작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6은 종래의 스위칭 전원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회로구성도이다.
도7은 도6의 각 부분의 신호파형 및 동작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8은 도6에 나타내는 제어회로의 전원입력단자(VCC)와 접지단자(GND) 사이가 단락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각 부분의 신호파형 및 동작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다만 도면은 도식적인 것으로서 현실의 것과는 다르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상호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가 있다.
(제1실시형태)
제1실시형태의 스위칭 전원장치는 도1을 참조하면, 콘덴서(C1)와, 기동회로(1a)와, 1차권선(P1), 2차권선(S1) 및 3차권선(P2)을 구비하는 트랜스(T)와, 예를 들면 MOSFET로 이루어지는 스위칭 소자(Q10)와, 스위칭 소자(Q1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저항(R10)과, 스위칭 소자(Q1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회로(3a)와, 다이오드(D11) 및 콘덴서(C11)로 이루어지는 제1정류 평활회로와, 다이오드(D10) 및 콘덴서(C10)로 이루어지는 제2정류 평활회로와, 검출회로(7)를 구비하고 있다.
제1실시형태의 스위칭 전원장치는 도6에 나타내는 종래의 스위칭 전원장치에 대하여, 기동회로(1a)와 제어회로(3a)의 구성만이 다르게 되어 있어, 이하에 기동회로(1a) 및 제어회로(3a)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기동회로(1a)는, 저항(R1∼R9)과, 제너 다이오드(ZD1∼ZD3)와, MOSFET(Q1, Q3, Q4)와, 다이오드(D1)와, 트랜지스터(Q2, Q5)를 구비하고 있다. 저항(R1), 제너 다이오드(ZD1), MOSFET(Q1), 저항(R3), 저항(R4), 다이오드(D1)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가, 콘덴서(C1)의 정측단자와 트랜스(T)의 1차권선(P1)의 일단과의 접속점과, 제어회로(3a)의 전원입력단자(VCC)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R1)과 제너 다이오드(ZD1)의 캐소드가 접속되고, 제너 다이오드(ZD1)의 애노드가 MOSFET(Q1)의 드레인에 접속되어 있다. MOSFET(Q1)의 드레인·게이트 사이에는 저항(R2)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MOSFET(Q1)의 게이트와 다이오드(D1)의 애노드 사이에는 제너 다이오드(ZD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MOSFET(Q1)의 소스와 다이오드(D1)의 애노드 사이에는, 저항(R3)과 저항(R4)으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저항(R4)에 흐르는 전류가 정전류가 되도록, 트랜지스터(Q2)와 제너 다이오드(ZD3)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가, MOSFET(Q1)의 게이트와 다이오드(D1)의 애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저항(R3)과 저항(R4)과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는 제너 다이오드(ZD3)의 캐소드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R4)의 양단에는, 저항(R5)과 MOSFET(Q3)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MOSFET(Q3)의 게이트는,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와 제너 다이오드(ZD3)의 캐소드와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MOSFET(Q3)의 게이트· 소스 사이에는 MOSFET(Q4)가 접속되어 있다. MOSFET(Q4)의 게이트는, 저항(R6)을 통하여 MOSFET(Q1)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회로(3a)의 전원입력단자(VCC)와 접지단자(GND) 사이에는 저항(R7)과 저항(R8)으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저항(R8)의 단자 사이에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미터가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는, 저항(R9)을 통하여 MOSFET(Q4)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와 저항(R8)의 접속점에는, 제어회로(3a)의 정지신호 출력단자(OFF)가 접속되어 있다.
MOSFET(Q1, Q4), 저항(R2, R3, R4, R6), 트랜지스터(Q2)는, 제1정전류회로를 구성한다. 저항(R6)을 통하여 MOSFET(Q4)의 게이트에 MOSFET(Q1)의 소스 전압이 가해지면, MOSFET(Q4)가 온 상태가 된다. MOSFET(Q4)가 온 상태가 되면, MOSFET(Q3)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와 다이오드(D1)의 애노드가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저항(R4)의 전압강하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미터에서 검출하고, MOSFET(Q1)의 게이트 전압이, 저항(R4)의 전압강하가 일정하게 되도록 동작한다. 즉 저항(R4)에 흐르는 전류는 정전류가 되어, 상기의 구성은 제1정전류회로가 된다. 이때의 전류값을 제1정전류(Ia)로 규정한다.
제1정전류가 흐름으로써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콘덴서(C10)가 충전되고, 전원전압(Vcc)(제어회로(3a)의 전원입력단자(VCC)와 접지단자 사이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1임계전압(V1)을 초과하면, 저항(R7)과 저항(R8)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5)가 온된다. 또 제1임계전압(V1)은, 제어회로(3a)의 기동전압(Von)(예를 들면 18V)보다 낮고, 제어회로(3a)의 정지전압(Voff)(예를 들면 9V)보다 더 낮은 전압으로 설정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5)의 온에 따라, 저항(R9)을 통하여 MOSFET(Q4)의 게이트 전압이 저하하여 MOSFET(Q4)가 오프된다. MOSFET(Q4)의 오프에 따라 MOSFET(Q3)가 온 상태가 되어, 저항(R4)은 저항(R5)과 병렬저항 접속이 된다. 또한 제너 다이오드(ZD3)의 전압이 상승하고, 트랜지스터(Q2)는, 저항(R4)과 저항(R5)과의 병렬저항의 전압강하를 제너 다이오드(ZD3)의 제너전압을 통하여 검출한다. 이에 따라 저항(R4)과 저항(R5)과의 병렬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정전류가 되며, 또한 제1정전류(Ia)보다 큰 전류값이 된다. 이때의 정전류값을 제2정전류(Ib)로 규정한다. 따라서 MOSFET(Q1, Q3), 저항(R2, R3, R4, R5), 트랜지스터(Q2), 제너 다이오드(ZD3)는, 제2정전류(Ib)를 공급하는 제2정전류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또 제너 다이오드(ZD2)는, 상기의 제1정전류회로 및 제2정전류회로가 기능하지 않았을 경우에, MOSFET(Q1)로부터 과대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저항(R3) 및 저항(R4)에 인가되는 전압을 클램프(clamp)하여 전류제한을 하는 보호소자(保護素子)가 된다.
도2는, 도1의 각 부분의 신호파형 및 동작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입력전압(Vst), (b)는 제어전압(Vcc), (c)는 출력전압(Vout), (d)는 트랜지스터(Q5)의 on/off 상태, (e)는 기동전류(Ist), (f)는 구동신호(Drv)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시간(t11)에서 직류전원(E)이 투입되면 직류전원(E)으로부터 저항(R1)에 대한 입력전압(Vst)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MOSFET(Q4)의 게이트에 저항(R6)을 통하여 MOSFET(Q1)의 소스 전압이 더해져, MOSFET(Q4)가 온 상태로 되기 때문에, 기동전류(Ist)로서 제1정전류(Ia)가 흐르기 시작한다.
콘덴서(C10)가 제1정전류(Ia)에 의하여 충전되어, 시간(t12)에서 전원전압(Vcc)이 제1임계전압(V1)을 초과하면 트랜지스터(Q5)가 온이 된다. 트랜지스터(Q5)가 온이 되면, 기동전류(Ist)가 제1정전류(Ia)보다 큰 제2정전류(Ib)로 바뀌어, 제2정전류(Ib)에 의하여 콘덴서(C10)가 충전된다.
콘덴서(C10)가 제2정전류(Ib)에 의하여 충전되어, 시간(t13)에서 전원전압(Vcc)이 기동전압(Von)을 초과하면 제어회로(3a)는 기동한다. 제어회로(3a)는 기동하면 스위칭 소자(Q10)를 구동하는 구동신호(Drv)를 출력함과 아울러, 정지신호 출력단자(OFF)로부터 정지신호를 출력해서 트랜지스터(Q5)를 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기동전류(Ist)가 다시 제1정전류(Ia)로 바뀐다. 즉 제어회로(3a)가 기동된 후에도, 기동회로(1a)로부터 제어회로(3a)에 제1정전류(Ia)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1정전류(Ia)는, 제어회로(3a)의 기동후로부터 트랜스(T)의 3차권선(P2)에 전압이 발생할 때까지의 사이에 소비되는 전력으로 충당되어, 제어회로(3a)의 기동에 따른 전원전압(Vcc)의 저하를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콘덴서(C10)를 소용량화하였을 경우에도 기동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3은, 제어회로(3a)의 전원입력단자(VCC)와 접지단자(GND) 사이가 단락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도1의 각 부분의 신호파형 및 동작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입력전압(Vst), (b)는 제어전압(Vcc), (c)는 출력전압(Vout), (d)는 트랜지스터(Q5)의 on/off 상태, (e)는 기동전류(Ist), (f)는 구동신호(Drv)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제어회로(3a)의 전원입력단자(VCC)와 접지단자(GND) 사이가 단락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간(t21)에 직류전원(E)이 투입되면, 직류전원(E)으로부터 저항(R1)에 대한 입력전압(Vst)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MOSFET(Q4)의 게이트에 저항(R6)을 통하여 MOSFET(Q1)의 소스 전압이 더해져, MOSFET(Q4)가 온 상태로 되기 때문에, 기동전류(Ist)로서 제1정전류(Ia)가 흐르기 시작한다. 그러나 제어회로(3a)의 전원입력단자(VCC)와 접지단자(GND) 사이가 단락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전압(Vcc)은 제1임계전압(V1)에 도달하는 일이 없고, MOSFET(Q4)가 온 상태로 유지되어, 제2정전류(Ib)보다 작은 제1정전류(Ia)가 그대로 계속해서 흐른다. 따라서 기동회로(1a)의 손실은 직류전원(E)×제1정전류(Ia)로 억제할 수 있어, 기동회로(1a)의 열적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도8은, 종래의 스위칭 전원장치에 있어서 제어회로(3)의 전원입력단자(VCC)와 접지단자(GND) 사이가 단락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도1의 각 부분의 신호파형 및 동작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입력전압(Vst), (b)는 제어전압(Vcc), (c)는 출력전압(Vout), (d)는 스위치(SW1)의 on/off 상태, (e)는 기동전류(Ist), (f)는 구동신호(Drv)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6에 나타내는 종래의 스위칭 전원장치에 있어서, 제어회로(3)의 전원입력단자(VCC)와 접지단자(GND) 사이가 단락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간(t31)에 직류전원(E)이 투입되면, 기동회로(1)에서는 저항(R1)을 통하여 정전류회로(CC1)에 입력전압(Vst)이 인가되어, 정전류회로(CC1)에 의하여 소정의 정전류(Ic)(예를 들면 2.5mA)가 기동전류(Ist)로서 흐른다. 여기에서 제어회로(3)의 전원입력단자(VCC)와 접지단자(GND) 사이가 단락되어 있기 때문에, 콘덴서(C10)가 충전되지 않고 전원전압(Vcc)은 상승하지 않아 0V 그대로이다. 따라서 정전류회로(CC1)로부터 정전류(Ic)가 계속해서 흘러, 기동회로(1)의 손실은 직류전원(E)의 전압(Vst)×정전류(Ic)가 되어 발열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기동회로(1), 스위칭 소자(Q10)의 손실이 증대하여, 소자를 파괴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트랜스(T)의 1차권선(P1)을 통하여 직류전원(E)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Q10)와, 스위칭 소자(Q1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회로(3a)와, 트랜스(T)의 2차권선(S1)에 발생하는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제1정류 평활회로(다이오드(D11), 콘덴서(C11))와, 트랜스(T)의 3차권선(P2)에 발생하는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제어회로(3a)에 전원전압(Vcc)으로서 공급하는 제2정류 평활회로(다이오드(D10), 콘덴서(C10))를 구비하는 스위칭 전원장치로서, 전원전압(Vcc)이 제어회로(3a)의 기동전압(Von)(정지전압(Voff))보다 낮은 제1임계전압(V1) 이하인 경우와 기동전압(Von)을 초과할 경우에는, 제1정전류(Ia)를 기동전류(Ist)로서 제어회로(3a)에 공급함과 아울러, 전원전압(Vcc)이 제1임계전압(V1)을 초과하여 기동전압(Von) 이하인 경우에는, 제1정전류(Ia)보다 큰 제2정전류(Ib)를 기동전류(Ist)로서 제어회로(3a)에 공급하는 기동회로(1a)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전원전압(Vcc)이 제어회로(3a)의 기동전압(Von)을 초과하여도 제1정전류(Ia)가 제어회로(3a)에 공급되기 때문에, 제어회로(3a)의 기동후에 트랜스(T)의 3차권선(P2)에 발생하는 전압이 동작전압까지 상승할 때까지의 전원전압(Vcc)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전압의 안정을 얻을 수 있어, 전원전압(Vcc)의 충전용인 콘덴서(C10)를 소용량화해도 기동불량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직류전원(E)의 투입시에 전원전압(Vcc)이 제1임계전압(V1) 이하인 때에는, 기동회로(1a)는 제1정전류(Ia)가 흐르므로 기동회로(1a)에서의 손실이 적다. 그리고 전원전압(Vcc)이 제1임계전압(V1)을 초과하면, 제1정전류(Ia)보다 큰 제2정전류(Ib)가 제어회로(3a)에 공급되기 때문에 제어회로(3a)의 기동이 빨라진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전원전압(Vcc)이 제1임계전압(V1)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1정전류(Ia) 또는 제2정전류(Ib)의 기동전류를 선택하므로, 제어회로(3a)의 전원입력단자(VCC)와 접지단자(GND) 사이가 단락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기동회로(1a)는 열적파괴에 이르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를 구비한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외부제어신호에 의한 온/오프 제어나, 출력전압의 과전압 등의 이상시(異常時) 등에 의하여 스위칭 전원이 동작을 정지시켜도, 기동회로(1a)가 제1정전류(Ia)를 제어회로(3a)에 공급하므로 전원전압(Vcc)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안정하게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기동후의 정상동작이 되었을 때에 기동회로(1a)가 제1정전류(Ia)를 제어회로(3a)에 공급하므로, 부하(5)가 무부하 또는 경부하시에 있어서 스위칭 동작이 간헐발진동작(間歇發振動作)이 되어, 트랜스(T)의 3차권선(P2)으로부터 콘덴서(C10)에 대한 충전전류가 부족하여도 제어회로(3a)의 전원전압(Vcc)을 보충하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형태)
제2실시형태의 스위칭 전원장치의 기동회로(1b)는 도4를 참조하면, 제1실시형태의 스위칭 전원장치의 기동회로(1a)의 구성에 더하여, 다이오드(D2)와 제너 다이오드(ZD4)를 구비하고 있다. 다이오드(D2)는 제너 다이오드(ZD2)와 직렬로 접속되고, 제너 다이오드(ZD2)의 애노드와 다이오드(D1)의 애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제너 다이오드(ZD4)는, 제너 다이오드(ZD2)의 애노드와 다이오드(D2)의 애노드와의 접속점과, 제어회로(3a)의 접지단자(GND)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너 다이오드(ZD4)의 제너전압(VZ4)은 제어회로(3a)의 기동전압(Von)(예를 들면 18V)보다 높은 전압값으로 설정되어, 제2임계전압(V2)으로서 기능한다.
다이오드(D2)와 제너 다이오드(ZD4)를 설치함으로써,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간(t14)에서 전원전압(Vcc)이 제2임계전압(V2)을 초과하면 전원전압(Vcc)의 상승에 따라 제1정전류(Ia)의 전류값이 저하된다. 이것은 MOSFET(Q1)의 게이트 전압이 제너 다이오드(ZD2와 ZD4)의 직렬 제너전압(VZ2 + VZ4)으로 클램프되기 때문이다.
MOSFET(Q1)의 소스와 다이오드(D1)의 애노드 사이의 전압을 저항(R3)에 흐르는 제1정전류(Ia)로 나타내면, 제너 다이오드(ZD2와 ZD4)의 직렬 제너전압(VZ2 + VZ4)은,
VZ2 + VZ4 = Vcc + VFD1 + VBE2 + (R3 × Ia) + Vgs1이 된다.
여기에서 VFD1은 다이오드(D1)의 순방향 전압, VBE2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미터간 전압, Vgs1은 MOSFET(Q1)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이다.
따라서 제1정전류(Ia)는,
Ia = (VZ2 + VZ4 - (Vcc + VFD1 + VBE2 + Vgs1)) / R3이 되어, 전원전압(Vcc)의 크기에 따라 저하하는 관계식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기동회로(1b)는 전원전압(Vcc)이 제어회로(3a)의 기동전압(Von)보다 높은 제2임계전압(V2)을 초과하면, 전원전압(Vcc)의 상승에 따라 제1정전류(Ia)를 저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기동회로(1b)의 소비전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위칭 전원의 정지시 등에 전원전압(Vcc)을 정지전압(Voff)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경우에, 제어회로(3a)의 전원전압(Vcc)이 제2임계전압(V2)보다 높을수록, 기동회로(1b)로부터의 전류는 적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의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형태는 일례로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제1실시형태에, 전원전압(Vcc)과, 제어회로(3a)의 기동전압(Von)보다 높은 임계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comparator) 등의 비교회로를 설치하여, 전원전압(Vcc)이 제어회로(3a)의 기동전압(Von)보다 높은 임계전압을 초과하면, 비교회로의 출력에 의거하여 제1정전류(Ia)를 차단시키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1, 1a, 1b ; 기동회로
3, 3a ; 제어회로
5 ; 부하
7 ; 검출회로
E ; 직류전원
C1, C10, C11 ; 콘덴서
R1∼R10 ; 저항
Q1, Q3, Q4 ; MOSFET
Q2, Q5 ; 트랜지스터
D1, D2, D10, D11 ; 다이오드
ZD1∼ZD4 ; 제너 다이오드
T ; 트랜스

Claims (4)

  1. 트랜스의 1차권선을 통하여 직류전원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와,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에 발생하는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제1정류 평활회로(第1整流 平滑回路)와,
    상기 트랜스의 3차권선에 발생하는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제어회로에 전원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제2정류 평활회로를
    구비하는 스위칭 전원장치(switching 電源裝置)로서,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제어회로의 기동전압(起動電壓)보다 낮은 제1임계전압 이하인 경우와 상기 기동전압을 넘을 경우에는, 제1정전류를 기동전류로서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제1임계전압을 초과하여 상기 기동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정전류보다 큰 제2정전류를 상기 기동전류로서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하는 기동회로(起動回路)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임계전압은, 상기 제어회로의 정지전압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회로는,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제어회로의 기동전압보다 높은 제2임계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전원전압의 상승에 따라 상기 제1정전류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장치.
  4. 트랜스의 1차권선을 통하여 직류전원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와,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에 발생하는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제1정류 평활회로와, 상기 트랜스의 3차권선에 발생하는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제어회로에 전원전압으로서 공급하는 제2정류 평활회로를
    구비하는 스위칭 전원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직류전원의 투입시에 기동전류를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하는 기동회로로서,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제어회로의 기동전압보다 낮은 제1임계전압 이하인 경우와 상기 기동전압을 초과할 경우에는, 제1정전류를 기동전류로서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임계전압을 초과하여 상기 기동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정전류보다 큰 제2정전류를 기동전류로서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회로.
KR1020130139568A 2012-12-21 2013-11-18 스위칭 전원장치 KR101463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79100A JP6070164B2 (ja) 2012-12-21 2012-12-21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JP-P-2012-279100 2012-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666A true KR20140081666A (ko) 2014-07-01
KR101463003B1 KR101463003B1 (ko) 2014-11-18

Family

ID=50956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568A KR101463003B1 (ko) 2012-12-21 2013-11-18 스위칭 전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93983B2 (ko)
JP (1) JP6070164B2 (ko)
KR (1) KR101463003B1 (ko)
CN (1) CN1038879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4779B2 (en) * 2014-02-28 2017-10-10 Infineon Technologies Ag Supply self adjustment for systems and methods having a current interface
KR102176169B1 (ko) * 2014-04-30 2020-11-10 솔루엠 (허페이) 세미컨덕터 씨오., 엘티디. 스타트업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전원장치
CN104038031B (zh) * 2014-07-01 2016-05-25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供电电压产生电路和开关电源
JP6405998B2 (ja) * 2014-12-25 2018-10-17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負荷駆動回路
US9966840B2 (en) * 2015-05-01 2018-05-08 Champion Microelectronic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and improvements thereof
US10348210B2 (en) 2015-06-09 2019-07-09 Sanken Electric Co., Ltd. Power control module with improved start requirements
CN206850667U (zh) * 2017-04-21 2018-01-05 赤多尼科两合股份有限公司 启动控制电路和开关电源
CN108183466A (zh) * 2017-12-26 2018-06-19 成都鼎信致远科技有限公司 直流窗口式工作高温单脉冲电源
CN108199566A (zh) * 2017-12-26 2018-06-22 成都鼎信致远科技有限公司 带直流过压保护的直流窗口式工作高温单脉冲电源
CN108111007B (zh) 2018-01-31 2020-09-08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一种功率模块冗余取能电路及控制方法
CN108566080A (zh) * 2018-05-24 2018-09-21 广州金升阳科技有限公司 一种高压恒流启动电路
CN116232040B (zh) * 2023-05-09 2023-12-12 苏州力生美半导体有限公司 开关电源及其控制电路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06573T2 (de) 1992-06-12 1997-06-19 Minnesota Mining & Mfg Monolithischer keramik/faser-verstärtkter keramischer verbundwerkstoff
JPH0866021A (ja) * 1994-08-24 1996-03-08 Star Micronics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367300B2 (ja) 1995-09-18 2003-01-14 ヤマハ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3707436B2 (ja) 2002-01-25 2005-10-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3333840A (ja) 2002-05-15 2003-11-21 Sony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その起動方法
JP2004104961A (ja) * 2002-09-12 2004-04-02 Sharp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4109444A (ja) 2002-09-18 2004-04-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943069B2 (en) * 2003-10-14 2005-09-13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Power system inhibit method and device and structure therefor
US20060039524A1 (en) 2004-06-07 2006-02-23 Herbert Feinroth Multi-layered ceramic tube for fuel containment barrier and other applications in nuclear and fossil power plants
KR101091923B1 (ko) * 2005-03-02 2011-12-08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및 그 바이어스 전압 생성 방법
JP4774904B2 (ja) * 2005-10-18 2011-09-21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JP4923864B2 (ja) * 2006-08-28 2012-04-25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7636246B2 (en) * 2007-08-10 2009-12-22 Active-Semi, Inc. Start-up time reduction in switching regulators
JPWO2011065024A1 (ja) * 2009-11-30 2013-04-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494009B2 (ja) * 2010-03-01 2014-05-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552847B2 (ja) * 2010-03-11 2014-07-16 株式会社リコー 電源装置、画像形成装置
US8729811B2 (en) * 2010-07-30 2014-05-20 Cirrus Logic, Inc. Dimming multiple lighting devices by alternating energy transfer from a magnetic storage element
JP2012161117A (ja) * 2011-01-28 2012-08-23 Rohm Co Ltd Dc/dcコンバータ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849488B2 (ja) * 2011-07-20 2016-01-27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202550872U (zh) * 2011-12-12 2012-11-21 深圳市富满电子有限公司 一种ac-dc芯片、系统及其高压启动控制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87975A (zh) 2014-06-25
US20140177284A1 (en) 2014-06-26
US9293983B2 (en) 2016-03-22
JP2014124049A (ja) 2014-07-03
JP6070164B2 (ja) 2017-02-01
CN103887975B (zh) 2016-08-17
KR101463003B1 (ko) 201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003B1 (ko) 스위칭 전원장치
US9543839B2 (en) Voltage stabilizing circuit
JP505639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642104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4767370A (zh) 具有常通发射极-开关电流源的开关电源启动电路
JP200804851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083241B2 (e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for 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voltage
US20230143191A1 (en) Integrated circuit and power supply circuit
JP5062440B2 (ja) 電源回路
JP2007215359A (ja) 冷蔵庫のdc電源装置
JPH11168883A (ja) Dc/dcコンバータ
JP200732999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973916B2 (ja) 保護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6601546B2 (ja) 照明装置
JP527770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478347B2 (ja) 光源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6486796B2 (ja) 制御回路、及び、電源装置
JP6405863B2 (ja) 照明装置
JP3798289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200422247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回路
JP493795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150001621A (ko) 스타트-업 회로, 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 및 스위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JP200610959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23432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201103598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