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463A - 플러그 하우징용 래칭 랜스를 구비한 전기 접촉 소자 - Google Patents

플러그 하우징용 래칭 랜스를 구비한 전기 접촉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463A
KR20140079463A KR1020147012717A KR20147012717A KR20140079463A KR 20140079463 A KR20140079463 A KR 20140079463A KR 1020147012717 A KR1020147012717 A KR 1020147012717A KR 20147012717 A KR20147012717 A KR 20147012717A KR 20140079463 A KR20140079463 A KR 20140079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contact element
electrical contact
latching lance
bla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967B1 (ko
Inventor
울리히 슈마츠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79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 소자(2)를 수용하기 위한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접촉 챔버를 구비한 단극성의 또는 다극성의 플러그 하우징용 전기 접촉 소자(2)와 관련이 있다. 상기 전기 접촉 소자(2)는 전기 라인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섹션(4)을 구비한다. 상기 전기 접촉 소자(2)는 대응하는 메이팅(mating) 접촉 소자와의 전기 전도성 접속을 만들기 위한 접촉 섹션(6)을 구비한다. 상기 전기 접촉 소자(2)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랜스(8)(latching lance)를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래칭 랜스(8)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위 될 수 있다.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래칭 랜스(8)가 외부로 경사져 있다. 상기 제 1 위치에서 래칭 랜스(8)는 접촉 챔버와 로킹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래칭 랜스(8)에는 지지 부재(10)가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상기 래칭 랜스(8) 및 상기 지지 부재(10)에 의해서 공동부(12)가 제한되었다. 상기 공동부(12)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폐쇄 부재(14)에 의하여 상기 래칭 랜스(8)의 인터로킹이 억제되도록 폐쇄되어 있다.

Description

플러그 하우징용 래칭 랜스를 구비한 전기 접촉 소자 {ELECTRICAL CONTACT ELEMENT COMPRISING A LATCHING LANCE FOR A PLUG HOUSING}
본 발명은 플러그 하우징용 래칭 랜스를 구비한 전기 접촉 소자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에는 전기 플러그 접속을 만들기 위한 전기 플러그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챔버를 구비한 대체로 하나의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 경우 각각의 접촉 챔버에는 전기 접촉 소자가 장착될 수 있다. 전기 접촉 소자가 접촉 챔버로부터 원치 않게 분리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 접촉 소자는 접촉 챔버 내부에 로킹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전기 접촉 소자로부터 돌출하는 래칭 랜스(latching lance)에 의해서 여러 번 발생하고, 상기 래칭 랜스는 전기 접촉 소자가 접촉 챔버 내부로 삽입될 때에 제 2 위치로 함께 프레싱 되며, 그리고 상기 전기 접촉 소자가 상기 접촉 챔버 내부에서 사전에 결정된 위치에 도달했다면, 상기 래칭 랜스는 접촉 챔버 내에 있는 언더컷과 로킹 되기 위하여 제 1 위치로 점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래칭 랜스는 전기 접촉 소자로부터 밖으로 펼쳐지는 상대적으로 가느다란 형태를 갖는다. 하지만, 전기 접촉 소자가 자신의 관련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기 전에, 래칭 랜스는 자체 형상으로 인해 이웃하는 접촉 소자 및/또는 전기 라인과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상태에 의해서는 래칭 랜스가 휨 형태로 소성 변형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접촉 챔버 내부에서는 래칭 랜스의 정상적인 로킹 및 그와 더불어 접촉 소자의 정상적인 로킹이 더 이상 보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래칭 랜스 및 이웃하는 컴포넌트의 상호 인터로킹(interlocking)이 신뢰할만하게 억제되는, 래칭 랜스를 구비한 전기 접촉 소자를 제공할 필요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요는 독립 특허 청구항들의 대상에 의해서 충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종속 특허 청구항들로부터 나타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 소자를 수용하기 위한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접촉 챔버를 구비한 단극성의 또는 다극성의 플러그 하우징용 전기 접촉 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전기 접촉 소자는 전기 라인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섹션을 구비한다. 상기 전기 접촉 소자는 대응하는 메이팅(mating) 접촉 소자와의 전기 전도성 접속을 만들기 위한 접촉 섹션을 구비한다. 상기 전기 접촉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랜스를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래칭 랜스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위 될 수 있다.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래칭 랜스가 외부로 경사져 있다. 상기 제 1 위치에서 래칭 랜스는 접촉 챔버와 로킹 될 수 있다. 상기 래칭 랜스에는 지지 부재가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상기 래칭 랜스 및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서 공동부가 제한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공동부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폐쇄 부재에 의하여 상기 래칭 랜스의 로킹이 억제되도록 폐쇄되어 있다.
래칭 랜스 및 지지 부재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부의 폐쇄에 의해서는, 한 편으로는 상기 제안된 전기 접촉 소자가 자체 로킹 랜스에 의해 다른 이웃하는 컴포넌트에 인터로킹 될 수 있는 상황이 방지된다. 다른 한 편으로 상기 제안된 전기 접촉 소자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선행 기술에 따른 다른 접촉 소자의 래칭 랜스가 상기 제안된 전기 접촉 소자의 래칭 랜스와 인터로킹 될 수 있는 상황이 방지된다. 상기 제안된 전기 접촉 소자에 의해서는, 전기 라인 또는 다른 컴포넌트와 래칭 랜스의 인터로킹도 방지된다. 다른 소자에 대한 상기 제안된 전기 접촉 소자의 래칭 랜스의 인터로킹 및 그 반대의 인터로킹이 방지됨으로써, 다른 컴포넌트에서 상기 제안된 전기 접촉 소자에 의한 손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가 다른 컴포넌트와의 인터로킹을 마찬가지로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로킹 부재는 제 1 단부에 의해 전기 접촉 소자의 한 부분 영역에 단단히 결합 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제 1 단부에 마주 놓인 제 2 단부에 지지 부재가 단단히 결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측면도에서 제안된 전기 접촉 소자는 래칭 랜스 및 지지 부재가 삼각형의 변을 형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한편, 전술된 부분 영역은 추가의 변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부분 영역은 박스 형태로 또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래칭 랜스 및 지지 부재에 의해서 제한된 공동부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공동부는 예를 들어 실링 재료를 이용해서 완전히 주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동부는 플라스틱 삽입 부재를 이용해서 주조될 수도 있다. 또한, 래칭 랜스 및/또는 지지 부재의 측면 가장자리에 배치된 블레이드 부재(blade element)에 의해 공동부를 폐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폐쇄 부재는 일반적으로 래칭 랜스, 지지 부재 및 폐쇄 부재로 구성된 조합이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에지를 형성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성에 의해서는, 상기 제안된 전기 접촉 소자를 플러그 하우징 - 이 플러그 하우징 상에는 실링 매트가 배치되어 있음 - 에 장착할 때에 또는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할 때에 상기 실링 매트의 손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방식의 보호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폐쇄 부재는 제 1 블레이드 부재 및 제 2 블레이드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래칭 랜스 및 지지 부재는 하나의 공동 제 1 가장자리 그리고 상기 제 1 가장자리에 마주 놓인 하나의 공동 제 2 가장자리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블레이드 부재는 상기 제 1 가장자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제 2 블레이드 부재는 상기 제 2 가장자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제 1 블레이드 부재 및 제 2 블레이드 부재는 상기 제 1 블레이드 부재 및 제 2 블레이드 부재가 래칭 랜스 위로 그리고 또한 지지 부재 위로 돌출하지 않도록 형성되었다.
상기 제 1 및 제 2 블레이드 부재는 이 블레이드 부재들이 지지 부재의 가장자리에 또는 래칭 랜스의 가장자리에 단단히 결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전기 접촉 소자가 천공-휨 부분으로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 부재가 지지 부재로부터 그리고/또는 래칭 랜스로부터 휘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레이드 부재들은 가장자리의 한 자유로운 부분 영역,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블레이드 부재에 결합 되지 않은 상기 가장자리의 한 부분 영역이 래칭 랜스 또는 지지 부재에 의해서 겹쳐지도록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블레이드 부재가 래칭 랜스 및 블레이드 부재 위로 돌출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블레이드 부재는 래칭 랜스의 인터로킹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가장자리의 관련 자유 부분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한다. 상기 블레이드 부재들은 이 블레이드 부재들이 변위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래칭 랜스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위 될 수 있도록 형성되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 접촉 소자의 폐쇄 부재는 제 1 블레이드 부재 및 제 2 블레이드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래칭 랜스는 제 3 가장자리 및 상기 제 3 가장자리에 마주 놓인 제 4 가장자리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제 5 가장자리 및 상기 제 5 가장자리에 마주 놓인 제 6 가장자리를 구비한다. 상기 제 3 가장자리 및 상기 제 5 가장자리는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상기 제 4 가장자리 및 상기 제 6 가장자리도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상기 제 1 블레이드 부재는 제 3 가장자리와 제 4 가장자리 그룹으로 구성된 컴포넌트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공동부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상기 제 1 블레이드 부재의 제 1 외부면은 제 3 가장자리와 제 4 가장자리 그룹으로 구성된 다른 컴포넌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놓여 있다. 상기 제 2 블레이드 부재는 제 5 가장자리와 제 6 가장자리 그룹으로 구성된 컴포넌트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공동부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상기 제 2 블레이드 부재의 제 2 외부면은 제 5 가장자리와 제 6 가장자리 그룹으로 구성된 다른 컴포넌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놓여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도 공동부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다른 컴포넌트에서 래칭 랜스 및/또는 지지 부재의 인터로킹이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두 개의 블레이드 부재에 의해서 폐쇄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블레이드 부재는 로킹 부재에 또는 지지 부재에 결합 되어 있다. 제 2 블레이드 부재도 로킹 부재에 또는 지지 부재에 결합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제 1 블레이드 부재가 지지 부재에 그리고 상기 제 2 블레이드 부재가 로킹 부재에 결합 되는 형상이 가능해진다. 전기 접촉 소자들이 일반적으로는 천공-휨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이 경우에는 상기 접촉 소자들이 평평한 시트로부터 천공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형성은 상기 제안된 전기 접촉 소자의 연장 부분을 시트 상에 배치할 때에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로 인해 천공 폐기물이 가급적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킹 부재,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 부재가 하나의 부품으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그럼으로써, 추가 비용 및 그와 결부된 더 높은 제조 비용은 다수 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실시 예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피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 접촉 소자는 대체로 박스 형태의 부분 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박스 형태의 부분 영역은 서로 마주 놓인 두 개의 측벽, 즉 바닥 부재 및 상기 바닥 부재에 마주 놓인 커버 부재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측벽들에 의해서 제한된 개구를 갖추고 있다. 상기 측벽들은 바닥 부재 및 커버 부재에 의해서 상호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지지 부재는 제 1 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개구까지 연장된다. 폐쇄 부재도 적어도 상기 개구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래칭 랜스의 제 1 위치에서 폐쇄 부재 혹은 지지 부재와 개구 사이에서는 컴포넌트들이 인터로킹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폐쇄 부재는 래칭 랜스의 제 1 위치에서 측벽이 상기 폐쇄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위치에서는 로킹 부재가 커버 부재와 대체로 동일한 높이에 놓이도록 제 1 블레이드 부재 및 제 2 블레이드 부재가 개구를 통해 박스 형태의 부분 영역 내부로 변위 되었다.
따라서, 래칭 랜스는 상기 래칭 랜스의 제 2 위치에서 전기 접촉 소자의 박스형 부분 영역이 돌출하는 부분을 구비하지 않도록 상기 박스 형태의 부분 영역 내부로 변위 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 전기 접촉 소자는 특히 간단한 형태 및 방식으로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이와 같은 형성에 의해서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배치된 실링 매트의 손상도 신뢰할만하게 방지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돌출부는 개구를 관통하여 커버 부재 뒤에 결합 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돌출부에 의해서는, 래칭 랜스가 자신의 변위 방향과 반대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상기 제 1 위치를 초과해서 변위 될 수 있는 상황이 피해진다. 따라서, 서비스 직원이 상기 제안된 전기 접촉 소자를 적절하게 취급하지 않는 경우에도 래칭 랜스는 지지 부재 및 폐쇄된 공동부에 의해 변형되지 않게 되는데, 그 이유는 말하자면 틈(gap)이 형성되기 때문이며, 상기 틈 내부에는 선행 기술에 따른 전기 접촉 소자의 래칭 랜스 또는 전기 라인이 인터로킹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위치에서는 래칭 랜스가 한 가지 변위 방향으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상기 제 2 위치를 초과해서 변위 될 수 없도록 돌출부와 바닥 부재가 상호 작용을 한다.
따라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 되는 상기 래칭 랜스의 변위 경로는 돌출부와 바닥 부재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제한되며, 그 결과 래칭 랜스는 제 2 위치에 도달한 것 이상으로 계속해서 변위 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변위 경로의 제한은 변위 시에 래칭 랜스가 탄력적인 영역을 초과해서 변형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해준다. 특히 래칭 랜스의 소성 변형은 상기 래칭 랜스가 자동으로 제 1 위치를 취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해줄 수 있다. 제 1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기 접촉 소자가 접촉 챔버 내부에 정상적으로 로킹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 접촉 소자는 대응 전기 접촉 소자가 그 위로 슬라이딩 될 때에 자신의 접촉 챔버로부터 외부로 밀려나갈 수 있게 되고, 대응하는 메이팅 접촉 소자와 전기적인 접속을 전혀 형성하지 않게 되거나 또는 단지 불충분한 접속만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 접촉 소자는 천공-휨 부분이다.
따라서, 전기 접촉 소자는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된다. 로킹 간격,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제 1 접촉 소자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제 1 접촉 소자에 이웃하는 제 2 접촉 소자의 중앙까지의 간격을 1.5 mm로 만들기 위하여, 접촉 소자들은 이 접촉 소자들이 횡단면 상으로 볼 때 단지 1 ㎟의 크기만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 접촉 소자는 단일 유닛이다.
그럼으로써, 전기 접촉 소자는 특히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사상이 전기 접촉 소자와 연관해서 기술되었다는 점을 언급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개별적으로 기술된 특징들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도달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조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을 통해, 래칭 랜스 및 이웃하는 컴포넌트의 상호 인터로킹이 신뢰할만하게 억제되는, 래칭 랜스를 구비한 전기 접촉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들은 단지 개략적으로만 그리고 척도에 맞지 않게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래칭 랜스 및 지지 부재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부가 실링 재료에 의해 폐쇄된, 제 1 위치로 변위 된 래칭 랜스를 구비한 전기 접촉 소자를 3D-도면으로 보여주고 있고;
도 2는 공동부가 제 1 변형 예에 따라 서로 마주 놓인 두 개의 블레이드 부재에 의해서 폐쇄된, 도 1에 공지된 전기 접촉 소자를 3D-도면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도 3은 도 2에 공지된 전기 접촉 소자를 횡단면도로 보여주고 있고;
도 4는 공동부가 제 2 변형 예에 따른 두 개의 블레이드 부재에 의해서 폐쇄된, 도 1에 공지된 전기 접촉 소자를 3D-도면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도 5는 도 4에 공지된 전기 접촉 소자를 횡단면도로 보여주고 있고;
도 6은 도 4에 공지된 전기 접촉 소자의 추가의 일 실시 예를 3D-도면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그리고
도 7은 래칭 랜스가 제 2 위치로 변위 된, 도 2에 공지된 전기 접촉 소자를 종단면도로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전기 라인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섹션(4) 및 대응하는 메이팅 접촉 소자와의 전기 전도성 접속을 만들기 위한 접촉 섹션(6)을 보여주고 있다. 전기 접촉 소자(2)는 래칭 랜스(8)를 구비하며, 상기 래칭 랜스는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제 1 위치로부터 변위 방향(V)을 따라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제 2 위치로 변위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위치에서 래칭 랜스(8)는 외부로 경사져 있다. 상기 래칭 랜스(8)에는 지지 부재(10)가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상기 래칭 랜스(8) 및 상기 지지 부재(10)에 의해서 공동부(12)가 제한되었다. 상기 공동부(12)는 본 도면에 실링 재료로 형성된 폐쇄 부재(14)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다. 상기 공동부(12)의 폐쇄 작용은 한 편으로는 상기 제안된 전기 접촉 소자(2)가 자체 래칭 랜스(8)에 의해 다른 이웃하는 컴포넌트에 인터로킹 되는 상황을 방지해준다. 다른 한 편으로는, 예를 들어 선행 기술에 따른 다른 접촉 소자의 래칭 랜스가 상기 제안된 전기 접촉 소자(2)와 인터로킹 되는 상황이 방지된다. 래칭 랜스(8)는 제 1 단부(16)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단부는 커버 부재(28)와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 1 단부(16)에 마주 놓인 제 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단부에는 지지 부재(10)가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커버 부재(28)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개구(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28)는 박스 형태의 부분 영역(20)에 속하며, 상기 부분 영역은 또한 제 1 측벽(22), 상기 제 1 측벽(22)에 마주 놓인 제 2 측벽(24) 그리고 바닥 부재(26)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상기 제 1 측벽(22) 및 상기 제 2 측벽(24)은 서로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그리고 변위 방향(V)을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제 1 측벽(22)과 상기 제 2 측벽(24)은 바닥 부재(26) 및 커버 부재(28)에 의해서 상호 결합 되어 있다. 지지 부재(10)에는 돌출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가 커버 부재(28)의 하부에 접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변위 방향(V)과 반대로 제 1 위치를 초과해서 이루어지는 래칭 랜스(8)의 변위는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래칭 랜스(8)가 다른 컴포넌트와 인터로킹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횡단면 상으로 볼 때 대체로 삼각형으로 형성된 폐쇄 부재(14)를 이용해서 공동부(12)를 폐쇄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 2는 서로 마주 놓인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블레이드 부재(34, 38)에 의해서 공동부(12)가 폐쇄된, 도 1에 공지된 전기 접촉 소자(2)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이하에서 기술될 장치를 지지 부재(10)에 대한 정면도로 보여주고 있다. 지지 부재(10)는 변위 방향(V)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그와 더불어 커버 소자(28)에 대해서도 대체로 수직으로 서있다. 래칭 랜스(8) 및 지지 부재(10)는 하나의 공통된 제 1 가장자리(36) 및 상기 제 1 가장자리(36)에 마주 놓인 하나의 공통된 제 2 가장자리(40)를 구비한다.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공통된 제 1 가장자리(36)의 제 3 가장자리(42)는 로킹 부재(8)를 제한하고, 제 5 가장자리(46)는 지지 부재(10)를 제한한다. 또한, 상기 공통된 제 2 가장자리(40)의 제 4 가장자리(44)는 로킹 부재(8)를 제한하고, 제 6 가장자리(48)는 지지 부재(10)를 제한한다. 제 1 블레이드 부재(34)는 래칭 랜스(8)의 제 3 가장자리(42)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제 2 블레이드 부재(38)는 래칭 랜스(8)의 제 5 가장자리(46)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블레이드 부재(34, 38)는 공동부(12)를 폐쇄할 뿐만 아니라, 개구(30)를 통해서 상기 바닥 부재(26)의 방향으로 박스 형태의 부분 영역(20)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블레이드 부재(34)는 상기 공동부(12) 쪽을 향하고 있는 제 1 내부면(58)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블레이드 부재(38)는 마찬가지로 상기 공동부(12) 쪽을 향하고 있는 제 2 내부면(60)을 구비한다. 전기 접촉 소자(12)가 일체형의 천공-휨 부분으로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두 개의 블레이드 부재(34, 38)는 상기 내부면(58, 60)이 상기 지지 부재(10)의 개별 가장자리(46, 48)에 적어도 대체로 인접하도록 상기 래칭 랜스(8)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 부재(34, 38) 중에 어떤 것도 상기 지지 부재(10)의 정면(41)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에 공지된 전기 접촉 소자(2)를 추가의 일 실시 예로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도 두 개의 블레이드 부재(34 및 38)는 래칭 랜스(8)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하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지지 부재(10)의 제 5 가장자리(46)가 래칭 랜스(8)의 제 3 가장자리(42)에 대하여 제 1 측벽(22)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상기 제 3 가장자리(42)는 상기 제 5 가장자리(46)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그에 상응하게 지지 부재(10)의 제 6 가장자리(48)는 래칭 랜스(8)의 제 4 가장자리에 대하여 제 2 측벽(34)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상기 제 4 가장자리(44)는 상기 제 6 가장자리(48)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상기 제 1 블레이드 부재(34)는 제 1 내부면(58)에 마주 놓인 제 1 외부면(50)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블레이드 부재(38)는 제 2 내부면(60)에 마주 놓인 제 2 외부면(52)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블레이드 부재(34) 및 상기 제 2 블레이드 부재(38)가 래칭 랜스(8)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지지 부재(10)는 상기 두 개의 블레이드 부재(34, 38) 위를 덮게 된다. 그 결과, 제 1 블레이드 부재(34)의 제 1 외부면(50)은 지지 부재(10)의 제 5 가장자리(46)와 대체로 동일한 높이에 놓이게 되고, 제 2 블레이드 부재(38)의 제 2 외부면(52)은 지지 부재(10)의 제 6 가장자리(48)와 대체로 동일한 높이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은 형성에 의해서도 래칭 랜스(8)가 다른 컴포넌트에 인터로킹 되는 상황이 방지되었다.
도 6은 실제로 도 4에 도시된 전기 접촉 소자(2)를 보여주고 있다. 제 1 측벽(22)뿐만 아니라 제 2 측벽(24)도 각각 하나의 가장자리(62)를 구비하며, 상기 가장자리에 의해서 개구(30)가 제한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 1 블레이드 부재(30) 및 제 2 블레이드 부재(38)는 이 블레이드 부재들이 제 1 위치에서 가장자리(62)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되었다. 따라서, 로킹 부재(8)가 다른 컴포넌트와 인터로킹 되는 상황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연장부(54)는 생략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공지된 전기 접촉 소자를 종단면도로 보여주고 있으며, 이 경우 래칭 랜스(8)는 변위 방향(V)을 따라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 되었다. 본 도면에서 접촉 섹션(6)은 서로 마주 놓인 두 개의 접촉 판(56)(contact lamella)을 구비한다. 제 2 위치에서 래칭 랜스(8)는 커버 부재(28)와 동일한 높이에 놓인다. 래칭 랜스(8)가 변위 방향(V)으로 제 2 위치를 초과해서 추가로 변위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부(32)가 바닥 부재(26)에 충돌하게 된다.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해서는, 한 편으로는 상기 제안된 전기 접촉 소자(2)의 래칭 랜스(8)가 다른 컴포넌트와 인터로킹 될 수 있는 상황이 신뢰할만하게 방지된다. 다른 한 편으로는 래칭 랜스(8)가 변위 방향(V)을 따라서 제 2 위치를 초과해서 변위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변위 동작이 래칭 랜스(8) 또는 커버 부재(28)를 소성 변형시킬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래칭 랜스(8)는 더 이상 자동으로 제 1 위치에 도달할 수 없게 된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 소자(2)를 수용하기 위한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접촉 챔버를 구비한 단극성의 또는 다극성의 플러그 하우징용 전기 접촉 소자(2)로서,
    전기 접촉 소자(2)가 전기 라인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섹션(4)을 구비하며,
    이때 상기 전기 접촉 소자(2)는 대응하는 메이팅(mating) 접촉 소자와의 전기 전도성 접속을 만들기 위한 접촉 섹션(6)을 구비하며,
    이때 전기 접촉 소자(2)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랜스(8)를 구비하며,
    이때 래칭 랜스(8)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위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위치에서는 래칭 랜스(8)가 외부로 경사져 있고, 제 1 위치에서는 래칭 랜스(8)가 접촉 챔버와 로킹 될 수 있는, 전기 접촉 소자에 있어서,
    래칭 랜스(8)에는 지지 부재(10)가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으며, 래칭 랜스(8) 및 지지 부재(10)에 의해서 공동부(12)가 제한되며,
    공동부(12)가 제 1 위치에서는 폐쇄 부재(14)에 의하여 래칭 랜스(8)의 인터로킹이 억제되도록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폐쇄 부재(14)는 제 1 블레이드 부재(34) 및 제 2 블레이드 부재(38)에 의해서 형성되며,
    래칭 랜스(8) 및 지지 부재(10)는 하나의 공통된 제 1 가장자리(36) 그리고 제 1 가장자리(36)에 마주 놓인 하나의 공통된 제 2 가장자리(40)를 구비하며,
    제 1 블레이드 부재(34)는 제 1 가장자리(3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단히 결합 되어 있으며,
    제 2 블레이드 부재(38)는 제 2 가장자리(4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단히 결합 되어 있으며,
    제 1 블레이드 부재(34) 및 제 2 블레이드 부재(38)는 제 1 블레이드 부재(34) 및 제 2 블레이드 부재(38)가 래칭 랜스(8) 위로 그리고 또한 지지 부재(10) 위로 돌출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폐쇄 부재(14)는 제 1 블레이드 부재(34) 및 제 2 블레이드 부재(38)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래칭 랜스(8)는 제 3 가장자리(42) 및 상기 제 3 가장자리(42)에 마주 놓인 제 4 가장자리(44)를 구비하며,
    지지 부재(10)는 제 5 가장자리(46) 및 상기 제 5 가장자리(46)에 마주 놓인 제 6 가장자리(48)를 구비하며,
    제 3 가장자리(42) 및 상기 제 5 가장자리(46)는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제 4 가장자리(44) 및 상기 제 6 가장자리(48)도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제 1 블레이드 부재(34)는 제 3 가장자리(42)와 제 4 가장자리(44) 그룹으로 구성된 컴포넌트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으며,
    공동부(12)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상기 제 1 블레이드 부재(34)의 제 1 외부면(50)은 제 3 가장자리(42)와 제 4 가장자리(44) 그룹으로 구성된 다른 컴포넌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놓여 있으며,
    제 2 블레이드 부재(38)는 제 5 가장자리(46)와 제 6 가장자리(48) 그룹으로 구성된 컴포넌트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으며,
    공동부(12)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상기 제 2 블레이드 부재(38)의 제 2 외부면(52)은 제 5 가장자리(46)와 제 6 가장자리(48) 그룹으로 구성된 다른 컴포넌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 소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블레이드 부재(34)는 로킹 부재(8)에 또는 지지 부재(10)에 결합 되어 있으며,
    제 2 블레이드 부재(38)도 로킹 부재(8)에 또는 지지 부재(10)에 결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 소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접촉 소자(2)는 대체로 박스 형태의 부분 영역(20)을 구비하며,
    박스 형태의 부분 영역(20)은 서로 마주 놓인 두 개의 측벽(22, 24), 즉 바닥 부재(26) 및 바닥 부재에 마주 놓인 커버 부재(28)를 구비하며, 이때 커버 부재는 측벽(22, 24)에 의해서 제한된 개구(30)를 갖추고 있으며,
    측벽(22, 24)은 바닥 부재(26) 및 커버 부재(28)에 의해서 상호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으며,
    지지 부재(10)는 제 1 위치에서 적어도 개구(30)까지 연장되며,
    폐쇄 부재(14)도 적어도 개구(30)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 소자.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위치에서는 로킹 부재(8)가 커버 부재(28)와 동일한 높이에 놓이도록 제 1 블레이드 부재(34) 및 제 2 블레이드 부재(38)가 개구(30)를 통해 박스 형태의 부분 영역(20) 내부로 변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 소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10)는 돌출부(32)를 구비하며, 이때 돌출부(32)는 개구(30)를 관통하여 커버 부재(28) 뒤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 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위치에서는 래칭 랜스(8)가 한 가지 변위 방향(V)으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제 2 위치를 초과해서 변위 될 수 없도록 돌출부(32)와 바닥 부재(26)가 상호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 소자.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접속 소자(2)는 천공-휨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 소자.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접촉 소자(2)는 단일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 소자.
KR1020147012717A 2011-12-20 2012-10-22 플러그 하우징용 래칭 랜스를 구비한 전기 접촉 소자 KR101580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89315A DE102011089315A1 (de) 2011-12-20 2011-12-20 Elektrisches Kontaktelement mit Rastlanze für ein Steckergehäuse
DE102011089315.6 2011-12-20
PCT/EP2012/070885 WO2013091934A1 (de) 2011-12-20 2012-10-22 Elektrisches kontaktelement mit rastlanze für ein steckergehä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463A true KR20140079463A (ko) 2014-06-26
KR101580967B1 KR101580967B1 (ko) 2015-12-30

Family

ID=4717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717A KR101580967B1 (ko) 2011-12-20 2012-10-22 플러그 하우징용 래칭 랜스를 구비한 전기 접촉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795732B1 (ko)
KR (1) KR101580967B1 (ko)
DE (1) DE102011089315A1 (ko)
TW (1) TWI618302B (ko)
WO (1) WO20130919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8788A1 (de) 2015-09-29 2017-03-30 Robert Bosch Gmbh Stecker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nd Steckverbindersystem
FR3044172B1 (fr) * 2015-11-20 2019-05-17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tact electrique femelle avec patte de guidage du linguet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contact
DE102016211598A1 (de) 2016-06-28 2017-12-28 Robert Bosch Gmbh Stecker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nd Steckverbinder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0996A (ja) * 1996-07-25 1998-02-13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H1055835A (ja) * 1996-08-08 1998-02-24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70615A (ja) * 2000-11-30 2002-06-14 Iriso Denshi Kogyo Kk 電気接続用端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3052A (en) * 1970-01-27 1971-10-12 Amp Inc Electrical locking pin terminal
JP3361308B2 (ja) * 1999-12-28 2003-01-0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雌型コンタクト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US7217161B1 (en) * 2006-03-31 2007-05-15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terminal with anti-snag feature
EP1885029B1 (de) * 2006-08-03 2015-03-18 Delphi Technologies, Inc.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TWI378611B (en) * 2008-10-31 2012-12-01 Ibm An electrical adapter for a connector having a retention lat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0996A (ja) * 1996-07-25 1998-02-13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H1055835A (ja) * 1996-08-08 1998-02-24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70615A (ja) * 2000-11-30 2002-06-14 Iriso Denshi Kogyo Kk 電気接続用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967B1 (ko) 2015-12-30
TW201338280A (zh) 2013-09-16
DE102011089315A1 (de) 2013-06-20
TWI618302B (zh) 2018-03-11
EP2795732B1 (de) 2018-08-08
EP2795732A1 (de) 2014-10-29
WO2013091934A1 (de)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46879B (zh) 连接器装置
JP5730132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
JP6024992B2 (ja) コネクタ
US9039458B2 (en) Miniaturization connector assembly
JP2011165370A (ja) コネクタ
US20180366879A1 (en) Electrical connector grounding and power terminals having a bent widened section
JP6741213B2 (ja) コネクタ
KR101580967B1 (ko) 플러그 하우징용 래칭 랜스를 구비한 전기 접촉 소자
JP2013137949A (ja) 端子構造
US883420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ging plate
JP2016530695A (ja) 電力端子コネクタ
US20150064948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800730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
TW201334295A (zh) 連接器
WO2010041697A1 (ja) プラグレセプタクル
WO2022190782A1 (ja) コネクタ
EP2795735B1 (en) Electrical connector, its assembly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JP5692598B2 (ja) 嵌合検知構造
JP5890265B2 (ja) ジョイント端子
WO2013121497A1 (en) Joint terminal and joint connector
KR200477203Y1 (ko)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JP2010123554A (ja) コネクタ
JP2009140808A (ja) コネクタカバー
WO2014117821A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EP2961001B1 (en) Connector assembly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