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211A - 정제 포장체 - Google Patents

정제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211A
KR20140077211A KR1020147013120A KR20147013120A KR20140077211A KR 20140077211 A KR20140077211 A KR 20140077211A KR 1020147013120 A KR1020147013120 A KR 1020147013120A KR 20147013120 A KR20147013120 A KR 20147013120A KR 20140077211 A KR20140077211 A KR 20140077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main body
body sheet
concave portion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하루 미야모토
도시코 기모토
요시미치 오야
료 야마구치
가츠히로 시미즈
마사키 다케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61J1/035Blister-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65D75/367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27Tear-lines for separating a package into individual pac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5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using icons or symbolic figures, e.g. by a graphical representation symbolising the type of pathology or the organ by an i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on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25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25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2575/3209Details
    • B65D2575/3218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gaining access to the contents
    • B65D2575/324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gaining access to the contents by peeling off the non-rigid 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ckag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정제 포장체(100)는 본체 시트(200)와 봉지 부재(300)를 구비한다. 본체 시트(200)는 오목부(230)를 가진다. 봉지 부재(300)는 오목부(230)의 개구를 덮도록 본체 시트(200)에 씰된다. 봉지 부재(300)는 상기 오목부(230)가 개구되도록 상기 본체 시트(200)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쉽게 박리 가능하다. 오목부(230)는 복수개의 약제(T3)가 수납 가능한 크기를 가진다.

Description

정제 포장체{TABLET PACKAGING BODY}
본 발명은 정제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1년 12월 7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1-26825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복수개의 약제를 먹는 사람이 약제를 먹는 것을 잊거나 잘못 먹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약제를 1포화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1포화용 약제 팩으로서, 복수개의 오목부를 가지는 용기와, 용기를 밀봉하는 씰(seal)을 가지는 대지(臺紙)를 구비하는 약제 팩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약제 팩은 1개의 오목부에 복수개의 약제를 수납함으로써 약제를 1포화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씰 및 대지에는 약제를 복용하는 요일, 시간대 및 일자가 기재되어 있다. 그 때문에 환자는 약제를 복용하는 시기를 잘못 알기 어렵다. 또한, 의사, 약제사 및 간호사 등은 약제 팩의 빈 오목부를 확인함으로써 환자가 적절히 약제를 복용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9-485호 공보
상기의 약제 팩에서는 씰을 찢어 약제가 꺼내진다. 그 때문에 노인 또는 손끝이 부자유스러운 환자가 힘 부족으로 씰을 찢을 수가 없어 약제를 약제 팩으로부터 꺼낼 수가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인 또는 손끝이 부자유스러운 환자(약제의 복용자)라도 정제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약제를 꺼낼 수가 있는 정제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것을 포함한다.
(1) 복수개의 약제가 수납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가지는 본체 시트와, 상기 오목부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본체 시트에 씰되는 봉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봉지 부재는 상기 오목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본체 시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쉽게 박리 가능한 정제 포장체.
(2) 상기 본체 시트 및 상기 봉지 부재의 적어도 일방은 특정 기체 및 광의 적어도 일방에 대해서 배리어(barrier)성을 가지는 상기 (1)에 기재된 정제 포장체.
(3) 상기 본체 시트는 복수개의 상기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 시트 및 상기 봉지 부재의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오목부에 수납된 상기 약제를 복용하는 요일, 시간대 및 일자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오목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하여 기재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정제 포장체.
(4) 상기 오목부는 복수의 구획을 가지는 상기 (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제 포장체.
(5) 상기 본체 시트의 두께는 30㎛ 이상 800㎛ 이하인 상기 (1)~(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제 포장체.
(6) 상기 본체 시트 및 상기 봉지 부재의 적어도 일방은 투명성을 가지는 상기 (1)~(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제 포장체.
(7) 상기 본체 시트는 롤상(roll shape)으로 감기 가능한 띠상(band shape)이고, 상기 오목부는 적어도 상기 본체 시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정제 포장체.
(8) 상기 본체 시트에는 폭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7)에 기재된 정제 포장체.
(9) 상기 오목부는 복수종의 상기 약제를 수용 가능한 상기 (1)~(8)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제 포장체.
(10) 상기 봉지 부재가 선(線)씰에 의해 봉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정제 포장체.
(11) 상기 봉지 부재를 개봉할 때의 박리 강도가 개봉 도중의 박리 강도보다 낮은 상기 (10)에 기재된 정제 포장체.
(12) 개봉 개시 지점의 접착 영역의 폭을 A로 하고, 개봉 종료 지점의 접착 영역의 폭을 B로 했을 때, A<B를 만족하는 상기 (10) 또는 (11)에 기재된 정제 포장체.
(13) 상기 봉지 부재는 상기 오목부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있어서 박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12)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제 포장체.
(14) 상기 오목부는 복수 설치되고, 상기 본체 시트와 상기 봉지 부재에는 상기 오목부마다 상기 오목부의 주위에 홈 또는 잘림눈이 설치되어, 상기 오목부마다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10)~(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제 포장체.
(15) 상기 봉지 부재는 상기 오목부마다 설치되어 있는 상기 (10)~(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제 포장체.
(16) 상기 오목부의 높이는 상기 약제의 높이 이상이고, 상기 약제 2개분의 높이 이하인 상기 (10)~(1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제 포장체.
(17) 상기 봉지 부재는 권회성(捲回性)을 가지고,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를 박리할 때에 상기 봉지 부재가 오목부와 반대 방향으로 휜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1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제 포장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는 노인 또는 손끝이 부자유스러운 환자(약제의 복용자)라도 정제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복수개의 약제를 한 번에 꺼낼 수가 있어 약제 관리가 용이한 것으로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의 표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의 이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정제 포장체의 A1-A1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변형예 (A)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의 표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변형예 (B)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의 표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변형예 (C)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의 이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정제 포장체의 A2-A2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체 시트측에서 본 정제 포장체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체 시트에 봉지 부재를 부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를 본체 시트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의 집합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5는 정제 포장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정제 포장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7은 정제 포장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8은 정제 포장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9는 정제 포장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20은 정제 포장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4~도 15에 나타낸 정제 포장체에 복수의 정제를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는, 복수개의 약제가 수납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가지는 본체 시트와, 상기 오목부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본체 시트에 씰(밀착)되는 봉지 부재를 가진다. 상기 봉지 부재는 상기 오목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본체 시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쉽게 박리 가능하다. 또, 상기 본체 시트 및 상기 봉지 부재의 적어도 일방은 특정 기체 및 광의 적어도 일방에 대해서 배리어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오목부의 개구를 덮도록 본체 시트에 씰되는 봉지 부재」란, 오목부가 기밀 봉지되도록 봉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 시트에 봉착(封着)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봉지 부재는 상기 오목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본체 시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쉽게 박리 가능하다」란, 유통시 및 보관시 등, 개봉을 의도하지 않을 때는 오목부의 내부 공간의 밀봉성이 보지(保持)되고, 또한 개봉이 의도될 때에는 가위 등의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손의 힘으로 용이하게 오목부가 개구되도록 봉지 부재를 본체 시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박리할 수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특정 기체 및 광의 적어도 일방에 대해서 배리어성을 가진다」란, 특정 기체(예를 들면 대기 중의 수증기나 산소 등) 및/또는 광(예를 들면 자외선 등)의 투과를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오목부의 내부 공간에의 침입을 막는 성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i) JIS Z 0208에 준거하여 측정된 투습도가 10g/m2·24h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g/m2·24h 이하, (ii) JIS K 7126B에 준거하여 측정된 산소 투과도가 10cm3/m2·24h·at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cm3/m2·24h·atm 이하, 및/또는 (iii) 자외가시 분광광도계(일본분광주식회사제, 품명: V-650)로 측정함으로써 행하는 광선투과 곡선의 90% 흡수 파장이 600nm 이하이다.
도 1~3에 도시되듯이,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포장 시트)(100)는 주로 다른 종류의 정제인 약제(T1~T3)를 수납하는 오목부(230)와, 상기 오목부(230)를 가지는 본체 시트(200)와, 상기 오목부(230)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본체 씰(200)의 적어도 일부에 씰되는 봉지 부재(300)로 구성된다.
약제(T1~T3)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질병의 치료나 예방을 목적으로 한 의약;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등의 영양 보급이나 함유 성분의 효능 발휘를 목적으로 한 보조제(supplement)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하, 제1의 실시형태의 각 구성에 대해 각각 상세하게 설명한다.
<오목부 및 본체 시트>
본체 시트(200)는, 도 1, 3에 도시되듯이, 주로 기층(210) 및 배리어층(220)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오목부(230)를 가진다. 또, 이 본체 시트(200)는 투명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지 부재(300)가 히트씰(heat seal)된 본체 시트(200)는 기층(210)측에서 봉지 부재(300)와 밀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성이란 본체 시트(200)를 통하여 봉지 부재(300)를 시인(視認)할 수 있을 정도로 투명하면 좋지만, JIS K 7361에 준거하여 측정된 전광선 투과율 80% 이상, 또 헤이즈(haze)치 30%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 시트(200)는 배리어층(220)을 구비하지 않고, 특정 기체 및/또는 광에 대해서 배리어성을 가지는 기층(210)만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본체 시트(200)의 두께는 30㎛ 이상 8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 6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이상 400㎛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체 시트(200)의 두께가 30㎛ 이상인 경우에 오목부(230)의 찌부러짐 또는 찢어짐이 생기기 어려워짐과 아울러, 본체 시트(200)의 배리어성이 향상된다. 또, 본체 시트(200)의 두께가 800㎛ 이하인 경우에 본체 시트(200)의 투명성이 향상된다.
기층(210)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폴리에스터계 수지, 각종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릴프탈레이트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 폴리에터술폰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셀룰로스계 수지 등의 각종 수지가 이용된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좋고, 복수의 종류를 공중합시켜 이용되어도 좋고, 복수의 종류를 블렌드(blend)시켜 이용되어도 좋고, 다층화시켜 이용되어도 좋다. 기층(210)의 두께는 30㎛ 이상 8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 및/또는 두께를 적용함으로써, 오목부(230)의 찌부러짐이나 본체 시트(200)의 예기치 못한 파단을 막을 수 있음과 아울러, 본체 시트(200)의 투명성이나 유연성이 손상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기층(210)을 형성하는 수지에 본 발명의 취지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활제, 안티블로킹(antiblocking)제, 대전방지제, 계면활성제, 염료, 안료, 난연제, 가소제, 결정조핵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배리어층(220)은 정제 포장체(100)의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특정 기체 및 광의 적어도 일방의 투과를 제한한다. 그 때문에 정제 포장체(100)는 수증기 및 자외선 등에 기인하는 약제(T1~T3)의 변질을 막을 수가 있어 약제(T1~T3)를 장기간 보관할 수가 있다. 특정 기체란 약제(T1~T3)에 악영향을 미치는 기체, 예를 들면 수증기 및 산소 등이다. 광이란 구체적으로 자외선 등이다.
특정 기체인 수증기를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배리어층(220)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과 같은 금속박, 유기 규소 화합물 또는 금속 산화물의 증착막층, 불소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트리플루오로에틸렌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 등의 수분 배리어성을 가지는 수지가 이용된다.
또한, 당해 수지에 수증기를 흡수하는 재료로서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백반 등을 이겨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수증기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포장 내부의 수분도 제거할 수가 있다.
이 배리어층(220)을 가지는 본체 시트(200)에 대한 투습도는 10g/m2·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g/m2·24h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본체 시트(200)의 투습도의 측정은 본체 시트(200)의 재료로 되는 시트(이하 「재료 시트」라고 한다)의 투습도를 JIS Z 0208에 준거하여 측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재료 시트의 두께는 오목부(230)가 형성되기 전의 본체 시트(200)의 두께와 같다.
특정 기체인 산소를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배리어층(220)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과 같은 금속박, 유기 규소 화합물 또는 금속 산화물의 증착막층,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에틸렌-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이 이용된다.
또, 산소를 흡수하는 재료로서 환원철, 아황산염 등의 무기 화합물에 필요에 따라 반응 촉진제로서 할로겐화 금속을 첨가한 것; 아스코브산, MXD 6 나일론, 이중 결합계 폴리머(불포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 시클로헥센기를 가지는 폴리머 등의 유기 화합물에 필요에 따라 반응 촉진제로서 전이금속 촉매(코발트염 등)를 첨가한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산소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포장 내부의 산소도 제거할 수가 있다.
이 배리어층(220)을 가지는 본체 시트(200)에 대한 산소 투과도는 10cm3/m2·24h·at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cm3/m2·24h·at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본체 시트(200)의 산소 투과도의 측정은 재료 시트의 산소 투과도를 JIS K 7126B에 준거하여 측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재료 시트의 두께는 오목부(230)가 형성되기 전의 본체 시트(200)의 두께와 같다.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배리어층(220)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 또는 안료를 함유하는 수지 박막 등이 이용된다. 이 배리어층(220)을 가지는 본체 시트(200)에 대한 광선투과 곡선의 90% 흡수 파장은 6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본체 시트(200)의 광선투과 곡선의 90% 흡수 파장의 측정은 본체 시트(200)의 재료 시트의 광선투과 곡선의 90% 흡수 파장을 자외가시 분광광도계(일본분광주식회사제, 품명: V-650)로 측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재료 시트의 두께는 오목부(230)가 형성되기 전의 본체 시트(200)의 두께와 같다.
특정 기체 및 광을 차단하는 배리어층(220)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투명 수지 필름에 산화알류미늄,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혹은 그들의 혼합물 등의 무기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증착 박막층이 형성된 것이 이용된다. 또한, 이 배리어층(220)에서는 필요에 따라 투명 수지필름 상에 투명 프라이머층이 형성되어도 좋고, 또는 증착 박막층 상에 가스 배리어 피막층이 형성되어도 좋다.
배리어층(220)이 수지층인 경우, 배리어층(220)의 두께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고, 8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 50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또, 배리어층(220)이 유기 규소 화합물,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증착막층인 경우, 배리어층(220)의 두께는 0.5nm 이상 4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230)는 약제(T1~T3)를 수납할 수가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용기 형상의 부분이고, 바닥재에 상당한다. 수납하는 약제(T1~T3)의 개수, 종류, 크기 등에 따른 형상 및 크기를 가지고, 예를 들면 원통형의 형상으로 직경 20mm, 깊이 10mm의 크기, 또는 각통형의 형상으로 세로 30mm, 가로 30mm, 깊이 4.5mm의 크기 등으로 형성된다. 다만, 오목부(230)는 1개로 떼어진 오목부(230)의 잘못하여 먹는 것 방지의 관점에서 직경 혹은 가로(세로)가 3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약제 관리가 보다 용이한 것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하나의 오목부(230)의 내부 공간에 환자가 1회당 복용하는 약제(T1~T3)가 수납된다. 즉, 약제(T1~T3)는 오목부(230)에 수납됨으로써 1포화된다. 이에 의해 환자가 약제의 개수나 종류를 잘못 알고 복용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오목부(230)로서 아침용, 낮용 및 밤용의 3종류의 것이 형성된다(도 1 참조). 예를 들면, 아침용의 오목부(230)에는 아침에 환자가 1회당 복용하는 약제(T1)가 1개, 약제(T2)가 2개 수납된다. 낮용의 오목부(230)에는 낮에 환자가 1회당 복용하는 약제(T3)가 1개 수납된다. 밤용의 오목부(230)에는 밤에 환자가 1회당 복용하는 약제(T1, T2, T3)가 1개씩 수납된다.
도 1에 도시되듯이, 정제 포장체(100) 표면의 윗부분에는 횡방향(W)을 따라 시간대를 나타내는 「아침」, 「낮」, 「밤」의 문자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복용의 처방에 따라 「취침전」 등을 추가해도 좋다. 또, 정제 포장체(100) 표면의 좌측 부분에는 종방향(H)을 따라 요일을 나타내는 「월」~ 「일」의 문자, 및 일자를 나타내는 「1/1」~ 「1/7」의 문자가 기재되어 있다. 이들 요일, 시간대 및 일자의 기재에 대응하도록 하여 오목부(230)는 횡방향(W)을 따라 3개씩, 종방향(H)을 따라 7개씩 배치된다. 정제 포장체(100) 표면의 요일, 시간대 및 일자의 문자는 봉지 부재(300)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어 투명성을 가지는 본체 시트(200)를 통하여 시인할 수 있다.
본체 시트(200)의 재료 시트는 예를 들면 T-다이 압출 성형, 인플레이션(inflation) 압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다. 오목부(230)는 예를 들면 본체 시트(200)의 재료 시트를 가열 프레스(press) 장치로 가열 프레스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본체 시트(200)와 봉지 부재(300)의 씰은 예를 들면 약제(T1~T3)가 수납된 본체 시트(200)에 봉지 부재(300)가 씰기로 히트씰됨으로써 행해진다. 이 본체 시트(200)와 봉지 부재(300)의 히트씰에 의해 오목부(230)의 개구가 봉지 부재(300)로 덮여 오목부(230)의 내부 공간이 밀봉된다.
<봉지 부재>
봉지 부재는 정제 포장체를 개봉할 때에 박리되는 부분으로서 정제 포장체의 덮개재에 상당한다. 도 2, 3에 도시되듯이, 봉지 부재(300)는 주로 기재층(310)과 이(易)박리층(330)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기재층(310), 접착제층(320), 이박리층(330) 및 히트씰층(340)으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 층(310, 320, 330, 340)은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 봉지 부재(300)는 젖힘부(350)와 강(强)씰부(박리 멈춤부)(360)와 슬릿(370)을 가진다(도 2 참조). 또, 본체 시트(200)에 히트씰된 봉지 부재(300)는 히트씰층(340)측에서 본체 시트(200)와 밀착되어 본체 시트(200)로부터 쉽게 박리 가능하다. 또, 봉지 부재(300)는 특정 기체(예를 들면 수증기나 산소 등) 및/또는 광에 대해서 배리어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310)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나일론 6, 나일론 66,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터이미드,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터술폰, 폴리페닐렌에터,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 등의 수지로 형성된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좋고, 복수의 종류를 공중합시켜 이용되어도 좋고, 복수의 종류를 블렌드시켜 이용되어도 좋다. 기재층(310)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때, 기재층(3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의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310)의 재료로서, 정제 포장체(100)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1축 방향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한 필름이 바람직하다. 기재층(310)의 두께는 12㎛ 이상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6㎛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 5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층(310)은 캘린더(calender) 성형, T-다이 압출 성형, 또는 인플레이션 압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다.
접착제층(320)은 필름 등의 피착체를 첩합(貼合)하기 위한 필름용 접착제로서 이용되는 공지의 접착제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액형의 접착제 수지의 경우, 접착제 수지의 재료로서는 구체적으로 에스터계 수지, 에터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2액형의 접착제 수지의 경우, 접착제 수지의 주제로서는 에스터계 수지 또는 에터계 수지를 들 수 있지만, 에스터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접착제 수지의 경화제로서는 방향족계 경화제, 지방족계 경화제를 들 수 있다. 또, 접착제 수지는 용제를 이용하여 취급되는 경우가 많고, 용제에 첨가되어 이용되는 경우에는 비수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320)은 가공 용이성 및 저비용화라는 점에서 코팅법 등에 의해 기재층(310) 상에 형성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이박리층은 오목부와 봉지재의 계면으로부터 벗겨지는 계면 박리 타입, 인접하는 층의 층간에서 벗겨지는 전사 박리 타입, 및 응집파괴함으로써 벗겨지는 응집 박리 타입의 어느 타입이라도 좋지만, 투명성, 밀봉성, 이(易)개봉성을 균형 있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층간 박리 타입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응집 박리 타입의 이박리 기능의 부여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수지,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수지,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수지,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A) 수지,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AA) 수지,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수지, 아이오노머(ION)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 및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과 폴리프로필렌(PP)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이용되는 PP 수지는 폴리프로필렌의 호모폴리머, 프로필렌-에틸렌의 랜덤 코폴리머, 및 프로필렌-에틸렌의 블록 코폴리머의 어느 타입이라도 좋다. 또, 이박리층은 오목부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박리층(330)은 적어도 1층으로 이루어지고, 봉지 부재(300)가 본체 시트(200)에 히트씰(열융착)될 때 쿠션층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 이박리층(330)의 구성에 의해 봉지 부재(300)가 본체 시트(200)로부터 박리될 때의 이박리성(이지필(easy peel)성)을 부여할 수가 있다.
이박리층(330)이 전사 박리 타입인 경우, 박리 초기에는 이박리층(330)과 접착제층(320)의 층간에서 박리되지만, 박리의 진행에 수반하여 이박리층(330)은 파단하고, 접착제층(320)에 전사되어 오목부(230)가 개구된다. 이 경우 이박리층(330)은 접착제층(320)과의 상성(相性)을 고려한 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박리층(330)의 재료로서 접착제층(320)에 전사하기 쉽고 또한 저비용의 재료가 이용되고, 올레핀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계 수지의 재료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박리층(330)의 재료로서 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쿠션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저온 씰성의 관점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엘라스토머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이박리층(330)이 응집파괴 박리 타입인 경우, 이박리층(330)의 층 내부가 응집파괴됨으로써 오목부(230)가 개구된다. 이러한 이박리층(330)의 주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등을 이용할 수가 있고,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수지,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수지,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수지,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A) 수지,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AA) 수지,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수지, 아이오노머(ION)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 및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과 폴리프로필렌(PP) 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여기서 이용되는 PP 수지는 폴리프로필렌의 호모폴리머, 프로필렌-에틸렌의 랜덤 코폴리머, 및 프로필렌-에틸렌의 블록 코폴리머의 어느 타입이라도 좋다.
또, 응집파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이박리층(330)의 재료에는 상기 주성분과 상용하기 어려운 부성분을 혼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성분으로서 스티렌계 수지,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아크릴스티렌 등이 이용된다.
이박리층(330)이 계면 박리 타입인 경우, 이박리층(330)과 오목부(230)의 계면에서 박리가 진행하여 오목부(230)가 개구된다. 이러한 이박리층(330)의 재료로서는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것 같은 성분을 들 수 있지만, 이박리성의 관점에서 첩합하는 상대재(오목부 또는 봉지 부재) 재료와의 상용성이 비교적 낮은 것이 이용된다.
이박리층(330)은 염가로 실시하기 쉽다고 하는 점에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공압출법 및 압출 라미네이트법 등에 의해 접착제층(320) 상에 형성된다.
히트씰시의 전열(傳熱) 및 박리 강도의 관점에서 이박리층(330)의 두께는 5㎛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히트씰층(340)의 재료로서 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터계 수지 등이 이용된다. 히트씰층(340)은 그라비어 코팅법 등에 의해 이박리층(330) 상에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되듯이, 젖힘부(350)는 봉지 부재(300)를 본체 시트(200)로부터 박리시킬 때 집는 개소이고, 이에 의해 봉지 부재(300)를 본체 시트(20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가 있다. 젖힘부(350)는 봉지 부재(300)가 본체 시트(200)에 히트씰될 때, 젖힘부(350)로 되는 개소(도 2의 옅은 회색 개소)를 히트씰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된다.
젖힘부(350)는 예를 들면 본체 시트(200)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오목부(230, 230) 사이로서 각 오목부(230)를 개재하여 강씰부(360)와 대치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면시(視)에 있어서 젖힘부(350)는 종방향(H)을 따라 밤용의 오목부(230)의 좌측 부분, 및 아침용의 오목부(230)와 낮용의 오목부(230) 사이에 형성된다.
강씰부(박리 멈춤부)(360)는 봉지 부재(300)를 본체 시트(200)로부터 박리시킬 때, 봉지 부재(300)의 박리를 적절한 위치에서 멈춘다. 강씰부(360)는 히트씰의 온도, 압력, 가열 시간 등을 조정하여, 강씰부(360)로 되는 개소(도 2의 진한 회색 개소)가 다른 개소(봉지 부재(300)의 강씰부(360)를 제외한 부위)보다 본체 시트(200)에 강하게 씰됨으로써 형성된다. 그 때문에 강씰부(360)는 본체 시트(200)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지 않는다. 또, 강씰부(360)는 서로 이웃하는 오목부(230, 230) 사이로서 오목부(230)를 개재하여 젖힘부(350)와 대치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구체적으로는 도 2의 평면시에 있어서 종방향(H)을 따라 낮용의 오목부(230)와 밤용의 오목부(230) 사이 및 요일의 기재와 아침용의 오목부(230) 사이에 형성된다.
슬릿(370, 371)은 예를 들면 슬리터(slitter) 장치를 이용하여 봉지 부재(300)에 형성된 벤 자국이고, 이에 의해 봉지 부재(300)를 본체 시트(20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가 있다. 슬릿(370)은 서로 이웃하는 오목부(230, 230) 사이에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슬릿(370, 370)은 오목부(230)를 개재하여 대치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릿(370)은, 도 2의 평면시에 있어서 횡방향(W)을 따라 모든 오목부(230)끼리의 사이, 및 문자 표시의 시간대 기재와 오목부(230) 사이에 형성된다. 슬릿(371)은 슬릿(370)과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릿(371)은, 도 2의 평면시에 있어서 종방향(H)을 따라 아침용의 오목부(230)와 낮용의 오목부(230) 사이에 있는 젖힘부(350)를 반으로 분할하도록 하여 형성된다.
환자는 슬릿(370)을 따라 봉지 부재(300)를 박리할 수가 있고, 또한 강씰부(360)에서 박리를 멈출 수가 있다. 따라서, 정제 포장체(100)에서는 환자는 소망의 오목부(230)만을 개봉할 수가 있다. 또, 오목부(230)를 개봉할 때에 봉지 부재(300)가 본체 시트(200)로부터 떼어지지 않기 때문에 잘못하여 먹는 것 방지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봉지 부재(300)의 표면에는 상술한 것처럼 요일, 시간대 및 일자가 인쇄되어 있다(도 1 참조). 또, 도 2에 도시되듯이, 봉지 부재(300) 이면의 윗부분에도 횡방향(W)을 따라 시간대를 나타내는 「아침」, 「낮」, 「밤」의 문자가 인쇄되어 있다. 봉지 부재(300) 이면의 우측 부분에는 종방향(H)을 따라 요일을 나타내는 「월」~ 「일」의 문자, 및 일자를 나타내는 「1/1」~ 「1/7」의 문자가 인쇄되어 있다. 봉지 부재(300) 이면의 오목부(230)를 덮는 부분에는 각 오목부(230)에 수납된 약제(T1~T3)를 복용하는 시간대를 나타내는 「아침」, 「낮」, 「밤」을 나타내는 그림이 인쇄되어 있다.
<정제 포장체 공급의 흐름>
(제1의 케이스)
정제 포장체 메이커는 제조한 본체 시트(200)의 재료 시트를 분포기(分包機) 메이커에 공급한다. 분포기 메이커는 본체 시트(200)의 재료 시트, 봉지 부재(300), 씰기, 및 가열 프레스 장치를 병원 및 조제 약국 등에 공급한다. 병원 및 조제 약국 등은 본체 시트(200)의 재료 시트를 가열 프레스 장치로 가열 프레스하여 오목부(230)를 형성하고 본체 시트(200)를 얻는다. 그리고, 병원 및 조제 약국 등은 약제(T1~T3)를 수납한 본체 시트(200)에 봉지 부재(300)를 씰기로 히트씰하여 정제 포장체(100)를 얻는다. 또한, 분포기 메이커는 본체 시트(200)를 형성하여 본체 시트(200), 봉지 부재(300), 및 씰기를 병원 및 조제 약국 등에 공급해도 좋다.
(제2의 케이스)
정제 포장체 메이커는 제조한 본체 시트(200)의 재료 시트를 병원 및 조제 약국 등에 직접 공급한다. 분포기 메이커는 봉지 부재(300), 씰기, 및 가열 프레스 장치를 병원 및 조제 약국 등에 공급한다. 병원 및 조제 약국 등은 본체 시트(200)의 재료 시트를 가열 프레스 장치로 가열 프레스하여 오목부(230)를 형성하고 본체 시트(200)를 얻는다. 그리고, 병원 및 조제 약국 등은 약제(T1~T3)를 수납한 본체 시트(200)에 봉지 부재(300)를 씰기로 히트씰하여 정제 포장체(100)를 얻는다. 또한, 분포기 메이커가 아니라 정제 포장체 메이커가 봉지 부재(300)를 병원 및 조제 약국 등에 직접 공급해도 좋다.
(제3의 케이스)
정제 포장체 메이커는 제조한 본체 시트(200) 및 봉지 부재(300)를 분포기 메이커에 공급한다. 분포기 메이커는 씰기를 병원 및 조제 약국 등에 공급한다. 병원 및 조제 약국 등은 약제(T1~T3)를 수납한 본체 시트(200)에 봉지 부재(300)를 씰기로 히트씰하여 정제 포장체(100)를 얻는다. 또한, 정제 포장체 메이커가 아니라 분포기 메이커가 봉지 부재(300)를 병원 및 조제 약국 등에 공급해도 좋다.
(제4의 케이스)
정제 포장체 메이커는 제조한 본체 시트(200), 봉지 부재(300) 및 씰기를 병원 및 조제 약국 등에 공급한다. 병원 및 조제 약국 등은 약제(T1~T3)를 수납한 본체 시트(200)에 봉지 부재(300)를 씰기로 히트씰하여 정제 포장체(100)를 얻는다.
상기 제1~4의 케이스에 있어서 기재되는 병원 및 조제 약국은 예를 들면 의약품 메이커나 식품 메이커 등일 수도 있다.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효과>
정제 포장체(100)는 1개의 오목부(230)에 복수개의 약제(T1~T3)를 수납함으로써 약제(T1~T3)를 1포화할 수가 있다. 또, 정제 포장체(100)는 상기 본체 시트(200) 및/또는 상기 봉지 부재(300)가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특정 기체 및 광의 적어도 일방의 투과를 제한하는 배리어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보관 중에 약제(T1~T3)가 변질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정제 포장체(100)는 약제(T1~T3)를 장기간 보관할 수가 있다.
정제 포장체(100)에서는 봉지 부재(300)는 본체 시트(200)로부터 쉽게 박리 가능하도록 본체 시트(200)에 씰된다. 그 때문에 노인 또는 손끝이 부자유스러운 환자는 정제 포장체(100)로부터 약제(T1~T3)를 용이하게 꺼낼 수가 있다.
정제 포장체(100)에 오목부(230)에 수납된 약제(T1~T3)를 복용하는 요일, 시간대 및 일자의 적어도 하나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환자는 약제(T1~T3)를 복용하는 시기를 잘못 알기 어렵다. 또, 정제 포장체(100)에서는 의사, 약제사, 간호사, 환자의 가족, 간병인 등은 비어 있는 오목부(230)에 대응하는 일자 등의 문자 기재를 확인함으로써 환자(약제의 복용자)가 약제(T1~T3)를 복용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가 있고, 또한 환자가 약제(T1~T3)를 복용한 시기를 확인할 수가 있다.
본체 시트(200)의 두께가 30㎛ 이상 800㎛ 이하일 때 본체 시트(200)는 양호한 강성을 가진다. 그 때문에 정제 포장체(100)는 외부로부터의 힘으로 파손하기 어렵다. 따라서, 정제 포장체(100)는 정제 포장체(1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커버 등을 이용하지 않고 포켓 및 가방 등에 그대로 넣어 운반할 수가 있는 등 편리성이 뛰어난 것으로 된다.
정제 포장체(100)는 상기 본체 시트(200) 및/또는 상기 봉지 부재(300)가 투명성을 가지는 경우에, 수납된 약제(T1~T3)를 시인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정제 포장체(100)는 병원 및 조제 약국 등에 있어서 약제(T1~T3)의 인도 실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변형예>
(A1)
도 4에 도시되듯이, 정제 포장체(포장 시트)(100a)의 본체 시트(200a)는 구획부(240)로 구획된 복수의 구획을 가지는 오목부(231, 232)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오목부(231)는 1개의 약제(T1)를 수납하는 구획, 및 2개의 약제(T2)를 수납하는 구획의 2개의 구획을 가진다. 오목부(232)는 1개의 약제(T1)를 수납하는 구획, 1개의 약제(T2)를 수납하는 구획, 및 1개의 약제(T3)를 수납하는 구획의 3개의 구획을 가진다. 또한, 오목부(231, 232)의 구획부(240)는 봉지 부재(300)에 히트씰되어도 좋고, 히트씰되지 않아도 좋다.
정제 포장체(100a)는 각 구획에 다른 종류의 약제(T1~T3)를 각각 수납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정제 포장체(100a)는 다른 종류의 약제(T1~T3)가 서로 직접 접촉하여 반응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정제 포장체(100a)는 보관 중에 약제(T1~T3)가 변질되는 것을 억제한다.
(B1)
도 5에 도시되듯이, 정제 포장체(포장 시트)(100b)의 본체 시트(200b)는 평면시에 있어서 환형의 형상인 아침용의 오목부(230), 삼각형의 형상인 낮용의 오목부(233), 및 사각형의 형상인 밤용의 오목부(234)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정제 포장체(100b)에서는 오목부(230, 233, 234)의 형상이 각각 다르다. 그 때문에 환자는 약제(T1~T3)를 복용하는 시기를 보다 확인하기 쉽다.
(C1)
도 6에 도시되듯이, 정제 포장체(100c)의 봉지 부재(300c)는 강씰부(360)를 대신하여, 오목부(230)를 개재하여, 슬릿(370)과 직교하고, 슬릿(371)과 대치하도록 종방향(H)을 따라 형성되는 벤 자국인 슬릿(372)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슬릿(372)은 평면시에 있어서 낮용의 오목부(230)와 밤용의 오목부(230) 사이, 및 요일의 기재와 아침용의 오목부(230) 사이에 형성된다. 각 오목부(230)의 주위에 슬릿(370, 371, 372)이 설치됨으로써 봉지 부재(300c)는 각 오목부(230)에 대응하도록(각 오목부(230)마다) 분할된다.
환자는 슬릿(370)을 따라 봉지 부재(300c)를 박리할 수가 있고, 또한 박리시킨 봉지 부재(300c)를 슬릿(372)에 의해 정제 포장체(100c)로부터 떼어낼 수가 있다. 따라서, 정제 포장체(100c)에서는 환자는 소망의 오목부(230)만을 개봉할 수가 있다.
(D1)
봉지 부재(300)는 접착제층(320) 및 이박리층(330)을 구비하지 않고, 기재층(310) 및 히트씰층(340)의 2층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E1)
정제 포장체(100)에서는 오목부(230)의 개수는 단수라도 좋다. 또, 오목부(230)는 정제 포장체(100)의 요일 등의 기재에 대응하게 되어 있으면, 횡방향(W) 및 종방향(H)을 따라 임의의 개수씩 배치되어도 좋다.
(F1)
정제 포장체(100)에서는 하나의 오목부(230)에 수납되는 약제(T1~T3)의 개수는 복수이다. 또, 하나의 오목부(230)에 수납되는 약제(T1~T3)의 종류는 1종이라도 좋고 복수종이라도 좋다. 또, 약제(T1~T3)는 정제를 대신하여 캡슐제, 환약, 또는 과립제 등이라도 좋다.
(G1)
정제 포장체(100)에서는 약제(T1~T3)를 복용하는 요일, 시간대 및 일자의 적어도 하나가 오목부(230)에 각각 대응하도록 하여 기재되어 있으면 좋다. 또, 본체 시트(200) 및 봉지 부재(300)의 적어도 일방에 오목부(230)에 수납된 약제(T1~T3)를 복용하는 요일 등이 기재되어 있으면 좋다.
(H1)
정제 포장체(100)에서는 본체 시트(200) 및 봉지 부재(300)의 적어도 일방이 특정 기체 및 광의 적어도 일방에 대해서 배리어성을 가지고 있으면 좋지만, 본체 시트(200) 및 봉지 부재(300)의 양방이 특정 기체 및 광의 양방에 대해서 배리어성을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체 시트(200)와 봉지 부재(300)의 적어도 일방이 투명성을 가지고 있으면 좋지만, 적어도 본체 시트(200)가 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1)
봉지 부재(300)가 아니라 본체 시트(200)가 접착제층(320), 이박리층(330), 및 히트씰층(340)이라고 하는 히트씰에 필요한 층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본체 시트(200)가 봉지 부재(300)에 히트씰된다.
(J)
포장 시트(100)는, 봉지 부재(300)를 본체 시트(200)로부터 쉽게 박리시키고 나서 약제(T1~T3)를 꺼내는 것에 대신하여, 봉지 부재(300)를 찢고 나서 약제(T1~T3)를 꺼내는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에 대해 설명하지만,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제 포장체(포장 시트)(400)는, 도 7~9에 도시되듯이, 주로 본체 시트(410) 및 봉지 부재(420)로 구성된다. 이하, 정제 포장체(400)의 각 구성에 대해 각각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 시트>
본체 시트(410)는 롤상으로 감기 가능한 띠상, 즉 폭이 일정한 긴 시트이고, 중공 원통상으로 감을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 포장체는 보관 또는 반송시에 롤상으로 감을 수가 있기 때문에 간극이 작아져 공간 절약화된다. 이 때문에 보관 또는 반송시의 비용을 삭감할 수가 있다.
본체 시트(410)는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8에 도시되듯이, 주로 기층(411) 및 배리어층(412)으로 구성된다. 기층(411) 및 배리어층(412)은 각각 상기 제1의 실시형태의 기층(210) 및 배리어층(220)과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배리어층(220)은 수증기 배리어층 또는 산소 배리어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시트(410)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30㎛ 이상 800㎛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이상 6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 이상 400㎛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체 시트(41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오목부(413)의 찌부러짐 또는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본체 시트(410)에 양호한 배리어성을 부여할 수가 있다. 한편, 본체 시트(410)의 두께가 800㎛보다 두꺼운 경우, 정제 포장체(400) 또는 본체 시트(410)는 롤상으로 감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도 7, 9에 도시되듯이, 본체 시트(410)는 오목부(413), 평판부(414) 및 슬릿(415)을 가진다.
오목부(413)는, 도 7, 8에 도시되듯이, 본체 시트(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연속하여 복수 설치된다. 후술하는 릴(500)을 이용하지 않고 정제 포장체(400)를 감는 경우, 복수의 오목부(413)가 등간격으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일정한 간격으로 본체 시트(410)가 절곡되므로, 정제 포장체(400)는 롤상으로 감기 쉬워진다.
오목부(413)는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약제의 개수, 종류, 크기에 의해 임의의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오목부(413)는 예를 들면 환자가 1회당 복용하는 약제(T10)를 2개, 약제(T20)를 1개 수용 가능하도록, 바닥벽을 가지는 각통형의 형상으로, 세로 30mm, 가로 30mm, 깊이 4.5mm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 오목부(413)에서는 약제(T10, T20)가 오목부(413)의 바닥벽의 평면 상에 나란히 수용된다. 또한, 약제(T20)는 약제(T10)와 다른 종류의 약제라도 좋고, 동일 종류의 약제라도 좋다. 또, 약제(T10, T20)는 정제, 캡슐제 또는 과립제 등이다.
슬릿(415)은, 도 7, 9에 도시되듯이, 각 오목부(413)간의 평판부(414)에 설치된다. 이 슬릿(415)은 본체 시트(410) 및 봉지 부재(420)를 관통한 미싱눈 형상의 벤 자국이다. 구체적으로 슬릿(415)은 띠상의 본체 시트(410)의 폭방향을 따라 벤 자국이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형성됨으로써 설치된다. 소정의 간격이란 정제 포장체(400)에 외력을 가했을 때 정제 포장체(400)가 의도한 슬릿(415)에서 갈라지도록 설계된 간격이다.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슬릿(415, 415)의 간격은 오목부(413)의 크기에 의해 적당히 설정된다.
<봉지 부재>
봉지 부재(420)는, 도 8에 도시되듯이, 주로 밀착층(접착제층)(421) 및 배리어층(42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태양에 있어서의 밀착층(421)은 이박리층으로서도 기능한다. 배리어층(422)은 수증기 배리어층 또는 산소 배리어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봉지 부재(420)는 본체 시트(410)에 부착되었을 때 오목부(413)의 개구를 덮도록 본체 시트(410)에 밀착되어 있다. 이때 봉지 부재(420)의 밀착층(421)은 본체 시트(410)의 기층(411)에 밀접(密接)되어 있다. 이 봉지 부재(420)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 이상 1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상 5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밀착층(421)은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이들의 금속 가교물, 메틸펜텐 폴리머, 폴리부텐 폴리머,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으로 변성한 산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폴리(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등의 수지로 형성된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좋고, 복수의 종류를 공중합시켜 이용되어도 좋고, 복수의 종류를 블렌드시켜 이용되어도 좋다.
밀착층(421)을 형성하는 수지에는 본 발명의 취지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활제, 안티블로킹제, 대전방지제, 계면활성제, 염료, 안료, 난연제, 가소제, 결정조핵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기층(411)이나 밀착층(421)을 형성하는 수지에 상술의 첨가제를 첨가하는 경우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밴버리 믹서, 니더, 롤 등의 배치식 혼련기나,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캘린더롤 등의 연속식 혼련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들 방법 중에서도 진공탈기 장치를 구비한 2축 혼련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체 시트(410) 및 봉지 부재(420)는 상술의 수지를 T-다이 압출 성형, 인플레이션 압출 성형, 캘린더 성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배리어층(422)은 본체 시트(410)의 배리어층(412)과 마찬가지로, 특정 기체(예를 들면 대기 중의 수증기)나 광이 오목부(413)의 내부 공간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층이다. 이 422는 본체 시트(410)의 배리어층(412)과 마찬가지의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가 있다. 또, 배리어층(422)의 두께는 본체 시트(410)의 배리어층(412)과 마찬가지의 두께로 할 수가 있다.
<정제 포장체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400)는 공지의 PTP(Press Through Package) 시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우선, 본체 시트(410)를 주지의 PTP 성형 장치로 가열 프레스한다. 이 가열 프레스에 의해 본체 시트(410)에 오목부(413)가 형성된다.
다음에, 본체 시트(410)의 오목부(413)의 내부 공간에 환자가 1회당 복용하는 약제(T10)를 2개, 약제(T20)를 1개 수용한다. 그리고, 약제(T10, T20)를 수용한 본체 시트(410)에 봉지 부재(420)를 열융착시켜 부착하여 오목부(413)의 내부 공간을 밀봉한다. 또한, 오목부(413)에 수용되는 약제의 개수는 복수이다. 또, 오목부(413)에 수용되는 약제의 종류는 단수라도 좋고 복수라도 좋다. 오목부(413)에 수용되는 약제의 개수 및 종류의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면 어느 병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처방되고, 그 병의 환자라면 누구라도 복용할 수 있는 조합이 재고 관리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슬리터 장치로 본체 시트(410)와 봉지 부재(420)에 슬릿(415)을 형성한다. 또한, 이들 일련의 작업은 연속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정제 포장체의 보관 및 반송>
(공장에서 약제가 수용되는 경우)
공장에 있어서 약제(T10, T20)가 정제 포장체(400)에 수용되는 경우, 공장에 있어서 약제(T10, T20)가 수용된 정제 포장체(400)는 릴(500)에 감긴 상태로 보관되어 약국 또는 병원 등으로 반송된다(도 7 참조). 정제 포장체(400)는 롤상으로 감김으로써, 당해 정제 포장체(400)끼리가 서로 덮여 봉지 부재(420)를 보호함으로써 봉지 부재(420)가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정제 포장체(400)는 릴(500)을 이용하지 않고 롤상으로 감겨도 좋다.
약국 또는 병원 등에 있어서 릴(500)로부터 정제 포장체(400)가 인출되어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필요한 수의 오목부(413)가 붙은 정제 포장체(400)가 슬릿(415)에서 절취된다. 환자는 이 절취된 정제 포장체(400)를 받아 복용할 때까지 보관한다. 환자는 복용하는 시간대에 봉지 부재(420)를 찢어 정제 포장체(400)로부터 꺼낸 약제(T10, T20)를 복용한다. 또, 환자는 운반에 필요한 수의 오목부(413)가 붙은 정제 포장체(400)를 슬릿(415)에서 절취할 수가 있으므로 약제(T10, T20)의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
(약국 또는 병원 등에서 약제가 수용되는 경우)
약국 또는 병원 등에서 약제(T10, T20)가 정제 포장체(400)에 수용되는 경우, 공장에 있어서 본체 시트(410)만이 릴(500)에 감겨 보관된다. 릴(500)에 감긴 본체 시트(410)는 약국 또는 병원 등으로 반송된다. 또, 봉지 부재(420) 및 약제(T10, T20)는 본체 시트(410)와는 별도로 약국 또는 병원 등으로 반송된다.
도 10에 도시되듯이, 약국 또는 병원 등에 있어서 릴(500)로부터 필요한 수만큼 인출된 오목부(413)에 약제(T10, T20)를 수용한다. 그리고, 약제(T10, T20)를 수용한 부분의 본체 시트(410)에 봉지 부재(420)를 열융착시킨다. 그 후 슬릿(415)을 띠상의 본체 시트(410)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한다.
약국 또는 병원 등에 있어서는 약제(T10, T20)를 수용한 정제 포장체(400)는 재고로서 만들어 두어 보관해도 좋고,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그때마다 만들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400)는 대량의 당해 정제 포장체(400)를 보관 또는 반송할 때, 롤상으로 감긴 상태로 함으로써 간극이 작아져 공간 절약화된다. 이와 같이 정제 포장체(400)는 공간 절약으로 보관 또는 반송을 행할 수가 있으므로 보관 또는 반송할 때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 정제 포장체(400)는 오목부(413)의 내부 공간이 밀봉되어 있으므로, 배리어성이 높고 약제(T10, T20)를 장기간 보관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400)에서는 환자가 약제를 복수개 동시에 복용하는 경우, 1회로 복용하는 복수개의 약제(T10)가 하나의 오목부(413)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환자가 약제(T10)의 개수를 잘못 알고 복용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또한, 환자는 정제 포장체로부터 약제(T10)를 꺼내는 작업을 1회 행함으로써 복수개의 약제(T10)를 한 번에 꺼낼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환자는 정제 포장체(400)로부터 복수개의 약제(T10)를 용이하게 꺼낼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400)에서는, 환자가 약제를 복수종 동시에 복용하는 경우, 1회로 복용하는 복수종의 약제(T10, T20)가 하나의 오목부(413)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환자가 약제(T10, T20)의 종류를 잘못 알고 복용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또한, 환자는 정제 포장체(400)로부터 약제(T10, T20)를 꺼내는 작업을 1회 행함으로써 복수종의 약제(T10, T20)를 한 번에 꺼낼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환자는 정제 포장체로부터 복수종의 약제(T10, T20)를 용이하게 꺼낼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400)는 슬릿(415)에 의해 필요한 수의 오목부(413)가 붙은 정제 포장체(400)를 절취할 수가 있으므로, 운반 등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변형예>
(A2)
도 11에 도시되듯이, 정제 포장체(400a)의 본체 시트(410a)에서는 오목부(413a)는 복수개의 동일 종류의 약제가 깊이 방향으로 포개어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가 있다. 오목부(413a)의 크기는 수용되는 약제의 크기에 따라 적당히 설정되지만, 예를 들면 세로 10mm, 가로 10mm, 깊이 13.5mm의 크기로 형성되어 3개의 약제(T10)가 오목부(413a)의 깊이 방향으로 포개어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복수개의 동일 종류의 약제를 패키지(package)할 때의 공간 절약화를 보다 촉진할 수가 있다.
오목부(413a)가 형성되기 전의 본체 시트(410a)의 두께는 오목부(413a)를 형성할 때의 연신 배율 및 정제 포장체(400a)의 배리어성을 고려하면, 예를 들면 90㎛ 이상 800㎛ 이하가 바람직하다.
(B2)
도 12에 도시되듯이, 정제 포장체(400b)는 오목부(413b)가 폭방향으로 2열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오목부(413b)는 바닥벽을 가지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예를 들면 직경 30mm, 깊이 4.5mm의 크기로 형성된다. 또, 오목부(413b)에서는 약제(T10, T20)가 오목부(413b) 바닥벽의 평면 상에 나란히 수용된다.
또한, 오목부(413b)는 바닥벽을 가지는 삼각통형 또는 타원통형 등으로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또, 오목부(413b)는 본체 시트의 폭방향으로 3열 이상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때 오목부(413b)는 약제(T10, T20)가 오목부(413b)의 깊이 방향으로 포개어 수용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직경 10mm, 깊이 13.5mm의 크기로 형성되어도 좋다.
(C2)
배리어층(412, 422)은 각각 단층 구조, 혹은 복층 구조(예를 들면 수증기 배리어층과 산소 배리어층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로 할 수가 있다. 혹은 본체 시트(410)는 배리어층(412)을 구비하지 않고 기층(411)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배리어층(422)으로서 고방습성을 가지는 알루미늄박을 구비하는 경우, 봉지 부재(420)의 두께는 10㎛ 이상 50㎛ 이하가 바람직하다.
(D2)
밀착층(421)은 봉지 부재(420)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본체 시트(410)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밀착층(421)은 기층(411)의 배리어층(412)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에 배치된다. 또, 봉지 부재(420)는 배리어층(422)만으로 된다.
(E2)
오목부(413)를 설치하는 간격은 등간격이 아니고, 좁은 간격과 넓은 간격이 교호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 등이라도 좋다.
(F2)
슬릿(415)의 벤 자국은 본체 시트(410)를 관통하고 있지 않는 것, 예를 들면 벤 자국의 깊이가 본체 시트(410) 두께의 반 정도의 것(half cut) 등이라도 좋다.
-제3의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포장 시트)(400c)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400)는 PTP 포장의 것이었지만, 이 제3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400c)는 이박리 포장(이지필(easy peel) 포장)의 것인 점에서 상위하다. 또한, 상기 제2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2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당히 그 설명을 생략한다.
<봉지 부재>
도 13에 도시되듯이, 정제 포장체(400c)의 봉지 부재(420c)는 주로 기재층(423)과 이박리층(425)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층(424), 이박리층(425) 및 히트씰층(426)으로 구성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층(424), 이박리층(425) 및 히트씰층(426)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들 봉지 부재(420c)의 각 구성에 대해서는 제1의 실시형태의 기재층(310), 접착제층(320), 이박리층(330), 및 히트씰층(340)과 마찬가지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재층(423)의 두께는 12㎛ 이상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16㎛ 이상 2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 25㎛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정제 포장체의 제조 방법>
상기 제2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오목부(413)가 형성된 본체 시트(410)를 얻는다. 다음에, 본체 시트(410)의 오목부(413) 내부 공간에 예를 들면 환자가 1회당 복용하는 약제(T10, T20)를 수용한다. 그리고, 약제(T10, T20)를 수용한 본체 시트(410)에 봉지 부재(420c)를 열융착시켜 부착하여 오목부(413)의 내부 공간을 밀봉한다. 마지막으로, 슬리터 각인 장치로 본체 시트(410)와 봉지 부재(420c)에 슬릿(415)을 형성하여 정제 포장체(400c)를 얻는다. 또한, 이들 일련의 작업은 연속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400c)에서는, 봉지 부재(420c)는 본체 시트(410)로부터 쉽게 박리되도록 본체 시트(410)에 밀착되므로, 환자는 정제 포장체(400c)로부터 약제(T10, T20)를 용이하게 꺼낼 수가 있다.
<변형예>
(A3)
봉지 부재(420c)는 이박리층(425)이 씰 기능을 가지는 경우 히트씰층(426)을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정제 포장체는 롤상으로 감긴 상태로 보관 또는 반송함으로써 간극이 작아져 공간 절약화된다. 이 때문에 보관 또는 반송할 때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이하, 제4의 실시형태의 정제 포장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형태의 정제 포장체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적당히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4의 실시형태의 정제 포장체는 상기 봉지 부재가 선씰에 의해 상기 오목부를 봉지하고 있다. 여기서 선씰이란 포장체의 투입구 또는 인출구의 가장자리를 봉지 부재에 의해 선상(線狀)으로 봉지하는 방법이다. 선씰하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가장자리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법, 봉지 부재를 히트씰로 봉지할 때에 씰대에 선씰의 형상으로 돌기를 제작하여 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선씰에 의해 봉지함으로써 정제를 주위의 환경에 의하지 않고 안정하게 보관할 수가 있어 정제 포장체 내의 정제의 산화나 열화를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복수의 정제, 캡슐, 보조제 등을 포장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을 확보할 수가 있고, 정제를 꺼내는 작업을 한 번 행함으로써 필요한 복수종의 정제를 한 번에 꺼낼 수가 있고, 환자가 약제의 종류를 잘못 알고 복용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한편, 선씰의 폭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봉지 부재의 박리 강도를 조절할 수가 있어, 노인 또는 손끝이 부자유스러운 환자라도 용이하게 정제를 꺼낼 수가 있다.
또, 상기 정제 포장체는 개봉 개시시(개봉 개시 지점)의 박리 강도를 개봉 도중(개봉 도중 지점)의 박리 강도보다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봉 개시시의 박리 강도를 낮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봉지 부재를 박리할 수가 있다. 따라서, 노인 또는 손끝이 부자유스러운 환자, 힘이 약한 사람이라도 확실히 봉지 부재의 박리를 개시할 수가 있다. 그리고, 한 번 개봉하기 시작한 경우에는 박리 각도나 박리에 걸린 힘을 유지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개봉 도중의 박리 강도가 개봉 개시의 박리 강도보다 높아도 용이하게 개봉을 행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정제(약제)를 꺼낼 수가 있고, 또한 정제 포장체의 충분한 밀폐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여기서 개봉 개시시의 박리 강도란 개봉 개시 부분의 박리 강도이다. 또, 개봉 개시 부분의 박리 강도란, 후술하는 봉지 부재와 오목부의 접착부이면서 후술하는 잡는 부분(젖힘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에 상당하고, 예를 들면 도 16~도 20에 있어서의 접착부(606b)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에 상당한다. 한편, 개봉 도중의 박리 강도란, 개봉 개시 이후의 박리 강도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후술하는 봉지 부재와 오목부의 접착부의, 잡는 부분의 가장자리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에 상당하고, 예를 들면 도 16~도 20에 있어서의 접착부(606a)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에 상당한다.
여기서 개봉 개시시의 박리 강도는 0.001N 이상 6N 이하가 바람직하고, 0.009N 이상 3N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인 것에 의해, 보관시에 잘못 알고 개봉되는 것을 충분히 막을 수가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인 것에 의해, 노인 또는 손끝이 부자유스러운 환자, 힘이 약한 사람이라도 확실히 개봉이 가능하다. 한편, 개봉 도중의 박리 강도는 0.003N 이상 30N 이하가 바람직하고, 0.01N 이상 15N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인 것에 의해, 노인 또는 손끝이 부자유스러운 환자, 힘이 약한 사람이라도 확실히 개봉이 가능해짐과 아울러, 정제 포장체의 충분한 밀폐성을 확보하여 예기치 못한 개봉을 막을 수가 있다. 상기의 박리 강도는 180도 필(peel)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단위당 밀착력(필 강도)에 박리폭(박리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의 접착폭)을 곱한 값이다.
또, 박리 강도가 개봉 도중에 상승함으로써 봉지 부재를 오목부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기 때문에 환자가 봉지 부재를 잘못하여 먹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박리 강도의 설계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오목부(본체 시트)와 봉지 부재를 접착시키고 있는 접착제의 두께에 차를 두는 것 같은 설계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개봉 개시 지점의 접착 영역(봉지 부재가 본체 시트에 접착하는 영역)의 폭을 A로 하고, 개봉 종료 지점의 접착 영역(봉지 부재가 본체 시트에 접착하는 영역)의 폭을 B로 했을 때, A<B를 만족하도록 오목부(본체 시트)와 봉지 부재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에 있어서 개봉 종료 지점으로서 접착부(605)(박리 멈춤부)가 설치되는 지점이 나타나 있지만, 정제(약제)의 투입이나 인출 등의 취급성의 관점에서, 오목부(603a)의 전표면적의 3/4 이상을 개구하는 지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접착제의 조성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 개봉 도중의 박리 강도보다 개봉 개시의 박리 강도를 작게 할 수가 있다. 이러한 설계로 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오목부 전체를 덮는 크기의 봉지 부재를 이용하여 오목부의 가장자리 부분을 선씰에 의해 봉지하는 방법이나, 봉지 부재를 미리 오목부에 있어서의 정제를 투입하는 부분보다도 한층 큰 형상으로 설계하여 오목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선씰에 의해 봉지하는 방법이나, 오목부 전체를 봉지 부재로 봉지하고, 오목부에 있어서의 정제를 투입하는 부분보다도 한층 큰 형상으로 봉지 부재에 잘림눈을 넣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A는 0.1mm 이상 10mm 이하가 바람직하고, 0.5mm 이상 5m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인 것에 의해, 상기 정제 포장체를 충분히 밀폐할 수가 있어 봉지 후의 상기 정제 포장체의 보관시에 봉지 부재가 의도하지 않게 박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한치 이하인 것에 의해, 개봉 개시시의 박리 강도를 낮게 할 수가 있어 노인 또는 손끝이 부자유스러운 환자, 힘이 약한 사람이라도 확실히 개봉이 가능하다. 한편, B는 20mm 이상 50mm 이하가 바람직하고, 30mm 이상 40m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이내인 것에 의해, 개봉 종료시의 박리 강도가 충분히 강해져 봉지 부재를 오목부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기 때문에 환자가 봉지 부재를 잘못하여 먹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정제 포장체는 상기 봉지 부재가 상기 오목부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있어서 박리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봉지 부재를 오목부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기 때문에 환자가 봉지 부재를 잘못하여 먹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정제 포장체가 복수 연접되어 형성되는 정제 포장체의 집합체에는 상기 오목부가 복수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마다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도록 본체 시트 및 봉지 부재에 홈 또는 잘림눈이 설치되어, 상기 오목부마다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복수의 오목부의 오목부마다 주위에 홈 또는 잘림눈이 설치되므로 오목부마다 분리할 수가 있다. 또, 필요한 개수 또는 자유로운 개수를 가지고 다닐 수가 있어 편리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오목부마다의 크기는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인체의 인후의 통과가 곤란한 크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정제 포장체를 잘못하여 먹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잘림눈의 설계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미싱눈 혹은 하프컷 등이 있다.
상기 정제 포장체는 복수개의 오목부와 복수개의 봉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마다 봉지 부재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오목부마다 개봉을 행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봉지 부재의 박리시 또는 오목부의 분리시에 의도하지 않는 오목부의 봉지 부재를 박리해 버리는 것을 막을 수가 있어, 정제 포장체 내의 정제의 산화나 열화를 억제할 수가 있다.
상기 정제 포장체는 오목부의 높이(깊이)가 가장 높은 정제 1개분의 높이 이상이고 가장 낮은 조합의 정제 2개분의 높이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정제가 오목부 내에 있어서 포개지는 일이 없다. 즉, 오목부 내의 정제의 유무 검사를 화상 처리화하는 경우라도 정제의 개수 또는 정제의 결손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상기 정제 포장체는, 상기 봉지 부재가 권회성을 가지고, 오목부로부터 봉지 부재를 박리할 때에 봉지 부재가 오목부와 반대 방향으로 휜 형상 또는 말린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개봉 후의 봉지 부재가 개구 근방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복수의 정제를 용이하게 꺼내어 내복할 수가 있다.
이하, 본 실시태양에 대해 더 구체적인 설명을 행한다. 본 실시태양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는 복수의 정제 포장체의 집합체로 이루어진다. 도 14는 본 실시태양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의 집합체(6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고, 도 15는 정제 포장체(60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단면도이고, 도 16~도 20은 정제 포장체(601)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정제 포장체의 집합체(600)는 정제 포장체(601)가 복수 연접되어 형성된다. 1개의 정제 포장체(601)는 길이 L101, 폭 D101로 이루어진다. 또, 운반시 등에 있어서의 편리성의 관점에서, 정제 포장체의 집합체(600)의 긴 쪽 방향은 360mm 이하, 짧은 쪽 방향은 36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길이 L101은 10mm보다 크고 약 50mm 이하가 바람직하고, 폭 D101은 10mm보다 크고 약 5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즉, 10mm 이상의 크기가 아니면 가장 작은 정제를 2개 넣을 수가 없고, 50mm 이하이면 가장 큰 캡슐이 10개는 여유 있게 들어가는 크기이고, 또한 약끼리가 포개지지 않게 충전을 부드럽게 행할 수가 있어, 운반성 등의 편리성도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 정제 포장체(601)의 개개의 사이에는 단속적인 잘림홈(슬릿)(610)이 설치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듯이, 정제 포장체(601)는 주로 투명성을 가지는 오목부(603a)를 포함하는 바닥부(본체 시트)(603) 및 오목부를 봉지하는 봉지 부재(602)를 가진다.
또, 오목부(603a)는 인접하는 오목부(603a)와의 거리가 적어도 5mm 이상 80mm 이하의 범위 내에서 형성된다. 이 거리가 5mm 이하로 되면 개봉하기 어려워지고, 80mm 이상으로 되면 취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또, 오목부(603a)를 포함하는 바닥부(본체 시트)(603)와 오목부를 봉지하는 봉지 부재(602)는, 예를 들면 씰기로 히트씰되는 것에 의해 또는 임펄스 방식에 의해 접착된다.
다음에, 도 15~도 20에 나타내듯이, 정제 포장체(601)의 봉지 부재(602)의 일부에는 각각 비접착부(젖힘부)(604) 및 접착부(605, 606)가 설치된다. 여기서, 오목부(603a)를 개재하여 젖힘부(604)와 반대측에 설치되는 접착부(박리 멈춤부)(605)는 박리되지 않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되지 않는 것으로 함으로써, 봉지 부재(602)가 완전히 분리하는 것을 막아 환자가 잘못하여 먹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접착부(605와 606)는 다른 소재로 오목부(603a)와 봉지 부재(602)를 접착시킬 수도 있고, 같은 소재로 접착시켜도 좋다. 같은 접착 소재라도 개봉시에 박리 부분의 폭이 접착부(606a와 606b)에서 다름으로써, 박리 부분의 폭이 넓은 접착부(606a)의 박리 강도가 박리폭이 좁은 접착부(606b)의 박리 강도보다 커져, 봉지 부재가 완전히 박리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또한, 덮개부(봉지 부재)(602)는 180도 필 측정에 의한 필 강도가 30g/15mm 이상 800g/1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g/15mm 이상 500g/15mm 이하이다.
또, 오목부(603a)의 형상은, 도 17~도 20에 나타내듯이, 개봉 개시 부분의 폭과 비교하여 개봉 종료 부분의 폭을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접착 부위의 폭을 선씰로 봉지하고, 개봉 개시 지점의 접착 영역의 폭을 A로 하고, 개봉 종료 지점의 접착 영역의 폭을 B로 했을 때, A<B를 만족하는 설계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오목부(603a)의 구조로 하기 위해, 예를 들면 오목부(603a)를 도 17과 같이 젖힘부(604)나 개봉 개시 부분에 원호상의 형상을 도입하는 것, 도 18과 같이 오목부의 형상을 삼각형으로 하는 것, 또는 도 19에 나타내듯이 오목부를 오각형 형상으로 하는 것 등이 바람직하다.
젖힘부(비접착부)(604)의 잡는 폭은 5mm 이상 5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m 이상 40mm 이하이다. 하한치를 밑돌면 잡기 어렵고, 상한치를 웃돌면 크기가 커져 취급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또, 도 15에 나타내듯이, 정제 포장체(601)의 바닥부(본체 시트)(603)는 열성형에 의해 오목부(603a)가 형성된다. 오목부(603a)의 높이(깊이)(H2)는 내포되는 정제(701, 702, 703) 중 가장 높은 정제의 높이보다도 높고, 정제(701, 702, 703) 중 가장 낮은 조합의 2개의 정제를 포갠 높이보다도 낮은 범위에서 설치된다. 또, 오목부(603a)는, 도 18~도 20에 나타내듯이, 평면적으로는 반원형, 삼각형, 오각형 등이 바람직하지만, 단면 형상은 특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오목부(603a)는 바람직하게는 잡는 부분을 향해 경사를 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잡는 부분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정제를 꺼내기 쉬워지기 때문에 그대로 입에 정제를 흘려 넣을 수가 있다.
도 16~도 21에 나타내듯이, 당해 오목부(603a)에는 복수의 정제(701, 702, 703)가 수용된다. 여기서, 정제(701, 702, 703)란 복용해야 할 사람의 증상에 맞추어 한 번에 복용해야 할 적어도 1종(바람직하게는 복수종)의 약제 또는 건강용의 보조제 등을 포함하고, 정제, 캡슐제, 및/또는 환약 등의 제형일 수가 있다.
또, 정제 포장체(601)의 봉지 부재(602)는 권회성을 가진다. 그 결과 복용해야 할 사람이 비접착부(604)를 잡고 정제 포장체(601)를 개봉할 때에 봉지 부재(덮개부)(602)의 컬(curl)성으로부터, 덮개부(602)가 말려 오목부(603a)의 개구부를 차폐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태양에 있어서, 오목부(603a)를 포함하는 본체 시트(바닥재)(603)는 하나의 소재(기재)로 이루어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재에 배리어층 등 필요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기재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제1의 실시형태의 기층(210)과 마찬가지로 형성시킬 수가 있다. 기재의 두께는 30㎛ 이상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 8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제1의 실시형태의 배리어층(220)과 마찬가지로 형성할 수가 있다.
또, 상기의 오목부(603a)를 포함하는 본체 시트(603)는 상기 제1의 실시형태의 본체 시트(200)와 마찬가지로, 충전된 약이 처방대로인지 등 용기에 충전된 내용물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투명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전광선 투과율 80% 이상, 헤이즈 30%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태양의 봉지 부재(602)는 상기 제1의 실시형태의 봉지 부재(300)와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A4)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601)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정제(701, 702, 703)를 오목부(603a)에 수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정제(701, 702, 703)을 꺼내는 작업을 1번 행함으로써 필요한 복수종의 정제(701, 702, 703)를 한 번에 꺼낼 수가 있어 환자가 정제의 종류 및 개수를 잘못 알고 복용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또, 봉지 부재(602)가, 선씰인 것으로부터, 복수개의 정제를 포함할 수 있는 용량을 확보하고, 충분한 밀폐성을 확보하고, 한편으로 이지필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노인 또는 손끝이 부자유스러운 환자라도 용이하게 복수개의 정제(701, 702, 703)를 꺼내어 복용할 수가 있다.
(B4)
정제 포장체(601)에 있어서, 봉지 부재(602)는 접착부(606)에 있어서 개봉 개시시의 박리 강도가 개봉 도중의 박리 강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접착부(개봉 도중 부분)(606a)의 박리 강도보다 접착부(개봉 개시 부분)(606b)의 박리 강도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계로 함으로써 노인 또는 손끝이 부자유스러운 환자가 힘 부족으로 개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가 있다.
180도 필 측정에 의해 결정되는 개봉 개시 부분(606b)의 박리 강도는 0.001N 이상 6N 이하가 바람직하고, 0.009N 이상 3N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인 것에 의해, 보관시에 잘못하여 개봉되는 것을 충분히 막을 수가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인 것에 의해, 노인 또는 손끝이 부자유스러운 환자, 힘이 약한 사람이라도 확실히 개봉이 가능하다. 한편, 개봉 도중 부분(606a)의 박리 강도는 0.003N 이상 30N 이하가 바람직하고, 0.01N 이상 15N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인 것에 의해, 노인 또는 손끝이 부자유스러운 환자, 힘이 약한 사람이라도 확실히 개봉이 가능해짐과 아울러, 정제 포장체의 충분한 밀폐성을 확보하여 예기치 못한 개봉을 막을 수가 있다.
(C4)
정제 포장체(601)에 있어서, 봉지 부재(602)의 접착부(606)에 있어서 개봉 개시 지점의 접착 영역의 폭을 A로 하고, 개봉 종료 지점의 접착 영역의 폭을 B로 했을 때, A<B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계로 함으로써, 노인 또는 손끝이 부자유스러운 환자가 힘 부족으로 개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가 있다.
(D4)
정제 포장체(601)에 있어서, 봉지 부재(602)와, 오목부(603a)의 가장자리인 필 불가부로서의 접착부(박리 멈춤부)(605)는 박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덮개부(602)와 오목부(603a)의 분리를 방지하거나, 덮개부(602)와 오목부(603a)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거나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개봉성을 높이면서, 오목부(603a) 내의 정제를 복용할 때에 봉지 부재(602)를 잘못하여 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E4)
또, 정제 포장체(601)의 집합체(600)는, 오목부(603a)가 복수 설치되고, 오목부(603a)마다 오목부(603a) 주위에 잘림홈(610)이 설치되어, 오목부(603a)마다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오목부(603a)의 오목부(603a)마다 주위에 잘림홈(610)이 설치되므로 오목부(603a)마다 분리할 수가 있다. 또, 정제 포장체(610)를 필요한 개수 또는 자유로운 개수를 가지고 다닐 수가 있어 이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오목부(603a)마다의 크기를 인체의 인후의 통과가 곤란한 크기로 함으로써 잘못하여 먹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F4)
또, 정제 포장체(601)의 집합체(600)에 있어서, 정제 포장체(601)의 봉지 부재(602)는 오목부(603a)마다 설치되어 있다. 집합체(600)에 있어서, 오목부(603a)와 봉지 부재(602)가 각각 복수개 설치되고, 하나의 오목부(603a)의 개구에 대해 하나의 봉지 부재(602)가 봉착된다. 이 경우 오목부(603a)마다 덮개부로서의 봉지 부재(60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오목부(603a)마다 개봉을 행할 수가 있다.
(G4)
또, 정제 포장체(601)에 있어서, 오목부(603a)의 높이(깊이)(H2)는 수납되는 약제 중에서 가장 높은 약제의 높이 이상, 또 가장 낮은 2개의 약제의 조합의 높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목부(603a)의 높이는 정제(701, 702, 703)의 높이 이상이고 정제(701, 702, 703) 중 어느 2개분의 높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정제(701, 702, 703)가 오목부(603a) 내에 있어서 포개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오목부(603a) 내의 정제 유무 검사를 화상 처리화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정제 포장체(601)에 있어서, 봉지 부재(602)는 오목부(603a) 주위의 일부에 필 불가부로서 접착부(박리 멈춤부)(605)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봉지 부재(602)를 개봉했을 때에 오목부(603a)와 봉지 부재(602)가 분리되지 않고, 오목부(603a) 내의 정제(701, 702, 703)를 복용할 때에 봉지 부재(602)를 잘못하여 먹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H4)
정제 포장체(601)에 있어서, 봉지 부재(602)는 권회성을 가져, 오목부(603a)로부터 봉지 부재(602)를 박리할 때에 봉지 부재(602)가 휜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개봉 후의 봉지 부재(602)가 개구 근방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복수의 정제(701, 702, 703)를 용이하게 꺼내어 내복할 수가 있다.
본 실시태양에 있어서, 정제(701, 702, 703)가 복수개의 약제에 상당하고, 오목부(603a)를 가지는 바닥부(603)가 본체 시트에 상당하고, 덮개부(602)가 봉지 부재에 상당하고, 정제 포장체(601) 및 정제 포장체(601)의 집합체(600)가 정제 포장체에 상당하고, 접착부(605)가 박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접착부로서 오목부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상당하고, 접착부(606)는 개봉시에 박리되기 쉬운 접착부이고 오목부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상당하고, 잘림홈(610)이 홈 또는 잘림눈에 상당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제 포장체는 노인 또는 손끝이 부자유스러운 환자(약제의 복용자)라도 정제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복수개의 약제를 한 번에 꺼낼 수가 있어 약제 관리가 용이한 것으로 된다.
100, 100a, 100b, 100c: 정제 포장체
200, 200a, 200b: 본체 시트
230, 231, 232, 233, 234: 오목부
300, 300c: 봉지 부재
400, 400a, 400b, 400c: 정제 포장체
410, 410a: 본체 시트
413, 413a, 413b: 오목부
415: 슬릿
420, 420c: 봉지 부재
T10, T20: 약제
600: 정제 포장체의 집합체
601: 정제 포장체
602: 덮개부(봉지 부재)
603a: 오목부
603: 바닥부(본체 시트)
604: 비접착부(젖힘부)
605: 접착부(박리 멈춤부)
606: 접착부
606a: 접착부(박리 도중 부분)
606b: 접착부(박리 개시 부분)
610: 잘림홈(슬릿)
701, 702, 703: 정제(약제)

Claims (14)

  1. 복수개의 약제가 수납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를 가지는 본체 시트와,
    상기 오목부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본체 시트에 씰되는 봉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봉지 부재는 상기 오목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본체 시트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쉽게 박리 가능한 정제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시트 및 상기 봉지 부재의 적어도 일방은 특정 기체 및 광의 적어도 일방에 대해 배리어(barrier)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포장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시트는 복수개의 상기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 시트 및 상기 봉지 부재의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오목부에 수납된 상기 약제를 복용하는 요일, 시간대 및 일자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오목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하여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포장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복수의 구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포장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시트는 롤상으로 감기 가능한 띠상이고,
    상기 오목부는 적어도 상기 본체 시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포장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시트에는 폭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포장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부재가 선(線)씰에 의해 봉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포장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부재를 개봉할 때의 박리 강도가 개봉 도중의 박리 강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포장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개봉 개시 지점의 접착 영역의 폭을 A로 하고, 개봉 종료 지점의 접착 영역의 폭을 B로 했을 때, A<B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포장체.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부재는 상기 오목부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있어서 박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포장체.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복수 설치되고, 상기 본체 시트와 상기 봉지 부재에는 상기 오목부마다 상기 오목부의 주위에 홈 또는 잘림눈이 설치되어, 상기 오목부마다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포장체.
  12.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부재는 상기 오목부마다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포장체.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높이는 상기 약제의 높이 이상이고, 상기 약제 2개분의 높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포장체.
  14.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부재는 권회성(捲回性)을 가지고,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봉지 부재를 박리할 때에 상기 봉지 부재가 오목부와 반대 방향으로 휜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포장체.
KR1020147013120A 2011-12-07 2012-02-24 정제 포장체 KR201400772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8255 2011-12-07
JP2011268255A JP5942405B2 (ja) 2011-12-07 2011-12-07 錠剤包装体
PCT/JP2012/054637 WO2013084515A1 (ja) 2011-12-07 2012-02-24 錠剤包装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211A true KR20140077211A (ko) 2014-06-23

Family

ID=4857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120A KR20140077211A (ko) 2011-12-07 2012-02-24 정제 포장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174004A1 (ko)
EP (1) EP2789327A4 (ko)
JP (1) JP5942405B2 (ko)
KR (1) KR20140077211A (ko)
CN (1) CN103974682A (ko)
WO (1) WO20130845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64173B2 (ja) * 2014-09-09 2020-03-13 藤森工業株式会社 多層積層体及び包装体
JP6630543B2 (ja) * 2015-11-19 2020-01-15 株式会社Windy 錠剤分包ケース
CN106115075B (zh) * 2016-07-04 2018-05-22 万华普曼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检测试纸类泡罩式包装结构
JP7277087B2 (ja) * 2018-08-17 2023-05-18 株式会社ダイセル 包装体、錠剤入り包装体、包装体の収容部材の製造方法、及び包装体の収容部材の製造装置
JP6914604B2 (ja) * 2018-09-10 2021-08-04 Ckd株式会社 Ptpシート及びptp包装機
US11147780B2 (en) 2020-02-24 2021-10-19 Algia Pharma, Llc Multidrug pain management package
WO2022025103A1 (ja) * 2020-07-29 2022-02-03 ノーベルファーマ株式会社 薬剤セット
WO2023194545A1 (de) * 2022-04-08 2023-10-12 Knapp Ag Medikamentenverpackunge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9894A (en) * 1988-03-07 1991-04-23 Baker Cummins Pharmaceuticals, Inc.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preparation
PT1015352E (pt) * 1997-04-01 2007-09-24 Cima Labs Inc ''embalagem alveolar e comprimidos embalados''
JPH11139454A (ja) * 1997-11-07 1999-05-25 Takeda Chem Ind Ltd ブリスターパック
JPH11314667A (ja) * 1998-05-01 1999-11-16 Nihon Tokkyo Kanri Co Ltd 錠剤包装用袋
US6568533B1 (en) * 1998-06-16 2003-05-27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eelable package and peelable packaging method
JP3968171B2 (ja) * 1998-06-16 2007-08-29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ピール性包装体
CA2264339A1 (en) * 1999-03-26 1999-05-26 Dispill Inc. Reversibly peelable sealing sheet for individual pill containers
US6375956B1 (en) * 1999-07-22 2002-04-23 Drugtech Corporation Strip pack
US6273260B1 (en) * 2000-03-08 2001-08-14 Eli Lilly And Company Pharmaceutical packaging system
US7086532B2 (en) * 2003-07-16 2006-08-08 Allergan, Inc. Titration/compliance pack with increasing doses
US20040050750A1 (en) * 2002-09-18 2004-03-18 Hannan Robin E. Medication cart drawer liner and method for using same to reduce nosocomial infections
GB0225621D0 (en) * 2002-11-02 2002-12-11 Glaxo Group Ltd Medicament carrier
JP5112882B2 (ja) * 2005-01-14 2013-01-09 シーマ・ラブ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曲げてから剥がす錠剤パッケージ
EP1767347A1 (de) * 2005-09-27 2007-03-28 Alcan Technology & Management Ltd. Deckfolie für Blisterverpackungen
EP1787800A1 (de) * 2005-11-17 2007-05-23 Alcan Technology & Management Ltd. Kaltverformbares Laminat für Blisterbodenteile
US7909165B2 (en) * 2006-04-10 2011-03-22 Poppack, Llc System for delivering sequential components
JP2008037460A (ja) * 2006-08-07 2008-02-21 Kyukyu Yakuhin Kogyo Kk 製剤用容器及びこの製剤用容器を使用した包材の製造方法
JP2009000485A (ja) 2007-06-23 2009-01-08 Twin Life Kk 薬剤パック
EP2254541A1 (en) * 2008-03-17 2010-1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r-customizable dosing system
US8905237B2 (en) * 2010-12-17 2014-12-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lister cards promoting intuitive do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9327A1 (en) 2014-10-15
JP5942405B2 (ja) 2016-06-29
JP2013119417A (ja) 2013-06-17
CN103974682A (zh) 2014-08-06
US20150174004A1 (en) 2015-06-25
WO2013084515A1 (ja) 2013-06-13
EP2789327A4 (en)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7211A (ko) 정제 포장체
US20200095043A1 (en) Method for guided tearing of pouch laminate to enable product removal
ES2590984T3 (es) Envase de tipo blíster de seguridad para niños
JP2013183952A (ja) 錠剤包装体
ES2391885T3 (es) Nuevo envase blíster reforzado
JP5056754B2 (ja) 容器
NO338848B1 (no) Filmbeholder
CN102307793A (zh) 保护儿童安全的高惰性单独包装
US7201275B2 (en) PTP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JP5997924B2 (ja) 易開封ブリスター包装体
US9622940B2 (en) Medicine packaging PTP sheet
JP2013116266A (ja) 錠剤包装体
JP6934739B2 (ja) 包装体
JP2012136256A (ja) 包装シート
JP2013524961A (ja) ウェーハ用小袋
JP2000281130A (ja) ブリスター包装体、底材および樹脂シート
JP2004256125A (ja) プレススルーパック包装蓋材とそれを用いたプレススルーパック包装体
JP2012046226A (ja) 包装シート
JP2007126204A (ja) 包装体
JP2023052195A (ja) 包装容器
JP2013132470A (ja) 錠剤包装体
JP2019058233A (ja) 分封容器
JP2000000286A (ja) X線装置で視認可能なプレススルーパック包装体
JPH09328165A (ja) 包装体
JP2003192054A (ja) 使用説明書付きプレススルーパック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