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819A - 워크 삽입 장치 - Google Patents

워크 삽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819A
KR20140074819A KR1020130128439A KR20130128439A KR20140074819A KR 20140074819 A KR20140074819 A KR 20140074819A KR 1020130128439 A KR1020130128439 A KR 1020130128439A KR 20130128439 A KR20130128439 A KR 20130128439A KR 20140074819 A KR20140074819 A KR 20140074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storage
workpiece
group
constit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4167B1 (ko
Inventor
코지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4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78Troughs having discharge openings an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5/00Attaching articles to cards, sheets, strings, webs, or othe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drums or rotating tables or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65G47/0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8Simultaneously loading a plurality of loose objects, e.g. by means of vibrations, pressure differences, magnetic fie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를 소형이면서 염가로 구성할 수 있는 워크 삽입 장치를 제공한다. 워크 삽입 장치는, 외주 부분(14c)에 다수의 수납공(14d)이 관통 형성된 반송 디스크(14)가 그 회전 중심선(RCL)이 연직선(VL)과 예각(α)을 이루도록 상향으로 기울고, 또한 상기 다수의 수납공(14d)의 일부가 워크 저장실(11c)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워크 저장실(11c)내에 벌크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워크(WO)는,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워크 저장실(11c)내에 위치하는 상기 다수의 수납공(14d)의 일부 내에 직접 수납된다.

Description

워크 삽입 장치{WORK INSER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테이프에 병설(竝設)된 요부(凹部) 내에 전자 부품 등의 워크를 순차 삽입하기 위한 워크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워크 삽입 장치는 일반적으로, 외주연에 복수의 워크 수납 홈을 가지는 원판 형상의 반송 테이블; 반송 테이블을 간헐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 반송 테이블의 간헐 회전의 정지 시간을 이용해서 워크 수납 홈 내에 워크를 전송하기 위한 공급 기구; 반송 테이블의 간헐 회전의 정지 시간을 이용해서 워크 수납 홈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를 테이프의 요부 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을 참조). 이와 관련하여, 워크가 삽입된 후의 테이프에는 요부의 개구(開口)를 덮는 커버 테이프가 접합되고, 커버 테이프가 접합된 후의 테이프는 릴 등에 감겨서 빼내진다.
상기 워크 삽입 장치는, 반송 테이블을 거의 수평한 방향으로 간헐 회전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공급 기구로서 이용되고 있는 볼 피더(파트 피더로도 불린다)를 반송 테이블 측방에 1 이상 배치해야 하는 점에서, 장치의 소형화가 어렵다. 또한 반송 테이블의 워크 수납 홈 내에 워크를 전송하기 위한 공급 기구로서 1 이상의 볼 피더가 필수인 점에서 장치의 염가화가 어렵다.
1. 일본 특개 2002-029505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를 소형이면서 염가로 구성할 수 있는 워크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테이프에 병설된 요부(凹部) 내에 전자 부품 등의 워크를 순차 삽입하기 위한 워크 삽입 장치로서, 회전 중심선이 연직선과 예각을 이루도록 상향으로 기울면서, 상기 워크를 각각 수납 가능한 다수의 수납공이 주(周)방향에 등각도 간격으로 늘어서도록 외주 부분에 관통 형성되고, 또한 상기 다수의 수납공이 복수의 수납공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납공 군(群)으로 등분된 반송 디스크; 상기 반송 디스크의 인접하는 2개의 수납공 군의 중심과 상기 반송 디스크의 회전 중심을 잇는 2선분이 이루는 각도를 단위로 하여 상기 반송 디스크를 간헐 회전시키기 위한 디스크 구동 수단; 상기 워크를 벌크 상태에서 다수개 저장 가능하면서, 상기 반송 디스크의 적어도 1개의 수납공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의 상향측 개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반송 디스크의 간헐 회전에 따라 상기 수납공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 내에 각각의 상향측 개구로부터 워크를 직접 수납하기 위한 워크 저장실; 상기 반송 디스크의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이 상기 워크 저장실로부터 떨어진 워크 삽입 장소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가 각각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워크 탈락 방지 수단; 상기 반송 디스크의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이 상기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했을 때에 상기 수납공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를 각각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강제적으로 압출하기 위한 워크 압출 수단; 및 상기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상기 테이프의 복수의 요부 각각을 향해서 하향으로 기우는 복수의 안내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내 통로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수납공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밀어내진 워크를 상기 복수의 요부 각각에 안내하기 위한 워크 안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를 소형이면서 염가로 구성할 수 있는 워크 삽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목적과 각 목적에 따른 특징과 효과는 이하의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명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의 종단면도(縱斷面圖).
도 2는 도 1의 II-II선 화살 표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테이프와 워크의 설명도.
도 4(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반송 디스크의 주요부 확대 전면도, 도 4(B)는 도4 (A)의 B-B선단면도.
도 5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
도 6은 도 2의 주요부 확대도.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워크 안내 유닛의 확대 상면도.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워크 삽입 장치에 있어서의 워크 삽입 동작의 설명도.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워크 삽입 장치에 있어서의 워크 삽입 동작의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워크 삽입 장치(제2 실시 형태)의 도 5 대응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워크 삽입 장치에 있어서의 워크 삽입 동작의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워크 삽입 장치(제3 실시 형태)의 도 5 대응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워크 삽입 장치에 있어서의 워크 삽입 동작의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워크 삽입 장치(제4 실시 형태)의 도 5 대응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워크 삽입 장치에 있어서의 워크 삽입 동작의 설명도.
도 16(A) 및 도 16(B)는 도 14에 도시한 워크 삽입 장치에 있어서의 워크 삽입 동작의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워크 삽입 장치(제5 실시 형태)의 도 2 대응도.
도 18은 수납 불량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8 대응도.
도 19는 본 발명을 적용한 워크 삽입 장치(제6 실시 형태)의 도2 대응도.
본 항목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좌, 우, 상, 하, 안, 앞의 각각과 다른 도면의 이들에 대응하는 측의 각각을, 전, 후, 상, 하, 좌, 우로 표기한다.
《제1 실시 형태(도 1∼도 9)》
도 1∼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우선 도 3(A) 및 도 3(B)를 인용하여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에 이용되고 있는 테이프(TA) 및 워크(WO)의 형상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워크(WO)는 기준 치수가 길이>폭=높이의 치수 관계를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워크(WO)에는 콘덴서, 인덕터, 레지스터 등의 전자 부품 외에, 전자 부품 이외의 부품을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테이프(TA)는 소정의 폭 및 두께를 가지는 띠 형상을 이루고 있다.
테이프(TA)에는, 워크(WO)의 길이, 폭 및 높이 각각보다도 약간 큰 길이, 폭 및 깊이를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다수의 요부(TAa)가, 각 요부(TAa)의 길이 방향이 테이프 주행 방향(테이프 길이 방향)과 거의 직교하도록 또한 인접하는 요부(TAa) 간에 간격(IN)이 있도록, 테이프 주행 방향을 따라서 병설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TA)에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 구동의 테이프 주행 롤러의 계합 핀이 삽입되는 횡단면 원형의 다수[요부(TAa)의 수보다도 적다]의 관통공(TAb)이, 간격(IN)보다도 큰 간격을 두고 테이프 주행 방향을 따라서 병설되어 있다. 이 테이프(TA)는 그 일부를 워크 삽입 장치의 가이드 홈(12e) 내(도 1을 참조)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기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동기하여 직선적으로 간헐 이동한다.
다음으로 도 1, 도 2, 도 4(A), 도 4(B), 도 5, 도 6 및 도 7을 인용하여,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 중의 부호 11은 베이스, 부호 12는 지지 디스크, 부호 13은 모터, 부호 14는 반송 디스크, 부호 15는 워크 압출 유닛, 부호 16은 워크 안내 유닛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1)는 직육면체의 저면을 비스듬히 잘라낸 것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상면은 연직선(VL)과 예각(도면 중에는 약 60도)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있다. 베이스(11)의 상면에는 뒤에서 앞을 향하여 제1 요부(11a), 제2 요부(1lb) 및 제3 요부(11c)가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요부(11a), 제2 요부(1lb) 및 제3 요부(11c)의 II-II선 화살표 형상은 모두 활(弓) 형상이며, 제1 요부(11a)의 폭은 지지 디스크(12)의 두께와 거의 같고, 그 내주면의 곡률 반경은 지지 디스크(12)의 반경과 거의 같으며, 그 곡률 반경의 중심은 회전 중심선(RCL) 상에 있다. 또한 제2 요부(1lb)의 폭은 반송 디스크(14)의 외주부분(14c)의 두께(t)[도4(B)를 참조]보다도 약간 크고, 그 내주면의 곡률 반경은 지지 디스크(12)의 반경보다도 작으며, 또한 반송 디스크(14)의 반경보다도 약간 크고, 상기 곡률 반경의 중심은 회전 중심선(RCL) 상에 있다. 또한 제3 요부(11c)의 폭은 임의이고, 그 내주면의 곡률 반경은 반송 디스크(14)의 수납공(14d) 전부를 둘러싸는 가상 원의 반경과 같거나 혹은 그보다도 약간 크고, 상기 곡률 반경의 중심은 회전 중심선(RCL) 상에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디스크(12)는 소정의 두께 및 반경을 가지는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면(前面)은 평탄하다[이하, 제1평탄면(12a)라고 한다]. 지지 디스크(12)의 후면의 중앙에는 모터(13)를 배치하기 위한 원형 요부(12b)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요부(12b)의 전면(저면)의 중앙에는 제1 평탄면(12a)에 이르는 관통공(1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디스크(12)에는 제1 평탄면(12a)의 상부에서 외주면에 이르는 제2 평탄면(12d)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제2 평탄면(12d)에는 테이프(TA)의 일부가 배치되는 가이드 홈(12e)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12e)의 폭은 테이프(TA)의 폭보다도 약간 크고, 그 깊이는 테이프(TA)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다.
이 지지 디스크(12)는 그 하부를 베이스(11)의 제1 요부(11a) 내에 끼워 넣어져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평탄면(12a)은 연직선(VL)에 대하여 예각(도면 중에는 약 30°)을 이루도록 상향으로 기울어져 있고, 제2 평탄면(12d)은 연직선(VL)에 대하여 약 90°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3)는 본체(부호 없음)가 지지 디스크(12)의 원형 요부(12b) 내에서 고정되어 있고, 모터 축(13a)이 지지 디스크(12)의 관통공(12c)에 베어링(13b)을 개재하여 배치되고, 그 선단이 제1 평탄면(12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회전 중심선(RCL)은 모터 축(13a)의 중심선에 해당하고, 상기 회전 중심선(RCL)은 연직선(VL)과 예각(α)(도면 중에는 약 60°)을 이루도록 상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 모터(13)는 펄스 모터 등으로부터 이루어지고, 도시 생략한 모터 드라이버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반송 디스크(14)의 인접하는 2개의 수납공 군(G14d)의 중심과 상기 반송 디스크(14)의 회전 중심(RC)을 잇는 2선분이 이루는 각도β(도면 중에는 약 15°)를 단위로 하여, 상기 반송 디스크(14)를 도 2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간헐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디스크(14)는 소정의 두께 및 반경을 가지는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후면은 평탄하다[이하, 평탄면(14a)이라고 말한다]. 반송 디스크(14)의 중앙에는 관통공(14b)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에는 중앙 부분의 두께보다도 얇은 외주 부분(14c)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 부분(14c)의 두께[t, 도4(B)를 참조]는 워크(WO)의 길이보다도 약간 크다. 또한 반송 디스크(14)의 외주 부분(14c)에는, 워크(WO)의 길이, 폭 및 높이 각각보다도 약간 큰 길이, 폭 및 높이를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다수(도면 중에는 120개)의 수납공(14d), 다시 말하면, 워크(WO)를 길이 방향으로 각각 수납 가능한 다수의 수납공(14d)이, 주방향에 등각도 간격으로 늘어서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다.
각 수납공(14d)의 4개의 내면 중에서 안쪽과 외측의 2개의 내면의 방향은 회전 중심선(RCL)과 거의 평행하다. 또한 외주 부분(14c)의 전면에 있어서 수납공(14d) 전부를 둘러싸는 가상 원을 그리면, 상기 가상 원은 각 수납공(14d) 전측 개구의 외측의 주변과 거의 겹친다. 이 가상 원의 반경은 반송 디스크(14)의 반경보다도 작고, 주방향에서 이웃하는 2개의 수납공(14d)의 간격은 테이프(TA)의 요부(TAa)의 간격(IN)과 거의 같다.
도 4(A) 및 도 4(B)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디스크(14)의 다수의 수납공(14d)은 복수(도면 중에는 5개)의 수납공(14d)을 포함하는 복수(도면 중에는 24개)의 수납공 군(G14d)으로 등분되어 있고, 외주 부분(14c)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을 둘러싸도록 해서 거의 삼각형을 이루는 소정 깊이로 복수(도면 중에는 24개)의 에어 포켓(14e 및 14f)이 형성되어 있다. 양쪽 에어 포켓(14e 및 14f)의 깊이를 깊게 하면 각 수납공(14d)이 실질적인 길이[워크(WO)의 수납에 기여하는 길이]가 짧아져 버리기 때문에, 양쪽 에어 포켓(14e 및 14f)의 깊이는 되도록 얕게 하는 것, 예컨대 수납공(14d) 길이의 1/10∼1/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송 디스크(14)는, 평탄면(14a)이 지지 디스크(12)의 제1 평탄면(12a)에 회전 자재(自在)로 접촉하도록 그 관통공(14b)을 모터 축(13a)의 돌출 부분에 착탈 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반송 디스크(14)를 착탈 자재로 한 이유는, 그 탈착에 의해 점검, 수리, 청소 등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모터 축(13a)의 돌출 부분에 부착된 반송 디스크(14)의 평탄면(14a) 및 외주 부분(14d)의 전면은 연직선(VL)에 대하여 예각(도면 중에는 거의 30°)을 이루게 상향으로 기울어져 있고, 각 수납공(14d)의 중심선도 연직선(VL)에 대하여 예각(도면 중에는 거의 30°)을 이루도록 상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반송 디스크(14)의 회전 중심(RC)은 회전 중심선(RCL) 상에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 중심선(RCL)은 반송 디스크(14)의 회전 중심선에도 해당한다.
즉 반송 디스크(14)가 상향으로 기울어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그 외주 부분(14c)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수납공(14d)의 전측 개구는 상향이 되고,(이하, 상향측 개구라고 한다), 그 후측 개구는 하향이 되어 있다(이하, 하향측 개구라고 한다). 게다가 지지 디스크(12)의 제2 평탄면(12d)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을 제외하는 다른 수납공(14d)의 하향측 개구는, 해당 지지 디스크(14a)의 제1 평탄면(14a)에 의해서 막혀 있다.
또한 베이스(11)의 제2 요부(1lb)의 폭이 반송 디스크(14)의 외주부분(14c)의 두께(t)보다도 약간 크고, 그 내주면의 곡률 반경이 지지 디스크(12)의 반경보다도 작고, 또한 반송 디스크(14)의 반경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고 있으며, 게다가 제3 요부(11c)의 내주면의 곡률 반경이 반송 디스크(14)의 수납공(14d) 전부를 둘러싸는 가상 원의 반경과 같거나 혹은 그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반송 디스크(14)는, 외주 부분(14c)에 있어서의 전 수납공(14d)의 외측에 존재하는 링 형상 영역을 베이스(11)의 제2 요부(1lb) 내에서 회전 자재로 수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1)의 제3 요부(11c)내의 공간은, 반송 디스크(14)의 외주 부분(14c)에 설치된 복수의 수납공 군(G14d) 중에서 일부(도면 중에는 5개 또는 6개)를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의 상향측 개구와 마주보는 워크 저장실[이하, 워크 저장실(11c)이라고 한다]이 되어 있다. 이 워크 저장실(11c)에는, 다수개의 워크(WO)를 벌크 상태(다수개의 워크(WO)의 방향이 맞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에서 저장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 압출 유닛(15)은 소정 폭의 원호(圓弧) 형상을 이루고 있고, 지지 디스크(12)의 제1 평탄면(12a)의 상부에 착탈 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워크 압출 유닛(15)을 착탈 자재로 한 이유는, 그 탈착에 의해 점검, 수리, 청소 등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워크 압출 유닛(15)의 후면에는, 소정 폭의 원호 형상 요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원호 형상 요부(15a)의 폭은 반송 디스크(14)의 외주 부분(14c)의 두께(t)보다도 약간 크고, 그 내주면의 곡률 반경은 반송 디스크(14)의 반경보다도 약간 크고, 그 곡률반경의 중심은 도 1에 도시한 회전 중심선(RCL)상에 있다. 따라서, 반송 디스크(14)는 워크 압출 유닛(15)에 방해되는 일 없이 간헐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워크 압출 유닛(15)에는, 반송 디스크(14)의 외주 부분(14c)에 설치된 복수의 수납공 군(G14d) 중에서 1개가 워크 삽입 장소(도 2의 최상위 수납공 군(G14d)이 정지하고 있는 장소를 가리킨다)에서 정지했을 때, 상기 수납공 군(G14d) 전측의 에어 포켓(14e)과 연통하는 정압(正壓) 에어 통로(15b)가 형성되어 있고, 정압 에어 통로(15b) 전측 개구는 도시 생략한 에어 회로에 튜브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있다.
또한 워크 압출 유닛(15)에는,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G14d)에 이어지는 우측의 복수(도면 중에는 2개)의 수납공 군(G14d) 전측의 에어 포켓(14e)과 연통하는 부압(負壓) 에어 통로(15c 및 15d)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부압 에어 통로(15d)는 복수의 수납공 군(G14d) 전측의 에어 포켓(14e)과 겹치도록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고, 부압 에어 통로(15c)는 부압 에어 통로(15d)의 일부와 연속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있고, 부압 에어 통로(15c) 전측 개구는 도시 생략한 에어 회로에 튜브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있다.
즉, 반송 디스크(14)의 외주 부분(14c)에 설치된 복수의 수납공 군(G14d) 중에서 1개가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했을 때, 정압 에어 통로(15b)를 통해서, 상기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각각의 상향측 개구로부터 하향측 개구로 향하는 정압 에어를 작용시킬 수 있다. 요컨대,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워크(WO)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워크(WO)를 상기 정압 에어에 의해 각 수납공(14d)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압출할 수가 있다.
또한 지지 디스크(12)의 제2 평탄면(12d)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가운데,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G14d)에 인접하는 우측 복수의 수납공(14d)의 하향측 개구가 개방되어 버리는 경우여도, 상기 우측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O)가 각각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자중(自重)에 의해 탈락하는 것을, 부압 에어 통로(15c 및 15d)를 통한 부압 에어에 의해서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 안내 유닛(16)은 거의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지지 디스크(12)의 제2 평탄면(12d)에 그 전측 사면(斜面)이 제1 평탄면(12a)과 면일(面一)이 되도록 착탈 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워크 안내 유닛(16)을 착탈 자재로 한 이유는, 그 탈착에 의해 점검, 수리, 청소 등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워크 안내 유닛(15)에는, 반송 디스크(14)의 외주 부분(14c)에 설치된 복수의 수납공 군(G14d) 중에서 1개가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했을 때, 상기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도면 중에는 5개)의 수납공(14d)의 하향측 개구 각각과 마주보는 상향측 개구를 가지고, 또한 테이프(TA)의 복수(도면 중에는 5개)의 요부(TAa) 각각과 마주보는 하향측 개구를 가지는 복수(도면 중에는 5개)의 안내 통로(16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안내 통로(16a)의 내부 형태는 수납공(14d)의 내부 형태와 거의 일치하면서, 상기 복수의 수납공(14d)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상기 복수의 요부(TAa) 각각을 향해서 하향(후 하강)으로 기울고 있다. 또한 워크 안내 유닛(16)에는, 복수의 안내 통로(16a)의 하향측 개구와 연통하는 부압 에어 통로(16b 및 16c)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부압 에어 통로(16c)는 복수의 안내 통로(16a)와 연속하는듯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부압 에어 통로(16b)는 부압 에어 통로(16c)의 일부와 연속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부압 에어 통로(16b)의 상측 개구는 도시 생략한 에어 회로에 튜브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있다.
즉,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압출된 워크(WO)를, 각 안내 통로(16a)를 통해서, 테이프(TA)의 상기 복수의 요부(TAa) 내 각각에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반송 디스크(14)의 외주 부분(14c)에 설치된 복수의 수납공 군(G14d) 중에서 1개가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했을 때, 부압 에어 통로(16b 및 16c)를 통해서, 복수의 안내 통로(16a)에 각각의 상향측 개구로부터 하향측 개구로 향하는 부압 에어를 작용시킬 수 있다. 요컨대,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각 안내 통로(16a) 내에 압출된 워크(WO)를 부압 에어에 의해 후방으로 끌어 들여, 상기 워크(WO)를 테이프(TA)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수납공(14d)과 동수의 요부(TAa) 내에 각각 거의 동시에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도 2, 도 8 및 도 9를 인용하여,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워크 삽입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워크 삽입 동작을 개시할 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 저장실(11c) 내에 동일 치수 및 종류의 다수 개의 워크(WO)를 투입하면서,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TA)의 일부를 가이드 홈(12e) 내에 배치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2점 쇄선은 워크 저장실(11c)에 있어서의 워크(WO)의 저장 상한이며, 투입 후의 다수 개의 워크(WO)는 워크 저장실(11c) 내에 벌크 상태로 저장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디스크(14)를 각도β를 단위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간헐 회전시키면서, 상기 간헐 회전에 동기하여 테이프(TA)를 좌 방향에 직선적으로 간헐 이동시킨다.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은, 상기 반송 디스크(14)의 외주 부분(14c)에 설치된 복수의 수납공 군(G14d) 중에서 1개가 워크 삽입 장소에서 순차 정지하도록 한다. 테이프(TA)의 간헐 이동은, 반송 디스크(14)의 외주 부분(14c)에 설치된 복수의 수납공 군(G14d) 중에서 1개가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한 타이밍으로, 상기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과 동일 수의 요부(TAa)가 워크 삽입 장소의 후측에서 순차 정지하도록 한다. 또한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의 개시에 맞춰서, 워크 압출 유닛(15)의 정압 에어 통로(15b)에 정압 에어를 작용시키면서, 워크 압출 유닛(15)의 부압 에어 통로(15c 및 15d)와 워크 안내 유닛(16)의 부압 에어 통로(16b 및 16c)의 각각에 부압 에어를 작용시킨다.
간헐 회전하는 반송 디스크(14)는 복수의 수납공 군(G14d) 중에서 일부가 항상 워크 저장실(11c) 내에 위치하게 되어 있고, 게다가 워크 저장실(11c)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의 상향측 개구는 워크 저장실(11c) 내로 향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 저장실(11c) 내에 저장되어 있는 워크(WO)는,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따라, 상기 워크 저장실(11c)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직접 수납된다.
워크 저장실(11c) 내에 투입되는 다수 개의 워크(WO)는 통상은 외관 검사나 특성 검사 등의 각종 검사가 완료한 후의 것이고, 게다가 워크 저장실(11c) 내에 저장된 다수 개의 워크(WO)는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의해 변위하면서 워크 저장실(11c)의 내주면의 경사를 이용하면서 수납공(14d)을 향해서 자중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의 워크(WO)의 직접적인 수납은 부드럽게 수행할 수 있다.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의해,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G14d)은 드디어 워크 삽입 장소에 이르지만, 반송 디스크(14)의 외주 부분에 설치된 다수의 수납공(14d) 가운데, 지지 디스크(12)의 제2 평탄면(12d)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을 제외한 다른 수납공(14d)의 하향측 개구는 상기 지지 디스크(14a)의 제1 평탄면(12a)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상기 기타 수납공(14d)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O)가 각각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자중에 의해 탈락하는 일은 없다. 게다가, 지지 디스크(12)의 제2 평탄면(12d)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가운데,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G14d)에 인접하는 우측의 복수의 수납공(14d)의 하향측 개구는 개방하고 있지만, 워크 압출 유닛(15)의 부압 에어 통로(15c 및 15d)로부터 전측의 에어 포켓(14e)을 통해서 상기 우측의 복수의 수납공(14d)에 부압 에어가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우측의 수납공(14d)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O)가 각각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자중에 의해 탈락할 일은 없다.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의해서,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G14d)이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하면, 워크 삽입 장소의 후측에서 테이프(TA)도 정지하고, 상기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과 상기 복수의 수납공(14d)과 동일 수의 요부(TAa)가, 워크 안내 유닛(16)의 복수의 안내 통로(16a)를 통해서 각각 연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에는 워크 압출 유닛(15)의 정압 에어 통로(15b)를 통해서 정압 에어가 작용하고, 또한 워크 안내 유닛(16)의 복수의 안내 통로(16a)에는 부압 에어 통로(16b 및 16c)를 통해서 부압 에어가 작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O)는 상기 정압 에어에 의해 각 수납공(14d)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복수의 안내 통로(16a) 내 각각에 강제적으로 압출되고, 상기 복수의 안내 통로(16a) 안에 압출된 워크(WO)는 상기 부압 에어에 의해 후방에 끌어 들여져, 후방에 끌어 들여진 워크(WO)가 각 안내 통로(16a)의 하향측 개구를 통해서 자중 낙하하고, 테이프(TA)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수납공(14d)과 동일 수의 요부(TAa) 내 각각에 워크(WO)가 거의 동시에 삽입된다.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의 정지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반송 디스크(14)가 각도β만 회전하여 다시 정지하고, 또한 테이프(TA)가 소정거리 이동해서 다시 정지하고, 상기 동일한 워크 삽입이 순차 실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E1) 외주 부분(14c)에 다수의 수납공(14d)이 관통 형성된 반송 디스크(14)가, 그 회전 중심선(RCL)이 연직선(VL)과 예각(α)을 이루도록 상향으로 기울고, 또한 상기 다수의 수납공(14d)의 일부가 워크 저장실(11c)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반송 디스크(14)에 상대하는 반송 테이블을 거의 수평하게 배치하여 그 측방에 1 이상의 볼 피더를 배치한 종전 장치에 비하여,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고, 게다가 볼 피더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점에서 장치를 염가화 할 수 있다.
(E2) 워크 저장실(11c) 내에 벌크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워크(WO)를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을 이용해서 상기 워크 저장실(11c) 내에 위치하는 상기 다수의 수납공(14d)의 일부 내에 직접 수납할 수 있으므로, 반송 디스크(14)에 상대하는 반송 테이블의 워크 수납 홈 내에 1 이상의 볼 피더로부터 워크를 보내는 종전 장치에 비하여,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속도(단위 시간당 반송 디스크(14)의 회전수를 나타낸다)를 고속화할 수 있다.
예컨대, 종전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볼 피더로부터 반송 테이블의 복수의 워크 수납 홈 내에 워크를 수납하도록 해서 상기 반송 테이블의 간헐 회전속도를 고속화하면, 각 볼 피더에 의한 워크의 공급 속도가 반송 테이블의 간헐 회전속도에 추종하지 못한 채 워크가 워크 수납 홈 내에 수납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기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속도를 고속화해도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일 없이 상기 수납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고, 테이프(TA)의 간헐 이동 속도(단위 시간당 테이프(TA)의 이동량을 나타낸다)도 고속화할 수 있다.
(E3)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의 수(도면 중에는 5개)를 단위로 하여 테이프(TA)의 요부(TAa) 내에의 워크(WO)의 삽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의 수와 복수의 안내 통로(16a)의 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삽입 단위가 되는 워크(WO)의 수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삽입 단위가 되는 워크(WO)의 수를 가능한 만큼 증가시키면,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속도 및 테이프(TA)의 간헐 이동 속도를 보다 한층 더 고속화할 수 있다.
(E4)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O)를 각각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강제적으로 압출할 수 있으므로, 워크 삽입 시에 상기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워크(WO)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상기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서 상기 복수의 안내 통로(16a) 내에의 워크(WO)의 압출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E5) 상기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O)가 강제적인 압출에 정압 에어를 이용하고 상기 복수의 안내 통로(16a) 내에 있어서의 워크(WO)의 안내에 부압 에어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서 상기 복수의 안내 통로(16a) 내에의 워크(WO)의 압출 및 상기 복수의 안내 통로(16a) 내에 있어서의 워크(WO)의 안내를 부드럽게 수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도 10 및 도 11)》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워크 삽입 장치(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워크 삽입 장치(제2 실시 형태)는, 워크 안내 유닛(16)을 대신하여 워크 안내 유닛(16-1)을 이용한 점에 있어서 전술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와 구조를 달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워크 안내 유닛(16-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도면 중에는 5개)의 안내 통로(16a)가, 복수개(도면 중에는 3개)의 워크(WO)를 나란히 줄지어 있는 상태로 비축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있는 점
·각 안내 통로(16a)의 하향측 개구보다도 전측 개소의 상측에, 상기 전측 개소와 연통하는 워크 정지용의 제2 부압 에어 통로(16d, 합계 5개)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전술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의 워크 안내 유닛(16)과 구조를 다르게 하고 있다.
각 제2 부압 에어 통로(16d)의 상측 개구는 도시 생략한 에어 회로에 튜브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있고, 각 제2 부압 에어 통로(16d)에 대한 부압 에어의 작용 및 그 정지에 의해서, 각 안내 통로(16a) 내에 비축된 복수의 워크(WO) 중에서 선두 워크(WO)를 테이프(TA)의 복수(도면 중에는 5개)의 요부(TAa) 각각에 삽입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인용하여, 워크 삽입 장치(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워크 삽입 동작, 특히 전술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워크 삽입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워크 삽입 시에는, 복수의 안내 통로(16a) 내에 복수개의 워크(WO)를 비축하기 위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G14d)이 워크 삽입 장소에서 복수회(적어도 3회) 정지하도록 반송 디스크(14)를 간헐 회전시킨다. 이 때는, 각 제2 부압 에어 통로(16d)에 부압 에어를 작용시켜서, 각 제2 부압 에어 통로(16d) 내의 선두 워크(WO)를 상기 부압 에어에 의해 각 제2 에어 통로(16d)의 하측 개구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하고, 후속 워크(WO)가 이에 나란히 오도록 한다.
이 다음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과 테이프(TA)의 간헐 이동을 수행하고, 상기 반송 디스크(14) 및 테이프(TA)가 정지한 타이밍에서 각 제2 에어 통로(16d)에의 부압 에어를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이로 인해, 각 안내 통로(16a) 내의 선두 워크(WO)가 상기 각 안내 통로(16a)의 하향측 개구를 통해서 자중에 의해 낙하하고, 테이프(TA)의 복수의 요부(TAa) 내 각각에 삽입된다.
이 삽입시에는,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도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각 안내 통로(16a) 내에의 워크(WO)의 보충도 수행된다(도 11을 참조). 또한 삽입 완료 후에는 다시 각 제2 부압 에어 통로(16d)에 부압 에어를 작용시켜서, 각 제2 부압 에어 통로(16d) 내의 선두 워크(WO)를 상기 부압 에어에 의해 각 제2 에어 통로(16d)의 하측 개구 위치에서 정지시켜서, 이에 후속 워크(WO)가 나란히 오도록 한다(도 10을 참조).
상기 워크 삽입 장치(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덧붙여서, 각 안내 통로(16a) 내에 복수개의 워크(WO)를 비축하고 나서 테이프(TA)의 복수의 요부(TAa) 내에의 워크(WO)의 삽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만일,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이 적어도 1개에 워크(WO)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여도, 소기의 워크 삽입을 막힘없이 수행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도 12 및 도 13)》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워크 삽입 장치(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워크 삽입 장치(제3 실시 형태)는, 워크 안내 유닛(16)을 대신하여 워크 안내 유닛(16-2)을 이용한 점에 있어서 전술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와 구조를 달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워크 안내 유닛(16-2)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도면 중에는 5개)의 안내 통로(16a)가, 복수개(도면 중에는 3개)의 워크(WO)를 나란히 줄지어 있는 상태로 비축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있는 점
·각 안내 통로(16a)의 후단에, 워크 위치 결정용의 스토퍼(16e)가 설치되어 있는 점
·각 안내 통로(16a)의 하향측 개구의 상측에, 상기 하향측 개구과 연통하는 로드 승강공(16f, 합계 5개)이 설치되어 있는 점
·각 로드 승강공(16f) 내에, 로드(16g, 합계 5개)가 승강 자재로 설치되어 있는 점
·각 안내 통로(16a) 내의 상향측 개구 가까이에, 상기 각 안내 통로(16a) 내에 필요수(도면 중에는 3개)의 워크(WO)가 비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기 위한 워크 검출공(16h, 합계 5개)이 설치되어 있는 점
에 있어서, 전술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의 워크 안내 유닛(16)과 구조를 다르게 하고 있다.
각 로드(16g)는 솔레노이드와 모터 등을 이용한 도시 생략한 승강 기구의 승강부에 부착되어 있고, 각 로드(16g)의 하강 및 그 복귀(상승)에 의해서, 각 안내 통로(16a) 내에 비축된 복수의 워크(WO) 중에서 선두 워크(WO)를 테이프(TA)의 복수(도면 중에는 5개)의 요부(TAa) 각각에 삽입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워크 검출공(16h)에는 도시 생략한 검출 기구의 검출부, 예컨대 반사형 광센서를 이용한 검출 기구의 검출용 광 파이버(fiber) 가 배치되어 있고, 검출용 광 파이버에의 입력 광량에 의해서, 각 안내 통로(16a) 내에 필요수(도면 중에는 3개)의 워크(WO)가 비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을 인용하여, 워크 삽입 장치(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워크 삽입 동작, 특히 전술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워크 삽입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워크 삽입 시에는, 복수의 안내 통로(16a) 내에 복수개의 워크(WO)를 비축하기 위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G14d)이 워크 삽입 장소에서 복수회(적어도 3회) 정지하도록 반송 디스크(14)을 간헐 회전시킨다. 각 안내 통로(16a) 내의 선두 워크(WO)는 각 스토퍼(16e)에 당접하여 정지하기 때문에, 후속의 워크(WO)는 이에 나란히 줄지어 있다.
각 안내 통로(16a) 내에 필요수의 워크가 비축되어 있는 것이 검출 기구에 의해서 검출된 후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TA)만을 간헐 이동시키고, 상기 테이프(TA)가 정지한 타이밍에서 각 로드(16g)를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시킨다. 이로 인해, 각 안내 통로(16a) 내의 선두 워크(WO)가 상기 각 안내 통로(16a)의 하향측 개구를 통하여 강제적으로 압하(壓下)되고, 상기 워크(WO)가 테이프(TA)의 복수의 요부(TAa) 내 각각에 삽입된다.
이 다음은, 각 로드(16g)를 하강 위치에서 상승 위치로 복귀시켜, 각 안내 통로(16a) 내에 필요수의 워크가 비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다시 검출한다. 필요수의 워크(WO)가 비축되어 있을 때에는 테이프(TA)만을 간헐 이동시키고, 상기 동일한 워크 삽입을 수행한다(도 13을 참조). 한편, 필요수의 워크(WO)가 비축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테이프(TA)의 간헐 이동에 맞춰서 반송 디스크(14)도 간헐 이동시켜서, 각 안내 통로(16a) 내에 워크(WO)를 보충한다(도 12를 참조).
상기 워크 삽입 장치(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덧붙여서, 각 안내 통로(16a) 내에 복수개의 워크(WO)를 비축하고 나서 테이프(TA)의 복수의 요부(TAa) 내에의 워크(WO)의 삽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만일,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이 적어도 1개에 워크(WO)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여도, 소기의 워크 삽입을 막힘없이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4 실시 형태(도 14∼도 16)》
도 14∼도 1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워크 삽입 장치(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워크 삽입 장치(제4 실시 형태)는, 워크 안내 유닛(16)을 대신하여 워크 안내 유닛(16-3)을 채용한 점에 있어서 전술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와 구조를 달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워크 안내 유닛(16-3)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도면 중에는 5개)의 안내 통로(16a)가, 복수개(도면 중에는 3개)의 워크(WO)를 나란히 줄지어 놓은 상태로 비축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있는 점
·각 안내 통로(16a)의 후단에, 워크 위치 결정용 스토퍼(16e)가 설치되어 있는 점
·각 안내 통로(16a)의 하향측 개구의 상측에, 상기 하향측 개구과 연통하는 흡인(吸引) 노즐 승강공(16f, 합계 5개)이 설치되어 있는 점
·각 흡인 노즐 승강공(16f) 내에, 흡인 노즐(16i, 합계 5개)이 승강 자재로 설치되어 있는 점
·각 안내 통로(16a) 내의 상향측 개구 가까이에, 상기 각 안내 통로(16a) 내에 필요수(도면 중에는 3개)의 워크(WO)가 비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기 위한 워크 검출공(16h, 합계 5개)이 설치되어 있는 점
·각 안내 통로(16a)의 하향측 개구(16a1)에 있어서의 테이프 주행 방향(테이프 길이 방향)의 내면이,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외측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이 되어 있는 점
에 있어서, 전술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의 워크 안내 유닛(16)과 구조를 다르게 하고 있다.
각 흡인 노즐(16i)은 솔레노이드와 모터 등을 이용한 도시 생략한 승강 기구의 승강부에 부착되고, 또한 각 흡인 노즐(16i)의 상측 개구는 도시 생략한 에어 회로에 튜브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있어, 각 흡인 노즐(16i)의 하강 및 그 복귀(상승)에 의해서, 각 안내 통로(16a) 내에 비축된 복수의 워크(WO) 중에서 선두 워크(WO)를 테이프(TA)의 복수(도면 중에는 5개)의 요부(TAa) 각각에 삽입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워크 검출공(16h)에는 도시 생략한 검출 기구의 검출부, 예컨대 반사형 광센서를 이용한 검출 기구의 검출용 광 파이버가 배치되어 있고, 검출용 광 파이버에의 입력 광량에 의해서, 각 안내 통로(16a) 내에 필요수(도면 중에는 3개)의 워크(WO)가 비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도 15, 도 16 (A) 및 도 16(B)를 인용하여, 워크 삽입 장치(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워크 삽입 동작, 특히 전술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워크 삽입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워크 삽입 시에는, 복수의 안내 통로(16a) 내에 복수개의 워크(WO)를 비축하기 위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G14d)이 워크 삽입 장소에서 복수회(적어도 3회) 정지하도록 반송 디스크(14)를 간헐 회전시킨다. 각 안내 통로(16a) 내의 선두 워크(WO)는 각 스토퍼(16e)에 당접하여 정지하기 때문에, 후속의 워크(WO)는 이에 나란히 줄지어 있다.
각 안내 통로(16a) 내에 필요수의 워크가 비축되어 있는 것이 검출 기구에 의해서 검출된 후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TA)만을 간헐 이동시키고, 그 테이프(TA)가 정지한 타이밍에서 각 흡인 노즐(16i)을 대기 위치(상승 위치)로부터 하강시킨다. 각 흡인 노즐(16i)의 하강 위치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WO)의 상단부가 테이프(TA)의 표면보다도 약간 돌출하는 위치로 한다. 이로 인해, 각 안내 통로(16a) 내의 선두 워크(WO)가, 각 흡인 노즐(16i)의 하측 개구에 흡착된 상태인 채로 상기 각 안내 통로(16a)의 하향측 개구를 통해서 강제적으로 압하되고, 상기 워크(WO)의 상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테이프(TA)의 복수의 요부(TAa) 내 각각에 삽입된다.
각 흡인 노즐(16i)의 하강이 완료한 후에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TA)만을 간헐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각 안내 통로(16a)의 하향측 개구(16a1)의 경사면에 의해서 각 흡인 노즐(16i)의 하측 개구에 흡착되어 있는 워크(WO)가 상기 각 흡인 노즐(16i)의 하측 개구로부터 떼어내져서, 상기 워크(WO)가 테이프(TA)의 복수의 요부(TAa)내 각각에 삽입된다.
이 다음은, 각 흡인 노즐(16i)을 하강 위치에서 상승 위치로 복귀시켜서, 각 안내 통로(16a) 내에 필요수의 워크가 비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다시 검출한다. 필요수의 워크(WO)가 비축되어 있을 때에는 테이프(TA)만을 간헐 이동시키고, 상기 동일한 워크 삽입을 수행한다 (도 15,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 한편, 필요수의 워크(WO)가 비축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테이프(TA)의 간헐 이동에 맞춰서 반송 디스크(14)도 간헐 이동시키고, 각 안내 통로(16a) 내에 워크(WO)를 보충한다(도 14를 참조).
상기 워크 삽입 장치(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덧붙여서, 각 안내 통로(16a) 내에 복수개의 워크(WO)를 비축하고 나서 테이프(TA)의 복수의 요부(TAa)내에의 워크(WO)의 삽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만일,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이 적어도 1개에 워크(WO)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여도, 소기의 워크 삽입을 막힘 없이 수행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도 17 및 도 18)》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워크 삽입 장치(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워크 삽입 장치(제5 실시 형태)가 전술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와 구조를 달리하는 점은,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의해서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G14d)이 워크 삽입 장소보다도 앞의 워크 수납 양부 검사 장소[도 17의 수납 양부 검출 센서(17)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에 해당]에서 정지했을 때, 상기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O) 각각의 수납 양부를 개별로 검출하기 위한 수납 양부 검출 센서(17)를 설치한 점
·워크 수납 양부 검사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O)에 수납 불량이 1개라도 검출되었을 경우,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의해서 상기 수납공 군(G14d)이 워크 수납 양부 검사 장소보다도 상류측의 워크 반환 장소(워크 수납 양부 검사 장소보다도 1개 위의 정지 장소)에서 정지했을 때, 상기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수납되어 있는 모든 워크(WO)를 정압 에어에 의해서 배출하여 워크 저장실(11c)로 되돌리기 위한 정압 에어 통로(12f) 및 도시 생략한 워크 반환 슈트를 설치한 점
에 있다.
수납 양부 검출 센서(17)는,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도면 중에는 5개)의 수납공(14d)과 같은 수의 복수(5개)의 광전소자(光電素子)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각 광전소자는,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G14d)이 워크 수납 양부 검사 장소에서 정지했을 때, 상기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의 에어 포켓(14e) 측과 마주보고 있다. 또한 수납 양부 검출 센서(17)는 상기 수납 양부 검출 센서(17)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수납 양부 판정을 수행하는 도시 생략한 디텍터에 접속되어 있다.
정압 에어 통로(12f)는, 수납공 군(G14d)이 워크 반환 장소에서 정지했을 때, 그 전측 개구가 상기 수납공 군(G14d)의 후측의 에어 포켓(12f)과 연통하도록, 지지 디스크(12)의 제1 평탄면(12a)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정압 에어 통로(12f) 전측 개구와는 반대측의 개구는 도시 생략한 에어 회로에 튜브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있다.
상기 워크 삽입 장치(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워크 삽입 동작의 외에, 이하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의해서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G14d)이 워크 삽입 장소보다도 앞의 워크 수납 양부 검사 장소에서 정지하면, 수납 양부 검출 센서(17)에 의해 상기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O) 각각의 수납 양부가 개별로 검출된다.
이와 관련하여, 수납 불량으로서는, 워크 수납 양부 검사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의 적어도 1개에 워크(WO)가 경사진 채 불완전한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케이스(도 18을 참조)와, 복수의 수납공(14d)의 적어도 1개에 워크(WO)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케이스 등을 들 수 있다.
수납 불량이 1개라도 검출되었을 경우,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의해 수납공 군(G14d)이 워크 수납 양부 검사 장소보다도 상류측의 워크 반환 장소에서 정지하면, 정압 에어 통로(12f)에서의 정압 에어가, 에어 포켓(14f)을 통하여 상기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상향측을 향해서 작용하고, 모든 워크(WO)가 각 수납공(14d)의 상향측 개구로부터 배출되고, 배출된 워크(WO)가 워크 반환 슈트를 통해서 워크 저장실(11c)로 되돌려져서 재저장된다.
물론, 수납 불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워크(WO)의 반환은 수행되지 않고,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의해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G14d)은 워크 삽입 장소에 이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워크 저장실(11c) 내에 투입되는 다수의 워크(WO)는, 통상적으로는 외관 검사나 특성 검사 등의 각종 검사가 완료된 후의 것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수납 불량이 검출되는 일은 있을 수 없지만, 만일, 상기와 같은 수납 불량이 검출되된 경우라도, 수납 불량의 워크(WO)를 포함하는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G14d)이 워크 삽입 장소에 도달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 불량이 1개라도 검출되었을 때에는 모든 워크(WO)를 워크 저장실(11) 내로 되돌리도록 했으므로, 워크(WO)를 헛되게 하는 일 없이 재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6 실시 형태(도 19를 참조)》
도 19는 본 발명을 적용한 워크 삽입 장치(제 6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워크 삽입 장치(제 6실시 형태)가 전술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와 구조를 달리하는 점은,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의해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G14d)이 워크 삽입 장소보다도 앞의 워크 특성 양부 검사 장소(도 19의 특성 양부 검출 센서(18)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에 상당)에서 정지했을 때, 상기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O) 각각의 특성 양부를 개별로 검출하기 위한 특성 양부 검출 센서(18)를 설치한 점
·워크 특성 양부 검사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O)에 특성 불량이 1개라도 검출된 경우,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의해 상기 수납공 군(G14d)이 워크 특성 양부 검사 장소보다도 상류측의 워크 반환 장소(워크 특성 양부 검사 장소보다도 1개 위의 정지 장소)에서 정지했을 때, 상기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O) 중에서 특성 양호의 워크(WO)를 정압 에어에 의해 배출하여 워크 저장실(11c)로 되돌리기 위한 제1 정압 에어 통로(12g1∼12g5) 및 도시 생략한 워크 반환 슈트를 설치한 점
·워크 특성 양부 검사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O)에 특성 불량이 1개라도 검출된 경우,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의해 상기 수납공 군(G14d)이 워크 반환 장소보다도 상류측의 워크 폐기 장소(워크 반환 장소보다도 1개 위의 정지 장소)에서 정지했을 때, 상기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O) 중에서 특성 불량의 워크(WO)를 정압 에어에 의해 배출하여 워크 저장실(11c)로 되돌리지 않고 폐기하기 위한 제2 정압 에어 통로(12h1∼12h5) 및 도시 생략한 워크 폐기 슈트를 설치한 점
에 있다.
특성 양부 검출 센서(18)는,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도면 중에는 5개)의 수납공(14d)과 동일 수의 복수(도면 중에는 5개)의 검사 프로브(18a)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각 검사 프로브는,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G14d)이 워크 특성 양부 검사 장소에서 정지했을 때, 상기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O)의 길이 방향 일단과 접촉한다. 또한 특성 양부 검출 센서(18)는 상기 특성 양부 검출 센서(18)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특성 양부 판정을 수행하는 도시 생략한 디텍터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정압 에어 통로(12g1∼12g5)는, 수납공 군(G14d)이 워크 반환 장소에서 정지했을 때, 각각 전측 개구가 상기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의 후측 개구 각각과 마주보도록, 지지 디스크(12)의 제1 평탄면(12a)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정압 에어 통로(12g1∼12g5) 전측 개구와는 반대측의 개구 각각은 도시 생략한 에어 회로에 튜브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있다.
제2 정압 에어 통로(12h1∼12h5)는, 수납공 군(G14d)이 워크 폐기 장소에서 정지했을 때, 각각 전측 개구가 상기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의 후측 개구 각각과 마주보도록, 지지 디스크(12)의 제1 평탄면(12a)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정압 에어 통로(12h1∼12h5) 전측 개구와는 반대측의 개구 각각은 도시 생략한 에어 회로에 튜브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있다.
상기 워크 삽입 장치(제6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워크 삽입 장치(제1 실시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워크 삽입 동작의 이외에, 이하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워크(WO)가 길이 방향 양단부에 외부 전극을 가지는 콘덴서, 인덕터, 레지스터 등의 전자 부품인 경우에 유효하다.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의해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G14d)이 워크 삽입 장소보다도 앞의 워크 특성 양부 검사 장소에서 정지하면, 특성 양부 검출 센서(18)에 의해 상기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WO) 각각의 특성 양부가 개별로 검출된다.
특성 불량이 1개라도 검출된 경우,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의해 수납공 군(G14d)이 워크 특성 양부 검사 장소보다도 상류측의 워크 반환 장소에서 정지하면, 제1 정압 에어 통로(12g1∼12g5) 중에서 특성 양호의 워크(WO)를 수납하고 있는 수납공(14d)에 대응하는 제1 정압 에어 통로(12g1∼12g5)로부터의 정압 에어가 특성 양호의 워크(WO)를 수납하고 있는 수납공(14d)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상향측 개구를 향해서 작용하고, 상기 특성 양호의 워크(WO)가 수납공(14d)의 상향측으로부터 배출되고, 배출된 워크(WO)가 워크 반환 슈트를 통해서 워크 저장실(11c)로 되돌려져서 재저장된다.
또한 특성 불량이 1개라도 검출된 경우,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의해 수납공 군(G14d)이 워크 반환 장소보다도 상류측의 워크 폐기 장소에서 정지하면, 제2 정압 에어 통로(12h1∼12h5) 중에서 특성 불량의 워크(WO)를 수납하고 있는 수납공(14d)에 대응하는 제2 정압 에어 통로(12h1∼12h5)로부터의 정압 에어가 특성 불량의 워크(WO)를 수납하고 있는 수납공(14d)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상향측 개구를 향해서 작용하고, 상기 특성 불량의 워크(WO)가 수납공(14d)의 상향측 개구로부터 배출되고, 배출된 워크(WO)는 워크 폐기 슈트를 통해서 워크 저장실(11c)에 되돌려지지 않고 폐기된다.
물론, 특성 불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와 같은 워크(WO)의 반환 및 폐기는 수행되지 않고, 반송 디스크(14)의 간헐 회전에 의해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G14d)은 워크 삽입 장소에 이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워크 저장실(11c) 내에 투입되는 다수의 워크(WO)는 통상은 외관 검사나 특성 검사 등의 각종 검사가 완료한 후의 것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특성 불량이 검출되는 일은 있을 수 없지만, 만일, 상기와 같은 특성 불량이 검출되었을 경우라도, 특성 불량의 워크(WO)를 포함하는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G14d)이 워크 삽입 장소에 도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성 불량이 1개라도 검출되었을 때에는, 특성 양호의 워크(WO)만을 워크 저장실(11) 내에 되돌리도록 했으므로, 특성 양호의 워크(WO)를 헛되게 하는 일 없이 재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특성 불량이 1개라도 검출되었을 때에는, 특성 불량의 워크(WO)만을 워크 저장실(11) 내로 되돌리지 않고 폐기하도록 했으므로, 특성 불량의 워크(WO)가 재이용될 걱정도 없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제1∼제6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디스크(14)의 회전 중심선(RCL)을 연직선(VL)과 예각(α)(도면 중에는 거의 60°)을 이루도록 기울인 것을 나타냈지만, 경사 각도가 예각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75∼45°의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제1 실시 형태 란에서 서술한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상기 제1∼제6 실시 형태에서는, 워크(WO)로서 기준 치수가 길이>폭=높이의 치수 관계를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것을 나타내고, 또한 반송 디스크(14)의 수납공(14d)으로서 상기 워크(WO)의 길이, 폭 및 높이 각각보다도 약간 큰 길이, 폭 및 높이를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것을 나타냈지만, 워크(WO)로서 기준 치수가 길이>폭>높이의 치수 관계를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것과, 기준 치수가 길이=폭=높이의 치수 관계를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것과, 거의 구 형상의 것을 이용한 경우여도, 수납공(14d) 형상을 이들 워크(WO)를 수납 가능한 형상으로 변경하면, 상기 제1 실시 형태란에서 서술한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상기 제1∼제6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디스크(14)에 120개의 수납공(14d)을 형성한 것을 나타냈지만, 반송 디스크(14)에 120개보다도 많은 수의 수납공(14d)을 형성한 경우, 혹은, 120개보다도 적은 수의 수납공(14d)을 형성한 경우여도, 상기 제1 실시 형태란에서 서술한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상기 제1∼제6 실시 형태에서는, 120개의 수납공(14d)을 5개의 수납공(14d)을 포함하는 24개의 수납공 군(G14d)으로 등분한 것을 나타냈지만, 5개보다도 많은 수의 수납공(14d)을 포함하는 12개보다도 적은 수의 수납공 군(G14d)으로 등분한 경우, 혹은, 5개보다도 적은 2이상의 수의 수납공(14d)을 포함하는 12개보다도 많은 수의 수납공 군(G14d)으로 등분한 경우여도, 등분 수에 알맞은 각도를 단위로 하여 반송 디스크(14)를 간헐 회전시키면, 상기 제1 실시 형태란에서 서술한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5) 상기 제1∼제6 실시 형태에서는, 각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을 둘러싸는 에어 포켓(14e 및 14f)을 반송 디스크(14)에 형성한 것을 나타냈지만, 에어 통로(15b)의 수를 늘려서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각각에 정압 에어를 개별로 작용시키도록 하면, 전측의 에어 포켓(14e)을 배제할 수도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란에서 서술한 정압 에어 통로(12f)의 수를 늘려서 수납공 군(G14d)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14d) 각각에 정압 에어를 개별로 작용시키도록 하면, 전측의 에어 포켓(14e)을 배제할 수도 있다. 요컨대, 반송 디스크(14)로부터 에어 포켓(14e 및 14f)을 배제해도, 상기 제1 실시 형태란에서 서술한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A: 테이프 TAa: 요부
WO: 워크 11c: 워크 저장실
12: 지지 디스크 12f: 정압 에어 통로
12g1∼12g5: 제1 정압 에어 통로 12h1∼12h5: 제2정압 에어 통로
13: 모터 14: 반송 디스크
14d: 수납공 G14d: 수납공 군
15: 워크 압출 유닛 15b: 정압 에어 통로
16, 16-1, 16-2, 16-3: 워크 안내 유닛
16a: 안내 통로 16b, 16c: 부압 에어 통로
16d: 제2 부압 에어 통로 16e: 스토퍼
16f: 로드 또는 흡인 노즐의 승강공 16g: 로드
16h: 워크 검출공 16i: 흡인 노즐
17: 수납 양부 검출 센서 18: 특성 양부 검출 센서.

Claims (9)

  1. 테이프에 병설된 요부(凹部) 내에 전자 부품 등의 워크를 순차 삽입하기 위한 워크 삽입 장치로서,
    회전 중심선이 연직선과 예각을 이루도록 상향으로 기울면서, 상기 워크를 각각 수납 가능한 다수의 수납공이 주(周)방향에 등각도 간격으로 늘어서도록 외주 부분에 관통 형성되고, 또한 상기 다수의 수납공이 복수의 수납공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납공 군(群)으로 등분된 반송 디스크;
    상기 반송 디스크의 인접하는 2개의 수납공 군의 중심과 상기 반송 디스크의 회전 중심을 잇는 2선분이 이루는 각도를 단위로 하여 상기 반송 디스크를 간헐 회전시키기 위한 디스크 구동 수단;
    상기 워크를 벌크 상태에서 다수개 저장 가능하면서, 상기 반송 디스크의 적어도 1개의 수납공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의 상향측 개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반송 디스크의 간헐 회전에 따라 상기 수납공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 내에 각각의 상향측 개구로부터 워크를 직접 수납하기 위한 워크 저장실;
    상기 반송 디스크의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이 상기 워크 저장실로부터 떨어진 워크 삽입 장소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가 각각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워크 탈락 방지 수단;
    상기 반송 디스크의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이 상기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했을 때에 상기 수납공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를 각각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강제적으로 압출하기 위한 워크 압출 수단; 및
    상기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상기 테이프의 복수의 요부 각각을 향해서 하향으로 기우는 복수의 안내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내 통로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수납공의 하향측 개구로부터 밀어내진 워크를 상기 복수의 요부 각각에 안내하기 위한 워크 안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삽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 압출 수단은, 상기 워크 삽입 장소에서 정지한 수납공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에 각각의 상향측 개구로부터 하향측 개구를 향하는 정압(正壓) 에어를 작용시키기 위한 정압 에어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삽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 안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안내 통로에 각각의 상향측 개구로부터 하향측 개구를 향하는 부압(負壓) 에어를 작용시키기 위한 부압 에어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삽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내 통로는, 상기 워크를 나란히 줄지어 놓은 상태에서 복수개 비축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삽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 안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안내 통로 내에 비축된 복수의 워크 중에 선두 워크를 상기 복수의 요부 각각에 삽입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2 부압 에어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삽입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 안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안내 통로 내에 비축된 복수의 워크 중에 선두 워크를 상기 복수의 요부 각각 삽입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가동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삽입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 안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안내 통로 내에 비축된 복수의 워크 중에 선두 워크를 상기 복수의 요부 각각에 삽입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가동 흡인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삽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디스크의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이 상기 워크 삽입 장소보다도 앞의 워크 수납 양부(良否) 검사 장소에서 정지했을 때에 상기 수납공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 각각의 수납 양부를 개별로 검출하기 위한 수납 양부 검출 수단; 및
    상기 수납 양부 검출 수단에 의해 수납 불량이 1개라도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수납공 군을 구성하는 수납공 내에 수납되어 있는 모든 워크를 상기 워크 저장실에 되돌려서 재저장하기 위한 워크 반환 수단;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삽입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는 전자 부품이고,
    상기 반송 디스크의 워크 수납 완료된 수납공 군이 상기 워크 삽입 장소보다도 앞의 워크 특성 양부 검사 장소에서 정지했을 때, 상기 수납공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납공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 각각의 특성 양부를 개별로 검출하기 위한 특성 양부 검출 수단; 및
    상기 특성 양부 검출 수단에 의해 특성 불량이 1개라도 검출되었을 때, 상기 수납공 군을 구성하는 수납공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 중에 특성 양호의 워크를 상기 워크 저장실에 되돌려서 재저장하기 위한 양호 워크 반환 수단;
    상기 특성 양부 검출 수단에 의해 특성 불량이 1개라도 검출되었을 때, 상기 수납공 군을 구성하는 수납공 내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 중에 특성 불량의 워크를 상기 워크 저장실에 되돌리지 않고 폐기하기 위한 불량 워크 폐기 수단;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삽입 장치.
KR1020130128439A 2012-12-07 2013-10-28 워크 삽입 장치 KR101504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68070 2012-12-07
JPJP-P-2012-268070 2012-12-07
JPJP-P-2013-164764 2013-08-08
JP2013164764A JP5750143B2 (ja) 2012-12-07 2013-08-08 ワーク挿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819A true KR20140074819A (ko) 2014-06-18
KR101504167B1 KR101504167B1 (ko) 2015-03-19

Family

ID=5087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439A KR101504167B1 (ko) 2012-12-07 2013-10-28 워크 삽입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48927B2 (ko)
JP (1) JP5750143B2 (ko)
KR (1) KR101504167B1 (ko)
TW (1) TWI5180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497A (ko) * 2020-12-16 2022-06-23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반송체, 전자부품의 반송 장치, 및 전자부품의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1931B2 (ja) * 2017-02-24 2021-07-14 太陽誘電株式会社 テーピング装置
JP6966294B2 (ja) * 2017-11-15 2021-11-10 太陽誘電株式会社 テーピング装置およびテーピング方法
JP6996956B2 (ja) * 2017-12-06 2022-01-17 太陽誘電株式会社 テーピング装置およびテーピング方法
JP2019182455A (ja) * 2018-04-05 2019-10-24 太陽誘電株式会社 テーピング装置およびテーピング方法
KR102126285B1 (ko) * 2019-01-25 2020-06-24 김성철 진단키트용 케이스 공급 장치
JP6836767B1 (ja) * 2019-12-26 2021-03-03 日本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挿入装置
JP7075139B2 (ja) * 2020-06-02 2022-05-25 株式会社ヒューモラボラトリー チップ電子部品検査選別装置用のチップ電子部品搬送円盤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856Y2 (ko) * 1985-02-05 1992-07-06
JPH01254510A (ja) * 1988-03-29 1989-10-11 Murata Mfg Co Ltd チップ部品のテーピング装置
US5117761A (en) * 1989-04-28 1992-06-02 Canon Kabushiki Kaisha Part mounting apparatus
US5313401A (en) * 1989-07-17 1994-05-17 Canon Kabushiki Kaisha Mounting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hand mechanisms for picking up, moving and mounting works on an object board
JP2916003B2 (ja) * 1990-12-05 1999-07-05 日東工業株式会社 固形物搬送装置のガイドプレート
JP3537164B2 (ja) * 1993-08-13 2004-06-14 日東工業株式会社 チップテープのチップ装填装置
JPH0811567B2 (ja) * 1993-12-29 1996-02-07 株式会社正和テクノシステムズ チップ部品装填装置
JP3446598B2 (ja) * 1998-03-23 2003-09-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部品の移載装置
JP3739218B2 (ja) * 1998-04-02 2006-01-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装着方法及び装置
JP3114692B2 (ja) * 1998-04-10 2000-1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被処理物取扱方法及び被処理物取扱装置
JP3841585B2 (ja) * 1999-04-21 2006-11-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機、及び該電子部品実装機にて実行される電力供給制御方法
JP3824847B2 (ja) * 2000-07-14 2006-09-20 株式会社 東京ウエルズ ワークのテーピングシステム
DE10302802A1 (de) * 2003-01-24 2004-08-26 Siemens Ag Mehrfach-Bestückkopf
JP2006168754A (ja) * 2004-12-14 2006-06-29 Murata Mfg Co Ltd チップ部品のテーピング装置
DE102007001722B4 (de) * 2007-01-11 2009-03-12 Hubertus Heigl Vorrichtung zum Aufnehmen, Transportieren und Sortieren von elektronischen Bauelementen
JP2014114026A (ja) * 2012-12-07 2014-06-26 Taiyo Yuden Co Ltd ワーク挿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497A (ko) * 2020-12-16 2022-06-23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반송체, 전자부품의 반송 장치, 및 전자부품의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48927B2 (en) 2016-02-02
KR101504167B1 (ko) 2015-03-19
JP5750143B2 (ja) 2015-07-15
JP2014131924A (ja) 2014-07-17
US20140157590A1 (en) 2014-06-12
TW201431748A (zh) 2014-08-16
TWI518005B (zh)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167B1 (ko) 워크 삽입 장치
US7770357B2 (en) Tablet filling device
JP2006224980A (ja) 錠剤充填装置
JP2008105811A (ja) ワークの外観検査装置
KR20120049257A (ko) 약제 불출 장치
KR101533976B1 (ko) 방향성 부품의 공급을 위한 피더 및 그의 공급 방법
JP6736074B1 (ja) 薬剤フィーダ
KR101441571B1 (ko)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JP2001031233A (ja) 物品供給装置
CN103298326A (zh) 电子部件供给装置及电子部件安装装置
US6039209A (en) Ampule feeder
JPH07315574A (ja) ピッキング装置
JP2002308217A (ja) 小袋の積重ね供給装置
JP5835244B2 (ja) ワーク搬送装置
CN112141386A (zh) 轴承滚子装盘机
KR20150059595A (ko)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
CN211087387U (zh) 一种自动售货机
JP6182996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ローター
CN112124943A (zh) 轴承滚子分料机
KR100631588B1 (ko) 앰플공급장치
JP2003212201A (ja) 定量供給装置、及び該定量供給装置を用いた計数装置
JP2020090346A (ja) 電子部品の搬送装置
JP4347185B2 (ja) 振動排出カセット及び薬剤払出装置
JP7337383B2 (ja) 薬剤フィーダ
JP4386760B2 (ja) 薬品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