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571B1 -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571B1
KR101441571B1 KR1020120136265A KR20120136265A KR101441571B1 KR 101441571 B1 KR101441571 B1 KR 101441571B1 KR 1020120136265 A KR1020120136265 A KR 1020120136265A KR 20120136265 A KR20120136265 A KR 20120136265A KR 101441571 B1 KR101441571 B1 KR 101441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loading chamber
electronic component
sensor
tub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8589A (ko
Inventor
최성욱
최승열
방영진
Original Assignee
은성에프에이(주)
방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성에프에이(주), 방영진 filed Critical 은성에프에이(주)
Priority to KR1020120136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571B1/ko
Publication of KR20140068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본체(100); 상기 하부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가 격벽(230)에 의하여 제1튜브적재실(210)과 제2튜브적재실(220)로 구분되며,상기 제1튜브적재실(210)에는 전자부품이 충전된 튜브(11)가 적재되며, 상기 제2튜브적재실(220)에는 상기 제1튜브적재실(210)에서 옮겨져 로딩된 후 전자부품의 피딩이 이루어지고 있는 튜브(11)와 피딩이 완료되어 전자부품이 소진된 튜브(11)가 수용되는 튜브적재트레이(200); 상기 하부본체(100)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어 모터(315)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러(310); 상기 롤러(310)에 맞물러 돌아가면서 이동하고, 상측 단부(321)는 상기 튜브적재트레이(200)의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에 적재된 튜브(11) 내부로 들어가 전자부품을 밀어주고, 하측 단부(322)는 상기 하부본체(10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튜브(330) 내부에 수용되는 연질의 부품이송부재(320); 및, 상기 하부본체(100)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이송부재(320)에 의하여 수평이동한 전자부품을 상부로 밀어서 피딩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제2실린더(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Electronic Part Auto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자부품자동삽입기에 장착되어 전자부품을 자동으로 피딩하여 헤드부의 핑거가 정확하게 픽업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자동삽입기에서 전자부품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피딩장치가 반드시 필요한데, 종래의 피딩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4)이 내부에 적재된 튜브(5)를 도2과 같은 방식으로 공급장치(3)에 거치시켜 진동, 압축 공기, 중력 등을 이용하여 공급하거나, 도3(공개특허 10-2010-005799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켈 플레이트가 적재되는 적재부(110)와, 적재부(110) 하단에 구비되어 적재부(110)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발생부(112)와, 상기 적재부(110)의 내부 측벽을 따라 형성되며 니켈 플레이트를 진동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면(115)과, 상기 이송면(115)으로부터 공급된 니켈 플레이트를 중력 또는 진동에 의해 공급부(120)까지 이송하는 이송로(130)와, 상기 이송로(130)에 설치되며 정해진 형태로 이송되지 않는 니켈 플레이트를 제거하는 오정렬부품 제거부(140)와, 상기 오정렬부품제거부(140)에서 제거된 니켈 플레이트를 수거하여 상기 적재부로 반송시키는 수거부(150)와, 이송로의 말단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표면실장기의 픽커의 선단이 삽입되며 니켈 플레이터를 픽커에 흡착시켜 표면실장기로 공급하게 하는 공급부(120)와, 상기 공급부(120)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니켈 플레이트를 흡착하는 진공흡착부(125)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진동발생기나 에어 노즐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심하여 작업 환경을 저해하며, 정확한 위치로 피딩이 완벽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우며(신뢰도의 문제), 피딩 장치가 필요 이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 피딩에 수반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작업 환경을 조성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전자부품의 직접적인 밀착 이송을 통하여 정확한 위치로 전자부품을 자동 공급하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피딩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1회 적재되는 전자부품의 수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부본체(100); 상기 하부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가 격벽(230)에 의하여 제1튜브적재실(210)과 제2튜브적재실(220)로 구분되며,상기 제1튜브적재실(210)에는 전자부품이 충전된 튜브(11)가 적재되며, 상기 제2튜브적재실(220)에는 상기 제1튜브적재실(210)에서 옮겨져 로딩된 후 전자부품의 피딩이 이루어지고 있는 튜브(11)와 피딩이 완료되어 전자부품이 소진된 튜브(11)가 수용되는 튜브적재트레이(200); 상기 하부본체(100)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어 모터(315)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러(310); 상기 롤러(310)에 맞물러 돌아가면서 이동하고, 상측 단부(321)는 상기 튜브적재트레이(200)의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에 적재된 튜브(11) 내부로 들어가 전자부품을 밀어주고, 하측 단부(322)는 상기 하부본체(10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튜브(330) 내부에 수용되는 연질의 부품이송부재(320); 및, 상기 하부본체(100)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품이송부재(320)에 의하여 수평이동한 전자부품을 상부로 밀어서 피딩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제2실린더(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 피딩에 수반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튜브()에 충전된 전자부품을 부품이송부재(320)를 이용하여 직접 밀어주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자동 피딩을 위한 별도의 진동장치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진동장치 작동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전자부품의 직접적인 밀착 이송을 통하여 정확한 위치로 전자부품을 자동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진동이나 중력, 또는 공기압에 의한 전자부품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품이송부재(320)와 제2실린더(420)를 이용한 직접적인 밀착 이송이 이루어지고, 제1센서(510)와 제5센서(550)를 이용하여 정확한 이송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피딩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피딩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1회 적재되는 전자부품의 수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다량의 튜브(11)가 적재된 튜브적재트레이(200)를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함으로써 피딩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은 종래의 피딩장치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부품자동삽입기의 전체 형상을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6은 튜브(11)의 상승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7은 튜브(11)의 수평 이동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8은 전자부품의 일종인 릴레이(22)가 충전된 튜브(11)를 도시한다.
도9는 롤러(310)와 연질의 부품이송부재(320)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일측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타측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4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부품자동삽입기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자동삽입기의 좌우 양측에 다수 개의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릴레이 피딩 장치)가 설치된다.
하부본체(100)는 전자부품자동삽입기에 장착되며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부착되는 베이스 역할을 한다.
튜브적재트레이(2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튜브적재트레이(200)는 내부가 격벽(230)에 의하여 제1튜브적재실(210)과 제2튜브적재실(220)로 구분된다.
제1튜브적재실(210)에는 전자부품이 충전된 튜브(11)가 초기에 적재되는 장소로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튜브(11)가 일렬로 적층된다.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에는 제1튜브적재실(210)에서 옮겨져 로딩된 후 전자부품의 피딩이 이루어지고 있는 튜브(11)가 수용된다. 아울러 제2튜브적재실(220)에는 피딩이 완료되어 전자부품이 소진된 튜브(11)가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에서 상부로 이동된 후 수용된다.
도6은 튜브(11)의 상승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7은 튜브(11)의 수평 이동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6에 도시된 튜브(11)의 상승 과정은 제2튜브적재실(220) 내부에서 이루어지며, 하부본체(100)의 측면에 설치된 제3실린더(430)가 튜브(11)를 상승시키게 된다.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에 로딩된 튜브(11)에서 전자부품의 피딩이 완료되어 튜브(11) 내부에 충전된 전자부품이 소진되면 튜브(11)를 상승시키는 과정에 앞서 롤러(310)에 맞물린 부품이송부재(320)가 회송(반송)되어 부품이송부재(320)의 상측 단부(321)가 튜브(11) 외부로 빠져나와야 한다.
이러한 상태가 도6의 좌측에 도시된 그림인데, 이러한 상태에서 제3실린더(430)가 신축되면 도6에 도시된 가운데 그림과 같이 튜브(11)를 상부로 밀어서 제2튜브적재실(220)의 상부로 이송시키게 된다.
튜브(11)가 상부로 이송되면 도6의 우측에 도시된 그림처럼 제3실린더(430)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신장되어 하강하고,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에는 제1튜브적재실(210)로부터 전자부품이 충전된 새로운 튜브(11)를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3실린더(430)가 신장되어 하강할 경우 제2튜브적재실(220)로 이송된 튜브(11)는 튜브마운트힌지블록(610)에 의하여 지지된다.
튜브마운트힌지블록(61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튜브적재실(220)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전자부품이 소진된 후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에서 올라온 튜브(11)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튜브마운트힌지블록(610)은 제3실린더(430)에 의하여 상승하는 튜브(11)가 튜브마운트힌지블록(610)을 하부에서 상부로 밀어올리면 튜브마운트힌지블록(610)이 회동하면서 튜브(11)를 튜브마운트힌지블록(610) 상부로 이동시키는데, 외력이 제거되면 튜브마운트힌지블록(610)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튜브(11)의 낙하를 방지하게 된다.
도7은 제1실린더(410)에 의하여 제1튜브적재실(210)에서 제2튜브적재실(220)로 튜브(11)가 수평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제1실린더(410)는 도7의 죄측 첫 번째 그림과 같이 신축된 상태에서는 제1튜브적재실(210)의 바닥을 막고 있는데, 도7의 좌측 첫 번째 도면은 도6의 우측 도면과 동일한 상태로서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은 빈 공간으로 남아 있고 제1튜브적재실(210)의 바닥은 제1실린더(410)가 막고 있다.
제1튜브적재실(210)의 하부를 막고 있던 제1실린더(410)가 도7의 좌측 두 번째 그림과 같이 측면으로 신장되어 제1튜브적재실(210)의 하부를 개방하면, 도7의 좌측 세 번째 그림처럼 전자부품이 충전된 새로운 튜브(11)가 제1튜브적재실(210)의 바닥으로 내려오게 된다. 다음 과정으로 도7의 마지막 그림처럼 제1실린더(410)가 신축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 전자부품이 충전된 튜브(11)를 밀어서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으로 옮기게 된다. 전자부품의 피딩은 제2튜브적재실(220)의 하부(바닥)에 로딩된 튜브(11)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사용된 튜브(11)의 형상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튜브(11)의 내부에 전자부품의 일종인 릴레이(22)가 일렬로 충전된다.
이러한 튜브(11)에 충전된 전자부품은 롤러(310)와 부품이송부재(320)의 작동에 의하여 후방으로 밀착되어 순차적으로 피딩된다.
롤러(310)는 도9 또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본체(100)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고 모터(315)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롤러(310)에는 연질의 부품이송부재(320)가 맞물러 돌아가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부품이송부재(320)의 상측 단부(321)는 튜브적재트레이(200)의 제2튜브적재실(220) 바닥에 적재된 튜브(11) 내부로 들어가 전자부품을 밀어주게 되고, 부품이송부재(320)의 하측 단부(322)는 하부본체(10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튜브(330) 내부에 수용된다.
즉 스프링벨트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져 롤러(310)의 형상에 맞물리면서 원호 형상으로 벤딩이 가능하고 상측 단부(321)는 튜브(11)의 내부로 들어가 전자부품을 밀어서 피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롤러(310)와 부품이송부재(320)의 작동으로 전자부품이 후방으로 밀려나가면 가장 후방에 위치한 전자부품이 우선적으로 전자부품자동삽입기의 헤드부(핑거)에 의하여 픽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부품이송부재(320)의 작동으로 밀려나오는 전자부품은 제2튜브적재실(220)의 외부에 설치된 가이드슈트(110) 내부를 따라 후방으로 계속 밀려가게 되고 종국적으로 가이드슈트(110)의 후방 단부에 마련된 가이드슈트스토퍼(120)에 막혀 더 이상 진행을 하지 않게 된다. 가이드슈트(110)는 튜브(11)의 형상과 유사하며 그 내부를 따라 전자부품이 이송되는데, 이러한 가이드슈트(110)는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에 로딩된 튜브(11)와 동일한 동일한 라인 상에 위치하게 된다. 가이드슈트(110)의 후방 단부 상부면은 도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전자부품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개구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제2실린더(420)는 하부본체(100)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는데, 부품이송부재(320)에 의하여 수평이동하여 가이드슈트스토퍼(120)의 위치에 도달한 전자부품을 상부로 밀어서 피딩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실린더(420)에 의하여 가이드슈트의 후방 단부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130)를 통하여 상승한 전자부품은 전자부품자동삽입기의 헤드부(핑거)가 전자부품을 픽업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즉 제2실린더(420)는 전자부품의 픽업이 이루어질 때까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전자부품의 픽업이 이루어지고 나면 다시 신축되어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이러한 자동피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센서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적용된 센서들을 설명한다.
제1센서(51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본체(100)의 후방 단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2실린더(420)에 의하여 상승된 전자부품이 피딩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센서(510)에 의하여 전자부품이 피딩 위치에 도달했음이 확인되면 제어부(도시 생략)는 이러한 센서의 신호에 따라 전자부품자동삽입기의 헤드부(핑거)에 픽업 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라 헤드부가 전자부품을 픽업한다. 제1센서(510)는 빛을 쏘아 반사하면 감지하는 반사형 센서가 사용된다.
제6센서(56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튜브(330)의 후반부에 설치되며,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에 새로운 튜브(11)가 로딩되기 전에 부품이송부재(320) 하측 단부(322)가 회송되어 초기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6센서(560)는 포토센서와 같은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부품이송부재(320)의 하측 단부가 초기 위치로 회송되어 통과하는 순간을 감지하게 된다.
제8센서(580)는 가이드튜브(330)의 전반부에 설치되며, 부품이송부재(320)가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에 적재된 튜브(11)에 충전된 전자부품을 모두 피딩하여 최종 위치(튜브(11) 내부에 충전된 전자부품이 모두 소진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8센서(580)는 포토센서와 같은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부품이송부재(320)를 계속 감지하다가 부품이송부재(320)의 하측 단부(322)가 제8센서(580)를 통과하고 나면 감지를 하지 않게 되는 순간이 전자부품이 모두 소진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초기 셋팅시 부품이송부재(320)의 전체 길이와 제6센서(560) 및 제8센서(580)의 위치를 알맞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부품이송부재(320)의 하측 단부(322)가 제8센서(580)를 통과하여 가이드튜브(330)의 전방으로 나아가면 현재 피딩 중인 튜브(11) 내부의 전자부품이 모두 소진된 것이므로 제어부(도시 생략)는 롤러(310)의 모터(315)에 회송 신호를 보낸다. 롤러(310)가 작동되면 부품이송부재(320)의 하측 단부(322)가 제6센서(560)에 감지될 때까지 부품이송부재(320)가 회송되며, 제6센서(560)에 부품이송부재(320)의 하측 단부(322)가 감지되면 제어부(도시 생략)는 롤러(310)의 모터(315)에 정지 신호를 보낸다.
제3센서(53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튜브적재실(2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자부품이 소진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튜브(11)가 일정 높이 이상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3센서(530)는 접촉식 센서가 사용되었는데, 소진된 튜브(11)가 적층되어 제3센서(530)와 접촉하면 제어부(도시 생략)는 소진된 튜브(11)를 제거하라는 신호(알람이나 경고등 점멸)를 보내게 된다. 물론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적층되는 튜브(11)의 높이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5센서(550)는 하부본체(100)의 후방 단부의 상부에 설치(가이드슈트(110)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며, 제2실린더(420)가 전자부품을 피딩 위치로 상승시킨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하강하면 새로운 전자부품이 제2실린더(420)에 의하여 상승될 위치로 이송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2실린더(420)의 작동으로 가이드슈트스토퍼(120)에 밀착된 전자제품 하나가 상승하여 픽업되고난 후 제2실린더(420)가 하강하면 가이드슈트스토퍼(120)의 앞부분은 빈 공간이 되고 이런 경우 제5센서(550)가 전자부품을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5센서(550)가 전자부품을 감지하지 못하면 제어부(도시 생략)는 롤러(310)의 모터(315)에 이송 신호를 보내고, 롤러(310)가 작동하여 부품이송부재(320)의 상측 단부가 튜브(11) 내부에 충전된 전자부품을 밀어서 새로운 전자부품이 가이드슈트스토퍼(120)에 말착되도록 하여 새로운 전자제품이 제2실린더(420)에 의하여 최종 피딩 위치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한다.
제9센서(59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튜브적재실(22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제1실린더(410)에 의하여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으로 옮겨지는 새로운 튜브(11)가 정위치에 로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9센서(590)는 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였으며, 튜브(11)와의 접촉 여부로 튜브(11)의 정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제2센서(520)는 제1튜브적재실(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튜브적재실(210)에 적재된 튜브(11)의 높이가 일정 수치 이하로 내려갔음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센서(520)는 제1센서와 마찬가지로 빛을 쏘아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반사형 센서를 사용하였는데, 접촉식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2센서(520)에 의하여 제1튜브적재실(210)에 적재된 튜브(11)가 일정 높이 이하로 내려갔음이 감지되면 제어부(도시 생략)는 새로운 튜브를 보충하라는 신호(알람이나 경고등 점멸)를 보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아래의 부호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관한 도4 내지 도12에 적용되는 부호이다.
11:튜브 22:릴레이
100:하부본체
110:가이드슈트
120:가이드슈트스토퍼
130:개구부
200:튜브적재트레이
210:제1튜브적재실
220:제2튜브적재실
230:격벽
310:롤러
315:모터
320:부품이송부재
321:상측 단부
322:하측 단부
330:가이드튜브
410:제1실린더
420:제2실린더
430:제3실린더
510:제1센서
520:제2센서
530:제3센서
550:제5센서
560:제6센서
580:제8센서
590:제9센서
610:튜브마운트힌지블록

Claims (9)

  1. 하부본체(100);
    상기 하부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가 격벽(230)에 의하여 제1튜브적재실(210)과 제2튜브적재실(220)로 구분되며,상기 제1튜브적재실(210)에는 전자부품이 충전된 튜브(11)가 적재되며, 상기 제2튜브적재실(220)에는 상기 제1튜브적재실(210)에서 옮겨져 로딩된 후 전자부품의 피딩이 이루어지고 있는 튜브(11)와 피딩이 완료되어 전자부품이 소진된 튜브(11)가 수용되는 튜브적재트레이(200);
    상기 하부본체(100)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어 모터(315)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러(310);
    상기 롤러(310)에 맞물러 돌아가면서 이동하고, 상측 단부(321)는 상기 튜브적재트레이(200)의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에 적재된 튜브(11) 내부로 들어가 상기 롤러(310)의 회전에 맞물려 상기 하부본체(100)의 후방 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자부품을 상기 제2튜브적재실(220) 외부로 순차적으로 밀어내어 전자부품이 상기 제2튜브적재실(220) 외부에 설치된 가이드슈트(110)를 따라 후방으로 밀려가다가 상기 가이드슈트(110)의 후방 단부에 구비된 가이드슈트스토퍼(120)에 밀착되게 하고, 하측 단부(322)는 상기 하부본체(10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튜브(330) 내부에 수용되고, 튜브(11) 내부에 적재된 전자부품의 피딩이 완료되면 상기 롤러(310)의 회전 방향이 변경되어 상측 단부(321)가 전자부품이 소진된 튜브(11)의 외부로 빠져나오는 연질의 부품이송부재(320); 및,
    상기 하부본체(100)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부품이송부재(320)에 의하여 수평이동하여 상기 가이드슈트스토퍼(120)에 밀착된 전자부품을 상부로 밀어서 피딩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제2실린더(4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하부본체(100)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에 수용된 상태에서 피딩이 완료되어 튜브(11) 내부에 충전된 전자부품이 소진되고, 상기 롤러(310)에 맞물린 상기 부품이송부재(320)의 상측 단부(321)가 튜브(11) 외부로 빠져나오면 전자부품이 소진된 튜브(11)를 상부로 밀어서 상기 제2튜브적재실(220)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제3실린더(430); 및,
    상기 제1튜브적재실(210)의 하부를 막고 있다가 상기 제3실린더(430)에 의하여 전자부품이 소진된 튜브(11)가 제2튜브적재실(220)의 상부로 이송되면 측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튜브적재실(210)의 하부를 개방하고, 전자부품이 충전된 새로운 튜브(11)가 상기 제1튜브적재실(210)의 바닥으로 내려오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전자부품이 충전된 튜브(11)를 상기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으로 옮겨서 로딩하는 제1실린더(41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하부본체(100)의 후방 단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실린더(420)에 의하여 상승된 전자부품이 피딩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510);
    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센서(510)에 의하여 전자부품이 피딩 위치에 도달했음이 확인되면 전자부품자동삽입기의 헤드부에 의하여 전자부품의 픽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가이드튜브(330)의 후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에 새로운 튜브(11)가 로딩되기 전에 상기 부품이송부재(320) 하측 단부(322)가 회송되어 초기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6센서(560); 및,
    상기 가이드튜브(330)의 전반부에 설치되며, 상기 부품이송부재(320)가 상기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에 적재된 튜브(11)에 충전된 전자부품을 모두 피딩하여 최종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8센서(580);
    가 더 포함되고,
    상기 부품이송부재(320)의 하측 단부(322)가 상기 제8센서(580)를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튜브(330)의 전방으로 나아가면 현재 피딩 중인 튜브(11) 내부의 전자부품이 모두 소진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롤러(310)의 작동으로 상기 부품이송부재(320)의 하측 단부(322)가 상기 제6센서(560)에 감지될 때까지 상기 부품이송부재(320)가 회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제2튜브적재실(220)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전자부품이 소진된 후 상기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에서 올라온 튜브(11)의 하부를 지지하는 튜브마운트힌지블록(610);
    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3실린더(430)에 의하여 상승하는 튜브(11)가 상기 튜브마운트힌지블록(610)을 하부에서 상부로 밀어올리면 상기 튜브마운트힌지블록(610)이 회동하면서 튜브(11)를 상기 튜브마운트힌지블록(610) 상부로 이동시키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튜브마운트힌지블록(610)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제2튜브적재실(2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자부품이 소진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튜브(11)가 일정 높이 이상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는 제3센서(53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7. 제2항에서,
    상기 하부본체(100)의 후방 단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실린더(420)가 전자부품을 피딩 위치로 상승시킨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하강하면 새로운 전자부품이 상기 제2실린더(420)에 의하여 상승될 위치로 이송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5센서(550);
    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5센서(550)가 전자부품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롤러(310)가 작동하여 상기 부품이송부재(320)의 상측 단부가 튜브(11) 내부에 충전된 전자부품을 밀어서 상기 제2실린더(420)에 의하여 상승될 위치로 새로운 전자부품을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8. 제2항에서,
    상기 제2튜브적재실(22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실린더(410)에 의하여 상기 제2튜브적재실(220)의 바닥으로 옮겨지는 새로운 튜브(11)가 정위치에 로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9센서(59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9. 제2항에서,
    상기 제1튜브적재실(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튜브적재실(210)에 적재된 튜브(11)의 높이가 일정 수치 이하로 내려갔음을 감지하는 제2센서(52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KR1020120136265A 2012-11-28 2012-11-28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KR101441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265A KR101441571B1 (ko) 2012-11-28 2012-11-28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265A KR101441571B1 (ko) 2012-11-28 2012-11-28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589A KR20140068589A (ko) 2014-06-09
KR101441571B1 true KR101441571B1 (ko) 2014-09-23

Family

ID=5112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265A KR101441571B1 (ko) 2012-11-28 2012-11-28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8504B2 (ja) * 2014-07-08 2018-05-23 Juki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装置
KR102016388B1 (ko) * 2017-09-18 2019-08-30 이덕우 리드 컷팅수단을 갖는 전자부품 공급장치
CN108747359A (zh) * 2018-08-16 2018-11-06 苏州宜广科技有限公司 电源接口组装测试设备的胶芯送料机构
KR102047452B1 (ko) * 2018-10-29 2019-11-21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부품 공급용 스택 스틱 피더
KR102358815B1 (ko) * 2020-01-20 2022-02-04 방영진 터미널 자동 피딩 장치
CN114426170A (zh) * 2021-12-23 2022-05-03 苏州宇薄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生产电子元器件的传送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562U (ko) * 1994-06-18 1996-01-22 전자부품 공급용 파렛트 이송장치
JPH08148883A (ja) * 1994-11-24 1996-06-07 Tdk Corp 角チップ部品供給装置
JP2001352195A (ja) * 2000-06-05 2001-12-21 Taiyo Yuden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
JP2010067907A (ja) * 2008-09-12 2010-03-25 Nitto Kogyo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562U (ko) * 1994-06-18 1996-01-22 전자부품 공급용 파렛트 이송장치
JPH08148883A (ja) * 1994-11-24 1996-06-07 Tdk Corp 角チップ部品供給装置
JP2001352195A (ja) * 2000-06-05 2001-12-21 Taiyo Yuden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
JP2010067907A (ja) * 2008-09-12 2010-03-25 Nitto Kogyo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589A (ko) 201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571B1 (ko) 전자부품자동피딩장치
US9340309B2 (en) Supply apparatus for spout-equipped bags
US20150251790A1 (en) Bag supply method and bag supply device
KR20140032323A (ko) 테이핑 유닛 및 전자 부품 검사 장치
CN107651244A (zh) 血袋入袋装置、血袋包装设备及血袋包装方法
CN101516735A (zh) 仓盒装置
CN207275102U (zh) 血袋入袋装置及血袋包装设备
JPS6250111B2 (ko)
ITBO20070179A1 (it) Dispositivo per il prelievo di articoli da una stazione di alimentazione e per l'inserimento degli stessi in un contenitore
JP2015020777A (ja) 箱詰装置
US4350330A (en) Bag unit feeder
JP2008120575A (ja) シート供給装置
JP5114273B2 (ja) 包袋の保管装置
US6290452B1 (en) Apparatus for replenishing the supply of commodities in a reservoir
JP4942157B2 (ja) カップ供給装置
JP2009248975A5 (ko)
CN109808950B (zh) 袋体贮藏柜和袋体供给方法
JP2014015228A (ja) 包装機
CN105283061A (zh) 电子部件供给装置
KR101200187B1 (ko) 판재 수납 방법 및 장치
KR101911858B1 (ko) 지류 분리장치
JP3818214B2 (ja) 紙片供給装置
CN219635674U (zh) 上料通道及裁切上料设备
CN210191955U (zh) 一种包装纸上料机构
JP2019108157A (ja) リテーナ、容器供給システム及び容器供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