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408A - 전자 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408A
KR20140071408A KR1020147008803A KR20147008803A KR20140071408A KR 20140071408 A KR20140071408 A KR 20140071408A KR 1020147008803 A KR1020147008803 A KR 1020147008803A KR 20147008803 A KR20147008803 A KR 20147008803A KR 20140071408 A KR20140071408 A KR 20140071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late
movable
contact
contactor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카시무라
마사루 이소자키
히로유키 타치카와
코우에츠 타카야
야스히로 나카
유지 시바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1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01H1/54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0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act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전체적인 구성을 대형화하지 않으면서, 외부 접속 도체의 자계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통전(通電) 시에 가동 접촉자를 개극(開極)시키는 전자반발력을 억제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회로 사이에 삽입된 한 쌍의 고정 접점부(2a), (2b)를 가지는 고정 접촉자(2)와,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점부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가동 접점부(3b), (3c)를 가지는 가동 접촉자(3)를 가지는 접점 기구(CM)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 및 상기 가동 접촉자 중 적어도 일방의 형상을, 통전 시에 상기 고정 접점부 및 상기 가동 접점부 간에 발생하는 개극방향의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Lorentz force)을 발생시키는 자계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접촉자(2)의 외부 접속 단자(2i), (2j)에 접속하는 외부 접속 도체(20), (21)를 가지며, 상기 외부 접속 도체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부착시키는 고정부(22), (23)의 부착방향을 상기 가동 접촉자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전자 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전류로 사이에 삽입된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이며, 통전(通電) 시의 가동 접촉자를 고정 접촉자로부터 반발이격(離反)시키는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Lorentz force)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다.
전류로를 개폐시키는 전자 접촉기로서는, 종래에, 예컨대, 고정 접촉자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으로 구부려, 굽힘부에 고정 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접점에 가동 접촉자의 가동 접점을 접촉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한 구성을 가지는 개폐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개폐기는, 대전류(大電流) 차단 시에 가동 접촉자에 작용하는 전자반발력을 크게 함으로써 개극(開極) 속도를 크게 하여, 아크를 급속히 확대시키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 아크를 구동시키는 전자 접촉기의 접촉자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1-210170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H04-123719호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예에서는, 고정 접촉자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으로 하여 발생하는 전자반발력이 커지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커다란 전자반발력에 의해, 단락(短絡) 등으로 인한 대전류를 차단하는 대전류 차단 시의 가동 접촉자의 개극 속도를 크게 하여, 아크를 급속히 확대시켜, 사고 전류를 작은 값으로 한류(限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퓨즈나 회로 차단기와 조합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전자 접촉기는, 대전류의 통전 시에 가동 접촉자가 전자반발력에 의해 개극되는 것을 저지할 필요가 있으며, 상술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종래의 예를 적용하려면, 일반적으로는 가동 접촉자의 고정 접촉자에 대한 접촉압을 확보하는 접촉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크게 함으로써 대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촉 스프링에 의한 접촉압을 크게 하면, 가동 접촉자를 구동하는 전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추력(推力)도 크게 할 필요가 있어, 전체적인 구성이 대형화된다. 혹은, 한류 효과가 한층 더 높고, 차단 성능이 뛰어난 퓨즈나 회로 차단기와 조합할 필요가 있다는 미해결의 과제가 있다.
이러한 미해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 중 적어도 일방의 형상을, 통전 시에 상기 고정 접촉자 및 상기 가동 접촉자 간에 발생하는 개극방향의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을 높이는 형상으로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통전 시의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 간에 발생하는 개극방향의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을 높여, 개극방향의 전자반발력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접촉기의 고정 접촉자의 외부 접속 단자에 접속되는 외부 접속 도체의 형상에 따라서는, 개극방향의 전자반발력을 억제하는 로렌츠 힘이 외부 접속 도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외부 접속 도체 주위에 발생하는 자계의 영향에 의해, 약해질 수 있다는 미해결의 과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예에 있어서의 미해결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체적인 구성을 대형화하지 않으면서, 외부 접속 도체의 자계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통전 시에 가동 접촉자를 개극시키는 전자반발력을 억제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 1의 양태는, 통전로(通電路) 사이에 삽입된 한 쌍의 고정 접점부를 가지는 고정 접촉자와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점부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가동 접점부를 가지는 가동 접촉자를 가지는 접점 기구를 가진다. 상기 접점 기구의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 및 상기 가동 접촉자 중 적어도 일방의 형상을, 통전 시에 상기 고정 접점부 및 상기 가동 접점부 간에 발생하는 개극방향의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는 자계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접촉자의 외부 접속 단자에 접속하는 외부 접속 도체를 가지며, 상기 외부 접속 도체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부착시키는 고정부의 부착방향을 상기 가동 접촉자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였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 중 적어도 일방의 형상을, 예컨대, L자 형상이나 C자 형상으로 하여, 통전 시에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 간에 발생하는 개극방향의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대전류 통전 시의 가동 접촉자의 개극을 억제한다. 또한, 고정 접촉자의 외부 접속 단자에 접속하는 외부 접속 도체의 고정부의 부착방향을 가동 접촉자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외부 접속 도체의 고정부에서 발생하는 자계가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는 자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 2의 양태는, 상기 외부 접속 도체가, 상기 고정부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는 반대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 접촉자의 연장방향과 평행하며 또한 전류방향이 상기 가동 접촉자와 반대방향이 되는 도체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외부 접속 도체의 고정부에 접속된 도체부가, 가동 접촉자의 연장방향과 평행하며 또한 전류방향이 가동 접촉자와 반대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체부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방향을,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는 자계를 형성하는 자속의 방향과 일치시켜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는 자속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 3의 양태는, 상기 외부 접속 도체가, 보호 유닛을 구성하는 버스 바(busbar)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보호 유닛을 구성하는 버스 바에 의해, 통전 시에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 간에 발생하는 개극방향의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는 자계의 자속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 4의 양태는, 통전로 사이에 삽입된 한 쌍의 고정 접점부를 가지는 고정 접촉자와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점부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가동 접점부를 가지는 가동 접촉자를 가지는 접점 기구를 가진다. 상기 접점 기구는,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 및 상기 가동 접촉자 중 적어도 일방의 형상을, 통전 시에 상기 고정 접점부 및 상기 가동 접점부 간에 발생하는 개극방향의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는 자계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점 기구를 덮도록 상기 고정 접촉자에 접속되는 외부 접속 도체에서 발생하는 자계의 영향을 억제하는 자성체를 배치하였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고정 접촉자의 외부 접속 단자에 접속된 외부 접속 도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가 상기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는 자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자성체로 차폐(shield)하여, 로렌츠 힘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 5의 양태는, 상기 가동 접촉자가, 가동부에 지지되며, 표면과 이면 중 일방의 면에 있어서의 양단측에 각각 접점부를 가지는 도전판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접촉자가, 상기 도전판의 접점부에 대향되는 고정 접점부를 지지하며 각각 상기 도전판과 평행하게 해당 도전판의 양단보다 외측으로 향하는 제 1 도전판부와, 상기 제 1 도전판부의 외측방향 단부로부터 상기 도전판의 단부의 외측을 지나 연장되는 제 2 도전판부로 형성된 L자 형상 도전판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L자 형상 도전판부를 구성하는 제 2 도전판부에서, 전자 접촉기의 통전 시에 가동 접촉자 및 고정 접촉자 간을 개극시키는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는 자속밀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 6의 양태는, 상기 고정 접촉자가, 상기 제 2 도전판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도전판과 평행하게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도전판부를 가지고 C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제 3 도전판부를 흐르는 전류가 가동 접촉자를 흐르는 전류와 반대방향이 되므로,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는 자속밀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 7의 양태는, 상기 가동 접촉자가, 가동부에 지지되는 도전판부와, 상기 도전판부의 양단에 형성된 C자 형상 굽힘부(bending portion)와, 상기 C자 형상 굽힘부의 상기 도전판부와의 대향면에 형성된 접점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접촉자가, 상기 U자 형상 굽힘부 내에 상기 도전판부와 평행하게 설치된 상기 가동 접촉자의 접점부와 접촉하는 접점부를 형성한 한 쌍의 제 1 도전판부와, 상기 한 쌍의 제 1 도전판부의 내측단으로부터 각각 상기 U자 형상 굽힘부의 단부의 내측을 지나 연장되는 제 2 도전판부로 구성되는 L자 형상 도전판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가동 접촉자측에서 전자 접촉기의 통전 시에 가동 접촉자 및 고정 접촉자 간을 개극시키는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전로 사이에 삽입된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가지는 접점 기구의 대전류 통전 시의 고정자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에 발생되는 개극방향의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기계적 가압력을 사용하는 일 없이 대전류 통전 시의 가동 접촉자의 개극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접속 도체를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계가 통전 시에 개극방향의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는 자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여, 로렌츠 힘의 저하를 방지한다. 또한, 외부 접속 도체에 가동 접촉자를 흐르는 전류방향과는 반대방향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도체부를 형성하면, 상기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는 자속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로서, (a)는 외부 접속 도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b)는 외부 접속 도체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c)는 종래의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접점 기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개극 시의 접점 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c)는 폐극 시의 접점 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d)는 폐극 시의 자속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a)는 U자 형상의 외부 접속 도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b)는 L자 형상의 외부 접속 도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c)는 크랭크(crank) 형상의 외부 접속 도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보호 유닛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 접촉기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접점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개극 상태의 단면도이고, (c)는 폐극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접점 기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개극 상태의 단면도이고, (c)는 폐극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접점 기구를 적용한 전자 접촉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예컨대 합성수지제의 본체 케이스이다. 상기 본체 케이스(1)는, 상부 케이스(1a)와 하부 케이스(1b)의 이분할 구조를 가진다. 상부 케이스(1a)에는, 접점 기구(CM)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접점 기구(CM)는, 상부 케이스(1a)에 고정배치된 고정 접촉자(2)와, 상기 고정 접촉자(2)에 접촉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동 접촉자(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b)에는, 가동 접촉자(3)를 구동시키는 조작용 전자석(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용 전자석(4)은, E자 다리형(脚型)의 적층 강판(鋼板)으로 형성된 고정 철심(5)과, 마찬가지로 E자 다리형의 적층 강판으로 형성된 가동 철심(6)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고정 철심(5)의 중앙 다리부(5a)에는 코일 홀더(7)에 감아서 장착된 단상교류가 공급되는 전자 코일(8)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코일 홀더(7)의 상면과 가동 철심(6)의 중앙 다리(6a)가 붙어 있는 부분과의 사이에 가동 철심(6)을 고정 철심(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복귀 스프링(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 철심(5)의 외측 다리부의 상단면에는 셰이딩 코일(shading coil; 10)이 매립되어 있다. 상기 셰이딩 코일(10)에 의해, 단상교류 전자석에 있어서 교번 자속(交番磁束)의 변화에 의한 전자 흡인력의 변동, 소음 및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철심(6)의 상단에 접촉자 홀더(11)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접촉자 홀더(11)에는 그 상단측에 축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통과구멍(11a)에, 가동 접촉자(3)가 접촉 스프링(12)에 의해 고정 접촉자(2)에 대해 소정의 접촉압을 얻도록 하방으로 가압된 채 유지되어 있다.
상기 가동 접촉자(3)는, 도 3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접촉 스프링(12)에 의해 가압된 길고 가느다란 막대 형상의 도전판부(3a)로 구성되며, 상기 도전판부(3a)의 양단측의 하면(下面)에 가동 접점부(3b, 3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 접촉자(2)는, 도 3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3)의 가동 접점부(3b, 3c)에 하측으로부터 대향되는 한 쌍의 고정 접점부(2a, 2b)를 지지하여 도전판부(3a)와 평행하게 외측으로 향하는 제 1 도전판부(2c, 2d)와, 이러한 제 1 도전판부(2c, 2d)의 도전판부(3a)보다 외측이 되는 외측 단부로부터 도전판부(3a)의 단부의 외측을 지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도전판부(2e, 2f)로 형성된 L자 형상 도전판부(2g, 2h)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L자 형상 도전판부(2g, 2h)의 상단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a)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된 외부 접속 단자(2i, 2j)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접속 단자(2i 및 2j)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는, 외부 접속 단자(2i 및 2j)에 연결되는 고정부(22 및 23)가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를 흐르는 전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의 연장방향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중 어느 쪽이어도 좋다.
다음으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조작용 전자석(4)의 전자 코일(8)이 비(非)통전 상태인 상태에서는, 고정 철심(5) 및 가동 철심(6) 간에 전자 흡인력이 생기는 일은 없으며, 복귀 스프링(9)에 의해, 가동 철심(6)이 고정 철심(5)으로부터 상방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상기 가동 철심(6)의 상단이 스토퍼(13)에 접촉함으로써 전류 차단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가동 철심(6)이 전류 차단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가동 접촉자(3)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자 홀더(11)의 삽입통과구멍(11a)의 바닥부에 접촉 스프링(12)에 의해 접촉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의 양단측에 형성된 가동 접점부(3b, 3c)가 고정 접촉자(2)의 고정 접점부(2a, 2b)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접점 기구(CM)가 개극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접점 기구(CM)의 개극 상태로부터, 조작용 전자석(4)의 전자 코일(8)에 단상교류를 공급하면, 고정 철심(5)과 가동 철심(6) 간에 흡인력이 발생하여, 가동 철심(6)이 복귀 스프링(9)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흡인된다. 이에 따라, 접촉자 홀더(11)에 지지되어 있는 가동 접촉자(3)가 하강하여, 가동 접점부(3b, 3c)가 고정 접촉자(2)의 고정 접점부(2a, 2b)에 접촉 스프링(12)의 접촉압으로 접촉하여, 폐극 상태가 된다.
이러한 폐극 상태가 되면, 예컨대, 직류 전원(도시 생략)에 접속된 고정 접촉자(2)의 외부 접속 단자(2i)로부터 입력되는 예컨대 수 십kA 정도의 대전류가 제 2 도전판부(2e), 제 1 도전판부(2c), 고정 접점부(2a)를 통해 가동 접촉자(3)의 가동 접점부(3b)에 공급된다. 상기 가동 접점부(3b)에 공급된 대전류는 도전판부(3a), 가동 접점부(3c)를 통해 고정 접점부(2b)에 공급된다. 상기 고정 접점부(2b)에 공급된 대전류는, 제 1 도전판부(2d), 제 2 도전판부(2f), 외부 접속 단자(2j)에 공급되어, 외부의 부하에 공급되는 통전로가 형성된다.
이때, 고정 접촉자(2)의 고정 접점부(2a, 2b) 및 가동 접촉자(3)의 가동 접점부(3b, 3c) 간에 가동 접점부(3b, 3c)를 개극시키는 방향의 전자반발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고정 접촉자(2)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도전판부(2c, 2d) 및 제 2 도전판부(2e, 2f)에 의해 L자 형상 도전판부(2g, 2h)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도 3(c)에 나타낸 전류로가 형성됨으로써, 가동 접촉자(3)를 흐르는 전류에 대해, 도 3(d)에 나타낸 자계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프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의해,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에 가동 접점부(3b, 3c)를 고정 접점부(2a, 2b)측으로 강하게 누르는 개극방향의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접촉자(3)를 개극시키는 방향의 전자반발력이 발생하더라도, 이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가동 접촉자(3)가 개극되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촉자(3)를 지지하는 접촉 스프링(12)의 가압력을 작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작용 전자석(4)에 의해 발생하는 추력도 작게 할 수 있어, 전체적인 구성을 소형화할 수 있다.
더욱이, 이 경우에는, 고정 접촉자(2)에 L자 형상 도전판부(2g, 2h)를 형성하기만 하면 되며, 고정 접촉자(2)의 가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별도로 개극방향의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전자력 또는 기계력을 발생시키는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할 일이 없어, 전체적인 구성이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촉자(2)의 외부 접속 단자(2i 및 2j)에 접속된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의 고정부(22 및 23)가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를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부 접속 도체(20)의 고정부(22)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가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일이 없어, 커다란 로렌츠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덧붙여서,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2)의 외부 접속 단자(2i 및 2h)에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의 고정부(22 및 23)를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를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하여 접속한 경우에 대해 고려해 본다. 상기 경우에는,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의 고정부(22 및 23)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가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에 간섭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에서 발생하는 자계가 약화됨으로써, 통전 시에 가동 접촉자(3)를 개극시키는 방향의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이 작아져 버린다.
이후, 접점 기구(CM)의 폐극 상태로부터 조작용 전자석(4)으로의 통전을 차단하여, 전류 차단 상태로 하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2)의 L자 형상 도전판부(2g, 2h)의 고정 접점부(2a, 2b)로부터 가동 접촉자(3)의 가동 접점부(3b, 3c)가 상방으로 이격된다. 이때, 고정 접점부(2a, 2b) 및 가동 접점부(3b, 3c) 간에 아크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발생하는 아크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가동 접촉자(3)를 따라 배치된 아크 소호(消弧)용 자석 등의 아크 소호 기구에 의해 소호되어, 고정 접촉자(2)의 접점부(2a 및 2b)와 가동 접촉자(3)의 가동 접점부(3b 및 3c) 사이의 전류가 차단되어 개극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접촉자(2)의 외부 접속 단자(2i 및 2j)에 접속되는 외부 접속 도체를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강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제 2 실시형태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2(a)에서의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우선, 외부 접속 도체(20)는, 고정 접촉자(2)의 외부 접속 단자(2i)에 접속된 고정부(22)의 타단에 상부 케이스(1a)의 정면을 따라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도체부(25)와, 상기 도체부(25)의 타단으로부터 상부 케이스(1a)의 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외부 접속 단자(2j)에 대향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 2 도체부(26)와, 상기 제 2 도체부(26)의 타단으로부터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접속 도체부(2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부 접속 도체(21)도, 외부 접속 도체(20)와 점대칭이 되도록, 제 1 도체부(28), 제 2 도체부(29) 및 외부 접속 도체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의 고정부(22 및 23)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에서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에는,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도체부(25 및 28)를 가지며, 이러한 제 1 도체부(25 및 28)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의 제 1 도체부(25 및 28)에서 발생하는 자계가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에서 발생하는 자계에 중첩되게 되어,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 주위의 자속밀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통전 시에 가동 접촉자(3)에 발생하는 개극방향의 전자력에 저항하는 보다 커다란 로렌츠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통전 시에 있어서의 가동 접촉자(3)의 개극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촉자(3)를 지지하는 접촉 스프링(12)의 가압력을 보다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작용 전자석(4)에 의해 발생하는 추력도 보다 작게 할 수 있어, 전체적인 구성을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를 U자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22 및 23)와 외부 접속 도체부를 겸하는 제 1 도체부(25 및 28)에 의해 L자 형상으로 구성하도록 하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도체부(25 및 28)를 절반의 길이로 하고, 그 자유단으로부터 고정부(22 및 23)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접속 도체부(31 및 32)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접촉기(1)의 보호 유닛(40)을, 직류 전력원과 전자 접촉기(1)의 고정 접촉자(2)의 외부 접속 단자(2i)와의 사이에 퓨즈(41)를 삽입한 버스 바(42)와, 전자 접촉기(1)의 고정 접촉자(112)의 외부 접속 단자(2j)와 부하를 연결하는 버스 바(43)로 구성한다. 그리고, 버스 바(42)의 고정 접촉자(2)의 외부 접속 단자(2j)와 접속 부분을 전술한 도 4(a)에 나타낸 외부 접속 도체(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버스 바(43)를 외부 접속 도체(2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하더라도 상술한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3 실시형태는, 접점 기구(CM)가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의 자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a)의 고정 접촉자(2)의 L자 형상 도전판부(2g 및 2h)를 수납한 접점 수납 공간(50)의 내벽에 L자 형상 도전판부(2g 및 2h)를 둘러싸도록 자성체 실드체(51)를 배치한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자성체 실드체(51)는, 자성체에 의해 하단이 개방된 통(tub)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L자 형상 도전판부(2g 및 2h)의 제 2 도전판부(2e 및 2f)와 접촉하는 내주면에 절연막 또는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점 기구(CM) 전체가 자성체 실드체(51)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상부 케이스(1a)의 외부에 배치된 외부 접속 단자(2i 및 2j)에 접속되는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를 자기 실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2)의 L자 형상 도전판부(2g 및 2h)와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에 외부 자계가 영향을 주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통전 시의 가동 접촉자(3)를 개극시키는 전자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이 약화되는 일 없이, 통전 시의 가동 접촉자(3)의 개극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에서 발생하는 자계가 자성체 실드체(51)에 의해 자기 실드되므로,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의 접속방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성체 실드체(51)를 고정 접촉자의 L자 형상 도전판부(2g 및 2h)와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로 구성되는 접점 기구(CM)의 전체를 덮도록 배치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성체 실드체(51)를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가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는 부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만 하면 된다. 이 때문에, 외부 접속 단자(2i 및 2j)와 대향되는 대향측면부에만 형성하거나, 도 6의 구성으로부터 전후측면을 삭제한 구성으로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정 접촉자(2)에 L자 형상 도전판부(2g 및 2h)를 형성하여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7(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도 3의 구성에 있어서, 고정 접촉자(2)의 L자 형상 도전판부(2g, 2h)에 있어서의 제 2 도전판부(2e, 2f)를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의 단부의 상단측을 덮도록 구부려, 도전판부(3a)와 평행한 제 3 도전판부(2m, 2n)를 형성하여 U자 형상 도전판부(2o, 2p)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 1∼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접점 기구(CM)가,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극 상태가 되면, 예컨대, 직류 전원(도시 생략)에 접속된 고정 접촉자(2)의 외부 접속 단자(2i)로부터 입력되는 예컨대 수 십kA 정도의 대전류가 제 3 도전판부(2m), 제 2 도전판부(2e), 제 1 도전판부(2c), 고정 접점부(2a)를 통해 가동 접촉자(3)의 가동 접점부(3b)에 공급된다. 상기 가동 접점부(3b)에 공급된 대전류는 도전판부(3a), 가동 접점부(3c)를 통해 고정 접점부(2b)에 공급된다. 상기 고정 접점부(2b)에 공급된 대전류는, 제 1 도전판부(2d), 제 2 도전판부(2f), 제 3 도전판부(2n), 외부 접속 단자(2j)에 공급되어, 외부의 부하에 공급되는 통전로가 형성된다.
이때, 고정 접촉자(2)의 고정 접점부(2a, 2b) 및 가동 접촉자(3)의 가동 접점부(3b, 3c) 간에 가동 접점부(3b, 3c)를 개극시키는 방향의 전자반발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고정 접촉자(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도전판부(2c, 2d), 제 2 도전판부(2e, 2f) 및 제 3 도전판부(2m, 2n)에 의해 U자 형상 도전판부(2o, 2p)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 접촉자(2)의 제 3 도전판부(2m, 2n)와 이것에 대향되는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에서 반대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2)의 제 3 도전판부(2m, 2n)가 형성하는 자계와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에 흐르는 전류의 관계로부터 프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의해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를 고정 접촉자(2)의 고정 접점부(2a, 2b)에 대해 강하게 누르는 로렌츠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로렌츠 힘에 의해, 고정 접촉자(2)의 고정 접점부(2a, 2b) 및 가동 접촉자(3)의 가동 접점부(3b, 3c) 간에 발생하는 개극방향의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것이 가능해져, 가동 접촉자(3)의 가동 접점부(3b, 3c)가 개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3)의 형상을 변경하여 통전 시의 개극방향의 전자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도록 해도 된다.
즉, 도 8(a)∼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의 양단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도전판부(3d, 3e)와, 상기 제 1 도전판부(3d, 3e)의 상단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도전판부(3f, 3g)에 의해, 도전판부(3a)의 상방측으로 구부러지는 U자 형상 굽힘부(3h, 3i)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U자 형상 굽힘부(3h, 3i)의 제 2 도전판부(3f, 3g)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하면에 가동 접점부(3j, 3k)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접촉자(2)는, 접점 기구(CM)의 개극 상태에서, 가동 접촉자(3)의 U자 형상 굽힘부(3h, 3i)를 형성하는 도전판부(3a)와 제 2 도전판부(3f, 3g) 사이에 대향하여,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도전판부(2q, 2r)와, 이러한 제 4 도전판부(2q, 2r)의 내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가동 접촉자(3)의 U자 형상 굽힘부(3h, 3i)의 내측 단부의 내측을 지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5 도전판부(2s, 2t)에 의해 L자 형상 도전판부(2u, 2v)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4 도전판부(2q, 2r)의 가동 접촉자(3)의 가동 접점부(3j, 3k)에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 접점부(2w, 2x)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 8의 구성에 의하면, 접점 기구(CM)가 폐극 상태가 되면,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직류 전원(도시 생략)에 접속된 고정 접촉자(2)의 외부 접속 단자(2i)로부터 입력되는 예컨대 수 십kA 정도의 대전류가 제 5 도전판부(2s), 제 4 도전판부(2q), 고정 접점부(2w)를 통해 가동 접촉자(3)의 가동 접점부(3j)에 공급된다. 상기 가동 접점부(3j)에 공급된 대전류는 제 2 도전판부(3f), 제 1 도전판부(3d), 도전판부(3a), 제 1 도전판부(3e), 제 2 도전판부(3g), 가동 접점부(3k)를 통해 고정 접점부(2x)에 공급된다. 상기 고정 접점부(2x)에 공급된 대전류는, 제 4 도전판부(2r), 제 5 도전판부(2t), 외부 접속 단자(2j)를 통해, 외부의 부하에 공급되는 통전로가 형성된다.
이때, 고정 접촉자(2)의 고정 접점부(2w, 2x) 및 가동 접촉자(3)의 가동 접점부(3j, 3k) 간에 가동 접점부(3j, 3k)를 개극시키는 방향의 전자반발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가동 접촉자(3)는, 도전판부(3a), 제 1 도전판부(3d, 3e) 및 제 2 도전판부(3f, 3g)에 의해 U자 형상 굽힘부(3h, 3i)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와 고정 접촉자(2)의 제 4 도전판부(2q, 2r)에 반대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문에,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3)의 도전판부(3a)에 흐르는 전류와 고정 접촉자(2)의 제 4 도전판부(2q, 2r)가 형성하는 자계에 의해, 도전판부(3a)에 가동 접촉자(3)의 가동 접점부(3j, 3k)를 고정 접촉자(2)의 고정 접점부(2w, 2x)에 대해 강하게 누르는 로렌츠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로렌츠 힘에 의해, 고정 접촉자(2)의 고정 접점부(2w, 2x) 및 가동 접촉자(3)의 가동 접점부(3j, 3k) 간에 발생하는 개극방향의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것이 가능해져, 대전류의 통전 시에 가동 접촉자(3)의 가동 접점부(3j, 3k)가 개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구성에서는, 고정 접촉자(2)에 L자 형상 도전판부(2u, 2v)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동 접촉자(3)의 제 2 도전판부(3f, 3g)의 상측에 L자 형상 도전판부(2u, 2v)의 제 5 도전판부(2s, 2t)에 의한 자속 강화부가 형성되므로,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로렌츠 힘도 발생시킬 수 있어, 보다 강력하게 가동 접촉자(3)의 개극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 1∼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부 접속 도체(20 및 21)의 고정부(22 및 23)를 가동 접촉자(3)의 전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고정부(22 및 23)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가 로렌츠 힘을 저감시키지 않을 정도의 각도로 교차시키도록 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접속 도체의 자계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통전 시에 가동 접촉자를 개극시키는 전자반발력을 억제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할 수 있다.
1 : 본체 케이스
1a : 상부 케이스
1b : 하부 케이스
2 : 고정 접점
2a, 2b : 고정 접점부
2c, 2d : 제 1 도전판부
2e, 2f : 제 2 도전판부
2g, 2h : L자 형상 도전판부
2i, 2j : 외부 접속 단자
2m, 2n : 제 3 도전판부
2o, 2p : U자 형상 도전판부
2q, 2r : 제 4 도전판부
2s, 2t : 제 5 도전판부
2u, 2v : L자 형상 도전판부
2w, 2x : 고정 접점부
3 : 가동 접촉자
3a : 도전판부
3b, 3c : 가동 접점부
3d, 3e : 제 1 도전판부
3f, 3g : 제 2 도전판부
3h, 3i : U자 형상 굽힘부
3j, 3k : 가동 접점부
4 : 조작용 전자석
5 : 고정 철심
6 : 가동 철심
8 : 전자 코일
9 : 복귀 스프링
11 : 접촉자 홀더
12 : 접촉 스프링
13 : 스토퍼
20, 21 : 외부 접속 도체
22, 23 : 고정부
225, 28 : 제 1 도체부
26, 29 : 제 2 도체부
27, 30 : 외부 접속 도체부
31, 32 : 외부 접속 도체부
40 : 보호 유닛
41 : 퓨즈
42, 43 : 버스 바
50 : 접점 수납 공간
51 : 자성체 실드체

Claims (7)

  1. 통전로(通電路) 사이에 삽입된 한 쌍의 고정 접점부를 가지는 고정 접촉자와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점부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가동 접점부를 가지는 가동 접촉자를 가지는 접점 기구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 및 상기 가동 접촉자 중 적어도 일방의 형상을, 통전 시에 상기 고정 접점부 및 상기 가동 접점부 간에 발생하는 개극(開極)방향의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Lorentz force)을 발생시키는 자계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하고,
    상기 고정 접촉자의 외부 접속 단자에 접속하는 외부 접속 도체를 가지며, 상기 외부 접속 도체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부착시키는 고정부의 부착방향을 상기 가동 접촉자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도체는, 상기 고정부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는 반대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 접촉자의 연장방향과 평행하며 또한 전류방향이 상기 가동 접촉자와 반대방향이 되는 도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도체는, 보호 유닛을 구성하는 버스 바(busbar)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4. 통전로 사이에 삽입된 한 쌍의 고정 접점부를 가지는 고정 접촉자와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점부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가동 접점부를 가지는 가동 접촉자를 가지는 접점 기구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 및 상기 가동 접촉자 중 적어도 일방의 형상을, 통전 시에 상기 고정 접점부 및 상기 가동 접점부 간에 발생하는 개극방향의 전자반발력에 저항하는 로렌츠 힘을 발생시키는 자계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하고,
    상기 접점 기구를 덮도록 상기 고정 접촉자에 접속되는 외부 접속 도체에서 발생하는 자계의 영향을 억제하는 자성체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자는, 가동부에 지지되고, 표면과 이면 중 일방의 면에 있어서의 양단측에 각각 접점부를 가지는 도전판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접촉자는, 상기 도전판의 접점부에 대향되는 고정 접점부를 지지하며 각각 상기 도전판과 평행하게 해당 도전판의 양단보다 외측으로 향하는 제 1 도전판부와, 상기 제 1 도전판부의 외측방향 단부로부터 상기 도전판의 단부의 외측을 지나 연장되는 제 2 도전판부로 형성된 L자 형상 도전판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촉자는, 상기 제 2 도전판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도전판과 평행하게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도전판부를 가지고 C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자는, 가동부에 지지되는 도전판부와, 상기 도전판부의 양단에 형성된 C자 형상 굽힘부(bending portion)와, 상기 C자 형상 굽힘부의 상기 도전판부와의 대향면에 형성된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접촉자는, 상기 U자 형상 굽힘부 내에 상기 도전판부와 평행하게 설치된 상기 가동 접촉자의 접점부와 접촉하는 접점부를 형성한 한 쌍의 제 1 도전판부와, 상기 한 쌍의 제 1 도전판부의 내측단으로부터 각각 상기 U자 형상 굽힘부의 단부의 내측을 지나 연장되는 제 2 도전판부로 구성되는 L자 형상 도전판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KR1020147008803A 2011-10-07 2012-10-03 전자 접촉기 KR201400714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23144 2011-10-07
JP2011223144A JP5793048B2 (ja) 2011-10-07 2011-10-07 電磁接触器
PCT/JP2012/006359 WO2013051264A1 (ja) 2011-10-07 2012-10-03 電磁接触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408A true KR20140071408A (ko) 2014-06-11

Family

ID=4804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803A KR20140071408A (ko) 2011-10-07 2012-10-03 전자 접촉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56200B2 (ko)
EP (1) EP2765588B1 (ko)
JP (1) JP5793048B2 (ko)
KR (1) KR20140071408A (ko)
CN (1) CN103843099B (ko)
WO (1) WO20130512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6426B2 (ja) * 2011-10-07 2016-02-09 富士電機株式会社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5793048B2 (ja) * 2011-10-07 2015-10-14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KR101545893B1 (ko) 2014-01-28 2015-08-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릴레이
KR101943365B1 (ko) 2015-10-14 2019-01-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JP7117567B2 (ja) * 2017-01-11 2022-08-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電磁継電器、電気機器
JP6841047B2 (ja) * 2017-01-16 2021-03-1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2019036434A (ja) * 2017-08-10 2019-03-07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続ユニット
CN109427506B (zh) * 2017-08-25 2020-11-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压力开关及电压力锅
JP6897461B2 (ja) * 2017-09-27 2021-06-30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続ユニット
JP6964252B2 (ja) * 2017-11-27 2021-11-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及び電磁継電器
EP3719828A1 (en) * 2017-11-27 2020-10-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tact module, contact device, electromagnetic relay module, and electric instrument
JPWO2019103064A1 (ja) * 2017-11-27 2020-1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電磁継電器及び電気機器
US10549000B2 (en) * 2017-12-20 2020-02-04 Healthy Signoff, LLC Handheld UV disinfectant unit
JPWO2019167825A1 (ja) * 2018-03-02 2021-03-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モジュール、電磁継電器モジュール及び電気機器
JP2020009675A (ja) * 2018-07-10 2020-01-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モジュール、電磁継電器モジュール及び電気機器
JP7077890B2 (ja) * 2018-09-14 2022-05-31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5270A (en) * 1967-07-06 1969-09-02 Pollak Corp Joseph Heavy duty relay with wiping contacts
US3651437A (en) * 1971-03-19 1972-03-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omagnetic contactor
JP2812810B2 (ja) * 1990-02-14 1998-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器
JPH04123719A (ja) 1990-09-14 1992-04-23 Fuji Electric Co Ltd 固定接触子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H0612957A (ja) * 1992-06-24 1994-01-21 Omron Corp リレー
JPH07182961A (ja) * 1993-12-22 1995-07-21 Fuji Electric Co Ltd 電磁接触器の鉄心保持構造
DE19602118C2 (de) * 1996-01-22 1999-12-30 Siemens Ag Elektrisches Schaltgerät
DZ2952A1 (fr) * 1998-12-01 2004-03-15 Schneider Electric Ind Sa Conacteur électromécanique logeant dans un corps un électroaimant et un porte-contacts mobile.
KR20000073458A (ko) 1999-05-11 2000-12-05 권수영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JP2001210170A (ja) 2000-01-24 2001-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
JP2004071512A (ja) 2002-08-09 2004-03-04 Omron Corp 開閉装置
JP2006310251A (ja) 2005-03-28 2006-1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レー用導電バー及びこの製造方法
US20090315653A1 (en) * 2008-06-18 2009-12-24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Electromagnet device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JP4772098B2 (ja) * 2008-10-23 2011-09-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
JP5521852B2 (ja) 2010-03-30 2014-06-18 アンデ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134657B2 (ja) * 2010-07-27 2013-01-3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2012028253A (ja) * 2010-07-27 2012-02-09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2012038684A (ja) * 2010-08-11 2012-02-23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開閉器
JP5385877B2 (ja) * 2010-08-31 2014-01-0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開閉器
JP5689741B2 (ja) * 2011-05-19 2015-03-25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5778989B2 (ja) * 2011-05-19 2015-09-16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5809443B2 (ja) * 2011-05-19 2015-11-10 富士電機株式会社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5767508B2 (ja) * 2011-05-19 2015-08-19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5793048B2 (ja) * 2011-10-07 2015-10-14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5856426B2 (ja) * 2011-10-07 2016-02-09 富士電機株式会社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2015032609A (ja) * 2013-07-31 2015-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荷電粒子線照射装置、及び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5033162A (ja) * 2013-07-31 2015-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荷電粒子線照射装置、リソグラフ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1264A1 (ja) 2013-04-11
JP2013084424A (ja) 2013-05-09
EP2765588A4 (en) 2015-12-09
CN103843099A (zh) 2014-06-04
JP5793048B2 (ja) 2015-10-14
US20150002250A1 (en) 2015-01-01
EP2765588B1 (en) 2017-05-03
EP2765588A1 (en) 2014-08-13
CN103843099B (zh) 2016-06-29
US10056200B2 (en)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1408A (ko) 전자 접촉기
JP5134657B2 (ja)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US8816801B2 (en) Contact mechanism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the same
CN110323105B (zh) 继电器
EP2765586A1 (en) Contact device and magnetic contactor using same
KR101377342B1 (ko) 회로 차단기
EP2919248B1 (en) Electromagnetic relay
JP5600577B2 (ja)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KR20220106218A (ko) 단락 전류에 견디고 소호할 수 있는 직류 릴레이
JP2012028253A (ja)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5374630B2 (ja)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5323244B2 (ja)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US11587749B2 (en) Contact unit for a switching device and switching device
CN113632193A (zh) 电路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