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195A - 태양 전지용 도전성 접착제 및 이것을 이용한 접속 방법,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용 도전성 접착제 및 이것을 이용한 접속 방법,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195A
KR20140066195A KR1020147007470A KR20147007470A KR20140066195A KR 20140066195 A KR20140066195 A KR 20140066195A KR 1020147007470 A KR1020147007470 A KR 1020147007470A KR 20147007470 A KR20147007470 A KR 20147007470A KR 20140066195 A KR20140066195 A KR 20140066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agent
solar cell
conductive adhesive
organic acid
acid dihydraz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찌 나까하라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007Curing agents not provided for by the groups C08G59/42 - C08G59/66
    • C08G59/4014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G59/4035Hydrazines; Hydraz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01L31/0512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or composition of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트 타임의 단축화와 내열성, 접속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적어도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와, 도전성 입자(23)를 구비하고, 경화제는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함유한 도전성 접착제(17)를 이용하여, 태양 전지 셀(2)에 형성된 전극(11), (13) 상에 도전성 접착제를 통해 탭선(3)을 배치하고, 탭선(3) 상을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소정 시간 열 가압함으로써, 도전성 접착제(17)를 열 경화시킨다.

Description

태양 전지용 도전성 접착제 및 이것을 이용한 접속 방법,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SOLAR CELL CONDUCTIVE ADHESIVE AND CONNECTION METHOD USING SAME,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 전지 셀에 형성된 전극과 탭선을 접속하는 태양 전지용 도전성 접착제 및 이것을 이용한 접속 방법,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에서 2011년 8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특원 2011-184371을 기초로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이 출원은 참조됨으로써, 본 출원에 원용된다.
태양 전지 모듈에서는, 복수의 인접하는 태양 전지 셀이 인터커넥터로서 땜납 코팅된 리본상 동박 등을 포함하는 탭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탭선은 그의 일단측을 하나의 태양 전지 셀의 표면 전극에 접속하고, 타단측을 인접하는 태양 전지 셀의 이면 전극에 접속함으로써, 각 태양 전지 셀을 직렬로 접속한다.
구체적으로, 태양 전지 셀과 탭선과의 접속은, 태양 전지 셀의 수광면에 은 페이스트의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된 버스바 전극 및 태양 전지 셀의 이면 접속부에 형성된 Ag 전극과, 탭선이 땜납 처리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태양 전지 셀 이면의 접속부 이외의 영역은 Al 전극이나 Ag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납땜에서는 약 260℃으로 고온에 의한 접속 처리가 행해지기 때문에, 태양 전지 셀의 휘어짐이나, 탭선과 표면 전극 및 이면 전극과의 접속부에 생기는 내부 응력, 또한 플럭스의 잔사 등에 의해, 태양 전지 셀의 표면 전극 및 이면 전극과 탭선 사이의 접속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이 염려된다.
따라서, 종래, 태양 전지 셀의 표면 전극 및 이면 전극과 탭선과의 접속에,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의 열 압착 처리에 의한 접속이 가능한 도전성 접착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특허문헌 2). 이러한 도전성 접착 필름으로서는, 평균 입경이 수 ㎛ 오더의 구상 또는 비늘 조각상의 도전성 입자를 열 경화형 결합제 수지 조성물로 분산하여 필름화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도전성 접착 필름은, 표면 전극 및 이면 전극과 탭선 사이에 개재된 후, 탭선 위에서부터 열 가압됨으로써, 결합제 수지가 유동성을 나타내어 전극, 탭선 사이로부터 유출됨과 함께, 도전성 입자가 전극과 탭선 사이의 도통을 도모하여, 이 상태에서 결합제 수지가 열 경화한다. 이에 따라, 탭선에 의해서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이 직렬 접속된 스트링스가 형성된다.
도전성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탭선과 표면 전극 및 이면 전극이 접속된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은 유리, 투광성 플라스틱 등의 투광성을 갖는 표면 보호재와,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필름을 포함하는 배면 보호재 사이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EVA) 등의 투광성을 갖는 밀봉재에 의해 밀봉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5634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35654호 공보
그런데, 태양 전지 모듈은 10년 이상의 장기간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고, 특히 탭선과 태양 전지 셀에 형성된 전극과의 접속 불량은, 발전 효율의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핫 스팟(hot spot) 현상의 원인도 되는 점에서, 고온 고습 환경하에 장기간에 걸쳐 노출된 경우에 있어서도 내후성을 갖고, 내열성, 접속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한편으로, 탭선의 접속 공정에서는, 택트 타임의 단축화가 요구되고 있고, 속경화로, 또한 접속 신뢰성이 뛰어난 도전성 접착제가 요구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음이온계 에폭시 수지에서는, 탭선의 접속 공정에서의 택트 타임의 단축화나 높은 Tg화에 의한 내열성, 접속 신뢰성의 향상은 곤란하였다. 즉, 음이온계 에폭시 수지로 속경화를 행할 때에는, 반응 속도가 느린 이른바 중부가형보다도, 3급 아민이나 이미다졸류를 이용한 이른바 음이온 중합형이 유효하게 된다. 그러나, 잠재성이 부여된 1액 타입의 도전성 접착 필름에 적용한 경우에는, 음이온 중합형은 동일 압착 조건에 있어서 중부가형에 비하여 내열성이 약하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유기산 히드라지드의 중부가 반응을 이용한 계에서는, 경화 반응이 천천히 진행하기 때문에 셀의 휘어짐의 억제, 경화물의 Tg를 적정한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안성맞춤이지만, 반응 속도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화 반응 속도와 내열성을 양립시켜, 탭선의 접속 공정에 있어서는 택트 타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내열성, 접속 신뢰성의 향상이 도모된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접속 방법, 태양 전지용의 도전성 접착제 및 태양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와, 도전성 입자를 구비하고, 상기 경화제는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함유한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태양 전지 셀에 형성된 전극 상에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통해 탭선을 배치하고, 상기 탭선 상을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소정 시간 열 가압함으로써,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열 경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방법은 적어도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와, 도전성 입자를 구비하고, 상기 경화제는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함유한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태양 전지 셀에 형성된 전극 상에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통해 탭선을 배치하고, 상기 탭선 상을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소정 시간 열 가압함으로써,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열 경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접착제는, 태양 전지 셀에 형성된 전극과 탭선을 접속하는 도전성 접착제에 있어서, 적어도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와, 도전성 입자를 구비하고, 상기 경화제는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함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은,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태양 전지 셀에 형성된 전극과 탭선이 접속된 태양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적어도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와, 도전성 입자를 구비하고, 상기 경화제는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전성 접착제의 경화제로서,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탭선의 열 가압 조건이 저온 저압 단시간의 조건 하에서, 기판의 휘어짐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택트 타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에폭시의 반응률을 향상시켜, 접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Tg)의 최적화, 탭선의 접착성, 접속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태양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태양 전지 셀의 스트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태양 전지 셀의 이면 전극 및 접속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전성 접착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릴형으로 권회된 도전성 접착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접속 방법, 태양 전지용의 도전성 접착제 및 태양 전지 모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사이에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태양 전지 모듈]
본 발명이 적용된 태양 전지 모듈(1)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태양 전지 셀(2)이 인터 커넥터가 되는 탭선(3)에 의해서 직렬로 접속된 스트링스(4)를 갖고, 이 스트링스(4)를 복수 배열한 매트릭스(5)를 구비한다. 그리고, 태양 전지 모듈(1)은, 이 매트릭스(5)가 밀봉재의 시트(6) 사이에 끼워져, 수광면 측에 설치된 표면 커버(7) 및 이면측에 설치된 백 시트(8)와 함께 일괄해서 라미네이트되고, 마지막으로, 주위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 프레임(9)이 부착됨으로써 형성된다.
밀봉재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EVA) 등의 투광성 밀봉재가 이용된다. 또한, 표면 커버(7)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나 투광성 플라스틱 등의 투광성의 재료가 이용된다. 또한, 백 시트(8)로서는 유리나, 알루미늄박을 수지 필름으로 협지한 적층체 등이 이용된다.
태양 전지 모듈의 각 태양 전지 셀(2)은, 광전 변환 소자(10)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광전 변환 소자(10)로서, 단결정 실리콘형 광전 변환 소자나 다결정 실리콘형 광전 변환 소자를 이용하는 결정 실리콘계 태양 전지를 예에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박막계 태양 전지, 유기계, 양자 도트형 등, 각종 광전 변환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전 변환 소자(10)는, 수광면측에 내부에서 발생한 전기를 집전하는 핑거 전극(12)과 핑거 전극(12)의 전기를 집전하는 버스바 전극(11)이 설치되어 있다. 버스바 전극(11) 및 핑거 전극(12)은, 태양 전지 셀(2)의 수광면이 되는 표면에, 예를 들면 Ag 페이스트가 스크린 인쇄 등에 의해 도포된 후, 소성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핑거 전극(12)은, 수광면의 전체 면에 걸쳐, 예를 들면 약 50 내지 200㎛ 정도의 폭을 갖는 라인이, 소정 간격, 예를 들면 2mm 걸쳐, 거의 평행하게 복수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 전극(11)은, 핑거 전극(12)과 대략 직교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태양 전지 셀(2)의 면적에 따라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태양 전지 셀(2)은, 버스바 전극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이른바 버스바 레스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태양 전지 셀(2)은, 후술하는 탭선(3)이 도전성 접착 필름(17)을 통해 직접 핑거 전극(12)과 접속된다.
또한, 광전 변환 소자(10)는, 수광면과 반대의 이면 측에, 알루미늄이나 은을 포함하는 이면 전극(13)이 설치되어 있다. 이면 전극(13)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은을 포함하는 전극이, 스크린 인쇄나 스퍼터 등에 의해 태양 전지 셀(2)의 이면에 형성된다. 이면 전극(13)은, 후술하는 도전성 접착 필름(17)을 통해 탭선(3)이 접속되는 탭선 접속부(14)를 갖는다.
그리고, 태양 전지 셀(2)은 탭선(3)에 의해서, 표면에 형성된 버스바 전극(11)과, 인접하는 태양 전지 셀(2)의 이면 전극(13)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에 따라 직렬로 접속된 스트링스(4)를 구성한다. 탭선(3)과 버스바 전극(11) 및 이면 전극(13)과는, 후술하는 도전성 접착 필름(17)에 의해서 접속된다.
[탭선]
탭선(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태양 전지 셀(2X, 2Y, 2Z)의 각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긴상의 도전성 기재이다. 탭선(3)은, 예를 들면 두께 50 내지 300㎛에 압연된 동박이나 알루미늄 박을 슬릿하고, 또는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가는 금속 와이어를 평판상으로 압연함으로써, 도전성 접착 필름(17)과 거의 동일 폭의 1 내지 3mm 폭의 평각의 동선을 얻는다. 그리고, 탭선(3)은 이 평각 동선에, 필요에 따라서 금 도금, 은 도금, 주석 도금, 땜납 도금 등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탭선(3)은, 일면(3a)을 태양 전지 셀(2)의 버스바 전극(11)이 설치된 표면에의 접착면이 되고, 다른 면(3b)을 태양 전지 셀(2)의 이면 전극(13)이 설치된 이면에의 접착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탭선(3)은 길이 방향의 일단측이 태양 전지 셀(2)의 표면에 접속되는 표면 접속부(3c)가 되고, 길이 방향의 타단측이 태양 전지 셀(2)의 이면에 접속되는 이면 접속부(3d)가 되어 있다.
[도전성 접착제]
이어서, 탭선(3)을 태양 전지 셀(2)의 표면 및 이면에 접속하는 도전성 접착제가 되는 도전성 접착 필름(17)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전성 접착 필름(17)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를 갖는 열 경화성의 결합제 수지층(22)에 도전성 입자(23)가 고밀도로 충전된 것이다. 또한, 도전성 접착 필름(17)의 경화제는,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함유한다.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의 배합 비율은, 이미다졸계 경화제:유기산 디히드라지드=1:4 내지 4:1의 범위에서 사용 가능하고, 이미다졸계 경화제: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1:3 내지 3:1의 범위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 필름(17)에 이용되는 도전성 입자(23)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니켈, 금, 은, 구리 등의 금속 입자, 수지 입자에 금 도금 등을 실시한 것, 수지 입자에 금 도금을 실시한 입자의 최외층에 절연 피복을 실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입자(23)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50㎛의 범위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10 내지 30㎛의 범위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 필름(17)의 열 경화성의 결합제 수지층(22)의 조성은, 적어도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막 형성 수지와,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한다.
에폭시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시판되고 있는 에폭시 수지가 전부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스틸벤형 에폭시 수지, 트리페놀메탄형 에폭시 수지, 페놀아르알킬형 에폭시 수지, 나프톨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트리페닐메탄형 에폭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 등 다른 유기 수지와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경화제는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사용한다. 이 경화제는 잠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잠재성 경화제는, 통상적으로는 반응하지 않고, 어떠한 트리거에 의해 활성화하여, 반응을 개시한다. 트리거에는 열, 광, 가압 등이 있고, 용도에 의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원에서는 가열 경화형의 잠재성 경화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버스바 전극(11)이나 이면 전극(13)에 가열 가압됨으로써 본 경화된다.
막 형성 수지는,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의 고분자량 수지에 상당하고, 필름 형성성의 관점에서, 10000 내지 80000 정도의 평균 분자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막 형성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변성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페녹시 수지 등의 여러 가지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막 형성 상태, 접속 신뢰성 등의 관점에서 페녹시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에폭시계, 아미노계, 머캅토·술피드계, 우레이도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에폭시계 실란 커플링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에 따라, 유기 재료와 무기 재료의 계면에서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첨가 조성물로서, 무기 충전재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충전재를 함유함으로써, 압착시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유동성을 조정하여, 입자 포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기 충전재로서는 실리카, 탈크, 산화티탄,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무기 충전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도전성 접착 필름(17)의 제품 형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전성 접착 필름(17)은, 박리 기재(24) 상에 결합제 수지층(22)이 적층되고, 테이프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테이프형의 도전성 접착 필름은, 릴(25)에 박리 기재(24)가 외주측이 되도록 권회 적층된다. 박리 기재(24)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OPP(Oriented Polypropylene), PMP(Poly-4-methlpentene-1),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접착 필름(17)은, 결합제 수지층(22) 상에 투명한 커버 필름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때, 결합제 수지층(22) 상에 첩부되는 커버 필름으로서 상술한 탭선(3)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전성 접착 필름(17)은, 결합제 수지층(22)이 탭선(3)의 태양 전지 셀(2)의 표면에의 접착면이 되는 일면(3a) 또는 태양 전지 셀(2)의 이면에의 접착면이 되는 다른 면(3b)에 적층된다. 이와 같이, 미리 탭선(3)과 도전성 접착 필름(17)을 적층 일체화시켜 놓음으로써, 실사용시에 있어서는, 박리 기재(24)를 박리하여, 도전성 접착 필름(17)의 결합제 수지층(22)을 버스바 전극(11)이나 이면 전극(13)의 탭선 접속부(14) 상에 점착함으로써 탭선(3)과 각 전극(11, 13)과의 접속이 도모된다.
상기에서는, 필름 형상을 갖는 도전성 접착 필름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페이스트상이라도 문제는 없다. 본원에서는, 도전성 입자를 함유하는 필름상의 도전성 접착 필름(17) 또는 페이스트상의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를 「도전성 접착제」라고 정의한다.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이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를 버스바 전극(11)이나 탭선 접속부(14) 상에 도포한 후에 탭선(3)을 중첩시키는 것 이외에, 미리 태양 전지 셀(2)에의 접착면이 되는 탭선(3)의 일면(3a)이나 다른 면(3b)에 이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놓음으로써, 도전성 접착 페이스트를 통해 탭선(3)을 태양 전지 셀(2)의 각 전극(11, 13) 상에 점착할 수도 있다.
또한, 도전성 접착 필름(17)은 릴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태양 전지 셀(2)의 표면의 버스바 전극(11)이나 이면 전극(13)의 탭선 접속부(14)의 형상에 따른 세그먼트 형상일 수도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 접착 필름(17)이 권취된 릴 제품으로서 제공되는 경우, 도전성 접착 필름(17)의 점도를 10 내지 10000kPa·s의 범위로 함으로써, 도전성 접착 필름(17)의 변형을 방지하고, 소정의 치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접착 필름(17)이 세그먼트 형상으로 2매 이상 적층된 경우도 마찬가지로, 변형을 방지하고, 소정의 치수를 유지할 수 있다.
[제조 공정]
상술한 도전성 접착 필름(17)은 도전성 입자(23)와,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와, 막 형성 수지와, 실란 커플링제를 용제에 용해시킨다. 용제로서는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등, 또는 이들의 혼합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용해시켜 얻어진 수지 생성용 용액을 박리 시트 상에 도포하고, 용제를 휘발시킴으로써, 도전성 접착 필름(17)을 얻는다.
표면 전극용 2개 및 이면 전극용 2개를 소정의 길이로 컷트된 도전성 접착 필름(17)은, 태양 전지 셀(2)의 표리면의 소정 위치에 가접착된다. 이때, 도전성 접착 필름(17)은, 태양 전지 셀(2)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각 버스바 전극(11) 상이나 이면의 탭선 접속부(14) 상에 장착되고, 가부착 헤드에 의해서 유동성을 발생시키지만 본 경화를 발생하게 하지 않는 정도의 온도(예를 들면 70℃) 및 압력(예를 들면 0.5MPa)으로 소정 시간(예를 들면 0.5초) 열 가압된다.
이어서, 마찬가지로 소정의 길이로 컷트된 탭선(3)이 도전성 접착 필름(17) 상에 중첩 배치된다. 이때, 탭선(3)은 일면(3a)의 표면 접속부(3c)가 버스바 전극(11) 상에 배치되고, 다른 면(3b)의 이면 접속부(3d)가 이면 전극(13)의 탭선 접속부(14) 상에 배치된다. 이어서, 탭선(3)은 가열 가압 헤드에 의해서 도전성 접착 필름(17)의 결합제 수지가 열 경화하는 소정의 온도(예를 들면 180℃ 정도) 및 소정의 압력(예를 들면 2 MPa 정도)으로 소정 시간(예를 들면 15초 정도) 열 가압된다. 이에 따라, 도전성 접착 필름(17)을 통해, 탭선(3)과 버스바 전극(11) 또는 이면 전극(13)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태양 전지 셀(2)은, 한 장씩 가열 가압 헤드의 바로 아래에 반송되고, 순차, 탭선(3)이 버스바 전극(11) 및 이면 전극(13)에 접착됨과 함께, 탭선(3)을 통해 인접하는 태양 전지 셀(2)과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어, 스트링스(4), 매트릭스(5)를 구성하여 간다.
그 후, 스트링스(4) 또는 매트릭스(5)는, EVA 등의 투광성의 밀봉재의 시트(6)가 표리 양면에 적층되고, 표면 커버(7) 및 백 시트(8)와 함께, 감압 라미네이터에 의해서 일괄 라미네이트된다. 이때도, 도전성 접착 필름(17)은, 소정의 온도(예를 들면 160℃)에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20분 정도) 가열된다. 마지막으로, 주위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 프레임(9)이 부착됨으로써 태양 전지 모듈(1)이 형성된다.
[작용·효과]
여기서, 태양 전지 셀(2)은 도전성 접착 필름(17)의 경화제로서,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함유하고 있다.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는, 에폭시환에 대하여 중부가 반응을 야기하고, 수산기를 형성시켜 이미다졸의 경화 반응을 촉진시킨다. 이에 따라, 도전성 접착 필름(17)은 가열 가압 헤드에 의한 탭선(3)의 열 가압 조건이 180℃, 2MPa, 15초라는 저온 저압 단시간의 조건 하에서도, 에폭시의 반응률을 55% 이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감압 라미네이트시에, 에폭시의 반응률을 95%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 모듈은, 도전성 접착 필름(17)이 열 경화함으로써 형성되는 접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170℃ 이상이 된다.
즉, 탭선의 접속 공정에서, 저온 저압 단시간에 열 가압하고, 이어서 감압 라미네이트 압착 공정에서 2단계로 열 가압을 행함으로써, 태양 전지 셀의 휘어짐이나 깨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경화물 반응을 촉진시켜 에폭시의 반응률을 95%까지 향상시켜, Tg의 최적화(170℃ 이상), 탭선의 접착성, 접속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접착 필름(17) 및 태양 전지 모듈(1)에 따르면, 탭선(3)이 저온 저압 단시간의 열 가압 조건에 있어서, 기판의 휘어짐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택트 타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탭선(3)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태양 전지 모듈 제조 초기 및 태양 전지 모듈이 고온 고습 환경하에 장시간 노출되어진 경우에 있어서도, 양호한 접속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탭선의 본 압착시에 있어서의 에폭시의 반응률은 55 내지 85%가 바람직하다. 85%를 초과하면 라미네이트 공정에서 압입할 수 없고, 55%에 충족되지 않으면 라미네이트 공정에 의해서도 충분한 반응률에 달할 수 없고, 모두 접속 신뢰성에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성 접착 필름의 경화제로서 이미다졸과 유기산 디히드라지드와의 배합비를 변경한 실시예에 대해서, 유기산 디히드라지드를 함유하지 않은 경화제를 이용한 비교예와 비교하여, 이들 에폭시의 반응률, Tg, 탭선의 접착력 및 접속 신뢰성을 측정하였다.
각 샘플에 있어서의 태양 전지 셀로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하는 광전 변환 소자를 이용하여, 표면에 Ag 페이스트를 도포, 소성하여 이루어지는 핑거 전극 및 버스바 전극이 설치되고, 이면에 전체 면에 걸쳐 Ag 전극이 설치된 태양 전지 셀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도전성 접착 필름을 통해 태양 전지 셀에 접속되는 탭선으로서, 동박을 도금 코팅한 탭선을 이용하였다.
각 샘플에 있어서의 도전성 접착 필름은,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경화제; 20질량부, 및 도전성 입자; 10질량부와,
페녹시 수지(PKHH: InChem사 제조); 20질량부,
액상 에폭시 수지(jer604: 미쯔비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30질량부,
아크릴 고무(테이산 레진 SGP3: 나가세 켐텍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15질량부,
폴리부타디엔 고무(RKB 시리즈: 레지너스 가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15질량부
를 톨루엔(100질량부)에 용해시켜 수지 조성물을 조정하였다. 그 후, 용해시켜 얻어진 수지 생성용 용액을 박리 시트 상에 도포하고, 오븐에서 용제를 휘발시킴으로써, 도전성 접착 필름을 얻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 이용하는 유기산 디히드라지드로서,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A, B를 준비하였다.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A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 교반 장치를 구비한 3구 플라스크에 4-이소프로필-2-이미다졸리돈(Imidazolidone), 메탄올을 칭량하여,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아크릴산메틸을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하룻밤 방치하고, 농축 건고하여 화합물을 얻었다. 이 화합물을 메탄올에 용해하고, 포수 히드라진 80% 수용액을 가하여, 교반하 4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농축 건고한 후, 잔사를 메탄올에 녹여, 하룻밤 방치하였다. 석출한 결정을 여과 취출하여 메탄올로 세정 후, 감압 건조하여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A를 얻었다. 또한,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B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 7,11-옥타데카디엔-1,18-디카르복실산메틸을 메탄올에 용해하고, 포수 히드라진 80% 수용액을 가하여, 교반하 4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농축 건고한 후, 잔사를 메탄올에 용해하여, 하룻밤 방치하였다. 석출한 결정을 여과 취출하여 메탄올로 세정 후, 감압 건조하여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B를 얻었다.
실시예 1은, 경화제(20질량부)로서 이미다졸계 경화제(노바큐어 HX3941: 아사히 가세이 머테리얼즈 제조)와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A(융점 120℃)를 1:1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또한, 도전성 입자(10질량부)로서, 10㎛의 치환 도금 은 코팅 구리 가루를 이용하였다.
이 치환 도금 은 코팅 구리 가루는, 이른바 분사법이라고 불리는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분사 구리 가루를, 추가로 기계적 분쇄를 실시하여 얻어진 구리 미분을 사용하였다. 또한, 기계적 분쇄시에는, 구리 가루끼리의 응집에 의한 조대화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지방산이 첨가되어 있다고 추찰된다. 구체적으로는 닛본 아토마이즈 가코(주) 제조 플레이크 구리 미분(형번: AFS-Cu 7㎛)을 사용하였다. 이 구리 미분은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한 중량 누적 입경 D50은 7.9㎛였다.
이 플레이크상의 구리 미분 500g을 대기 중에서 250℃, 5분간, 열 처리하였다. 그 후, 산화 처리한 구리 미분을 유발에서 조쇄하였다. 이 구리 미분 500g을 1% 수산화칼륨 수용액 1000ml에 가하여 20분간 교반하고, 계속해서 1차 기울여 따르기 처리를 행하여, 추가로 순수 1000ml를 가하고 수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2차 기울여 따르기 처리를 행하고, 황산 농도 15g/L의 황산 수용액 2500ml를 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또한, 황산 수용액에 의한 산 세정을 또 1회 반복하였다. 또한, 3차 기울여 따르기 처리를 행하고, 순수 2500ml를 가하여 수분간 교반하였다. 그리고, 4차 기울여 따르기 처리를 행하고, 여과 세정, 흡인 탈수함으로써, 플레이크상의 구리 미분과 용액을 여과 분별하여, 플레이크상의 구리 미분을 90℃의 온도에서 2시간의 건조를 행하였다.
이어서, 건조가 끝난 플레이크상의 구리 미분에 황산 농도 7.5g/L의 황산 수용액 2500ml를 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또한, 5차 기울여 따르기 처리를 행하고, 순수 2500ml을 가하여 수분간 교반하였다.
또한, 6차 기울여 따르기 처리를 행하고, 1% 타르타르산나트륨칼륨 용액 2500ml를 가하여 수분간 교반하고, 구리 슬러리를 형성시켰다. 상기 구리 슬러리에 희류산 또는 수산화칼륨 용액을 가하여, 구리 슬러리의 pH를 3.5 내지 4.5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pH를 조정한 구리 슬러리에 질산은 암모니아 용액 1000ml(질산은 87.5g을 물에 첨가하여 암모니아수를 가하고, 1000ml로서 조정한 것)를 30분간의 시간을 걸쳐 천천히 첨가하면서 치환 반응 처리 및 환원 반응 처리를 행하고, 추가로 30분간의 교반을 하여 은 도금 구리 미분을 얻었다.
그 후, 7차 기울여 따르기 처리를 행하고, 순수 3500ml를 가하여 수분간 교반하였다. 또한 8차 기울여 따르기 처리를 행하고, 순수 3500ml를 가하여 수분간 교반하였다.
그리고, 여과 세정, 흡인 탈수함으로써 은 도금 구리 미분과 용액을 여과 분별하여, 은 도금 구리 미분을 90℃의 온도에서 2시간의 건조를 행하였다.
상기의 은 도금 구리 미분 500g을 관상로에 넣고, 수소 기류하(3.0 내지 3.5l/min)의 환원성 분위기 중에서 200℃, 30분간 열 처리하였다. 열 처리가 끝난 은 도금 구리 미분을 유발로 분쇄하였다. 상기한 열 처리가 끝난 은 도금 구리 미분 500g을 0.5% 스테아르산이소필 알코올 용액 1000ml에 분산시켜, 30분간 교반하였다.
그리고, 여과 세정, 흡인 탈수함으로써 열 처리가 끝난 스테아르산 피복 은 도금 구리 미분과 용액을 여과 분별하고, 열 처리가 끝난 스테아르산 피복 은 도금 구리 미분을 90℃의 온도에서 2시간의 건조를 행하여, 열 처리가 끝난 스테아르산 피복 은 도금 구리 미분을 얻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0-174311호 공보 참조).
실시예 2는 경화제의 배합 비율을, 이미다졸계 경화제:유기산 디히드라지드 A=2:1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실시예 3은 경화제의 배합 비율을, 이미다졸계 경화제:유기산 디히드라지드 A=1: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실시예 4는 경화제(20질량부)로서, 이미다졸계 경화제(노바큐어 HX3941:아사히 가세이 머테리얼즈 제조)와,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B(융점 160℃)를 2:1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또한, 도전성 입자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은 코팅 구리 가루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5는 경화제의 배합 비율을, 이미다졸계 경화제:유기산 디히드라지드 B=1:1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실시예 6은 경화제의 배합 비율을, 이미다졸계 경화제:유기산 디히드라지드 B=1: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실시예 7은 경화제의 배합 비율을, 이미다졸계 경화제:유기산 디히드라지드 B=1:3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실시예 8은 경화제의 배합 비율을, 이미다졸계 경화제:유기산 디히드라지드 B=3:1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실시예 9는 도전성 입자로서, 10㎛ 구리 가루(T-220; 미쓰이 킨조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실시예 10은 경화제의 배합 비율을, 이미다졸계 경화제:유기산 디히드라지드 B=1:4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실시예 11은 경화제의 배합 비율을, 이미다졸계 경화제:유기산 디히드라지드 B=4:1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비교예 1은 경화제(20질량부)로서, 이미다졸계 경화제(노바큐어 HX3941: 아사히 가세이 머테리얼즈 제조)와, 페놀계 경화제(TD-2131: DIC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1:2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또한, 도전성 입자로서 은 코팅 구리 가루를 이용하였다.
비교예 2는 경화제(20질량부)로서, 이미다졸계 경화제(노바큐어 HX3941:아사히 가세이 머테리얼즈 제조)와, 산 무수물계 경화제(HNA-100: 신니혼리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1:2의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비교예 3은 경화제(20질량부)로서, 이미다졸계 경화제(노바큐어 HX3941: 아사히 가세이 머테리얼즈 제조)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비교예 4는 경화제(20질량부)로서, 페놀계 경화제(TD-2131: DIC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비교예 5는 경화제(20질량부)로서, 산 무수물계 경화제(HNA-100: 신니혼리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비교예 6은 도전성 입자로서, 10㎛ 구리 가루(T-220; 미쓰이 킨조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3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각 도전성 접착 필름은, 태양 전지 셀의 버스바 전극상 및 이면 Ag 전극 상에, 70℃, 0.5MPa, 0.5초의 열 가압 조건으로 가접착하였다. 이어서, 도전성 접착 필름 위에 탭선을 적층하고, 180℃, 2MPa, 15초의 열 가압 조건으로 본 압착하여, 버스바 전극 및 이면 Ag 전극과 접속하였다. 이때, 에폭시의 반응률을 측정하였다. 반응률은 경화 반응 전, 및 경화 반응 후의 샘플에 대하여 IR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차트의 에폭시기의 피크(914cm-1) 강도의 비를 잔존하는 에폭시기의 비율로서 구하고, 이것을 1에서 뺀 것을 반응률(%)로서 구하였다.
그 후, EVA 수지를 포함하는 밀봉재의 시트를 태양 전지 셀의 표리면에 적층하고, 감압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일괄 라미네이트를 행하여 태양 전지 모듈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라미네이트 조건은 160℃, 20분이다. 각 태양 전지 셀의 샘플에 대해서, 상기와 같이 에폭시의 반응률(%)을 구하였다. 또한, 도전성 접착 필름이 경화하여 생긴 접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측정하였다. 또한, 탭선을 버스바 전극, 이면 Ag 전극으로부터 90° 방향으로 박리하는 90° 박리 시험(JIS K 6854-1)을 행하여, 필 강도(N/mm)를 측정하고, 탭선의 접착성을 구하였다. 또한, 디지털 멀티미터(디지털 멀티미터 7561; 요코카와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4 단자법으로 전류 2mA를 흘렸을 때의 접속 저항을,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초기 및 고온 고습 시험 후(85℃ 85% RH 250hr/85℃ 85% RH 500hr)에 있어서 측정하여, 탭선의 접속 신뢰성을 구하였다.
또한, 탭선의 접착성은, 필 강도가 2.0N/mm 이상을 ◎, 1.5N/mm 이상 2.0N/mm 미만을 ○, 1.0N/mm 이상 1.5N/mm 미만을 △, 1.0N/mm 미만을 ×로 하였다. 탭선의 접속 신뢰성은, 저항치가 4mΩ 미만을 ◎, 4mΩ 이상 5mΩ 미만을 ○, 5mΩ 이상 6mΩ 미만을 △, 6mΩ 이상을 ×로 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1에 관한 도전성 접착 필름에 따르면, 경화제로서,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가열 가압 헤드에 의한 탭선의 열 가압 조건이 180℃, 2MPa, 15초라는 저온 저압 단시간의 조건 하에서도, 에폭시의 반응률을 55%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1에 관한 도전성 접착 필름에 따르면, 경화제로서,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함유하고, 또한 탭선 접속시에 있어서 에폭시의 반응률이 55% 이상이 되어 있기 때문에, 탭선 접속 후의 감압 라미네이터에 의한 라미네이트 압착 공정에서, 에폭시의 반응률을 95% 이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경화 후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17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EVA 등의 투광성의 밀봉재의 시트(6)의 감압 라미네이트 압착 공정은, 예를 들면 160℃에서 20분이라는 시간이 걸리지만, 실시예 1 내지 9에 관한 도전성 접착 필름에 따르면, 탭선의 접속 공정과, 감압 라미네이트 압착 공정에서 2단계로 열 가압을 행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에폭시의 반응률을 95%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즉, 탭선의 접속 공정에서, 저온 저압 단시간에 열 가압하고, 이어서 감압 라미네이트 압착 공정에서 2단계로 열 가압을 행함으로써, 태양 전지 셀의 휘어짐이나 깨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경화물 반응을 촉진시켜 에폭시의 반응률을 95%까지 향상시켜, Tg의 최적화(170℃ 이상), 탭선의 접착성, 접속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11에 관한 도전성 접착 필름에 따르면, 탭선의 접착성이 모두 ◎로 양호하였다. 또한, 탭선의 접속 신뢰성도 고온 고습 시험을 거친 후에도, 저항치가 최대 5mΩ 이상 6mΩ 미만으로 억제되고, 실용상 문제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실시예 1 내지 9에 관한 도전성 접착 필름에 따르면, 탭선의 열 가압 조건이 180℃, 2MPa, 15초라는 저온 저압 단시간의 조건하에서도 내열성을 유지하고, 택트 타임의 단축화와 내열성, 접속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6은, 모두 경화제로서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탭선 접속시에 있어서의 에폭시의 반응률이 낮고, 또한 라미네이트 압착 후의 에폭시의 반응률도 최대 90%로 멈추었다. 또한, 탭선의 접착성이 모두 △가 되고, 접속 신뢰성 시험도 접속 저항치가 상승하여, 고온 고습 시험(85℃ 85% RH 500hr)을 거친 후에는 모두 저항치가 6mΩ 이상이 되어 실용에 견딜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0과 실시예 11을 비교하면, 실시예 10에서는,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의 배합 비율을 1:4로 했기 때문에, 에폭시의 반응률이 내려가고, 경화 후의 유리 전이 온도(Tg), 탭선의 접착성, 접속 신뢰성이 저하하였다. 또한, 실시예 11에서는,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의 배합 비율을 4:1로 했기 때문에,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탭선의 접착성이나 접속 신뢰성의 유지라고 하는 면에서 약간 저하하였다. 이에 따라,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의 배합 비율은 1:3 내지 3:1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1 태양 전지 모듈, 2 태양 전지 셀, 3 탭선, 4 스트링스, 5 매트릭스, 6 시트, 7 표면 커버, 8 백 시트, 9 금속 프레임, 10 광전 변환 소자, 11 버스바 전극, 12 핑거 전극, 13 이면 전극, 14 탭선 접속부, 17 도전성 접착 필름, 23 도전성 입자

Claims (12)

  1. 적어도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와, 도전성 입자를 구비하고, 상기 경화제는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함유한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태양 전지 셀에 형성된 전극 상에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통해 탭선을 배치하고,
    상기 탭선 상을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소정 시간 열 가압함으로써,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열 경화시키는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선이 접속된 상기 태양 전지 셀에 밀봉 수지를 중첩 배치하고,
    일괄 라미네이트 압착함으로써,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추가로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소정 시간 열 가압하는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다졸계 경화제:상기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의 배합비가 3:1 내지 1:3인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다졸계 경화제:상기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의 배합비가 2:1 내지 1:2인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의 융점이 120℃ 내지 160℃인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6. 적어도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와, 도전성 입자를 구비하고, 상기 경화제는,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함유한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태양 전지 셀에 형성된 전극 상에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통해 탭선을 배치하고,
    상기 탭선 상을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소정 시간 열 가압함으로써,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열 경화시키는 접속 방법.
  7. 태양 전지 셀에 형성된 전극과 탭선을 접속하는 도전성 접착제에 있어서,
    적어도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와, 도전성 입자를 구비하고,
    상기 경화제는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함유하는 도전성 접착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다졸계 경화제:상기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의 배합비가 3:1 내지 1:3인 도전성 접착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다졸계 경화제:상기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의 배합비가 2:1 내지 1:2인 도전성 접착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의 융점이 120℃ 내지 160℃인 도전성 접착제.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과 상기 탭선 사이에 중첩되고, 상기 탭선 위에서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소정 시간 열 가압됨으로써 상기 탭선을 상기 전극 상에 접속한 후, 추가로 밀봉 수지와 함께 일괄 라미네이트 압착됨으로써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소정 시간 열 가압되는 태양 전지 셀의 제조 공정에 이용되는 도전성 접착제.
  12.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태양 전지 셀에 형성된 전극과 탭선이 접속된 태양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적어도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와, 도전성 입자를 구비하고,
    상기 경화제는 이미다졸계 경화제 및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경화제를 함유하는 태양 전지 모듈.

KR1020147007470A 2011-08-26 2012-08-10 태양 전지용 도전성 접착제 및 이것을 이용한 접속 방법,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201400661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84371 2011-08-26
JP2011184371A JP2013045994A (ja) 2011-08-26 2011-08-26 太陽電池用導電性接着剤及びこれを用いた接続方法、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PCT/JP2012/070464 WO2013031519A1 (ja) 2011-08-26 2012-08-10 太陽電池用導電性接着剤及びこれを用いた接続方法、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195A true KR20140066195A (ko) 2014-05-30

Family

ID=4775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470A KR20140066195A (ko) 2011-08-26 2012-08-10 태양 전지용 도전성 접착제 및 이것을 이용한 접속 방법,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3045994A (ko)
KR (1) KR20140066195A (ko)
CN (1) CN103748690A (ko)
TW (1) TWI537985B (ko)
WO (1) WO20130315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669A (ko) * 2018-04-16 2019-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용 도전성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전자파 차폐층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적층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8759B2 (ja) 2013-11-08 2018-10-1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及びフィルム巻装体
JPWO2018180922A1 (ja) * 2017-03-28 2020-02-06 株式会社カネカ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720290B (zh) * 2017-05-19 2021-03-01 日商拓自達電線股份有限公司 導電性接著劑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994A (en) * 1977-06-14 1979-01-16 Mitsubishi Chem Ind Ltd Epoxy resin composition
JPS5949224A (ja) * 1982-09-14 1984-03-21 Hitachi Chem Co Ltd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S59217344A (ja) * 1983-05-25 1984-12-07 Hitachi Ltd 樹脂モ−ルド型半導体装置
JPS6136318A (ja) * 1984-07-30 1986-02-21 Hitachi Chem Co Ltd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S61183317A (ja) * 1985-02-08 1986-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低温速硬化型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H0931165A (ja) * 1995-07-24 1997-02-04 Otsuka Chem Co Ltd 水性樹脂組成物
JP4046252B2 (ja) * 1998-03-19 2008-02-13 大日本塗料株式会社 近赤外線透過、可視光線遮蔽フィルター形成用組成物
JP2007269959A (ja) * 2006-03-31 2007-10-18 Nippon Handa Kk 導電性接着剤、電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71646B1 (ko) * 2006-04-26 2012-08-07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접착 테이프 및 그것을 이용한 태양 전지 모듈
WO2008016122A1 (fr) * 2006-08-04 2008-02-07 Mitsui Chemicals, Inc. Matière d'étanchéité pour cristaux liquides, procédé pour la production d'écrans à cristaux liquides avec celle-ci et écrans à cristaux liquides
EP2058868A4 (en) * 2006-08-29 2010-01-27 Hitachi Chemical Co Ltd CONDUCTIVE ADHESIVE FILM AND SOLAR CELL MODULE
JP5446420B2 (ja) * 2009-04-21 2014-03-1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23577A (ja) * 2009-07-16 2011-02-03 Hitachi Chem Co Ltd 導電性接着剤組成物、これを用いた接続体、太陽電池セル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289291B2 (ja) * 2009-12-01 2013-09-1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電子部品の製造方法、電子部品および導電性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669A (ko) * 2018-04-16 2019-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용 도전성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전자파 차폐층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37985B (zh) 2016-06-11
WO2013031519A1 (ja) 2013-03-07
JP2013045994A (ja) 2013-03-04
TW201316356A (zh) 2013-04-16
CN103748690A (zh)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585B1 (ko) 태양 전지 셀의 접속 방법 및 태양 전지 모듈
TWI462312B (zh) Solar cell module, solar cell module manufacturing method
JP5707110B2 (ja) 導電性接着材料、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7125903A1 (ja) 接着テ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030924B2 (ja) 導電性接着剤、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025800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79877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タブ線
JP5960408B2 (ja) 導電性接着剤、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TW201246587A (en) Solar cell module, manufacturing method for solar cell module, and conductive adhesive
KR20140066195A (ko) 태양 전지용 도전성 접착제 및 이것을 이용한 접속 방법,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041274B1 (ko) 도전성 접착제, 태양 전지 모듈 및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WO2012099257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759220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WO2012073702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78312A (ja) 太陽電池用導電性接着剤及びこれを用いた接続方法、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150030700A (ko)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태양 전지용 도전성 접착제, 태양 전지 모듈
JP201600176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616498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導電性接着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