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467A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467A
KR20140063467A KR1020130139053A KR20130139053A KR20140063467A KR 20140063467 A KR20140063467 A KR 20140063467A KR 1020130139053 A KR1020130139053 A KR 1020130139053A KR 20130139053 A KR20130139053 A KR 20130139053A KR 20140063467 A KR20140063467 A KR 20140063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er foot
sewing machine
motor
height
sw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오 이토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3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32Safety devices; Security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32Measuring
    • D05D2305/36Quality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 레버의 조작 부담을 경감하면서 노루발의 오작동을 막는 것이다.
재봉기 모터(34)와, 노루발(41)과, 노루발에 상승 동작을 부여하는 노루발 올림 모터(42)와, 노루발의 상승 동작을 작업자가 지시 입력하는 조작 레버(11)와, 조작 레버의 요동 각도 변화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부(12)와, 노루발 올림 모터의 동작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부(90)를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제어부는, 재봉기 모터의 정지중에 검출부가 조작 레버의 요동 각도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노루발 올림 모터에 의해 노루발을 천 해방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재봉기 모터의 동작중에 검출부가 조작 레버의 요동 각도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노루발 올림 모터에 의한 노루발의 상승 동작을 금지하거나 또는 천 해방 높이보다 상승 동작량이 적은 규제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노루발 올림 장치를 구비하는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재봉기는, 피봉제물을 유지하는 노루발을, 재봉기가 탑재된 테이블에 부착된 무릎 레버에 대해 작업자가 힘을 가함으로써 상승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무릎 레버는, 노루발에 천 유지압(保持壓)을 부여하는 스프링에 대항해 조작하여 노루발을 상승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노루발의 승강 동작이 반복되면, 작업자에게 부담을 일으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근래 들어, 노루발에 상승 동작을 부여하는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재봉기가 제안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상기 재봉기의 경우에는, 무릎 스위치가 무릎 레버에 가해진 노루발의 상승 동작의 지시 입력을 검지하면 액추에이터가 노루발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무릎 레버에 가하는 조작력을 가볍게 할 수 있으며, 노루발의 승강이 반복되는 경우에도 작업자에 대한 부담을 비약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2-159769호
그러나 상기 액추에이터로 노루발을 상승시키는 종래의 재봉기의 경우, 무릎 레버의 조작력이 너무 가벼워, 봉제 작업의 도중에 뜻하지 않게 무릎 레버에 무릎이 닿는 등 하였을 경우에도 상승 지시로 인식되어 봉제 중임에도 불구하고 노루발이 상승할 우려가 있었다. 이 경우, 천 유지압이 없어진 채인 상태로 봉제가 계속되어, 재봉 피치나 바늘땀 그 자체가 크게 흐트러져 다시 꿰매거나 피봉제물을 파기해야만 하게 될 가능성이 있었다.
이 때문에, 노루발의 상승 동작을 액추에이터에 의해 실시하는 경우에도, 무릎 레버에 어느 정도의 스프링압을 부여하는 상태로 함으로써 오(誤)조작의 방지를 도모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노루발의 상승에 있어서의 작업자 부담의 경감을 충분히 꾀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생겼다.
본 발명은, 노루발의 오조작을 억제하면서, 조작 부담을 저감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봉제의 구동원이 되는 재봉기 모터와, 가압 수단으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아 봉제시에 피봉제물을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노루발과, 상기 노루발에 상승 동작을 부여하는 노루발 올림 모터와,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에 의한 상기 노루발의 상승 동작을 작업자가 지시 입력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레버의 지시 입력에 의한 요동 각도 변화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의 동작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봉기 모터의 정지 중에 상기 검출부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각도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에 의해 상기 노루발을 천 해방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재봉기 모터의 동작 중에 상기 검출부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각도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에 의한 상기 노루발의 상승 동작을 금지하거나 또는 상기 천 해방 높이보다 상승 동작량이 적은 규제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루발에 누름압을 부여하는 가압 수단은 탄성체여도 무방하고, 액추에이터 등과 같이 적극적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 노루발 올림 모터가 누름압도 부여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검출부는, 상기 조작 레버의 지시 입력에 의한 요동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봉기 모터의 정지 중에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요동 각도와 상기 노루발의 높이가 일정한 대응 관계를 만족하도록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요동 각도와 상기 노루발의 높이의 상기 대응 관계를 복수 종류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복수 종류의 대응 관계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입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봉기 모터의 정지 중에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요동 각도와 상기 노루발의 높이가 상기 선택 입력부에서 선택된 대응 관계를 만족하도록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봉기 모터의 정지 중에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요동 각도에 근거하는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각속도가, 미리 정해진 규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는, 상기 대응 관계에 관계없이, 상기 노루발을 천 해방 높이까지 상승시키도록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검출부는, 상기 조작 레버의 지시 입력에 의한 요동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봉기 모터의 정지 중에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요동 각도에 대하여, 상기 노루발의 상승 개시 각도와 상기 노루발의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를 기억하는 동시에, 이들 2개의 요동 각도의 사이에서 상기 노루발을 천 해방 높이까지 상승시키도록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재봉기 모터의 기동을 입력하기 위해 조작하는 기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봉기 모터가 정지 중이면서 상기 조작 레버의 지시 입력에 의한 요동 각도가 상기 노루발의 천 해방 높이를 나타내고 있을 때에, 상기 기동 수단에 의한 기동의 입력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재봉기 모터의 기동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재봉기 모터 기동 금지 제어의 실행의 유무를 미리 선택 설정하는 선택 설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설정 수단에 의해 실행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재봉기 모터 기동 금지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제어부가, 재봉기 모터의 회전 동작 중에 조작 레버의 요동 각도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노루발 올림 모터에 의한 노루발의 상승을 금지하거나 또는 규제 높이까지 제한적으로 상승하도록 동작 제어를 실시하기 때문에, 조작 레버의 뜻하지 않은 오조작이 발생한 경우에도, 노루발의 피봉제물에 대한 해방을 제한할 수 있어, 재봉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지(抑止)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의 상승 동작을 억제하기 위한 스프링압을 부여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재봉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작업자의 부담 경감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봉제 중에 노루발의 상승을 완전히 금지했을 경우에는, 뜻하지 않은 조작 레버의 요동으로 인한 노루발의 상승을 원인으로 하는 바늘땀 형성의 흐트러짐을 더욱 엄격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봉제중인 노루발의 상승 동작량을 천 해방 높이보다 낮은 규제 높이로 제한했을 경우에는, 뜻하지 않은 무릎 레버(11)의 요동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바늘땀 형성의 흐트러짐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봉제 중에 의도적으로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재봉 진로를 변경하기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재봉기 모터의 정지 중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요동 각도와 노루발의 높이가 일정한 대응 관계를 만족하도록 노루발 올림 모터를 제어하기 때문에, 조작 레버의 요동 각도를 조작함으로써 노루발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조작 레버의 요동 각도와 노루발의 높이와의 일정한 대응 관계를 복수 종류 준비하고, 이들을 선택 가능하도록 했을 경우에는, 작업자의 작업 용이성이나 작업 종류에 따라 적절한 조작 레버의 요동 각도와 노루발의 높이의 대응 관계를 선택할 수 있어,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재봉기 모터의 정지중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요동 각속도가 규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 노루발을 천 해방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이 때문에, 패턴 (1)~(4)에 따른 노루발 올림 제어와 노루발을 즉시 해방하는 노루발 올림 제어의 2종류를 자유자재로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제어부는, 재봉기 모터의 정지중에 검출되는 요동 각도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상승 개시 각도에 의해 노루발의 상승을 개시시키기 때문에, 조작 레버가 상승 개시 각도에 도달하지 않는 범위에서 요동하여도, 노루발이 상승하지 않으며, 이로써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재봉기 모터의 정지중에 검출되는 요동 각도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에 의해 노루발을 천 해방 높이에 도달시키기 때문에, 노루발이 천 해방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의 조작 레버의 조작량을 일정량으로 확정할 수 있어, 노루발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제어부가, 재봉기 모터가 정지중이면서 노루발이 천 해방 높이에 있는 상태에서, 기동 수단에 의한 기동의 입력을 검출했을 경우에, 재봉기 모터의 기동을 금지하는 제어를 실시한다. 노루발이 천 해방 높이에 있는 상태에서 재봉기 모터를 기동시키는 것은 기동 수단의 오조작일 가능성이 높으며, 상기 제어에 의해, 오조작에 의한 재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재봉기 모터 기동 금지 제어의 실행의 유무를 미리 선택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제어를 필요한 경우에만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은 재봉기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의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무릎 레버의 요동 각도와 노루발의 누름 위치로부터 천 해방 높이까지의 높이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선(線)도면이다.
도 4는 무릎 레버의 요동 각도와 노루발의 누름 위치로부터 천 해방 높이까지의 높이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선도면이다.
도 5는 재봉기의 노루발 올림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재봉기의 구성]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재봉기(10)에 대해 설명한다.
재봉기(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봉기 테이블(T) 상에 설치된 재봉기 본체(1)와, 재봉기 테이블(T)의 하부에 구비되며 후술하는 재봉기 모터의 기동 및 회전 속도를 조작하기 위한 기동 수단으로서의 페달(P)과, 재봉기의 각 부를 통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재봉기 본체(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형이 측면에서 볼 때 대략 ㄷ자 형상을 나타내는 재봉기 프레임(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재봉기 프레임(20)은, 재봉기 본체(1)의 상부를 이루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봉기 아암부(21)와, 재봉기 본체(1)의 하부를 이루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봉기 베드부(22)와, 재봉기 아암부(21)와 재봉기 베드부(22)를 연결하는 세로 몸체부(23)를 가지고 있다.
상기 재봉기 본체(1)는, 재봉기 프레임(20) 내에, 회동(回動)이 가능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시되지 않은 상축 및 도시되지 않은 하축을 가지고 있다. 상축(도시 생략)은 재봉기 아암부(21)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축(도시 생략)은 재봉기 베드부(2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축(도시 생략)에는 풀리(31)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 상축은 풀리(31)와 풀리(32)에 걸쳐진 벨트(33)를 통해 재봉기 모터(34)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재봉기 모터(34)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32)의 회동에 의해 상축으로 회동력이 부여되어, 상축이 회전한다. 또, 하축(도시 생략)은, 도시되지 않은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상축과 연결되어 있으며, 재봉기 모터(34)의 구동력에 의해 상축이 회전하면, 그 회동력이 전달되어 하축도 회전한다.
상축(도시 생략)의 좌단측에는, 상축의 회동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바늘대(35)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바늘대(35)의 하단에는, 재봉 바늘(36)이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 하축(도시 생략)의 좌단에는, 북집(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페달(P)이 밟혀 재봉기 모터(34)가 구동하며, 상축과 함께 하축이 회동하면, 재봉 바늘(36)과 북집(도시 생략)의 협동에 의해 바늘땀이 형성된다.
또한, 재봉기(10)에 있어서의 페달(P), 재봉기 모터(34), 상축(도시 생략), 바늘대(35), 재봉 바늘(36), 하축(도시 생략), 북집(도시 생략) 등의 접속 구성 및 봉제 동작은 종래 공지된 것과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또, 재봉기(10)는, 재봉기 베드부(22)의 상면에 재치(載置)되는 천(피봉제물)을 상방으로부터 소정의 누름압에 의해 누르는 노루발(41)을 구비하고 있다.
노루발(41)은, 재봉기 프레임(20) 내에 배치되어 있는 노루발 링크 기구(40)를 통해 노루발 올림 모터(42)에 연결되어 있다.
노루발 링크 기구(40)는, 노루발 올림 모터(42)의 출력시에 장비된 제 1 링크(43)와, 제 1 링크(43)에 하단부가 연결된 상하로 연장되는 제 2 링크(44)와, 제 2 링크(44)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 1 벨 크랭크(bell crank; 45)와, 제 1 벨 크랭크(45)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링크(46)와, 제 3 링크(46)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 2 벨 크랭크(47)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벨 크랭크(47)는, 노루발(41)을 하단부에서 유지하는 노루발 대(presser bar; 48)에 연결되어 있으며, 노루발대(48)는 노루발(41)에 누름압을 부여하는 가압 수단으로서의 누름 스프링(pressing spring; 49)이 병설(倂設)되어 있다.
그리고 노루발 올림 모터(42)가 구동을 하면, 그 토크 출력에 의해 제 1 링크(43)가 회동하여 제 2 링크(44)를 하방으로 잡아당기고, 그 잡아당기는 힘이 제 1 벨 크랭크(45)에 의해 도시된 좌측으로의 가압력으로 변환되며, 또한, 제 3 링크(46)를 통해 제 2 벨 크랭크(47)에 의해 상방으로 잡아당기는 힘(引張力)으로 변환되어 노루발대(48)가 누름 스프링(49)에 대항하여 끌어 올려지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42)는, 스테핑 모터이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노루발(41)을 임의의 높이에 위치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테이블(T)의 하측에는, 조작 레버로서의 무릎 레버(11)가 매달려 설치된 상태로 장비되어 있다.
상기 무릎 레버(11)는, 하단부에 있어서 작업자의 무릎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도 1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또, 무릎 레버(11)의 상단부에 있어서 상기 무릎 레버(11)를 지지하는 지지축에는, 각도 센서(12)가 장비되어 있다. 무릎 레버(11)는, 외부로부터 조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거의 수직 하방을 향한 상태에 있으며, 각도 센서(12)는 무릎 레버(11)가 수직 하방을 향한 상태에 대한 변화 위치(요동 각도)를 검출하여 제어부(90)에 출력한다. 상기 각도 센서(12)는, 제어부(90)(후술)와의 협동에 의해 무릎 레버(11)의 변화 위치, 변화량, 변화 각도, 내지 변화의 방향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면 되며, 로터리 인코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 등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어떠한 센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재봉기의 제어계]
다음으로, 재봉기(10)의 제어계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9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봉기(10)에 있어서의 여러 동작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나 제어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는 ROM(92)과,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각 처리를 실행하는 CPU(91)와, CPU(91)의 각종 처리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93)과, 각종 설정 데이터를 기억하며 재기입할 수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인 데이터 메모리(94)를 가지고 있다. 또, RAM(93)에는, 각종 작업 메모리(work memory)나 카운터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처리에 있어서의 작업 영역으로서도 사용된다.
상기 CPU(91)에는, 도시되지 않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봉기 모터(34), 재봉기 모터(34)의 출력축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인코더(95), 노루발 올림 모터(42), 각도 센서(12), 페달(P)이 접속되어 있다.
또, 재봉기 모터(34)와 노루발 올림 모터(42)는, CPU(91)와의 사이에 각각 드라이버 회로가 개재(介在)되어 있으나, 이들도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CPU(91)에는, 도시되지 않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작 패널(96)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조작 패널(96)은, 작업자가 후술하는 각종 설정을 입력하는 입력부(97)와 소정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98)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페달(P)은 그 밟기량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90)에 입력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90)의 CPU(91)는, 인코더(95)의 출력을 감시하면서 페달(P)의 밟기량에 따른 속도로 재봉기 모터(34)의 속도를 제어한다.
[제어부에 의한 노루발 올림 제어 (1)]
상기 구성의 재봉기(10)에 있어서, 재봉기 모터(34)의 회전 동작중에 각도 센서(12)가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CPU(91)는, 노루발 올림 모터(42)에 대하여, 노루발(41)의 상승을 금지하거나 또는 천 해방 높이보다 낮은 규제 높이까지 제한적으로 상승하도록 동작 제어를 한다.
또, 각도 센서(12)는 재봉기 모터(34)가 회전 동작중이면서 노루발(41)이 상승 도중이거나 또는 규제 높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 변화를 검출하며, 제어부(90)의 CPU(91)가 무릎 레버(11)의 요동 방향이 시계방향인 것으로 인식했을 경우에는, CPU(91)는, 노루발 올림 모터(42)에 대하여, 노루발(41)을 바늘판 상면의 누름 위치까지 하강시키는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재봉기 모터(34)가 구동중인지 정지중인지는, 상술한 인코더(95)가 출력하는 검출 각도에 경시적(經時的)으로 변화가 발생되고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판정한다.
또, 노루발(41)의 천 해방 높이는, 재봉기 베드부(22)로부터 피봉제물인 천을 제거하는 경우 또는 세팅하는 경우에 적합한 위치, 즉,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극력히 높은 위치, 예컨대, 노루발(41)의 가동 범위의 가장 높은 위치로 한다.
또한, 노루발(41)의 규제 높이는, 예컨대, 천 해방 높이보다 충분히 낮은 높이, 예컨대, 봉제가 상정(想定)되는 가장 두꺼운 천의 두께에 소정의 마진(α)을 더한 정도의 높이로 한다.
상기 규제 높이는, 조작 패널(96)의 입력부(97)에 의해, 높이 0으로부터 천 해방 높이 미만의 범위로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그 설정치는 데이터 메모리(94) 내에 등록되게 되어 있다.
즉, 규제 높이가 0으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봉제중에 무릎 레버(11)의 요동이 일어나도, 재봉기 모터(34)의 회전 동작중에 있어서의 노루발(41)의 상승이 완전히 금지되는 상태가 되며, 규제 높이가 0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재봉기 모터(34)의 회전 동작중에 있어서의 노루발(41)의 상승량이 제한된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노루발(41)의 상승이 금지되는 경우와 제한되는 경우를 구별하기 위하여, 단순히 「규제 높이」라 하는 경우에는 0 이외의 값으로 제한된 경우를 나타내고, 「높이 0」이라 하는 경우에는 금지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 재봉기 모터(34)의 회전 동작중에 상승 동작량을 제한하여 노루발(41)의 상승 동작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노루발(41)의 상승 개시 각도와 노루발(41)의 규제 높이 도달 각도에 근거하여, 노루발 올림 모터(42)는 제어된다.
즉, 재봉기 모터(34)의 회전 동작중에 있어서 무릎 레버(11)가 요동하여도, 상승 개시 각도에 도달하지 않으면, 노루발(41)은 상승하지 않으며, 무릎 레버(11)가 상승 개시 각도 이상까지 요동함에 따라 비로소 노루발(41)의 상승이 개시된다.
또, 무릎 레버(11)의 상승 개시 각도로부터 규제 높이 도달 각도까지의 각도 변화와 노루발(41)의 높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예컨대, 후술하는 상승 개시 위치로부터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까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의 패턴(1)~(3)(도 4 참조)과 동일한 상관관계를 갖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노루발(41)을 하강시키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무릎 레버(11)가 설정 상승 위치 도달 각도 미만이 되었을 때에 노루발(41)의 하강이 개시되고, 무릎 레버(11)가 규제 높이 도달 각도로부터 상승 개시 각도까지 요동함에 따라, 바늘판에 노루발(41)이 도달하도록 노루발 올림 모터(42)는 제어된다.
그리고 이러한 노루발(41)의 상승 개시 각도 및 노루발(41)의 규제 높이 도달 각도는, 상술한 조작 패널(96)의 입력부(97)에 의해 미리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어부에 의한 노루발 올림 제어 (2)]
또, 제어부(90)의 CPU(91)는, 재봉기 모터(34)의 정지중에 각도 센서(12)가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 변화를 검출하고, 그것을 반시계방향의 요동각 변화로 판정했을 경우에는, 노루발 올림 모터(42)에 대하여, 노루발(41)을 천 해방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동작 제어를 실시한다.
이때, CPU(91)는, 재봉기 모터(34)의 정지중의 노루발 올림 제어에 대하여, 각도 센서(12)에 의해 검출되는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와 노루발(41)의 높이와의 사이에서 일정한 대응 관계를 만족하도록 노루발 올림 모터(42)를 제어한다.
이러한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와 노루발(41)의 누름 위치로부터 천 해방 높이까지의 높이와의 대응 관계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 (1)~(4)까지의 4종류가 선택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패턴 (1)은,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의 증가에 대한 노루발의 상승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관계에 있으며, 무릎 레버(11)의 요동 개시 당초에는 노루발(41)이 서서히 상승을 개시하고, 무릎 레버(11)의 요동이 진행되면, 노루발(41)의 상승 속도의 증가가 급격해진다.
패턴 (2)는,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의 증가와 노루발의 높이 변화가 비례 관계에 있으며, 무릎 레버(11)가 일정 속도로 요동하면, 노루발(41)도 일정 속도로 상승한다.
패턴 (3)은,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의 증가에 대한 노루발의 상승의 비율이 점차 감소하는 관계에 있으며, 무릎 레버(11)의 요동 개시 당초에는 노루발(41)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무릎 레버(11)의 요동이 진행되면, 노루발(41)의 상승 속도의 증가가 완만해진다.
패턴 (4)는, 무릎 레버(11)가 일정한 요동 각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노루발(41)이 동작하지 않고, 일정한 요동 각도에 도달하면 노루발(41)은 한 번에 천 해방 높이까지 상승하는 동작을 한다. 즉, 본 패턴 (4)에서는, 상승 도중에 노루발(41)을 정지시킬 수 없게 되어 있다.
이러한 패턴 (1)~(4)에 대해서는, 모두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와 노루발(41)의 높이와의 상관 함수가 설정되어 있으며,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가 검출되면, 상관 함수에 근거하여 노루발(41)의 높이가 구해지고, 이것을 목표 높이로 하도록 노루발 올림 모터(42)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 패턴 (1)~(4)는 기억부로서의 데이터 메모리(94)에 기억되어 있으며, 상기 패턴 (1)~(4)의 선택은, 상술한 조작 패널(96)의 입력부(97)가 선택 입력부로서 기능함으로써 미리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입력부(97)로부터 패턴 (1)~(4)의 선택이 수행되면, 데이터 메모리(94)에 선택된 패턴 (1)~(4) 중 어느 하나가 선택 패턴으로서 등록된다.
그리고 CPU(91)는, 데이터 메모리(94) 내에 등록된 패턴 (1)~(4)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재봉기 모터(34)의 정지중의 노루발 올림 제어를 실행한다.
또, 재봉기 모터(34)가 정지중이면서 노루발(41)이 상승 도중이거나 또는 천 해방 높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무릎 레버(11)의 시계방향의 요동 각도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CPU(91)는, 노루발 올림 모터(42)에 대하여, 선택된 패턴 (1)~(4)에 따라 노루발(41)을 바늘판 상면의 누름 위치까지 하강시키는 동작 제어를 한다.
[제어부에 의한 노루발 올림 제어 (3)]
또한, CPU(91)는, 재봉기 모터(34)의 정지중의 노루발 올림 제어에 있어서의 패턴 (1)~(3)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노루발(41)의 상승 개시 각도와 노루발(41)의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에 근거하여, 패턴 (1)~(3)의 대응 관계를 만족하도록 노루발 올림 모터(42)를 제어한다.
즉, 패턴 (1)~(3)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각도 센서(12)에 의해 검출되는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가 노루발(41)의 상승 개시 각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노루발(41)은 상승을 개시하지 않고, 노루발(41)의 상승 개시 각도로부터 노루발(41)의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까지의 사이에서, 선택되어 있는 패턴 (1)~(3)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노루발(41)의 상승 동작이 수행되며,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에서 노루발(41)이 천 해방 높이에 도달하여 정지하도록, 노루발 올림 모터(42)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노루발(41)의 상승 개시 각도 및 노루발(41)의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는, 상술한 조작 패널(96)의 입력부(97)에 의해 미리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입력부(97)를 통해, 노루발(41)의 상승 개시 각도로부터 노루발(41)의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의 설정이 이루어지면, 데이터 메모리(94)에 이들 값이 등록된다.
또, 패턴 (1)~(3)에 대해서는,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와 노루발(41)의 높이와의 상관 함수가, 설정된 노루발(41)의 상승 개시 각도 및 노루발(41)의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에 근거하여 수정된다.
그리고 CPU(91)는, 데이터 메모리(94) 내에 등록된, 노루발(41)의 상승 개시 각도로부터 노루발(41)의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에 따라서, 재봉기 모터(34)의 정지중의 노루발 올림 제어를 실행한다.
또, 패턴 (1)~(3) 중 어느 것을 선택했을 경우에도, 노루발(41)의 상승 개시 각도와 노루발(41)의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에 대하여 같은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패턴 (4)의 동작 제어를 실현할 수가 있다.
[제어부에 의한 노루발 올림 제어 (4)]
또한, CPU(91)는, 재봉기 모터(34)의 정지중에 각도 센서(12)에 의해 검출되는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에 근거하는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속도가, 미리 정해진 규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는, 재봉기 모터(34)의 정지중의 노루발 올림 제어에 있어서의 패턴 (1)~(4)(요동 각도와 노루발의 높이의 대응 관계)에 관계없이, 노루발(41)을 즉시 천 해방 높이까지 상승시키도록 노루발 올림 모터(42)를 제어한다.
즉, CPU(91)는,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검출되는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를 순차적으로 적산(積算)하여, 소정의 소요 기간 내에서의 적산치가 규정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노루발(41)을 최고 속도(最速)로 천 해방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예컨대, 소요 기간 100[msec]에 있어서의 요동 각도의 적산치가 10° 이상이 되었을 때에는 노루발(41)을 최고 속도로 천 해방 높이까지 상승시키도록 노루발 올림 모터(42)가 제어된다.
[노루발 올림 제어에 의한 동작 설명]
노루발 올림 제어에 의한 동작을 도 5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낸다.
제어부(90)의 CPU(91)는, 재봉기의 주(主)전원이 켜지면(ON), 재봉기 모터(34)의 구동 상태를 감시하며(단계 S1), 회전 구동중인 경우에는, 각도 센서(12)에 의한 요동 각도 신호로부터 무릎 레버(11)의 노루발 상승 방향의 요동의 유무를 판정한다(단계 S3).
그리고 제어부(90)의 CPU(91)는, 무릎 레버(11)의 노루발 상승 방향의 요동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무릎 레버(11)의 현재의 요동 각도가 상승 개시 각도 이상, 규제 높이 도달 각도 미만의 범위 내인지 판정한다(단계 S5). 그리고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노루발 올림 모터(42)에 의한 노루발(41)의 상승 구동을 실행하고(단계 S7), 단계 S1로 처리를 되돌린다.
한편, 단계 S5에 있어서,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가 상승 개시 각도 미만 또는 규제 높이 도달 각도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S15로 처리를 진행하며, 노루발 올림 모터(42)가 구동중인 경우에는 구동을 정지시키고 단계 S1로 처리를 되돌린다.
한편, 단계 S3에 있어서, 무릎 레버(11)의 노루발 상승 방향의 요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도 센서(12)에 의한 요동 각도 신호로부터 무릎 레버(11)가 노루발 하강 방향으로 요동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9). 그리고 무릎 레버(11)의 노루발 하강 방향의 요동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 S15로 처리를 진행한다.
또, 단계 S9에 있어서, 제어부(90)의 CPU(91)는, 무릎 레버(11)의 노루발 하강 방향의 요동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무릎 레버(11)의 현재의 요동 각도가 상승 개시 각도를 넘으며 규제 높이 도달 각도 이하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1). 그리고,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노루발 올림 모터(42)에 의한 노루발(41)의 하강 구동을 실행하고(단계 S13), 단계 S1로 처리를 되돌린다.
또, 단계 S11에 있어서,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가 상승 개시 각도 이하이거나 또는 규제 높이 도달 각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단계 S15로 처리를 진행하며, 노루발 올림 모터(42)가 구동중인 경우에는 구동을 정지시키고 단계 S1로 처리를 되돌린다.
또, 제어부(90)의 CPU(91)는, 단계 S1에 있어서, 재봉기 모터(34)가 정지중인 것으로 판정했을 경우에는, 각도 센서(12)에 의한 요동 각도 신호로부터 무릎 레버(11)의 노루발 상승 방향의 요동의 유무를 판정한다(단계 S17).
그리고 무릎 레버(11)의 노루발 상승 방향의 요동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무릎 레버(11)의 요동의 각속도를 구하여, 상기 각속도가 규정치를 넘고 있는지 판정한다(단계 S19).
그리고 무릎 레버(11)의 각속도가 규정치 이하이면, 무릎 레버(11)의 현재의 요동 각도가 상승 개시 각도 이상,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 미만의 범위 내인지를 판정한다(단계 S21). 그리고,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미리 선택된 패턴 (1)~(4)(도 3 참조)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노루발 올림 모터(42)에 의한 노루발(41)의 상승 구동을 실행하고(단계 S23), 단계 S1로 처리를 되돌린다.
한편, 단계 S21에 있어서,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가 상승 개시 각도 미만이거나 또는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S15로 처리를 진행한다.
또, 단계 S19에 있어서, 무릎 레버(11)의 요동의 각속도가 규정치를 넘은 것으로 판정했을 경우에는, 무릎 레버(11)의 현재의 요동 각도가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 미만인지 판정한다(단계 S25). 그리고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가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 미만인 경우에는, 최고 속도로 노루발 올림 모터(42)를 상승 방향으로 구동시켜 노루발(41)을 천 해방 높이까지 상승시킨다(단계 S27). 그리고 노루발(41)이 천 해방 높이에 도달하면, 단계 S1로 처리를 되돌린다.
또, 단계 S25에 있어서, 무릎 레버(11)의 현재의 요동 각도가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 이상인 것으로 판정했을 경우에는, 단계 S15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7에 있어서, 무릎 레버(11)의 노루발 상승 방향의 요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90)의 CPU(91)는, 각도 센서(12)에 의해 무릎 레버(11)가 노루발 하강 방향으로 요동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9).
그리고 무릎 레버(11)의 노루발 하강 방향의 요동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 S15로 처리를 진행한다.
또, 단계 S29에 있어서, 무릎 레버(11)의 노루발 하강 방향의 요동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제어부(90)의 CPU(91)는, 무릎 레버(11)의 현재의 요동 각도가 상승 개시 각도를 넘으며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 이하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1). 그리고,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노루발 올림 모터(42)에 의한 노루발(41)의 하강 구동을 실행하고(단계 S33), 단계 S1로 처리를 되돌린다.
또,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가 상승 개시 각도 이하이거나 또는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를 넘은 경우에는 단계 S15로 처리를 진행하고, 노루발 올림 모터(42)가 구동중인 경우에는 구동을 정지시키고 단계 S1로 처리를 되돌린다.
또, 상기 일련의 노루발 올림 제어에 있어서, 제어부(90)의 CPU(91)는, 재봉기 모터(34)가 정지중이면서, 각도 센서(12)에 의한 요동 각도 신호로부터 무릎 레버(11)의 현재의 요동 각도가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에 있는 상태에서, 페달(P)에 의한 기동의 입력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입력에 관계없이 재봉기 모터(34)의 기동을 금지하는 제어를 추가하여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21이 「NO」인 경우에, 제어부(90)의 CPU(91)는, 각도 센서(12)에 의한 요동 각도 신호로부터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가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NO이면 단계 S15로 진행하고, YES이면 다시 페달(P)의 기동의 입력을 판정한다. 그리고 기동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 재봉기 모터(34)의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를 하고, 기동 입력이 없으면 단계 S15로 처리를 진행한다.
또한, 상술한 재봉기 모터 기동 금지 제어의 실행의 유무는, 미리, 선택 수단으로서의 입력부(97)를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봉기 모터 기동 금지 제어에 의해, 노루발(41)을 천 해방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봉기 모터(34)를 기동시키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재봉기의 노루발 올림 제어에 의한 기술적 효과]
이상과 같이, 재봉기(10)의 제어부(90)는, 노루발 올림 제어(1)에 의해, 재봉기 모터(34)의 회전 동작 중에 무릎 레버(11)의 상승 방향의 요동 각도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노루발(41)의 상승을 금지하거나 또는 천 해방 높이보다 낮은 규제 높이까지 제한적으로 상승하도록 동작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무릎 레버(11)의 뜻하지 않은 오조작의 경우에도, 노루발(41)의 해방을 제한할 수 있어, 재봉의 흐트러짐을 억지(抑止)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무릎 레버(11)의 상승 동작을 억제하기 위한 스프링압의 부여가 불필요하거나 혹은 미약한 것이어도 무방하여, 재봉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작업자의 부담 경감을 실현할 수가 있다.
특히, 봉제중에 노루발(41)의 상승을 완전히 금지했을 경우에는, 뜻하지 않은 무릎 레버(11)의 요동으로 인한 노루발(41)의 상승을 원인으로 하는 바늘땀 형성의 흐트러짐을 더욱 엄격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봉제중의 노루발(41)의 상승 동작량을 천 해방 높이보다 낮은 규제 높이로 제한했을 경우에는, 뜻하지 않은 무릎 레버(11)의 요동을 일으킨 경우에 있어서의 바늘땀 형성의 흐트러짐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봉제 중에 의도적으로 무릎 레버(11)를 조작하여, 재봉 진로를 변경하기 쉽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 규제 높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을 경우에는, 피봉제물의 천 두께에 따라 노루발(41)을 상승시키게 되므로, 높은 재봉 품질을 유지하면서 재봉 진로를 변경하는 봉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재봉기 모터(34)의 회전 구동중의 제어에 있어서, 상승 개시 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무릎 레버(11)가 상승 개시 각도에 도달하지 않는 범위에서 요동하여도, 노루발(41)이 상승하지 않으며, 이로써 오작동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규제 높이 도달 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와 노루발(41)의 높이의 사이에 상관관계를 부여할 수가 있다.
또, 제어부(90)는, 노루발 올림 제어 (2)에 의해, 재봉기 모터(34)의 정지중에 무릎 레버(11)의 상승 방향의 요동 각도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복수의 패턴 (1)~(4) 중에서 선택되고 패턴에 따라,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와 노루발(41)의 높이의 사이에 소정의 대응 관계를 부여하여 상승 동작 제어를 실시하기 때문에, 작업 종류에 따른 패턴에 따라서,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도 조작에 의해 노루발(41)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90)는, 노루발 올림 제어(3)에 의해, 상기 재봉기 모터(34)의 정지중의 제어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상승 개시 각도에 따라 노루발(41)의 상승을 개시시키므로, 무릎 레버(11)가 상승 개시 각도에 도달하지 않는 범위에서 요동하여도, 노루발(41)이 상승하지 않으며, 이로써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상승 개시 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적정한 각도로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오작동 방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재봉기 모터(34)의 정지중의 제어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에 따라 노루발(41)을 천 해방 높이에 도달시키므로, 노루발(41)이 천 해방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의 무릎 레버(11)의 조작량을 일정량으로 확정할 수 있어, 노루발(41)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특히, 천 해방 높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노루발(41)이 천 해방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의 무릎 레버(11)의 조작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90)는, 노루발 올림 제어 (4)에 의해, 재봉기 모터(34)의 정지중에 무릎 레버(11)의 요동 각속도가 규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 노루발(41)을 즉시 천 해방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이 때문에, 패턴 (1)~(4)에 따른 노루발 올림 제어와 노루발(41)을 즉시 해방하는 노루발 올림 제어의 2종류를 자유자재로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그 밖에, 구체적인 세부 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절히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1; 재봉기 본체
10; 재봉기
11; 무릎 레버(조작 레버)
12; 각도 센서(검출부)
34; 재봉기 모터
41; 노루발
42; 노루발 올림 모터
49; 누름 스프링(가압 수단)
90; 제어부
94; 데이터 메모리
95; 인코더
96; 조작 패널
97; 입력부(선택 입력부)
P; 페달

Claims (7)

  1. 봉제의 구동원이 되는 재봉기 모터와,
    가압 수단으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아 봉제시에 피봉제물을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노루발과,
    상기 노루발에 상승 동작을 부여하는 노루발 올림 모터와,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에 의한 상기 노루발의 상승 동작을 작업자가 지시 입력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레버의 지시 입력에 의한 요동 각도 변화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의 동작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봉기 모터의 정지중에 상기 검출부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각도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에 의해 상기 노루발을 천 해방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재봉기 모터의 동작중에 상기 검출부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각도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에 의한 상기 노루발의 상승 동작을 금지하거나 또는 상기 천 해방 높이보다 상승 동작량이 적은 규제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조작 레버의 지시 입력에 의한 요동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봉기 모터의 정지중에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요동 각도와 상기 노루발의 높이가 일정한 대응 관계를 만족하도록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재봉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요동 각도와 상기 노루발의 높이의 상기 대응 관계를 복수 종류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복수 종류의 대응 관계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입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봉기 모터의 정지중에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요동 각도와 상기 노루발의 높이가 상기 선택 입력부에서 선택된 대응 관계를 만족하도록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봉기 모터의 정지중에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요동 각도에 근거하는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각속도가, 미리 정해진 규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는, 상기 대응 관계에 관계없이, 상기 노루발을 천 해방 높이까지 상승시키도록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조작 레버의 지시 입력에 의한 요동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봉기 모터의 정지중에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요동 각도에 대하여, 상기 노루발의 상승 개시 각도와 상기 노루발의 천 해방 높이 도달 각도를 기억하는 동시에, 이들 2개의 요동 각도의 사이에서 상기 노루발을 천 해방 높이까지 상승시키도록 상기 노루발 올림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기 모터의 기동을 입력하기 위해 조작하는 기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봉기 모터가 정지중이면서 상기 조작 레버의 지시 입력에 의한 요동 각도가 상기 노루발의 천 해방 높이를 나타내고 있을 때에, 상기 기동 수단에 의한 기동의 입력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상기 재봉기 모터의 기동을 금지하는 재봉기 모터 기동 금지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기 모터 기동 금지 제어의 실행의 유무를 미리 선택 설정하는 선택 설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설정 수단에 의해 실행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재봉기 모터 기동 금지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20130139053A 2012-11-15 2013-11-15 재봉기 KR201400634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51366A JP5993287B2 (ja) 2012-11-15 2012-11-15 ミシン
JPJP-P-2012-251366 2012-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467A true KR20140063467A (ko) 2014-05-27

Family

ID=5075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053A KR20140063467A (ko) 2012-11-15 2013-11-15 재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93287B2 (ko)
KR (1) KR20140063467A (ko)
CN (1) CN103820952B (ko)
TW (1) TWI5764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96252B (zh) * 2015-08-10 2017-08-21 Ming Jang Sewing Machine Co Ltd Three of the motor sewing machine
TWI667380B (zh) * 2017-09-22 2019-08-01 曾賢長 縫紉機壓布腳之膝操作升降機構
CN109652928B (zh) * 2019-02-21 2020-12-25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膝靠装置
CN110485067A (zh) * 2019-09-06 2019-11-22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抬压脚助力抬升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7949U (ko) * 1976-05-21 1977-11-30
JPS5892392A (ja) * 1981-11-25 1983-06-01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制御装置
JPS6040876B2 (ja) * 1982-09-30 1985-09-12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押え上げ装置
JPS6218076U (ko) * 1985-07-15 1987-02-03
JP2567955B2 (ja) * 1989-09-22 1996-1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ミシン駆動制御装置
JP3948132B2 (ja) * 1998-09-21 2007-07-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布押え昇降装置
JP2006149440A (ja) * 2004-11-25 2006-06-15 Juki Corp ミシン
JP2009219780A (ja) * 2008-03-18 2009-10-01 Juki Corp 二本針ミシン
JP2012065965A (ja) * 2010-09-27 2012-04-05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ミシン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20952B (zh) 2018-07-10
TWI576480B (zh) 2017-04-01
JP2014097234A (ja) 2014-05-29
CN103820952A (zh) 2014-05-28
JP5993287B2 (ja) 2016-09-14
TW201435172A (zh) 201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0472B2 (en) Sewing machine
KR20140063467A (ko) 재봉기
US8020501B2 (en) Sewing machine
US7983780B2 (en) Sewing machine
JP3867012B2 (ja) 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2008080110A (ja) ミシン
KR101508615B1 (ko) 재봉기
JP2006149440A (ja) ミシン
JP2009240600A (ja) ミシンの返し縫い制御装置
KR20070104839A (ko) 재봉기
EP1905879A2 (en) Sewing machine and controller therefor
JP4605492B2 (ja) 縫製装置及び縫製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487673B2 (ja) ミシン
KR20040094372A (ko) 재봉기의 천 이송장치
JP2841299B2 (ja) 零送り設定スタートミシン
JP3948132B2 (ja) ミシンの布押え昇降装置
KR100944296B1 (ko) 재봉틀
JP2012176182A (ja) ミシン
JP2010142536A (ja) ミシン
JP5885288B2 (ja) 針振り機構を備えたミシン
TWI709676B (zh) 具自動控制機制的縫紉機及其自動控制方法
US9518346B2 (en) Sewing machine provided with zigzag motion mechanism
JP2010233753A (ja) ミシン
US20210269953A1 (en) Sewing control device and sewing machine
JP5142467B2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