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623A -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돼지감자 혼합음료 - Google Patents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돼지감자 혼합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623A
KR20140059623A KR1020120126254A KR20120126254A KR20140059623A KR 20140059623 A KR20140059623 A KR 20140059623A KR 1020120126254 A KR1020120126254 A KR 1020120126254A KR 20120126254 A KR20120126254 A KR 20120126254A KR 20140059623 A KR20140059623 A KR 20140059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ato
hours
temperature
weight
potat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3318B1 (ko
Inventor
손승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양원농장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양원농장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양원농장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20126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31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2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of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돼지감자 혼합음료에 관한 것으로서, 돼지감자를 주재료로 한 음료를 제공하되, 여주, 가시오가피 열매, 수세미 수액을 더 혼합하여 음료를 추출함으로써 기호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킨 돼지감자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돼지감자를 수확한 후 3 ~ 10mm 두께로 얇게 썰어 돼지감자 재료를 준비하고, 10 ~ 20㎝ 길이의 미성숙 여주를 3 ~ 10mm 두께로 얇게 썰어 여주 재료를 준비하며, 가시오가피 열매와, 수세미 열매를 수확하는 과정에서 줄기로부터 나오는 수세미 수액을 용기에 받아 준비하는 재료의 준비과정(S10); 상기에서 절단된 돼지감자와 여주를 건조기에 투입한 후 습도 85~95%, 온도 60~70℃의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1차 건조하고, 이후 습도 및 온도를 낮추어 습도 30~40%, 온도 50~60℃의 조건에서 3~4시간 동안 2차 건조하며, 이후 습도 및 온도를 더 낮추어 습도 1~3%, 온도 30~40℃의 조건에서 7~8시간 동안의 3차 건조하는 재료의 건조과정(S20); 상기 재료의 준비과정(S10) 및 재료의 건조과정(S20)을 통해 획득한 건조된 돼지감자 70중량%, 건조된 여주 10중량%, 가시오가피 열매 10중량%, 수세미 수액 10중량%를 혼합하는 과정을 통해 전체 혼합물 100중량%를 획득하는 재료의 혼합과정(S30); 상기 재료의 혼합과정(S30)을 거친 혼합물은 물과 2:8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00~120℃ 조건으로 4~6시간동안 1차 가열하고, 이후 1차 여과공정을 거치면서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1차 여과공정을 거친 추출물에 대하여 100~120℃에서 2~3시간동안 2차 가열하면서 농축하고, 이후 2차 여과공정을 거치며 불순물을 제거하는 가열 및 농축과정(S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돼지감자 혼합음료 {MANUFACTURING METHOD OF JUICE USING JERUSALEM ARTICHOKE AND JERUSALEM ARTICHOKE JUICE THEREBY}
본 발명은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돼지감자 혼합음료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건강 증진의 효능을 갖는 돼지감자를 추출하여 먹기 좋은 음료 형태로 제공한 돼지감자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돼지감자(학명 : Helianthus tuberosus)는 뚱딴지라고도 불리는 노란색의 꽃을 피우는 국화과 식물로, 높이 1.5~3m로 자라며, 땅속줄기의 끝이 굵어져 덩이줄기가 발달하며 잎과 더불어 털이 있다. 잎은 밑에서는 마주나고 위에서는 어긋나며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황색으로 9~10월에 피는데 지름 8㎜ 정도의 노란 두상화이며 가장자리에는 10개 이상의 설상화가 달리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돼지감자는 최근 그 추출물에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규명된 바 있다. 또한, 돼지감자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당을 안정화시키는 항당뇨 활성을 갖고 있어 현대인들의 성인병 질환인 당뇨병 예방과 치료에 매우 좋은 기능성 건강식품으로 이용가치가 높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돼지감자는 건강 식품으로서 적합하지만, 생 돼지감자는 특유의 흙 냄새가 있어서, 그냥 날로 먹거나 삶아 먹어도 맛있다고는 할 수 없다. 이에 다양한 효능을 갖는 돼지감자를 이용하여 먹기 좋은 식품 형태로의 개발이 요구되었으며, 특히, 먹기 쉬운 음료 형태로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돼지감자를 주재료로 한 음료를 제공하되, 여주, 가시오가피 열매, 수세미 수액을 더 혼합하여 음료를 추출함으로써 기호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킨 돼지감자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은 돼지감자 음료를 제조하되, 수확 후 세척한 돼지감자에 대하여 온도와 습도를 점차적으로 낮추어 서서히 건조시킴으로 돼지감자의 맛과 향 그리고 영양소를 최대한 유지하고, 이에 여주, 가시오가피 열매, 수세미 수액을 더 혼합 추출하여 진하고 깊은 풍미를 갖는 돼지감자 음료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돼지감자 혼합음료에 의하면, 돼지감자 특유의 아린맛은 줄이고, 맛과 향을 증대시켜 기호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돼지감자의 건조시 온도 및 습도를 점차적으로 낮추며 서서히 완전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재료의 맛과 향, 색상 등 원형을 최대한 유지함으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돼지감자 혼합 음료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 돼지감자 음료의 제조과정은 크게, 재료의 준비(S10) → 재료의 건조(S20) → 재료의 혼합(S30) → 가열 및 농축(S40) → 포장(S50)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재료의 준비(S10)
돼지감자를 수확한 후 깨끗이 세척하고, 3~10mm 두께로 얇게 썰어 재료를 준비한다.
또한, 7월에 수확한 10 ~ 20㎝ 길이의 미성숙 여주를 깨끗이 세척하고, 3 ~ 10mm 두께로 얇게 썰어 재료를 준비한다. 이와 같이 미성숙 여주를 사용하는 이유는 미성숙 여주에는 식물인슐린(p-insulin)과 카란틴(charantin), 비타민C 등의 유용한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시오가피 열매를 수확한 후 깨끗이 세척하여 재료를 준비한다.
또한, 수세미 열매를 수확하는 과정에서 줄기의 절단면에는 수세미 수액이 나오는데 수세미 수액은 별도의 용기에 받아서 준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첨가재료에는 여주 발효 추출물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여주와 정백당을 1:1로 혼합한 후 항아리 등 용기에 재여서 3 ~ 6개월 동안 숙성시키고, 이후 여과하는 과정을 통해 발효 엑기스를 분류하여 여주 발효 추출물을 획득한다.
2. 재료의 건조(S20)
상기 재료의 준비과정(S10)에서 얇게 썰은 돼지감자와 여주를 건조기에 투입한 후, 습도 85 ~ 95%, 온도 60 ~ 70℃의 조건에서 1 ~ 2시간 동안 1차 건조하고, 이후 습도 및 온도를 낮추어 습도 30 ~ 40%, 온도 50 ~ 60℃의 조건에서 3 ~ 4시간 동안 2차 건조하며, 이후 습도 및 온도를 더 낮추어 습도 1 ~ 3%, 온도 30 ~ 40℃의 조건에서 7 ~ 8시간 동안의 3차 건조를 통해 건조된 돼지감자와 여주를 획득한다.
이와 같이 습도 및 온도를 점차적으로 낮추면서 3단계에 걸쳐 돼지감자와 여주를 건조시키는 것은 각각의 재료가 본래의 색과 향을 최대한 유지하고 영양소 파괴를 방지하면서 완전 건조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만약,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돼지감자와 여주가 건조되지 않으면 각각의 재료 본래의 색상이 변색되어 최종 제품에 대한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여주는 특유의 쓴맛이 제거되지 않아 식감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3. 재료의 혼합(S30)
상기 재료의 준비과정(S10) 및 재료의 건조과정(S20)을 통해 획득한 재료를 혼합하는 것으로, 건조된 돼지감자 70중량%, 건조된 여주 10중량%, 가시오가피 열매 10중량%, 수세미 수액 10중량%를 혼합하는 과정을 통해 전체 혼합물 100중량%를 획득한다.
상기 혼합비에 대하여 건조된 돼지감자가 70중량% 보다 적게 함유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돼지감자 음료에서 돼지감자 특유의 향과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어 식감이 저하되고, 돼지감자가 7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돼지감자 특유의 아린맛이 강하게 느껴지고, 다른 첨가재료의 함유량이 줄어들기에 맛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식감이 저하되어 좋지 못하다.
상기 혼합비에 대하여 건조된 여주가 10중량% 보다 적게 함유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돼지감자 음료에서 여주 특유의 향과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어 식감이 저하되고, 건조된 여주가 1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돼지감자 음료에서 여주 특유의 쓴맛이 강하게 느껴지고, 다른 첨가재료의 함유량이 줄어들기에 맛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식감이 저하되어 좋지 못하다.
상기 혼합비에 대하여 가시오가피 열매가 10중량% 보다 적게 함유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돼지감자 음료에서 가시오가피 특유의 향과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어 식감이 저하되고, 가시오가피 열매가 1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돼지감자 음료에서 가시오가피 열매의 향과 맛이 너무 강하여 돼지감자 특유의 맛과 향이 감소되기에 좋지 못하다.
상기 혼합비에 대하여 수세미 수액이 10중량% 보다 적게 함유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돼지감자 음료에서 진하고 깊은 맛을내는 식감이 저하되고, 수세미 수액이 1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경제적이지 못하며 다른 첨가재료의 함유량이 줄어들기에 혼합 재료들의 맛과 향이 저하됨에 따른 맛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식감이 저하되어 좋지 못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혼합재료들의 조성비는 건조된 돼지감자 70중량%, 건조된 여주 5중량%, 가시오가피 열매 10중량%, 수세미 수액 10중량%, 여주 발효 추출물 5중량%를 혼합하는 과정을 통해 전체 혼합물 100중량%를 획득한 후 이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조성비에서 건조된 여주의 함유율을 조금 낮추는 대신 여주 발효 추출물을 추가함은 여주 특유의 쓴맛은 줄이면서, 여주 발효물을 통하여 진하고 깊은 여주의 맛과 향을 증대시켜 감칠맛 증대에 따른 식감을 높이고자 한 것이다.
이때, 여주 발효 추출물은 적절한 크기로 썰어서 혼합되며, 여주 발효 추출물의 함량이 5중량% 보다 적게 함유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돼지감자 음료에서 여주의 맛과 향이 미미하여 좋지 못하고, 여주 발효 추출물이 5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여주의 맛과 향이 너무 강하여 돼지감자 고유의 맛과 향이 느껴지지 않고, 다른 첨가재료의 함유량이 줄어들기에 맛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식감이 저하되기에 좋지 못하다.
4. 가열 및 농축(S40)
상기 재료의 혼합과정(S30)을 거친 혼합물은 물과 2:8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00~120℃ 조건으로 4~6시간동안 1차 가열하고, 이후 1차 여과공정을 거치면서 불순물을 제거한다. 그리고, 1차 여과공정을 거친 추출물에 대하여 100~120℃에서 2~3시간동안 2차 가열하면서 농축하고, 이후 2차 여과공정을 거치며 불순물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은 가열조건은 돼지감자, 여주, 가시오가피 열매, 수세미 수액 및 여주 발효 추출물 등을 포함하여 혼합 구성된 혼합물에 대하여 엑기스를 추출하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의 가열온도보다 낮거나 가열시간이 짧으면 혼합물에 대한 추출 엑기스가 충분히 농축되지 않아 식감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의 가열온도보다 높거나 가열시간이 길어지면 추출 엑기스의 맛이 지나치게 진해져서 식감이 저하될 수 있다.
5. 포장(S50)
상기 가열 및 농축과정(S40)을 거친 추출 엑기스는 상온에서 서서히 식힌 후 진공 포장함으로 제품이 완성된다.
<실시예 1>
1단계 : 돼지감자를 수확한 후 깨끗이 세척하고, 3~10mm 두께로 얇게 썰어 재료를 준비하였다.
또한, 7월에 수확한 10 ~ 20㎝ 길이의 미성숙 여주를 깨끗이 세척하고, 3 ~ 10mm 두께로 얇게 썰어 재료를 준비하였다.
또한, 가시오가피 열매를 수확한 후 깨끗이 세척하여 재료를 준비하였다.
또한, 수세미 열매를 수확하는 과정에서 줄기의 절단면으로부터 나오는 수세미 수액을 별도의 용기에 받아서 준비하였다.
2단계 : 1단계에서 준비된 얇게 썰은 돼지감자와 여주를 건조기에 투입한 후 습도 90%, 온도 65℃의 조건에서 2시간 동안 1차 건조하였고, 이후 습도 및 온도를 낮추어 습도 35%, 온도 55℃의 조건에서 4시간 동안 2차 건조하였으며, 이후 습도 및 온도를 더 낮추어 습도 2%, 온도 35℃의 조건에서 8시간 동안의 3차 건조함으로써 건조된 돼지감자와 여주를 획득하였다.
3단계 : 1~2단계로부터 획득한 재료들 중 건조된 돼지감자 7㎏, 건조된 여주 1㎏, 가시오가피 열매 1㎏, 수세미 수액 1㎏을 혼합하여 전체 혼합물 10㎏을 획득하였다.
4단계 : 3단계에서 획득한 혼합물 10㎏과 물 40㎏을 혼합한 다음(2:8 비율), 이를 100℃에서 4시간동안 1차 가열하고, 이후 1차 여과공정을 거치면서 불순물을 제거하였으며, 1차 여과공정을 거친 추출물에 대하여 100℃에서 2시간동안 2차 가열하면서 농축하고, 이후 2차 여과공정을 거치면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추출 엑기스를 획득하였다.
5단계 : 4단계에서 가열 농축한 추출 엑기스는 상온에서 서서히 식혀 본 발명에 따른 돼지감자 음료를 획득하였다.
<실시예 2>
1단계 : 돼지감자를 수확한 후 깨끗이 세척하고, 3~10mm 두께로 얇게 썰어 재료를 준비하였다.
또한, 7월에 수확한 10 ~ 20㎝ 길이의 미성숙 여주를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시킬 것과 발효시킬 것을 구분한 다음, 건조시킬 것은 3 ~ 10mm 두께로 얇게 썰어 재료를 준비하였다.
또한, 가시오가피 열매를 수확한 후 깨끗이 세척하여 재료를 준비하였다.
또한, 수세미 열매를 수확하는 과정에서 줄기의 절단면으로부터 나오는 수세미 수액을 별도의 용기에 받아서 준비하였다.
2단계 : 발효시키고자 분류된 여주에 대해, 여주와 정백당을 1:1로 혼합한 후 항아리 용기에 재여서 5개월 동안 숙성시키고, 이후 여과하는 과정을 통해 발효 엑기스를 분류하여 여주 발효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3단계 : 1단계에서 준비된 얇게 썰은 돼지감자와 여주를 건조기에 투입한 후 습도 90%, 온도 65℃의 조건에서 2시간 동안 1차 건조하였고, 이후 습도 및 온도를 낮추어 습도 35%, 온도 55℃의 조건에서 4시간 동안 2차 건조하였으며, 이후 습도 및 온도를 더 낮추어 습도 2%, 온도 35℃의 조건에서 8시간 동안의 3차 건조함으로써 건조된 돼지감자와 여주를 획득하였다.
4단계 : 1~3단계로부터 획득한 재료들 중 건조된 돼지감자 7㎏, 건조된 여주 0.5㎏, 가시오가피 열매 1㎏, 수세미 수액 1㎏, 여주 발효 추출물 0.5㎏을 혼합하여 전체 혼합물 10㎏을 획득하였다.
5단계 : 4단계에서 획득한 혼합물 10㎏과 물 40㎏을 혼합한 다음(2:8 비율), 이를 100℃에서 4시간동안 1차 가열하고, 이후 1차 여과공정을 거치면서 불순물을 제거하였으며, 1차 여과공정을 거친 추출물에 대하여 100℃에서 2시간동안 2차 가열하면서 농축하고, 이후 2차 여과공정을 거치면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추출 엑기스를 획득하였다.
6단계 : 5단계에서 가열 농축한 추출 엑기스는 상온에서 서서히 식혀 본 발명에 따른 돼지감자 음료를 획득하였다.
<비교예>
1단계 : 돼지감자를 수확한 후 깨끗이 세척하고, 3~10mm 두께로 얇게 썰어 재료를 준비하였다.
2단계 : 1단계에서 준비된 돼지감자 10㎏과 물 40㎏을 혼합한 다음(2:8 비율), 이를 100℃에서 3시간동안 가열하고, 80℃에서 3시간동안 가열 농축하여 추출 엑기스를 획득하였다.
3단계 : 2단계에서 가열 농축된 추출 엑기스를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상온에서 서서히 식혀 돼지감자즙을 획득하였다.
<실험예>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와 상기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돼지감자즙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검사요원은 실험에 대한 관심도와 검사요원으로서 적합성이 인정된 일반인 30명을 선정하여 실험의 목적을 설명하고 필요한 훈련을 시킨 후 5점 척도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검사요원들에게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와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돼지감자즙을 각각 150㎖를 제공하여 시음케 한 후 하기의 5점 척도법에 따라 점수를 매기도록 한 다음에 평균점수로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5점: (맛 또는 향이) 매우 우수하다. 4점: (맛 또는 향이) 우수하다
3점: (맛 또는 향이) 보통이다. 2점: (맛 또는 향이) 나쁘다
1점: (맛 또는 향이) 매우 나쁘다.
구분 맛에대한 평가
실시예 1 4.5
실시예 2 4.7
비교예 3.2
구분 향에 대한 평가
실시예 1 4.5
실시예 2 4.4
비교예 3.0
상기 실험예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는 여주와, 가시오가피 열매와, 수세미 수액을 더 함유하고 있기에 깊고 진한 맛과 향을 제공하면서 감칠맛을 증대시켜 기호성을 향상시켰음을 다수의 검사요원에 의한 관능평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여주 발효 추출물을 더 혼합한 후 추출한 실시예 2의 경우 실시예 1에 비하여 맛에 대한 선호도가 조금 더 높게 확인되어 기호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 음료는 종래의 돼지감자만을 이용하여 제조된 돼지감자즙에 비해 전체적인 맛과 향이 좋아졌고 기호성이 확연히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는 다양한 현대인의 입맛에 차별화된 음료를 제공하고, 각종 혼합 재료들로부터 건강 증진의 효과가 예상되기에 제품에 대한 상품성 또한 더욱 향상시킨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돼지감자를 수확한 후 3 ~ 10mm 두께로 얇게 썰어 돼지감자 재료를 준비하고, 10 ~ 20㎝ 길이의 미성숙 여주를 3 ~ 10mm 두께로 얇게 썰어 여주 재료를 준비하며, 가시오가피 열매와, 수세미 열매를 수확하는 과정에서 줄기로부터 나오는 수세미 수액을 용기에 받아 준비하는 재료의 준비과정(S10);
    상기에서 절단된 돼지감자와 여주를 건조기에 투입한 후 습도 85~95%, 온도 60~70℃의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1차 건조하고, 이후 습도 및 온도를 낮추어 습도 30~40%, 온도 50~60℃의 조건에서 3~4시간 동안 2차 건조하며, 이후 습도 및 온도를 더 낮추어 습도 1~3%, 온도 30~40℃의 조건에서 7~8시간 동안의 3차 건조하는 재료의 건조과정(S20);
    상기 재료의 준비과정(S10) 및 재료의 건조과정(S20)을 통해 획득한 건조된 돼지감자 70중량%, 건조된 여주 10중량%, 가시오가피 열매 10중량%, 수세미 수액 10중량%를 혼합하는 과정을 통해 전체 혼합물 100중량%를 획득하는 재료의 혼합과정(S30);
    상기 재료의 혼합과정(S30)을 거친 혼합물은 물과 2:8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00~120℃ 조건으로 4~6시간동안 1차 가열하고, 이후 1차 여과공정을 거치면서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1차 여과공정을 거친 추출물에 대하여 100~120℃에서 2~3시간동안 2차 가열하면서 농축하고, 이후 2차 여과공정을 거치며 불순물을 제거하는 가열 및 농축과정(S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2. 돼지감자를 수확한 후 3 ~ 10mm 두께로 얇게 썰어 돼지감자 재료를 준비하고, 10 ~ 20㎝ 길이의 미성숙 여주를 3 ~ 10mm 두께로 얇게 썰어 여주 재료를 준비하며, 가시오가피 열매를 준비하고, 수세미 열매를 수확하는 과정에서 줄기로부터 나오는 수세미 수액을 용기에 받아 준비하며, 여주와 정백당을 1:1로 혼합한 후 3 ~ 6개월 동안 숙성시킨 여주 발효 추출물을 준비하는 재료의 준비과정(S10);
    상기에서 절단된 돼지감자와 여주를 건조기에 투입한 후 습도 85~95%, 온도 60~70℃의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1차 건조하고, 이후 습도 및 온도를 낮추어 습도 30~40%, 온도 50~60℃의 조건에서 3~4시간 동안 2차 건조하며, 이후 습도 및 온도를 더 낮추어 습도 1~3%, 온도 30~40℃의 조건에서 7~8시간 동안의 3차 건조하는 재료의 건조과정(S20);
    상기 재료의 준비과정(S10) 및 재료의 건조과정(S20)을 통해 획득한 건조된 돼지감자 70중량%, 건조된 여주 5중량%, 가시오가피 열매 10중량%, 수세미 수액 10중량%, 여주 발효 추출물 5중량%를 혼합하는 과정을 통해 전체 혼합물 100중량%를 획득하는 재료의 혼합과정(S30);
    상기 재료의 혼합과정(S30)을 거친 혼합물은 물과 2:8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00~120℃ 조건으로 4~6시간동안 1차 가열하고, 이후 1차 여과공정을 거치면서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1차 여과공정을 거친 추출물에 대하여 100~120℃에서 2~3시간동안 2차 가열하면서 농축하고, 이후 2차 여과공정을 거치며 불순물을 제거하는 가열 및 농축과정(S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돼지감자 혼합음료.
KR1020120126254A 2012-11-08 2012-11-08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돼지감자 혼합음료 KR101423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254A KR101423318B1 (ko) 2012-11-08 2012-11-08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돼지감자 혼합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254A KR101423318B1 (ko) 2012-11-08 2012-11-08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돼지감자 혼합음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623A true KR20140059623A (ko) 2014-05-16
KR101423318B1 KR101423318B1 (ko) 2014-07-24

Family

ID=5088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254A KR101423318B1 (ko) 2012-11-08 2012-11-08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돼지감자 혼합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3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478A (ko) * 2020-07-03 2022-01-11 김부희 흑돼지감자 흑돼지감자엑기스 흑돼지감자젤리 흑돼지감자효모젤리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281B1 (ko) 2015-11-04 2016-10-05 김태현 돼지감자-산양삼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돼지감자-산양삼 음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853B1 (ko) * 2010-05-11 2012-09-10 김충수 돼지감자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돼지감자 분말을 이용한 돼지감자 차와 음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478A (ko) * 2020-07-03 2022-01-11 김부희 흑돼지감자 흑돼지감자엑기스 흑돼지감자젤리 흑돼지감자효모젤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318B1 (ko)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345B1 (ko) 울금을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울금 혼합 음료
KR101370599B1 (ko) 여주차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여주차
KR101269954B1 (ko) 수세미 열매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수세미 열매 음료
KR101423318B1 (ko)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돼지감자 혼합음료
KR101370614B1 (ko) 여주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여주환
KR101491683B1 (ko) 흑마늘 진액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진액
KR101299113B1 (ko) 양파 자몽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KR100988378B1 (ko) 산돌배 증류주 제조 방법
KR20150054519A (ko) 참마와 개땅쑥을 포함하는 고추장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고추장
KR101183247B1 (ko) 마늘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421186B1 (ko) 사과조청을 이용한 한과의 제조방법
KR101429072B1 (ko) 증숙건조 단호박 과립의 제조방법
KR101456118B1 (ko) 고구마잎차의 제조방법
KR101793699B1 (ko) 개소겡 볶음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491686B1 (ko) 기호성을 향상시킨 양파 혼합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양파 혼합음료
KR101972316B1 (ko) 천연 발효액을 이용한 기능성 컬러 배 말랭이의 제조방법, 그 방법에 의한 컬러 배 말랭이 및 컬러 배 말랭이 차
KR102182266B1 (ko) 새싹삼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새싹삼 장아찌
KR101332028B1 (ko) 곰보배추가 포함된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99815B1 (ko) 갯기름나물을 이용한 돌산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KR101663889B1 (ko) 청양고추 발효액을 이용한 통무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통무김치
CN102433243A (zh) 香菇木瓜酒和香菇木瓜醋的制备方法
KR102075515B1 (ko) 열무김치
KR20160065305A (ko) 호박손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호박손 혼합음료
KR102657698B1 (ko) 뼈 잡냄새 제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8941B1 (ko) 돼지감자와 찰밀이 첨가된 된장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