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620A - 야생초 식품첨가제 - Google Patents

야생초 식품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620A
KR20140054620A KR1020120120325A KR20120120325A KR20140054620A KR 20140054620 A KR20140054620 A KR 20140054620A KR 1020120120325 A KR1020120120325 A KR 1020120120325A KR 20120120325 A KR20120120325 A KR 20120120325A KR 20140054620 A KR20140054620 A KR 20140054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rysanthemum
herb
wild
grass
b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일
정상섭
전용진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정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운 filed Critical 정다운
Priority to KR102012012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4620A/ko
Publication of KR20140054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6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야생초 식품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리나라의 전역에서 자생하는 야생초를 추출하여 추출물로 제조하거나 또는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된 것을 식품에 일정량 첨가하는 식품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야생초 식품첨가제{FOOD ADDITIVE CONTAINING NATURAL GRASS}
본 발명은 우리나라 산과 들의 전역에 걸쳐 자생하는 야생초를 이용한 식품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예로부터 전통적으로 식재 또는 약재로 사용하던 야생초를 사용하여 식품첨가제를 제조함으로써 제조하는 식품의 맛과 향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야생초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이 사람들에게 공급되어 건강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건강보조재료로서의 기능성도 갖는 기능성 야생초 식품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대부분의 식품첨가제에는 각종 인공조미료, 방부제 등의 인체에 좋지 않은 성분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음식의 맛을 향상시킬 수는 있겠으나 인체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인공조미료를 대체하기 위하여 천연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식품첨가제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 특정 약초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식품의 맛을 향상시키기 위해 불필요한 부가성분들을 더 포함하고 있어 제 기능성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며 또한 제조단가가 높아 산업적으로 이용가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43322(공개일자 2011년04월27일) '천연 식품첨가제의 제조방법과 식품첨가제 및 식품첨가제를 이용한 육류 가공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0-0023865(공개일자 2000년05월06일) '솔잎을 이용한 식품보존제 및 식품첨가제 제조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52765(등록일자 2004년10월04일) '약초를 함유한 식품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등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에 제시된 종래기술 또한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첨가제로서의 기능성보다는 식품보존 또는 약학적인 특성을 강조하고 있어 식품첨가제로서의 활용성이 떨어지며, 제조단가의 상승으로 인해 산업적으로 활용가능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43322(공개일자 2011년04월27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0-0023865(공개일자 2000년05월0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52765(등록일자 2004년10월04일)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맛과 향이 좋으며, 영양분도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 자연에서 자생하는 야생초를 이용하여 식품첨가제를 제조함으로써, 식품첨가제로서 식품의 맛과 향을 더 가미시켜 줄 수 있고, 또한 전통적으로 약재로도 사용되던 야생초를 사용함에 따라 건강도 보존할 수 있도록 하며, 더욱이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산업적으로도 이용가능성이 큰 야생초 식품첨가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야생초를 식품에 첨가하는 야생초 식품첨가제로서,
식품 전체 중량에 대해 0.1~40wt%로 첨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초 식품첨가제를 주요 기술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생초 식품첨가제는 야생초의 맛과 향이 더해져 식품의 풍미를 향상시켜 주고, 또한 전통적으로 약재로도 사용될 정도로 인체에 유용한 유효성분들이 다량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서구화된 식단으로 영양 불균형의 문제가 있는 현대인들의 건강을 회복시켜줄 수 있는 건강보조재로서의 기능성도 갖는다.
또한, 산과 들의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쉽게 채취할 수 있는 재료들을 사용함에 따라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대중적으로 유통되기 쉽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상기의 기술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첨가제는 야생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식품 제조시에 식품 전체 중량에 대해 0.1~40wt%로 첨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야생초는 꽃다지, 냉이, 쇠뜨기, 큰개불알풀, 광대나물, 별꽃, 가죽나물, 뽀리뱅이, 지칭개, 애기똥풀, 뱀딸기, 돌나물, 달맞이꽃, 방가지똥, 소리쟁이, 명아주, 닭의장풀, 비름나물, 며느리밑씻개, 새삼, 토끼풀, 환삼덩굴, 박주가리, 털별꽃아재비, 어성초, 야생돌콩, 피, 칡넝쿨, 까마중, 강아지풀, 미국자리공, 개여뀌, 개쑥갓, 돼지감자, 미역취, 쑥부쟁이, 개미취, 머위, 곰취, 쑥, 엉겅퀴, 민들레, 수리취, 씀바귀, 비비추, 원추리, 얼레지, 밀나물, 풀솜대, 단풍취, 개망초, 갯기름나물, 고들빼기, 고마리, 털여뀌, 장구채, 메꽃, 톱풀, 까실쑥부쟁이, 제비꽃, 쇠무릎, 쇠비름, 꿀풀, 활나물, 무늬둥글레, 참나물, 애기수영, 지치, 달개비, 쥐오줌풀, 바디나물, 양지꽃, 질경이, 짚신나물, 등골나물, 박하, 차즈기, 구릿대, 금낭화, 기린초, 무릇, 배초향, 방아풀, 독활, 참나리, 천궁, 치커리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다.
상기 꽃다지(Draba nemorosa Lindbl.)는 십자화과 2년생 초본이며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과 밭에서 자란다.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라는 월년생 식물로서 높이 20~30cm 정도 자라며, 전체에 별 모양의 털이 밀생한다. 근생엽은 총생하며 주걱모양이며, 가장자리에 약한 톱니가 있다. 꽃은 노란색이고 꽃받침은 4장이다. 꽃대 아래쪽부터 순차적으로 꽃이 핀다. 개화기는 4~5월, 결실기는 5~6월이다.
주요성분은 polyphenol glycoside이며, 기능성식품ㆍ천연물 의약 소재도감에 따르면, 폐실증(肺實症)으로 인한 해수와 천식, 가래가 많고 가슴이 막혀서 눕지 못하는 증상 및 폐결핵, 폐농양으로 해수와 상기가 심할 때 유효하며, 삼출성흉막염에 일정한 효과가 있고, 소변을 잘 보지 못하는 증상 등에 많이 응용된다.
상기 냉이(Capsella bursa-pas-toris)는 십자화과 2년생 초본이며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과 밭에서 자란다. 뿌리는 곧고 꽃은 백색이다. 냉이 외에 다닥냉이, 황새냉이, 좀냉이, 말냉이, 물냉이, 싸리냉이 등이 있다.
상기 냉이는 학명이 Capsellabursa-pastoris(LINNE)MEDICUS로서 Capsella는 라틴어로 주머니(Capsa)라는 뜻을,Bursapastoris는 목동의 지갑을 뜻한다. 영어명은 Shepherd'spurse로 학명과 동일한 유래를 가졌는데 냉이의 꽃이 진 후 열매가 작은 하트 모양의 주머니처럼 열리고 그 속에 씨앗이 들어 있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냉이는 두해살이풀로 키가 10~5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곧게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뿌리는 곧고 백색이다. 5~6월에 잎 사이에서 꽃줄기가 나와 네 잎의 꽃이 열십(十)자 모양으로 모여 피고 열매는 삼각형 모양으로 20~25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도란형(倒卵形)이다.
상기 냉이는 냉이 외에 다닥냉이, 황새냉이, 좀냉이, 말냉이, 물냉이, 싸리냉이 등이 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냉이를 다려 마시면 눈을 밝게 하고 위를 보한다고 하였고,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냉이가 간의 기운과 잘 통하고 오장을 편안하게 한다고 했으며 죽을 쑤어 먹으면 간과 기운이 통하는 눈이 밝아지게 된다고 하였으며, 향약본초(鄕藥本草)에서는 냉이가 혈압강하작용을 하여 고혈압으로 인한 두통, 안압상승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냉이는 단백질 함량이 높은 편이며 mineral과 vitamin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를 보하는 우수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성분으로는 단백질, 지질, 당질, 조섬유, Ca, P, Fe, Zn, vitamin A,β-carotene, B1, B2, B3, B6, B12, C, aminoacid, organicacid, flavonoid계 물질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냉이의 독특한 향기는 식욕을 돋우고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며 뿌리와 꽃에는 aminoacid가 풍부하다.
상기 쇠뜨기(Equisetum arvense)는 속새과 다년생 초본으로 지하경이나 포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강가나 산 가장자리 둑양지에서 잘자란다. 4~11월에 생육하고 4~5월에 생식경의 끝에 포자낭 이삭이 달린다.
우리나라에는 비슷한 종류로 물쇠뜨기(Equisetum pratense EHRH.), 능수쇠뜨기(E. sylvaticum L.), 개쇠뜨기(E.palustre L.) 등이 자생하고 있으며, 이른 봄 영양줄기보다 먼저 발달하는 생식줄기는 식용으로 이용하기도 하며, 영양줄기는 민간에서 이뇨제로 사용된다.
상기 큰개불알풀(Veronica persica Poir)은 현삼과 2년생 초본이며 종자로 번식한다.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중남부지방에 분포하며 풀밭에서 자란다. 홍자색의 개불알풀이 있으며, 5~6월에 피는 꽃은 하늘색으로 짙은 색의 줄이 있다.
상기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L.)은 꿀풀과 2년생 초본이며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풀밭에서 자라며 4~5월에 꽃이 피며 홍자색이다.
상기 쇠별꽃(Myosoton aguaticum Moench)은 석죽과 2년생 초본이며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이나 밭과 길가에서 자라며, 4~5월에 개화한다. 꽃은 백색이다.
상기 가죽나물은 멀구슬나무과로서 참죽나무에서 나오는 어린 순을 나물로 해먹는데 그것을 가죽나물이라고 한다. 충청북부 아래로 분포하며 토지가 비옥한 사찰이나 인가 주변에서 볼 수 있으며, 경상도에는 가죽나무, 전라도에서는 쭉나무라고도 부른다.
상기 뽀리뱅이(Youngia japonica L.)는 국화과 2년생 초본이며 종자로 번식한다. 중남부지방에 분포하며 들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5~6월에 원추상으로 황색꽃이 핀다.
보리뱅이, 황매채, 박주가리나물이라고도 일컬어지며, 중국서부, 한국, 일본, 인도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다. 뽀리뱅이의 전초 또는 뿌리를 황암채라 하여 한방에서는 감기로 인한 해열과 인후염 등에 사용하였으며, 소종작용이 있어 유산염, 결막염, 종기 치료 등에도 사용되어 왔다.
뽀리뱅이의 성분으로는 sesquiterpene, triterpene saponin, alkaloid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동속 식물들로부터는 다수의 특히 sesquiterpene lactone계 화합물들이 보고되어 있다. 그리고 Sesquiterpene lactone계 화합물들은 항암효능, antrepellent activity, antifeedant property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상기 지칭개(Hemistepta lyrata Bunge)는 국화과 2년생 초본이며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밭이나 들에서 자란다. 5~7월에 개화한다. 연한 자주색 꽃이 핀다.
지칭개의 전초는 열을 내리고 해독하여 부기를 가라앉히고 어혈을 없애는 효능이 있으며, 조그마한 종기, 외상의 출혈, 골절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칭개에 대한 성분으로는 지금까지 4종의 sesquiterpen lactone이 보고된 바 있다.
상기 애기똥풀(Chelidonium majus L.)은 양귀비과 2년생 초본이며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 가장자리나 들과 민가 부근에서 자란다. 5~8월에 황색의 꽃이 핀다.
애기똥풀은 민간에 약이 되는 풀로 널리 알려졌는데 피부병, 각종 암, 눈병, 관절염, 무좀, 위염, 위경련, 위궤양, 간염, 복통, 소화기 질병 등에 사용되어 왔다. 애기똥풀의 종자에는 Coptisine이, 그리고 싹이 튼 종자에는 Chelidonine 및 Berbenine이 함유되어 있고(Kim et al., 1986; Lenfeld et al., 1981) 애기똥풀의 과실로부터 Chelidonine, Coptisine과 Berberine 등 3종의 알칼로이드 성분이 분리/정제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Kim et al., 2000).
상기 뱀딸기(Duchesnea chrysatha Mig.)는 장미과 다년생 초본이며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 가장자리나 들의 풀밭에서 자란다. 4~6월에 개화하며 꽃은 노란색이다.
주요성분으로는 cyanidin 3-O-rutinoside, peonidin 3-O-rutinoside, petunidin 3-O-rutinoside, 3'-O-methyl-ellagic acid-4-O-β-D-xylopyranoside, 3'-O-methyl-ellagic acid-4-O-α-L-arabinofuranoside, 3β-hydroxy lurs-12-en-28-oic acid), 2α,3β,19α-trihydroxylurs-12-en-28-oic acid, 2α,3β,19α-trihydroxylurs-12-en-28-oic acid 28-O-β-D-glu-copyranoside, 2α,3α,19α-trihydroxylurs-12-en-28-oic acid 28-O-β-D-glucopyrano-side가 있으며,
기능성식품ㆍ천연물 의약 소재도감에 따르면, 청열(淸熱) 작용이 있어서 열로 인한 구내염, 인후염, 종기, 디프테리아, 습진, 화상, 유방염, 타박상에 효능이 있다.
상기 돌나물(Sedum Sarmentosum Bunge)은 돌나무과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골짜기나 들의 습기 있는 곳에서 자라며, 5~6월에 개화하며 황색의 꽃이 핀다.
돌나물의 성분에는 전초에 Sarmentosin, N-methylallosedrine, 포도당, 과당, 서당 등이 있으며 sedoheptulose, methylisophelletilin 등의 특수성분이 있으며, 영양성분으로는 칼슘이 258mg으로 상당히 많으며, 섬유질이 적고 비타민 C와 인산이 풍부하다.
약리효과로는 담석증, 강장보호, 고혈압 등에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사람의 피를 맑게 하여 대하증에도 좋고, 잎의 즙은 해독 및 화상 등의 약제로 쓰인다.
상기 달맞이꽃(Oenothera odorata)은 바늘꽃과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에서 자란다. 7~8월에 꽃이 피는데 황색이고 저녁에 개화한다.
발아한 첫해에는 로제트형의 근생엽이고 굵은 주근이 발달한다. 늦가을에 지상부는 고사하며, 이듬해의 봄에 새로 형성된 로제트형에서 꽃대가 형성되는데, 높이는 50∼120cm이고 경생엽은 호생한다. 1년생 달맞이꽃의 주근은 굵고 부드러운데 비하여 꽃대가 나온 달맞이꽃의 뿌리는 단단하게 목질화되며, 굵기도 줄어든다. 꽃은 7월에 황색으로 피고, 열매인 삭과에는 한 개당 보통 300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상기 큰방가지똥(Sonchus asper (L.) Hill)은 국화과 1년 또는 2년생 초본이며 종자로 번식하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길가나 빈터에서 자라며, 5~10월에 노란색 꽃이 핀다.
방가지똥 (Sonchus oleraceus L.)과 비슷한 식물이며 잎 윗면이 짙은 녹색이고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의 톱니 끝은 예리한 가시이다. 잎몸의 밑부분은 둥근모양이며, 줄기를 감싼다. 또한 방가지똥의 수과는 그물무늬 주름이 있으나, 큰방가지똥의 수과는 표면이 세로로만 주름져 있는 것이 구별된다.
큰방가지똥의 화학성분으로는 sesquiterpene glycosides계열 sonchusides E-I와 ionone derivative glycosides계열의 물질 sonchuionosides A-C, 그외도 sonchuside D와 icarisideB1이 있다.
상기 참소리쟁이(Rumex japonicus Houtt.)는 마디풀과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의 습지에서 자라며, 6~7월에 개화하며 연한 녹색의 꽃이 핀다.
참소리쟁이는 민간에서는 어린순을 식용으로 하며, 한방에서는 뿌리를 양제근이라 하여 대황 대용으로 대변조결, 황달, 토혈, 기능성 자궁출혈, 개선(疥癬)등에 이용되고 있다. 참소리쟁이를 비롯한 Rumex속 식물에 ?ㄴ 성분연구로는 주로 flavonoid와 anthraquinone 유도체에 대해 보고되어 있다.
상기 명아주(Chenopodium album L.)는 명아주과 1년생 초본이며 종자로 번식하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이나 밭에서 자라며, 7~9월에 개화한다. 붉은 명아주와 흰명아주가 있다. 성분으로는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lignoceric acid, carnaubic acid, sitosterol 외에 betain, leucin등의 아미노산, 비타민 A, B1, B2, C, nonacosane 및 wax 등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L.)은 닭의장풀과 1년생 초본이며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풀밭이나 길가에서 자라며 7~8월에 개화한다. 청색 또는 하늘색이 피며 가끔 흰색도 있다.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하고 산야의 습한 곳에서 흔히 자라며 봄에 자라는 어린순은 쓴맛이 없으므로 나물로 식용하며 이 식물의 전초를 여름철 개화기에 채취하여 약용으로 사용하는데 한방에서는 간염, 황달, 인후염 및 고혈압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식물의 성분에 관해서는 꽃잎의 flavonoid인 commelinin이 보고되어 있으며, 베타-carboline계 alkaloid인 1-carbomethoxy-베타-carboline, norharman 및 harman등이 밝혀졌다.
상기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은 인도가 원산지인 참비름, 유럽이 원산지인 개비름, 열대아프리카가 원산지인 털비름, 가는털비름, 가시비름, 청비름,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간이삭비름, 유럽과 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눈비름이 있다. 이들은 모두 1년생 초본이며 종자로 번식하고 모두 식용이 가능하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밭이나 들에서 자란다. 7~9월에 녹색의 꽃이 핀다.
오행초, 장명채, 마치채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줄기의 높이가 약 15~30cm 내외로 털이 없으며, 줄기는 갈적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땅위로 비스듬히 퍼지면서 자라는 식물이다. 이의 성분은 L-noradrenaline, dopamine, dopa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외 K와 많은 양의 organic acid, glutamin acid, aspartic acid, alanine등이 있다. 쇠비름은 양념 등으로 버무려서 식용하거나 약재로도 활용되어 왔으며 민간 요법에서는 충독, 사독 등의 각종 독소 성분에 대한 해독제로도 사용되었다.
상기 비름나물(Amaranthus mangostanus)은 비름, 새비름나물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서, 줄기는 높이 약 1m 정도로 곧게 자라며 가지가 드문드문 갈라진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네모지거나 세모진 넓은 난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녹색을 띤다. 7월 잎겨드랑이에서 원추화서로 모여 달리고 원줄기 끝에서는 수상화서로 달린다. 난형의 포는 끝이 뾰족하고 꽃받침잎은 3갈래로 갈라진다. 수술 3개, 암술 1개로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개과인 열매는 안에 암갈색의 종자가 1개씩 들어 있다. 한국을 비롯한 대만, 중국,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자라는 1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인도이다.
상기 며느리밑씻개(Persicaria senticosa)는 크기 1~2m로서 들에서 흔히 자란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면서 1~2m 뻗어가고 붉은빛이 돌며 네모진 줄기와 더불어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잎은 어긋나고 삼각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 같은 턱잎이 있다.
꽃은 양성(兩性)이고 7~8월에 피며 가지 끝에 모여 달리고 꽃대에 잔털과 선모(腺毛)가 있다. 꽃잎이 없고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며 연한 홍색이지만 끝부분은 적색이다. 수술은 8개, 암술은 3개이다. 열매는 수과로 둥글지만 다소 세모지고 흑색이며 대부분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한다.
상기 새삼(Cuscuta japonica Choisy)은 메꽃과(Conbolvulaceae)에 속하는 일년생 기생성 덩굴식물로서 우리나라의 여러 곳에서 자라며 특히 산기슭, 길섶밭 두렁 등에 많으며 주로 콩과식물, 국화과식물에 기생한다.
성분으로는 수지배당체와 당류 등을 포함하며, cholesterol, campesterol, β-sitosterol, stigmasterol, β-amyrine, tritertenoid류 등이 보고되었으며, gibebrellin, alkaloid, cardiac glycoside, steroid saponin이 보고되었다.
상기 토끼풀(Trifolium pratense L.)은 콩과 다년생 초본이며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풀밭에서 자란다. 6~7월에 백색의 꽃이 피며, 붉은색의 붉은 토끼풀이 있다.
상기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 Sieboid & Zucc.)은 국내 자생하는 삼과(Cannabaceae)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한삼덩굴, 율초, 범상덩굴, 언겅퀴 등의 이명을 갖으며, 동속 근연식물로는 홉(Hop)이라 불리우는 Humulus lupulus L.종이 있다. 환삼덩굴로부터 분리 보고되어진 물질로는 luteolin-7-β-D-glucoside, β-humulene, caryophyllene, α-selinene, β타-selinene, δ-cadinen, humulone, lupulone, cosmosiin, vitexin 이 있다. 이중 humulone과 lupulone의 경우 근연식물인 H.lupulus의 연구를 통해서 많이 알려진 물질로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박주가리(Metaplexis japonica)는 박주가리과 다년생 초본인 덩굴식물로 지하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에서 자라며, 7~8월에 연한 자주색 꽃이 핀다. 열매는 피침형으로 겉에 사마귀 돌기가 있다.
종자는 편평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한쪽에 명주실 같은 털이 있다. 흰 유액에 독성분이 들어 있으며 연한 순을 나물로, 잎과 열매를 강장·강정·해독에 약용한다. 종자의 털은 솜 대신 도장밥과 바늘쌈지를 만든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상기 털별꽃아재비(Galinsoga ciliata Blake)는 국화과 1년생 초본이며 종자로 번식한다. 열대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이나 밭에서 자란다. 6~10월에 백색의 꽃이 달린다.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이며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의 야생약초로서 중남부지방과 제주도와 울릉도에 분포하고 습지에서 자란다. 6~7월에 개화한다.
줄기는 가늘고 잎은 심장 모양을 한 식물로서 약모밀, 십약, 집채 및 중약등으로 불리며 생선 비린내와 같은 독특한 냄새를 발산한다고 하여 어성초로 불리어졌다. 어성초는 중국 및 일본이 원산지로 옛날부터 염증, 해독, 치질, 임질, 요도염, 방광염, 자궁염, 폐염, 기관지염 및 무좀 치료등에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야생돌콩은 야생하는 돌콩(Clycine soya Sie-bold et Zucc.)으로서 콩과 1년생 초본이며 덩굴식물이며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밭, 들에서 자란다. 7~8월에 연한 자주색 꽃이 핀다. 열매는 2~3cm 정도의 콩의 꼬투리와 비슷하다.
대두의 원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성분으로는 단백질의 함유량이 대두에 비하여 10% 정도 고함량으로서 이들 단백질은 돌콩 전체 중량비의 45~50%에 해당되며, 반면 지방의 함유량은 대두보타 10%정도 낮으므로 8~10%가 함유되어 있으며, 그외 탄수화물이 20% 내외로 알려져 있다.
상기 피는 벼과 1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하는 것으로서, 학명은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ROXB.WIGHT.이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풀밭이나 논과 밭에서 자란다. 7~8월에 개화한다. 자색이 돌고 겉에 가시 같은 털이 있다.
한지 또는 고랭지에서는 5월 중순에서 하순 사이에 파종하고 난지에서는 6월 상순에서 중순 사이에 파종한다. 완숙되면 떨어지기 쉬우므로 경엽(莖葉)이 누렇게 변하고 열매가 80% 정도 성숙되었을 때 수확한다. 보통 9, 10월경에 뿌리 밑에서 베어내어 몇 줌씩 묶어서 가리로 만들고 1~3주간 건조시킨다.
단백질·지방질·비타민 B1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영양가는 쌀이나 보리에 떨어지지 않지만 맛은 못하다. 장기간 저장하여도 맛이 변하지 않고, 또 비타민 B1의 함량에 변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쌀과의 혼식 이외에 떡·엿 등을 만들고 된장·간장·술의 원료가 된다. 또, 겨 부분에는 기름이 많으므로 착유용·사료용으로도 쓰인다. 줄기와 잎은 작물의 줄기 중에서도 가장 연해서 가축의 사료에 적합하다.
상기 칡넝쿨은 콩과 목본생이나 다년생 초본같이 덩굴식물로 자라기도 하고 지하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산기슭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8~9월에 홍자색 꽃이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칡넝쿨은 일반적인 구황식물보다 많은 엽록소의 색소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엽록소는 인체 내 혈액의 혈색소인 헤모글로빈(Hemoglobin)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데 엽록소를 동물에 주사하면 적혈구나 백혈구가 증가함에 따라 양질의 엽록소가 들어있는 칡넝쿨을 빈혈에 걸린 사람이 즙으로 하여 마시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으며 그외 해독, 정장, 혈압강하, 해갈작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까마중(Solanum nigrum)은 가지과 1년생 초본이며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이나 밭에서 잘 자란다. 약 1m 내외로 길가 또는 들판에서 자라는 가지과(Solanaceae)의 일년생 초본이다. 까마중 성분으로는 전초에 solanine, solamargine 등 여러 가지 alkaloid와 vitamin A와 C가 들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전초에서는 갖가지 암, 상처, 치질, 종기, 습진, 가래, 설사, 신장결석, 두통, 관절염, 통풍 등에 효과가 있고 열매에는 진해, 거담작용이 있다.
상기 강아지풀은 벼과 1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야의 풀밭이나 밭에서 잘 자라는 자주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황금색 금강아지풀이 있다. 해안지방에서 자라는 갯강아지풀, 중북부지방에서 분포하여 하천에서 잘 자라는 수강아지풀이 있다.
상기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L.)은 자리공과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으로 분포하며 토종인 자리공이 있고, 도심에서 주로 보는 것은 북아메리카 원산지인 귀화식물 미국자리공이다. 6~9월에 붉은 빛이 도는 백색꽃이 피며 열매는 적자색이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에서는 같은 과의 자리공(phytolacca esculenta V. Hott.)의 뿌리를 상육이라 하여 한방에서 부종, 종양, 각기 그리고 관절염 등의 신경통치료 및 이뇨제, 기관지염의 치료에 사용해 왔다. 미국자리공 뿌리에 다량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인 phytolaccoside는 triterpenoids 특히 lanostane 또는 cycloartane계 물질에서 생합성되는 phytosterol로 4종의 aglycon(esculentic acid, jaligonic acid, phytolaccagenic acid, phytolaccagenin)에 xylose 및 glucose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aglycon에 결합되는 당의 종류 및 수에 따라 현재 phytolaccoside A-N의 신물질과 α-spinostrol이 밝혀져 있다.
상기 개여뀌(Persicaria blumei)는 마디풀과 1년생 초본이며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밭이나 들의 풀밭에서 자란다. 8~9월에 개화하며 적자색으로 핀다. 고랭지의 채소밭, 감자밭에서 많이 자란다.
여뀌잎의 일반성분은 수분(78%), 단백질(7.54%), 지방(1.8%), 탄수화물(8%), Na, K, Ca, Mg, P, Fe, Cl 등의 회분(2%)로 구성되어 있으며, methanol extract에서는 steroid, terpenoid, flavonoid, tannin이 확인되었으며, alkaloid는 존재하지 않거나 극히 미량 함유되어 있다.
상기 개쑥갓(Senecio vulgaris L.)은 국화과 들쑥갓이라고도 한다. 1년 또는 2년생 초본이며 종자로 번식한다.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밭, 들, 길가에서 자란다. 5~11월에 황색의 꽃이 핀다.
상기 돼지감자(Helianthus tuberosus L.)는 국화과 해바라기속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다년생 식물이다. 우리나라의 기후조건에 맞아 전국 각지에서 자생하고 있다. 줄기는 높이 1.5~3m로 털이 있어 껄끄럽다. 잎은 마주나지만 윗부분의 것은 어긋난다.
상기 미역취(Solidago virga-aurea var. gigantea Miq.)는 일지황화, 광과일지황화, 두메미역취, 돼지나물이라 불리기도 하는 국화과로 전국 각지의 산야에 흔히 자생한다. 미역취는 숙근성 다년초로 줄기는 직립하며 전체에 잔털이 있으며 붉은 자색을 띤다. 어린 새순은 무침으로 식용하고 한약으로는 이뇨, 해열, 진통, 건위, 신장염, 방광염, 감기, 두통, 황달, 폐렴, 항암 등의 치료제로 쓰인다. 그리고 미역취의 특수성분은 카페인산(caffeic acid), 루틴(rutin),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퀘스세틴(quercetin), 탄닌(tannin), 사포닌(saponin), 후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쑥부쟁이(Aster yomena Makino)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이며 제주도, 남부지방, 중부지방의 산야지 약간 습기 있는 곳에 자생한다. 높이는 30~100cm 이고 근경이 옆으로 길게 자라며 처음에 싹이 나올 때는 붉은빛이 강하지만 자라면서 녹색 바탕에 자줏빛이 돈다.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굵은톱니가 있고 평활하며 밑부분의 옆에 3출맥이 약간 나타난다.
상기 개미취(Aster tataricus L)는 깊은 산속 습지에서 자생하는 것으로서, 잎이 크고 줄기가 얇고 단향과 향긋한 향이 함께 난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으며, 한방과 민간에서는 뿌리와 풀 전체를 토혈, 천식, 폐결핵성에 효과가 있어 한방에서는 기침, 만성기관지염, 이뇨 등의 처방에 사용한다.
상기 머위(PetasitesjaponicusS.etZ.Max)는 햇볕이 잘 드는 산비탈의 숲이나 계곡 주변의 습지에서 자생하는 국화과(Compositae)머위 속(Senecio)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머위의 화경과 잎자루는 식용으로 사용하는데 특유한 향기와 쓴맛이 있으며, 머위의 잎과 줄기에 다량 함유된 polyphenol류의 떫은맛과 정유성분의 향기 및 독특한 질감은 한국인들의 기호에 적합하여 기호식품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한방에서는 꽃봉오리를 관동화라 하여 한약재로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진해,거담, 건위, 진정, 소종, 이뇨, 풍한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서 오랫동안 사용하여 왔는데, 예로부터 어린잎은 채취하여 쌈과 생채로 이용하고 엽병은 나물로 이용하거나 말려서 탕의 원료로 이용하였다
상기 곰취(Ligulariafischeri)는 국화과(菊花科)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웅소(雄蔬)라고도 하며 곰취라는 이름은 곰이 좋아하는 나물에서 온 것이다. 곰취는 어린잎을 식용으로 이용하는데 주로 나물이나 쌈, 장아찌로 섭취한다.
영양적인 측면에서 곰취는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을 고루 함유하고 있다. 그 중 비타민A, 칼슘, 칼륨, 섬유소를 함유하며, 철분은 매우 높게 함유하고 있다.
그리고, 약리학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곰취는 예로부터 기침, 가래, 다리 아픔, 요통, 두통, 백일해, 천식에 효험을 나타내며,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민간에서는 황달, 고혈압, 간장병에 사용했다.
상기 쑥(Artemisia asiatica N.)은 들판의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다년생 풀로서, 비타민A와 B1, B2, C 등과 철분, 칼슘, 칼륨, 인 등의 미네랄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된 알칼리성 식품이어서 산성화된 현대인의 체질 개선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민약요법'에 수록된 약쑥의 작용을 보면 간염, 고혈압, 중풍, 두통, 복통, 땀띠, 습진, 신경통, 타박상, 편도선염, 요통, 치질 등 매우 다양한 질병에 효능을 갖는다.
상기 엉겅퀴 (Cirsium japonicum)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에는 13종 6변종 1품종이 산야에 자생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지상부 또는 지하부를 대계라 하여 약용으로 이용해 왔다. 즉 지상부는 개화기에 베고, 뿌리는 가을철에 채취하여 말려서 경혈, 지혈 및 소종의 효능으로 토혈, 혈뇨, 대하, 간염 및 고혈압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엉겅퀴의 잎에는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으나, 흔히 봄에 돋아나는 비교적 가시가 연한 어린잎과 부드러운 줄기는 살짝 데쳐서 나물이나 극으로 이용한다. 줄기는 껍질을 벗겨내어 튀김, 무침, 볶음 및 데침 등으로 요리하며 특유의 향미가 있고 촉감이 좋아 차로도 사용하는 식물이다. 엉겅퀴에 들어있는 silymarin은 flavolignan으로서 간장 보호 작용과 알코올 유도지질 산화의 예방 및 알코올성 간경화 등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다.
상기 민들레는 MongolianDandelion이라고도 불리우며 우리나라 각지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 해살이 풀로써 이담작용이 있으며 위액의 분비를 빠르게 한다. 그리고 어리고 연한 잎은 건위효과가 있어 건위 소화제로 쓰이고 있다.
민들레의 주요성분으로는 hydroxycinnamic acid, chicoric acid, monocaffeyltartaric acid 및 chlorogenic acid 등이 있다. 잎 부위는 coumarins, cichoriin, a esculin, 비타민 C(50-70mg/100 g) 및 비타민 D(5-9mg/100g), 꽃 부위는 luteolin7-glucoside, quercetin 및 luteolin등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수리취(Synurus deltoids (Aiton) Nakai)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전국 각처의 산야 및 동남아시아 지역에도 걸쳐 자생하는 유용 산채로서 식용으로 어린잎을 데쳐 쌈으로 먹거나 나물로 볶아먹기도 하고 수리취떡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수리취는 곰취, 참취 등 다른 산채와 비교시 수분과 지질의 함량이 낮고 단백질 및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다. 수리취는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종창, 부종, 토혈, 이뇨 및 방광염 등의 치료에 이용되어 왔다.
상기 씀바귀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전통적인 동양의 약재로서 소화불량, 폐렴, 간염, 타박상, 종양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씀바귀의 주성분은 풋내음을 내는 핵세놀과 유액성분인 알리파틱 및 트리테르페노이드로 80여종의 휘발성 풍미 정유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flavonoids인 synaroside가 혈당강하 및 지질강하 효과가 있고, Inulin이 골수암에 특효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상기 비비추는 백합과의 다년초로 남부지방, 중부지방의 산지 계곡, 냇가 등지의 약간 습기 있는 곳에 자생한다. 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아서 비스듬히 자라고 난상 심장형 또는 타원형 난형이며 8~9맥이 있다. 꽃은 연한 자줏빛으로 7~8월에 피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으로 달리며 꽃 줄기는 30~40cm 가량 된다.
상기 원추리(Hemerocallis fulva L)은 넘나물로 불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봄나물로, 숙근성 다년초 백합과 식물이다. 한방 및 민간요업으로 애용되어 온 원추리는 마음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와 우울증을 치료하는 약초로 알려져 있으며, 폐결핵, 빈혈, 황달, 변비, 소변불통 등의 치료를 위해 민간요업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뿌리는 훤초근이라하여 이뇨, 지혈 및 소염제로 사용되어 왔고, 꽃은 금침채라 하여 소변이 붉고 찔끔찔끔 나오는 병, 황달,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나는 증상, 밤에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증상, 치질로 인한 빈혈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였으며, 봄철 어린순은 청열이습의 효능이 있어 황달, 소변단적의 치료에 사용해 왔다. 약용으로의 원추리는 주로 뿌리부분을 사용하고, 주로 식용으로 사용하는 부위로는 꽃봉오리와 어린 순이다.
상기 얼레지(Erythronium japonicum, Decaisne)는 백합과(Liliaceae)에 속하며 땅속 깊이 길쭉한 계란꼴의 알뿌리를 가지고 있는 여러해살이풀로서 가재무릇, 차전엽 또는 산자고라고도 부른다.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며 봄부터 초여름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생것을 쓴다. 성분으로는 40~50% 정도의 질 좋은 녹말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 외에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건위, 지사, 진토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적용질환은 위장염을 비롯하여 설사, 구토 등이다. 그 밖에 화상을 입었을 때의 치료약으로도 쓰인다.
상기 밀나물(Smilax nipponica Mig.)은 밀나물아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우미채라는 약재로 쓰는데, 기가 부족하여 몸이 붓는 증상을 치료하고 근육과 관절의 동통과 사지마비, 폐결핵에도 사용한다.
상기 풀솜대는 백합과의 둥글레족에 속하며, 잎의 크기와 수에서 애리나리속이나 은방울꽃속과 구분된다. 솜대, 솜죽대, 녹약이라고도 하며, 꽃은 5~7월에 피고 흰색이며, 열매는 붉은색으로 익는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생리불순, 종기, 타박상에 약용으로 사용한다.
상기 단풍취는 산지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35~80cm이고 가지가 없으며 긴 갈색 털이 드문드문 있다. 식용으로는 어린 순을 먹는다.
상기 개망초 국화과의 망초속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에는 순수토종과 외국에서 귀화된 종류가 여러 종 있는데 민망초, 개망초, 실망초, 망초, 주걱개망초, 구름국화, 흰구름국화, 과꽃 등이 자라고 있다. 우리나라 각처의 밭, 들판, 길가, 산비탈에 자라는 2년생 초본 귀화식물로 지름은 2cm 정도 되는 흰 꽃이 가지 끝에 뭉쳐 피고 중심부는 노란빛이다. 잎이 연하고 부드럽고 향긋하여 봄나물로 인기가 있다. 한국본초도감에 의하면 맛은 담담하고 성질은 평해서 청열해독, 조소화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에 효과가 있고, 장염으로 인한 복통, 설사를 치료한다. 전염성 간염, 림프절염, 소변 출혈에도 응용된다.
상기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은 미역방풍, 목단방풍, 산방풍, 목방풍, 식방풍 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잎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약으로 쓰인다. 갯기름나물은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 60 cm 정도로 자라며, 중, 남부 해안지대 산지의 바위틈이나 풀밭에서 자생한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끝부분에 짧은 털이 있으나, 그 밖의 부분은 평활하며, 뿌리는 굵으나 목부분에 섬유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지만 회록색으로서 백분을 칠한 것 같으며, 질은 두텁고 2-3회 깃모양의 겹잎이다.
상기 고들빼기(Youngia sonchfolia Maxim)는 국화과에 속하는 1~2년생 초본 산채로서, 우리나라 산과 들에 9종이 분포하고 있다. 주요한 서식장소는 배수가 좋고 주로 비옥한 땅 양지쪽에서 잘 자라며 마른 땅 보다 습기가 어느 정도 있는 곳을 좋아한다. 고들빼기의 종류에는 와고들빼기, 애기고들빼기, 지리고들빼기, 두메고들빼기, 이고들빼기, 까치고들빼기 등이 있다. 고들빼기는 독특한 향미와 쓴맛에 관계한 페놀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는 것 외에 무기질, 비타민, 유기산 및 혈중 지질농도를 낮추는 식이섬유소 등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H Gross)는 마디풀과(Polygonaceae)에 속하는 덩굴성 1년초로, 민간에서 줄기와 잎을 지혈, 류마치스, 홍역의 치료에 주로 이용하여 왔으며, 그 씨앗은 특히 고교맥이라 하여 시력 증대 및 이질에 사용되어 왔다. 고마리의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로 페르시카린(persicarin), 쿠에르시트린(quercitrin)이 알려져 있다.
상기 털여뀌(Persicaria cochinchinensis (Lour.) Kitagawa)는 집 근처에서 자라는 마디풀과(Polygonaceae)의 1년생 초본식물로서 높이는 1~2m이고 전체에 걸쳐 털이 밀생한다.
상기 장구채(Melandryum firmun Rohrbach)는 전국 각지의 산야지, 원야지, 길가, 풀섭에 흔히 자생하는 석죽과 식물이며, 지리적으로는 중국, 만주, 일본, 오키나와, 동부시베리아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징으로는 이년생초본이며 높이가 30~80cm까지 곧게 자라고 털이 없고 줄기는 녹색 또는 자주빛이 도는 녹색이지만 마디부분은 흑자색이다. 잎은 마주 나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3~10cm, 너비 1~3cm이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와 양면에는 털이 있다.
상기 메꽃(Calystegia japonica)은 메꽃과(Convolvulaceae)의 덩굴성 다년생 초본으로 이뇨, 강장, 피로회복 및 혈당저하 등의 효능이 있어 민간에서는 당뇨병과 고혈압 등의 치료 및 완화를 위하여 식용하기도 한다.
상기 톱풀(Achillea alpina L)은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한약재명으로는 일지호(一枝蒿)라고 불리우며 가새풀, 배암세, 배암체라고 불리기도 한다. 형태학적으로 국화과에 속하는 톱풀은 형태학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없고 끝이 둔하며 길이 6-10 cm, 폭은 7-15 mm로서 밑부분이 원줄기를 얼싸안고 빗살처럼 갈라지며 열편은 긴 타원상 창모양으로서 뾰족한 톱니가 있고 갈라지지 않은 중앙열편은 나비 1-3 mm이다. 열매인 수과는 길이 3 mm, 폭은 1 mm로서 양끝이 납작하고 털이 없다. 함유성분으로는 에테르오일, 플라빈, 아줄렌(Azulen, 탄수화물의 일종, 특히 케모마일의 에테르오일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까실쑥부쟁이(Aster ageratoides Turcz. var. ageratoides)는 국화과로 생약명은 산백국(山白菊)이며, 속명은 껄큼취, 까실쑥부장이, 산쑥부쟁이라고 한다. 연한 잎을 식용으로 이용하며 어린 잎을 생채로 먹거나 살짝 데쳐 무쳐 먹기도 하고 나물을 뜨거운 물에 데쳐 햇볕에 말려 묵나물로 사용하거나 순을 잘게 썰어 쌀과 섞어 나물밥을 지어 먹는다. 성분은 kaempferol, quercetin, quercetin rhamnosid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제비꽃(violet)은 새봄에 양지쪽 풀밭 또는 산비탈에서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성분으로는 정유(살리실산메틸에스테르), 배당체류,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색소 등이 있다. 약리효과는 화농성질환에 효력이 뛰어나므로 종기와 임파선 결핵, 피부의 악창 등에 살균, 해열, 소염효과를 가지며, 이외에 해독· 소염·소종·지사·최토·이뇨 등의 효능이 있어 황달·간염·수종 등에 쓰이며 향료로도 쓰인다.
상기 쇠무릎(=우슬(牛膝), Achyranthes japonica)은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비름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키는 50~100cm 정도이고,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다. 8~9월에 연한 녹색 꽃이 수상(穗狀)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포과(胞果)로 겉에 가시가 있어서 사람의 옷에 잘 붙는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로는 술을 담근다. 한방에서 뿌리를 말려 우슬(牛膝)이라 하고, 이를 이뇨, 강정, 통경에 쓰며, 민간요법에서는 임질과 두통약으로 쓰며, 줄기와 잎은 독사에 물렸을 때 해독약으로 쓴다.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라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산현채(山見菜), 대절채(對節菜), 쇠물팍, 쇠무릎지기, 은실, 백배(百倍), 마청초라고도 한다.
상기 쇠비름은 쇠비름과의 1년생 잡초로서 오행초(五行草), 장명채(長命采), 마치채(馬齒采)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주로 길가, 텃밭 등에서 자생하며, 줄기의 높이가 약 15~30㎝ 내외로 털이 없으며, 줄기는 갈적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땅위로 비스듬히 퍼지면서 자라는 식물이다. 이의 성분은 L-noradrenaline, dopamine, dopa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외 K와 많은 양의 organic acid,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등이 있다. 쇠비름은 양념 등으로 버무려서 식용하거나 약재로도 활용되어 왔으며 과거 선조들의 민간요법에서는 충독, 사독 등의 각종 독소 성분에 대한 해독제로도 사용되었다.
상기 꿀풀(Prunella vulgaris var.lilacina)은 숙근성 다년초로서, 용도로는 전초는 약용으로 하고 있으며, 어린순은 식용으로 이용한다.
상기 활나물은(Crotalaria sessiflora L.)은 일년생 초본으로 높이 20-70 cm이고, 표면을 제외한 전체에 긴 갈색 털이 나 있고 황무지의 잡초밭에서 자생하며 전국에 널리 분포 되어있다. 활나물에는 monocrotaline이 전초에 0.02%, 종자에 0.4%가 함유되어 있고 또다른 alkaloid 계통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이들 성분들에 의해 다양한 생리 활성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무늬둥글레(Polygonatum odoratum 'Variegata')는 둥글레(Polygonatum)속으로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둥글레속의 식물은 14종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예로부터 둥글레 지하경은 약용과 구황작물로 이용되어 왔다.
상기 참나물(Pimpinella brachycarpa N.)은 우리나라에 널리 자생하는 산형과 다년생 초본성 식물이며 식용, 약용(지혈, 양정, 대하, 해열, 결풍, 고혈압, 중풍, 폐염, 정혈, 윤폐, 신경통)으로 쓰인다.
상기 애기수영은 다년생 초본과 잡초로서 유럽이 원산이며, 종자에 의하여 정착한 후, 지하경에 의하여 수평 영양생장하여 소군락을 형성하는데, 대관령과 같이 해발이 높고 서늘한 기후조건에서 특히 잘 자라며 6월에 개화한다. 특히 pH가 낮은 산성 토양과 비옥도가 낮은 경사지 토양에 잘 자라며, 뿌리에서는 allelopathic effect를 나타내는 phenol계통의 화학물질을 배출한다.
상기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S.)는 오래 전부터 고급염료 및 생약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지치의 뿌리부위에 함유되고 있는 shikonin이라는 물질이 주원료로 이용된 것이다. 이 shikonin은 naphthajarn 골격을 가진 적자색의 화합물로서 뿌리 중에는 저급지방산 ester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shikonin의 약리작용을 보면 매우 강한 항균작요, 창상치료작용, 항궤양작용이 있다.
상기 달개비는 전국 각지에서 자라는 1년초로서 혈당강화 작용을 하는 당질분해효소 저해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당뇨병과 비만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은 마타리과(Valeriana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근경은 약간 비후하며, 특이한 냄새가 있고 잎은 근생 및 경생하고 대생이다. 우리나라 쥐오줌풀은 울릉도를 비롯한 전국에서 자생하고 낮 동안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약간 그늘진 산속, 강변 또는 냇가의 둑에서 자란다.
약학적 응용으로 진정, 진경, 기타 신경성 질환에 응용되고 다른 진정제와 동시처방한다. 또한 천식의 치료재로서 근래까지도 만간생약으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상기 바디나물은 쌍떡잎 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Umbelliferae)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학명은 Angelica decursiva이며, Peucedanum decursivum로 불리기도 한다. 크기는 80~150cm로서, 한국,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며, 산과 들의 습지 근처에 서식한다. 한의학에서는 바디나물의 뿌리를 자화전호(紫花前胡)라고 부르며, 자화전호와 백화전호(Peucedanum praeruptorum)의 뿌리는 전호(前胡)라는 약재로 쓰는데, 해열, 진해, 거담 작용을 하여 감기, 기침, 천식 등에 효과가 있다.
상기 양지꽃은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양지꽃(Potentilla fragarioides L. var. major Maxim.)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하고 한방에서는 지상부를 치자연(雉子筵)이라 하여 위장의 소화력을 높이거나 산증(疝症)을 치료하는 데에 쓰이며, 뿌리를 치자연근이라 하여 지혈제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자연으로 불리는 양지꽃의 지상부로부터 (+)-카테킨(catechin), 퀘르시트린(quercitrin), 카페인산(caffeic acid),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4-0-카페오일(caffeoyl) L-트레올산(threonic acid), 퀘르세틴(quercetin)-3-0-베타(beta)-D-글루코피라노실(glucopyranosyl)-베타(beta)-D-크실로피라노사이드(xylopyranoside)가 분리되어 보고된 바 있다.
상기 질경이(Plantago asiatica L.)는 질경이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도로와 건물 주변에 서식하는 식물로서, 예로부터 부드러운 잎과 줄기는 민가에서 식용하거나 즙을 내어 고기와 기름을 혼합하여 고추장에 절여 식용해 왔다. 한방 및 생약학에서는 차전초가 청열, 양혈, 열독에 의한 옹종에 해독제로, 혈림뇨혈 및 이뇨제, 위장약, 부인병 및 늑막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은 다년생 초본으로 들이나 길가에 흔히 자라며 전국에 분포하다. 높이 30~100cm이고, 줄기는 곧게 자라고 전체에 희고 긴 털이 있으며, 개화기는 6~8월이다. 짚신나물에는 Agrimonin, Agrimonolide, Tannin, Sterol, 유기산, Phenol성 성분, Sapon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줄기에는 Tannin 6.5%, 잎에는 Tannin 16.4%가 함유되어 있다.
상기 등골나물(Eupatorium japonicum)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중국 및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전체에 가는 털이 있고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는 70cm 정도이다. 밑동에서 나온 잎은 작고 꽃이 필 때쯤이면 없어지며, 중앙부에 커다란 잎이 마주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고, 상기 중앙부에 나는 잎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상기 등골나물의 꽃은 흰자주빛으로 두상꽃차례를 이루고 7 내지 10월에 핀다. 열매는 수과로 11월에 익는다. 예부터 식용으로 사용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등골나물의 어린 순은 살짝 데쳐 양념에 무쳐 먹고, 묵나물로 쓰기도 하며, 꽃을 그늘에 말린 뒤 차로 마시기도 하였다.
상기 박하(Mentha arrensis)는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독특한 박하 향기를 낸다. 또한 박하 정유의 주성분은 Menthol인데 상쾌한 향기와 청량한 향기와 청량감이 있으며, 위나 장의 강장 효과, 식용이나 약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상기 차즈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는 중국과 동남아시아 원산으로 꿀풀과의 일년생 방향성식물이며 일명 자엽(紫葉), 소엽(蘇葉), 적자소(赤紫蘇) 등으로도 불리운다. 초장은 보통 20-80cm 정도로 자라고, 8-9월경에 연한 자주색의 꽃이 총상화서로 피며, 들깨와 유사한 식물이다. 잎이 진한 자주색을 띄고, perilla keton이라는 독특한 향기가 있으며, 약용, 식용, 향신료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한방에서는 잎과 종자를 발한(發汗), 지혈(止血), 해열(解熱), 진통(鎭痛) 등의 약재로 이용해왔다.
상기 구릿대(Angelica dahurica Bentham et Hooker)는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coumarin계 성분인 byakangelicin, byakangelicin hydrate, imperatorin, isoimperatorin, oxypeucedanin, oxypeucedanin hydrate, alloimperatorin, alloisoimperatorin, isooxypeucedanin, xanthotoxin, xanthotoxol, phellopterin, pangelin, marmesin, scopoletin, nodakenin, scopolin 등이 분리, 보고되고 있다.
상기 금낭화(DicentraspectabilisLem.)는 현호색과에 속하는 식물로써 우리나라에서는 꽃의 모양이 치마 속에 달고 다니는 주머니와 흡사하다고 하여 며느리주머니라고 부르기도 하고, 등모란, 며눌취, 덩굴모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내한성이 강하고 내건성이 약한 다년생 숙근성 초본식물이다.
상기 기린초(Sedum Kamtschaticum)는 돌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산지나 계곡 근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다. 5~7월에 꽃이 노란색으로 피며 잎의 변이가 심한편이고 꽃이 수려하여 관상용으로도 적당한 식물이다.
상기 무릇(Scilla sinensis Merr.)은 일본, 대만, 중국, 만주, 우수리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양지바른 원야나 밭가에 주로 자생한다. 다년초식물로 비늘줄기는 둥근 난형이고 아랫부분에 짧은 뿌리주릭가 있으며 그 위에 다수의 수염뿌리가 나 있고 잎은 좁은 선 모양이고 땅속줄기나 뿌리에서 직접 나오고 길이가 15~20cm, 너비가 5~8cm이며 매끈매끈하고 잎 앞면이 오목하게 들어간다.
무릇은 어린잎과 인경을 식용이나 약용으로 이용한다. 잎 및 뿌리줄기의 알콜 추출물은 강심 작용과 이뇨작요이 있으며, 전초를 달여서 복용하면 진통제로 되어 치통, 근골통, 요퇴통 및 타박상, 창 따위에 입은 상처 등에 쓴다.
상기 배초향(Agastache rugosa O. Kuntze)은 우리나라와 일본, 대반, 동남아시아의 온대와 난대에 자생하는 다년초다. 줄기는 모가지고 키는 1~1.5m정도로 긴 심장모양을 하고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을 한 잎이 마주 나고 잎자루가 있다. 꽃은 7~8월에 자주색을 띤 작은 입술모양을 하고 층을 지어 둥글게 배열되어 줄기 아래로부터 차례로 피어 올라가며 진한 향기를 풍긴다. 방아의 어린순은 나물로 무쳐먹거나, 추어탕 등의 음식에 향신료로 쓰인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방아의 전초는 건위, 구충, 소화, 해열, 종양치료 등에 쓰이며, 민간요법으로 급, 만성 담낭염에 달여서 먹고, 비장과 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방아풀(Isodon japonicus (Burm.) Hara)은 다년초로서 높이 50~100cm이며 전국의 산야에 자생한다. 방아풀의 경엽(莖葉)을 연명초(延命草)라고 한다. 고미질의 주성분은 enmeine, enmeine triacetate이다. 연명초는 일본의 대표적인 민간약으로 고미건위제(苦味健胃劑)로서 소화불량(消化不良), 식욕부진(食慾不振)에 사용한다. 또한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다.
상기 독활은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가을에서 다음 해 봄 사이에 채취, 햇볕에 건조하여 거풍, 화혈, 발한, 이뇨 등의 목적으로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어 온 식물이다. 독활의 성분으로는 continentalic acid, pentosan 등이 밝혀져 있고, 이들 주성분들은 거풍, 발한, 지통 등의 약리작용과 두통, 류마티즘, 신경통 등에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항염증작용, 진통작용, 항산화 작용, 항균작용 등에도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Kim and Kang 1998, Han 2005)
상기 참나리(L. lancifolium Thunb.)는 아시아틱계 나리로서 비교적 키가 크고 등적색의 꽃의 반하향 개화하며 꽃자루가 길고 엽액에 주아가 달리며 초세가 강건하다. 참나리는 한국, 일본, 중국의 동북아시아 고유종으로 한국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나리로서, 오래전부터 구황작물, 약용작물로 이용되어 왔으며, 인경을 구워 먹으면 감자와 같은 맛을 낸다고 하며 약용으로는 폐결핵해수(肺結核咳嗽), 담중대혈(痰中帶血), 신경쇠약(神經衰弱), 신번불안(神煩不安) 등에 사용하였다.
상기 천궁은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여 순환기 질환에 사용되고, 진통, 진정제로도 사용된다. 또한 감기시의 두통과 풍습통에도 이용된다. 천궁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약효성분으로는 cnidilide, senkyunolide ligustilide가 중추성 근이완작용에 관여하고, butylidene phthalide에는 진경작용에 관여한다.
상기 치커리(Chicory, Chicorium intybus)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장일식물로서 intybin 성분이 있어 관절염, 류마티스, 통풍, 간질환 및 소화장애 환자들에게 유익하며 영양학적인 측면에서는 섬유질, 철, 칼륨 성분이 다른 식물에 비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치커리 뿌리의 일반조성은 수분 함량이 7%인 한국산 건치커리의 경우 총당 58.8%, 조단백질 8.6%, 조지방 1.6%, 조섬유 6.9%, 회분 4.2%이고 무기질은 대부분 극미량으로 Ca, Mg, Si, P, Al, Fe, Ti, Zn, Cu, Ag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의 야생초는 식품첨가제로 활용하기 위하여, 추출물 또는 분말의 형태로 가공되어 사용된다.
상기 추출물의 경우, 상기 야생초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중량기준 300배의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70~90℃에서 30분 ~ 2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800~1,200rpm의 회전속도로 30~4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고 8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살균한 후 냉장보관한다.
상기 환류 추출의 온도 조건이 70℃ 미만인 경우에는 추출에 따른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며 또한 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고, 90℃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야생초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환류 추출의 온도는 70~90℃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환류 추출의 시간의 경우, 30분 미만인 경우에는 추출물의 수득률이 급격히 떨어지고, 2시간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미 충분히 추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무의미하다.
상기 야생초 추출물의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의 실시예 1과 같다.
꽃다지, 냉이, 쇠뜨기, 큰개불알풀, 광대나물, 별꽃, 가죽나물, 뽀리뱅이, 지칭개, 애기똥풀, 뱀딸기, 돌나물, 달맞이꽃, 방가지똥, 소리쟁이, 명아주, 닭의장풀, 비름나물, 며느리밑씻개, 새삼, 토끼풀, 환삼덩굴, 박주가리, 털별꽃아재비, 어성초, 야생돌콩, 피, 칡넝쿨, 까마중, 강아지풀, 미국자리공, 개여뀌, 개쑥갓, 돼지감자, 미역취, 쑥부쟁이, 개미취, 머위, 곰취, 쑥, 엉겅퀴, 민들레, 수리취, 씀바귀, 비비추, 원추리, 얼레지, 밀나물, 풀솜대, 단풍취, 개망초, 갯기름나물, 고들빼기, 고마리, 털여뀌, 장구채, 메꽃, 톱풀, 까실쑥부쟁이, 제비꽃, 쇠무릎, 쇠비름, 꿀풀, 활나물, 무늬둥글레, 참나물, 애기수영, 지치, 달개비, 쥐오줌풀, 바디나물, 양지꽃, 질경이, 짚신나물, 등골나물, 박하, 차즈기, 구릿대, 금낭화, 기린초, 무릇, 배초향, 방아풀, 독활, 참나리, 천궁, 치커리를 동 중량비율로 하여 깨끗하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세척과정을 마친 야생초 500g을 증류수 150ℓ에 첨가한 후, 85℃에서 1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다.
환류 추출한 여액을 1,000rpm의 속도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한다. 이와 같이 수득한 상등액을 8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살균한 후 냉장보관한 것을 식품 첨가제로 사용한다.
다음으로 야생초를 분말 형태로 가공하여 식품첨가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야생초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자연건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다음 60~80mesh의 체를 통과시켜 분말로 제조한 것을 식품첨가제로 사용한다.
상기 야생초 분말의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의 실시예 2와 같다.
꽃다지, 냉이, 쇠뜨기, 큰개불알풀, 광대나물, 별꽃, 가죽나물, 뽀리뱅이, 지칭개, 애기똥풀, 뱀딸기, 돌나물, 달맞이꽃, 방가지똥, 소리쟁이, 명아주, 닭의장풀, 비름나물, 며느리밑씻개, 새삼, 토끼풀, 환삼덩굴, 박주가리, 털별꽃아재비, 어성초, 야생돌콩, 피, 칡넝쿨, 까마중, 강아지풀, 미국자리공, 개여뀌, 개쑥갓, 돼지감자, 미역취, 쑥부쟁이, 개미취, 머위, 곰취, 쑥, 엉겅퀴, 민들레, 수리취, 씀바귀, 비비추, 원추리, 얼레지, 밀나물, 풀솜대, 단풍취, 개망초, 갯기름나물, 고들빼기, 고마리, 털여뀌, 장구채, 메꽃, 톱풀, 까실쑥부쟁이, 제비꽃, 쇠무릎, 쇠비름, 꿀풀, 활나물, 무늬둥글레, 참나물, 애기수영, 지치, 달개비, 쥐오줌풀, 바디나물, 양지꽃, 질경이, 짚신나물, 등골나물, 박하, 차즈기, 구릿대, 금낭화, 기린초, 무릇, 배초향, 방아풀, 독활, 참나리, 천궁, 치커리를 동 중량비율로 하여 깨끗하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세척과정을 마친 야생초 자연건조시킨 후, 건조한 야생초 500g 분쇄기에 넣고 마쇄하여 분말로 만든 후, 상기 분말을 70mesh의 체를 통과시켜 분말로 제조한 것을 식품첨가제로 사용한다.
상기 야생초를 추출물로 제조하거나 분말로 제조한 식품첨가제는 다양한 식품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식품의 종류에 특별히 한정을 두지는 않으나, 그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비빔국수, 짜장면, 물냉면, 라면, 모밀(메밀)국수, 스파게티, 짬뽕, 칼국수, 우동, 콩국수, 야키소바, 잔치국수, 막국수, 쫄면과 같은 면류,
베이글, 소부루, 바게트, 파이, 슈크림빵, 앙금빵, 맘모스빵, 모카, 계란빵, 초코빵, 케익, 호빵, 호떡, 붕어빵, 단팥빵, 피자빵, 크림빵, 고로케, 치즈머핀, 햄버거, 샌드위치, 핫도그와 같은 빵류,
된장, 고추장, 장, 배추김치, 가지김치, 총각김치, 호박지, 나박김치, 백김치, 깻잎김치, 콩나물김치, 해물김치, 명란젓, 창란젓, 낙지젓, 어리굴젓, 오징어젓, 아가미젓, 꼴뚜기젓, 순태젓, 토하젓, 갈치속젓, 밴댕이젓, 갈치젓, 조개젓, 멸치젓, 황석어젓과 같은 전통식품류,
김치찌개 , 된장찌개, 순두부찌개, 부대찌개, 미역국, 콩나물국, 해장국, 육개장, 재첩국, 추어탕, 해물탕, 굴국, 어묵국, 곰탕, 쇠고기국, 감자탕과 같은 조리식품류를 들 수 있다.
이하,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식품첨가제를 식품에 첨가하여 제조되는 구체적인 예를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면류 - 추출물 식품첨가제 사용 ]
상기 면류로는 라면을 제조하되, 실시 예 1의 식품첨가제를 라면의 전체중량의 20wt%로 첨가한다.
[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면류 - 분말 식품첨가제 사용 ]
상기 면류로는 라면을 제조하되, 실시 예 2의 식품첨가제를 라면의 전체중량의 20wt%로 첨가한다.
[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주류 - 추출물 식품첨가제 사용 ]
상기 주류로는 과실주를 제조하되, 실시 예 1의 식품첨가제를 과실주 전체중량의 20wt%로 첨가한다.
[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면류 - 분말 식품첨가제 사용 ]
상기 주류로는 과실주를 제조하되, 실시 예 2의 식품첨가제를 과실주 전체중량의 20wt%로 첨가한다.
[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빙과류 - 추출물 식품첨가제 사용 ]
상기 빙과류로는 아이스크림을 제조하되, 실시 예 1의 식품첨가제를 아이스크림 전체중량의 20wt%로 첨가한다.
[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빙과류 - 분말 식품첨가제 사용 ]
상기 빙과류로는 아이스크림을 제조하되, 실시 예 2의 식품첨가제를 아이스크림 전체중량의 20wt%로 첨가한다.
[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기호식품류 - 추출물 식품첨가제 사용 ]
상기 기호식품류는 구체적으로 차(茶)이며, 차(茶) 섭취시 실시 예 1의 식품첨가제를 차(茶) 전체중량의 20wt%로 첨가하여 섭취한다.
[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기호식품류 - 분말 식품첨가제 사용 ]
상기 기호식품류는 구체적으로 차(茶)이며, 차(茶) 섭취시 실시 예 2의 식품첨가제를 차(茶) 전체중량의 20wt%로 첨가하여 섭취한다.
[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빵류 - 추출물 식품첨가제 사용 ]
상기 빵류로는 밀가루 빵을 제조하되, 실시 예 1의 식품첨가제를 밀가루 빵 전체중량의 20wt%로 첨가한다.
[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빵류 - 분말 식품첨가제 사용 ]
상기 빵류로는 밀가루 빵을 제조하되, 실시 예 2의 식품첨가제를 밀가루 빵 전체중량의 20wt%로 첨가한다.
[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음료류 - 추출물 식품첨가제 사용 ]
상기 음료류로는 과일 주스를 제조하되, 실시 예 1의 식품첨가제를 과일 주스 전체중량에 대해 20wt%로 첨가한다.
[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음료류 - 분말 식품첨가제 사용 ]
상기 음료류로는 과일 주스를 제조하되, 실시 예 2의 식품첨가제를 과일 주스 전체중량에 대해 20wt%로 첨가한다.
[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발효식품류 - 추출물 식품첨가제 사용 ]
상기 발효식품류로는 된장을 제조하되, 실시 예 1의 식품첨가제를 된장 전체중량의 20wt%로 첨가한다.
[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발효식품류 - 분말 식품첨가제 사용 ]
상기 발효식품류로는 된장을 제조하되, 실시 예 2의 식품첨가제를 된장 전체중량의 20wt%로 첨가한다.
[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과자 - 추출물 식품첨가제 사용 ]
상기 과자를 제조하되, 실시 예 1의 식품첨가제를 과자 전체중량의 20wt%로 첨가한다.
[ 식품첨가제를 함유한 과자 - 분말 식품첨가제 사용 ]
상기 과자를 제조하되, 실시 예 2의 식품첨가제를 과자 전체중량의 20wt%로 첨가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첨가제는 우리나라의 전역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야생초를 이용하여 식품에 일정량으로 첨가하는 식품첨가제를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시판되던 인공의 식품첨가제와 비교하여 볼 때 식품안정성이 뛰어나고, 또한 특정 약재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첨가제와 비교하여 볼 때 식품첨가제로서의 맛과 향이 좋고, 가격경쟁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6)

  1. 야생초를 식품에 첨가하는 것임을 야생초 식품첨가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야생초는 식품 전체 중량에 대해 0.1~40wt%로 첨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초 식품첨가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야생초는 꽃다지, 냉이, 쇠뜨기, 큰개불알풀, 광대나물, 별꽃, 가죽나물, 뽀리뱅이, 지칭개, 애기똥풀, 뱀딸기, 돌나물, 달맞이꽃, 방가지똥, 소리쟁이, 명아주, 닭의장풀, 비름나물, 며느리밑씻개, 새삼, 토끼풀, 환삼덩굴, 박주가리, 털별꽃아재비, 어성초, 야생돌콩, 피, 칡넝쿨, 까마중, 강아지풀, 미국자리공, 개여뀌, 개쑥갓, 돼지감자, 미역취, 쑥부쟁이, 개미취, 머위, 곰취, 쑥, 엉겅퀴, 민들레, 수리취, 씀바귀, 비비추, 원추리, 얼레지, 밀나물, 풀솜대, 단풍취, 개망초, 갯기름나물, 고들빼기, 고마리, 털여뀌, 장구채, 메꽃, 톱풀, 까실쑥부쟁이, 제비꽃, 쇠무릎, 쇠비름, 꿀풀, 활나물, 무늬둥글레, 참나물, 애기수영, 지치, 달개비, 쥐오줌풀, 바디나물, 양지꽃, 질경이, 짚신나물, 등골나물, 박하, 차즈기, 구릿대, 금낭화, 기린초, 무릇, 배초향, 방아풀, 독활, 참나리, 천궁, 치커리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초 식품첨가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야생초는 꽃다지, 냉이, 쇠뜨기, 큰개불알풀, 광대나물, 별꽃, 가죽나물, 뽀리뱅이, 지칭개, 애기똥풀, 뱀딸기, 돌나물, 달맞이꽃, 방가지똥, 소리쟁이, 명아주, 닭의장풀, 비름나물, 며느리밑씻개, 새삼, 토끼풀, 환삼덩굴, 박주가리, 털별꽃아재비, 어성초, 야생돌콩, 피, 칡넝쿨, 까마중, 강아지풀, 미국자리공, 개여뀌, 개쑥갓, 돼지감자, 미역취, 쑥부쟁이, 개미취, 머위, 곰취, 쑥, 엉겅퀴, 민들레, 수리취, 씀바귀, 비비추, 원추리, 얼레지, 밀나물, 풀솜대, 단풍취, 개망초, 갯기름나물, 고들빼기, 고마리, 털여뀌, 장구채, 메꽃, 톱풀, 까실쑥부쟁이, 제비꽃, 쇠무릎, 쇠비름, 꿀풀, 활나물, 무늬둥글레, 참나물, 애기수영, 지치, 달개비, 쥐오줌풀, 바디나물, 양지꽃, 질경이, 짚신나물, 등골나물, 박하, 차즈기, 구릿대, 금낭화, 기린초, 무릇, 배초향, 방아풀, 독활, 참나리, 천궁, 치커리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조성된 것을 중량기준 300배의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70~90℃에서 30분 ~ 2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800~1,200rpm의 회전속도로 30~4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고 8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살균한 후 냉장보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첨가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야생초는 꽃다지, 냉이, 쇠뜨기, 큰개불알풀, 광대나물, 별꽃, 가죽나물, 뽀리뱅이, 지칭개, 애기똥풀, 뱀딸기, 돌나물, 달맞이꽃, 방가지똥, 소리쟁이, 명아주, 닭의장풀, 비름나물, 며느리밑씻개, 새삼, 토끼풀, 환삼덩굴, 박주가리, 털별꽃아재비, 어성초, 야생돌콩, 피, 칡넝쿨, 까마중, 강아지풀, 미국자리공, 개여뀌, 개쑥갓, 돼지감자, 미역취, 쑥부쟁이, 개미취, 머위, 곰취, 쑥, 엉겅퀴, 민들레, 수리취, 씀바귀, 비비추, 원추리, 얼레지, 밀나물, 풀솜대, 단풍취, 개망초, 갯기름나물, 고들빼기, 고마리, 털여뀌, 장구채, 메꽃, 톱풀, 까실쑥부쟁이, 제비꽃, 쇠무릎, 쇠비름, 꿀풀, 활나물, 무늬둥글레, 참나물, 애기수영, 지치, 달개비, 쥐오줌풀, 바디나물, 양지꽃, 질경이, 짚신나물, 등골나물, 박하, 차즈기, 구릿대, 금낭화, 기린초, 무릇, 배초향, 방아풀, 독활, 참나리, 천궁, 치커리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자연건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다음 60~80mesh의 체를 통과시켜 분말로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식품첨가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식품은 비빔국수, 짜장면, 물냉면, 라면, 모밀(메밀)국수, 스파게티, 짬뽕, 칼국수, 우동, 콩국수, 야키소바, 잔치국수, 막국수, 쫄면과 같은 면류,
    베이글, 소부루, 바게트, 파이, 슈크림빵, 앙금빵, 맘모스빵, 모카, 계란빵, 초코빵, 케익, 호빵, 호떡, 붕어빵, 단팥빵, 피자빵, 크림빵, 고로케, 치즈머핀, 햄버거, 샌드위치, 핫도그와 같은 빵류,
    된장, 고추장, 장, 배추김치, 가지김치, 총각김치, 호박지, 나박김치, 백김치, 깻잎김치, 콩나물김치, 해물김치, 명란젓, 창란젓, 낙지젓, 어리굴젓, 오징어젓, 아가미젓, 꼴뚜기젓, 순태젓, 토하젓, 갈치속젓, 밴댕이젓, 갈치젓, 조개젓, 멸치젓, 황석어젓과 같은 전통식품류,
    김치찌개 , 된장찌개, 순두부찌개, 부대찌개, 미역국, 콩나물국, 해장국, 육개장, 재첩국, 추어탕, 해물탕, 굴국, 어묵국, 곰탕, 쇠고기국, 감자탕과 같은 조리식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자와 겨우살이를 이용한 식품첨가제.
KR1020120120325A 2012-10-29 2012-10-29 야생초 식품첨가제 KR20140054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325A KR20140054620A (ko) 2012-10-29 2012-10-29 야생초 식품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325A KR20140054620A (ko) 2012-10-29 2012-10-29 야생초 식품첨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620A true KR20140054620A (ko) 2014-05-09

Family

ID=5088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325A KR20140054620A (ko) 2012-10-29 2012-10-29 야생초 식품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4620A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0329A (zh) * 2014-05-28 2014-08-06 吉林大学 一种木贼提取液保健面包的制作方法
CN104430703A (zh) * 2014-11-20 2015-03-25 王召胜 一种啤酒风味的汉堡及其生产方法
KR101709515B1 (ko) * 2016-06-01 2017-02-24 이제환 감자탕 제조방법
KR20180002295A (ko) * 2016-06-29 2018-01-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양념 및 이를 사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KR101868945B1 (ko) * 2017-07-21 2018-06-19 김용순 삼채를 함유한 순살 간고등어의 제조방법
KR20180092531A (ko) * 2017-02-09 2018-08-20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취가 저감되고 감칠맛이 향샹된 발효 간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0042A (ko) * 2017-06-22 2019-01-02 이석원 쌀눈을 이용한 천연 발효 빵
KR102016077B1 (ko) * 2018-08-29 2019-08-29 전민준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34109B1 (ko) * 2019-04-17 2019-10-18 이정숙 닭 가슴살을 이용한 프리믹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와플 또는 샌드위치용 빵
KR102080727B1 (ko) * 2018-10-16 2020-04-23 남영제약영농조합법인 천마 쌍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14346A (ko) * 2019-07-30 2021-02-09 산골산나물 영농조합법인 산채즙을 이용한 산채국수 제조방법
KR20210014349A (ko) * 2019-07-30 2021-02-09 산골산나물 영농조합법인 산채분말을 이용한 산채국수 제조방법
KR20210029971A (ko) * 2019-09-09 2021-03-17 권민정 호떡 반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호떡 및 그 제조방법
KR102288313B1 (ko) * 2021-05-25 2021-08-10 이우철 흑마늘 돼지갈비 제조 방법
KR20210121362A (ko) * 2020-03-27 2021-10-08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참죽나무순과 백수오를 이용한 스낵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323704B1 (ko) * 2021-09-24 2021-11-09 주식회사 숲내음 농업회사법인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2354562B1 (ko) * 2021-08-27 2022-01-25 주식회사 강동오케익 항스트레스 기능을 갖는 소재를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KR20220141104A (ko) * 2021-04-12 2022-10-19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천하제일한우 고칼슘 사골 곰탕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사골 곰탕
KR102470197B1 (ko) * 2022-08-24 2022-11-22 김명겸 통밀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8639B1 (ko) * 2023-08-29 2024-03-18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대화농산 항산화능을 갖는 떡 조성물 및 상기 떡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항산화능을 갖는 떡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0329A (zh) * 2014-05-28 2014-08-06 吉林大学 一种木贼提取液保健面包的制作方法
CN104430703A (zh) * 2014-11-20 2015-03-25 王召胜 一种啤酒风味的汉堡及其生产方法
KR101709515B1 (ko) * 2016-06-01 2017-02-24 이제환 감자탕 제조방법
KR20180002295A (ko) * 2016-06-29 2018-01-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효과가 있는 젓갈양념 및 이를 사용한 젓갈의 제조방법
KR20180092531A (ko) * 2017-02-09 2018-08-20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취가 저감되고 감칠맛이 향샹된 발효 간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0042A (ko) * 2017-06-22 2019-01-02 이석원 쌀눈을 이용한 천연 발효 빵
KR101868945B1 (ko) * 2017-07-21 2018-06-19 김용순 삼채를 함유한 순살 간고등어의 제조방법
KR102016077B1 (ko) * 2018-08-29 2019-08-29 전민준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80727B1 (ko) * 2018-10-16 2020-04-23 남영제약영농조합법인 천마 쌍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034109B1 (ko) * 2019-04-17 2019-10-18 이정숙 닭 가슴살을 이용한 프리믹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와플 또는 샌드위치용 빵
KR20210014346A (ko) * 2019-07-30 2021-02-09 산골산나물 영농조합법인 산채즙을 이용한 산채국수 제조방법
KR20210014349A (ko) * 2019-07-30 2021-02-09 산골산나물 영농조합법인 산채분말을 이용한 산채국수 제조방법
KR20210029971A (ko) * 2019-09-09 2021-03-17 권민정 호떡 반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호떡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1362A (ko) * 2020-03-27 2021-10-08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참죽나무순과 백수오를 이용한 스낵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220141104A (ko) * 2021-04-12 2022-10-19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천하제일한우 고칼슘 사골 곰탕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사골 곰탕
KR102288313B1 (ko) * 2021-05-25 2021-08-10 이우철 흑마늘 돼지갈비 제조 방법
KR102354562B1 (ko) * 2021-08-27 2022-01-25 주식회사 강동오케익 항스트레스 기능을 갖는 소재를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KR102323704B1 (ko) * 2021-09-24 2021-11-09 주식회사 숲내음 농업회사법인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2470197B1 (ko) * 2022-08-24 2022-11-22 김명겸 통밀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0839B1 (ko) * 2022-08-24 2023-01-19 김명겸 둥굴레차를 이용한 통밀빵의 제조방법
KR102648639B1 (ko) * 2023-08-29 2024-03-18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대화농산 항산화능을 갖는 떡 조성물 및 상기 떡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항산화능을 갖는 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429B1 (ko) 야생초 화장품
KR20140054620A (ko) 야생초 식품첨가제
Al-Qudah et al. Lemon as a source of functional and medicinal ingredient: A review
KR20160087114A (ko) 꽃을 이용한 식품첨가제
KR20130086682A (ko)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KR100896902B1 (ko) 한방 개량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 고추장 조성물
KR101658618B1 (ko) 연잎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KR101676603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879016B1 (ko)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Phillips The Book of Herbs: An Illustrated AZ of the World's Most Popular Culinary and Medicinal Plants
KR101148006B1 (ko) 인삼 및 해삼을 포함하는 양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그 양삼계탕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Union internationale pour la conservation de la nature et de ses ressources A guide to medicinal plants in North Africa
KR20140052586A (ko) 잡초(야생초)밥
KR100896905B1 (ko) 한방 개량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된장 조성물
KR20090011984A (ko) 민들레 침출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Haghighi et al. The introduction of extinct endemic vegetables of Iran
KR20170115873A (ko) 과실과 구근을 혼합한 즙의 제조방법
KR101479228B1 (ko) 옥수수 감자 백숙의 제조방법 및 그 백숙
KR100894284B1 (ko) 머위, 매실 및 함초를 함유하는 침출차와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한 침출차와 액상추출차
KR102382950B1 (ko) 혼합 벌꿀의 제조방법
KR100934348B1 (ko) 동백나무잎 또는 꽃송이 부각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544543B1 (ko)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는 질경이와 허브의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De et al. Indigenous Horticultural Crops of India for Immunity Develo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