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109A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109A
KR20140044109A KR1020120110094A KR20120110094A KR20140044109A KR 20140044109 A KR20140044109 A KR 20140044109A KR 1020120110094 A KR1020120110094 A KR 1020120110094A KR 20120110094 A KR20120110094 A KR 20120110094A KR 20140044109 A KR20140044109 A KR 20140044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lexible substrate
flexible
display device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197B1 (ko
Inventor
최정호
오상헌
강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197B1/ko
Priority to US13/859,335 priority patent/US8932899B2/en
Priority to CN201310143226.2A priority patent/CN103715136B/zh
Publication of KR20140044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7806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involving the separation of the active layers from a substrate
    • H01L21/7813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involving the separation of the active layers from a substrate leaving a reusable substrate, e.g. epitaxial lift of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50Forming devices by joining two substrates together, e.g. lamin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9/00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 B32B2379/08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캐리어 기판에 연성 기판이 형성된 기판 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기판 조립체 복수개를 가열로 내에 다단으로 장착하는 단계와, 가열로 내에 다단으로 적층된 각각의 기판 조립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열풍을 불어서 열처리하는 단계와, 열처리된 기판 조립체의 연성 기판 위에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연성 기판과 캐리어 기판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조방식에 따르면 캐리어 기판과 연성 기판의 분리 후에도 연성 기판이 휘어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후속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핸들링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제품 손상의 위험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A flexible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판의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 특성상 박형화 및 플랙시블화가 가능하여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유연한 연성 기판 위에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때에는 통상 단단한 캐리어 기판 위에 폴리이미드와 같은 연성 소재를 도포하여 연성 기판을 형성하고, 그 연성 기판 위에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한 다음, 나중에 캐리어 기판과 연성 기판을 분리해내는 식으로 제조를 진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캐리어 기판과 연성 기판을 분리해내고 나면, 얇은 연성 기판이 압축 응력을 받아서 평평하게 펴지지 못하고 휘어지는 경우가 빈발한다. 이렇게 되면 후속 공정에서 제품을 취급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되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캐리어 기판과 연성 기판의 분리 후에도 연성 기판이 휘어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개선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캐리어 기판에 연성 기판이 형성된 기판 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기판 조립체 복수개를 가열로 내에 다단으로 장착하는 단계; 상기 가열로 내에 상기 다단으로 적층된 각각의 기판 조립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열풍을 불어서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된 기판 조립체의 상기 연성 기판 위에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연성 기판과 상기 캐리어 기판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풍은 각 단에 적층된 상기 기판 조립체의 연성 기판 평면을 따라 층류를 형성하며 지나갈 수 있다.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풍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열풍의 온도는 150℃ 미만의 제1단계와, 150℃ 이상 300℃ 미만의 제2단계 및, 300℃ 이상의 제3단계를 따라 단계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연성 기판은 폴리이미드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캐리어 기판은 글라스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 기판과 캐리어 기판의 분리 후, 상기 연성 기판을 재가열하는 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 단계는, 상기 연성 기판에 직접 열원을 접촉시키는 직접가열단계와, 상기 연성 기판을 일정 시간 고온 분위기 하에 두는 간접가열단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접가열단계에서는 50~150℃로 가열된 열판 위에 상기 연성 기판을 1~10분간 올려놓을 수 있다.
상기 간접가열단계에서는 50~150℃로 유지되는 오븐 안에 상기 연성 기판을 1~5분간 둘 수 있다.
상기 후처리 단계는 상기 캐리어 기판과 상기 연성 기판의 분리 후에 상기 연성 기판의 휨이 확인된 경우 선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캐리어 기판과 연성 기판의 분리 후에도 연성 기판이 휘어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후속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핸들링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제품 손상의 위험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g는 도 1에 도시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리이미드 재질의 연성 기판(11)과,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부(20),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밀봉시키는 봉지 기판(30)이 순차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기존의 두껍고 단단한 글라스 기판을 대신하여 극히 얇은 폴리이미드 재질의 연성 기판(11)과 박막으로 이루어진 봉지 기판(30)으로 디스플레이부(20)를 밀봉하는 플렉시블 구조를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두꺼운 글라스 기판으로 디스플레이부(20)를 상하로 둘러싸는 기존의 전형적인 구조에 비해 유연성이 상당히 증가하게 되며, 화면이 휘어진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도 가능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연성 기판(11)은 그 유연한 특성 때문에 핸들링이 쉽지 않으므로, 제조 중에는 글라스 재질의 단단한 캐리어 기판(12)과 기판 조립체(10)를 형성하게 하여 함께 이송시키고, 나중에 봉지 기판(30)까지 다 형성한 후 서로 분리시킨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와 발광층(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유닛으로, 여기서는 디스플레이부(20)로 간략히 나타내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봉지 기판(30)은 외부로부터의 수분의 침투를 막는 방습성을 가진 층으로서 예컨대 SiO/SiN의 다층막과 투명 폴리이미드가 적층된 박막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박막층이므로 그 두께가 1~10㎛에 불과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글라스 재질의 캐리어 기판(12)을 준비하여 그 위에 연성 기판(11)이 형성되도록 폴리이미드를 도포한다. 그러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기판(12) 위에 연성 기판(11)이 붙어있는 기판 조립체(10)가 형성된다.
그리고는, 이렇게 형성된 기판 조립체(10) 여러 개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열로(100) 내에 다단으로 적층시킨다. 이 가열로(100) 안에는 열풍기(110)에 의해 가열된 열풍(H)이 순환된다. 즉, 열풍기(110)에서 나온 열풍(H)이 열풍분사관(120)과 열풍유입관(130)을 통해 분사되고 유입되면서 순환하게 되며, 이때 열풍(H)이 각 단에 적층된 기판 조립체(10)의 평면 위를 층류를 형성하면서 지나가게 된다. 따라서, 각 단에 있는 개별 기판 조립체(10)에도 부위별로 균일한 열처리가 이루어지고, 각 단별로도 균일한 열처리가 진행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층류가 아니라 대류가 일어나는 상태가 되면 개별 기판 조립체(10)의 부위별로도 균일한 열처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적층된 단의 위치마다 가열되는 정도에 편차가 커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방식과 같이 각 단에 위치된 기판 조립체(10) 마다 열풍(H)의 층류가 형성되게 하여 가열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개별 기판 조립체(10)에도 부위별로 균일한 열처리가 이루어지고, 각 단별로도 균일한 열처리가 진행될 수 있다. 이렇게 가열로(100)에서의 열처리를 수행하게 되면, 각 기판 조립체(10)에서의 연성 기판(11)의 열팽창 계수도 부위별로도 균일해지고, 각 단에 위치된 여러 연성 기판(11)들 간의 열팽창 계수 편차도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균일한 열처리에 의해 내부 응력이 감소하여 나중에 캐리어 기판(12)을 떼어낸 후에도 연성 기판(11)이 휘어지는 현상이 줄어들게 되며, 또 전체적으로 모든 기판 조립체(10)의 연성 기판(11)이 거의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갖게 되므로 나중에 휨이 잘 생기지 않도록 분리 작업 조건을 설정하는 데에도 유리해진다.
이때, 갑자기 너무 높은 온도의 열풍의 분사하면 폴리이미드 재질의 연성 기판(11)에 기포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 열풍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이 좋다. 예컨대, 먼저 150℃ 미만 온도의 열풍을 불어서 폴리이미드 도포 시 함유된 용매가 증발되게 하고(제1단계 가열), 이후 150℃ 이상 300℃ 미만 온도의 열풍을 불어서 폴리이미드가 완전히 건조되게 하며(제2단계 가열), 마지막으로 300℃ 이상 온도의 열풍을 불어서 폴리이미드가 열안정화되며 균일한 열팽창계수를 갖게 하는(제3단계 가열) 식으로 열풍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열처리를 마친 후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 기판(11) 위에 디스플레이부(20)를 형성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도 2d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 위에 봉지 기판(30)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부(120)를 밀봉시킨다.
이어서, 도 2e와 같이 캐리어 기판(12)과 연성 기판(11)을 분리하게 되는데, 예컨대 캐리어 기판(12) 측에서 전면(全面)에 걸쳐 자외선 레이저광을 조사하면, 글라스 재질인 캐리어 기판(12)과 폴리이미드 재질인 연성 기판(11) 사이의 경계면에서는 두 층 간의 열분해에 의해 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도면과 같이 캐리어 기판(12)은 분리되며, 연성 기판(11)이 베이스 기판으로 남게 된다. 이때, 전술한 열처리에 의해 연성 기판(11)의 내부 응력이 제거된 상태이고 부위별, 개체별 열팽창계수가 균일해진 상태이므로, 캐리어 기판(12)을 떼어낸 후에 연성 기판(11)이 응력 때문에 휘어지는 현상이 대폭 줄어들게 된다. 또한, 열처리된 모든 기판 조립체(10)의 상태가 균일해졌기 때문에 원활한 분리 작업이 진행되도록 자외선 레이저광의 조사 조건을 설정하기도 용이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열풍 열처리를 거쳤다하더라도, 캐리어 기판(12)을 떼어낸 후 약간의 휨이 생길 수 있다. 그 휨 정도가 이후의 공정에서 연성 기판(11)을 핸들링하는데 문제가 없는 정도면 괜찮지만, 그 정도를 벗어난 경우에는 추가적인 후처리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후처리 단계는, 연성 기판(11)에 직접 열원을 접촉시키는 직접가열단계와, 연성 기판(11)을 일정 시간 고온 분위기 하에 두는 간접가열단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직접가열단계는,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된 열판(200) 위에 연성 기판(11)을 올려놓고 가열하여 응력을 풀어주는 것으로, 열판(200)을 약 50~150℃로 가열하여 그 위에 연성 기판(11)을 1~10분간 올려놓는다. 그러면, 휘어진 연성 기판(11)의 내부 응력이 해소되면서 평평한 상태로 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간접가열단계는,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50~150℃로 유지되는 오븐(300) 안에 연성 기판(11)을 1~5분간 두는 것으로, 마찬가지로 이에 따라 휘어진 연성 기판(11)의 내부 응력이 해소되면서 평평한 상태로 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조방식을 통해 유연한 연성 기판(11)과 봉지기판(30)으로 둘러싸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로(100)와 열판(200) 및 오븐(300) 등을 이용한 열처리를 통해 연성 기판(11)의 내부 응력을 해소시켜줌으로써, 캐리어 기판(12)을 떼어낸 후에 연성 기판(11)이 휘어지는 등의 문제를 억제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연성 기판(11)의 핸들링 과정에서 제품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도 대폭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설명한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캐리어 기판과 연성 기판의 분리 후에도 연성 기판이 휘어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후속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핸들링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제품 손상의 위험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연성 기판 12...캐리어 기판
20...디스플레이부 30...봉지 기판
100...가열로 200...열판
300...오븐

Claims (10)

  1. 캐리어 기판에 연성 기판이 형성된 기판 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기판 조립체 복수개를 가열로 내에 다단으로 장착하는 단계;
    상기 가열로 내에 상기 다단으로 적층된 각각의 기판 조립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열풍을 불어서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된 기판 조립체의 상기 연성 기판 위에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연성 기판과 상기 캐리어 기판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풍은 각 단에 적층된 상기 기판 조립체의 연성 기판 평면을 따라 층류를 형성하며 지나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풍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의 온도가 150℃ 미만의 제1단계와, 150℃ 이상 300℃ 미만의 제2단계 및, 300℃ 이상의 제3단계를 따라 단계적으로 상승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기판은 폴리이미드 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기판은 글라스 재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연성 기판과 캐리어 기판의 분리 후, 상기 연성 기판을 재가열하는 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단계는, 상기 연성 기판에 직접 열원을 접촉시키는 직접가열단계와, 상기 연성 기판을 일정 시간 고온 분위기 하에 두는 간접가열단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가열단계에서는 50~150℃로 가열된 열판 위에 상기 연성 기판을 1~10분간 올려놓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가열단계에서는 50~150℃로 유지되는 오븐 안에 상기 연성 기판을 1~5분간 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단계는 상기 캐리어 기판과 상기 연성 기판의 분리 후에 상기 연성 기판의 휨이 확인된 경우 선별적으로 진행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20110094A 2012-10-04 2012-10-0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1987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094A KR101987197B1 (ko) 2012-10-04 2012-10-0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US13/859,335 US8932899B2 (en) 2012-10-04 2013-04-09 Flexible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N201310143226.2A CN103715136B (zh) 2012-10-04 2013-04-23 柔性显示装置的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094A KR101987197B1 (ko) 2012-10-04 2012-10-0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109A true KR20140044109A (ko) 2014-04-14
KR101987197B1 KR101987197B1 (ko) 2019-06-11

Family

ID=5040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094A KR101987197B1 (ko) 2012-10-04 2012-10-0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32899B2 (ko)
KR (1) KR101987197B1 (ko)
CN (1) CN1037151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3615B (zh) * 2015-07-29 2018-01-26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曲面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5552247B (zh) * 2015-12-08 2018-10-26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复合基板、柔性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N107910457B (zh) * 2017-11-09 2020-03-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的缺陷修复方法
US10483499B2 (en) 2017-11-09 2019-11-19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efect repairing method of flexible display panel
CN112640087A (zh) * 2018-08-28 2021-04-09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812A (ko) * 2006-09-28 2008-04-03 주식회사 케이피씨 열처리장치
KR20120031698A (ko) * 2010-09-27 2012-04-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0680A (en) * 1991-04-25 1994-06-14 Silicon Valley Group, Inc. Primary flow CVD apparatus comprising gas preheater and means for substantially eddy-free gas flow
JP4073618B2 (ja) * 1999-12-02 2008-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フレキシブル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システム
US7951687B2 (en) * 2003-04-02 2011-05-31 Polymer Vision Limited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electronic device and flexible device
US7566640B2 (en) * 2003-12-15 2009-07-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integrated circuit device, noncontact thin film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dtag and coin including the noncontact thin film integrated circuit device
KR101222963B1 (ko) 2006-02-08 201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평탄화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KR20080091964A (ko) 2007-04-10 2008-10-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5290078B2 (ja) 2009-07-22 2013-09-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CN102714192A (zh) * 2009-11-20 2012-10-03 E.I.内穆尔杜邦公司 用于半导体封装应用中的互连导电物薄膜及其相关方法
KR101135543B1 (ko) 2009-12-09 2012-04-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용 기판 및 그 제조 방법과 상기 기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1328275B1 (ko) 2010-09-29 2013-11-14 주식회사 포스코 화학적 박리 방법을 이용한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플렉서블 전자소자 및 플렉서블 기판
US8895351B2 (en) * 2011-10-19 2014-11-25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forming a conductive layer
CN102386329B (zh) * 2011-11-14 2014-04-30 中山大学 一种柔性电子器件的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812A (ko) * 2006-09-28 2008-04-03 주식회사 케이피씨 열처리장치
KR20120031698A (ko) * 2010-09-27 2012-04-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15136B (zh) 2018-12-14
KR101987197B1 (ko) 2019-06-11
US8932899B2 (en) 2015-01-13
CN103715136A (zh) 2014-04-09
US20140099743A1 (en)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4109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JP2009010353A5 (ko)
KR102082782B1 (ko) 플렉서블 기판용 캐리어, 이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방법
US10079352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flexible device
WO2016095427A1 (zh) 一种激光烧结设备及烧结方法
WO2016095415A1 (zh) 一种激光烧结设备及烧结方法
TW2007075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wafer
KR101593833B1 (ko) 기판 히팅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 본딩 장치
JP2015052627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1464207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및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에 사용되는 아이알 히터
JPWO2005094132A1 (ja) 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TWI703677B (zh) 用於加工基板的裝置
CN114628231A (zh) 衬底杂质移除方法及衬底处理设备
US20080011427A1 (en) Device for bonding two plate-shaped objects
CN107910457B (zh) 一种柔性显示面板的缺陷修复方法
KR102053176B1 (ko) 반도체 기판의 공정 처리 챔버 장치
KR102053177B1 (ko) 반도체 기판의 공정 처리 챔버 장치
TWI786302B (zh) 加熱裝置及加熱方法
JPH07106239A (ja) 基板加熱装置
KR102115561B1 (ko) 폴리이미드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US20070094982A1 (en) Heat treatment for a panel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heat treatment method
JP2003068598A (ja) ベーキング方法及びベーキング装置
KR100696375B1 (ko) 베이크 장치
JP2011070085A (ja) 表面加熱装置
KR10112059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