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263A -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263A
KR20140032263A KR1020120098946A KR20120098946A KR20140032263A KR 20140032263 A KR20140032263 A KR 20140032263A KR 1020120098946 A KR1020120098946 A KR 1020120098946A KR 20120098946 A KR20120098946 A KR 20120098946A KR 20140032263 A KR20140032263 A KR 20140032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server
information
external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7493B1 (ko
Inventor
박준필
하미경
성병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1655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3226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8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493B1/ko
Priority to US14/017,517 priority patent/US9791838B2/en
Priority to ES13183129.9T priority patent/ES2539929T3/es
Priority to EP13183129.9A priority patent/EP2706704B1/en
Priority to PL13183129T priority patent/PL2706704T3/pl
Priority to CN201310403718.0A priority patent/CN103685450B/zh
Publication of KR20140032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263A/ko
Priority to US15/695,660 priority patent/US1038680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스마트 세탁장치를 포함한 온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용이하고 저렴하게 상기 스마트 세탁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더욱 확장된 형태의 스마트 가전제품,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그리고 온라인 시스템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단말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서버에 로그인(Log In)하는 단계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원격 서비스를 위한 가전제품을 특정하여, 상기 특정된 가전제품의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이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 상기 가전제품의 가변 동작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단말에서 상기 수신된 가변 동작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제품이 동작하도록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명령 신호를 상기 가전제품으로 전달하여 상기 가전제품이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home applianc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와 통신을 통하여 세탁장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가 기능은 세탁장치 본연의 기능에서 확장된 확장 기능을 포함하고, 세탁장치 본연의 기능과 무관한 새로운 기능을 포함한다. 아울러, 외부에서 상기 세탁장치에 직접 접근하지 않아도 상기 세탁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세탁장치를 스마트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스마트 세탁장치를 포함한 온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용이하고 저렴하게 상기 스마트 세탁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더욱 확장된 형태의 스마트 가전제품,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그리고 온라인 시스템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장치로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가 대표적이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또한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물론,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시킬 수 있는 세탁 겸 건조기도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물에 의한 세탁이 아닌 열풍이나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를 리프레시하는 리프레셔가 출시되고 있으며, 이 또한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의류는 아니지만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세척기 또한 넓은 의미로 세탁장치라 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의 세탁장치라 함은 전술한 각종 기기들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세탁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세탁기를 중심으로 기술하며, 다른 장치와 배타적이고 모순되지 않는 한 다른 세탁장치로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세탁기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적용될 수 있는 컨트롤 패널이다.
컨트롤 패널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접근과 조작이 용이하도록 세탁기의 전면에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컨트롤 패널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이 구비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해주기 위한 각종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세탁기의 주기능은 세탁이다. 따라서 각종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코스 선택부(110) 또는 주기능 선택부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코스를 선택하게 된다. 일례로 로터리 놉 형태로 코스 선택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코스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컨트롤 패널(100)에는 코스 표시부(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코스 표시부에 대응되도록 코스 선택부(110)를 조작하여 원하는 세탁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에는 로터리 놉(110) 주위에 다양한 세탁 코스가 표시된 코스 표시부(111)가 도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로터리 놉(1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세탁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세탁 코스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된 세탁 코스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21)는 점멸되는 LED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주기능 수행에 있어서 부가되거나 변경되는 옵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선택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옵션 선택부(120)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일례로 세탁(120a), 헹굼(120b), 탈수(120c), 물온도(120d), 건조(120e), 스팀(120f), 그리고 예약(120g)과 관련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선택부(120)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옵션이 선택되었는지를 표시하는 옵션 표시부(122)도 구비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LED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 패널(100)에는 보조 기능을 선택하도록 하는 보조 선택부(1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선택부(123)는 페데스탈과 같이 세탁기와 독립적인 공간을 통해 신발(슈즈)의 건조(122)와 리프레쉬(121) 기능을 수행하도록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선택부(123)는 전술한 옵션 선택부(120)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전술한 세탁 코스와 옵션 이외의 다른 선택을 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컨트롤 패널(100)은 세탁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부(130)를 통해서 현재 세탁기의 동작 상태나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 옵션 그리고 시간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세탁기가 헹굼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헹굼 단계 중"이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코스 입력을 기다리는 경우 "세탁 코스를 입력하세요"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의 시간이나 세탁기가 세탁 코스를 모두 수행하여 동작을 완료하는 데까지 남아있는 시간(잔여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컨트롤 패널(100)에는 세탁기의 전원을 인가하고 해제시키는 전원 선택부(140)와 세탁기 동작을 실행시키거나 일시정치를 위한 동작/일시정지 선택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컨트롤 패널(10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컨트롤 패널(100)의 공간상의 문제로 기본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이외에 부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물론, 복잡하고 다양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컨트롤 패널(100)에 구현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사용자의 과도한 집중과 사전 지식을 요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100) 제조의 어려움이나 고용량의 메모리를 요하게 되어 세탁기 자체가 과도하게 비싸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 선택부들(110, 120)과 표시부들(111, 121, 122)은 각각의 기능이 기설정되거나 세팅된 상태이므로 부가 기능을 위한 확장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세탁기는 통상 세탁실에 위치되며 상기 세탁실은 사용자가 자주 접근하는 곳이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세탁기의 이용만을 위해 세탁실로 들어가 세탁기에 직접 접근해야 하는 수고가 많아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들(111, 121, 122, 130)을 통해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세탁기에 접근하지 않는다면 무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장치 본연의 기능 수행뿐만 아니라 세탁장치 본연의 기능에서 확장된 확장 기능이나 세탁장치 본연의 기능과 무관한 새로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공이 필요하다.
아울러, 기존의 컨트롤 패널의 교체나 수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즉 세탁기의 하드웨어를 변경하지 않고, 확장 기능이나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세탁장치의 제공이 필요하다.
특히, 세탁장치는 동작 시작으로부터 종료까지 평균적으로 1시간 이상 소요될 수 있다. 그리고, 세탁 종료 후 세탁물을 세탁장치에 방치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외부에서 세탁장치를 원격 제어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원격에서 세탁 장치를 제어하게 되면, 작동 종료 시간을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시간에 맞춰 세탁장치에서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꺼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종래의 세탁장치에 예약 옵션이 구비된다. 그러나 이 경우 외부에서 원격 제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사정 변경이 있더라도(예를 들어, 귀가 시간이 예상보다 늦어지는 경우) 예약 시간을 변경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건조기, 세탁기, 리프레셔, 식기 세척기 등의 세탁장치뿐만 아니라 오븐, 청소기, 냉장고, 정수기, 에어컨 등 많은 가전제품에서도 원격 제어가 필요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문제는 비단 세탁장치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닐 것이다. 냉장고, 오븐, 에어컨이나 로봇 청소기와 같은 가전제품의 경우에도 마찬가질 일 수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가전제품들도 세탁장치의 컨트롤패널과 대응되는 구성,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연의 기능을 위한 선택부와 이에 대응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기능의 확장 및 새로운 기능 구현의 필요성은 세탁장치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즉, 많은 가전제품에서도 공간상의 제약이나 비용상의 제약으로 인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확장이 어렵기 때문이다.
가전제품은 그 특성상 가정 내에서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장치를 직접 조작하는 것과 원격 제어하는 것 사이에서 혼선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이러한 혼선을 방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이 제공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가전제품의 대표적인 예로 세탁기를 중심으로 기술하며, 다른 가전장치와 배타적이고 모순되지 않는 한 다른 가전제품으로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가전제품의 하드웨어 변경없이 가전제품 본연의 기능뿐만 아니라 더욱 확장되거나 새로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외부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서버나 외부 단말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수신하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능 확장 및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외부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서버나 외부 단말로 다양한 세탁장치의 정보를 송신하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능 확장 및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외부와 통신 연결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가전제품에 접근하지 않고도 가전제품의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상기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문자의 입력 수단이 마련되지 않은 가전제품의 통신 연결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표시부)가 마련되지 않은 가전제품의 통신 연결과 표시되는 정보의 다양화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가전제품을 직접 조작하는 것과 원격 제어하는 것 사이에 혼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가전제품, 특히 세탁장치와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단말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서버에 로그인(Log In)하는 단계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원격 서비스를 위한 가전제품을 특정하여, 상기 특정된 가전제품의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이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 상기 가전제품의 가변 동작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단말에서 상기 수신된 가변 동작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제품이 동작하도록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명령 신호를 상기 가전제품으로 전달하여 상기 가전제품이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버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와 매칭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가전제품 정보를 통해, 원격 서비스를 위한 가전제품을 특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가전제품 정보를 통해, 원격서비스를 위한 가전제품을 특정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동작 정보는 상기 외부 단말에서 변경 가능한 정보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는, 상기 가전제품 정보에 해당하는 가변 동작 정보를 특정하여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은 세탁장치이며, 상기 가변 동작 정보는 세탁코스와 상기 세탁코스 내에서의 옵션 정보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옵션 정보는, 세탁 정도, 헹굼 횟수, 탈수 정도, 세탁수 온도 그리고 스팀 사용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단말에서 상기 가변 동작 정보를 세팅하고, 상기 세팅된 가변 동작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세팅된 가변 동작 정보에 따라 상기 가전제품이 작동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상태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에 송신하여, 상기 외부 단말에서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에서,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중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을 일시정지시키는 명령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가전제품에 송신하여,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이 일시정지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의 일시정지 상태에서,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일시정지 상태와 상기 세팅된 가변 동작 정보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에서, 상기 가전제품의 일시정지 상태에서, 상기 세팅된 가변 동작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가전제품의 재시작하게 하는 명령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가전제품에 송신하여, 상기 가전제품이 재시작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에서,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중 상기 가전제품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명령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가전제품에 송신하여, 상기 가전제품의 전원이 오프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중, 상기 외부 단말에서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을 일시정지시키는 명령 또는 상기 가전제품의 전원을 오프하는 명령만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전제품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를 설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는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를 설정 또는 해제만을 위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는 상기 가전제품의 본연의 기능 선택을 위해 구비되되, 입력 방법을 달리하여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를 설정 또는 해제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전제품에 탑재되거나 연결되는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와이파이 통신모듈과 억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에는, 상기 가전제품의 상태, 와이파이 통신 연결 상태 그리고 원격서비스활성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와이파이 통신 연결 상태에서만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후 상기 사용자 정보와 가전제품 정보가 함께 상기 서버에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정보와 가전제품 정보가 함께 상기 서버에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가전제품의 원격서비스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정보와 가전제품 정보가 함께 상기 서버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외부단말에는 상기 가전제품을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이 안내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을 위한 설정모드와 통신을 위한 사용모드를 지원하는 와이파이 통신모듈, 상기 설정모드를 동작시키도록 구비된 입력부 그리고 온라인서비스활성화를 설정 또는 해제하도록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를 갖는 가전제품; 그리고 상기 설정모드에 접속한 후, 상기 통신모듈과 접속될 AP SSID 정보와 상기 가전제품을 상기 서버에 등록시키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사용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서버에 로그인하여 상기 가전제품에서 상기 온라인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면 상기 가전제품의 원격서비스를 상기 서버로 요청하여 상기 가전제품의 원격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하는 외부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와이파이 통신모듈과 온라인서비스활성화를 설정 또는 해제하도록 구비된 온라인서비스활성화 입력부를 갖는 가전제품; 그리고 상기 가전제품에서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만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가전제품의 가변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변 동작 정보를 세팅하여 상기 가전제품이 상기 세팅된 가변 동작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제품이 동작하도록 명령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가전제품을 원격 제어하도록 구비된 외부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단말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서버에 로그인(Log In)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원격 서비스를 위한 가전제품을 특정하여, 상기 특정된 가전제품의 원격서비스활성화 상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전제품이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가전제품으로부터 상기 가전제품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은 세탁장치이며, 상기 상태 정보는, 원격제어 대기 상태, 동작 중인 상태, 동작 일시정지 상태 그리고 예약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가 원격제어 대기 상태 또는 상기 동작 일시정지 상태인 경우, 상기 서버에서 수신된 상기 가전제품의 가변 동작 정보가 상기 외부 단말에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태 정보가 동작 상태 또는 예약 상태인 경우, 상기 외부 단말을 통해 코스 종료 후 드럼을 구동하여 세탁물의 구김 발생을 방지하는 구김 방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구김 방지 선택부가 상기 외부 단말에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김 방지 기능은 상기 외부 단말을 통해서만 선택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의 원격제어활성화 해제는, 상기 가전제품의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를 통한 해제와 상기 가전제품의 전원 오프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만, 상기 가전제품의 원격제어활성화 해제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의 전원 오프는,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완료에 의한 전원 오프, 상기 가전제품에서의 강제적인 전원 오프 그리고 상기 외부 단말을 통한 상기 가전제품의 전원 오프 명령에 의한 상기 가전제품의 전원 오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중 상기 가전제품의 에러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에러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를 통해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면, 이의 해제시까지 상기 표시부에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지속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까지, 상기 아이콘 표시와 함께 상기 표시부에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임을 안내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아이콘 표시와 함께 상기 표시부에 상기 세탁장치의 동작 시작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동작 시작 표시 후 소정 시간 경과하여, 상기 아이콘 표시와 함께 상기 표시부에 상기 세탁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세탁장치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를 통한 해제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세탁장치의 전원 오프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만, 상기 세탁장치의 원격제어활성화 해제가 수행되어 상기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와 통신하고, 외부 단말에서 상기 서버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트롤패널을 갖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코스 선택부, 옵션 선택부, 시작버튼, 상기 세탁장치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원격서비스활성화를 설정 또는 해제하도록 구비되는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원격 제어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서 서버와의 통신 연결 중임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 중,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를 통해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면, 이의 해제시까지 상기 표시부에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지속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까지, 상기 아이콘 표시와 함께 상기 표시부에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임을 안내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아이콘 표시와 함께 상기 표시부에 상기 세탁장치의 동작 시작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동작 시작 표시 후 소정 시간 경과하여, 상기 아이콘 표시와 함께 상기 표시부에 상기 세탁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사이트를 이용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서버에 상기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 세탁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 외부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서버에 로그인 하는 단계; 상기 로그인 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세탁장치가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은 등록된 세탁장치가 있는 경우 등록된 세탁장치를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고, 등록된 세탁장치가 없는 경우 세탁장치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을 통해 원격 제어를 위한 세탁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세탁장치의 원격서비스활성화 상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전제품이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 상기 세탁장치의 가변 동작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에서 상기 수신된 가변 동작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세탁장치가 동작하도록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명령 신호를 상기 세탁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세탁장치가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제어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사용자 등록이 이루어지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를 상기 서버에 등록시키기 위한 사용자 사이트; 고유의 디바이스 아이디를 갖고, 상기 사용자 사이트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 아이디를 상기 사용자 사이트 또는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서버에 등록되고, AP와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되고,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에 의해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면 상기 서버를 통해 원격제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가전제품; 그리고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원격제어 하고자 하는 가전제품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가전제품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서버로 송신하도록 구비되는 외부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나타나는 특징들은 각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가전제품의 하드웨어 변경없이 가전제품 본연의 기능뿐만 아니라 더욱 확장되거나 새로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외부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서버나 외부 단말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수신하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능 확장 및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외부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서버나 외부 단말로 다양한 세탁장치의 정보를 송신하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능 확장 및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외부와 통신 연결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가전제품에 접근하지 않고도 가전제품의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상기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문자의 입력 수단이 마련되지 않은 가전제품의 통신 연결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표시부)가 마련되지 않은 가전제품의 통신 연결과 표시되는 정보의 다양화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한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가전제품을 직접 조작하는 것과 원격 제어하는 것 사이에 혼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가전제품, 특히 세탁장치와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가전제품의 일례인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을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현될 수 있는 서버, 가전제품 그리고 외부 단말이 연동되는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도 3은 가전제품의 디스플레이보드에 DM 클라이언트가 설치되는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4는 회원 가입 및 활성화 절차 및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5는 외부 단말에서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받는 절차와 사용자가 관리서비스를 요청하는 절차 및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6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대한 절차 및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7은 진단 또는 모니터링 관리서비스와 관련된 절차 및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8은 가전제품의 통신 연결을 위한 절차 및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9는 가전제품의 통신 연결을 위한 절차 및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0은 가전제품 표시부의 초기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1은 와이파이 설정모드 시 가전제품 표시부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2는 외부 단말이 설정모드 접속 시 외부 단말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3은 외부 단말이 설정모드 접속 시 가전제품 표시부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4는 설정모드 완료 시 가전제품 표시부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5는 외부 단말을 통한 가전제품의 원격 관리를 위한 초기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6은 외부 단말의 로그인 화면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7은 가전제품이 서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화면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8은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컨트롤패널을 도시하고;
도 19는 가전제품에서 원격제어활성화를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가전제품 표시부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20은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가 표시된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21은 원격 제어를 위한 외부 단말, 서버 그리고 가전제품 사이의 통신 플로우를 도시하고;
도 22는 원격 제어가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외부 단말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23은 원격 제어 대기 상태에서의 외부 단말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24는 원격 제어를 통한 세탁 시작을 알리는 가전제품 표시부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25는 가전제품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가전제품 표시부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26은 가전제품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외부 단말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27은 가전제품의 일시 정지 상태를 나타내는 외부 단말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28은 가전제품의 일시 정지 상태를 나타내는 가전제품 표시부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29는 가전제품의 예약 상태를 나타내는 외부 단말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30은 가전제품의 예약 상태를 나타내는 가전제품 표시부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31은 도29에 도시된 화면에서 예약 시간을 변경할 때의 화면을 도시하고;
도 32는 예약 시간이 변경된 후 가전제품 표시부 화면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33은 구김 방지 기능이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가전제품 표시부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34는 가전제품의 동작 완료를 나타내는 가전제품 표시부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35는 구김 방지 기능이 수행중이 상태를 나타내는 가전제품 표시부의 화면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 가정에 위치한 가전제품들이 서버에 통신연결되어 관리되는 전체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원격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 서비스 대상이 되는 모든 가전제품을 관리하기 위한 서버(10)가 필요하다. 상기 서비스 대상의 가전제품들(20, 21)은 상기 서버에 통신연결되어 상기 서버(10)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서비스 요청은 상기 가전제품(20)을 통해서 서버로 접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가전제품 이외의 수단을 통해 서비스 요청을 접수받기 위해 인터넷 사이트(이하 "사용자 사이트"라 함, 60, 도 4 참조), 외부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40) 등과 같은 별도의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원격 서비스의 구체적인 예들은 후술한다.
여기서, 외부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40)은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가전제품이나 서버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기기를 의미하고, 외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 모듈을 갖는 기기들을 의미한다.
가전제품의 관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가전제품을 통해 서비스를 공급할 사업자는 상기 서버를 구축하는 것에 의해 원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상기와 같은 사용자 사이트 등을 구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서버(10)에 의한 원격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제품(20)을 구매하여 원격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품은 서버(1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측 프로토콜 등이 구비된 제품일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제품으로서 상기 서버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제품을 위해 상기와 같은 통신모듈 및 클라이언트측 프로토콜을 포함한 별도의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별도의 장치를 구매하여 상기 기존 제품에 연결함으로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서버(10)에 의한 원격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가전제품(20)은 자체의 고유한 디바이스ID를 가지고 상기 서버(10)에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가전제품(20)으로부터 상기 서버(20)에 억세스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ID를 통해 그 가전제품을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는 상기 디바이스ID와 함께 해당 가전제품의 특성정보(예컨대, 제품종류, 모델정보 등등)가 함께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ID는 제품종류나 모델정보와 같은 제품의 특성정보와 관계없이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제품의 특성정보가 함께 코드화되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디바이스ID만을 가지고 상기 서버(10)는 해당 제품의 종류나 모델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서버(10)에 등록된 가전제품(20)에 대해서는 그 가전제품을 통해서 서비스를 요청하여 받을 수 있다. 예컨대, 냉장고(21)의 디스플레이창(표시부)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그 냉장고(21)는 서버(10)에 해당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많은 경우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오븐, 에어컨, 정수기 등의 가전제품은 사용자와 항상 인접한 곳에 위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전제품은 집에 있고, 사용자는 회사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전제품(20)을 통해 서버로 해당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전제품들은 많은 경우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같이 항상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외부 단말(40)을 통해 상기 서비스를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외부 단말에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단말(40)은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어 매우 편리하게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상기 응용프로그램들을 통해 상기 가전제품들을 원격 관리, 원격 제어, 모니터링, 진단 등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이 전술한 원격 서비스의 일례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 단말(40)은 서버(10)와 직접 통신하고, 상기 서버(10)는 상기 가전제품들(21, 22)과 통신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 단말(40)을 통해 원격 서비스를 요청하고 서비스 수행 및 완료 등과 같은 정보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외부 단말(40)은 상기 가전제품과 직접 통신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 경우 가전제품에는 외부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외부 단말(40)의 통신 환경은 가전제품의 통신환경에 비해 안정적이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외부 단말(40)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기 때문이다.
반면, 상기 가전제품은 건물 내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건물 내의 AP를 통해 안정적으로 상기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외부 단말은 상기 서버를 거쳐 상기 가전제품과 간접적으로 통신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가전제품의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원격 제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를 요청하고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외부 단말(40), 서비스를 원하는 가전제품(20) 그리고 서버(10)와의 관계가 특정될 필요가 있다. 즉, 가전제품(20)을 통하여 서버(10)에 억세스하는 경우에는 억세스할 때 상기 가전제품의 ID를 통해 억세스함에 따라 서버에 서비스 대상을 특정할 수 있지만, 가전제품(20)을 통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떻게 서비스 대상의 가전제품을 특정할지가 결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서버(20)가 특정 사용자와 상기 특정 사용자의 가전제품에만 원격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원격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가전제품 모두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이러한 원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사용자는 사용자 사이트(60, 도 4 참조)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가전제품 고유의 디바이스ID를 입력하면서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부여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자신이 보유한 가전제품을 모두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사이트에 등록된 가전제품들은 서버에 해당 사용자 ID와 함께 등록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사용자 사이트에서 자동으로 상기 서버에 사용자 ID와 사용자 ID와 매칭된 가전제품들의 디바이스ID들을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와 가전제품에 관련된 가전제품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 정보와 가전제품 정보는 매칭되어 서버에 저장된다.
한편, 사용자는 외부 단말(4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 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부여받을 수도 있다. 물론, 이를 통해서 자신이 보유한 가전제품을 모두 등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특정 가전제품의 원격 서비스를 위해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 가전제품의 원격 서비스를 위해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사이트에 접속하여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사용자 정보를 통해 가전제품에서 직접 상기 가전제품을 서버로 등록할 수 있다. 즉, 가전제품을 통해서 상기 가전제품을 상기 서버로 등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서버 주소와 사용자 사이트 주소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사용자 정보와 가전제품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여 양자 간의 통신이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는 가전제품과 사용자를 매칭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서버는 특정 사용자가 특정 가전제품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 상기 특정 제품이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지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가전제품(20)을 통한 서버(10)로의 등록은 후술하게 될 활성화(activation) 절차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어느 경우이든, 사용자가 ID를 발급받는 경우 그 ID는 그 사용자의 가전제품 정보, 즉 디바이스ID와 같은 제품의 고유정보와 함께 서버(10)에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와 가전제품의 정보는 서로 매칭되어 있으므로, 어느 하나를 통해서 다른 하나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 사이트, 외부 단말(40) 또는 가전제품(2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접수된 서비스는 운영자가 서버(10)에 해당 관리 서비스를 위한 명령을 내림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서버의 오픈 API를 통해 상기 사용자 사이트, 외부 단말 또는 가전제품이 직접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서버에 직접 관리 요청을 할 수 있다.
서버(10)에는 관리 서비스를 위한 서버측 프로토콜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서버측 프로토콜은 제품의 클라이언트측 관리프로토콜과 연동하여 요청된 원격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서버(10)와 가전제품(20) 간의 상기와 같은 관리 서비스 수행을 위한 프로토콜로서 OMA DM(Open Mobile Alliance Device Management)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OMA DM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서버 측은 DM 서버 그리고 가전제품 측은 DM 클라이언트라 할 수 있다. 물론, OMA DM이 아닌 다른 솔루션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OMA DM 프로토콜을 이용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서버는 역할에 따라 다수의 서버로 분리될 수 있다. 도 2에는 서버(10)가 DM 서버(DM Server), 통지서버(Notify Server), 디엘서버(DL Server), 오엔엠서버(ONM Server), 레가시서버(Legacy Server) 등으로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버가 역할에 따라 분리되면, 특정 서비스를 수행할 때 DM 서버는 다른 서비스를 위한 준비 또는 수행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동시에 다수의 서비스의 처리가 가능하다.
상기 서버들은 그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그 대상에 직접 억세스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서버들은 서비스 대상의 가전제품에 직접 억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통지서버는 대상 가전제품에 직접 통지를 전송할 수 있고, 디엘서버는 업그레이드된 펌웨어를 직접 대상 가전제품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는 관리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 달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펌웨어 업데이트만을 서비스 내용으로 하는 경우에는 DM 서버, 통지서버, 디엘서버에 의해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이외의 서버는 필요치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펌웨어 업데이트에 대한 통지절차 없이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 한다면 통지서버도 필요치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펌웨어 업데이트, 소프트웨어(각종 콘텐츠 포함) 관리, 가전제품 진단, 가전제품 모니터링, 냉장고 유통기한 알림, 냉장고 푸드리스트(food list) 제공, 세탁코스 업그레이드 등을 고려하기 때문에 도 2와 같이 서버가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할 뿐이며, 본 발명이 도 2와 같은 서버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온라인 시스템 각각의 구성 및 통신환경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내용은 모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되는 것에 의해 추가되는 구성이 있을 수 있다.
(1) 서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1) DM 서버(DM Server)
DM 서버의 역할은 DM 클라이언트에게 관리 명령을 내리는 것이다. 즉, 관리 명령을 통해 펌웨어 업데이트(모뎀 펌웨어/OS) 관리작업, 소프트웨어 관리작업, 진단 관리작업 등등을 원격으로 처리하는 관리기능을 제공한다. DM 서버는 세션 메니지먼트(Session Management) 영역, 서큐리티 메니지먼트(Security Management) 영역, 디임 프로토콜 프로세스(DM Protocol Process) 영역 그리고 싱크엠엘 프로토콜 엔진(SyncML Protocol Engine)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2) 디엘서버(DL Server)
DL 서버는 DL 클라이언트에게 파일을 전송하는 것이다. 즉, DD(Download Descriptor)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의 정보를 전달하여, DL 클라이언트가 정확하게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DL 클라이언트는 파일을 다운로드받는 가전제품을 의미한다. 다운로드되는 파일은 펌웨어 업데이트 패키지와 소프트웨어 관리 패키지가 있다. 디엘서버는 세션 메니지먼트(Session Management) 영역, 패키지 메니지먼트(Package Management) 영역 그리고 다운로드(Download) 영역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3) 오엔엠서버(ONM Server) 또는 사용자 포털(User Portal)
ONM 서버의 역할은 DM 또는 DL 서버 및 Legacy 서버와 인터페이스하며, 비즈니스 로직이 구현된다. 운영자는 ONM 서버의 관리 웹 페이지를 통하여 관리 명령을 내리거나, 관리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사용자 포털은 ONM의 일부 기능을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DM 서버의 오픈 API를 통해 구현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포털을 통해 DM 서버에 관리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
4) 레가시서버(Lagacy Server)
ONM 서버가 연동되는 대표적인 Legacy 서버는 단말기 정보를 전달받는 서버와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는 서버가 있다. 즉, 사용자 정보 또는 가전제품의 정보를 ONM 서버로 전달하여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5) 통지서버(Notification Server)
통지서버는 DM 서버의 통지 메시지를 가전제품으로 전송한다. 통지서버는 세센 제너레이션(Session Generation) 영역 그리고 스케쥴 메니지먼트(Schedule Management) 영역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만약, 가전제품이 사설망(private network)에 존재한다면, 상기 가전제품과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서버 측에 특별하게 구성되는 연결메니져(Connection Manager)가 필요할 수 있다. 가전제품이 부팅후 자동으로 TCP 연결을 요청할 수 있으며, 연결메니져는 요청된 TCP 연결을 유지한다. DM 서버는 이를 통해 통지 메시지를 전달한다.
6) 오픈 API(Open API)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은 디엠 서버에서 제공되는 오픈 API를 통해 가전제품들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오픈 API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2) 가전제품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1) 통신모듈
가전제품에는 통신모듈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통신모듈은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선 통신모듈일 수도 있고, 무선 통신모듈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와이파이(Wi-Fi)가 가능한 통신모듈일 수 있으며, 피엘시(PLC)통신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이 가능한 모듈일 수도 있다.
2) 디엠클라이언트(DM Client)
DM 클라이언트의 주요 역할은 DM 서버의 관리 명령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DM 서버의 관리 명령을 통해 펌웨어 업데이트 관리작업, 소프트웨어 관리작업, 진단 관리작업, 제어 관리작업을 원격으로 처리하는 관리기능을 제공한다.
도 3에는 DM 클라이언트가 가전제품에 구비된 일례를 도시한다. TFT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가전제품의 경우 상기 TFT의 회로보드(디스플레이보드)에 DM 클라이언트가 탑재될 수 있다. 도 3에서 메인보드는 해당 가전제품의 본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보드이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경우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급수밸브를 제어하고, 드럼과 연결된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콘트롤러가 메인보드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DM 클라이언트는 가전제품의 메인보드에 탑재될 수도 있지만, 관리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창이 많이 이용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보드에 탑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3) 디엘클라이언트(DL Client)
DL 클라이언트의 주요 역할은 DL 서버로부터 패키지 파일(펌웨어 업데이트 패키지, 소프트웨어 관리패키지 등)를 다운로드 하는 것이다. DM 클라이언트로부터 다운로드 서버 URL을 받아 다운로드 서버에 접속하여 DD(Download Descriptor)를 가져와 다운로드 작업을 실행한다.
4) 에이젼트(Agent)
관리 서비스 내용에 따라 가전제품에서 요청된 관리 서비스 명령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업데이트 에이젼트(Update Agent)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해 다운로드 되어있는 업데이트 패키지를 이용하여 신규 펌웨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업데이트 에이젼트는 제조사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되어 질 수 있다.
5) 데몬(Daemon)
데몬은 가전제품이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처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전제품에서 전원코드가 빠져 있지 않는 이상, 데몬은 항상 on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세탁기의 전원이 OFF 상태이더라도 세탁기의 전원코드가 소켓에 접속되어 있는 이상 데몬은 항상 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서버의 요청으로 세탁기의 전원을 온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데몬은 메인보드에 파워를 온시키도록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6)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의 승인을 받을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가전제품에서 관리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가전제품의 TFT 엘시디창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터치 엘시디 또는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관리 서비스를 위한 화면이 팝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한 관리 서비스 화면에는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는 사용자 사이트를 통해 회원가입하면서 부여받은 아이디 및 패스워드일 수 있다. 서버시스템은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기에서 서비스 요청을 할 때, 단말기는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 디바이스ID, 그리고 서비스의 요청 정보 등을 서버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모든 가전제품에 구비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가전제품 본연의 기능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외에 부가적으로 관리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은 많은 비용과 공간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문자 등의 입력 수단이나 많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하는 것은 세탁장치, 에어컨, 청소기, 오븐 등과 같은 가전제품에는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전제품의 관리 서비스 수행을 위해서는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 단말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스마튼 폰과 같은 외부 단말은 자체 통신모듈, 메모리, OS, 입력수단 및 디스플레이부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터치 LCD나 LED를 갖는 외부 단말이 많이 보급되어 있다. 따라서, 가전제품이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계를 이러한 외부 단말을 통해 보완하거나 확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는 후술한다.
(3) 이하에서는 가전제품과 서버와의 통신환경에 대해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상기의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적합하기만 하면 통신환경은 그 종류에 관계없다.
도 2는 가전제품(20)에 무선 인터넷 통신모듈이 적용되어 AP(Access Point, 공유기, 30)를 통해 인터넷망을 거쳐 서버(10)와 통신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가전제품(20)을 시작점으로 하여 서버(10)까지의 통신 경로를 고려할 때, AP이후는 공용 인터넷망이며, AP 이전은 사설 인터넷망에 해당한다. 가전제품 각각(21, 22)은 AP(30)로부터 사설 IP를 부여받게 되며, AP(30) 자체는 고유한 IP를 가지게 된다.
서버(10)도 IP를 가지는데, 서버의 IP는 고유의 IP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전제품의 통신모듈, 예를 들어 와이파이 모듈은 상기 서버의 고유IP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화 절차를 통해 상기 가전제품이 상기 서버의 IP로 접속하여 양자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에서 가전제품(20)의 위치를 알고 찾아갈 수 있도록, DM 클라이언트는 DM 서버에 계속 신호를 보낼 수 있다. AP(30)는 해당 가전제품이 연결된 포트정보와 자신의 고유 IP정보를 DM 서버에 보내주게 되며, 이를 통해 DM 서버는 DM 클라이언트의 위치를 알게 된다. 물론, 가전제품에서 AP(30)의 정보와 AP(30)에 연결된 포트정보를 AP를 통해서 서버(10)로 보내주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가전제품(20)에서 디바이스ID 정보를 함께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시스템은 어떠한 가전제품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알고 있게 되며, 그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제품에 억세스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10)는 특정 사용자의 특정 가전제품(20)이 어디에 위치되어 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전제품이나 사용자의 외부 단말을 통해 특정 서비스가 서버에 요청되었을 때, 용이하게 특정 가전제품을 결정하여 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4) 관리자 포털(Admin Portal)
관리자 포털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관리자가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펌웨어 업데이트의 경우를 살펴보면, 펌웨어를 업데이트하여 등록하는 관리자와, 등록된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검증하는 관리자 등등이 관리자 포털을 통해 서로 협업할 수 있다. 관리자 포털은 펌웨어 업그레이드 프로세스(Firmware Upgrade Process) 영역,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프로세스(Software Upgrade Process) 영역, 디바이스 메니지먼트(Device Magement) 영역, 시스템 관리(System Admin) 영역, 통계처리(Statistics)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리 서비스의 내용 및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1) 회원가입 및 가전제품의 활성화(Activation)
도 4는 회원가입 및 가전제품의 활성화에 관해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사이트(60)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하면서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부여받을 수 있다.
가전제품 활성화는 사용자의 가전제품(20)을 서버(10)에 등록하는 절차라 할 수 있다. 가전제품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사용자 아이디(User ID), 패스워드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이 팝업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그 화면을 통해 활성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화면에 입력하고, 활성화를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가전제품은 사용자 아이디, 패스워드, 디바이스ID 및 가전제품의 특성정보 등을 사용자 사이트(6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가전제품(20)에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저장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디바이스ID는 가전제품(20)에 기 입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활성화 절차를 수행할 때 자동으로 가전제품 내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또는, 가전제품을 사서 처음으로 온시킬 때 자동으로 디바이스ID가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가전제품의 특성정보로는 가전제품의 모델정보, 제품코드, 제조일자, 생산 제품번호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절차에서 가전제품은 가전제품의 패스워드, 서비스 URL 및 서버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활성화 절차에서 사용자 사이트(60)에 전송하는 정보 중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제외한 정보는 가전제품(20)에서 자동으로 생성되거나 기 입력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활성화 절차를 통해 가전제품(20)로부터 전술한 정보들이 사용자 사이트(60)에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사이트는 그 사용자 아이디에 해당 가전제품을 등록한다. 그래서, 사용자 사이트에는 사용자 아이디별로 그 사용자가 사용하는 가전제품(20)들이 등록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사이트(60)는 서버(10)로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 디바이스ID, 가전제품의 특성정보 등을 전송한다. 이때, 서버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서버(10)는 전송된 정보에 대해 먼저 인증을 수행한다. 그래서, 인증이 통과되면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 디바이스ID, 제품 특성정보 등이 서버에 등록된다. 이때, 디바이스 패스워드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활성화 절차는 서버 및 사용자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는 통신환경이 구비된 상태라면 장소에 구애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품을 구입한 그 구입처에서 활성화 절차를 대신 수행해 줄 수도 있다.
(2)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사용자는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해당 가전제품(2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 예컨대, 가전제품(2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원하는 서비스의 화면을 팝업시킨 후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서비스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당 가전제품에서는 서비스 요청과 관련된 정보 이외에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디바이스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사이트(60)를 통해서도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사이트에는 관리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웹페이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웹페이지에서 원하는 관리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 사용자로부터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사이트는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디바이스ID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고객 콜센터에 전화를 걸어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 고객 콜센터에는 ARS 시스템으로 관리 서비스를 접수받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한편,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외부 단말)를 통해서도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 도 5의 (a)는 관리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는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5의 (b)에는 스마트폰(외부 단말), 고객콜센터 또는 가전제품을 통해서 서비스를 요청하는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통해 서비스 요청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관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시동한 후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면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서비스 요청을 위해,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디바이스ID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가전제품에 대한 원격 서비스를 DM 서버에 요청하면, DM 서버는 가전제품에 대한 원격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원격 서비스 수행이 완료되면 가전제품에서 완료를 DM 서버에 통지하게 된다. 가전제품이 아닌 외부 단말 등을 통해 원격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에는 DM 서버에서 상기 원격 서비스의 완료를 상기 외부 단말에 통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접 가전제품을 통하지 않고서도 외부 단말을 통해서 가전제품의 원격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3) 가전제품 원격 제어(제품 컨트롤)
제품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 관리는 DM서버에 의해 시작될 수 있으며, Background에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MMI를 통한 사용자와 상호 작용, 인터럽트의 발생은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냉장고의 경우에는, 냉장실 온도, 냉동실 온도, 컨버터블룸 온도 또는 모드(냉동식품 모드, 육류 모드, 야채 모드 등등), 특급냉동 제어(온/오프 포함), 냉장고 동작 모드 제어(일반모드, 테스트모드, LQC모드, 전시모드, 스마트진단 등등), 디스펜서 제어(조각얼음 모드, 물 모드, 각 얼음 모드 등등) 등이 제어항목이 될 수 있다.
세탁기의 경우에는 전원 오프, 운전 실행, 운전 중지 등등이 제어항목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예약 변경, 세탁 코스 선택, 세탁 코스의 옵션 선택, 스팀 선택 등이 제어항목이 될 수 있다. 또한, 구김 방지 기능이 세탁 코스 종료 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어 관리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오픈 API를 거쳐 DM 서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 관리를 위한 절차를 도 6에 도시하였으며,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1. 제어 항목 조회/실행 요청 : 운영자(또는 사용자)는 ONM 서버의 관리 화면을 이용하여 제어 항목 조회/실행 작업을 ONM 서버에 요청한다.
2. 작업 등록 및 통지 요청 : ONM 서버는 DM 서버에 제어/실행 작업을 요청 및 Notification 메시지를 통한 가전제품에 통지를 요청한다.
3. 통지 요청 : DM 서버는 Notify 서버에 제품 통지 요청한다.
4. 통지 메시지 전송 : 가전제품으로 통지 메시지를 전달한다.
5. 제어 작업 진행 : 가전제품은 DM 서버의 통지 메시지를 받아 DM 서버에 접속하여 제어 작업을 진행한다.
가전제품의 DM 클라이언트는 DM 서버와 OMA D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로 연동하며, 제어 관리는 가전제품 내의 DM 클라이언트와 Control Agent가 연동하여 제어 관리를 한다.
제어 관리의 시작 주체는 DM서버일 수 있으며, DM 세션 모드는 Background일 수 있다. DM 서버로부터 Notification Message를 DM 클라이언트가 받아서 시작한다.
(4) 진단
진단은 가전제품의 진단을 위한 서비스이다. 예컨대, 세탁기에 고장 등 문제가 있다고 생각될 때, 사용자는 진단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세탁기는 진단 명령이 내려 오면 진단프로그램을 시동하여 진단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가전제품은 평상시 운전 중에 이벤트(event) 데이터 또는 로그 데이터(log data)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진단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진단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진단데이터가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세탁기의 드럼이 회전하지 않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와 같은 이벤트 데이터를 기록하여 보관할 수 있다. 그래서, 진단 요청이 있는 경우 그동안 수집되어 기록된 데이터와 함께 진단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함께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진단데이터는 세탁기의 경우 모터의 실동률 데이터, 세탁기에 부하되는 전력 데이터, 터브 또는 드럼 내부의 온도 데이터, 급수밸브의 작동과 관련한 데이터, 배수밸브의 작동과 관련한 데이터 등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각팬의 작동과 관련한 데이터, 냉장실 또는 냉동실 온도 데이터, 컴프레서 작동과 관련한 데이터, 팽창밸브 등 각종 밸브의 작동에 관련된 데이터, 아이스 메이커의 작동과 관련한 데이터 등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진단데이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입력부의 작동과 관련된 데이터, 수위센서(세탁기의 경우), 각종 온도센서(예컨대, 세탁기의 터브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 냉장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 등의 온도센서 등등) 등의 작동과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데이터에는 명령 실행시간 및 데이터 발생시간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진단데이터는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며, 서버는 분석프로그램을 시동하여 진단 결과를 낼 수 있다.
진단의 요청은 스마트폰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용자가 고객센터에 요청하면 고객센터에서 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전제품에 에러가 발생하면 그 에러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진단이 수행될 수도 있다.
진단을 위한 오픈 API의 인터페이스는 시작 인터페이스만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래서, 진단을 시작한 후 중지하는 것은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는 진단을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진단 절차는 후술하는 모니터링 절차와 동일 할 수 있으므로 도 7에 함께 도시하였다.
1. 진단/모니터링 설정 요청 : 운영자(또는 사용자)는 진단 서버의 관리 화면을 이용하여 진단/모니터링을 위한 조건 및 실행 시작을 요청한다.
2. 작업 등록 및 통지 요청 : 관리 서버는 DM 서버에 진단/모니터링을 위한 조건 및 실행 시작 요청 및 통지를 요청한다.
3. 통지 요청 : DM 서버는 Notify 서버에 단말기에의 통지를 요청한다.
4. 통지 메시지 전송 : Notify 서버는 단말기로 통지 메시지를 전달한다.
5. 진단/모니터링 설정 : DM 서버는 DM 클라이언트에게 진단/모니터링을 위한 조건 및 실행 시작을 요청한다.
6. 진단/모니터링 결과 통지/데이터 조회 : 단말기의 DM 클라이언트(DiagMon Agent)는 진단/모니터링이 완료되면, DM 서버로 결과를 통지(Alert 메시지) 한다.
진단/모니터링 관리의 시작 주체는 DM서버 또는 사용자일 수 있으며, DM 세션 모드는 Background일 수 있다.
DM 서버 시작의 경우, DM 서버로부터 Notification Message을 DM 클라이언트가 받아서 시작한다. 그리고, 사용자 시작의 경우에는, 사용자는 가전제품의 화면에서 진단/모니터링을 시작하며, 가전제품은 진단/모니터링이 완료된 후, DM 클라이언트를 실행한다.
한편, 진단을 수행하는 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는 사용자가 가전제품의 작동음이나 진단음을 서버로 전송하는 것과 관련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해당 가전제품의 작동시 발생하는 작동음이나 진단을 위한 진단음을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시스템은 상기 작동음 또는 진단음을 분석하여 해당 가전제품을 진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 작동음 또는 진단음을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은 여러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서비스센터로 전화를 걸어 해당 단말기의 작동음 또는 진단음을 이동통신단말기의 수화기를 통해 전송하면, 서비스센터는 이를 서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센터는 상기와 같은 작동음 또는 진단음을 자동 전송하기 위한 ARS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진단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이동통신단말(예컨대,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진단을 위한 진단음을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진단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사이트로 전송하면 사용자 사이트가 서버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작동음을 분석하여 진단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진단음 사운드 데이터를 분석하여 에러코드 또는 상태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단결과는 사용자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해 주거나 또는 해당 가전제품으로 전송할 수 있다.
(5) 모니터링
모니터링은 가전제품의 모니터링에 관한 서비스이다. 모니터링이 요청되면 가전제품은 모니터링 데이터를 서버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세탁기에 모니터링 데이터를 요청하면, 세탁기는 모니터링을 위한 프로그램을 시동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데이터에는 모니터링 명령 실행 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발생 시간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실행 요청이 있게 되면, 모니터링을 시작한 후 모니터링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전달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냉장고의 경우에는 특급냉동 상태 여부, 하이진 필터(Hygiene Filter) 상태(예컨대, on 또는 auto 상태 여부), 냉장고 동작모드, 디스펜서 상태, 에러상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등등이 모니터링 항목에 포함될 수 있다. 세탁기의 경우에는, 운전 상태, 운전중인 코스의 남은 시간, 초기 설정시간, 세탁코스 종류, 헹굼레벨, 탈수 RPM, 코스 수행을 위해 세팅된 온도, 예약 세탁시간 등이 모니터링 항목에 포함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비스는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단말을 통해 요청되고 그 결과의 조회가 가능할 수 있다. 모니터링을 위한 오픈 API의 인터페이스는 시작 및 종료 인터페이스를 모두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모니터링을 위한 절차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가전제품의 통신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가전제품(20)은 궁극적으로 서버(10)와 통신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가정 내의 AP(30)와 통신하여야 한다. 따라서, 가전제품(20)에는 통신 모듈이 탑재되거나 연결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25)일 수 있다.
먼저, 가전제품(20)의 컨트롤패널(100)에 구비된 전원 선택부(140)를 통해 가전제품(20)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때, 상기 와이파이 통신 모듈(25)에도 전원이 인가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패널(100)에는 상태 표시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태 표시부(130)는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는 상기 가전제품의 모든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터치함으로써 대부분의 동작이나 조건들을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문자나 숫자 등의 입력도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디스플레이에 키패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이러한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패널(100)에는 가전제품의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버튼(140)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130)를 제외하고 다른 입력수단이나 표시수단을 모두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전원버튼(140)도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130)와 같이 터치를 통해서 입력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터치 디스플레이의 기능성으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가전제품을 상기 서버와 용이하게 통신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전제품, 특히 세탁장치에서는 도 8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형태의 상태 표시부(130)를 통한 사용자인터페이스 구현이 일반적이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일반적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가전제품에는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나 다양한 형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가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전제품(20)이 상기 AP(30)와 통신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인터페이스를 갖는 가전제품의 통신 연결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가전제품의 통신 연결을 위해, 상기 와이파이 통신 모듈(25)은 통신 연결을 위한 설정모드와 통신 가능한 사용모드를 지원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와이파이 통신 모듈(25)이 통신 연결되기 위해서는 설정모드를 수행하여야 하고, 설정모드에서 통신 연결되면 사용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통신 연결을 위해서는 먼저 상기 와이파이 통신 모듈(25)의 설정모드를 동작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모드는 AP와 통신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모드이다. 따라서, AP 모드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모드는 AP를 통해 가전제품이 서버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서 언제든 원격 관리 서비스 수행을 위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이다. 즉, 원격 서비스 수행을 위한 대기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모드를 연결모드 또는 대기 모드라 할 수도 있다.
상기 설정모드의 동작을 위해서 입력수단이 상기 와이파이 통신 모듈(25)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상기 와이파이 통신 모듈(25)은 가전제품(20)에 내장되거나 단순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가전제품(2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수단은 가전제품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100)에는 이러한 기능만을 위한 입력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대량 생산을 위해서 특정 기능 선택만을 위한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통신 연결을 통하여 원격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은 가전제품 본연의 기능이 아닌 부가적인 기능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필요한 경우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는 옵션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에 구비된 입력수단들 중 특정 입력부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상기 설정모드를 동작시킴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100)에는 예약 버튼(123)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예약 버튼(123)을 누르면서 세탁 코스가 종료되는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예약 버튼(123)을 선택하여 4시간 경과 후 세탁 코스가 종료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의 제어부(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메인 보드)는 세탁 코스가 2시간 소요될 경우, 2시간 동안은 작동을 정지하고 2시간 경과 후 세탁 코스를 수행하도록 세탁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예약 버튼은 다른 입력부들에 비해 사용 빈도가 적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예약 버튼을 통해 설정모드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약 버튼의 입력 방법은 다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예약 버튼을 누르는 시간을 달리하여 본연의 예약 기능 선택이나 설정모드 작동 선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버튼을 통해서 버튼을 누르는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입력부의 선택, 예를 들어 예약 버튼을 3초 이상 누름으로써 상기 와이파이 통신 모듈은 설정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설정을 위한 별도의 수단,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와 연결가능 네트워크 정보 등을 표시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이 가전제품(20)에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정모드는 외부 단말을 통해 접속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부 단말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 문자입력수단, 표시수단, 중앙처리장치(CPU), 운영체제(OS) 그리고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기기임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노트북이나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은 상기 와이파이 통신 모듈 또는 가전제품을 대신해서 상기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AP(30)와 접속시키기 위해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설정모드에서 외부 단말(40)을 통해 억세서 포인트(AP, 30)의 SSID (Service Set IDentifier, 무선랜 이름) 정보 그리고 상기 가전제품 등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 외부 단말(40)에는 접속 가능한 SSID들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그 중에서 지속적으로 연결될 SSID, 예를 들어 가정에서 사용하는 SSID를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무선랜에 보안 설정이 된 경우, 상기 외부 단말은 SSID 선택 및 이의 비밀번호를 아울러 입력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SSID 정보는 SSID의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와 SSID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와이파이 통신 모듈은 사용모드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SSID 정보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 시 상기 통신 모듈에는 이러한 정보들이 자동으로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후에는 별도의 설정모드 동작없이 지속적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러한 정보를 통해 사용모드에서는 상기 AP에 자동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전제품(20)은 특정 AP(30)와 무선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통신 모듈은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10)의 주소나 사용자 사이트 주소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의 주소 또는 사용자 사이트 주소는 고정IP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사용모드에서 상기 가전제품(20)은 상기 AP(30)를 통해 상기 서버(10)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모드 전환 시 AP를 통하여 상기 가전제품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제품 정보를 서버(10)에 자동 등록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사이트는 가전제품에서 전달하는 사용자 정보와 가전제품 정보를 인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전술한 사용자 사이트를 통해 서버(10)에 기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10)는 사용자 사이트(60)를 통해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제품 정보를 상기 사용모드 전환 시 수신되는 정보들과 비교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서버(10)는 특정 사용자 및 이의 특정 가전제품을 인식하게 된다. 특히 특정 가전제품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파이 통신 모듈(25)은 설정모드 동작을 위한 고정주소를 갖는다. 스마트폰이나 노트북과 같은 외부 단말(40)에서 상기 고정주소를 입력하여 상기 설정모드로 접속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전제품의 와이파이 모뎀 설정모드의 웹에 접속하게 된다. 상기 고정주소는 192.1.xx.xx 형태로 지정될 수 있다. 외부 단말(40)의 설정모드 접속은 통신 모듈(25)의 입력수단과 표시수단을 외부 단말(40)을 이용하여 확장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설정모드의 웹에 접속하면 제품 등록 페이지(일례로 도 12)가 표시되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제품을 서버에 등록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 단말(40)을 통하여 상기 통신 모듈(25)을 설정모드에서 사용모드로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전제품(20)에 별도의 입력장치나 표시장치와 같은 하드웨어의 추가 내지는 변경 없이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그리고 별도로 구비되는 외부 단말(40)을 이용하므로, 가전제품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전제품(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표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 표시부(130)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설정모드 접속 및 사용모드 전환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원 선택부(140)를 누르면 상기 상태 표시부(13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 코스를 선택받기 위한 안내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즉, 가전제품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요청하는 안내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안내 문구 표시는 전원이 인가되면 최초로 표시되는 문구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초기 화면이라 할 수 있다.
이후, 설정모드를 동작시키면, 상기 상태 표시부(130)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파이 설정모드가 동작하고 있음을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모드의 동작은 특정 선택부의 선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약 버튼(123)을 3초 이상 누름으로써 설정모드를 동작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고 있음을 상기 상태 표시부(130)를 통해 명확히 인지할 수 된다.
또한, 설정모드에서 상기 상태 표시부(130)에는 설정모드 접속을 위한 고정주소와 연결될 SSID의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고정주소를 외부 단말(40)에 용이하게 입력하거나, 상기 외부 단말(40)을 통해 통신 모듈의 SSID에 접속할 수 있다.
외부 단말(40)에서 상기 고정주소를 입력하여 설정모드에 접속한 화면의 일례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AP, 즉 접속하고자 하는 SSID 정보(SSID 이름 및/또는 SSID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전술한 사용자 사이트(60) 등을 통해 기설정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입력을 등록하면 상기 가전제품(20)이 서버(10)에 등록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전제품(20)의 설정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만 상기 외부 단말(40)이 상기 설정모드의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서버와 연결시키기 위한 가전제품과 실제 서버와 연결되는 가전제품이 동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가전제품(20)의 설정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스마트 폰에서 상기 가전제품(20) 통신 모듈의 고정주소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폰과 상기 가전제품은 서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스마트 폰을 통해서, 사용자 정보와 연결할 사용자 AP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서 AP와 연결될 수 있다. 가전제품이 AP와 연결되면 가전제품은 사용자 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가전제품은 서버 또는 사용자 사이트와 인증 절차를 거쳐 정상적으로 서버에 등록되게 된다.
또한, 가전제품(20)의 설정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스마트 폰은 상기 가전제품(20)의 통신 모듈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SSID에 스마트 폰과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가전제품(20)의 통신 모듈의 와이파이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abcd)에 스마트 폰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스마트 폰과 가전제품 간에 와이파이 연결이 되면, 스마트 폰 상에는 도 12에 도시된 화면 즉 설정모드 웹 페이지가 표시되며, 이를 통해 가전제품을 실제 가정 내의 사용자 AP와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외부 단말(40)에 고정주소를 입력하거나 또는 외부 단말(40)을 가전제품(20)의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AP 정보를 입력하면, 가전제품(20)의 상태 표시부(130)에는 도 13에 도시된 화면이 일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 특히 와이파이 통신 모듈(25)은 상기 스마트 폰을 통해 수신된 정보들을 통해 사용자 AP와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따라서, 상태 표시부(130)에서는 와이파이가 설정 중이라는 정보가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와이파이 설정 중에서 상기 가전제품(20)은 서버 또는 사용자 사이트와 서로 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파이 설정이 완료되면 가전제품은 서버에 직접 등록되거나 사용자 사이트를 통해서 서버에 등록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와이파이 설정모드가 완료되면, 상기 도 13의 화면은 도 14에 일례로 도시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와이파이 설정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표시하고, 아울러 와이파이 아이콘(131)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와이파이 아이콘은 이 후 통신 연결 도중에는 지속적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가전제품을 용이하게 서버에 등록시킬 수 있고, 가전제품을 사용자 AP를 통해 서버와 연결할 수 있다.
설정 시간, 예를 들어 3초가 경과되면 상기 도 14의 화면은 초기 화면, 즉 도 10에 도시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물론, 도 10의 화면에서 와이파이 아이콘 표시(131)가 더 추가되어 와이파이 연결이 되어 있음을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전제품 상태 표시부(130)의 특징과 와이파이 모듈의 특징을 통해 사용자는 용이하고 신속하게 가전제품을 서버(10)에 등록하여 추후 원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면, 추후에는 전원이 인가되면 자동적으로 통신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외부 단말(40)을 가전제품의 통신 연결을 위한 보조적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하여 가전제품의 관리 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부 단말(40)의 확장된 입력수단과 표시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
외부 단말(40)을 통한 가전제품의 원격 서비스 요청을 위해서, 상기 외부 단말(40)에는 상기 가전제품(20)의 원격제어, 원격진단,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그리고 모니터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요청하여 수행시키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초기 수행시, 사용자의 정보가 서버에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전제품들과 통신하여, 상기 요청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응용프로그램에는 원격 서비스가 가능한 제품들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이러한 제품들 중 실제 사용자가 갖고 있는 제품을 선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제품이 상기 서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통해서 제품을 서버에 등록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원격 서비스, 특히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도 15에 일례로 도시된 화면이 외부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 제어 메뉴(스마트 원격 제어)를 누르면 서버에 로그인 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며 도 16에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국가 선택(서버 선택),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 선택은 복수 개의 서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에만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 언어를 선택하기 위해 표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로그인 화면은 최초 로그인인 경우만 표시될 수 있으며, 이후에는 자동으로 로그인될 수 있다. 그러나, 타인이 임의로 이러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때마다 적어도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로그인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로그인 후 서버는 사용자가 서버에 등록되었는지 판단하게 된다. 만약 등록되지 않았다면 상기 외부 단말은 사용자 사이트를 표시하여 등록을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 사이트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사용자 사이트 표시는 로그인 화면에서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등록되었다면 상기 사용자의 가전제품이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단말에서는 등록된 가전제품이 있으면 이를 표시하게 된다. 만약 복수 개인 경우 사용자는 그 중 서비스를 받기 위한 특정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세탁기와 건조기를 상기 서버에 등록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세탁기를 선택하여 세탁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반면, 건조기를 선택하면 건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하여 특정 제품의 원격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가전제품이 서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도 16에 도시된 제품 등록하는 방법 메뉴를 선택하여 제품을 서버에 등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등록 절차는 전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특정 제품군, 예를 들어 세탁장치(세탁기, 건조기, 리프레셔 등)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특정 제품, 예를 들어 세탁기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은 특정 제품군 또는 특정 제품의 서비스를 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러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특정 제품군 또는 특정 제품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에 로그인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로그인 후 서버는 상기 가전제품이 상기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에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사용자 로그인 후 상기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제품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도 17에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이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화면을 통해서도 제품 등록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세탁기만 등록된 경우 세탁기가 표시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품이 등록된 경우 복수 개의 제품이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서비스를 위한 가전제품을 터치하여 터치된 가전제품에 대해 원격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게 된다.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된 제품 등록하는 방법을 사용자가 선택함은 전술한 가전제품의 설정모드 접속을 의미한다. 즉, 각각의 가전제품의 와이파이 통신 모듈은 설정모드를 위한 고정주소를 갖을 수 있는데, 상기 제품 등록하는 방법을 선택함은 응용프로그램이 상기 고정주소에 접속함을 의미한다. 물론, 가전제품의 설정모드 접속을 위해서는 상기 가전제품에서 와이파이 통신모듈의 설정모드를 동작시켜야 할 것이다.
이후 외부 단말과 가전제품의 상태 표시부(130)에 관한 사항들, 가전제품의 통신 연결과 서버로의 등록은 도 9 내지 도 14를 통해 설명한 사항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제품을 서버에 등록할 때 중요한 것은 어느 사용자의 제품이며 어느 곳에 위치한 제품인지 서버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 등록 시 사용자의 정보가 서버로 전송되어야 한다. 또한 AP 주소에 대한 정보도 서버로 전송되어야 한다. 전술한 와이파이 통신 모듈의 설정모드 접속은 상기 제품에 사용자의 정보를 매칭시키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부 단말과 가전제품 간에 서로 신호를 송수신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설정모드 동작으로 가전제품이 사용자 AP를 스스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외부 단말을 통해서 상기 AP 정보, 가전제품 정보(예를 들어 세탁기인지 등), 사용자 정보가 서버 또는 상기 고정주소 사이트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는 이러한 정보를 통해 특정 AP에 현재 연결하고자 하는 가전제품이 누구의 가전제품이며 어떠한 가전제품인지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에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전제품의 통신 모듈과 외부 단말 사이에 신호를 서로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설정이나 하드웨어의 추가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비용 추가 없이 용이하게 가전제품을 서버에 등록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전제품(20)의 통신 모듈은 일방적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신호만을 수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스마트 폰을 통해서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AP 정보를 단순히 수신하여 이를 통하여 AP를 통해 서버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경우에도 통신 모듈과 외부 단말 사이에 신호를 서로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설정이나 하드웨어의 추가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가전제품이(20)이 상기 스마트 폰과 직접 통신하여 스마튼 폰을 통해 직접 원격 제어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즉, 스마트 폰은 서버와 통신을 하고 직접 가전제품과 통신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원격 관리 서비스는 서버를 통해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서 가전제품(20)이 스마튼 폰과 같은 외부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가전제품 가격 상승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에서 각 가전제품이나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이력 관리, 정보 축적 및 갱신, 사용자 취향 분석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맞춤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되고 다양한 형태로 이러한 정보들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전제품을 보다 용이하게 서버에 등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술한 다양한 관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사용자와 가전제품을 서버로 등록하는 방법이나 절차, 이를 위한 가전제품의 특징 및 온라인 서비스의 특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와 가전제품이 서버에 등록된 후, 외부 단말을 이용하여 가전제품의 온라인 서비스를 구현하는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세탁기의 원격 제어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세탁장치와 같은 가전제품의 경우, 원격 제어가 무조건 가능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세탁기의 도어가 열려있는 경우, 세탁기에 세제가 투입되지 않은 경우 등 세탁기가 작동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경우에 원격 제어는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사용자가 직접 세탁기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므로, 원격 제어 시 세탁기를 직접 조작하려고 하는 다른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혼선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원격 제어로 인한 예기치 못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와 같은 가전제품은 일반적으로 여러 명이 사람이 공통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실제 세탁장치를 통한 사용자인터페이스와 원격 제어를 통한 사용자인터페이스와의 혼선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은 세탁장치를 원격 제어하려 하고, 다른 사람은 세탁장치의 컨트롤패널을 직접 조작하려 할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를 직접 조작하려 할 때, 갑자기 원격 제어를 통해 세탁장치가 작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왜냐하면, 원격 제어는 단순히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드럼, 급수 밸브, 히터 등과 같은 하드웨어를 구동시키는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나의 가전제품을 동시에 사용하는 복수 명의 사용자들 사이의 혼선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원격 제어를 구현하면서 사용자들 사이의 혼선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원격 제어를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세탁기에는 원격 제어 선택부가 구비될 수 있다. 원격 제어가 선택이 된 경우 이러한 정보는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세탁장치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서버에서 이러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원격 제어는, 쉽게 설명하면 외부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세탁기의 작동 등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마트폰과 세탁기 사이에 서버가 구비된다.
도 18에는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컨트롤패널(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컨트롤패널(100)과 매우 유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컨트롤패널의 구조와 하드웨어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서, 많은 모델을 생산하는 생산자 입장에서는 제품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은, 원격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부(123)는 컨트롤패널(10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격 제어를 할 것인지 여부는 가전제품에서 직접 선택하도록 하고, 이러한 선택이 있는 경우에만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는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23)의 기능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부(123)에는 "스마트"라는 문구가 기재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3)를 통해서, 사용자는 원격서비스활성화를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서비스활성화는 가전제품이 아닌 외부 단말(40)을 통해서 서버(10)를 통해 원격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외부 단말(40)을 통해서 상기 가전제품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은, 사용자가 가전제품을 원격 제어하겠다는 의사를 직접 입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의사가 상기 가전제품을 통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른 사용자가 상기 가전제품을 통해, 원격서비스활성화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여, 양자 간에 혼선이 발생될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가 가전제품을 사용하려 할 때, 이러한 원격서비스활성화 상태를 모르게 되면, 원격 제어를 통해 가전제품이 구동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를 하려고 할 때, 이미 다른 사용자가 먼저 가전제품을 사용해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격 제어가 가능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이러한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면, 이러한 상태가 가전제품에서 효과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는 원격서비스활성화의 설정과 해제만을 위해 구비되는 입력부일 수 있다.
여기서,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과 해제는 사용자의 실수가 아닌, 사용자의 의지에 의해서 입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의도되지 않은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과 해제는 다른 입력, 예를 들어 코스 선택부나 옵션 선택부를 통한 입력보다는 더욱 엄격한 방법을 통해 입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전원 입력부(140)를 통해, 가전제품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태 표시부(13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를 통해서 원격서비스활성화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설정 후,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를 통해 해제도 가능할 것이다.
일반적인 옵션 선택부(120)를 통한 입력은 버튼 등을 누르기만 하면 입력이 이루어진다. 즉, 누르는 시간과 무관하게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는 사용자의 강력한 의지가 표현되어야만 입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가 버튼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다른 입력부들에 비해서 긴 시간, 예를 들어 3초 이상 누르는 경우에만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는 누르는 시간과 무관하게 누른 상태에서는 입력부(123)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와 연관되어 발광하는 표시부(123a)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서비스활성화 해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123)를 누르기 시작하면, 상기 표시부(123a)가 발광되고, 예를 들어 3초 이상 누르는 것이 지속되면 후술하는 도 19에 도시된 화면이 상태 표시부(130)에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3a)의 발광은 원격서비스활성화가 해제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즉, 도 19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되고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될 때까지 발광된다. 그리고 설정 상태에서는 해제시까지 지속적으로 발광을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123)를 누르기 시작하면, 상기 표시부(123a)의 발광은 해제된다. 따라서, 설정과 해제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입력부(123)를 누르기 시작하면 발광 상태가 해제 상태로 변하거나 해제 상태가 발광 상태로 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상기 입력부(123)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의 입력 방법을 다른 입력 방법과 달리함으로써 발생되는 사용자의 혼동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120a)과 헹굼(120b)를 동시에 누름으로써 버튼 잠금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숨겨진 형태의 입력부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린이들이 버튼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잠금 선택과 마찬가지로,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도 숨겨진 형태의 입력부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는 본연의 기능 선택을 위해 구비되되, 입력 방법을 달리하여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 또는 해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수(120c)와 물온도(120d) 두 버튼으로 이루어진 통살균 코스의 숨겨진 입력부를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탈수와 물온도에 대한 옵션을 각각 선택할 수 있는 두 버튼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그 입력 방법을 달리하고, 이를 통해 설정 및 해제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격서비스활성화의 입력이 가전제품에서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인지 명확하게 인지하고, 강력한 의지로 원격서비스활성화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를 선택하면, 상태 표시부(130)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또는 해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코스 표시부(110)의 조작 등을 통해서 양자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고, 동작/일시정지 입력부(150)을 입력하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19에 도시된 상태에서 동작/일시정지 입력부(150)를 선택하면 스마트 기능(원격서비스활성화)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와 상태 표시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원격서비스활성화의 설정과 해제를 명확하게 인지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태 표시부(130)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에는 단순히 메뉴를 터치함으로써 선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었음이 상태 표시부(130)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격서비스활성화를 설정하는 것이 원격 제어가 가능함을 설정하는 것임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서비스활성화를 해제하는 방법도 안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0에 도시된 화면은 원격 제어 명령이 있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원격 제어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가 가전제품의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이 되면, 상태 표시부(130)에는 원격 제어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원격 제어 아이콘(132)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 아이콘(132)에는 원격 제어 가능 여부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RC" 즉 "Remote Control"의 약자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면, 가전제품에는 다양한 형태로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표시부(123a)의 발광, 상태 표시부(130)에서의 안내 문구 그리고 상태 표시부(130)의 원격 제어 아이콘(132)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를 통해,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전제품에 접근한 다른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를 파악하여 불필요하게 가전제품을 조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들 사이에 혼선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한편, 원격 제어는 가전제품의 통신 연결을 전제로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전제품이 서버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만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전제품이 서버와 통신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의 입력이 있으면, 상태 표시부(130)에서 통신 연결을 먼저하라는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서버와의 통신 연결이 한번 이루어지며, 그 후에는 자동적으로 통신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전원을 인가하면 곧바로 통신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연결 전에 원격서비스활성화를 입력하는 경우는 많지 않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은 사용자가 원격 제어를 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가전제품에 입력한 것이다. 아울러, 가전제품에서도 이러한 사용자의 강력한 의지가 전술한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강력한 의지에도 불구하고 가전제품을 다른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것은 지양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어린이들이 무의미하게 컨트롤패널(100)을 조작하여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를 해제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는 코스 선택부(110), 옵션 선택부(120)가 불활성화됨이 바람직하다. 즉, 입력이 불가능한 상태가 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동작/일시정지 입력부(150)도 불활성화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불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코스 선택이나 옵션 선택이 발생되면, 경고음이 발생되어 불활성화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원격 제어에 대한 강력한 의지에도 불구하고 세탁장치를 직접 조작할 필요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세탁장치에 문제가 발생되었다거나 세탁장치를 바로 사용할 필요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하여 원격 제어를 하고자 하는 경우 예상보다 일찍 귀가하여 원격 제어의 필요성이 없어질 수도 있다. 또한, 부부 중 한 사람이 먼저 귀가하여 다른 사람이 원격 제어할 필요성이 없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에서, 전술한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을 통한 해제가 가능할뿐만 아니라 전원 선택부(140)를 통해 전원 오프도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원 오프를 통해 자동적으로 원격서비스활성화가 해제됨이 바람직하다. 전원 오프는 급박한 상황에서 세탁장치의 작동을 멈추게 함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및 해제는 다소 엄격하고 까다롭게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급박한 상황에서 쉽게 대처하기 위해서,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에도 불구하고 전원 선택부(140)의 입력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에서는 항상 도어의 잠금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언제 원격 제어 명령이 발생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아울러, 전술한 도어 잠금 입력부를 통한 도어 잠금 설정 및 해제도 불활성화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결국, 컨트롤패널(100)을 통해서,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에서는, 전원 선택부(140)와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의 입력만 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된 경우,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의 해제시까지 도어 잠금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도어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되어 가전제품이 동작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도어 잠금은 상태 표시부(130)에 "도어 잠금" 또는 "문 잠금"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전제품을 통해서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면 비로소 외부 단말을 통해서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원격제어가 수행되기까지 가전제품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 대기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가전제품에서는 전원 선택부(140)와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만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서만 원격서비스활성화를 해제할 수 있다. 원격 제어를 통해 가전제품의 동작이 시작되고 완료되면, 가전제품은 자동적으로 전원을 오프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원격서비스활성화가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단말을 통해서는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가전제품의 현 상태가 원격 제어를 할 수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원격 제어가 수행되면 안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외부 단말에서는, 전원 오프를 통해서 원격서비스활성화를 간접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원격 서비스를 위한 서버, 가전제품 그리고 외부 단말 사이의 작용 관계, 가전제품과 외부 단말에서의 표시 상태 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외부 단말(40)을 통한 가전제품(20), 예를 들어 세탁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플로우는 도 21에 도시된 플로우를 통해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외부 단말(40)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서버(10)에 로그인하는 단계(S1)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 15 내지 도 17을 통해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품 등록,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의 입력이 선행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외부 단말(40)을 통해서 상기 서버(10)에 로그인하면, 서버(10)에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원격 서비스(원격 제어)를 위한 가전제품을 특정한다. 즉, 누구의 가전제품이고 어디에 위치한 가전제품인지 특정한다. 다시 말하면, 원격 제어를 할 가전제품을 특정한다. 그리고, 상기 특정된 가전제품의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여부를 확인한다(S2).
상기 가전제품(20)의 특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외부 단말(4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와 매칭되어 상기 서버(10)에 저장되어 있는 가전제품 정보를 통해, 상기 가전제품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가전제품 정보를 통해, 원격서비스를 위한 가전제품을 특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하나의 가전제품, 예를 들어 세탁기만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 정보와 가전제품 정보가 일대일로 매칭된 경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어떤 사용자가 자신의 특정 가전제품을 원격 제어할 것이라는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는 사용자 정보를 통해서 가전제품을 특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부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의 가전제품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 정보에 대해 복수 개의 가전제품 정보가 매칭된 경우라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로그인을 통하거나 로그인 후 원격 제어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가전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나 세탁기 중 세탁기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이 경우에도 어떤 사용자가 자신의 특정 가전제품을 원격 제어할 것이라는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는 사용자 통보를 통해서 가전제품, 예를 들어 세탁기를 특정할 수 있다.
상기 확인 단계는 상기 서버(10)에서 상기 가전제품(20)으로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해서 상기 가전제품(20)은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서버(10)로 전송되면, 상기 서버(10)는 상기 외부 단말(40)로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S3).
상기 가전제품(2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이거나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 또는 전원 오프로 인한 상태 확인 불가한 경우에는 이러한 상태 정보가 외부 단말(40)에 수신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22에는 원격 제어가 불가능한 상태가 외부 단말에 표시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원격제어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이면, 상기 가전제품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현재 가전제품의 상태 정보가 서버를 통해 외부 단말로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는,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여부, 원격 제어 대기중, 가전제품 동작 중, 가전제품 동작 일시 정지 중 그리고 예약 중인 상태 중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이면, 현재의 가전제품 상태는 원격 제어 대기중, 가전제품 동작 중, 가전제품 동작 일시 정지 중 그리고 예약 중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가전제품 상태를 서버를 통해 외부 단말에서 수신하여 외부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원격제어의 초기에는 원격 제어 대기 중 상태일 것이다. 도 23에는 원격 제어 대기 중 상태가 외부 단말에 표시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서버(10)는 가전제품을 통해 전달받거나 서버(10) 자체에 저장된 가전제품 정보를 통해, 상기 가전제품이 어떤 모델인지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모델이 갖는 다양한 가변 동작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세탁장치인 경우, 이러한 가변 동작 정보는 세탁이나 건조 코스, 각 코스 수행을 위한 다양한 옵션들일 수 있다. 옵션은 세탁 정도(오염 정도), 헹굼 횟수, 세탁수 온도, 탈수 정도, 스팀 사용 여부 등과 같은 다양한 옵션일 수 있다. 즉, 특정 모델별로 이러한 가변 동작 정보는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 기능이 없는 모델에는 가변 동작 정보에 스팀 사용 여부가 포함되지 않을 것이다. 아울러, 선택할 수 있는 코스나 코스 개수도 모델별로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전제품이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인 경우, 상기 서버는 가전제품 정보에 해당하는 가변 동작 정보를 특정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10)에서 상기 외부 단말(40)로 상기 가전제품의 가변 동작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4).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대기 중인 상태가 외부 단말(4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아직 가전제품이 동작하기 전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를 통해 수신한 가변 동작 정보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 동작 정보는 외부 단말에서 변경 가능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 단말을 통해, 코스 메뉴에서 특정 코스를 선택하고, 옵션 메뉴들에서 각각의 옵션들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 시작 메뉴를 선택하여 세탁장치가 세탁을 시작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단말(40)에서 상기 수신된 가변 동작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제품이 동작하도록 명령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5). 아울러, 상기 외부 단말에서 가변 동작 정보를 세팅하여, 세팅된 가변 동작 정보에 따라 가전제품이 동작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은 서버(10)를 거쳐 가전제품(20)으로 전달되어 가전제품이 동작하게 된다(S6).
한편,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대기 중인 상태에서는 원격으로 가전제품의 전원 오프를 명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명령을 통해 가전제품의 전원이 오프될 수 있을 것이다.
외부 단말의 표시와 아울러, 가전제품에도 원격 제어가 시작되었음을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즉, 원격 제어를 통해 가전제품이 동작한다는 점을 설정 시간 동안 표시한 후 비로소 가전제품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를 통해 원격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가전제품의 상태 표시부(130)의 화면은 도 20에 도시된 화면에서 도 24에 도시된 화면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로 인해 작동을 시작함을 설정 시간 동안, 예를 들어 5 초간 표시하고, 이 후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제품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가전제품이 동작을 하면, 가전제품은 동작 상태를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S7). 물론, 가전제품의 상태 표시부(130)에도 도 25에 도시된 바와 동작 상태를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작 상태는 외부 단말(40)로 전송되어, 상기 외부 단말에서 가전제품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S8).
세탁장치인 경우, 현재 수행 중인 코스가 어떤 코스인지 또는 어떠한 옵션들이 선택되어 수행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그리고 탈수 행정 중 어느 행정이 진행 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세탁 완료까지의 잔여 시간과 같은 시간 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가전제품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때,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제품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명령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가전제품의 동작을 일시 정지하도록 명령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외부 단말에 표시된 일시정지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가전제품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가전제품의 동작은 세탁장치의 경우 드럼 구동이나 급수 등과 같은 하드웨어의 구동이다. 따라서, 가전제품의 동작 중 가능한 원격 제어는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오프나 일시 정지 명령만 가능할 수 있다. 물론, 후술하는 구김 제거 기능 선택은 즉각적인 제어가 아니기 때문에, 가전제품의 동작 중에도 가능할 수 있다.
일시정지 상태가 외부 단말과 가전제품에 표시된 것이 도 27과 도 28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일시 정지 상태에서 상기 세팅된 가변 동작 정보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일시 정지 상태에서는 다시 시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외부 단말에 일시정지 상태가 표시되면, 다시 시작 메뉴가 표시되고, 이를 선택하여 가전제품의 동작이 다시 시작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전제품의 상태 정보는 예약 정보일 수도 있다. 따라서, 외부 단말기에는 가전제품의 예약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9는 세탁기가 예약 상태일 때 외부 단말에 표시되는 일례를 나타내며, 작동 완료까지 남은 시간, 선택된 세탁 코스, 설정 코스의 세부 옵션 그리고 예약 시간 변경 메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예약 상태 즉 예약 중이라는 의미는 현재로부터 설정된 시간, 즉 표시되는 시간이 경과되면 세탁이 완료된다는 의미로 현재 세탁이 수행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30는 도 29에 도시된 외부 단말의 표시와 대응되는 세탁기의 상태 표시부(130)를 도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세탁기의 상태 표시부(130)에는 예약 중임과 남은 시간 그리고 세부 옵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세탁기가 예약 중일 경우 사용자는 외부 단말을 통해 예약시간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29에 도시된 예약 시간 변경을 누름으로써 예약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세탁기가 예약 상태일 때 예약된 세탁코스의 세부 옵션, 즉 설정코스의 세부 값을 체크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가변 동작 정보를 세팅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세탁기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1에는 예약 시간 변경을 선택한 경우 생성되는 팝업 창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팝업 창을 통해 원하는 예약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예약 시간을 변경하여 확인하는 경우, 또는 변경을 취소하는 경우 상기 팝업 창이 소멸되고 도 29의 화면으로 전환될 것이다. 이 때 세탁 완료까지 남은 시간은 변경된 시간으로 표시될 것이다. 즉, 3시간을 4시간으로 변경하는 경우 도 29에서의 3시간은 4시간으로 변경될 것이다.
도 32에는 예약시간이 외부 단말을 통해 변경된 경우 상태 표시부(130)의 일례이다. 예약 시간이 변경되었다는 정보와 변경된 남은 시간의 정보가 표시된다. 이 후 설정 시간이 경과 후(예를 들어 3초 경과 후) 도 30에 도시된 화면으로 전환되게 된다. 물론, 남은 시간은 3시간에서 4시간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것이다.
예약을 통해 가전제품이 작동을 시작하면, 가전제품과 외부 단말에는 각각 도 25와 도 26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가전제품이 세탁장치인 경우, 외부 단말을 통해 구김 방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김 방지 기능은 코스 종료 후 드럼을 구동하여 세탁물의 구김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세탁이나 건조가 종료되면 드럼 내의 세탁의 세탁물들은 자중에 의해 드럼 하부에 눌려있게 된다. 특히 세탁이 종료된 경우 세탁물에는 수분이 잔류하게 되고 하중에 의해 구김 발생 우려가 크다. 또한, 세탁물들이 서로 엉켜있는 경우에는 구김 발생 우려가 더욱 크다.
따라서, 지속적,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드럼을 구동하여 세탁물에 구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건조기나 세탁 겸 건조기의 경우 냉풍을 드럼 내의 세탁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냉풍을 드럼 내로 지속적,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김 방지 기능은 코스 종료 후 장시간 드럼 내에 세탁물이 방치되는 경우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구김 방지 기능은 상기 외부 단말을 통해서만 선택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세탁기, 건조기 또는 세탁 겸 건조기의 컨트롤패널에는 이러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직접 컨트롤패널을 조작하여 세탁 수행을 하는 경우 장시간 드럼 내에 세탁물이 방치될 우려가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격 제어가 설정될 경우에만 외부 단말을 통해 이러한 기능을 선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외부 단말에 표시되는 구김 방지 선택을 함으로써 구김 방지 기능 수행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구김 방지 수행 시간은 디폴트로 입력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4시간으로 기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짧은 시간만 설정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장시간 세탁물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긴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세탁기에서 사용자가 세탁기의 아무 버튼이나 누름으로써 구김 방지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 종료까지 1시간 50분이 남아 있고, 사용자가 집에 도착하기까지 3시간이 남아 있는 경우 사용자는 구김 방지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설령 사용자가 5 시간 이후 집에 도착하더라도 구김 방지 기능은 수행되고 있고, 사용자는 집에 도착 후 세탁기의 아무 버튼이나 누름으로써 세탁기의 동작을 멈출 수 있게 된다.
외부 단말을 통해 구김 방지가 선택이 되면, 가전제품에는 도 33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이전 화면에서 도 33에 도시된 화면으로 전환되어, 세탁 중이라는 정보 대신 구김 방지가 선택되었음이 표시된다. 그리고 구김 방지가 완료되는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이 후 설정 시간 경과 후 도 26에 도시된 화면, 즉 이전 화면으로 전환됨이 바람직하다.
도 34는 코스 수행이 종료되는 경우 세탁기 상태 표시부의 일례이다. 구김 방지 기능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세탁기의 전원이 오프될 것이다. 그러나, 구김 방지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김 방지가 수행중이라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보다 명확히 현재 세탁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이 경우 도 34에 도시된 화면과 도 35에 도시된 화면이 일정 시간 동안 번갈아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구김 방지 기능 선택은 세탁장치가 동작 중일 때뿐만 아니라 예약 상태에서 동작 대기 중인 경우에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 상태에서도 구김 방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세탁장치에서 구김 방지 기능이 선택됨을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시는 도 33과 도 35에 도시된 구김 방지 아이콘(133)일 수 있다. 상태 표시부(130)에 다리미 형태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구김 방지 기능이 설정되었거나 수행 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에서, 현재 가전제품의 상태가 원격 제어 대기, 동작 중, 일시 정지 중 그리고 예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태 정보는 가전제품의 에러 또는 통신 연결 에러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전제품의 에러, 예를 들어 급수되지 않는 문제와 같은 에러 정보는 가전제품에서 서버를 통해 외부 단말에 전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단말에서는 모니터링만 가능하고, 에러에 대한 조치는 가전제품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외부 단말에서 여러 가지 명령을 서버로 전달하는데, 이에 대한 리턴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 단말에서는 통신 연결 에러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연결 에러는, 서버와 외부 단말 사이의 통신 연결 문제일 수도 있고, 서버와 가전제품 사이의 통신 연결 문제일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 연결 에러는, 리턴 정보 또는 상태 정보가 설정 시간 동안 외부 단말에서 수신되지 않는 경우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전제품, 특히 세탁장치 자체에서 원격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세탁장치는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 여부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를 갖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탁장치는 원격서비스활성화를 설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면, 이의 해제시까지 상기 상태 표시부(130)에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임을 나타내는 아이콘(132)를 지속적으로 표시한다.
물론, 이러한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은 상기 세탁장치와 서버 사이의 통신 연결을 전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태 표시부(130)에서 서버와의 통신 연결 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130)에 통신 연결 상태임을 나타내는 아이콘(131)이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상태 표시부(130)에 표시된 아이콘(131, 132)를 통해, 직관적으로 통신 연결 상태와 원격서비스활성화 상태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세탁장치의 현재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서버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까지, 상기 아이콘(132) 표시와 함께 상기 상태 표시부(130)에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임을 안내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장치가 현재 원격 제어 대기 중임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아이콘(132)과 함께 상기 상태 표시부에 상기 세탁장치의 동작 시작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이제 곧 세탁장치가 동작을 시작한다는 안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장치에 접근한 사용자가 세탁장치의 갑작스러운 동작으로 인해 혼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동작 시작 표시 후 소정 시간 경과, 예를 들어 5초 경과 후 상기 아이콘(132) 표시와 함께 상기 상태 표시부(130)에 상기 세탁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태 표시부(130)에서 아이콘들과 안내 정보를 표시하여, 세탁장치에 접근한 사용자가 현재의 세탁장치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제어를 하는 사용자와 세탁장치에 접근한 사용자 사이에 혼선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10 : 서버 20 : 가전제품
30 : AP 40 : 외부 단말
60 : 사용자 사이트 100 : 가전제품의 컨트롤패널
130 : 가전제품의 상태 표시부 131 : 통신 연결 아이콘
132 :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아이콘 133 : 구김 방지 설정 아이콘

Claims (35)

  1. 외부 단말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서버에 로그인(Log In)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원격 서비스를 위한 가전제품을 특정하여, 상기 특정된 가전제품의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전제품이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 상기 가전제품의 가변 동작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에서 상기 수신된 가변 동작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제품이 동작하도록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명령 신호를 상기 가전제품으로 전달하여 상기 가전제품이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와 매칭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가전제품 정보를 통해, 원격 서비스를 위한 가전제품을 특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가전제품 정보를 통해, 원격서비스를 위한 가전제품을 특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동작 정보는 상기 외부 단말에서 변경 가능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가전제품 정보에 해당하는 가변 동작 정보를 특정하여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은 세탁장치이며, 상기 가변 동작 정보는 세탁코스와 상기 세탁코스 내에서의 옵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정보는, 세탁 정도, 헹굼 횟수, 탈수 정도, 세탁수 온도 그리고 스팀 사용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에서 상기 가변 동작 정보를 세팅하고, 상기 세팅된 가변 동작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세팅된 가변 동작 정보에 따라 상기 가전제품이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상태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에 송신하여, 상기 외부 단말에서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상태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에서,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중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을 일시정지시키는 명령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가전제품에 송신하여,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이 일시정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의 일시정지 상태에서,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일시정지 상태와 상기 세팅된 가변 동작 정보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에서, 상기 가전제품의 일시정지 상태에서, 상기 세팅된 가변 동작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가전제품의 재시작하게 하는 명령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가전제품에 송신하여, 상기 가전제품이 재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에서,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중 상기 가전제품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명령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가전제품에 송신하여, 상기 가전제품의 전원이 오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중, 상기 외부 단말에서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을 일시정지시키는 명령 또는 상기 가전제품의 전원을 오프하는 명령만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를 설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는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를 설정 또는 해제만을 위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는 상기 가전제품의 본연의 기능 선택을 위해 구비되되, 입력 방법을 달리하여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를 설정 또는 해제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에 탑재되거나 연결되는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와이파이 통신모듈과 억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에는, 상기 가전제품의 상태, 와이파이 통신 연결 상태 그리고 원격서비스활성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와이파이 통신 연결 상태에서만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후 상기 사용자 정보와 가전제품 정보가 함께 상기 서버에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와 가전제품 정보가 함께 상기 서버에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가전제품의 원격서비스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와 가전제품 정보가 함께 상기 서버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외부단말에는 상기 가전제품을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이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24. 서버;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을 위한 설정모드와 통신을 위한 사용모드를 지원하는 와이파이 통신모듈, 상기 설정모드를 동작시키도록 구비된 입력부 그리고 온라인서비스활성화를 설정 또는 해제하도록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를 갖는 가전제품; 그리고
    상기 설정모드에 접속한 후, 상기 통신모듈과 접속될 AP SSID 정보와 상기 가전제품을 상기 서버에 등록시키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사용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서버에 로그인하여 상기 가전제품에서 상기 온라인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면 상기 가전제품의 원격서비스를 상기 서버로 요청하여 상기 가전제품의 원격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하는 외부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25. 서버;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와이파이 통신모듈과 온라인서비스활성화를 설정 또는 해제하도록 구비된 온라인서비스활성화 입력부를 갖는 가전제품; 그리고
    상기 가전제품에서 상기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에서만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가전제품의 가변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변 동작 정보를 세팅하여 상기 가전제품이 상기 세팅된 가변 동작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전제품이 동작하도록 명령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가전제품을 원격 제어하도록 구비된 외부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26. 외부 단말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서버에 로그인(Log In)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원격 서비스를 위한 가전제품을 특정하여, 상기 특정된 가전제품의 원격서비스활성화 상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전제품이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가전제품으로부터 상기 가전제품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은 세탁장치이며, 상기 상태 정보는, 원격제어 대기 상태, 동작 중인 상태, 동작 일시정지 상태 그리고 예약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원격제어 대기 상태 또는 상기 동작 일시정지 상태인 경우, 상기 서버에서 수신된 상기 가전제품의 가변 동작 정보가 상기 외부 단말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동작 상태 또는 예약 상태인 경우, 상기 외부 단말을 통해 코스 종료 후 드럼을 구동하여 세탁물의 구김 발생을 방지하는 구김 방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구김 방지 선택부가 상기 외부 단말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구김 방지 기능은 상기 외부 단말을 통해서만 선택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의 원격제어활성화 해제는, 상기 가전제품의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를 통한 해제와 상기 가전제품의 전원 오프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만, 상기 가전제품의 원격제어활성화 해제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의 전원 오프는,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완료에 의한 전원 오프, 상기 가전제품에서의 강제적인 전원 오프 그리고 상기 외부 단말을 통한 상기 가전제품의 전원 오프 명령에 의한 상기 가전제품의 전원 오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33.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중 상기 가전제품의 에러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에러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 이용 방법.
  34.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서버와의 통신 연결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원격서비스활성화 입력부를 통해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되면, 이의 해제시까지 상기 표시부에 원격서비스활성화 설정 상태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지속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까지, 상기 아이콘 표시와 함께 상기 표시부에 원격서비스활성화가 설정된 상태임을 안내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아이콘 표시와 함께 상기 표시부에 상기 세탁장치의 동작 시작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동작 시작 표시 후 소정 시간 경과하여, 상기 아이콘 표시와 함께 상기 표시부에 상기 세탁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원격제어활성화 입력부를 통한 해제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세탁장치의 전원 오프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만, 상기 세탁장치의 원격제어활성화 해제가 수행되어 상기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098946A 2012-09-06 2012-09-06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797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946A KR101797493B1 (ko) 2012-09-06 2012-09-06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US14/017,517 US9791838B2 (en) 2012-09-06 2013-09-04 Home applianc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ES13183129.9T ES2539929T3 (es) 2012-09-06 2013-09-05 Electrodoméstico y sistema en línea que incluye el mismo
EP13183129.9A EP2706704B1 (en) 2012-09-06 2013-09-05 Home applianc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PL13183129T PL2706704T3 (pl) 2012-09-06 2013-09-05 Urządzenie gospodarstwa domowego i system sieciowy obejmujący to urządzenie
CN201310403718.0A CN103685450B (zh) 2012-09-06 2013-09-06 家用电器及包括该家用电器的联机系统
US15/695,660 US10386802B2 (en) 2012-09-06 2017-09-05 Home applianc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946A KR101797493B1 (ko) 2012-09-06 2012-09-06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263A true KR20140032263A (ko) 2014-03-14
KR101797493B1 KR101797493B1 (ko) 2017-11-15

Family

ID=4916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946A KR101797493B1 (ko) 2012-09-06 2012-09-06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791838B2 (ko)
EP (1) EP2706704B1 (ko)
KR (1) KR101797493B1 (ko)
CN (1) CN103685450B (ko)
ES (1) ES2539929T3 (ko)
PL (1) PL2706704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561A1 (ko) * 2017-09-28 2019-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US10534519B2 (en) 2016-01-08 2020-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857B1 (ko) 2011-07-2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797493B1 (ko) 2012-09-06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2025754B1 (ko) * 2012-11-01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및 방법
JP5670498B2 (ja) * 2013-03-08 2015-02-18 シャープ株式会社 機能管理装置、遠隔制御システム、機能管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496393B1 (ja) * 2013-05-23 2014-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宅内機器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
US10447554B2 (en) 2013-06-26 2019-10-15 Qualcomm Incorporated User presence based control of remote communication with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10649557B2 (en) * 2013-12-10 2020-05-12 Pas Deutschland Gmbh Method for operator guidance, control panel component, production of a control panel component and home appliance comprising a control panel component
JP6561562B2 (ja) * 2014-06-30 2019-08-2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加熱調理装置、情報表示装置、制御方法、調理器具、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RU2573762C1 (ru) * 2014-08-25 2016-01-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ОЛЛ ГРАНД" Система удаленного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нны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умный дом"
EP3189508A1 (en) * 2014-09-03 2017-07-12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with a domestic appliance by a mobile computer device, mobile computer device and domestic appliance
JP6336864B2 (ja) * 2014-09-05 2018-06-06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システム
AU2015326466A1 (en) * 2014-09-30 2017-04-13 Tekoia Ltd. Universal remote control
CN104980322B (zh) * 2014-10-31 2018-11-23 腾讯科技(上海)有限公司 网络接入设备间联动的方法及装置
WO2016076641A1 (en) * 2014-11-14 2016-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device for use
CN104615062A (zh) * 2014-12-24 2015-05-1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厨房设备的监控方法、系统、装置、服务器和烹饪装置
CN104615456B (zh) 2014-12-30 2019-02-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中控设备
CN104660685A (zh) * 2015-01-30 2015-05-2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设备信息获取方法及装置
US10124997B2 (en) 2015-03-18 2018-11-13 Gray Manufacturing Company, Inc. Remote lift control using independent computing devices
US10425276B2 (en) 2015-04-23 2019-09-2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Provisioning an appliance for network connectivity
CN105093948A (zh) * 2015-07-13 2015-11-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设备控制方法、终端及服务器
CN104994169A (zh) * 2015-07-14 2015-10-21 上海智臻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扫地机器人状态信息查询方法及服务器
CN108737572A (zh) * 2015-07-14 2018-11-02 上海智臻智能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扫地机器人服务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872319B2 (en) 2015-07-30 2020-12-22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Systems for providing service notifications to a product
CN105100279B (zh) * 2015-08-31 2019-02-15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家电设备的控制方法和装置
CN105155208B (zh) * 2015-10-20 2017-06-0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涤装置及其控制方法、系统及移动终端
US11018888B2 (en) 2015-12-03 2021-05-2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of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WO2017141219A1 (en) * 2016-02-18 2017-08-24 Tekoia Ltd. Architecture for remote control of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s
DE202016102066U1 (de) * 2016-04-20 2017-07-24 Z-Wave Europe Gmbh Schaltaktor
US10063713B2 (en) * 2016-05-23 2018-08-28 Twili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matic device connectivity
CN107422642A (zh) * 2016-05-24 2017-12-0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电设备及其与控制终端解绑的方法、家电控制系统
CN107037735A (zh) * 2016-06-07 2017-08-11 惠州市宏枫实业有限公司 具有智能家居管理功能的新型室内电箱
CN106067136A (zh) * 2016-06-13 2016-11-02 南京物联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旋转按钮购物系统及方法
CN105933673A (zh) * 2016-06-22 2016-09-07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厨房监控系统和方法
US10623509B2 (en) * 2016-07-28 2020-04-14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Intelligent maintenance and repair of user properties
CN107786598A (zh) * 2016-08-26 2018-03-09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远程控制家庭上网设备的方法、装置及服务器
TWI605410B (zh) * 2016-09-07 2017-11-11 Matsushita Electric (Taiwan) Co Ltd Intelligent laundry method and system
KR20180047323A (ko) 2016-10-31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제어장치,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시스템
CN108070977B (zh) * 2016-11-14 2020-07-17 宁波吉德家电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洗衣机系统及其控制方法
DE102016225274A1 (de) * 2016-12-16 2018-06-21 BSH Hausgeräte GmbH Steuerung eines Hausgeräts
CN108259278A (zh) * 2016-12-29 2018-07-0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及其远程控制方法
CN108570792B (zh) * 2017-03-07 2021-01-22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远程控制方法
CN108570791B (zh) * 2017-03-07 2021-01-22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远程控制方法
CN108570795B (zh) * 2017-03-07 2021-01-22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远程控制方法
CN108570793B (zh) * 2017-03-07 2021-03-30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远程控制方法
CN108572565A (zh) * 2017-03-07 2018-09-2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远程控制方法
CN108625113B (zh) * 2017-03-23 2020-09-1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工作状态指示方法及洗衣机系统
CN108625112A (zh) * 2017-03-23 2018-10-0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系统
CN108625094B (zh) * 2017-03-23 2021-07-09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N108625095B (zh) * 2017-03-23 2021-07-09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N108625096B (zh) * 2017-03-24 2021-07-09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洗衣机远程控制系统
CN108660677B (zh) * 2017-03-27 2021-08-27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远程移动终端的控制方法
CN108663950A (zh) * 2017-03-27 2018-10-1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转移控制权限的控制方法
CN108660678B (zh) 2017-03-27 2021-03-23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远程控制的终断方法
CN108729113B (zh) * 2017-04-24 2021-07-06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N109881430A (zh) * 2017-12-06 2019-06-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程序的远程配置方法
CN108371528A (zh) * 2018-02-09 2018-08-07 广东浩喜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带gprs远程控制的洗碗机及其控制方法
JP6652592B2 (ja) * 2018-05-16 2020-02-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10578228A (zh) * 2018-06-07 2019-12-1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控制方法及洗衣机
CN109032725A (zh) * 2018-06-29 2018-12-18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显示界面的方法及装置
US20200032449A1 (en) * 2018-07-27 2020-01-3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yer appliance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a remote device
CN109242252B (zh) * 2018-08-03 2020-09-04 张继升 一种智能服务平台及方法
CN110830334B (zh) * 2018-08-13 2020-11-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家电设备控制方法、装置、系统、服务器及家电设备
JP7365762B2 (ja) * 2018-08-30 2023-10-2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9358520B (zh) * 2018-11-01 2022-01-07 南京仁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物联网络局域动态解锁系统
CN109936489A (zh) * 2019-03-25 2019-06-25 美的智慧家居科技有限公司 场景联动的控制方法及系统、网关设备和存储介质
CN110572305B (zh) * 2019-08-26 2020-10-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家居设备绑定方法、系统及智能家居设备、移动终端
JP2021094258A (ja) * 2019-12-18 2021-06-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システム、サーバ、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311980A (zh) * 2020-02-26 2021-08-2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装置及洗衣设备
IT202000006397A1 (it) * 2020-03-26 2021-09-26 Candy Spa Macchina lavabiancheria con interfaccia utente
CN111487880A (zh) * 2020-04-07 2020-08-04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智能设备、终端及其控制方法、家电及其控制方法
KR20230001291A (ko) * 2021-06-28 202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
CN113848740A (zh) * 2021-09-26 2021-12-28 海信(广东)厨卫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家电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US11899565B2 (en) 2021-10-06 2024-02-1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ecure remote testing of household appliances
US20230266960A1 (en) * 2022-02-24 2023-08-24 Whirlpoo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offline over the air (ota) programming of appliances

Family Cites Families (1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8460A (en) 1966-09-26 1968-08-27 Whirlpool Co Anti-wrinkle cycle for dryers with intermittent signaling means
US6850252B1 (en) 1999-10-05 2005-02-01 Steven M. Hoffberg Intelligent electronic appliance system and method
US6121593A (en) 1998-08-19 2000-09-19 Duck Creek Energy, Inc. Home appliances provided with control systems which may be actuated from a remote location
IT1309109B1 (it) 1999-10-13 2002-01-16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Sistema per il monitoraggio e controllo di un insieme di utenzeelettriche.
US7526539B1 (en) 2000-01-04 2009-04-28 Pn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istributed home-automation-control (HAC) window
US6799085B1 (en) 2000-06-08 2004-09-28 Beverage Works, Inc. Appliance supply distribution, dispensing and use system method
JP2002085885A (ja) 2000-09-11 2002-03-26 Toshiba Corp ランドリーシステム
EP1186695B1 (en) 2000-09-12 2012-05-30 Kabushiki Kaisha Toshiba Remote control system of laundry appliance
US20020075160A1 (en) * 2000-09-13 2002-06-20 Racz Stephen Joseph Remotely controlled local interface lock -out system, with manual override, for electronic devices and appliances
JP3727922B2 (ja) * 2000-09-27 2005-12-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電子機器の遠隔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の管理設備
US20020095483A1 (en) 2000-10-09 2002-07-1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viding washing course programs and self diagnosis service of an automatic washer from a remote server
JP2002163555A (ja) 2000-11-29 2002-06-07 Nec Corp 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管理方法
EP1598714B1 (en) 2000-12-13 2016-09-2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US7054659B2 (en) 2001-05-14 2006-05-30 Palm, Inc. Compact removable voice handset for an integrated portable computer system/mobile phone
KR20020093516A (ko) 2001-06-09 2002-12-1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인터넷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 통신 장치 및 방법
US20030179746A1 (en) 2001-07-04 2003-09-25 Moon Gyeong Ho Service system for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method thereof
US7464426B2 (en) 2001-07-04 2008-12-16 Lg Electronics Inc. Internet-wash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4391711B2 (ja) 2001-08-28 2009-12-24 富士通株式会社 装置、装置利用者管理装置および装置利用者管理プログラム
JP2003071178A (ja) 2001-09-04 2003-03-11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DE60230479D1 (de) 2001-11-29 2009-02-05 Panasonic Corp 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Haushaltgerätes, mit einem Kommunikationsmobilendgerätes und einer Übergangseinheit für ein Haus
KR100466857B1 (ko) 2001-12-01 2005-01-15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인터넷 기반 홈 오토메이션 서버 및 제어 방법
KR100857783B1 (ko) 2001-12-24 2008-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세탁기 및 그 원격 제어시의 제어 방법
JP2003209892A (ja) 2002-01-11 2003-07-25 Hitachi Ltd 家電遠隔操作方法
JP2003210887A (ja) 2002-01-22 2003-07-29 Toshiba Corp ランドリーシステム
JP2003225491A (ja) 2002-02-06 2003-08-12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サーバ及び遠隔操作システム
KR100461593B1 (ko) 2002-03-08 2004-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망을 통한 원격제어서비스 제공장치, 시스템 및 방법
WO2003079205A1 (fr) 2002-03-18 2003-09-25 Sony Corporation Systèm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informations, et procédé
US7110832B2 (en) 2002-03-22 2006-09-19 Whirlpool Corporation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an appliance
CN1452352A (zh) 2002-04-19 2003-10-29 上海广电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通过互联网实现智能家用电器设备远程控制的系统和方法
JP2004040285A (ja) 2002-07-01 2004-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家庭電化製品の制御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家庭電化製品
JP2004096591A (ja) 2002-09-03 2004-03-25 Hitachi Ltd 家電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家電機器のコントローラ
KR100529878B1 (ko) 2002-11-08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패드가 탑재된 인터넷 냉장고
KR100539533B1 (ko) 2002-11-25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40069530A (ko) 2003-01-29 2004-08-06 주식회사 신지소프트 전자 제품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6967766B2 (en) 2003-04-29 2005-11-22 Raytheon Company Zigzag slab laser amplifier with integral reflective surface and method
JP2004350930A (ja) 2003-05-29 2004-1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60004697A (ko) 2003-05-29 2006-01-1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이상 처리 시스템
JP2005034186A (ja) 2003-07-15 2005-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システム
KR20030064722A (ko) 2003-07-15 2003-08-02 주식회사 로보피아 피.디.에이. 기반의 무선 홈 정보가전 제어 시스템 구축방법
JP4007291B2 (ja) 2003-09-10 2007-11-14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登録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無線ネットワーク登録方法
US7196623B1 (en) 2003-09-17 2007-03-27 Wang Matthew C Remote reminding system
CN1598770A (zh) 2003-09-19 2005-03-23 乐金电子(沈阳)有限公司 家电产品的系统软件升级方法
JP2005102060A (ja) 2003-09-26 2005-04-14 Toshiba Consumer Marketing Corp データ構造、外部サーバ、ホーム通信装置及びコマンドデータの通信方法
JP2005110967A (ja) 2003-10-08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システム
KR20050034412A (ko) 2003-10-09 200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US7469288B2 (en) * 2003-10-24 2008-12-23 Robert John Tuttle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multiple laundry appliances
US7092793B2 (en) 2003-10-31 2006-08-15 Ecolab Inc Method and system for installation and control of a utility device
US7762470B2 (en) 2003-11-17 2010-07-27 Dpd Patent Trust Ltd. RFID token with multiple interface controller
CN1317866C (zh) 2003-12-02 2007-05-23 乐金电子(沈阳)有限公司 利用电视机的本地网络控制方法
US20050131991A1 (en) 2003-12-10 2005-06-16 Sanyo Electric Co., Ltd. Network apparatus and program product
JP2005185460A (ja) 2003-12-25 2005-07-14 Toshiba Corp 洗濯機の遠隔操作システム
KR101049339B1 (ko) 2004-02-02 2011-07-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양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KR100634798B1 (ko) 2004-02-25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4660100B2 (ja) 2004-02-26 2011-03-30 三洋電機株式会社 サーバ装置
JP4455171B2 (ja) 2004-05-31 2010-04-21 株式会社東芝 家電機器情報通信システム
CN1770714A (zh) 2004-11-02 2006-05-10 乐金电子(沈阳)有限公司 家庭网络装置的网络控制方法及系统
US7603119B1 (en) 2005-03-16 2009-10-13 Sprint Spectrum L.P. Automatic over-the-air updating of a preferred roaming list (PRL) in a multi-mode device, based on an account association between the device and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ccess point
US7498936B2 (en) 2005-04-01 2009-03-03 Strauss Acquisitions, L.L.C. Wireless event status communic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US8532304B2 (en) 2005-04-04 2013-09-10 Nokia Corporation Administration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7616594B2 (en) 2005-04-22 2009-11-10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device discovery and configuration
US9103061B2 (en) 2006-06-08 2015-08-11 Whirlpool Corporation Product service system and method
US20070288331A1 (en) 2006-06-08 2007-12-13 Whirlpool Corporation Product demonstration system and method
US8615332B2 (en) 2005-06-09 2013-12-24 Whirlpool Corporation Smart current attenuator for energy conservation in appliances
CN1893529B (zh) 2005-06-27 2012-10-31 柯尼卡美能达商用科技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US7836306B2 (en) 2005-06-29 2010-11-16 Microsoft Corporation Establishing secure mutual trust using an insecure password
WO2007004800A1 (en) 2005-06-30 2007-01-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display using the avatar in the washing machine
DE102006030184A1 (de) 2005-06-30 2007-01-25 Lg Electronics Inc. Haushaltsgerät mit einem MP3-Spieler
KR100703785B1 (ko) 2005-08-26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US8421597B2 (en) 2005-10-14 2013-04-16 Kyocera Corporatio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602005023174D1 (de) 2005-10-27 2010-10-07 Electrolux Home Prod Corp Netzwerk von programmgesteuerten Haushaltsgeräten
EP1951948B1 (en) 2005-11-10 2017-08-02 LG Electronics Inc. Steam generator and laundry dryer hav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559369B2 (en) 2006-02-22 2013-10-15 Elad Barkan Wireless internet system and method
US8296450B2 (en) 2006-03-21 2012-10-23 Fortinet, Inc. Delegated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792067B1 (ko) 2006-04-25 200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ES2341475T3 (es) 2006-05-02 2010-06-2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Electrodomestico con indicador de estado de programa.
AU2007247918B2 (en) * 2006-05-04 2011-07-21 Capstone Mobile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water meter
KR20080024307A (ko) 2006-09-13 2008-03-18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플랫폼 기반 통신 시스템
WO2008058360A1 (en) 2006-11-13 2008-05-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wireless mode indicators
JP4442605B2 (ja) 2006-12-01 2010-03-31 船井電機株式会社 通信端末
KR101342367B1 (ko) 2006-12-19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건조기
WO2008085207A2 (en) 2006-12-29 2008-07-17 Prodea Systems, Inc. Multi-services application gateway
KR20090036422A (ko) 2007-10-09 2009-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090041003A (ko) 2007-10-23 2009-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090041687A (ko) 2007-10-24 2009-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프로그램 원격업그레이드 방법
JP2009135783A (ja) 2007-11-30 2009-06-18 Toshiba Corp 通信アダプタ及びその接続情報設定方法
US8538376B2 (en) 2007-12-28 2013-09-17 Apple Inc. Event-based modes for electronic devices
US8255090B2 (en) 2008-02-01 2012-08-28 Energyhub System and method for home energy monitor and control
US8299901B2 (en) 2008-02-06 2012-10-30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Control lockout for an electronic apparatus
US20090217335A1 (en) 2008-02-27 2009-08-27 Richard Sai Kit Wong Apparatus and methods for network access
KR20090095351A (ko) 2008-03-05 2009-09-09 조병순 Pc나 서버 기반의 유비쿼터스 스마트 홈 네트워크매니지먼트 패케이지의 구현방법
CN101960222A (zh) 2008-03-06 2011-01-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器具管理系统及燃气供给系统
US20090322550A1 (en) 2008-06-25 2009-12-31 Shuttle Inc. Wireless home control system
EP2368390A4 (en) 2008-12-19 2016-05-04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DUCING AN ASSOCIATION BETWEEN A USER DEVICE AND AN ACCESS POINT
EP2373073B1 (en) 2008-12-26 2016-11-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device
US8625552B2 (en) 2008-12-31 2014-01-07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provisioning a device for a network using a soft access point
US8132256B2 (en) 2009-01-21 2012-03-06 At&T Mobility Ii Llc Home networking using LTE radio
KR101556972B1 (ko) * 2009-05-11 2015-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63487B1 (ko) 2009-05-11 201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07891B1 (ko) 2009-07-31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US9531844B2 (en) 2009-10-01 2016-12-27 Sony Corporation Automatic internet connection sharing among related devices
US9900759B2 (en) 2009-11-04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er dis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685784B2 (en) * 2009-11-26 2017-06-20 Lg Electronics Inc. Network system for a component
EP2797349B1 (en) 2009-11-30 2018-09-26 Sun Patent Trust Communication device with several antennas, communication method, and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WO2011065007A1 (ja) 2009-11-30 2011-06-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型通信装置、通信方法、集積回路、プログラム
US10198935B2 (en) 2009-12-08 2019-02-0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activity based setup of a controlling device
US9058037B2 (en) 2009-12-22 2015-06-16 General Electric Company Return of appliance state after demand response event
CN201588102U (zh) 2010-01-19 2010-09-22 上海川岛艾美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可远程控制的全自动工业洗衣机
US20110215919A1 (en) * 2010-03-05 2011-09-08 Daniel Ray Hernandez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and Performance Monitoring of Electric Appliances
TW201134141A (en) 2010-03-19 2011-10-01 Univ Nat Chiao Tung A dynamically reconfigurable heterogeneous with load balancing architecture and method
JP4966393B2 (ja) 2010-03-25 2012-07-04 株式会社東芝 端末機器
TWM391242U (en) 2010-04-30 2010-10-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Wireless human machine interface, cloud computing system and portable computer
US9453299B2 (en) 2010-05-17 2016-09-27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DE112011101736T5 (de) 2010-05-21 2013-06-27 Sharp Kabushiki Kaisha Steuerun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Beleuchtung und Netzwerksystem
KR20110131655A (ko) 2010-05-31 2011-12-07 아이씨에스(주) 홈 오토메이션에서의 가전제품용 리모트 컨트롤/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1873343A (zh) 2010-06-03 2010-10-27 罗李敏 物联网组网方法及其系统
US8817677B2 (en) 2010-06-18 2014-08-26 Panasonic Corporation Power control device for home appliances
CN201770893U (zh) 2010-08-25 2011-03-23 上海雅朴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rfid技术的收衣洗衣通道装置
DE102010040032A1 (de) 2010-08-31 2012-03-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Daten eines Hausgeräts, Hausgerät und System mit einem Hausgerät und mindestens einer externen Einheit
US8976126B2 (en) 2010-09-02 201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23497A (ko) 2010-09-02 2012-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E102010063083A1 (de) 2010-12-14 2012-06-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mit Fernbedienung
JP5620287B2 (ja) 2010-12-16 2014-11-05 株式会社オプティム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変更する携帯端末、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70826B1 (ko) 2011-01-05 2017-08-23 심천 워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주식회사 섬유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필터
EP2662485B1 (en) 2011-01-06 2018-06-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er
CN102043404A (zh) 2011-01-26 2011-05-04 深圳拓邦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家电控制系统及方法
US8666634B2 (en) 2011-02-25 2014-03-04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pneumatic booster system
WO2012144776A2 (ko) 2011-04-18 201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953278B2 (en) 2011-05-02 2018-04-24 Sears Brands, L.L.C.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networked home appliances
US8588990B2 (en) 2011-06-30 2013-11-19 Ayla Networks, Inc. Communicating through a server between appliances and applications
KR101276857B1 (ko) 2011-07-2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276861B1 (ko) 2011-07-2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US20130042416A1 (en) 2011-08-15 2013-02-21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oad amount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during loading and providing indications regarding same
KR101985337B1 (ko) 2011-10-26 2019-09-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운용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1844211B1 (ko) 2011-12-28 201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설정 방법
US9359712B2 (en) 2012-04-04 2016-06-07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ergy usage of an appliance
KR101797493B1 (ko) 2012-09-06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US11099533B2 (en) 2014-05-07 2021-08-24 Vivint, Inc. Controlling a building system based on real time ev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4519B2 (en) 2016-01-08 2020-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9066561A1 (ko) * 2017-09-28 2019-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85450B (zh) 2017-04-12
PL2706704T3 (pl) 2015-10-30
ES2539929T3 (es) 2015-07-07
US20170364048A1 (en) 2017-12-21
EP2706704A1 (en) 2014-03-12
US20140067094A1 (en) 2014-03-06
US9791838B2 (en) 2017-10-17
CN103685450A (zh) 2014-03-26
US10386802B2 (en) 2019-08-20
EP2706704B1 (en) 2015-04-08
KR101797493B1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3778B2 (en) Home applianc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386802B2 (en) Home applianc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276861B1 (ko)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276857B1 (ko)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819510B1 (ko) 세탁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887069B1 (ko) 세탁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20130013236A (ko) 세탁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830746B1 (ko) 세탁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742995B1 (ko)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44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307

Effective date: 2017071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