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66561A1 -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66561A1
WO2019066561A1 PCT/KR2018/011543 KR2018011543W WO2019066561A1 WO 2019066561 A1 WO2019066561 A1 WO 2019066561A1 KR 2018011543 W KR2018011543 W KR 2018011543W WO 2019066561 A1 WO2019066561 A1 WO 20190665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external terminal
server
home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15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용하
윤나라
이만재
이준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702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1514A/ko
Priority to US16/489,689 priority patent/US20210297278A1/en
Publication of WO20190665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665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205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not using a model or a simulator of the controlled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2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materials, e.g. to avoid wear during transport through the machine
    • G06K19/02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materials, e.g. to avoid wear during transport through the machine the material being suitable for use as a textile, e.g. woven-based RFID-like labels designed for attachment to laundry i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home appliance, a control method thereof, or an Internet home applianc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a home appliance may refer to a device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on behalf of a user as an appliance through electrical energy or heat energy.
  • appliances for processing objects there are appliances for processing objects, and various types of appliances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types of objects.
  •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garments is an example of household appliances.
  • Examples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clothes, a dryer for drying clothes, and a clothes manager for refreshing clothes.
  • the clothes manager is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as a home appliance that stores clothes in a cabinet and refreshes clothes in various forms such as dust removal, deodorization, or drying.
  • Clothes managers are called various types of manufacturers, such as clothes cleaners, refreshers, and stylists.
  • a refrigerator, freezer or wine cellar is a household appliance for storing food or wine at a suitable temperature.
  • An air conditioner or an air purifier can be said to be an appliance that operates with air, dus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a proper temperature, humidity, and dust concentration.
  • the cleane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operates to suck and remove dust by using objects to be cleaned, for example, floor, carpet, bedding or wall surface dust.
  • a water purifier or a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an be said to be an appliance that supplies water or drinking water.
  • a constant temperature set by setting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the type of the drinking water, or the set coffee can be supplied.
  • the object to be treated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powdered milk, tea, and coffee.
  • a certain temperature constant may be set to be supplied by a certain amount.
  • These home appliances have various modes, courses or cycles to effectively and optimally treat the object.
  • the terms can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the household appliance. It may also include options to vary the control factors of such mode, course or cycle.
  • a plurality of cycles or courses are provided depending on the type of garment or degree of contamination, and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ycle or course according to the type and condition of clothes to be washed from among a plurality of cycles or courses .
  • it may include an option to vary the control factor to perform the course, such as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the dehydration RPM, and the amount of wash water.
  • th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may include upper control information (course, mode or cycle) and lower control information (option information for performing upper control information).
  • the user has to make a trouble to select the optimum processing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 to be processed among a plurality of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Users who are accustomed to such troubles or who make the best choice are less likely to use the appliance. However, it is not easy to select and set appropriate control informa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pper control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lower control information. Some users only use basic control information.
  • the object to be treated is expensive clothes, it is not easy to make an optimal selection among a plurality of object processing information. That is, the garment may be damaged due to wrong selection, which causes a problem of lowering the reliability of the household appliance.
  • processing information is selected to expose temperature sensitive garments to high temperature heat or steam of hot wash water, there is a lot of room for damage to the garment. Also, when refreshing a garment such as a thick padding, a sufficient refresh may not be performed simply by injecting air into the garment.
  • a user can execute an application linked with a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in a smart phone, and download processing information capable of optimally processing a specific object to be processed. That is, when the smart phone connects to the server and selects download information, the server downloads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home appliance. The user can process the specific object to be processed through the specific processing information by using the downloaded information.
  • the user runs an integrated application (e.g., a " Smart ThinQ " application) at an external terminal.
  • a status screen of the styler may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terminal.
  • the user selects an extension tab from the status screen
  • a downloadable course screen can be displayed. The user can select a particular download course from the download course screen and decide to download the course through the course tab screen.
  • the user decides to download a specific course through at least seven screens on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n accesses the home appliance to select the downloaded course, press the product input and start button.
  •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im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misrecognition of a user about information on an object to be processed, and to provide a home appliance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setting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home appliance based on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an easy-to-use terminal a home appliance, a home applianc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an application interlocked with an appliance is automatically executed by an external terminal.
  • a home applianc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minimize a manual operation performed by a user when a user performs a product process through the home applian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process the object to be processed only in a specific home appliance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o be processed.
  • a home applianc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it is very easy to construct an initial environment by installing an application in a terminal or registering a home appliance in a server and perform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rough a terminal I want to.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capable of enhancing user satisfaction with a home appliance for process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and the object to be process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reate synergy among related industries by rais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a specific apparel company, a manufacturer of an external terminal using a specific OS, and a manufacturer of a specific home appliance.
  •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cluding: recognizing first information in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an information tag provided in a product to be processed; Transmitting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server using the application linked with the home appliance registered and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device information in the external terminal; Setting information (product process information) for processing the product by receiving third information from the server in the household appliance; And processing the product on the basis of the set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home appliance.
  • the object to be treated may be an object to be treated.
  • the object to be processed may be an object to be processed by being input to the home appliance and may be an object hav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or function in the home appliance. Therefore, the object to be treated does not necessarily mean an object to be charged to the household appliance. Processing of a product in a home appliance can be expanded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or function in the home appliance based 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object to be processed.
  • the information tag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ar code, a QR cod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ag.
  • the external terminal preferably includes a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the information tag.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n RFID module or an NFC module. Only one-way recognition is required between the information tag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an be excluded. According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ag may be an NFC tag,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n NFC module.
  • the server can match specific home appliances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That is,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can be specified by the server.
  • the application includes an integrated application applicable to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home appliances; And a home appliance application applicable to a specific type of home appliance after executing the integrated application.
  • the consumer application may be included in the integrated application. Therefore,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can be installed together by installing one integrated application.
  • the wireless communication tag may include an NFC tag. 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can be executed in the external terminal.
  • a specific home appliance application for processing the product may be executed.
  • the power of the external terminal is turned on before tagging. Then, the OS of the external terminal can read the first information and execut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th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or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 the first information may be a specific course itself and may include a particular course.
  • a specific course can be determined from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first information.
  • the second information may also be a specific course itself and may include a particular course.
  • the server can determine a specific course through the second information.
  • the third information may also be the second information itself and may include a particular course.
  • the first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household appliance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product processing. Through this,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application can be executed.
  •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external terminal, a manufacturer or brand information of the product, and type information of the product. At least a part of this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external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at the first information is correctly recognized.
  •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information, or include the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 the third information may be the same as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information, or include the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 the second information may includ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to be newly downloaded from the household appliance for processing the product.
  • the external terminal may display a screen for selecting th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to be newly downloaded by the user.
  • the third information may includ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newly downloaded from the household appliance.
  • the newly downloaded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set.
  • the application may include a home appliance application applicable to a particular type of home appliance.
  • a home appliance application applicable to a particular type of home appliance.
  • it may include a styler application or a washing machine application.
  • Such a consumer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above-described integrated application.
  • the first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NFC tag, and a specific home appliance application for processing the product can be executed.
  •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may be after the recognition of the first information or before recognition. Execution after recognition is automatic execution, and execution prior to recognition can be said to be execution by user's input.
  • the first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and the application can be executed. That is, the application can be automatically executed.
  • the application can be executed and the first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That is, the application is executed by the user's selection and the first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in the application. In this case, a screen capable of recognizing the firs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 the home appliance includes an input unit for the user to manually set th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et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And a start input for selecting a user to start processing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set product process information.
  • the input unit may be excluded from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th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can be set automatically without going through the input unit.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t,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is excluded.
  • the notification that the processing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t in the user interface is performed, and then, even if the user operates the input unit in a state where the notification is valid, it is preferable not to recognize it.
  • the external terminal if the first information is recognized and the linked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a screen for installing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Therefore, the application can be easily installed. That is, it is very convenient to install the application at an appropriate time.
  • a screen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in the server is displayed. That is, the home appliances can be easily registered through the application at an appropriate time, which is very convenient.
  • the home appliances are registered in the server after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re is no need to reenter the user information.
  • a home appliance in which a keypad is not provided it becomes very convenient to connect the home appliance to the server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and register the server in the server.
  • a screen for selecting specific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executed application.
  • specific cours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hrough this, the user can know in advance the information to be set automatically and can approve it.
  • the target product may be clothing, and the household appliance may be at least one of a washing machine, a dryer, and a clothes manager.
  • a method of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receiving power through a power input unit manually selected by a user; Register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Receiving third information for product processing from the server and setting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Receiving a start of product processing through a start input unit manually selected by a user; And processing the product based on the set product process information, wherein th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first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user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The second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thir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home appliance.
  • an Internet appliance system including a server, an appliance connected to the server and registered in the server, and an external terminal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server,
  • the home appliance includes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product process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 the external terminal includes an NFC module for recognizing first information through a product to be processed, An application is installed which is interlocked with an appliance connected to the server in order to transmit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et the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appliance ,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third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 An Internet home appliance system may be provided.
  •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terminal to automatically set product process information in a home appliance comprising: Recognizing the first information through a tag; Executing an application that recognizes the first information in the external terminal and is linked with the home appliance that is registered in the server and communicatively connected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device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second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to the server after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n order to transmit the third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o the home appliance and automatically set the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home appliance
  • a control method of an external terminal can be provided.
  • the external terminal if the first information is recognized and the linked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a screen for installing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The user can easily install the application through the screen.
  • a screen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in the server is displayed. The user can easily register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in the server through the screen.
  • a screen for selecting specific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executed application.
  • the screen may be a screen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terminal to a server. That is, when the user confirms and approves specific information,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execution of an appli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of first information, and derivation of optimal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an external terminal.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misrecognition of a user about information on an object to be processed, and to provide a home appliance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setting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home appliance based on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an external terminal can automatically execute an application linked to a home appliance, thereby providing a user-friendly terminal, a home appliance, a home applianc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a home applianc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minimize a manual operation performed by a user when a user performs a product process through the home appliance.
  • a home applianc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process the object to be processed only in a specific home appliance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o be processed.
  • a home applianc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it is very easy to construct an initial environment by installing an application in a terminal or registering a home appliance in a server and perform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rough a terminal can do.
  • a home applianc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enhancing user satisfaction with a home appliance for process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and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creating a synergistic complex synergy by mean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ternet home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llustrates a first process in a control method of an Internet home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llustrates a second process in a control method of an Internet home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llustrates a third process in a control method of an Internet appli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user tagging an external terminal to a processing target product and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n application is executed in an external terminal after tagging
  • FIG. 6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n external terminal for recognizing and confirming by a user to transmit processing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 FIG. 7 shows an example of a user inputting a product to be processed into the household appliance and an input for operating the household appliance.
  • FIG. 1 shows a terminal 100, a server 200, and a home appliance 300 constituting an Internet home appliance system.
  • an object 10 having a processing object or processing information is shown.
  • Fig. 1 shows the order of information transmission.
  • the product 10 to be processed may be provided with an information tag (tag) 11.
  • the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300 may be set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tag 11 and transferred to the external terminal 100.
  • th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may include control parameters for performing the logic or logic in which the home appliance 300 operates. Accordingly, when th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is set, the home appliance performs operation accordingly.
  • the optimum course or cycle for the garment is set so that the styler can perform the operation. That is, the clothing to be input to the styler is provided with the information tag 11, and the first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tag 11 is received by the external terminal 100, Can be set. After the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is set, after the user puts the clothes into the styler, the styler can be driven according to the set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to process the clothes.
  • the processing target product 10 may not necessarily mean a product to be supplied to the home appliance 300. That is, it may be an object itself having information for setting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 the processing target product 10 should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external terminal 100, the server 200, and the household appliances 300.
  • the product to be treated 10 may be powdered milk.
  • An information tag 11 is provided in the milk powder case, and the information tag 11 can have information for setting the temperature and amount of hot water to be supplied from the water purifier. That is, although the powdered milk itself is not put into the water purifier, it can be said to be a product to be treated having information on the processing of the water purifier in a broad sense.
  • the information tag 11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Bar code, QR code, and wireless communication tag. This information tag 11 may be attached to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garment or the information tag 11 may be provided inside the wappen attached to the garment.
  • the external terminal 100 When the information tag 11 is provided as a bar code or a QR code, the external terminal 100 must be provided with a module capable of recognizing or reading the information tag 11. A code reader or a camera module 180. The external terminal recognizes or receives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processing target product 10 through the recognition module.
  • the external terminal 100 may be a smart phone. Accordingly, various applications can be installed in the external terminal 100.
  • An application for using a recognition module such as a code reader or a camera module may be installed. Therefore, when a user uses a code reader or a camera module, a specific application must be executed first.
  • the OS of the external terminal 100 executes the applic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at is linked to the first module.
  • the execution of such an application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 the information tag 11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ag
  • the wireless communication tag is an NFC tag
  • the user can tag the external terminal to the information tag 11 in the power-on state of the external terminal. Of course, you will need to activate the NFC module in the external terminal control settings beforehand.
  • the NFC tag when used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ag in the information tag 11, it is not necessary to execute the specific application in order to read or recognize the first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tag 11. That is, if the first information is recognized in the standby state or the locked state of the external terminal, the OS of the external terminal executes the application of the home appliance to be interlocked. Therefore, the use becomes very convenient.
  • the external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Wi-Fi module 130.
  • the Wi-Fi module 130 may be used to register the home appliance 300 on the server 200 instead of the home appliance 300 and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rver 200, as described later.
  • the external terminal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40 for communication, which enables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 the communication module is currently in the commercialization stage of 5G.
  • the Wi-Fi module 130 may be provided in the external terminal 100 to use the Internet instead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40.
  •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40 or the Wi-Fi module 130 can be set in the control setting of the external terminal.
  • the external terminal 100 may include a display 150 and an input unit 160.
  • the display 150 may be provided as a touch display and may be capable of selecting or inputting a user through a touch in addition to a display function.
  • the input unit 160 may include a power button or a volume button.
  • the external terminal 100 may include a memory 180 to store user information for logging into the server 200.
  • the external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110 or a main processo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by the OS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110.
  •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rted by first recognizing or receiving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100 through the information tag 11 provided in the product 10 to be processed.
  • the external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n integrated application for remotely controlling or monitoring various types of home appliances.
  • the external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home appliance application that can remotely control or monitor a specific type of home appliance.
  • a specific home appliance application can be executed when the home appliance to be controlled by the user is selected after the integrated application is executed.
  • the integrated application may not be installed, but only certain consumer applications may be installed.
  • LG's SmartSync application
  • SmartSync an integrated application
  • applications that control individual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washing machines, dryers, and stylers may be installed.
  • Such an application may be provi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and obtain authorization from the user.
  • the external terminal must log into the server 200 through an integrated application or a consumer application. That is, the user must log in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must be input at the time of initial log-in, and then log-in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80 at the time of log-in.
  • the reason for logging through such an application is that the server 200 must specify any one of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connected to the server 200 in communication. That is, the server 200 must set processing information of a specific home appliance to be used by a specific user other than the home appliance.
  • the external terminal 100 When the external terminal 100 recognizes the first information, it transmits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 the server receives the second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100. At this time, the external terminal 100 transmits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after logging in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application. Accordingly, the server 200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as well as the second information. Of course, information of household appliances can also be received.
  • the external terminal 100 may not be equipped with an integrated application or a home appliance application. In this case, it is meaningless to transmit the second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100 to the server 200. This is because the server 200 can not specify a user specification and a home appliance.
  •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application inform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matters will be given later.
  • the server 200 can identify the home appliances. That is, the user can specify the home appliance to which the processing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t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 the home appliance 200 may not be registered in the server. Of course, it may be a non-installed state of the application and an unregistered state of the home appliance 200. In this case, it is meaningless to transmit the second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100 to the server 200. This is because, in the server 200, even if the user and the household appliance can not be specified or the user is specified, the household appliance can not be specified.
  • the home appliance may be required to guide the user to easily register the home appliance in the server.
  • it may guide the registration procedure or perform the regist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matters will be given later.
  • the server 20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relaying the external terminal 100 and the household appliances 300.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performing processing of data rather than a simple relay.
  • the server 200 may include a controller 210 and a database 230.
  • the external terminal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220 for communicating with the home appliance 300.
  • the server 200 can always maintain communication with the home appliance when the home appliance 300 is registered and the home appliance 300 is powered on.
  • the user interface 340 of the home appliance 300 may include an input unit or means for selecting activation of a communication connection.
  • the server 200 When the server 200 receives the second information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100,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third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s registered and connected to the server. In the home appliance, the third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rver.
  • the home appliance 300 receives the third information and sets information for processing the product, that is, product process information.
  • the user merely performs an operation for recognizing the first information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and does not set the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manually in the household appliance 300. [ In other words, th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t.
  • the home appliance 300 processes the product based on the set process information.
  • the home appliance 300 may be fixedly installed or movable only within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room. Therefore, a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ame kind as the communication module 140 of the external terminal 100 is not required. That is, it is sufficient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200 through the Wi-Fi module 320.
  • the home appliance 300 may be provided with a user interface 340 for sett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manually by the user or informing the user of the processing information.
  • the user interface 34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r top of the home appliance. In particular, it may be provided as a part of the door at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of the home appliance.
  • the user interface 340 may include a power input unit 341 that the user selects to apply power to the household appliances.
  • the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to which power is constantly applied such as a refrigerator, may be omitted from the power input portion, and a power input portion may be necessarily provided in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a washing machine, a styler, or an air purifier driven only when necessary.
  • the power input un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witch type, a button type, or a touch panel type.
  • the user interface 340 may include an input unit or a process information input unit 343.
  • the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unit 343 may be configured to manually set various processing information such as a course, a cycle selection, and an option selection. Accordingly, the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unit 343 may be implemented by a plurality of input units or through a touch display.
  • the user interface 340 may include an execution input or a start input 342. By the user selecting the start input unit 343, the home appliance can start operating according to the set processing information.
  • a control unit 31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s may be provided.
  • the home appliance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ivers 330, and the driver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ype of home appliances.
  • various driving units such as fans for air supply or circulation, heating means for generating hot air (for example, a heater or a heat pump), a steam generator, an actuator for swinging a hanger, and various sensors may be provided.
  • various driving units such as a drain pump, a water supply valve, a drum driving motor, a heater, and various sensors may be provided.
  • a variety of driving units such as a compressor, an expansion valve, a cool air circulation fan, and various sensors may be provided.
  • the user interface 340 of the home appliance may include a display unit or a display 344.
  • the display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status information or process information of the household appliance.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user input function in case of a touch display.
  • the home appliance 300 is required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200 through the Wi-Fi module 320. For this, the home appliance 300 must be registered in the server.
  • the home appliance 300 In order for the home appliance 300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through the Wi-Fi module 320, an indoor access point (AP) is required. Therefore, the home appliance 300 must recognize the AP access information and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AP.
  • AP indoor access point
  • the AP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44, and the user can select the AP through the display 344 and input the password of the selected AP.
  • the home appliance 300 may have a unique device ID.
  • the device ID may contain device information. These device IDs can be automatically forwarded to the server when the device is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 the device ID may be embedded in the device and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server, or may be input by the user from the home appliance.
  • the home appliance 300 is preferably registered with the server together with the user's information. This is because, when an external terminal remotely controls or monitors a home appliance through a server, the server must specify the home appliance to be the target. Therefore, when the home appliance 300 is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server, it is preferable that user information is also transmitted from the home appliance to the server.
  • the display 344 is a touch display, the user may enter user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344.
  • the Wi-Fi module 320 of the home appliance 300 provides an access domain.
  • the external terminal 320 may access the home appliance through the access domain to provide information for registration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home appliance to the home appliance.
  • This information may include user information, AP information, or a password or a password of a specific AP. Such information may include the device ID of the home appliance. A detailed description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in the server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and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first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tag 11 of the product 10 to be processed and recognized by the external terminal 200 may be ultimately required information for sett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home appliance.
  • the first information can only contain a limited amount of information due to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and the recognition time limit.
  •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or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clothing information that can include a specific course name and can specify a course.
  •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home appliance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product process.
  • it may include home appliance information that must be used to process the product.
  • home appliances such as washing machines, dryers and stylers may be used for processing the clothes.
  • the garment is a garment to which water washing or wrinkle input should be excluded,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home appliance information called a styler.
  •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a manufacturer, a brand, and a product type of the product to be processed.
  •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application information. Described integrated application information or specific appliance application information.
  • the first informatio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through delimiters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llowing manner.
  • Such first informa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xamples.
  • the OS of the external terminal 200 can execut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information.
  • the styler application can be executed through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or the home appliance application can be executed without executing the integrated application.
  • the application As the application runs, it automatically logs in to the server. Information to be recognized through the firs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 the user can cause the secon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to the server by a method such as approval, selection, or input on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the first information itself, may include a part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may be processed, modified or derived information from the first information.
  • the user can confirm this from the external terminal and transmit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server.
  • the second information is " Black Yak padding management course ".
  •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the same, and only the function of tossing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directly to the server may be performed.
  • the external information may be analyzed by the external terminal to suggest an optimal course " padding management course ".
  • the secon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may be information that has processed or derived the first information.
  • the external information is analyzed by the external terminal to determine the optimal course " blackjack padding management course " Can be proposed.
  • the secon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may be information that has processed or derived the first information.
  • the server When the server receives the second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the server transmits the third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 the third information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home appliance is provided with a " padding management course " by default, the third information may simply include only the information " padding management course ".
  • home appliances are general-purpose appliances, they are not, for example, equipped to process only apparel manufactured by a specific apparel company. Therefore, for example, " Black Yak padding management course " will not be provided as default in the home appliance. Therefore, a new type of processing information is uploaded from the server to the home appliance. That is, a new type of processing information is downloaded from the server in the home appliance. At this time, the third information will include not only the name of " Black Yak padding management course " but also detailed information about various control factors.
  • the user can clearly recognize that the appliance processes the product on the basis of the optimum processing information, custom processing information, or personalized processing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of " Black Yak padding management course " displayed on the external terminal.
  • th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to be newly downloaded is displayed on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utility by selecting th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on the external terminal.
  • the second information may includ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to be newly downloaded.
  • the user can feel satisfaction with the home appliance itself as well as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 to be processed.
  • the user can feel satisfac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that enables such an application.
  • synergy can be caused not only in a particular industry but also in the related industries as a whole. This is because, through such experience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urchase the corresponding product, purchase the corresponding appliance, and purchase the corresponding external terminal.
  • a user recognizes product information and selects process information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misreading the product information or selecting the wrong process information in advance. This is because the user can perform only very simple and simple actions such as an act of recognizing the first information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an operation of confirming the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an operation of inputting the product into the household appliance, This is because it is done.
  • FIG. Fig. 2 shows the first process
  • Fig. 3 shows the second process
  • Fig. 4 shows the control flow for the third proces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ontrol method is implemented through three processes very intuitively and simply.
  • the first processor may be a process of reading the NFC tag from the OS of the external terminal and executing the integrated application, SmartSingapackApplication.
  • FIG. 5 shows a user tagging an external terminal with an NFC tag of a garment.
  • the NFC information can be read or recognized in the OS of the external terminal (S20).
  • FIG. 5 shows a screen in which an integrated application is executed in an external terminal after tagging.
  • a screen for installing the applic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external terminal (S40).
  • the OS of the external terminal knows appli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external terminal can display a screen for downloading the application from Google's play store, for example.
  • the user can download the application, execute it, input user information, and log in to the server through the application.
  • the use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for subscribing to the server, and user information subscribed to a portal site such as Google, Facebook, Naver, and the like may be used.
  • the server can know that the specific user has accessed the server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logged-in user information.
  • the user may simply tag the external terminal in the NFC tag of the garment in the first processor.
  • the integrated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easily and easily at an appropriate time.
  • the second process is a process of analyzing optimal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application.
  • the step S60 of reading the information of the NFC appliances received through the OS of the external terminal in the integrated application is performed. That is, the integrated application for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is analyzed in order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home applica- tion application by analyzing appliance information linked with the NFC information.
  • the integrated application analyzes the NFC application name (S70) and executes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application, for example, the styler application (S90).
  • the styler application may be part of the integrated application. That is, each home appliance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together by installing the integrated application.
  • the styler must be pre-registered on the server. This is because the server must provide information for setting product processing information to a specific styler.
  • a screen or menu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may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terminal (S80).
  • the registration screen may be a screen displayed in the integrated application.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screen is displayed after the user logs in.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input user information separately for home appliance registration.
  • connection domain address of the household appliance or the connecting domain address of the household appliance can be read through the registration screen.
  • the power of household appliances should be applied.
  • the Wi-Fi module of the home appliance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through the AP and input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so that the Wi-Fi module can be registered in the server.
  • the external terminal can input the AP information or input the AP password.
  • An external terminal can select an AP to be used indoors and input a password of the corresponding AP.
  • Thi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which can be used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through the AP using the home appliance.
  • the home appliance can be registered with the server together with the user information received via the external terminal.
  • the device ID of the home appliance itself can be registered in the server together with the user information.
  • the server can know which product is communicating with itself through which AP.
  • the apparel company and the clothing type information can be read from the NFC information in the application (S100). That is, the executed home appliance application can read the clothing company and the type of clothes so that the optimum course for the corresponding clothes can be selected in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 step S110 of comparing them may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user can sel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ptimized courses. Of course, there can be one optimized course, and one optimized course information can be included in the NFC information. If there is no optimized course, the application may be terminated (S120).
  • a third process for transmitting the optimum process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can be performed.
  • the external terminal displays the optimum processing information, and the inquiry S120 for approving the processing can be performed by the user.
  • An example of such a query screen is shown in Fig.
  • a phrase such as " Do you want to set blackjack padding management course? &Quo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shown in Fig.
  • a phrase as shown in Fig. 6 can be displayed.
  • the external terminal transmits the optimal process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S140), an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home appliance so that the optimum processing information is set in the home appliance (S150).
  • the third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terminal to a server, a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a server to a home appliance.
  • FIG. 7 shows a user entering a garment into a styler and a user selecting a start input.
  • the third processor requires only a simple act of inputting the processing product to the home appliance and selecting the start input part in addition to the simple operation of confirming and approv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set by the user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 the process of setting the process information and the problem of how to set the process information itself can be exclud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sett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inappropriately.
  • the course setting or course download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can be performed only by the user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in two steps.
  • the first step is to tag the external terminal with the product to be processed as shown in FIG. 5, and then,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step is to check and select the optimal processing information. Therefore, it becomes very convenient to use.
  • the above-described first process and the second processor can be further simplified. This is because only certain consumer applications can be used, not integrated applications.
  • the NFC information may include specific consumer application information. That is, it may include styler appli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garment can only be processed through the styler.
  • step S20 the stylus application name is rea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S30),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nstallation screen is displayed (S40), an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executed (S50).
  • Step S60 may be omitted, and step S90 may be integrated with step S50.
  • step S70 may b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tyler is registered, and if so, step S100 may be performed. Of course, if the styler is not registered, step S80 may be performed.
  • the remaining steps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 the main screen of the integrated application may be moved to the main screen of the styler application in step S130.
  •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 to be processed is read or recognized by the external terminal before executing the application.
  • a menu or a screen that can read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 to be processed may be displayed.
  • the user can tag the external terminal to the NFC tag.
  •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 to be processed preferably include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nformation.
  • a plurality of selections may be required if the user manually sets the product process information in the household appliance. It is often necessary to select a specific course from a plurality of courses and appropriately select a specific op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courses. In addition, even when specific processing information is downloaded, a complicated process of accessing a plurality of downloadable information and selecting the optimal download information is required.
  • the above-mentioned Smart ThinQ and Styler can be brand names.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가전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또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대상 제품에 구비되는 정보 태그(tag)를 통해서 외부 단말기에서 제1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사용자 정보와 기기 정보를 통해 서버에 등록되고 통신 연결된 가전기기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 제2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전기기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3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품을 처리하기 위한 정보(제품 처리 정보)를 세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전기기에서 상기 세팅된 제품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본 발명은 인터넷 가전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또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는 전기 에너지 또는 열 에너지를 통해 기기로서 사용자를 대신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가전기기 중에서는 대상물을 처리하는 기기가 있으며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형태의 가전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의류를 처리하는 의류처리장치는 가전기기의 일례로,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기 그리고 의류를 리프레시 시키는 의류 관리기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라 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는 캐비닛 내부에 의류를 거치하고 먼지 제거, 냄새 제거 또는 건조 등 다양한 형태로 의류를 리프레시 시키는 가전기기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의류 관리기는 제조사마다 의류 청정기, 리프레셔, 스타일러 등 다양한 형태로 불리고 있다.
냉장고, 냉동고 또는 와인 셀러는 음식이나 와인을 적정 온도에 보관하기 위한 가전기기라 할 수 있다.
에어컨이나 공기청정기는 주변 환경의 공기나 먼지를 처리 대상으로 하여 적정 온도, 습도, 먼지 농도가 되도록 작동하는 가전기기라 할 수 있다.
청소기는 청소 대상물, 일례로 바닥면, 카펫, 침구 또는 벽면의 먼지를 대상물로 하여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도록 작동하는 가전기기라 할 수 있다.
정수기나 음용수 공급기는 정수나 음용수를 공급하는 가전기기라 할 수 있다. 정수의 온도, 음용수의 종류를 세팅함으로써 세팅된 온도의 정수 또는 세팅된 커피 등이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 대상물은 분유, 차(tea), 커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정수기에서는 특정 온도의 정수가 특정 양만큼 공급되도록 세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전기기는 대상물을 효과적이고 최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모드, 코스 또는 사이클을 갖고 있다. 물론, 용어는 가전기기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드, 코스 또는 사이클의 제어 인자를 가변시킬 수 있는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세탁기의 경우에는 의류의 종류나 오염 정도에 따라서 복수 개의 사이클 내지는 코스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복수 개의 사이클 내지는 코스 중에서 세탁하고자 하는 의류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서 특정 사이클 내지는 코스를 선택하게 된다. 아울러, 세탁수의 온도, 탈수 RPM, 세탁수의 양 등 코스를 수행하는 제어 인자를 가변시킬 수 있는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 처리 정보는 상위 제어 정보(코스, 모드 또는 사이클)와 하위 제어 정보(상위 제어 정보를 수행하는 옵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 개의 대상물 처리 정보 중 처리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따라 최적의 처리 정보를 선택해야 하는 수고를 해야 한다. 이러한 수고에 익숙하거나 최적의 선택을 하는 사용자에게는 가전기기의 사용에 불편함이 작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위 제어 정보가 다수 개 구비되고 이에 따른 하위 제어 정보들도 다수 개 구비되는 경우 적절한 제어 정보의 선택 및 세팅은 용이하지 않다. 일부 사용자들은 기본 제어 정보만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또한, 처리 대상물이 고가의 의류인 경우, 복수 개의 대상물 처리 정보 중 최적의 선택을 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즉, 잘못된 선택을 하여 의류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가전기기의 신뢰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온도에 민감한 의류를 고온의 세탁수의 고온의 열기 또는 스팀에 노출시키는 처리 정보가 선택되면, 의류가 손상될 여지가 많다. 또한, 두꺼운 패딩과 같은 의류를 리프레시하는 경우, 의류에 공기를 분사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리프레시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처리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통해서 사용자가 복수 개의 대상물 처리 정보 중 최적의 선택을 하도록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외부 단말기(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서 처리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최적의 대상물 처리 정보를 안내하는 방안이 상용화되고 있다.
또한, 가전기기에서 디폴트로 제공하는 처리 대상물 정보가 아니라 맞춤 처리 정보 내지는 신규 처리 정보를 가전기기에서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상용화되고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 해당 가전기기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특정 처리 대상물을 최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처리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에서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정보를 선택하면, 서버는 상기 가전기기으로 선택된 정보를 다운로드시키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다운로드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처리 대상물을 특정 처리 정보를 통해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는 매우 복잡하며 다단계로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하에서는 가전기기의 일례로 의류관리기의 경우 제품 처리 정보(코스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수 종류의 가전기기와 연동되는 통합 어플리케이션과 특정 종류의 가전기기와 연동되는 가전 어플리케이션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에서 통합 어플리케이션(일례로 "스마트 씽큐(Smart ThinQ)"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게 된다. 이후, 사용하고자 하는 가전기기(일례로 "스타일러"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실행하게 된다. 사용자가 스타일러를 선택하면, 외부 단말기에는 스타일러의 상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태 화면에서 확장 탭을 선택하면, 상기 외부 단말기에는 코스 탭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코스 탭을 선택하면, 상기 외부 단말기에는 코스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코스 화면에서 다운로드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상기 외부 단말기에는 다운로드 가능한 코스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운 로드 코스 화면에서 특정 다운로드 코스를 선택하고, 코스 탭 화면을 통해서 코스 다운로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에서 적어도 7 개의 화면을 걸쳐 특정 코스의 다운로드를 결정하게 되며, 이후 가전기기에 접근하여 다운로드된 코스를 선택, 제품 투입 그리고 시작 버튼을 누르게 된다.
따라서, 매우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함은 물론 다운로드한 특정 코스가 최적의 코스인지 확실하지 않은 문제도 있게 된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인지하고 있는 제품 정보의 오류로 인하여 사용자가 최적이 아닌 코스를 선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제품 처리를 위한 처리 정보의 선택에 혼선 및 혼동을 최소화하고 사용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하고 인지해야 하는 단계 내지는 동작을 최소화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처리 대상물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 사용자의 오인식 여지를 방지하고, 처리 대상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가전기기에서 자동으로 처리 정보가 세팅될 수 있는 가전기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외부 단말기에서 가전기기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단말기,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이들 각각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가 가전기기를 통해서 제품 처리를 수행할 때,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행하는 행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전기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처리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가전기기에서만 상기 처리 대상물이 처리되도록 할 수 있는 가전기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가전기기를 서버에 등록시켜 통신 연결하는 과정을 단말기를 통해서 수행하도록 하여, 초기 환경 구축이 매우 용이한 가전기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처리 대상물과 상기 처리 대상물을 처리하는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높혀 융복합적인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가전기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례로, 특정 의류 회사, 특정 OS가 적용된 외부 단말기의 제조 회사 그리고 특정 가전기기의 제조 회사에서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혀 관련 산업 전체에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대상 제품에 구비되는 정보 태그(tag)를 통해서 외부 단말기에서 제1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사용자 정보와 기기 정보를 통해 서버에 등록되고 통신 연결된 가전기기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 제2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전기기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3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품을 처리하기 위한 정보(제품 처리 정보)를 세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전기기에서 상기 세팅된 제품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처리 대상 제품은 처리 대상물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대상물은 상기 가전기기에 투입되어 처리되는 대상물일 수 있으며, 상기 가전기기에서 특정한 동작 내지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갖는 대상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처리 대상물은 반드시 가전기기에 투입되어야 하는 대상물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가전기기에서 제품을 처리하는 것은 처리 대상물을 통해 인식된 정보를 기반으로 가전기기에서 특정 동작이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정보 태그는, 바코드, QR 코드, 무선 통신 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정보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리더기 모듈, 카메라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RFID 모듈 또는 NFC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태그와 무선 통신 모듈 사이에서는 일방향 인식만 요구되고 양방향 통신은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태그는 NFC 태그이며, 무선 통신 모듈은 NFC 모듈임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통해 상기 서버에 로그 인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하여 특정 가전기기를 매칭할 수 있다. 즉, 해당하는 가전기기를 서버에서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가전기기에 적용 가능한 통합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상기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특정 종류의 가전기기에 적용 가능한 가전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어플리케이션 내에 상기 가전 어플리케이션들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통합 어플리케이션 설치에 의해서 복수 개의 가전 어플리케이션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태그는 NFC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는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NFC 태그를 통해서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통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상기 제품 처리를 위한 특정 가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태깅 전에 상기 외부 단말기의 전원이 온 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 단말기의 OS에서 제1정보를 읽고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정보는, 상기 제품 처리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품 처리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정보는 특정 코스 자체일 수 있으며 특정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정보를 통해서 외부 단말기에서 특정 코스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정보도 특정 코스 자체일 수 있으며 특정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정보를 통해서 서버에서 특정 코스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정보도 제2정보 자체일 수 있으며 특정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정보는, 상기 제품 처리를 수행하는 가전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해당하는 가전기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정보는,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상기 제품의 제조회사나 브랜드 정보 그리고 상기 제품의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단말기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제1정보가 제대로 인식되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상기 제2정보는, 상기 제1정보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1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품 처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정보는, 상기 제2정보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2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품 처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정보는, 상기 제품 처리를 위해 상기 가전기기에서 새로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제품 처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상기 새로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제품 처리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3정보는 상기 가전기기에서 새로 다운로드 받는 제품 처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전기기에서는 상기 새로 다운로드 받는 제품 처리 정보가 세팅될 수 있다.
따라서, 디폴트가 제공되는 제품 처리 정보를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제품 처리 정보를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종류의 가전기기에 적용 가능한 가전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스타일러 어플리케이션이나 세탁기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전 어플리케이션은 전술한 통합 어플리케이션과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NFC 태그를 통해서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제품 처리를 위한 특정 가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제1정보의 인식 후이거나 인식 전일 수 있다. 인식 후의 실행은 자동 실행이며 인식 전의 실행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실행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자동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상기 제1정보가 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품 처리 정보를 수동으로 세팅하기 위한 선택하는 입력부; 상기 세팅된 제품 처리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세팅된 제품 처리 정보대로 제품 처리를 시작하도록 선택하는 시작 입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부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를 통하지 않고 자동으로 제품 처리 정보가 세팅될 수 있다. 한편, 자동으로 제품 처리 정보가 세팅되는 경우,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이 배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자동으로 처리 정보가 세팅되었다는 알림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후 이러한 알림이 유효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조작하더라도 이를 인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용이하게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즉, 적절한 시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게 된다.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제품을 처리하기 위한 가전기기가 상기 서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전기기를 상기 서버에 등록시키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적절한 시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전기기를 용이하게 등록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가전기기를 서버에 등록시키기 때문에, 사용자 정보를 재입력할 필요가 없게 된다. 특히, 키패드가 제공되지 않는 가전기기의 경우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가전기기를 서버에 통신 연결하고 서버에 등록시키는 것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상기 제1정보를 통해 특정 제품 처리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특정 코스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자동으로 세팅되는 정보를 미리 알 수 있으며 이를 승인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대상 제품은 의류이며, 상기 가전기기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의류 관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하는 전원 입력부를 통해서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서버에 등록되고 통신 연결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제품 처리를 위한 제3정보를 수신하여 제품 처리 정보를 세팅하는 단계;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하는 시작 입력부를 통해서 제품 처리 시작을 입력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세팅된 제품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품 처리 정보는,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제품으로부터 인식하는 제1정보, 상기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서버로 전달되는 제2정보, 그리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가전기기로 전달되는 제3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즉, 가전기기에서 사용자가 직접 제품 처리 정보를 수동으로 세팅하지 않고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는 인터넷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서버에 등록된 가전기기, 그리고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된 외부 단말기를 포함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제품 처리 정보를 세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단말기에는, 처리 대상 제품을 통해 제1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NFC 모듈과 상기 서버로 제2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 탑재되고,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된 가전기기와 연동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가전기기에서 상기 제품 처리 정보가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전기기로 제3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전기기에서 제품 처리 정보가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지원하는 외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처리 대상 제품에 구비되는 정보 태그(tag)를 통해서 제1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고, 사용자 정보와 기기 정보를 통해 서버에 등록되어 통신 연결된 상기 가전기기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가전기기로 제3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가전기기에서 상기 제품 처리 정보가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상기 서버로 제2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단말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제품을 처리하기 위한 가전기기가 상기 서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전기기를 상기 서버에 등록시키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해당 가전기기를 서버에 등록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상기 제1정보를 통해 특정 제품 처리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면은 외부 단말기에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화면이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승인하면 해당 정보가 서버로 전송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사용자는 태깅 행위와 승인 행위만 수행하면 족하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제1정보의 인식 및 분석, 최적 정보의 도출과 같은 일련의 과정들은 외부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처리 대상물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 사용자의 오인식 여지를 방지하고, 처리 대상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가전기기에서 자동으로 처리 정보가 세팅될 수 있는 가전기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외부 단말기에서 가전기기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단말기,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이들 각각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가 가전기기를 통해서 제품 처리를 수행할 때,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행하는 행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전기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처리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가전기기에서만 상기 처리 대상물이 처리되도록 할 수 있는 가전기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가전기기를 서버에 등록시켜 통신 연결하는 과정을 단말기를 통해서 수행하도록 하여, 초기 환경 구축이 매우 용이한 가전기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처리 대상물과 상기 처리 대상물을 처리하는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높혀 융복합적인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가전기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특정 의류 회사, 특정 OS가 적용된 외부 단말기의 제조 회사 그리고 특정 가전기기의 제조 회사에서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혀 관련 산업 전체에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제1프로세스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제2프로세스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제3프로세스를 도시하고,
도 5는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를 처리 대상 제품에 태깅하는 모습과 태깅 후 외분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6은 외부 단말기에서 처리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인식하고 확인하기 위하여 외부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7은 사용자가 처리 대상 제품을 가전기기에 투입하는 모습과 가전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입력을 수행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구성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구성들을 설명하면서 제어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편의상 가전기기는 의류관리기인 스타일러를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기(100), 서버(200) 그리고 가전기기(300)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처리 대상 제품 또는 처리 정보를 갖는 대상물(10)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정보의 전달 순서가 되어 있다.
처리 대상 제품(10)에는 정보 태그(tag, 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보 태그(11)에 저장되어 외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가전기기(300)의 제품 처리 정보가 세팅될 수 있다.
제품 처리 정보는 가전기기(300)가 작동하는 로직이나 로직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인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 처리 정보가 세팅이 되면 이에 따라서 가전기기가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가전기기(300)가 스타일러이며 처리 대상 제품(10)이 의류인 경우, 상기 의류에 최적인 코스 또는 사이클이 세팅되어 스타일러가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타일러에 투입되는 의류에 정보 태그(11)가 구비되고, 상기 정보 태그(11)에 저장된 제1정보를 외부 단말기(100)에서 수신하여 이를 통해서 가전기기(300)에서 제품 처리 정보가 세팅될 수 있다. 제품 처리 정보가 세팅된 후 사용자가 상기 의류를 스타일러에 투입한 후 세팅된 제품 처리 정보대로 스타일러가 구동하여 의류를 처리할 수 있다.
물론, 처리 대상 제품(10)은 반드시 가전기기(300)에 투입되는 제품을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가전기기의 처리 정보를 세팅하기 위한 정보를 갖고 있는 대상물 그 자체일 수 있다. 아울러, 처리 대상 제품(10)은 외부 단말기(100), 서버(200) 그리고 가전기기(300)와는 개별적으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일례로, 가전기기(300)이 정수기인 경우 처리 대상 제품(10)은 분유일 수 있다. 분유 케이스에 정보 태그(11)가 구비되고, 상기 정보 태그(11)는 정수기에서 공급해야할 온수의 온도와 양을 세팅하기 위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즉, 분유 자체가 정수기에 투입되지는 않지만, 광의의 개념으로 정수기의 처리 정보를 갖는 처리 대상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태그(11)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바 코드, QR 코드 그리고 무선 통신 태그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의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이러한 정보 태그(11)가 부착되거나, 의류에 부착된 와펜(wappen) 내부에 정보 태그(11)가 구비될 수 있다.
정보 태그(11)가 바 코드 또는 QR 코드로 구비되는 경우, 외부 단말기(100)에는 이러한 정보 태그(11)를 인식하거나 읽을 수 있는 모듈이 구비되어야 한다. 코드 리더기 또는 카메라 모듈(18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식 모듈을 통해서 외부 단말기는 처리 대상 제품(10)으로부터 제1정보를 인식하거나 수신하게 된다.
상기 외부 단말기(100)는 스마트 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코드 리더기 또는 카메라 모듈과 같은 인식 모듈을 사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코드 리더기 또는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먼저 실행되어야 한다.
인식 모듈 어플리케이션에서 제1정보를 인식하면 외부 단말기(100)의 OS에서는 연동되는 가전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게 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정보 태그(11)가 무선 통신 태그인 경우 인식 모듈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선행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무선 통신 태그가 NFC 태그인 경우, 외부 단말기의 전원 온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를 정보 태그(11)에 태깅할 수 있다. 물론, 외부 단말기 제어설정에서 NFC 모듈을 미리 활성화시켜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정보 태그(11)를 무선 통신 태그 일례로 NFC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 정보 태그(11)를 통해 제1정보를 읽거나 인식하기 위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선행될 필요가 없다. 즉, 외부 단말기의 대기 상태 또는 잠금상태에서 제1정보를 인식하면, 외부 단말기의 OS는 연동되는 가전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외부 단말기(100)에는 Wi-Fi 모듈(13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Wi-Fi 모듈(1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전기기(300)를 대신하여 상기 가전기기(300)를 서버(200)에 등록시키고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외부 단말기(100)는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음성 통화나 화상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통신 모듈은 현재 5G가 상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상기 Wi-Fi 모듈(130)은 상기 통신 모듈(140)을 대신하여 외부 단말기(100)에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의 제어설정에서 통신 모듈(140)이나 Wi-Fi 모듈(130)의 활성화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150)와 입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50)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비될 수 있으며 표시 기능 외에 터치를 통해서 사용자 선택이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전원 버튼 또는 볼륨 버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100)에는 메모리(180)가 구비되어, 상기 서버(200)에 로그 인 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100)에는 제어부(110) 내지는 메인 프로세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10) 설치된 OS에 의해서 외부 단말기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먼저 처리 대상 제품(10)에 구비되는 정보 태그(11)를 통해서 외부 단말기(100)에서 제1정보를 인식하거나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종류의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통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100)에는 특정 종류의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먼저 통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기기가 선택되는 경우 특정 가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물론, 통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고 특정 가전 어플리케이션만 설치될 수도 있다.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일례로는 LG전자의 "스마트씽큐"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며, 상기 "스마트씽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스타일러 등 다양한 특정 가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스마트씽큐"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통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스타일러 등 각각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승인을 얻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는 통합 어플리케이션 또는 가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상기 서버(200)에 로그 인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 정보를 통해서 서버(200)에 로그 인하여야 한다. 초기 로그 인 시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야 하고, 이후 로그 인 시에는 메모리(18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서 자동으로 로그 인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로그 인하여야 하는 이유는, 서버(200)에서 상기 서버(200)와 통신 연결된 복수 개의 가전기기 중 어느 하나의 가전기기를 특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서버(200)에서 다른 가전기기가 아닌 특정 사용자가 사용할 특정 가전기기의 처리 정보를 세팅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외부 단말기(100)에서 제1정보를 인식하면, 제2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제2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 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서버(200)에 로그 인한 후 제2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버(200)는 제2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 정보도 수신하게 된다. 물론, 가전기기의 정보 또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외부 단말기(100)에서는 통합 어플리케이션 또는 가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단말기(100)에서 서버(200)로 제2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왜냐하면, 서버(200)에서는 사용자 특정 그리고 가전기기를 특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안내하는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가전기기가 동일한 사용자 정보를 통해서 상기 서버에 등록되고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서버(200)는 가전기기를 특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자동으로 처리 정보를 세팅하고자 하는 가전기기를 특정할 수 있다.
한편, 외부 단말기(100)에서 통합 어플리케이션 또는 가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었지만 상기 가전기기(200)가 상기 서버에 등록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어플리케이션의 미설치 그리고 가전기기(200)의 미등록 상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단말기(100)에서 서버(200)로 제2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왜냐하면, 서버(200)에서는 사용자 및 가전기기 특정이 불가하거나 사용자가 특정되더라도 가전기기 특정이 불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가전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도록 안내하는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통합 어플리케이션 또는 가전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전기기가 서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등록 절차를 안내하거나 등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외부 단말기(100)와 가전기기(300)를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단순한 중계가 아닌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고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서버(200)는 제어부(210)와 데이터베이스(23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외부 단말기(100)와 가전기기(300)와 통신 연결하기 위한 통신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가전기기(300)가 등록되고 상기 가전기기(300)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항상 상기 가전기기와 통신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전기기(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40)에는 통신 연결의 활성화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내지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서버(200)가 상기 외부 단말기(100)를 통해 제2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서버에 등록되고 통신 연결된 가전기기로 제3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가전기기에서, 상기 제3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상기 가전기기(300)에서는 상기 제3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품을 처리하기 위한 정보, 즉 제품 처리 정보를 세팅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제1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행위만 수행했을 뿐, 가전기기(300)에서 수동으로 제품 처리 정보를 세팅하지 않게 된다. 즉, 자동으로 제품 처리 정보가 세팅되게 된다.
상기 가전기기(300)는 세팅된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품을 처리하게 된다.
상기 가전기기(300)는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실내의 일정한 공간 내에서만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단말기(100)의 통신 모듈(140)과 같은 종류의 통신 모듈은 필요하지 않다. 즉, Wi-Fi 모듈(320)을 통해서 서버(200)와 통신하도록 하면 족하다.
기본적으로, 상기 가전기기(300)에는 사용자가 처리 정보를 수동으로 세팅하거나 사용자에게 처리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40)는 가전기기의 전면이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가전기기의 도어의 전면에서 도어의 일부분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40)는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선택하는 전원 입력부(341)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와 같이 항시 전원이 인가되는 가전기기에는 전원 입력부가 생략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만 구동되는 세탁기, 스타일러 또는 공기청정기와 같은 가전기기에는 전원 입력부가 필수적으로 구비될 것이다. 전원 입력부는 스위치 형태, 버튼 형태 또는 터치 패널 형태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40)는 입력부 내지는 처리 정보 입력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정보 입력부(343)은 코스나 사이클 선택, 옵션 선택 등 다양한 처리 정보를 사용자가 수동을 세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입력부 형태로 구비되거나 터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처리 정보 입력부(343)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40)는 실행 입력부 내지는 시작 입력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작 입력부(343)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세팅된 처리 정보대로 가전기기가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가전기기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300)는 복수 개의 구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전기기의 종류에 따라 구동부는 매우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스타일러의 경우, 공기 공급 내지는 순환을 위한 팬, 열풍 생성을 위한 히팅 수단(일례로 히터 내지는 히트 펌프), 스팀발생기, 옷걸이를 요동시키는 엑츄에이터 그리고 각종 센서 등 다양한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세탁기의 경우, 배수 펌프, 급수 밸브, 드럼 구동 모터, 히터 그리고 각종 센서 등 다양한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냉장고의 경우, 압축기, 팽창 밸브, 냉기 순환 팬 그리고 각종 센서 등 다양한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40)는 표시부 내지는 디스플레이(3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나 처리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터치 디스플레이인 경우 사용자 입력부 기능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전기기(300)는 Wi-Fi 모듈(320)을 통해서 상기 서버(200)와 통신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전기기(300)는 상기 서버에 등록되어야 한다.
상기 가전기기(300)가 Wi-Fi 모듈(320)을 통해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옥내의 AP(Access Point)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가전기기(300)에서 상기 AP 접근을 위한 정보를 인식하고 필요한 정보를 AP로 제공해야 한다.
만약 상기 디스플레이(344)가 터치 디스플레이인 경우, AP 정보가 디스플레이(344)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344)를 통해서 AP를 선택하고 선택된 AP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300)은 고유한 기기 아이디를 가질 수 있다. 기기 아이디에는 기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기 아이디는 기기에서 서버와 통신 연결될 때 서버로 자동으로 전달될 수 있다. 기기 아이디는 기기에 내장되어 자동으로 서버로 전달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전기기에서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가전기기(300)는 사용자의 정보와 함께 서버에 등록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외부 단말기에서 서버를 통해서 가전기기를 원격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는 경우, 서버가 대상이 되는 가전기기를 특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가전기기(300)가 서버와 통신 연결될 때, 사용자 정보 또한 가전기기에서 서버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디스플레이(344)가 터치 디스플레이인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344)를 통해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터치 디스플레이가 없는 가전기기 또는 별도의 키패드 수단이 없는 가전기기의 경우, 가전기기를 서버와 통신 연결시키고 상기 서버에 등록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전기기(300)의 Wi-Fi 모듈(320)은 접근 도메인을 제공한다. 외부 단말기(320)에서 상기 접근 도메인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등록과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를 가전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 정보, AP 정보, 특정 AP의 비밀번호 내지는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상기 가전기기의 기기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가전기기를 서버에 등록시키고 통신 연결시기 위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종 정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처리 대상 제품(10)의 정보 태그(11)에 저장되어 외부 단말기(200)에서 인식되는 제1정보는 궁극적으로 가전기기에서 처리 정보를 세팅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정보는 정보 인식 수단과 인식 시간의 한계로 인해 제한된 양의 정보를 포함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제1정보는 제품 처리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품 처리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타일러의 경우, 특정 코스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코스를 특정할 수 있는 의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정보는, 상기 제품 처리를 수행하는 가전기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품을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야 하는 가전기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대상 제품이 의류인 경우, 의류의 처리를 위해서는 세탁기, 건조기 그리고 스타일러와 같은 가전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해당 의류가 물세탁이나 구김 투입이 배제되어야 하는 의류인 경우, 상기 제1정보는 스타일러라는 가전기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정보는, 처리 대상 제품의 제조회사, 브랜드, 제품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통합 어플리케이션 정보 내지는 특정 가전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정보는 복수 개의 정보가 구분자를 통해서 구분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정보의 예시 : "com.lgeha.nuts,203,1,1,11,216".
순차적으로, "com.lgeha.nuts"는 안드로이드 OS에 등록된 스마트싱큐 어플리케이션 이름이며, "203"은 가전기기 정보로서 스타일러를 의미하며, "1"은 추후 확장을 대비한 예비(reserve)이며, "1"은 협업회사 이름인 블랙야크를 의미하며, "11"은 협업회사 제품정보인 패딩자켓을 의미하며, CRC는 수신되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들을 모두 더한 값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1정보는 전술한 예시 외에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외부 단말기(200)에서 제1정보를 인식하면, 외부 단말기(200)의 OS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통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가전기기 정보를 통해서 스타일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없이 해당 가전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되면서 자동으로 서버에 로그 인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제1정보를 통해 인식하는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승인, 선택 또는 입력 등의 방법으로 외부 단말기에서 서버로 제2정보가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정보는 제1정보 자체일 수 있으며, 제1정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정보로부터 가공, 변형 내지는 파생된 정보일 수 있다.
제1정보가 특정 코스 정보, 일례로 "블랙야크 패딩 관리 코스"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에서 이를 확인하여 제2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정보가 "블랙야크 패딩 관리 코스"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정보와 제2정보는 동일할 수 있으며, 외부 단말기에서는 정보를 그대로 서버로 토스하는 기능만 수행될 수 있다.
제1정보가 특정 의류 정보, 일례로 "패딩"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 단말기에서 제1정보를 분석하여 최적의 코스인 "패딩 관리 코스"를 제안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정보는 제1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정보를 가공하거나 파생한 정보일 수 있다.
제1정보가 브랜드명 내지는 의류회사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의류 정보, 일례로 "블랙야크 패딩"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 단말기에서 제1정보를 분석하여 최적의 코스인 "블랙야크 패딩 관리 코스"를 제안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정보는 제1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정보를 가공하거나 파생한 정보일 수 있다.
서버에서 제2정보를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서버는 제3정보를 가전기기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3정보는 상기 제1정보 및 제2정보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일례로, 가전기기에서 "패딩 관리 코스"가 디폴트로 구비되는 경우 제3정보는 간단하게 "패딩 관리 코스"라는 정보만 포함할 수도 있다.
가전기기는 범용 기기이므로, 일례로 특정 의류회사에서 제조한 의류만을 처리하도록 구비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가전기기에서 일례로 "블랙야크 패딩 관리 코스"가 디폴트로 구비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형태의 처리 정보를 서버에서 가전기기로 업로드 시키게 된다. 즉, 가전기기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처리 정보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게 된다. 이때, 제3정보는 단순히 "블랙야크 패딩 관리 코스"라는 명칭뿐만 아니라 세부적인 각종 제어인자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블랙야크 패딩 관리 코스"라는 표시를 통해서 최적의 처리 정보, 맞춤 처리 정보 또는 나만의 처리 정보를 토대로 가전기기에서 제품을 처리함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즉, 새로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제품 처리 정보가 외부 단말기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에서 이를 선택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이러한 효용성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정보는 새로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제품 처리 정보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처리 대상 제품 자체에 대한 만족뿐만 아니라 가전기기 자체에 대한 만족을 느낄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외부 단말기에 대한 만족을 느낄 수 있다.
그러므로 특정 산업뿐만 아니라 연관된 산업 전체적으로 시너지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이러한 경험을 통해서 향후 지속적으로 해당 제품 구매, 해당 가전기기 구매 그리고 해당 외부 단말기를 구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가 제품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처리 정보를 선택하는 것이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품 정보를 오인식하거나 잘못된 처리 정보를 선택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 제1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행위, 외부 단말기를 통한 제품 처리 정보의 확인 행위, 제품을 가전기기에 투입하는 행위 그리고 시작 입력부를 선택하는 행위 등 매우 단순하고 간단한 행위만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제1프로세스, 도 3은 제2프로세스 그리고 도 4는 제3프로세스에 대한 제어 플로우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3개의 프로세스를 통해 매우 직관적이고 단순하게 제어방법이 구현됨을 알 수 있다.
제1프로세서는 외부 단말기의 OS에서 NFC 태그를 읽어 통합 어플리케이션인 스마트씽큐앱을 실행하는 프로세스라 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의류에 부착된 NFC 태그에 외부 단말기를 태깅할 수 있다(S10). 도 5에는 사용자가 의류의 NFC 태그에 외부 단말기를 태깅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외부 단말기에서 의류의 NFC 태그를 태깅하면, 외부 단말기의 OS에서 NFC 정보를 읽거나 인식하여 할 수 있다(S20).
NFC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외부 단말기의 OS는 NFC 정보를 읽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판단(S30)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50). 도 5에는 태깅 후 외부 단말기에서 통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외부 단말기에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S40). 일례로, 상기 외부 단말기의 OS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상기 외부 단말기에는 일례로 구글의 플레이 스토어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이를 실행하고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에 로그 인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상기 서버에 가입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으며, 구글, 페이스북, 네이버, 다음 등과 같은 포털 사이트에 가입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로그 인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서 특정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접속했음을 알 수 있다.
제1프로세서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기설치된 경우, 제1프로세서 내에서 사용자는 단순히 외부 단말기를 의류의 NFC 태그에 태깅하는 행위만 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어플리케이션이 기설치되지 않더라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적절한 시점에 통합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2프로세스는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최적의 제품 처리 정보를 분석하는 프로세스라 할 수 있다.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외부 단말기의 OS를 통해 전달받은 NFC 가전기기의 정보를 읽는 단계(S60)가 수행된다. 즉, 복수 개의 가전기기에 대한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NFC 정보와 연동되는 가전정보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가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NFC 가전명을 분석(S70)하고, 해당 가전 어플리케이션, 일례로 스타일러 어플리케이션(S90)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스타일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일부일 수 있다. 즉,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에 의해서 각각의 가전 어플리케이션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NFC 정보를 통해서 스타일러가 이용되어야 하는 경우, 스타일러가 서버에 기등록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서버에서 특정 스타일러로 제품 처리 정보를 세팅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인다.
NFC 가전명 분석(S70)에서 해당하는 가전기기 일례로 스타일러가 서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가전기기 등록을 위한 화면 내지 메뉴가 외부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다(S80).
상기 등록 화면은 통합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표시되는 화면이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로그 인 후 표시되는 화면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전기기 등록을 위해서 별도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상기 등록 화면을 통해서 가전기기의 접속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거나 가전기기의 접속 도메인 주소를 읽을 수 있다. 물론, 가전기기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여야 할 것이다. 상기 등록 화면을 통해서 가전기기에 접속하면 가전기기의 Wi-Fi 모듈이 AP를 통해 서버와 통신 연결되고 서버에 등록될 수 있도록 외부 단말기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에서 AP 정보를 입력하거나 AP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에서 옥내 사용하는 AP를 선택하고 해당 AP의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가전기기로 전달되며, 가전기기를 이를 이용하여 AP를 통해서 서버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외부 단말기를 통해 받은 사용자 정보와 함께 가전기기가 서버에 등록될 수 있다. 가전기기 자체의 기기 아이디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에 등록될 수 있다.
이러한 가전기기의 서버 등록 및 통신 연결을 통해서, 서버는 누구의 어떤 제품이 어떤 AP를 통해서 자신과 통신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전기기가 서버에 기등록되지 않더라도, 적절한 시점에 용이하게 가전기기를 서버에 등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S90)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NFC 정보에서 의류회사와 의류종류 정보를 읽을 수 있다(S100). 즉, 실행된 가전 어플리케이션은 의류회사와 의류종류를 읽어 해당 가전에서 해당 의류에 최적화된 코스를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최적화된 코스가 복수 개인 경우, 이를 비교하는 단계(S110)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복수 개의 최적화된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최적화된 코스가 하나일 수 있으며, 최적화된 하나의 코스 정보가 NFC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최적화된 코스가 없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이 종료(S120)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최적의 처리 정보를 분석하는 제2프로세스가 수행된 후, 최적의 처리 정보를 가전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제3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에서 최적의 처리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이를 승인하기 위한 문의(S1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문의 화면의 일례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블랙야크 패딩 관리 코스"가 가전기기에 디폴트 내지는 기저장된 경우, 도 6에 도시된 화면에서는 "블랙야크 패딩 관리 코스로 세팅하시겠습니까?"와 같은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물론, "블랙야크 패딩 관리 코스"가 가전기기에 디폴트 내지는 기저장되지 않은 경우, 가전기기에서 이러한 코스를 다운로드 받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확인을 선택하면, 외부 단말기에서는 최적의 처리 정보를 서버로 전송(S140)하게 되며, 서버에서 가전기기로 정보를 전송하여 가전기기에서는 최적의 처리 정보가 세팅될 수 있다(S150).
따라서, 제3프로세스에서는 외부 단말기에서 서버로 정보 전송 그리고 서버에서 가전기기로 정보가 전송되는 프로세스라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최적의 처리 정보가 기세팅된 가전기기에 해당 의류를 투입(S160)하고 가전기기의 시작 입력부를 선택(S170)하게 되며, 이후 가전이 작동하여 최적의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물을 처리하게 된다. 도 7은 사용자가 의류를 스타일러에 투입하는 모습과 사용자가 시작 입력부를 선택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제3프로세서에서는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세팅되는 처리 정보를 확인하고 승인하는 단순한 행위 외에 처리 제품을 가전기기에 투입하고 시작 입력부를 선택하는 단순한 행위만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처리 정보를 어떻게 세팅할까 하는 고민과 처리 정보를 세팅하는 행위 자체가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부적절하게 처리 정보를 사용자가 세팅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프로세스, 즉 외부 단말기를 통한 코스 세팅 또는 코스 다운로드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사용자가 적어도 7단계를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 해당 어플리케이션 선택, 확장 탭 선택, 코스 탭 선택, 다운로드 카테고리 선택, 다운로드할 코스를 찾아서 선택 그리고 다운로드할 코스를 결정해야 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단말기를 통한 코스 세팅 또는 코스 다운로드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사용자가 2단계만 수행하면 족하다. 1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단말기를 처리 대상 제품에 태깅하는 것이며, 이후 2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적의 처리 정보를 확인하여 선택하는 것으로 족하다. 따라서, 매우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제1프로세스와 제2프로세서는 더욱 단순화될 수 있다. 통합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특정 가전 어플리케이션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NFC 정보는 특정 가전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타일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류는 스타일러를 통해서만 처리될 수 있다.
S20 단계에서 스타일러 어플리케이션 이름을 읽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 판단(S30), 해당 어플리케이션 설치 화면 표시(S40) 그리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S50)될 수 있다.
S60 단계는 생략될 수 있으며, S90 단계가 S50 단계와 통합될 수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S70 단계는 스타일러가 등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등록된 경우 S10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스타일러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S8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나머지 단계들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다만, S130 단계에서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이 아닌 스타일러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전에 외부 단말기에서 처리 대상 제품의 정보를 읽거나 인식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후 외부 단말기에서 처리 대상 제품의 정보를 읽거나 인식할 수도 있다.
일례로, 스타일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처리 대상 제품의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메뉴 내지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를 NFC 태그에 태깅할 수 있다. 물론, 처리 대상 제품에 구비되는 바 코드 내지는 QR 코드를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정보를 읽기 위한 화면에서 사용자가 바 크드 내지는 QR 코드가 외부 단말기의 화면에서 특정 위치에 오도록 하면, 카메라 모듈이 이를 촬영하고, 외부 단말기에서 처리 대상 제품의 정보를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단계는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초기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결국, 처리 대상 제품의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가전기기에서 제품 처리 정보를 세팅하는 경우 복수 개의 선택이 필요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코스 중 특정 코스를 선택하고 복수 개의 옵션 중 특정 옵션을 적절히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특정 처리 정보를 다운로드 받는 경우에도 복수 개의 다운로드 가능 정보에 접근하고 이 중에서 최적의 다운로드 정보를 선택해야 하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태깅이라는 단순한 과정만을 통해서 매우 쉽고 편리하게 최적의 처리 정보를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일례로 최초 사용 시), 태깅 후 어플리케이션 설치나 가전기기 등록을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가전기기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인터넷 가전기기 내지는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가전기기를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용이하게 세팅할 수 있는 가전기기 시스템 내지는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스마트 씽큐(Smart ThinQ)와 스타일러(Styler)는 브랜드명일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27)

  1. 처리 대상 제품에 구비되는 정보 태그(tag)를 통해서 외부 단말기에서 제1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사용자 정보와 기기 정보를 통해 서버에 등록되고 통신 연결된 가전기기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 제2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전기기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3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품을 처리하기 위한 정보(제품 처리 정보)를 세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전기기에서 상기 세팅된 제품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태그는, 바코드,QR 코드, 무선 통신 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정보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통해 상기 서버에 로그 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가전기기에 적용 가능한 통합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상기 통합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특정 종류의 가전기기에 적용 가능한 가전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태그는 NFC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NFC 태그를 통해서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통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상기 제품 처리를 위한 특정 가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는, 상기 제품 처리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품 처리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는, 상기 제품 처리를 수행하는 가전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는,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상기 제품의 제조회사나 브랜드 정보 그리고 상기 제품의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보는, 상기 제1정보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1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품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정보는, 상기 제2정보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2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품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보는, 상기 제품 처리를 위해 상기 가전기기에서 새로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제품 처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상기 새로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제품 처리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정보는 상기 가전기기에서 새로 다운로드 받는 제품 처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전기기에서는 상기 새로 다운로드 받는 제품 처리 정보가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종류의 가전기기에 적용 가능한 가전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태그는 NFC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NFC 태그를 통해서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제품 처리를 위한 특정 가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제품을 처리하기 위한 가전기기가 상기 서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전기기를 상기 서버에 등록시키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상기 제1정보를 통해 특정 제품 처리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품 처리 정보를 수동으로 세팅하기 위한 선택하는 입력부;
    상기 세팅된 제품 처리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세팅된 제품 처리 정보대로 제품 처리를 시작하도록 선택하는 시작 입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 제품은 의류이며, 상기 가전기기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의류 관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22.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하는 전원 입력부를 통해서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서버에 등록되고 통신 연결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제품 처리를 위한 제3정보를 수신하여 제품 처리 정보를 세팅하는 단계;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하는 시작 입력부를 통해서 제품 처리 시작을 입력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세팅된 제품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가전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품 처리 정보는,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제품으로부터 인식하는 제1정보, 상기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서버로 전달되는 제2정보, 그리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가전기기로 전달되는 제3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23. 서버,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서버에 등록된 가전기기, 그리고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된 외부 단말기를 포함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제품 처리 정보를 세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단말기에는, 처리 대상 제품을 통해 제1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NFC 모듈과 상기 서버로 제2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 탑재되고, 상기 서버와 통신 연결된 가전기기와 연동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가전기기에서 상기 제품 처리 정보가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전기기로 제3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
  24. 가전기기에서 제품 처리 정보가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지원하는 외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처리 대상 제품에 구비되는 정보 태그(tag)를 통해서 제1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고, 사용자 정보와 기기 정보를 통해 서버에 등록되어 통신 연결된 상기 가전기기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가전기기로 제3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가전기기에서 상기 제품 처리 정보가 자동으로 세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상기 서버로 제2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단말기의 제어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단말기의 제어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제1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제품을 처리하기 위한 가전기기가 상기 서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전기기를 상기 서버에 등록시키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단말기의 제어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상기 제1정보를 통해 특정 제품 처리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단말기의 제어방법.
PCT/KR2018/011543 2017-09-28 2018-09-28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WO201906656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7025154A KR20200051514A (ko) 2017-09-28 2018-09-28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US16/489,689 US20210297278A1 (en) 2017-09-28 2018-09-28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home applia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64593P 2017-09-28 2017-09-28
US62/564,593 2017-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6561A1 true WO2019066561A1 (ko) 2019-04-04

Family

ID=65902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1543 WO2019066561A1 (ko) 2017-09-28 2018-09-28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97278A1 (ko)
KR (1) KR20200051514A (ko)
WO (1) WO20190665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6656B (zh) * 2020-04-01 2020-10-01 台灣松下電器股份有限公司 視覺化家電控制系統及方法
CN113308847A (zh) * 2021-06-24 2021-08-27 合肥美菱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定义的洗衣机远程控制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999A (ko) 2018-12-31 202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54589A (ko) * 2022-10-19 2024-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별 정보와 커스텀 정보를 매핑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9846A1 (en) * 2000-06-12 2001-12-13 Guzzi Brian Daniel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performance of consumer appliances
KR101373260B1 (ko) * 2006-09-21 2014-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태그를 이용한 세탁물 분류 방법과 시스템
KR20140032263A (ko) * 2012-09-06 2014-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20150019209A (ko) * 2013-08-13 2015-02-2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50136981A (ko) * 2014-05-28 201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9846A1 (en) * 2000-06-12 2001-12-13 Guzzi Brian Daniel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performance of consumer appliances
KR101373260B1 (ko) * 2006-09-21 2014-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태그를 이용한 세탁물 분류 방법과 시스템
KR20140032263A (ko) * 2012-09-06 2014-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20150019209A (ko) * 2013-08-13 2015-02-2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50136981A (ko) * 2014-05-28 201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6656B (zh) * 2020-04-01 2020-10-01 台灣松下電器股份有限公司 視覺化家電控制系統及方法
CN113308847A (zh) * 2021-06-24 2021-08-27 合肥美菱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定义的洗衣机远程控制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514A (ko) 2020-05-13
US20210297278A1 (en)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66561A1 (ko) 인터넷 가전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WO2015034278A1 (en)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home appliance
WO2013027955A2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US7366498B2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ome network system
WO2018199543A1 (ko)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WO2016017925A1 (ko)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3027939A1 (en) Online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AU202021602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system containing the same
WO2021125548A1 (en)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customized manual
WO2013048152A1 (en) User profile-based device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WO2022039367A1 (ko) 의류 관리 시스템 및 의류 관리 기기
WO2021010797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8164357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8190637A1 (ko)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WO2018182124A1 (ko) 세탁기
WO2021107600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2014890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53600A1 (ko) 서버, 단말 장치 및 이의 가전기기 관리 방법
AU2020217289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system containing the same
WO2021025192A1 (ko)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1137639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3140489A1 (ko) 건조기,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43503A1 (ko)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WO2023018075A1 (ko)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정보 출력 방법
WO2023128065A1 (ko) 업그레이드 완료 후 가전 기기의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631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631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