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18075A1 -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정보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정보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18075A1
WO2023018075A1 PCT/KR2022/011146 KR2022011146W WO2023018075A1 WO 2023018075 A1 WO2023018075 A1 WO 2023018075A1 KR 2022011146 W KR2022011146 W KR 2022011146W WO 2023018075 A1 WO2023018075 A1 WO 202301807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information
group
home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11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재찬
박종원
손재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01807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18075A1/ko
Priority to US18/397,81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12915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2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topology managemen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Definitions

  • the at least one processor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from a second home appliance designated as a real-use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established based on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to receive. At least one processor may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through the first user interface in the group mode.
  • 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roup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5C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grouping a first home appliance and a second home appliance through a ser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grouping oper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grouping a first home appliance and a second home appliance throug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7D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grouping a first home appliance and a second home appliance throug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grouping operation through D2D communication between a first home appliance and a second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9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 which a first home appliance and a second home appliance are grouped through D2D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 which a first home appliance operating as an auxiliary device outputs information on a second home appliance operating as a real-u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 first home appliance operating as an auxiliary device to control a second home appliance operating as a real-u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 which a first home appliance operating as an auxiliary device controls a second home appliance operating as a real-u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3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roles of a first home appliance and a second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14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hanging roles of a first home appliance and a second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grouping a first home appliance that operates as an auxiliary device and a plurality of real-use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grouping a second home appliance that operates as a real-use device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leaning robot operating as an auxiliary device of a second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mmending a group of home appliances by a ser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1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roviding a recommended group and a group list by a ser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2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functions of a ser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roup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grouping system 100 is a system for grouping a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a second home appliance 2000 located in a house, and the first home appliance ( 1000) and a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grouping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ose shown, or the grouping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 the grouping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as a first home appliance 1000, a second home appliance 2000, and a server device (not shown), and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he second home appliance It may also be implemented by the device 2000 and a mobile terminal (not shown).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various types of home appliances located in a house.
  • each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ncludes a washing machine, a dryer, an air purifier, a refrigerator, an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an audio device, an induction cooker (electric stove), a clothes care machine, and a TV.
  • It may be at least one of a dishwasher, oven, microwave oven, air fryer, automatic feeder for companion animals, water purifier, lighting device, or bid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located in different spaces in a hom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be located in a corner space (eg, a veranda),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located in a space where a user frequently stays (eg, a living room or a kitchen), but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going to b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be located in the kitchen,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located in the bathroom.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is designated as an auxiliary device,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s designated as a real-use device. It can b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operate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roles within the group.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serve as an auxiliary device for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serve as a practical device. there is.
  • the role of the auxiliary device may be to monitor the actual use device by receiv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actual use device from the actual use device. Also, the role of the auxiliary device may be a role of controlling the actual device by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actual device when a control command related to the actual device is input.
  • the processor 1100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
  • the processor 110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0 , the output interface 1300 , and the memory 1400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400 .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0 includes a Bluetooth communication interface, a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interface,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NFC), a Wi-Fi (WLAN) communication interface, and a Zigbee (Zigbee) communication interface, Z-wave communication interface, infrared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communication interface, WFD (Wi-Fi Direct, Wi-Fi P2P) communication interface, UWB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interface, Ant+ communication interface, etc.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0 may include the Internet, a computer network (eg, LAN or WAN), and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 the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3G module, a 4G module, a 5G module, an LTE module, a NB-IoT module, and an LTE-M module.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0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an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from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when the group mode is activated.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0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for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nput from the user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0 transmits information for grouping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when the grouping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s not completed or the grouping is released. It may be received from a server device (not shown) or a mobile terminal (not shown). An operation of group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 the display unit may be used as an input interface as well as an output interface.
  • the display unit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 3D display) and at least one of an electrophoretic display.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include two or more display units.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hrough the first user interface in a group mod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cquires information of a second user interface (UI) corresponding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interface (UI).
  • UI second user interface
  •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 the memory 140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M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 an optical disk, and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400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400 .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1, and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includes a processor 1100, a communication interface 1200, an output interface 1300, a memory 1400, a user input interface (not shown), and a driving unit (not shown)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ype. ),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 sensor unit (not shown),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when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is an air purifier,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include a blowing unit and a filter unit as a driving unit, and a fine dust sensor, a gas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unit as sensor units. sensors and the like.
  • Linguistic understanding is a technology that recognizes and applies/processes human language/text, and include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achine translation, dialog system, question answering, and voice recognition. /Includes Speech Recognition/Synthesis, etc.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0 includes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nd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he second device 2000 and a server device (not shown),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nd a mobile terminal (not shown). )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allow communication between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0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home appliances,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interface for accessing an external network, and the like.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0 includes a Bluetooth communication interface, a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interface,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NFC), a Wi-Fi (WLAN) communication interface, and a Zigbee (Zigbee) communication interface, Z-wave communication interface, infrared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communication interface, WFD (Wi-Fi Direct) communication interface, UWB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interface, Ant+ communication interface, etc. ,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0 may include the Internet, a computer network (eg, LAN or WAN), and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 the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3G module, a 4G module, a 5G module, an LTE module, a NB-IoT module, and an LTE-M module.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0 ma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an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o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when the group mode is activated.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0 may receive a control command related to control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from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
  • the driving unit 2400 may perform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100 .
  • the driving unit 2400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driving unit 2400 may be implemented as a rotating tub, a water supply unit, a detergent input unit, a drainage unit, a motor, and the like,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driving unit 2400 may be implemented with an EMI filter, a rectifier circuit, an inverter circuit, a distribution circuit, a current sensing circuit, a driving processor, an operating coil, and the like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s an air conditioner
  • the driving unit 2400 may be implemented as a blowing unit (air intake unit, blowing fan, motor, air discharge unit), filter unit (pre-processing filter, HEPA filter, deodorization filter), and the like.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implemented with more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1,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implemented with fewer components.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ncludes a user interface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nput interface and an output interface) in addition to a processor 2100, a communication interface 2200, a memory 2300, and a driving unit 2400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type.
  •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 sensor unit (not shown),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econd home appliance 2000 by a first home applian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designates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s an auxiliary device and designates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s a real-use device.
  • Group information for group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acquired.
  • the group information for group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user input for group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receives a user input designat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s an auxiliary device and designating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s a real-use device.
  • Group information may be acquired from one server device. An operation in which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obtains group information from the server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C.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establish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mobile terminal that has been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nd establishes group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can be obtained.
  • An operation in which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cquires group information from a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7D.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acquire group information through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directly receive an input designat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s an auxiliary device from a user through a user input interfac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nd a secon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s designated as a real-use device. Rol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2000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obtained.
  • An operation in which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cquires group information through D2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8 to 9B.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when obtaining group information,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based on the group information (eg, Bluetooth, WFD, Zigbee, Z -wave, etc.) can be performed. Also,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store group information in the memory 1400 .
  • the process of acquiring group information by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be defined as a process of performing a grouping operation by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nd A state in which the device 1000 has obtained group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a state in which grouping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s completed.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activate a group mode for operating as an auxiliary device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based on the group information.
  • the group mode may refer to a mod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grouped home appliances.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prepare to perform an operation as an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its role.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s not established,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establishes a second home appliance 2000 based on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ncluded in the group information.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home appliance 2000 may be established.
  • the communication channel may be a short-range communication channel (eg, one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channel, a BLE communication channel, a WFD communication channel, a Zigbee communication channel, and a Z-wave communication chann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when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intain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You can check if it's working. I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s disconnected,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gain.
  • step S230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rough a communication channel establish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receives a second home appliance designated as a real-use devi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received from the device 2000 .
  •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ncludes text or image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operating state, a code representing the current operating state, time remaining until the operation is completed, and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has been stopped. It may include an error messag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operation has been completed,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ceiv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from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 example,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ceiv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every minut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ceiv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s a washing machine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aking operation to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starts the washing operation.
  • Information related to the washing operation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when the washing operation starts
  •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in-drying operation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when the spin-drying operation starts.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from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when an event designated by the user occurs in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information may be received.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s a dryer and the user sets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o receive onl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drying operation has been completed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is the second home appliance 1000.
  • operation information eg, drying operation completion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quest and receiv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t predetermined cycles, or may receiv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without a separate request.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received.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n a group mode.
  • menu screen for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 screen for providing operation err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n input screen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the user, voice gu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2 may include voice comman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20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ceive UI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from at least one of a server device, a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when the UI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400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operates in a group mode. When is activated, UI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retrieved from the memory 1400 .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displays the GUI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based on UI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t can be displayed on the first user interface (eg, the output interface 1300)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t this time,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outpu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hrough the GUI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displayed on the first user interface (eg, the output interface 1300). can do.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when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performs its original function,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corresponds to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 the GUI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GUI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alternately displayed on the output interface 1300 .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alternately display the GUI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GUI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 the GUI of the air purifier and the GUI of the washing machine may be alternate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air purifier for 5 seconds each.
  • the output interface 1300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includes a large-sized display unit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includes the GUI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on the display unit. ) can be displayed at the same tim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when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does not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and operates only as an auxiliary device,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operates only as a GUI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t can also be displayed on the output interface 1300.
  • the user can access the second home appliance through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grouped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Sinc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2000 can be checked, user convenience is increased.
  • a method of activating the group mode by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ctivating a group mode by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is designated as an auxiliary device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s designated as an actual use devi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ceive an input for executing a group mode from a user.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button related to a group function disposed in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ceive a voice command from the user to execute the group mod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upon receiving an input for executing the group mode from the user, sets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o an external device (eg, a second home applianc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device 2000 is in a grouped stat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includes group information (eg, role information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role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group information eg, role information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role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memory 1400 it may be determined that it is grouped with an external device (eg,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process moves to step S340, and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sets the group mode immediately. can be activated.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operate as an auxiliary device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based on group information.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identify whether a D2D communication channel (eg,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s maintained. If the D2D communication channel (eg,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s released,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provides group information (eg,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nformation), a D2D communication channel (eg,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may be established again.
  • a D2D communication channel eg,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establish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mobile terminal that has been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nd establishes group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y acquiring, it is possible to perform a grouping operation.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performs a grouping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a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
  • step S340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ctivates a group mode when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is grouped with an external device (eg,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perform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quest a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based on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may include a pairing request.
  • 'Pairing' means, for example, a procedure for verifying a passwo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curity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etc. designated for mutual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device 1000 and the second device 2000 supporting the Bluetooth function. do.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establish a Bluetooth communication channel by pairing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Establish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channel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Meanwhile, if the first device 1000 has previously been paired with the second device 2000, the pairing operation may be skipped and Bluetooth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mmediately.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connected through a BLE communication method.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establish a BLE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BLE communication channel may be a non-connection type virtual communication channe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dvertising packets between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by mutual scanning, or the BLE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It may also be a connection-type communication channel in which a session is established with a connection request.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hrough Wi-Fi Direct (WFD) communication.
  • WFD Wi-Fi Direct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utually exchange device-related information such as a device name or device type, determine which home appliance will be a P2P GO (Group Owner), and You can form a new P2P group.
  • the P2P GO may operate as an access point (AP), and the P2P client may serve as a station (STA).
  • AP access point
  • STA station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ransmits a probe request frame in a search state,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ransmits a probe response frame to the probe request frame. frame),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can discover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receives the device identification value (eg, MAC address)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s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from the server device or the mobile terminal.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can be found more quickly.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operate as an auxiliary device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by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ransmits data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established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or receives data from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communication channel may be a short-range communication channel (eg, one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channel, a BLE communication channel, a WFD communication channel, a Zigbee communication channel, and a Z-wave communication chann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tep S380 when the input for ending the group mode is identified as an input for disabling the group mode,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activates the group mode,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 2000) can be stopped.
  • the server device 300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group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server device 3000 may be a device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home appliances.
  • the server device 3000 may manage home appliances based on accoun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registered in the server device 3000 with the same user account.
  • the server device 3000 may provide an application for managing home appliances through a display device and receive a user input through an application executed on the display device. For example, when a user executes an application installed on a display device and selects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1000 are displayed. Devices 2000 may be grouped. There may be various ways for the user to select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For example, the user may connect the icon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ic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displayed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through touch interaction, or through voice input. )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selected. In this case, the server device 300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group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from the display device.
  • step S420 when receiving a user input for group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he server device 3000 assigns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information allowing an external device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ncludes a timestamp,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SSID, BSSID, MAC address) , channel information, capability information (eg, Tethering capability), state information,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SSID, BSSID, MAC address
  • channel information eg, capability information (eg, Tethering capability), state information, etc.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supports Bluetooth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include a Bluetooth address, a product name, and profile information. It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pre-stored in the server device 3000 .
  • the server device 300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n a home appliance database (DB). If information on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s not previously stored, the server device 3000 may request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from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here is.
  • DB home appliance database
  • the server device 3000 transmits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ransmits the first Based o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1000, a communication connection may be requested from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responds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hereby connect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may include one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channel, a BLE communication channel, a WFD communication channel, a Zigbee communication channel, and a Z-wave communication chann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establish a D2D communication channel (e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may be defined as a grouping complete state.
  • the server device 3000 receives a user input for designat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s an auxiliary device and designating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s a real-use device.
  • a user may execute an application installed on a display device, designate a first home appliance 1000 as an auxiliary device, and designate a second home appliance 2000 as a real-use device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 the user may input a voice command designat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s an auxiliary device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s an actual use device to the display device.
  • the server device 3000 may receive a user input designat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s an auxiliary device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s a real-use device from the display device.
  • the server device 3000 includes role information (eg, auxiliary device)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role information (eg, auxiliary device)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t least one of the devices in actual use)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server device 3000 may transmit role information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role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o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ransmits at least one of role information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role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 the server device 3000 may transmit role information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role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ransmits at least one of role information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role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o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can transmit
  • the server device 3000 may transmit role information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role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o both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server device 3000 transmits role information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o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ransmits role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step S450 may be performed before step S420.
  • the server device 3000 simultaneously transmits role information (eg, actual use device)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ogeth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o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 role information eg, actual use device
  • a user may execute a home appliance management application provided by a server device 3000 through a display device 5000 accessible to the server device 3000 .
  • the display device 5000 may be a device connected with the same account information as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user may select home appliances to be grouped. 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group the washing machine 2000-1 and the air purifier 1000-1, the user touches the icon of the air purifier 1000-1 in the grouping setting window 5002 and then the washing machine ( 2000-1) can be dragged over the icon and then dropped.
  • the server device 3000 obtains information for the user to group the washing machine 2000-1 and the air purifier 1000-1 through the display device 5000, and the washing machine 2000-1 and the air purifier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1000-1) may be performed.
  • grouping information 5005 indicating that the washing machine 2000-1 and the air cleaner 1000-1 are grouped may be displayed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 the user may change the roles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and the air purifier 1000-1 through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 the washing machine 2000-1 may operate as an auxiliary device for the air purifier 1000-1.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grouping oper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4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case in which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is designated as an auxiliary device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s designated as an actual use devi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receive an input for executing a group mode.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button related to a group function disposed in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receive a voice command from the user to execute the group mode.
  • a grouping setting mode may be activated to perform a grouping operation.
  • the mobile terminal 4000 may execute an application for managing home appliances.
  • the mobile terminal 4000 may be one of a smart phone, a tablet PC, a digital camera, an electronic book terminal, and a wearable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cas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4000 is a smart phon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mobile terminal 4000 may establish a WFD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Device to Device (D2D) protocol.
  • D2D Device to Device
  • step S606 when the mobile terminal 4000 transmits role information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he mobile terminal 4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n a memory, and 2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home appliance 2000 may be terminated.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4000 may releas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grouping setting mode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remain active because grouping has not yet been completed.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4000 may activate a scan mode to search for other home appliances to be grouped with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ceive an input for executing a group mod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button related to a group function disposed in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ceive a voice command from the user to execute the group mode.
  • a grouping setting mode may be activated to perform a grouping operation.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prepare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4000 when an input for executing the group mode is received. For example,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operates in a sensing mode, so that the mobile terminal 4000 can sense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 Also,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broadcast a BLE advertising packet.
  • the mobile terminal 4000 may detect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by scanning the surroundings. Also, the mobile terminal 4000 may detect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by receiving a BLE advertising packet broadcast by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
  • the mobile terminal 4000 may receive an input designat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s an auxiliary device.
  • the mobile terminal 4000 may receive a user input designat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s an auxiliary device on the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 step S610 the mobile terminal 4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is designated as an auxiliary device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provides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with a second home appliance 1000.
  • Information about the home appliance 2000 may be transmitted.
  • the mobile terminal 400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role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etc. to the first home appliance ( 1000) can be transmitted.
  •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information allow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includes a timestamp,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SSID, BSSID, MAC address) , channel information, capability information (eg, Tethering capability), state information,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SSID, BSSID, MAC address
  • capability information eg, Tethering capability
  • state information etc.
  •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include a Bluetooth address, a product name, and profile information. It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tep S611 when the mobile terminal 400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o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it can terminat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quest a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quest a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based on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4000 .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responds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hereby connecting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may include one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channel, a BLE communication channel, a WFD communication channel, a Zigbee communication channel, and a Z-wave communication chann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establish a D2D communication channel may be defined as a grouping completion state.
  • 7A to 7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grouping a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a second home appliance 2000 through a mobile terminal 4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7A to 7D when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designated as an auxiliary device is an air purifier 1000-1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designated as a practical device is a washing machine 2000-1 will be explained with an example.
  • the user may touch a group button 2001 included in the user input interface 2500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 An input of touching the group button 2001 may be an input to execute a group mode or an input to activate a grouping function.
  • the washing machine 2000-1 may activate a grouping setting mode and prepare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4000 upon detecting a user input of touching the group button 2001.
  • the washing machine 2000-1 operates in a sensing mode, so that the mobile terminal 4000 can detect the washing machine 2000-1.
  • the washing machine 2000-1 may broadcast a BLE advertising packet.
  • the user may press the group button 2001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and then execute an application for managing home appliances in the mobile terminal 4000.
  • the mobile terminal 4000 may detect the washing machine 2000-1 by scanning the surroundings. Also, the mobile terminal 4000 may detect the washing machine 2000-1 by receiving a BLE advertising packet broadcast by the washing machine 2000-1.
  • the washing machine 2000-1 displays rol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2510 based on the ro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4000 or outputs voice indicating the role information. can do.
  • the washing machine 2000-1 may display on the display unit 2510 a text indicating that the washing machine is actually in use (“TARGET”) to blink.
  • the user may receive a user input of touching the group button 1001 included in the user input interface 1500 of the air purifier 1000-1.
  • An input of touching the group button 1001 may be an input to execute a group mode or an input to activate a grouping function.
  • the air purifier 1000-1 may activate a grouping setting mode and prepare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4000 upon detecting a user input of touching the group button 1001.
  • the air purifier 1000-1 operates in a sensing mode, so that the mobile terminal 4000 can sense the air purifier 1000-1.
  • the air purifier 1000-1 may broadcast a BLE advertising packet.
  • the mobile terminal 4000 performs a pairing procedure with the air purifier 1000-1, and the air purifier 1000 -1)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eg, a Bluetooth communication channel or a BLE communication channel) may be established.
  •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eg, a Bluetooth communication channel or a BLE communication channel
  • the mobile terminal 40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washing machine 2000-1 stored in the memory to the air purifier 1000-1.
  • the mobile terminal 400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commun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and role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to the air purifier 1000-1.
  • the mobile terminal 4000 may end communication with the air purifier 1000-1.
  • the air purifier 1000-1 in which the grouping setting mode is activated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washing machine 2000-1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washing machine 2000-1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4000. . Subsequently, when the group mode is activated in the air purifier 1000-1 and the washing machine 2000-1, the air purifier 1000-1 may operate as an auxiliary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 the user may change the roles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and the air purifier 1000-1 through the execution screen 7001 of the application.
  • the washing machine 2000-1 may operate as an auxiliary device for the air purifier 1000-1.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receive an input designating it as a real-use device.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receive an input designating a role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s a real-use device through a user input interfac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ceive an input for executing a group mod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button related to a group function disposed in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ceive a voice command from the user to execute the group mode.
  • a grouping setting mode may be activated to perform a grouping operation.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perform a communication connection.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detect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by scanning the surroundings.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detect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by receiving a BLE advertising packet broadcast by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9A and 9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 which a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a second home appliance 2000 are grouped through D2D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9A and 9B when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designated as an auxiliary device is an air purifier 1000-1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designated as a practical device is a washing machine 2000-1 will be explained with an example.
  • the washing machine 2000-1 may display rol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2510 or output voice indicating the role information based on role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For example, as the washing machine 2000-1 detects that the user presses the actual use button 2002, it may display text (“TARGET”) indicating that the actual use device is blinking on the display unit 2510. .
  • TARGET text
  • the washing machine (2000-1) may establish a WFD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washing machine 2000-1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Device to Device (D2D) protocol.
  • D2D Device to Device
  • the air purifier 1000-1 and the washing machine 2000-1 may check each other's roles through a D2D communication channel (e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 a D2D communication channel e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 the air purifier 1000-1 may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a group button 1001 included in the user input interface 1500. At this time, when the air purifier 1000-1 and the washing machine 2000-1 are in a grouped state, the air purifier 1000-1 activates the group mode and is an auxiliary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according to the role information. can act as
  • the air purifier 1000-1 may outpu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shing machine 2000-1 to the display unit 1310 (step S1002). At this time, the air purifier 1000-1 may check the UI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and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washing operation based on the UI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For example, the air purifier 1000-1 may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310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washing operation proceeds in the process of “washing > rinsing > spin-drying” and that the total required time is “56 minutes”. .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operate as an auxiliary device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check role information within a group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operate as an auxiliary devic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operate as an auxiliary device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by outputt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received from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ceive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activate a group function button or a group function GUI corresponding to a function related to the group mode.
  • the group function button or group function GUI may include a control button or control GUI for controlling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through a D2D communication channel (eg, a Bluetooth communication channel, a BLE communication channel, a WFD communication channel, a Zigbee communication channel, a Z-wave communication channel, etc.) (2000).
  • a D2D communication channel eg, a Bluetooth communication channel, a BLE communication channel, a WFD communication channel, a Zigbee communication channel, a Z-wave communication channel, etc.
  •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operate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For example,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erminates an operation, pauses an operation, changes an operation mode, or starts a specific operation based on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Or, the operation may be initializ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output a result of performing an oper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display a result of performing an operation on a display unit or output a voice message indicating a result of performing an operation through a speaker.
  •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sensitive to communication delays according to network conditions. may not be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2 , an operation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controlling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will be further described.
  • FIG.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 which a first home appliance 1000 operating as an auxiliary device controls a second home appliance 2000 operating as a real-u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operating as an auxiliary device is an air purifier 1000-1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operating as a practical device is a washing machine 2000-1 as an example. Let's explain.
  • the air purifier 1000-1 may receive an input for executing a group mode from a user.
  • the air purifier 1000-1 may receive a user input of touching a group button 1001 included in the user input interface 1500.
  • the air purifier 1000-1 may activate a group mode and activate group function buttons 1020 corresponding to functions related to the group mode.
  • the group function buttons 1020 may include buttons for controlling actual devices.
  • the group function buttons 1020 may include a menu button 1021, a previous button 1022, a select button 1023, a next button 1024, a pause button 1025, and the like. It is not limited.
  • the air purifier 1000-1 displays a laundry course list (e.g., standard laundry, ultra-strong laundry, ultra-saving laundry, boiled laundry, wool/lingerie, baby) on the display unit 1310. clothes, express laundry, etc.) can be displayed.
  • a laundry course list e.g., standard laundry, ultra-strong laundry, ultra-saving laundry, boiled laundry, wool/lingerie, baby
  • clothes, express laundry, etc. can be displayed.
  • the air purifier 1000-1 does not display the laundry course list on one screen, but sequentially according to an input for selecting the previous button 1022 or next button 1024.
  • a list of washing courses can be displayed.
  • the air purifier 1000-1 initially displays standard washing on the display unit 1310, and displays ultra-strong washing on the display unit 1310 instead of standard washing when the user presses the next button 1024. Then, if the user presses the next button 1024 again, super low power washing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10 instead of super strong washing.
  • the air purifier 1000-1 returns to the washing course (eg, standard washing)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10.
  • a predetermined time e.g, 3 seconds
  • optional functions e.g., washing temperature, number of rinses, spinning power, drying degree, etc.
  • sub-menus for setting additional functions e.g., bubble soaking, adding laundry, amount of detergent, amount of softener, drum light, reservation
  • child protection e.g., child protection, etc.
  • the user may control options or additional functions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by using the previous button 1022 or the next button 1024.
  • the air purifier 1000-1 issues a control command to operate in the standard washing course to the washing machine 2000-1. ) can be transmitted.
  • the washing machine 2000-1 operates in a standard washing course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air purifier 1000-1, and provides operation information (eg, washing course information, operation state information). , remaining time information until operation completion, etc.) may be transmitted to the air purifier 1000-1.
  • the air purifier 1000-1 may display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on the display unit 1310.
  • the air purifier 1000-1 displays washing course information (standard washing), operating state information (eg, during washing), time remaining until operation completion (eg, 1 hour 06 minutes), etc. on the display unit 1310. ) can be displayed.
  • the air purifier 1000-1 when the user selects the pause button 1025, the air purifier 1000-1 sends a control command to pause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to the washing machine 2000. -1) can be transmitted. At this time, the washing machine 2000-1 may temporarily stop its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and transmit information indicating a pause state to the air purifier 1000-1. The air purifier 1000-1 may outpu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washing machine 2000-1 is in a temporary stop state on the display unit 1310.
  •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washing machine 2000-1 using the air purifier 1000-1 without moving to a space where the washing machine 2000-1 is located.
  • a user may change the roles of the air purifier 1000-1 operating as an auxiliary device and the washing machine 2000-1 operating as a practical device through a simple manipulation.
  • the roles of the auxiliary device and the actual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FIG. 13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roles between a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a second home appliance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activate a group mode. For example, when a user presses a group button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select a group mode. can be activated. When the group mode is activated,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a D2D communication channel (e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 a D2D communication channel e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ceive a role change input.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receive an input for changing the roles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the role change input may be an input for selecting a specific button included in the user input interface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or a voice input commanding a role chan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may operate as a real-use device instead of an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 role change input.
  •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stops an operation of outputt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and transfer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can transmit
  • FIG. 13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hanging roles of a first home appliance 1000 and a second home appliance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user may select the role change button 1004 included in the user input interface 1500 of the air purifier 1000-1.
  • the air purifier 1000-1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role change to the washing machine 2000-1 as it detects an input for selecting the role change button 1004.
  • the air purifier 1000-1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role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to the washing machine 2000-1.
  • FIGS. 14A and 14B the case where the user selects the role change button 1004 included in the user input interface 1500 of the air purifier 1000-1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user may select a role change button disposed on the washing machine 2000-1.
  • 15 is for explaining a system for grouping a first home appliance 1000 operating as an auxiliary device and a plurality of real-use devices 2000-1, 2000-2, and 200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a drawing
  • the washing machine 2000-1, the dryer 2000-2, and the induction cooker 2000-3 can operate as practical devices, and the air purifier 1000-1 can operate as an auxiliary device. there is.
  • the washing machine 2000-1, the dryer 2000-2, and the induction cooker 2000-3 may transmit respectiv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air purifier 1000-1.
  • the air purifier 1000-1 may receiv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ryer 2000-2,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uction cooker 2000-3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the air purifier 1000-1 may display GUI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ctual devices 2000-1, 2000-2, and 2000-3 on the display unit 1310.
  • a first GUI 1501 includ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urifier 1000-1 and a second GUI 1502 includ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a first GUI 1501 includ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urifier 1000-1 and a second GUI 1502 includ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 the 4th GUI 1504 includ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uction 2000-3 at intervals of a predetermined time eg, 30 seconds
  • the user can use the washing machine 2000-1 through the air purifier 1000-1 without moving to the space where the washing machine 2000-1, the dryer 2000-2, and the induction stove 2000-3 are located.
  •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ryer 2000-2 and the induction cooker 2000-3 can be monitored together.
  • the user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washing machine 2000-1, the dryer 2000-2, and the induction 2000-3 using the air purifier 1000-1.
  • FIG. 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leaning robot 1000-4 operating as an auxiliary device of a second home appliance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mmending a group of home appliances by the server devic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server device 3000 matches home appliances located in the kitchen with home appliances located in a space that the user does not frequently visit, and generates a list of recommended groups. can create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rver device 3000 from the user's mobile terminal 4000, when the user mainly stays in the living room, the server device 3000 provides an air purifier located in the living room and the user.
  • a list of recommended groups can be created by matching dryers located on verandas that are not frequently visited. Meanwhile, when other users frequently use a group in which air conditioners and cleaning robots are matched, a group including the server device 3000, the air conditioner, and the cleaning robot may be created as a recommendation group.
  • the display device 5000 includes a first recommendation group 1911 in which the cleaning robot operates as a practical device and the air conditioner operates as an auxiliary device, and the induction cooker operates as a practical device and cleans.
  • a second recommendation group 1912 in which the robot operates as an auxiliary device and a third recommendation group 1913 in which the dryer operates as an actual device and the induction stove operates as an auxiliary device may be displayed on the recommendation group screen 1910.
  • a first home appliance 1000 designated as an auxiliary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 second home appliance (1000) designated as an actual use devic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method and system for outputting information of 2000 or controlling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may be provided.
  • AP Wi-Fi router
  • the outpu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obtaining information of a second user input interface (UI: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display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on the first user interface of the first home appliance 1000,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interface; and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through the GUI of the second home appliance 2000 .
  • UI User Interface
  •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Abstract

제 1 가전 기기가 제 2 가전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 1 가전 기기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제 2 가전 기기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를 그룹화하는 그룹 정보를 획득하고,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의 보조 기기로 동작하기 위한 그룹 모드를 활성화하고, 제 2 가전 기기에 연결되기 위한 제 2 가전 기기의 통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해, 실사용 기기로 지정된 제 2 가전 기기로부터 제 2 가전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그룹 모드에서, 제 2 가전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정보 출력 방법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정보 출력 방법, 및 가전 기기들을 그룹화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가전 기기들을 보조 기기와 실사용 기기로 그룹화하고, 보조 기기에서 실사용 기기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전 제품은 대부분 설치된 장소에 고정되어 있고, 가전 제품에 따라 댁내 구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반적인 가전 제품을 제어 하거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해당 가전제품의 위치로 직접 이동해서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가전 제품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및 가전 제품이 와이파이 공유기(예컨대, AP: Access Point)에 접속을 해야하며, 와이파이 공유기(AP) 위치에 따라 무선 환경이 열악한 경우 가전 제품의 제어와 모니터링이 어려울 수 있고,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항상 휴대를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전 제품들을 편리하게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가 제 2 가전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은, 제 1 가전 기기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제 2 가전 기기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를 그룹화하는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의 보조 기기로 동작하기 위한 그룹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제 2 가전 기기에 연결되기 위한 제 2 가전 기기의 통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해, 실사용 기기로 지정된 제 2 가전 기기로부터 제 2 가전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그룹 모드에서, 제 2 가전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는, 제 2 가전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제 2 가전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를 보조 기기로 지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2 가전 기기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를 그룹화하는 그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의 보조 기기로 동작하기 위한 그룹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2 가전 기기에 연결되기 위한 제 2 가전 기기의 통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해 실사용 기기로 지정된 제 2 가전 기기로부터 제 2 가전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그룹 모드에서, 제 2 가전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가 제 2 가전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가 그룹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를 통해 그룹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를 통해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를 그룹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를 통해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를 그룹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를 통해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를 그룹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통해 그룹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를 그룹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를 그룹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를 그룹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를 그룹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 간의 D2D 통신을 통해서 그룹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을 통해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가 그룹화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을 통해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가 그룹화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제 1 가전 기기가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는 제 2 가전 기기의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제 1 가전 기기가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는 제 2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제 1 가전 기기가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는 제 2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가 역할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가 역할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가 역할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와 제 2 가전 기기가 역할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제 1 가전 기기와 복수의 실사용 기기를 그룹화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는 제 2 가전 기기와 복수의 보조 기기를 그룹화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전 기기의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청소 로봇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가 가전 기기들의 그룹을 추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가 추천 그룹 및 그룹 목록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표현은 " a", " b", " c", "a 및 b", "a 및 c", "b 및 c", "a, b 및 c 모두", 혹은 그 변형들을 지칭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본 개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화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화 시스템(100)은 댁내에 위치하는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그룹화하는 시스템으로,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그룹화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그룹화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룹화 시스템(100)은, 제 1 가전 기기(1000), 제 2 가전 기기(2000) 및 서버 장치(미도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제 1 가전 기기(1000), 제 2 가전 기기(2000), 및 모바일 단말(미도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 및 제 2 가전 기기(2000)는 댁내에 위치하는 다양한 종류의 가전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 및 제 2 가전 기기(2000) 각각은 세탁기, 건조기, 공기청정기, 냉장고, 공기조화기(에어컨), 오디오 장치, 인덕션(전기레인지), 의류 관리기, TV, 식기세척기, 오븐, 전자레인지, 에어 프라이어, 반려 동물을 위한 자동 급식기, 정수기, 조명 장치, 또는 비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댁내에서 서로 다른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구석진 공간(예컨대, 베란다)에 위치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는 사용자가 자주 머무는 공간(예컨대, 거실이나 주방)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가전 기기(1000)는 주방에 위치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는 화장실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그룹화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 1 가전 기기(1000)는 보조 기기로 지정되고, 제 2 가전 기기(2000)는 실사용 기기로 지정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 모드가 실행(활성화)되는 경우, 그룹 내의 각각의 역할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제 2 가전 기기(2000)는 실사용 기기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기기로의 역할은 실사용 기기로부터 실사용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실사용 기기를 모니터링하는 역할일 수 있다. 또한, 보조 기기로의 역할은, 실사용 기기와 관련된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 명령을 실사용 기기로 전송함으로써, 실사용 기기를 제어하는 역할일 수도 있다.
실사용 기기의 역할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현재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보조 기기에 전송하는 역할일 수 있다. 또는, 실사용 기기의 역할은 보조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룹 내에서 제 1 가전 기기(1000)가 보조 기기로 동작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가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는 경우를 주된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제 1 가전 기기(1000)는 프로세서(1100), 통신 인터페이스(1200), 출력 인터페이스(1300), 메모리(1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프로세서(11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4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인터페이스(1200), 출력 인터페이스(1300), 메모리(140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00)는,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 제 1 기기(1000)와 서버 장치(미도시), 제 1 가전 기기(1000)와 모바일 단말(미도시)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200)는, 댁내 가전 기기들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외부망에 접속하기 위한 원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며, 통신 인터페이스(1200)는,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인터페이스,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NFC,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 인터페이스, 지그비(Zigbee) 통신 인터페이스, Z-wave 통신 인터페이스,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인터페이스, WFD(Wi-Fi Direct, Wi-Fi P2P) 통신 인터페이스, UWB(ultra wideband) 통신 인터페이스, Ant+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200)는 인터넷,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는, 3G 모듈, 4G 모듈, 5G 모듈, LTE 모듈, NB-IoT 모듈, LTE-M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며, 통신 인터페이스(1200)는,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 2 가전 기기(20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제 2 가전 기기(20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12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 그룹화가 완료되지 않거나, 그룹화가 해제된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와 그룹화하기 위한 정보를 제 2 가전 기기(2000), 서버 장치(미도시), 또는 모바일 단말(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가 그룹화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출력 인터페이스(1300)는,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 인터페이스(1300)는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 진동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는 출력 인터페이스 이외에 입력 인터페이스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부(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부(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부(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부(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가전 기기(1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제 1 가전 기기(1000)는 디스플레이부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본연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고,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는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수신되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와 제 2 가전 기기(2000)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할 수도 있고, 제 1 가전 기기(1000)의 GUI와 제 2 가전 기기(2000)의 GUI를 교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는, 통신 인터페이스(1200)를 통해 수신되거나 메모리(1400)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는 스피커, 벨, 부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는 제 1 가전 기기(10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예를 들어, 알림음, 안내 음성 등)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과 관련된 음향 신호(예컨대, 알림음, 종료음, 오류 메시지 등)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의 출력 인터페이스(1300)는, 디스플레이부와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 중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300)는 조명 장치(예컨대, LED, LED 바, LED로 구현된 7세그먼트 표시 장치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1300)는,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LED 램프를 이용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7세그먼트 표시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LED) 이외에 음극 방전관이나 진공관, 액정 디스플레이(LCD), 기계적인 표시 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는, 출력 인터페이스(1300)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괄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정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출력 인터페이스(1300) 및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현되고, 제 2 가전 기기(20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에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 대응하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의 정보를 획득하고,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1400)는, 프로세서(1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그룹 내 역할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의 식별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상태 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다. 메모리(14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이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제 1 가전 기기(1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제 1 가전 기기(1000)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구현 형태에 따라서 프로세서(1100), 통신 인터페이스(1200), 출력 인터페이스(1300), 메모리(1400) 이외에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 구동부(미도시), 전원 공급부(미도시), 센서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가 공기청정기인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구동부로서 송풍부, 필터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센서부로서 미세먼지 센서, 가스 센서, 습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가 청소 로봇인 경우 센서부로서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라이다 센서, 장애물 센서(3D 센서)를 포함하고, 구동부로서 이동 어셈블리, 청소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이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원격 제어 장치(리모컨)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음성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ASR(Automatic Speech Recognition) 모델을 이용하여 음성 부분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는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NLU) 모델을 이용하여 변환된 텍스트를 해석하여, 사용자의 발화 의도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ASR 모델 또는 NLU 모델은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된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학습을 통해 만들어 질 수 있다. 여기서,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것은, 기본 인공지능 모델이 학습 알고리즘에 의하여 다수의 학습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학습됨으로써, 원하는 특성(또는, 목적)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이 만들어짐을 의미한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 각각은 복수의 가중치들(weight values)을 갖고 있으며, 이전(previous) 레이어의 연산 결과와 복수의 가중치들 간의 연산을 통해 신경망 연산을 수행한다.
언어적 이해는 인간의 언어/문자를 인식하고 응용/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기계 번역(Machine Translation), 대화 시스템(Dialog System), 질의 응답(Question Answering), 음성 인식/합성(Speech Recognition/Synthesis) 등을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외에 출력 인터페이스(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는 제 2 가전 기기(2000)는 프로세서(2100), 통신 인터페이스(2200), 메모리(2300), 구동부(2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프로세서(21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0)는, 메모리(23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인터페이스(2200), 메모리(2300), 구동부(24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0)가 복수 개인 경우, 프로세서(2100)는 메인 프로세서와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200)는,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2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 제 1 가전 기기(1000), 제 2 기기(2000)와 서버 장치(미도시), 제 2 가전 기기(2000)와 모바일 단말(미도시)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2200)는, 댁내 가전 기기들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외부망에 접속하기 위한 원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며, 통신 인터페이스(2200)는,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인터페이스,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NFC,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 인터페이스, 지그비(Zigbee) 통신 인터페이스, Z-wave 통신 인터페이스,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인터페이스, WFD(Wi-Fi Direct) 통신 인터페이스, UWB(ultra wideband) 통신 인터페이스, Ant+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2200)는 인터넷,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인터페이스는, 3G 모듈, 4G 모듈, 5G 모듈, LTE 모듈, NB-IoT 모듈, LTE-M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며, 통신 인터페이스(2200)는,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 1 가전 기기(10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200)는 제 1 가전 기기(1000)로부터 제 2 가전 기기(2000)의 제어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메모리(2300)는, 프로세서(2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그룹 내 역할 정보, 제 1 가전 기기(1000)의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23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다. 메모리(23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이 저장될 수도 있다.
구동부(2400)는, 프로세서(2100)의 제어에 따라,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부(24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가 세탁기인 경우, 구동부(2400)는 회전조, 급수부, 세제 투입부, 배수부, 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 2 가전 기기(2000)가 인덕션인 경우, 구동부(2400)는 EMI 필터, 정류 회로, 인버터 회로, 분배 회로, 전류 감지 회로, 구동 프로세서, 작동 코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 2 가전 기기(2000)가 공기조화기인 경우, 구동부(2400)는 송풍부(공기 흡입부, 송풍팬, 모터, 공기 배출부), 필터부(전처리 필터, 헤파 필터, 탈취 필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제 2 가전 기기(2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제 2 가전 기기(2000)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구현 형태에 따라서 프로세서(2100), 통신 인터페이스(2200), 메모리(2300), 구동부(2400) 이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 포함), 전원 공급부(미도시), 센서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가 그룹화되어 동작하는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가 댁내 구석에 위치하더라도, 사용자는 제 2 가전 기기(2000)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 1 가전 기기(1000)를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 2 가전 기기(2000)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제 1 가전 기기(1000)를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가 그룹화되어 동작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21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그룹화하는 그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그룹화하는 그룹 정보는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그룹화하는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그룹 정보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보조 기기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가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 및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정보를 다양한 경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서버 장치, 모바일 단말 또는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그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서버 장치로부터 그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가 서버 장치로부터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 통신 연결되었던 모바일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모바일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그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가 모바일 단말로부터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 와의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통해서 그룹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의 식별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가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 및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D2D 통신을 통해서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와 통신 연결(예컨대, 블루투스, WFD, Zigbee, Z-wave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정보를 메모리(140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가 그룹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 1 가전 기기(1000)가 그룹 정보를 획득한 상태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그룹화가 완료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하기 위한 그룹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 모드는 그룹화된 가전 기기들 간의 통신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 1 가전 기기(10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버튼을 선택(예컨대, 터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정보에 제 1 가전 기기(1000)가 보조 기기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역할이 보조 기기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룹 정보에 제 2 가전 기기(2000)가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자신의 역할이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에 상반되는 역할인 보조 기기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자신의 역할에 따라 보조 기기로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통신 채널이 수립되지 않은 경우, 그룹 정보에 포함된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채널은 근거리 통신 채널(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채널, BLE 통신 채널, WFD 통신 채널, Zigbee 통신 채널, 및 Z-wave 통신 채널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와 통신 연결되었던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통신 채널이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통신 채널을 다시 수립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해, 실사용 기기로 지정된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이하, 동작 정보라 함)는, 현재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텍스트나 이미지, 현재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코드, 동작 완료시까지 남은 시간, 동작이 중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소정 주기로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1분마다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서 동작 상태 변화가 있는 경우에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가 세탁기인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는, 불림 동작 시작시에 불림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제 1 가전 기기(1000)에 제공하고, 세탁 동작 시작시에 세탁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제 1 가전 기기(1000)에 제공하고, 탈수 동작 시작시에 탈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제 1 가전 기기(10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사용자가 지정한 이벤트가 제 2 가전 기기(2000)에서 발생한 경우에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가 건조기이고, 사용자가 건조 동작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만을 제 1 가전 기기(1000)가 수신하도록 설정한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서 건조 동작이 완료된 경우에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정보(예컨대, 건조 동작 완료)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 소정 주기로 동작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고, 별도의 요청 없이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S24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에서,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 대응하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의 정보(이하, 제 2 가전 기기(2000)의 UI 정보라고 함)를 획득할 수 있다. 제 2 가전 기기(2000)의 UI 정보는 제 2 가전 기기(2000)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의 UI 정보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 제 2 가전 기기(2000)의 관련된 동작 에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화면,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과 관련된 음성 가이드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하기 위한 음성 명령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UI 정보를 서버 장치, 모바일 단말, 및 제 2 가전 기기(2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의 메모리(1400)에 제 2 가전 기기(2000)의 UI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면 메모리(1400)로부터 제 2 가전 기기(2000)의 UI 정보를 불러올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그룹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 대응하는 UI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의 GUI를 제 1 가전 기기(100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출력 인터페이스(13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출력 인터페이스(1300))에 표시된 제 2 가전 기기(2000)의 GUI를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본연의 기능에 대응하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GUI와 제 2 가전 기기(2000)의 GUI를 출력 인터페이스(1300)에 교대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전 기기(100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제 1 가전 기기(1000)의 GUI와 제 2 가전 기기(2000)의 GUI를 교대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가 공기청정기고 제 2 가전 기기(2000)가 세탁기인 경우, 공기청정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공기청정기의 GUI와 세탁기의 GUI가 5초씩 교대로 표시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의 출력 인터페이스(1300)가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디스플레이부에 제 1 가전 기기(1000)의 GUI와 제 2 가전 기기(2000)의 GUI를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가 본연의 기능은 수행하지 않고, 보조 기기로만 동작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GUI만 출력 인터페이스(1300)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가전 기기(2000)가 복수의 가전 기기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복수의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GUI들을 제 1 가전 기기(1000)의 출력 인터페이스(13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전 기기(1000)의 디스플레이가 임계 사이즈보다 큰 경우 복수의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GUI들이 제 1 가전 기기(1000)의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가전 기기(1000)의 디스플레이부가 임계 사이즈보다 작은 경우 복수의 가전 기기들에 대응하는 GUI들이 제 1 가전 기기(1000)의 디스플레이부에 교대로 표시될 수도 있다. 제 2 가전 기기(2000)가 복수의 가전 기기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가전 기기(2000)가 사용자가 자주 머물지 않는 공간에 위치하더라도 사용자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 그룹화된 제 1 가전 기기(1000)를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하에서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그룹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가 그룹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서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보조 기기로 지정되고, 제 2 가전 기기(2000)가 실사용 기기로 지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31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에 배치된 그룹 기능과 관련된 소정의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를 실행하라는 음성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S32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사용자로부터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제 1 가전 기기(1000)가 외부 장치(예컨대, 제 2 가전 기기(2000))와 그룹화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정보(예컨대,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메모리(14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외부 장치(예컨대, 제 2 가전 기기(2000))와 그룹화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와 그룹화된 상태로 판단한 경우, 단계 S340으로 이동하여,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를 바로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D2D 통신 채널(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이 유지되고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만일,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D2D 통신 채널(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이 해제된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정보(예컨대,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다시 D2D 통신 채널(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외부 장치(예컨대, 제 2 가전 기기(2000))와 그룹화된 상태가 아닌 경우 그룹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룹화 동작은 제 1 가전 기기(1000)가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화 동작은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그룹화하는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서버 장치로부터 그룹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그룹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가 서버 장치와 연동하여 그룹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 통신 연결되었던 모바일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모바일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그룹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그룹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가 모바일 단말과 연동하여 그룹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 와의 D2D 통신을 통해서 그룹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그룹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와 연동하여 그룹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단계 S34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외부 장치(예컨대, 제 2 가전 기기(2000))와 그룹화된 경우 그룹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345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에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통신 연결 요청은, 페어링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페어링'이란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는 제 1 디바이스(1000) 및 제 2 디바이스(2000) 간에 상호 통신 연결을 위해 지정된 암호, 식별 정보, 보안 정보 또는 인증 정보 등을 확인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 페어링함으로써,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수립한다는 것은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 1 디바이스(1000)가 제 2 디바이스(2000)와 이전에 페어링 되었던 경우, 페어링 동작은 생략되고, 바로 블루투스 통신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BLE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 BLE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이때, BLE 통신 채널은 제 1 가전 기기(1000) 및 제 2 가전 기기(2000) 간에 상호 스캔으로 advertising packet을 송수신하는 비 연결 방식의 가상 통신 채널일 수도 있고, 제 1 가전 기기(1000)의 BLE 연결 요청으로 세션이 형성되는 연결 방식의 통신 채널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 WFD(Wi-Fi Direct)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상호 디바이스 명칭 또는 디바이스 타입과 같은 장치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어떤 가전 기기가 P2P GO(Group Owner)가 될지 결정하여 새로운 P2P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P2P GO는 AP(Access Point)로 동작할 수 있으며, P2P 클라이언트는 STA(station)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가 탐색 상태(Search state)에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송신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가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전송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를 발견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전 기기(1000)는, 서버 장치 또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로서 제 2 가전 기기(2000)의 디바이스 식별 값(예컨대, MAC 어드레스)을 수신한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를 더 빠르게 발견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를 발견한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P2P GO 협상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전 기기(1000)가 P2P GO로 결정되고, 제 2 가전 기기(2000)가 P2P Client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가전 기기(1000)가 P2P GO로 결정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P2P 그룹 내의 통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가 WFD 통신을 수행하기 전에 인증 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사용자가 터치 패널 등을 통해 입력한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계 S35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함으로써,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 S355에서,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채널은 근거리 통신 채널(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채널, BLE 통신 채널, WFD 통신 채널, Zigbee 통신 채널, 및 Z-wave 통신 채널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제 2 가전 기기(2000)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이하, 동작 정보라 함)는, 현재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텍스트나 이미지, 현재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코드, 동작 완료시까지 남은 시간, 동작이 중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2의 단계 S230 및 단계 S240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하는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제 2 가전 기기(2000)와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가전 기기(2000)로 전송함으로써,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하는 동작에 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단계 S36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를 종료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에 배치된 그룹 기능과 관련된 소정의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를 종료하라는 음성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그룹 모드를 종료하는 입력은, 그룹화를 해제하는 입력과 그룹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룹화를 해제하는 입력은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통신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그룹화를 해제하는 입력일 수 있으며, 그룹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입력은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지한 채 그룹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입력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그룹 모드를 종료하는 입력은,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지할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70에서, 제 1 가전 기기(1000)는,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통신 연결 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룹 버튼을 한 번 누르는 제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 1 사용자 입력을 통신 연결을 유지한 채 그룹 모드를 비활성화하라는 입력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그룹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그룹 버튼을 두 번 이상 누르는 제 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사용자 입력을 통신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그룹화를 해제하라는 입력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룹 버튼을 소정 시간(예컨대, 3초)보다 짧게 누르는 제 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 3 사용자 입력을 통신 연결을 유지한 채 그룹 모드를 비활성화하라는 입력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그룹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룹 버튼을 소정 시간(예컨대, 3초) 이상 길게 누르는 제 4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4 사용자 입력을 통신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그룹화를 해제하라는 입력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38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를 종료하는 입력이 그룹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입력으로 식별된 경우, 그룹 모드를 비활성화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지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385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통신 모드를 전력 절감(power saving) 모드 또는 슬립(sleep)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그룹화 모드가 비활성화 된 후에 사용자로부터 다시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단계 S310, S320, 및 S340 수행). 이때,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모드도 전력 절감 모드 또는 슬립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단계 S39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를 종료하는 입력이 그룹화를 해제하는 입력으로 식별된 경우, 그룹화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그룹화하는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그룹 정보를 메모리(1400)에서 삭제할 수도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 간의 그룹화가 해제된 이후, 사용자로부터 다시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화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단계 S310 내지 단계S330 수행). 이하에서는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가 그룹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를 통해 그룹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41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3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그룹화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 장치(3000)는, 가전 기기들을 관리하는 기기 관리 서버일 수 있다. 서버 장치(3000)는 계정 정보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들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서버 장치(3000)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 장치(300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가전 기기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선택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그룹화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선택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 인터랙션을 통해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표시된 제 1 가전 기기(1000)의 아이콘과 제 2 가전 기기(2000)의 아이콘을 연결할 수도 있고, 음성 입력을 통해서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 장치(300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그룹화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서버 장치(3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그룹화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로 제 2 가전 기기(2000)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가전 기기(2000)에 관한 정보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식별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가 제 2 가전 기기(20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가 와이파이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는, 타임스탬프(timestamp), 식별 정보(예컨대, SSID, BSSID, MAC address), 채널 정보, 기능 정보(예컨대, Tethering capability),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가전 기기(2000)가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는, 블루투스 어드레스(BT Address), 기기명(Product Name), 프로파일(Profile)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가전 기기(2000)에 관한 정보는 서버 장치(300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가 서버 장치(3000)에 등록될 때, 서버 장치(3000)는 가전 기기 DB(database)에 제 2 가전 기기(200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만일, 제 2 가전 기기(2000)에 관한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버 장치(3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 제 2 가전 기기(2000)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S43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서버 장치(3000)로부터 수신된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에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 장치(3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에 제 1 가전 기기(1000)의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가 제 1 가전 기기(1000)의 통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가전 기기(1000)에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도 있다.
단계 S44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은 블루투스 통신 채널, BLE 통신 채널, WFD 통신 채널, Zigbee 통신 채널, 및 Z-wave 통신 채널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가 D2D 통신 채널(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한 상태를 그룹화 완료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 장치(3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는 음성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 장치(300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6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3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 정보(예컨대, 보조 기기), 및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예컨대, 실사용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가전 기기(1000) 및 제 2 가전 기기(20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3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를 제 1 가전 기기(10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에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 정보 및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서버 장치(3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를 제 2 가전 기기(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1 가전 기기(1000)에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 정보 및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장치(3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 정보 및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를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 모두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 장치(3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 정보를 제 1 가전 기기(1000)에 전송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를 제 2 가전 기기(20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S470에서,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를 활성화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 모드를 활성화하여 실사용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거나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를 모니터링 또는 제어하는 동작은 도 3의 S350에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계 S450이 단계 S42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장치(3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 관한 정보와 함께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예컨대, 실사용 기기)를 제 1 가전 기기(1000)에 동시에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을 변경하는 경우, 서버 장치(3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 및 제 2 가전 기기(2000)에 역할 변경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을 보조 기기에서 실사용 기기로 변경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을 실사용 기기에서 보조 기기로 변경하는 경우, 서버 장치(3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에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라는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에 보조 기기로 동작하라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 및 제 2 가전 기기(2000)가 라우터(예컨대, AP: Access Point)를 통해서 외부 망에 연결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는 서버 장치(300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통해서,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간단하게 그룹화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 및 제 2 가전 기기(2000)가 서버 장치(3000)를 통해 그룹화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조금 더 살펴보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3000)를 통해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그룹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보조 기기로 지정되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공기청정기(1000-1)이고,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는 제 2 가전 기기(2000)가 세탁기(2000-1)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서버 장치(3000)에 접근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5000)를 통해서 서버 장치(3000)에서 제공하는 가전 기기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 및 제 2 가전 기기(2000)와 동일한 계정 정보로 연결된 장치일 수 있다.
도 5a의 510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가전 기기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5000)는 가전 기기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가전 기기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는 댁내 설치된 가전 기기들의 목록, 가전 기기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항목(예컨대, 가전 기기 그룹화 아이콘(5001))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전 기기들을 그룹화하기 위해, 가전 기기 그룹화 아이콘(5001)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a의 520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가전 기기 그룹화 아이콘(5001)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5000)는 그룹화 설정 창(5002)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그룹화 설정 창(5002)에는, 댁내 가전 기기들 중에서 그룹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가전 기기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댁내 가전 기기들 중에서 그룹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가전 기기(예컨대, 세탁기(2000-1), 공기청정기(1000-1))의 아이콘은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되고, 그룹화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가전 기기(예컨대, 건조기(2000-2))의 아이콘은 비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b의 530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그룹화하기 원하는 가전 기기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탁기(2000-1)와 공기청정기(1000-1)를 그룹화하기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그룹화 설정 창(5002)에서 공기청정기(1000-1)의 아이콘을 터치한 채 세탁기(2000-1)의 아이콘 위로 드래그한 다음 드롭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장치(3000)는, 디스플레이 장치(5000)를 통해서 사용자가 세탁기(2000-1)와 공기청정기(1000-1)를 그룹화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세탁기(2000-1)와 공기청정기(1000-1) 간의 통신 연결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3000)는 세탁기(2000-1)에 공기청정기(1000-1)의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하면서 공기청정기(1000-1)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할 것을 명령할 수도 있고, 공기청정기(1000-1)에 세탁기(2000-1)의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하면서 세탁기(2000-1)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할 것을 명령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세탁기(2000-1)와 공기청정기(1000-1)는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도 5b의 5400을 참조하면, 세탁기(2000-1)와 공기청정기(1000-1)가 통신 연결을 완료한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는 그룹화 통신 연결 완료를 나타내는 팝업 창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팝업 창은 가전 기기들의 역할을 지정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팝업 창은 실사용 기기를 지정하기 위한 제 1 필드(5003)와 보조 기기를 지정하기 위한 제 2 필드(500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필드(5003)를 통해서, 그룹화된 세탁기(2000-1)와 공기청정기(1000-1) 중에서 세탁기(2000-1)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필드(5004)를 통해서, 그룹화된 세탁기(2000-1)와 공기청정기(1000-1) 중에서 공기청정기(1000-1)를 보조 기기로 지정할 수 있다.
한편, 도 5b에서는 사용자가 그룹화할 가전 기기들을 선택하고 난 후에 가전 기기들의 역할을 결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는 그룹화할 가전 기기들의 선택과 역할 결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사용 기기로 선택할 가전 기기의 아이콘을 터치한 후 보조 기기로 선택할 가전 기기 아이콘 위로 이동시키라는 가이드가 제공되는 경우, 서버 장치(3000)는, 사용자가 먼저 터치한 아이콘에 대응하는 가전 기기를 실사용 기기로 정의하고, 후에 터치한 아이콘에 대응하는 가전 기기를 보조 기기로 정의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서버 장치(3000)는 디스플레이 장치(5000)를 통해 세탁기(2000-1)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고 공기청정기(1000-1)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3000)는 공기청정기(1000-1)와 세탁기(2000-1)에 역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3000)는 공기청정기(1000-1)에 세탁기(2000-1)의 보조 기기로 동작하라는 역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장치(3000)는 세탁기(2000-1)에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면서 공기청정기(1000-1)에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라는 역할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5c의 5500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는 세탁기(2000-1)와 공기청정기(1000-1)가 그룹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그룹화 정보(5005)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공기청정기(1000-1)와 세탁기(2000-1)에서 그룹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는 경우, 공기청정기(1000-1)와 세탁기(2000-1)는, 그룹 모드를 활성화하고, 그룹 내에서 각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2000-1)는 본연의 기능(예컨대, 세탁 기능)을 수행하면서, 세탁과 관련된 동작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공기청정기(1000-1)에 전송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0-1)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세탁기(2000-1)로부터 세탁기(2000-1)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를 통해서 세탁기(2000-1)의 동작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세탁기(2000-1)가 위치하는 베란다에 나가지 않더라도, 거실에 위치하는 공기청정기(1000-1)를 통해서, 세탁기(2000-1)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통해서 세탁기(2000-1)와 공기청정기(1000-1)의 역할을 변경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세탁기(2000-1)와 공기청정기(1000-1)의 역할을 변경하는 경우, 세탁기(2000-1)는 공기청정기(1000-1)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4000)을 통해 그룹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에서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보조 기기로 지정되고, 제 2 가전 기기(2000)가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601에서,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 배치된 그룹 기능과 관련된 소정의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 모드를 실행하라는 음성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화된 상태가 아니므로, 그룹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그룹화 설정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모바일 단말(4000)과의 통신 연결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감지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모바일 단말(4000)에서 제 2 가전 기기(2000)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가전 기기(2000)는 BLE advertising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단계 S601에서, 모바일 단말(4000)은 가전 기기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40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전자북 단말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단말(4000)이 스마트 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602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4000)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4000)은 주변을 스캔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4000)은 제 2 가전 기기(2000)에서 브로드캐스팅한 BLE advertising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제 2 가전 기기(2000)를 감지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4000)은, 제 2 가전 기기(2000)가 감지되는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의 아이콘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 2 가전 기기(2000)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4000)은 제 2 가전 기기(2000)와 페어링 절차를 수행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채널 또는 BLE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제 2 가전 기기(2000)와 모바일 단말(4000)이 이전에 페어링 되었던 경우 페어링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제 2 가전 기기(2000)에서 브로드캐스팅한 BLE advertising 패킷에 제 2 가전 기기(2000)의 Manufacture ID, Wi-Fi MAC 주소, SSID, 타임스탬프, 채널 정보, 제품 일련 번호 일부(또는 전부)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모바일 단말(4000)은 미리 정해진 D2D(Device to Device)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와 WFD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도 있다.
단계 S603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4000)은 제 2 가전 기기(2000)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4000)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제 2 가전 기기(2000)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4000)은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를 제 2 가전 기기(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4000)은, 제 2 가전 기기(2000)가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었다는 역할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전 기기(2000)는, 모바일 단말(4000)로부터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가 실사용 기기로 동작함을 나타내는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 등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를 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도 있다.
단계 S606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4000)은, 제 2 가전 기기(2000)에 역할 정보를 전송한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통신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4000)은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해제할 수 있다.
제 2 가전 기기(2000)의 정보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식별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단말(4000)과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이 종료되더라도 아직 그룹화가 완료된 것은 아니므로 제 2 가전 기기(2000)의 그룹화 설정 모드는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4000)은 제 2 가전 기기(2000)와 그룹화할 다른 가전 기기를 찾기 위해 스캔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 S607에서,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에 배치된 그룹 기능과 관련된 소정의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를 실행하라는 음성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화된 상태가 아니므로, 그룹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그룹화 설정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 S608에서,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모바일 단말(4000)과의 통신 연결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감지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모바일 단말(4000)에서 제 1 가전 기기(1000)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전 기기(1000)는 BLE advertising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4000)은 주변을 스캔하여 제 1 가전 기기(1000)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4000)은 제 1 가전 기기(1000)에서 브로드캐스팅한 BLE advertising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1000)를 감지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4000)은, 제 1 가전 기기(1000)가 감지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의 아이콘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 1 가전 기기(1000)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4000)은 제 1 가전 기기(1000)와 페어링 절차를 수행하고, 제 1 가전 기기(10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채널 또는 BLE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와 모바일 단말(4000)이 이전에 페어링 되었던 경우 페어링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제 1 가전 기기(1000)에서 브로드캐스팅한 BLE advertising 패킷에 제 1 가전 기기(1000)의 Manufacture ID, Wi-Fi MAC 주소, SSID, 제품 일련 번호 일부(또는 전부)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모바일 단말(4000)은 미리 정해진 D2D(Device to Device)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제 1 가전 기기(1000)와 WFD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도 있다.
단계 S609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4000)은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4000)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4000)은,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지정된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에 제 2 가전 기기(2000)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4000)은 제 2 가전 기기(2000)의 식별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 등을 제 1 가전 기기(10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가 와이파이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는, 타임스탬프(timestamp), 식별 정보(예컨대, SSID, BSSID, MAC address), 채널 정보, 기능 정보(예컨대, Tethering capability),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가전 기기(2000)가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는, 블루투스 어드레스(BT Address), 기기명(Product Name), 프로파일(Profile)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611에서, 모바일 단말(4000)은 제 2 가전 기기(2000)에 관한 정보를 제 1 가전 기기(1000)에 전송한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단계 S612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모바일 단말(4000)로부터 수신된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에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613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은 블루투스 통신 채널, BLE 통신 채널, WFD 통신 채널, Zigbee 통신 채널, 및 Z-wave 통신 채널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가 D2D 통신 채널(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한 상태를 그룹화 완료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의 그룹화가 완료된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그룹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는 실사용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거나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 및 제 2 가전 기기(2000)가 라우터(예컨대, AP: Access Point)를 통해서 외부 망에 연결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400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통해서,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간단하게 그룹화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 및 제 2 가전 기기(2000)가 모바일 단말(4000)을 통해 그룹화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조금 더 살펴보기로 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4000)을 통해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그룹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에서는 보조 기기로 지정되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공기청정기(1000-1)이고,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는 제 2 가전 기기(2000)가 세탁기(2000-1)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의 7000-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세탁기(2000-1)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500)에 포함된 그룹 버튼(2001)을 터치할 수 있다. 그룹 버튼(2001)을 터치하는 입력은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입력 또는 그룹화 기능을 활성화하는 입력일 수 있다. 세탁기(2000-1)는, 그룹 버튼(2001)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그룹화 설정 모드를 활성화하고, 모바일 단말(4000)과의 통신 연결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2000-1)는 감지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모바일 단말(4000)에서 세탁기(2000-1)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2000-1)는 BLE advertising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도 7a의 7000-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세탁기(2000-1)의 그룹 버튼(2001)을 누른 후 모바일 단말(4000)에서 가전 기기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4000)은 주변을 스캔하여 세탁기(2000-1)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4000)은 세탁기(2000-1)에서 브로드캐스팅한 BLE advertising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세탁기(2000-1)를 감지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4000)은 세탁기(2000-1)가 감지되는 경우, 세탁기(2000-1)의 아이콘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00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001)에서 사용자가 세탁기(2000-1)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4000)은 세탁기(2000-1)와 페어링 절차를 수행하고, 세탁기(2000-1)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채널 또는 BLE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한편, 세탁기(2000-1)에서 브로드캐스팅한 BLE advertising 패킷에 세탁기(2000-1)의 Manufacture ID, Wi-Fi MAC 주소, SSID, 타임스탬프, 채널 정보, 제품 일련 번호 일부(또는 전부)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모바일 단말(4000)은 미리 정해진 D2D(Device to Device)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세탁기(2000-1)와 WFD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도 있다.
도 7b의 7000-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001)에 포함된 실사용 기기를 지정하기 위한 제 1 필드(7002)를 이용하여, 세탁기(2000-1)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4000)은 세탁기(2000-1)에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역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b의 7000-4를 참조하면, 세탁기(2000-1)는 모바일 단말(4000)로부터 수신한 역할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510)에 역할 정보를 표시하거나, 역할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2000-1)는 디스플레이부(2510)에 실사용 기기임을 나타내는 텍스트("TARGET")가 깜빡이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7c의 7000-5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4000)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001)에 포함된 보조 기기를 지정하기 위한 제 2 필드(7003)에서 보조 기기를 찾기 위한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4000)은, 세탁기(2000-1)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세탁기(2000-1)와의 통신을 종료하고, 보조 기기로 동작할 가전 기기와 연결할 준비를 할 수 있다. 세탁기(2000-1)는 모바일 단말(4000)과의 통신 연결이 종료되더라도 그룹화 설정 모드는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c의 7000-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공기청정기(1000-1)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0)에 포함된 그룹 버튼(1001)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룹 버튼(1001)을 터치하는 입력은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입력 또는 그룹화 기능을 활성화하는 입력일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0-1)는, 그룹 버튼(1001)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그룹화 설정 모드를 활성화하고, 모바일 단말(4000)과의 통신 연결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000-1)는 감지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모바일 단말(4000)에서 공기청정기(1000-1)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1000-1)는 BLE advertising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도 7d의 7000-7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4000)은 주변을 스캔하여 공기청정기(1000-1)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4000)은 공기청정기(1000-1)에서 브로드캐스팅한 BLE advertising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공기청정기(1000-1)를 감지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4000)은 공기청정기(1000-1)가 감지되는 경우, 공기청정기(1000-1)의 아이콘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00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001)에서 사용자가 공기청정기(1000-1)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4000)은 공기청정기(1000-1)와 페어링 절차를 수행하고, 공기청정기(1000-1)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채널 또는 BLE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한편, 공기청정기(1000-1)에서 브로드캐스팅한 BLE advertising 패킷에 공기청정기(1000-1)의 Manufacture ID, Wi-Fi MAC 주소, SSID, 타임스탬프, 채널 정보, 제품 일련 번호 일부(또는 전부)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모바일 단말(4000)은 미리 정해진 D2D(Device to Device)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공기청정기(1000-1)와 WFD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도 있다.
도 7d의 7000-8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4000)은 메모리에 저장된 세탁기(2000-1)에 관한 정보를 공기청정기(1000-1)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4000)은 세탁기(2000-1)의 식별 정보, 세탁기(2000-1)의 통신 연결 정보, 세탁기(2000-1)의 역할 정보를 공기청정기(1000-1)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4000)은 공기청정기(1000-1)와의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 그룹화 설정 모드가 활성화된 공기청정기(1000-1)는, 모바일 단말(4000)로부터 전달 받은 세탁기(2000-1)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기(2000-1)와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이후, 공기청정기(1000-1)와 세탁기(2000-1)에서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공기청정기(1000-1)는 세탁기(2000-1)의 보조 기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에서는 사용자가 그룹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세탁기(2000-1)와 공기청정기(1000-1)에서 그룹 버튼을 터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성 입력 또는 원격 제어장치를 통한 입력(IR 신호 송신) 등을 통해서 세탁기(2000-1)와 공기청정기(1000-1)에서 그룹화 기능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001)을 통해서 세탁기(2000-1)와 공기청정기(1000-1)의 역할을 변경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세탁기(2000-1)와 공기청정기(1000-1)의 역할을 변경하는 경우, 세탁기(2000-1)는 공기청정기(1000-1)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 간의 D2D 통신을 통해서 그룹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에서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보조 기기로 지정되고, 제 2 가전 기기(2000)가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801에서,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 배치된 그룹 기능과 관련된 소정의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 모드를 실행하라는 음성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화된 상태가 아니므로, 그룹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그룹화 설정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다른 가전 기기(예컨대, 제 1 가전 기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감지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1000)에서 제 2 가전 기기(2000)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가전 기기(2000)는 BLE advertising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단계 S802에서, 제 2 가전 기기(2000)는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을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803에서, 제 2 가전 기기(2000)는 실사용 기기로 동작함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가 실사용 기기로 동작함을 나타내는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 등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를 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도 있다.
단계 S804에서,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에 배치된 그룹 기능과 관련된 소정의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를 실행하라는 음성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화된 상태가 아니므로, 그룹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그룹화 설정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 S805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을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806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보조 기기로 동작함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보조 기기로 동작함을 나타내는 텍스트(예컨대, ASSISTANT, AUXILIARY), 이미지, 아이콘 등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를 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스피커를 통해서 "보조 기기로 동작 합니다"라는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807에서,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주변을 스캔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서 브로드캐스팅한 BLE advertising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제 2 가전 기기(2000)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가 감지되는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와 그룹화할지를 문의하는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 2 가전 기기(2000)와 그룹화를 승인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 페어링 절차를 수행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채널 또는 BLE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제 2 가전 기기(2000)와 제 1 가전 기기(1000)가 이전에 페어링 되었던 경우 페어링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와 그룹화할지를 문의하는 팝업 창을 표시하는 절차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제 2 가전 기기(2000)에서 브로드캐스팅한 BLE advertising 패킷에 제 2 가전 기기(2000)의 Manufacture ID, Wi-Fi MAC 주소, SSID, 타임스탬프, 채널 정보, 제품 일련 번호 일부(또는 전부)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미리 정해진 D2D(Device to Device)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와 WFD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도 있다.
단계 S808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가전 기기(2000)가 D2D 통신 채널(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한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화 설정 모드를 종료하고, 그룹화를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D2D 통신 채널(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서 역할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 정보를 제 2 가전 기기(2000)에 전송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를 제 1 가전 기기(100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라우터(예컨대, AP)를 통한 외부망 연결 없이도 D2D 통신을 통해 상호간의 그룹화를 완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가 D2D 통신을 통해 그룹화를 완료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조금 더 살펴보기로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을 통해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가 그룹화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에서는 보조 기기로 지정되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공기청정기(1000-1)이고,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는 제 2 가전 기기(2000)가 세탁기(2000-1)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의 910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세탁기(2000-1)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500)에 포함된 그룹 버튼(2001)을 터치할 수 있다. 그룹 버튼(2001)을 터치하는 입력은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입력 또는 그룹화 기능을 활성화하는 입력일 수 있다. 세탁기(2000-1)는, 그룹 버튼(2001)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그룹화 설정 모드를 활성화하고, 그룹화할 다른 가전 기기(예컨대, 공기청정기(1000-1))와의 통신 연결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2000-1)는 감지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공기청정기(1000-1)에서 세탁기(2000-1)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2000-1)는 BLE advertising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그룹 버튼(2001)을 누른 후 세탁기(2000-1)의 역할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세탁기(2000-1)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500)에 포함된 실사용 버튼(2002)을 선택함으로써, 세탁기(2000-1)의 역할을 실사용 기기로 지정할 수 있다.
도 9a의 9200을 참조하면, 세탁기(2000-1)는, 사용자가 지정한 역할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510)에 역할 정보를 표시하거나, 역할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2000-1)는 사용자가 실사용 버튼(2002)을 누르는 것을 감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0)에 실사용 기기임을 나타내는 텍스트("TARGET")가 깜빡이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공기청정기(1000-1)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0)에 포함된 그룹 버튼(1001)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룹 버튼(1001)을 터치하는 입력은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입력 또는 그룹화 기능을 활성화하는 입력일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0-1)는, 그룹 버튼(1001)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그룹화 설정 모드를 활성화하고, 그룹화할 다른 가전 기기(예컨대, 세탁기(2000-1))와의 통신 연결을 준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룹 버튼(2001)을 누른 후 공기청정기(1000-1)의 역할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공기청정기(1000-1)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0)에 포함된 보조 버튼(1003)을 선택함으로써, 공기청정기(1000-1)의 역할을 보조 기기로 지정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0-1)는, 사용자가 지정한 역할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310)에 역할 정보를 표시하거나, 역할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000-1)는 사용자가 보조 버튼(1003)을 누르는 것을 감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10)에 보조 기기임을 나타내는 텍스트("ASSISTANT")가 깜빡이도록 표시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0-1)는, 주변을 스캔하여 세탁기(2000-1)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1000-1)는 세탁기(2000-1)에서 브로드캐스팅한 BLE advertising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세탁기(2000-1)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때, 공기청정기(1000-1)는 세탁기(2000-1)와 페어링 절차를 수행하고, 세탁기(2000-1)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채널 또는 BLE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0-1)와 세탁기(2000-1)가 이전에 페어링되었던 경우, 페어링 절차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세탁기(2000-1)에서 브로드캐스팅한 BLE advertising 패킷에 세탁기(2000-1)의 Manufacture ID, Wi-Fi MAC 주소, SSID, 타임스탬프, 채널 정보, 제품 일련 번호 일부(또는 전부)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공기청정기(1000-1)는 미리 정해진 D2D(Device to Device)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세탁기(2000-1)와 WFD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청정기(1000-1)와 세탁기(2000-1)는 D2D 통신 채널(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서 서로의 역할을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공기청정기(1000-1)와 세탁기(2000-1)의 역할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공기청정기(1000-1) 또는 세탁기(2000-1)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공기청정기(1000-1)와 세탁기(2000-1)의 역할을 전환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0-1)와 세탁기(2000-1)의 역할이 변경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13a 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그룹화가 완료된 이후, 공기청정기(1000-1)와 세탁기(2000-1)에서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공기청정기(1000-1)와 세탁기(2000-1)는 각자의 역할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000-1)는 세탁기(2000-1)의 보조 기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공기청정기(1000-1)가 세탁기(2000-1)의 보조 기기로서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보조 기기로 지정되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공기청정기(1000-1)이고,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는 제 2 가전 기기(2000)가 세탁기(2000-1)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의 1010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000-1)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0)에 포함된 그룹 버튼(1001)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공기청정기(1000-1)와 세탁기(2000-1)가 그룹화된 상태인 경우, 공기청정기(1000-1)는 그룹 모드를 활성화하고, 역할 정보에 따라 세탁기(2000-1)의 보조 기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세탁기(2000-1)에서도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고, 세탁기(2000-1)는 역할 정보에 따라 실사용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2000-1)는 본연의 기능인 세탁 동작을 수행하면서 세탁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공기청정기(1000-1)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001).
도 10의 1020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000-1)는, 세탁기(2000-1)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10)에 출력할 수 있다(단계 S1002). 이때, 공기청정기(1000-1)는 세탁기(2000-1)의 UI 정보를 확인하고, 세탁기(2000-1)의 UI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000-1)는, 세탁 동작이 "세탁>헹굼>탈수" 과정으로 진행되며, 총 소요 시간이 "56분"걸린다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10)에 표시할 수 있다.
만일, 공기청정기(1000-1)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던 중인 경우, 공기청정기(1000-1)는 본연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예컨대, PM 1.0 10)와 세탁 동작과 관련된 정보(예컨대, 세탁>헹굼>탈수 56)를 교대로 디스플레이부(131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는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에서는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 간의 그룹화가 완료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1101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그룹 버튼을 누르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D2D 통신 채널(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102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의 그룹 내 역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룹 내 역할 정보를 확인한 결과,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이 보조 기기인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수신되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 S1103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전 기기(2000)는 실사용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의 그룹 내 역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룹 내 역할 정보를 확인한 결과,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이 실사용 기기인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는 실사용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정보를 제 1 가전 기기(1000)에 제공함으로써, 실사용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 S1104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그룹 모드와 관련된 기능에 대응하는 그룹 기능 버튼 또는 그룹 기능 GUI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룹 기능 버튼 또는 그룹 기능 GUI는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버튼 또는 제어 GUI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기능 버튼 또는 그룹 기능 GUI를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은,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을 종료하는 입력,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을 일시 중지하는 입력,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입력, 제 2 가전 기기(2000)의 특정 동작을 시작하게 하는 입력,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을 초기화하는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105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하는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제 2 가전 기기(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D2D 통신 채널(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채널, BLE 통신 채널, WFD 통신 채널, Zigbee 통신 채널, Z-wave 통신 채널 등)을 통해서 제어 명령을 제 2 가전 기기(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106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동작을 종료하거나, 동작을 일시 중지하거나, 동작 모드를 변경하거나, 특정 동작을 시작하거나, 동작을 초기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107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전 기기(2000)는 동작 수행 결과를 제 1 가전 기기(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D2D 통신 채널(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채널, BLE 통신 채널, WFD 통신 채널, Zigbee 통신 채널, Z-wave 통신 채널 등)을 통해서 동작 수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108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수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디스플레이부에 동작 수행 결과를 표시할 수도 있고, 스피커를 통해 동작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가전 기기(2000)가 사용자가 자주 머물지 않는 공간에 위치하더라도 사용자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 그룹화된 제 1 가전 기기(1000)를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사용자는 제 2 가전 기기(200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예컨대, 스마트폰)을 항상 소지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와이파이 공유기(AP)를 통한 외부망 연결없이, 보조 기기로 지정된 제 1 가전 기기(100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실사용 기기로 지정된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상황에 따른 통신 지연에 민감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하는 동작에 대해서 더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는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공기청정기(1000-1)이고,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는 제 2 가전 기기(2000)가 세탁기(2000-1)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의 1200-1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000-1)는 사용자로부터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000-1)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0)에 포함된 그룹 버튼(1001)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공기청정기(1000-1)는, 그룹 모드를 활성화하고, 그룹 모드와 관련된 기능에 대응하는 그룹 기능 버튼들(1020)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룹 기능 버튼들(1020)은 실사용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기능 버튼들(1020)은 메뉴 버튼(1021), 이전 버튼(1022), 선택 버튼(1023), 다음 버튼(1024), 일시중지 버튼(1025)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메뉴 버튼(1021)을 선택하는 경우, 공기청정기(1000-1)는 디스플레이부(1310)에 세탁 코스 목록(예컨대, 표준세탁, 초강력세탁, 초절약세탁, 삶은 세탁, 울/란제리, 아기옷, 쾌속세탁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310)가 크지 않으므로, 공기청정기(1000-1)는, 세탁 코스 목록을 한 화면에 표시하지 않고, 이전 버튼(1022) 또는 다음 버튼(1024)을 선택하는 입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세탁 코스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000-1)는 처음에는 디스플레이부(1310)에 표준세탁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다음 버튼(1024)을 누르면, 디스플레이부(1310)에 표준세탁 대신에 초강력세탁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또 다시 다음 버튼(1024)을 누르면, 디스플레이부(1310)에 초강력세탁 대신에 초절약세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메뉴 버튼(1021)을 소정 시간(예컨대, 3초)보다 길게 누르는 경우, 공기청정기(1000-1)는 디스플레이부(1310)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세탁 코스(예컨대, 표준세탁)에 대응하는 옵션기능목록(예컨대, 세탁 온도, 헹굼횟수, 탈수세기, 건조정도 등) 또는 부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서브 메뉴들(예컨대, 버블불림, 세탁물추가, 세제투입량, 유연제투입량, 드럼라이트, 예약, 어린이보호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이전 버튼(1022) 또는 다음 버튼(1024)을 이용하여 세탁기(2000-1)의 옵션 또는 부가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310)에 '표준세탁'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선택 버튼(1023)을 누르는 경우, 공기청정기(1000-1)는 표준세탁 코스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세탁기(200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2의 1200-2를 참조하면, 세탁기(2000-1)는 공기청정기(1000-1)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표준세탁 코스로 동작하면서, 동작 정보(예컨대, 세탁 코스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동작 완료시까지 남은 시간 정보 등)를 공기청정기(1000-1)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공기청정기(1000-1)는 세탁기(2000-1)의 동작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000-1)는 세탁 코스 정보(표준세탁), 동작 상태 정보(예컨대, 세탁 중), 동작 완료시까지 남은 시간 정보(예컨대, 1시간 06분) 등을 디스플레이부(131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일시정지 버튼(1025)을 선택하는 경우, 공기청정기(1000-1)는 세탁기(2000-1)의 동작을 일시정지하라는 제어 명령을 세탁기(200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세탁기(2000-1)는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을 일시정지하고, 일시정지 상태라는 정보를 공기청정기(1000-1)에 전송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0-1)는 디스플레이부(1310)에 세탁기(2000-1)가 일시정지 상태라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세탁기(2000-1)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공기청정기(1000-1)를 이용하여 손쉽게 세탁기(2000-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공기청정기(1000-1)와 실사용 기기기로 동작하는 세탁기(2000-1)의 역할을 간단한 조작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보조 기기와 실사용 기기의 역할이 변경되는 동작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a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가 역할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1311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그룹 버튼을 누르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D2D 통신 채널(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312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의 그룹 내 역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룹 내 역할 정보를 확인한 결과,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이 보조 기기인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수신되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 S1313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전 기기(2000)는 실사용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의 그룹 내 역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룹 내 역할 정보를 확인한 결과,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이 실사용 기기인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는 실사용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정보를 제 1 가전 기기(1000)에 제공함으로써, 실사용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 S1314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역할 변경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역할 변경 입력은 제 1 가전 기기(10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특정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일 수도 있고, 역할 변경을 명령하는 음성 입력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315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역할 변경에 관한 정보를 제 2 가전 기기(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D2D 통신 채널(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로 역할 변경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역할 변경에 관한 정보는,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이 서로 변경된다는 정보로서, 제 1 가전 기기(1000)의 변경된 역할에 관한 정보, 및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변경된 역할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316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역할 변경 입력 따라, 보조 기기 대신에 실사용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을 중지하고, 제 1 가전 기기(1000)의 동작 정보를 제 2 가전 기기(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317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로부터 수신된 역할 변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사용 기기 대신에 제 1 가전 기기(1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로부터 수신되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동작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1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가 역할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1321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는 그룹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 S1322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 S1323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전 기기(2000)는 실사용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 S1321 내지 단계 S1323은 도 13a의 단계 S1311 내지 S1313에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1324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전 기기(2000)는 역할 변경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역할 변경 입력은 제 2 가전 기기(20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특정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일 수도 있고, 역할 변경을 명령하는 음성 입력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325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전 기기(2000)는 역할 변경에 관한 정보를 제 1 가전 기기(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D2D 통신 채널(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 1 가전 기기(1000)로 역할 변경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역할 변경에 관한 정보는,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이 서로 변경된다는 정보로서, 제 1 가전 기기(1000)의 변경된 역할에 관한 정보, 및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변경된 역할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326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수신된 역할 변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조 기기 대신에 실사용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을 중지하고, 제 1 가전 기기(1000)의 동작 정보를 제 2 가전 기기(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327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전 기기(2000)는 역할 변경 입력 따라, 실사용 기기 대신에 제 1 가전 기기(1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는, 제 1 가전 기기(1000)로부터 수신되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동작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1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가 역할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에서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공기청정기(1000-1)이고, 제 2 가전 기기(2000)가 세탁기(2000-1)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a를 참조하면, 세탁기(2000-1)와 공기청정기(1000-1)는 그룹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세탁기(2000-1)는 세탁기(2000-1)의 역할 정보에 기초하여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고, 공기청정기(1000-1)는 공기청정기(1000-1)의 역할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기(2000-1)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2000-1)는 실사용 기기로 동작 중이므로, 세탁기(2000-1)의 디스플레이부(2510)에 실사용 기기임을 나타내는 텍스트("TARGET")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1000-1)는 세탁기(2000-1)의 보조 기기로 동작 중이므로, 공기청정기(1000-1)의 디스플레이부(1310)에는 세탁기(2000-1)의 동작 정보(예컨대, 세탁>헹굼>탈수, 56)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공기청정기(1000-1)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0)에 포함된 역할 변경 버튼(1004)을 선택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0-1)는 역할 변경 버튼(1004)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세탁기(2000-1)로 역할 변경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000-1)는, 세탁기(2000-1)의 변경된 역할에 관한 정보를 세탁기(200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세탁기(2000-1)는 공기청정기(1000-1)로부터 수신된 역할 변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청정기(1000-1)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2000-1)는 세탁기(2000-1)의 동작 정보를 공기청정기(1000-1)로 전송하는 동작을 중지하고, 공기청정기(1000-1)로부터 공기청정기(1000-1)의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기(2000-1)는, 공기청정기(1000-1)의 동작 정보(예컨대, PM 1.0, 10)를 디스플레이부(251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공기청정기(1000-1)는 역할 변경 버튼(1004)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실사용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000-1)는 디스플레이부(1310)에 실사용 기기임을 나타내는 텍스트("TARGET")를 표시하고, 세탁기(2000-1)로 공기청정기(1000-1)의 동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서는 사용자가 공기청정기(1000-1)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0)에 포함된 역할 변경 버튼(1004)을 선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세탁기(2000-1)에 배치된 역할 변경 버튼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제 1 가전 기기(1000)와 복수의 실사용 기기(2000-1, 2000-2, 2000-3)를 그룹화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그룹화 시스템(100-1)은 하나의 보조 기기와 복수의 실사용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보조 기기는, 메쉬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실사용 기기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기기가 P2P GO(소프트 AP)로 동작하는 경우, 보조 기기는 복수의 실사용 기기와 WFD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세탁기(2000-1), 건조기(2000-2), 인덕션(2000-3)은 실사용 기기로 동작할 수 있고, 공기청정기(1000-1)는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세탁기(2000-1), 건조기(2000-2), 인덕션(2000-3)은 각각의 동작 정보를 공기청정기(1000-1)로 전송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0-1)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세탁기(2000-1)의 동작 정보, 건조기(2000-2)의 동작 정보, 인덕션(2000-3)의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0-1)는, 복수의 실사용 기기(2000-1, 2000-2, 2000-3)에 대응하는 GUI들을 디스플레이부(13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000-1)는, 공기청정기(1000-1)의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GUI(1501), 세탁기(2000-1)의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GUI(1502), 건조기(2000-2)의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GUI(1503), 및 인덕션(2000-3)의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GUI(1504)를 소정 시간(예컨대, 30초) 간격으로 디스플레이부(13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세탁기(2000-1), 건조기(2000-2), 인덕션(2000-3)이 각각 위치하는 공간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공기청정기(1000-1)를 통해서, 세탁기(2000-1), 건조기(2000-2), 인덕션(2000-3)의 동작 상태를 함께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공기청정기(1000-1)를 이용하여 세탁기(2000-1), 건조기(2000-2), 및 인덕션(2000-3)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 복수의 보조 기기(1000-1, 1000-2, 1000-3)를 그룹화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그룹화 시스템(100-2)은 하나의 실사용 기기와 복수의 보조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실사용 기기는, 메쉬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보조 기기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사용 기기가 P2P GO(소프트 AP)로 동작하는 경우, 실사용 기기는 복수의 보조 기기와 WFD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세탁기(2000-1)는 실사용 기기로 동작할 수 있고, 공기청정기(1000-1), 공기조화기(1000-2), 비데(1000-3)는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세탁기(2000-1)는 동작 정보를 공기청정기(1000-1), 공기조화기(1000-2), 비데(1000-3)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공기청정기(1000-1)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세탁기(2000-1)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세탁기(2000-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0-2)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세탁기(2000-1)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세탁기(2000-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비데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세탁기(2000-1)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세탁기(2000-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주변에 위치하는 다양한 보조 기기들(공기청정기(1000-1), 공기조화기(1000-2), 비데(1000-3))을 통해서 세탁기(2000-1)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공기청정기(1000-1), 공기조화기(1000-2), 및 비데(1000-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세탁기(2000-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청소 로봇(1000-4)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청소 로봇(1000-4)을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세탁기(2000-1)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청소 로봇(1000-4)과 세탁기(2000-1)는 그룹화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청소 로봇(1000-4)은 사용자의 호출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예를 들어, 사용자 주변)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파에 앉아서 모바일 단말(4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청소 로봇(1000-4)을 소파 근처로 호출할 수 있다(단계 S1701). 이 경우, 청소 로봇(1000-4)은 소파 근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청소 로봇(1000-4)은 그룹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세탁기(2000-1)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 로봇(1000-4)은 세탁기(2000-1)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동작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세탁기(2000-1)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단계 S1702). 예를 들어, 청소 로봇(1000-1)은 세탁기(2000-1)로부터 탈수를 시작한다는 동작 정보가 수신된 경우, "탈수를 진행합니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사용 기기인 세탁기(2000-1)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세탁기(2000-1)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도, 청소 로봇(1000-4)을 호출하여 세탁기(2000-1)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세탁기(2000-1)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3000)가 가전 기기들의 그룹을 추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1810에서, 서버 장치(3000)는 기 정의된 그룹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기 정의된 그룹화 정보는 기 정의된 그룹들에 관한 정보로서, 기 정의된 그룹들이 포함하는 가전 기기들에 관한 정보, 기 정의된 그룹들이 이용되는 횟수에 관한 정보, 그룹들을 정의한 사용자에 관한 정보(예컨대,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성별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820에서, 서버 장치(3000)는 그룹화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그룹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 장치(3000)는, 복수의 가전 기기를 매칭하여, 추천 그룹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의 1900-1을 참조하면, 서버 장치(3000)는 청소 로봇과 공기조화기를 매칭한 제 1 추천 그룹(1911), 인덕션과 청소 로봇을 매칭한 제 2 추천 그룹(1912), 건조기와 인덕션을 매칭한 제 3 추천 그룹(1913)을 포함하는 추천 그룹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 장치(3000)는, 사용자의 활용도를 고려하여, 추천 그룹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3000)는 사용자의 가전 기기 사용 횟수 정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4000)로부터 수집한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예컨대, 댁내에서 사용자가 주로 머무는 시간 정보, 댁내에서 사용자가 주로 머무는 공간 정보 등), 다른 사용자들이 선택한 그룹에 관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추천 그룹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주방에 위치하는 가전 기기들을 이용하는 횟수가 많은 경우, 서버 장치(3000)는, 주방에 위치하는 가전 기기와 사용자가 자주 가지 않는 공간에 위치하는 가전 기기를 매칭하여, 추천 그룹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3000)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40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거실에 주로 머무는 경우, 서버 장치(3000)는 거실에 위치하는 공기청정기와 사용자가 자주 가지 않는 베란다에 위치하는 건조기를 매칭하여 추천 그룹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사용자들이 에어컨과 청소 로봇을 매칭한 그룹을 많이 이용하는 경우, 서버 장치(3000), 에어컨과 청소 로봇을 포함하는 그룹을 추천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 장치(3000)는 인공 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추천 그룹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인공 지능 모델은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그룹을 학습하여 생성되거나 갱신(refine)될 수 있다. 인공 지능 모델은 서버 장치(3000)의 메모리에 저장되며, 계속 갱신될 수 있다.
단계 S1830에서, 서버 장치(3000)는 추천 그룹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50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500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서버 장치(3000)는 추천 그룹 목록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5000)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0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가전 기기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단계 S184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5000)는 추천 그룹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5000)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추천 그룹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9의 1900-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5000)는 청소 로봇이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고 공기조화기가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제 1 추천 그룹(1911), 인덕션이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고 청소 로봇이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제 2 추천 그룹(1912), 건조기가 실사용 기기로 동작하고 인덕션이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제 3 추천 그룹(1913)을 추천 그룹 화면(1910)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185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5000)는 추천 그룹 목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천 그룹을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의 1900-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5000)는 추천 그룹 화면(1910)에서 제 3 추천 그룹(1913)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9의 1900-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5000)는, 사용자가 추천 그룹 화면(1910)에서 선택한 제 3 추천 그룹(1913)을 그룹 목록 화면(19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5000)는, 그룹 목록 화면(1923)의 마지막 필드에 제 3 추천 그룹(1913)에 대응하는 제 3 그룹(1923)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그룹 목록 화면(1920)은 사용자에 의해 보조 기기와 실사용 기기로 매칭된 그룹들의 목록을 제공하는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목록 화면(1920)에는 세탁기와 공기청정기를 매칭한 제 1 그룹(1921), 청소 로봇과 공기청정기를 매칭한 제 2 그룹(1922), 건조기와 인덕션을 매칭한 제 3 그룹(1923)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18로 돌아오면, 단계 S186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5000)는 선택된 추천 그룹에 관한 정보를 서버 장치(30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3000)는, 디스플레이 장치(50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그룹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870에서, 서버 장치(3000)는 선택된 추천 그룹에 포함된 가전 기기들 간의 통신 연결을 중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의 1900-1을 참조하면, 서버 장치(3000)는 제 3 추천 그룹(1913)에 포함된 가전 기기들 중에서 보조 기기로 동작하는 인덕션으로 건조기에 관한 정보(예컨대, 건조기의 식별 정보, 건조기의 통신 연결 정보, 건조기의 역할 정보 등)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인덕션은, 건조기의 통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건조기로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으며, 건조기가 요청에 응답하는 경우 인덕션과 건조기는 통신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서버 장치(3000)는 인덕션의 역할 정보(예컨대, 보조 기기) 및 건조기의 역할 정보(예컨대, 실사용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인덕션 및 건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인덕션과 건조기의 그룹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인덕션은 건조기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서버 장치(3000)로부터 유용한 그룹을 추천 받을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추천된 그룹에 포함된 가전 기기들 간의 그룹화를 쉽게 진행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300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 장치(3000)는 통신 인터페이스(3010), 프로세서(3020) 및 메모리(30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0에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20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서버 장치(3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서버 장치(3000)는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 인터페이스(3010)는, 서버 장치(3000)와 가전 기기들 또는 서버 장치(3000)와 모바일 단말(4000) 또는 서버 장치(3000)와 디스플레이 장치(5000)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010)는 가전 기기들로부터 가전 기기들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3010)는 가전 기기들의 동작 정보, 가전 기기들의 식별 정보, 가전 기기들의 통신 연결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010)는 가전 기기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3010)는 가전 기기들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고, 다른 가전 기기의 통신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020)는, 메모리(30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 장치(3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20)는 통신 인터페이스(3010) 및 메모리(30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20)는 통신 인터페이스(3010)를 통해서 가전 기기들로부터 소정 주기로 동작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가전 기기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프로세서(3020)는 원격으로 가전 기기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어 조건을 서버 장치(3000)에 등록한 경우, 프로세서(3020)는 제어 조건이 충족되면 해당 가전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20)는 가전 기기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도 있고, 가전 기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020)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그룹화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020)는,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그룹화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로 제 2 가전 기기(2000)에 관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을 중계할 수 있다. 제 2 가전 기기(2000)에 관한 정보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식별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전 기기(2000)가 와이파이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는, 타임스탬프(timestamp), 식별 정보(예컨대, SSID, BSSID, MAC address), 채널 정보, 기능 정보(예컨대, Tethering capability),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가전 기기(2000)가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는, 블루투스 어드레스(BT Address), 기기명(Product Name), 프로파일(Profile)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3020)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020)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 정보(예컨대, 보조 기기), 및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예컨대, 실사용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가전 기기(1000) 및 제 2 가전 기기(20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가 그룹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메모리(3030)는, 프로세서(3020)의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030)는 추천 모델(3031), 가전 기기 목록(3032), 그룹 목록(3033)을 저장할 수 있다.
추천 모델(3031)은 추천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다. 추천 모델(3031)은 복수의 가전 기기를 매칭하여, 추천 그룹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추천 모델(3031)은 사용자의 활용도를 고려하여, 추천 그룹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모델(3031)은 사용자의 가전 기기 사용 횟수 정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4000)로부터 수집한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예컨대, 사용자가 주로 머무는 공간 정보), 다른 사용자들이 선택한 그룹에 관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추천 그룹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가전 기기 목록(3032)은, 서버 장치(3000)에 등록된 가전 기기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 목록(3032)은, 가전 기기들의 식별 정보, 가전 기기들의 계정 정보, 가전 기기들의 위치 정보, 가전 기기들의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 장치(3000)에 신규 가전 기기가 등록되는 경우, 가전 기기 목록(3032)은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룹 목록(3033)은, 사용자에 의해 그룹화가 완료된 가전 기기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룹 목록(3033)은 각 그룹에 포함된 가전 기기들의 정보(식별 정보, 종류 등), 각 그룹에 포함된 가전 기기들의 역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 기기로 지정된 제 1 가전 기기(1000)와 실사용 기기로 지정된 제 2 가전 기기(2000)의 그룹화가 완료되는 경우,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매칭한 그룹에 관한 정보가 그룹 목록(3033)에 추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개시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omputer program product)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사용 기기와 보조 기기를 그룹화하고, 보조 기기가 실사용 기기의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한 위치에서 보조 기기를 통해 실사용 기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와이파이 공유기(AP)를 통한 외부망 연결없이, 보조 기기로 지정된 제 1 가전 기기(100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실사용 기기로 지정된 제 2 가전 기기(2000)의 정보를 출력하거나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하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전 기기(2000)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제 1 가전 기기(10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200); 제 2 가전 기기(2000)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40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그룹화하는 그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하기 위한 그룹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 연결되기 위한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해, 실사용 기기로 지정된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그룹 모드에서,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정보는, 제 1 가전 기기(1000)가 보조 기기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역할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가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 및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서버 장치(3000)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1200)를 통해서 그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200)를 제어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에 통신 연결되었던 모바일 단말(50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모바일 단말(50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그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00)는,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의 식별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가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 및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 대응하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GUI를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본연의 기능에 대응하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GUI와 제 2 가전 기기(2000)의 GUI를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교대로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제 2 가전 기기(2000)가 복수의 가전 기기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GUI들을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제 2 가전 기기(2000)를 제어하는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가전 기기(20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1 가전 기기(1000)의 동작을 보조 기기로의 동작에서 실사용 기기로의 동작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그룹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통신 연결은 유지한 채 보조 기기로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는, 그룹화 해제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전 기기(1000)가 제 2 가전 기기(2000)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은,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제 2 가전 기기를(2000) 실사용 기기로 지정함으로써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를 그룹화하는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10);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의 보조 기기로 동작하기 위한 그룹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S220); 제 2 가전 기기(2000)에 연결되기 위한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해, 실사용 기기로 지정된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30); 및 그룹 모드에서,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제 2 가전 기기(2000)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서버 장치(3000)로부터,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 통신 연결되었던 모바일 단말(50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50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 1 가전 기기(100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 1 가전 기기(1000)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가전 기기(20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의 식별 정보, 제 2 가전 기기(2000)가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 정보, 및 제 2 가전 기기(2000)의 통신 연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하는 단계는, 제 2 가전 기기(2000)에 대응하는 제 2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가전 기기(2000)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 1 가전 기기(1000)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제 2 가전 기기(2000)의 GUI를 통해서 제 2 가전 기기(20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 1 가전 기기(1000)와 제 2 가전 기기(2000)의 역할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1 가전 기기(1000)의 동작을 보조 기기로의 동작에서 실사용 기기로의 동작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그룹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2 가전 기기(2000)와의 통신 연결은 유지한 채 보조 기기로의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개시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제 2 가전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제 1 가전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전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제 2 가전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 1 가전 기기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상기 제 2 가전 기기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함으로써 상기 제 1 가전 기기와 상기 제 2 가전 기기를 그룹화하는 그룹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보조 기기로 동작하기 위한 그룹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 2 가전 기기에 연결되기 위한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통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실사용 기기로 지정된 상기 제 2 가전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그룹 모드에서,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제 1 가전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정보는,
    상기 제 1 가전 기기가 보조 기기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 1 가전 기기의 역할 정보, 상기 제 2 가전 기기가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역할 정보, 및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통신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가전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가전 기기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상기 제 2 가전 기기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제 1 가전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가전 기기에 통신 연결되었던 모바일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제 1 가전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가전 기기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가전 기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 상기 제 2 가전 기기가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역할 정보, 및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통신 연결 정보를 획득하는, 제 1 가전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GUI를 통해서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제 1 가전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가전 기기의 본연의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가전 기기의 GUI와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GUI를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교대로 표시하는, 제 1 가전 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가전 기기가 복수의 가전 기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GUI들을 상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제 1 가전 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제 2 가전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 1 가전 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가전 기기와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역할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가전 기기의 동작을 보조 기기로의 동작에서 실사용 기기로의 동작으로 전환하는, 제 1 가전 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그룹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2 가전 기기와의 통신 연결은 유지한 채 보조 기기로의 동작을 종료하는, 제 1 가전 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그룹화 해제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2 가전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제 1 가전 기기.
  13. 제 1 가전 기기가 제 2 가전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전 기기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상기 제 2 가전 기기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함으로써 상기 제 1 가전 기기와 상기 제 2 가전 기기를 그룹화하는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보조 기기로 동작하기 위한 그룹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제 2 가전 기기에 연결되기 위한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통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실사용 기기로 지정된 상기 제 2 가전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모드에서,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정보는,
    상기 제 1 가전 기기가 보조 기기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 1 가전 기기의 역할 정보, 상기 제 2 가전 기기가 실사용 기기로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역할 정보, 및 상기 제 2 가전 기기의 통신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가전 기기를 보조 기기로 지정하고, 상기 제 2 가전 기기를 실사용 기기로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그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PCT/KR2022/011146 2021-08-13 2022-07-28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정보 출력 방법 WO202301807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397,819 US20240129155A1 (en) 2021-08-13 2023-12-27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623A KR20230025278A (ko) 2021-08-13 2021-08-13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정보 출력 방법
KR10-2021-0107623 2021-08-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397,819 Continuation US20240129155A1 (en) 2021-08-13 2023-12-27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home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8075A1 true WO2023018075A1 (ko) 2023-02-16

Family

ID=8520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1146 WO2023018075A1 (ko) 2021-08-13 2022-07-28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정보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29155A1 (ko)
KR (1) KR20230025278A (ko)
WO (1) WO202301807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628A (ko) * 2003-05-30 2005-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구성장치
KR20150092873A (ko) * 2014-02-06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KR101563223B1 (ko) * 2014-05-30 2015-10-26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의 조합을 통해 보안성과 프라이버시를 강화한 스마트 가전 자원 기반의 하이브리드 홈 클라우드 시스템
CN108401013A (zh) * 2018-01-23 2018-08-14 沈阳工程学院 一种智能家居物联网通讯装置
KR20190059419A (ko)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628A (ko) * 2003-05-30 2005-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구성장치
KR20150092873A (ko) * 2014-02-06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KR101563223B1 (ko) * 2014-05-30 2015-10-26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의 조합을 통해 보안성과 프라이버시를 강화한 스마트 가전 자원 기반의 하이브리드 홈 클라우드 시스템
KR20190059419A (ko)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08401013A (zh) * 2018-01-23 2018-08-14 沈阳工程学院 一种智能家居物联网通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278A (ko) 2023-02-21
US20240129155A1 (en)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2002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oriented input and output
WO2019168383A1 (en) Electronic device
WO2019168380A1 (en) Electronic device
WO2015034278A1 (en)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home appliance
WO2017010760A1 (en) Hub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WO2020045950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of selectively using multiple voice data receiving devices for intelligent service
WO2013015655A2 (en) Laundry machin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13015656A2 (en) Laundry machin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15088141A1 (en) Smart home appliances, operating method of thereof, and voice recognition system using the smart home appliances
WO201610866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ome device
WO2016111556A1 (en) Method of wirelessly connecting devices, and device thereof
WO2014098441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rrounding devices, based on topology
WO2015037963A1 (en) Home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WO2012036475A2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기기 제어 시스템
WO2015102471A1 (ko) 제어 장치
WO2015102470A1 (ko) 제어 장치
WO20130623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WO2012093897A2 (ko) 세탁처리장치 및 원격 제어기
WO2017142266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6013705A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8048098A1 (en) Portable camer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EP4055842A1 (en) Mobi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243359A1 (en) Method of wirelessly connecting devices, and device thereof
WO2016143993A1 (en) A light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22075758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560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