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270A - 케이블 실링 화합물용 반응성 수지 - Google Patents

케이블 실링 화합물용 반응성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270A
KR20140031270A KR1020137030755A KR20137030755A KR20140031270A KR 20140031270 A KR20140031270 A KR 20140031270A KR 1020137030755 A KR1020137030755 A KR 1020137030755A KR 20137030755 A KR20137030755 A KR 20137030755A KR 20140031270 A KR20140031270 A KR 20140031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weight
acrylated
compon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비네 쾨멜트
게롤트 슈미트
토르벤 쉬츠
마르티나 에베르트
볼케르 헤르초크
요아힘 크네벨
마리오 고메츠 안드레우
Original Assignee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31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7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cry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6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 C08F222/1063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of alcohol terminated polyet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Polyether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케이블 실링 화합물을 위한, 조정가능한 가사 시간을 갖는, 특히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이성분 시스템 형태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실링 화합물용 반응성 수지 {REACTIVE RESINS FOR CABLE SEALING COMPOUNDS}
본 발명에는 특별히 케이블 포팅(potting) 화합물을 위한, 조정가능한 가사 시간(pot life)을 갖는, 특히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이성분 시스템 형태의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현재 시판용 케이블 포팅 화합물은 이성분 폴리우레탄 수지 (PUR 수지) 또는 에폭시드 시스템을 기재로 한다.
사용되는 PUR 시스템의 두드러진 단점은 경화제 성분으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소시아네이트, 특히 MDI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발암 물질로 의심된다.
EP1070730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통해 가교가 초래된 메타크릴레이트-기재의 케이블 포팅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WO 2011/012918에는 가교제 성분으로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팅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의 단점은 높은 증기압을 갖는 단량체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다루는 문제는 실온에서 경화하며 단순한 방식으로 그의 경화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사 시간은 넓은 범위에서 조정가능하여도 조성물은 예를 들면 100분 내, 바람직하게는 50분 미만 내에 에너지의 공급 없이 규정된 시간에서 신속하게 완전히 경화되어야 한다.
또한, 경화 수지의 기계적 특성을 요구되는 사용 조건으로 조절할 수 있고 간단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수지 성분을 변화시킴으로써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달성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경화 동안 수축, 및 또한 사용되는 구성성분으로부터 생성되는 불쾌한 악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폴리우레탄 시스템이 포팅 화합물로서 사용될 경우, 금형 쉘과 포팅 화합물 간의 접착력이 높아져 금형 쉘이 포팅 화합물 주위에서 라이닝 구성성분으로서 제자리에 계속 잔류한다 (즉, 더 이상 제거될 수 없다)는 단점을 피하는 것이었다. 쉘이 금형으로서 다시 사용될 수 있도록, 쉘과 접착 결합을 하더라도 단지 약간의 접착 결합을 하고 과량의 열의 발생 없이 신속하게 경화하는 조성물이 제공되어야 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을 피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명백하게 언급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원에서 도입부를 통해 논의된 관련사항으로부터 즉시 추론가능하거나 또는 식별가능한 추가의 목적이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모든 특징을 갖는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절한 변형, 예를 들면 이성분 시스템으로서의 조성물의 구성 또는 조성물의 용도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을 인용하는 종속항에서 보호된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공정의 가공성, 예를 들면 가사 시간의 악화 없이 시아네이트의 사용이 불필요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은 특히 케이블 포팅 화합물로서 사용되는 경우 특히 낮은 물 흡수성에 주목할 만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사용되는 성분의 높은 분자량이 조성물의 낮은 증기압을 유발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이성분 시스템은 가공 동안 단량체의 비교적 높은 증기압의 결과로서 노출이 증가되기 때문에 자극물로 분류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중합 후 본 발명의 혼합물이, 시중의 메타크릴레이트 시스템보다 낮은 수축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사용되는 개시제 및 활성화제의 양을 통해 가사 시간은 넓은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주위 온도 및 개별 성분의 안정화에 따라, 가사 시간은 개시제 및/또는 활성화제의 양을 통해 최적화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히 부록에 기재되어 있는 중합 시간 측정 (PT 측정)은 적은 수의 일련의 시험에 의해 그의 최종 용도에 따른, 혼합된 성분의 가공 시간 (가사 시간) 및 경화 속도에 대한 최적치를 찾을 수 있는 간단한 스크리닝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합물의 중합 동안의 온도 발생 및 최대 온도를 예측 및 제어할 수 있다. 예비 시험 중 PT 측정에서 결정되는 값은 사용 조건 하에서의 해당 조성물의 혼합물의 경화 파라미터와 확실히 상관관계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는 적합한 (메트)아크릴산 화합물을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와 반응시켜 제조된다. 이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에 의한 이들 화합물의 산-촉매 에스테르화에 의해 또는 에스테르교환에 의해 완수될 수 있다. 폴리올의 (메트)아크릴레이트에 의한 에스테르교환을 위해, 당업자에 공지된 에스테르교환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시스템은 DE 3423443, EP 1924547, EP2162423, EP2294048 및 DE1020100009485에 기재된 것들이다.
본원에서 표기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 및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등 및 이 둘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전형적으로 에폭시드, 예컨대 에틸렌 옥시드 (EO), 프로필렌 옥시드 (PO), 부틸렌 옥시드, 스티렌 옥시드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을 그들끼리 중합시키거나 또는 이들 에폭시드를 반응성 수소 원자를 갖는 출발 성분, 예컨대 물, 알콜, 암모니아 또는 아민으로 임의로는 혼합물로 또는 연속적으로 첨가시켜 중합한 생성물이다. 이러한 출발 분자는 일반적으로 1 내지 8개의 관능기를 갖는다. 이러한 출발 화합물의 예에는 이- 내지 팔-관능성 히드록실 화합물, 예컨대 다가 알콜, 특별히 디올,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4-부틸렌 글리콜 및 1,6-헥사메틸렌 글리콜, 트리올, 예컨대 글리세롤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올, 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헥사올, 예컨대 소르비톨, 및 옥타올, 예컨대 수크로스가 있다. 공정 체제에 따라, 이러한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단일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또는 랜덤하게 분포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통상적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2개 이상 및 6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4개의 카르복실기 및 총 4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즉, 예를 들면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숙신산, 프탈산 등으로부터 전적으로 또는 주로 형성되며, 물 또는 저분자량, 보통 일관능성 알콜을 제거하여 180℃ 이상의 온도에서 제조되는 것들이다. 여기서 전형적인 촉매는 예를 들면 주석 화합물 또는 티타늄 화합물이다. 폴리우레탄을 위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제조 공정 및 특성은 예를 들면 많은 특허 및 문헌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예에는 문헌[Kunststoffhandbuch [Polymer Handbook], volume VII, Polyurethane, Carl-Hanser-Verlag, Munich, 1st edition 1966, edited by Dr R. Vieweg and Dr A. Hoechtlen, and 2nd edition 1983 and 3rd edition 1993, edited by Dr G. Oertel]이 포함된다.
사용되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는 천연 히드록시-관능성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반합성(semisynthetic)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일 수 있다.
천연 원료의 예에는 피마자유, 레스퀘렐라유,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리시놀레산, 히드록실기로 개질된 오일, 예컨대 포도씨유, 블랙쿠민유(black cumin oil), 호박씨유, 지치씨유, 콩기름, 밀 배아유, 평지씨유, 해바라기유, 낙화생유, 행인유, 피스타치오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마카다미아 너트유, 아보카도유, 샐로우 쏜 오일(sallow thorn oil), 참기름, 대마유, 헤이즐넛유, 월견초유, 들장미유, 홍화유, 호두유, 및 히드록실기로 개질되고 미리스트올레산, 팔미트올레산, 올레산, 박센산, 페트로셀산, 가돌레산, 에루크산, 네르본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스테아리돈산, 아라키돈산, 팀노돈산, 클루파노돈산, 세르본산을 기재로 하는 지방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이 있다.
세계의 많은 지역, 예를 들면 인도, 브라질 및 중국에서 대량으로 재배되는 피마자유 식물의 종자에 존재하는 피마자유가 특히 바람직하다. 피마자유는 리시놀레산이라 지칭되는, 1개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C18 지방산으로 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종자유 중 독특하다.
천연 피마자유는 약 2.7 OH기/mol의 관능가를 갖고, 160 mg KOH/g 이상의 OH가를 갖는다. 천연 피마자유의 산 함유량은 최대 2 mg KOH/g이다. 피마자유의 평균 몰 질량은 800 g/mol 초과의 범위, 특별히 800 내지 2000 g/mol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820 내지 1500 g/mol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850 내지 1200 g/mol의 범위이다. 피마자유는 예컨대 리시놀레산, 올레산, 리놀레산, 스테아르산 또는 디히드록시스테아르산과 같은 지방산의 글리세리드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피마자유의 기원에 따라, 후속 (메트)아크릴화를 위해 부분 수소화 피마자유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8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의 리시놀레산 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피마자유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불포화 트리글리세리드의 에폭시화 및 후속 가수분해에 의해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를 얻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포팅 화합물의 기계적 특성은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올의 개별 화합물을 사용하여 또는 상기에 기재한 여러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올의 적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높은 분자량 및 낮은 히드록실가를 갖는 폴리올은 분지 지점 사이의 긴 분자 구역의 결과로서 비교적 낮은 가교 밀도가 유발되며, 궁극적으로 생성되는 포팅 화합물은 보다 연성이다. 비교적 낮은 몰 질량 및 높은 히드록실가를 갖는 폴리올은 보다 높은 가교 밀도 및 각각의 분지 지점 사이의 보다 짧은 분자 길이의 결과로서 보다 경질의 포팅 화합물을 초래한다. 포팅 화합물의 요건 (경도, 원하는 경화 속도)에 따라, 포팅 화합물은 임의로는 중합 시간 측정값을 참조하여 폴리올 성분의 비율 및 혼합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포팅 화합물은 몇몇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올, 바람직하게는 성분 a)의 2종 이상의 상이한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화합물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혼합물은 예를 들면, 2종의 상이한 대표적인 상이한 화합물 부류, 예를 들면 각각의 경우 1종의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폴리에스테르/히드록시-관능성 트리글리세리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같은 방식으로, 2종 이상의 구조적으로 상이한 대표적인 단일 화합물 부류를 혼합물로, 예를 들면 각각 상이한 분자량 및/또는 히드록실가를 갖는 2종 이상의 폴리에테르, 각각 상이한 분자량 및/또는 히드록실가를 갖는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각각 상이한 분자량 및/또는 히드록실가를 갖는 2종 이상의 히드록시-관능성 트리글리세리드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2종 이상의 상이한 대표적인 상이한 화합물 부류 및 2종 이상의 구조적으로 상이한 대표적인 단일 화합물 부류를 혼합물로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유리한 혼합물은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화 전에 일반적으로 230 내지 650 g/mol의 평균 몰 질량 및 220 내지 500 mg KOH/g의 평균 히드록실가,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 g/mol의 평균 몰 질량 및 300 내지 450 mg KOH/g의 평균 히드록실가, 특별히 400 내지 500 g/mol의 평균 몰 질량 및 340 내지 420 mg KOH/g의 평균 히드록실가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포함한다. 반면 제2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메트)아크릴화 전에 일반적으로 1000 내지 8000 g/mol의 평균 몰 질량 및 10 내지 180 mg KOH/g의 평균 히드록실가,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6000 g/mol의 평균 몰 질량 및 25 내지 70 mg KOH/g의 평균 히드록실가, 특별히 4000 내지 5000 g/mol의 평균 몰 질량 및 30 내지 50 mg KOH/g의 평균 히드록실가를 갖는다.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혼합물로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메트)아크릴화 전에 일반적으로 500 내지 2000 g/mol의 평균 몰 질량 및 40 내지 250 mg KOH/g의 평균 히드록실가,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500 g/mol의 평균 몰 질량 및 100 내지 220 mg KOH/g의 평균 히드록실가, 특별히 800 내지 1100 g/mol의 평균 몰 질량 및 110 내지 140 mg KOH/g의 평균 히드록실가를 갖는다.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가 혼합물의 제제에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메트)아크릴화 전에 바람직하게는 800 g/mol 초과, 특별히 800 내지 2000 g/mol, 바람직하게는 820 내지 1500 g/mol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850 내지 1200 g/mol의 범위의 평균 몰 질량을 갖고, 120 내지 250 mg KOH/g,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70 mg KOH/g, 특별히 예를 들어 160 mg KOH/g의 평균 히드록실가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피마자유이다.
조성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의 특정 특성이 달성되여야 하는 경우, 임의로는 추가의 일- 또는 다관능성 단량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단량체 a)와 공중합할 수 있는 모든 비닐계 불포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3-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3,4-디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5-디메틸-1,6-헥산디올 (메트)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 (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1,4-부탄디올 메타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톡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테르 알콜의 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타크릴레이트, 비닐옥시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부톡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1-메틸-(2-비닐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옥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메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벤질옥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푸르푸릴 메타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톡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알릴옥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에톡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20개, 특별히 2개 내지 8개의 에톡시기를 갖는 에톡실화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측쇄에 알킬 치환기를 갖는 치환된 스티렌, 예를 들면 알파-메틸스티렌 및 알파-에틸스티렌, 고리 상에 알킬 치환기를 갖는 치환된 스티렌, 예컨대 비닐톨루엔 및 p-메틸스티렌, 할로겐화 스티렌, 예를 들면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트리브로모스티렌 및 테트라브로모스티렌이 있다.
이러한 화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화합물 a)에 비해 보다 높은 증기압으로 인해 단지 소량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화합물은 조성물 중에 0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중량%의 총 양으로 존재할 수 있고, 여기서 이들 퍼센트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모든 구성성분, 즉, 화합물 a) 내지 d) 및 임의로 존재하는 추가 성분의 합은 항상 총 100 중량%가 되어야 한다.
당업계에서, 경화는 10보다 큰 쇼어 D의 치수 안정성이 달성될 때 충분하다고 간주되며, 완전 경화 후 20보다 큰 쇼어 D 경도가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 기술의 폴리우레탄 시스템으로 단지 약 30 분 후에 달성되며, 금형 쉘과 포팅 화합물 사이 접착력이 또한 높은 것으로 밝혀져, 금형 쉘이 포팅 화합물 주위에서 라이닝 구성성분으로서 계속 잔류한다 (즉, 전혀 제거되지 않는다).
그에 반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팅 화합물로서 사용될 때 쉘과 임의의 접착 결합을 전혀 하지 않으며, 신속하게 및 과도한 열의 발생 없이 경화되어 쉘이 금형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올을 기재로 하는 조성물은 약 100℃의 케이블 절연 재료의 최대 허용 열 응력보다 훨씬 낮은 30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5℃,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의 온화한 반응 온도와 동시에 20 내지 30분의 경화 시간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성물의 경화 온도는 95℃, 바람직하게는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75℃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사용되는 안정화제 또는 억제제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페놀계 또는 아민계 억제제, 바람직하게는 HQME, 템폴(Tempol) 또는 페노티아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정화제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화합물에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1 내지 1000 ppm의 양으로 첨가된다. 안정화되지 못한 화합물 또는 각 경우에 상이한 안정화제 함유량을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이한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화합물 a)의 혼합물에서 안정화제 함유량은 1 내지 1000 ppm일 수 있으며, 이 수치는 혼합물에 존재하는 화합물 a)의 총 양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개시제는 통상적인 양, 예를 들면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 특별히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개시제가 점액화된(phlegmatized) 형태라 지칭되는 희석된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효과적인 개시제의 상기한 양이 사실상 사용되도록, 초기 칭량시 그 안의 개시제의 개별 함유량 (%)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사용되는 개시제는 중합 조건 하에서 자유 라디칼로 분해되는 모든 화합물, 예를 들면 퍼옥시드, 히드로퍼옥시드, 과산화수소, 퍼술페이트, 아조 화합물, 및 산화환원 개시제로 지칭되는 것일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서, 상이한 개시제의 혼합물, 예를 들면 과산화수소와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또는 칼륨 퍼옥소디술페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과산화수소와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의 혼합물은 임의의 원하는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유기 퍼옥시드는 예를 들면 아세틸아세톤 퍼옥시드, 메틸 에틸 케톤 퍼옥시드, tert-부틸 히드로퍼옥시드, 쿠멘 히드로퍼옥시드, tert-아밀 퍼피발레이트, tert-부틸 퍼피발레이트, tert-부틸 퍼네오헥사노에이트, tert-부틸 퍼이소부티레이트, tert-부틸 퍼-2-에틸헥사노에이트, tert-부틸 퍼이소노나노에이트, tert-부틸 퍼말레에이트,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디(2-에틸헥실) 퍼옥시카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 퍼옥시카르보네이트, 디(4-tert-부틸시클로헥실)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미리스틸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아세틸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알릴 퍼에스테르, 쿠밀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ert-부틸 퍼-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아세틸시클로헥실술포닐 퍼옥시드, 디라우릴 퍼옥시드, 디벤조일 퍼옥시드 및 tert-아밀 퍼네오데카노에이트이다. 추가의 개시제는 아조 화합물, 예를 들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및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이다. 바람직한 개시제는 산화환원 개시제 시스템이다. 이들은 산화 성분으로서, 1종 이상의 상기 명시된 퍼옥소 화합물, 및 환원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아스코르브산, 글루코스, 소르보스, 암모늄 또는 알칼리 금속 히드로겐술파이트, 암모늄 또는 알칼리 금속 술파이트, 암모늄 또는 알칼리 금속 티오술페이트, 암모늄 또는 알칼리 금속 하이포술파이트, 암모늄 또는 알칼리 금속 피로술파이트, 암모늄 또는 알칼리 금속 술피드 또는 나트륨 히드록시메틸술폭실레이트를 함유한다.
신속한 경화를 위해, 산화환원 개시제 시스템에서 촉진제 (활성화제)로서의 아민 뿐만아니라 퍼옥시드, 예를 들면 디메틸- 또는 디에틸아닐린, 파라-톨루이딘 또는 에틸렌 옥시드와의 그의 부가물 (BISOMER PTE, 인터내셔널 스페셜리티 케미컬스(International Speciality Chemicals))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촉진제 성분은 전형적으로, 개시제를 함유하지 않는 포팅 화합물 성분에 첨가되거나, 또는 고체, 액체 또는 용해된 형태로 사용되기 직전에 개시제-함유 포팅 화합물 성분에 첨가된다. 이러한 퍼옥시드/아민 산화환원 시스템뿐만 아니라, 퍼옥시드/코발트 촉진제 조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중합에 사용되는 단량체의 양을 기준으로 예를 들면 1×10-5 내지 1 mol%의 산화환원 촉매의 환원 성분이 사용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성분 시스템의 형태로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성분 A는 단지 개시제만 포함하거나 또는 개시제 및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성분 A는 0.01 내지 10 중량%의 개시제 및 0 내지 90 중량%의 충전제를 포함하며, 상기 %는 두 성분 A 및 B, 즉 화합물 a) 내지 d) 및 임의의 존재하는 추가의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진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성분 A가 단지 개시제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는 성분 A의 100 중량%를 구성하지만,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를 구성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성분 B는 9.98 내지 99.98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0.01 내지 10 중량%의 활성화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한 것이며, 성분 A 및 B의 모든 구성성분, 즉, 화합물 a) 내지 d) 및 임의의 존재하는 추가의 성분의 합은 항상 총 100 중량%가 되어야 한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성분 A는 9.98 내지 99.98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0.01 내지 10 중량%의 개시제 및 임의로는 0 내지 90 중량%의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고, 성분 B는 9.98 내지 99.98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0.01 내지 10 중량%의 활성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양태와 달리, 여기서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올의 혼합물은 성분 A 및 성분 B 모두에 존재한다. 상기 %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즉, 성분 A 및 B의 모든 구성성분, 즉, 화합물 a) 내지 d) 및 임의의 존재하는 추가의 구성성분의 합 및 모든 개개의 값의 합은 항상 총 100 중량%가 되어야 한다).
본 실시양태의 특히 바람직한 변형에서, 제어 가능한 가사 시간을 갖는 이성분 시스템은 성분 A)로서, 89.90 내지 99.99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그 둘의 혼합물, 0.01 내지 10 중량%의 개시제 및 1 내지 1000 ppm의 안정화제 (여기서 성분 A의 합은 항상 총 100 중량%가 되어야 함), 및 성분 B)로서, 89.90 내지 99.99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그 둘의 혼합물, 0.01 내지 10 중량%의 활성화제 및 1 내지 1000 ppm의 안정화제 (여기서 성분 B의 합은 항상 총 100 중량%가 되어야 함) 및 0 내지 90 중량%의 충전제를 포함한다.
그러나, 성분 A 및 성분 B 모두에서 화합물 a)를 포함하는 이러한 두 실시양태는 일반적으로 장시간 저장에 비적합하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개시제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올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성분 A에 용해된다. 그러한 경우에, 성분 B는 활성화제만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양태에서, 성분 A는 9.98 내지 99.98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0.01 내지 10 중량%의 개시제 및 임의로는 0 내지 90 중량%의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고, 성분 B는 0.01 내지 10 중량%의 활성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즉, 성분 A 및 B의 모든 구성성분, 즉, 화합물 a) 내지 d) 및 임의의 존재하는 추가의 구성성분의 합 및 모든 개개의 값의 합은 항상 총 100 중량%가 되어야 함).
특정 실시양태에서, 50 내지 85%의 성분 A 및 15 내지 50%의 성분 B,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5%의 성분 A 및 25 내지 45%의 성분 B,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의 성분 A 및 30 내지 40%의 성분 B를 포함하는 이성분 시스템이 사용되며, 성분 A 및 B는 상기에 기재한 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되는 충전제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모든 광물 충전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석영 가루, 백운석, 모래, 백악, 산화물, 수산화물, 알칼리 토금속의 탄산염 및 염기성 탄산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또는 이-성분 시스템은 충전제 없이 사용되거나, 또는 달리 90 중량% 이하의 높은 충전제 함유량으로 사용될 수 있고;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중량%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한 %는 이미 혼합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공동 내 전기적 파괴에 내성인 수밀 화합물, 특별히 케이블 접속 슬리브의 전기적 케이블의 실링용 포팅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되거나 또는 전자 조립체용 포팅 화합물로서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포팅 화합물은 이성분 시스템으로서 사용된다. 포팅 화합물의 제공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a) 적합한 용기 (캔, 백, 포트 등)에 성분 A를 제공하는 단계,
b) 적합한 용기 (캔, 백, 포트 등)에 성분 B를 제공하는 단계,
c) 두 성분을 사용 전에 혼합하고, 이러한 혼합물로 충전하고자 하는 공동을 충전한 후 경화시키는 단계, 및
d) 임의로는 공동을 형성하는 공동 라이닝을 제거하는 단계.
성분 A 및 B에 사용가능한 용기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임의의 재료로 제조된 캔, 백 및 포트뿐만 아니라, 특별히 중합체 재료 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가끔 관형 백 또는 포션(portion) 백이라 지칭된다.
유리한 사용 형태에서, 성분 A 및 B의 용기는 2종의 성분을 별도의 챔버에 함유하는 중합체 재료의 단일 백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적당하게 위치한 용접 이음매(seam)를 통하여 또는 예를 들면 소형-클램프 또는 분리 클램프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2종의 성분을 분리하는 구역을 예를 들면 소형-클램프 또는 분리 클램프 등을 방출함으로써 분리 용접 이음매를 뜯어 열거나 억지로 열어 제거한 후, 예를 들면 격렬한 혼련에 의하여 백 내의 2종의 성분을 혼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충전하고자 하는 공동을 캐스팅할 수 있다.
사용되는 금형 쉘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모든 종류의 금형 쉘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
1.1. 메타크릴레이트화 주성분의 합성
사용된 폴리올:
피마자유 (로스(Roth))
ISO-Pol T35 폴리에테르 폴리올 (이소엘렉트라(Isoelektra))
Mw = 4800 g/mol, OHN = 35 mg KOH/g (제조자에 따름)
ISO-Pol T400 폴리에테르 폴리올 (이소엘렉트라)
Mw = 450 g/mol, OHN = 400 mg KOH/g (제조자에 따름)
P-1010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쿠라레(Kuraray))
Mw = 1000 g/mol, OHN = 112 mg KOH/g (제조자에 따름)
폴리올을 DE3423443에 따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에스테르교환시켰고, OH기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메타크릴레이트화되었다. 반응 후의 OH가는 혼합물에 따라 1.6 내지 5.6 mg KOH/g이었다 (표 1 참조).
실시예:
메타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합성
우선, 사브르(sabre) 교반기, 압축 공기를 위한 투입 관, 랜덤 패킹된 30 cm 컬럼, 자동 컬럼 헤드, 하부 및 상부 온도계 및 가열 맨틀이 구비된 2 ℓ 4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30.0 g의 ISO-POL T35 폴리에테르 폴리올, 450.0 g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0.09 g의 히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0.009 g의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옥실의 혼합물, 및 촉매로서의 0.88 g의 산화칼슘 및 0.18 g의 수산화리튬의 혼합물을 충전하였다. 공기의 도입과 함께 반응 혼합물을 비등 가열하였다. 대략 85℃의 상부 온도에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OH 공비물이 50:1의 환류비로 제거되었다. 반응 동안, 상부 온도는 점진적으로 상승하였고, 100℃의 상부 온도 달성시 반응이 종결되었다. 반응 동안 굴절률 (nD 20)을 측정하여 전환율을 결정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115℃ 이하의 하부 온도에서 압력을 20 mbar로 감소시켜 과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투명한 황색 생성물을 얻었다.
촉매 및 반응 조건의 조정에 대해 기재되어 있는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게 추가의 폴리올을 전환시켰다.
1.2. OH가 (= 히드록실가, OHN)의 결정
아세트산 무수물을 이용하여 DIN 53240-2에 따른 적정 방법을 통해 결정하였다.
1.3. 반응성 수지의 제조
단량체:
메타크릴레이트화 피마자유 (로스)
메타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 (ISO-Pol T35 및 ISO-Pol T400, 이소엘렉트라)
메타크릴레이트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P-1010, 쿠라레)
개시제: 1 내지 3 중량%의 50% 벤조일 퍼옥시드 (BP 50FT, 플루카(Fluka))
활성화제: 0.4 내지 1 중량%의 N-에톡실화 p 톨루이딘 (PT25E/2, 살티고(Saltigo))
안정화: 450 ppm의 HQME
상이한 샘플의 경우, 주성분 (조성에 대해서 표 1 참조)을 칭량 투입하고, 혼합물을 롤러층(roller bed) 상에서 3 시간 동안 균질화시켰다.
1.4. 벌크 중합 및 중합 시간의 결정 (PT 측정)
단량체를 수조 또는 온도-제어실에서 2 시간 이상 동안 적절한 측정 온도 (T = 23℃)로 평형시켰다. 개시제 (BP-50-FT, 명시한 수치는 50 % 공급원 형태의 출발 중량에 근거함) 및 활성화제 (PT25E/2)를 별도의 비커의 각각의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의 1/2에 각각 별도로 용해시켰다. 이들 두 혼합물을 합하고, 자석 교반기 상에서 2분간 균질화시키고 시험관 (18 × 180 mm)으로 옮긴 후, 중합 시간을 측정하였다. 온도 센서에 의해, 반응 온도 프로파일을 기록하였다. 상기 온도 센서는 이동 액체로서 디에틸렌 글리콜이 충전된 제2의 보다 작은 관 내에 위치하며, 이는 샘플 온도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할 만큼 충분히 낮게 샘플 액체 내로 침지되도록 테스트 관의 중앙에 고정된다. 측정의 시작은 산화환원 성분의 조합 시점인 것으로 간주된다. 최대 반응 온도 Tmax의 위치는 중합 시간에 상응한다.
1.5. 물에서의 팽윤 연구
원통형 시편 (d = 15 mm, h = 5 mm)을 제공하기 위해, 중합 시간 측정 때부터 디스크들을 중합체에서 잘라냈다. 이들을 칭량 보조물로서의 페트리 접시에서 분석 저울 상에서 칭량하였다. 이후, 실온에서 비커 (폭넓은 형태) 내 400 ml의 증류수에 저장하였다. 일정한 간격으로 시편을 꺼내고 셀룰로오스로 문질러 건조시키고 다시 칭량하였다.
총 7일의 저장 시간 후, 샘플을 건조 캐비넷에서 80℃에서 밤새 (대략 14 시간) 재건조시키고 다시 칭량하였다.
얻어진 값을 사용하여 용매 흡수, 중량 손실 및 실제 팽윤을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Figure pct00001
식 중,
m1 = 빈 페트리 접시 (칭량 보조물)의 중량
m2 = 물 저장 전의 샘플이 있는 페트리 접시의 중량
m3 = 물 저장 후 (7 일)의 샘플이 있는 페트리 접시의 중량
m4 = 80℃에서 재건조 후의 샘플이 있는 페트리 접시의 중량
1.6. 중합체의 경도 평가
1.6.1. 시각적 평가
PT 측정으로부터 모든 중합체를 시험관으로부터의 유리로부터 제거하고, 경도 및 컨시스턴시(consistency)를 평가하였다.
1.6.2. 쇼어 경도
이러한 목적을 위해, 5 mm 둥근 코드를 가진 유리 판으로 제조된 챔버에서 슬랩 중합을 수행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항목 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한 다음, 준비된 챔버로 도입하였다. 그안에서 이들을 대략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경화시켰다. 후속적으로 ISO 868에 따라 쇼어 경도를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2
<표 2>
Figure pct00003
<표 3>
Figure pct00004
상기 실시예는 수지 성분의 변화, 즉 상이한 메타크릴레이트화 폴리올 성분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천연 폴리올, 예를 들면 피마자유의 사용이 경화 수지의 기계적 특성을 조정 및 변화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장쇄 폴리에테르 폴리올, 예를 들면 메타크릴레이트화 (메트.) Iso-Pol T35는 낮은 쇼어 경도를 갖는 수지 (샘플 7)를 초래한다. 단쇄 폴리에테르 폴리올, 예를 들면 메타크릴레이트화 Iso-Pol T400은 높은 가교 밀도의 결과로서 높은 쇼어 경도를 갖는 수지 (샘플 8)를 초래한다. 따라서 메타크릴레이트화 피마자유와 조합하여, 상이한 쇼어 경도를 갖는 포팅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샘플 2는 순수 메타크릴레이트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진 수지 (샘플 1)와 비교하여 메타크릴레이트화 Iso-Pol T35의 사용을 통한 쇼어 경도의 감소를 나타낸다. 샘플 3은 순수 메타크릴레이트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진 수지 (샘플 1)와 비교하여 메타크릴레이트화 Iso-Pol T400의 사용을 통한 쇼어 경도의 증가를 나타낸다.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의 중합 시간은 개시제 및 활성화제 농도의 조정 (샘플 3 및 6, 도 1 및 2)을 통해 조정가능하다. 활성화제 또는 개시제의 농도가 감소하면, 중합 시간이 연장된다. 이는 최종 용도에 따라 가변 처리 시간을 갖는 수지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시스템은 미충전된 또는 충전된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충전제의 첨가로, 기계적 특성이 추가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표 3).

Claims (16)

  1. a) 9.98 내지 99.98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b) 0.01 내지 10 중량%의 개시제,
    c) 0.01 내지 10 중량%의 활성화제, 및
    d) 0.90 중량%의 충전제
    를 포함 (성분 a) 내지 d)의 합은 항상 총 100 중량%가 되어야 하고, 상기 %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하는, 제어가능한 가사 시간(pot life)을 갖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가 성분 a)의 2종 이상의 상이한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화합물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b) 0.01 내지 10 중량%의 개시제 및 d) 0 내지 90 중량%의 충전제를 포함하는 성분 A), 및
    a) 9.98 내지 99.98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c) 0.01 내지 10 중량%의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성분 B)
    로 이루어진 이성분 시스템 (성분 a) 내지 d)의 합은 항상 총 100 중량%가 되어야 하고, 상기 %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 9.98 내지 99.98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b) 0.01 내지 10 중량%의 개시제 및 d) 0 내지 90 중량%의 충전제를 포함하는 성분 A), 및
    a) 9.98 내지 99.98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c) 0.01 내지 10 중량%의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성분 B)
    로 이루어진 이성분 시스템 (성분 a) 내지 d)의 합은 항상 총 100 중량%가 되어야 하고, 상기 %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 a)가 각각 존재하는 화합물 a)의 총 양을 기준으로 1 내지 1000 ppm의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3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0 내지 85%의 성분 A 및 15 내지 50%의 성분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30 내지 8000 g/mol의 범위의 평균 몰 질량 및 10 내지 500 mg KOH/g의 히드록실가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메트)아크릴레이트에 의한 에스테르교환을 통해 수득가능한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30 내지 650 g/mol의 범위의 평균 몰 질량 및 220 내지 500 mg KOH/g의 히드록실가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메트)아크릴레이트에 의한 에스테르교환을 통해 수득가능한 제1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1000 내지 8000 g/mol의 범위의 평균 몰 질량 및 10 내지 180 mg KOH/g의 히드록실가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메트)아크릴레이트에 의한 에스테르교환을 통해 수득가능한 제2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00 내지 2000 g/mol의 범위의 평균 몰 질량 및 40 내지 250 mg KOH/g의 히드록실가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메트)아크릴레이트에 의한 에스테르교환을 통해 수득가능한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800 내지 2000 g/mol의 범위의 평균 몰 질량 및 120 내지 250 mg KOH/g의 히드록실가를 갖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의 (메트)아크릴레이트에 의한 에스테르교환을 통해 수득가능한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히드록시-관능화 트리글리세리드가 (메트)아크릴레이트화 피마자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공동 내 전기적 파괴에 내성인 수밀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용도.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전기적 케이블의 실링을 위한 포팅 화합물로서의 용도.
  14. a) 적합한 용기에 성분 A를 제공하는 단계,
    b) 적합한 용기에 성분 B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두 성분을 사용 전에 혼합하고, 이러한 혼합물로 충전하고자 하는 공동을 충전한 후 경화시키는 단계, 및
    d) 임의로는 공동을 형성하는 공동 라이닝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적 케이블의 실링을 위한 포팅 화합물을 제공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성분 A 및 B의 용기가 중합체 재료의 백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성분 A 및 B의 용기가, 별도의 챔버 내에 2종의 성분을 함유하며, 상기 2종의 성분을 분리하는 구역의 기계적 제거 이후 백 내의 2종의 성분을 혼합할 수 있는 중합체 재료의 단일 백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37030755A 2011-05-24 2012-05-21 케이블 실링 화합물용 반응성 수지 KR201400312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76419.4 2011-05-24
DE102011076419 2011-05-24
PCT/EP2012/059318 WO2012160007A1 (de) 2011-05-24 2012-05-21 Reaktivharze für kabelvergussmass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270A true KR20140031270A (ko) 2014-03-12

Family

ID=46147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755A KR20140031270A (ko) 2011-05-24 2012-05-21 케이블 실링 화합물용 반응성 수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349500B2 (ko)
EP (1) EP2714754A1 (ko)
JP (1) JP2014516099A (ko)
KR (1) KR20140031270A (ko)
CN (1) CN103492434A (ko)
AU (1) AU2012260956B2 (ko)
BR (1) BR112013026358A2 (ko)
CA (1) CA2837014A1 (ko)
MX (1) MX2013013553A (ko)
RU (1) RU2013156967A (ko)
TW (1) TW201311738A (ko)
WO (1) WO2012160007A1 (ko)
ZA (1) ZA2013088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3156967A (ru) * 2011-05-24 2015-06-27 Эвоник Рем ГмбХ Реактивные смолы для кабельных компаундов
DE102011089504A1 (de) 2011-12-22 2013-06-27 Evonik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bi- oder trizyklischer (Meth)acrylate
DE102015223005A1 (de) * 2015-11-20 2017-05-24 Leoni Kabel Holding Gmbh Kabe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20220056231A1 (en) 2020-08-20 2022-02-24 Evonik Operations Gmbh Production of polyurethane foam
CN112063355A (zh) * 2020-08-28 2020-12-11 广东安德力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动力电池铝塑膜的胶粘剂及其加工工艺
CN113616802A (zh) * 2021-08-13 2021-11-09 温州医科大学 一种偶联小分子药物的聚酯及其制备方法
CN114262596A (zh) * 2021-12-24 2022-04-01 石家庄银河微波技术有限公司 一种聚氨酯ab灌封材料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3820A (en) 1960-10-14 1962-07-10 Robert H Krieble Anaerobic curing sealant composition having extended shelf stability
DE1909992C3 (de) * 1968-03-04 1985-05-09 Loctite Corp., Newington, Conn. Verfahren zum Verbinden von Flächen mittels polymerisierbarer Acrylsäureester
JPS5227176A (en) 1975-08-23 1977-03-01 Mitsubishi Heavy Ind Ltd Storing apparatus
US4624725A (en) * 1984-03-21 1986-11-2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Two-component acrylic modified polyester adhesive
US4600738A (en) * 1984-03-21 1986-07-1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Two-component acrylic modified polyester adhesive
DE3423443A1 (de) 1984-06-26 1986-01-02 Röhm GmbH, 6100 Darmstad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stern der acryl- und methacrylsaeure durch umesterung
JPS621772A (ja) * 1985-06-28 1987-01-07 Denki Kagaku Kogyo Kk 接着剤組成物
US5514521A (en) * 1990-08-22 1996-05-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hotocurable composition
US5567741A (en) * 1993-06-03 1996-10-22 Loctite (Ireland) Limited Aerated anaerobic compositions with enhanced bulk stability
US5688601A (en) * 1994-03-25 1997-11-18 Caschem, Inc. Exterior protective layer for an electrical component
US6235916B1 (en) * 1996-12-24 2001-05-22 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 Internally plasticizing and crosslinkable monomers and applications thereof
US6624223B1 (en) * 1996-12-24 2003-09-23 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 Internally plasticized and low VOC latex compositions and applications thereof
CN1226589A (zh) 1998-02-19 1999-08-25 梁义勋 单组份螺纹锁固和平面密封厌氧胶的制备方法
GB9917119D0 (en) 1999-07-21 1999-09-22 Bicc Gen Uk Cables Ltd Resin compositions and electric cable joints
JP3618691B2 (ja) * 2000-06-26 2005-02-09 ジャパンコンポジット株式会社 ラジカル重合性樹脂組成物
US6727314B2 (en) * 2001-12-13 2004-04-27 Basf Ag Crosslinking systems for acrylic latex films
JP3970604B2 (ja) 2001-12-26 2007-09-05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止水剤および止水工法
US7166406B2 (en) * 2004-05-05 2007-01-23 Xerox Corporation Prevention or reduction of thermal cracking on toner-based prints
DE102005044250A1 (de) 2005-09-15 2007-03-29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hacrylaten mit reaktiven Doppelbindungen
CN100543097C (zh) * 2007-05-28 2009-09-23 黑龙江省石油化学研究院 一种具有低拆卸力矩耐高温厌氧胶及其制备方法
DE102007031470A1 (de) 2007-07-05 2009-01-08 Evonik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h)acrylaten
DE102008001855A1 (de) * 2008-05-19 2009-11-26 Evonik Degussa Gmbh Zweikomponenten-Zusammensetzung zur Herstellung von flexiblen Polyurethan-Gelcoats
JP5457644B2 (ja) * 2008-06-03 2014-04-02 昭和電工株式会社 低温硬化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塗膜形成方法、樹脂モルタル及び繊維強化樹脂
DE102008040221A1 (de) 2008-07-07 2010-01-14 Evonik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h)acrylsäureestern
DE102008040464A1 (de) * 2008-07-16 2010-01-21 Evonik Degussa Gmbh Gekoppelte Polyester-Acrylat-Pfropfpolymere
EP2459605B1 (en) 2009-07-31 2013-06-12 Prysmian S.p.A. Low and medium voltage cable joint filled with cold thermosetting resin and kit for the deployment thereof
DE102009046194A1 (de) * 2009-10-30 2011-05-05 Evonik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Alkoxy-2-methyl-1-oxopropan--2yl)-(meth)acrylat
DE102010000945A1 (de) 2010-01-15 2011-07-21 Evonik Röhm GmbH, 64293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h)acrylsäureestern
DE102011003317A1 (de) * 2011-01-28 2012-08-02 Evonik Röhm Gmbh Impact-modifiziertes Reaktionsharz
RU2013156967A (ru) * 2011-05-24 2015-06-27 Эвоник Рем ГмбХ Реактивные смолы для кабельных компаундов
DE102011089504A1 (de) 2011-12-22 2013-06-27 Evonik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bi- oder trizyklischer (Meth)acry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37014A1 (en) 2012-11-29
TW201311738A (zh) 2013-03-16
JP2014516099A (ja) 2014-07-07
AU2012260956B2 (en) 2015-11-05
AU2012260956A1 (en) 2013-10-10
US20140045993A1 (en) 2014-02-13
CN103492434A (zh) 2014-01-01
RU2013156967A (ru) 2015-06-27
MX2013013553A (es) 2014-05-28
WO2012160007A1 (de) 2012-11-29
EP2714754A1 (de) 2014-04-09
ZA201308829B (en) 2014-07-30
US9349500B2 (en) 2016-05-24
BR112013026358A2 (pt)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1270A (ko) 케이블 실링 화합물용 반응성 수지
KR101383511B1 (ko) α-(불포화 알콕시알킬)아크릴레이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15062B1 (ko) 연질 재료용 조성물 및 연질 재료
WO2007026798A1 (ja) (メタ)アクリレートグラフトポリエーテルポリオール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KR101517640B1 (ko) 활성화제를 포함한 에멀젼 중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2-성분 또는 다성분 시스템에서의 그의 용도
KR20140116101A (ko) 개선된 용융 강도를 가진 에틸렌-기재 중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FI72129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n gjuten plastprodukt genom kopolymeration av omaettade uretanmonomerer och en vid foerfarandet anvaend polymeriserbar sammansaettning.
EP3786194B1 (en) Polymer, and oxygen absorbent and resin composition using same
JP2005171249A (ja) 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中のポリマーディスパージョン
KR970001248B1 (ko) 인조석 성형체 및 그것의 제조 방법
MXPA04007291A (es) Dispersiones de polimeros en poliolesteres.
CN110114378A (zh) 自由基聚合性树脂组合物及结构物修复用注入剂
EP3326784A1 (en) Composition for lining
EP3549670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polyurethane-poly(meth)acrylate resin
JP6237422B2 (ja) グリシジルメタクリレート重合体の製造方法
US3494898A (en) Polymerization of olefinic compounds and polymerization catalyst
CN112898498B (zh) 一种可回收泡沫材料及其制备方法
US20240059821A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rticles made of conglomerate material
JP4506237B2 (ja) 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モノアクリレートの製造方法
Rong et al. Ecomaterials-foam plastics synthesized from plant oil-based resins
KR100749339B1 (ko) 높은 고형분 함량을 가지는 폴리머 폴리올의 제조방법
KR20110038018A (ko) 폴리알킬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의 제조 방법
JPS60240716A (ja) ポリマ−ポリオ−ルの製造方法
WO2023152140A1 (en) (meth)acrylic composition, polymeric composite material obtained from such a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said composition and material, and uses thereof
WO2020141348A1 (en) (meth)acrylate-functionalized branched polyalpha-olef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