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454A - 굴과 해조류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천연 가바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굴과 해조류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천연 가바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454A
KR20140030454A KR1020120095150A KR20120095150A KR20140030454A KR 20140030454 A KR20140030454 A KR 20140030454A KR 1020120095150 A KR1020120095150 A KR 1020120095150A KR 20120095150 A KR20120095150 A KR 20120095150A KR 20140030454 A KR20140030454 A KR 20140030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yster
fermentation
extract
kelp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배진
강영미
심인섭
박현덕
서용배
김민영
이광덕
Original Assignee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filed Critical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Priority to KR102012009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0454A/ko
Priority to PCT/KR2013/007421 priority patent/WO2014035089A1/ko
Priority to JP2013176988A priority patent/JP2014047213A/ja
Publication of KR2014003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1Addition of antibiotics, vitamins, amino-acids, or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과 해조류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다량의 천연 GABA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과 다시마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제조된 발효소재는 기존의 발효소재와 비교하여 다량의 타우린 및 GABA를 함유하며, 스트레스 억제 효과 및 수면장애 개선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굴과 해조류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천연 가바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Fermented material for reducing stress or improving sleep disorder with high content of natural GABA by fermenting mixture of oyster and seawee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굴과 해조류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다량의 천연 가바(gamma-aminobutyric acid, GABA)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습관 변화(고에너지, 포화지방, 식염)로 인해 비만 및 대사증후군 성인 질환의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고, 수면장애 및 스트레스가 동반되면서 각종 질병을 직·간접적으로 유발하는 등 국민 보건상 스트레스 해소 및 수면증진이 국가적 차원에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조사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1/4이 불면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 중 약 10%는 만성불면증을 겪고 있을 정도로 수면 장애로 인한 문제가 확대되고 있다.
세계의 수면 관련 시장 규모는 200억 달러로 수면클리닉(sleep clinic)이 급증하고 있으며, 기능성 매트리스, 천연 수면보조제(herbal Sleep aids) 등의 수면 관련 제품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현재 신경의약품 중 수면제의 성장률이 약 2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근에는 선진국뿐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수면제의 경우 현재 약 70%가 장기복용자, 50%가 60세 이상의 고령층에서 소비되고 있는데 4주 이상의 장기복용은 의존성 및 부작용의 문제를 가지며, 노인 및 임산부 등은 섭취가 제한되기도 한다. 따라서 수면제 장기복용자 및 제한자의 경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천연 수면보조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현대인의 삶에 대한 질 개선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웰빙(well-being)을 넘어 LOHAS(lifestyles of health and substantiality)를 추구함으로써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고, 원료에 대한 안전성 등에 대한 우려를 포함하여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해양생물은 식품의 3차적인 기능인 영양적 특성, 기호적 특성 및 생체조절 특성을 모두 갖춘 식품 원료로 기호도와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생산량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천연물 유래의 신소재 개발을 위하여 사용되는 다시마와 굴은 안전성과 경제성이 확보되며, 천연 건강식품으로 널리 식용되고 있는 훌륭한 해양생물자원이다. 다시마는 육상식물에 비해 비타민 및 미네랄, 특히 마그네슘, 칼슘, 요오드(4000ppm 이상) 및 철 등의 함량이 높고, 대표적인 정미성분인 천연의 아미노산(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고기능성 천연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 수용성 식이섬유인 후코이단(fucoidan) 등과 같은 생리활성이 강한 다당류를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어 이상적인 천연식품으로써 인식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능성 소재나 건강식품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다시마의 생리활성에 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활발한 연구 수행 결과, 다시마가 다이어트 작용, 정장 작용에 의한 변비 치료, 중금속 및 방사능 물질의 체외 배출 작용 등에 깊이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그리고 후코이단으로 통칭되는 황-함유 다당류의 경우는 항균, 항산화, 항바이러스, 항암활성을 비롯하여 동맥경화, 심근경색, 고혈압, 협심증, 뇌졸중 등의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된바 있다. 굴은 GABA의 전구물질인 글루탐산이 다량 존재하고, 항산화능, 간기능 개선 및 심혈관계 효능물질로서 보고되어온 천연아미노산인 타우린 역시 다량 함유할 뿐만 아니라 글리코겐, 비타민, 단백질 및 타이로신 등 18종 이상의 아미노산과 철분, 요오드 등 필수 무기질이 풍부함 세계 10대 수산물로서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다.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주요 성분인 GABA는 비단백질성 아미노산으로 분자량이 103.2달톤(dalton)으로 피페리인산으로 불린다. 또한 끓는점이 202℃로 열에 안정한 편이고 C4H9NO2의 분자식을 가지며 물에 대한 용해성이 크다. 이는 L-글루탐산(L-Glutamic acid)이 글루탐산 데카르복실라제(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의 촉매작용에 의해 탈탄산되어 생성되는 물질이다. 주요기능으로는 뇌나 척추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혈류를 개선하며 뇌의 산소공급을 증가시켜 뇌의 대사촉진 및 뇌 기억을 증진시키는 뇌의 영양제로 알려져 있다. GABA는 글루탐산이 신경을 활성화시키는 것과는 달리 신경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신경세포의 기능과 정보처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감각뇌에서 방향 민감성, 각도 민감성 반응 등을 결정하며 정교한 운동기능도 조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뇌의 흥분을 적절히 제어하여 비정상적인 과도한 활성을 제어하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척추와 무척추동물 중에는 GABA를 전달하는 뉴런이 존재하며, 이 뉴런에 GABA가 충분히 공급되면 간질발작이 억제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 GABA의 뇌혈류 촉진효과와 산소공급 증가효과는 뇌세포의 대사를 촉진시킴으로써 뇌졸중의 후유증 및 뇌동맥경화증 등에 개선효과가 나타나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와 반대로 뇌혈액 중에 GABA 및 GAD 농도가 낮으면 간질병, 파킨슨씨병, 정신분열증 등의 질병이 발병하는 것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코올 중독자들은 정상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GABA 농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GABA는 성장호르몬의 분비조절, 통증완화, 정신신경 안정작용, 혈압강하작용, ACE 활성저해작용 등이 있어 생리학적으로 아주 유용한 물질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식품 등을 통하여 섭취되는 타우린과 GABA의 양은 제한적이며 약리작용을 발휘하기 위한 필요량을 식품으로 섭취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처럼 우리 몸에 유용한 타우린과 GABA를 충분히 섭취할 수 있는데 문제가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능성분을 극대화한 추출법을 통해 다시마와 굴의 전처리를 하고, 이들 성분 중 글루탐산을 GABA로 전환하되 기타 기능성분(해조올리고당, 해조 미네랄, 타우린, 펩타이드, 등)의 소실없는 발효공정 및 균주를 이용하여, 해양생물 특유의 이미, 이취를 제거함으로써 기호성 및 기능성을 확보한 발효소재의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를 통한 해양생물의 1차적 소비 행태를 벗어난 고부가가치의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해양생물을 이용하여 다량의 타우린 및 GABA를 함유하는 발효소재에 관하여 연구하던 중, 자연섭취로는 양적 제한을 가진 타우린과 GABA를 생리활성이 기대되는 양까지 높여 섭취할 수 있도록, 굴과 다시마 내에 존재하는 글루탐산을 GABA로 대량 전환하면서도 글루탐산 이외의 타우린과 같은 기능성 물질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발효 균주를 이용하여, 굴과 다시마의 추출 혼합액을 발효시킬 경우, 스트레스 억제 및 수면장애 개선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굴과 다시마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다량의 천연 GABA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굴과 다시마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다량의 타우린과 천연 GABA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과 다시마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제조된 발효소재는 기존의 발효소재와 비교하여 다량의 타우린 및 GABA를 함유하며, 스트레스 억제 효과 및 수면장애 개선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굴의 가수분해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을 이용한 발효소재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굴의 추출농축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을 이용한 발효소재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발효소재의 발효과정에서 발효 전·후에 따른 타우린, GABA, 글루타메이트(glutamate)의 함량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발효소재와 대표적인 신경안정 수용체인 GABAA(gamma-aminobutyric acid type A) 수용체의 결합 친화도 활성의 비교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발효소재와 대표적인 신경안정 수용체인 5-HT2c(5-hydroxytryptamine-2c) 수용체의 결합 친화도 활성의 비교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발효소재의 수면 박탈 동물모델에서 수면 유도시간 및 유지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A: 굴 추출물 발효물, B: 다시마 추출물 + 녹차 추출물 혼합액의 발효물, C: 다시마 추출물 + 굴 추출물 혼합액의 발효물, D: 다시마 추출물 발효물].
도 7은 발효소재의 카페인에 의한 행동박탈 동물모델에서 신경안정 효능에 대해 나타낸 도이다[A: 굴 추출물 발효물, B: 다시마 추출물 + 녹차 추출물 혼합액의 발효물, C: 다시마 추출물 + 굴 추출물 혼합액의 발효물, D: 다시마 추출물 발효물].
본 발명은 굴의 가수분해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GABA 함량이 4500~5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굴의 추출농축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GABA 함량이 4500~5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과 다시마의 추출액을 혼합하여 발효소재로 제조할 경우, 기존의 발효소재와 비교하여 식품을 통해 섭취할 수 있고, 스트레스 억제 효과 및 수면장애 개선효과가 우수하므로 기존의 발효소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적인 스트레스 억제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굴의 가수분해액은
(a)굴을 수세, 탈염, 분쇄하고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가 용이하도록 전처리하는 단계;
(b)상기 (a)단계의 전처리된 굴과 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50~70℃에서 60~120분간 교반하면서 0.2%(v/v)의 알카라제(alcalase)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의 가수분해된 굴 가수분해액을 90~120℃에서 60~120분 동안 교반하면서 첨가된 알카라제(alcalase)를 실활시키는 단계;
(d)상기 (c)단계의 가수분해된 굴의 잔사를 40~200메쉬의 진동체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남은 굴의 가수분해액을 수거하는 단계; 및
(e)상기 (d)단계의 수거된 굴의 가수분해액을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상기 굴의 추출농축액은
(a)’굴을 수세, 탈염, 분쇄하여 추출이 용이하도록 전처리하는 단계;
(b)’상기 (a)’단계의 전처리된 굴에 10~20배수의 물을 혼합하여 70~90℃에서 60~90분 종안 교반하여 추출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의 추출된 굴의 잔사를 40~200메쉬의 진동체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남은 굴의 추출액을 수거하는 단계;
(d)’상기 (c)’단계의 수거된 굴의 추출액을 30~50℃의 온도에서 감압하여 농도가 20~40%가 되도록 농축하는 단계; 및
(e)’상기 (d)’단계의 농축된 굴의 추출농축액을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상기 다시마 추출액은
(ㄱ)다시마를 수세 및 탈염을 통해 추출이 용이하도록 전처리하는 단계;
(ㄴ)상기 (ㄱ)단계의 전처리된 다시마에 10~20배수의 50% 주정을 혼합하여 70~90℃에서 60~120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는 단계;
(ㄷ)상기 (ㄴ)단계의 추출된 다시마의 잔사를 압력여과기(filter press)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남은 다시마 추출액을 수거하는 단계;
(ㄹ)상기 (ㄷ)단계의 수거된 다시마 추출액을 30~50℃의 온도에서 감압하여 농도가 25%가 되도록 농축하는 단계; 및
(ㅁ)상기 (ㄹ)단계의 농축된 다시마 추출액을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의 가수분해액 또는 굴의 추출농축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다량의 타우린과 천연 GABA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굴의 가수분해액과 다시마 추출액을 원료로,
(1)다시마 추출액과 굴 가수분해액을 1:1의 부피비로 배합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2)상기 (1)단계의 전처리된 원료액을 전체 중량의 10~30%(v/v)가 되도록 물을 혼합한 후, 100~140℃에서 10~20분간 멸균하는 단계;
(3)상기 (2)단계의 멸균된 원료액을 발효온도인 30~37℃까지 냉각하는 단계;
(4)상기 (3)단계의 냉각한 원료액을 발효균주를 접종하여 2~7일간 발효하는 단계;
(5)상기 (4)단계의 발효된 발효액을 100~140℃에서 10~20분 동안 고온가압하여 발효기간 중에 증식한 발효미생물을 사멸시키도록 재멸균하는 단계;
(6)상기 (5)단계의 멸균된 발효액을 압력여과기(filter press)를 사용하여 잔사를 제거하고, 남은 원료액을 수거하는 단계;
(7)상기 (6)단계의 수거된 원료액을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의 방법으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및
(8)상기 (7)단계의 분말화된 발효소재를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굴의 추출농축액과 다시마 추출액을 원료로,
(1)’다시마 추출액과 굴 추출농축액을 1:1의 부피비로 배합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2)’상기 (1)’단계의 전처리된 원료액을 전체중량의 10~30%(v/v)가 되도록 물을 혼합한 후, 100~140℃에서 10~20분 동안 멸균하는 단계;
(3)’상기 (2)’단계의 멸균된 원료액을 발효온도인 30~37℃까지 냉각하는 단계;
(4)’상기 (3)’단계의 냉각한 원료액을 발효균주를 접종하여 2~7일간 발효하는 단계;
(5)’상기 (4)’단계의 발효된 발효액을 100~140℃에서 10~20분 동안 고온가압하여 발효기간 중에 발효미생물을 사멸시키기 위해 재멸균하는 단계;
(6)’상기 (5)’단계의 재멸균된 발효액을 압력여과기(filter press)를 사용하여 잔사를 제거하고, 남은 주원료액을 수거하는 단계;
(7)’상기 (6)’단계의 수거된 원료액을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의 방법으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및
(8)’상기 (7)’단계의 분말화된 발효소재를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제조방법 중 (4) 및 (4)’의 발효단계에서 발효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또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의 단독접종 또는 이들을 혼합한 균주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 중 상기 (4) 및 (4)’ 발효단계의 발효균주는 발효소재 전체 중량의 1~5%(v/v)가 되도록 접종하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스트레스는 현대인이 일반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 모두를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스 관련 수용체인 GABAA(gamma-aminobutyric acid type A) 수용체와 5-HT2c(5-hydroxytryptamine-2c) 수용체가 관여하는 기작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수면장애는 불면증, 수면 중 이상한 움직임 및 무호흡증, 주간과다졸림증을 동반하는 수면장애 및 신경안정제(barbiturate)계 마취제인 펜토바르비탈(pentobarbital)로 개선 가능한 수면장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발효소재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발효소재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발효소재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소재의 제조시, 굴과 다시마를 수세, 탈염, 분쇄 등의 전처리 과정을 동일하게 수행하되, 최종 발효소재의 타우린과 GABA 및 올리고당을 비롯한 미네랄의 수율을 최대로 증대하기 위하여 굴은 가수분해액 및 굴의 추출농축액을 사용하고, 다시마는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1> 굴의 가수분해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을 이용한 발효소재의 제조
본 발명의 굴의 가수분해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을 통한 발효소재의 제조과정에 대해 도 1 에 나타내었으며, 이하 단계마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실시예 1-1>. 다시마 추출액의 제조
다시마 추출액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ㄱ) 원료의 전처리단계 : 다시마를 수세 및 탈염을 통해 추출이 용이하도록 전처리하였다.
(ㄴ) 추출단계 : 상기 전처리된 다시마에 10~20배수의 50% 주정을 혼합하여 70~90℃에서 60~120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ㄷ) 잔사의 제거단계 : 상기 추출된 다시마의 잔사를 압력여과기(filter press)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남은 다시마 추출액을 수거하였다.
(ㄹ) 농축단계 : 상기 수거된 다시마 추출액을 30~50℃의 온도에서 감압하여 농도가 25%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ㅁ) 포장단계 : 상기 농축된 다시마 추출액을 발효소재의 제조시 발효과정에 첨가하기 용이하도록 포장하였다.
< 실시예 1-2>. 굴의 가수분해액의 제조
굴의 가수분해액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a) 원료의 전처리단계 : 굴을 수세, 탈염, 분쇄하여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가 용이하도록 전처리하였다.
(b) 가수분해단계 : 상기 전처리된 굴과 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50~70℃에서 60~120분간 교반하면서 0.2%(v/v)의 가수분해효소인 알카라제(alcalase)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하였다.
(c) 효소 실활단계 : 상기 가수분해된 굴 가수분해액을 90~120℃에서 60~120분 동안 교반하면서 첨가된 알카라제(alcalase)를 실활시켰다.
(d) 잔사의 제거단계 : 상기 가수분해된 굴의 잔사를 40~200메쉬의 진동체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남은 굴의 가수분해액을 수거하였다.
(e) 포장단계 : 상기 수거된 굴의 가수분해액을 발효소재의 제조시 발효과정에 첨가하기 용이하도록 포장하였다.
< 실시예 1-3>. 다시마 추출액 및 굴 가수분해액의 혼합물을 이용한 발효소재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발효소재를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원료의 전처리단계 : 상기 <실시예 1-1>과 <실시예 1-2>에서 각각 제조한 다시마 추출액과 굴 가수분해액을 1:1의 부피비로 배합하여 전처리하였다.
(2) 멸균단계 : 상기 전처리된 주원료액을 전체 중량의 약 10~30%(v/v)가 되도록 물을 혼합한 후,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3) 냉각단계 : 상기 멸균된 주원료액을 발효의 적정온도인 약 30~37℃까지 냉각하였다.
(4) 발효단계 : 상기 냉각한 주원료액을 발효균주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또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의 단독접종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접종하여 발효하였다. 이때 발효균주는 전체 중량의 1~5%(v/v)가 되도록 접종하며, 발효가 충분히 일어날 수 있도록 약 2~7일간 발효하였다.
(5) 멸균단계 :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121℃에서 15~20분 동안 고온가압 하여 발효기간 중에 증식한 발효미생물을 사멸시키도록 재멸균하였다.
(6) 여과단계 : 상기 멸균된 발효액을 압력여과기(filter press)를 사용하여 잔사를 제거하고 남은 주원료액을 수거하였다.
(7) 건조단계 : 상기 수거된 주원료액을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으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8) 포장 단계 : 상기 분말화된 발효소재를 용량에 맞게 포장하였다.
< 실시예 2> 굴의 추출농축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을 이용한 발효소재의 제조
본 발명의 굴의 추출농축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을 통한 발효소재의 제조과정에 대해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이하 단계마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실시예 2-1>. 굴의 추출농축액의 제조
굴의 추출농축액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a)’전처리단계 : 굴을 수세, 탈염, 분쇄하여 추출이 용이하도록 전처리하였다.
(b)’추출단계 : 상기 전처리된 굴에 10~20배수의 물을 혼합하여 70~90℃에서 60~90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c)’잔사의 제거단계 : 상기 추출된 굴의 잔사를 40~200메쉬의 진동체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남은 굴의 추출액을 수거하였다.
(d)’농축단계 : 상기 수거된 굴의 추출액을 30~50℃의 온도에서 감압하여 농도가 20~40%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e)’포장단계 : 상기 농축된 굴의 추출농축액을 발효소재의 제조시 발효과정에 첨가하기 용이하도록 포장하였다.
< 실시예 2-2>. 다시마 추출액 및 굴 추출농축액의 혼합물을 이용한 발효소재의 제조
(1)’원료의 전처리단계 : 상기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에서 각각 제조한 다시마 추출액과 굴 추출농축액을 1: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전처리하였다.
(2)’멸균단계 : 상기 전처리된 주원료액을 전체중량의 10~30%(v/v)가 되도록 물을 혼합한 후, 121℃에서 15분 동안 멸균하였다.
(3)’냉각단계 : 상기 멸균된 주원료액을 발효 적정 온도인 30~37℃까지 냉각하였다.
(4)’발효단계 : 상기 냉각한 주원료액을 발효균주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 또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의 단독접종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접종하여 발효하였다. 이때 발효균주는 전체 중량의 1~5%(v/v)가 되도록 접종하며, 발효가 충분히 일어날 수 있도록 약 2~7일간 발효하였다.
(5)’멸균단계 :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121℃에서 15~20분 동안 고온가압하여 발효기간 중에 발효미생물을 사멸시키기 위해 재멸균하였다.
(6)’여과단계 : 상기 재멸균된 발효액을 압력여과기(filter press)를 사용하여 잔사를 제거하고 남은 주원료액을 수거하였다.
(7)’건조단계 : 상기 수거된 주원료액을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으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8)’포장 단계 : 상기 분말화된 발효소재를 용량에 맞게 포장하였다.
< 실험예 1> 발효에 의한 발효물의 타우린 및 GABA 의 함량의 변화
본 실험에서는 해양생물의 발효에 의한 타우린 및 GABA의 함량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시예 1-3> 및 <실시예 2-2>에서 제조된 발효소재 즉, 굴의 가수분해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 및 굴의 추출농축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을 발효물 전체 중량의 30%(v/v)가 되도록 하였고, 효과적인 함량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발효로 인해 GABA로 전환되는 전구물질인 글루타메이트를 추가로 첨가하였으며, 발효 전과 후에 타우린, 글루타메이트 및 GABA의 함량을 HPLC(model U1tiMate 3000 HPLC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시예 1-3> 및 <실시예 2-2>에서 제조된 발효소재에서 아미노산을 OPA(O-phthaldealdehyde) 유도체로 치환하기 위해서 자동샘플러 유저 프로그램 반응 프로토콜 측정 방법을 이용하였고, 주입 프로그램(inject program)에 따라 샘플은 OPA-3MPA(O-phthaldealdehyde-3-mercaptopropionic acid)로 유도하였다. 이때, HPLC에 사용된 검출기와 컬럼은 각각 자외부 흡광 광도검출기(UV detector)와 Dionex Bonded Silica C18(4.6㎜ I.D×250㎜, 5㎛, 120Å)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HPLC를 이용한 분석조건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항목 조건
주입량 10㎕
컬럼온도 40℃
이동상
A용매-50mM 아세트산 나트륨, pH 6.5
B용매-아세토니트릴:메탄올:증류수=45:45:10(부피비)
유속 1㎖/min
검출기 파장 338㎚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의 가수분해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 및 굴의 추출농축액과 다시마 추출액 혼합물의 발효 전에 각각 타우린은 2347.45ppm, 2589.38ppm이었으나 발효에 의해 거의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글루타메이트는 굴의 가수분해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 및 굴의 추출농축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의 발효 전에 각각 4582.14ppm, 4786.66ppm이었으나 발효 후에는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굴의 가수분해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 및 굴의 추출농축액과 다시마 추출액 혼합물의 발효 전에 없었던 GABA의 함량이 발효 후에는 각각 4451.76ppm, 4726.55ppm으로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글루탐산은 발효균주에 의해 모두 GABA로 전환되었고, 굴의 가수분해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 및 굴의 추출농축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은 발효 후에 다량의 타우린과 천연 GABA를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발효소재의 스트레스 억제 효능
상기 <실시예 1-3>에서 다시마 추출액과 굴 가수분해액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소재의 스트레스 억제능을 알아보기 위해, 스트레스 관련 수용체인 GABAA(gamma-aminobutyric acid type A) 수용체와 5-HT2c(5-hydroxytryptamine-2c) 수용체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8주된 수컷 SD-랫트의 내뇌 피질막의 GABAA 수용체를 이용하여 방사성 동위원소가 결합되어 있는 [3H]-플루마제닐(RO 15-1788)과 추출발효물간 경합결합측정법(competitive binding assay)으로 측정하였다. 효과적인 측정을 위해, 굴의 가수분해물의 발효물, 다시마 추출액과 녹차 추출액의 혼합물의 발효물, 및 다시마 추출액의 발효물을 대조구로 하였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GABAA 수용체의 결합 친화도의 경우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고, 특히 10mg/mL의 경우에는 20%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SD-랫트에 대하여 굴의 가수분해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 및 굴의 추출농축액과 다시마 추출액 혼합물의 발효물은 스트레스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람의 세로토닌 5-HT2C 수용체(serotonin 5-HT2C receptor)를 이용하여 방사성 동위원소가 결합되어 있는 [3H]-Mesulergine 와 추출발효물간 경합결합측정법(competitive binding assay)으로 측정하였다. 효과적인 측정을 위해, 굴의 가수분해물의 발효물, 다시마 추출액과 녹차 추출액의 혼합물의 발효물 및 다시마 추출액의 발효물을 대조구로 하였다.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시료에서 5-HT2C 수용체 결합 친화도의 경우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고, 특히 굴의 발효물을 포함한 10mg/mL의 처리구의 경우 약 40%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굴의 가수분해액과 추출농축액을 포함하는 발효물은 스트레스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발효소재의 수면장애 개선 효능
상기 <실시예 1-3> 및 <실시예 2-2>에서 제조된 발효소재의 수면장애 개선능을 알아보기 위해, 수면 관련 동물모델로서 8주령 수컷을 이용하여 펜토바르비탈(pentobarbital)을 이용하여 최면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시예 1-3> 및 <실시예 2-2>에서 제조된 발효소재를 포함한 발효액을 ICR 마우스에 각각 200㎎과 400㎎을 경구투여 후 30분간 안정화시키고, 신경안정제(barbiturate)계 마취제인 펜토바르비탈(pentobarbital) 40㎎/㎏을 투여하여 수면에 이르는 시간과 수면을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 굴의 가수분해물의 발효물, 다시마 추출액과 녹차 추출액의 혼합물의 발효물, 및 다시마 추출액의 발효물을 발효액과 동일한 방식으로 경구투여하였고, 식염수(saline)를 투여한 후 펜토바르비탈(pentobarbital)에 의해 입면에 든 기준치(baseline)의 수면잠복기(sleep latency) 측정값으로 나타냈다.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면 시작시간 및 유지시간이 대조군의 경우 각각 413.5± 18.5초 및 2854.1± 12.4초로 나타났으나, 단독으로 펜토바르비탈(pentobarbital)을 처리한 군에 비해 발효액을 400㎎을 먹인 경우 수면시작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또한 수면 유지시간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발효소재의 경우 수면시작시간을 단축시키고, 숙면을 취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면을 방해하는 화학적 자극을 통한 운동활성 변화 유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카페인에 의해 유도된 운동활성 변화(Caffeine-induced locomotor alteration)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8주령 수컷 SD-랫트에 발효소재를 경구투여 후 30분간 안정화시킨 후 카페인(10mg/kg)을 투여하고, SMART-program을 통한 비디오 추적(video tracking)방법을 통해 보행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 굴의 가수분해물의 발효물, 다시마 추출액과 녹차 추출액의 혼합물의 발효물 및 다시마 추출액의 발효물을 발효액과 동일한 방식으로 경구투여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카페인을 주입한 SD-랫트가 정상 SD-랫트와 비교하여 전체 운동활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카페인에 유발된 보행성 변화를 관찰한 결과 카페인만 주입한 SD-랫트의 경우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정상 SD-랫트에 비해 보행 거리가 증가하였으나, 발효액을 200mg과 400mg을 첨가하였을 때 카페인만 주입한 SD-랫트보다 현저히 이동거리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발효액은 보행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즉, 수면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예를 예시한다.
< 제조예 1> 식품의 제조
제조예 1-1 :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발효소재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본 발명의 발효소재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3 :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발효소재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4 :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본 발명의 발효소재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5 :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발효소재를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발효소재를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ECDK(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 제조예 2> 음료의 제조
제조예 2-1 :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발효소재 5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2-2 :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발효소재 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3 :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발효소재 1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15)

  1. 굴의 가수분해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가바(gamma-aminobutyric acid, GABA) 함량이 4500~5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2. 굴의 추출농축액과 다시마 추출액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가바(gamma-aminobutyric acid, GABA) 함량이 4500~5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의 가수분해액은
    (a)굴을 수세, 탈염, 분쇄하고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가 용이하도록 전처리하는 단계;
    (b)상기 (a)단계의 전처리된 굴과 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50~70℃에서 60~120분간 교반하면서 0.2%(v/v)의 알카라제(alcalase)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의 가수분해된 굴 가수분해액을 90~120℃에서 60~120분 동안 교반하면서 첨가된 알카라제(alcalase)를 실활시키는 단계;
    (d)상기 (c)단계의 가수분해된 굴의 잔사를 40~200메쉬의 진동체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남은 굴의 가수분해액을 수거하는 단계; 및
    (e)상기 (d)단계의 수거된 굴의 가수분해액을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굴의 추출농축액은
    (a)’굴을 수세, 탈염, 분쇄하여 추출이 용이하도록 전처리하는 단계;
    (b)’상기 (a)’단계의 전처리된 굴에 10~20배수의 물을 혼합하여 70~90℃에서 60~90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의 추출된 굴의 잔사를 40~200메쉬의 진동체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남은 굴의 추출액을 수거하는 단계;
    (d)’상기 (c)’단계의 수거된 굴의 추출액을 30~50℃의 온도에서 감압하여 농도가 20~40%가 되도록 농축하는 단계; 및
    (e)’상기 (d)’단계의 농축된 굴의 추출농축액을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시마 추출액은
    (ㄱ)다시마를 수세 및 탈염을 통해 추출이 용이하도록 전처리하는 단계;
    (ㄴ)상기 (ㄱ)단계의 전처리된 다시마에 10~20배수의 50% 주정을 혼합하여 70~90℃에서 60~120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는 단계;
    (ㄷ)상기 (ㄴ)단계의 추출된 다시마의 잔사를 압력여과기(filter press)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남은 다시마 추출액을 수거하는 단계;
    (ㄹ)상기 (ㄷ)단계의 수거된 다시마 추출액을 30~50℃의 온도에서 감압하여 농도가 25%가 되도록 농축하는 단계; 및
    (ㅁ)상기 (ㄹ)단계의 농축된 다시마 추출액을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6. (1)다시마 추출액과 굴 가수분해액을 1:1의 부피비로 배합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2)상기 (1)단계의 전처리된 원료액을 전체 중량의 10~30%(v/v)가 되도록 물을 혼합한 후, 100~140℃에서 10~20분간 멸균하는 단계;
    (3)상기 (2)단계의 멸균된 원료액을 발효온도인 30~37℃까지 냉각하는 단계;
    (4)상기 (3)단계의 냉각한 원료액을 발효균주를 접종하여 2~7일간 발효하는 단계;
    (5)상기 (4)단계의 발효된 발효액을 100~140℃에서 10~20분 동안 고온가압하여 발효기간 중에 증식한 발효미생물을 사멸시키도록 재멸균하는 단계;
    (6)상기 (5)단계의 멸균된 발효액을 압력여과기(filter press)를 사용하여 잔사를 제거하고, 남은 원료액을 수거하는 단계;
    (7)상기 (6)단계의 수거된 원료액을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의 방법으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및
    (8)상기 (7)단계의 분말화된 발효소재를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의 제조방법.
  7. (1)’다시마 추출액과 굴 추출농축액을 1:1의 부피비로 배합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2)’상기 (1)’단계의 전처리된 원료액을 전체중량의 10~30%(v/v)가 되도록 물을 혼합한 후, 100~140℃에서 10~20분 동안 멸균하는 단계;
    (3)’상기 (2)’단계의 멸균된 원료액을 발효온도인 30~37℃까지 냉각하는 단계;
    (4)’상기 (3)’단계의 냉각한 원료액을 발효균주를 접종하여 2~7일간 발효하는 단계;
    (5)’상기 (4)’단계의 발효된 발효액을 100~140℃에서 10~20분 동안 고온가압하여 발효기간 중에 발효미생물을 사멸시키기 위해 재멸균하는 단계;
    (6)’상기 (5)’단계의 재멸균된 발효액을 압력여과기(filter press)를 사용하여 잔사를 제거하고, 남은 주원료액을 수거하는 단계;
    (7)’상기 (6)’단계의 수거된 원료액을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의 방법으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및
    (8)’상기 (7)’단계의 분말화된 발효소재를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굴 가수분해액은
    (a)굴을 수세, 탈염, 분쇄하고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가 용이하도록 전처리하는 단계;
    (b)상기 (a)단계의 전처리된 굴과 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50~70℃에서 60~120분간 교반하면서 0.2%(v/v)의 알카라제(alcalase)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의 가수분해된 굴 가수분해액을 90~120℃에서 60~120분 동안 교반하면서 첨가된 알카라제(alcalase)를 실활시키는 단계;
    (d)상기 (c)단계의 가수분해된 굴의 잔사를 40~200메쉬의 진동체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남은 굴의 가수분해액을 수거하는 단계; 및
    (e)상기 (d)단계의 수거된 굴의 가수분해액을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굴 추출농축액은
    (a)’굴을 수세, 탈염, 분쇄하여 추출이 용이하도록 전처리하는 단계;
    (b)’상기 (a)’단계의 전처리된 굴에 10~20배수의 물을 혼합하여 70~90℃에서 60~90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의 추출된 굴의 잔사를 40~200메쉬의 진동체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남은 굴의 추출액을 수거하는 단계;
    (d)’상기 (c)’단계의 수거된 굴의 추출액을 30~50℃의 온도에서 감압하여 농도가 20~40%가 되도록 농축하는 단계; 및
    (e)’상기 (d)’단계의 농축된 굴의 추출농축액을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의 제조방법.
  10.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시마 추출액은
    (ㄱ)다시마를 수세 및 탈염을 통해 추출이 용이하도록 전처리하는 단계;
    (ㄴ)상기 (ㄱ)단계의 전처리된 다시마에 10~20배수의 50% 주정을 혼합하여 70~90℃에서 60~120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는 단계;
    (ㄷ)상기 (ㄴ)단계의 추출된 다시마의 잔사를 압력여과기(filter press)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남은 다시마 추출액을 수거하는 단계;
    (ㄹ)상기 (ㄷ)단계의 수거된 다시마 추출액을 30~50℃의 온도에서 감압하여 농도가 25%가 되도록 농축하는 단계; 및
    (ㅁ)상기 (ㄹ)단계의 농축된 다시마 추출액을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의 제조방법.
  11.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4) 또는 (4)’단계에서 발효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또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의 단독균주, 또는 이들을 혼합한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의 제조방법.
  12.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4) 또는 (4)’단계에서 발효균주는 발효소재 전체 중량의 1~5%(v/v)가 되도록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의 제조방법.
  1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발효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관련 수용체인 GABAA(gamma-aminobutyric acid type A) 수용체와 5-HT2c(5-hydroxytryptamine-2c) 수용체가 관여하는 기작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장애는 불면증, 수면 중 이상한 움직임 및 무호흡증, 주간과다졸림증을 동반하는 수면장애 및 신경안정제(barbiturate)계 마취제인 펜토바르비탈(pentobarbital)로 개선 가능한 수면장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20095150A 2012-08-29 2012-08-29 굴과 해조류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천연 가바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30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150A KR20140030454A (ko) 2012-08-29 2012-08-29 굴과 해조류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천연 가바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3/007421 WO2014035089A1 (ko) 2012-08-29 2013-08-19 굴과 해조류의 혼합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176988A JP2014047213A (ja) 2012-08-29 2013-08-28 カキと海藻類の混合物の発酵物を有効成分で含むストレス解消または睡眠障害改善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150A KR20140030454A (ko) 2012-08-29 2012-08-29 굴과 해조류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천연 가바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454A true KR20140030454A (ko) 2014-03-12

Family

ID=5018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150A KR20140030454A (ko) 2012-08-29 2012-08-29 굴과 해조류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천연 가바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4047213A (ko)
KR (1) KR20140030454A (ko)
WO (1) WO20140350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658B1 (ko) * 2015-07-15 2016-01-21 (주)폴리온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1119B2 (ja) * 2014-05-28 2016-11-02 株式会社ライフクォリティ研究所 筋量低下抑制組成物
CN104069352A (zh) * 2014-07-28 2014-10-01 邱惠玲 治疗阴虚火旺型失眠的药物组合物及其蜜丸制作方法
FR3074405B1 (fr) * 2017-12-02 2021-10-22 Catherine Catanzano Sel d'huitres
KR102132862B1 (ko) * 2018-06-15 2020-07-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굴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물을 포함하는 뼈 건강 개선용 조성물
US20210177028A1 (en) * 2018-08-20 2021-06-17 Fermbiotics Holding ApS Improved human food product
TWI731377B (zh) * 2019-07-25 2021-06-21 生展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短乳酸桿菌ProGA28及其代謝物用於治療或改善睡眠障礙之用途
WO2023074708A1 (ja) * 2021-10-25 2023-05-04 シード医療製薬株式会社 入眠改善用食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668B2 (ja) * 1986-03-07 1994-07-20 日本クリニツク株式会社 精神分裂病治療用組成物
JP4115561B2 (ja) * 1997-09-11 2008-07-09 仙味エキス株式会社 育毛促進剤
JP2003252755A (ja) * 2002-03-04 2003-09-10 Pharmafoods Kenkyusho:Kk 癒し効果組成物
JP4128892B2 (ja) * 2003-03-17 2008-07-30 焼津水産化学工業株式会社 飲食品の塩味増強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調味料
KR101025286B1 (ko) * 2008-09-04 2011-03-29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다시마의 발효에 의한 다량의 gaba를 함유한 발효산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 발효조미료와 다시마 발효분말의 제조 방법
KR101059482B1 (ko) * 2008-09-04 2011-08-25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해조류의 발효에 의한 gaba의 제조방법
KR20110012047A (ko) * 2009-07-29 2011-02-09 가부시키가이샤 미야토우 야소우 겐큐쇼 효소 함유의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건강식품
KR101207899B1 (ko) * 2009-12-30 2012-12-04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굴을 이용한 다량의 타우린 및 gaba을 함유하는 기능성 발효소재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658B1 (ko) * 2015-07-15 2016-01-21 (주)폴리온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5089A1 (ko) 2014-03-06
JP2014047213A (ja)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0454A (ko) 굴과 해조류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천연 가바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1744B1 (ko)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경옥고 제조방법
CN111194841A (zh) 一种具备提高免疫力和改善睡眠质量的功能性螺旋藻蛋白肽饮品
CN105639014B (zh) 一种多肽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820297B (zh) 一种猕猴桃保健果醋及其制备方法
KR101490786B1 (ko) 아까시재목버섯의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594219B1 (ko) 발효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 및 증진용 조성물
US2018029661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unctional health fo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water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pf.) as active ingredient
KR20200043250A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발효배양액 및 비타민 b6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5575B1 (ko) 발아현미의 수용성 gaba성분 추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당뇨환자용 건강기능 조성물
KR101779536B1 (ko) 둥굴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장애 치료 및 수면 시간 증진을 위한 조성물
KR20130130131A (ko) 흑마늘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50046B1 (ko) 항비만 효능을 갖는 복합 생약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95471A (ko) 오미자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98821B1 (ko) 황칠 발효물 및 l-세린을 이용한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KR20140072418A (ko) 비만 개선용 조성물
KR102568049B1 (ko) 커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019296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발효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297867B2 (ja) モロヘイヤ抽出物を含有する抗疲労剤又は体力向上剤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2894093A (zh) 一种新型无糖苦荞与核桃乳饮料及其制作方法
KR20130065127A (ko) 젖색손등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444884B1 (ko) 비타민 b1 및 b2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맥주효모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1557B1 (ko)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7368B1 (ko) 데옥시노지리마이신 및 아르기닌 함량이 증가된 누에 추출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53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428

Effective date: 2017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