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049B1 - 커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커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049B1
KR102568049B1 KR1020220149619A KR20220149619A KR102568049B1 KR 102568049 B1 KR102568049 B1 KR 102568049B1 KR 1020220149619 A KR1020220149619 A KR 1020220149619A KR 20220149619 A KR20220149619 A KR 20220149619A KR 102568049 B1 KR102568049 B1 KR 102568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obesity
green coffee
coffee bea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1617A (ko
Inventor
안정엽
Original Assignee
바이오앤슈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앤슈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앤슈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8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33Curv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Zo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커피 발효물, 구체적으로 커피 생두 발효물은 커피 생두 추출물에 비해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커피 생두 추출물 대비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되는 체중의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고지방식이에 의해 증가되는 부고환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현저하므로, 커피 생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비만 치료제 또는 사료 첨가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mprising coffee fermented produ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커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로, 비만인 경우 일반적으로 체중이 많이 나가지만, 비만이 아니더라도 근육이 많은 사람도 체중이 많이 나갈 수 있기 때문에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비만으로 정의한다.
오랜 기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 섭취할 경우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비만이 유도되며, 이 외에도 호르몬의 변화, 유전, 정신 건강 문제 및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전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로, 최근 성인병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받으며 비만의 심각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비만을 예방 및 개선하고, 건강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균형잡힌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을 통하여 평생 동안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지방세포는 한번 만들어지면 크기는 줄일 수 있으나, 자연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영구적으로 인체에 남아있게 되므로 처음부터 비만이 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해서 섭취하는 칼로리를 줄이고, 활동 및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지방흡수를 감소시키는 등의 약물을 복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는 치료제로는 세로토닌 신경계를 저해하는 펜플루라민,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를 통한 에페드린 및 카페인,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에 동시에 작용하는 시부트라민 및 췌장에서 생성되는 리파아제를 저해하여 지방의 흡수를 줄여주는 오르리스타트 등의 약물이 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어온 약물 중 펜플루라민 등은 원발성 폐고혈압이나 심장 판막 병변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켜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다른 약물들도 혈압 감소나 유산혈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심부전, 신질환 등의 환자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적은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물질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617590호에 아로니아, 아사이베리 및 스테비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식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923603호에 녹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커피 발효물, 구체적으로 커피 생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해 전혀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커피 발효물, 구체적으로 커피 생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커피 발효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피 생두(green coffee bean)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생두(green coffee bean)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생두(green coffee bean)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커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커피 발효물, 구체적으로 커피 생두 발효물은 커피 생두 추출물에 비해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커피 생두 추출물 대비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되는 체중의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고지방식이에 의해 증가되는 부고환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커피 생두 발효물의 외관 및 성상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커피 생두 추출물 또는 커피 생두 발효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커피 생두 발효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A)는 100㎍/mL의 커피 생두 추출물 또는 커피 생두 발효물 처리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고, (B)는 커피 생두 발효물 농도에 따른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MDI[IBMX(3-isobutyl-1-methylxanthi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및 인슐린(insulin)의 혼합물]는 분화 유도 물질로, OP9 지방전구세포(OP9 pre-adipocyte cell)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 ***은 시료 무처리군 대비 시료 처리군의 지방세포 분화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은 p<0.05, ***은 p<0.001이다. 도면 내 서로 다른 문자 a~e는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5이다.
도 4는 고지방식이에 의한 비만 유도 동물모델에서, 커피 생두 추출물 또는 커피 생두 발효물 섭취에 따른 체중 증가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ND은 일반식이군이고, HFD는 고지방식이군이다. @@은 일반식이군에 비해 시료는 섭취하지 않고 고지방식이만 섭취한 군의 체중 증가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1이다. *, **은 시료는 섭취하지 않고 고지방식이만 섭취한 군에 비해 시료 및 고지방식이 섭취 군의 체중 증가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은 p<0.05, **은 p<0.01이다. #은 커피 생두 추출물 및 고지방식이 섭취 군에 비해 커피 생두 발효물 및 고지방식이 섭취 군의 체중 증가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5이다.
도 5는 고지방식이에 의한 비만 유도 동물모델에서, 커피 생두 추출물 또는 커피 생두 발효물 섭취에 따른 부고환지방 무게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정상군은 일반식이군이고, HFD는 고지방식이군이다. @@@은 일반식이군에 비해 시료는 섭취하지 않고 고지방식이만 섭취한 군의 부고환지방 무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01이다. ***은 시료는 섭취하지 않고 고지방식이만 섭취한 군에 비해 커피 생두 발효물 및 고지방식이 섭취 군의 부고환지방 무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01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피 생두(green coffee bean)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발효물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를 이용하여 발효한 것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6년 11월 16일자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SRCM101123 균주(기탁번호: KCCM11933P)를 이용하여 발효한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효물은 커피 생두 1 중량부에 대하여 2~10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한 후,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를 접종한 다음 30~37℃에서 12~72시간 동안 발효한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커피 생두 1 중량부에 대하여 2~5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한 후,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SRCM101123 균주(기탁번호: KCCM11933P)를 접종한 다음 30~37℃에서 12~48시간 동안 발효한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생두(green coffee bean)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발효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피 생두 발효물은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생두(green coffee bean)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본 발명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농축액, 분말 또는 과립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메리 추출물(rosemary extract),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는 보조성분으로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생물질, 항균물질, 항산화, 항곰팡이 효소,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질병예방제 등과 같은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동물에게 단독으로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조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는 탑 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동물 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로, 별도의 경구 제형으로, 주사 또는 경피로 또는 다른 성분과 조합하여 쉽게 투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단독 일일 투여량 또는 분할 일일 투여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를 동물 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추출물의 투여 형태는 이들을 비-독성 제약상 허용 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석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콩 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 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추출물의 투여형은 정제, 캡슐제, 산제, 토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연 젤라틴 캡슐제, 또는 시럽제 또는 액체 현탁액제,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투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투여 형태는 보조제,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 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물이 사료 첨가제로 포함되는 동물사료는 동물의 식이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단백질-함유 유기 곡분일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함유 곡분은 통상적으로 옥수수, 콩 곡분 또는 옥수수/콩 곡분 믹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사료 첨가제는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상기 동물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 또는 사료첨가제는 반려동물의 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제조예 1. 커피 생두 발효물의 제조
커피 생두(green coffee bean)를 0.1mm 크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121℃에서 15분 동안 멸균하였다. 상기 멸균한 커피 생두 분말에 분말 중량 대비 50배의 물을 첨가한 다음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SRCM101123 균주(기탁번호: KCCM11933P)를 접종한 후, 35℃에서 24시간 동안 발효하여 커피 생두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커피 발효물은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갈색의 액체상태였다.
비교예로 사용된 커피 생두 추출물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쇄 및 멸균한 다음 분말 중량 대비 50배의 물을 첨가한 후, 95℃에서 2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획득하였다.
커피 생두 발효물 및 커피 생두 추출물은 0.22㎛의 시린지 필터로 여과한 후,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커피 생두 발효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1) 실험 세포주
실험에 사용된 OP9 지방전구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분양 받았고, 세포 배양을 위한 시약은 Gibco(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 배양 배지는 20%(v/v) FBS, 2mM L-글루타민, 100U/mL 페니실린 및 100㎍/mL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한 MEM-α 배지를 사용하였고, 37℃, 5% CO2로 유지되는 세포 배양기에서 2~3일에 한번씩 계대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시료에 따른 세포 독성 분석
시료에 따른 세포 독성은 WST(Water soluble tetazolium salt)를 사용한 포르마잔 검출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104개의 세포 수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안정화 과정을 거친 후, 각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시료의 희석은 PBS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배양 후, WST 시약(Ez-Cytox, Dogen, Korea)을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하여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Tecan Trading AG, Switzerland)를 이용하여 흡광도(450nm, 600nm)를 측정한 다음 하기 식 1의 방법으로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식 1]
세포 생존율(%)=(시료 처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그 결과,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피 생두 발효물 및 커피 생두 추출물은 100㎍/mL의 농도까지 85%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후 실험에서는 100㎍/mL 이하의 농도만 사용하였다.
3) 커피 생두 발효물의 지방분화 억제 효과 확인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OP9 세포를 10% FBS(v/v), 175nM 인슐린, 0.25μ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0.5mM IBMX(3-isobutyl-1-methylxanthine), 2mM L-글루타민, 100U/mL 페니실린 및 100㎍/mL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한 MEM-α 배지로 배양하고, 2일 후, 10%(v/v) FBS, 175nM 인슐린, 2mM L-글루타민, 100U/mL 페니실린 및 100㎍/mL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한 MEM-α 배지로 교체한 후, 3일 동안 배양하였다. 시료의 처리는 분화유도 과정 중 함께 진행되었다.
분화 종료 후, ORO(Oil Red O) 염색을 시행하였다.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제거한 후, PBS로 2회 세척한 다음 4%(v/v) 포름알데히드로 20분 동안 상온에 반응시킨 후, 새로운 4%(v/v) 포름알데히드로 교체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켜 세포를 고정하였다. 그 후, 60%(v/v)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1분 동안 2회 세척한 다음 Oil Red O 용액을 처리하여 10분 동안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지방세포분화를 분석하였다. 정량적 평가를 위해, 이소프로판올을 처리하여 염색된 시약을 용출시켜 회수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Infinite 200, Tecan Co, Switzerland)를 사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A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시료 무처리군 대비 100㎍/mL의 커피 생두 추출물 및 커피 생두 발효물을 처리한 경우 지방세포 분화 억제율이 현저하였고, 특히 커피 생두 추출물 대비 본 발명의 커피 생두 발효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커피 생두 발효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도 3B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피 생두 발효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커피 생두 발효물의 항비만 효과
실험동물은 수컷 C57BL/6N 마우스를 오리엔트바이오(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주일 동안 환경에 적응시킨 후 무작위로 4개의 그룹[일반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고지방식이+커피 생두 추출물 섭취군, 고지방식이+커피 생두 발효물 섭취군]으로 나누었다.
실험동물은 물과 식이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일반식이군은 일반식이 사료(10% fat kcal)를 섭취하도록 하였고, 그 외 3개 그룹은 고지방식이 사료(60% fat kcal)를 섭취하도록 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5주 동안 각각의 식이 사료를 섭취하도록 함과 동시에 커피 생두 추출물 섭취군 또는 커피 생두 발효물 섭취군은 각각의 시료를 5mL/kg의 양으로 1일 1회 경구투여하였다. 온도 22℃, 습도 55%, 명/암 주기는 12시간으로 유지하였다.
1) 체중 증가 억제 효과
실험 종료 후, 각 동물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실험 전과 비교하여 체중 증가량을 확인한 결과,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에 의해 증가된 체중 증가량은 커피 생두 추출물 또는 커피 생두 발효물 섭취시 감소하였고, 특히 커피 생두 추출물에 비해 커피 생두 발효물 섭취에 의한 체중 감소 효과가 현저하였다.
2) 부고환지방 무게 감소 효과
실험 종료 후, 마우스로부터 부고환지방조직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에 의해 증가된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커피 생두 추출물 섭취시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커피 생두 발효물 섭취시 현저히 감소하였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1933P 20161116

Claims (7)

  1.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SRCM101123 균주(기탁번호: KCCM11933P)를 이용하여 발효한, 커피 생두(green coffee bean)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30~37℃에서 12~72시간 동안 발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생두 발효물은
    커피 생두 1 중량부에 대하여 2~10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한 후,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SRCM101123 균주(기탁번호: KCCM11933P)를 접종한 다음 30~37℃에서 12~72시간 동안 발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SRCM101123 균주(기탁번호: KCCM11933P)를 이용하여 발효한, 커피 생두(green coffee bean)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SRCM101123 균주(기탁번호: KCCM11933P)를 이용하여 발효한, 커피 생두(green coffee bean)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사료 첨가제.
KR1020220149619A 2021-11-30 2022-11-10 커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568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69087 2021-11-30
KR1020210169087 2021-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617A KR20230081617A (ko) 2023-06-07
KR102568049B1 true KR102568049B1 (ko) 2023-08-18

Family

ID=8676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9619A KR102568049B1 (ko) 2021-11-30 2022-11-10 커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0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071B1 (ko) * 2016-12-01 2018-11-20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커피 로부스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JP2020065448A (ja) * 2018-10-22 2020-04-30 長谷川香料株式会社 発酵コーヒーエキス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886A (ko) * 2013-03-22 2014-10-01 조영래 발아 및 발효에 의한 다이어트 커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071B1 (ko) * 2016-12-01 2018-11-20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커피 로부스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JP2020065448A (ja) * 2018-10-22 2020-04-30 長谷川香料株式会社 発酵コーヒーエキス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LOS, March 2013, Volume 8, Issue 3, e59470 사본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617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H11187843A (ja) 肥満改善用の飲食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物
KR20140030454A (ko) 굴과 해조류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천연 가바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4432069B2 (ja) 肥満抑制剤
KR101709281B1 (ko)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8029661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unctional health fo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water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pf.) as active ingredient
KR102568049B1 (ko) 커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075554B1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02652B1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물질 및 맥주효모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521341B1 (ko) 북두근, 북두근 추출물, 북두근 오니 또는 북두근 맥아 효소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11036A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7070265A (ja) 脂質代謝改善用組成物
KR102515226B1 (ko) 풋귤 및 검정무의 혼합발효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2633488B1 (ko) 배초향 추출물 또는 틸리아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91746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EP3939603A1 (en) Catechin enzyme-treated material having increased gallic acid, epicatechin and epigallocatechin content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EP3620166B1 (en) 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mprising the pulverized material of odontella aurita as an active ingredient
US20240082331A1 (en) Anti-obesity composition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moringa oleifera fermentation product prepared using novel monascus purpureus sl1
KR102448274B1 (ko) 보골지 추출물의 조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234333B (zh) 利用枸杞、桑葚及大枣的用于增强免疫的组合物、用于预防或治疗退行性神经疾病的组合物
KR101886802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KR101904819B1 (ko) 여주와 마늘을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Jis-1로 발효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