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557B1 -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557B1
KR102001557B1 KR1020180152162A KR20180152162A KR102001557B1 KR 102001557 B1 KR102001557 B1 KR 102001557B1 KR 1020180152162 A KR1020180152162 A KR 1020180152162A KR 20180152162 A KR20180152162 A KR 20180152162A KR 102001557 B1 KR102001557 B1 KR 102001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sent
dermis
preven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도현
전진환
강경표
Original Assignee
메디케어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케어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디케어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557B1/ko
Priority to US16/676,937 priority patent/US11285188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4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64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Diabet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진호(Artemisiae capillaris Herba) 및 진피(Citrus unshiu Peel)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인진 및 진피 복합추출물에서 인진호 단독 추출물보다 비만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 예방에 유용한 성분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고, 고지방식이 마우스 모델에서 혈중 총콜레스테롤, LDL 및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비만,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증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기능성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 comprising Artemisiae capillaris herba and Citrus unshiu peel complex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인진호(Artemisiae capillaris Herba) 및 진피(Citrus unshiu Peel)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대사성 질환은 당질, 지질,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및 수분의 불균형에 의한 질환을 총칭하며 이중 지질관련 대사성 질환은 생체 내 과도한 지질 축적에 의해서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증 등이 있다. 이들 지질관련 대사성 질환은 대부분 식습관의 서구화 및 운동부족에 의해 유발된다.
구체적으로 최근 산업화된 국가들에서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과다한 열량 섭취를 유발하는 육식 위주로 식생활이 변화하였고, 이에 반해 턱없이 부족한 운동 습관으로 빠른 비만 인구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비만은 지방의 형태로 에너지가 과잉 축적된 상태를 가리키며, 에너지의 과다 섭취와 소비 부족이라는 불균형의 결과이다. 특히, 비만은 고혈압, 고지혈증, 저 HDL 콜레스테롤혈증, 내당능 장애나 제2형 당뇨병과 동반되어 나타나며, 이러한 대사 장애에 의해 건강의 중대한 위험 요소가 된다.
체내에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상태인 고콜레스테롤혈증 또한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규정하고 있는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 중 하나로, 포화지방산이나 콜레스테롤의 과다섭취, 과식, 음주 등과 같은 식이요인에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죽상동맥경화의 가장 중요한 독립인자인 고지혈증은 혈중 콜레스테롤(cholesterol)이나 중성지방(triglyceride)이 정상 이상으로 높아진 상태를 말한다. 고지혈증 역시 생활습관의 서구화, 영양섭취량의 증가, 동물성 지방 섭취량의 증가, 평균체중의 증가, 운동량 감소, 스트레스 증가, 평균 수명의 연장 및 노년층 인구의 증가가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요인들은 주로 식이 및 체중조절과 관련되어 있는데 특히 비만은 콜레스테롤과 지단백(lipoprotein) 대사에 이상을 초래하여 고지혈증의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 과체중이거나 비만한 사람은 혈장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정상인보다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
한편,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환경오염에 의한 생활환경 악화, 정신적 스트레스 가중, 활동량 부족 등에 노출되어 있는 현대인들은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바쁜 일상생활과 피로 등으로 건강관리를 못하는 현대인들은 운동의 대안으로 다양한 기능성 식품 복용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기능성 식품의 오남용, 일시적으로 과도한 운동은 건강에 치명적인 부작용을 수반할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식물 추출물과 같이 안전성이 보장된 천연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안전성이 보장된, 비만 이로 인해 유발되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등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을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인진호(Artemisiae Capillaris Herba) 및 진피(Citrus Unshiu Peel)를 배합하여 제조한 복합추출물에서 비만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 예방에 유용한 성분의 함량이 현저히 높게 나타나고, 상기 복합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고지방식이 마우스 모델에서 혈중 총콜레스테롤, LDL 및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비만,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증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기능성 소재로 이용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0163호
WHO. Report of the formal meeting of member states to conclude the work on the comprehensive global monitoring framework. 2012. 이상지혈증 진료지침(제3판).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2015. Hwang GH, Huh YR. A study of hyperlipidemia in koreans-I. Specially related to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t's risk factors for hypercholesterolemia. Korean J Food Nutr 1999;12(3):279-89. Jung-Ran Noh, Yong-Hoon Kim, Jung Hwan Hwang, Gil-Tae Gang, Seung-Hoon Yeo, Kyoung-Shim Kim, Won-Keun Oh, Sun-Yung Ly, In-Kyu Lee, Chul-Ho Lee. Scoparone inhibits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down-regula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 γ in 3T3-L1 preadipocytes. Food Chemistry 141 (2013) 723-730.
본 발명의 목적은 인진호(Artemisiae Capillaris Herba) 및 진피(Citrus Unshiu Peel)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진호(Artemisiae capillaris Herba) 및 진피(Citrus unshiu Peel)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진호(Artemisiae capillaris Herba) 및 진피(Citrus unshiu Peel) 복합추출물은 인진호 단독 추출물보다 비만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 예방에 유용한 성분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고, 고지방식이 마우스 모델에서 혈중 총콜레스테롤, LDL 및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비만,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증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기능성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진호(Artemisiae capillaris Herba) 및 진피(Citrus unshiu Peel)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인진호 및 진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1)의 인진호 및 진피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1)의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으로는 초음파추출, 진탕추출, Soxhelt 추출 또는 환류 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를 세척하고 잘 건조된 인진호 및 진피 분량의 1 내지 15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추출 온도는 20 내지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9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 내지 48시간이 바람직하며, 2 내지 24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진호 및 진피를 혼합한 후 이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나, 인진호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혼합하는 형태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2)를 거친 후 하기의 단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3) 단계 2)의 여과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농축물을 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수득하고, 이를 감압 농축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인진호 : 진피를 1 : 0.1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1 : 0.3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1 : 0.5 내지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보다 더 구체적으로 1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만,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증, 당뇨병, 동맥경화증 또는 지방간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비만, 고지혈증 또는 고콜레스테롤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인진호 및 진피를 1 : 0.5 내지 2의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인진호 및 진피의 복합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비만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 예방에 유용한 성분인 스코파론(Scoparone) 함량을 측정한 결과, 인진호 및 진피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상기 인진호 및 진피 복합 추출물에서 스코파론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진호 및 진피를 1 : 1의 혼합 비율로 혼합한 경우 스코파론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 인진호 및 진피의 시너지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고지방식이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인진호 및 진피 복합 추출물을 12주 동안 경구투여한 후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상기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고지방식이군에서 혈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LDL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이 인진호 단독 추출물보다 현저히 높은 스코파론 함량을 나타내고, 고지방식이 마우스 모델에서 혈중 총콜레스테롤, LDL 및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비만,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증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혼합생약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상기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1일 0.00001 내지 1 g/kg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0.001 내지 200 mg/kg으로, 보다 더 구체적으로 0.01 내지 100 mg/kg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 이들의 혼합 비율, 추출방법, 대사성 질환에 대해서는 상기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내용을 원용하고, 이하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의 특유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이 인진호 단독 추출물보다 현저히 높은 스코파론 함량을 나타내고, 고지방식이 마우스 모델에서 혈중 총콜레스테롤, LDL 및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비만,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증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복합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비스켓, 떡,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복합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인진호 ( Artemisiae capillaris Herba ) 및 진피( Citrus unshiu Peel) 복합추출물의 제조
광명당제약에서 구입한 인진호(Artemisiae capillaris Herba) 및 진피(Citrus u nshiu Peel) 각각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증류수 2000 mL 및 83% 에탄올 2000 mL 용매에 넣고 7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액을 얻었다. 얻어진 여과액을 회전증발농축기(Rotavoper R-100, BUCHI사)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조건
실시예
1-1 1-2 1-3 1-4 1-5 1-6
혼합
조성
인진호(g) 500 500 500 500 500 0
진피(g) 0 250 500 750 1000 1000
용매
조성
증류수(mL)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83% 에탄올(mL)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추출 온도(℃) 70 70 70 70 70 70
추출 시간(시간) 3 3 3 3 3 3
< 실험예 1>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의 스코파론 ( Scoparone ) 함량 분석
스코파론(Scoparone)은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세포에서 중성지방(triglyceride)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비만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을 예방에 유용한 화합물로 잘 알려져 있다(Jung-Ran Noh et al. 2013). 이에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의 비만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에 포함된 성분으로 스코파론 함량을 LC-mass로 분석하였다.
실시예
1-1 1-2 1-3 1-4 1-5 1-6
concentration(㎍/mL) 68.2792 74.0251 83.7753 76.4366 76.3629 0
content(mg/g) 6.8279 7.4025 8.3775 7.6437 7.6363 0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피 단독 추출물인 실시예 1-6의 경우 스코파론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진호 단독 추출물인 실시예 1-1의 경우 스코파론이 포함되어 있기는 하나, 인진호 : 진피를 1 : 0.5 내지 2의 혼합 비율로 혼합한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인 실시예 1-2 내지 1-5보다는 스코파론 함량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인진호 : 진피를 1 : 1의 혼합 비율로 혼합한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인 실시예 1-3의 스코파론 함량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인진호에 진피를 혼합하여 추출할 경우 이들의 시너지 작용에 의해 인진호를 단독으로 추출할 경우보다 스코파론 함량이 현저히 증가함으로써, 인진호 단독 추출물에 비해 비만을 포함한 대사성 질환 치료 효과가 보다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1 : 0.5 내지 2의 혼합 비율(인진호 : 진피)로 혼합할 경우 그 효과가 보다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의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증 치료 효과 확인
<2-1> 실험동물 제작
6주령의 암컷 ICR 마우스(SLC사) 64마리를 구입하여, 1주일 동안 22±1℃, 41±1% 습도에서 명암주기 12시간 간격을 유지하면서 정상식이를 공급하여 일반 적응 기간을 주었다. 그 다음, 임의로 16마리 및 48마리로 나눈 후, 1주일 동안 상기와 동일한 온도, 습도 및 명암주기 조건을 유지하면서 16마리 군(정상식이 공급군)은 정상식이(CA.170481, Teklad사)를 공급하고, 48마리 군(고지방식이 공급군)은 지방이 45 kcal% 함유된 고지방식이(D12451, Research Diets사)를 공급하여 사료 적응 기간을 주었다.
총 14일간의 적응 기간을 거친 후, 건강한 마우스를 총 32마리 선별하여 하기 [표 3]의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구체적으로, 정상식이 공급군에서는 정상식이군 8마리를 선별하였고, 고지방식이 공급군에서는 고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복합추출물 투여군 및 고지방식이+로바스타틴 투여군 각각 8마리씩 24마리를 선별하였다. 각 실험군에 증류수 또는 스코파론 함량이 가장 높은 실시예 1-3의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하루 1회씩 12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또한, 비교군으로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증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는 로바스타틴(lavastatin, 한미약품)을 하루 1회씩 12주간 경구투여하였다. 복합추출물 및 로바스타틴은 증류수에 현탁하여 경구투여하였다. 또한, 정상군은 정상식이를 공급하였고, 나머지 실험군은 12주간 고지방식이를 공급하였다.
실험군 투여한 시료 식이
정상군 12주간 증류수 1회 정상식이
고지방식이군 12주간 증류수 1회 45 kcal% 지방 함유 고지방식이
고지방식이+
복합추출물 투여군
12주간 실시예 1-3의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 100 mg/증류수 10 mL/kg/day 경구투여 45 kcal% 지방
함유 고지방식이
고지방식이+
로바스타틴 투여군
12주간 로바스타틴 20 mg/증류수 10 mL/kg/day
경구투여
45 kcal% 지방
함유 고지방식이
<2-2>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의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증 치료 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 <2-1>의 실험군에서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함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2-1>의 실험군 각각에 시료를 12주간 경구투여한 후 실험 마지막 날 모든 동물을 ether 흡입 마취 하에 채혈하였고, 채취한 혈액 1 mL를 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장 중의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및 LDL(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함량은 AnalystIII 키트(Hemagen Diagnositics사)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절차에 따라 측정하였고, HDL(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함량은 AU400 키트(Olympus사)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절차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험군
혈청 함량(mg/dl)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 HDL
정상군 65.29±1.91 51.26±2.07 9.93±1.23 69.95±2.60
고지방식이군 151.69±6.86 129.27±9.13 18.57±0.52 46.52±3.39
고지방식이+
복합추출물 투여군
93.36±4.41 57.35±3.41 12.89±0.61 69.86±1.69
고지방식이+
로바스타틴 투여군
83.26±7.40 81.43±5.24 14.91±0.46 62.44±1.96
그 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LDL 함량은 고지방식이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고지방식이+복합추출물 투여군의 경우 그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중성지방 및 LDL 함량은 고지방식이+로바스타틴 투여군에 비해 보다 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HDL 함량은 정상군과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를 결과를 통해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은 HDL의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총콜레스테롤, LDL 및 중성지방을 감소시킴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증가로 인한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증 등의 대사성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조예를 예시한다.
< 제조예 1>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 10 m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 0.1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 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 0.1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 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환의 제조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 1 m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1-5> 과립의 제조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 0.15 mg
대두 추출물 50 mg
포도당 200 mg
전분 600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mg을 첨가하여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 제조예 2>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식품의 제조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의 0.5 내지 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2-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의 0.1 내지 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의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의 5 내지 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 제조예 3>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음료의 제조
<3-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 100 mL를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3-2>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 100 mL를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mL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3-3>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 100 mL를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mL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12)

  1. 인진호(Artemisiae capillaris Herba) 및 진피(Citrus unshiu Peel)를 1 : 0.5 ~ 2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복합추출물로 구성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물 및 에탄올 혼합 용매로 추출하는 것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인진호 및 진피를 1 : 0.5 ~ 2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복합추출물로 구성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물 및 에탄올 혼합 용매로 추출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152162A 2018-11-30 2018-11-30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1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162A KR102001557B1 (ko) 2018-11-30 2018-11-30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6/676,937 US11285188B2 (en) 2018-11-30 2019-11-07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artemisiae capillaris herba and citrus unshiu peel complex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162A KR102001557B1 (ko) 2018-11-30 2018-11-30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557B1 true KR102001557B1 (ko) 2019-07-17

Family

ID=6751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162A KR102001557B1 (ko) 2018-11-30 2018-11-30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85188B2 (ko)
KR (1) KR1020015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122B1 (ko) * 2006-11-17 2007-12-21 주식회사 휴온스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80090163A (ko) 2007-04-04 200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 캘리브레이션 모드를 가진 위상동기루프 회로 및위상동기루프 회로의 프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440B1 (ko) * 2008-05-02 2015-01-19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054594B1 (ko) * 2009-11-16 2011-08-04 남종현 간 기능 개선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122B1 (ko) * 2006-11-17 2007-12-21 주식회사 휴온스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80090163A (ko) 2007-04-04 200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 캘리브레이션 모드를 가진 위상동기루프 회로 및위상동기루프 회로의 프리 캘리브레이션 방법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wang GH, Huh YR. A study of hyperlipidemia in koreans-I. Specially related to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t's risk factors for hypercholesterolemia. Korean J Food Nutr 1999;12(3):279-89.
Journal of Life Science. 2015. Vol.25, No3, pp.285-292.* *
Jung-Ran Noh, Yong-Hoon Kim, Jung Hwan Hwang, Gil-Tae Gang, Seung-Hoon Yeo, Kyoung-Shim Kim, Won-Keun Oh, Sun-Yung Ly, In-Kyu Lee, Chul-Ho Lee. Scoparone inhibits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down-regula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 γ in 3T3-L1 preadipocytes. Food Chemistry 141 (2013) 723-730.
Molecules. 2013. Vol.18. pp.9241-9252.* *
WHO. Report of the formal meeting of member states to conclude the work on the comprehensive global monitoring framework. 2012.
이상지혈증 진료지침(제3판).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20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71113A1 (en) 2020-06-04
US11285188B2 (en)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3016A (ko)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18403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3657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1509796B1 (ko) 블루베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29492A (ko)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53108A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2644808B1 (ko) 신품종 고춧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1557B1 (ko)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18404B1 (ko)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101077916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154031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KR101811210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 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11779626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by using goji berries, mulberries and jujubes
KR102242002B1 (ko) 동충하초균사체로 고상발효된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3916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04819B1 (ko) 여주와 마늘을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Jis-1로 발효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3915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1241338B1 (ko) 편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07991B1 (ko) 비만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91488B1 (ko) 톱풀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147743A (ko) 감마폴리글루탐산 및 레반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