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658B1 -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658B1
KR101582658B1 KR1020150100584A KR20150100584A KR101582658B1 KR 101582658 B1 KR101582658 B1 KR 101582658B1 KR 1020150100584 A KR1020150100584 A KR 1020150100584A KR 20150100584 A KR20150100584 A KR 20150100584A KR 101582658 B1 KR101582658 B1 KR 101582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washing
aging
hours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만재
정현국
Original Assignee
(주)폴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폴리온 filed Critical (주)폴리온
Priority to KR102015010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30
    • A23L1/0121
    • A23L1/333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6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23V2250/2042Marine animal, fish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은 신선한 원료인 석화를 입고하여 저온으로 저장 보관하는 원료구비단계와, 원료구비단계에서 구비된 원료를 소금물에 1차 세척하는 제1세척과정 및 폭기조를 사용하여 세척하는 제2세척과정 및 살균수로 살균 세척하는 제3세척과정을 포함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단계에 의해서 세척된 원료를 스팀기로 가압 살균하는 찌기단계와, 찌기단계를 거치면서 쪄진 원료를 균질기를 사용하여 균질화하는 균질화단계와, 균질화된 원료에 가수하여 85~110℃에서 6~10시간 동안 추출하는 1차추출단계와, 1차추출단계에서 추출된 1차추출액을 숙성탱크로 기송하면서 필터에 의해서 필터링이 이루어진 잔여물에 가수하여 85~110℃에서 6~10시간 동안 추출하는 2차추출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후 추가원료배합단계, 숙성단계, 농축단계,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단계, 분쇄단계, 제품완성단계가 더 추가됨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섭취할 시 석화가 본래 가지고 있던 각종 효능으로 건강증진효과를 제공하며, 이와 함께 즉석성, 간편성,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분말, 음료, 엑기스, 차, 캡슐, 환, 타정, 정제 등의 다양한 성상으로 제조하여 섭취 시 접근성 및 기호도를 높일 수 있으며, 경제적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food made from oyster}
본 발명은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체에 각종 유익한 효능을 갖는 석화를 이용하여 깨끗하고 영양분이 우수하며, 건강증진효과를 갖도록 한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석화(石花, oyster)는 식용종인 참굴을 말하며 굴조개라고도 하고, 이매패류에 속하며, 모려(牡蠣) 등으로 표기하기도 하며, 이러한 석화는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었으며, 주로 생으로 섭취하거나 구워서 섭취하는 등 자연 그대로 섭취하거나 다양한 요리의 원료나 첨가재료로 사용되어 왔던 것이다.
이러한 석화와 관련된 선행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0년 제24152호(2000년 5월 6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냉동 건조시킨 석화를 인스턴트의 짬뽕면의 조리첨가물로 첨가시키기 위한 제조방법은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은 단지 하나의 요리에 첨가만 할 뿐 다양한 식품으로 섭취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1년 제57037호(2001년 7월 4일자 공개) 및 공개특허 2007년 제20545호(2007년 2월 21일자 공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굴, 즉 석화를 주재료로 하는 식품들이 다수 개발되어 왔음을 알 수 있으나, 이러한 석화를 주재료로 한 식품의 제조방법을 권리대상으로 하는 기술들도 하나 같이 굴소스면 굴소스, 굴어묵이면 굴어묵으로 하나의 식품에 한정되어 있었던 것이다.
KR 10-2000-0024152 A 2000. 5. 6. KR 10-2001-0057037 A 2001. 7. 4. KR 10-2007-0020545 A 2007. 2. 21.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 석화를 자연 그대로 섭취하여 장기간 보관이 어려워서 장기보관 및 장기섭취가 불가능하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석화가 보조 재료로 첨가되지 않고 주된 원료로 사용되면서도 대상이 한 가지 식품이나 요리로 한정되지 않도록 한 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을 구현하되, 하나의 주된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성상(性狀)이 다양한 식품으로 변천이 가능토록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석화의 기본적인 효능을 그대로 가지도록 하여 건강증진효과를 갖도록 한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을 제공코자 함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두고 완성한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신선한 원료인 석화를 입고하여 저온으로 저장 보관하는 원료구비단계와, 원료구비단계에서 구비된 원료를 0.6%의 염분 농도를 갖는 소금물에 1차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세척과정과, 이후 0.6%의 염분 농도를 갖는 폭기조를 사용하여 세척하는 제2세척과정과, 살균수를 사용하여 3~5분 살균 세척하는 제3세척과정을 포함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단계에 의해서 세척된 원료를 110~125℃에서 25~45분간 스팀기에 의해서 가압 살균하는 찌기단계와, 찌기단계를 거치면서 쪄진 원료를 균질기를 사용하여 10~25분간 균질화하는 균질화단계와, 균질화된 원료에 중량비 1:30~100로 가수하여 85~110℃에서 6~10시간 동안 추출하는 1차추출단계와, 1차추출단계에서 추출된 1차추출액을 숙성탱크로 기송하면서 필터에 의해서 필터링이 이루어진 잔여물에 중량비 1:30~100으로 가수하여 85~110℃에서 6~10시간 동안 추출하는 2차추출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필요에 따라서 석화 외의 패각류, 녹조류, 갈조류 등의 추가원료를 더하는 추가원료배합단계, 숙성단계와 농축단계,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단계가 더 포함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조방법에 따른 성상에 따라서 분쇄단계 및 다양한 포장을 행하여 제품을 완성하는 제품완성단계가 추가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은 자연 그대로의 석화를 사용하여 분말, 음료, 엑기스, 차, 캡슐, 환, 타정, 정제 등의 기능성식품을 제조하여 사용자가 섭취할 시 석화가 본래 가지고 있던 아르기닌의 다량 함유로 인한 자양 강장제로서의 기능과 더불어서 타우린이 풍부하여 뇌기능을 활성화하는 기능 및 콜레스테롤 생성억제 기능, 피부탄력 향상 기능, 면역력 강화 기능, 여성호르몬 분비 촉진 효능, 피로 회복 기능 등의 각종 효능을 제공받아서 건강증진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제조방법에 의해서 즉석성, 간편성,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분말, 음료, 엑기스, 차, 캡슐, 환, 타정, 정제 등의 다양한 성상으로 제조하여 섭취 시 접근성 및 기호성를 높여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든 연령층에서 좋아하도록 제작할 수 있어서, 제품의 호응도를 월등히 배가시켜서 석화로 제조된 기능성식품의 저변확대에도 일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남해안 등의 지역 특산물로의 명품브랜드화 및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서 경제발전에도 일조할 수 있으며, 특화 및 차별화 된 제조공법으로 새로운 건강 기능성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의 실시예1을 보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의 실시예2를 보인 공정도
본 발명은 인체에 아주 유익하다고 알려진 석화를 이용하여 종래 단순히 첨가물로 사용되던 것에서 벗어나서 석화가 주원료가 되도록 하여 인체에 매우 유익하여 건강증진효과를 갖도록 한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한다.
상기 본 발명인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은 신선한 원료인 석화를 입고하여 저온으로 저장 보관하는 원료구비단계를 거치며, 상기 원료구비단계에서 구비된 원료를 소금물에 1차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세척과정을 거치며, 폭기조를 사용하여 세척하는 제2세척과정을 살균수를 사용하여 3~5분 살균 세척하는 제3세척과정을 거쳐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 세척단계를 통해서 원료를 청경하게 하며, 상기 제1세척과정의 소금물의 염분 농도와 폭기조 내의 염분 농도는 0.6%의 염분 농도를 갖도록 하여 원료의 신선도 유지에 일조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세척단계를 거친 후 세척단계에 의해서 세척이 완료된 원료를 110~125℃에서 25~45분간 스팀기에 의해서 가압 살균하는 찌기단계를 거치면서 쪄진 원료를 균질기를 사용하여 10~25분간 균질화하는 균질화단계를 거치게 되며, 이후 균질화된 원료에 중량비 1:30~100로 가수하여 85~110℃에서 6~10시간 동안 추출하는 1차추출단계를 거치고 난 후 추출된 1차추출액을 숙성탱크로 기송(氣送, 기체 압력에 의해서 이송)하면서 추출액이 기송되는 기송관(氣送管)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서 필터링이 이루어지면서 잔여물에 중량 대비 1:30~100으로 가수(加水)하여 85~110℃에서 6~10시간 동안 추출하는 2차추출단계를 거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세척단계와 찌기단계 사이에서 세척된 원료와 각각 중량비 1:1로 패각류, 녹조류, 갈조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추가원료를 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추가원료배합단계를 더 거쳐서 배합된 원료와 추가원료를 찌기단계에서 가압 살균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후에도 다양한 제조공정들이 있으며, 일례로 상기 1차추출단계와 2차추출단계를 거쳐서 추출된 추출액을 숙성탱크에서 교반하면서 1.5~8시간 숙성을 행하는 숙성단계와, 상기 숙성단계에서 숙성한 후 80~110℃에서 4~10시간 동안 농축하는 농축단계를 더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숙성단계와 농축단계를 거친 후 -80~-45℃에서 4~12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거나, 2차추출단계를 거쳐서 추출된 추출액을 숙성시킨 후 바로 스프레이 드라이어에 의해서 분무건조를 행하는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단계를 더 부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에 대하여 각각 다른 실시예와 이에 따른 공정도에 의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하기에서 설명토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1을 도 1에 도시된 공정도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한다.
1. 원료구비단계
신선한 원료인 석화(石花,=굴)를 이물질, 미생물, 독소 등이나 이력관리, 산지생산자이력 등의 자제규격에 준해서 입고 처리하여 원료를 저온으로 저장 보관토록 한다.
2. 세척단계
상기 원료구비단계에 의해서 준비된 원료를 0.6%의 염분 농도를 갖는 소금물에서 1차 세척을 하여 껍질 등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세척과정을 거친다.
상기 제1세척과정 이후에 상기 제1세척과정의 염분 농도와 동일한 0.6%의 염분 농도를 갖는 폭기조(Air-bubble)에서 포기에 의해 2차 세척을 하는 제2세척과정을 거친다.
상기 제2세척과정을 거친 후에 살균수에 의해서 3차 세척을 하되, 살균수로 3~5분 정도의 시간 동안 살균 세척을 하는 제3세척과정을 거치도록 해서 제1세척과정, 제2세척과정, 세3세척과정을 포함하도록 한다.
3. 찌기(Steaming)단계
상기 세척단계의 제1 내지 3세척과정을 거쳐서 세척된 원료를 110~125℃에서 25~40분간 스팀기를 사용하여 스티밍(steaming)으로 가압 살균을 실시한다.
이때 채반을 이용하여 원료를 가압 살균하되, 채반 1개에 대략 원료를 10kg 정도 담도록 한다.
4. 균질화단계
상기 찌기단계를 거치면서 찌기가 완료된 원료는 균질기를 사용하여 10~25분간 균질화(homogenizer)를 행하며, 이때 입자의 크기는 50~100mesh가 전체 양의 95% 이상이 될 때까지 실시한다.
5. 1차추출단계
상기 균질화단계에서 균질화된 원료 기준 중량의 99배에 해당되는 가수(加水)를 행하여 85~110℃에서 6~10시간 동안 1차로 추출토록 한다.
이때 1차추출은 간접방식 스팀자켓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6. 2차추출단계
상기의 1차추출단계에서 추출된 1차추출액을 숙성탱크로 기송(氣送, 기체 압력에 의해서 이송), 기송 시 기송관(氣送管)상에 50~100mesh의 필터를 설치하여 필터링이 이루어지게 추출되도록 하며, 잔여물 기준 중량의 50~80배에 해당되는 가수(加水)를 행하여 85~110℃애서 6~10시간 동안 2차로 추출토록 한다.
7. 농축단계
상기 1차추출단계와 2차추출단계를 거쳐서 추출된 추출액을 50~100mesh의 필터에서 필터링하여 숙성탱크에서 5~8시간 숙성(aging)을 행한 후 농축기에서 90~1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농축(concentration)을 행하며, 20~35brix로 농축을 실시토록 한다.
8.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단계
이후 동결건조하고, 이때 예비 동결 -80℃, 4~6시간한 것을 동결 건조하는 것이며, 분무건조인 경우 1차추출단계와 2차추출단계를 거쳐서 추출된 추출액을 숙성시킨 후 농축시키지 않고 바로 스프레이 드라이어(spray dryer)에 의해서 분무건조(spray drying)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9. 분쇄단계
동결 건조 된 것을 해머 밀(hammer mill)이나 핀 밀(pin mill)에 의해서 분쇄를 하며, 이때 습도가 30~45%, 온도가 10℃ 이하의 공기상태(air condition)로 쳄버(chamber)의 룸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10. 제품완성단계
상기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제품을 타정(打錠), 정제(錠劑, tablet), 캡슐(capsule), 환 등의 기능성식품으로 완성할 수 있으며, 1차추출단계 및 2차추출단계를 거친 추출물을 액상 포장류 제품과 음료, 차 제품군의 식품 유형에 의해서 포장을 다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축액은 스틱포장, 병포장(발효엑기스, 발효음료 포함) 등 성상에 따라서 다양한 포장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2를 도 2에 도시된 공정도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한다.
1. 원료구비단계
신선한 원료인 석화(石花,=굴)를 이물질, 미생물, 독소 등이나 이력관리, 산지생산자이력 등의 자제규격에 준해서 입고 처리하여 원료를 저온으로 저장 보관토록 한다.
2. 세척단계
상기 원료구비단계에 의해서 준비된 원료를 0.6%의 염분 농도를 갖는 소금물에서 1차 세척을 하여 껍질 등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세척과정을 거친다.
상기 제1세척과정 이후에 상기 제1세척과정의 염분 농도와 동일한 0.6%의 염분 농도를 갖는 폭기조(Air-bubble)에서 포기에 의해 2차 세척을 하는 제2세척과정을 거친다.
상기 제2세척과정을 거친 후에 살균수에 의해서 3차 세척을 하되, 살균수로 3~5분 정도의 시간 동안 살균 세척을 하는 제3세척과정을 거치도록 해서 제1세척과정, 제2세척과정, 세3세척과정을 포함하도록 한다.
3. 원료배합단계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원료인 석화와 중량비로 각각 1:1씩 추가원료가 배합되며, 이때 추가로 배합되는 추가원료로는 각종 패각류, 각종 녹조류, 각종 갈조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배합된 것이며, 무수히 많은 종류의 패각류, 녹조류, 갈조류 등 추가원료는 계절에 따른 포획량 내지 양식 수확량 등을 감안해서 취사선택하도록 한다.
4. 찌기(Steaming)단계
상기 세척단계의 제1 내지 3세척과정을 거쳐서 세척된 원료 및 추가원료를 110~125℃에서 25~45분간 스팀기를 사용하여 스티밍(steaming)으로 가압 살균토록 한다.
이때 원료 및 추가원료를 1회 단위 트레이(tray)를 사용토록 한다.
5. 균질화단계
상기 찌기단계를 거치면서 찌기가 완료되어 추가원료가 포함된 원료는 균질기를 사용하여 10~25분간 균질화(homogenizer)를 행하며, 이때 입자의 크기는 30~100mesh가 전체 양의 95% 이상이 될 때까지 실시한다.
6. 1차추출단계
상기 균질화단계에서 균질화된 원료(이하 실시예2에서는 추가원료 포함) 기준 중량의 30~100배에 해당되는 가수(加水)를 행하여 85~110℃에서 6~10시간 동안 1차로 추출토록 한다.
이때 1차추출은 간접방식 스팀자켓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7. 2차추출단계
상기의 1차추출단계에서 추출된 1차추출액을 숙성탱크로 기송(氣送, 기체 압력에 의해서 이송), 기송 시 기송관(氣送管)상에 50~100mesh의 필터를 설치하여 필터링이 이루어지게 추출되도록 하며, 잔여물 기준 중량의 30~100배에 해당되는 가수(加水)를 행하여 85~110℃애서 6~10시간 동안 2차로 추출토록 한다.
8. 숙성단계
상기 1차추출단계와 2차추출단계를 거쳐서 추출된 추출액을 숙성탱크에서 교반하면서 60~90℃에서 1.5~5시간 숙성(aging)을 행하도록 한다.
9. 농축단계
상기 숙성단계에서 숙성한 후 농축기에서 80~110℃의 온도로 4~10시간 동안 농축(concentration)을 행하며, 최종 농도는 15~30brix를 기준으로 한다.
10.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단계
이후 -45℃에서 8~12시간 동안에 동결 건조를 행하며, 1차추출단계와 2차추출단계를 거쳐서 추출된 추출액을 숙성시킨 숙성액을 바로 스프레이 드라이어(spray dryer)에 의해서 분무건조(spray drying)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분무건조의 경우 추후 포장 시 1kg, 2kg, 5kg, 10kg, 15kg, 20kg 등으로 포장하게 된다.
11. 분쇄단계
동결 건조 된 것을 해머 밀(hammer mill)이나 핀 밀(pin mill)에 의해서 80~100mesh로 분쇄를 하며, 이때 습도가 30~40%, 온도가 10℃ 이하의 공기상태(air condition)로 쳄버(chamber)의 룸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분쇄 후 포장단위는 1kg, 2kg, 3kg, 5kg, 10kg 등으로 포장하게 된다.
12. 제품완성단계
상기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제품을 정제(錠劑, tablet), 캡슐(capsule), 주머니(pouch), 막대자루(stick) 등의 형태적인 포장과 병포장, PET포장(발효엑기스, 발효음료 등 포함) 등 재질적인 포장 등으로 다양하게 포장하여 기능성식품으로 완성할 수 있으며, 건강 기능식 식품과 일반 건강식품, 음료, 차 등의 다양한 기능성식품으로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신선한 원료인 석화를 입고하여 저온으로 저장 보관하는 원료구비단계,
    원료구비단계에서 구비된 원료를 0.6%의 염분 농도를 갖는 소금물에 1차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세척과정과, 이후 0.6%의 염분 농도를 갖는 폭기조를 사용하여 세척하는 제2세척과정과, 살균수를 사용하여 3~5분 살균 세척하는 제3세척과정을 포함하는 세척단계,
    세척단계에 의해서 세척된 원료를 110~125℃에서 25~45분간 스팀기에 의해서 가압 살균하는 찌기단계,
    찌기단계를 거치면서 쪄진 원료를 균질기를 사용하여 10~25분간 균질화하는 균질화단계,
    균질화된 원료에 중량비 1:30~100로 가수하여 85~110℃에서 6~10시간 동안 추출하는 1차추출단계,
    1차추출단계에서 추출된 1차추출액을 숙성탱크로 기송하면서 기송관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서 필터링이 이루어진 잔여물에 중량비 1:30~100으로 가수하여 85~110℃에서 6~10시간 동안 추출하는 2차추출단계,
    1차추출단계와 2차추출단계를 거쳐서 추출된 추출액을 숙성탱크에서 교반하면서 1.5~8시간 숙성을 행하는 숙성단계,
    숙성단계에서 숙성한 후 80~110℃에서 4~10시간 동안 농축하는 농축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00584A 2015-07-15 2015-07-15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 KR101582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584A KR101582658B1 (ko) 2015-07-15 2015-07-15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584A KR101582658B1 (ko) 2015-07-15 2015-07-15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658B1 true KR101582658B1 (ko) 2016-01-21

Family

ID=55308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584A KR101582658B1 (ko) 2015-07-15 2015-07-15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65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152A (ko) 2000-01-25 2000-05-06 이명호 냉동 건조 석화를 첨가시킨 짬뽕면(인스턴트 면)의 조리첨가물 제조 방법
KR20010057037A (ko) 1999-12-17 2001-07-04 김길환 굴 소스의 제조방법
JP2001292741A (ja) * 2000-04-12 2001-10-23 Nippon Clinic Kk 牡蠣肉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07891A (ko) * 2002-07-11 2004-01-28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진공조리 굴가공품의 제조방법
KR20070020545A (ko) 2007-01-31 2007-02-21 홍영삼 굴을 주재로 한 어묵의 제조방법
KR20140030454A (ko) * 2012-08-29 2014-03-12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굴과 해조류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천연 가바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037A (ko) 1999-12-17 2001-07-04 김길환 굴 소스의 제조방법
KR20000024152A (ko) 2000-01-25 2000-05-06 이명호 냉동 건조 석화를 첨가시킨 짬뽕면(인스턴트 면)의 조리첨가물 제조 방법
JP2001292741A (ja) * 2000-04-12 2001-10-23 Nippon Clinic Kk 牡蠣肉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07891A (ko) * 2002-07-11 2004-01-28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진공조리 굴가공품의 제조방법
KR20070020545A (ko) 2007-01-31 2007-02-21 홍영삼 굴을 주재로 한 어묵의 제조방법
KR20140030454A (ko) * 2012-08-29 2014-03-12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굴과 해조류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천연 가바를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 또는 수면장애 개선용 발효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37865B (zh) 牡丹多肽,及制备方法和应用
KR101335777B1 (ko)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CN103053984B (zh) 一种海带调料酒及其制备方法
CN101422227A (zh) 一种蟹深加工调味产品及制造工艺
CN103504272A (zh) 一种金瓜保健酱油的制作方法
CN106072419A (zh) 一种木姜子风味复合肉味调料及其制备方法
CN103519113B (zh) 姜蚝油的制备方法
CN104886336A (zh) 一种蚯蚓蛋白粉的提取方法
CN102934819B (zh) 一种海参胶囊及其制备工艺
CN102172279B (zh) 一种辣椒制品的加工方法及其加工的辣椒制品
CN103284173A (zh) 一种麻辣型兔肉制品的制备方法
CN104207214A (zh) 一种利用纳豆菌发酵蛤蜊制备纳贝素的方法
KR101582658B1 (ko)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
CN103393161A (zh) 一种葛仙米吊瓜营养粉的加工方法
CN103393163B (zh) 莲子磨皮粉生产莲蓉的方法
CN105167040A (zh) 一种杏鲍菇桑椹复合固体饮料的制作方法
CN104099224A (zh) 一种枣香味营养型玉米白酒及其酿造方法
CN103238862A (zh) 一种猛辣型兔肉制品的制备方法
CN102715599A (zh) 鲍鱼汤及其制备方法
CN105754831A (zh) 一种即食海带醋及其加工工艺
CN105410858A (zh) 一种豆薯香橼保健酱油的制作方法
CN103734807B (zh) 牡蛎精的生产方法
KR101852119B1 (ko) 도루묵 식해의 제조방법
CN109567073A (zh) 一种富含血红蛋白的鱼血制品及其生产方法
CN104886672A (zh) 原汤鸡汁及制作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