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511A - 융착 접속기 - Google Patents

융착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511A
KR20140027511A KR1020147001921A KR20147001921A KR20140027511A KR 20140027511 A KR20140027511 A KR 20140027511A KR 1020147001921 A KR1020147001921 A KR 1020147001921A KR 20147001921 A KR20147001921 A KR 20147001921A KR 20140027511 A KR20140027511 A KR 20140027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usion
holder
fusion splic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6964B1 (ko
Inventor
류이치로 사토
Original Assignee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7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5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중 하나는 전후의 어느 쪽에서 작업해도 원활하고 또한 양호하게 광섬유를 융착시키는 것이 가능한 융착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융착 접속기(10)는, 제 1 방향(X)으로 광섬유(12)끼리를 맞대는 한 쌍의 홀더 장착부(13)와, 제 2 방향(Y)을 따라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전극(16)에 의해 광섬유(12)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융착 접속부(11)를 구비하고, 홀더 장착부(13)는, 본체에 고정된 베이스(51)와, 하측에 베이스(51)와 끼워맞춤하는 베이스 끼워맞춤부(65)가 형성된 위치 결정 부재(50)를 구비하고, 위치 결정 부재(50)는, 자세를 반전하여 양쪽의 베이스(51)에 착탈 가능하며, 어느 쪽의 베이스(51)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도, 베이스 끼워맞춤부(65)에 있어서의 제 2 방향(Y)을 따르는 폭 방향의 중심 위치가, 전극(16) 사이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는 제 1 방향의 직선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융착 접속기{FUSION SPLICER}
본 발명은 광섬유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융착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장치(융착 접속기)로서, 광섬유 파지부에서 광섬유의 피복부를 파지하여, 이 피복부보다 선단에 노출된 광섬유 나선부(bare optical fiber)를 광섬유 파지부보다 내측에 마련된 홈대(溝臺)의 홈에 수용하여 정렬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융착 접속기의 광섬유 파지부인 광섬유 홀더는, 광섬유를 파지하는 위치보다 융착 접속기의 안쪽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보지 덮개를 갖고 있으며, 이 보지 덮개를 앞쪽으로부터 안쪽으로 개방하거나 안쪽으로부터 앞쪽으로 폐쇄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광섬유의 파지 및 그 해제를 실행한다. 또한,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의 광섬유 홀더보다 안쪽에는, 융착한 광섬유를 열수축 튜브 등으로 보강하는 보강 작업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 2005-352168 호 공보
융착 접속기를 사용하는 환경으로서, 예를 들면, 높은 곳에 부설되어 있는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융착하는 경우, 높은 곳에 있어서, 융착 접속기의 안쪽(배면측)에 있는 클로저(closure)로부터 광섬유를 앞쪽으로 인출하여 융착하고, 융착한 광섬유를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의 안쪽으로 이동시켜 보강 작업부에서 보강 작업을 실행한 후, 광섬유를 더 안쪽으로 이동시켜서 클로저로 되돌리게 된다. 이 경우, 융착한 광섬유는, 그 후의 일련의 동작으로 작업자로부터 보았을 때 안쪽으로 이동시킨다. 융착 작업 현장의 환경 등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공장 내에서 광 컴포넌트의 제조를 실행할 경우 등은, 융착 접속기의 전후를 역방향으로 하여(작업자에 배면측을 향하여), 융착한 광섬유를 작업자로부터 보았을 때 앞쪽으로 이동시켜서 보강 작업부에서 보강 작업을 실행한 후, 융착 접속기보다 더 앞쪽으로 이동시켜서 조립 작업 등에 제공하기도 한다. 그 경우에는, 광섬유 홀더의 보지 덮개를 작업자의 앞쪽을 향해서 개방하게 되고, 개방된 보지 덮개에 의해 광섬유를 시인(視認)하기 어려워져 작업이 번잡하게 되어 버린다. 이 경우, 광섬유 홀더를 좌우 반대로 장착하여, 보지 덮개의 개폐하는 축을 작업자로부터 보았을 때 안쪽으로 변경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섬유 홀더(1)는, 그 중심 위치에 대해서 광섬유(2)를 수용하는 수용 홈(7)이 오프셋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광섬유(2)를 갖는 4심 광섬유 테이프 심선을 융착하는 다심용의 융착 접속기에서는, 각 광섬유(2)를 지지하기 위한 4개의 홈(4)을 갖는 홈대(5)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다심용의 융착 접속기로 단심의 광섬유(2)를 융착하는 경우, 홈대(5)의 산(山) 부분이 전극(6) 사이의 중심에 배치시킬 수 없어, 광섬유(2)를 전극(6) 사이의 중심에 배치하지 못하고,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전극(6) 사이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홈(4)에 배치하게 된다. 따라서, 단심용의 광섬유 홀더(1)는 광섬유(2)를 보지하는 수용 홈(7)이 중심 위치로부터 오프셋되게 된다.
이와 같이, 중심 위치에 대해서 수용 홈(7)이 오프셋된 광섬유 홀더(1)를 단심용의 융착 접속기에 사용했을 경우, 광섬유 홀더(1)를 좌우 반대로 마련하면, 광섬유(2)의 맞댐 위치가 전극(6) 사이의 중심인 융착 포인트로부터 크게(오프셋 치수의 2배) 벗어나버린다. 또한, 융착 작업은 융착 포인트를 현미경(8)으로 촬영하여, 그 영상을 보면서 실행되지만, 융착 포인트로부터 광섬유(2)의 맞댐 위치가 크게 벗어나면, 현미경(8)의 영상이 불선명하게 되어버린다.
따라서, 상기의 융착 접속기에서는, 광섬유 홀더(1)를 좌우 반대로 마련하면, 양호한 융착 작업이 실행될 수 없기 때문에, 광섬유 홀더(1)를 좌우 반대로 마련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작업자가 융착 작업을 융착 접속기의 배면측으로부터 실행하는 경우여도, 광섬유 홀더(1)의 보지 덮개를 작업자로부터 보았을 때 앞쪽으로 개폐시키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융착 접속기의 전후의 어느 쪽에서 작업해도 원활하고 또한 양호하게 광섬유를 융착시키는 것이 가능한 융착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융착 접속기는, 광섬유를 보지하는 광섬유 홀더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제 1 방향으로 광섬유끼리를 맞대는 한 쌍의 홀더 장착부와,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전극에 의해 광섬유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융착 접속부가, 융착 접속기의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홀더 장착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된 베이스와, 상측에 상기 광섬유 홀더와 끼워맞춤하는 홀더 끼워맞춤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베이스와 끼워맞춤하는 베이스 끼워맞춤부가 형성된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융착 접속부를 향하는 단부가 동일해지도록 자세를 반전하여 양쪽의 상기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고, 어느 쪽의 상기 베이스에 끼워맞춤된 상태에서도, 상기 베이스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방향을 따르는 폭 방향의 중심 위치가, 상기 전극 사이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는 상기 제 1 방향의 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끼워맞춤부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폭을 갖고,
상기 홀더 끼워맞춤부는 상기 제 2 방향을 따르는 폭 방향의 중심 위치가 상기 베이스 끼워맞춤부와는 다르고,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폭을 갖는 볼록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전극 사이를 관찰하는 현미경을 구비하고,
상기 현미경에 의해 얻어진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본체에 대해서 상하의 자세를 변경시켜서 영상의 상하 방향을 반전 표시 가능한 모니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홀더 장착부에 마련한 위치 결정 부재를, 그 융착 접속부를 향하는 단부가 동일해지도록 자세를 반전하여 베이스에 장착해도, 베이스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제 2 방향을 따르는 폭 방향의 중심 위치가, 전극 사이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는 제 1 방향의 직선상에 배치된다. 즉, 광섬유 홀더의 광섬유를 수용하는 수용 홈이 중심 위치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경우에도, 광섬유는 전극 사이의 중심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융착 작업을 융착 접속기의 배면측으로부터 실행하는 경우에는, 한쪽의 홀더 장착부로부터 광섬유 홀더를 빼내어 반전시켜서 역방향으로 다른쪽의 홀더 장착부에 마련함으로써, 광섬유 홀더에의 광섬유의 보지 작업 및 광섬유의 융착 작업을 전면측으로부터 실행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활하고 또한 양호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접속기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융착 접속기에서 광섬유 홀더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융착 접속기의 융착 접속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융착 접속기의 융착 접속부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융착 접속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홀더 장착부에 장착된 광섬유 홀더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4에 있어서의 I-I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8은 융착 접속부에 있어서의 홀더 장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광섬유 홀더를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융착 접속부의 평면도,
도 10은 융착 접속부에 있어서의 홀더 장착부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좌우의 광섬유 홀더를 교체하지 않고, 장치 배면측에서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융착 접속기의 측면도,
도 12는 위치 결정 부재의 교체 작업을 도시하는 융착 접속기의 전면측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
도 13은 위치 결정 부재의 교체 작업을 도시하는 융착 접속기의 배면측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
도 14는 위치 결정 부재의 교체 작업을 도시하는 융착 접속기의 융착 접속부의 배면측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
도 15는 위치 결정 부재의 교체 작업을 도시하는 융착 접속기의 융착 접속부의 배면측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
도 16은 위치 결정 부재의 교체 작업을 도시하는 융착 접속기의 융착 접속부의 배면측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
도 17은 위치 결정 부재의 교체 후에 있어서의 융착 접속기의 배면측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
도 18은 단심용의 융착 접속기의 개략 구성도,
도 19는 다심용의 융착 접속기의 개략 구성도,
도 20은 다심용의 융착 접속기에서 단심의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는 다심용의 융착 접속기의 개략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접속기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10)는 예를 들면, 광섬유 설비의 공사를 하는 현지나 광 컴포넌트를 제조하는 공장 내에서 광섬유(12)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장치이다.
이 융착 접속기(10)는, 광섬유(12)의 단부 근방을 보지하는 광섬유 홀더(21)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홀더 장착부(13)와, 광섬유(12)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융착 접속부(11)를 갖는 융착 처리부(1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홀더 장착부(13)에 광섬유 홀더(21)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광섬유 홀더(21)에 보지된 광섬유(12)가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이러한 광섬유(12)끼리가 융착 접속기(10)의 폭 방향을 따르는 제 1 방향(X)으로 맞대어진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 접속부(11)는, 각각의 홀더 장착부(13)에 장착된 광섬유 홀더(21)로부터 연장하는 광섬유(12)의 선단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V홈(15a)을 갖는 한 쌍의 V홈 부재(15)와, 이러한 한 쌍의 V홈 부재(15) 사이에 배치되어, 맞대어진 광섬유(12)의 단면을 방전에 의해서 융착시키는 한 쌍의 전극(16)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전극(16)은, 제 1 방향(X)에 직교하는 제 2 방향(Y)을 따라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융착 접속부(11)에서는,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의 교점의 융착 포인트(P)에 위치 결정된 광섬유(12)끼리를 열융착하여 접속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 처리부(14)에는, 융착 접속부(11)의 하방측에, CCD 등의 촬상 소자를 구비한 한 쌍의 현미경(17)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현미경(17)은, 광섬유(12)를 융착시키는 융착 포인트(P)인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의 교점을 향해서 각각 45°정도의 경사 상방을 향해 배치되어 각각 융착 포인트(P)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광섬유(12)를 위치 결정하는 V홈 부재(15)는, 서로 접속하는 광섬유(12)를 V홈(15a)에 의해서 제 1 방향(X)을 따르는 일직선상에 지지하여 위치 결정하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융착 처리부(14)는 개폐 커버(도시 생략)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이 개폐 커버는 장치 전면측으로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융착 접속기(10)는, 광섬유(12)끼리의 융착 접속 개소의 외주에 덮어 씌우는 열수축 튜브(도시 생략)를 히터에 의해 가열 수축시키는 보강 작업을 실행하는 열수축 처리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열수축 처리부(18)는 융착 처리부(14)에 인접하여 장치 배면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열수축 처리부(18)도, 광섬유(12)의 단부를 보지하는 광섬유 홀더(21)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홀더 장착부(1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홀더 장착부(19)에 광섬유 홀더(21)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열수축 처리부(18)에 광섬유(12)끼리의 융착 접속 개소가 위치 결정되어 배치된다. 또는, 홀더 장착부(19)가 광섬유 파지부로 되어 있어서, 융착한 광섬유(12)를 융착 처리부(14)의 광섬유 홀더(21)로부터 빼내서 그 광섬유 파지부에 파지시켜도 좋다.
이 열수축 처리부(18)는, 열수축 튜브의 중앙부를 히터로 가열 수축하고, 그 후에 단부가 수축하도록, 히터에 가열 온도 분포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가열 시에 열수축 튜브 내부에 발생한 기포가 양단부로부터 용이하게 빠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융착 접속기(10)에는, 그 전면측에 모니터(20)가 마련되어 있다. 이 모니터(20)는 현미경(17)에서 촬영된 융착 개소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며, 작업자는 이 모니터(20)의 영상을 보면서 융착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모니터(20)는, 융착 접속부(11) 및 열수축 처리부(18)를 작동시키는 조작부를 겸하고 있어, 모니터(20)를 접촉함으로써, 각종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이 모니터(20)는, 융착 접속기(10)의 상부에 있어서, 수평 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모니터(20)는 장치의 전면측에서 전방으로 향한 자세(도 1 및 도 2 참조)와 장치의 상방측에서 후방으로 향한 자세(도 11 및 도 13 참조)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모니터(20)는 장치 상방측에서 후방으로 향한 자세로 배치되면, 표시하는 영상의 상하 방향을 반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섬유 홀더(21)는,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홀더 본체(30)를 갖고 있다. 홀더 본체(30)에는, 그 상면에 광섬유(12)를 수용하는 수용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 본체(30)에는, 그 일측부에 보지 덮개(31)가 마련되어 있다. 보지 덮개(31)는 힌지부(34)를 갖고 있고, 이 힌지부(34)가 홀더 본체(30)에 형성된 보지 홈(35)에 배치되어 있다. 홀더 본체(30)에는, 보지 홈(35)을 관통하는 연결 핀(38)이 마련되어 있고, 이 연결 핀(38)이 힌지부(34)에 형성된 관통 삽입 구멍에 관통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지 덮개(31)는 연결 핀(38)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홀더 본체(3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보지 덮개(31)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홀더 본체(30)의 상면이 개폐된다. 그리고, 보지 덮개(31)는 홀더 본체(30)의 상면측을 향해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수용 홈(32)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보지 덮개(31)에는, 홀더 본체(30)와의 대향면에,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누름판부(41)가 마련되어 있고, 보지 덮개(31)를 홀더 본체(30)의 상면측을 향해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누름판부(41)가 수용 홈(32)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홀더 본체(30)에는, 보지 덮개(31)가 연결된 일측부와 반대측에 있어서의 상면에 자석(44)이 마련되어 있고, 보지 덮개(31)를 홀더 본체(30)의 상면에 배치했을 경우에 이 보지 덮개(31)가 자석(44)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보지 덮개(31)는 철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보지 덮개(31)는 홀더 본체(30)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로 자석(44)의 자력에 의해서 흡착된다. 이와 같이, 광섬유 홀더(21)는 자석(44)의 자력에 의해서 홀더 본체(30)에 보지 덮개(31)를 흡착시켜 광섬유(12)를 보지한다.
이 광섬유 홀더(21)는, 표리(表裏)로 관통하는 2개의 위치 결정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섬유 홀더(21)는, 그 저면부에 위치 결정 홈(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홈(46)은, 제 2 방향(Y)을 따르는 폭 방향의 중심 위치(A1)가 광섬유 홀더(21)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A2)와 일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광섬유(12)를 수용하는 수용 홈(32)은, 위치 결정 홈(46)의 중심 위치(A1) 및 광섬유 홀더(21)의 중심 위치(A2)에 대해서 일방측(장치 배면측)에 소정 치수(α)만큼 오프셋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 장착부(13)는, 위치 결정 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위치 결정 부재(5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10)의 본체에 고정된 베이스(51)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51)에는 그 양측부에 결합돌조(係合突條)(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돌조(52) 사이는, 제 1 방향(X)을 따라서 연장하는 결합 오목부(53)로 되어 있고, 이 결합 오목부(53)에 위치 결정 부재(50)가 끼워맞춤되어 보지된다. 또한, 베이스(51)의 양단 근방에 있어서의 결합 오목부(53)의 저부에는, 각각 나사 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나사 구멍(54) 사이에 있어서의 결합 오목부(53)의 저부에는, 위치 결정 돌기(5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51)는 그 하부에 마련된 스프링(도시 생략) 등에 의해서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위치 결정 부재(5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고, 양단 근방에는 나사 관통 삽입 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 부재(50)에 있어서의 나사 관통 삽입 구멍(61) 사이에는, 끼워맞춤 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위치 결정 부재(50)를 베이스(51)의 결합 오목부(53)에 끼워맞추면, 위치 결정 돌기(55)가 끼워맞춤 구멍(62)에 끼워맞춰지고, 나사 관통 삽입 구멍(61)이 나사 구멍(54)과 연통된다. 이 상태로, 나사 관통 삽입 구멍(61)에 나사(도시 생략)를 삽입하여, 나사 구멍(54)에 나사 고정하는 것에 의해, 위치 결정 부재(50)가 베이스(51)에 고정된다.
또한, 이 위치 결정 부재(50)에는, 양측부 근방 위치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 결정 핀(6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 결정 핀(68)은, 광섬유 홀더(21)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45)에 관통 삽입되어, 위치 결정 부재(50)에 대해서 광섬유 홀더(21)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장착된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부재(50)는, 그 하측이 베이스(51)의 결합 오목부(53)에 끼워맞춤 가능한 베이스 끼워맞춤부(65)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위치 결정 부재(50)에는, 상측에 홀더 끼워맞춤부(66)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 끼워맞춤부(66)는, 제 1 방향(X)을 따라서 동일한 폭을 갖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 홀더 끼워맞춤부(66)의 제 2 방향(Y)을 따르는 폭 방향의 중심 위치(A3)에 대해서, 베이스 끼워맞춤부(65)의 제 2 방향(Y)을 따르는 폭 방향의 중심 위치(A4)가 일방측(장치 후방측)으로 소정 치수(α)만큼 오프셋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위치 결정 부재(50)를 거쳐서 베이스(51)에 장착되는 광섬유 홀더(21)는, 그 폭 방향의 중심 위치(A2)가 위치 결정 부재(50)의 홀더 끼워맞춤부(66)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A3)와 일치하여 있고, 수용 홈(32)의 위치가 위치 결정 부재(50)의 베이스 끼워맞춤부(65)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A4)와 일치하여 있다.
위치 결정 부재(50)는, 융착 접속부(11)의 융착 포인트(P)를 향하는 단부가 동일해지도록 자세를 반전하여 양쪽의 베이스(51)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좌우의 어느 쪽의 베이스(51)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도, 베이스 끼워맞춤부(65)에 있어서의 제 2 방향(Y)을 따르는 폭 방향의 중심 위치(A4)가, 전극(16) 사이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는 제 1 방향(X)의 직선상에 배치된다.
다음에, 광섬유(12)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서로 접속하는 각각의 광섬유(12)를 융착 접속기(10)의 홀더 장착부(13)에 장착된 광섬유 홀더(21)에 보지시킨다(도 1 참조). 또한, 이와 같이 광섬유(12)를 광섬유 홀더(21)에 보지시킬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광섬유(12)에 열수축 튜브를 통과시켜 둔다.
이와 같이 하면, 광섬유 홀더(21)로부터 연장된 광섬유(12)가, 융착 접속부(11)의 V홈 부재(15)의 V홈(15a)에 의해서 위치 결정되고, 단부가 융착 접속부(11)의 융착 포인트(P)에서 맞대어진다. 그 때, 융착 접속기(10)의 모니터(20)에는, 현미경(17)에서 촬영된 융착 포인트(P)의 영상이 표시된다.
이 상태로, 작업자는 융착 접속기(10)의 모니터(20)의 영상을 보면서, 융착 접속기(10)를 조작하여, 전극(16)에서 방전시켜서 광섬유(12)의 단면끼리를 융착 접속시킨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현미경(17)에서 촬영되어 모니터(20)에 표시되는 융착 포인트(P)의 영상을 보면서 광섬유(12)의 융착 작업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광섬유(12)끼리를 융착 접속시키면, 각각의 광섬유 홀더(21)의 보지 덮개(31)를 자석(44)의 자력에 저항해 회동시켜서 개방하고, 광섬유(12)의 보지를 해제시켜서 서로 융착 접속한 광섬유(12)를 분리한다.
그 후, 이 광섬유(12)의 융착 접속 개소를 보강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융착 접속 개소에 보강 부재(도시 생략)를 따르게 하여 열수축 튜브를 씌운다. 그리고, 각각의 광섬유 홀더(21)를 장치 배면측의 열수축 처리부(18)의 각각의 홀더 장착부(19)에 보지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광섬유(12)가 광섬유 홀더(21)에 보지되고, 열수축 튜브를 씌운 광섬유(12)의 융착 접속 개소가 열수축 처리부(18)에 위치 결정되어 배치된다.
이 상태로, 히터를 발열시키고, 히터에 의해서 열수축 튜브를 열수축시킨다. 이것에 의해, 광섬유(12)끼리의 융착 접속 개소는, 보강 부재가 따르게 되고, 게다가, 밀착한 열수축 튜브에 의해서 덮여져서 일체화되어 보강된다.
그런데, 상기의 융착 작업은 작업자가 융착 접속기(10)의 장치 전면측에서 실행하는 경우뿐만이 아니라, 작업자가 장치 배면측에서 실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기(10)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니터(20)를 회동시켜서 장치 상방에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장치 배면측으로부터 모니터(20)를 보면서 융착 접속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모니터(20)를 회동시켜서 장치 배면측으로부터 목시(目視) 가능하여도, 그것만으로는 각각의 광섬유 홀더(21)의 보지 덮개(31)가 배면측으로 개방하게 되어, 작업자에 있어서 광섬유(12)의 보지 작업 등이 실행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 후방측으로부터 광섬유(12)를 융착하는 경우, 먼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섬유 홀더(21)를 분리하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니터(20)를 회동시켜서 장치 상방에 배치시키면, 위치 결정 부재(50)의 교체 작업을 실행한다.
이 위치 결정 부재(50)의 교체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홀더 장착부(13)의 베이스(51)로부터 위치 결정 부재(50)를 분리한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한 위치 결정 부재(50)를 융착 포인트(P)를 향하는 단부가 동일해지도록 자세를 반전시켜서, 각각 반대측의 홀더 장착부(13)측에 배치시킨다.
그 후,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부재(50)를 홀더 장착부(13)의 베이스(51)에 장착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위치 결정 부재(50)에 있어서의 홀더 끼워맞춤부(66)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A3)에 대한 베이스 끼워맞춤부(65)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A4)의 오프셋 방향이 반대측(장치 전면측)으로 된다.
이와 같이, 좌우의 위치 결정 부재(50)를 교체하면, 좌우의 광섬유 홀더(21)도 교체하여, 각각의 위치 결정 부재(50)에 장착시킨다. 그리고, 좌우의 광섬유 홀더(21)를 교체하면, 각각의 광섬유 홀더(21)의 수용 홈(32)의 오프셋 방향이 반대측(장치 전면측)으로 된다.
이 때, 위치 결정 부재(50)에 있어서의 홀더 끼워맞춤부(66)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A3)에 대한 베이스 끼워맞춤부(65)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A4)의 오프셋 방향도 반대측(장치 전방측)으로 되고 있기 때문에, 수용 홈(32)은 교체 작업 전과 마찬가지로, 전극(16) 사이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는 제 1 방향(X)의 직선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좌우의 광섬유 홀더(21)를 교체한 상태에서는, 광섬유 홀더(21)는 장치 배면측의 작업자로부터 보았을 때, 보지 덮개(31)가 안쪽을 향해 개방하도록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장치 배면측에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광섬유 홀더(21)의 보지 덮개(31)를 개방하여 광섬유(12)를 수용 홈(32)에 수용시키고, 그 후, 보지 덮개(31)를 폐쇄하여 광섬유(12)를 보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섬유(12)를 보지시키면, 작업자는 장치 후방측으로부터 모니터(20)의 영상을 보면서 융착 접속기(10)를 조작하여, 전극(16)에서 방전시켜서 교체 작업 전과 동일한 융착 포인트(P)에서 광섬유(12)의 단면끼리를 융착 접속시킬 수 있다.
그 후, 앞쪽의 열수축 처리부(18)에서 광섬유(12)의 융착 접속 개소의 보강 작업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홀더 장착부(13)에 마련한 위치 결정 부재(50)를, 그 융착 접속부(11)를 향하는 단부가 동일해지도록 자세를 반전하여 베이스(51)에 장착해도, 베이스 끼워맞춤부(65)에 있어서의 제 2 방향(Y)을 따르는 폭 방향의 중심 위치(A4)가, 전극(16) 사이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는 제 1 방향(X)의 직선상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좌우의 광섬유 홀더(21)를 반전시켜서 반대로 마련해도, 수용 홈(32)의 위치가 위치 결정 부재(50)의 베이스 끼워맞춤부(65)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A4)와 일치한 위치가 되어, 전극(16) 사이의 중심 위치[융착 포인트(P)]를 통과하는 제 1 방향(X)의 직선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좌우의 광섬유 홀더(21)를 반전시켜서 반대로 마련해도, 광섬유(12)끼리의 융착 접속을 양호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광섬유 홀더(21)의 보지 덮개(31)가 장치 전면측으로 개방하게 되고, 장치 배면측의 작업자로부터 보았을 때 보지 덮개(31)가 안쪽을 향해 개방하게 되어, 광섬유(12)의 보지 작업 등이 실행하기 용이하다.
또한, 위치 결정 부재(50)는, 베이스 끼워맞춤부(65)가 제 1 방향(X)을 따라서 동일한 폭을 갖는 형상이며, 홀더 끼워맞춤부(66)가 제 1 방향(X)을 따라서 동일한 폭을 갖는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이 홀더 끼워맞춤부(66)의 제 2 방향(Y)을 따르는 폭 방향의 중심 위치(A3)에 대해서, 베이스 끼워맞춤부(65)의 제 2 방향(Y)을 따르는 폭 방향의 중심 위치(A4)가 오프셋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베이스 끼워맞춤부(65)의 오프셋량을 광섬유 홀더(21)의 수용 홈(32)의 오프셋량에 맞추는 것만으로, 광섬유 홀더(21)를 좌우의 어느 쪽의 홀더 장착부(13)에 장착해도 수용 홈(32)의 위치를 융착 포인트(P)를 통과하는 제 1 방향(X)의 직선상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융착 접속기(10)는, 융착 접속부(11)의 전극(16) 사이를 관찰하는 현미경(17)을 구비하여, 상하의 자세를 변경시켜서 현미경(17)에 의해 얻어진 영상의 상하 방향을 반전 표시 가능한 모니터(2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융착 접속기(10)의 전면측에서도 배면측에서도 양호하게 융착 접속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심의 광섬유(12)를 접속하는 단심용의 융착 접속기를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복수개(예를 들면 4개 내지 12개)의 광섬유(12)를 병렬로 일체화한 다심 광섬유 테이프 심선의 각 광섬유(12)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다심용의 융착 접속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다심 광섬유 테이프 심선을 융착시키는 경우, 광섬유 홀더(21)로서는, 단심용의 광섬유 홀더(21)의 수용 홈(32)을 중심으로 한 폭이 넓은 수용 홈이 형성된 것이 사용되고, 이 폭이 넓은 수용 홈에 다심 광섬유 테이프 심선이 수용되게 된다.
본 발명을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없이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11년 7월 25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1-162072 호에 근거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받아들여진다.
10 : 융착 접속기 11 : 융착 접속부
12 : 광섬유 13 : 홀더 장착부
14 : 융착 처리부 16 : 전극
17 : 현미경 20 : 모니터
21 : 광섬유 홀더 50 : 위치 결정 부재
51 : 베이스 65 : 베이스 끼워맞춤부
66 : 홀더 끼워맞춤부 A1 : 위치 결정 홈의 중심 위치
A2 : 광섬유 홀더의 중심 위치 A3 : 홀더 끼워맞춤부의 중심 위치
A4 : 베이스 끼워맞춤부의 중심 위치 X : 제 1 방향
Y : 제 2 방향

Claims (3)

  1. 광섬유를 보지하는 광섬유 홀더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제 1 방향으로 광섬유끼리를 맞대는 한 쌍의 홀더 장착부와,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전극에 의해 광섬유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융착 접속부가, 융착 접속기의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홀더 장착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된 베이스와, 상측에 상기 광섬유 홀더와 끼워맞춤하는 홀더 끼워맞춤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베이스와 끼워맞춤하는 베이스 끼워맞춤부가 형성된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융착 접속부를 향하는 단부가 동일해지도록 자세를 반전하여 양쪽의 상기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며, 어느 쪽의 상기 베이스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도, 상기 베이스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방향을 따르는 폭 방향의 중심 위치가, 상기 전극 사이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는 상기 제 1 방향의 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끼워맞춤부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폭을 갖고,
    상기 홀더 끼워맞춤부는 상기 제 2 방향을 따르는 폭 방향의 중심 위치가 상기 베이스 끼워맞춤부와는 다르고,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폭을 갖는 볼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사이를 관찰하는 현미경을 구비하고,
    상기 현미경에 의해 얻어진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본체에 대해서 상하의 자세를 변경시켜서 영상의 상하 방향을 반전 표시 가능한 모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접속기.
KR1020147001921A 2011-07-25 2012-07-23 융착 접속기 KR101586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62072A JP5810463B2 (ja) 2011-07-25 2011-07-25 融着接続機
JPJP-P-2011-162072 2011-07-25
PCT/JP2012/068608 WO2013015249A1 (ja) 2011-07-25 2012-07-23 融着接続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511A true KR20140027511A (ko) 2014-03-06
KR101586964B1 KR101586964B1 (ko) 2016-01-19

Family

ID=4760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921A KR101586964B1 (ko) 2011-07-25 2012-07-23 융착 접속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46354B2 (ko)
EP (1) EP2738583B1 (ko)
JP (1) JP5810463B2 (ko)
KR (1) KR101586964B1 (ko)
CN (1) CN103733101B (ko)
WO (1) WO20130152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420A1 (ko) * 2016-11-22 2018-05-31 주식회사 토르그룹 광섬유 융착기
KR102034536B1 (ko) * 2018-12-26 2019-10-21 유씨엘스위프트(주) 유전체를 구비한 방전안정화용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1732B1 (ja) * 2014-10-24 2015-09-0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器及びそれを備える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CN104614811A (zh) * 2014-12-09 2015-05-13 中国电信集团工会上海市莘闵电信局委员会 蝶形光缆热熔弓型取纤架及其使用方法
CN105301698A (zh) * 2015-11-30 2016-02-0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三研究所 一种脚踏式光纤耦合系统及其耦合方法
JP6712869B2 (ja) * 2016-02-12 2020-06-2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ベース部材および融着機
US9933572B2 (en) 2016-02-24 2018-04-03 Furukawa Electric Co., Ltd. Fusion splicer
JP6442802B2 (ja) * 2016-03-18 2018-12-26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ホルダおよび当該光ファイバホルダを備えた融着接続装置
JP6628247B2 (ja) * 2016-05-19 2020-01-08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融着接続機
EP3651135A4 (en) * 2017-07-07 2021-03-17 SEI Optifrontier Co., Ltd. FUSION SPLICE DEVICE, FUSION SPLICE DEVICE THEFT DETECTION SYSTEM, AND FUSION SPLICE DEVICE THEFT DETECTION METHOD
CN107632342B (zh) * 2017-10-16 2020-07-31 杭州东南吉通网络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带电极清理功能的光纤熔接机
JP2020071419A (ja) * 2018-11-01 2020-05-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及び融着接続装置
KR20210123304A (ko) * 2019-02-05 2021-10-13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융착 접속 장치 및 융착 접속 방법
CN116165745B (zh) * 2023-02-14 2023-09-22 浙江康阔光智能科技有限公司 侧向光纤注光器及其应用的光纤熔接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454A (ja) * 1992-11-12 1994-05-2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の端末処理台とそれを使用する光ファイバの処理方法
JP2005352168A (ja) 2004-06-10 2005-12-22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の整列方法、光ファイバの突き合わせ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装置
JP2010015181A (ja) * 2009-10-19 2010-01-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2010072245A (ja) * 2008-09-17 2010-04-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ホルダ、その移動構造及び融着接続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9172B2 (ja) 1995-10-18 2005-01-1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の切断機および接続機
JP2002006167A (ja) * 2000-06-19 2002-01-09 Fujikura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WO2002004998A1 (fr) 2000-07-10 2002-01-1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Porte-conducteur de fibre optique, dispositif de connexion par fusion, dispositif de decoupe et procede de connexion de fibre optique
JP2003329873A (ja) 2001-12-27 2003-11-19 Fujikura Ltd 位置決め機構を備えた光ファイバ把持具、光ファイバアダプタ、及び光ファイバ加工装置
JP4509907B2 (ja) * 2005-10-03 2010-07-21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端面検査工具
JP4630266B2 (ja) * 2006-12-15 2011-02-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コードホルダ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コードの製造方法並びに融着接続機
CH700691B1 (de) 2009-03-20 2020-09-15 Diamond S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pleissen von Lichtwellenleitern, sowie Verwendung eines Endstückes in einer Vorrichtung zum Spleissen.
JP2010249967A (ja) * 2009-04-14 2010-11-04 Sumitomo Electric Ind Ltd ホルダ、融着接続機及び融着接続方法
JP5407540B2 (ja) * 2009-05-13 2014-02-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ホルダ、融着接続機及び融着接続方法
JP5280336B2 (ja) 2009-11-12 2013-09-04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ホルダ
JP2012137550A (ja) * 2010-12-24 2012-07-19 Sei Optifrontier Co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454A (ja) * 1992-11-12 1994-05-2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の端末処理台とそれを使用する光ファイバの処理方法
JP2005352168A (ja) 2004-06-10 2005-12-22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の整列方法、光ファイバの突き合わせ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装置
JP2010072245A (ja) * 2008-09-17 2010-04-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ホルダ、その移動構造及び融着接続機
JP2010015181A (ja) * 2009-10-19 2010-01-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420A1 (ko) * 2016-11-22 2018-05-31 주식회사 토르그룹 광섬유 융착기
US11002910B2 (en) 2016-11-22 2021-05-11 Soltech Infonet Co., Ltd. Fibre optic fusion splicer
KR102034536B1 (ko) * 2018-12-26 2019-10-21 유씨엘스위프트(주) 유전체를 구비한 방전안정화용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964B1 (ko) 2016-01-19
CN103733101A (zh) 2014-04-16
JP5810463B2 (ja) 2015-11-11
EP2738583A4 (en) 2015-02-25
EP2738583B1 (en) 2017-08-30
WO2013015249A1 (ja) 2013-01-31
JP2013025239A (ja) 2013-02-04
EP2738583A1 (en) 2014-06-04
US9146354B2 (en) 2015-09-29
US20140165657A1 (en) 2014-06-19
CN103733101B (zh)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7511A (ko) 융착 접속기
CN103229082B (zh) 光纤熔接机
US9235005B2 (en) Method of fusion-splicing optical fibers and fusion splicer
JP5771732B1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器及びそれを備える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5395616B2 (ja) フェルールホルダ
US9488781B2 (en) Optical fiber holder and optical fiber fusion-connecting device
KR20160110106A (ko) 광파이버의 융착 접속 방법 및 융착 접속 장치
JP2012137538A (ja) 光ファイバ補強用加熱器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KR20140005749A (ko) 광섬유 융착 접속기
KR20160110105A (ko) 광파이버의 융착 접속 방법 및 융착 접속 장치
US10935725B2 (en) Fusion splicing device and optical fiber reinforcing method
US11204465B2 (en) Optical fiber holder and fusion-splicing apparatus including optical fiber holder
KR102419755B1 (ko)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융착 접속기
CN112711095B (zh) 熔接机
CN112639558B (zh) 光纤排列夹具、配有光纤排列夹具的光纤熔接机及排列光纤的方法
JP2013114135A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装置及び融着接続機
JPH01284804A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