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538A - 광고 시스템, 광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광고 시스템, 광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538A
KR20140025538A KR1020137034485A KR20137034485A KR20140025538A KR 20140025538 A KR20140025538 A KR 20140025538A KR 1020137034485 A KR1020137034485 A KR 1020137034485A KR 20137034485 A KR20137034485 A KR 20137034485A KR 20140025538 A KR20140025538 A KR 20140025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st
advertisement
area
advertisemen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4824B1 (ko
Inventor
겐따로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25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광고를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광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정보 일람 취득부(33)는 정보 일람을 기억해서 이루어지는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득한다.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에 포함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한다. 화면 데이터 생성부(35)는 광고 대상 선출부(34)에 의해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된 정보에 관한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광고 영역과,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일람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정보를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어떤 순서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정보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Description

광고 시스템, 광고 시스템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기억 매체{ADVERTISING SYSTEM, ADVERTISING SYSTEM CONTROL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광고 시스템, 광고 시스템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유저에 대하여 광고를 행하는 각종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상품의 일람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에 광고 영역을 설치하고, 상품의 광고를 그 광고 영역에 표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87443호 공보
광고주는 광고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것을 원한다. 즉, 광고주는 광고를 행할 필요성이 높은 경우에만 광고를 실시하고, 광고를 행할 필요성이 낮은 경우에는 광고를 대기시키려고 생각한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광고가 효율적으로 실시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경우, 상품 일람에 있어서의 표시 순위가 높은 상품은 유저에 의해 인식되기 쉽기 때문에, 굳이 광고를 행할 필요성이 낮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상품의 광고가 광고 영역에 표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경우, 상품 일람에 있어서의 표시 순위가 낮은 상품은 유저에 의해 인식되기 어렵기 때문에, 광고를 행할 필요성이 높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상품의 광고가 광고 영역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광고를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광고 시스템, 광고 시스템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광고 시스템은, 정보 일람을 기억해서 이루어지는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득하는 정보 일람 취득 수단과,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에 포함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는 광고 대상 선출 수단과,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에 의해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된 정보에 관한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광고 영역과,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일람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어떤 순서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정보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광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정보 일람을 기억해서 이루어지는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득하는 정보 일람 취득 스텝과,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에 포함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는 광고 대상 선출 스텝과,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스텝에 의해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된 정보에 관한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광고 영역과,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스텝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일람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스텝은,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어떤 순서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정보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은, 정보 일람을 기억해서 이루어지는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득하는 정보 일람 취득 수단,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에 포함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는 광고 대상 선출 수단 및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에 의해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된 정보에 관한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광고 영역과,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일람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고,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어떤 순서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정보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정보 기억 매체는,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 기억 매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일람 영역에는,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가 어떤 순서로 소트된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 일람을 상기 순서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정보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광고 시스템은, 복수의 속성 항목 중에서 소트의 키 항목으로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속성 항목을 취득하는 키 항목 취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람 영역에는,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키 항목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속성 항목을 상기 키 항목으로서 소트된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복수의 속성 항목 중 소정의 속성 항목을 상기 키 항목으로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정보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광고 시스템은, 복수의 속성 항목 중에서 소트의 키 항목으로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속성 항목을 취득하는 키 항목 취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람 영역에는,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키 항목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속성 항목을 상기 키 항목으로서 소트된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복수의 속성 항목의 각각이 상기 키 항목으로서 선택된 횟수 또는 빈도에 관한 선택 정보를 기억해서 이루어지는 선택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속성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 대상으로서 선출하는 고려 대상 선출 수단과,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고려 대상으로서 선출된 속성 항목을 상기 키 항목으로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정보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고려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키 항목으로서 선택된 횟수 또는 빈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은 속성 항목을 상기 고려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확률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지 여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확률 정보를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될 확률이,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기준 순위보다도 낮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될 확률에 비해 낮아지도록, 상기 확률 정보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일람 영역에는,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의 일부로서,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 중, 소트 순위가 상기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 정보의 일람이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광고 영역에 관련지어서, 소트 순위에 관한 조건을 기억해서 이루어지는 수단의 기억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광고 영역에 관련지어진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광고 영역에 관련지어진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그 정보를 그 광고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확률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광고 영역에 관련지어서, 소트 순위에 관한 조건을 기억해서 이루어지는 수단의 기억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광고 영역에 관련지어진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광고 영역에 관련지어진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확률 정보를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광고 영역에 관련지어진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상기 광고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될 확률이,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광고 영역에 관련지어진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상기 광고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될 확률에 비해 낮아지도록, 상기 확률 정보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정보에 관한 광고 과금액을, 그 정보에 관한 광고가 상기 광고 영역에 표시된 횟수 또는 빈도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광고 과금액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에 포함되는 정보 중 복수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고, 상기 화면은, 제1 광고 영역과, 상기 제1 광고 영역보다도 하부에 표시되는 제2 광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에 의해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된 복수의 정보에, 제1 정보와, 상기 제1 정보보다도 소트 순위가 낮은 제2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제1 정보에 관한 광고를 상기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 정보에 관한 광고를 상기 제1 광고 영역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를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상품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상품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판매 상품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거래 이력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선택 횟수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상품 일람 화면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기준 순위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예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복수의 점포가 출점하는 가상적인 상점가를 실현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광고 시스템을 실현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1)은 서버(10)와, 데이터베이스(12)와, 복수의 점포 단말기(4)와, 복수의 유저 단말기(6)를 포함한다. 서버(10)와, 복수의 점포 단말기(4)와, 복수의 유저 단말기(6)는, 예를 들어 인터넷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 네트워크(2)에 접속된다. 서버(10)와 유저 단말기(6) 사이에서는 서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서버(10)와 점포 단말기(4) 사이에서도 서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서버(10)는 예를 들어 가상 상점가의 포털로서 기능하는 가상 상점가 서버다. 서버(10)는 점포 단말기(4) 또는 유저 단말기(6)로부터 수신한 처리 요구에 기초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예를 들어 CPU 등)와, 주기억부(예를 들어 RAM 등)와, 보조 기억부(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와, 광 디스크(정보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판독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는 보조 기억부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광 디스크(정보 기억 매체)를 통해서 보조 기억부에 공급된다. 즉,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된 광 디스크가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장착되고, 광 디스크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해 판독되고, 보조 기억부에 기억된다. 또한, 광 디스크 이외의 정보 기억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를 통해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조 기억부에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는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해서 보조 기억부에 공급되도록 해도 된다.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12)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12)에는, 예를 들어 가상 상점가를 이용하는 유저에 관한 데이터, 가상 상점가에 출점하고 있는 점포에 관한 데이터, 가상 상점가에서 취급하고 있는 상품에 관한 데이터나, 가상 상점가에서 행해진 거래의 이력에 관한 데이터 등이 기억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2)는 서버(10)와는 다른 서버 내에 구축되어 있어도 되고, 서버(10) 내에 구축되어 있어도 된다.
점포 단말기(4)는 가상 상점가에 출점하는 점포측에 설치된 정보 처리 장치다. 점포 단말기(4)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등이다. 점포 단말기(4)는 가상 상점가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정보 등을 서버(10)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12)에 등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점포 단말기(4)에서는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화면이 표시된다.
유저 단말기(6)는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정보 처리 장치다. 유저 단말기(6)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기, 또는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이다. 유저 단말기(6)는 가상 상점가에서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6)는 제어부(예를 들어 CPU), 주기억부(예를 들어 RAM)와, 보조 기억부(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슬롯, 조작부, 표시부(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음성 출력부(예를 들어 스피커)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서버(10)에서는 HTTP 데몬이 기동된다. 또한, 점포 단말기(4) 또는 유저 단말기(6)에서는 브라우저가 기동되고, 점포 단말기(4) 또는 유저 단말기(6)로부터는, 브라우저를 통해서 처리 요구(HTTP 리퀘스트)가 서버(10)로 송신된다. 또한, 서버(10)로부터는, 상기 처리 요구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HTTP 리스펀스)가 점포 단말기(4) 또는 유저 단말기(6)로 송신된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 기술 언어로 기술된 페이지 데이터가 점포 단말기(4) 또는 유저 단말기(6)로 송신된다. 그리고, 이 페이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리 결과에 기초하는 화면이 점포 단말기(4) 또는 유저 단말기(6)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가상 상점가를 이용하는 경우에 유저 단말기(6)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상 상점가를 이용하는 유저가 유저 단말기(6)를 사용해서 서버(10)에 액세스하면, 가상 상점가의 톱 페이지 데이터가 서버(10)로부터 유저 단말기(6)로 송신되고, 가상 상점가의 톱 화면(톱 페이지:도시하지 않음)이 유저 단말기(6)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유저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거나, 상품을 검색하거나 함으로써, 원하는 상품을 찾는다.
도 2는 유저가 상품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거나, 상품을 검색하거나 한 경우에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품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텔레비전」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상품 일람 화면(2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상품 일람 화면(20)의 일람 영역(21)에는, 「텔레비전」 카테고리에 소속된 상품의 일람이 표시되어 있다. 상품의 명칭, 가격, 점포나, 평가 포인트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점포」는 그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점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평가 포인트」는 그 상품을 구입한 유저에 의한 그 상품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수치다. 예를 들어, 유저는 구입한 상품에 대한 평가로서 「1」 내지 「5」의 수치를 평가 포인트로서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평가 포인트의 값이 높을수록, 상품에 대한 평가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일람 영역(21)에서는, 상품을 구입한 유저들이 입력한 평가 포인트의 평균값이 표시된다. 일람 영역(21)에는, 「평가 포인트」와 함께, 평가를 행한 유저의 수가 「평가인수」로서 표시된다.
또한, 일람 영역(21)에서는 상품명이 링크 버튼이 되어 있다. 즉, 상품의 상세를 나타내는 상품 페이지 데이터에의 링크 정보가 상품명에 관련지어져 있으며, 유저가 상품명을 선택하면, 상품 화면(상품 페이지:도시하지 않음)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상품 화면에 있어서, 유저는 상품의 구입 수속을 행하거나, 다른 유저에 의한 상품의 평가 결과를 확인하거나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품 일람 화면(20)에는, 키워드 입력란(22)과 가격 입력란(23, 24)과 검색 버튼(25)이 표시되어 있고, 유저가 상품의 일람을 더 좁히기 위한 압축 조건 (검색 조건)을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키워드 입력란(22)은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란이다. 또한, 가격 입력란(23, 24)은 가격의 하한 또는 상한을 입력하기 위한 란이다. 검색 버튼(25)이 선택되면,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상품 일람이 일람 영역(21)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키워드 입력란(22)에 키워드가 입력된 상태에서 유저가 검색 버튼(25)을 선택하면, 예를 들어 상품 페이지에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상품의 일람이 일람 영역(21)에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가격 입력란(23)에 가격이 입력된 상태에서 유저가 검색 버튼(25)을 선택하면, 입력된 가격 이상의 가격을 갖는 상품의 일람이 일람 영역(21)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가격 입력란(24)에 가격이 입력된 상태에서 유저가 검색 버튼(25)을 선택하면, 입력된 가격 이하의 가격을 갖는 상품의 일람이 일람 영역(21)에 표시된다.
또한, 상품 일람 화면(20)에는 표시 순서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순서 선택란(26)이 표시되어 있고, 유저가 상품 일람의 표시 순서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상품 일람 화면(20)에서는, 상품 일람을 소트하는 경우의 키 항목으로 하는 속성 항목으로서, 「가격(낮은순)」, 「가격(높은순)」, 「판매 점포수」, 「매상」, 「평가」, 또는 「열람수」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가격(낮은순)」또는 「가격(높은순)」이 선택된 경우, 가격의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소트된 상품 일람이 일람 영역(21)에 표시된다. 「판매 점포수」가 선택된 경우,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점포의 수의 내림차순으로 소트된 상품 일람이 일람 영역(21)에 표시된다. 「매상」이 선택된 경우, 대상 기간(예를 들어 최근 1주일) 내에 있어서의 매상수의 내림차순으로 소트된 상품 일람이 일람 영역(21)에 표시된다.
「평가」가 선택된 경우, 평가 포인트의 내림차순으로 소트된 상품 일람이 일람 영역(21)에 표시된다. 「열람 횟수」가 선택된 경우, 대상 기간(예를 들어 최근 일주일) 내에 상품 화면(상품 페이지)이 열람된 횟수의 내림차순으로 소트된 상품 일람이 일람 영역(21)에 표시된다. 또한, 상품의 열람 횟수가 많은 것은, 상품에 관심을 갖고 있는 유저가 많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일람 영역(21)에 표시 가능한 상품의 최대 건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상품 일람 화면(20)은 상기 최대 건수가 10건인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품의 카테고리가 선택됨으로써 상품 일람 화면(20)이 표시된 경우, 검색 버튼(25)이 선택된 경우나, 표시 순서 선택란(26)에서 표시 순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품 일람에 포함되는 상품 중, 소트 순위가 제1번째 내지 제N(N: 상기 최대 건수)번째인 상품의 일람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상품 일람 화면(20)의 경우, 「텔레비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은 100건 있고, 그들 상품 중, 소트 순위가 제1번째 내지 제10번째의 상품의 일람이 일람 영역(21)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유저는 버튼(27)을 선택함으로써, 다음 10건의 상품을 일람 영역(21)에 표시시킬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버튼(27)이 선택되면, 소트 순위가 제11번째 내지 제20번째의 상품의 일람이 일람 영역(21)에 표시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소트 순위가 제1번째 내지 제10번째의 상품의 일람이 일람 영역(21)에 표시되는 상품 일람 화면(20)을 「제1페이지째의 상품 일람 페이지」라고 기재한다. 또한, 소트 순위가 제11번째 내지 제20번째의 상품의 일람이 일람 영역(21)에 표시되는 상품 일람 화면(20)을 「제2페이지째의 상품 일람 페이지」라고 기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페이지째 이후의 상품 일람 페이지를 열람하기 위해서(바꿔 말하면, 소트 순위가 제10번째보다도 낮은 상품의 일람을 열람하기 위해서), 유저는 버튼(27)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제1페이지째의 상품 일람 페이지에 일람 표시되는 상품(즉, 소트 순위가 제1번째 내지 제10번째의 상품)에 관해서는 유저의 눈에 띄기 쉽지만, 제2페이지째 이후의 상품 일람 페이지에 일람 표시되는 상품(즉, 소트 순위가 제10번째보다도 낮은 상품)은 유저의 눈에 띄기 어렵게 되어 있다.
상품 일람 화면(20)에는 광고 영역(28)도 설치되어 있다.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상품 중에서 선출된 상품의 광고가 광고 영역(28)에 표시된다. 점포는, 스스로가 판매하고 있는 개개의 상품마다, 광고를 행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점포가 광고를 행하면 선택한 상품의 광고가 광고 영역(28)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상품 일람 화면(20)의 경우, 일람 영역(21)은 광고 영역(28)보다도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일람 영역(21)과 광고 영역(28)의 위치 관계는, 일람 영역(21)에 있어서, 소트 순위가 낮은 상품일수록, 광고 영역(28)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표시되는 위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상품 일람 화면(20)의 경우, 광고 영역(28)은 제1 광고 영역(28A)과 제2 광고 영역(28B)을 포함하고 있다. 제1 광고 영역(28A) 및 제2 광고 영역(28B)에는 서로 다른 상품의 광고가 표시된다. 또한, 상품 일람 화면(20)에 있어서, 제1 광고 영역(28A)은 제2 광고 영역(28B)보다도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제1 광고 영역(28A)쪽이 제2 광고 영역(28B)보다도 눈에 띄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전자 상거래 시스템(1)에서는 광고를 효율적으로 실시하게 되어 있다. 즉, 광고를 행할 필요성이 낮은 경우에는 광고를 대기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광고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1)에 있어서 실현되는 기능 블록 중, 본 발명에 관련한 기능 블록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상거래 시스템(1)은 기억부(30), 키 항목 취득부(32), 정보 일람 취득부(33), 광고 대상 선출부(34) 및 화면 데이터 생성부(35)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억부(30)는 데이터베이스(12)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키 항목 취득부(32), 정보 일람 취득부(33), 광고 대상 선출부(34) 및 화면 데이터 생성부(35)는 서버(10)에 의해 실현된다. 즉, 서버(10)의 제어부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제어부가 이들 기능 블록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우선, 기억부(30)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억부(30)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기억부(30)는 정보 일람 기억부(31)를 포함하고 있다. 정보 일람 기억부(31)는 정보 일람을 기억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정보 일람 기억부(31)는 상품 일람을 기억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품 일람」이 상기 「정보 일람」이 상당한다.
도 4 내지 도 6은 기억부(30)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상품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가상 상점가에서 취급되고 있는 상품의 공통 정보가 상품 테이블에 등록된다. 즉, 상품에 관한 정보 중, 판매하고 있는 점포에 따르지 않는 정보가 상품 테이블에 기억된다. 도 4에 도시하는 상품 테이블은 「상품 ID」, 「명칭」 및 「카테고리」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상품 ID」 필드에는, 상품을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상품 ID)가 등록된다. 「명칭」 필드에는 상품의 명칭이 등록된다. 「카테고리」 필드에는 상품의 카테고리가 등록된다.
도 5는 판매 상품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가상 상점가의 각 점포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의 정보가 판매 상품 테이블이 등록된다. 즉, 상품에 관한 정보 중, 판매하고 있는 점포에 따른 정보가 판매 상품 테이블에 기억된다. 도 5에 도시하는 판매 상품 테이블은 「점포 ID」, 「상품 ID」, 「가격」, 「상품 페이지」, 「광고 플래그」, 「광고 데이터」 및 「열람 이력」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점포 ID」 필드에는, 점포를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점포 ID)가 등록된다. 또한, 점포의 상세 정보는 점포 테이블(도시하지 않음)에 등록된다. 「상품 ID」 필드에는, 점포가 판매하고 있는 상품의 상품 ID가 등록된다. 도 5에 도시하는 판매 상품 테이블의 경우, 상품 ID가 「G0001」인 상품이, 점포 ID가 「S001」인 점포와 점포 ID가 「S002」인 점포의 2개의 점포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가격」 필드에는 상품의 판매 가격이 등록된다.
「상품 페이지」 필드에는 상품 페이지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가 등록된다. 예를 들어, 상품 페이지 데이터의 URL이 「상품 페이지」 필드에 등록된다. 「광고 플래그」 필드에는,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점포가 상품의 광고를 희망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광고 플래그)가 등록된다. 예를 들어, 「0」 또는 「1」의 값이 「광고 플래그」 필드에 등록된다. 값 「0」은 점포가 광고를 희망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값 「1」은 점포가 광고를 희망하는 것을 나타낸다. 「광고 데이터」 필드에는, 광고 영역(28)에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가 등록된다. 「열람 이력」 필드에는, 상품 화면(상품 페이지)의 열람 이력에 관한 정보가 등록된다. 예를 들어, 상품 페이지 데이터가 유저 단말기(6)로 송신된 일시의 이력이 「열람 이력」 필드에 등록된다.
도 6은 구입 이력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각 유저의 상품 구입 이력이 구입 이력 테이블에 등록된다. 도 6에 나타내는 구입 이력 테이블은 「거래 ID」, 「유저 ID」, 「상품 ID」, 「점포 ID」, 「구입일시」, 「구입수」, 「금액」 및 「평가 결과」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거래 ID」 필드에는 거래를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거래 ID)가 등록된다. 「유저 ID」 필드에는 상품을 구입한 유저의 유저 ID가 등록된다. 유저 ID는 유저를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다. 「상품 ID」 필드에는, 유저에 의해 구입된 상품의 상품 ID가 등록되고, 「점포 ID」 필드에는, 유저가 상품을 구입한 점포의 점포 ID가 등록된다.
「구입 일시」 필드에는 유저가 상품을 구입한 일시가 등록된다. 「개수」 필드에는 유저가 구입한 개수가 등록되고, 「금액」 필드에는 유저가 점포에 지불한 금액이 등록된다. 「평가 결과」 필드에는, 구입한 상품에 대한 유저의 평가 결과가 등록된다. 「평가 결과」 필드에는 「평가 포인트」 및 「평가 코멘트」 필드가 포함되어 있다. 「평가 포인트」 필드에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평가 포인트(예를 들어 1 내지 5의 정수값)가 등록된다. 「평가 코멘트」 필드에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코멘트가 등록된다. 평가 포인트나 평가 코멘트는, 상품을 구입한 유저에 의해, 실제로 상품을 사용한 결과를 근거로 해서 등록된다.
키 항목 취득부(32)에 대해서 설명한다. 키 항목 취득부(32)는 정보 일람을 소트하는 경우의 키 항목으로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속성 항목을 취득한다. 또한, 키 항목은 복수의 속성 항목 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품의 속성에 관한 복수의 속성 항목이 상기 「복수의 속성 항목」에 상당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순서 선택란(26)에서 키 항목으로서 선택 가능한 속성 항목인 「가격(낮은순)」, 「가격(높은순)」, 「판매 점포수」, 「매상」, 「평가」 및 「열람수」가 상기 「복수의 속성 항목」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키 항목 취득부(32)는 상품 일람 화면(20)의 표시 순서 선택란(26)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키 항목으로서 선택된 속성 항목을 취득한다.
정보 일람 취득부(33)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보 일람 취득부(33)는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득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정보 일람 취득부(33)는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상품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정보 일람 취득부(33)는 유저에 의해 지정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의 일람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지정된 카테고리가 「텔레비전」인 경우, 정보 일람 취득부(33)는 「텔레비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의 일람을 취득한다. 또한, 이 경우, 정보 일람 취득부(33)는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전체 카테고리의 상품 일람 중에서, 「텔레비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의 일람을 취득하는 것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즉, 정보 일람 취득부(33)는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전체 카테고리의 상품 일람 중 일부를 취득하는 것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정보 일람 취득부(33)는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텔레비전」 카테고리의 상품 일람의 전부를 취득하는 것이라고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정보 일람 취득부(33)는 유저에 의해 지정된 카테고리에 속하고, 또한 유저에 의해 입력된 압축 조건을 만족하는 상품의 일람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지정된 카테고리가 「텔레비전」인 경우, 정보 일람 취득부(33)는, 「텔레비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의 일람 중에서, 유저에 의해 입력된 압축 조건을 만족하는 상품의 일람을 취득한다. 또한, 이 경우, 정보 일람 취득부(33)는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전체 카테고리의 상품 일람 중에서, 「텔레비전」 카테고리에 속하고, 또한 유저에 의해 입력된 압축 조건을 만족하는 상품의 일람을 취득하는 것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이 경우, 정보 일람 취득부(33)는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텔레비전」 카테고리의 상품 일람 중에서, 유저에 의해 입력된 압축 조건을 만족하는 상품의 일람을 취득하는 것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즉, 정보 일람 취득부(33)는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텔레비전」 카테고리의 상품 일람 중 일부를 취득하는 것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광고 대상 선출부(34)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에 포함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상품 일람에 포함되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된 상품에 관한 광고가 상품 일람 화면(20)의 광고 영역(28)에 표시된다. 이로 인해, 「광고 대상」이란, 광고 영역(28)에 광고를 표시해야 할 상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정보 일람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된 상품 일람에 포함되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일람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된 상품 일람이, 유저에 의해 지정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의 일람인 경우,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그 일람에 포함되는 상품 중에서, 광고 플래그가 「1」인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한다. 또는, 정보 일람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된 상품 일람이, 「텔레비전」 카테고리에 속하고, 또한 유저에 의해 지정된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상품의 일람인 경우,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그 일람에 포함되는 상품 중에서, 광고 플래그가 「1」인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한다.
광고 대상 선출부(34) 동작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화면 데이터 생성부(35)에 대해서 설명해 둔다. 화면 데이터 생성부(35)는 광고 대상 선출부(34)에 의해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된 정보에 관한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광고 영역과, 정보 일람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일람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품 일람 화면(20)이 상기 「화면」에 상당한다. 즉, 화면 데이터 생성부(35)는 상품 일람 화면(20)의 화면 데이터(상품 일람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일람 화면(20)은 일람 영역(21)과 광고 영역(28)을 포함하고 있다.
일람 영역(21)에는, 정보 일람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되는 상품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정보 일람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되는 상품 일람에 포함되는 상품의 건수가, 일람 영역(21)에 표시 가능한 최대 건수 이하인 경우에는, 정보 일람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되는 상품 일람의 전부가 일람 영역(21)에 표시된다. 한편, 정보 일람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되는 상품 일람에 포함되는 상품의 건수가, 일람 영역(21)에 표시 가능한 최대 건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정보 일람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되는 상품 일람의 일부가 일람 영역(21)에 표시된다.
또한, 유저에 의해 키 항목으로서 지정된 속성 항목이 키 항목 취득부(32)에 의해 취득된 경우, 일람 영역(21)에는 정보 일람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가, 키 항목 취득부(32)에 의해 취득된 속성 항목을 키 항목으로서 소트된 상태로 표시된다.
또한, 광고 영역(28)에는 광고 대상 선출부(34)에 의해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된 상품에 관한 광고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광고 대상 선출부(34)에 의해 광고 대상으로서 2개의 상품이 선출된다. 그리고, 그들 2개의 상품의 한쪽에 관한 광고가 제1 광고 영역(28A)에 표시되고, 다른 쪽에 관한 광고가 제2 광고 영역(28B)에 표시된다.
또한, 복수의 광고 영역이 화면에 포함되고, 또한 광고 대상 선출부(34)에 의해 광고 대상으로서 복수의 상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화면 데이터 생성부(35)는, 어느 상품의 광고를 어느 광고 영역에 표시할 것인지를 하기에 설명하도록 해서 결정하도록 하면 된다. 즉, 화면 데이터 생성부(35)는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해서, 그 상품에 대응하는 광고를 복수의 광고 영역 중 어디에 표시할 것인지를, 복수의 상품 각각의 소트 순위와, 복수의 광고 영역의 위치에 기초해서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광고 대상 선출부(34)에 의해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된 2개의 상품에, 제1 상품과, 제1 상품보다도 소트 순위가 낮은 제2 상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화면 데이터 생성부(35)는, 제2 상품에 대응하는 광고를 제1 광고 영역(28A)에 표시하고, 또한 제1 상품에 대응하는 광고를 제2 광고 영역(28B)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즉, 화면 데이터 생성부(35)는 소트 순위가 낮은 쪽의 제2 상품에 대응하는 광고를 제1 광고 영역(28A)(즉, 눈에 띄는 쪽의 제1 광고 영역(28A))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화면 데이터 생성부(35)는 소트 순위가 높은 쪽의 제1 상품에 대응하는 광고를 제2 광고 영역(28B)(즉, 눈에 띄지 않는 쪽의 제2 광고 영역(28B))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일람 영역(21)에 있어서 유저의 눈에 띄기 어려운 쪽의 상품(제2 상품)의 광고가, 보다 눈에 띄는 쪽의 광고 영역(제1 광고 영역(28A))에 표시되게 된다. 그 결과, 일람 영역(21)에 있어서 유저의 눈에 띄기 어려운 쪽의 상품(제2 상품)의 광고가 유저의 눈에 띄기 쉬워지도록 도모되게 된다.
화면 데이터 생성부(35)는 생성한 화면 데이터를 유저 단말기(6)로 송신한다. 유저 단말기(6)에서는 수신된 화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품 일람 화면(20)이 표시부에 표시된다. 즉, 화면 데이터 생성부(35)는 생성한 화면 데이터를 유저 단말기(6)로 송신함으로써, 그 화면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면(즉, 상품 일람 화면(20))을 유저 단말기(6)의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고 대상 선출부(34)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정보를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어떤 순서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정보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품 일람이 상기 「정보 일람」에 상당하며,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상품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어떤 순서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상품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여기서, 「어떤 순서」란, 예를 들어 일람 영역(21)에 표시되는 상품 일람과 동일한 소트 순서다. 또한,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상품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란, 예를 들어 「정보 일람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되는 상품 일람」이다.
즉, 일람 영역(21)에, 정보 일람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된 상품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가 어떤 순서로 소트된 상태로 표시되는 경우,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정보 일람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된 상품 일람을 동일 순서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상품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정보 일람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이 「텔레비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일람인 경우를 상정한다. 또한, 그 상품 일람이 가격의 오름차순으로 소트된 상태에서 일람 영역(21)에 표시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품 ID가 「G0001」인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텔레비전」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일람을 가격의 오름차순으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상품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예를 들어,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품의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상품의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다고 판정된 경우에,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그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는다.
또한,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 경우」란, 소트 순위를 나타내는 수치(예를 들어 소트 순위가 제1번째인 경우에는 「1」)가 기준 순위를 나타내는 수치보다도 작은 경우다.
또한, 「기준 순위」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이 설정된다. 즉, 일람 영역(21)에 표시 가능한 상품의 최대 건수가 N건인 경우, 「N+1」이 기준 순위로 설정된다. 즉,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품의 소트 순위가 「N+1」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품의 소트 순위가 「N+1」보다도 높은 경우, 즉, 상품의 소트 순위가 제1번째 내지 제N번째 중 어느 하나인 경우,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그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는다. 즉, 상기 상품의 광고 플래그가 「1」이 되어 있다고 해도,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그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면, 상품이 제1번째의 상품 일람 페이지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그 상품이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되지 않게 되며, 그 상품의 광고가 광고 영역(28)에 표시되지 않게 된다. 상품이 제1번째의 상품 일람 페이지에 표시되는 경우란, 일람 영역(21)에 표시되는 상품이 유저의 눈에 띄기 쉬운 경우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품의 광고를 실시할 필요성이 낮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와 같이 하면, 이러한 경우에 광고가 실시되지 않게 된다. 즉, 광고가 효율적으로 실시되게 된다.
그런데, 「기준 순위」는 일람 영역(21)에 표시 가능한 상품의 최대 건수에 1을 더한 수치 「N+1」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람 영역(21)에 표시 가능한 상품의 최대 건수가 비교적 많은 경우에는, 상기 수치 「N+1」보다도 작은 값을 「기준 순위」로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일람 영역(21)에 표시 가능한 상품의 최대 건수가 비교적 많은 경우(예를 들어 최대 건수가 100건인 경우), 상품이 제1번째의 상품 일람 페이지에 표시되었다고 해도, 상품이 유저의 눈에 띄기 쉽다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트 순위가 제81번째 내지 제100번째의 상품이 유저의 눈에 띄기 쉽다고는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기준 순위」를 예를 들어 「81」등으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즉, 상품이 유저의 눈에 띄기 쉽다고 할 수 있는 소트 순위를 고려하여, 「기준 순위」를 설정하도록 하면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키 항목 취득부(32), 정보 일람 취득부(33), 광고 대상 선출부(34) 및 화면 데이터 생성부(35)는 서버(10)의 제어부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7은 상기 기능 블록을 실현하기 위해서 서버(10)의 제어부가 실행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서버(10)의 제어부가 도 7에 나타내는 처리를 프로그램에 따라서 실행함으로써, 제어부가 상기 기능 블록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 7은 상품 일람 화면(20)의 검색 버튼(25)이 선택된 경우나, 표시 순서 선택란(26)에 있어서 표시 순서가 지정된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상품 일람 화면(20)의 검색 버튼(25)이 선택된 경우나, 표시 순서 선택란(26)에 있어서 표시 순서가 지정된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기(6)의 제어부는 상품 일람 페이지 데이터를 요구한다(S101). 즉, 제어부는 상품 일람 페이지 데이터를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HTTP 리퀘스트를 서버(10)로 송신한다.
이 HTTP 리퀘스트에는, 유저에 의해 지정된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나, 키워드 입력란(22) 및 가격 입력란(23, 24)에 입력된 내용에 관한 정보가 검색 조건에 관한 정보로서 관련지어져 있으며, 이들 정보가 서버(10)로 송신된다. 또한, 이 HTTP 리퀘스트에는 표시 순서 선택란(26)에 있어서 키 항목으로서 선택된 속성 항목에 관한 정보도 관련지어져 있으며, 이 정보도 서버(10)로 송신된다.
서버(10)의 제어부는 유저 단말기(6)로부터 송신된 HTTP 리퀘스트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는 검색 조건(예를 들어, 카테고리, 키워드 및 가격)도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키 항목 취득부(32))는 소트의 키 항목도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정보 일람 취득부(33))는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S102). 즉, 제어부는 검색 조건(예를 들어, 카테고리, 키워드 및 가격)을 만족하는 상품의 일람이며, 또한 소트의 키 항목으로 소트된 상품 일람을 취득한다.
또한, 소트의 키 항목으로서 선택될 수 있는 속성 항목의 값은 판매 상품 테이블 또는 거래 이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취득된다. 예를 들어, 각 상품의 「판매 점포수」는 판매 상품 테이블에 기초하여 취득된다. 또한, 각 상품의 「매상」은 거래 이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취득된다. 또한, 각 상품의 「평가」는 거래 이력 테이블의 「평가 포인트」 필드에 기초하여 취득된다. 또한, 각 상품의 「열람수」는 판매 상품 테이블의 「열람 이력」 필드에 기초하여 취득된다.
스텝 S102의 처리가 실행된 후, 제어부(광고 대상 선출부(34))는 광고 대상의 상품을 선출한다(S103). 예를 들어, 제어부는 하기의 3개의 조건 (a) 내지 (c)를 모두 만족하는 상품 중 2개를 광고 대상으로서 결정한다.
(a) 스텝 S102에서 취득된 상품 일람에 포함되어 있다.
(b) 광고 플래그가 「1」이다.
(c)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지 않다.
바꿔 말하면, 제어부는 스텝 S102에서 취득된 상품 일람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는 광고 플래그가 「1」이 아닌 상품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는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 상품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3개의 조건 (a) 내지 (c)를 모두 만족하는 상품이, 상품 일람 화면(20)에 설치된 광고 영역의 수(도 2에 도시하는 예의 경우에는 「2」)보다도 많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이하에 설명하도록 하며, 상기 3개의 조건 (a) 내지 (c)를 모두 만족하는 상품 중에서 광고 대상을 선출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3개의 조건 (a) 내지 (c)를 모두 만족하는 상품 중에서 광고 대상을 선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하여, 3개의 예를 설명한다.
(1) 예를 들어,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기 3개의 조건 (a) 내지 (c)를 모두 만족하는 각 상품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광고 대상의 선출을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소트 순위가 낮은 상품을 우선적으로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광고 대상을 선출하는 경우,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기 3개의 조건 (a) 내지 (c)를 모두 만족하는 상품 중에서, 소트 순위가 가장 낮은 상품과, 소트 순위가 제2번째로 낮은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소트 순위가 낮은 상품일수록(즉, 유저의 눈에 띄기 어려운 상품일수록), 우선적으로 광고가 실시되도록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기 3개의 조건 (a) 내지 (c)를 모두 만족하는 각 상품의 광고비(또는 광고 단가)에 기초하여, 광고 대상의 선출을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광고비」는 광고주(상품을 판매하는 점포)가 상품의 광고를 위해서 지불하는 비용을 의미하며, 「광고 단가」는 소정 횟수 또는 소정 시간당 광고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광고비(또는 광고 단가)가 높은 상품을 우선적으로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광고 대상을 선출하는 경우,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기 3개의 조건 (a) 내지 (c)를 모두 만족하는 상품 중에서, 광고비(또는 광고 단가)가 가장 높은 상품과, 광고비(또는 광고 단가)가 제2번째로 높은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가상 상점가의 제공자에게 있어서 광고 수입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광고 대상의 선출 처리를 실현하는 경우에는, 기억부(30)에 있어서, 각 상품에 대응지어, 광고비(또는 광고 단가)에 관한 정보를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광고비(또는 광고 단가)를 등록하기 위한 「광고비」 필드(또는 「광고 단가」 필드)를 판매 상품 테이블에 추가할 필요가 있다.
(3)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기 3개의 조건 (a) 내지 (c)를 모두 만족하는 각 상품의 광고 예산 잔고에 기초하여, 광고 대상의 선출을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광고 예산 잔고」는 광고주(상품을 판매하는 점포)가 광고를 위해서 계상한 예산의 나머지를 의미한다. 즉, 「광고 예산 잔고」는 광고를 위해서 계상된 예산액으로부터 광고를 위해서 이미 사용된 금액을 차감함으로써 얻어지는 금액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광고 예산 잔고가 많은 상품을 우선적으로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광고 대상을 선출하는 경우,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기 3개의 조건 (a) 내지 (c)를 모두 만족하는 상품 중에서, 광고 예산 잔고가 가장 많은 상품과, 광고 예산 잔고가 제2번째로 높은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광고주의 광고 예산이 순조롭게 소화되도록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광고 대상의 선출 처리를 실현하는 경우에는, 기억부(30)에 있어서, 각 상품에 대응지어, 광고 예산 잔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예산 잔고를 등록하기 위한 「광고 예산 잔고」 필드를 판매 상품 테이블에 추가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각 상품마다 광고 예산 잔고를 기억하는 대신에, 각 광고주(각 점포)마다 광고 예산 잔고를 기억하도록 해도 된다. 즉, 각 광고주(각 점포)에 대응지어, 광고 예산 잔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해 두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광고주(점포)의 광고 예산 잔고가 많은 상품을 우선적으로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광고 대상을 선출하는 경우,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기 3개의 조건 (a) 내지 (c)를 모두 만족하는 상품 중에서, 광고주(점포)의 광고 예산 잔고가 가장 많은 상품과, 광고주(점포)의 광고 예산 잔고가 제2번째로 많은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도록 하면 된다.
스텝 S103의 처리가 실행된 후, 제어부(화면 데이터 생성부(35))는, 스텝 S102 및 S103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상품 일람 페이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104). 이 상품 일람 페이지 데이터에서는, 스텝 S102에서 취득된 상품 일람 중,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 상품의 일람이 일람 영역(21)에 표시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이 상품 일람 페이지 데이터에서는, 스텝 S103에서 선출된 2개의 상품 중 한쪽 광고가 제1 광고 영역(28A)에 표시되고, 또한 다른 쪽 광고가 제2 광고 영역(28B)에 표시되도록 설정된다.
제어부는 스텝 S104에서 생성된 상품 일람 페이지 데이터를 유저 단말기(6)로 회신한다(S105). 유저 단말기(6)는 상품 일람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상품 일람 페이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품 일람 화면(20)을 표시부에 표시시킨다(S106). 이상으로 도 7에 나타내는 처리의 설명은 종료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1)에 의하면, 상품 일람 화면(20)의 일람 영역(21)에 있어서 상품이 유저의 눈에 띄기 쉬운 경우, 그 상품의 광고가 실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상품 일람 화면(20)의 일람 영역(21)에 있어서 상품이 유저의 눈에 띄기 어려운 경우에 한해서, 그 상품의 광고가 실시되도록 되어 있다. 전자 상거래 시스템(1)에 의하면, 광고를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예를 들어, 이상으로는, 광고 대상 선출부(34)가,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상품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어떤 순서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상품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어떤 순서」란, 예를 들어 일람 영역(21)에 표시되는 상품 일람과 동일한 소트 순서인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어떤 순서」란, 일람 영역(21)에 표시되는 상품 일람과 다른 소트 순서여도 상관없다.
[1-1] 예를 들어, 상기 「어떤 순서」는, 복수의 속성 항목 중 소정의 속성 항목을 키 항목으로서 소트한 경우의 소트 순서여도 된다. 즉,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상품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소정의 속성 항목을 키 항목으로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상품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소정의 속성 항목」이란 전자 상거래 시스템(1)의 제공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속성 항목이다. 예를 들어, 전자 상거래 시스템(1)의 제공자는, 키 항목으로서 선택되는 횟수 또는 빈도가 많은 속성 항목을 상기 「소정의 속성 항목」으로서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품 일람 화면(20)의 표시 순서 선택란(26)에서 선택 가능한 속성 항목인 「가격(낮은순)」, 「가격(높은순)」, 「취급 점포수」, 「매상」, 「평가」 및 「열람수」가 상기 「복수의 속성 항목」에 상당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선택되는 횟수 또는 빈도가 많다고 생각되는 「가격(낮은순)」이 「소정의 속성 항목」으로서 설정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품의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상품의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다고 판정된 경우에,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그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는다.
유저에 의해 선택되는 횟수 또는 빈도가 많다고 생각되는 속성 항목을 키 항목으로서 상품 일람을 소트한 경우의 소트 순위가 높은 상품은 유저의 눈에 띄기 쉽다고 생각된다. 이로 인해, 이러한 상품에 관해서는, 굳이 광고를 행할 필요성이 낮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이상과 같이 하면, 광고를 행할 필요성이 낮은 경우에 광고가 실시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광고가 효율적으로 실시되도록 된다.
또한, 복수의 속성 항목이 상기 「소정의 속성 항목」에 상당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그들 속성 항목 중 어느 하나에서 상품 일람을 소트한 경우의 소트 순위가 높은 상품에 관해서는,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1-2]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속성 항목 각각이 키 항목으로서 선택된 횟수 또는 빈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속성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어떤 순서」를, 그 선택된 속성 항목을 키 항목으로서 소트한 경우의 소트 순서로 해도 된다.
이 경우, 기억부(30)(선택 정보 기억 수단)는 복수의 속성 항목의 각각이 키 항목으로서 선택된 횟수 또는 빈도에 관한 선택 정보를 기억한다. 도 8은 기억부(30)에 기억되는 선택 횟수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선택 횟수 테이블에서는, 상품 일람 화면(20)의 표시 순서 선택란(26)에서 키 항목으로서 선택 가능한 속성 항목의 각각에 대응지어, 그 속성 항목이 키 항목으로서 선택된 누계 횟수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선택 횟수 테이블을 기억하는 대신에, 각 속성 항목이 키 항목으로서 선택된 일시의 이력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그 이력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예를 들어 최근 1주일) 내에서 각 속성 항목이 키 항목으로서 선택된 횟수가 산출되도록 해도 된다.
광고 대상 선출부(34)(고려 대상 선출 수단)는, 상기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속성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 대상으로서 선출한다.
예를 들어,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키 항목으로서 선택된 횟수 또는 빈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은 속성 항목을 고려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는다. 혹은,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기 횟수 또는 빈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많은 속성 항목을 고려 대상으로서 선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기 횟수 또는 빈도가 가장 많은 속성 항목을 고려 대상으로서 선출하도록 해도 된다. 혹은,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기 횟수 또는 빈도가 제1번째 내지 제i(i: 2이상의 정수)번째로 많은 속성 항목을 고려 대상으로서 선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정보 일람 기억부(31)에 기억되는 상품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고려 대상으로서 선출된 속성 항목을 키 항목으로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상품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또한, 이 경우에도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품의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상품의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다고 판정된 경우에,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그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는다.
키 항목으로서 실제로 선택된 횟수 또는 빈도가 높은 속성 항목을 키 항목으로서 상품 일람을 소트한 경우의 소트 순위가 높은 상품은, 유저의 눈에 띄기 쉽다고 생각된다. 이로 인해, 이러한 상품에 관해서는, 굳이 광고를 행할 필요성이 낮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이상과 같이 하면, 광고를 행할 필요성이 낮은 경우에 광고가 실시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광고가 효율적으로 실시되도록 된다.
그런데, 복수의 속성 항목이 고려 대상으로서 선출된 경우에는, 그들 속성 항목 중 어느 하나에서 상품 일람을 소트한 경우의 소트 순위가 높은 상품에 관해서는,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도록 하면 된다.
[2] 또한 예를 들어,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품 일람 화면(20a)이 표시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도 9에 나타내는 상품 일람 화면(20a)에서는, 일람 영역(21a)의 상측에, 제1 광고 영역(29A), 제2 광고 영역(29B) 및 제3 광고 영역(29C)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의 기억부(30)는 제1 광고 영역(29A), 제2 광고 영역(29B) 및 제3 광고 영역(29C)의 각각에 관련지어서, 소트 순위에 관한 조건을 기억한다. 여기서, 「소트 순위에 관한 조건」은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되면 안되는 상품을 나타내는 조건이 되어 있다.
도 10은 이 경우의 기억부(30)에 기억되는 기준 순위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기준 순위 테이블에서는, 제1 광고 영역(29A), 제2 광고 영역(29B) 및 제3 광고 영역(29C)의 각각에 관련지어서 기준 순위가 기억되어 있다. 이 기준 순위가 상기의 「조건」에 상당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기준 순위 테이블에서는, 제1 광고 영역(29A), 제2 광고 영역(29B) 및 제3 광고 영역(29C)의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기준 순위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광고 영역(29A)에 대응하는 기준 순위로서 「26」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광고 영역(29B)에 대응하는 기준 순위로서 「51」이 설정되어 있다. 즉, 제1 광고 영역(29A)에 대응하는 기준 순위보다도 낮은 소트 순위가, 제2 광고 영역(29B)에 대응하는 기준 순위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3 광고 영역(29C)에 대응하는 기준 순위로서 「76」이 설정되어 있다. 즉, 제2 광고 영역(29B)에 대응하는 기준 순위보다도 낮은 소트 순위가, 제3 광고 영역(29C)에 대응하는 기준 순위로서 설정되어 있다.
상품을 제1 광고 영역(29A)에 대응하는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그 상품의 소트 순위가 제1 광고 영역(29A)에 관련지어진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품의 소트 순위가 제1 광고 영역(29A)에 관련지어진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상품의 소트 순위가 제1 광고 영역(29A)에 관련지어진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 경우,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제1 광고 영역(29A)에 대응하는 광고 대상으로서 그 상품을 선출하지 않는다. 즉,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기 상품의 광고를 제1 광고 영역(29A)에 표시시키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7의 스텝 S103에서는 하기 3개의 조건 (a) 내지 (c)를 모두 만족하는 상품 중 어느 하나가, 제1 광고 영역(29A)에 대응하는 광고 대상으로서 결정된다.
(a) 스텝 S102에서 취득된 상품 일람에 포함되어 있다.
(b) 광고 플래그가 「1」이다.
(c) 소트 순위가, 제1 광고 영역(29A)에 관련지어진 기준 순위보다도 높지 않다.
또한, 제2 광고 영역(29B) 및 제3 광고 영역(29C)에 관해서도,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예의 경우, 소트 순위가 「26」 내지 「50」인 상품의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 영역은 제1 광고 영역(29A)에 한정된다. 이에 반해, 소트 순위가 「51」 내지 「75」인 상품의 광고는, 제1 광고 영역(29A) 및 제2 광고 영역(29B)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소트 순위가 「76」보다도 낮은 상품의 광고는, 제1 광고 영역(29A), 제2 광고 영역(29B) 및 제3 광고 영역(29C)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트 순위가 낮은 상품일수록, 유저의 눈에 띄기 어려워, 광고를 실시할 필요성이 높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와 같이 하면, 소트 순위가 낮은 상품일수록, 광고가 표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즉, 광고를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상품 일람 화면(20a)에 설정되는 광고 영역의 수는 3개로 한정되지 않고, 2개여도 되고, 4개 이상이어도 된다.
[3] 또한 예를 들어,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품의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다고 판정된 경우 등에 그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도록 하는 대신에, 하기에 설명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품을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확률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그리고,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이 확률 정보를, 상품의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지 여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한다.
즉, 상품의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다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그 상품이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될 확률이, 상품의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다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그 상품이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될 확률보다도 낮아지도록,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상기 확률 정보를 설정한다.
바꿔 말하면, 상품의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다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그 상품이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될 확률을 제1 확률로 설정하고, 상품의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다고 판정된 경우에, 광고 대상 선출부(34)는 그 상품이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될 확률을, 제1 확률에 비해서 낮은 제2 확률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해도, 일람 영역(21)에 있어서 상품이 유저의 눈에 띄기 쉬운 경우에 광고가 실시되기 어려워진다. 즉, 광고가 효율적으로 실시되도록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또한 예를 들어, 서버(10)(광고 과금액 결정 수단)는 상품(정보)에 관한 광고 과금액을, 그 상품(정보)에 관한 광고가 광고 영역(28)(또는 광고 영역(29))에 표시된 횟수 또는 빈도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기억부(30)는 각 상품마다 그 상품의 광고가 광고 영역(28)(또는 광고 영역(29))에 표시된 횟수 또는 빈도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판매 상품 테이블에 「광고 이력」 필드가 추가된다. 이 「광고 이력」 필드에는 상품의 광고가 광고 영역(28)(또는 광고 영역(29))에 표시된 이력이 기억된다. 즉, 상품의 광고가 광고 영역(28)(또는 광고 영역(29))에 표시된 일시의 이력이 기억된다.
서버(10)는 이 필드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광고가 광고 영역(28)(또는 광고 영역(29))에 표시된 누계 횟수를 취득하거나, 소정 기간(최근 1개월간)에 있어서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광고가 광고 영역(28)(또는 광고 영역(29))에 표시된 횟수를 취득하거나 한다. 그리고, 서버(10)는 그 취득 결과에 기초하여, 점포(광고주)에 대한 광고 과금액을 결정한다. 즉, 서버(10)는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광고가 표시된 횟수 또는 빈도와, 광고 과금액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점포에 대한 광고 과금액을 결정한다.
또한, 광고 과금액의 산출은 서버(10) 이외의 서버에 의해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즉, 광고 과금 전용 서버에 의해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5] 또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1)에서는, 텔레비전 등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전자 서적 데이터, 음악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 등의 데이터가 상품으로서 판매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1)에서는, 점포와 소비자 사이의 상거래에 한하지 않고, 소비자끼리의 상거래가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1)에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해도 된다. 즉, 서비스의 광고를 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 시스템 이외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광고 시스템은, 전자 상거래 시스템 이외의 시스템에 있어서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정보 일람을 기억해서 이루어지는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득하는 정보 일람 취득 수단과,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에 포함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는 광고 대상 선출 수단과,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에 의해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된 정보에 관한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광고 영역과,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일람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어떤 순서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정보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람 영역에는,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가 어떤 순서로 소트된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 일람을 상기 순서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정보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시스템은, 복수의 속성 항목 중에서 소트의 키 항목으로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속성 항목을 취득하는 키 항목 취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람 영역에는,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키 항목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속성 항목을 상기 키 항목으로서 소트된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복수의 속성 항목 중 소정의 속성 항목을 상기 키 항목으로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정보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시스템은, 복수의 속성 항목 중에서 소트의 키 항목으로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속성 항목을 취득하는 키 항목 취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람 영역에는,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키 항목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속성 항목을 상기 키 항목으로서 소트된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복수의 속성 항목의 각각이 상기 키 항목으로서 선택된 횟수 또는 빈도에 관한 선택 정보를 기억해서 이루어지는 선택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속성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 대상으로서 선출하는 고려 대상 선출 수단과,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고려 대상으로서 선출된 속성 항목을 상기 키 항목으로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정보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려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키 항목으로서 선택된 횟수 또는 빈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은 속성 항목을 상기 고려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 경우에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확률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지 여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확률 정보를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될 확률이,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기준 순위보다도 낮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될 확률에 비해 낮아지도록, 상기 확률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람 영역에는,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의 일부로서,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 중, 소트 순위가 상기 기준 순위보다도 높은 정보의 일람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광고 영역에 관련지어서, 소트 순위에 관한 조건을 기억해서 이루어지는 수단의 기억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광고 영역에 관련지어진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광고 영역에 관련지어진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그 정보를 그 광고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확률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광고 영역에 관련지어서, 소트 순위에 관한 조건을 기억해서 이루어지는 수단의 기억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광고 영역에 관련지어진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광고 영역에 관련지어진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확률 정보를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광고 영역에 관련지어진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상기 광고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될 확률이, 상기 정보의 소트 순위가 상기 광고 영역에 관련지어진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상기 광고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될 확률에 비해 낮아지도록, 상기 확률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에 관한 광고 과금액을, 그 정보에 관한 광고가 상기 광고 영역에 표시된 횟수 또는 빈도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광고 과금액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에 포함되는 정보 중 복수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고,
    상기 화면은, 제1 광고 영역과, 상기 제1 광고 영역보다도 하부에 표시되는 제2 광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에 의해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된 복수의 정보에, 제1 정보와, 상기 제1 정보보다도 소트 순위가 낮은 제2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제1 정보에 관한 광고를 상기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제2 정보에 관한 광고를 상기 제1 광고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13. 정보 일람을 기억해서 이루어지는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득하는 정보 일람 취득 스텝과,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에 포함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는 광고 대상 선출 스텝과,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스텝에 의해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된 정보에 관한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광고 영역과,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스텝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일람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스텝은,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어떤 순서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정보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정보 일람을 기억해서 이루어지는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득하는 정보 일람 취득 수단,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에 포함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하는 광고 대상 선출 수단 및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에 의해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된 정보에 관한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광고 영역과, 상기 정보 일람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일람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 수단
    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고,
    상기 광고 대상 선출 수단은, 상기 정보를 상기 광고 대상으로서 선출할지 여부를, 상기 정보 일람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일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어떤 순서로 소트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 정보의 소트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5. 제14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 기억 매체.
KR1020137034485A 2011-05-31 2012-01-27 광고 시스템, 광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 KR101564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2486 2011-05-31
JP2011122486A JP5303606B2 (ja) 2011-05-31 2011-05-31 広告システム、広告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PCT/JP2012/051859 WO2012164967A1 (ja) 2011-05-31 2012-01-27 広告システム、広告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538A true KR20140025538A (ko) 2014-03-04
KR101564824B1 KR101564824B1 (ko) 2015-11-02

Family

ID=4725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485A KR101564824B1 (ko) 2011-05-31 2012-01-27 광고 시스템, 광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40129333A1 (ko)
EP (1) EP2717211A4 (ko)
JP (1) JP5303606B2 (ko)
KR (1) KR101564824B1 (ko)
CN (1) CN103562945A (ko)
BR (1) BR112013030861A2 (ko)
CA (1) CA2837685A1 (ko)
TW (1) TWI459320B (ko)
WO (1) WO20121649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8673A (ja) * 2013-04-12 2015-02-26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移動式自動決済システム、移動式自動決済方法および移動式自動決済プログラム
US20140324604A1 (en) * 2013-04-29 2014-10-30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proposed online advertisements from pre-existing advertising creatives
CN104866493B (zh) * 2014-02-24 2019-08-3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提升信息的曝光率的方法和装置
WO2015151206A1 (ja) * 2014-03-31 2015-10-08 楽天株式会社 購入管理装置、購入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593883B1 (ko) * 2015-07-07 2016-02-18 박성호 광고가 표시되는 컨텐츠 제공 서버, 그 방법 및 컨텐츠 내 광고 표시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10409877B2 (en) * 2015-10-21 2019-09-10 Quality Logo Products, Inc. Search engine results declumping method
JP2018101349A (ja) * 2016-12-21 2018-06-28 株式会社博報堂Dyホールディングス 出力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出力方法
JP2017102977A (ja) * 2017-03-06 2017-06-08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商品検索システムおよび商品検索プログラム
US11151615B2 (en) * 2018-03-23 2021-10-19 Casio Computer Co., Ltd. Advertisement management apparatus, advertisement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19168879A (ja) * 2018-03-23 2019-10-03 カルチュア・コンビニエンス・クラブ株式会社 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945518B2 (ja) * 2018-12-28 2021-10-06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328914B2 (ja) * 2020-02-05 2023-08-17 Tvs Regza株式会社 情報連携システム、興味情報管理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7368428B2 (ja) 2021-09-15 2023-10-24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6969B1 (en) * 1999-07-08 2007-06-26 Nortel Networks Limited Associative search engine
US6269361B1 (en) * 1999-05-28 2001-07-31 Goto.Com System and method for influencing a position on a search result list generated by a computer network search engine
JP2002041572A (ja) * 2000-07-27 2002-02-08 Ntt Directory Service Co インターネット版企業・店舗情報提供サービス方法
US7133862B2 (en) * 2001-08-13 2006-11-07 Xerox Corporation System with user directed enrichment and import/export control
US20050114230A1 (en) * 2003-11-20 2005-05-26 Kuo-Chun Fang Method and system for receiver self-priced multimedia communication over the internet and a member pool incorporating advertising placement in conjunction with a search engine
US7447678B2 (en) * 2003-12-31 2008-11-04 Google Inc. Interface for a universal search engine
KR100460008B1 (ko) * 2004-05-04 2004-12-04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쇼핑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45474B1 (ko) 2004-07-23 2007-08-02 드림아이 커뮤니케이션즈(주) 클릭별 대금지불식 검색어 광고 시스템
JP5296300B2 (ja) * 2006-06-16 2013-09-25 楽天株式会社 広告表示システム
JP5168537B2 (ja) * 2007-05-16 2013-03-21 楽天株式会社 広告サーバ装置、広告表示方法、および広告サーバプログラム
GB2448957B (en) * 2007-06-20 2009-06-17 Cvon Innovations Ltd Meht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content items to mobile terminals
TW200923690A (en) * 2007-11-23 2009-06-01 Eastern Home Shopping & Amp Leisure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hop search
TWM364233U (en) * 2008-06-25 2009-09-01 Kuo Min Yun System for promoting commodity
US8560371B2 (en) * 2008-09-26 2013-10-15 Microsoft Corporation Suggesting things to do during time slots in a schedule
US20100299193A1 (en) * 2009-05-21 2010-11-25 Cosman Hilda S Community-Bas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iscount of a Purchase
CN101963966A (zh) * 2009-07-24 2011-02-02 李占胜 一种为搜索结果添加标签的搜索结果分类方法
WO2011068957A2 (en) * 2009-12-02 2011-06-09 Google Inc. Distributing content
WO2012040881A1 (en) * 2010-09-30 2012-04-05 Yahoo! Inc. Determining placement of advertisements on web p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7211A1 (en) 2014-04-09
TW201248535A (en) 2012-12-01
EP2717211A4 (en) 2015-03-04
CN103562945A (zh) 2014-02-05
BR112013030861A2 (pt) 2016-11-29
JP5303606B2 (ja) 2013-10-02
TWI459320B (zh) 2014-11-01
CA2837685A1 (en) 2012-12-06
WO2012164967A1 (ja) 2012-12-06
JP2012252394A (ja) 2012-12-20
KR101564824B1 (ko) 2015-11-02
US20140129333A1 (en)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824B1 (ko) 광고 시스템, 광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
US103041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argeting content based on filter activity
JP5414693B2 (ja) ビデオ品質測定
US90761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ggesting recommended keyword
JP4923160B1 (ja) 広告システム、広告システムの制御方法、広告制御装置、広告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8160936B2 (en) Patriotic American shopping network
JP4886749B2 (ja) 推薦商品選択装置、推薦商品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商品検索装置
TW201229796A (en) Generating a map that includes location and price of products in a shopping list
JP5462983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30254025A1 (en) Item ranking modeling for internet marketing display advertising
JP2011508931A (ja) ビデオ広告価格決定
JP5000010B1 (ja) 広告システム、広告システムの制御方法、広告制御装置、広告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5255728B2 (ja) 広告システム、広告システムの制御方法、広告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20090003540A (ko) 온라인 쇼핑몰에서 타겟형 광고 시스템 및 방법
JP5506123B2 (ja) 広告システム、広告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2007079759A (ja) インターネット広告方法及び広告システム
JP6062514B2 (ja) 収益指標値生成システム及び収益指標値生成方法
US11422675B1 (en) Multi-level strategy-based dynamic content generation
JP5114598B1 (ja) 広告システム、広告システムの制御方法、広告制御装置、広告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100357890B1 (ko) 비교 광고 및 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JP7476152B2 (ja) 広告装置、広告方法、及び広告プログラム
JP6694091B1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JP5096513B2 (ja) 販売支援システム、販売支援方法及び販売支援プログラム
JP6901535B2 (ja) 広告表示制御装置、広告表示制御方法、及び広告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20087270A (ja) 広告配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