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888A - 영양 조성물 - Google Patents

영양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888A
KR20140022888A KR1020137030032A KR20137030032A KR20140022888A KR 20140022888 A KR20140022888 A KR 20140022888A KR 1020137030032 A KR1020137030032 A KR 1020137030032A KR 20137030032 A KR20137030032 A KR 20137030032A KR 20140022888 A KR20140022888 A KR 20140022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roup
kcal
nutritional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0091B1 (ko
Inventor
토모유키 미네
나오키 하야시
이타루 곤
가즈노리 사이마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2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23L33/155Vitamins A or 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7Retinol compounds, e.g. vitamin 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61K31/355Tocopherols, e.g.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15Pyridoxine, i.e. 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61K31/51Thiamines, e.g. 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5Isoalloxazines, e.g. riboflavins, vitamin B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35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714Cobalamins, e.g. cyanocobalamin, i.e. vitamin B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4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5D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42Zin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68Docosahex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Eicosapent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고령자의 근육량 저하, 기초 대사 저하, 저체온, 비만 억제, 내장 지방 축적 억제, 고혈당, 고지혈증 등의 모든 증상에 대해서, 유효한 예방 및/또는 개선 효과를 갖는 영양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유리 리신, 리신을 함유하는 디펩티드 및 리신염류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n-3계 지방산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로서, 유리 리신, 리신을 함유하는 디펩티드 및 리신염류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함유량이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0.1g 내지 10.0g이고, n-3계 지방산의 함유량이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0.17g 내지 5.00g인, 영양 조성물.

Description

영양 조성물{NUTRITIONAL COMPOSITION}
본 발명은, 특정한 아미노산과 n-3계 지방산을 각각 특정량 함유하는, 근육량의 증가 및/또는 근육량의 저하 억제에 유효한 영양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유리(遊離) 리신, 리신을 함유하는 디펩티드 및 리신염류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n-3계 지방산을 각각 특정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량의 증가 및/또는 근육량의 저하 억제에 유효한 영양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령자에 있어서, 사르코페니아(sarcopenia)라고 칭하는 특유한 골격근 감소가 일어난다. 골격근 감소가 고령자의 활동량을 저하시키고, 이 활동량 저하가 더욱 근력 저하를 초래한다는 악순환에 빠진다. 활동량의 저하는 기초 에너지 대사도 저하시킨다. 특히 누워만 있는 상태에 있어서 이러한 상태가 현저히 나타난다.
한편, 고령자에서는 저영양 상태가 될 위험성도 높고, 일본의 사회 보험 연구소의 조사에 의하면, 입원 환자의 약 4할, 재택 환자의 약 3할이 저영양 상태였다. 다만, 영양 상태의 개선을 위해서 섭취 에너지를 많게 하여도, 근육량의 회복으로 이어지지 않고, 오히려 지방 축적을 유인하여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 고지혈증, 골다공증 등의 대사 관련 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상기한 바와 같은 근육량 저하에 대하여 단백질 섭취가 권장되고 있다. 실제로, 필수 아미노산 혼합물 18g을 섭취함으로써, 골격근의 단백질 합성이 증가된 것이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2). 그러나, 고령자에 있어서는 나이를 먹을수록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중에 1회 18g인 대량의 아미노산 섭취는 섭취 곤란뿐만 아니라, 신장에 부담을 줄 위험성도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근육량의 증가에는, 통상 단백질 보급뿐만이 아니라 보다 효율적인 조성물의 섭취가 필요하게 된다.
한편, 옥수수나 밀을 주식으로 하는 지역 주민 또는 동물에 있어서는, 리신의 섭취가 성장이나 근육량의 증가에 작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이 경우에는 주식인 단백질 조성이 치우치고, 리신이 제한 아미노산이 되기 때문에, 섭취하는 단백질이 옥수수나 밀에 크게 치우치지 않는 대부분의 지역에 있어서는, 리신 단독의 섭취에 의한 몸 전체의 성장, 그 일례로서 나타나는 근육량의 증가에 대한 명확한 효과는 확인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2에서는, n-3계 지방산에 대한 n-6계 지방산의 중량비가 0.1 내지 3.0인 혼합유와 분기쇄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아미노산과, β-카로틴, 비타민 C, 비타민 E 및 셀렌 등의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악액질 및/또는 식욕 부진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 3에 있어서, 암성 악액질의 모델 마우스에, n-3계 지방산과 고(高) 류신 함유 단백질식(食)을 섭취시키면, 체중 저하 및 근육량의 증가를 보이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이 대상 환자에 있어서는, 암 말기의 악액질에 의한 특유한 사이토카인(TNF-α, IL-6 등)이 관여하고, 이 사이토카인이 기점이 되어 근(筋)단백질의 붕괴를 일으킨다. n-3계 지방산은 그 사이토카인 분비를 억제하고, 류신 등의 분기쇄 아미노산은 근단백질 합성에 보조적으로 작동함으로써 근단백질의 붕괴를 방지한다고 추측된다. 즉, 이 조성의 검토는 암성 악액질이라는, 사이토카인 우위의 단백질 붕괴가 극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검토이며, 누워만 있는 상태 등에서 활동량이 저하된 통상의 고령자의 근력량 저하와는 크게 다르고, 효과는 불분명하다.
한편, n-3계 지방산은 고 트리글리세라이드 혈증 개선제로서 사용되고 있지만, n-3계 지방산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근육의 중량 증가에 대한 효과는 없다는 보고가 있다(비특허문헌 4, 5).
또한, n-3계 지방산은 지방 산화에 관여하는 효소의 mRNA 발현을 상승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지만(비특허문헌 6), 지금까지 에너지 대사가 항진하여 근육 등의 단백질 합성 촉진이 확인된 것은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상에 있어서는 적절한 아미노산 비율 또한 n-3계 지방산을 함유하고, 고령자의 근육량을 유지 또는 상승시키는 기능을 갖는 영양 조성물은 지금까지 제공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표(特表) 공보 제 2008-539793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표 공보 제 평11-508282호
비특허문헌 1: 임상 영양, 2008, 8: 38-43 비특허문헌 2: Am J Clin Nutr, 2003, 78: 250-258 비특허문헌 3: Br J Cancer, 2004, 91: 408-412 비특허문헌 4: Drugs of the Future, 2010, 35: 41-52 비특허문헌 5: J Nutr Biochem, 2006, 17: 1-13 비특허문헌 6: J Nutr, 2005, 135: 2503-25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근육량의 저하 예방 및/또는 개선 효과, 특히 활동량의 저하에 따라 근육량이 저하된 고령자에 대해서 상기 효과를 갖는 신규 영양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로 검토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특정량의 유리 리신, 리신을 함유하는 디펩티드 및 리신염류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특정량의 n-3계 지방산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근육량의 저하를 예방 및/또는 개선할 수 있는 것, 또한 비만 억제, 내장 지방의 축적 억제에 의해, 고혈당, 고지혈증을 개선할 수 있는 것, 특히 고령자에 대하여 이러한 개선 효과가 현저한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다음 [1] 내지 [19]에 관한 것이다.
[1] 유리 리신, 리신을 함유하는 디펩티드 및 리신염류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n-3계 지방산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로서,
유리 리신, 리신을 함유하는 디펩티드 및 리신염류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함유량이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0.1g 내지 10.0g이고,
n-3계 지방산의 함유량이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0.17g 내지 5.00g인, 영양 조성물.
[2] 추가로,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기쇄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영양 조성물.
[3]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기쇄 아미노산의 함유량이, 조성물 1O0kcal당 총량으로 1.0g 내지 20g인, 상기 [2]에 기재된 영양 조성물.
[4]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된 형태의 분기쇄 아미노산의 함유량이,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0.1g 내지 15g인,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영양 조성물.
[5] n-3계 지방산이,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펜타엔산 및 도코사헥사엔산 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영양 조성물.
[6] 에이코사펜타엔산을 조성물 100kcal당 10mg 내지 3000mg 함유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영양 조성물.
[7] 조성물 100kcal당 0.2mg 내지 20.0mg인 비타민 B1,
조성물 100kcal당 0.25mg 내지 20.0mg인 비타민 B2,
조성물 100kcal당 0.3mg 내지 20.0mg인 비타민 B6, 및
조성물 100kcal당 0.3㎍ 내지 20.0㎍인 비타민 B12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영양 조성물.
[8] 조성물 100kcal당 50㎍ 레티놀 당량 내지 2500㎍ 레티놀 당량의 비타민 A,
조성물 100kcal당 10mg 내지 700mg의 비타민 C, 및
조성물 100kcal당 α-토코페롤 환산량으로 1mg 내지 50mg의 비타민 E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영양 조성물.
[9] 조성물 100kcal당 1mg 내지 50mg의 아연 및/또는 조성물 100kcal당 1.0㎍ 내지 50.0㎍인 셀렌을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영양 조성물.
[10] 중쇄 지방산유을 함유하고, 중쇄 지방산유의 함유량이 지질의 총량에 대하여 10중량% 내지 65중량%인,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영양 조성물.
[11] 근육량의 증가 및/또는 근육량의 저하 억제용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영양 조성물.
[12] 내장 지방 저하용 또는 에너지 소비량 증가용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영양 조성물.
[13] 근력 저하증의 예방 및/또는 개선, 근력 회복을 위한 재활(rehabilitation)의 효과 촉진,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또는 개선,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고혈당의 예방 및/또는 개선,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방간의 예방 및/또는 개선,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간장 기능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 기초 에너지 소비량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 기초 체온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상승에 따르지 않는 근육량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 저영양 상태의 개선, 운동기 저하의 개선, 운동기 증후군(locomotive syndrome)의 예방 및/또는 개선, 전도(轉倒)의 방지, 및 스포츠에서의 근육량의 증가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용도용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영양 조성물.
[14]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을 유효량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량의 증가 및/또는 근육량의 저하 억제 방법.
[15]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을 유효량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지방 저하 방법, 또는 에너지 소비량 증가 방법.
[16]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을 유효량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저하증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근력 회복을 위한 재활의 효과 촉진 방법,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고혈당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방간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간장 기능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기초 에너지 소비량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기초 체온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상승에 따르지 않는 근육량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저영양 상태의 개선 방법, 운동기 저하의 개선 방법, 운동기 증후군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전도의 방지 방법, 및 스포츠에서의 근육량의 증가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방법.
[17] 근육량의 증가 및/또는 근육량의 저하 억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의 사용.
[18] 내장 지방 저하제, 또는 에너지 소비량 증가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1] 내지 [l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의 사용.
[19] 근력 저하증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근력 회복을 위한 재활의 효과 촉진제,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고혈당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방간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간장 기능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기초 에너지 소비량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기초 체온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상승에 따르지 않는 근육량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저영양 상태의 개선제, 운동기 저하의 개선제, 운동기 증후군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전도의 방지제, 및 스포츠에서의 근육량의 증가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의 사용.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근육량의 증가 및/또는 근육량의 저하 억제에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에너지 소비량 증가에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지방 이용 항진 등에 의한 에너지 소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에 기인하여 특히 내장 지방 저하에 유용하고, 또한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질 대사 이상, 고혈당, 지방간, 간 기능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지방 에너지 공급 등에 의한 근육량의 증가 또는 근육량의 저하 억제에 의해, 사르코페니아, 만성 폐색성 폐질환(COPD)의 예방 및/또는 개선, 근력 회복을 위한 재활의 효과 촉진, 저영양 상태의 개선, 운동기 저하의 개선, 운동기 증후군의 예방 및/또는 개선, 전도의 방지, 스포츠에서의 근육량의 증가 등에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기초 에너지 소비량의 저하 예방 및/또는 개선, 기초 체온의 저하 예방 및/또는 개선에도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안전성이 높고, 신장 기능이 감약(減弱)한 고령자에 있어서도 과잉의 단백질 부담을 주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시험예 1의 1A 내지 1D 그룹의 장간막 지방 중량 및 피복근 중량을 도시한다.
도 2는, 시험예 2의 2A 내지 2D 그룹의 장간막 지방 중량 및 피복근 중량을 도시한다.
도 3은, 시험예 3의 3A 그룹 및 3B 그룹의 호흡 상수 및 에너지 소비량을 도시한다.
도 4는, 시험예 3의 3A 그룹 및 3B 그룹의 핵내 코드 유전자의 DNA량(chDNA)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DNA량(mtDNA)의 비율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유리 리신, 리신을 함유하는 디펩티드 및 리신염류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0.1g 내지 10.0g 함유하고, n-3계 지방산을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0.17g 내지 5.00g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리신은 필수 아미노산의 하나이며, 옥수수, 밀 등을 주식으로 할 경우에 제한 아미노산이 되고, 특히 동물 사육용의 시료에 첨가되어 효율적인 동물의 성장에 기여하는 아미노산으로서 유효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리신은 유리 형태, 디펩티드 형태 또는 염의 형태 등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좋다(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리신 」이란, 유리 리신, 리신을 함유하는 디펩티드, 리신염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함유하는 리신의 형태가 유리 형태, 디펩티드 형태 또는 염의 형태 등이므로, 신장 기능이 감약한 고령자에 있어서도, 과잉의 단백질 부담을 주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리신은 L체, D체 및 DL체 중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L체가 가장 적합하게 사용된다. 여러가지 형태의 리신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리신의 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리신염류로서 산 부가염이나 염기의 염 등을 들 수 있고, 리신에 부가하여 염을 형성하는 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황산, 인산 등의 무기산; 아세트산, 락트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푸마르산, 모노메틸황산 등의 유기산; 글루탐산염, 아스파라긴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리신과 염을 형성하는 염기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칼슘 등의 금속의 수산화물 또는 탄산화물, 또는 암모니아 등의 무기 염기;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에탄올아민, 모노알킬에탄올아민, 디알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유기 염기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신염류로서는, 예를 들면, 리신염산염, 리신아세트산염, 리신글루탐산염, 리신아스파라긴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디펩티드」란 아미노산 2분자가 펩티드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아미노산 2량체를 말하고, 「리신을 함유하는 디펩티드」란 디펩티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2분자 중, 적어도 1분자(바람직하게는 2분자)가 리신인 디펩티드를 말한다. 리신을 함유하는 디펩티드로서, 예를 들면, 리실리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리신 중, 식품으로서의 사용 경험의 관점에서, 염의 형태인 리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L-리신염산염, L-리신아세트산염 및 L-리신글루탐산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형태에 따라 풍미, 용해시켰을 경우의 pH 등이 다르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리신의 형태를 적절히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리신의 함유량은, 조성물 100kcal당 0.1g 내지 10.0g이 바람직하고, 아미노산 영양 밸런스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0g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4.5g이다. 리신의 함유량이 조성물 100kcal당 0.1g 미만이면, 체단백질의 구성이나 에너지원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반대로, 10.0g을 초과하면, 단일의 아미노산을 다량으로 섭취하게 되어 아미노산 밸런스의 관점에서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리신의 양은 유리 형태 환산량이다.
또한, 리신의 하루당 섭취량은 연령, 성별, 체중, 식사의 상황 등에 의해 개별적으로 정해지지만, 아미노산 영양 밸런스의 관점에서, 인간의 체중 1kg당 20mg 내지 400mg이 바람직하고, 40mg 내지 200mg이 보다 바람직하다. 리신의 하루당 최대 허용 섭취량은 명확화되어 있지 않지만, 인간의 체중 1kg당 20g보다 많을 경우, 단일의 아미노산을 다량으로 섭취하게 되어, 아미노산 밸런스의 관점에서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하는 n-3계 지방산은, 탄화수소쇄의 말단의 메틸기로부터 3번째에 이중 결합을 갖는 불포화 지방산이고,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엔산, α-리놀렌산 및 도코사펜타엔산 등이 예시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상기 n-3계 지방산은, 예를 들면, 어유, 차조기유, 아마인유 등의 유지류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유지류로부터 추출,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학 합성법, 발효법 등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식품용으로 출시되어 있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질원으로서, 상기한 n-3계 지방산을 풍부하게 함유한 유지류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n-3계 지방산의 함유량은,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0.17g 내지 5.00g이 바람직하고, 0.18g 내지 4.00g이 보다 바람직하고, 0.19g 내지 3.00g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함유량이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0.17g 보다 적을 경우에는 명확한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반대로,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5.0O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풍미의 관점에서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일본에 있어서는 지질 소요량에 대해서, 과거의 지방질 섭취 상황을 바탕으로, n-3계 지방산은 하루당 2g 이상을 섭취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n-3계 지방산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가 되기만 하면, n-3계 지방산을 함유하는 유지류를 그대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n-3계 지방산 또는 이것을 풍부하게 함유하는 유지류를 그 이외의 기름과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하는 n-3계 지방산은,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펜타엔산 및 도코사헥사엔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에이코사펜타엔산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3계 지방산이 에이코사펜타엔산을 함유할 경우, 당해 에이코사펜타엔산의 함유량은 조성물 100kcal당 10mg 내지 3000mg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g 내지 2000mg, 더 바람직하게는 50mg 내지 1000mg이다. 또한, n-3계 지방산의 총량에 대한 에이코사펜타엔산의 함유량은, 통상 1중량% 내지 6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중량% 내지 40중량%이다. 또한, 일본에 있어서는 지질 소요량에 대해서 과거의 지질 섭취 상황을 바탕으로, 에이코사펜타엔산은 도코사헥사엔산과 함께, 하루당 1g 이상을 섭취하는 것이 권장되고,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또한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기쇄 아미노산을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1.0g 내지 20g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하는 분기쇄 아미노산은,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이들 분기쇄 아미노산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단백질의 형태, 펩티드의 형태, 염의 형태, 유리된 형태 등 어느 형태라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신장에의 부담을 고려해 단백질의 전체량을 늘리지 않기 위해서는, 유리된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 경우, L체, D체, DL체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L체가 가장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분기쇄 아미노산으로서는 이들을 함유하는 동식물 등에서 추출하여 정제한 것이나, 화학 합성법, 발효법, 유전자 조작법에 의해 수득되는 것 중에서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의 분기쇄 아미노산은,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1.0g 정도 이상 함유시킨 경우, 보다 높은 유효성이 인정되고, 또한 강력한 효과를 기대할 경우에는 분기쇄 아미노산을 증량할 수 있다. 다만, 풍미의 악화도 감안하여, 당해 조성물의 100kcal당의 함유량은 총량으로 1.0g 내지 20g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g 내지 12g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기쇄 아미노산의 함유량이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20g을 초과하면, 특정한 아미노산을 다량으로 섭취하게 되어 아미노산 밸런스의 관점에서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의 분기쇄 아미노산은, 예를 들면, 유리된 형태, 펩티드의 형태, 단백질의 형태, 염의 형태 등 어느 형태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하는 분기쇄 아미노산은, 전부 단일의 형태라도 좋고, 또는 다른 2종 이상의 형태라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하는 분기쇄 아미노산은, 유리 형태의 분기쇄 아미노산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고, 유리 형태의 분기쇄 아미노산과 단백질 형태의 분기쇄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 등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이 유리 형태의 분기쇄 아미노산을 함유할 경우, 그 함유량은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0.1g 내지 15g이 바람직하고, 0.25 내지 12g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분기쇄 아미노산의 양은 유리 형태 환산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하는 분기쇄 아미노산은,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 이소류신, 류신 및 발린의 배합 비율은, 통상, 중량비로 이소류신:류신:발린=1.0:1.5 내지 3.0:0.5 내지 1.5이다. 특히, 류신의 비율을 발린에 대하여, 1.5 내지 3배 정도로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는 비타민 B 그룹을 함유시킬 수 있다.
비타민 B 그룹으로서는, 예를 들면, 티아민 등의 비타민 Bl;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 B2; 피리독신, 피리독살, 피리독사민 등의 비타민 B6; 시아노코발라민 등의 비타민 B12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비타민 B 그룹은 당질, 단백질, 지질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타민 B 그룹의 함유량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00kcal당, 비타민 B1은 0.2mg 내지 20.0mg, 비타민 B2는 0.25mg 내지 20.0mg, 비타민 B6은 0.3mg 내지 20.Omg, 비타민 B12는 0.20㎍ 내지 10.0㎍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는, 항산화 비타민이나 항산화 미네랄을 첨가할 수도 있다. 항산화 비타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레티놀, 레티날, 레티노산 등의 비타민 A; 아스코르브산 등의 비타민 C; β-카로틴 등의 카로테노이드; α-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 등을 들 수 있고, 항산화 미네랄로서는, 예를 들면, 아연, 셀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근단백질 합성의 에너지원으로서 지방을 이용한 경우에는 라디칼을 생산시키고, 과잉이 되면 산화 스트레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그 예방 및/또는 개선을 하기 위해서는 항산화제의 첨가가 바람직하다. 항산화 비타민 및 항산화 미네랄의 함유량은 충분한 항산화 작용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00kcal당, 비타민 A는 50㎍ 레티놀 당량 내지 2500㎍ 레티놀 당량, 비타민 C는 1Omg 내지 700mg, 비타민 E는 α-토코페롤 환산량으로 1mg 내지 5Omg, 아연은 1mg 내지 5Omg, 셀렌은 1.0㎍ 내지 50.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는, 상술의 비타민 B 그룹, 항산화 비타민 이외의 비타민류(예, 비타민 D, 비타민 K, 나이아신, 엽산, 판토텐산, 비오틴 등)나, 상술의 항산화 미네랄 이외의 미네랄류(예, 나트륨, 칼슘, 철, 인, 마그네슘, 칼륨, 구리, 요오드, 망간, 크롬, 몰리브덴 등)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는, 지질원으로서 중쇄 지방산유을 함유시킬 수 있다. 「중쇄 지방산」이란, 카프릴산, 카프린산 등의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인 지방산을 말하고, 「중쇄 지방산유」란, 상기 중쇄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을 함유하는 유지류를 말한다. 중쇄 지방산은, 일반적으로 유지류에 존재하는 장쇄 지방산에 비해 약 4배 소화 흡수가 빠르고, 흡수 후에는 림프관을 통하지 않고 문맥을 지나 간장으로 운반되어, 조속히 대사된다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에너지원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는, 중쇄 지방산유로서는, 예를 들면, 야자유, 팜유, 팜핵유 등, 중쇄 지방산을 많이 함유하는 유지류를 사용할 수 있다. 야자유나 팜유 등으로서는, 야자 등의 천연 식물에서 추출하여 정제한 것을 사용해도 좋지만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질의 총량에 대하여 중쇄 지방산유을 1O중량% 내지 65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는, 지질원으로서 중쇄 지방산유 이외에, 예를 들면, 면실유, 해바라기유, 낙화생유, 유채씨유, 대두유, 홍화유, 올리브유, 미강유, 옥수수유, 참깨유, 카카오버터 등의 식용 식물유, 우지, 돈지, 어유, 버터, 버터오일 등의 식용 동물유, 쇼트닝으로 대표되는 가공 유지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는, 탄수화물원으로서 예를 들면, 당질, 식물 섬유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당질로서는, 예를 들면, 덱스트린, 올리고당, 자당, 글루코스, 과당, 전분 등을 들 수 있고, 식물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수용성 식물 섬유(예, 난소화성 덱스트린, 펙틴, 갈락토만난 등), 불용성 식물 섬유(예, 대두나 밀에 유래하는 밀기울, 결정 셀룰로스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는, 단백질원으로서 아미노산, 펩티드, 단백질 등을 함유시킬 수 있지만, 단백질로서는, 예를 들면, 카제인, 산 카제인, 카제인나트륨, 카제인칼슘, 훼이 단백질, 유청훼이 단백질, 어육 단백질, 계란 단백질 등이나 이들의 가수 분해물을 예로 하는 동물성 단백질, 및 대두 단백질, 밀 단백질, 옥수수 단백질 등이나 이들의 가수 분해물을 예로 하는 식물성 단백질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들 단백원의,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 있어서의 함유량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2 내지 20g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단백질원이 분기쇄 아미노산을 함유할 경우, 그 분기쇄 아미노산의 양도,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분기쇄 아미노산의 총 함유량의 산출에 있어서, 산입(算入)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이, 단백질 형태의 분기쇄 아미노산을 함유할 경우, 당해 단백질의 양도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 있어서의 단백원의 총 함유량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00kcal당 2 내지 20g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하는 분기쇄 아미노산이, 유리 형태의 분기쇄 아미노산만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 있어서의 단백원의 함유량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1.0 내지 15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경구 섭취가 불충분한 환자에 대하여는 투여 튜브를 사용하여 직접 장이나 위에 급여하고, 경구 섭취 가능할 경우에는 음식품으로서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리신과 n-3계 지방산, 또한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기쇄 아미노산 등을 그대로 혼합하여 영양 조성물로서 섭취시킬 수도 있지만,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의약품 담체와 함께 제제화하여 의약품으로서 제공할 수도 있고, 또는 음식품용 소재 또는 식품 첨가물을 가하여 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 기능 식품 등의 보건 기능 식품, 영양 보조 식품, 그 밖의 건강 식품 등의 음식품으로서 제공할 수도 있고, 통상의 음식품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을 제제화하여 제공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엘릭시르제, 현탁제, 시럽제, 유제, 앰플제 등의 액상 제제; 겔제, 검제, 드롭스제, 산제, 과립제, 환제, 정제(당의정, 필름 코팅정을 포함한다), 캅셀제, 분포제, 분말제 등의 고형 제재 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을 제제화할 때에 사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의약품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결정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 및 그 유도체; 아라비아고무, 알긴산나트륨 등의 천연 고분자 화합물 등의 부형제; 구아검, 스테아르산, 고분자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 활석,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등의 활택제; 아디프산 등의 붕괴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대두레시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 등의 계면 활성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크산탄검, 젤라틴 등의 증점제; 아크릴산에틸·메타크릴산메틸 코폴리머 분산액, 캐러멜, 카르나우바 왁스, 셸락, 풀루란 등의 코팅제;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등의 pH 조정제; 에리소르빈산,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갈산프로필 등의 항산화제; 아스파탐, 감초 엑기스, 사카린 등의 교미제(嬌味劑); 벤조산나트륨, 에데트산나트륨, 소르빈산, 소르빈산나트륨,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부틸 등의 방부제;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카르민, 식용 청색 1호, 식용 황색 4호, 식용 적색 2호 등의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을 음식품으로서 제공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음료 등의 액상 제품, 우유, 유(乳) 음료, 요구르트 등의 유상(乳狀) 제품, 젤리 형태 음료, 젤리 등의 젤리상 제품, 검상 제품, 분말상 제품, 과립상 제품, 시트상 제품, 캡슐상 제품, 태블릿상 제품, 스낵바, 쿠키 등의 고형상 제품 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을 음식품으로 할 때에 사용할 수 있는 식품용 소재 또는 식품 첨가물로서는, 예를 들면, 감미료, 착색료, 보존료, 증점안정제, 산화방지제, 발색제, 표백제, 곰팡이방지제, 검 베이스, 고미료(苦味料), 효소, 광택제, 산미료, 조미료, 유화제, 강화제, 제조용제, 향료, 향신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을 음식품으로 할 경우, 1식 섭취량 단위의 포장 형태로 할 수 있다. 「1식 섭취량 단위의 포장 형태」란, 한끼당 섭취하는 음식품의 양이 미리 정해진 형태이며, 예를 들면, 음료, 검, 젤리, 요구르트, 쿠키 등의 경우에는 팩, 봉투, 병, 상자 등의 용기에 의해 1회의 섭취량을 포장하는 형태를 들 수 있고, 과립, 분말, 슬러리상 등의 식품의 경우에는, 팩이나 봉투 등에 의해 1회의 섭취량을 개별 포장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특히, 음식품이 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 기능 식품 등의 보건 기능 식품, 영양 보조 식품, 병자용 식품 등의 특별 용도 식품, 그 밖의 건강 식품 등일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한끼당 섭취 단위량의 형태로 포장된 형태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현탁 또는 용해된 음료가, 한끼당 완전히 마시는 형태로 병 등에 충전된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의 하루당 섭취량은 연령, 성별, 체중, 식사의 상황 등에 의해 개별적으로 정해지지만,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에 의해, 성인 하루당 50kcal 내지 2000kcal 정도를 섭취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의 양을, 1일 1회 내지 3회 정도로 나누어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을 1식 섭취량 단위의 포장 형태의 음식품으로 할 경우, 상기에 의해 정해지는 1회당의 섭취량마다 개별 포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일반적인 제제화 기술 및 식품 제조 기술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근육량의 증가 및/또는 근육량의 저하 억제용의 의약품, 음식품 등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에너지 소비량 증가용의 의약품, 음식품 등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상승에 따르지 않는 근육량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의 의약품, 음식품 등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근력 저하증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의 의약품, 음식품 등으로서 유용하다. 근력 저하증은, 사르코페니아라고도 칭하며, 사지근력의 저하에 따른 활동량의 저하, 나아가서 만성 폐색성 폐질환(COPD)을 야기하고,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이들 근력 저하증을 유효하게 예방 및/또는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근력 회복을 위한 재활의 효과 촉진용의 의약품, 음식품 등으로서 유용하다. 재활에 의한 근력의 회복에는 시간을 요하고, 구축이 진행하기 전에 근육 기능을 회복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은 근육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재활의 효과 촉진에 유용하다. 또한, 저영양 상태의 개선, 운동기 저하의 개선, 운동기 증후군의 예방 및/또는 개선, 전도의 방지 등, 또는 스포츠에서의 근육량의 증가 등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내장 지방의 저하용의 의약품, 음식품 등으로서 유용하다. 내장 지방의 증가는 인슐린 저항성을 가져오고, 인슐린 저항성에 관련된 여러가지 질환을 발증 또는 진전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내장 지방을 유효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의 의약품, 음식품 등으로서 유용하다. 내장 지방이 증가한 때에 있어서는, 고 LDL-콜레스테롤 혈증, 고 트리글리세라이드 혈증, 고 렘넌트(remnant) 혈증, 고소형(高小型)고밀도LDL, 저 HDL-콜레스테롤 혈증이라는 지질 대사 이상이 보인다. 이러한 지질 대사 이상의 결과, 과산화 LDL-콜레스테롤 등의 과산화 지질의 생성이 증가하여, 아테롬성 동맥경화증이 발증할 위험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내장 지방 증가 따른 혈중 LDL-콜레스테롤의 증가 등 지질 대사 이상의 발증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어,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또는 개선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고혈당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의 의약품, 음식품 등으로서 유용하다. 내장 지방 증가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은 혈액으로부터 세포내로의 글루코스의 흡수 능력을 저하시켜, 고혈당을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고혈당의 예방 및/또는 개선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방간 및 간 기능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의 의약품, 음식품 등으로서 유용하다. 증가된 대표적인 내장 지방의 장간막 지방은, 유리 지방산을 문맥 혈액으로 방출하여, 가장 가까운 장기인 간장에 지방을 축적시킨다. 한편, 인슐린 저항성에 의한 고인슐린 혈증은 간장에서의 당으로부터 지방으로의 합성도 활발하게 시킨다. 또한, 간장으로의 지방 축적은 간 기능을 악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방간 및 간 기능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기초 에너지 소비량의 저하 예방 및/또는 개선용의 의약품, 음식품 등으로서 유용하다. 고령자에 있어서의 기초 에너지 소비량의 저하는 체내의 에너지 이용이 저하된 상태를 나타내고, 에너지를 이용하는 단백질의 합성 등 대사에 큰 영향을 끼친다. 또한, 섭취한 에너지가 에너지 이용능 저하시에는 여분이 되고, 그 여분 에너지는 지방으로서 축적되어버린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기초 에너지 소비량의 저하 예방 및/또는 개선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기초 체온의 저하 예방 및/또는 개선용의 의약품, 음식품 등으로서 유용하다. 저체온에서는 대사 활동이 약해져서 에너지 생산이나 체 단백질의 합성이 저하되어버린다. 특히, 고령자에 있어서는 체온 조절 능도 감약해 있어, 저하된 체온을 상승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기초 체온의 저하 예방 및/또는 개선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리신과 n-3계 지방산, 또는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기쇄 아미노산을, 분체형 등으로 범용형의 종합적인 영양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근육량이 저하된 사람(예를 들면, 고령자, 누워만 있는 상태 등)의 근육량의 증가 및/또는 근육량의 저하 억제에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그 근단백질 합성의 에너지원으로서 특히 지질 대사 이상, 고혈당, 지방간 및 간 기능 저하에 깊이 관여하는 내장 지방을 이용한 경우, 특히 유효하다. 지금까지 유효한 영양 조성물이 없었던 이들 사람들에는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큰 공헌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영양 조성물의 조제
고령자에 대한 최적 영양 효과를 숙고하여, 표 1에 기재한 영양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것을 구현화하기 위한 액상물의 원료 배합량을 표 2에 기재한다. 각 성분과 유화제를 물에 첨가하여 혼합하고, 고압 유화기로 500 내지 1,000kg/cm2의 가압하에서 복수회 유화 공정을 반복하여 유화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아미노산 조성은, 조성물 100kcal당 L-류신 0.38g, L-발린 0.19g, L-이소류신 0.23g, L-리신 0.32g를 첨가하였다. 이 경우, 단백질 유래의 것도 포함한 분기쇄 아미노산(류신, 발린, 이소류신)의 총량으로서 조성물 100kcal당 1.46g을 함유하게 된다. 이 유화 조성물을 통상의 충전기로 알루미늄제의 봉투에 충전하고, 레토르트 살균기로 통상의 조건하에 멸균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1년 후에도 전체 성분은 안정적으로 존재하고,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9mPa·s이었다. 또한, 이 조정액에 증점제를 첨가하고, 농축 조정 영양 조성물(1,000 내지 7,000mPa·s) 또는 젤리를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첨가하는 아미노산의 양을 2배량으로 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조할 수 있었다. 이 영양 조성물의 칼로리 밀도는 1.0kcal/ml이었다.
[표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2-1]
Figure pct00003
[표 2-2]
Figure pct00004
[표 2-3]
Figure pct00005
[실시예 2] 종합 영양 조성물의 조제
실시예 1과 같이, 표 3에 기재한 영양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과 같이, 각 성분과 유화제를 물에 첨가하여 혼합하고, 고압 유화기로 50 내지 500㎏/cm2의 가압하, 수회 유화 공정을 반복하여 유화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아미노산 조성은, 조성물 100kcal당 L-류신 0.28g, L-발린 0.14g, L-이소류신 0.14g, L-리신 0.28g을 첨가하였다. 이 경우, 단백질 유래의 것도 포함한 분기쇄 아미노산(류신, 발린, 이소류신)의 총량으로서 조성물 100kcal당 1.30g을 함유하게 된다. 이 유화 조성물을 통상의 충전기로 알루미늄제의 봉투에 충전하고, 레토르트 살균기로 통상의 조건하에 멸균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1년 후에도 전체 성분은 안정적으로 존재하고,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4,000mPa·s이었다. 또한, 이 조정액(調整液)에 적당량의 증점제를 첨가하여 더욱 점도를 높이고, 농축 조정 영양 조성물(1,000 내지 7,000mPa·s) 또는 젤리를 제조할 수 있었다. 이 영양 조성물의 칼로리 밀도는 2.0kcal/ml이었다.
[표 3]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실시예 3] 분말 영양 조성물의 조제
표 4에 기재한 분말 타입의 영양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것을 구현화하기 위한 액상물의 원료 배합량을 표 5에 기재한다. 각 성분과 유화제를 적당량의 물에 첨가하여 혼합하고, 유화기로 2 내지 5Okg/cm2의 가압하, 수회 유화 공정을 반복하여 유화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 유화 조성물을 분무 건조하여, 분말 영양 조성물로 하였다. 아미노산 조성은 조성물 100kcal당 L-류신 3.9g, L-발린 2.4g, L-이소류신 2.Og, L-리신 4.1g이었다. 이 분말 영양 조성물을 통상의 충전기로 알루미늄제의 봉투에 충전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말 영양 조성물은 1년 후에도 전체 성분은 안정적으로 존재하였다. 또한, 이 분말 영양 조성물은 온수에 용해하여 영양제에 혼합해도 사용할 수 있었다.
[표 4]
Figure pct00008
[표 5]
Figure pct00009
[시험예 1] 내장 지방 증가 모델 동물에 있어서의 아미노산 및 n-3계 지방산의 강화 효과의 검토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에 있어서, 아미노산과 n-3계 지방산의 내장 지방 증가나 근육량 저하의 개선 효과를 이하의 실험에 의해 검토하였다. 즉, 10주령의 C57BL/6J 웅성 마우스에 표 6에 기재한 1B 그룹과 같은 고지방식을 섭취시켜, 내장 지방 증가 모델을 작제 후, 3 그룹으로 나누어(각 그룹 N = 5 내지 9), 각각 표 6에 기재한 조성의 실험식(實驗食)을 2주간 섭취시켰다. 1B 그룹에는 포화 지방산이 풍부한 우지(牛脂)를 많이 포함한 고지방식을 계속하여 섭취시켰다. 1C 그룹에는 표준적인 조성의 실험식을 섭취시켰다. 1D 그룹에는 강화된 조성으로서 단백질, 지방의 총량을 변화없이 리신, BCAA(류신, 발린,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지는 3종의 분기쇄 아미노산), 어유를 각각 실험식 100kcal당 0.32g, 0.8g, 0.24g 치환한 실험식을 섭취시켰다. 이 경우, 1D 그룹에 있어서는 단백질 유래도 포함한 BCAA의 총량으로서 실험식 100kcal당 1.46g, n-3계 지방산의 총량으로서 0.24g, 에이코사펜타엔산(EPA)으로서 67mg을 함유하게 된다. 1A 그룹에는 정상 대조군으로서 고지방식을 섭취시키지 않고, 시험 기간을 통해서 표준적인 조성의 실험식을 섭취시켰다. 실험식 섭취 2주 후에 16시간 절식시켜서 장간막 지방 중량 및 피복근 중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도시한다.
[표 6]
Figure pct00010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1B 그룹의 체중은 통상식(通食常) 섭취인 1A 그룹의 1.2배가 되었다. 그 후, 실험식을 섭취시킨 평가 기간을 통해서 1D 그룹에서는 칼로리 섭취량이 같은데도 불구하고, 체중은 1C 그룹에 비해 낮은 값으로 되었다(1D: 31.7±3.3g, 1C: 34.4±1.7g).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B 그룹의 장간막 지방 중량은 1A 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 상승하고, 피복근 중량에 있어서는 반대로 1A 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 저하되었다. 한편, 1D 그룹의 장간막 지방 중량은 1C 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 저하되고, 피복근 중량에 있어서는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 이 고지방식 섭취의 모델에 있어서, 혈장중 CRP(C반응성 단백)는 각 그룹간에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1A 그룹: 7.7±2.4ng/ml, 1B 그룹: 9.O±3.3ng/ml, 1C 그룹: 7.O±5.3ng/ml, 1D 그룹: 8.6±3.9ng/ml).
상기의 시험 결과로, 리신, BCAA, 에이코사펜타엔산을 강화시킨 식사가, 내장 지방 중량인 장간막 지방 중량을 저하시켜서, 피복근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시험예 2]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미노산(리신, BCAA)과 n-3계 지방산의 단독 효과와 병용 효과
시험예 1의 결과, 장간막 지방 중량 저하 및 피복근 중량 증가 작용을 나타내기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미노산과 n-3계 지방산의 강화가 필요한 것이 명확해졌지만, 각각의 성분이 단독으로 이러한 효과를 나타낼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미노산 및 n-3계 지방산을 각각 단독으로 강화 및 병용 강화시킨 이하의 검토를 행하였다. 즉, 시험예 1과 같이 내장 지방 증가 모델을 작제 후, 4 그룹으로 나누어(각 그룹 N = 5 내지 9), 각각 표 7에 기재한 조성의 실험식을 2주간 섭취시켰다. 2A 그룹에는 표준적인 조성의 실험식을 섭취시켰다. 2D 그룹에는 강화시킨 조성으로서 단백질, 지방의 총량을 변화없이 리신, BCAA, 어유를 각각 100kcal당 0.32g, 0.8g, 0.24g 치환한 실험식을 섭취시켰다. 이 경우, 2D 그룹에 있어서는 단백질 유래도 포함한 BCAA의 총량으로서 실험식 100kcal당 1.46g, n-3계 지방산의 총량으로서 0.24g, 에이코사펜타엔산(EPA)으로서 67mg을 함유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미노산, n-3계 지방산의 각각을 단독으로 강화시킨 실험식을 섭취시킨 그룹으로서 2B 그룹, 2C 그룹을 설치하였다. 각 실험식을 섭취 2주 후에 16시간 절식시켜서, 장간막 지방 중량 및 피복근 중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도시한다.
[표 7]
Figure pct00011
실험식 섭취 기간의 총 칼로리 섭취량은 각 그룹간에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D 그룹에서는 내장 지방인 장간막 지방 중량을 유의적으로 저하시키고, 피복근 중량을 유의적으로 상승시켰다. 이에 대해, 2B 그룹, 2C 그룹에 있어서의 장간막 지방 중량의 저하 및 피복근 중량의 상승은, 2D 그룹의 효과에 비해 분명히 약한 것이고, 2B 그룹과 2C 그룹 각각의 효과를 더해도 2D 그룹의 효과에는 미치지 못했다.
상기의 결과로, 강화식(强化食)에 의한 장간막 지방 저하 작용 및 피복근 상승 작용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미노산, n-3계 지방산의 단독 효과가 아니고, 아미노산과 n-3계 지방산이 합쳐짐으로써 상승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되었다. 즉, 본 시험에 있어서 리신과 n-3계 지방산, 또한 분기쇄 아미노산을 병용하는 것의 유용성이 나타났다.
[시험예 3]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미노산 및 n-3계 지방산의 에너지 대사촉진 효과 및 미토콘드리아 증가 효과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 및 n-3계 지방산을 강화시킨 영양 조성물이, 호기 가스 대사 측정 장치를 사용한 에너지 대사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즉, 시험예 1과 같이 작제한 내장 지방 증가 모델에 있어서, 표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준적인 조성의 실험식(3A 그룹) 또는 강화시킨 조성의 실험식(3B 그룹)을 섭취시켜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섭취량 안정을 위해서 1주간의 실험식 순화 기간을 설치하고, 그 후, 2주간내에 각 케이지에 한마리씩 넣어, 산소 소비량(ml/min) 및 이산화탄소 생산량(ml/min)을 측정하였다(소동물(小動物)용 대사 계측 시스템 MK-5000 RQ, 무로마치기계). 측정시의 먹이는 실험식을 급여하여, 섭취량을 측정하였다. 호흡 상수는 이산화탄소 생산량÷산소 소비량으로 산출하고, 에너지 소비량은 Weir의 식[에너지 소비량(kcal/min)=3.9(kcal)×산소 소비량(ml/min)+1.1(kcal)×이산화탄소 생산량(ml/min)]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도시한다.
[표 8]
Figure pct0001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B 그룹의 호흡 상수는 식사 섭취 기간(9:00 내지 16:00;식사), 식후의 암기(暗期) 기간(16:00 내지 19:00; 암기)에 있어서, 3A 그룹보다도 유의적으로 저하되고, 식사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명기(明期)(19:00 내지 9:00; 명기)에 있어서도 3A 그룹보다 유의적으로 저하되었다. 또한, 3B 그룹의 에너지 소비량은, 어느 기간에서도 3A 그룹보다도 유의적인 증가 및 증가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의 미토콘드리아 증가 효과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즉, 시험예 1과 같이 작제한 내장 지방 증가 모델에 있어서, 표 8에 기재한 바와 같이 표준적인 조성의 실험식(3A 그룹) 또는 강화시킨 조성의 실험식(3B 그룹)을 섭취시켜서, 시험 최종일에 간장, 피복 근육을 신속히 채취하여 동결 보존하였다. 동결 보존한 간장(100mg) 및 피복 근육(200mg)의 각각으로부터, ISOGEN(일본 진(gene))을 사용하여 DNA를 추출하였다. 50ng의 DNA에, 표 9에 기재한 미토콘드리아 상의 d-루프(d-loop)의 프라이머(primer)와, SYBER GREEN Master Mix(ABI)를 첨가하여, ABI 770O 검출기(detector)로 증폭 및 정량 해석을 실시하였다. DNA량의 보정에는, 염색체 상의 유전자 사이클로필린 A(cyclophillin A)(인트론 코드 부분)를 사용하였다. 합성된 프라이머에 관해서는 PCR 반응 후에 아가로스 전기 영동을 행하고, 목적의 산물이 생긴 것을 확인하였다.
[표 9]
Figure pct00013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지방 연소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세포내의 미토콘드리아수의 해석을 행하였다. 세포내에는 핵내의 염색체 DNA는 하나인데 반해서, 미토콘드리아의 수는 결정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세포내의 미토콘드리아량을 추정하는데도, 미토콘드리아 코드 유전자의 DNA량과 핵내 코드 유전자의 DNA량의 비율을 취하는 방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B 그룹의 미토콘드리아 DNA량은 간장, 피복 근육의 양쪽에 있어서, 3A 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
본 시험으로 의해, 리신과 n-3계 지방산, 또한 분기쇄 아미노산을 함유한 영양 조성물이, 지방을 이용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미토콘드리아 수를 증가시켜서 지방 이용을 향상시키고, 체온의 상승 등으로 이어지는 에너지 소비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근육량의 증가 및/또는 근육량의 저하 억제에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에너지 소비량 증가에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지방 이용 항진 등에 의한 에너지 소비량 증가에 의해, 특히 내장 지방 저하에 유용하고, 또한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질 대사 이상, 고혈당, 지방간, 간 기능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지방 에너지 공급 등에 의한 근육량의 증가 또는 근육량의 저하 억제에 의해, 사르코페니아, 만성 폐색성 폐질환(COPD)의 예방 및/또는 개선, 근력 회복을 위한 재활의 효과 촉진, 저영양 상태의 개선, 운동기 저하의 개선, 운동기 증후군의 예방 및/또는 개선, 전도의 방지, 스포츠에서의 근육량의 증가 등에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기초 에너지 소비량의 저하 예방 및/또는 개선, 기초 체온의 저하 예방 및/또는 개선에도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안전성이 높고, 신장 기능이 감약한 고령자에 있어서도, 과잉의 단백 부담을 주지않고,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본에서 출원된 특원2011-089626을 기초로 하고 있고,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SEQUENCE LISTING <110> AJINOMOTO CO., INC. <120> NUTRITIONAL COMPOSITION <130> 091818 <150> JP 2011-089626 <151> 2011-04-13 <160> 4 <170> KopatentIn 1.7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acacgccata atggcactgg 20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cagtcttggc agtgcagat 19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cgcaaaaccc aatcacctaa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ttggggtttg gcattaagag 20

Claims (19)

  1. 유리(遊離) 리신, 리신을 함유하는 디펩티드 및 리신염류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n-3계 지방산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로서,
    유리 리신, 리신을 함유하는 디펩티드 및 리신염류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함유량이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0.1g 내지 10.0g이고,
    n-3계 지방산의 함유량이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0.17g 내지 5.00g인, 영양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기쇄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기쇄 아미노산의 함유량이,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1.0g 내지 20g인, 영양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 형태의 분기쇄 아미노산의 함유량이, 조성물 100kcal당 총량으로 0.1g 내지 15g인, 영양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3계 지방산이,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펜타엔산 및 도코사헥사엔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에이코사펜타엔산을 조성물 100kcal당 10mg 내지 3000mg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100kcal당 0.2mg 내지 20.0mg의 비타민 B1,
    조성물 100kcal당 0.25mg 내지 20.0mg의 비타민 B2,
    조성물 100kcal당 0.3mg 내지 20.0mg의 비타민 B6, 및
    조성물 100kcal당 0.3㎍ 내지 20.0㎍의 비타민 B12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100kcal당 50㎍ 레티놀 당량 내지 2500㎍ 레티놀 당량의 비타민 A,
    조성물 1O0kcal당 10mg 내지 700mg의 비타민 C, 및
    조성물 100kcal당 α-토코페롤 환산량으로 1mg 내지 5Omg의 비타민 E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100kcal당 1mg 내지 5Omg의 아연 및/또는 조성물 100kcal당 1.0㎍ 내지 50.0㎍의 셀렌을 함유하는, 영양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쇄 지방산유를 함유하고, 중쇄 지방산유의 함유량이 지질의 총량에 대하여 10중량% 내지 65중량%인, 영양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근육량의 증가 및/또는 근육량의 저하 억제용인, 영양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장 지방 저하용 또는 에너지 소비량 증가용인, 영양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근력 저하증의 예방 및/또는 개선, 근력 회복을 위한 재활(rehabilitation)의 효과 촉진,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또는 개선,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고혈당의 예방 및/또는 개선,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방간의 예방 및/또는 개선,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간장 기능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 기초 에너지 소비량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 기초 체온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상승에 따르지 않는 근육량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 저영양 상태의 개선, 운동기 저하의 개선, 운동기 증후군의 예방 및/또는 개선, 전도(轉倒)의 방지, 및 스포츠에서의 근육량의 증가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용도용인, 영양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유효량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량의 증가 및/또는 근육량의 저하 억제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유효량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지방 저하 방법, 또는 에너지 소비량 증가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유효량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저하증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근력 회복을 위한 재활의 효과 촉진 방법,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고혈당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방간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간장 기능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기초 에너지 소비량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기초 체온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상승에 따르지 않는 근육량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저영양 상태의 개선 방법, 운동기 저하의 개선 방법, 운동기 증후군의 예방 및/또는 개선 방법, 전도의 방지 방법, 및 스포츠에서의 근육량의 증가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방법.
  17. 근육량의 증가 및/또는 근육량의 저하 억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사용.
  18. 내장 지방 저하제, 또는 에너지 소비량 증가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사용.
  19. 근력 저하증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근력 회복을 위한 재활의 효과 촉진제,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질 대사 이상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고혈당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지방간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내장 지방 증가에 따른 간장 기능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기초 에너지 소비량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기초 체온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상승에 따르지 않는 근육량 저하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저영양 상태의 개선제, 운동기 저하의 개선제, 운동기 증후군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 전도의 방지제, 및 스포츠에서의 근육량의 증가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사용.
KR1020137030032A 2011-04-13 2012-04-13 영양 조성물 KR102100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89626 2011-04-13
JPJP-P-2011-089626 2011-04-13
PCT/JP2012/060186 WO2012141316A1 (ja) 2011-04-13 2012-04-13 栄養組成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172A Division KR20180100455A (ko) 2011-04-13 2012-04-13 영양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888A true KR20140022888A (ko) 2014-02-25
KR102100091B1 KR102100091B1 (ko) 2020-04-14

Family

ID=470094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172A KR20180100455A (ko) 2011-04-13 2012-04-13 영양 조성물
KR1020137030032A KR102100091B1 (ko) 2011-04-13 2012-04-13 영양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172A KR20180100455A (ko) 2011-04-13 2012-04-13 영양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40044828A1 (ko)
EP (1) EP2705844B1 (ko)
JP (1) JP5983601B2 (ko)
KR (2) KR20180100455A (ko)
CN (1) CN103458891A (ko)
WO (1) WO20121413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205A (ko) * 2016-01-21 2018-09-03 김현준 체중 조절용 식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316A1 (ja) 2011-04-13 2012-10-18 味の素株式会社 栄養組成物
KR102245702B1 (ko) 2013-03-15 2021-04-28 올텍 법인회사 셀렌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미토콘드리아 기능장해와 관련된 질병 또는 상태의 치료와 예방을 위한 이의 용도
JP6158565B2 (ja) * 2013-04-09 2017-07-05 花王株式会社 筋タンパク質合成シグナル増強剤
JP2015107074A (ja) * 2013-12-04 2015-06-11 テルモ株式会社 液状栄養剤
JP6347941B2 (ja) * 2013-12-04 2018-06-27 テルモ株式会社 液状栄養剤
CA2947741A1 (en) * 2014-05-05 2015-11-12 Thetis Pharmaceutical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ing to ionic salts of peptides
US9242008B2 (en) 2014-06-18 2016-01-26 Thetis Pharmaceuticals Llc Mineral amino-acid complexes of fatty acids
EP3157936B1 (en) 2014-06-18 2018-10-17 Thetis Pharmaceuticals LLC Mineral amino-acid complexes of active agents
US20170258791A1 (en) 2014-08-29 2017-09-14 Project Pm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med by combining pyridoxamine compound and thiamine compound
US20190111083A1 (en) * 2014-10-14 2019-04-18 Nestec S.A. Improvement in muscle functionality of elderly males
JP2016210720A (ja) * 2015-05-07 2016-12-15 治 江▲崎▼ 運動機能改善剤、呼吸機能改善剤または認知能改善剤
NL2015032B1 (en) * 2015-06-26 2017-01-24 Vitalnext B V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malnutrition.
US20170119841A1 (en) * 2015-11-04 2017-05-04 Thetis Pharmaceuticals Llc Amino acid salts of unsaturated fatty acids
JP6105111B1 (ja) 2016-03-02 2017-03-29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自閉スペクトラム症改善用組成物
CN107174593B (zh) * 2016-03-09 2021-03-02 中国农业大学 银杏叶提取物与支链氨基酸在制备预防/治疗脂肪肝和/或脂肪变性的药物中的应用
CA3026264A1 (en) 2016-06-03 2017-12-07 Thetis Pharmaceutical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ing to salts of specialized pro-resolving mediators
WO2018124009A1 (ja) * 2016-12-26 2018-07-05 花王株式会社 低体温改善剤
US10653720B2 (en) 2017-11-03 2020-05-19 Lysulin, Inc. Prevention of protein glycation using lysine/zinc supplements
US10610544B2 (en) 2017-11-03 2020-04-07 Lysulin, Inc. Insulin resistance and beta cell function using lysine-based supplements
US11255838B2 (en) 2017-11-03 2022-02-22 Lysulin, Inc. Levels, functions, and resistances related to chronic conditions by using lysine-based supplements
US10466256B2 (en) * 2017-11-03 2019-11-05 Lysulin, Inc. Inhibiting chronic blood and nephrological disorders using lysine-based supplements
KR20200099172A (ko) 2018-01-12 2020-08-21 (주) 메티메디제약 만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방법
JP2020176100A (ja) * 2019-04-22 2020-10-29 株式会社明治 運動誘発性筋損傷を抑制するための組成物
US20220295854A1 (en) * 2019-06-07 2022-09-22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one or more autophagy-inducing amino acids to potentiate musculoskeletal effect of one or more anabolic amino acids
WO2022226828A1 (zh) * 2021-04-28 2022-11-03 益达生医股份有限公司 供改善肌少症的营养组合物及其用途
CN115245201A (zh) * 2021-04-28 2022-10-28 益达生医股份有限公司 供改善肌少症的营养组合物及其用途
CN113862346B (zh) * 2021-09-26 2023-07-07 北京大学 长链非编码rna在治疗阿尔茨海默病中的应用
WO2024057139A1 (en) * 2022-09-14 2024-03-21 Abiogen Pharma Spa Composition comprising l-leucine and fish oil
DE102022003441A1 (de) 2022-09-17 2024-03-28 Jutta Ibrahim Nahrungsergänzungsmittel Omega3 und essentielle Aminosäure(n)
KR102625873B1 (ko) * 2023-01-27 2024-01-1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근감소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근감소증을 진단하는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8282A (ja) 1996-04-25 1999-07-21 アボツト・ラボラトリーズ 悪液質および食欲不振の予防および治療方法
JP2006503105A (ja) * 2002-09-20 2006-01-26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ロイシンに富んだ栄養的組成物
WO2007043870A1 (en) * 2005-10-12 2007-04-19 N.V. Nutricia Leucine rich composition
JP2008539793A (ja) 2005-05-20 2008-11-20 ヒルズ・ペット・ニュートリシャ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成年動物の健康または健全を促進する方法
WO2009100241A2 (en) * 2008-02-05 2009-08-13 Healthspan Solutions, Llc Systems for and methods of use of therapeutic nutrition for the management of age-associated and age-specific health conditions of the elderly.
WO2011021926A1 (en) * 2009-08-21 2011-02-24 N.V. Nutricia Regulating the amino acid pool used for the acute-phase protein synthesi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1161B2 (ja) * 1986-10-13 1998-05-18 味の素株式会社 栄養組成物
US20020044988A1 (en) 2000-08-22 2002-04-18 Fuchs Eileen C. Nutrition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protein deposition
DE10057290B4 (de) * 2000-11-17 2004-01-08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Enteral zu verabreichendes Supplement zur parenteralen Ernährung oder partiellen enteralen/oralen Ernährung bei kritisch Kranken, chronisch Kranken und Mangelernährten
KR100950638B1 (ko) * 2001-07-16 2010-04-01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체지방량 조정제
JP2005027524A (ja) * 2003-07-08 2005-02-03 Ajinomoto Co Inc 経口アミノ酸組成物
US8252742B2 (en) 2004-12-30 2012-08-28 Hill's Pet Nutrition, Inc. Method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a senior animal
EP1865944B1 (en) * 2005-03-29 2018-08-29 Ajinomoto Co., Inc. Amino acid-containing composition used for preventing or remedying decrease in skeletal muscle mass of aged people, comprising L-leucine
JP2006304792A (ja) * 2005-03-31 2006-11-09 Saga Univ 内臓脂肪蓄積抑制食品
MX2008016028A (es) * 2006-06-12 2009-04-22 Conagra Foods Rdm Inc Producto de huevo y metodo de produccion.
JP2009545308A (ja) * 2006-08-09 2009-12-24 ザ アイムス カンパニー 骨の健康及び筋肉の健康を改善する方法
US20100152107A1 (en) 2006-10-19 2010-06-17 Nestec S.A. Long-term feed - cancer patient
JP5286286B2 (ja) * 2007-02-22 2013-09-11 ヒルズ・ペット・ニュートリシャ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神経的発達を強化するための組成物と方法
EP2025248A1 (en) * 2007-07-31 2009-02-18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Cachexia prevention supplement
JP5418956B2 (ja) * 2007-10-22 2014-02-19 味の素株式会社 総合栄養組成物
US7790688B2 (en) * 2008-01-11 2010-09-07 Healthspan Solution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muscle mass, strength,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the elderly
WO2010002242A1 (en) 2008-07-02 2010-01-07 N.V. Nutricia Nutritional composition for improving muscle function and daily activity
JP2010105946A (ja) * 2008-10-29 2010-05-13 Nof Corp 筋タンパク質増強剤及びこれを含む医薬品または食品
EP2374452B1 (en) 2008-12-05 2019-07-24 Ajinomoto Co., Inc. Nutrient composition
WO2012141316A1 (ja) 2011-04-13 2012-10-18 味の素株式会社 栄養組成物
CN108801219A (zh) 2018-08-24 2018-11-13 天津大学 水下抛泥模型试验地形实时测量系统及其测量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8282A (ja) 1996-04-25 1999-07-21 アボツト・ラボラトリーズ 悪液質および食欲不振の予防および治療方法
JP2006503105A (ja) * 2002-09-20 2006-01-26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ロイシンに富んだ栄養的組成物
JP2008539793A (ja) 2005-05-20 2008-11-20 ヒルズ・ペット・ニュートリシャ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成年動物の健康または健全を促進する方法
WO2007043870A1 (en) * 2005-10-12 2007-04-19 N.V. Nutricia Leucine rich composition
WO2009100241A2 (en) * 2008-02-05 2009-08-13 Healthspan Solutions, Llc Systems for and methods of use of therapeutic nutrition for the management of age-associated and age-specific health conditions of the elderly.
WO2011021926A1 (en) * 2009-08-21 2011-02-24 N.V. Nutricia Regulating the amino acid pool used for the acute-phase protein synthesis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임상 영양, 2008, 8: 38-43
비특허문헌 2: Am J Clin Nutr, 2003, 78: 250-258
비특허문헌 3: Br J Cancer, 2004, 91: 408-412
비특허문헌 4: Drugs of the Future, 2010, 35: 41-52
비특허문헌 5: J Nutr Biochem, 2006, 17: 1-13
비특허문헌 6: J Nutr, 2005, 135: 2503-250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205A (ko) * 2016-01-21 2018-09-03 김현준 체중 조절용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5844A4 (en) 2015-04-01
KR20180100455A (ko) 2018-09-10
US10136669B2 (en) 2018-11-27
US20160374381A1 (en) 2016-12-29
WO2012141316A1 (ja) 2012-10-18
US20140044828A1 (en) 2014-02-13
JPWO2012141316A1 (ja) 2014-07-28
JP5983601B2 (ja) 2016-08-31
KR102100091B1 (ko) 2020-04-14
CN103458891A (zh) 2013-12-18
EP2705844B1 (en) 2019-05-22
EP2705844A1 (en)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091B1 (ko) 영양 조성물
EP3445355B1 (en) Beta-hydroxybutyrate for use in non-therapeutic methods of controlling weight loss and ketotis
RU2356247C2 (ru) Комбинации и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жирные кислоты и аминокислоты,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замедления прогрессирова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диабета и связанных с диабетом заболеваний и состояний,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веса тела млекопитающего, набор
US9629386B2 (en) Nutrition composition
US10653655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peripheral neuropathy
JP2005097161A (ja) 抗疲労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食品
JP5922862B2 (ja) ミトコンドリア機能向上剤
US11730713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nociceptive pain
JP6053695B2 (ja) 食欲抑制剤
WO2017159741A1 (ja) 行動体力向上剤
CN105120857B (zh) 营养组合物
TWI834743B (zh) 含還原型輔酶q10之經口用組成物、其製造方法、變色抑制方法及變色抑制劑
WO2022250040A1 (ja) 鉄欠乏性貧血の改善または予防用組成物
US10285967B2 (en) Monoacylglycerols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lipase inhibitor and/or diets low in fat and/or calo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63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830

Effective date: 2020021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