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019A - 인쇄방법 및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인쇄방법 및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019A
KR20140021019A KR1020137032790A KR20137032790A KR20140021019A KR 20140021019 A KR20140021019 A KR 20140021019A KR 1020137032790 A KR1020137032790 A KR 1020137032790A KR 20137032790 A KR20137032790 A KR 20137032790A KR 20140021019 A KR20140021019 A KR 20140021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head
area
scanning
symme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2927B1 (ko
Inventor
아키라 이케다
마사루 오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140021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82Digital 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 B41M5/0088Digital 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by ink-j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k Jet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는 인쇄매체의 표면에 소정의 막두께의 잉크 도포막을 보다 짧은 시간에 형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으로서, 복수 회의 주사공정을 포함하고, 헤드 정면대칭 영역(10a, 10c)에는, 1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한 상태로 잉크(80)를 토출하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10b)에는, 2회 이상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11, 12)의 합계 막두께가, 미리 정해진 막두께(T0)가 되도록 잉크(80)를 토출한다.

Description

인쇄방법 및 인쇄장치{Printing method and 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인쇄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는 인쇄매체에 대하여, 잉크젯 인쇄를 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단차, 요철, 각, 곡면 등을 가지는 인쇄매체(예를 들어, 다면체, 곡면체)에 대하여, 잉크젯 인쇄를 행하는 경우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경사면이나 곡면 등에서의 경사 정도가 큰 구간에서는 토출 잉크양을 증가시켜서, 이 잉크에 의하여 형성되는 도트 사이에 간격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인쇄매체를 기울여 인쇄를 행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193368호(1997년 7월 29일 공개)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335019호(2006년 12월 14일 공개)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는 인쇄매체의 표면에 소정의 막두께의 잉크 도포막을 형성하는 경우,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인쇄매체에 있어서 경사면이나 곡면 등에서의 경사 정도가 큰 구간에 있어서, 도포막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과 같이 해상도를 향상하여 착탄 간격을 좁게 하면, 인쇄속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이, 인쇄매체를 기울여 인쇄면이 항상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하도록 하여 인쇄하면, 경사의 정도가 큰 구간에 있어서도 도포막 두께가 얇아지지 않지만, 인쇄매체의 회전 및 정지(인쇄 헤드와 인쇄매체와의 사이의 위치결정동작)를 위하여 많은 시간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는 인쇄매체의 표면에 소정의 막두께의 잉크 도포막을 보다 짧은 시간에 형성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잉크젯 인쇄용의 인쇄 헤드를 주사하고, 상기 인쇄 헤드로부터 인쇄매체에 대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주사공정을 복수 회 포함하며, 각 회의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한 상태로 상기 잉크가 토출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서로 다르게 하고, 어떤 회의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잉크가 토출되는 헤드 비정면대칭에 대해서는, 다른 1회 이상의 상기 주사공정에서도 상기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하지 않고 상기 잉크를 토출하며,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잉크의 도포막의 합계 막두께가, 미리 정해진 막두께가 되도록 적어도 1회의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어떤 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이 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각각 2회 이상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잉크가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있어서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가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비하여 얇아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인쇄매체의 표면 전체를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시켜서 인쇄할 수는 없으므로, 상기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하는 영역을 각 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다르게 하기 위한 동작(인쇄 헤드와 인쇄매체와의 사이의 위치결정동작)을 인쇄매체의 표면 전체를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시켜서 인쇄하는 경우에 비하여 적게 할 수 있어, 인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특허문헌 1의 기술과는 달리, 해상도의 향상 또는 잉크 토출량의 증대를 위한 특별한 기구(예를 들어, 고정밀도의 헤드 주사기구 등)가 필요없다.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에 따르면,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는 인쇄매체의 표면에 소정의 막두께의 잉크 도포막을 보다 짧은 시간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방법에서는, 상기 적어도 1회의 주사공정에서는,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잉크의 도포막의 합계 막두께가,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잉크의 도포막의 막두께와 같아지도록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해서도,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은 막두께의 잉크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방법에서는, 적어도 1회의 상기 주사공정에서는,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을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보다 적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적어도 1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잉크의 양을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잉크의 양보다 적게하는 동시에, 그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2회 이상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그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소정의 막두께의 잉크 도포막을 시종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방법에서는, n회(n은 2 이상의 정수)의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의 한 지점에 대하여 상기 잉크를 토출할 때, 하기 식 (1)을 만족하도록 설정된 조정계수(ki)를 이용하여, i회째의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의 그 지점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Di)을 하기 식(2)를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단, θi는 90°미만의 각도이며, n회의 상기 주사공정 중의 i회째의 상기 주사공정에서의 상기 잉크의 토출방향과, 상기 지점에서의 상기 인쇄매체의 법선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냄.)
Figure pct00002
(단, D0는 각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의 한 지점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을 나타냄.)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의 한 지점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가,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와 같아지도록,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의 한 지점에 대한 잉크의 토출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인쇄매체 표면에 소정의 막두께의 잉크 도포막을 시종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방법에서는, 적어도 1회의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 및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을 횡단하도록 상기 인쇄 헤드를 주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헤드 정면대칭 영역 및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을 횡단하도록 인쇄 헤드를 주사하므로, 인쇄 헤드와 인쇄매체와의 사이의 위치결정동작을 행하지 않고, 1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 및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의 양쪽을 주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위치결정동작의 횟수를 저감하여, 인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각기둥의 인쇄매체의 측면에 대하여, 모든 면을 인쇄 헤드에 정면 대칭시켜서 인쇄하면, 인쇄 헤드와 인쇄매체와의 사이의 위치결정동작이 많아져서 인쇄시간도 길어지지만,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측면에 대하여 하나 간격으로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시키고, 사이의 면에 대하여는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으로서 인쇄하면 되므로, 인쇄 헤드와 인쇄매체와의 사이의 위치결정동작을 적게 하여 인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원주의 인쇄매체 측면에 대하여, 전면적으로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시켜서 인쇄하면, 인쇄 헤드와 인쇄매체와의 사이의 위치결정동작이 매우 많아져서 인쇄시간도 길어지지만,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측면을 원주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하고, 각 분할면 각각을 2이상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인쇄하도록 하면 되므로, 인쇄 헤드와 인쇄매체와의 사이의 위치결정동작을 적게 하여 인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인쇄방법에서는, 상기 인쇄매체 상의 일부인 제 1 영역에 대하여, 2회 이상의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상기 잉크를 토출하고, 상기 2회 이상의 주사공정은 1회의 제 1종 주사공정과 1회 이상의 제 2종 주사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제 1종 주사공정에서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토출하는 양과 같은 양의 상기 잉크를 토출하고, 제 2종 주사공정에서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토출하는 양보다 적은 양의 상기 잉크를 토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 1종 주사공정에서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 및 제 1 영역에 대하여 같은 양의 잉크를 토출하므로, 제 1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제 1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보다 얇아진다. 하지만, 제 2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제 1 영역에 대하여 잉크를 더욱 도포하므로, 제 1 영역에 대해서도 소정의 막두께의 잉크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쇄매체가 주로 제 1종 주사공정에서의 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정면으로 하여 관찰되는 경우,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 1 영역에 토출된 잉크 중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은 주사공정에 있어서 토출된 잉크의 비율이 커지므로, 상기 정면에서 관찰하였을 때의 제 1 영역에서의 인쇄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인쇄방법에서는, 상기 인쇄매체 상의 일부인 제 2 영역에 대하여, 2회 이상의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상기 잉크를 토출하며, 상기 2회 이상의 주사공정은 2회 이상의 제 3종 주사공정으로 이루어지고, 각 회의 제 3종 주사공정에서는 제 2 영역에 서로 같은 막두께의 상기 잉크의 도포막이 형성되도록 상기 잉크를 토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2회 이상의 제 3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각각의 공정에 있어서 제 2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가 같고, 형성되는 합계 막두께가 소정의 막두께가 되도록 제 2 영역에 대하여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인쇄매체 표면에 소정의 막두께의 잉크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쇄매체가 다양한 방향에서 관찰되는 경우,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 2 영역에 대하여 각 제 3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가 균일하므로, 어느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제 2 영역의 인쇄화질이 열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인쇄방법에서는, 상기 인쇄매체 상의 일부인 제 3 영역에 대하여, 2회 이상의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상기 잉크를 토출하며, 상기 2회 이상의 주사공정은 2회 이상의 제 4종 주사공정으로 이루어지고, 각 회의 제 4종 주사공정에서는 제 3 영역 및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횡단하도록 상기 인쇄 헤드를 주사하며, 제 3 영역과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의 경계에 대하여,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토출하는 양과 같은 양의 상기 잉크를 토출하고, 상기 경계로부터 제 3 영역을 걸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 4종 주사공정에서는, 연속하여 인쇄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제 3 영역과의 경계에 대하여,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은 양의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제 3 영역과의 사이의 인쇄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인쇄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제 4종 주사공정 사이에 제 3 영역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은 양의 잉크를 토출하는 영역이 겹치면, 제 3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합계 막두께가 소정의 막두께를 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각 제 4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은 서로 상이하므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제 3 영역과의 경계도 상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계로부터 제 3 영역에 걸쳐, 토출하는 잉크의 양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므로, 각 제 4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은 양의 잉크를 토출하는 부분은 겹치지 않고, 제 3 영역에 소정의 합계 막두께의 잉크 도포막이 형성되도록 잉크의 토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정면대칭 영역 쪽이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보다 인쇄 헤드에 가깝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제 3 영역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의 경계에서의 잉크 토출량을 많게 함으로써, 보다 인쇄 헤드에 가까운 상태에서 많은 잉크를 토출하게 되어, 제 3 영역에서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잉크 토출량을 변화시키는 부분은, 제 3 영역의 전체에 걸쳐 있어도 좋고, 인쇄하는 도안 등에 따라 제 3 영역의 일부로 한정하여도 좋다.
상기 인쇄방법에서는, 상기 인쇄매체 상의 일부인 제 4 영역에 대하여, 2회 이상의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상기 잉크를 토출하고, 상기 2회 이상의 주사공정은 2회 이상의 제 5종 주사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회의 제 5종 주사공정에서는 제 4 영역 및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횡단하도록 상기 인쇄 헤드를 주사하고, 제 4 영역과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의 경계에 대하여,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토출하는 양과 같은 양의 상기 잉크를 토출하며, 상기 경계로부터 제 4 영역에 걸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 5종 주사공정에서는, 연속하여 인쇄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제 4 영역과의 경계에 대하여, 그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은 양의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그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제 4 영역과의 사이에서의 인쇄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인쇄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제 5종 주사공정 사이에, 제 4 영역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은 양의 잉크를 토출하는 영역이 겹쳐지면, 제 4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합계 막두께가 소정의 막두께를 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각 제 5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은 서로 다르므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제 4 영역과의 경계도 상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계로부터 제 4 영역에 걸쳐, 토출하는 잉크의 양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키므로, 각 제 5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은 양의 잉크를 토출하는 부분은 겹치지 않으며, 제 4 영역에 소정의 합계 막두께의 잉크 도포막이 형성되도록 잉크의 토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경계로부터 제 4 영역에 걸쳐, 토출하는 잉크의 양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복수 회의 인쇄를 겹치게 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얼룩의 발생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잉크 토출량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변위 폭을 설정하고, 상기 변위 폭 내에서 변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헤드 정면대칭 영역 쪽이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보다 인쇄 헤드에 가깝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제 4 영역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의 경계에서의 잉크 토출량을 많게 함으로써, 보다 인쇄 헤드에 가까운 상태로 많은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제 4 영역에서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인쇄방법에서는,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을 횡단하도록 상기 인쇄 헤드를 주사하고, 상기 인쇄매체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을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과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의 사이에서 변화시킬 때, 상기 잉크의 양을 변화시키는 위치에 편차를 주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과의 사이에서, 잉크의 토출량이 변화하는 위치에 편차가 있으므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의 이음매를 뿌옇게 하여, 위화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는, 잉크젯 인쇄용의 인쇄 헤드와, 그 인쇄 헤드를 제어하고, 그 인쇄 헤드를 주사시키면서, 그 인쇄 헤드로부터 인쇄매체에 대하여 잉크를 토출시키는 주사공정을 복수 회 실행하는 주사제어수단과, 각 회의 그 주사공정에 있어서, 그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한 상태로 그 잉크가 토출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서로 다르게 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 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그 주사제어수단은, 어떤 회의 그 주사공정에 있어서, 그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하지 않는 상태로 그 잉크가 토출되는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해서는, 다른 1회 이상의 그 주사공정에서도 그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그 잉크를 토출하도록 그 인쇄 헤드를 제어하는 동시에, 그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그 잉크의 도포막의 합계 막두께가, 그 헤드 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그 잉크의 도포막의 막두께와 같아지도록, 적어도 1회의 그 주사공정에 있어서 그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그 잉크의 양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쇄방법과 동등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는 인쇄매체의 표면에 소정의 막두께의 잉크 도포막을 보다 짧은 시간에 형성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방법의 몇 가지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 내지 (h)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방법에서의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한 잉크 도포량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방법의 몇 가지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인쇄장치의 개요)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장치(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장치(100)는 인쇄 헤드(110), 매체각도 조정부(헤드 정면대칭 영역 변경수단)(120), 주제어부(130) 및 데이터 입력부(180)를 구비하고 있다. 주제어부(130)는 토출 제어부(주사제어수단)(131), 주사 제어부(주사제어수단)(132), 매체각도 제어부(헤드 정면대칭 영역 변경수단)(133), 인쇄 데이터 기억부(134) 및 인쇄매체 데이터 기억부(135)를 구비하고 있다.
인쇄 헤드(110)는 잉크젯 인쇄용의 인쇄 헤드이고, 소정 방향으로 직선주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쇄 헤드(110)로부터의 잉크(80)의 토출방향은, 인쇄 헤드(110)의 주사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한 면에 대하여, 인쇄 헤드(110)로부터 토출한 잉크(80)는 그 면에 수직으로 착탄하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면이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한다'는 것은, 그 면의 법선방향과 인쇄 헤드로부터의 잉크의 토출방향이 일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인쇄 헤드(110)가 토출하는 잉크(80)로는, 잉크젯 인쇄용 잉크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매체각도 조정부(120)는, 예를 들어 물리적 또는 전자기적인 기구(예를 들어, 파지기구, 마그넷 등)에 의하여 인쇄대상이 되는 인쇄매체를 보유하는 동시에, 범용의 액추에이터 등의 기구에 의하여 인쇄매체의 방향(각도)을 조정하는(예를 들어, 인쇄매체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매체각도 조정부(120)는 인쇄매체의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인쇄매체 상의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하는 영역(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매체각도 조정부(120)는 인쇄 헤드(110)와 인쇄매체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좋고, 예를 들어 인쇄 헤드(11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인쇄매체 상의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하는 영역(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변경하는 것이어도 좋다.
주제어부(130)는 집적회로(IC칩) 상에 형성된 논리회로에 의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실현할 수도 있고,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할 수도 있다. 주제어부(130)는 또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을 적절히 구비하고 있다.
토출 제어부(131)는 인쇄 헤드(110)로부터의 잉크(80)의 토출량을 제어한다. 주사 제어부(132)는 인쇄 헤드(110)의 주사를 제어한다. 인쇄장치(100)에서는 토출 제어부(131) 및 주사 제어부(132)가 협동하여 인쇄 헤드(110)를 제어하고, 인쇄 헤드(110)를 주사시키면서 인쇄 헤드(110)로부터 인쇄매체에 대하여 잉크(80)를 토출시키는 주사공정을 복수 회 실행한다.
매체각도 제어부(133)는 매체각도 조정부(120)에 의한 인쇄매체의 방향의 조정을 제어하고, 각 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한 상태로 잉크(80)가 토출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서로 다르게 한다. 예를 들어, 매체각도 제어부(133)는 연속하는 2회의 주사공정 동안에 인쇄매체의 방향을 변경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 변경공정을 실행한다.
인쇄 데이터 기억부(134)는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화상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인쇄매체 데이터 기억부(135)는 인쇄매체의 형상을 나타내는 데이터 또는 인쇄매체의 형상으로부터 산출된 각 주사공정 및 각 헤드 정면대칭 영역 변경공정에 있어서 사용하는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이들의 데이터는, 데이터 입력부(180)로부터 각 기억부에 입력된다.
(인쇄방법의 개요)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쇄방법의 몇 가지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면체의 인쇄매체(10)에 인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면체에 대하여 일면 간격으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켜서 인쇄를 행한다. 예를 들어, 인쇄매체(10)의 면(10a, 10b 및 10c)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경우, 면(10a)을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켜서 주사를 행하는 주사공정 a와, 면(10c)을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켜서 주사를 행하는 주사공정 b에 의하여, 면(10a, 10b 및 10c) 상에 각각 소정의 막두께(T0)의 잉크 도포막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모든 면에 대하여,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켜서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인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면을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인쇄함으로써, 인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좋고, 반드시 일면 간격으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켜서 인쇄를 행하는 것이 아니어도 좋다. 또한,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서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쇄매체(10)에 있어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킨 상태에서 인쇄를 행하는 면으로는, 인쇄매체(10) 상에 있어서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매체(10)가 도 1의 (a) 및 (b)에 바닥면이 그려진 다각기둥이고, 인쇄 헤드(110)는 도 1의 (a) 및 (b)에 있어서의 지면 안쪽방향 및 지면 수평방향으로 주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는 주사공정 a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공정 a에서는 토출 제어부(131) 및 주사 제어부(132)는 인쇄 헤드(110)를 제어하고, 면(10a)에 대하여 면(10a)에 수직인 방향 A로부터 잉크(80)를 토출하며, 면(10b)에 대하여 방향 B로부터 잉크(80)를 토출함으로써, 면(10a) 및 면(10b) 상에 잉크 도포막(11)을 형성한다.
한편, 각 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주사 제어부(132)는 인쇄매체 데이터 기억부(135)에 기억된 인쇄매체(10)의 형상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주사범위를 결정하여도 좋다. 또한, 토출 제어부(131)는 인쇄 데이터 기억부(134)에 기억되어 있는 인쇄해야 할 화상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 이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쇄매체 데이터 기억부(135)에 기억되어 있는 인쇄매체(10)의 형상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잉크(80)의 토출량을 조정한다.
도 1의 (a)에 있어서, 방향 B는 방향 A와 평행하고, 면(10b)의 법선방향 C에 대하여 θ1의 각도로 교차하고 있다. 즉, 주사공정 a에 있어서, 면(10a)은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한 상태로 잉크(80)가 토출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이고, 면(10b)은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하지 않은 상태로 잉크(80)가 토출되는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이다.
도 1의 (b)는 주사공정 b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공정 b에서는 토출 제어부(131) 및 주사 제어부(132)는 인쇄 헤드(110)를 제어하고, 면(10c)에 대하여 면(10c)에 수직인 방향 F로부터 잉크(80)를 토출하며, 면(10b)에 대하여 방향 E로부터 잉크(80)를 토출함으로써, 면(10c) 및 면(10b) 상에 잉크 도포막(12)을 형성한다.
도 1의 (b)에 있어서, 방향 E는 방향 F와 평행하고, 면(10b)의 법선방향 D에 대하여 θ2의 각도로 교차하고 있다. 즉, 주사공정 b에 있어서, 면(10c)은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한 상태로 잉크(80)가 토출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이고, 면(10b)는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하지 않은 상태로 잉크(80)가 토출되는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이다.
이와 같이, 주사공정 a 및 주사공정 b에서는, 인쇄매체(10) 상의 헤드 정면대칭 영역이 상이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방법에서는, 각 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서로 다르게 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연속하는 2회의 주사공정 동안에, 매체각도 제어부(133)가 인쇄매체 데이터 기억부(135)에 기억되어 있는 인쇄매체(10)의 형상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매체각도 조정부(120)를 제어하고, 인쇄매체(10)를 회전시키는 것(헤드 정면대칭 영역 변경공정)에 의하여 실현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주사공정 a와 주사공정 b의 사이라면, 매체각도 제어부(133)는 매체각도 조정부(120)를 제어하여, 인쇄매체(10)를 도 1의 (a) 및 (b) 상의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된다.
여기에서, 주사공정 a에 있어서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으로서 잉크(80)가 토출된 면(10b)은 주사공정 b에 있어서도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으로서 잉크(80)가 토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방법에서는, 어느 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하지 않은 상태로 잉크(80)가 토출되는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해서는, 다른 1회 이상의 주사공정에서도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잉크(80)를 토출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방법에서는, 어느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이 되는 영역(이하, 단순히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이라고도 기재함)에 대해서는, 2회 이상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잉크를 토출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해서도, 소정의 막두께(T0)의 잉크 도포막을 시종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10b) 상에 형성된 잉크 도포막(11 및 12)의 합계 막두께는 면(10a) 상에 형성된 잉크 도포막(11)의 막두께 및 면(10c) 상에 형성된 잉크 도포막(12)의 막두께와 같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우선,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하였을 때,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보다 얇아진다. 왜냐하면,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은 잉크(80)의 토출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비하여 잉크(80)가 착탄하는 면적이 보다 넓어지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해서는, 2회 이상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잉크를 토출하므로, 그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회피하여,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이 소정의 막두께(T0)의 잉크 도포막을 시종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단순히 2회 이상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잉크를 토출하는 것만으로는, 반대로 그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가 소정의 막두께(T0)를 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래서, 토출 제어부(131)는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합계 막두께가 헤드 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와 같아지도록, 적어도 1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토출 제어부(131)는 이하와 같이 잉크(80)의 토출량을 설정한다. 즉, n회(n은 2이상의 정수)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의 한 지점에 대하여 잉크(80)를 토출할 때, 하기 식(1)을 만족하도록 설정된 조정계수(ki)를 이용하여, i회째의 주사공정에서의 그 지점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Di)을 하기 식(2)를 만족하도록 설정한다. 이에 따라,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합계 막두께를 헤드 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와 같이 소정의 막두께(T0)로 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단, θi,는 90°미만의 각도로서, n회의 주사공정 중의 i회째의 상기 주사공정에서의 잉크(80)의 토출방향과, 그 지점에서의 인쇄매체(10)의 법선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단, D0는, 각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의 한 지점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나타낸다.)
한편, 토출 제어부(131)는 상기 n회의 주사공정 중, 반드시 모든 주사공정에 있어서 잉크 토출량의 조정을 행할 필요는 없다. 즉, 어느 주사공정에서는 무조정(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한 토출량이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대한 토출량과 같음)으로 하여도 좋다. 그러한 경우, 그 주사공정에서의 조정계수(k)를 1로 설정하면 된다.
또한, 토출 제어부(131)는, 상술한 θi를 인쇄매체 데이터 기억부(135)로부터 취득한 인쇄매체(10)의 형상을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산출하여도 좋고, 인쇄매체 데이터 기억부(135)로부터 직접 θi를 취득하여도 좋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방법에서는, 2회 이상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잉크(80)를 토출하므로, 적어도 1회의 상기 주사공정에서는,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보다 적게 할 수 있다. 특히, 모든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 이하로 함으로써, 인쇄 헤드(110)로부터 토출하는 잉크(80)를 증대시키지 않고,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소정의 막두께(T0)의 잉크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방법에서는, 적어도 1회의 주사공정에서는, 주사공정 a 및 주사공정 b와 같이, 헤드 정면대칭 영역 및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을 횡단하도록 인쇄 헤드(110)를 주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헤드 정면대칭 영역 및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을 하나의 주사공정에서 인쇄할 수 있으므로, 인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토출 제어부(131)에 의한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으로의 잉크(80)의 토출량 조정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 내지 (h)는,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한 잉크 도포량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 내지 (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으로의 잉크(80)의 토출량의 조정은, 다양한 실시형태로 행할 수 있다. 한편,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으로의 잉크(80)의 토출량의 조정은,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도 2의 (a) 내지 (h)에 예시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모든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같은 조정을 행하여도 좋고, 각각 다른 실시형태의 조정을 행하여도 좋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주사공정 a(제 1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면(10a)(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면(10b)(헤드 비정면대칭 영역, 제 1 영역)에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하도록 하고, 주사공정 b(제 2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면(10b) 상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11 및 12)의 합계 막두께가 소정의 막두께(T0)가 되도록, 면(10b)(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면(10c)(헤드 정면대칭 영역)보다 적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주사공정 a에 있어서, 면(10a) 상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11)보다 면(10b) 상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11)은 얇아진다. 면(10b)이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하지 않은 상태로 인쇄되므로, 잉크(80) 방울에 대한 인쇄면적이,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하고 있는 상태로 인쇄되는 면(10a)에 비하여 넓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사공정 b에 있어서, 더욱이 잉크 도포막(12)을 면(10b) 상에 형성함으로써, 면(10b) 상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11 및 12)의 합계 막두께를 소정의 막두께(T0)로 할 수 있다.
한편, 주사공정 b에 있어서 면(10b) 상에 토출하는 잉크양(D2)은, 예를 들어 상기 식 (1) 및 식 (2)에 n=2, k1=1을 대입하여,
Figure pct00005
로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쇄매체(10)가 주로 면(10a)을 정면으로 하여 관찰되는 경우, 면(10b)에 토출된 잉크(80) 중 주사공정 a에 있어서 그 정면으로부터 토출된 잉크(80)의 비율이 커지기 때문에, 그 정면으로부터 관찰되었을 때의 면(10b)의 인쇄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주사공정 b에 있어서, 면(10c)과 면(10b)에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하고, 주사공정 a에 있어서, 면(10b)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조정하여도 좋다. 이것은, 특히 인쇄매체(10)가 면(10c)을 정면으로 하여 관찰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도 2의 (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주사공정 a 및 주사공정 b(제 3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면(10b) 상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11 및 12)의 막두께가 각각 같고, 면(10b) 상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11 및 12)의 합계 막두께가 소정의 막두께(T0)가 되도록, 주사공정 a 및 주사공정 b(제 3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면(10b)(제 2 영역)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조정하고 있다.
한편, 주사공정 a 및 주사공정 b에 있어서 면(10b) 상에 토출하는 잉크양(D1 및 D2)은, 예를 들어 상기 식 (1) 및 식 (2)에 n=2, k1cosθ1=k2cosθ2를 대입하여,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로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쇄매체(10)가 다양한 방향(예를 들어, 면(10a), 면(10c)에 정면대칭하는 방향)으로부터 관찰되는 경우, 각 주사공정에 있어서 면(10b)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가 균일하므로, 어느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면(10b)의 인쇄화질이 열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의 (c) 및 (d)에 나타내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주사공정 a(제 4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토출 제어부(131)는 면(10a)(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면(10b)(제 3 영역)과의 경계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면(10a)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과 같은 양으로 하고, 그 경계로부터 면(10b)에 걸쳐 잉크(80)의 토출량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 제어부(131)는 상기 경계에서 면(10b)에 걸쳐, 잉크(80)의 토출량을 그 경계에 멀수록 적게 되도록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면(10a)과 면(10b)의 경계에 대하여 면(10b)과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함으로써, 면(10a)과 면(10b) 사이에서의 인쇄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인쇄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사공정 b(제 4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토출 제어부(131)는 면(10c)(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면(10b)(제 3 영역)과의 경계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면(10c)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과 같은 양으로 하고, 그 경계로부터 면(10b)에 걸쳐 잉크(80)의 토출량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 제어부(131)는 상기 경계로부터 면(10b)에 걸쳐 잉크(80)의 토출량을 그 경계에 멀수록 적어지도록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마찬가지로, 면(10c)과 면(10b)과의 사이에서의 인쇄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인쇄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사공정 a 및 주사공정 b에서는, 상기 경계로부터 면(10b)에 걸쳐 잉크(80)의 토출량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므로, 헤드 정면대칭 영역(면(10a, 10c))과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하는 부분은 겹치지 않고, 면(10b)에 소정의 합계 막두께(T0)의 잉크 도포막이 형성되도록, 잉크(80)의 토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경계에서 면(10b)에 걸쳐, 잉크(80)의 토출량을 그 경계에 멀수록 적어지도록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헤드 정면대칭 영역 쪽이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보다 인쇄 헤드에 가깝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이, 면(10b)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의 경계에서의 잉크 토출량을 많게 함으로써, 보다 인쇄 헤드(110)에 가까운 상태에서 많은 잉크(80)를 토출하게 되어, 면(10b)에서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잉크 토출량을 변화시키는 부분은, 도 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10b)의 전체에 걸쳐 있어도 좋고, 도 2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하는 도안 등에 따라서 면(10b)의 일부로 한정하여도 좋다. 또한, 잉크 토출량의 변화 실시형태는, 각 주사공정에 있어서 서로에 대응하도록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의 (e) 내지 (g)에 나타내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주사공정 a(제 5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토출 제어부(131)는 면(10a)(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면(10b)(제 4 영역)과의 경계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면(10a)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과 같은 양으로 하고, 그 경계로부터 면(10b)에 걸쳐서 잉크(80)의 토출량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 제어부(131)는 상기 경계로부터 면(10b)에 걸쳐 잉크(80)의 토출량을, 도 2의 (e) 및 (g)에 있어서, M으로 나타내는 범위 내에 있어서 변동하도록 변화시키고 있다(예를 들어, 도 2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동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면(10a)과 면(10c)과의 경계에 대하여 면(10a)과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함으로써, 면(10a)과 면(10c)과의 사이에서의 인쇄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인쇄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사공정 b(제 5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토출 제어부(131)는 면(10c)(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면(10b)(제 4 영역)과의 경계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면(10c)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과 같은 양으로 하고, 그 경계에서 면(10b)에 걸쳐 잉크(80)의 토출량을 주사공정 a와 대응하도록 불균일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마찬가지로, 면(10c)과 면(10b)과의 사이에서의 인쇄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인쇄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상기 경계로부터 면(10b)에 걸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복수 회의 인쇄를 중복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얼룩의 발생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잉크 토출량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도 2의 (e) 및 (g)에 있어서 M으로 나타내는 범위와 같은 변위폭을 설정하고, 그 변위폭 내에서 변동하도록 노이즈를 부가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c) 및 (d)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본 예에서도 헤드 정면대칭 영역(면(10a, 10c))과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하는 부분은 겹치지 않고, 면(10b)에 소정의 합계 막두께(T0)의 잉크 도포막이 형성되도록, 잉크(80)의 토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c) 및 (d)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본 예에서도 면(10b)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의 경계에서의 잉크 토출량을 많게 함으로써, 면(10b)에서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의 (c) 및 (d)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본 예에서도 잉크 토출량을 변화시키는 부분은, 도 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10b)의 전체에 걸쳐서 있어도 좋고, 도 2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하는 도안 등에 따라서 면(10b)의 일부로 한정하여도 좋다.
또한, 각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을 횡단하여 주사하고, 그때, 인쇄매체(10)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과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의 사이에서 변화시킬 때(예를 들어, 도 2의 (a) 및 (b)에 나타내는 예), 그 잉크(80)의 토출량을 변화시키는 위치에 편차를 주어도 좋다.
즉, 도 2의 (h)의 N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공정 a에서의 면(10a)과 면(10b)과의 사이에서의 잉크 토출량의 변화 위치, 및 주사공정 b에서의 면(10c)과 면(10b)과의 사이에서의 잉크 토출량의 변화위치에 편차를 줌으로써, 면(10a)과 면(10b)과의 이음매 및 면(10c)과 면(10b)과의 사이의 이음매를 뿌옇게 하고, 그 이음매를 눈에 띄지 않게 하여, 위화감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잉크 토출량의 변화 위치에 편차를 주는 수법으로는, 예를 들어 조직 디더(dither)법, 랜덤 디더법 등의 디더법, 오차확산, 노이즈 부가 등의 공지의 화상처리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또한, 인쇄매체는 곡면체여도 좋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인쇄방법의 몇 가지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 내지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곡면체의 인쇄매체(20)에 인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곡면체의 곡면을 분할하고 각 분할면을 2이상의 방향에서 인쇄한다. 예를 들어, 인쇄매체(20)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경우, 인쇄매체(20)의 측면을 영역(20a~20d)으로 분할하고, 영역(20a)과 영역(20b)과의 경계를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키며, 영역(20a) 및 영역(20b)을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으로서 인쇄하는 주사공정 a과, 영역(20b)과 영역(20c)과의 경계를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키고, 영역(20b) 및 영역(20c)을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으로서 인쇄하는 주사공정 b와, 영역(20c)과 영역(20d)과의 경계를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키고, 영역(20c) 및 영역(20d)을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으로서 인쇄하는 주사공정 c에 의하여, 이들의 영역에 소정의 막두께(T0)의 잉크 도포막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인쇄매체(20)를 회전시키면서 측면의 모든 면을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켜서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인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매체(20)가 도 3의 (a) 내지 (c)에 바닥면이 그려진 원주이고, 인쇄 헤드(110)는 도 3의 (a) 내지 (c)에서의 지면 안쪽 방향 및 지면 수평방향에 주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쇄매체(20)의 측면은 중심각 45°마다 영역(20a~20d)을 포함하는 8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 3의 (a) 내지 (c)는, 주사공정 a 내지 주사공정 c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 내지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제어부(131) 및 주사 제어부(132)는, 인쇄 헤드(110)를 제어하고, 이웃하는 영역의 경계가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한 상태로, 그 이웃하는 영역에 대하여 잉크(80)를 토출하여, 잉크 도포막(21~23)을 형성한다. 또한, 연속하는 2회의 주사공정 사이에, 매체각도 제어부(133)는 매체각도 조정부(120)를 제어하고, 인쇄매체(20)를 도 3의 (a) 내지 (c) 상의 반시계 방향으로 45°회전시킨다. 이상을 인쇄매체(20)가 1회전할 때까지 행함으로써, 영역(20a~20d)을 포함하는 인쇄매체(20) 상의 모든 영역에 대하여, 2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잉크를 토출하여, 합계 막두께가 소정의 막두께(T0)인 잉크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한 잉크(80)의 토출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합계 막두께가 소정의 막두께(T0)가 되도록 조정한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도 3의 (a)에서의 영역(20b)의 선H 상에 위치하는 지점에 대하여, 토출 제어부(131)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잉크(80)의 토출량을 조정한다.
우선, 도 3의 (a)에 나타내는 주사공정 a에 있어서, 상기 지점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21)의 막두께(Nrab)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Figure pct00008
(단, N0는, 영역(20a)과 영역(20b)과의 경계(헤드 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된 잉크 도포막(21)의 막두께를 나타내고, θ는, 잉크(80)의 토출방향 G와 선H가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의 (b)에 나타내는 주사공정 b에서는, 상기 지점은 45°회전하고 있으므로, 잉크(80)의 토출방향 I와 이루는 각도가 45°-θ가 되는 선J 상에 위치하고, 상기 지점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22)의 막두께(Nrbc)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Figure pct00009
그 때문에, 상기 지점의 합계 막두께가 헤드 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막두께와 같아지기 위해서는,
Figure pct00010
즉,
Figure pct00011
를 만족하도록 조정계수(k1, k2)를 설정하면 좋다. 한편, N0는, 소정의 막두께(T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정계수(ki)와 잉크 토출량(Di)과의 관계는, 식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한편,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원주의 각 분할면에 대하여 n(n>2) 방향으로부터 인쇄하여도 좋다. 한 지점에 대하여, n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잉크(80)를 토출하고, i회째의 주사공정에서의 잉크(80)의 토출방향과, 그 한 지점에서의 인쇄매체(20)의 법선방향과의 사이의 각도를 θi로 하면,
Figure pct00012
를 만족하도록 조정계수(k1, k2, …, kn)를 설정하면 좋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2의 (a) 내지 (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으로의 잉크(80)의 토출량의 조정은, 다양한 실시형태로 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방법을 이용하여, 각이 둥글게 된 사각기둥인 인쇄매체(30)를 인쇄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방법에서는, 방향 O로부터 영역(30a)에 잉크(80)를 토출하는 주사공정 a, 방향 P로부터 영역(30b)에 잉크(80)를 토출하는 주사공정 b, 및 방향 Q로부터 영역(30c)에 잉크(80)를 토출하는 주사공정 c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각기둥의 모서리의 끝면에 대해서도, 인쇄 헤드(110)를 정면대칭시켜서 인쇄를 행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방법은, 모서리의 끝면이 2방향(방향 O 및 Q)으로부터 인쇄하기에는 너무 긴 경우에 적합하며, 잉크방울의 착탄 불량의 발생을 방지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착탄 불량은 잉크방울 사이즈가 작을수록 짧은 거리에서 발생하므로, 인쇄 헤드(110)의 성능, 주사속도, 잉크(80)의 특성(예를 들어, 질량) 등에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방법을 적용하면 좋다. 또한, 끝면이 더욱 커진 경우에는, 끝면 부분을 더욱 복수로 분할하여 인쇄를 행하여도 좋다.
<부기사항>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방법은, 잉크젯 인쇄용의 인쇄 헤드(110)를 주사하고, 인쇄 헤드(110)로부터 인쇄매체(예를 들어, 인쇄매체(10), 인쇄매체(20) 등)에 대하여 잉크(80)를 토출하는 주사공정을 복수 회 포함하며, 각 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한 상태로 잉크(80)가 토출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예를 들어, 도 1의 (a)에서의 면(10a), 도 1의 (b)에서의 면(10c), 도 3의 (a)에서의 영역(20a)과 영역(20b)과의 경계, 도 3의 (b)에서의 영역(20b)과 영역(20c)과의 경계, 도 3의 (c)에서의 영역(20c)과 영역(20d)과의 경계 등)을 서로 다르게 하고, 어떤 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하지 않은 상태로 잉크(80)가 토출되는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예를 들어, 도 1의 (a)에서의 면(10b), 도 1의 (b)에서의 면(10b), 도 3의 (a)에서의 영역(20a) 및 영역(20b)(경계 제외), 도 3의 (b)에서의 영역(20b) 및 영역(20c)(경계 제외), 도 3의 (c)에서의 영역(20c) 및 영역(20d)(경계 제외) 등)에 대해서는, 다른 1회 이상의 주사공정에서도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하지 않고 잉크(80)를 토출하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잉크(80)의 도포막(예를 들어, 잉크 도포막(11, 12, 21~23 등))의 합계 막두께가 소정의 막두께(T0)가 되도록, 적어도 1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조정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어느 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이 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각각 2회 이상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잉크(80)가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있어서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가,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비하여 얇아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인쇄매체의 표면의 전체를 인쇄 헤드(110)에 대향시켜서 인쇄하는 것은 아니므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하는 영역을 각 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다르게 하기 위한 동작(인쇄 헤드(110)와 인쇄매체와의 사이의 위치결정동작)을 인쇄매체의 표면의 전체를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켜서 인쇄하는 경우에 비하여 적게 할 수 있어, 인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특허문헌 1의 기술과는 달리, 해상도의 향상 또는 잉크 토출량의 증대를 위한 특별한 기구(예를 들어, 고정밀도의 헤드 주사기구 등)가 필요없다.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에 따르면,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는 인쇄매체의 표면에 소정의 막두께(T0)의 잉크 도포막을 보다 짧은 시간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1회의 주사공정에서는,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잉크(80)의 도포막의 합계 막두께가, 헤드 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잉크(80)의 도포막의 막두께와 같아지도록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조정한다.
이에 따라,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해서도,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은 막두께의 잉크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1회의 주사공정에서는,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보다 적게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적어도 1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보다 적게 하는 동시에, 그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2회 이상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잉크(80)를 토출함으로써, 그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소정의 막두께(T0)의 잉크 도포막을 시종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n회(n은 2회 이상의 정수)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의 한 지점에 대하여 잉크(80)를 토출할 때, 하기 식 (1)을 만족하도록 설정된 조정계수(ki)를 이용하여, i회째의 주사공정에서의 그 지점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Di)을 하기 식 (2)을 만족하도록 설정한다.
Figure pct00013
(단, θi는, 90°미만의 각도로서, n회의 주사공정 중의 i회째의 주사공정에서의 잉크(80)의 토출방향과, 그 지점에서의 인쇄매체의 법선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4
(단, D0는, 각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의 한 지점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의 한 지점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가,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와 같아지도록, 그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의 한 지점에 대한 잉크(80)의 토출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인쇄매체 표면에 소정의 막두께(T0)의 잉크 도포막을 시종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1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 및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을 횡단하도록 인쇄 헤드(110)를 주사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헤드 정면대칭 영역 및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을 횡단하도록 인쇄 헤드(110)를 주사하므로, 인쇄 헤드(110)와 인쇄매체와의 사이의 위치결정동작을 행하지 않고, 1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 및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의 양쪽을 주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위치결정동작의 횟수를 저감하여, 인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다각기둥의 인쇄매체(10)의 측면(10a~10c)에 대하여, 모든 면을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켜서 인쇄하면, 인쇄 헤드(110)와 인쇄매체(10)와의 사이의 위치결정동작이 많아져서, 인쇄시간도 길어지는데,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당해 측면에 대하여 하나 간격(10a 및 10c)으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키고, 사이의 면(10b)에 대해서는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으로서 인쇄하면 좋으므로, 인쇄 헤드(110)와 인쇄매체(10)와의 사이의 위치결정동작을 적게 하여, 인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도 3의 (a) 내지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기둥의 인쇄매체(20)의 측면에 대하여,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켜서 인쇄하면, 인쇄 헤드(110)와 인쇄매체(20)와의 사이의 위치결정동작이 매우 많아져서, 인쇄시간도 길어지는데,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당해 측면을 원주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하고, 각 분할면의 각각을 2이상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인쇄하도록 하면 되므로, 인쇄 헤드(110)와 인쇄매체(20)와의 사이의 위치결정동작을 적게 하여, 인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인쇄매체 상의 일부인 제 1 영역에 대하여, 2회 이상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잉크(80)를 토출하며, 이러한 2회 이상의 주사공정은, 1회의 제 1종 주사공정과 1회 이상의 제 2종 주사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제 1종 주사공정에서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토출하는 양과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하며, 제 2종 주사공정에서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토출하는 양보다 적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 1종 주사공정에서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 및 제 1 영역에 대하여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하므로, 제 1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제 1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보다 얇아진다. 하지만, 제 2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제 1 영역에 대하여 잉크(80)를 더욱 도포하므로, 제 1 영역에 대해서도 소정의 막두께(T0)의 잉크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쇄매체가 주로 제 1종 주사공정에서의 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정면으로 하여 관찰되는 경우,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 1 영역에 토출된 잉크(80) 중,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은 주사공정에서 토출된 잉크(80)의 비율이 커지므로, 상기 정면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의 제 1 영역에서의 인쇄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쇄매체 상의 일부인 제 2 영역에 대하여, 2회 이상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잉크(80)를 토출하며, 이러한 2회 이상의 주사공정은 2회 이상의 제 3종 주사공정으로 이루어지고, 각 회의 제 3종 주사공정에서는, 제 2 영역에 서로 같은 막두께의 잉크 도포막이 형성되도록 잉크(80)를 토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2회 이상의 제 3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각각의 공정에 있어서 제 2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가 같고, 형성되는 합계 막두께가 소정의 막두께(T0)가 되도록, 제 2 영역에 대하여 잉크(80)를 토출함으로써, 인쇄매체 표면에 소정의 막두께(T0)의 잉크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쇄매체가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관찰되는 경우,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 2 영역에 대하여 각 제 3 주사공정에 있어서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막두께가 균일하므로, 어느 방향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제 2 영역의 인쇄화질이 열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쇄매체 상의 일부인 제 3 영역에 대하여, 2회 이상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잉크(80)를 토출하며, 이러한 2회 이상의 주사공정은, 2회 이상의 제 4종 주사공정으로 이루어지고, 각 회의 제 4종 주사공정에서는 제 3 영역 및 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횡단하도록 인쇄 헤드(110)를 주사하며, 제 3 영역과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의 경계에 대하여,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토출하는 양과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하고, 그 경계로부터 제 3 영역에 걸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 4종 주사공정에서는, 연속하여 인쇄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제 3 영역과의 경계에 대하여, 그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함으로써, 당해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제 3 영역과의 사이에서의 인쇄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인쇄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제 4종 주사공정 동안에, 제 3 영역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하는 영역이 겹치면, 제 3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합계 막두께가 소정의 막두께(T0)를 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각 제 4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은 서로 다르므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제 3 영역과의 경계도 상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계로부터 제 3 영역에 걸쳐서,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기 때문에, 각 제 4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하는 부분은 겹치지 않고, 제 3 영역에 소정의 합계 막두께(T0)의 잉크 도포막이 형성되도록 잉크(80)의 토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정면대칭 영역 쪽이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보다 인쇄 헤드(110)에 가깝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제 3 영역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의 경계에서의 잉크 토출량을 많게 함으로써, 보다 인쇄 헤드(110)에 가까운 상태로 많은 잉크(80)를 토출함으로써, 제 3 영역에서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잉크 토출량을 변화시키는 부분은, 제 3 영역의 전체에 걸쳐서 있어도 좋고, 인쇄하는 도안 등에 따라서 제 3 영역의 일부로 한정하여도 좋다.
그리고, 인쇄매체 상의 일부인 제 4 영역에 대하여, 2회 이상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잉크(80)를 토출하며, 이러한 2회 이상의 주사공정은 2회 이상의 제 5종 주사공정으로 이루어지고, 각 회의 제 5종 주사공정에서는 제 4 영역 및 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횡단하도록 인쇄 헤드(110)를 주사하며, 제 4 영역과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의 경계에 대하여,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토출하는 양과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하고, 이러한 경계로부터 제 4 영역에 걸쳐서,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 5종 주사공정에서는, 연속하여 인쇄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제 4 영역과의 경계에 대하여, 그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함으로써, 당해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제 4 영역과의 사이에서의 인쇄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인쇄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제 5종 주사공정 동안에, 제 4 영역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하는 영역이 겹치면, 제 4 영역에 형성되는 잉크 도포막의 합계 막두께가 소정의 막두께(T0)를 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각 제 5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은 서로 다르므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제 4 영역과의 경계도 상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계로부터 제 4 영역에 걸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키므로, 각 제 5종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같은 양의 잉크(80)를 토출하는 부분은 겹치지 않고, 제 4 영역에 소정의 합계 막두께(T0)의 잉크 도포막이 형성되도록, 잉크(80)의 토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경계로부터 제 4 영역에 걸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복수 회의 인쇄를 중복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얼룩의 발생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잉크 토출량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변위폭을 설정하고, 상기 변위폭 내에서 변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헤드 정면대칭 영역 쪽이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보다 인쇄 헤드(110)에 가깝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제 4 영역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의 경계에서의 잉크 토출량을 많게 함으로써, 보다 인쇄 헤드(110)에 가까운 상태로 많은 잉크(80)를 토출하게 되어, 제 4 영역에서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을 횡단하도록 인쇄 헤드(110)를 주사하고, 인쇄매체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과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의 사이에서 변화시킬 때, 당해 잉크(80)의 양을 변화시키는 위치에 편차를 주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 사이에서, 잉크(80)의 토출량이 변화하는 위치에 편차가 있기 때문에,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의 이음매를 뿌옇게 하여, 위화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장치(100)는, 잉크젯 인쇄용의 인쇄 헤드(110)와, 인쇄 헤드(110)를 제어하고, 인쇄 헤드(110)를 주사하면서, 인쇄 헤드(110)로부터 인쇄매체에 대하여 잉크(80)를 토출하는 주사공정을 복수 회 실행하는 토출 제어부(131) 및 주사 제어부(132)와, 각 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인쇄 헤드(11)에 정면대칭한 상태로 잉크(80)가 토출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서로 다르게 하는 매체 각도 조정부(120) 및 매체 각도 제어부(133)를 구비하고 있으며, 토출 제어부(131) 및 주사 제어부(132)는, 어떤 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하지 않은 상태로 잉크(80)가 토출되는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해서는, 다른 1회 이상의 주사공정에서도 인쇄 헤드(110)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잉크(80)를 토출하도록 인쇄 헤드(110)를 제어하는 동시에,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잉크(80)의 도포막의 합계 막두께가, 헤드 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잉크(80)의 도포막의 막두께(T0)와 같아지도록, 적어도 1회의 주사공정에 있어서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잉크(80)의 양을 조정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쇄방법과 동등한 효과를 나타낸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다양한 물품에 대한 인쇄처리 분야, 및 인쇄장치의 제조 분양에서 이용 가능하다.
10: 인쇄매체
10a, 10b: 면
11, 12: 잉크 도포막
80: 잉크
110: 인쇄 헤드

Claims (11)

  1. 잉크젯 인쇄용의 인쇄 헤드를 주사하고, 그 인쇄 헤드로부터 인쇄매체에 대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주사공정을 복수 회 포함하며,
    각 회의 그 주사공정에 있어서, 그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한 상태로 그 잉크가 토출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서로 다르게 하고,
    어떤 회의 그 주사공정에 있어서, 그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하지 않은 상태로 그 잉크가 토출되는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해서는, 다른 1회 이상의 그 주사공정에서도, 그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그 잉크를 토출하며,
    그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그 잉크의 도포막의 합계 막두께가, 미리 정해진 막두께가 되도록, 적어도 1회의 그 주사공정에 있어서 그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그 잉크의 양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회의 주사공정에서는,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잉크의 도포막의 합계 막두께가,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잉크의 도포막의 막두께와 같아지도록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1회의 상기 주사공정에서는,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을,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보다 적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n회(n은 2 이상의 정수)의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의 한 지점에 대하여 상기 잉크를 토출할 때, 하기 식 (1)을 만족하도록 설정된 조정계수(ki)를 이용하여, i회째의 상기 주사공정에서의 그 지점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Di)을 하기 식 (2)를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방법.
    Figure pct00015

    (단, θi는, 90°미만의 각도로서, n회의 상기 주사공정 중의 i회째의 상기 주사공정에서의 상기 잉크의 토출방향과, 그 지점에서의 상기 인쇄매체의 법선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6

    (단, D0는, 각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의 한 지점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을 나타낸다.)
  5.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1회의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 및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을 횡단하도록 상기 인쇄 헤드를 주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 상의 일부인 제 1 영역에 대하여, 2회 이상의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상기 잉크를 토출하며,
    그 2회 이상의 주사공정은, 1회의 제 1종 주사공정과 1회 이상의 제 2종 주사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제 1종 주사공정에서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토출하는 양과 같은 양의 상기 잉크를 토출하며,
    제 2종 주사공정에서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토출하는 양보다 적은 양의 상기 잉크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 상의 일부인 제 2 영역에 대하여, 2회 이상의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상기 잉크를 토출하며,
    그 2회 이상의 주사공정은, 2회 이상의 제 3종 주사공정으로 이루어지고,
    각 회의 제 3종 주사공정에서는, 제 2 영역에 서로 같은 막두께의 상기 잉크의 도포막이 형성되도록 상기 잉크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 상의 일부인 제 3 영역에 대하여, 2회 이상의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상기 잉크를 토출하며,
    그 2회 이상의 주사공정은, 2회 이상의 제 4종 주사공정으로 이루어지고,
    각 회의 제 4종 주사공정에서는, 제 3 영역 및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횡단하도록 상기 인쇄 헤드를 주사하며, 제 3 영역과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의 경계에 대하여,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토출하는 양과 같은 양의 상기 잉크를 토출하고, 그 경계로부터 제 3 영역에 걸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 상의 일부인 제 4 영역에 대하여, 2회 이상의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상기 잉크를 토출하며,
    그 2회 이상의 주사공정은, 2회 이상의 제 5종 주사공정으로 이루어지고,
    각 회의 제 5종 주사공정에서는, 제 4 영역 및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횡단하도록 상기 인쇄 헤드를 주사하며, 제 4 영역과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의 경계에 대하여,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에 대하여 토출하는 양과 같은 양의 상기 잉크를 토출하고, 그 경계로부터 제 4 영역에 걸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을 불균일하게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을 횡단하도록 상기 인쇄 헤드를 주사하고, 상기 인쇄매체에 토출하는 상기 잉크의 양을, 상기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과 상기 헤드 정면대칭 영역과의 사이에서 변화시킬 때, 그 잉크의 양을 변화시키는 위치에, 편차를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방법.
  11. 잉크젯 인쇄용의 인쇄 헤드와,
    그 인쇄 헤드를 제어하고, 그 인쇄 헤드를 주사시키면서, 그 인쇄 헤드로부터 인쇄매체에 대하여 잉크를 토출시키는 주사공정을 복수 회 실행하는 주사제어수단과,
    각 회의 그 주사공정에 있어서, 그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한 상태로 그 잉크가 토출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을 서로 다르게 하는 헤드 정면대칭 영역 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주사제어수단은, 어떤 회의 그 주사공정에 있어서, 그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하지 않은 상태로 그 잉크가 토출되는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대해서는, 다른 1회 이상의 그 주사공정에서도, 그 인쇄 헤드에 정면대칭시키지 않고 그 잉크를 토출하도록 그 인쇄 헤드를 제어하는 동시에, 그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그 잉크의 도포막의 합계 막두께가, 그 헤드 정면대칭 영역 상에 형성되는 그 잉크의 도포막의 막두께와 같아지도록, 적어도 1회의 그 주사공정에 있어서 그 헤드 비정면대칭 영역에 토출하는 그 잉크의 양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KR1020137032790A 2011-07-15 2012-07-06 인쇄방법 및 인쇄장치 KR101552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57107A JP5730698B2 (ja) 2011-07-15 2011-07-15 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JP-P-2011-157107 2011-07-15
PCT/JP2012/067392 WO2013011851A1 (ja) 2011-07-15 2012-07-06 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019A true KR20140021019A (ko) 2014-02-19
KR101552927B1 KR101552927B1 (ko) 2015-09-14

Family

ID=4755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790A KR101552927B1 (ko) 2011-07-15 2012-07-06 인쇄방법 및 인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26063B2 (ko)
JP (1) JP5730698B2 (ko)
KR (1) KR101552927B1 (ko)
CN (1) CN103648783B (ko)
WO (1) WO20130118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6123B2 (ja) * 2013-04-04 2018-08-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印刷方法
JP6260353B2 (ja) * 2013-04-23 2018-01-1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278704B2 (ja) * 2013-12-27 2018-02-14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印刷物の製造方法
JP6317936B2 (ja) * 2014-02-05 2018-04-25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印刷物の製造方法および印刷システム
CN103862866A (zh) * 2014-04-05 2014-06-18 晏石英 一种打印方法及打印机
JP6452153B2 (ja) * 2015-03-25 2019-01-16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棒状部材加飾方法
EP3957487B1 (en) 2015-05-27 2023-12-20 NIKE Innovate C.V. Color density based thickness compensation printing
US10596753B2 (en) 2016-05-31 2020-03-24 Nike, Inc. Gradient print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al component
JP7000092B2 (ja) * 2017-09-25 2022-01-19 武藤工業株式会社 円筒の印刷方法及び装置
FR3087704B1 (fr) * 2018-10-26 2021-04-30 Psa Automobiles Sa Impression de surface avec bandes se chevauchant
WO2020261443A1 (ja) 2019-06-26 2020-12-30 アーベーベー・シュバイツ・アーゲー 塗装機および塗装方法
EP4023343A4 (en) * 2019-08-30 2023-08-23 Kyocera Corporation COATING DEVICE, COATING FILM AND COATING METHOD
US20230202200A1 (en) * 2020-06-01 2023-06-29 Veev Group,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ide printing on solid surfaces
CN112571988A (zh) * 2020-12-02 2021-03-30 深圳汉弘数字印刷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打印方法、装置、喷墨打印机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3368A (ja) * 1996-01-12 1997-07-29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方法
JPH11276978A (ja) * 1998-03-31 1999-10-12 Hitachi Zosen Corp 塗装ロボットにおける塗装膜厚の定式化方法
JP2001260329A (ja) * 2000-03-22 2001-09-25 Minolta Co Ltd 立体物印刷装置および立体物印刷方法
US6460958B2 (en) * 2000-02-29 2002-10-08 Minolta Co., Ltd. Three-dimensional objec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2264309A (ja) * 2001-03-14 2002-09-18 Canon Inc 記録装置
JP2003320299A (ja) * 2002-04-30 2003-11-11 Fujimori Gijutsu Kenkyusho:Kk 薄膜塗布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TW200638083A (en) * 2005-04-18 2006-11-01 Shibaura Mechatronics Corp The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4111204B2 (ja) * 2005-04-20 2008-07-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4533805B2 (ja) * 2005-06-06 2010-09-01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立体メディアプリント用の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と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方法
JP4603457B2 (ja) * 2005-10-14 2010-1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曲面印刷方法
JP2009012430A (ja) 2007-07-09 2009-01-22 Inax Corp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印刷方法
WO2009088867A2 (en) * 2007-12-31 2009-07-16 Exatec, Llc Method for printing high quality images on curved substr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30698B2 (ja) 2015-06-10
US20140132670A1 (en) 2014-05-15
CN103648783B (zh) 2016-03-02
US8926063B2 (en) 2015-01-06
JP2013022768A (ja) 2013-02-04
CN103648783A (zh) 2014-03-19
WO2013011851A1 (ja) 2013-01-24
KR101552927B1 (ko) 201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1019A (ko) 인쇄방법 및 인쇄장치
JP5383099B2 (ja) 記録ヘッドの製造方法および記録ヘッド
WO2016152208A1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CN102555463B (zh) 液体喷出装置以及液体喷出方法
JP4314813B2 (ja) 液滴吐出ヘッド及び液滴吐出装置
JP2009220452A (ja) 液体吐出装置
EP319417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11383540B2 (en) Printing apparatus
US10275693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method
US20150054871A1 (en) Droplet discharging method and droplet discharging apparatus
JP2017087431A (ja) 液滴吐出装置および液滴吐出方法
JP2016221841A (ja) 液体吐出装置
JPWO2015129544A1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814309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TW201927582A (zh) 膜形成裝置及膜形成方法
JP200621279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124729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7024438B2 (ja) 液体吐出装置、液体吐出方法、液体吐出プログラム及び画像形成装置
US10442195B2 (en) Piezoelectr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kjet head
JP5765976B2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6724966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6690370B2 (ja) 印刷装置
JP5633170B2 (ja) 現像方法および現像装置
JP2015223712A (ja) 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8302624A (ja) 液体吐出装置の製造方法、液体吐出装置の調整方法、液体吐出装置、液体吐出装置の液体吐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