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280A - 가스 안내 시스템 및 가스 안내 시스템이 장착된 내연기관 - Google Patents

가스 안내 시스템 및 가스 안내 시스템이 장착된 내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280A
KR20140011280A KR1020130084063A KR20130084063A KR20140011280A KR 20140011280 A KR20140011280 A KR 20140011280A KR 1020130084063 A KR1020130084063 A KR 1020130084063A KR 20130084063 A KR20130084063 A KR 20130084063A KR 20140011280 A KR20140011280 A KR 20140011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k
gas
extinguishing
signal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7931B1 (ko
Inventor
니콜라우스 쾨니히
막시밀리안 쉘
Original Assignee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filed Critical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4001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A62C35/15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with a system for topping-up the supply of extinguishing material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45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olid substances, e.g. sand, ashes; using substances forming a cr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1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 B01D46/0093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against fire or explo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5/00Adaptations of engines for special u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61/00 or F02B63/00;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other devices, e.g. with non-drive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4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for distribution of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안내 시스템(1) 및 상기 가스 안내 시스템이 장착된 내연기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1)은 시스템 가스(G)의 정화를 위한 필터(10), 필터에 시스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필터에 유체 연결된 가스 파이프(20) 및, 제어 장치(50) 및 상기 제어 장치에 연결된 검출 장치(60)와 소화 분말 배출 장치(70, 80)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40)를 포함하고, 이 경우 검출 장치(60)의 스파크 센서(61, 62)는 시스템 가스(G)의 유동 경로 내에 배치되고, 검출 장치(60)는 스파크 센서(61, 62)에 의해 유동 경로 내의 스파크 검출 시 스파크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50)에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이 경우 제어 장치(50)는 스파크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소화 분말 배출 신호를 소화 분말 배출 장치(70, 80)에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이 경우 소화 분말 배출 장치(70, 80)는 스파크 센서(61, 62)에 인접하게 유동 경로에 연결되고, 소화 분말 배출 신호에 응답하여 유동 경로 내로 소화 분말(P)을 배출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가스 안내 시스템 및 가스 안내 시스템이 장착된 내연기관{GAS­CARRYING SYSTEM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EQUIPPED THEREWITH}
본 발명은 시스템 가스의 정화를 위한 필터와 소화 장치를 포함하는 가스 안내 시스템 및 상기 가스 안내 시스템이 장착된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스 안내 시스템의 소화 장치는, 시스템 내부 그리고 특히 필터 내부의 화재를 방지하고 소화하는데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소화 장치는 소화제로서 불연성 가스 또는 물로 작동하고, 이 경우 상기 2개의 소화제는 몇몇 단점들을 동반한다.
화재 방지 및 소화를 위해 물과 불활성 가스 외에도, 소화제로서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DE 10 2006 019 739 A1호에서 제시된 것과 같은 소화 분말이 공지되어 있다.
물을 이용한 소화는 심한 오염 및 열 충격 및 경우에 따라서 침식 작용으로 인해 전술한 가스 안내 시스템의 물과 접촉하는 부품들의 경우에 따른 손상 또는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시스템 가스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 소화를 위해 더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할 수 있고, 이는 가스 안내 시스템의 부품들의 중량 부하를 높일 수 있고, 증발하는 소화수에 의해 심한 증기 배출이 발생할 수 있다. 적절한 물공급은 일반적으로 작동 부품들(예컨대 펌프)에 의해 보장될 수 있고, 소화 과정 후에 경우에 따라서 공급된 물을 적극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소화 장치의 예방적 사용은 시스템 부품들(예컨대 필터의 필터 백)의 손상/파손 위험으로 인해 불가능하다.
불활성 가스를 이용한 소화 시 예컨대 배기가스 시스템처럼 전술한 가스 안내 시스템은 기밀 방식으로 차단되어야 하고, 이는 비용이 많이 드는 차단 장치들을 필요로 한다. 또한, 소화를 위해 시스템의 작동이 중단될 수 있는 경우에 추가의 높은 구조적 복잡성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불활성 가스를 이용한 소화 시 비교적 많은 양의 불활성 가스가 필요하다. 실제로 불활성 가스를 이용한 소화는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많은 유지보수 요구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시스템 부품들의 손상/파손 위험 없이 그리고 시스템의 정상 작동시 화재 방지 및 소화 가능한 전술한 가스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가스 안내 시스템이 장착된 내연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가스 안내 시스템 또는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내연기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안내 시스템의 개선예는 종속 청구항에 규정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라 가스 안내 시스템을 관류하는 시스템 가스의 정화를 위한 필터, 필터에 시스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필터에 유체 연결된 가스 파이프 및,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에 연결된 검출 장치와 소화 분말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를 구비한 가스 안내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경우 검출 장치의 스파크 센서는 시스템 가스의 유동 경로 내에 배치되고, 검출 장치는 스파크 센서에 의해 유동 경로 내의 스파크 검출 시 스파크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에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이 경우 제어 장치는 스파크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소화 분말 배출 신호를 소화 분말 배출 장치에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이 경우 소화 분말 배출 장치는 스파크 센서에 인접하게 유동 경로에 연결되고, 소화 분말 배출 신호에 응답하여 유동 경로 내로 소화 분말을 배출하도록 설계된다.
소화제로서 소화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열 충격 및 침식 작용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써 시스템 부품들의 손상/파손 위험 없이 화재 방지 및 소화가 실시될 수 있다. 유동 경로 내로 유입되는 소화 분말은 시스템 가스의 정상적인 유동에서 검출된 플라잉 스파크(flying sparks)를 추적하고, 사용/여과 작업 후에 경우에 따라서 필터의 필터 케이크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소화를 위해 추가 차단은 불필요하다. 이로써 시스템의 정상 작동 시 작동 제한 없이 소화가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안내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라, 검출 장치의 스파크 센서는 가스 파이프 내에 배치되고, 검출 장치는 스파크 센서에 의해 가스 파이프 내의 스파크 검출 시 스파크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에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이 경우 소화 분말 배출 장치는 스파크 센서의 유동 하류에서 가스 파이프에 연결되고, 소화 분말 배출 신호에 응답하여 소화 분말을 가스 파이프 내로 배출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정상 작동중에 작동 제한 없이 약한 플라잉 스파크의 경우에도 예방적 소화가 실시될 수 있고, 이 경우 소화 분말은 전체 시스템 가스 유동을 따르고 필터 전체 면에 도달한다. 이로써 바람직하게 소화 시스템은 플라잉 스파크 구간의 매우 초입에 위치설정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소화 방법에 비해 상당한 시간적 장점이 제공된다.
예방적 소화 시 소화 분말의 공급 위치는 플라잉 스파크의 최초 검출 지점이므로, 소화제는 필터에서 실제 점화 전에 점화원을 "추적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안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소화 장치는 제어 장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소화 분말 배출 장치를 포함하고, 이 경우 검출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스파크 센서가 필터 내에 배치되고, 검출 장치는 다른 스파크 센서에 의해 필터 내의 스파크 검출 시 스파크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에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이 경우 제어 장치는 다른 스파크 센서에 의한 검출에 기초하는 스파크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소화 분말 배출 신호를 다른 소화 분말 배출 장치에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이 경우 다른 소화 분말 배출 장치는 다른 스파크 센서에 인접하게 필터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 장치에 제공된 소화 분말 배출 신호에 응답하여 필터 내로 소화 분말을 배출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목표물(필터)에서 직접 하나 이상의 국부적 센서(들)에 의해 트리거 되어 추가 소화 시스템에 의해 소위 목표물 소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안내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라 필터 내에, 시스템 가스로부터 분리되는 입자들의 결집이 예상되는 위치에 검출 장치의 다른 스파크 센서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목표물 소화와 유사하게, 그러나 경우에 따라 특수한 구조적 특징에 맞게 최적화되어(예를 들어 퇴적물 형성) 비상 또는 예비 소화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안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검출 장치는 스파크 규모에 대한 정보가 스파크 검출 신호에 통합되도록 설계되고, 이 경우 제어 장치는 스파크 규모에 따라서 소화 분말 배출 신호를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스파크 규모는 스파크 밀도 및/또는 플라잉 스파크 지속 시간을 포함한다.
따라서 소화 강도는 검출 레벨/-지속 시간 또는 스파크 규모에 직접적으로 의존하여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 장치는 소화 분말 배출 신호를 소화 시간 범위에서 스파크 규모에 따라 펄스 신호로서 제공하도록 설계되므로, 펄스 신호에 따라 펄스 빈도 및/또는 펄스 길이가 변경되는 펄스 방식의 소화 분말 배출이 이루어진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제어 장치는 소화 분말 배출 신호를 스파크 규모에 따른 신호 강도를 갖는, 소화 시간 범위 내에서 연속하는 신호로서 제공하도록 설계되므로, 신호 강도에 따라 시간 단위당 배출량이 변경되는 연속적인 소화 분말 배출이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소화 분말 배출은 검출 레벨 또는 스파크 규모에 따라서 간헐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간헐적인 소화 분말 공급은 바람직하게 예방적 소화 시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지속적인 공급은 바람직하게 목표물 소화 시 및 비상 또는 예비 소화 시 특수한 지속 소화 형태로 이루어진다(완벽한 진압).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안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스 파이프는 연소 과정을 위한 배기가스 파이프로서 형성되고, 필터는 배기가스 정화 필터, 특히 입자 필터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라 모든 조합이 고려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전술한 하나, 다수의 또는 모든 실시예에 따른 가스 안내 시스템을 구비한 내연기관이 제공되고, 이 경우 가스 안내 시스템의 가스 파이프는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배출부에 접속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명시적인 인용부들의 특징의 조합으로 제시되지 않은 실시예들에도 적용되고, 이로써 본 발명의 공개된 특징들은 -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경우에 - 임의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은 제 1 작동 기능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가스 안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 2 작동 기능에서 도 1의 가스 안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하기에서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안내 시스템(1)이 장착된 내연기관(완전히 도시되지 않음)이 설명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안내 시스템(1)은 시스템 가스(G)의 정화를 위한 필터(10), 제 1 가스 파이프(20), 제 2 가스 파이프(30) 및 소화 장치(4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가스 파이프(20, 30)는 각각 연소 과정을 위한 배기가스 파이프로서 형성되고, 이 경우 필터(10)는 입자 필터로서 형성되고, 제 1 가스 파이프(20)는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배출부(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따라서 시스템 가스는 내연기관의 배기가스로서 형성된다.
내연기관은 본 발명에 따라 피스톤 엔진으로서, 특히 디젤 엔진 또는 가스 엔진, 또는 터보 내연기관으로서, 특히 가스 터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스 파이프(20)는 필터(10)에 유체 연결되므로, 시스템 가스(G)는 제 1 가스 파이프(20)를 통해 필터(10)에 공급될 수 있다.
제 2 가스 파이프(30)도 필터(10)에 유체 연결되므로, 필터(10)에 의해 필터링된 시스템 가스(G)는 제 2 가스 파이프(30)를 통해 필터(1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소화 장치(40)는 제어 장치(50), 검출 장치(60) 및 2개의 소화 분말 배출 장치(70, 80)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장치는 제어 장치에 신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소화 분말 배출 장치도 제어 장치에 신호에 의해 연결된다.
검출 장치(60)는 예컨대 2개의 광전자 스파크 센서(61, 62)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들은 각각 가스 안내 시스템(1)을 통과하는 시스템 가스(G)의 유동 경로 내에 배치된다. 각각의 소화 분말 배출 장치(70, 80)는 스파크 센서들(61 또는 62) 중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유동 경로에 연결된다.
검출 장치(60)는 하나의 스파크 센서(61, 62)에 의해 유동 경로 내의 스파크(F;도 1 참조)가 검출되는 경우에 스파크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50)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제어 장치(50)는 스파크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소화 분말 배출 신호를 스파크 검출 신호를 트리거 하는 각각의 스파크 센서(61, 62)에 포함되는 소화 분말 배출 장치(70, 80)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소화 분말 배출 장치(70, 80)는, 소화 분말 배출 신호에 응답하여 소화 분말(P)을 유동 경로 내로 배출하도록 설계된다.
소화 분말(P)에 의해 형성된 유동 경로 내의 분말 클라우드는 소화 작용 및 억제 효과를 갖고, 이로 인해 급격한 소화 작용이 야기된다. 용융 층의 형성에 의해 산소 공급 및 가까운 화재 주변의 가열이 저지될 수 있고, 재점화도 저지될 수 있다. 소화 분말은 소수성 - 및 흐름 보조제와 혼합된, 예컨대 무독성의 무기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장치(60)의 제 1 스파크 센서(61)는 제 1 가스 파이프(20)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검출 장치(60)는 제 1 스파크 센서(61)에 의해 제 1 가스 파이프(20) 내의 스파크(F) 검출 시 스파크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50)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제 1 소화 분말 배출 장치(70)는 유동 하류에서 제 1 스파크 센서(61)에 인접하게 제 1 가스 파이프(20)에 연결되고, 소화 분말 배출 신호에 응답하여 소화 분말(P)을 제 1 가스 파이프(20) 내로 배출하도록 설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장치(60)의 제 2 스파크 센서(62)는 필터(10)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검출 장치(60)는, 제 2 스파크 센서(62)에 의해 필터(10) 내의 스파크(F) 검출 시 스파크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50)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제 2 소화 분말 배출 장치(80)는 제 2 스파크 센서(62)에 인접하게 필터(10)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 장치에 제공된 소화 분말 배출 신호에 응답하여 소화 분말(P)을 필터(10) 내로 배출하도록 설계된다.
검출 장치(60)의 제 2 스파크 센서(62)는 필터(10) 내에, 바람직하게 시스템 가스(G)에서 분리된 입자들, 예컨대 퇴적물의 결집이 예상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필터(10) 내의 다양한 위치에 다수의 제 2 스파크 센서들(62)이 배치될 수도 있고, 다수의 제 2 소화 분말 배출 장치(80)가 필터(10)에 접속될 수 있으므로, 해당하는 소화 분말 배출 신호의 수신 시 상기 배출 장치는 선택적으로 소화 분말(P)을 상기 배출 장치의 해당하는 제 2 스파크 센서(62)가 속하는 필터(10) 내의 위치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검출 장치(60)는 바람직하게, 스파크 검출 신호에 스파크 규모에 대한 정보가 통합되도록 설계되고, 이 경우 제어 장치(50)는 스파크 규모에 따라서 소화 분말 배출 신호를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스파크 규모는 스파크 밀도 및/또는 플라잉 스파크가 존재하는 지속 시간(플라잉 스파크 지속 시간)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 장치(50)는 바람직하게 소화 분말 배출 신호를 소화 시간 범위에서 스파크 규모에 따라 펄스 신호로서 제공하도록 설계되므로, 펄스 신호에 따라 펄스 빈도 및/또는 펄스 길이가 변경되는 펄스 방식의 소화 분말 배출이 이루어진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제어 장치(50)는 소화 분말 배출 신호를 스파크 규모에 따른 신호 강도를 갖는, 소화 시간 범위에서 연속하는 신호로서 제공하도록 설계되므로, 신호 강도에 따라 시간 단위당 배출량이 변경되는 소화 분말의 연속적인 배출이 이루어진다.
소화 분말(P)로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안내 시스템(1)의 소화 장치(40)는 물 또는 불활성 가스로 작동하는 일반적인 소화 장치와 달리 가스 안내 시스템(1)의 정상 작동 시 및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정상 작동 시 소화 분말(P)을 공급할 수 있다.
소화 장치(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2개의 작동 시스템으로 또는 작동 기능으로 세분된다.
예방적 소화는 바람직하게 도 에 도시된 작동 기능으로 제 1 소화 분말 배출 장치(70) 및 제 1 스파크 센서(61)에 의해 실시될 수 있고, 이 경우 소화 분말(P)의 공급 위치는 플라잉 스파크의 최초 검출 지점에 위치하고, 소화 분말(P;소화제)은 점화원 또는 필터(10)에서 실제 점화 전에 스파크(들)(F)을 "추적한다". 따라서, 소화 분말(P)은 전체 시스템 가스 유동(이 경우 예컨대 배기 가스 유동)을 따르고, 필터 전체 면에 도달한다. 예방적 소화는 정상 작동중에 작동 제한 없이 가능하고, 플라잉 스파크가 약할 경우에 예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플라잉 스파크 구간의 매우 초입에서 소화가 시작됨으로써, 일반적인 소화 방법에 비해 상당한 시간적 장점이 제공된다.
목표물 소화는 바람직하게 제 2 소화 분말 배출 장치(80) 및 제 2 스파크 센서(62)에 의한 도 2에 도시된 작동 기능으로 실행될 수 있고, 이 경우 목표물에서(이 경우에 필터(10)) 직접 국부적 센서(이 경우 제 2 스파크 센서(들)(62))에 의해 트리거 되어 제 2 소화 분말 배출 장치(80)에 의해 소화 분말(P)이 공급되고, 소화가 이루어진다. 비상 또는 예비 소화는 목표물 소화와 유사하지만, 경우에 따라 예컨대 퇴적물 형성 위치와 같은 특수한 구조적 특성에 맞게 최적화되어 실시될 수 있다.
소화 분말 배출 신호를 소화 시간 범위에서 펄스식 또는 연속 신호로서 형성하는 전술한 방법에 따라, 소화 분말 배출은 검출 레벨 또는 스파크 규모에 따라 조절되어 간헐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간헐적인 소화 분말 제공은 바람직하게 예방적 소화 시 이루어지는 한편, 지속적 공급은 바람직하게 목표물 소화 시 및 비상 또는 예비 소화 시 특수한 지속 소화 형태로(완벽한 진압) 이루어진다.
전술한 각각의 소화 변형예에서 시스템(1) 또는 내연기관의 차단은 일반적으로 불필요하고, 정상 작동이 유지될 수 있다. 소화 분말(P)은 소화 실행 후에 경우에 따라서, 정상적인 유지관리 시 필터(10)가 청소 또는 교체될 때까지 필터(10) 내의 필터 케이크에 남는다.
1 가스 안내 시스템
10 필터
20 가스 파이프
30 가스 파이프
40 소화 장치
50 제어 장치
60 검출 장치
61 스파크 센서
62 스파크 센서
70 소화 분말 배출 장치
80 소화 분말 배출 장치
F 스파크
G 시스템 가스
P 소화 분말

Claims (10)

  1. 가스 안내 시스템(1)으로서,
    시스템 가스(G)의 정화를 위한 필터(10), 필터에 시스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필터에 유체 연결된 가스 파이프(20) 및, 제어 장치(50) 및 상기 제어 장치에 연결된 검출 장치(60)와 소화 분말 배출 장치(70, 80)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40)를 구비하고,
    이 경우 상기 검출 장치(60)의 스파크 센서(61, 62)는 상기 시스템 가스(G)의 유동 경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검출 장치(60)는 상기 스파크 센서(61, 62)에 의해 유동 경로 내의 스파크 검출 시 스파크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 장치(50)에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이 경우 상기 제어 장치(50)는 상기 스파크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소화 분말 배출 신호를 상기 소화 분말 배출 장치(70, 80)에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이 경우 상기 소화 분말 배출 장치(70, 80)는 상기 스파크 센서(61, 62)에 인접하게 유동 경로에 연결되고, 소화 분말 배출 신호에 응답하여 유동 경로 내로 소화 분말(P)을 배출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60)의 스파크 센서(61)는 상기 가스 파이프(20) 내에 배치되고, 상기 검출 장치(60)는 상기 스파크 센서(61)에 의해 상기 가스 파이프(20) 내의 스파크(F) 검출 시 스파크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 장치(50)에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이 경우 상기 소화 분말 배출 장치(70)는 상기 스파크 센서(61)의 유동 하류에서 상기 가스 파이프(20)에 연결되고, 상기 소화 분말 배출 신호에 응답하여 소화 분말(P)을 상기 가스 파이프(20) 내로 배출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장치(40)는 상기 제어 장치(50)에 연결된 다른 소화 분말 배출 장치(80)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검출 장치(6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스파크 센서(62)가 상기 필터(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검출 장치(60)는 상기 다른 스파크 센서(62)에 의해 상기 필터(10) 내의 스파크(F) 검출 시 스파크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 장치(50)에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이 경우 상기 제어 장치(50)는 상기 다른 스파크 센서(62)에 의한 검출에 기초하는 스파크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소화 분말 배출 신호를 상기 다른 소화 분말 배출 장치(80)에 전송하도록 설계되고, 이 경우 상기 다른 소화 분말 배출 장치(80)는 상기 다른 스파크 센서(62)에 인접하게 상기 필터(10)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 장치에 제공된 소화 분말 배출 신호에 응답하여 소화 분말(P)을 상기 필터(10) 내로 배출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60)의 상기 다른 스파크 센서(62)는 상기 필터(10) 내에 분리된 입자들의 결집이 예상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내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60)는 상기 스파크 검출 신호에 스파크 규모에 대한 정보가 통합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어 장치(50)는 상기 스파크 규모에 따라서 소화 분말 배출 신호를 형성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크 규모는 스파크 밀도 및/또는 플라잉 스파크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내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50)는 상기 소화 분말 배출 신호를 소화 시간 범위에서 스파크 규모에 따라 펄스 신호로서 제공하도록 설계되므로, 펄스 신호에 따라 펄스 빈도 및/또는 펄스 길이가 변경되는 펄스 방식의 소화 분말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내 시스템.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50)는 상기 소화 분말 배출 신호를 스파크 규모에 따른 신호 강도를 갖는, 소화 시간 범위에서 연속하는 신호로서 제공하도록 설계되므로, 신호 강도에 따라 시간 단위당 배출량이 변경되는 소화 분말의 연속적인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내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파이프(20)는 연소 과정을 위한 배기가스 파이프로서 형성되고, 상기 필터(10)는 배기가스 정화 필터, 특히 입자 필터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안내 시스템.
  10. 제9항에 따른 가스 안내 시스템(1)을 구비한 내연기관으로서, 가스 파이프(20)가 상기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배출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KR1020130084063A 2012-07-18 2013-07-17 가스 안내 시스템 및 가스 안내 시스템이 장착된 내연기관 KR101997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210014143 DE102012014143A1 (de) 2012-07-18 2012-07-18 Gasführendes Svstem und damit ausgerüstete Brennkraftmaschine
DE102012014143.2 2012-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280A true KR20140011280A (ko) 2014-01-28
KR101997931B1 KR101997931B1 (ko) 2019-07-08

Family

ID=4987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063A KR101997931B1 (ko) 2012-07-18 2013-07-17 가스 안내 시스템 및 가스 안내 시스템이 장착된 내연기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65530B2 (ko)
KR (1) KR101997931B1 (ko)
CN (1) CN103573341B (ko)
DE (1) DE102012014143A1 (ko)
FI (1) FI1287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8332A (zh) * 2017-06-02 2017-08-25 常州大学 一种含铝粉尘防爆炸装置
CN107376544B (zh) * 2017-08-08 2019-11-08 东莞市大园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防火防爆的除尘系统及其方法
CN109045540A (zh) * 2018-06-11 2018-12-21 广州市景彤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管道智能探测灭火系统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89600A (ko) * 1972-03-01 1973-11-22
JPS62275476A (ja) * 1986-05-20 1987-11-30 株式会社藤屋鉄工所 集塵装置における消火方法
KR100566486B1 (ko) * 2003-12-09 2006-04-05 주식회사 윈윈테크 화재 진화 방법 및 장치
JP2006288804A (ja) * 2005-04-12 2006-10-26 Nohmi Bosai Ltd 消火設備
DE102010005552A1 (de) * 2010-01-22 2011-07-28 Electronic Wood Systems GmbH, 31785 Verfahren zum Löschen, insbesondere von Funken
KR20110125014A (ko) * 2010-05-12 2011-11-18 파이어컨트롤(주) 석탄 분쇄용 미분기의 화재 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92875Y (zh) * 2002-09-29 2003-12-17 中原石油勘探局钻井一公司钻前工程大队 柴油机排气防火装置
DE20218136U1 (de) * 2002-11-21 2003-03-06 Preussag Ag Minimax Funkenlöschanlage für bewegte staubförmige Partikel
JP2004240809A (ja) * 2003-02-07 2004-08-26 Chiyoda Maintenance Kk 火災発生検知機能を備えた排気浄化装置
CN2743550Y (zh) * 2004-06-19 2005-11-30 秦迎新 机动车尾气碳烟捕捉器
DE102006001208B4 (de) * 2006-01-10 2008-03-20 Fagus-Grecon Greten Gmbh & Co Kg Vorrichtung zum Löschen von glühenden Feststoffteilchen
DE102006019739B4 (de) 2006-04-28 2008-07-10 Patentverwertung GbR (vertretungsberchtigte Gesellschafter: Bärbel Knopf, Fischersteeg 11 System zum Löschen von Bränden und Verfahren zu dessen Einsatz
CN201265439Y (zh) * 2008-10-09 2009-07-01 董学飞 发动机环保降排过滤器
FR2939322B1 (fr) * 2008-12-09 2011-11-11 Tecfidis Procede d'extinction d'etincelles transportees par un flux de gaz
CN107441655A (zh) * 2009-10-14 2017-12-08 Bs&B 安全系统有限公司 火焰缓解装置、系统和方法
CN201687554U (zh) * 2010-06-08 2010-12-29 张爱国 机动车尾气净化装置
CN201723281U (zh) * 2010-06-10 2011-01-26 中国石油化工集团公司 发动机消声器水浴式防火净化器
CN201978377U (zh) * 2011-03-03 2011-09-21 潘井彩 阻火器
CN202044683U (zh) * 2011-03-23 2011-11-23 王兴章 一种石油气体管道阻火器
CN202273734U (zh) * 2011-10-28 2012-06-13 中国石油集团西部钻探工程有限公司 钻井柴油机排气管灭火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89600A (ko) * 1972-03-01 1973-11-22
JPS62275476A (ja) * 1986-05-20 1987-11-30 株式会社藤屋鉄工所 集塵装置における消火方法
KR100566486B1 (ko) * 2003-12-09 2006-04-05 주식회사 윈윈테크 화재 진화 방법 및 장치
JP2006288804A (ja) * 2005-04-12 2006-10-26 Nohmi Bosai Ltd 消火設備
DE102010005552A1 (de) * 2010-01-22 2011-07-28 Electronic Wood Systems GmbH, 31785 Verfahren zum Löschen, insbesondere von Funken
KR20110125014A (ko) * 2010-05-12 2011-11-18 파이어컨트롤(주) 석탄 분쇄용 미분기의 화재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931B1 (ko) 2019-07-08
DE102012014143A1 (de) 2014-01-23
FI128798B (en) 2020-12-15
CN103573341B (zh) 2018-04-20
JP2014018668A (ja) 2014-02-03
CN103573341A (zh) 2014-02-12
FI20135771L (fi) 2014-01-19
JP6165530B2 (ja)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6049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205469912U (zh) 打印墨粉分装粉尘防爆保护系统
CN204522064U (zh) 用于热加工工件的机器
KR20140011280A (ko) 가스 안내 시스템 및 가스 안내 시스템이 장착된 내연기관
KR101062436B1 (ko) 소방 방법 및 장치
JP2005185835A (ja) 消火装置および消火方法、特に航空機の貨物室での消火装置および消火方法
US10336464B2 (en) Aircraft propulsion assembly with fire extinguishing system
ES2625545T3 (es) Aparato de filtrado de partículas para motores diésel marinos y método de funcionamiento y regeneración de dicho aparato
CN105478217A (zh) 粮食、饲料及颗粒粉料粉碎设备粉尘防爆保护系统
TW201509482A (zh) 滅火裝置及滅火方法
CN104533505A (zh) 间隔布置的细水雾隧道控烟系统
JP5981212B2 (ja) 排気浄化装置用バーナー
EP2479524A1 (en) Slag monitoring device for coal gasifier and coal gasifier
RU2700824C1 (ru)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110107941A (zh) 一种商用油烟净化装置及该装置灭火的控制方法
CN106964088A (zh) 一种列车消防一体化系统及方法
JP2016014321A (ja) 排気浄化装置
DK2960451T3 (da) Udstødningsgassystem til forbrændingsmotorer
WO2010112035A1 (en) Automatic fire fighting system
JP6323950B2 (ja) 排気浄化装置
CN207523951U (zh) 一种无人机搭载的喷气式喷火装置
KR20130109690A (ko) 선박용 차폐형 발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RU2509584C1 (ru) Способ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 закрытых помещениях и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огнетушитель
RU2520876C2 (ru) Способ ликвидации пожара в галерейном помещении
RU2323755C2 (ru) Огнепрегради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