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870A - 일사 차폐 장치 - Google Patents

일사 차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870A
KR20140007870A KR1020137022594A KR20137022594A KR20140007870A KR 20140007870 A KR20140007870 A KR 20140007870A KR 1020137022594 A KR1020137022594 A KR 1020137022594A KR 20137022594 A KR20137022594 A KR 20137022594A KR 20140007870 A KR20140007870 A KR 20140007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elevating
drum
pl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3167B1 (ko
Inventor
토모노리 무토
Original Assignee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7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1Screens joined one below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2Parallel screens moving independent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5Pleated screens, e.g. concertina- or accordion-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헤드 박스로부터 매달린 2장의 차폐재를 단일의 루프 형상의 승강 조작 코드에 의해 전환할 수 있는 일사 차폐 장치에 있어서, 전체 길이가 짧고 컴팩트하며, 구성이 간단하여 부품점수가 적은 클러치 유닛을 실현한다. 입력반(81)으로부터의 회전으로, 입력 플레이트(83)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안내 홈을 따라 프레임 플레이트(84)로부터 그 걸어맞춤부가 돌출되어, 출력 드럼(87)의 걸음 돌조부와 걸어맞춰지고, 입력반(81)으로부터의 회전을 출력 드럼(87)에 전달한다.

Description

일사 차폐 장치{SUNLIGHT-SHIELDING DEVICE}
본 발명은 헤드 박스로부터 매달린 2장의 차폐재를 단일의 루프 형상의 승강 조작 코드에 의해 전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 동작시키는 일사 차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일사 차폐 장치는 플리츠 스크린 장치, 셔터 장치, 블라인드 장치 등이며, 차폐재는 이들 장치에 있어서 일사 차폐를 행하는 부재이며, 플리츠 스크린, 셔터, 블라인드 등이다.
또, 2장의 차폐재로서는, 예를 들면, 트윈 타입의 일사 차폐 장치에 있어서, 중간 레일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배열설치된 상부 차폐재 및 하부 차폐재, 또는 실내측의 차폐재 및 실외측의 차폐재의 전후 2중의 차폐재가 있다.
종래, 트윈 타입의 일사 차폐 장치에 있어서, 중간 레일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배열설치된 상부 차폐재 및 하부 차폐재를 단일의 루프 형상의 승강 조작 코드를 조작함으로써 전환하여 승강시키는 구성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 실내측 및 실외측의 2중의 일사 차폐재를 1개의 조작 코드로 각각 독립하여 끌어올림 조작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조작 코드의 일방으로의 조작에 의해, 제1 일사 차폐재의 끌어올림 동작과, 자중에 의한 하강 동작과, 자중 강하 방지 동작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제1 클러치 유닛과, 조작 코드의 타방으로의 조작에 의해 제2 일사 차폐재의 끌어올림 동작과, 자중에 의한 하강 동작과, 자중 강하 방지 동작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제2 클러치 유닛을 구비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01069호 일본 특허공보 제4119692호
상기 종래기술(특허문헌 2 등)에 있어서의 클러치 유닛은 일사 차폐재의 끌어올림 동작 및 자중에 의한 하강 동작 등을 가능하게 하지만, 클러치 드럼이 안내 홈을 따라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클러치 볼과 함께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었으므로, 그 이동분만큼 클러치 유닛의 전체 길이가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새로운 클러치 기구를 발명했지만, 부품점수가 약간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헤드 박스로부터 매달린 2장의 차폐재를 단일의 루프 형상의 승강 조작 코드에 의해 전환하기 위한 일방향 클러치 장치로서, 전체 길이가 짧고 컴팩트한 구성이며, 게다가 구성이 간단하여 부품점수가 적은 일방향 클러치 장치를 구비한 일사 차폐 장치를 실현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헤드 박스와, 헤드 박스로부터 매달려 제1 승강 코드 및 제2 승강 코드로 승강되는 제1 차폐재 및 제2 차폐재와, 헤드 박스에 설치된 제1 승강 코드 권취 드럼 및 제2 승강 코드 권취 드럼, 및 풀리 조작 구동 장치를 구비한 일사 차폐 장치로서, 풀리 조작 구동 장치는 조작 코드로 회전 방향을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되는 풀리와, 풀리의 회전 중, 서로 역방향의 제1 방향의 회전 및 제2 방향의 회전을, 제1 승강 코드 권취 드럼 및 제2 승강 코드 권취 드럼에 각각 전달하는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 및 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를 구비하고,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 및 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는 각각 센터 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입력반, 입력 플레이트, 프레임 플레이트 및 출력 드럼을 구비하고, 입력반과 입력 플레이트는 회전 방향으로 여유부를 가지고 연결되어 있고, 프레임 플레이트에는 걸음 프레임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안내 홈이 설치되어 있고, 걸음 프레임은 입력 플레이트에 피봇 지지되고, 상시, 입력 플레이트와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복귀 스프링에 의해 입력 플레이트를 통하여, 안내 홈 내에서 프레임 플레이트 내에 유지되도록 가압되어 있고, 풀리의 회전력에 의해 입력반을 통하여 입력 플레이트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안내 홈을 따라 프레임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출력 드럼의 걸음 돌조부와 걸어맞춰져, 입력 플레이트의 회전을 출력 드럼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 차폐 장치를 제공한다.
입력 플레이트는 내측면에 피봇 지지축과 구동 돌기를 가지고, 이 피봇 지지축에 걸음 프레임이 피봇 지지되어 있고, 프레임 플레이트는 외측면에 상기 걸음 프레임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안내 홈과 함께, 둘레 방향을 따른 만곡 형상의 구동 돌기 받이 홈을 가지고, 내측면에 규제 돌기를 가지고, 입력 플레이트와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에는, 서로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귀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고, 센터 핀에 이 센터 핀을 체결하는 누름 스프링이 감겨 있고, 이 누름 스프링의 양단의 발이 상기 프레임 플레이트의 규제 돌기의 양측에 위치하여, 맞닿음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출력 드럼은 내주면에 걸음 프레임과 걸어맞춤 가능한 걸음 돌조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 드럼은 외측에 원통부를 내측에 원환부를 가지고, 원통부에는 프레임 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게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걸음 프레임과 걸어맞춤 가능한 걸음 돌조부가 원통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 드럼의 원환부의 내주면에는 걸어맞춤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원환 내에서 회전 가능한 드럼 조인트가 출력 드럼과 동심에 설치되어 있고, 이 드럼 조인트에는 출력 드럼의 원환부의 걸어맞춤 돌기와 걸어맞춤 가능한 돌부(突 部)가 형성되어 있고, 출력 드럼과 드럼 조인트의 회전 방향에는 여유부를 가지고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 및 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는 각각 제1 승강용 구동축 및 제2 승강용 구동축을 통하여 제1 승강 코드 권취 드럼 및 제2 승강 코드 권취 드럼에 접속되어 있고, 제1 승강용 구동축 및 제2 승강용 구동축을 따른 위치에, 각각 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 및 제2 승강용 스토퍼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 및 제2 승강용 스토퍼 장치는 각각 제1 승강용 구동축 및 제2 승강용 구동축에 동일 축에서 고정된 캠 축과, 이 캠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캠 케이스를 구비하고, 캠 축의 외주면 및 캠 케이스 중 일방에 캠 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방에 축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종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캠 홈 및 종형 홈 내를 전동하는 전동체가 장입되어 있고, 조작 코드의 조작에 의해, 각각 제1 승강용 구동축 및 제2 승강용 구동축의 회전 및 정지를 제어하고, 제1 차폐재 및 제2 차폐재의 승강 또는 정지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 박스로부터 매달린 2장의 차폐재를 단일의 루프 형상의 승강 조작 코드에 의해 전환할 수 있는 일사 차폐 장치에 있어서, 전체 길이가 짧고 컴팩트하며, 구성이 간단하여 부품점수가 적은 일방향 클러치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사 차폐 장치에 있어서의 일방향 클러치 장치에는 입력측과 출력측의 회전 부재 사이에 여유부를 갖게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을 설치했으므로, 차폐재의 상승 조작을 정지한 직후 발생하는 차폐재의 강하에 의한 역회전을 입력측에 전달시키지 않도록 공회전시켜, 차폐재를 확실하게 강하시켜 스토퍼 장치의 기능을 발휘시켜 강하를 정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윈 타입의 일사 차폐 장치의 실시예 1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헤드 박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그 주요부 확대도이며, (b)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사 차폐 장치의 실시예 1, 2의 스토퍼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제1 및 제2 승강용 구동축과의 관계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b)는 캠 홈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사 차폐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권취 드럼 장치의 평면도이며, (b)는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도 대략 동일한 구성)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사 차폐 장치의 실시예 1, 2의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도 대략 동일한 구성)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사 차폐 장치의 실시예 1, 2의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도 대략 동일한 구성)의 각 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사 차폐 장치의 실시예 1, 2의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도 대략 동일한 구성)의 각 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사 차폐 장치의 실시예 1, 2의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도 대략 동일한 구성)의 각 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사 차폐 장치의 실시예 1, 2의 일방향 클러치 장치의 각 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트윈 타입의 일사 차폐 장치의 실시예 2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헤드 박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b)는 2중 플리츠 스크린 장치에 적용한 일사 차폐 장치의 측면도이며, (c)는 2중 걷어올림식 커튼 장치에 적용한 일사 차폐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사 차폐 장치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사 차폐 장치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사 차폐 장치의 실시예 1, 2의 일방향 클러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사 차폐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사 차폐 장치는 헤드 박스로부터 매달린 2장의 차폐재를 단일의 루프 형상의 승강 조작 코드에 의해 전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 동작시키는 일사 차폐 장치이며, 플리츠 스크린 장치, 셔터 장치, 블라인드 장치, 걷어올림식 커튼 장치 등에 적용 가능하다. 또, 2장의 차폐재는 트윈 타입의 일사 차폐 장치에 둘 수 있는 상하의 차폐재, 또는 실내측의 차폐재 및 실외측의 차폐재의 전후 2중의 차폐재가 있다.
(실시예 1)
이 실시예 1에서는, 일사 차폐 장치로서 상하에 플리츠 스크린을 가지는 트윈 타입의 일사 차폐 장치(트윈 타입의 플리츠 스크린 장치)에 적용한 구성에 있어서 설명한다. 또한, 나중에 서술하는 실시예 2의 일사 장치는 2개의 차폐재를 창의 내외 방향의 전후에 설치한 구성 자체에 대해서는, 2개의 차폐재를 상하에 설치한 실시예 1의 트윈 타입의 일사 장치와 상이하지만, 그 밖의 구성에서는 동일하므로, 실시예 1에 준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사 차폐 장치의 실시예인 일사 차폐 장치(1)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사 차폐 장치(1)는 헤드 박스(2), 헤드 박스(2)로부터 매달린 제1 차폐재(3), 제1 차폐재(3)의 하단에 부착된 중간 레일(4), 중간 레일(4)에 상단이 부착된 제2 차폐재(5), 제2 차폐재(5)의 하단에 부착된 바텀 레일(6)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차폐재(3) 및 제2 차폐재(5)에는 각각 좌우에 승강 코드 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차폐재용 승강 코드(8)(본 명세서에서는 「제1 승강 코드」라고 함)는 그 하단은 중간 레일(4)에 부착되고, 승강 코드 구멍(7)을 통과하여 헤드 박스(2)를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차폐재용 승강 코드(9)(본 명세서에서는 「제2 승강 코드」라고 함)는 그 하단은 바텀 레일(6)에 부착되고, 승강 코드 구멍(7)을 통과하여 헤드 박스(2)를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헤드 박스(2)에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승강용 구동축(21) 및 제2 승강용 구동축(22)이 서로 전후 위치에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헤드 박스(2)의 일단부에는 제1 승강용 구동축(21) 및 제2 승강용 구동축(22)을 구동하기 위한 풀리 조작 구동 장치(23)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1 승강용 구동축(21) 및 제2 승강용 구동축(22)의 도중에는 각각 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24)와 제2 승강용 스토퍼 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승강용 구동축(21) 및 제2 승강용 구동축(22)의 구동력으로 회전 구동되는 트윈 권취 드럼 장치(26)가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
풀리 조작 구동 장치(23)는 루프 형상의 볼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코드(30)를 당겨, 제1 승강용 구동축(21) 및 제2 승강용 구동축(22)을 각각 회전 구동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실시예 1에서는, 제1 승강용 구동축(21)과 제2 승강용 구동축(22)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풀리 조작 구동 장치(23)는 도 1, 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리(31), 회전력 전달 기구(32) 및 일방향 클러치 장치(33)를 구비하고 있다. 풀리(31)는 조작 코드(30)가 걸려 있고, 풀리 톱니바퀴(34)가 동일 축에서 고정되어 있다. 회전력 전달 기구(32)는 풀리 톱니바퀴(34)와 맞물리는 중간 톱니바퀴(29)와, 중간 톱니바퀴(29)와 각각 맞물리는 제1 원동 톱니바퀴(35)와 제2 원동 톱니바퀴(36)를 가진다.
일방향 클러치 장치(33)는 제1 원동 톱니바퀴(35)의 출력을 받아, 제1 방향(예를 들면 반시계 방향)만의 회전을 제1 승강용 구동축(21)에 전달하는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8)와, 제2 원동 톱니바퀴(36)의 출력을 받아, 제1 방향(예를 들면 시계 방향)만의 회전을 제2 승강용 구동축(22)에 전달하는 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일방향 클러치 장치(33)는 본 발명의 일사 차폐 장치의 특징이 되는 부분이며, 그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서술하는 개소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풀리 조작 구동 장치(23)에 있어서, 조작 코드(30)를 일방향(도 10, 11의 실선 방향)으로 당겨, 풀리(31) 및 풀리 톱니바퀴(34)를, 예를 들면 반시계 방향(시계 바늘이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중간 톱니바퀴(29)를 통하여 제1 원동 톱니바퀴(3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제1 원동 톱니바퀴(35) 및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8)를 통하여 제1 승강용 구동축(21)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 조작 코드(30)를 역방향(도 10, 11의 점선 방향)으로 당겨, 풀리(31) 및 풀리 톱니바퀴(34)를 시계 방향(시계 바늘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중간톱니바퀴(29)를 통하여 제2 원동 톱니바퀴(3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9)를 통하여 제2 승강용 구동축(2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24) 및 제2 승강용 스토퍼 장치(25)는 제1 승강용 구동축(21) 및 제2 승강용 구동축(22)의 도중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24)와 제2 승강용 스토퍼 장치(25)는 서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각각의 부품의 부호는 동일한 부호로서 기재하고, 이하, 그 구성을 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24)에 있어서 설명한다.
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24)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승강용 구동축(22)에 동일 축에서 고정된 캠 축(50)과, 캠 축(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캠 케이스(51)를 가진다. 캠 축(50)은 그 외주면에 캠 홈(52)이 형성되어 있다. 캠 케이스(51)에는 그 내주면에 축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종형 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캠 케이스(51)는 헤드 박스(2)에 고정되어 있다. 캠 홈(52)과 캠 케이스(51)의 종형 홈(53)에 볼 형상의 전동체(54)가 전동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입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상기 구성과는 반대로 캠 홈(52)을 캠 케이스(51)의 내주면에 설치하고, 종형 홈(53)을 캠 축(50)의 외주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2(b)는 캠 축(50)의 외주면의 전개도인데, 이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홈(52)은 캠 축(5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단의 좌단홈(55) 및 우단홈(56)과, 좌단홈(55)과 우단홈(56)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이 좌단홈(55)에 타단이 우단홈(56)에 접속된 연결 홈(57)과, 일단이 연결 홈(57)에 타단이 우단홈(56)에 접속되고, V자 형상으로 형성된 V자 홈(58)과, V자 홈(58)의 도중의 코너부에 형성된 오목부(59)를 가진다.
트윈 권취 드럼 장치(26)에는 제1 승강용 구동축(21) 및 제2 승강용 구동축(22)에 각각 대응하여, 도 1(a), 도 3(a)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승강 코드 권취 드럼(70) 및 제2 승강 코드 권취 드럼(7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풀리 조작 구동 장치(23)와 트윈 권취 드럼 장치(26) 사이에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끈 늘어짐 방지 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끈 늘어짐 방지 장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이 아니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설명을 생략하지만, 본 출원인의 선원에 따른 일본 특허출원 2011-83669로서 별도 출원하고 있다.
(일방향 클러치 장치)
일방향 클러치 장치(33)를 도 3 내지 도 12에 있어서 설명한다.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8)와 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9)는 나중에 서술하는 걸음 프레임(101)의 부착 방향 및 걸음 돌출형상부(125)의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구성인 점을 제외하고, 양자 모두 동일한 구성, 작용이므로, 이하, 대표하여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8)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b)은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8)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8)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8)는 동심에 배치된 입력반(81), 복귀 스프링(82), 입력 플레이트(83), 프레임 플레이트(84), 센터 핀(85), 누름 스프링(86), 출력 드럼(87), 슬리브(88) 및 드럼 조인트(89)를 구비하고 있다.
센터 핀(85), 헤드 박스(2)에 적당히 고정되어 있다. 이 센터 핀(85)을 중심으로 하여, 입력반(81), 입력 플레이트(83), 프레임 플레이트(84), 센터 핀(85), 출력 드럼(87)이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입력반(81)은 그 외측면의 맞물림부(91)에서 제1 원동 톱니바퀴(35)의 내측면과 상시 맞물려 있고, 제1 원동 톱니바퀴(35)와 함께 회전한다. 입력반(81)의 내측면(92)에는 축심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돌기(93)가 돌출설치되어 있다(도 5(a) 참조).
또한, 본 명세서 및 발명에 있어서, 「내측면」 및 「내측」 등의 「내측」은 일사 차폐 장치(1)를 정면에서 보아, 일사 차폐 장치(1)의 폭 방향의 중심측을 말한다. 또, 「외측면」 및 「외측」 등의 「외측」은 일사 차폐 장치(1)를 정면에서 보아, 일사 차폐 장치(1)의 폭 방향의 외측을 말한다.
입력 플레이트(83)는 그 외측면(94)에 축심에 대칭적으로, 둘레 방향으로 만곡 형상의 한 쌍의 만곡 홈(95)이 형성되어 있다(도 5(b), 도 6(a) 참조). 이 한 쌍의 만곡 홈(95) 내에 입력반(81)의 한 쌍의 돌기(93)가 둘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입력 플레이트(83)의 내측면(96)에는 축심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피봇 지지축(97)과 한 쌍의 구동 돌기(98)가 돌출설치되어 있다(도 5(c), (d) 참조).
도 5(d), 도 6(b),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음 프레임(101)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자형을 이루고 있고, 2장이 한 쌍이 되어 설치되어 있다. 걸음 프레임(101)은 그 기부에는 피봇 지지 구멍(102)이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에는 걸어맞춤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음 프레임(101)은 그 피봇 지지 구멍(102)에 입력 플레이트(83)의 피봇 지지축(97)이 끼워맞춰져 피봇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 플레이트(84)의 외측면(105)에는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한 쌍의 프레임 안내 홈(106)이 서로 역방향을 향하여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한 쌍의 만곡 형상의 구동 돌기 받이 홈(107)이 형성되어 있다(도 6(b), 도 7 참조). 이 프레임 안내 홈(106)은 걸음 프레임(101)과 평면에서 보아 대략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고, 걸음 프레임(101)을 끼워맞추어 받아들여,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함으로써 걸음 프레임(101)은 프레임 안내 홈(106) 내에서 프레임 플레이트(84)의 영역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도 6(b), 도 7(a) 참조)와, 프레임 플레이트(84)의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도 7(b), (c) 참조)로 출몰 가능하게 된다. 프레임 플레이트(84)의 한 쌍의 구동 돌기 받이 홈(107)에는 한 쌍의 구동 돌기(98)가 둘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구동 돌기 받이 홈(107)은 둘레 방향으로 30°의 각도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도 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플레이트(84)의 내측면(108)에는 측면에서 보아 V자형의 규제 돌기(109)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규제 돌기(109)는 프레임 플레이트(84)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 구멍(110)의 외측에 있어서,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축 구멍(110)에는 센터 핀(85)이 삽입통과되어 있고, 센터 핀(85)의 보스부(115)가 프레임 플레이트(84)의 내측면(108)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입력 플레이트(83)와 프레임 플레이트(84) 사이에 있어서, 도 5(d),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 스프링(82)이 센터 핀(85)의 주위에 동일 축에서 감겨 장착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82)의 일단은 입력 플레이트(83)에 부착되고, 타단은 프레임 플레이트(84)에 부착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82)에 의해, 입력 플레이트(83)와 프레임 플레이트(84)가 서로 둘레 방향으로 역방향으로 반발하도록 탄력을 가압한다. 복귀 스프링(82)에 의해, 피봇 지지축(97)을 통하여, 상시는 도 6(b),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음 프레임(101)을 프레임 안내 홈(106) 내의 가장 깊은 들어간 위치로 이동하도록 가압하고, 프레임 플레이트(84)의 영역 내에 끌려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복귀 스프링(82)에 의해 구동 돌기(98)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시는 구동 돌기 받이 홈(107)의 기단(133)측에 위치하고 있고, 입력 플레이트(83)와 프레임 플레이트(84)는 서로 회전 방향으로 여유부를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입력 플레이트(8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했을 때에, 구동 돌기(98)는 프레임 플레이트(84)에 바로 맞닿지 않으므로, 순간적이긴 하지만, 입력 플레이트(83)만 공회전하여 프레임 플레이트(84)에 회전을 전달하지 않는 약간의 공회전 기간이 있다.
센터 핀(85)의 보스부(115)에는 도 6(c),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스부(115)에 대하여 조이는 방향의 탄력을 가지는 코일 형상의 누름 스프링(86)이 감겨 장착되어 있다(감겨 있다). 누름 스프링(86)의 양단의 2개의 발(116)은 반경 방향으로 접혀서 구부러진 상태로 돌출되어 있다. V자형의 규제 돌기(109)는 2개의 발(116) 사이에 배치되는 것 같은 관계적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6(d) 참조).
출력 드럼(87)은 금속제이며, 헤드 박스(2)에 장착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는 수지 케이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출력 드럼(8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지 케이스의 베어링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슬리브(88)가 출력 드럼(87)과 수지 케이스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있다.
출력 드럼(87)은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사 차폐 장치(1)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원통부(120)와, 내측에 위치하는 원환부(121)와, 원통부(120)와 원환부(121)를 결합하는 결합부(122)로 구성된다. 원통부(120) 내에는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심에 프레임 플레이트(84)가 배치되어 있다.
원통부(120)의 내주면에는 도 7(a) 내지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180° 간격을 두고, 축심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한 쌍의 걸음 볼록조부(凸條部)(1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걸음 볼록조부(125)에는 도 7(a) 내지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걸음 프레임(101)의 걸어맞춤부(103)가 걸고 빼기 가능하다. 출력 드럼(87)의 원환부(121)의 내주면에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180° 간격을 두고, 축심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한 쌍의 걸어맞춤 돌기(123)가 형성되어 있다.
드럼 조인트(89)는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 출력을 제1 승강용 구동축(21)을 통하여 제1 승강 코드 권취 드럼(70)에 전달하는 부재이다. 드럼 조인트(89)의 내측단에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그 축심에 제1 승강용 구동축(21)을 고정하는 고정 구멍이 형성되고, 제1 승강용 구동축(21)이 동심에 고정되어 있다.
드럼 조인트(89)의 외측단에 플랜지(1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126)의 외측단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대략 원형의 돌출부(1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27)에는 원환부(121) 내에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돌출부(127)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부(128)는 서로 180°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127)는 출력 드럼(87)의 원환부(121) 내에서 회전 가능하지만, 한 쌍의 돌부(128)는 출력 드럼(87)의 한 쌍의 걸어맞춤 돌기(123)에 걸어맞춤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용)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실시예의 일사 차폐 장치(1)의 작용을 이하 도 1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8)와 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9)는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이지만, 그 구성 및 작용은 대략 동일하므로, 이하, 제1 차폐재(3)를 승강시킬 때에 동작하는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8)의 작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은 각각 상하의 클러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도 10은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8)에 있어서 출력 드럼(87)에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조작 코드를 하방으로 당기기 시작한 순간, 또는 조작 코드를 당기지 않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은 출력 드럼(87)에 회전이 전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실선 화살표는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8)의 동작을 나타내고, 점선 화살표는 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9)의 동작을 나타낸다.
또, 도 10, 도 11에 있어서, 입력 플레이트(83), 프레임 플레이트(84) 및 출력 드럼(87)에 대해서는, 일사 차폐 장치(1)의 폭 방향 외측에서 본 측면을 각각 83R, 84R, 87R로 나타내고, 일사 차폐 장치(1)의 폭 방향 중심측에서 본 측면을 83L, 84L, 87L로 나타내며, 각각의 양측면을 편의적으로 실선으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도 12는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8)의 각 부의 동작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며, 횡방향은 시간의 진행을 나타내고 있고, t1 내지 t5는 각각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다.
지금부터 루프 형상의 조작 코드(30)의 일방측을 하방으로 당겨(도 10, 11의 실선 화살표 방향), 풀리 톱니바퀴(3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중간 톱니바퀴(29)를 통하여 제1 원동 톱니바퀴(3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원동 톱니바퀴(3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시 맞물린 입력반(8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도 12의 타이밍 t1 참조).
입력반(8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돌기(93)가 입력 플레이트(83)의 만곡 홈(95) 내에서, 기단(130)측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중에는 입력 플레이트(83)에는 입력반(81)의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다(도 10 참조). 입력반(81)이 각도 θ1 회전하고, 돌기(93)가 만곡 홈(95)의 선단(131)에 맞닿으면, 입력 플레이트(8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도 11, 도 12의 타이밍 t2 참조).
입력 플레이트(8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돌기(98)는 구동 돌기 받이 홈(107) 내를 그 기단(133)측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각도 θ2(30°) 회전하는데, 이 이동중에는 구동 돌기(98)를 통하여 프레임 플레이트(84)를 회전시키지 않고, 공회전이 된다(도 10 참조). 한편, 입력 플레이트(83)의 피봇 지지축(97)도 둘레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걸음 프레임(101)을 통하여 프레임 플레이트(84)를 입력 플레이트(83)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누름 스프링(86)이 센터 핀(85)의 보스부(115)에 탄력적으로 감겨 체결장착되어 있고, 이 누름 스프링(86)의 발(116)에 프레임 플레이트(84)의 규제 돌기(109)가 닿아, 프레임 플레이트(84)는 회전이 구속되므로, 프레임 플레이트(84)는 입력 플레이트(83)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프레임 플레이트(84)는 비회전 상태로 구속되기 때문에, 입력 플레이트(8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걸음 프레임(101)만이 피봇 지지축(97)에 의해 밀려, 프레임 안내 홈(106)을 따라 프레임 플레이트(84)의 외측으로 밀려나온다. 그 결과, 도 7(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음 프레임(101)의 걸어맞춤부(103)가 출력 드럼(87)의 걸음 볼록조부(125)에 걸어맞춰진다(도 12의 타이밍 t3 참조).
이 걸음 프레임(101)이 프레임 안내 홈(106)을 따라 프레임 플레이트(84)의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동작과 동시에, 상기 구동 돌기(98)가 구동 돌기 받이 홈(107) 내를, 상기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30° 이동하고, 도 7(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돌기 받이 홈(107)의 선단(134)에 맞닿는다. 그리고, 입력 플레이트(83)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프레임 플레이트(84)에 부여된다(도 12의 타이밍 t3 참조).
그러면, 규제 돌기(109)가 누름 스프링(86)의 발(116)을 그 탄력에 저항하여 더욱 둘레 방향을 향하여 강하게 압압하게 되고, 누름 스프링(86)에 의한 센터 핀(85)의 보스부(115)에 대한 체결을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결과, 누름 스프링(86)에 의한 프레임 플레이트(84)의 구속은 해제되어, 입력 플레이트(83)와 함께 누름 스프링(86) 및 프레임 플레이트(8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도 12의 타이밍 t3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걸음 프레임(101)의 걸어맞춤부(103)가 출력 드럼(87)의 걸음 볼록조부(125)에 걸어맞춰지면, 프레임 플레이트(84)가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출력 드럼(87)에 전달되어, 출력 드럼(87)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도 12의 타이밍 t3 참조).
출력 드럼(87)이 반시계 방향으로 각도 θ3(대략 반회전 조금 못됨) 회전한 후에, 출력 드럼(87)의 걸어맞춤 돌기(123)가 드럼 조인트(89)의 돌부(128)에 걸어맞춰지고, 드럼 조인트(8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승강용 구동축(21)을 통하여 제1 승강 코드 권취 드럼(70)을 회전시키고, 제1 차폐재(3)를 상승시킨다.
입력반과 입력 플레이트 사이의 회전 방향의 여유부 :
제1 차폐재(3)를 상승시킬 때의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8)의 작용은 이상과 같다. 이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8)의 특징으로서, 입력 플레이트(83)에 형성된 한 쌍의 만곡 홈(95)에 입력반(81)의 돌기(93)가 둘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입력반(81)과 입력 플레이트(83)는 양자간에 회전 방향으로 여유부를 갖게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입력반(81)만 공회전하는 공회전 기간을 두고나서 입력 플레이트(83)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입력반(81)과 입력 플레이트(83) 사이에 회전 방향으로 여유부를 갖게 하고 있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승강 조작 코드(30)를 일방측으로 당겨 풀리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차폐재(3)를 상승시키고 있는 도중에 승강 조작 코드(30)로부터 손을 떼면, 제1 차폐재(3)는 그 자중으로 강하를 개시하고, 제1 승강용 구동축(21), 드럼 조인트(89)를 통하여 시계 방향의 회전이 출력 드럼(87)에 전달된다(도 12의 타이밍 t4 참조).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차폐재(3)를 상승시키고 있는 도중에 승강 조작 코드(30)로부터 손을 떼고 강하 개시한 순간, 걸음 프레임(101)은 아직 도 7(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플레이트(84)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음 볼록조부(125)와의 걸어맞춤 위치에 있다. 즉, 승강 조작 코드(30)로부터 손을 떼는 것에 의해, 걸음 프레임(101)에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복귀 스프링(82)의 가압력이 입력 플레이트(83)의 피봇 지지축(97)을 통하여 작용해도, 걸음 프레임(101)은 프레임 안내 홈(106)과의 마찰력 등 때문에, 순간적으로는 입력 플레이트(83) 내의 끌어들임 위치에는 복귀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차폐재(3)가 그 자중으로 강하를 개시하고, 출력 드럼(87)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걸음 프레임(101)을 통하여 프레임 플레이트(84)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도 12 참조). 여기서, 만일, 입력 플레이트(83)에 형성된 한 쌍의 만곡 홈(95)에 입력반(81)의 한 쌍의 돌기(93)가 둘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여유부를 가지고 연결하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면, 프레임 플레이트(84)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입력반(81), 제1 원동 톱니바퀴(35), 중간 톱니바퀴(29), 제2 원동 톱니바퀴(36)를 통하여 제2 입력 플레이트(83)에 시계 방향의 회전을 전달한다.
요컨대, 제2 차폐재(5)를 상승시키는 시계 방향의 회전을 제2 입력 플레이트(83)에 전달하고자 한다. 그러나, 제2 차폐재(5)의 자중에 의해, 제2 입력 플레이트(83)에 시계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고, 이 결과, 제1 차폐재(3)는 강하할 수 없다. 따라서, 나중에 서술하는 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24)에 의한 스톱도 걸리지 않아, 공중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되어버린다.
또, 이러한 경우, 제2 차폐재(5)의 자중이 제1 차폐재(3)의 자중에 비해 비교적으로 큰 경우는, 제2 차폐재(5)의 자중에 의해 제2 승강용 구동축(25), 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9)를 통하여 제2 원동 톱니바퀴(36)에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전달되어, 이것이 중간 톱니바퀴(29)를 통하여 제2 원동 톱니바퀴(36)에 전달되어, 그 결과, 제1 차폐재가 강하하기는 커녕 상승하거나 하는 현상도 발생한다.
요컨대, 제1 차폐재(3)를 상승시키고 있는 도중에 승강 조작 코드(30)로부터 손을 떼어도, 제1 차폐재(3)는 강하하지 않고, 제1 차폐재(3)와 제2 차폐재의 자중의 대소에 따라, 제1 차폐재(3)는 상승하거나, 스토퍼(24)에 의한 스톱도 걸리지 않아, 공중에 매달려 있거나 하여 매우 불안정한 동작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사 차폐 장치(1)에서는 입력 플레이트(83)에 형성된 한 쌍의 만곡 홈(95)에 입력반(81)의 돌기(93)가 둘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입력반(81)과 입력 플레이트(83) 사이에 회전 방향으로 여유부를 갖게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불안정한 동작은 다음과 같이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차폐재(3)를 상승시키고 있는 도중에 승강 조작 코드(30)로부터 손을 떼면(도 12의 타이밍 t4 참조), 제1 차폐재(3)는 그 자중으로 강하를 개시하고, 드럼 조인트(89)를 통하여 시계 방향의 회전이 출력 드럼(87)에 전달되고, 또한, 프레임 플레이트(8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입력 플레이트(83)의 만곡 홈(95)을 입력반(81)의 돌기(93)가 여유부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다.
요컨대, 제2 차폐재의 자중에 의한 회전력(또는 회전 저항력)이 제2 원동 톱니바퀴(36), 중간 톱니바퀴(29), 제1 원동 톱니바퀴(35)를 통하여 입력반(81)에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으로서 전달되고 있어도, 그것에 저지되지 않고, 입력 플레이트(83)는 시계 방향으로 여유부를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이 결과, 제1 차폐재(3)는 강하가 가능해져, 약간 강하하고, 나중에 서술하는 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24)에 의해 스톱한다(도 12의 타이밍 t5 참조).
이 입력 플레이트(83)의 시계 방향의 여유부를 가지고 회전하는 공회전 기간 동안에, 걸음 프레임(101)은 복귀 스프링(82)에 의해, 프레임 안내 홈(106) 내에서 이동하여 입력 플레이트(83) 내의 끌어들임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입력 플레이트(83)의 시계 방향의 회전은 입력반(81)에 전달되지는 않는다. 또, 제1 차폐재(3)의 강하 동작은 제2 차폐재(5)의 자중의 영향을 받지도 않는다.
출력 드럼과 드럼 조인트의 여유부 :
드럼 조인트(89)의 돌출부(127)는 출력 드럼(87)의 원환부(121) 내에서 회전한다. 출력 드럼(87)이 드럼 조인트(89)에 대하여, 각도 θ3(대략 반회전 약간 못됨)만큼 회전하면, 출력 드럼(87)의 한 쌍의 걸어맞춤 돌기(123)와 드럼 조인트(89)의 한 쌍의 돌부(128)는 서로 걸어맞춰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드럼 조인트(89)와 출력 드럼(87)은 충분한 클리어런스(여유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1 차폐재(3)가 강하할 때에, 제1 승강용 구동축(36)의 구부러짐이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 드럼 조인트(89)가 편심하여 회전하여 덜컥거림이 생겨도, 드럼 조인트(89)와 출력 드럼(87)은 충분히 클리어런스를 가지고 있으므로, 낮은 저항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토퍼 장치의 작용 :
조작 코드(30)를 일방향으로 당겨 제1 승강용 구동축(2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24)에 있어서, 승강용 캠 축(50)의 우단홈(56) 내 및 승강용 캠 축(50)의 종형 홈(53) 내를 전동체(54)가 전동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손을 떼면, 전동체(54)는 우단홈(56)으로부터 V자 홈(58)으로 들어가, 오목부(59)에서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승강용 구동축(21)의 회전은 스톱이 걸려 정지하므로, 제1 차폐재(3)의 강하는 도중에 정지한다.
제1 차폐재(3)를 강하시킬 때에는, 조작 코드(30)를 일방향(도 10의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약간 당기고 나서 손을 떼면, 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24)에 있어서, 전동체(54)가 승강용 캠 홈(52)의 오목부(59)로부터 V자 홈(58), 연결 홈(57)을 전동하여 좌단홈(55) 내에 들어간다.
그러면, 제1 차폐재(3)의 자중으로 제1 승강 코드 권취 드럼(71) 및 제1 승강용 구동축(2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제1 차폐재(3)는 강하한다. 또한, 제1 승강용 구동축(2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38)에 의해, 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제1 원동 톱니바퀴(35)측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이상의 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24)의 작용은 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25)에 있어서도 준한다.
(실시예 2)
도 9는 본 발명의 일사 차폐 장치의 실시예 2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 2는 본 발명의 일사 차폐 장치를 실내측 및 실외측에 각각 전부 차폐재 및 후부 차폐재를 매달아 지지한 플리츠 스크린 장치 및 걷어올림식 커튼 장치에 적용한 실시예이다.
도 9(b)는 플리츠 스크린 장치에 적용한 일사 차폐 장치(140)이다. 이 일사 차폐 장치(140)의 전부 차폐재(141) 및 후부 차폐재(142)는 각각 플리츠 스크린이며, 제1 승강용 코드(143) 및 제2 승강용 코드(144)를 제1 승강 코드 권취 드럼(70) 및 제2 승강 코드 권취 드럼(71)으로 권취하고 되감음으로써, 승강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9(c)는 걷어올림식 커튼 장치에 적용한 일사 차폐 장치(150)이다. 이 일사 차폐 장치(150)의 전부 차폐재(151) 및 후부 차폐재(152)는 각각 커튼 원단이며, 제1 승강용 코드(153) 및 제2 승강용 코드(154)를 제1 승강 코드 권취 드럼(70) 및 제2 승강 코드 권취 드럼(71)으로 권취하고 되감음으로써, 승강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9(a)는 일사 차폐 장치(140, 150)의 헤드 박스(2)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낸다. 헤드 박스(2)에 있어서의 구성은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한 구성이며, 헤드 박스(2)에는 제1 승강용 구동축(21) 및 제2 승강용 구동축(22)이 서로 전후 위치에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헤드 박스(2)의 일단부에는 제1 승강용 구동축(21) 및 제2 승강용 구동축(22)을 구동하기 위한 풀리 조작 구동 장치(23)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1 승강용 구동축(21) 및 제2 승강용 구동축(22)에는 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24)와 제2 승강용 스토퍼 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승강용 구동축(21) 및 제2 승강용 구동축(22)의 구동력으로 회전 구동되는 트윈 권취 드럼 장치(26)가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 2에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1 승강용 구동축(21)과 제2 승강용 구동축(22)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풀리 조작 구동 장치(23)는 루프 형상의 볼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코드(30)를 당겨 제1 승강용 구동축(21) 및 제2 승강용 구동축(22)을 각각 회전 구동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풀리 조작 구동 장치(23)는 풀리(31), 회전력 전달 기구(32) 및 일방향 클러치 장치(33)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들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일사 차폐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일사 차폐 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이므로, 헤드 박스로부터 매달린 2장의 차폐재를 단일의 루프 형상의 승강 조작 코드에 의해 전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 동작시키는 플리츠 스크린 장치, 셔터 장치, 블라인드 장치 등의 일사 차폐 장치(1)에 적용 가능하다.
1…트윈 타입의 일사 차폐 장치
2…헤드 박스
3…제1 차폐재
4…중간 레일
5…제2 차폐재
6…바텀 레일
7…승강 코드 구멍
8…제1 승강 코드
9…제2 승강 코드
21…제1 승강용 구동축
22…제2 승강용 구동축
23…풀리 조작 구동 장치
24…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
25…제2 승강용 스토퍼 장치
26…트윈 권취 드럼 장치
29…중간 톱니바퀴
30…조작 코드
31…풀리
32…회전력 전달 기구
33…일방향 클러치 장치
34…풀리 톱니바퀴
35…제1 원동 톱니바퀴
36…제2 원동 톱니바퀴
38…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
39…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
50…캠 축
51…캠 케이스
52…캠 홈
53…캠 케이스의 종형 홈
54…전동체
55…좌단홈
56…우단홈
57…연결 홈
58…V글 홈
59…오목부
70…제1 승강 코드 권취 드럼
71…제2 승강 코드 권취 드럼
81…입력반
82…복귀 스프링
83…입력 플레이트
84…프레임 플레이트
85…센터 핀
86…누름 스프링
87…출력 드럼
88…슬리브
89…드럼 조인트
91…입력반의 맞물림부
92…입력반의 내측면
93…입력반의 돌기
94…입력 플레이트의 외측면
95…입력 플레이트의 만곡 홈
96…입력 플레이트의 내측면
97…입력 플레이트의 피봇 지지축
98…입력 플레이트의 구동 돌기
101…걸음 프레임
102…걸음 프레임 피봇 지지 구멍
103…걸음 프레임의 걸어맞춤부
105…프레임 플레이트의 외측면
106…프레임 플레이트의 프레임 안내 홈
107…프레임 플레이트의 구동 돌기 받이 홈
108…프레임 플레이트의 내측면
109…프레임 플레이트의 V자형의 규제 돌기
110…프레임 플레이트 축 구멍
115…센터 핀의 보스부
116…누름 스프링의 양단의 2개의 발
120…출력 드럼의 원통부
121…출력 드럼의 원환부
122…출력 드럼의 결합부
123…원환부의 걸어맞춤 돌기
125…출력 드럼의 걸음 볼록조부
126…드럼 조인트의 플랜지
127…드럼 조인트의 돌출부
128…드럼 조인트의 돌출부의 돌부
130…입력 플레이트 만곡 홈의 기단
131…입력 플레이트 만곡 홈의 선단
133…프레임 플레이트의 구동 돌기 받이 홈의 기단
134…프레임 플레이트의 구동 돌기 받이 홈의 선단
140, 150…일사 차폐 장치
141, 151…제1 차폐재
142, 152…제2 차폐재
143, 153…제1 승강용 코드
144, 154…제2 승강용 코드

Claims (6)

  1. 헤드 박스와, 헤드 박스로부터 매달려 제1 승강 코드 및 제2 승강 코드로 승강되는 제1 차폐재 및 제2 차폐재와, 헤드 박스에 설치된 제1 승강 코드 권취 드럼 및 제2 승강 코드 권취 드럼, 및 풀리 조작 구동 장치를 구비한 일사 차폐 장치로서,
    풀리 조작 구동 장치는 조작 코드로 회전 방향을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되는 풀리와, 풀리의 회전 중, 서로 역방향의 제1 방향의 회전 및 제2 방향의 회전을, 제1 승강 코드 권취 드럼 및 제2 승강 코드 권취 드럼에 각각 전달하는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 및 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를 구비하고,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 및 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는 각각 센터 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입력반, 입력 플레이트, 프레임 플레이트 및 출력 드럼을 구비하고,
    입력반과 입력 플레이트는 회전 방향으로 여유부를 가지고 연결되어 있고,
    프레임 플레이트에는 걸음 프레임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안내 홈이 설치되어 있고,
    걸음 프레임은 입력 플레이트에 피봇 지지되고, 상시, 입력 플레이트와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복귀 스프링에 의해 입력 플레이트를 통하여, 안내 홈 내에서 프레임 플레이트 내에 유지되도록 가압되어 있고, 풀리의 회전력에 의해 입력반을 통하여 입력 플레이트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안내 홈을 따라 프레임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출력 드럼의 걸음 돌조부와 걸어맞춰져, 입력 플레이트의 회전을 출력 드럼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 차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 플레이트는 내측면에 피봇 지지축과 구동 돌기를 가지고, 이 피봇 지지축에 걸음 프레임이 피봇 지지되어 있고,
    프레임 플레이트는 외측면에 상기 걸음 프레임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안내 홈과 함께, 둘레 방향을 따른 만곡 형상의 구동 돌기 받이 홈을 가지고, 내측면에 규제 돌기를 가지고,
    입력 플레이트와 프레임 플레이트 사이에는, 서로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귀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고,
    센터 핀에 이 센터 핀을 체결하는 누름 스프링이 감겨 있고, 이 누름 스프링의 양단의 발이 상기 프레임 플레이트의 규제 돌기의 양측에 위치하여, 맞닿음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출력 드럼은 내주면에 걸음 프레임과 걸어맞춤 가능한 걸음 돌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 차폐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출력 드럼은 외측에 원통부를 내측에 원환부를 가지고, 원통부에는 프레임 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게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걸음 프레임과 걸어맞춤 가능한 걸음 돌조부가 원통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 차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출력 드럼의 원환부의 내주면에는 걸어맞춤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원환 내에서 회전 가능한 드럼 조인트가 출력 드럼과 동심에 설치되어 있고, 이 드럼 조인트에는 출력 드럼의 원환부의 걸어맞춤 돌기와 걸어맞춤 가능한 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출력 드럼과 드럼 조인트의 회전 방향에는 여유부를 가지고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 차폐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 및 제2 승강용 일방향 클러치는 각각 제1 승강용 구동축 및 제2 승강용 구동축을 통하여 제1 승강 코드 권취 드럼 및 제2 승강 코드 권취 드럼에 접속되어 있고,
    제1 승강용 구동축 및 제2 승강용 구동축을 따른 위치에, 각각 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 및 제2 승강용 스토퍼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 차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제1 승강용 스토퍼 장치 및 제2 승강용 스토퍼 장치는 각각 제1 승강용 구동축 및 제2 승강용 구동축에 동일 축에서 고정된 캠 축과, 이 캠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캠 케이스를 구비하고,
    캠 축의 외주면 및 캠 케이스 중 일방에 캠 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방에 축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종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캠 홈 및 종형 홈 내를 전동하는 전동체가 장입되어 있고, 조작 코드의 조작에 의해, 각각 제1 승강용 구동축 및 제2 승강용 구동축의 회전 및 정지를 제어하고, 제1 차폐재 및 제2 차폐재의 승강 또는 정지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 차폐 장치.
KR1020137022594A 2011-04-08 2012-04-02 일사 차폐 장치 KR101913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86398A JP5666965B2 (ja) 2011-04-08 2011-04-08 日射遮蔽装置
JPJP-P-2011-086398 2011-04-08
PCT/JP2012/058931 WO2012137731A1 (ja) 2011-04-08 2012-04-02 日射遮蔽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870A true KR20140007870A (ko) 2014-01-20
KR101913167B1 KR101913167B1 (ko) 2018-10-30

Family

ID=46969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594A KR101913167B1 (ko) 2011-04-08 2012-04-02 일사 차폐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027627B2 (ko)
EP (1) EP2696025B1 (ko)
JP (1) JP5666965B2 (ko)
KR (1) KR101913167B1 (ko)
CN (1) CN103459748B (ko)
AU (1) AU2012239342B2 (ko)
ES (1) ES2588104T3 (ko)
HK (1) HK1189256A1 (ko)
TW (1) TWI539073B (ko)
WO (1) WO2012137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84514A1 (en) * 2010-04-12 2012-11-29 Tachikawa Blind Mfg Operation apparatus of sunlight shielding apparatus, lifting apparatus of roll-up blind and operation pulley
JP5548013B2 (ja) 2010-04-14 2014-07-16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US8936062B2 (en) * 2013-03-18 2015-01-20 Hua-Chi Huang Curtain structure without drawstring
JP6218431B2 (ja) * 2013-05-15 2017-10-25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
JP6258604B2 (ja) * 2013-05-15 2018-01-10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プリーツスクリーン
JP6184883B2 (ja) * 2014-01-30 2017-08-23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用クラッチ装置
JP6219739B2 (ja) * 2014-02-05 2017-10-25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用操作装置
CN204126527U (zh) * 2014-08-19 2015-01-28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窗帘及其遮蔽结构的升降控制模块
TWI564468B (zh) * 2014-11-17 2017-01-0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及其致動系統
WO2016186064A1 (ja) * 2015-05-19 2016-11-24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伝達遅延ユニット、遮蔽材昇降装置
CA3045262A1 (en) * 2015-12-03 2017-06-08 Tachikawa Corporation Clutch apparatus and shielding apparatus
JP6998130B2 (ja) * 2016-05-17 2022-01-18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遅延ユニット、コード支持装置、及び横型ブラインド
US9957750B2 (en) 2016-06-09 2018-05-01 Whole Space Industries Ltd Window covering positional adjustment apparatus
DE102017206131A1 (de) * 2017-04-10 2018-10-11 Thyssenkrupp Ag Antriebswelle für eine Aufzugsanlage
JP7090457B2 (ja) * 2018-04-05 2022-06-24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遮蔽装置、及び遮蔽材駆動装置
JP7137394B2 (ja) * 2018-08-06 2022-09-14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US11866994B2 (en) 2019-02-04 2024-01-09 LG Energy Solution, LTD Roller blind actuation mechanism, spool housing assembly and cable-covering tube system for a roller blind actuation assembly
US11767712B2 (en) * 2020-01-16 2023-09-26 Teh Yor Co., Ltd.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WO2021183395A1 (en) * 2020-03-09 2021-09-16 Teh Yor Co., Ltd.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CN215169592U (zh) * 2020-12-24 2021-12-14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双向开合式窗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2423A (en) * 1982-10-31 1987-05-05 Kabushiki Kaisha Nichibei Device for operating roll-screen
US4724885A (en) * 1986-11-28 1988-02-16 Chang A Shen Semi-automatic shutter slat orientation adjustment and drape release control as applied in a double-layer window drape compatible with venetian blind slats
US5566741A (en) * 1993-06-02 1996-10-22 Kabushiki Kaisha Nichibei Roll screen apparatus
JPH10292754A (ja) * 1997-04-15 1998-11-04 Nichibei Co Ltd ロータリ減速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ロールスクリーン
JP3691373B2 (ja) * 2000-10-05 2005-09-07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JP3077194U (ja) * 2000-10-24 2001-05-11 株式会社シネマ工房 映写スクリーン等のシート巻取装置
JP4119692B2 (ja) * 2002-06-14 2008-07-16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日射遮蔽材昇降装置
DE60307868T2 (de) * 2002-09-30 2007-09-06 Toso Co., Ltd. Hubseilwickelvorrichtung für sonnenenergieabschirmvorrichtung
US8079398B2 (en) * 2003-09-05 2011-12-20 Tatusabu Tsukamoto Blind
JP4440802B2 (ja) * 2005-02-28 2010-03-24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US20070199663A1 (en) 2006-02-27 2007-08-30 Yang Nelson T Two-way elevation curtain structure
JP4870517B2 (ja) * 2006-03-09 2012-02-08 トーソー株式会社 ローマンシェード
JP4750663B2 (ja) * 2006-09-29 2011-08-17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JP5075501B2 (ja) 2007-06-25 2012-11-21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方法及び遮蔽材昇降装置
JP5102737B2 (ja) * 2008-10-23 2012-12-19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JP5315009B2 (ja) 2008-11-05 2013-10-16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59748A (zh) 2013-12-18
ES2588104T3 (es) 2016-10-28
US20140290871A1 (en) 2014-10-02
JP5666965B2 (ja) 2015-02-12
JP2012219507A (ja) 2012-11-12
EP2696025B1 (en) 2016-05-25
HK1189256A1 (en) 2014-05-30
WO2012137731A1 (ja) 2012-10-11
AU2012239342B2 (en) 2016-08-25
US9027627B2 (en) 2015-05-12
TW201300625A (zh) 2013-01-01
EP2696025A1 (en) 2014-02-12
KR101913167B1 (ko) 2018-10-30
EP2696025A4 (en) 2014-11-05
TWI539073B (zh) 2016-06-21
AU2012239342A1 (en) 2013-10-17
CN103459748B (zh)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7870A (ko) 일사 차폐 장치
JP4440802B2 (ja) ブラインド
KR20180104741A (ko) 창문 차양 및 창문 차양의 작동 시스템
JP2000145328A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及び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駆動装置
JP2008231913A (ja) 日射遮蔽材昇降装置
JP4729595B2 (ja) 日射遮蔽材昇降装置
JP6666125B2 (ja) ツインタイプの日射遮蔽装置
JP5859801B2 (ja) 日射遮蔽装置
JP5376708B2 (ja)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
JP4474090B2 (ja) 日射遮蔽材昇降装置
JP2004016422A (ja) 日射遮蔽材昇降装置
JP2011094458A (ja) 遮蔽装置
JP5421069B2 (ja) 遮蔽装置
JP6795346B2 (ja) 日射遮蔽装置における保持手段を備えたクラッチユニット
JP2010133243A (ja) 日射遮蔽材昇降装置
JP4516812B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駆動装置及び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JP5309241B2 (ja) 日射遮蔽材昇降装置
JP6795345B2 (ja) 日射遮蔽装置における保持手段を備えたクラッチユニット
JP6709044B2 (ja) 日射遮蔽装置
JPH0726862A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