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741A - 창문 차양 및 창문 차양의 작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문 차양 및 창문 차양의 작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741A
KR20180104741A KR1020187025295A KR20187025295A KR20180104741A KR 20180104741 A KR20180104741 A KR 20180104741A KR 1020187025295 A KR1020187025295 A KR 1020187025295A KR 20187025295 A KR20187025295 A KR 20187025295A KR 20180104741 A KR20180104741 A KR 20180104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restricting
spring
follower
rotary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2596B1 (ko
Inventor
친-티엔 후앙
치엔- 랜 후앙
Original Assignee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04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5Immobilising devices preventing rai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4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roller-type; Roller shutters with adjust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35Two vertical sheets and slats in-betw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06B2009/3222Cordless, i.e. user interface without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lind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창문 차양을 위한 작동 시스템은, 고정된 지지 샤프트, 상기 지지 샤프트와 피봇운동하게 연결된 회전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드럼은 창문 차양의 차양 구조체를 감거나 풀기 위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회전 드럼내에 배열된 제한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 기구는 나사 부분, 정지 부분, 제한 부분 및 종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 부분은 상기 지지 샤프트상에 제공되며, 상기 정지 부분 및 제한 부분은 각각 상기 나사 부분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와 인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종동자는 상기 나사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종동자는 상기 회전 드럼과 회전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전 드럼에 대해 미끄럼 운동하며, 상기 회전 드럼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종동자를 구동하여 제한 부분과 결합하기 위한 제1 위치를 향해 미끄럼 운동시키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종동자를 구동하여 정지 부분과 결합하기 위한 제2 위치를 향해 미끄럼 운동시킨다.

Description

창문 차양 및 창문 차양의 작동 시스템
본 PCT 출원은, 본 명세세에서 참고로 포함되고 2016년 9월 19일에 출원된 타이완 특허 출원 제105130221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발명은, 창문 차양 및 창문 차양의 작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베네치안 블라인드, 허니콤 차양(shades), 롤러 차양, 두 개의 패널 조립체들을 가진 차양 등과 같은 다수 형태의 창문 차양들이 시장에서 시판된다. 두 개의 패널들을 가진 차양과 관련하여, 두 개의 패널들을 포함한 차양 조립체는 보통 회전 드럼과 연결되고, 회전 드럼을 회전 상태로 구동하여 차양 조립체가 회전 드럼 주위에 감기거나 회전 드럼으로부터 풀릴 수 있도록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코드(cord)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조의 문제점에 의하면, 상기 구조는 과도한 길이의 코드를 요구하여 창문 차양의 외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긴 코드에 아동 교살의 위험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의 해결책은 회전 드럼을 구동하기 위한 스프링 조립체를 이용하고 사용자는 코드를 작동할 필요없이 차양 조립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차양 조립체의 바닥 부분을 직접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해결책은 차양 조립체의 특정 길이 및 중량을 위해 엄격하게 적응되는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며 차양 조립체의 크기에 따라 수정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적어도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거나 개선하고 편리하게 작동하는 창문 차양이 필요하다.
본 출원은, 창문 차양 및 창문 차양과 이용되는 작동 시스템을 설명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창문 차양은, 지지 샤프트와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헤드 레일, 차양 구조체, 바닥 부분, 스프링 유닛, 제한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차양 구조체는 제1 및 제2 매달림 부분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및 제2 매달림 부분은 각각 서로 마주보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진다. 상기 회전 드럼은 상기 지지 샤프트와 피봇운동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매달림 부분의 제1 단부들과 각각 고정되며, 상기 회전 드럼은 상기 회전 드럼 주위에 상기 차양 구조체를 감기 위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이고 상기 회전 드럼으로부터 상기 차양 구조체를 풀기 위한 제2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바닥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매달림 부분의 제2 단부들과 각각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과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을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편향시키기 위해 작동한다. 상기 제한 기구는 상기 지지 샤프트 및 회전 드럼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한 기구는 불구속 상태 및 구속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제한 기구의 불구속 상태는 회전드럼이 제1 및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며, 제한 기구의 구속 상태는 회전 드럼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한 기구는 상기 차양 구조체가 상기 회전 드럼으로부터 완전히 연장될 때 제2 방향을 따르는 회전 드럼의 제한된 회전 변위에 의해 불구속 상태로부터 구속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창문 차양을 위한 작동 시스템은, 고정된 지지 샤프트, 상기 지지 샤프트와 피봇운동하게 연결되고 차양 구조체와 연결된 회전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드럼은 창문 차양의 차양 구조체를 감거나 풀기 위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회전 드럼내에 배열된 제한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 기구는 나사 부분, 정지 부분, 제한 부분 및 종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 부분은 상기 지지 샤프트상에 제공되며, 상기 정지 부분 및 제한 부분은 각각 상기 나사 부분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와 인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종동자는 상기 나사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종동자는 상기 회전 드럼과 회전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전 드럼에 대해 미끄럼 운동한다. 상기 회전 드럼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종동자를 구동하여 제한 부분과 결합하기 위한 제1 위치를 향해 미끄럼 운동시키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종동자를 구동하여 정지 부분과 결합하기 위한 제2 위치를 향해 미끄럼 운동시킨다.
도 1은 완전히 상승되거나 집어 넣어진 상태를 가진 창문 차양(window shade)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완전히 하강되고 밀폐된 상태를 가진 창문 차양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완전히 하강되고 개방된 상태를 가진 창문 차양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창문 차양내에 제공된 작동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작동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
도 6은 작동 시스템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상기 작동 시스템내에서 회전 드럼과 매달림 부분들의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0 내지 도 11은 상기 작동 시스템의 스프링 유닛을 서로 다른 두 가지 시각에서 본 두 개의 사시도.
도 12는 스프링 유닛을 도시한 분해도.
도 13은 스프링 유닛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14는, 대부분의 차양 구조체가 회전 드럼 주위에 감길 때 스프링 유닛의 비틀림 스프링을 도시한 개략도.
도 15는 대부분의 차양 구조체가 회전 드럼으로부터 풀릴 때 스프링 유닛의 비틀림 스프링을 도시한 개략도.
도 16은 작동 시스템내에 제공된 스프링 조정 기구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17은, 스프링 유닛내부의 비틀림 스프링(들)이 과도한 편향 하중을 제공할 때 창문 차양을 도시한 개략도.
도 18은 스프링 조정 기구내에 제공된 조정 부분의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
도 19는 제1 방향으로 스프링 조정 기구의 예시적인 조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0은 상기 스프링 조정 기구가 제1 방향으로 조정된 후에 스프링 유닛의 비틀림 스프링을 도시한 개략도.
도 21은, 스프링 유닛내부의 비틀림 스프링(들)이 과도하게 약한 편향 하중을 제공할 때 창문 차양을 도시한 개략도.
도 22는 제2 방향으로 스프링 조정 기구의 예시적인 조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3은 제2 방향으로 스프링 조정 기구가 조정된 후에 스프링 유닛의 비틀림 스프링을 도시한 개략도.
도 24 및 도 25는 작동 시스템의 제한 기구를 서로 다른 두 가지 시각으로 본 두 개의 사시도.
도 26은 제한 기구를 도시한 분해도.
도 27은 제한 기구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28은 제한 기구의 일부 세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대부분의 차양 구조체가 회전 드럼 주위에 감길 때 창문 차양을 도시한 개략도.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것처럼 대부분의 차양 구조체가 회전 드럼 주위에 감길 때 제한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1은 창문 차양내에서 차양 구조체의 하향 조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것처럼 차양 구조체가 하향 조정되는 동안 제한 기구의 중간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3은 바닥 부분이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할 때 제한 기구를 구속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창문 차양의 바닥 부분의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
도 34 및 도 35는 제한 기구가 구속상태로 전환될 때 제한 기구의 일부분을 도시한 두 개의 개략도.
도 36은, 바닥 부분이 가장 낮은 위치에 구속될 때 창문 차양을 도시한 개략도.
도 37은, 구속 상태를 가진 제한 기구의 일부분을 도시한 개략도.
도 38은, 구속 상태를 가진 제한 기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39는 상기 제한 기구를 불구속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바닥 부분의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
도 40 및 도 41은, 제한 기구가 불구속 상태로 전환될 때 제한 기구의 일부분을 도시한 두 개의 개략도.
도 42는 바닥 부분이 가장 낮은 위치에서 불구속될 때 창문 차양을 도시한 개략도.
도 43은 제한 기구내에 제공된 제한 설정 조립체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44는 원하는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한 창문 차양의 바닥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5는 바닥 부분이 도 44에 도시된 원하는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할 때 제한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6은 도 44에 도시된 원하는 가장 높은 위치보다 낮게 위치하는 바닥 부분의 실제 가장 높은 위치를 가지는 창문 차양을 도시한 개략도.
도 47은 바닥 부분이 도 46에 도시된 실제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할 때 제한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48은 제한 설정 조립체내에 제공된 조정 부분의 예시적인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
도 49는 제1 방향으로 제한 설정 조립체의 예시적인 조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50은 도 44에 도시된 원하는 가장 높은 위치보다 높은 바닥 부분의 실제 가장 높은 위치를 가지는 창문 차양을 도시한 개략도.
도 51은, 바닥 부분이 도 50에 도시된 실제 가장 높은 위치에 있을 때 제한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52는 제한 설정 조립체를 제2 위치에 조정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1은, 완전히 상승되거나 집어 넣어진 상태를 가진 창문 차양(window shade)(100)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완전히 하강되고 밀폐된 상태를 가진 창문 차양(100)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완전히 하강되고 개방된 상태를 가진 창문 차양(1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창문 차양(100)내에 제공된 작동 시스템(1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할 때, 창문 차양(100)은 헤드 레일(102), 차양 구조체(104) 및 상기 차양 구조체(104)의 바닥에 배열된 바닥 부분(106)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상기 창문 차양(100)은 사용하는 동안 바닥 부분(106)에 의해 작동되고 조정될 수 있는 코드없는 차양일 수 있다.
상기 헤드 레일(102)은 모든 형태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헤드 레일(102)은 한 개이상의 부착 브라켓(109)에 의해 창문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차양 구조체(104) 및 바닥 부분(106)은 상기 헤드 레일(102)로부터 매달리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레일(102)은 공동(108)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차양 구조체(104) 및 바닥 부분(106)의 상향 및 하향 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작동 시스템(110)이 상기 공동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양 구조체(104)는 복수 개의 횡 방향 베인(112) 및 두 개의 매달림 부분(suspending part)(114,116)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횡 방향 베인(112)은 기다란 형상을 가지고 전체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횡 방향 베인(112)을 위한 재료의 예들이 직물 재료, 플라스틱 스트립 등과 같은 가요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횡 방향 베인(112)은 상기 두 개의 매달림 부분(114,116)들의 길이를 따라 전체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분포되고 각각의 횡 방향 베인(112)이 가지는 두 개의 종 방향 변부(112A,112B)들은 각각 두 개의 매달림 부분(114,116)에 부착된다.
상기 두 개의 매달림 부분(114,116)은 비제한적으로 직물 재료 및 플라스틱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는 부드러운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매달림 부분(114,116)들은 비제한적으로 코드, 스트립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모든 적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매달림 부분(114,116)은 예시적인 두 개의 패널들이고 각각의 횡 방향 베인(112)이 가지는 두 개의 종 방향 변부(112A,112B)는 상기 두 개의 패널과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두 개의 매달림 부분(114,116)들은 매달린 코드 또는 스트립일 수 있고 각각의 횡 방향 베인(112)이 가지는 두 개의 종 방향 변부(112A,112B)는 각각 매달린 코드 또는 스트립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매달림 부분(114)은 두 개의 마주보는 단부(114A,114B)를 가지고 매달림 부분(116)은 두 개의 마주보는 단부(116A,116B)를 가질 수 있다. 매달림 부분(114,116)의 각 단부(114A,116A)는 작동 시스템(110)과 연결될 수 있고 매달림 부분(114,116)의 각 단부(114B,116B)는 바닥 부분(106)에 부착될 수 있다.
작동 시스템(110)은 헤드 레일(102)내에서 차양 구조체(104)를 감거나 차양 구조체(104)를 풀도록 작동하여 작동 시스템은 헤드레일(102)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시스템(110)은 상기 횡 방향 베인(112)의 각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두 개의 매달림 부분(114,116)들사이에서 상대 변위를 제공하도록 추가로 작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횡 방향 베인(112) 및 매달림 부분(114,116)은 서로 다른 광선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횡 방향 베인(112)은 상기 매달림 부분(114,116)보다 덜 투명하고 더욱 불투명하고 차양 구조체(104)를 통과하는 광선 통과 정도는 상기 횡 방향 베인(112)의 각 위치를 변경하여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횡 방향 베인(112)이 전체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할 때, 횡 방향 베인(112)은 차양 구조체(104)를 통과하는 광선의 통과를 방해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밀폐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상기 횡 방향 베인(112)이 전체적으로 수평으로 위치할 때 차양 구조체(104)를 통과하는 광선의 통과는 횡 방향 베인(112)들사이의 간격에서 허용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개방상태에 해할 수 있다.
상기 바닥 부분(106)은 상기 차양 구조체(104)의 바닥에 배열되고 상기 매달림 부분(114,116)의 단부(114B,116B)에 각각 부착된 전방 및 후방 측부를 가질 수 있다. 구조적 예에 따라, 상기 바닥 부분(106)은 기다란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중량 구조체들이 적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닥 부분(106)은 상기 바닥 부분(106)의 용이한 수동 조작을 위한 핸들(10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도 5는 작동 시스템(110)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도이고, 도 6은 작동 시스템(110)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할 때, 상기 헤드 레일(102)은 헤드 레일(102)의 마주보는 단부들에서 고정된 상태로 부착된 두 개의 지지 브라켓(117A,117B)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작동 시스템(110)은 상기 두 개의 지지 브라켓(117A,117B)들사이에서 상기 헤드 레일(102)내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레일(102)은 상기 헤드 레일(102)에 대해 매력적인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두 개의 지지 브라켓(117A,117B)의 외측부를 각각 덮는 두 개의 단부 캡(111A,111B)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시스템(110)은 정치식 지지 샤프트(118), 회전 드럼(120), 스프링 유닛(122) 및 제한 기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샤프트(118)는 상기 헤드 레일(102)과 고정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샤프트(118)는 고정구(126)에 의해 상기 헤드 레일(102)의 지지 브라켓(117A)과 고정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지지 샤프트(118)는 상기 헤드 레일(102)내에서 회전할 수 없고 정지된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회전 드럼(120)은 두 개의 마주보는 단부(120A,120B)들을 가지고 상기 지지 샤프트(118)는 단부(120A)를 통해 회전 드럼(120)의 중공 내부속으로 삽입될 수 있어서, 회전 드럼(120)은 피봇 축(P) 주위에서 상기 지지 샤프트(118)와 피봇운동하도록 연결된다. 구성예에 따라, 상기 지지 샤프트(118)는 확대된 부분(118A)을 가지고 상기 회전 드럼(120)의 단부(120A)는 확대된 부분(118A)과 피봇회전하도록 연결된 베어링(130)과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확대된 부분(118A)은 단부(120A)에서 회전 드럼(120)을 위한 피봇 지지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드럼(120)은 상기 매달림 부분(114,116)의 단부(114A,116A)와 각각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매달림 부분(114,116)의 단부(114A,116A)는 직경방향으로 마주보는 두 개의 위치들에서 상기 회전 드럼(12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매달림 부분(114,116)의 단부(114A,116A)과 상기 회전 드럼(120)을 연결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할 때, 상기 매달림 부분(114)의 단부(114A)는 앵커 스트립(132)과 고정되고 회전 드럼(120)의 주변 표면은 상기 앵커 스트립(132)의 폭보다 작은 개구부(134A)를 가진 슬롯(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달림 부분(114)의 단부(114A)를 회전 드럼(120)에 부착하기 위해, 매달림 부분(114)의 일부분은 상기 앵커 스트립(132)위에서 접혀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앵커 스트립(132) 및 매달림 부분(114)의 접힘부분은 슬롯(134)속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매달림 부분(114)은 슬롯(134)외측에서 연장된다. 다음에, 매달림 부분(114)은 회전 드럼(120)으로부터 떨어져 끌어당겨져서 상기 매달림 부분(114)의 접힘 부분은 상기 슬롯(134)내에서 상기 앵커 스트립(132)을 상향으로 가압하며, 앵커 스트립(132)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슬롯(134)내에 단단히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매달림 부분(116)의 단부(116A)는 동일하게 회전 드럼(12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할 때, 상기 회전 드럼(120)이 제1 또는 감김 방향(R1)으로 회전하면 차양 구조체(104)는 회전 드럼(120) 주위에서 감길 수 있고 바닥 부분(106)이 상승될 수 있고, 상기 회전 드럼(120)이 감김 방향(R1)과 반대인 제2 또는 풀림 방향(R2)으로 회전하면 차양 구조체(104)는 회전 드럼(120)으로부터 풀리고 연장되고 바닥 부분(106)이 하강될 수 있다. 바닥 부분(106)이 수직으로 이동할 때, 차양 구조체(104)는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고 횡 방향 베인(112)은 전체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고 두 개의 매달림 부분(114,116)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다.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도 10 및 도 11은 서로 다른 두 개의 투시각에서 스프링 유닛(122)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스프링 유닛(122)을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13은 상기 스프링 유닛(122)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 도 6 및 도 10 내지 도 13을 참고할 때, 스프링 유닛(122)은 상기 헤드 레일(102)의 지지 브라켓(117B)과 인접하게 배열되고 회전 드럼(120)과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바닥 부분(106)을 상승시킬 때 상기 스프링 유닛(122)은 상기 차양 구조체(104)를 감기 위하여 상기 회전 드럼(120)을 회전상태로 편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유닛(122)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 하중은 상기 헤드 레일(102)에 대하여 상기 바닥 부분(106)을 원하는 위치에 정지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스프링 유닛(122)은 샤프트 조립체(136), 한 개이상의 하우징 부분(들)(138) 및 한 개이상의 비틀림 스프링(들)(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조립체(136)는 하우징 부분(들)(138), 한 개이상의 스프링 베어링(들)(144) 및 커플링 부분(146)을 통해 연장되는 샤프트(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42)는 헤드 레일(102)의 지지 브라켓(117B)과 인접한 위치에 조립되고 상기 지지 샤프트(118)와 실질적으로 공축을 이루는 피봇 축(P)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142)는 차양 구조체(104)가 상향 및 하향 운동하는 동안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성예에 의하면, 고정된 고정 소켓(145)이 헤드 레일(102)의 지지 브라켓(117B)에 고정된 상태로 부착되고 샤프트(142)의 단부는 상기 고정된 소켓(145)을 통해 고정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소켓(145)은 샤프트 조립체(136)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베어링(들)(144)은 공축을 이루며 샤프트(142)와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어 스프링 베어링(들)(144) 및 샤프트(142)는 서로 회전하며 결합된다. 커플링 부분(146)은 상기 스프링 베어링(들)(144)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떨어진 샤프트(142)에 고정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 부분(146) 및 샤프트(142)는 서로 회전하며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부분(들)(138)은 샤프트(142)와 피봇회전하게 연결되고 따라서 상기 샤프트 조립체(136)에 대해 회전운동할 수 있다. 구성예에 의하면, 각각의 하우징 부분(138)은 하나의 비틀림 스프링(140)과 연결되어 스프링 유닛(122)내에 제공된 하우징 부분(들)(138)의 갯수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140)의 갯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스프링 유닛(122)은 두 개의 비틀림 스프링(140) 및 상기 두 개의 비틀림 스프링(140)을 각각 둘러싸는 두 개의 하우징 부분(138)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부분(138)은 서로 연결되어 하우징 부분들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각각의 비틀림 스프링(140)은 하나의 하우징 부분(138)내에 배열되고 상기 샤프트 조립체(136) 주위에 코일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비틀림 스프링(140)의 제1 단부는 하우징 부분(138)에 부착되고 비틀림 스프링(140)의 제2 단부는 샤프트 조립체(136)의 스프링 베어링(144)에 부착될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14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 부분(138)은 측부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측부 개구부를 통해 상기 비틀림 스프링(140)은 상기 하우징 부분(138)내에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측부 개구부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140)이 상기 하우징 부분(138)내에 조립된 후에 측부 커버(138A)에 의해 밀폐된다. 또한, 두 개의 와셔(147)들이 비틀림 스프링(14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열되어 측면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드럼(120)의 단부(120B)는 커플링 베어링(150)과 연결되고 다음에 고정된 고정 소켓(145)과 피봇운동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소켓(145)은 상기 회전 드럼(120)의 단부(120B)를 피봇운동하며 지지할 수 있다. 스프링 유닛(122)은 회전 드럼(120)의 중공 내부에 배열될 수 있고 각각의 하우징 부분(138)은 회전 드럼(120)의 내부 표면에 회전운동하며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부분(138) 및 회전 드럼(120)은 상기 샤프트 조립체(136)에 대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이용시, 상기 비틀림 스프링(140)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력은 차양 구조체(104) 및 바닥 부분(106)의 중량을 상쇄시켜서 임의 높이에서 상기 차양 구조체(104) 및 바닥 부분(106)을 정지된 상태로 용이하게 유지한다. 또한, 이용자가 바닥 부분(106)을 상승시킬 때, 상기 비틀림 스프링(140)에 의해 가해지는 토크는 상기 하우징 부분(138) 및 회전 드럼(120)을 샤프트 조립체(136)에 대해 일체로 회전시켜서 차양 구조체(104)를 감는다. 도 14는 대부분의 차양 구조체(104)가 회전 드럼(120) 주위에 감길 때 하나의 비틀림 스프링(140)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15는 대부분의 차양 구조체(104)가 회전 드럼(120)으로부터 풀릴 때 하나의 비틀림 스프링(140)의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비틀림 스프링(140)의 코일들은 서로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고 대부분의 차양 구조체(104)가 회전 드럼(120) 주위에 감길 때 전반적으로 상기 하우징 부분(138)의 내부 벽과 근접하게 위치한다. 대조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비틀림 스프링(140)의 코일들은 하우징 부분(138)의 내부 벽으로부터 분리되고 대부분의 차양 구조체(104)가 회전 드럼(120)으로부터 풀릴 때 전반적으로 상기 샤프트 조립체(136)와 근접하게 위치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할 때 실시예에 의하면, 스프링 조정 기구(152)는 회전 드럼(120)상에서 비틀림 스프링(140)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력을 조정하기 위해 추가로 헤드 레일(102)과 조립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과 관련하여, 도 16은 스프링 조정 기구(152)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 및 도 16을 참고할 때, 스프링 조정 기구(152)는 어레스터(arrester)(154) 및 조정 부분(1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레스터(154)는 두 개의 단부(155A,155B)를 가진 스프링(1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55)은 상기 고정 소켓(145)의 공동내에 배열되고, 상기 스프링(155)의 외측 원주부는 상기 고정 소켓(145)의 내부 벽과 마찰 접촉한다.
상기 샤프트(142)는 지지 부분(157)과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142) 및 지지 부분(157)은 일체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분(157)은 상기 샤프트(142)와 조립되거나 상기 샤프트(142)와 일체로 구성된 구분된 부품일 수 있다. 상기 지지 부분(157)은 스프링(155)을 통해 연장되고 각각 상기 스프링(155)의 두 개의 단부(155A,155B)들의 외측부와 인접한 두 개의 플랜지 표면(157A,157B)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레스터(154)는 지지 부분(157)에 의해 상기 샤프트 조립체(136)와 작동하며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155)의 두 개의 단부(155A,155B)에 대한 두 개의 플랜지 표면(157A,157B)들의 배열 때문에, 상기 스프링(155)은 비틀림 스프링(140)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력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샤프트 조립체(136)의 회전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비틀림 스프링(140)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력은 상기 샤프트 조립체(136)와 지지 부분(157)을 가압하여 일체로 회전시키려는 경향을 가질 수 있어서, 플랜지 표면(157A,157B)들은 각각 스프링(155)의 두 개의 단부(155A,155B)에 대해 가압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155)은 스프링(155)과 고정 소켓(145)사이에서 마찰을 증가시키고 확대된다. 상기 스프링(155)과 고정 소켓(145)사이에서 마찰 접촉은 비틀림 스프링(140)의 편향력을 상쇄시키고 샤프트 조립체(136)의 회전을 방지한다.
조정 부분(156)은 지지 브라켓(117B) 및 회전 드럼(120)의 단부(120B)와 인접한 고정 소켓(145)에 대해 피봇회전하게 연결되고 수동 작동을 위해 상기 지지 브라켓(117B)에 제공된 개구부(158)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조정 부분(156)은 스프링(155)의 두 개의 단부(155A,155B)과 인접하게 배열된 두 개의 플랜지 표면(156A,156B)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155)의 두 개의 단부(155A,155B)에 대한 두 개의 플랜지 표면(156A,156B)의 배열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든 상기 조정 부분(156)이 회전하면 상기 플랜지 표면(156A 또는 156B)은 상기 스프링(155)의 두 개의 단부(155A 또는 155B)에 대해 각각 가압되어 상기 스프링(155)은 상기 스프링(155) 및 고정 소켓(145)사이에서 수축되고 마찰 접촉을 완화한다. 따라서, 상기 조정 부분(156) 및 스프링(155)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지지 부분(157)과 샤프트(142)을 가압하여 스프링(155)의 단부(155A 또는 155B)사이에서 상기 지지 부분(157)의 플랜지 표면(157A 또는 157B)과 접촉에 의해 지지 부분과 샤프트과 회전운동한다.
상기 구조에서, 상기 어레스터(154)는 구속 상태 및 구속해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어레스터(154)의 구속 상태는 상기 스프링(155)이 확대되는 구조에 해당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140)의 편향 하중에 의해 유도되는 샤프트 조립체(136)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조정 부분이 작동될 때, 상기 조정 부분(156)은 상기 어레스터(154)를 회전시키고 가압하여 구속상태로부터 구속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며 다음에 상기 어레스터(154)와 샤프트 조립체(136)를 구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일체 회전시켜서 상기 회전 드럼(120)에 대한 상기 비틀림 스프링(140)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 하중을 조정한다.
도 12, 도 13 및 도 16과 관련하여 도 17 내지 도 23은 스프링 조정 기구(152)의 예시적인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을 참고할 때, 상기 비틀림 스프링(140)에 의해 가해지는 과도한 편향 하중에 의해 상기 회전 드럼(120)은 (도 17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감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향을 가지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바닥 부분(106)을 구속해제한 후에 차양 구조체(104) 및 바닥 부분(106)이 상향으로 미끄럼(slipping) 운동하게 만든다. 도 17에 도시된 상태가 발생할 때 사용자는 조정 부분(156)을 노출시키기 위해 단부 캡(111B)을 제거하고 다음에 (도 18에 도시된) 방향(Y1)을 따라 각을 가지며 조정 부분(156)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조정 부분(156)의 회전 변위에 의해 상기 어레스터(154)가 가압되어 구속 상태로부터 구속해제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조정 부분(156)의 플랜지 표면(156A) 및 상기 스프링(155)의 단부(155A)사이에서 접촉 및 상기 지지 부분(157)의 플랜지 표면(157A) 및 스프링(155)의 단부(155A)사이의 접촉에 의해 상기 샤프트(142)는 동일한 각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비틀림 스프링(140)은 도 20에 도시된 구조로 조정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140)의 코일들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고 전반적으로 하우징 부분(138)의 내부벽과 더욱 인접하게 된다. 상기 조정은 상기 비틀림 스프링(140)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1을 참고할 때, 비틀림 스프링(140)에 의해 가해지는 과도하게 약한 편향 하중에 의해 상기 회전 드럼(120)은 (도 21의 화살표로 도시된)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바닥 부분(106)을 구속해제한 후에 차양 구조체(104) 및 바닥 부분(106)이 하향으로 미끄럼(slipping) 운동하게 만든다. 도 21에 도시된 상태가 발생할 때 사용자는 (도 18에 도시된) 방향(Y2)을 따라 각을 가지며 조정 부분(156)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조정 부분(156)의 회전 변위에 의해 상기 어레스터(154)가 가압되어 구속 상태로부터 구속해제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조정 부분(156)의 플랜지 표면(156B) 및 상기 스프링(155)의 단부(155B)사이에서 접촉 및 상기 지지 부분(157)의 플랜지 표면(157B) 및 스프링(155)의 단부(155B)사이의 접촉에 의해 상기 샤프트(142)는 동일한 각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비틀림 스프링(140)은 도 23에 도시된 구조로 조정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140)의 코일들은 하우징 부분(138)의 내부 벽으로부터 분리되고 전반적으로 샤프트 조립체(136)와 더욱 인접하게 된다. 상기 조정은 상기 비틀림 스프링(140)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 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상기 스프링 조정 기구(152)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차양 구조체(104) 및 바닥 부분(106)의 중량에 따라 비틀림 스프링(140)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 하중을 편리하게 수정할 수 있어서 스프링 유닛(122)은 상기 차양 구조체(104) 및 바닥 부분(106)을 제 위치에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상기 스프링 조정 기구(152)가 스프링 유닛(122)의 토크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유리한 특징을 제공할 수 있더라도, 창문 차양의 다른 실시예들은 상기 스프링 조정 기구(152)를 생략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스프링 조정 기구(152)를 가지지 않는 실시예에서 상기 샤프트 조립체(136)는 고정된 상태로 조립되고 상기 스프링 유닛(122)은 상기 설명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할 때, 제한 기구(124)가 지지 브라켓(117A)과 인접한 지지 샤프트(118)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드럼(120)과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양 구조체(104)가 회전 드럼(120)으로부터 완전히 풀리고 상기 바닥 부분(106)이 가장 아래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제한 기구(124)는 광선 통과를 위해 상기 차양 구조체(104)를 개방된 상태로 구속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도 24 내지 도 28은 상기 제한 기구(124)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 도 6 및 도 24 내지 도 28을 참고할 때, 상기 제한 기구(124)는 나사 부분(160), 정지 부분(162), 제한 부분(164) 및 종동자(follower)(1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 부분(160)은 지지 샤프트(118)상에 제공될 수 있다. 구성예에 의하면, 상기 나사 부분(160)은 상기 지지 샤프트(118)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예에 의하면, 상기 나사 부분(160)은 고정구에 의해 상기 지지 샤프트(118)에 고정된 상태로 부착된 부품일 수 있다. 상기 나사 부분(160)은 확대된 부분(118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피봇 축(P)을 따라 상기 확대된 부분(118A)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 부분(160)은 두 개의 마주보는 단부(160A,160B)들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단부(160A)는 상기 확대된 부분(118A)과 인접하게 위치한다.
도 26 및 도 28을 참고할 때, 상기 정지 부분(162)은 상기 지지 샤프트(118)와 고정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성예에 의하면, 상기 정지 부분(162)은 상기 지지 샤프트(118)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예에 의하면, 정지 부분(162)은 고정구에 의해 상기 지지 샤프트(118)에 고정된 상태로 부착된 부품일 수 있다. 상기 정지 부분(162)은 상기 지지 샤프트(118)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나사 부분(160)의 단부(160A)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정지 부분(162)은 종동자(166)와 연결을 위한 요홈(16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샤프트(118)는 정지 부분(162)의 측부에서 측벽 표면(162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 표면(162B)은 경사부로서 제공되고 정지 부분(162)의 변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 샤프트(118)는 정지 부분(162)의 요홈(162A)을 향하는 요홈(169) 및 돌출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68)는 연속적인 측벽 표면(168A,168B)에 의해 형성되는 날카로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요홈(169)은 측벽 표면(168A) 및 또 다른 측벽 표면(169A)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요홈(169) 및 돌출부(168)은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다. 배리어(barrier)(165A)에 의해 한쪽 단부에서 밀폐되는 통로(165)가 상기 정지 부분(162) 및 측벽 표면(168A,168B,169A)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6을 참고할 때, 상기 제한 부분(164)은 지지 샤프트(118)과 조립될 수 있다. 구성예에 의하면, 상기 제한 부분(164)은 나사 구멍(164A)을 포함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30에서 더욱 양호하게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한 부분(164)의 주변부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16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 부분(164)은 지지 샤프트(118)와 조립되고 상기 나사 부분(160)은 제한 부분(164)의 나사구멍(164A)과 연결되며 제한 부분(164)은 나사 부분(160)의 단부(160B와 인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종동자(166)는 지지 샤프트(118)와 연결되고 지지 샤프트(118)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성예에 의하면, 상기 종동자(166)는 나사구멍(166A)을 가진 원통형상을 가지고 종동자(166)의 측부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한 플랜지(166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동자(166)의 외측 주변부는 나사구멍(166A) 주위에 분포한 복수 개의 리브(rib)(166C)들을 가질 수 있고 서로 다른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할 수 있다. 구성예에 의하면, 플랜지(166B) 및 리브(166C)를 포함한 종동자(166)는 단일 부분으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종동자(166)는 플랜지(166B)의 측부와 마주보는 측부에 배열된 탄성 암(170)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 암(170)은 상기 나사 구멍(166A)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떨어진 위치에서 종동자(166)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나사 구멍(166A)의 축과 평행하게 좌측 또는 우측으로 탄성을 가지며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종동자(166)가 지지 샤프트(118)과 조립될 때 상기 지지 샤프트(118)의 나사 부분(160)은 종동자(166)의 나사구멍(166A)과 연결되고, 종동자(166)의 플랜지(166B)는 제한 부분(164)을 향하며, 종동자(166)의 탄성 암(170)은 나사 부분(160)의 단부(160A)를 향한다. 종동자(166)는 나사 부분(160) 주위에서 회전하고 동시에 나사 부분(160)을 따라 정지 부분(162) 또는 제한 부분(164)을 향해 미끄럼운동하며 탄성 부분(170)은 상기 나사 부분(160) 위에서 종동자(166)가 회전 및 미끄럼운동하는 동안 종동자(166)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제한 기구(124)가 회전 드럼(120)과 조립될 대, (나사 부분(160) 및 정지 부분(162)을 포함한) 지지 샤프트(118), 제한 부분(164) 및 종동자(166)는 모두 회전 드럼(120)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동자(166)의 리브(166C)는 회전 드럼(120)의 내측부와 연결되어 종동자(166)는 회전 드럼(120)과 회전하도록 연결되며 회전 드럼(120)에 대해 축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드럼(120)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종동자(166)는 동기화되어 회전운동하고 지지 샤프트(118)의 나사 부분(160)을 따라 미끄럼 운동할 수 있다. 나사 부분(160)은 회전 드럼(120)의 피봇 축(P)을 따라 연장되기 때문에, 종동자(166)는 회전 드럼(120)의 피봇 축(P)을 따라 미끄럼 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제한 기구(124)내에서 종동자(166)는 도 30에 도시된 제1 위치 및 도 38에 도시된 제2 위치사이에서 지지 샤프트(118)의 나사 부분(160)을 따라 이동하며, 종동자(166)는 제1 위치에서 제한 부분(164)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2 위치에서 나사 부분(160)의 단부(160A)에서 정지 부분(162)과 인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두 개의 위치들사이에서 종동자(166)의 경로는 전체적으로 사용하는 동안 바닥 부분(106)의 수직 조정 범위와 일치한다. 감김 방향을 따라 회전 드럼(120)이 회전하면 상기 종동자(166)는 제한 부분(164)을 향해 이동하고 회전 드럼(120)이 풀림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 종동자(166)는 정지 부분(162)을 향해 이동한다.
상기 종동자(16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탄성 암(170)이 정지 부분(162)와 연결되면 종동자(166)는 정지 부분(162)과 상호구속(interlock)될 수 있다. 상기 구속 결합은 상기 제한 기구(124)의 구속 상태에 해당하고 상기 회전 드럼(120)이 감김 방향을 따라 추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종동자(166)의 탄성 암(170)이 상기 정지 부분(162)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제한 기구(124)는 구속해제된 상태이고 상기 회전 드럼(120)은 감김 및 풀림 방향으로 모두 회전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8과 관련하여, 아래 설명에서 제한 기구(124)의 예시적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 29 내지 도 42를 참고한다. 도 29 및 도 30을 참고할 때, 종동자(16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종동자(166)의 플랜지(166B)는 제한 부분(164)의 플랜지(164B)와 접촉하고 대부분의 차양 구조체(104)는 회전 드럼(120) 주위에 감겨서 바닥 부분(106)은 헤드 레일(102)과 인접하게 위치한다. 종동자(166) 및 제한 부분(164)사이의 접촉에 의해 종동자(166)는 제1 위치에서 정지되고 종동자(166)가 제한 부분(164)을 향해 추가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는 바닥 부분(106)의 가장 높은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한 부분(164)은 단지 일 방향 정지기능을 제공하며 종동자(166)가 정지 부분(162)을 향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 드럼(120)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종동자(166)는 제한 부분(164)으로 멀어져 정지 부분(162)을 향해 이동한다.
도 31 및 도 32를 참고할 대, 사용자가 바닥 부분(106)을 아래로 끌어당기면, 회전 드럼(120)은 방향(R2)으로 회전하고 차양 구조체(104)는 회전 드럼(120)으로 아래로 풀려서 연장된다. 상기 방향(R2)으로 회전 드럼(120)이 회전하면 종동자(166)는 피봇 축(P)을 따라 제한 부분(164)으로부터 떨어져 미끄럼 운동할 수 있다. 바닥 부분(106)이 수직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한 기구(124)는 (회전 드럼(120)이 감김 방향과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불구속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차양 구조체(104)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두 개의 매달림 부분(114,116)들은 서로 인접하고 횡 방향 베인(112)은 전체적으로 수직으로 향한다.
도 33 및 도 34를 참고할 때, 바닥 부분(106)이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하면, 차양 구조체(104)는 회전 드럼(120)으로부터 완전히 연장되고 개방상태를 가지며, 종동자(166)의 탄성 암(170)은 정지 부분(162)과 인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바닥 부분(106)이 가장 낮은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방향(Y3)을 따라 상기 바닥 부분(106)을 경미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서 회전 드럼(120), 종동자(166) 및 탄성 암(170)은 방향(R2)을 따라 일체로 회전하고 측벽 표면(162B)은 탄성 암(170)을 가압하여 제1 측부(S1)로 휘어질 수 있다. 그 결과, 탄성 암(170)의 팁(170A)은 도 3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팁(170A)이 요홈(169)내에서 측벽(168A)에 대해 지지될 때까지 경로(T)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도 35 내지 도 38을 참고할 때, 상기 탄성 암(170)의 팁(170A)이 요홈(169)에 도달한 후에, 사용자는 바닥 부분(106)을 구속해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프링 유닛(122)은 상기 회전 드럼(120), 종동자(166) 및 탄성 암(170)을 가압하여 방향(R1)을 따라 각도를 가지며 일체로 회전하고 따라서 탄성 암(170)의 팁(170A)은 정지 부분(162)과 연결된다. 따라서 종동자(166)는 제2 위치에서 정지 부분(162)과 결합되고 상기 차양 구조체(104)는 회전 드럼(120)으로부터 완전히 연장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종동자(166)가 정지 부분(162)와 연결되며 상기 종동자(166)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차양 구조체(104)가 회전 드럼(120)으로부터 완전히 연장될 때 방향(R2)을 따라 회전 드럼(120)을 제한적으로 회전시켜서 제한 기구(124)가 불구속상태로부터 구속 상태로 전환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바닥 부분(106)을 경미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할 뿐이다. 제한 기구(124)의 구속 상태에 의해 회전 드럼(120)은 방향(R1)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바닥 부분(106) 및 차양 구조체(104)가 상향으로 상승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바닥 부분(106)은 가장 낮은 위치에 구속되고 상기 차양 구조체(104)는 광선 통과를 위한 개방 상태로 유지되며 횡 방향 베인(112)들은 전체적으로 수직을 향한다.
상기 제한 기구(124)가 구속 상태로부터 불구속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도 39 내지 도 42를 참고할 때, 사용자는 방향(Y3)을 따라 바닥 부분(106)을 경미하게 회전시켜서 상기 회전 드럼(120), 종동자(166) 및 탄성 암(170)은 방향(R2)을 따라 일체로 회전하며, 측벽 표면(168B)은 상기 탄성 암(170)을 가압하여 제1 측부(S1)와 마주보는 제2 측부(S2)로 휘어지게 한다. 그 결과, 탄성 암(170)의 팁(170A)은 정지 부분(162)의 요홈(162A)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하고 배리어(165A)위로 이동한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상기 바닥 부분(106)을 구속해제하고 스프링 유닛(122)은 회전 드럼(120), 종동자(166) 및 탄성 암(170)을 가압하여 (도 42에 도시된 것처럼) 방향(R1)을 따라 각도를 가지며 일체로 회전하여 탄성 암(170)의 팁(170A)은 정지 부분(16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따라서 제한 기구(124)는 불구속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한 기구(124)가 구속상태를 가질 때 방향(R2)을 따라 회전 드럼(120)을 제한적으로 회전시켜서 제한 기구(124)가 구속상태로부터 불구속 상태로 전환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바닥 부분(106)을 경미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할 뿐이다.
제한 기구(124)가 불구속 상태로 전환된 후에 사용자는 헤드 레일(102)을 향해 바닥 부분(106)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프링 유닛(122)은 회전 드럼(120), 종동자(166) 및 탄성 암(170)을 가압하여 방향(R1)을 따라 일체로 회전시키며, 차양 구조체(104)는 회전 드럼(120) 주위에 감길 수 있다. 종동자(166) 및 탄성 암(170)이 회전하는 동안, 종동자 및 탄성 암은 정지 부분(162)으로부터 떨어져 제한 부분(164)을 향해 피봇 축(P)을 따라 미끄럼 운동한다.
종동자(166)의 플랜지(166B)가 제한 부분(164)의 플랜지(164B)에 대해 접촉할 때 제한 부분(164)은 도 30에 도시된 제1 위치에 종동자(166)를 정지시키고 회전 드럼(120)이 방향(R1)을 따라 추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 부분(106)은 가장 높은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대부분의 차양 구조체(104)는 회전 드럼(120) 주위에 감길 수 있다.
창문 차양(100)의 크기에 따라 차양 구조체(104)의 길이가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바닥 부분(106)의 가장 높은 위치를 원하는 대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한 기구(124)는 바닥 부분(106)의 가장 높은 위치를 적절하게 형성하기 위해 나사 부분(160)위에서 제한 부분(164)의 위치를 수정하고 설정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제한 설정 조립체(17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24 내지 도 27과 관련하여, 도 43은 제한 설정 조립체(172)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6, 도 24 내지 도 27 및 도 43을 참고할 때, 제한 설정 조립체(172)는 칼라(174), 전달 액슬(176), 어레스터(174) 및 조정 부분(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라(174)는 나사 부분(160)의 단부(160B)와 인접하게 배열되고 제한 부분(164)의 조립을 위한 공동(174A)을 가질 수 있다. 제한 부분(164)은 서로 다른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한 (도 26에서 더욱 양호하게 도시된) 복수 개의 리브(164C)들을 가진 외측 원주부를 가질 수 있고, 리브(164C)는 상기 제한 부분(164)과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다. 제한 부분(164)이 칼라(174)의 공동(174A)내에 조립될 때, 상기 리브(164C)들은 칼라(174)의 내부 벽과 연결되어 제한 부분(164)은 칼라(174)와 회전하도록 연결되지만 칼라(174)에 대해 나사 부분(160)을 따라 축 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을 참고할 때, 전달 액슬(176)은 단일 블록으로서 회전할 수 있는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섹션(176A,176B)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달 액슬(176)은 상기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변형예에서 상기 전달 액슬(176)은 단일 부분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 액슬(176)은 지지 샤프트(118)의 중공 내부를 통해 피봇 축(P)을 따라 연장되고 (예를 들어, 섹션(176A)에서) 칼라(174)와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 액슬(176) 및 칼라(174)는 지지 샤프트(118)에 대해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제한 부분(164)이 나사 부분(160)위에서 미끄럼 운동하도록 구동하고 이에 따라 나사 부분(160)위에서 제한 부분(164)의 위치를 조정한다.
도 26, 도 27 및 도 43을 참고할 때, 헤드 레일(102)은 추가로 고정 소켓(182)과 고정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소켓(182)은 지지 샤프트(118)의 확대된 부분(118A)내에 배열되고 고정구(126)에 의해 상기 헤드 레일(102)의 지지 브라켓(117A)에 고정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소켓(182)은 지지 샤프트(118)와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고 정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어레스터(178)는 고정 소켓(182)의 공동내에 배열되고 마주보는 두 개의 단부(179A,179B)들을 가진 스프링(17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79)은 고정 소켓(182)의 내부 벽과 마찰 접촉하는 스프링(179)의 외측 원주부를 가지며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소켓(182) 및 어레스터(178)는 상기 확대된 부분(118A)내에 조립될 수 있다.
칼라(174)와 마주보는 (예를 들어, 섹션(176B)에서) 전달 액슬(176)의 다른 한쪽 단부가 지지 부분(184)과 고정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어서, 상기 전달 액슬(176) 및 지지 부분(184)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구성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 부분(184)은 전달 액슬(176)과 조립된 구분된 부품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 부분(184)은 전달 액슬(176)과 일체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분(184)은 스프링(179)을 통해 연장되고 (도 43에서 더욱 양호하게 도시된 것처럼) 스프링(179)의 두 개의 단부(179A,179B)의 외측부와 인접하게 각각 배열된 두 개의 플랜지 표면(184A,184B)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어레스터(178)는 지지 부분(184)에 의해 전달 액슬(176)과 작동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어레스터(178)는 구속 상태 및 구속해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어레스터(178)의 구속 상태에 의해 상기 종동자(166) 및 제한 부분(164)사이의 접촉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전달 액슬(176), 칼라(174) 및 제한 부분(164)의 회전 변위가 방지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나사 부분(160)을 따라 이동하는 종동자(166)가 (상기 설명과 같이 바닥 부분(106)의 가장 높은 위치에 해당하는) 제한 부분(164)에 대해 접촉할 때, 제한 부분(164)에 의해 결과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은 칼라(174) 및 전달 액슬(176)을 통해 지지 부분(184)으로 전달되어 지지 부분(184)의 플랜지 표면(184A 또는 184B)은 스프링(179)의 해당 단부(179A 또는 179B)에 대해 가압되며 따라서 스프링(179)을 가압하여 확대시킨다. 따라서, 고정 소켓(182) 및 확대된 스프링(179)사이의 마찰이 증가되어 칼라(174) 및 전달 액슬(176) 및 제한 부분(164)의 회전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상쇄 하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도 26, 도 27 및 도 43을 참고할 때, 조정 부분(180)은 회전 드럼(120)의 단부(120A)과 인접한 고정 소켓(182) 및 지지 브라켓(117A)과 피봇운동 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수동 작동시 상기 지지 브라켓(117A)위에 제공된 개구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조정 부분(180)은 어레스터(178)의 스프링(179)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179)의 두 개의 단부(179A,179B)들의 내측부와 인접하게 배열된 두 개의 플랜지 표면(180A,180B)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179)의 두 개의 단부(179A,179B)에 대한 두 개의 플랜지 표면(180A,180B)이 가지는 배열 때문에, 조정 부분(18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어레스터(178)는 구속 상태로부터 구속해제 상태로 전환되어 나사 부분(160)위에서 제한 부분(164)의 위치를 조정한다. 특히, 조정 부분(180)이 회전하면, 플랜지 표면(180A,180B)은 스프링(179)의 해당 단부(179A,179B)에 대해 가압되어 상기 스프링(179)은 고정 소켓(182) 및 스프링(179)사이의 마찰 접촉을 수축시키거나 이완시킨다. 따라서, 조정 부분(180) 및 이완된 스프링(179)은 고정 소켓(182)에 대해 일체로 회전되어 지지 부분(184) 및 전달 액슬(176)을 가압하여 스프링(179)의 단부(179A,179B)사이에서 지지 부분(184)의 플랜지 표면(184A 또는 184B)과 접촉에 의해 지지 부분 및 전달 액슬과 함께 고정 소켓(182)에 대해 회전시킨다. 다음에, 전달 액슬(176)은 칼라(174) 및 제한 부분(164)을 구동하여 일체로 회전시켜서 제한 부분(164)은 나사 부분(160)위에서 미끄럼 운동할 수 있다. 제한 부분(164)의 위치가 조정되어야 할 때, 사용자는 단부 캡(111A)을 제거하여 조정 부분(180)을 노출시키고 상기 설명과 같이 조정 부분(180)을 회전시킨다.
도 6, 도 24 내지 도 27 및 도 43과 관련하여, 제한 설정 조립체(172)의 예시적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아래 설명에서 도 44 내지 도 52를 참고한다. 도 44의 예는 바닥 부분(106)의 원하는 가장 높은 위치를 도시하고, 도 45는 제한 기구(124)의 해당 구조를 도시한다. 바닥 부분(106)의 실제 가장 높은 위치가 도 46에 도시된 것과 같고 도 44에 도시된 원하는 가장 높은 위치보다 낮다고 가정하면, 이것은 제한 부분(164)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된 조정 부분(180)의 이동 범위가 충분히 길지 못할 수 있는 구조에 해당된다. 따라서, 도 47에 도시된 것처럼, 정지 부분(162) 및 제한 부분(164)사이의 거리(D)가 증가되어야 한다. 도 48 및 도 49를 참고할 때 제한 부분(164)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방향(W1)을 따라 조정 부분(18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9에 도시된 것처럼, 조정 부분(180)의 플랜지 표면(180A) 및 스프링(179)의 단부(179A)사이의 접촉 및 스프링(179)의 단부(179A) 및 지지 부분(184)의 플랜지 표면(184A)사이의 접촉 때문에, 조정 부분(180)의 상기 회전 변위는 어레스터(178), 지지 부분(184), 전달 액슬(176), 칼라(174) 및 제한 부분(164)을 가압하여 동일한 방향(W1)을 따라 일체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제한 부분(164)은 거리(D)를 증가시키기 위해 (도 47에 더욱 양호하게 도시된) 방향(Z1)으로 나사 부분(160)을 따라 미끄럼 운동할 수 있다.
도 50 및 도 51을 참고할 때, 바닥 부분(106)의 실제 가장 높은 위치가 도 50에 도시된 것과 같고 도 44에 도시된 원하는 가장 높은 위치보다 높다고 가정하면, 이것은 제한 부분(164)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된 종동자(166)의 이동 범위가 너무 길 수 있는 구조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범위는 과도할 수 있어서, 종동자(166)는 심지어 제한 부분(164)에 도달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1에 도시된 것처럼 정지 부분(162) 및 제한 부분(164)사이의 거리(D)가 감소되어야 한다. 도 48 및 도 52를 참고할 때, 제한 부분(164)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방향(W2)을 따라 조정 부분(18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2에 도시된 것처럼, 조정 부분(180)의 플랜지 표면(180B) 및 스프링(179)의 단부(179B)사이의 접촉 및 스프링(179)의 단부(179B) 및 지지 부분(184)의 플랜지 표면(184B)사이의 접촉 때문에, 상기 조정 부분(180)의 회전 변위는 어레스터(178), 지지 부분(184), 전달 액슬(176), 칼라(174) 및 제한 부분(164)을 가압하여 동일한 방향(W2)을 따라 일체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제한 부분(164)은 거리(D)를 증가시키기 위해 (도 47에 더욱 양호하게 도시된) 방향(Z1)으로 나사 부분(160)을 따라 미끄럼 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제한 부분(164)은 거리(D)를 감소시키기 위해 방향(Z2)을 향해 나사 부분(160)을 따라 미끄럼 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제한 설정 조립체(172)가 바닥 부분(106)의 가장 높은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유리한 특징을 제공할 수 있더라도, 창문 차양의 다른 실시예들은 상기 제한 설정 조립체(172)를 생략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한 설정 조립체(172)를 가지지 않는 실시예에서 제한 부분(164)은 고정된 상태로 조립되고(예를 들어, 제한 부분(164)은 고정구에 의해 나사 부분(160)과 고정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한 기구(124)는 상기 설명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조들은 차양 구조체의 수직 이동범위를 정확하게 한정하는 작동 시스템을 이용하며 창문 차양의 크기에 따라 편리한 조정을 허용하며 창문 차양을 실수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차양 구조체가 아래로 완전히 연장될 때 사용자는 바닥 부분을 회전시켜서 간단한 작동 단계에 의해 상기 차양 구조체를 개방 상태로 구속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작동 시스템은 간단하게 작동되고 콤팩트한 크기를 가져서 창문 차양의 헤드 레일내에 편리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구조체들의 실시가 단지 특정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상기 실시예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다수의 변형예, 수정예, 첨가 및 개선이 가능하다. 따라서, 복수의 경우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부품들에 대해 단수의 경우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조들에서 구체적인 부품으로서 제공된 구조 및 기능이 조합된 구조 또는 부품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및 다른 변형, 수정, 첨가 및 개선은 하기 청구범위에 해당한다.
100.......창문 차양,
102.......헤드 레일,
104.......차양 구조체,
106.......바닥 부분,
110.......작동 시스템,
112.......횡 방향 베인.

Claims (34)

  1. 창문 차양으로서,
    지지 샤프트와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헤드 레일,
    제1 및 제2 매달림 부분을 포함한 차양 구조체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및 제2 매달림 부분은 각각 서로 마주보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 샤프트와 피봇운동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매달림 부분의 제1 단부들과 각각 고정된 회전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드럼은 상기 회전 드럼 주위에 상기 차양 구조체를 감기 위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이고 상기 회전 드럼으로부터 상기 차양 구조체를 풀기 위한 제2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 매달림 부분의 제2 단부들과 각각 연결된 바닥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드럼과 연결된 스프링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을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편향시키기 위해 작동하고,
    상기 지지 샤프트 및 회전 드럼과 각각 연결된 제한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 기구는 불구속 상태 및 구속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제한 기구의 불구속 상태는 회전드럼이 제1 및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며, 제한 기구의 구속 상태는 회전 드럼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한 기구는 상기 차양 구조체가 상기 회전 드럼으로부터 완전히 연장될 때 제2 방향을 따르는 회전 드럼의 제한된 회전 변위에 의해 불구속 상태로부터 구속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2. 제1항에 있어서, 제2 방향을 향하는 회전 드럼의 또 다른 제한적 회전 변위에 의해 상기 제한 기구는 구속 상태로부터 불구속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기구는 종동자 및 정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정지 부분은 상기 지지 샤프트와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종동자는 상기 지지 샤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종동자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사이에서 상기 지지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종동자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대부분의 차양 구조체는 회전 드럼 주위에 감기며, 상기 종동자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차양 구조체는 회전 드럼으로부터 완전히 풀리고, 상기 제한 기구의 구속 상태는 상기 종동자가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정지 부분과 연결된 구조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 및 종동자는 회전 드럼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피봇 축 주위에서 상기 지지 샤프트와 피봇운동하며 연결되고, 상기 종동자는 상기 피봇 축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6.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부분이 제2 위치에서 종동자와 결합하여 상기 종동자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는 나사 부분을 포함하고, 정지 부분은 상기 나사 부분의 단부와 인접하게 배열되며, 상기 종동자는 회전 드럼과 회전운동하며 연결되고 회전 드럼에 대해 축 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며, 상기 종동자는 상기 나사 부분과 추가로 연결되어 회전 드럼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종동자는 회전운동하고 나사 부분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자는 탄성 암을 가지고 상기 종동자 및 탄성 암은 상기 나사 부분위에서 상기 종동자가 회전운동하고 미끄럼 운동하는 동안 일체로 이동하고, 상기 탄성 암은 상기 제한 기구가 구속상태를 가질 때 정지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탄성 암은 상기 제한 기구가 불구속 상태를 가질 대 상기 정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는 제1 및 제2 측벽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 표면은 상기 탄성 암을 가압하고 제1 측부로 휘어지게 하여 탄성 암이 정지 부분과 용이하게 연결되고, 제2 측벽 표면은 상기 탄성 암을 가압하고 제1 측부와 마주보는 제2 측부로 휘어지게 하여 탄성 암이 정지 부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10.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기구는 지지 샤프트와 조립된 제한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한 부분 및 종동자사이의 접촉에 의해 종동자는 제1 위치에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는 나사 부분을 포함하고, 정지 부분은 상기 나사 부분의 제1 단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1 단부와 마주보는 나사 부분의 제2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한 부분은 나사 부분과 연결되고, 종동자는 제2 위치에서 정지 부분과 연결되고 제1 위치에서 제한 부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분, 정지 부분 및 지지 샤프트는 회전 드럼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기구는 나사 부분위에서 상기 제한 부분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작동하는 제한 설정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한 설정 조립체는 서로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칼라 및 전달 액슬을 포함하며, 상기 칼라는 나사 부분의 제2 단부와 인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한 부분은 상기 칼라와 회전하며 연결되고 상기 나사 부분위에서 칼라에 대해 미끄럼 운동하고, 제한 부분을 구동하여 나사 부분위에서 미끄럼 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달 액슬과 칼라는 지지 샤프트에 대해 일체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는 중공 내부를 가지고, 상기 전달 액슬은 상기 지지 샤프트의 중공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와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고정 소켓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한 설정 조립체는 어레스터 및 조정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어레스터는 상기 고정 소켓내에 배열되고 상기 전달 액슬의 지지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조정 부분은 상기 고정 소켓과 피봇운동하며 연결되고, 상기 어레스터는 구속 상태 및 구속해제 상태를 가지며 상기 어레스터의 구속 상태에 의해 상기 종동자 및 제한 부분사이의 접촉에 의해 유도되는 전달 액슬, 상기 칼라 및 제한 부분의 변위가 방지되고, 상기 조정 부분은 회전하고 상기 어레스터를 구속 상태로부터 구속해제 상태로 전환하여 나사 부분위에서 제한 부분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는 확대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 부분은 상기 확대된 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나사 부분은 상기 확대된 부분의 측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어레스터 및 고정 소켓은 확대된 부분의 중공 내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의 확대된 부분은 상기 회전 드럼의 단부를 피봇운동하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18. 제15항 또는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스터는 고정 소켓내에 배열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및 고정 소켓사이의 마찰 접촉에 의해 상기 종동자 및 제한 부분사이의 접촉에 의해 유도되는 전달 액슬, 상기 칼라 및 제한 부분의 회전 변위가 방지되고, 상기 조정 부분은 회전하고 스프링을 가압하여 상기 스프링 및 고정 소켓사이의 마찰 접촉을 이완시키며 상기 나사 부분위에서 제한 부분을 미끄럼 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이완된 스프링, 전달 액슬 및 칼라를 추가로 가압하여 일체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유닛은 샤프트 조립체 주위에 배열된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조립체는 회전 드럼위에서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하중을 조정하기 위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20. 제19항에 있어서, 회전 드럼위에서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 하중을 조정하기 위해 작동하는 스프링 조정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조정 기구는 제2 어레스터 및 제2 조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레일은 제2 고정 소켓과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어레스터는 제2 고정 소켓내에 배열되고 샤프트 조립체의 지지 부분과 연결되며, 제2 조정 부분은 상기 제2 고정 소켓과 피봇운동하며 연결되고, 상기 제2 어레스터는 구속 상태 및 구속해제 상태를 가지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 하중으로부터 유도되는 샤프트 조립체의 회전운동이 제2 어레스터의 구속 상태에 의해 방지되고, 제2 조정 부분은 회전하고 제2 어레스터를 가압하여 구속 상태로부터 구속해제 상태로 전환시키고 제2 어레스터 및 샤프트 조립체를 추가로 가압하여 동일한 방향을 향해 일체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레스터는 제2 고정 소켓내에 배열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 하중에 의해 유도되는 샤프트 조립체의 회전운동이 상기 스프링 및 고정 소켓사이의 마찰 접촉에 의해 방지되고, 제2 조정 부분은 회전하고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여 스프링 및 제2 고정 소켓사이의 마찰 접촉을 이완시키며 상기 이완된 스프링 및 샤프트 조립체를 추가로 가압하여 동일한 방향을 향해 일체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22.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매달림 부분들이 각각 제1 및 제2 패널이고, 차양 구조체는 상기 제1 및 제2 패널과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횡 방향 베인들을 추가로 포함하며, 제한 기구가 구속상태를 가질 때 상기 횡 방향 베인은 전체적으로 수평방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23. 창문 차양을 위한 작동 시스템으로서,
    고정된 지지 샤프트,
    상기 지지 샤프트와 피봇운동하게 연결된 회전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드럼은 창문 차양의 차양 구조체를 감거나 풀기 위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회전 드럼내에 배열된 제한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 기구는 나사 부분, 정지 부분, 제한 부분 및 종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 부분은 상기 지지 샤프트상에 제공되며, 상기 정지 부분 및 제한 부분은 각각 상기 나사 부분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와 인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종동자는 상기 나사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종동자는 상기 회전 드럼과 회전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전 드럼에 대해 미끄럼 운동하며,
    상기 회전 드럼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종동자를 구동하여 제한 부분과 결합하기 위한 제1 위치를 향해 미끄럼 운동시키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종동자를 구동하여 정지 부분과 결합하기 위한 제2 위치를 향해 미끄럼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피봇 축 주위에서 상기 지지 샤프트와 피봇운동하며 연결되고, 상기 종동자는 상기 피봇 축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부분이 제2 위치에서 종동자와 결합하여 상기 종동자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26. 제23항 또는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자는 탄성 암을 가지고, 나사 부분위에서 상기 종동자가 회전운동 및 미끄럼 운동하는 동안 상기 탄성 암 및 종동자는 일체로 이동하며, 상기 종동자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탄성 암은 정지 부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는 제1 및 제2 측벽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 표면은 상기 탄성 암을 가압하고 제1 측부로 휘어지게 하여 탄성 암이 정지 부분과 용이하게 연결되고, 제2 측벽 표면은 상기 탄성 암을 가압하고 제1 측부와 마주보는 제2 측부로 휘어지게 하여 탄성 암이 정지 부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암이 정지 부분와 인접하게 위치할 때 상기 회전 드럼이 제2 방향을 따라 제한적으로 회전이동하면 제1 측벽 표면은 탄성 암을 가압하여 제1 측부로 휘어지게 하여 탄성 암이 정지 부분과 용이하게 연결되고, 상기 탄성 암이 정지 부분과 연결될 때 상기 회전 드럼이 제2 방향을 따라 제한적으로 회전이동하면 제2 측벽 표면은 탄성 암을 가압하여 제2 측부로 휘어지게 하여 탄성 암이 정지 부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29.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분은 나사 부분과 연결되고, 제한 기구는 나사 부분위에서 제한 부분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작동하는 제한 설정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한 설정 조립체는 서로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칼라 및 전달 액슬을 포함하며, 상기 칼라는 나사 부분의 제2 단부와 인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한 부분은 상기 칼라와 회전하며 연결되고 상기 나사 부분위에서 칼라에 대해 미끄럼 운동하고, 제한 부분을 구동하여 나사 부분위에서 미끄럼 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달 액슬과 칼라는 지지 샤프트에 대해 일체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는 중공 내부를 가지고, 상기 전달 액슬은 상기 지지 샤프트의 중공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와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고정 소켓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한 설정 조립체는 어레스터 및 조정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어레스터는 상기 고정 소켓내에 배열되고 상기 전달 액슬의 지지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조정 부분은 상기 고정 소켓과 피봇운동하며 연결되고, 상기 어레스터는 구속 상태 및 구속해제 상태를 가지며 상기 어레스터의 구속 상태에 의해 상기 종동자 및 제한 부분사이의 접촉에 의해 유도되는 전달 액슬, 상기 칼라 및 제한 부분의 변위가 방지되고, 상기 조정 부분은 회전하고 상기 어레스터를 구속 상태로부터 구속해제 상태로 전환하여 나사 부분위에서 제한 부분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는 확대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 부분은 상기 확대된 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나사 부분은 상기 확대된 부분의 측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어레스터 및 고정 소켓은 확대된 부분의 중공 내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의 확대된 부분은 상기 회전 드럼의 단부를 피봇운동하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34. 제31항 또는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스터는 고정 소켓내에 배열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및 고정 소켓사이의 마찰 접촉에 의해 상기 종동자 및 제한 부분사이의 접촉에 의해 유도되는 전달 액슬, 상기 칼라 및 제한 부분의 회전 변위가 방지되고, 상기 조정 부분은 회전하고 스프링을 가압하여 상기 스프링 및 고정 소켓사이의 마찰 접촉을 이완시키며 상기 나사 부분위에서 제한 부분을 미끄럼 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이완된 스프링, 전달 액슬 및 칼라를 추가로 가압하여 일체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시스템.
KR1020187025295A 2016-09-19 2017-09-18 창문 차양 및 창문 차양의 작동 시스템 KR102082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5130221A TWI661117B (zh) 2016-09-19 2016-09-19 窗簾及其致動系統
TW105130221 2016-09-19
PCT/US2017/051991 WO2018053390A2 (en) 2016-09-19 2017-09-18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741A true KR20180104741A (ko) 2018-09-21
KR102082596B1 KR102082596B1 (ko) 2020-02-27

Family

ID=5998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295A KR102082596B1 (ko) 2016-09-19 2017-09-18 창문 차양 및 창문 차양의 작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0633916B2 (ko)
EP (1) EP3516152A2 (ko)
JP (1) JP6741775B2 (ko)
KR (1) KR102082596B1 (ko)
AU (1) AU2017329017B2 (ko)
CA (1) CA3012493C (ko)
MY (1) MY192395A (ko)
PH (1) PH12018501637A1 (ko)
TW (1) TWI661117B (ko)
WO (1) WO201805339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2187B2 (en) * 2015-02-13 2017-07-11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tubes
USD856026S1 (en) * 2017-01-10 2019-08-13 Dandy Light Traps, Inc. Shade apparatus for broiler poultry house
EP3532270B1 (en) 2016-10-28 2022-08-10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rchitectural features
JP7041954B2 (ja) * 2018-05-11 2022-03-25 株式会社 Wis 調光式ロール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0132750A1 (en) 2018-12-28 2020-07-02 7912854 Canada Inc. Roller blind limiter assembly, roller blind mechanism, roller blind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n end position of a roller blind
US11105150B2 (en) * 2019-02-13 2021-08-31 Chien-Feng Lai Winding structure for cordless window covering
USD948242S1 (en) * 2019-07-12 2022-04-12 Hangzhou Jeep Tower Clothing Co., Ltd. Tool free bracket for venetian blinds
CN211008356U (zh) * 2019-08-07 2020-07-14 川立开发实业有限公司 门栏
EP4110143A4 (en) * 2020-02-24 2024-04-10 Defender Screens Int Llc RETRACTABLE SCREEN SYSTEMS
CN113047754A (zh) * 2021-03-18 2021-06-29 建为(广东)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透气窗叶片角度的智能控制器
CN113006674B (zh) * 2021-04-15 2022-12-23 江苏赛迪乐节能科技有限公司 电驱动或自主供电驱动中空玻璃内置百叶窗的百叶帘限位器
USD1012554S1 (en) * 2022-03-23 2024-01-30 Shenzhen World New Power Co. Ltd Motorised curtain rail
USD1012555S1 (en) * 2022-03-23 2024-01-30 Shenzhen World New Power Co. Ltd Motorised curtain rail
USD1010356S1 (en) 2022-05-13 2024-01-09 Teh Yor Co., Ltd. Shade panel por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430A (ko) * 2011-08-26 2014-05-29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윈도우 커버링용 코드리스 리트랙터블 롤러 셰이드
WO2014143057A1 (en) * 2013-03-15 2014-09-18 Hunter Douglas Inc. Position lock for roller supported architectural coverings
KR20150125950A (ko) * 2013-03-11 2015-11-10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KR20160100250A (ko) * 2015-02-13 2016-08-23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네스티드 튜브를 구비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5960A (en) * 1974-09-16 1976-06-29 Massey Peyton L Retractable shower shade with adjustable extensibility
US4476910A (en) * 1981-02-10 1984-10-16 Kabushiki Kaisha Nichibei Roll-blind
US4884618A (en) * 1988-08-05 1989-12-05 Christopher Steeves Roller blind mounting and rolling system
US6435252B2 (en) * 1998-06-22 2002-08-20 Hunter Douglas Inc. Control and suspension system for a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TW549349U (en) * 2002-12-30 2003-08-21 Ind Tech Res Inst Positioning and locking device for roll-up window curtains
CN103764936B (zh) 2011-07-01 2015-06-24 立川窗饰工业株式会社 连接装置和卷帘
US9243447B2 (en) * 2012-10-03 2016-01-26 David M. Townsley Roller shade assembly adjustment mechanism
WO2014142991A1 (en) * 2013-03-15 2014-09-18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10435945B2 (en) * 2014-11-10 2019-10-08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including multiple stage spring assembly
TWI583858B (zh) 2015-01-20 2017-05-2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及其控制系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430A (ko) * 2011-08-26 2014-05-29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윈도우 커버링용 코드리스 리트랙터블 롤러 셰이드
KR20150125950A (ko) * 2013-03-11 2015-11-10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WO2014143057A1 (en) * 2013-03-15 2014-09-18 Hunter Douglas Inc. Position lock for roller supported architectural coverings
KR20160100250A (ko) * 2015-02-13 2016-08-23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네스티드 튜브를 구비하는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29017A1 (en) 2018-08-09
TWI661117B (zh) 2019-06-01
US10633916B2 (en) 2020-04-28
AU2017329017B2 (en) 2019-09-19
WO2018053390A3 (en) 2018-04-26
JP6741775B2 (ja) 2020-08-19
US11125009B2 (en) 2021-09-21
MY192395A (en) 2022-08-19
CA3012493A1 (en) 2018-03-22
US20200018116A1 (en) 2020-01-16
EP3516152A2 (en) 2019-07-31
TW201814144A (zh) 2018-04-16
PH12018501637A1 (en) 2019-05-27
CA3012493C (en) 2020-03-24
JP2019511654A (ja) 2019-04-25
US20180080278A1 (en) 2018-03-22
KR102082596B1 (ko) 2020-02-27
WO2018053390A2 (en)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4741A (ko) 창문 차양 및 창문 차양의 작동 시스템
TWI610017B (zh) 無線可折疊式簾及可折疊式簾
KR101182509B1 (ko) 블라인드
RU2479704C2 (ru) Оконное закрывающее средство и регулирующий механизм
KR101763046B1 (ko) 창문 차양, 창문 차양의 제어 모듈 및 작동 방법
US10415305B2 (en) Window shade
CA2938175C (en) Skew adjustment mechanism for a window covering
KR20170105568A (ko) 윈도우 쉐이드 및 그 제어 시스템
US10443302B2 (en) Window shade
CA2919679A1 (en) Cordless shade automatic lift regulator
MXPA01003676A (es) Operador de persiana con freno de liberacion.
KR102089142B1 (ko) 윈도우 쉐이드
US11598145B2 (en)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JP6846858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CN105781384A (zh) 窗帘及其致动系统
US20140283634A1 (en) Clutch mechanism for window treatment with safety feature
JP6688843B2 (ja) コードストッパ装置及び間仕切り装置
JP6983622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200375899Y1 (ko) 개선된 밝기 조절구조를 가진 롤 블라인드
JP6860641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101549059B1 (ko) 블라인드 줄의 안전장치
JP5732361B2 (ja) 自動上昇式の窓覆い
CA2753328A1 (en) Self-raising window cov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