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918A - 중추 리미트 장치 - Google Patents

중추 리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918A
KR20140003918A KR1020120071610A KR20120071610A KR20140003918A KR 20140003918 A KR20140003918 A KR 20140003918A KR 1020120071610 A KR1020120071610 A KR 1020120071610A KR 20120071610 A KR20120071610 A KR 20120071610A KR 20140003918 A KR20140003918 A KR 20140003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lever
limit device
rop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0463B1 (ko
Inventor
임옥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71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463B1/ko
Publication of KR20140003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66D2700/0191Cable guiding during winding or paying 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 크레인에 설치되며, 상기 크레인의 권상을 제어하는 리미트 제어기; 상기 리미트 제어기의 힌지축에 결합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일측에 연결되는 중추 로프; 상기 중추 로프의 하단에 결합되는 중추; 상기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에 결합되는 후크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의 상승 시 상기 중추를 들어올려서 상기 리미트 제어기를 작동시키는 중추 스트라이커; 상기 중추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가 삽입되는 와이어홀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상승 시 상기 중추 스트라이커와 접촉되는 터치판; 및 상기 레버와 상기 중추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중추 및 상기 터치판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 리미트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중추 리미트 장치는 중추와 중추 로프가 천정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중추 리미트 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중추 로프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중추가 와이어 로프와 부딪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추 리미트 장치{CENTRAL LIMIT DEVICE}
본 발명은 중추 리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추와 중추 로프가 천정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천정 크레인의 중추 리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건물의 공간 상부에서 중량물을 이동 또는 운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이러한 크레인은 주행장치와, 횡행장치와, 권상장치로 구분된다. 상기 권상장치는 중량물을 집어서 올리고 내리는 설비로서 운전자의 오작동이나 설비의 오작동에 의하여 과권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과권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권상이 발생될 때 자동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상용 리미트 장치와, 상용 리미트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작동시키기 위한 중추 리미트 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중추 리미트 장치는 천정 크레인의 일측에 장착되어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후크가 계속 상승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천정 크레인의 권상 작동을 중지시키는 안전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종래의 중추 리미트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크레인(1)의 일측에 설치되어 크레인(1)의 권상을 제어하는 리미트 제어기(11)와, 리미트 제어기(11)의 일측에 연결되는 중추 로프(13)와, 중추 로프(13)의 하단에 결합되는 중추(15)와, 크레인(1)의 와이어 로프(3)에 결합되는 후크(5)의 일측에 설치되어 후크(5)의 상승 시 중추(15)를 들어올려서 리미트 제어기(11)를 작동시키는 중추 스트라이커(17)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중추 리미트 장치(10)는 천정 크레인(1)의 작동시 발생하는 심한 진동으로 인해서 중추 로프(13)와 중추(15)가 좌우방향으로 쉽게 흔들리면서 작동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추 로프(13)와 중추(15)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쉽게 흔들리면서 크레인(1)의 와이어 로프(3)에 감겨서 중추 리미트 장치(10)의 기능을 정지시키거나 오작동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중추와 중추 로프가 천정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천정 크레인의 중추 리미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추가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 크레인의 중추 리미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천정 크레인에 설치되며, 상기 크레인의 권상을 제어하는 리미트 제어기; 상기 리미트 제어기의 힌지축에 결합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일측에 연결되는 중추 로프; 상기 중추 로프의 하단에 결합되는 중추; 상기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에 결합되는 후크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의 상승 시 상기 중추를 들어올려서 상기 리미트 제어기를 작동시키는 중추 스트라이커; 상기 중추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가 삽입되는 와이어홀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상승 시 상기 중추 스트라이커와 접촉되는 터치판; 및 상기 레버와 상기 중추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중추 및 상기 터치판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 리미트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하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 리미트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 개의 가이드바가 핀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속되는 절첩을 이루어 형성되는 절첩부재; 상기 절첩부재의 상단부를 상기 레버의 일측에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재; 및 상기 절첩부재의 하단부를 상기 중추에 연결하는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 리미트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절첩부재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상기 중추 로프가 삽입되는 고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 리미트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가이드바들이 서로 교차하는 부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 리미트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중추 리미트 장치는, 상기 레버의 타측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는 웨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 리미트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웨이트는 상기 레버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 리미트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추 리미트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은 중추와 중추 로프가 천정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중추 리미트 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유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발명은 중추 로프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중추가 와이어 로프와 부딪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3) 본 발명은 중추 리미트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중추 리미트 장치가 천정 크레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중추 리미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추 리미트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중추 리미트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중추 리미트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중추 리미트 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부를 상세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추 리미트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중추 리미트 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6은 중추 리미트 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부를 상세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추 리미트 장치(100)는 리미트 제어기(110), 레버(120), 중추 로프(130), 중추(140), 중추 스트라이커(150), 터치판(160), 가이드부(170) 및 웨이트(180)를 포함한다.
리미트 제어기(110)는 천정 크레인(1, 도 1 참조)의 일측에 설치되어 크레인(1)의 권상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리미트 제어기(110)는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후크(5)가 계속 상승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천정 크레인(1)의 권상 작동을 중지시키는 안전기능을 수행한다. 리미트 제어기(110)는 일측에 후술할 레버(120)가 결합되는 힌지축(111)이 부설되고, 그 양측으로 한 쌍의 스토퍼(113a, 113b)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리미트 제어기(110)의 구성 및 기능은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레버(120)는 리미트 제어기(110)의 힌지축(111)에 결합된다. 레버(120)는 중추(140) 및 터치판(160)이 상승하거나 하강함에 따라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리미트 제어기(110)를 작동시키거나 해제한다. 레버(120)의 일측에는 후술할 제 1 연결부재(173)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웨이트(180)가 결합된다.
중추 로프(130)는 상단부가 레버(12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재(173)에 체결되고, 가이드부(17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고리부재(177)를 관통하여 중추 로프(130)의 하단부가 중추(140)에 결합된다.
중추(140)는 중추 로프(130)의 하단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추(140)의 형상을 원기둥으로 제작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중추(140)는 상부에 후술할 제 2 연결부재(175)가 결합되고, 하부에 후술할 터치판(160)이 결합된다.
중추 스트라이커(150)는 크레인(1)의 와이어 로프(3)의 하단에 결합되는 후크(5)의 일측에 설치되며, 후크(5)의 상승 시 터치판(160)과 접촉되어 중추(140)를 들어올려서 리미트 제어기(11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터치판(160)은 중추(14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크(5)의 상승 시 중추 스트라이커(150)와 접촉된다. 또한, 터치판(160)은 일측에 중추(140)가 결합되고, 타측에 와이어 로프(3)가 관통하는 와이어홀(161)이 형성된다.
가이드부(170)는 레버(120)와 중추(14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중추(140) 및 터치판(16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가이드부(170)는 레버(120)의 일측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중추(140)와 터치판(160)이 와이어 로프(3)를 따라 안정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170)는 중추 스트라이커(15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만약 부딪칠 경우 자연스럽게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절첩되어 중추(140)와 터치판(160)이 와이어 로프(3)를 따라 상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반대의 경우로 중추 스트라이커(15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부(170)가 펼쳐지면 중추(140)와 터치판(160)이 와이어 로프(3)를 따라 하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7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구성을 갖는다.
가이드부(170)는 절첩부재(171), 제 1 연결부재(173), 제 2 연결부재(175) 및 고리부재(177)를 포함한다.
절첩부재(171)는 복수 개의 가이드바(171a)가 핀(172)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속되는 절첩을 이루어 형성된다. 절첩부재(171)는 상측이 후술할 제 1 연결부재(173)에 의해 레버(120)의 일측에 결합되고, 하측이 후술할 제 2 연결부재(175)에 의해 중추(140)에 결합된다.
제 1 연결부재(173)는 레버(120)의 일측에 결합되며, 절첩부재(171)의 상단부를 레버(120)의 일측에 연결하는 부재이다. 제 1 연결부재(173)는 절첩부재(171)의 상단부가 결합됨과 아울러 중추 로프(130)의 상단부가 결합된다. 여기서, 절첩부재(171)의 상단부는 후술할 고리부재(177)에 의해 제 1 연결부재(173)에 연결된다.
제 2 연결부재(175)는 중추(14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절첩부재(171)의 하단부를 중추(140)에 연결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절첩부재(171)의 하단부는 후술할 고리부재(177)에 의해 제 2 연결부재(175)에 연결된다.
제 1 연결부재(173)와 제 2 연결부재(175)는 원기둥, 다각기둥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고리부재(177)는 절첩부재(171)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중추 로프(130)가 삽입된다. 예를 들어, 고리부재(177)는 가이드바(171a)들이 서로 교차하는 부위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설치된다.
웨이트(180)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 레버(120)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일정무게를 갖는 다수의 웨이트(180)를 레버(120)에 조립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웨이트(180)는 무게중심을 조절하기 위해서 레버(120)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추 리미트 장치(100)는 천정 크레인(1)의 일측에 장착되어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후크(5)가 계속 상승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천정 크레인(1)의 권상 작동을 중지시키는 안전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중추 리미트 장치(100)의 가이드부(170)는 중추 스트라이커(15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만약 부딪칠 경우 자연스럽게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절첩되어 중추(140)와 터치판(160)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와이어 로프(3)를 따라 상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70)가 절첩되어 오므라들 경우 와이어 로프(3)가 느슨해 지면서 웨이트(180)의 중량에 의해 레버(120)가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리미트 제어기(110)를 작동시켜 천정 크레인(1)의 권상이 정지하게 된다. 또한, 레버(120)가 회동하면서 리미트 제어기(110)를 작동시키고, 웨이트(180)의 중량에 의해 회동된 레버(120)는 스토퍼(113b)에 얹혀지면서 정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반대의 경우로 중추 스트라이커(15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레버(120)가 회전하면서 리미트 제어기(110)를 해제시키고, 가이드부(170)가 펼쳐지면서 중추(140)와 터치판(160)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와이어 로프(3)를 따라 하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레버(120)의 일측이 스토퍼(113a)에 얹혀지면서 정지하여 중추(140)가 적당한 위치에 머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추(140)와 중추 로프(130)가 천정 크레인(1)의 와이어 로프(3)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중추 리미트 장치(100)의 원활한 작동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중추 로프(13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중추(140)가 와이어 로프(3)와 부딪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추 리미트 장치(100)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중추 리미트 장치
110 : 리미트 제어기
120 : 레버
130 : 중추 로프
140 : 중추
150 : 중추 스트라이커
160 : 터치판
161 : 와이어홀
170 : 가이드부
171 : 절첩부재
173 : 제 1 연결부재
175 : 제 2 연결부재
177 : 고리부재
180 : 웨이트

Claims (7)

  1. 천정 크레인에 설치되며, 상기 크레인의 권상을 제어하는 리미트 제어기;
    상기 리미트 제어기의 힌지축에 결합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일측에 연결되는 중추 로프;
    상기 중추 로프의 하단에 결합되는 중추;
    상기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에 결합되는 후크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의 상승 시 상기 중추를 들어올려서 상기 리미트 제어기를 작동시키는 중추 스트라이커;
    상기 중추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가 삽입되는 와이어홀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상승 시 상기 중추 스트라이커와 접촉되는 터치판; 및
    상기 레버와 상기 중추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중추 및 상기 터치판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 리미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하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 리미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 개의 가이드바가 핀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속되는 절첩을 이루어 형성되는 절첩부재;
    상기 절첩부재의 상단부를 상기 레버의 일측에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재; 및
    상기 절첩부재의 하단부를 상기 중추에 연결하는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 리미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절첩부재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상기 중추 로프가 삽입되는 고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 리미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가이드바들이 서로 교차하는 부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 리미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추 리미트 장치는,
    상기 레버의 타측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는 웨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 리미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레버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 리미트 장치.
KR1020120071610A 2012-07-02 2012-07-02 중추 리미트 장치 KR101350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610A KR101350463B1 (ko) 2012-07-02 2012-07-02 중추 리미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610A KR101350463B1 (ko) 2012-07-02 2012-07-02 중추 리미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18A true KR20140003918A (ko) 2014-01-10
KR101350463B1 KR101350463B1 (ko) 2014-01-14

Family

ID=5014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610A KR101350463B1 (ko) 2012-07-02 2012-07-02 중추 리미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4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371A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포스코 권과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기
CN105776029A (zh) * 2016-04-17 2016-07-20 昆山克鲁克机电设备有限公司 起重机重锤式起升限位装置
CN109531085A (zh) * 2018-11-27 2019-03-29 西安华运天成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户外通讯机的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569Y1 (ko) * 1994-06-08 1997-06-2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천정기중의 과권 비상용 안전장치
JPH08310789A (ja) * 1995-05-16 1996-11-26 Daihatsu Motor Co Ltd 垂直搬送装置の索条弛み検出装置
KR19990027319U (ko) * 1997-12-23 1999-07-15 이구택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 설치 구조
KR200223776Y1 (ko) * 2000-12-20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와이어로프 보호용 중추리미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371A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포스코 권과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기
CN105776029A (zh) * 2016-04-17 2016-07-20 昆山克鲁克机电设备有限公司 起重机重锤式起升限位装置
CN109531085A (zh) * 2018-11-27 2019-03-29 西安华运天成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户外通讯机的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463B1 (ko) 201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7485B1 (ja) 荷降ろし装置
KR101350463B1 (ko) 중추 리미트 장치
KR101114030B1 (ko) 지브크레인
KR10186297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18229905A1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装置
JP4454765B2 (ja) エレベータ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377324B1 (ko) 창호용 수직 승강장치
JP5077014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振れ止め装置
JP6540918B1 (ja) エレベーターのおもりブロックおよびその移動方法
CN110054057B (zh) 电梯装置
JP2013129493A (ja) エレベータの移動ケーブル装置
JP5805002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967065B1 (ko) 승강기 도어 개폐 장치
JP669459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駆動方法
JP6216743B2 (ja) フォーク式吊り装置
JP2007076854A (ja) マンコンベア用制御装置の持ち出し装置
JP6300715B2 (ja) エレベータ用足場装置
JP4562252B2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作業用昇降装置
KR20130121481A (ko) 천장 크레인의 중추 리미트 장치
JP201104242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JP6882082B2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内揚重支援装置
JP3170289U (ja) 作業用昇降装置
KR200386081Y1 (ko) 크레인용 중추 리미트의 결합구조
JP200902377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