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319U -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319U
KR19990027319U KR2019970039909U KR19970039909U KR19990027319U KR 19990027319 U KR19990027319 U KR 19990027319U KR 2019970039909 U KR2019970039909 U KR 2019970039909U KR 19970039909 U KR19970039909 U KR 19970039909U KR 19990027319 U KR19990027319 U KR 199900273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wire
wire rope
overhead crane
central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호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39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319U/ko
Publication of KR199900273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319U/ko

Links

Landscapes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기중기의 와이어드럼에 중추와이어를 매개로 설치되는 중추리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추리미트장치(120)와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된 베이스(11)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고정봉(12)이 설치되고, 이 고정봉(12)에는 상단부에 스토퍼(21)가 구비된 상태에서 외주면을 따라 높이를 조정시킬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미끄럼방지홈(22)이 형성된 상하이송봉(20)이 설치되며, 이 상하이송봉(20)의 하단부에는 와이어로프(110)의 외주면에 감겨져 상하향할 수 있도록 된 상부걸림고리(31)가 설치된 연결봉(30)가 나선결합되는 한편, 이 연결봉(30)에는 중추(140)의 몸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하부고정고리(41)가 탄성스프링(42)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된 요홈(43)이 형성된 실린더(40)가 나선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실린더의 측면에 형성된 요홈을 따라 중추가 상향되면서 천정기중기를 정지시키게 되므로, 와이어로프와 중추와이어의 꼬임현상이 방지되어 마찰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와이어로프와 상부걸림고리의 접촉이 방지되어 절손에 의한 작동불능상태가 예방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 설치 구조 (Structure for mounting a limit roader of crane hoist)
본 고안은 천정기중기의 와이어드럼에 중추와이어를 매개로 설치되는 중추리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추리미트장치의 중추가 고리를 통해 와이어로프를 타고 상하향하다가 유동이나 충격에 의해 꼬이게 되거나 마찰에 의해 절손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된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크레인은 건물의 공간 상부에서 중량물을 이동 또는 운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이러한 천정크레인은 주행장치와, 횡행장치, 권상장치 및, 집기장치로 구분된다.
상기한 권상장치는 중량물을 집어서 올리고 내리는 설비로서, 운전자의 오작동이나 설비의 오동작에 의하여 과권상이 발생된 경우에 자동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상용리미트장치와, 이 상용리미트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비상의 경우에 작동시키기 위한 중추리미트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용리미트장치는 와이어드럼(wire drum)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수의 변화에 따라 일정높이가 되었을 때 세팅위치에서 자동을 권상을 차단하게 되는 설비이며, 상기 중추리미트장치는 와이어로프(wire rope)에 대략 ㄷ자형태의 고리를 걸어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설비이다.
즉,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종래의 중추리미트장치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드럼(100)에는 하부측방향으로 길게 중량물을 상하향시킬 수 있도록 된 와이어로프(110)가 감겨지고, 이 와이어드럼(100)의 측부에는 비상의 경우에 작동할 수 있도록 된 중추리미트장치(120)가 설치되며, 이 중추리미트장치(120)의 하부측으로 설치된 중추와이어(130)에는 고리(141)를 통해 와이어로프(110)를 타고 상하향할 수 있도록 된 중추(140)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중추(140)가 고리(141)를 통해 와이어로프(110)를 타고 상하향하면서, 상기 상용리미트장치에 이상이 발생되는 비상의 경우에 과권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중추(140)가 고리(141)를 통해 와이어로프(110)를 타고 상하향하다가, 충격이나 유동에 의하여 와이어로프(110)와 중추와이어(130)가 상호 꼬이게 되는 경우 마찰에 의한 손상을 입게 될 뿐만 아니라 와이어로프(110)가 고리(141)에 의해 마찰되면서 절손되는 경우 작동불능상태에 이르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중추리미트장치의 중추가 고리를 통해 와이어로프를 타고 상하향하다가 유동이나 충격에 의해 꼬이게 되거나 마찰에 의해 절손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된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와이어드럼에는 중량물을 상하향시킬 수 있도록 된 와이어로프가 감겨지고, 이 와이어드럼의 측부에는 비상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레버가 구비된 중추리미트장치가 설치되며, 이 레버에 연결된 중추와이어에는 와이어로프를 타고 상하향할 수 있도록 된 중추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천정기중기의 권상기에 있어서, 중추리미트장치와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된 베이스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고정봉이 설치되고, 이 고정봉에는 상단부에 스토퍼가 구비된 상태에서 외주면을 따라 높이를 조정시킬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된 상하이송봉이 설치되며, 이 상하이송봉의 하단부에는 와이어로프의 외주면에 감겨져 상하향할 수 있도록 된 상부걸림고리가 설치된 연결봉가 나선결합되는 한편, 이 연결봉에는 중추의 몸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하부고정고리가 구비됨과 동시에 이 하부고정고리가 탄성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된 요홈이 형성된 실린더가 나선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의 측면에 형성된 요홈을 따라 중추가 상향되면서 천정기중기를 정지시키게 되므로, 와이어로프와 중추와이어의 꼬임현상이 방지되어 마찰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와이어로프와 상부걸림고리의 접촉이 방지되어 절손에 의한 작동불능상태가 예방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가 작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가 작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기중기용 권상기 의 리미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와이어드럼 110 : 와이어로드
120 : 중추리미트장치 121 : 레버
130 : 중추와이어 140 : 중추
11 : 베이스 12 : 고정봉
12a : 플랜지부 12b : 높이조절보울트
20 : 상하이송봉 21 : 스토퍼
22 : 미끄럼방지홈 23 : 숫나사부
30 : 연결봉 31 : 상부걸림고리
32 : 소킷 33 : 숫나사부
40 : 실린더 41 : 하부고정고리
42 : 탄성스프링 43 : 요홈
44 : 엘보 45 : 피스톤
46 : 연결부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가 작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기중기용 권상기 의 리미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드럼(100)에는 중량물을 상하향시킬 수 있도록 된 와이어로프(110)가 감겨지고, 이 와이어드럼(100)의 측부에는 비상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레버(121)가 구비된 중추리미트장치(120)가 설치되며, 이 레버(121)에 연결된 중추와이어(130)에는 고리(141)를 통해 와이어로프(110)를 타고 상하향할 수 있도록 된 중추(14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천정기중기의 권상기에 있어서, 중추리미트장치(120)와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된 베이스(11)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고정봉(12)이 설치되고, 이 고정봉(12)에는 상단부에 스토퍼(21)가 구비된 상태에서 외주면을 따라 높이를 조정시킬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미끄럼방지홈(22)이 형성된 상하이송봉(20)이 설치되며, 이 상하이송봉(20)의 하단부에는 와이어로프(110)의 외주면에 감겨져 상하향할 수 있도록 된 상부걸림고리(31)가 설치된 연결봉(30)가 나선결합되는 한편, 이 연결봉(30)의 하부에는 중추(140)의 몸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하부고정고리(41)가 구비됨과 동시에 이 하부고정고리(41)가 탄성스프링(42)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된 요홈(43)이 형성된 실린더(40)가 나선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천정크레인의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와이어드럼(100)과 중추리미트장치(120)가 설치되어 있으되, 이 중추리미트장치(120)의 측부에는 양측으로 나란하게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면을 따라 보울트체결홈이 형성된 베이스(11)가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의 상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고정봉(12)이 설치되어 있으되, 이 고정봉(12)의 양측면에는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플랜지부(1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에는 놀이조절보울트(12b)가 삽입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베이스(11)의 상면에는 고정봉의 플랜지부(12a)가 안착된 상태에서 보울트를 매개로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봉(12)의 슬라이딩홈에는 상하이송봉(20)이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되, 이 상하이송봉(20)의 선단부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플레이트 형상의 스토퍼(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몸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미끄럼방지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숫나사부(2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고정봉(12)의 슬라이딩홈에 상하이송봉(20)을 설치한 상태에서 높이조절보울트(12b)를 체결하게 되면, 이 높이조절보울트(12b)와 미끄럼방지홈(22)이 맞물리게 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하이송봉(20)의 숫나사부(23)에는 원통형상의 연결봉(30)이 나선결합되어 있으되, 이 연결봉(30)의 측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소킷(32)에는 상부걸림고리(31)가 나선결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숫나사부(3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상부걸림고리(31)의 선단부에는 와이어로프(11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봉(30)의 숫나사부(33)에는 실린더(40)가 나선결합되어 있으되, 이 실린더(40)의 측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요홈(43)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40)의 내부에는 용홈(43)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된 대략 ㄱ자 형상의 엘보(44)와 이 엘보(44)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피스톤(45)과 이 피스톤(45)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된 탄성스프링(42)이 각각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엘보(44)에는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하부고정고리(41)가 나선결합되어 있으되, 이 하부고정고리(41)의 선단부에는 양갈래로 가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지에는 연결부재(46)를 매개로하여 중추(140)가 고정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고정봉(12)의 내주면에 상하이송봉(20)을 삽입하여 적당하게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높이조절보울트(12b)를 조이게 되면, 중추리미트장치(120)의 위치가 세팅된 상태이다.
즉, 상기 연결봉(30)의 외주면을 따라 균일하게 형성된 미끄럼방지홈(22)에 높이조절보울트(12b)가 나선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중추(140)의 몸체는 하부고정대(41)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도록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요홈(43)을 따라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상태이다.
물론, 상기 중추(140)는 요홈(43)을 따라 상하부로만 이동하는 상태이므로, 상기 상부걸림고리(31)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에는 중추와이어(130)의 외표면과 접촉됨이 없이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되는 상태이다.
즉, 상기 중추와이어(130)와 상부걸림고리(31)는 상호 마찰됨이 없어지는 것이다.
만일, 상기 천정크레인을 조작하던 운전자가 실수를 하거나 설비의 오동작에 의하여 과권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상용리미트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상용리미트장치가 작동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 중추리미트장치(120)가 작동하게 된다.
즉, 상기 상용리미트장치(120)의 중추(140)가 압력을 받게 되면서, 상기 중추(140)의 몸체는 탄성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하여 요홈(43)을 타고 상향되는 상태로 되므로, 상기 레버(121)가 작동하게 되면서 천정기중기의 권상기를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 설치 구조에 의하면, 실린더의 측면에 형성된 요홈을 따라 중추가 상향되면서 천정기중기를 정지시키게 되므로, 와이어로프와 중추와이어의 꼬임현상이 방지되어 마찰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와이어로프와 상부걸림고리의 접촉이 방지되어 절손에 의한 작동불능상태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와이어드럼(100)에는 중량물을 상하향시킬 수 있도록 된 와이어로프(110)가 감겨지고, 이 와이어드럼(100)의 측부에는 비상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레버(121)가 구비된 중추리미트장치(120)가 설치되며, 이 레버(121)에 연결된 중추와이어(130)에는 와이어로프(110)를 타고 상하향할 수 있도록 된 중추(14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천정기중기의 권상기에 있어서,
    중추리미트장치(120)와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된 베이스(11)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고정봉(12)이 설치되고, 이 고정봉(12)에는 상단부에 스토퍼(21)가 구비된 상태에서 외주면을 따라 높이를 조정시킬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미끄럼방지홈(22)이 형성된 상하이송봉(20)이 설치되며, 이 상하이송봉(20)에는 하부측으로 와이어로프(11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향되는 상부걸림고리(31)가 구비된 연결봉(30)가 나선결합되는 한편, 이 연결봉(30)에는 하부측으로 중추(140)의 몸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하부고정고리(41)가 탄성스프링(42)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일정거리를 따라 가변할 수 있도록 된 요홈(43)이 구비된 실린더(40)가 나선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 설치 구조.
KR2019970039909U 1997-12-23 1997-12-23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 설치 구조 KR199900273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909U KR19990027319U (ko) 1997-12-23 1997-12-23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909U KR19990027319U (ko) 1997-12-23 1997-12-23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319U true KR19990027319U (ko) 1999-07-15

Family

ID=6969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909U KR19990027319U (ko) 1997-12-23 1997-12-23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31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859B1 (ko) * 2001-07-31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의 중추와이어의 감김방지 장치
KR100953796B1 (ko) * 2009-08-25 2010-04-21 김성진 크레인의 과권상 방지장치
KR101350463B1 (ko) * 2012-07-02 2014-01-14 주식회사 포스코 중추 리미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859B1 (ko) * 2001-07-31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의 중추와이어의 감김방지 장치
KR100953796B1 (ko) * 2009-08-25 2010-04-21 김성진 크레인의 과권상 방지장치
KR101350463B1 (ko) * 2012-07-02 2014-01-14 주식회사 포스코 중추 리미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2819B2 (ja) レール、特にオーバヘッドコンベアまたは巻上機の走行レールを懸架するための装置
JP5032820B2 (ja) レール、特にオーバヘッドコンベアまたは巻上機の走行レールを懸架するための装置
US7117978B2 (en) Dampening device for an elevator compensating cabl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RU2003116537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нения подвески грузового крана
JP5886682B2 (ja) エレベーター
KR19990027319U (ko) 천정기중기용 권상기의 중추리미트 설치 구조
KR100574434B1 (ko) 하중 검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407947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の把持構造
EP1431231A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EP1123891A2 (en) Dead end hitch for elevator rope
CN212934893U (zh) 用于快速拆装的接地线夹
KR102121924B1 (ko) 천장 크레인 제동장치
JP5079495B2 (ja) エレベータの吊り下げ装置
KR102013738B1 (ko)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활차
KR101370571B1 (ko) 천정 크레인의 훅크 과 권상 방지장치
WO1986007343A1 (en) Automatically acting, lockable hoisting block
US9573790B2 (en) Suspension device and suspension arrangement
CN217869736U (zh) 一种吊轨和吊挂座
KR200223776Y1 (ko) 와이어로프 보호용 중추리미트 장치
JPH07137991A (ja) ワイヤロープの巻上げ装置
JP6072324B1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
CN114407965A (zh) 一种抓轨器
KR102365385B1 (ko) 천장 크레인용 새들 고정장치
CN216403540U (zh) 一种机油冷却器组件起吊装置
CN219469412U (zh) 一种可调整吊环位置吊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