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134A - 테이프 피더 및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테이프 피더 및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134A
KR20140000134A KR1020127022789A KR20127022789A KR20140000134A KR 20140000134 A KR20140000134 A KR 20140000134A KR 1020127022789 A KR1020127022789 A KR 1020127022789A KR 20127022789 A KR20127022789 A KR 20127022789A KR 20140000134 A KR20140000134 A KR 20140000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guide
peeling
carrier tap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데 나가오
노부히로 나카이
유타카 기노시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0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S156/918Delaminating processes adapted for specified product, e.g. delaminating medical specimen slide
    • Y10S156/93Semiconductive product delaminating, e.g. delaminating emiconductive wafer from under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S156/934Apparatus having delaminating means adapted for delaminating a specified article
    • Y10S156/941Means for delaminating semiconductive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78Delaminating b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에 의해 수행되는 캐리어 테이프(15)로부터의 커버 테이프(15e)의 박리에 있어서,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에 의해 베이스 테이프(15a)로부터 박리된 커버 테이프(15e)가, 오목 원추면(52c)에 접촉하게 되어, 커버 테이프(15e)의 일측부는 상기 타측부를 향해 굴곡되고; 캐리어 테이프(15)가 픽업 위치로 가이드되는 동안 굴곡된 커버 테이프(15e)는 가이드면(32s)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압박된다. 따라서, 커버 테이프(15e)는, 베이스 테이프에 대하여 평면 형상으로 절첩된다.

Description

테이프 피더 및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TAPE FEEDER AND TAPE MOUNTING METHOD OF TAPE FEEDER}
본 발명은, 부품 실장 장치에 장착되고, 캐리어 테이프에 유지된 전자 부품을 부품 탑재 기구에 의해 전자 부품이 픽업되는 픽업 위치에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 및 테이프 피더에 캐리어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 피더는, 부품 실장 장치에서 전자 부품을 공급하는 유닛으로 알려져 있다. 테이프 피더는, 전자 부품을 유지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간헐적으로 이송함으로써, 부품 탑재 기구의 트랜스퍼 헤드에 의해 전자 부품이 픽업되는 픽업 위치에 전자 부품을 공급한다. 픽업 위치의 근방에서, 캐리어 테이프의 상부는 커버 테이프로 덮이고 캐리어 테이프는 본체부 내에 형성된 테이프 주행로를 따라서 가이드되는 동안, 캐리어 테이프는 테이프 이송 기구에 의해 피치 이송된다. 또한, 전자 부품은, 테이프 가이드에 형성된 부품 취출용 개구부(component take-out opening portion)를 통해, 부품 탑재 기구의 트랜스퍼 헤드에 의해 픽업 위치에서 픽업된다.
전자 부품을 유지하는 캐리어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공급릴에 권취된 상태로 공급된다. 새로운 캐리어 테이프가 장착될 때, 공급릴로부터 인출된 캐리어 테이프는, 테이프 삽입부로부터 삽입되고, 픽업 위치에서 캐리어 테이프를 커버 부재의 하면에 세팅하는 테이프 장착 작업이 행해진다. 이러한 테이프 장착 작업은,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구멍이 테이프 이송 기구의 스프로켓의 이송핀에 정확하게 계합(engage)되는 상태에서, 프레싱 부재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를 테이프 주행로에 대하여 위로부터 압박함으로써, 본체부에 캐리어 테이프를 세팅하는 복잡한 조작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종래에는, 테이프 장착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해, 캐리어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테이프 가이드는, 픽업 위치의 근방에서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박리 부재가 구비되는 구성을 갖는 테이프 피더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테이프 가이드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테이프 가이드에 캐리어 테이프를 세팅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장착 작업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370058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술한 예를 포함하여, 테이프 가이드에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박리 부재가 구비되는 구성을 가지는 관련된 기술에서, 부품이 흡착 노즐에 의해 취출되는 픽업 위치에서 커버 테이프가 직립된(erected) 상태이기 때문에, 다음의 어려움이 있다. 즉, 이러한 방식에서는, 픽업 위치에 직립된 상태인 커버 테이프가 흡착 노즐의 승강 동작을 저해하지 않도록, 흡착 노즐의 승강 스트로크는, 커버 테이프의 높이만큼 긴 거리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흡착 노즐의 승강 스트로크의 증대는, 흡착 노즐이 하강되어 부품을 흡착할 때의 흡착 노즐의 위치 정밀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 결과, 부품 흡착 정밀도는 저하된다.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박리 부재가 이와 같은 방식으로 테이프 가이드에 구비된 구성을 갖는 관련된 기술에서, 박리된 커버 테이프가 픽업 위치에서 흡착 노즐의 승강 동작을 저해하기 때문에, 부품 흡착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박리 부재가 테이프 가이드에 구비되는 구성에서, 부품 흡착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는 테이프 피더 및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는,
부품 수납용 오목부 내에 전자 부품을 유지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피치 이송함으로써, 트랜스퍼 헤드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이 픽업되는 픽업 위치에 상기 전자 부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베이스 테이프와, 상기 오목부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테이프의 상면에 접착된 커버 테이프를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테이프 주행로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스프로켓의 이송핀이 상기 베이스 테이프에 형성된 이송 구멍에 계합된 때, 상기 스프로켓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미리 정해진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 기구와;
상기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픽업 위치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상기 테이프 이송 기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폭 방향을 가이드하고, 가이드면에 의해 위로부터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압박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을 가이드하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하면을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 테이프의 일측부로부터 상기 커버 테이프를 박리함으로써 상기 오목부 내에 수용된 상기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기 피치 이송 동안 상기 베이스 테이프와 상기 커버 테이프의 접착면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박리 대상 범위에서 상기 일측부로부터 상기 접착면을 박리하는 박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 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박리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일측부를 상기 타측부를 향해 굴곡시키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픽업 위치로 가이드하는 동안 상기 굴곡된 커버 테이프를 상기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면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압박함으로써, 상기 커버 테이프는, 상기 픽업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테이프에 대하여 평면 형상으로 절첩된다.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의 가이드부 상에 캐리어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피더는,
오목부가 형성된 베이스 테이프와, 상기 오목부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테이프의 상면에 접착된 커버 테이프를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테이프 주행로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스프로켓의 이송핀이 상기 베이스 테이프에 형성된 이송 구멍에 맞물린 때, 상기 스프로켓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미리 정해진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 기구와;
상기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픽업 위치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상기 테이프 이송 기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폭 방향을 가이드하고, 가이드면에 의해 위로부터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압박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을 가이드하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하면을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 테이프의 일측부로부터 상기 커버 테이프를 박리함으로써 상기 오목부 내에 수용된 상기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기 피치 이송 동안 상기 베이스 테이프와 상기 커버 테이프의 접착면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박리 대상 범위에서 상기 일측부로부터 상기 접착면을 박리하는 박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피더는, 상기 오목부 내에 상기 전자 부품을 유지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피치 이송함으로써, 트랜스퍼 헤드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이 픽업되는 픽업 위치에 상기 전자 부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상기 가이드부로 도입될 때, 상기 박리 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박리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일측부를 상기 타측부를 향해 굴곡시키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픽업 위치로 가이드하는 동안 상기 굴곡된 커버 테이프를 상기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면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압박함으로써, 상기 커버 테이프를 상기 픽업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테이프에 대하여 평면 형상으로 절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 테이프가 가이드부로 도입될 때, 박리 부재에 의해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박리된 커버 테이프의 일측면을 타측면을 향해 굴곡시키고, 캐리어 테이프를 픽업 위치로 가이드하는 동안 굴곡된 커버 테이프를 가이드부의 가이드면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압박하는 것에 의해, 커버 테이프는, 픽업 위치에서 베이스 테이프에 대하여 평면 형상으로 절첩된다. 따라서, 픽업 동작에 필요한 흡착 노즐의 승강 스트로크를 짧은 거리로 설정하여, 승강 스트로크의 증대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수평 위치의 시프트(shift)에 의해 야기되는 부품 흡착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에 장착된 가이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에 장착된 가이드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에 장착된 가이드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에 장착된 가이드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에 장착된 가이드부의 상부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의 가이드부에 조립되는 테이프 박리 기구의 박리 부재의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의 가이드부에 조립되는 테이프 박리 기구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박리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박리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박리 기구의 박리 억제 기구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의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의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기판에 전자 부품을 실장하는 부품 실장 장치(1)의 구성을 설명한다. 부품 실장 장치(1)는, 기판에 반도체 칩 등의 전자 부품을 실장하는 기능을 가지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을 부분적으로 보여준다.
도 1에서, 기판 반송 기구(2)는, 베이스(1a)의 중앙의 X 방향(기판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기판 반송 기구(2)는, 상류측으로부터 반입된 기판(3)을 반송하여, 부품 실장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세팅된 실장 스테이지에 기판(3)을 위치시킨다. 부품 공급부(4)는, 기판 반송 기구(2)의 양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테이프 피더(5)는, 부품 공급부(4)의 각각에 나란히 배열된다. 전자 부품을 유지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피치 이송함으로써, 테이프 피더(5)는, 후술하는 트랜스퍼 헤드의 흡착 노즐에 의해 전자 부품이 픽업되는 픽업 위치에 전자 부품을 공급한다.
Y축 테이블(6A, 6B)은, 베이스(1a)의 상면의 양단부 상에 배치되고, 2개의 X축 테이블(7A, 7B)은, Y축 테이브(6A, 6B) 상에 가설(架設)된다. Y 축 테이블(6A)이 구동되어, X축 테이블(7A)이 Y 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한다. Y축 테이블(6B)이 구동되어, X축 테이블(7B)이 Y 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한다. 트랜스퍼 헤드(8)와, 트랜스퍼 헤드(8)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기판 인식 카메라(9)는, X축 테이블(7A, 7B)의 각각에 장착된다.
Y축 테이블(6A), X축 테이블(7A), Y축 테이블(6B), 및 X축 테이블(7B)이 조합하여 구동되어, 트랜스퍼 헤드(8)는 수평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나서, 트랜스퍼 헤드(8)는, 흡착 노즐(8a)(도 2 참조)에 의해 개별적인 부품 공급부(4)로부터 전자 부품을 픽업하고, 기판 반송 기구(2)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는 기판(3) 상에 전자 부품을 실장한다. Y축 테이블(6A), X축 테이블(7A), Y축 테이블(6B), 및 X축 테이블(7B)은, 트랜스퍼 헤드(8)를 이동시키는 헤드 이동 기구를 형성한다.
트랜스퍼 헤드(8)와 함께 기판(3) 위를 이동하는 기판 인식 카메라(9)는, 기판(3)을 촬상하여 기판(3)을 인식한다. 또한, 부품 인식 카메라(10)는, 부품 공급부(4)로부터 기판 반송 기구(2)에 이르는 경로에 설치된다. 부품 공급부(4)로부터 전자 부품을 취출한 트랜스퍼 헤드(8)가, 실장 스테이지에 위치하는 기판(3)으로 이동할 때, 트랜스퍼 헤드(8)는, 흡착 노즐(8a)에 의해 유지되는 전자 부품을 부품 인식 카메라(10) 위의 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부품 인식 카메라(10)는, 흡착 노즐(8a)에 의해 유지되는 전자 부품을 촬상한다. 또한, 촬상 결과는 인식 장치(미도시)에 의해 인식 처리됨으로써, 흡착 노즐(8a)에 의해 유지되는 전자 부품의 위치가 인식되고, 전자 부품의 종류기 식별된다. 노즐 유지기(nozzle holder)(11)는, 여러 종류의 흡착 노즐(8a)을 미리 정해진 자세로 수납한다. 트랜스퍼 헤드(8)가 노즐 유지기(11)에 액세스하여 노즐 교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노즐은 트랜스퍼 헤드(8)에 의해 반송되는 대상인 전자 부품의 종류에 따라서 교환된다.
부품 공급부(4)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공급부(4)에는 복수의 테이프 피더(5)가 장착되는 피더 베이스(4a)가 설치된다. 테이프 피더(5)는, 피더 장착용 캐리지(carriage)(12) 의해 부품 공급부(4)에 배치되고, 캐리지(12)에는, 캐리어 테이프(15)를 권취 상태로 수납한 테이프 릴(14)을 유지하는 릴 유지기(13)가 설치된다. 릴 유지기(13)는, 테이프 릴(14)을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테이프 릴(14)을 유지하는 유지 롤러를 포함한다. 따라서, 부품 공급부(4)에 배치된 테이프 릴(14)을 회전시킴으로써, 캐리어 테이프(15)를 인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테이프 피더(5)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피더(5)는, 본체부(5a) 및 본체부(5a)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장착부(5b)를 포함한다. 본체부(5a)의 하면이 피더 베이스(4a)를 따르도록 테이프 피더(5)가 장착될 때, 장착부(5b)에 형성된 커넥터(5c)가 피더 베이스(4a)에 감합된다. 따라서, 테이프 피더(5)는, 부품 공급부(4)에 고정되어 장착되고, 테이프 피더(5)는 부품 실장 장치(1)의 제어 장치(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테이프 릴(14)로부터 인출되고 본체부(5a) 내로 삽입되는 캐리어 테이프(15)를 가이드하는 테이프 주행로(5d)가, 본체부(5a)의 후단부로부터 본체부(5a)의 전단부까지 연속하여 본체부(5a)의 내에 형성된다. 전자 부품(16)이 수납되어 유지되는 부품 수납용 오목부인 부품 포켓(15b)과, 캐리어 테이프(15)를 피치 이송하기 위해 이용되는 이송 구멍(15d)이, 테이프 본체를 형성하는 베이스 테이프(15a)에 미리 정해진 피치로 형성되도록, 캐리어 테이프(15)가 형성된다. 베이스 테이프(15a)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엠보스부(embossed portions)(15c)는, 부품 포켓(15b)의 하면에 형성된다. 부품 포켓(15b)으로부터 전자 부품(16)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품 포켓(15b)을 덮도록, 커버 테이프(15e)가 베이스 테이프(15a)의 상면에 접착된다.
본체부(5a)에는, 캐리어 테이프(15)를 피치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부(17)가 내장된다. 테이프 이송부(17)는, 테이프 주행로(5d)의 전단부에 설치된 스프로켓(20)을 회전 구동시키는 이송 모터(19) 및 이송 모터(19)를 제어하는 피더 제어부(18)를 포함한다. 테이프 피더(5)가 피더 베이스(4a)에 장착될 때, 피더 제어부(18)는 제어 장치(21)에 연결된다.
이송 구멍(15d)에 감합되는 이송핀(20a)(도 16(b) 참조)이, 스프로켓(20)에 일정한 피치로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송핀이 이송 구멍(15d)에 계합된 상태로 이송 모터(19)가 구동될 때, 스프로켓(20)은, 회전축(19a)에 고정된 베벨 기어(25)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캐리어 테이프(15)는 하류측(도 3에서 좌측)으로 피치 이송된다. 스프로켓(20) 및 이송 모터(19)는, 본체부(5a)에 형성되고 스프로켓(20)의 이송핀(20a)이 이송 구멍(15d)에 계합될 때 스프로켓(20)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캐리어 테이프(15)를 미리 정해진 피치로 피치 이송시키는 테이프 이송 기구를 형성한다.
스프로켓(20)의 전방은, 부품 포켓(15b)에 수납되는 전자 부품(16)이 트랜스퍼 헤드(8)의 흡착 노즐(8a)에 의해 흡착되어 취출되는 픽업 위치에 위치한다. 전술한 테이프 이송 기구에 의해 테이프 주행로(5d)를 따라 이송되는 캐리어 테이프(15)는, 전술한 픽업 위치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범위, 즉 캐리어 테이프(15)를 전자 부품이 흡착 노즐(8a)에 의해 픽업되는 픽업 위치로 가이드하고 이송핀(20a)에 이송 구멍(15d)을 정확하게 계합시키기 위해 필요한 범위에서, 이하 설명되는 가이드부(30)에 의해 가이드 된다. 또한, 베이스 테이프(15a)에 접착되는 커버 테이프(15e)의 접착면은, 가이드부(30)에 조립된 테이프 박리 기구에 의해 부분적으로 박리된다. 따라서, 부품 포켓(15b)에 수납된 전자 부품(16)이 노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5a)의 전단부(테이프 이송 방향에서 하류측)의 미리 정해진 범위는, 가이드부(30)가 부착되고 분리되는 가이드 장착부(22)를 형성한다. 가이드부(30)는, 하부 부재(31) 및 상부 부재(32)를 포함한다. 하부 부재(31)에 형성된 하류측 장착부(31a) 및 상류측 장착부(31b)를, 각각 하류측 감합부(23, downstream fitting portion) 및 상류측 계지부(24, upstream locking portion)에 대하여 계합시켜 고정하면, 가이드부(30)는 가이드 장착부(22)에 장착된다. 역순으로 조작을 수행하면, 가이드부(30)는 가이드 장착부(22)로부터 분리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가이드부(30)를 형성하는 각 부 및 이들 각 부의 기능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0)는 하부 부재(31) 및 상부 부재(32)를 포함한다.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재(31)의 본체를 형성하며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세로 부재(longitudinal member)의 상면에 홈부(31g)를 형성하도록, 하부 부재(31)가 형성된다. 하부 부재(31)는, 홈부(31g)의 양측부에 형성된 테이프 지지부(31e, 31f)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캐리어 테이프(15)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캐리어 테이프(15)가 하부 부재(31) 상에 배치될 때, 엠보스부(15c)가 홈부(31g) 내에 감합되고, 이송 구멍(15d)이 형성되는 베이스 테이프의 범위는 테이프 지지부(31e)에 의해 지지되고, 베이스 테이프(15a)의 반대쪽 단부는 테이프 지지부(31f)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테이프의 이송이 가이드된다. 엠보스부(15c)가 없는 평판 모양의 종이 테이프 등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캐리어 테이프(15)는 테이프 지지부(31e, 31f)에 의해 지지된다.
하류측 장착부(31a)는, 하부 부재(31)의 하류측(도 5에서 좌측)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감합부(31c)는, 감합부(31c)가 하류측 감합부(23)의 감입 오목부(23a)(도 8 참조)에 감합되는 형상으로, 하류측 장착부(31a)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상류측 장착부(31b)는, 하부 부재(31)의 상류측(도 5에서 좌측)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피계지부(31d)는, 피계지부(31d)가 상류측 계지부(24)의 계지 부재(24a)에 의해 계지(lock)될 수 있는 형상으로, 하부 부재(31)의 단부에 형성된다. 가이드부(30)가 테이프 피더(5)의 가이드 장착부(22)에 장착될 때, 피계지부(31d)는,감합부(31c)가 하류측 감합부(23)의 감입 오목부(23a)에 감합되는 상태에서 계지 부재(24a)에 의해 계지된다.
또한, 가이드부(30)가 테이프 피더(5)의 가이드 장착부(22)로부터 이탈될 때, 감합부(31c)는, 계지 부재(24a)에 의해 수행되는 피계지부(31d)의 계지를 해제한 상태에서 감입 오목부(23a)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하부 부재(31)에 형성된 감합부(31c) 및 피계지부(31d)는, 하부 부재(31)를 가이드 장착부(22)에 부착시키고 가이드 장착부(22)로부터 분리시키는 부착/분리 기구를 형성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가이드부(30)의 구성에서, 하부 부재(31)는, 캐리어 테이프(15)의 하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가이드 장착부(22)에 부착되고 가이드 장착부(22)로부터 분리되는 부착/분리 기구가 설치된다.
상부 부재(32)의 형상을 설명한다. 도 5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32)는, 아래쪽으로 개방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단면, 즉 측면부(32b)가, 수평인 상면부(32a)의 양측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단면을 갖는 세로 부재로 주로 형성된다. 상면부(32a)의 이면은, 캐리어 테이프(15)의 상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32s)을 형성한다. 측면부(32b)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피벗 플레이트(32c), 및 피벗 플레이트(32c)의 상부를 덮도록 상면부(32a)로부터 아래로 굴곡진 상부 커버부(32d)는, 상부 부재(32)의 하류측 단부에 형성된다. 축 구멍(32e)은 피벗 플레이트(32c)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부재(32)가 하부 부재(31)에 연결될 때, 하류측 장착부(31a)에 형성된 피벗 구멍(31h)에 감합된 피벗핀(33)은, 축 구멍(32e)에 삽입되고, 상부 부재(32)는 피벗핀(33)에 의해 피벗식으로 지지된다. 그러므로, 상부 부재(32)는, 하부 부재(31)에 자유롭게 개폐되도록 연결된다.
즉, 하류측 장착부(31a)에 형성된 피벗 구멍(31h), 피벗 플레이트(32c)에 형성된 축 구멍(32e), 및 피벗핀(33)은, 상부 부재(32)를 하부 부재(31)에 대하여 개폐하는 개폐 기구를 형성한다. 즉, 개폐 기구는, 테이프 이송 방향에서 하류측의 하부 부재(31)에 설치된 피벗 포인트(피벗 구멍(31h)에 감합된 피벗핀(33))의 주위로 상부 부재(32)를 회동시킴으로써, 하부 부재(31)에 대하여 상부 부재(32)를 개폐한다.
일단부는 고정 부재(32j)에 의해 굴곡부(32f)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고정 부재(32k)에 의해 피벗 플레이트(32c)에 고정되는 하부 가이드 부재(40)는, 상부 부재(32)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부 부재(32)에 설치된다. 하부 가이드 부재(40)는,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에서 상면부(32a)의 아래에 위치하고, 하부 부재(31)의 홈부(31g)의 위치에 대응한다. 하부 가이드 부재(40)는, 리프(leaf) 스프링과 같은 탄력 있는 판 부재이고, 상부 부재(32)가 하부 부재(31)로부터 전술한 개폐 기구에 의해 개방된 상태로, 캐리어 테이프(14)가 상부 부재(32)에 장착될 때, 아래로부터 캐리어 테이프(15)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부 부재(32)가 하부 부재(31)에 대하여 폐쇄될 때, 즉 상부 부재(32)가 피벗핀(33)의 주위로 회동하여 하부 부재(31)의 상부를 덮을 때(도 6(a)및 도 6(b) 참조), 상부 부재(32)의 측면부(32b)는, 테이프 지지부(31e, 31f)의 옆에 위치하고, 캐리어 테이프(15)의 폭 방향을 가이드하고, 상면부(32a)의 이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면(32s)은, 하부 부재(32) 상에 이송되는 캐리어 테이프(15)의 상면 상에 위치하고,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을 가이드 하기 위해 위로부터 캐리어 테이프(15)를 압박한다(도 6(b)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 참조). 즉, 상부 부재(32)는, 캐리어 테이프(15)의 폭 방향을 가이드하는 기능과, 캐리어 테이프(15)의 상면을 가이드 하기 위해 가이드면(32s)에 의해 위로부터 캐리어 테이프를 압박하는 기능을 가진다.
굴곡부(32f)는, 측면부(32b)로부터 아래쪽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며, 상부 부재(32)의 상류부에 형성된다. 2개의 굴곡부(32f) 사이의 공간은 상류측으로 개방되는 테이프 삽입 개구(32g)를 형성하고, 그것을 통해 캐리어 테이프(15)가 도입된다. 캐리어 테이프(15)가 가이드부(30)에 세팅될 때, 캐리어 테이프(15)의 단부는 테이프 삽입 개구(32g)로부터 가이드부에 삽입되고, 캐리어 테이프(15)는, 캐리어 테이프(15)가 상부 부재(32)에 설치되는 하부 가이드 부재(40)에 의해 가이드되는 동안, 상부 부재(32)의 하류측으로 도입된다. 즉, 테이프 삽입 개구(32g)는, 테이프 이송 방향에서 상부 부재(32)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캐리어 테이프(15)를 상부 부재(32)로 도입하는 테이프 도입부를 형성한다.
또한, 계지용 계지핀(32i)은 굴곡부(32f)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부 부재(32)가 하부 부재(31)에 대하여 폐쇄될 때, 굴곡부(32f)는, 상류측 장착부(31b)의 하류부에 형성된 계지용 오목부(31k)에 감합된다. 압축 스프링 부재(35)에 의해 하류측 수평 방향으로 눌리는 핀 형상의 계지 부재(34)는, 계지용 오목부(31k)로 돌출하도록 상류측 장착부(31b)에 장착된다. 상부 부재(32)가 하부 부재(31)에 대하여 폐쇄될 때, 계지 부재(34)는 계지핀(32i)을 계지한다. 따라서, 상부 부재(32)의 위치가 고정된다. 파지 링(32h, grip ring)은 상부 부재(32)의 상류측 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부재(32)의 개폐 조작 시에, 작업자는, 파지 링(32h)을 파지하고, 파지 링(32h)을 아래로 누르고 위로 당긴다.
이스케이프부(31i, escape portion)는, 가이드부(30)가 가이드 장착부(22)에 장착될 때, 스프로켓(20)을 간섭하는 테이프 지지부(31e)의 범위에, 스프로켓(2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다. 또한, 아래 설명될 위치 결정 기구가 조립되는 절취부(31j)는, 테이프 지지부(31e)에 형성된다. 절취부(31j)는, 테이프 지지부(31e)의 상면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절결함으로써 형성되고, 길고 얇은 부재의 일단부를 위쪽으로 굴곡시킴으로써 핀 장착부(36a)가 형성되는 정렬 부재(36)를 수납하는 범위에 형성된다. 정렬 부재(36)는 피벗핀(38)에 의해 하부 부재(31)에 피벗식으로 지지되고, 피벗핀(38)의 일단부는, 테이프 지지부(31e)의 측면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39)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지지 브라켓(39)은 도 5를 제외한 다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한 쌍의 정렬핀(37)은,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d)의 피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핀 장착부(36a)의 상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정렬핀(37)은, 절취부(31j)를 통해 테이프 지지부(31e)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다음, 하부 부재(31)에 대하여 상부 부재(32)를 폐쇄한 가이드부(30)의 구성과, 개별적인 부의 기능을, 도 6(a), 도 6(b),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상부 부재(32)가 피벗핀(33)의 주위를 회동하여, 하부 부재(31)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굴곡부(32f)에 설치된 계지핀(32i)은 계지 부재(34)에 의해 계지되어, 상부 부재(32)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정렬 부재(36)는 반시계 방향(화살표 a)으로 피벗핀(38) 주위로 눌려, 정렬핀(37)이 절취부(31j)를 통해 테이프 지지부(31e)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가이드부(30)가 분리될 때, 고정 위치에 항상 위치하는 정렬핀(37)은, 상부 부재(32)로 도입되고 상부 부재(32)와 하부 부재(31) 사이에 개재된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d)에 감합된다. 그러므로, 테이프 이송 방향에서 가이드부(30)와 캐리어 테이프(15)의 상대적인 위치가 결정된다. 여기서, 정렬핀(37)의 위치는, 이러한 위치 결정 상태에서,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d)이 스프로켓(20)의 이송핀(20a)에 정확하게 계합되는 위치로 설정된다. 따라서, 정렬핀(37)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15)의 위치가 결정되는 가이드부(30)가 가이드 장착부(22)에 장착되어 고정될 때, 캐리어 테이프(15)는, 다른 위치 조절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스프로켓(20)의 이송핀(20a)이 이송 구멍(15d)에 계합되는 위치로 세팅된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상태에서, 감합을 해제하기 위한 외력(F)이, 핀 장착부(36a)의 반대쪽인 반대쪽 단부(36b)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작용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즉, 이러한 외력(F)에 의해, 정렬 부재(36)는 미는 힘(pushing force)에 대항하여 피벗핀(38)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핀 장착부(36a)가 정렬핀(37)과 함께 하강하여(화살표 b), 정렬핀은 테이프 지지부(31e)의 상면으로부터 후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리프 스프링 부재(26)(도 8 참조)는, 핀 장착부(36a)에 반대쪽인 반대쪽 단부(36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이드 장착부(22) 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가이드부(30)가 가이드 장착부(22)에 장착될 때, 리프 스프링 부재(26)는 정렬 부재(36)에 위쪽으로 외력을 작용시켜(도 6(b) 참조), 정렬핀(37)은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d)로부터 박리된다. 그러므로, 캐리어 테이프(15)의 피치 이송은, 정렬핀(37)에 의해 저해되지 않는다.
전술한 구성에서, 피벗핀(28)에 의해 피벗식으로 지지되는 정렬 부재(36) 및 핀 장착부(36a)에 설치된 정렬핀(37)은, 가이드부(30)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d)에 정렬핀(37)을 감합되도록 함으로써, 테이프 이송 방향에서 캐리어 테이프(15)와 가이드부(30)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위치 결정 기구는, 정렬핀(37)이 하부 부재(31)에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하부 부재(31)가 가이드 장착부(22)에 장착될 때, 이송 구멍(15d)으로부터 정렬핀(37)을 박리하는 감합 해제 기구(fitting releasing mechanism)를 포함한다.
한편, 리프 스프링 부재(26)에 의해 정렬 부재(36)에 회동력(turning force)을 적용하는 구성예가 감합 해제 기구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핀 장착부(36a)가 하강하도록 정렬 부재(36)가 동작되는 한, 압축 스프링 등 다른 기구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결정 기구가 하부 부재(31)에 설치되는 구성예는,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기 기구가, 테이프 이송 방향에서 캐리어 테이프(15)와 가이드부(30)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한, 위치 결정 기구는 상부 부재(32)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파지 링(32h)이 끌어 올려진 상태(화살표 c)를 도시하고, 상부 부재(32)는 피벗핀(33)의 주위로 회동되고, 가이드부(30)는 개방된다. 새로운 캐리어 테이프(15)는 이러한 상태에서 세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정렬핀(37)은, 절취부(31j)를 통해 테이프 지지부(31e)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캐리어 테이프(15)는 정렬될 수 있다. 상부 부재(32)가 폐쇄되고 정렬핀(37)이 이송 구멍(15d)에 감합될 때, 상부 부재(32)로 도입된 캐리어 테이프(15)는, 테이프 이송 방향에서 가이드부(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가 결정된다.
도 8은,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 부재(32)가 하부 부재(31)에 대하여 폐쇄된 가이드부(30)를 가이드 장착부(22)에 장착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이러한 장착 작업에서, 하류측 장착부(31a)는 하류측 감합부(23)에 정렬되고, 상류측 장착부(31b)는 상류측 계지부(24)에 정렬되는 동안, 우선 하류측 장착부(31a)가 하강하여(화살표 d) 감합부(31c)가 감입 오목부(23a)에 감합되고, 그리고 나서, 상류측 장착부(31b)가 하강하여(화살표 e) 피계지부(31d)는 계지 부재(24a)에 의해 계지된다. 이 때, 하류측 장착부(31a) 및 상류측 장착부(31b)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한 정렬핀은, 하류측 감합부(23) 및 상류측 계지부(24)에 형성되고, 하류측 장착부(31a) 및 상류측 장착부(31b)에 형성된 감합 구멍에 감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가이드 장착부(22)에 설치된 리프 스프링 부재(26)는, 핀 장착부(36a)의 반대쪽인 반대쪽 단부(36b)에 아래로부터 접촉하게 되고, 정렬핀(37)의 감합을 해제하기 위한 외력을 반대쪽 단부(36b)에 작용시킨다. 따라서, 정렬핀(37)은 테이프 지지부(31e)의 상면으로부터 후퇴한다.
다음, 가이드부(30)의 상부 부재(32)에 설치된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의 구성을, 도 9(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상부 부재(32)의 평면도이고, 제1 개구부(41) 및 제2 개구부(42)는 상면부(32a)에 형성된다. 제1 개구부(41)는, 캐리어 테이프(15)에 유지되는 전자 부품(16)이 흡착 노즐(8a)에 의해 픽업되는 부품 취출 개구(41a), 스프로켓(20)의 이송핀(20a)과 상면부(32a) 사이의 간섭을 피하는 핀 이스케이프 개구(41b), 및 후술될 테이프 박리 시, 커버 테이프(15e)가 부품 취출 개구(41a)에 의해 걸리는(caught) 것으로부터 방지하는 테이프 이스케이프 개구(41c)를 포함한다. 제2 개구부(42)는, 후술하는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15)로부터 커버 테이프(15e)가 박리될 때, 박리 상태가 시각적으로 확인되는 확인용 개구부로서 이용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는, 상부 부재(32)의 상면부(32a)의 이면인 가이드면(32s)에 설치된다.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는, 부품 포켓(15b)이 형성되는 캐리어 테이프(15)의 베이스 테이프(15a)의 일측부로부터 커버 테이프(15e)를 박리시킴으로써, 부품 포켓(15b)에 수납되는 전자 부품(16)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도 13(a) 내지 13(e) 참조). 즉,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는, 캐리어 테이프(15)의 피치 이송 중 베이스 테이프(15a)와 커버 테이프(15e)의 접착면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적어도 부품 포켓(15b)을 포함하는 박리 대상 범위(R)(도 13(e) 참조)의 일측부로부터 접착면을 박리시킨다.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는, 후술하는 제1 및 제2 박리 부재(51, 52)를 포함한다.
또한, 후술하는 동작의 설명에 자세하게 설명되는 것과 같이,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는, 제1 및 제2 박리 부재(51, 52)에 의해 베이스 테이프(15a)로 부터 박리되는 커버 테이프(15e)의 일측부를 타측부를 향해 굴곡시키고, 캐리어 테이프(15)를 픽업 위치에 가이드하는 동안 굴곡된 커버 테이프(15e)를 상부 부재(32)의 가이드면(32s)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압박하는 것에 의해, 픽업 위치에서 커버 테이프(15e)를 베이스 테이프(15a)에 대하여 평면 형상으로 절첩시킨다.
테이프 삽입 개구(32g)로부터 도입된 캐리어 테이프(15)가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의 상류측 단부에 도달할 때, 테이프 박리가 시작된다. 그러나, 이 때,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의 단부에 형성된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를, 베이스 테이프(15a)와 커버 테이프(15e) 사이의 접착면에 확실하게 진입시키기 위해, 절취부(32l)는,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의 근방에 대응하는 측면부(32b)의 미리 정해진 범위에 형성된다. 절취부(32l)는, 테이프 삽입 개구(32g)로부터 삽입되는 캐리어 테이프(15)의 접착면을 하부 가이드 부재(40)에 의해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에 정확하게 정렬하기 위한 조작을 위해 설치된다. 즉, 절취부(32l)에 기인하여, 푸쉬-업 동작은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하부 가이드 부재(40)는, 상부 부재(32)에 설치되는 기계적인 푸쉬-업 기구에 의해 올려질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는, 금속 막대를 가공하여 형성된 제2 박리 부재(52)가, 금속 판을 가공하여 형성된 제1 박리 부재(51)의 상면에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제1 박리 부재(51)는 굴곡부(KL)을 가지는 가늘고 긴 판 부재이고, 굴곡부(KL)의 하류부 및 상류부는 각각 수평부(51a) 및 경사부(51c)를 형성한다. 전자 부품(16)을 취출하는 부품 취출부(51b)는, 수평부(51a)에 형성된다. 테이퍼진(tapered) 블레이드 엣지의 형상으로 가공된 측단 블레이드 엣지(51d) 및 전단 블레이드 엣지(51e)는, 각각 경사부(51c)의 상류측 측단부 및 상류측 단부에 형성된다. 측단 블레이드 엣지(51d) 및 전단 블레이드 엣지(51e) 사이의 교점은, 첨예한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를 형성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는, 테이프가 박리되는 동안, 베이스 테이프(15a)와 커버 테이프(15e) 사이의 접착면에 진입한다.
제2 박리 부재(51)는, 제1 박리 부재(51)의 경사부(51c)의 상면에 대응하는 밑면 형상(bottom shape)을 갖는 막대 모양 부재이다.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측으로 곡률 반경이 점차 감소하는 내부 원추면(internal conical surface)과 같은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오목 원추면(52c)은, 제2 박리 부재(52)의 측면에 형성된다. 제2 박리 부재를 상부 부재(32)에 장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위치 결정 구멍(52a) 및 장착 나사 구멍(52b)은, 제2 박리 부재(52)의 상면에 형성된다. 오목 원추면(52c)은,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에 의해 박리되고 하류측으로 이송되는 커버 테이프(15e)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커버 테이프(15e)를 절첩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 작용면으로 기능한다.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는, 제2 박리 부재(52)의 밑면과 제1 박리 부재(51)의 경사부(51c)가 서로 접촉하게 되고, 납땜 등의 접합 방법에 의해 서로 고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평부(51a) 및 제2 박리 부재(52)의 상면은 동일면을 형성하고, 전단 블레이드 엣지(51e) 및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는, 제2 박리 부재(52)의 단부로부터 상류측을 향해 돌출되고, 측단 블레이드 엣지(51d)는 제2 박리 부재(52)의 옆으로부터 돌출된다.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가 상부 부재(32)에 장착될 때, 위치 결정 구멍(52a) 및 장착 나사 구멍(52b)은 상부 부재(32)에 정렬되고, 고정 볼트는 상면부(32a)를 통해 장착 나사 구멍(52b)에 나사 결합하도록 체결된다. 따라서,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는 상부 부재(32)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취출부(51b)는 상면부(32a)의 부품 취출 개구(41a)에 대응하고,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는 제2 개구부(42)의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32)가 하부 부재(31)에 대하여 폐쇄된 장착 상태에서,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의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재(31)의 홈부(31g)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는, 캐리어 테이프(15)에 대한 위치 결정 기구인, 즉 핀 장착부(36a)가 설치되는 정렬핀(37)에, 캐리어 테이프(15)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한다. 위치 결정 기구 및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는, 서로 간섭하지 않는 비간섭 위치에 설치된다.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 및 위치 결정 기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기 때문에, 길이(세로) 방향으로 가이드부(30)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컴팩트한 가이드부(30)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 도 12(a) 내지 도 13(e)를 참조하여,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에 의해 커버 테이프(15e)를 박리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도 12(a)는, 상부 부재(32)가 개방된 가이드부(30)에서(도 7 참조), 테이프 삽입 개구(32g)로부터 삽입된 캐리어 테이프(15)의 끝이,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의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에 도달하고, 제2 개구부(42)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캐리어 테이프(15)는, 하부 가이드 부재(40)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고,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테이프(15a)와 커버 테이프(15e) 사이의 접착면에 진입한다. 따라서, 테이프 박리가 시작된다.
즉,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15)가 하류측으로 이송될 때(화살표 f),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의 양측에 형성된 측단 블레이드 엣지(51f)와 전단 블레이드 엣지(51e)는, 베이스 테이프(15a)와 커버 테이프(15e)의 접착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 및 캐리어 테이프(15)는,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테이프(15e)는, 부품 포켓(15b)이 형성되는 베이스 테이프(15e)의 일측부(도 13(b)에서 우측부)로부터 박리된다. 또한, 박리되어 부분적으로 베이스 테이프(15a)로부터 기립하는(rise) 커버 테이프(15e)는, 오목 원추면(52c)에 접촉하게 되고, 오목 원추면(52c)의 형상에 의해 야기되는 굴곡 작용에 기인하여 일측부의 반대쪽의 타측부(도 13(c)에서 좌측부)를 향해 굴곡된다. 또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15)가 더 이송될 때(화살표 g), 커버 테이프(15e)의 박리 범위는 측단 블레이드 엣지(51d)의 블레이드 엣지 범위에 따라 확대된다. 이와 함께,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15)는, 하부 가이드 부재(40)에 의해 제1 박리 부재(51)의 경사진 하면을 따라 밀어 올려지는 동안, 상승한다. 박리된 커버 테이프(15e)는, 베이스 테이프의 위쪽 이동에 기인하여,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오목 원추면(52c)을 따라 밀어 올려져서, 커버 테이프(15e)의 굴곡 정도가 증가된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15)는 더 이송되고(화살표 h), 전자 부품(16), 즉, 흡착된 물체는,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위치에 해당하는 부품 취출 개구(41a)에 도달할 때, 캐리어 테이프(15)는 상면부(32a)의 가이드면(32s)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정도가 점차 증가된 커버 테이프(15e)는, 가이드면(32s)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압박되어, 커버 테이프(15e)는 베이스 테이프(15a)에 대하여 평면 형상으로 절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품 취출 개구(41a) 내에서 부품 취출부(51b)의 위치에 도달한 전자 부품(16)는,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포켓(15b)을 포함하도록 설정된 박리 대상 범위(R)에서 완전히 박리된다. 따라서, 전자 부품(16)은 상면에 노출된다.
또한, 흡착 노즐(8a)(도 3 참조)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노출된 전자 부품(16)에 대하여 픽업 동작을 수행하여, 전자 부품(16)은 진공 흡착되어 배출된다. 커버 테이프(15e)가 평면 형상으로 절첩되기 때문에, 박리된 커버 테이프(15e)가 기립하는 동안 픽업 동작이 수행되는 관련된 기술과 비교하여, 이러한 픽업 동작에서 픽업 동작을 위해 필요한 흡착 노즐(8a)의 승강 스트로크를 짧은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 스트로크의 증가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 예컨대, 노즐 장착 정밀도에 기인하여 노즐의 승강 동안 발생하는 수평 위치의 시프트에 의해 야기되는 부품 흡착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도시된 가이드부(30)에 설치된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는, 캐리어 테이프(15)의 피치 이송 중 베이스 테이프(15a)와 커버 테이프(15e)의 접착면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적어도 오목부를 포함하는 박리 대상 범위(R)에서 일측부로부터 접착면을 박리시키는 제1 및 제2 박리 부재(51, 52)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박리 부재(51, 52)에 의해 베이스 테이프(15a)로부터 박리된 커버 테이프(15e)의 일측부를 타측부를 향해 굴곡시키고, 캐리어 테이프(15)를 픽업 위치에 대응하는 부품 취출 개구(41a)로 가이드 하는 동안, 굴곡된 커버 테이프(15e)를 상부 부재(32)의 가이드면(32s)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압박함으로써,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는, 픽업 위치에서 커버 테이프(15e)를 베이스 테이프(15a)에 대하여 평면 형상으로 절첩한다.
즉,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박리 부재(51, 52)는, 피치 이송 방향의 상류측 단부에 첨예하게 형성되고 베이스 테이프(15a)와 커버 테이프(15e) 사이의 접착면에 진입하는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와,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에 의해 박리되고 하류측으로 피치 이송되는 커버 테이프(15e)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커버 테이프(15e)를 절첩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 작용면으로 기능하고, 픽업 위치를 향해 테이퍼진 오목 원추면(52c)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테이프 박리에서,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는, 핀 장착부(36a)와 정렬핀(37)을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15)를 위한 위치 결정 기구에, 캐리어 테이프(15)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커버 테이프(15e)는 베이스 테이프(15a)로부터 박리될 때, 캐리어 테이프(15)는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위치된다. 즉, 커버 테이프(15e)가 박리된 후, 위치가 불안정하기 쉬운 베이스 테이프(15a)를 정렬핀(37)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캐리어 테이프(15)를 쉽고 정밀하게 가이드부(30)에 정렬할 수 있다.
다음, 도 14(a) 및 14(b)를 참조하여, 가이드부(30)의 상부 부재(32)에서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베이스 테이프(15a)로부터 커버 테이프(15e)의 박리를 억제하는 박리 억제 기구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부재(32a)의 이면에 제2 개구부(42)의 상류측(도 14(a)에서 우측)에 블록 형상의 프레싱 부재(43)가 설치된다. 프레싱 부재(43)는, 프레싱 부재(43)와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의 사이에서 박리 플레이드 엣지(51f)의 상류측에 미리 정해진 간격(예컨대, 부품의 약 1 피치)으로 위치하고, 프레싱 부재(43)의 하면은 실질적으로 박리 플레이드 엣지(51f)의 높이 위치에 대응한다.
캐리어 테이프(15)가 상부 부재(32)에 장착될 때, 테이프 삽입 개구(32g)로부터 도입된 캐리어 테이프(15)의 하면은, 하부 가이드 부재(40)에 의해 가이드되고, 캐리어 테이프(15)의 상면(커버 테이프(15e))이 프레싱 부재(43)에 의해 압박되는 동안 캐리어 테이프(15)가 이송된다. 즉, 캐리어 테이프(15)는, 리프 스프링 등으로 만들어진 하부 가이드 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푸쉬-업되어, 캐리어 테이프(15)는 프레싱 부재(43)의 하면에 압박 접촉된다. 한편, 하부 가이드 부재(40)의 탄성력이 불충분하면, 하부 가이드 부재(40)는,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해 수행되는 푸쉬-업 또는 다른 보조 기구로 형성되는 푸쉬-업 수단에 의해 푸쉬-업된다.
따라서, 캐리어 테이프(15)의 상면이 프레싱 부재(43)에 의해 압박되는 상태로, 캐리어 테이프(15)가 이송되고, 테이프 박리는 도 12(a) 내지 도 13(e)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공정을 통해 수행된다. 이 때,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15)의 상면의 커버 테이프(15e)는, 프레싱 부재(43)와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프레싱 부재(43)에 의해, 아래로부터 압박된다. 따라서, 베이스 테이프(15a)로부터 커버 테이프(15e)의 박리는, 커버 테이프가 프레싱 부재(43)와 접하게 되는 범위에서 억제된다. 그러므로, 커버 테이프(15e)의 박리 및 부품 포켓(15b)의 개방에 의해 야기되는 전자 부품(16)의 탈락이 방지된다. 즉, 프레싱 부재(43)는, 커버 테이프(15e)를 위로부터 압박함으로써,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베이스 테이프(15a)로부터 커버 테이프(15e)의 박리를 억제하는 박리 억제 기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작업자는, 상부 부재(32)에 형성된 제2 개구부(42)를 통해,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와 캐리어 테이프(15) 사이의 정렬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와 박리 억제 기구(43) 사이의 상부 부재(32)에 형성된 제2 개구부(42)는, 상부 부재(32)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확인용 개구부로 기능하고, 그것을 통해서,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에 의해 수행된 커버 테이프의 박리의 상태를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한다.
다음, 도 15(a) 내지 도 16(b)를 참조하여, 테이프 피더(5)에 새로운 캐리어 테이프(15)를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가이드부(30)가 본체부(5a)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테이프 삽입 개구(32g)로부터 상부 부재(32)로 캐리어 테이프(15)가 도입된다(테이프 도입 공정). 이러한 작업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0)를 개방하기 위해, 굴곡부(32f)는 계지용 오목부(31k)로부터 인출되고, 상부 부재(32)는 하부 부재(31)에 대하여 회동되는(화살표 m) 상태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테이프 도입 공정에서, 캐리어 테이프(15)가 상부 부재(32)에 장착될 때, 피치 이송 방향으로 제1 박리 부재(51)의 상류측 단부에 첨예하게 형성된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는, 접착면의 박리가 시작되는 박리 시작 위치에서, 장착되는 물체인 캐리어 테이프(15)를 하부 가이드 부재(40)와 함께 아래로부터 푸쉬 업한다. 따라서, 박리 시작 위치에서, 박리 블레이드 엣지(51f)는 접착면에 정렬되어, 접착면에 진입한다.
이 후, 캐리어 테이프(15)는, 박리 시작 위치로부터 하류측으로 이송되어,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에 의해 수행되는 테이프 박리가 수행된다. 즉, 캐리어 테이프(15)가 상부 부재(32)에 도입될 때, 도 13(a) 내지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박리 부재(51)에 의해 베이스 테이프(15a)로부터 박리된 커버 테이프(15e)는, 부품 포켓(15b)의 일측부로부터 부품 포켓의 타측부를 향해 굴곡된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15)가, 픽업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 부품 취출 개구(41a)로 가이드 되는 동안, 굴곡된 커버 테이프(15e)는 상부 부재(32)의 가이드면(32s)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압박된다. 따라서, 커버 테이프(15e)는, 픽업 위치에서 베이스 테이프(15a)에 대하여 평면 형상으로 절첩된다.
또한, 이러한 테이프 박리에서, 캐리어 테이프(15)는,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의 상류측에 설치된 프레싱 부재(43)에 의해 위로부터 압박된다. 따라서,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베이스 테이프(15a)로부터 커버 테이프(15e)의 박리가 억제된다. 그러므로, 부품 포켓(15b)에서 전자 부품(16)이 기립하는 부품 기립 또는 개방된 부품 포켓(15b)으로부터 전자 부품이 떨어지는 부품 떨어짐 등의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테이프 도입 공정 이후의 공정에서, 작업자는, 상부 부재(32)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와 프레싱 부재(43) 사이에 형성된 확인용 개구부인 제2 개구부(42)를 통해,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에 의해 수행된 커버 테이프(15e)의 박리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한다. 따라서, 박리 이상 등의 결함의 발생을 감시함으로써,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정렬핀(37)이, 도입된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d)에 감합되어, 테이프 이송 방향에서 캐리어 테이프(15)와 가이드부(30)의 상대적인 위치가 서로 정렬된다(정렬 공정). 즉,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구멍(15d)의 위치가 정렬핀(37)에 대응하도록 캐리어 테이프(15)의 위치가 조정되는 동안, 상부 부재(32)는 하부 부재(31)에 대하여 폐쇄된다. 따라서, 정렬핀(37)은 이송 구멍(15d)에 감합된다.
그 이후,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32)가 하부 부재(31)에 대하여 폐쇄된다. 이 때, 정렬핀(37)과 핀 장착부(36a)를 포함하는 위치 결정 기구 및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는,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고, 위치 결정 기구 및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 사이에 간섭 없이 하부 부재(31)를 상부 부재(32)와 일체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앞 부분(leading portion)이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에 의해 박리되어 헤딩-아웃(heading-out) 작업이 완료된 새로운 캐리어 테이프(15)는,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제대로 위치가 결정되고, 수직 방향으로 일체화된 가이드부(30)에서 설정된다. 가이드 장착부(22)에 캐리어 테이프(15)를 장착하는 것은, 이러한 상태에서 수행된다.
즉,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15)가 장착된 가이드부(30)는, 가이드 장착부(22)에 정렬되어, 장착되고, 고정된다(가이드부 고정 공정). 가이드부 고정 공정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측 장착부(31a)는 하류측 감합부(23)에 정렬되고 상류측 장착부(31b)는 상류측 계지부(24)에 정렬되는 동안, 먼저 하류측 장착부(31a)가 하강되고(화살표 n), 그리고 나서, 상류측 장착부(31b)가 하강된다(화살표 o). 도 16(b)는, 가이드부 고정 공정이 이런 식으로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즉, 감합부(31c)는 하류측 감합부(23)의 감입 오복부(23a)에 감합되고, 피계지부(31d)는 상부측 계지부(24)의 계지 부재(24a)에 의해 계지되어, 가이드부(30)는 가이드 장착부(22)에 고정된다. 따라서, 리프 스프링 부재(26)는 핀 장착부(36a)에 접촉하여, 정렬핀(37)은, 아래쪽으로 후퇴하고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d)으로부터 박리된다. 그러므로, 상기 위치 결정이 해제되어, 캐리어 테이프(15)가 이송된다. 이에 더하여, 스프로켓(20)의 이송핀(20a)은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d)에 계합되어, 캐리어 테이프(15)가 피치 이송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15)가 가이드부(30)로 도입될 때, 본 실시형태에서 도시된 테이프 피더(5)는,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에 의해 베이스 테이프(15a)로부터 박리된 커버 테이프(15e)의 일측부를 타측부를 향해 굴곡시키고, 픽업 위치로 캐리어 테이프(15)를 가이드하는 동안 가이드부(30)의 가이드면(32s)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굴곡된 커버 테이프(15e)를 압박함으로써, 픽업 위치에서 커버 테이프(15e)를 베이스 테이프(15a)에 대하여 평면 형상으로 절첩한다. 따라서, 픽업 동작을 위해 필요한 흡착 노즐(8a)의 승강 스트로크를 작은 거리로 설정하고, 승강 스트로크의 증대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흡착 노즐(8a)의 수평 위치의 시프트에 의해 야기되는 부품 흡착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15)로부터 커버 테이프(15e)를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가 가이드부(30)에 설치되는 구성에서, 커버 테이프 박리기구(50)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베이스 테이프(15a)로부터 커버 테이프(15e)의 박리를 억제하는 박리 억제 기구는,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의 상류측의 가이드부(30)에 설치되다. 따라서, 커버 테이프(15e)의 조기 박리에 의해 야기되는 부품 기립이나 부품 떨어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부재(31)에서 캐리어 테이프(15)와 가이드부(30)의 테이프 이송 방향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와, 상부 부재(32)에 설치되고 베이스 테이프(15a)로부터 커버 테이프(15e)를 박리시킴으로써 부품 포켓(15b)에 수납되는 전자 부품(16)을 노출시키는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50)는, 상부 부재(32)가 하부 부재(31)에 대하여 폐쇄될 때, 서로 간섭하지 않는 비간섭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커버 테이프(15e)가 캐리어 테이프(15)로부터 박리될 때, 캐리어 테이프(15)를 쉽고 정확하게 가이드부(30)에 정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본 명세서는 2011년 2월 8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11-024920호)에 기초하고,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받아 들여진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피더 및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은,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박리 부재가 테이프 가이드에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고, 부품 흡착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전자 부품이 테이프 피더로부터 취출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부품 실장 분야에 유용하다.
1: 부품 실장 장치 3: 기판
4: 부품 공급부 5: 테이프 피더
5a: 본체부 5d: 테이프 주행로
8: 트랜스퍼 헤드 15: 캐리어 테이프
15b:부품 포켓 15d: 이송 구멍
15e: 커버 테이프 16: 전자 부품
17: 테이프 이송부 19: 이송 모터
20: 스프로켓 20a: 이송핀
22: 가이드 장착부 23: 하류측 감합부
24: 상류측 계지부 30: 가이드부
31: 하부 부재 31a: 하류측 장착부
31b: 상류측 장착부 31c: 감합부
31d: 피계지부 31e: 테이프 지지부
32: 상부 부재 32a: 상면부
32b: 측면부 32c: 피벗 플레이트
32g: 테이프 삽입 개구 32l: 절취부
32s: 가이드면 33: 피벗핀
34: 계지 부재 36: 정렬 부재
37: 정렬핀 38: 피벗핀
40: 하부 가이드 부재 41: 제1 개구부
42: 제2 개구부 43: 프레싱 부재
50: 커버 테이프 박리 부재 51: 제1 박리 부재
51f: 박리 블레이드 엣지 52: 제2 박리 부재
52c: 오목 원추면(굴곡 작용면) R: 박리 대상 범위

Claims (4)

  1. 부품 수납용 오목부 내에 전자 부품을 유지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피치 이송함으로써, 트랜스퍼 헤드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이 픽업되는 픽업 위치에 상기 전자 부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베이스 테이프와, 상기 오목부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테이프의 상면에 접착된 커버 테이프를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테이프 주행로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스프로켓의 이송핀이 상기 베이스 테이프에 형성된 이송 구멍에 계합된 때, 상기 스프로켓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미리 정해진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 기구와;
    상기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픽업 위치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상기 테이프 이송 기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폭 방향을 가이드하고, 가이드면에 의해 위로부터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압박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을 가이드하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하면을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 테이프의 일측부로부터 상기 커버 테이프를 박리함으로써 상기 오목부 내에 수용된 상기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기 피치 이송 동안 상기 베이스 테이프와 상기 커버 테이프의 접착면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박리 대상 범위에서 상기 일측부로부터 상기 접착면을 박리하는 박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 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박리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일측부를 상기 타측부를 향해 굴곡시키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픽업 위치로 가이드하는 동안 상기 굴곡된 커버 테이프를 상기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면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압박함으로써, 상기 커버 테이프는, 상기 픽업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테이프에 대하여 평면 형상으로 절첩되는 것인 테이프 피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상기 피치 이송 방향의 상류측 단부에 첨예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테이프와 상기 커버 테이프 사이의 상기 접착면에 진입하는 박리 블레이드 엣지와,
    상기 박리 블레이드 엣지에 의해서 박리되고 하류측에 피치 이송되는 커버 테이프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커버 테이프를 절첩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 작용면
    을 포함하고,
    상기 굴곡 작용면은, 상기 픽업 위치를 향해 테이퍼진 오목 원추면인 것인 테이프 피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하면을 지지하고 가이드하며, 상기 본체부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부착/분리 기구가 설치된 하부 부재와,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기 폭 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가이드면에 의해 위로부터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압박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기 상면을 가이드하는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에 대하여 상기 상부 부재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는 상기 상부 부재에 설치되는 것인 테이프 피더.
  4. 테이프 피더의 가이드부 상에 캐리어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피더는,
    오목부가 형성된 베이스 테이프와, 상기 오목부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테이프의 상면에 접착된 커버 테이프를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테이프 주행로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스프로켓의 이송핀이 상기 베이스 테이프에 형성된 이송 구멍에 맞물린 때, 상기 스프로켓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미리 정해진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 기구와;
    상기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픽업 위치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범위에서 상기 테이프 이송 기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폭 방향을 가이드하고, 가이드면에 의해 위로부터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압박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을 가이드하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하면을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 테이프의 일측부로부터 상기 커버 테이프를 박리함으로써 상기 오목부 내에 수용된 상기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기 피치 이송 동안 상기 베이스 테이프와 상기 커버 테이프의 접착면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박리 대상 범위에서 상기 일측부로부터 상기 접착면을 박리하는 박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피더는, 상기 오목부 내에 상기 전자 부품을 유지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피치 이송함으로써, 트랜스퍼 헤드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이 픽업되는 픽업 위치에 상기 전자 부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상기 가이드부로 도입될 때, 상기 박리 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박리된 상기 커버 테이프의 일측부를 상기 타측부를 향해 굴곡시키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픽업 위치로 가이드하는 동안 상기 굴곡된 커버 테이프를 상기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면에 대하여 아래로부터 압박함으로써, 상기 커버 테이프를 상기 픽업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테이프에 대하여 평면 형상으로 절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이퍼 피더의 가이드부 상에 캐리어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
KR1020127022789A 2011-02-08 2012-02-03 테이프 피더 및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 KR201400001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24920A JP5459239B2 (ja) 2011-02-08 2011-02-08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テープ装着方法
JPJP-P-2011-024920 2011-02-08
PCT/JP2012/000744 WO2012108159A1 (ja) 2011-02-08 2012-02-03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テープ装着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134A true KR20140000134A (ko) 2014-01-02

Family

ID=4663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789A KR20140000134A (ko) 2011-02-08 2012-02-03 테이프 피더 및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99108B2 (ko)
JP (1) JP5459239B2 (ko)
KR (1) KR20140000134A (ko)
CN (1) CN102783265B (ko)
DE (1) DE112012000710T5 (ko)
WO (1) WO20121081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8065B2 (en) * 2010-03-30 2014-03-25 Sts Co., Ltd. Carrier tape feeder
EP3243615B1 (en) 2011-11-10 2020-01-08 Packsize LLC Elevated converting machine for converting material into packaging templates
US9669980B2 (en) * 2012-03-13 2017-06-06 Fuji Machine Mfg. Co., Ltd. Feeder management system of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CN104541595B (zh) 2012-08-06 2018-02-13 韩华泰科株式会社 载带送进装置、芯片安装系统以及芯片安装方法
KR102025369B1 (ko) * 2012-09-12 2019-09-25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
JP5913037B2 (ja) * 2012-09-28 2016-04-2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ユニット
JP6002937B2 (ja) 2012-11-28 2016-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US9420736B2 (en) 2013-02-15 2016-08-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mponent supplying apparatus and component supplying method
US20140318713A1 (en) * 2013-03-15 2014-10-30 Kelvin Wiley Interchangeable cut tape / leaderless feeder finger adaptable to various surface mount assembly machine feeders for chip mounters
EP2978295B1 (en) * 2013-03-21 2020-08-12 FUJI Corporation Tape feeder
JP6245517B2 (ja) * 2013-06-14 2017-12-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方法
JP6007411B2 (ja) * 2013-09-05 2016-10-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用のリールおよび部品実装装置における部品供給方法
JP6258080B2 (ja) * 2014-03-07 2018-01-10 株式会社ディスコ 保護テープ剥離装置
JP6322811B2 (ja) * 2014-07-28 2018-05-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US10093438B2 (en) 2014-12-29 2018-10-09 Packsize Llc Converting machine
EP3313161B1 (en) * 2015-06-18 2020-02-05 FUJI Corporation Tape cutting process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WO2016203627A1 (ja) * 2015-06-18 2016-12-22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フィーダ
WO2017104031A1 (ja) * 2015-12-16 2017-06-22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JP6473893B2 (ja) * 2015-12-25 2019-0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及びテープ接続装置
US10356970B2 (en) * 2016-02-23 2019-07-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Feeder exchanging carriage
US10015919B2 (en) * 2016-02-26 2018-07-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mponent supply device
US10667447B2 (en) * 2016-03-30 2020-05-26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Components feeder
JP6524421B2 (ja) * 2016-06-15 2019-06-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
JP7043426B2 (ja) 2016-06-16 2022-03-29 パックサイ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箱テンプレート製造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850469B2 (en) 2016-06-16 2020-12-01 Packsize Llc Box forming machine
US11242214B2 (en) 2017-01-18 2022-02-08 Packsize Llc Converting machine with fold sensing mechanism
SE541921C2 (en) 2017-03-06 2020-01-07 Packsize Llc A box erecting method and system
JP6861339B2 (ja) * 2017-03-31 2021-04-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及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カバーテープ剥離方法
JP6861338B2 (ja) * 2017-03-31 2021-04-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及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カバーテープ剥離方法
SE1750727A1 (sv) 2017-06-08 2018-10-09 Packsize Llc Tool head positioning mechanism for a converting machine,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plurality of tool heads in a converting machine
US11388850B2 (en) 2017-08-01 2022-07-12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Processing method for tip end of tape
US11173685B2 (en) 2017-12-18 2021-11-16 Packsize Llc Method for erecting boxes
US11305903B2 (en) 2018-04-05 2022-04-19 Avercon BVBA Box template folding process and mechanisms
US11247427B2 (en) 2018-04-05 2022-02-15 Avercon BVBA Packaging machine infeed, separation, and creasing mechanisms
DE112019003075T5 (de) 2018-06-21 2021-03-25 Packsize Llc Verpackungsvorrichtung und systeme
SE543046C2 (en) 2018-09-05 2020-09-29 Packsize Llc A box erecting method and system
WO2020146334A1 (en) 2019-01-07 2020-07-16 Packsize Llc Box erecting machine
JP6814953B2 (ja) * 2019-01-11 2021-01-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及び部品実装装置
WO2021155199A1 (en) * 2020-01-30 2021-08-05 Automation Technical Service Inc Component feeder mechanism with floating frame
JP7117614B2 (ja) 2020-12-02 2022-08-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及び部品実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2948B2 (ja) * 1986-10-30 1997-10-15 ニツト− システム テクノロジ− インコ−ポレ−テツド チップテープのトップテープ除去装置
DE8807239U1 (ko) * 1988-06-03 1988-11-03 Fritsch, Adalbert, 8455 Kastl, De
JPH04370058A (ja) 1991-06-17 1992-12-22 Nippon Kayaku Co Ltd 牛肉の保存剤及び保存方法
JP4194106B2 (ja) * 1998-04-21 2008-12-10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カバーテープ二つ折り装置および電気部品供給ユニット
JP4014296B2 (ja) * 1998-06-24 2007-11-28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テーピング電気部品送り装置および電気部品供給方法
JP4370058B2 (ja) 1998-12-22 2009-11-25 マイデータ オートメーション アクチボラグ 基板に部品を装着する装置
JP4486259B2 (ja) 1998-12-22 2010-06-23 マイデータ オートメーション アクチボラグ 部品テープ情報を部品取付機に移転する方法および手段
JP4338859B2 (ja) * 2000-01-12 2009-10-0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ー
US6652706B1 (en) * 2000-12-01 2003-11-25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Tape feeder with improved cover tape disposition path and drive
KR100496633B1 (ko) * 2002-08-28 2005-06-20 미래산업 주식회사 테이프 피더
JP3969257B2 (ja) * 2002-09-12 2007-09-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及びその方法
US7464741B2 (en) 2002-09-12 2008-12-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art feeding device and part feeding method
TWI236321B (en) * 2003-04-10 2005-07-11 Protec Co Ltd Tape feeder for chip mounters
ATE360980T1 (de) * 2003-11-07 2007-05-15 Mydata Automation Ab Ein verfahren und eine anlage zur aussetzung elektronischer bauteilen
JP2011024920A (ja) 2009-07-29 2011-02-10 Aiphone Co Ltd 視覚障害者誘導装置
US8678065B2 (en) * 2010-03-30 2014-03-25 Sts Co., Ltd. Carrier tape fe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08159A1 (ja) 2012-08-16
JP5459239B2 (ja) 2014-04-02
US20120305585A1 (en) 2012-12-06
CN102783265B (zh) 2016-01-20
JP2012164866A (ja) 2012-08-30
CN102783265A (zh) 2012-11-14
US8999108B2 (en) 2015-04-07
DE112012000710T5 (de)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0134A (ko) 테이프 피더 및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
JP5445484B2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テープ装着方法
JP5408146B2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テープ装着方法
JP6681344B2 (ja) フィーダ装置
US10004170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er
JP5423644B2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テープ装着方法
JP5423642B2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テープ装着方法
JP5370407B2 (ja) テープフィーダ
JP5510354B2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テープ装着方法
WO2014147799A1 (ja) テープフィーダ
JP5423643B2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テープ装着方法
WO2024095838A1 (ja) 部品供給装置
JP2024065269A (ja) 部品供給装置
JP2024065268A (ja) 部品供給装置
JP5445478B2 (ja) テープフィーダ
JP2019125814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2019149586A (ja) 部品実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