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516A - 회전 커넥터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커넥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516A
KR20130143516A KR1020130071085A KR20130071085A KR20130143516A KR 20130143516 A KR20130143516 A KR 20130143516A KR 1020130071085 A KR1020130071085 A KR 1020130071085A KR 20130071085 A KR20130071085 A KR 20130071085A KR 20130143516 A KR20130143516 A KR 20130143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rotrusion
flat cable
wall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4845B1 (ko
Inventor
야스히로 사토
도모히로 사토
Original Assignee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3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과제] 플랫 케이블을 확실히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로터(2)와 스테이터(6)와의 사이에 링형상 공간(S)을 형성하고, 링형상 공간(S) 내에, 로터(2)측의 커넥터와 스테이터(6)측의 커넥터를 접속하는 플랫 케이블(10)이 설치된 회전 커넥터장치(1)에 있어서, 스테이터(6)는, 링형상 공간(S)을 둘러싸는 링형상 벽(83)을 갖고, 플랫 케이블(10)의 일단(10c)측은, 링형상 벽(83)에 형성된 개구부(85)를 지나 링형상 공간(S)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으며, 링형상 벽(83)에 있어서의 개구부(85)의 측연부(831)에는, 개구부(85)를 사이에 두고 반대 측에 위치하는 측연부(832) 측으로 돌출되어 제 1 돌출부(86)와 제 2 돌출부(87)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돌출부(86)는, 내경측에서 봐서 사각형 형상의 돌기이며, 제 2 돌출부(87)는, 내경측에서 봐서 뾰족한 형상의 돌기이고, 제 1 돌출부(86)와 제 2 돌출부(87)는, 링형상 벽(83)의 높이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회전 커넥터장치{ROTARY 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 차체와 스테어링 휠과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전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회전 커넥터장치에는, 스티어링 샤프트(steering shaft)에 연결된 로터와, 차체 측에 고정된 스테이터(stator)와의 사이에 링형상 공간을 형성하고, 이 링형상 공간 내에, 로터측과 스테이터측을 접속하는 플랫 케이블(flat cable)을 배치한 것이 있다.
도 6은, 종래의 회전 커넥터장치(100)의 링형상 공간(S) 내에 있어서의 플랫 케이블(101)의 배치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플랫 케이블(101)이 좌우 2회전을 할 수 있는 위치(중립 위치)에서 조립된 스페이서(104)가, 회전 커넥터장치(100)에 정상적으로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스페이서(104)에 플랫 케이블(101)이 좌우 균등하게 2회전을 할 수 없는 위치(비중립 위치)에서 조립되어, 도시하지 않은 스테어링 휠 조작중에 플랫 케이블(101)의 길이가 부족하게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형상 공간(S) 내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101)은, 리브(rib)(104a, 104a)의 사이를 통과하여, 스페이서(104)의 내경측으로부터 외경측으로 인출되어 있고, 스페이서(104)의 내경측에 위치하는 플랫 케이블(101)은, 로터(102)의 외주로 한방향으로 권회된 후에, 로터측의 커넥터(102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104)의 외경측에 위치하는 플랫 케이블(101)은, 내경측과는 반대 방향으로 권회된 후에, 링형상 벽(103)의 개구부(105)로부터 링형상 공간(S) 밖으로 인출되어, 최종적으로 스테이터측의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101)은, 스티어링 핸들 조작에 연동하여, 스페이서(104)의 내경측과 외경측과의 사이를 이동하게 되어 있으며, 스티어링 핸들의 회전 가능한 각도 범위는, 플랫 케이블(101)의 길이에 따라 정해지도록 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101)의 길이는, 스티어링 핸들이 중립 위치에서 좌우로 적어도 2회전을 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 커넥터장치(100)를 차량에 부착할 때에는, 스페이서(104)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이 좌우 2회전을 할 수 있는 위치(중립 위치)로 되도록 설정한 상태에서, 회전 커넥터장치(100)를 스티어링 샤프트에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플랫 케이블의 중립 위치가 어긋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로터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해서), 로터를 스테이터에 대하여 유지 도구로 가고정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유지 도구가 벗겨져 로터가 회전해 버리는 트러블이 조립시에 발생하면, 플랫 케이블이 중립 위치로부터 어긋난 상태에서, 회전 커넥터장치(100)가 스티어링 샤프트에 조립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중립 위치로부터의 어긋남 량에 따라서는, 스티어링 핸들을 회전시키고 있는 도중에 플랫 케이블의 길이가 부족하게 되어, 스티어링 핸들의 조작을 방해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사태가 발생한 경우, 플랫 케이블(101)은, 스티어링 핸들의 조작에 연동하여 인장되어, 링형상 벽(103)의 개구부(105)에 강하게 밀어붙여진 상태로 된다(도 6(B) 참조). 그 때문에, 종래의 회전 커넥터장치(100)에서는, 개구부(105)에 컷터를 설치하여, 이 자체가 발생한 경우에, 플랫 케이블(101)이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스티어링 핸들 조작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도 7(A)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회전 커넥터장치의 스테이터(11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B)는, 스테이터(110)의 커버(112)에 형성된 돌기(115)(컷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테이터(110)는, 차체 측에 부착하여 고정되는 보텀 커버(bottom cover,111)와, 보텀 커버(111)에 조립되는 커버(112)를 구비하고 있고, 커버(112)에는, 로터(도시하지 않음)의 외주를 소정간격으로 둘러싸는 링형상 벽(113)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112)를 보텀 커버(111)에 조립하면, 링형상 벽(113)의 내측에, 로터(도시하지 않음)의 외주를 둘러싸는 링형상 공간(S)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이 링형상 공간(S) 내에는, 축방향에서 봐서 링형상의 스페이서(104A)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페이서(104A)에는, 로터측과 스테이터측을 접속하는 플랫 케이블(101)이, 권회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링형상 벽(113)에는, 플랫 케이블(101)의 일단(101a)측을, 링형상 공간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1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114)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일측(113a)에는, 플랫 케이블(101)을 절단하기 위한 돌기(115)(컷터)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15)는, 개구부(114)의 일측(113a)으로부터, 타측(113b)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115)는, 직경 방향에서 봐서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스페이서(104)에 플랫 케이블이 중립 위치로부터 크게 어긋나 권회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어링 휠을 회전시키는 도중에 플랫 케이블(101)의 길이가 부족하게 된 경우, 플랫 케이블(101)은, 돌기(115)에 맞닿아지는 방향(도면 중 왼쪽방향)으로 인장되게 된다.
그리고, 플랫 케이블(101)에 돌기(115)의 모서리부(115a)가 맞닿아진 후, 더욱 플랫 케이블(101)이 인장되면, 플랫 케이블(101)의 모서리부(115a)에 맞닿아 있는 부위에 응력이 집중하고, 플랫 케이블(101)이, 이 응력이 집중되어 있는 부위를 경계로 하여 절단된다.
: 일본 공개특허 2001-28286호 공보
그러나, 돌기(115)의 모서리부(115a)는,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플랫 케이블(101)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둥근 형상을 띠게 되어 있어, 플랫 케이블(101)이 모서리부(115a)에 맞닿아진 경우에, 플랫 케이블(101)의 유지가 확실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플랫 케이블(101)이 돌기(115)측으로 인장되었을 때에, 돌기(115)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측(도면 중 상측)으로 어긋나 버리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 모서리부(115a)의 플랫 케이블(101)과의 맞댐 위치가 변화하여, 플랫 케이블(101)의 특정 부위에 응력이 집중하지 않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101)을 절단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필요시에 플랫 케이블을 확실히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링형상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링형상 공간 내에, 상기 로터측과 상기 스테이터측을 접속하는 플랫 케이블이 설치된 회전 커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링형상 공간을 둘러싸는 링형상 벽을 갖고,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단측은, 상기 링형상 벽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링형상 공간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으며,
상기 링형상 벽의 둘레방향으로 대향하는 상기의 개구부의 측연(側緣) 중 한쪽 측연에는, 다른쪽 측연 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직경 방향에서 봐서 사각형 형상의 제 1 돌기와, 직경 방향에서 봐서 뾰족한 형상의 제 2 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 1 돌기와 상기 제 2 돌기는, 상기 링형상 벽의 높이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구부를 통과하여 링형상 공간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서 설치된 플랫 케이블이, 제 1 돌기 및 제 2 돌기로 밀어붙여지는 방향으로 인장되면 플랫 케이블에는, 제 1 돌기에 기인하는 응력과 제 2 돌기에 기인하는 응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을 절단하기 위한 돌기(컷터)가 하나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의 응력의 작용점을 늘릴 수 있으므로, 플랫 케이블을 더 확실히 절단할 수 있다. 특히, 플랫 케이블이, 스페이서로, 중립 위치로부터 크게 어긋나 권회되어 제 1 돌기 측으로 강하게 인장되었을 때, 플랫 케이블이 링형상 벽의 높이 방향으로 제 1 돌기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어긋나 버린 경우에서도, 제 2 돌기에 의해 플랫 케이블을 더 확실히 절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커넥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커넥터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터가 구비되는 돌기(컷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터가 구비되는 돌기(컷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회전 커넥터장치에 있어서의 플랫 케이블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회전 커넥터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터가 구비되는 돌기(컷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편의상, 도 1에 있어서의 보텀 커버(7)측을 상측, 커버(8)측을 하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커넥터장치(1)의 로터(2)는, 로터 본체(3)와, 라이너(liner,4)와, 어태치먼트(attachment,5)를 구비하고, 이들은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로터 본체(3)에서는, 원반 형상의 기초부(31)의 중앙부에, 도시하지 않은 스테어링 샤프트를 삽입 통과시키는 개구(32)가 형성되어 있고, 기초부(31)의 라이너(4)측의 면에는, 개구(32)를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싸는 통형상 벽(33)이, 라이너(4)측의 위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라이너(4)에서는, 원반 형상의 기초부(41)의 중앙부에, 로터 본체(3)의 통형상 벽(33)을 삽입 통과시키는 개구(42)가 형성되어 있고, 기초부(41)의 어태치먼트(5)측의 상면에는, 개구(42)를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싸는 통형상 벽(43)이, 어태치먼트(5)측의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라이너(4)는, 그 통형상 벽(43)을, 로터 본체(3)의 통형상 벽(33)에 바깥에서 삽입시켜, 로터 본체(3)에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어태치먼트(5)는, 원통형상의 기초부(51)를 구비하고, 이 기초부(51) 하단에는, 로터 본체(3)의 통형상 벽(33)과의 결합부(52)가 구비되어 있다.
결합부(52)는, 기초부(51)로부터 로터 본체(3)측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축선(X) 주위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부(52)에는, 상기한 로터 본체(3)의 통형상 벽(33)에 형성된 돌기(33a)가 결합되는 개구(52a)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어태치먼트(5)는, 그 결합부(52)를, 축선(X)의 축방향에서 로터 본체(3)의 통형상 벽(33)으로 끼워넣어 로터 본체(3)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돌기(33a)가 개구(52a)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어태치먼트(5)의 로터 본체(3)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라이너(4)는, 어태치먼트(5)와 로터 본체(3) 사이에 위치하여, 라이너(4)의 로터 본체(3)로부터의 탈락도, 어태치먼트(5)에 의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스테이터(6)의 분해 사시도로서, 스테이터(6)를 구성하는 보텀 커버(7) 및 커버(8)와 함께,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9)와 플랫 케이블(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면 A에서 스테이터(6)를 절단한 단면도로서, 스테이터(6)로 조립된 로터(2)측의 주요 부재가, 도면 중 가상선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6)는, 차체 측에 고정되는 보텀 커버(7)와, 이 보텀 커버(7)의 링형상의 기초부(71)에 부착되는 커버(8)를 구비하고, 이들은 동일 수지재료(예를 들면, 폴리아세테이트)로 형성되어 있다.
보텀 커버(7)에서는, 기초부(71)의 중앙부에 개구(7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72)에는, 상기한 로터(2)측의 통형상 벽(33) 및 결합부(52)와, 스티어링 샤프트(SH)(도 3 참조)가 삽입 통과되도록 되어 있다.
기초부(71)의 커버(8)측의 하면에는, 개구(72)를 소정간격으로 둘러싸는 끼워맞춤 벽(73)이, 커버(8)측의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 끼워맞춤 벽(73)은, 보텀 커버(7)와 커버(8)가 조립되었을 때, 후기하는 커버(8)의 링형상 벽(83)에 바깥에서 끼우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부(71)의 주연(周緣)에는, 직경 방향에서 봐서 대략 사각형 형상의 결합편(77)이, 도면 중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결합편(77)에는, 후기하는 커버(8)의 돌기(83a)가 결합되는 결합 구멍(77a)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8)는, 링형상의 기초부(81)와, 이 기초부(81)의 보텀 커버(7)와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링형상 벽(83)을 갖는다.
커버(8)에서는, 기초부(81)의 중앙부에 개구(8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82)에는, 상기한 로터(2)측의 통형상 벽(33) 및 결합부(52)와, 스티어링 샤프트(SH)(도 3 참조)가 삽입 통과되도록 되어 있다.
링형상 벽(83)은, 개구(82)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소정 거리(h) 이격된 위치로부터, 보텀 커버(7)측의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축선(X) 주위의 둘레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동일한 높이(h1)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형상 벽(83)의 외주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83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기(83a)는, 축선(X) 주위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이 돌기(83a)는, 커버(8)를 보텀 커버(7)로 조립했을 때에, 상기한 결합편(77)의 결합 구멍(77a)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커버(8)의 보텀 커버(7)로부터의 탈락이, 결합 구멍(77a)에 결합된 돌기(83a)에 의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링형상 벽(83)의 외주에는, 직경 방향에서 봐서 사각형 형상의 결합벽(84)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결합벽(84)에서는, 링형상 벽(83)과의 접속부(841)보다 위쪽에, 결합 오목부(842)가 형성되어 있어, 커버(8)를 보텀 커버(7)로 조립했을 때, 보텀 커버(7)의 끼워맞춤 벽(73)이 결합 오목부(842)에 결합되고, 결합벽(84)의 상단부(843)가, 보텀 커버(7)의 끼워맞춤 구멍(710)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커버(8)와 보텀 커버(7)가 축선(X)의 직경 방향에서의 위치 어긋남 없이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링형상 벽(83)에는, 보텀 커버(7)측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돌기(83e)가, 링형상 벽(83)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어, 이들 돌기(83e)는, 커버(8)를 보텀 커버(7)로 조립했을 때, 보텀 커버(7)의 기초부(71)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713)에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8)를 보텀 커버(7)에 조립하여 스테이터(6)를 형성하면, 커버(8)의 기초부(81)와 보텀 커버(7)의 기초부(71)가, 축선(X)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다. 이에 의해, 링형상 벽(83)의 직경 방향 내측에, 스페이서(9)와 플랫 케이블(10)을 수용하는 링형상 공간(S)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도 3 참조).
스페이서(9)는, 고(高) 슬라이딩성의 수지재료(예를 들면, 폴리아세탈(POM))로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에서 봐서 링형상의 기초부(91)에서는, 커버(8)측의 하면에 롤러(92)나, 가이드부(93) 등이 설치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10)은, 도시하지 않은 스테이터측의 커넥터와 로터측의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가요성(加撓性)이 큰 필름기재의 접착면에, 복수의 금속제의 전선판을 사이에 끼워 구성된다.
플랫 케이블(10)은, 상기한 종래 예에 이러한 플랫 케이블(101)(도 6 참조)과 동일하게, 링형상 공간(S)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스페이서(9)에, 권회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랫 케이블(10)은, 스페이서(9)의 롤러(92) 부분을 지나, 스페이서(9)의 내경측으로부터 외경측으로 인출되어 있고, 롤러(92) 부분을 경계로 하여, 감는 방향을 반전시킨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페이서(9)의 내경측에 위치하는 플랫 케이블(10a)(스페이서(9)의 로터(2) 측에 위치하는 플랫 케이블(10a))이, 예를 들면, 축방향에서 봐서 반시계방향으로 권회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페이서(9)의 외경측에 위치하는 플랫 케이블(10b)(스페이서(9)의 링형상 벽(83) 측에 위치하는 플랫 케이블(10b))은, 축방향에서 봐서 시계 방향으로 권회되어 있다.
도 4(A)는, 커버(8)를 축방향(보텀 커버(7)측)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있어서의 영역 A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B)에 있어서의 플랫 케이블(10)의 도시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A)에 있어서의 영역 A의 확대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있어서의 개구부(85)(85A, 85B) 근방을 더 확대하여, 플랫 케이블(10)의 도시를 생략한 도면이며, 도 5(C)는, 도 5(A)에 있어서의 A-A선에서 본 도면이며, 플랫 케이블(10)의 도시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형상 벽(83)에는, 링형상 벽(83)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개구부(85)(85A, 85B)가 형성되어 있고, 스페이서(9)의 외경측에 위치하는 플랫 케이블(10b)이, 개구부(85)(85A, 85B)를 통과하여, 링형상 공간(S)(도 3 참조)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개구부(85)(85A, 85B)는, 링형상 벽(83)에 있어서의 커넥터부(89)와의 접속부에 형성되어 있고, 축선(X) 주위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85)(85A, 85B)는, 링형상 벽(83)의 높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링형상 벽(83)은, 개구부(85)(85A, 85B)가 형성된 부분에서 분단되어있다.
링형상 벽(83)에 있어서의 개구부(85A)의 양측부(측연부(831, 832)) 중 한쪽 측연부(831)에는, 다른쪽 측연부(832)측으로 돌출되어, 제 1 돌출부(86)와 제 2 돌출부(87)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돌출부(86)와 제 2 돌출부(87)는, 링형상 벽(83)의 높이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제 1 돌출부(86)는, 커버(8)의 기초부(81)측(도면 중 하측)에 위치한다.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경측에서 봐서 사각형 형상의 제 1 돌출부(86)는, 둘레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 높이(h2)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86a)은, 축선(X)(도 1 참조)에 대하여 평행한 가상선(Im1) 상에 위치한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방향에서 봐서 제 1 돌출부(86)는, 선단(86a)측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의 폭(W)이 좁게 되어 있고, 선단(86a)에는 곡면 가공이 행하여져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플랫 케이블(10)의 일단(10c)측이, 개구부(85A)를 지나, 링형상 공간(S)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개구부(85A)로부터 플랫 케이블(10)을 인출할 때, 플랫 케이블(10)이, 제 1 돌출부(86)의 선단(86a)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곡면 가공이 행하여져 있다.
내경측에서 봐서 제 1 돌출부(86)의 제 2 돌출부(87)측의 모서리부(86c)는, 플랫 케이블(10)이, 제 1 돌출부(86)로 밀어붙여지는 방향으로 인장되었을 때, 플랫 케이블(10)에 맞닿아, 플랫 케이블(10)을 절단하기 위한 응력을 작용시키는 부위이다.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경측에서 봐서 제 2 돌출부(87)는, 측연부(31)측에 형성된 대략 V형상의 오목부(87d)에 의해, 측연부(832) 측으로 향함에 따라 높이(h3)가 높아져 있고, 측연부(832)측의 위쪽에 예각부(87b)를 갖는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돌출부(87)의 측연부(832)측의 선단(87a)은, 축선(X)에 대하여 평행한 가상선(Im2) 상에 위치한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방향에서 봐서 이 선단(87a)은, 링형상 벽(83)의 내주면(83b)을 규정하는 가상선(Im3)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서, 제 1 돌출부(86)의 선단(86a)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축방향에서 봐서 제 2 돌출부(87)는, 선단(87a)측으로 향하여 직경 방향의 폭(W)이 작아지는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제 2 돌출부(87)의 정부(87c)(도 5(C) 참조)는, 링형상 벽(83)의 상면(83c)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제 2 돌출부(87)의 정부(87c)는, 커버(8)와 보텀 커버(7)가 조립되었을 때, 커버(8)측으로부터 보텀 커버(7)의 기초부(71)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플랫 케이블(10)의 절단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이 정부(87c)의 모퉁이(R)(곡율)가 0.1㎜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링형상 벽(83)에 있어서의 측연부(831)의 상면(83c)에는, 보텀 커버(7)측의 위쪽으로 돌출되어 결합 돌기(83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돌기(831b)는, 커버(8)와 보텀 커버(7)가 조립되었을 때, 보텀 커버(7)의 기초부(71)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711)(도 2 참조)에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8)와 보텀 커버(7)가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측연부(831)가, 커버(8)와 보텀 커버(7)의 양쪽에서 지지된 상태로 되어, 플랫 케이블(10)이, 제 1 돌출부(86) 및 제 2 돌출부(87)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인장되어, 측연부(831)에 플랫 케이블(10)로부터의 응력이 작용해도, 측연부(831)가 간단하게 변형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85B)에 있어서의 측연부(833)에도, 측연부(831) 측으로 돌출되어, 제 3 돌출부(88)가 형성되어 있다.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에서 봐서 사각형 형상의 제 3 돌출부(88)는, 둘레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높이(h2)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88a)은, 축선(X)(도 1 참조)에 대하여 평행한 가상선(Im4) 상에 위치한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방향에서 봐서 제 3 돌출부(88)는, 선단(88a)측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의 폭(W2)이 좁게 되어 있고, 선단(88a)에는 곡면 가공이 행하여져 있다.
측연부(833)도 또한, 선단(833a)측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의 폭(W2)이 좁게 되어 있고, 이 측연부(833)의 선단(833a)측은, 제 3 돌출부(88)의 선단(88a)측보다 예각 형상으로 뾰족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선단(88a)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링형상 벽(83)에 있어서의 측연부(833)의 상면(83c)에는, 보텀 커버(7)측의 위쪽으로 돌출되어 결합 돌기(83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돌기(833b)는, 커버(8)와 보텀 커버(7)가 조립되었을 때, 보텀 커버(7)의 기초부(71)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712)(도 2 참조)에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8)와 보텀 커버(7)가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측연부(831)가, 커버(8)와 보텀 커버(7)의 양쪽에서 지지된 상태로 되어, 측연부(831)에 응력이 작용해도, 측연부(831)가 간단히 변형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링형상 벽(83)에 있어서의 개구부(85)(85A, 85B)가 형성된 부분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축방향에서 봐서 원호 형상의 외벽(891)이, 링형상 벽(83)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고, 링형상 벽(83)과 외벽(891) 사이에, 개구부(85)(85A, 85B)로부터 링형상 공간(S)의 외부로 인출된 플랫 케이블(10)을 수용하기 위한 홈(892)이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에서 봐서 링형상 벽(83)의 외주 중 외벽(891)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83d)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벽(891)의 내주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891a)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링형상 벽(83)의 둘레방향에서, 이들 돌기(83d), 돌기(891a)는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10)의 일단(10c)측은, 이들 돌기(83d, 891a)에 끼워진 상태에서 홈(892) 내에 수용되어 있고, 플랫 케이블(10)의 일단(10c)측의 이동(도 5(A)에 있어서의 오른쪽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링형상 공간(S) 내에 위치하는 플랫 케이블(10)이, 제 1 돌출부(86), 제 2 돌출부(87)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인장되었을 때, 플랫 케이블(10)의 일단(10c)측이 링형상 공간(S) 내로 끌려들어가는 것이 적절히 방지된다.
그리고, 플랫 케이블(10)을 인장하는 힘이 더 강해져도, 플랫 케이블(10)을 제 1 돌출부(86), 제 2 돌출부(87)에 확실히 접촉시킨 위치에서 유지되어, 이들 돌출부(제 1 돌출부(86), 제 2 돌출부(87))로부터의 응력을 플랫 케이블(10)에 확실히 작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2)와 스테이터(6)와의 사이에 링형상 공간(S)을 형성하고, 링형상 공간(S) 내에, 로터(2)측의 커넥터와 스테이터(6)측의 커넥터를 접속하는 플랫 케이블(10)이 설치된 회전 커넥터장치(1)에 있어서,
스테이터(6)는, 링형상 공간(S)을 둘러싸는 링형상 벽(83)을 갖고, 플랫 케이블(10)의 일단(10c)측은, 링형상 벽(83)에 형성된 개구부(85A)를 지나 링형상 공간(S)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으며,
링형상 벽(83)에 있어서의 개구부(85A)의 측연부(831)에는, 개구부(85A)를 사이에 두고 반대 측에 위치하는 측연부(832) 측으로 돌출되어 제 1 돌출부(86)와 제 2 돌출부(87)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돌출부(86)는, 내경측(직경 방향)에서 봐서 사각형 형상의 돌기이고,
제 2 돌출부(87)는, 내경측(직경 방향)에서 봐서 뾰족한 형상의 돌기이며, 제 1 돌출부(86)와 제 2 돌출부(87)는, 링형상 벽(83)의 높이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개구부(85A)를 통과하여 링형상 공간(S)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서 설치된 플랫 케이블(10)이, 제 1 돌출부(86) 및 제 2 돌출부(87)로 밀어붙여지는 방향으로 인장되면, 플랫 케이블(10)에는, 제 1 돌출부(86)에 기인하는 응력과 제 2 돌출부(87)에 기인하는 응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10)을 절단하기 위한 돌기(컷터)가 하나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플랫 케이블(10)에 있어서의 응력의 작용점을 늘릴 수 있으므로, 플랫 케이블(10)을 더 확실히 절단할 수 있다. 특히, 플랫 케이블(10)이, 스페이서(9)에 중립 위치로부터 크게 어긋나 권회되어 제 1 돌출부(86) 측으로 강하게 인장되었을 때, 플랫 케이블(10)이 링형상 벽(83)의 높이 방향으로 제 1 돌출부(86)로부터 멀어지는 측(도 4(B)에 있어서의 제 1 돌출부(86)의 상측)으로 어긋나 버렸을 경우에도, 제 2 돌출부(87)에 의해 플랫 케이블(10)을 더 확실히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이용되지 않았던 공간, 즉 링형상 벽(83)의 높이 방향으로 제 1 돌출부(86)에 인접하는 공간(도 4(B)에 있어서의 제 1 돌출부(86)의 상측 공간)에 제 2 돌출부(87)를 형성했으므로, 제 2 돌출부(87)를 형성하기 위해서, 커버(8)에 있어서의 개구부(85A)의 위치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커버(8)의 대형화를 피하면서, 새로운 부위(제 2 돌출부(87))를 형성함으로써 비용상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링형상 벽(83)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내경측에서 본 제 1 돌출부(86)의 선단(86a)은, 내경측에서 본 제 2 돌출부(87)의 선단(87a)보다, 개구부(85A)를 사이에 두고 반대 측에 위치하는 측연부(832) 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개구부(85A)를 통과하여 링형상 공간(S)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서 설치된 플랫 케이블(10)이, 제 1 돌출부(86) 및 제 2 돌출부(87)로 밀어붙여지는 방향으로 인장되면, 플랫 케이블(10)에는, 제 1 돌출부(86)에 기인하는 응력이 먼저 작용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 1 돌출부(86)의 모서리부(86c)(도 4(C) 참조)에 의한 플랫 케이블(10)의 유지가 약한 경우에는, 플랫 케이블(10)을 인장하는 힘이 더 강해지면, 플랫 케이블(10)이 제 2 돌출부(87) 측으로 어긋나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뾰족한 형상의 제 2 돌출부(87)가 플랫 케이블(10)에 접촉하여, 플랫 케이블(10)에 응력을 작용시키므로, 이 제 2 돌출부(87)의 응력에 의해, 플랫 케이블(10)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돌출부(87)에 의하여 플랫 케이블(10)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없는 경우에도, 플랫 케이블(10)이 어긋날 때, 제 2 돌출부(87)의 예각부(87b)가 플랫 케이블(10)의 표면을 손상시키므로, 어긋나는 도중에 플랫 케이블(10)의 손상이 퍼져, 플랫 케이블(10)을 절단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돌출부(87)의 예각부(87b)는, 제 1 돌출부(86)에 비해 마모되기 쉬우므로, 먼저 플랫 케이블(10)에 접촉된 제 1 돌출부(86)에 의한 플랫 케이블(10)의 파단이 잘 진행되지 않을 때, 제 2 돌출부(87)에 의해 플랫 케이블(10)을 절단하도록 함으로써, 제 2 돌출부(87)의 컷터로서의 수명을 늘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제 2 돌출부(87)가, PBT보다 부드러운 수지재료에 의해 제작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2 돌출부(87)의 컷터로서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경도를 높이기 위해서, 제 1 돌출부(86) 및 제 2 돌출부(87)를 유리 섬유(glass fiber)를 포함하는 수지재료로 구성하지 않아도, 플랫 케이블(10)을 확실히 절단할 수 있으므로, 유리 섬유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제작 비용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링형상 벽(83)의 축방향에서 봐서, 제 2 돌출부(87)의 예각부(87b)의 정부(頂部,87c)는, 제 1 돌출부(86)의 선단(86a)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링형상 벽(83)의 내주면(83b)은, 스페이서(9)에 권회된 플랫 케이블(10)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면이므로, 예각부(87b)의 정부(87c)가 내경측에 위치하면, 플랫 케이블(10)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회전 커넥터장치(1)에 있어서의 통상의 동작시에, 링형상 벽(83)의 내주면을 슬라이딩하는 플랫 케이블(10)이 손상되는 것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링형상 벽(83)의 외측에는, 링형상 벽(83)의 축방향에서 봐서 원호 형상의 외벽(891)이 설치되어 있고, 플랫 케이블(10)의 일단(10c)측은, 링형상 벽(83)과 외벽(891)과의 사이의 홈(892)에 끼워진 상태로, 링형상 벽(83)의 둘레방향에서 개구부(8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플랫 케이블(10)의 일단(10c)측이 홈(892)에서 확실히 유지되어, 플랫 케이블(10)이, 제 1 돌출부(86)와 제 2 돌출부(87)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인장되었을 때, 플랫 케이블(10)의 일단(10c)측이 링형상 공간(S)측으로 끌려들어가는 것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플랫 케이블(10)에, 제 1 돌출부(86)와 제 2 돌출부(87)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의 응력이 작용하고 있을 때, 플랫 케이블(10)의 일단(10c)측이 링형상 공간(S)측으로 끌려들어가면, 플랫 케이블(10)을, 제 1 돌출부(86)나 제 2 돌출부(87)로 밀어붙인 상태로 유지할 수 없게 된다.
그러면, 플랫 케이블(10)을 절단할 수 없게 될 우려나, 플랫 케이블(10)의 절단의 타이밍이 늦어져 버릴 우려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플랫 케이블(10)의 일단(10c)측이 링형상 공간(S) 내로 끌려들어가는 것을 적절히 방지하고, 플랫 케이블(10)이 제 1 돌출부(86)나 제 2 돌출부(87)로 밀어붙여졌을 때,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랫 케이블(10)의 절단이 필요한 때, 플랫 케이블(10)이 절단할 수 없게 되는 경우나, 플랫 케이블(10)의 절단의 타이밍이 늦어 버리는 경우를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링형상 벽(83)의 외주 중 외벽(891)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83d)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고, 외벽(891)의 내주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891a)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링형상 벽(83)의 돌기(83d)와 외벽(891)의 돌기(891a)는, 링형상 벽(83)의 축방향에서 봐서, 둘레방향에서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플랫 케이블(10)이, 제 1 돌출부(86) 및 제 2 돌출부(87)로 밀어붙여지는 방향으로 인장되어, 제 1 돌출부(86)와 제 2 돌출부(87)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의 응력이 플랫 케이블(10)에 작용하고 있을 때, 플랫 케이블(10)의 일단(10c)측이 링형상 공간(S)측으로 끌려들어가는 것을 더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스테이터(6)는, 링형상 벽(83)을 갖는 커버(8)(제 1 스테이터부)와, 링형상 벽(83)의 상단(83c)이 맞닿는 링형상의 기초부(71)(맞댐부)를 갖는 보텀 커버(7)(제 2 스테이터부)를 구비하고,
보텀 커버(7)는, 링형상 벽(83)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돌기(83e), 상단부(843), 결합 돌기(831b), 결합 돌기(833b))의 각각을, 각각, 기초부(71)의 대응하는 끼워맞춤 구멍(713, 710, 711, 712)에 끼워맞춰, 보텀 커버(7)에 조립되어 있으며,
링형상 벽(83)의 측연부(831, 833)에서는, 개구부(85A, 85B)의 근방에, 결합 돌기(831b, 833b)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측연부(831, 833)의 상단이 보텀 커버(7)의 기초부(71)에 접촉하는 위치를, 끼워맞춤 구멍(711, 712)에 따라 정해지는 소정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측연부(831, 833)의 상단이, 보텀 커버(7)의 기초부(71)에 단순히 맞닿아 있을 뿐인 구성에서는, 측연부(831, 833)를 지지하는 기초부(81)가 박육의 판형상 부재인 것에도 기인하고, 측연(831, 833)의 상단이 보텀 커버(7)의 기초부(71)에 접촉하는 위치가, 플랫 케이블(10)로부터 작용하는 응력에 의하여 변화하여, 측연부(831, 833)의 상단과 기초부(71)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버릴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플랫 케이블(10)이 제 1 돌출부(86), 제 2 돌출부(87)에 밀어붙여졌을 때, 측연부(831)와 기초부(71)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면, 이 간극에 플랫 케이블(10)이 진입하여, 플랫 케이블(10)이 절단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간극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플랫 케이블(10)의 절단을 행할 수 없게 되는 사태의 발생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직경 방향에서 봐서, 제 2 돌출부(87)는, 측연부(832)측의 선단(87a)이, 제 1 돌출부(86)의 선단(86a)에 대하여 평행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돌출부(87)에 있어서의 측연부(831) 측에는, 직경 방향에서 봐서 V자 형상의 오목부(87d)가 형성되어, 이 오목부(87d)에 의해, 선단측으로 향함에 따라 가늘어지는 뾰족한 형상의 예각부(87b)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돌출부(87)는, 측연부(831)로부터 측연부(832) 측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에서 본 폭(h2)과, 축방향에서 본 폭(W)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둘레방향으로부터 제 2 돌출부(87)에 맞닿아진 플랫 케이블(10)에는, 해당 제 2 돌출부(87)의 선단(87a)으로부터의 응력이 최초로 작용한다. 그리고, 이 선단(87a)으로부터의 응력으로 플랫 케이블(10)이 절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플랫 케이블(10)은, 이 플랫 케이블(10)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뾰족한 형상의 예각부(87b)측으로 돌아들어가게 된다. 그렇게 하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플랫 케이블(10)에, 뾰족한 형상의 예각부(87b)로부터의 응력이 작용하여, 플랫 케이블(10)이 확실히 절단되게 된다.
또한 링형상 벽(83)의 직경 방향에서 봐서, 제 2 돌출부(87)의 정부(87c)는, 보텀 커버(7)의 기초부(71)에 간극없이 접촉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정부(87c)와 기초부(71)와의 사이에 간극이 있으면, 플랫 케이블(10)이, 인장되어 제 2 돌출부(87)의 예각부(87b)측으로 이동했을 때, 정부(87c)와 접촉하지 않고, 정부(87c)와 기초부(71)와의 사이의 간극으로 진입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플랫 케이블(10)이 절단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정부(87c)를 기초부(71)에 간극없이 접촉시키면, 플랫 케이블(10)이 인장되어, 정부(87c)와 기초부(71)와의 사이에 진입하고자 했을 때, 플랫 케이블(10)을 확실히 정부(87c)에 접촉시켜, 절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링형상 벽(83)의 둘레방향에서 인접하는 개구부(85A, 85B) 중, 개구부(85A)측의 측연부(831)에, 제 2 돌출부(87)를 형성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제 2 돌출부(87)를, 또한 개구부(85B)의 측연부(833)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나, 측연부(833)에만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아울러,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돌출부(87)의 정부(87c)가, 보텀 커버(7)의 기초부(71)에 간극없이 접촉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했지만, 기초부(71)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제 2 돌출부(87)의 선단(87a)측(도 5(C)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돌출하도록, 정부(87c)를 형성함으로써, 간극으로 진입하려고 하는 플랫 케이블(10)의 측면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플랫 케이블(10)이 간극으로 진입함에 의해 절단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회전커넥터장치 2. 로터
3. 로터 본체
31. 기초부 32. 개구
33. 통형상 벽 33a. 돌기
4. 라이너
41. 기초부 42. 개구
43. 통형상 벽
5. 어태치먼트
51. 기초부 52. 결합부
52a. 개구
6. 스테이터
7. 보텀 커버
71. 기초부 72. 개구
73. 끼워맞춤 벽 75a. 선단부
76a. 선단
77. 결합편 77a. 결합 구멍
8. 커버
81. 기초부 82. 개구
83. 링형상 벽
83a. 돌기 83b. 내주면
83c. 상면 83d. 돌기
84. 결합벽
841. 접속부 842. 결합 오목부
843. 상단부
85A, 85B. 개구
86. 제 1 돌출부
86a. 선단 86b. 모서리부
87. 제 2 돌출부
87a. 선단 87b. 예각부
87c. 정부
88. 제 3 돌출부 88a. 선단
89. 커넥터부
891. 외벽 891a. 돌기
892. 홈
9. 스페이서
91. 기초부 92. 로터
93. 가이드부
10 (10a, 10b). 플랫 케이블

Claims (8)

  1.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링형상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링형상 공간 내에, 상기 로터측과 상기 스테이터측을 접속하는 플랫 케이블이 설치된 회전 커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링형상 공간을 둘러싸는 링형상 벽을 갖고,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단측은, 상기 링형상 벽에 형성된 개구부를 지나 상기 링형상 공간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으며,
    상기 링형상 벽의 둘레방향으로 대향하는 상기의 개구부의 측연 중 한쪽 측연에는, 다른쪽 측연 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직경 방향에서 봐서 사각형 형상의 제 1 돌기와, 직경 방향에서 봐서 뾰족한 형상의 제 2 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 1 돌기와 상기 제 2 돌기는, 상기 링형상 벽의 높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돌기의 선단은, 상기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돌기의 선단보다, 상기 다른쪽 측연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 벽의 축방향에서 봐서, 상기 제 2 돌기의 선단은, 상기 제 1 돌기의 선단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 벽의 외측에는, 상기 링형상 벽의 축방향에서 봐서 원호 형상의 외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단측은, 상기 링형상 벽과 상기 외벽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링형상 벽의 둘레방향에서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 벽의 외주 중 상기 외벽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상기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벽의 내주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상기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형상 벽의 돌기와 상기 외벽의 돌기는, 상기 링형상 벽의 축방향에서 봐서, 상기 둘레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링형상 벽을 갖는 제 1 스테이터부와, 상기 링형상 벽의 상단이 맞닿는 링형상의 맞댐부를 갖는 제 2 스테이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스테이터부는, 상기 링형상 벽의 상단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의 각각을, 상기 맞댐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끼워맞춤 구멍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제 2 스테이터부에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링형상 벽의 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개구부의 상기 한쪽 측연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경 방향에서 봐서 상기 제 2 돌기는, 상기 다른쪽 측연측의 선단이, 상기 제 1 돌기의 선단에 대하여 평행하면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돌기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 측연 측에는, 직경 방향에서 봐서 V자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돌기는, 이 오목부에 의해 선단 측으로 향함에 따라 가늘어지는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기는, 상기 한쪽 측연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 방향에서 본 폭과, 축방향에서 본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장치.
KR1020130071085A 2012-06-21 2013-06-20 회전 커넥터장치 KR101814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0172 2012-06-21
JP2012140172A JP5886148B2 (ja) 2012-06-21 2012-06-21 回転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516A true KR20130143516A (ko) 2013-12-31
KR101814845B1 KR101814845B1 (ko) 2018-01-03

Family

ID=4844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085A KR101814845B1 (ko) 2012-06-21 2013-06-20 회전 커넥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11162B2 (ko)
EP (1) EP2676850B8 (ko)
JP (1) JP5886148B2 (ko)
KR (1) KR101814845B1 (ko)
CN (1) CN1035158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320B1 (ko) * 2013-01-15 2016-02-03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센서 장착 회전 커넥터
US9327938B2 (en) * 2013-02-14 2016-05-03 Haworth, Inc. Cable retractor
KR101558978B1 (ko) * 2015-06-18 2015-10-13 (주)금오전자 케이블 인출 유닛 어셈블리
CN104518388B (zh) * 2015-01-06 2017-08-29 江苏飞锦达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旋转部件和静态部件之间的连接转换装置
JP2016213093A (ja) * 2015-05-11 2016-12-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EP3467966B1 (en) * 2016-05-31 2021-08-18 Alps Alpine Co., Ltd. Rotary connector
EP3467967B1 (en) * 2016-05-31 2021-11-24 Alps Alpine Co., Ltd. Rotary connector
JP6782125B2 (ja) * 2016-08-30 2020-11-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KR20210014648A (ko) * 2018-05-28 2021-02-09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회전체
KR20210016549A (ko) * 2018-06-11 2021-02-16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고정체
EP3859910B1 (en) * 2018-10-05 2023-05-10 Furukawa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device
JP7328242B2 (ja) 2018-10-11 2023-08-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の組立方法
CN112753140B (zh) 2018-10-17 2022-09-09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旋转连接器装置
WO2020121741A1 (ja) * 2018-12-13 2020-06-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CN113423614A (zh) * 2018-12-18 2021-09-21 西姆泰克公司 时钟弹簧方向盘动力组件
CN113439370B (zh) * 2019-02-21 2023-12-08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旋转连接器装置
TWI725610B (zh) * 2019-11-12 2021-04-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理線結構及電子裝置
WO2023228861A1 (ja) * 2022-05-24 2023-11-3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組立体および回転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4396A (en) * 1987-05-27 1989-04-25 Alps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JPH0421273Y2 (ko) * 1987-05-27 1992-05-14
JPH0454714Y2 (ko) * 1988-05-23 1992-12-22
JP2575481Y2 (ja) * 1991-08-21 1998-06-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における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部の固定構造
DE4446901C2 (de) * 1993-12-27 2001-01-25 Nihon Plast Co Ltd Elektrischer Uhrfederverbinder
JP2863105B2 (ja) * 1995-01-12 1999-03-03 矢崎総業株式会社 相対回転部材間継電装置
JP3373966B2 (ja) * 1995-02-10 2003-02-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US5674082A (en) * 1995-02-21 1997-10-07 Niles Parts Co., Ltd. Rotary connector device
JP3305154B2 (ja) * 1995-03-28 2002-07-22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に於けるハウジング構造
JPH0955274A (ja) * 1995-08-11 1997-02-25 Yazaki Corp 回転体と固定体との間の電気的接続装置
JP3693859B2 (ja) * 1999-07-15 2005-09-14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2003174715A (ja) * 2001-12-06 2003-06-20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JP4891701B2 (ja) * 2006-08-23 2012-03-07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4491013B2 (ja) * 2007-12-17 2010-06-3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5123071B2 (ja) * 2008-06-19 2013-01-16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5123070B2 (ja) * 2008-06-19 2013-01-16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6850A1 (en) 2013-12-25
JP5886148B2 (ja) 2016-03-16
CN103515820A (zh) 2014-01-15
JP2014006986A (ja) 2014-01-16
US9011162B2 (en) 2015-04-21
KR101814845B1 (ko) 2018-01-03
EP2676850B8 (en) 2017-06-28
CN103515820B (zh) 2017-04-26
US20130344706A1 (en) 2013-12-26
EP2676850B1 (en)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3516A (ko) 회전 커넥터장치
US10243336B2 (en) Electric wire insertion member
US8758024B2 (en) Rotary connector device
EP2763246B1 (en) Rotary connector device
CN111371207B (zh) 电动机
US5952908A (en) Coil bobbin and an exciting coil assembly
US9653234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JP5226334B2 (ja) 電動機の固定子および電動機の固定子の製造方法
KR101887834B1 (ko) 전기 커넥터
JPWO2013171986A1 (ja) ばね装置
US10696246B2 (en) Corrugated tube holder and wire harness
CN102089544A (zh) 旋转线圈型电磁离合器
EP2618353B1 (en) Switch
JP709271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574686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保持具、及び、保持具付きコルゲートチューブ
JP2015033219A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5100166A (ja) 電機子コア
EP2924310B1 (en) Clutch cover assembly
US20240136086A1 (en) Wiring module and elastic water-stop member
JP2008130466A (ja) 回転嵌合式コネクタにおける回動部材側コネクタ
JP6541486B2 (ja) センサ取付構造
JP2012237421A (ja) ブーツバンド
JP2018078167A (ja) 固定具、及び雑音電流吸収具
JP5019100B2 (ja) クロスジョイントの分解に用いる治具及びクロスジョイントの分解方法
CN111207201A (zh) 齿轮装置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