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736A -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736A
KR20130134736A KR1020120058465A KR20120058465A KR20130134736A KR 20130134736 A KR20130134736 A KR 20130134736A KR 1020120058465 A KR1020120058465 A KR 1020120058465A KR 20120058465 A KR20120058465 A KR 20120058465A KR 20130134736 A KR20130134736 A KR 20130134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ake
rice
stea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9500B1 (ko
Inventor
김산호
Original Assignee
김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산호 filed Critical 김산호
Priority to KR20120058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50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23L7/11Filled, stuffed or multilayered pas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Abstract

본 발명은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떡볶이 양념과 쌀가루 또는 밀가루를 혼합하여 찜으로서 떡 속에 양념을 함유시킬 수 있는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떡볶이 양념과 쌀가루 또는 밀가루를 혼합하여 찐 다음, 반죽하여 떡으로 제조함으로써 떡 자체 속에 떡볶이 양념을 함유시킬 수 있는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하며, 육수, 식염, 양조식초, 고추가루, 매실원액, 설탕을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쌀가루 또는 밀가루와 상기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을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RICE CAKE FOR TOPOKKI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떡볶이 양념과 쌀가루 또는 밀가루를 혼합하여 찜으로서 떡 속에 양념을 함유시킬 수 있는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떡볶이라 함은 토막 낸 떡에 쇠고기와 여러 가지 채소를 넣고 갖은 양념을 하여 볶은 음식을 말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떡볶이는 떡볶이 양념에 쌀가루 또는 밀가루로 떡을 만든 다음 적당한 크기로 잘라 양념과 떡을 같은 용기에서 볶아내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떡볶이의 경우 아무리 오랜 시간을 볶아도 떡에는 떡볶이 양념이 배어들지 않아 떡볶이 양념의 맛을 제대로 맛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떡볶이 떡 자체에 현대인들의 입맛에 맞게 여러 다양한 형태로 기능성을 강조한 떡볶이 떡에 대한 연구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데,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6542호에서는 떡볶이 떡의 모양을 구형으로 제조하여 내부에 치즈, 참깨, 설탕, 콩가루와 같은 충진재를 넣어 완성한 떡볶이 떡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2601호에서는 곡물가루에 청국장을 함유하여 제조한 떡볶이 떡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7936호에서는 곡류가루에 호박가루를 포함하여 제조한 떡볶이 떡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외에도 선행기술문헌에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성을 가진 떡볶이 떡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떡에 여러 기능성 성분의 가루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경우 떡 고유의 맛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기능성 성분을 혼합할 경우 소비자가 섭취 자체를 거부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으며, 이들 선행기술들은 모두 떡에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는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과 같이 떡볶이 양념과 쌀가루 또는 밀가루를 혼합하여 찜으로서 떡 속에 양념을 함유시키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6542호(2003. 09. 19.) 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2601호(2005. 09. 22.) 3.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7936호(2009. 02. 1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떡볶이 양념과 쌀가루 또는 밀가루를 혼합하여 찐 다음, 반죽하여 떡으로 제조함으로써 떡 자체 속에 떡볶이 양념을 함유시킬 수 있는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물육수, 야채육수, 사골육수 등에 식염, 양조식초, 고추가루, 매실원액, 설탕 등을 혼합하여 만든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고 이를 쌀가루 또는 밀가루와 혼합하여 찐 후 반죽하여 떡볶이 떡으로 제조함으로써 떡 자체 속에 맛과 영양분이 풍부한 떡볶이 양념이 함유되는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떡 자체 속에 떡볶이 양념의 1 성분으로 양조식초가 포함됨으로써 다른 성분들이 가지는 각종 영양분 또는 영양소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떡볶이 양념이 부패되는 것을 예방하거나 부패되기까지의 시간을 지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소의 체내에서의 흡수율을 높이고 조직 내에서 활성화할 수 있는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육수, 식염, 양조식초, 고추가루, 매실원액, 설탕을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쌀가루 또는 밀가루와 상기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을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해물육수 43.6 중량부, 식염 1.4 중량부, 양조식초 15 중량부, 고추가루 15 중량부, 매실원액 15 중량부, 설탕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쌀가루 70 중량부와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3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야채육수 38.7 중량부, 식염 1.3 중량부, 양조식초 15 중량부, 고추가루 15 중량부, 매실원액 15 중량부, 설탕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쌀가루 70 중량부와 상기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3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사골육수 41.7 중량부, 식염 1.3 중량부, 양조식초 14 중량부, 고추가루 15 중량부, 매실원액 15 중량부, 설탕 13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밀가루 70 중량부와 상기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3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상기 제1과정에서 양파 5 중량부 및 마늘 5 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해물육수 14 중량부, 식염 2 중량부, 양조식초 22 중량부, 고추가루 22 중량부, 매실원액 20 중량부, 설탕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쌀가루 80 중량부와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2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야채육수 14 중량부, 식염 2 중량부, 양조식초 22 중량부, 고추가루 22 중량부, 매실원액 20 중량부, 설탕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밀가루 80 중량부와 상기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2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사골육수 16 중량부, 식염 2 중량부, 양조식초 22 중량부, 고추가루 20 중량부, 매실원액 20 중량부, 설탕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쌀가루 80 중량부와 상기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2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상기 제1과정에서 양파 5 중량부 및 마늘 5 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은 상기 떡볶이 떡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떡볶이 양념과 쌀가루 또는 밀가루를 혼합하여 찐 다음, 반죽하여 떡으로 제조함으로써 떡 자체 속에 떡볶이 양념을 함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해물육수, 야채육수, 사골육수 등에 식염, 양조식초, 고추가루, 매실원액, 설탕 등을 혼합하여 만든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고 이를 쌀가루 또는 밀가루와 혼합하여 찐 후 반죽하여 떡볶이 떡으로 제조함으로써 떡 자체 속에 맛과 영양분이 풍부한 떡볶이 양념이 함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떡 자체 속에 떡볶이 양념의 1 성분으로 양조식초가 포함됨으로써 다른 성분들이 가지는 각종 영양분 또는 영양소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떡볶이 양념이 부패되는 것을 예방하거나 부패되기까지의 시간을 지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소의 체내에서의 흡수율을 높이고 조직 내에서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의 순서도.
이하,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육수, 식염, 양조식초, 고추가루, 매실원액, 설탕을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쌀가루 또는 밀가루와 상기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을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육수는 해물육수, 야채육수, 그리고 사골육수를 사용하는데 각각 그 성분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해물육수는 홍합, 멸치, 새우, 디포리, 다시마, 가쓰오부시 등의 해물을 식수(食水)에 넣고 일정 시간 끊여 내어 해물의 진한 맛과 영양분을 추출하여 얻으며, 상기 야채육수는 무, 대파, 양파, 마늘, 다시마 등을 식수(食水)에 넣고 일정 시간 끊여 내어 진한 맛과 영영분을 추출하여 얻으며, 그리고 상기 사골육수는 소의 사골, 잡뼈, 골반뼈, 등뼈, 닭발 등을 식수(食水)에 넣고 일정 시간 끊여 내어 진한 사골 국물을 얻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떡볶이 양념의 1 성분이 되는 상기 양조식초는 각종 영양소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함유되어 있어 떡볶이 양념이 부패되는 것을 예방하거나 부패되기까지의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소의 체내에서의 흡수율을 높이고 조직 내에서 활성화하는 기능 또한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떡볶이 양념의 1 성분이 되는 식염, 고추가루, 설탕 등은 일반적으로 양념을 만들 때 사용되는 것이며, 매실원액 또한 매실을 이용하여 공지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이들에 대하여 특정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과정에 의하여 얻어지는 떡볶이 양념을 2 주 이상 숙성(熟成)하는 과정을 거치면 맛과 영양분이 보다 풍부한 양념을 얻을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떡볶이 양념과 쌀가루 또는 밀가루를 혼합한 다음 찜통에서 일정 시간 쪄서 떡볶이 양념이 쌀가루 또는 밀가루와 균일하게 혼합되는 혼합물을 준비하여 이를 반죽기에 넣고 반죽하고 떡볶이 떡 제조 기계장치에 의하여 떡볶이 떡으로 제조한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떡볶이 떡은 바로 유통하거나 또는 건조시켜 진공 포장한 다음 유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떡볶이 양념을 구성하는 상기 해물육수, 야채육수, 그리고 사골육수의 육수, 식염, 양조식초, 고추가루, 매실원액, 설탕 등의 성분의 혼합비율과 쌀가루 또는 밀가루와 상기 떡볶이 양념의 혼합비율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해물육수 43.6 중량부, 식염 1.4 중량부, 양조식초 15 중량부, 고추가루 15 중량부, 매실원액 15 중량부, 설탕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쌀가루 70 중량부와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3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야채육수 38.7 중량부, 식염 1.3 중량부, 양조식초 15 중량부, 고추가루 15 중량부, 매실원액 15 중량부, 설탕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쌀가루 70 중량부와 상기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3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사골육수 41.7 중량부, 식염 1.3 중량부, 양조식초 14 중량부, 고추가루 15 중량부, 매실원액 15 중량부, 설탕 13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밀가루 70 중량부와 상기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3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과정에서 양파 5 중량부 및 마늘 5 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해물육수 14 중량부, 식염 2 중량부, 양조식초 22 중량부, 고추가루 22 중량부, 매실원액 20 중량부, 설탕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쌀가루 80 중량부와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2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야채육수 14 중량부, 식염 2 중량부, 양조식초 22 중량부, 고추가루 22 중량부, 매실원액 20 중량부, 설탕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밀가루 80 중량부와 상기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2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은 사골육수 16 중량부, 식염 2 중량부, 양조식초 22 중량부, 고추가루 20 중량부, 매실원액 20 중량부, 설탕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쌀가루 80 중량부와 상기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2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과정에서 양파 5 중량부 및 마늘 5 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은 상기 떡볶이 떡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해물육수 436g, 식염 14g, 양조식초 150g, 고추가루 150g, 매실원액 150g, 설탕 100g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한다.
2. 쌀가루 700g과 떡볶이 양념 300g을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찐다.
3.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 기계장치에서 떡볶이 떡으로 제조한다.
1. 야채육수 387g, 식염 13g, 양조식초 150g, 고추가루 150g, 매실원액 150g, 설탕 150g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한다.
2. 쌀가루 700g과 떡볶이 양념 300g을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찐다.
3.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 기계장치에서 떡볶이 떡으로 제조한다.
1. 사골육수 417g, 식염 13g, 양조식초 140g, 고추가루 150g, 매실원액 150g, 설탕 130g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한다.
2. 쌀가루 700g과 떡볶이 양념 300g을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찐다.
3.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 기계장치에서 떡볶이 떡으로 제조한다.
실험예 : 관능성 테스트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떡볶이 떡을 이용하여 어린이 및 청소년 중 8세 이상 18세 이하의 100을 대상으로 관능검사 요원에 의해 순위법에 의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각각의 떡볶이 떡을 조리용 용기에 넣고 일정량의 물을 부은 다음 볶아 떡볶이를 조리한 다음, 이를 시식하도록 한 다음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떡볶이 떡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양념과 떡을 함께 볶아 조리하는 통상의 떡볶이와 대비한 맛과 기호성에 대한 정도를 7점법에 따라 응답하도록 하였고, 『아주 좋다 : 7점, 좋다 : 6점, 약간 좋다 : 5점, 보통 : 4점, 약간 나쁘다 : 3점, 나쁘다 : 2점, 아주 나쁘다 : 1점』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그 설문조사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6.9 6.7 6.3
기호성 6.8 6.5 6.4
상기 실험예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떡볶이 떡을 떡볶이로 조리하여 시식한 어린이 및 청소년은 그 맛 및 기호서에 있어서 양념과 떡을 함께 볶아 조리하는 통상의 떡볶이의 경우보다 매우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상한 바와 같이 양념과 떡을 함께 볶아 조리하는 통상의 떡볶이의 경우보다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을 이용한 떡볶이의 경우 양념이 떡 자체 속에 함유되어 있어 양념의 맛과 영양분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육수, 식염, 양조식초, 고추가루, 매실원액, 설탕을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쌀가루 또는 밀가루와 상기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을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떡 제조방법.
  2. 해물육수 43.6 중량부, 식염 1.4 중량부, 양조식초 15 중량부, 고추가루 15 중량부, 매실원액 15 중량부, 설탕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쌀가루 70 중량부와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3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떡 제조방법.
  3. 야채육수 38.7 중량부, 식염 1.3 중량부, 양조식초 15 중량부, 고추가루 15 중량부, 매실원액 15 중량부, 설탕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쌀가루 70 중량부와 상기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3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떡 제조방법.
  4. 사골육수 41.7 중량부, 식염 1.3 중량부, 양조식초 14 중량부, 고추가루 15 중량부, 매실원액 15 중량부, 설탕 13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밀가루 70 중량부와 상기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3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떡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 양파 5 중량부 및 마늘 5 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떡 제조방법.
  6. 해물육수 14 중량부, 식염 2 중량부, 양조식초 22 중량부, 고추가루 22 중량부, 매실원액 20 중량부, 설탕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쌀가루 80 중량부와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2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떡 제조방법.
  7. 야채육수 14 중량부, 식염 2 중량부, 양조식초 22 중량부, 고추가루 22 중량부, 매실원액 20 중량부, 설탕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밀가루 80 중량부와 상기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2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떡 제조방법.
  8. 사골육수 16 중량부, 식염 2 중량부, 양조식초 22 중량부, 고추가루 20 중량부, 매실원액 20 중량부, 설탕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떡볶이 양념을 제조하는 제1과정;
    쌀가루 80 중량부와 상기 제1과정에서 얻은 상기 떡볶이 양념 2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찌는 제2과정; 및
    상기 제2과정에서 찜통에서 찐 혼합물을 반죽기에서 반죽한 다음 떡볶이 떡 제조장치에서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떡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 양파 5 중량부 및 마늘 5 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떡 제조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떡볶이 떡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떡.
KR20120058465A 2012-05-31 2012-05-31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9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58465A KR101479500B1 (ko) 2012-05-31 2012-05-31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58465A KR101479500B1 (ko) 2012-05-31 2012-05-31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736A true KR20130134736A (ko) 2013-12-10
KR101479500B1 KR101479500B1 (ko) 2015-01-07

Family

ID=4998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58465A KR101479500B1 (ko) 2012-05-31 2012-05-31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890B1 (ko) * 2018-04-09 2019-11-25 주식회사 씨앤푸드스토리 국물떡볶이소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258B1 (ko) 2018-08-09 2020-10-12 사임당푸드 영농조합법인 쌀가루를 주재로 한 조리떡볶이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85402B1 (ko) 2020-02-18 2020-12-01 손민성 요리용 떡 및 그 제조방법
KR102186755B1 (ko) 2020-05-12 2020-12-07 고진성 양념소스가 고르게 배어들어간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떡볶이 떡
KR102186750B1 (ko) 2020-05-12 2020-12-07 고진성 건식 쌀가루를 이용하여 양념소스가 고르게 배어들어간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떡볶이 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373A (ko) * 1997-09-10 1997-12-10 홍사균 양념을 가미한 종합영양분이 함유된 가래떡 제조방법
KR100884816B1 (ko) 2007-07-20 2009-02-20 주식회사 제이아이에프앤디 한방육수를 첨가한 소스 제조방법
KR101009086B1 (ko) * 2008-05-19 2011-01-18 남희진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및 양념소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890B1 (ko) * 2018-04-09 2019-11-25 주식회사 씨앤푸드스토리 국물떡볶이소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500B1 (ko)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042B1 (ko) 고추를 함유한 양념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9500B1 (ko)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42973B1 (ko) 간장양념소스
KR101622838B1 (ko) 바비큐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807184B1 (ko) 국물요리용 양념장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국물요리용 양념장
KR101190171B1 (ko) 고춧가루를 함유한 조미료 조성물
JP2013252061A (ja) 肉粒及び/又は肉粉を含む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07948B1 (ko) 장어강정용 양념소스 및 이를 이용한 장어강정의 제조방법
KR20200053094A (ko) 풍미가 뛰어난 짬뽕 및 짜장면의 제조방법
KR20100088320A (ko) 강된장 소스의 제조방법
KR101893301B1 (ko) 볶음밥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905200A (zh) 一种泡菜味调味料及其制备方法
KR20090057790A (ko) 상어 살을 주재료로 하는 자장 소스의 제조방법
KR20080017885A (ko) 쇠고기 육수 조미분과 가쓰오부시 조미분을 이용한 복합조미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07870B1 (ko) 김치 피자 소스를 이용한 김치 부추 피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4879B1 (ko) 룽고 라비올리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룽고 라비올리
KR20150094975A (ko) 떡볶이나 라볶이용 양념 및 그 제조방법
KR100640245B1 (ko) 참치불고기용 참치 및 참치불고기의 제조방법
KR20200048991A (ko) 향미가 개선된 소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덮밥 조리 방법
KR20060054746A (ko) 돈강정의 제조방법 및 돈강정을 포함하는 프라이드치킨의제조방법
KR102597381B1 (ko) 약재를 포함하는 닭갈비용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
KR102121008B1 (ko) 해물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해물찜
KR102568723B1 (ko) 상해식 양념완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0708B1 (ko) 고추장 불고기 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념육 제조방법
KR20090054418A (ko) 소비자 기호에 따라 즉석면류에 넣어 먹는 양념 고명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