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842A - 정전 척 및 정전 척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정전 척 및 정전 척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842A
KR20130129842A KR1020130055479A KR20130055479A KR20130129842A KR 20130129842 A KR20130129842 A KR 20130129842A KR 1020130055479 A KR1020130055479 A KR 1020130055479A KR 20130055479 A KR20130055479 A KR 20130055479A KR 20130129842 A KR20130129842 A KR 20130129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as flow
flow path
electrostatic chuck
insulating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789B1 (ko
Inventor
노리오 시라이와
지로 가와이
Original Assignee
신꼬오덴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꼬오덴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꼬오덴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9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3/00Clutches or holding devices using electrostatic attraction, e.g. using Johnson-Rahbek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전 척은, 금속으로 형성되며 가스 유로를 포함하는 대좌부; 상기 대좌부 상에 탑재되며, 상기 대좌부와 대면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대향측 상의 제2 면을 포함하는 절연 기판으로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가스 유로와 연통하는 제1 구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구멍부보다 구경이 작고 상기 제1 구멍부와 연통하는 제2 구멍부를 포함하는 절연 기판; 및 절연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멍부 내에 설치된 제1 단 및 상기 가스 유로 내에 설치된 제2 단을 포함하는 절연 통류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 통류부는 상기 가스 유로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상기 제2 구멍부 내로 통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정전 척 및 정전 척의 제조 방법{ELECTROSTATIC CHU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LECTROSTATIC CHUCK}
본 출원은, 2012년 5월 21일자로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2-116035호에 의거하여 그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그 전체내용이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정전 척 및 정전 척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전 척은, 절연 기판, 정전 전극,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정전 척은, 절연 기판, 정전 전극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각각 이들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스 유로를 갖는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도 2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0-153490호
예를 들면, 웨이퍼가 종래의 정전 척의 절연 기판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금속으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주파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웨이퍼의 표면 상에 플라스마를 발생시킬 때에 가스 유로 내에서 이상(異常) 방전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이상 방전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스 유로의 내벽이 노출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금속으로 형성되고 가스 유로를 포함하는 대좌부(臺座部; pedestal part); 상기 대좌부 상에 탑재되며, 상기 대좌부와 대면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대향측 상의 제2 면을 포함하는 절연 기판으로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가스 유로와 연통하는 제1 구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구멍부보다도 구경(bore diameter)이 작고 상기 제1 구멍부와 연통하는 제2 구멍부를 포함하는, 절연 기판; 및 절연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멍부 내에 설치된 제1 단 및 상기 가스 유로 내에 설치된 제2 단을 포함하는 절연 통류부(通流部)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통류부는 상기 가스 유로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상기 제2 구멍부 내로 통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정전 척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 방전의 발생을 억제한 정전 척 및 정전 척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특허청구범위에서 특별히 언급한 구성요소 및 조합에 의해 실현 및 달성될 것이다.
상기한 일반적인 설명 및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비교예 1에 따른 정전 척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비교예 2에 따른 정전 척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 척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a)~(d)는 제1 실시예의 정전 척의 구멍부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5(a)~(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 척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 척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a)~(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 척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전 척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a)~(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전 척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접속 구조체 및 전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교예 1>
도 1은 비교예 1에 따른 정전 척(10A)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비교예 1의 정전 척(10A)은 베이스 플레이트(11), 실리콘 수지층(12), 히터 플레이트(13), 실리콘 수지층(14), 세라믹 기판(15), 및 전극(16)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정전 척(10A)의 베이스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11)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직선 형상을 갖는 가스 유로(17)가 베이스 플레이트(11) 내에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후술하는 히터 플레이트(13)가 서셉터(susceptor)를 구성한다.
실리콘 수지층(12)은 베이스 플레이트(11)와 히터 플레이트(13)를 함께 접착하기 위해 설치된다. 실리콘 수지층(12)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실리콘 수지는,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히터 플레이트(13)는 히터(13A) 및 알루미늄 플레이트(13B)를 포함한다. 히터(13A)는 수지막으로 피복되어 있는 전열선이다. 히터(13A)는 알루미늄 플레이트(13B)의 일측면에 접착된다.
알루미늄 플레이트(13B)는 히터를 고정하기 위한 금속판이다. 가스 유로(17)는 히터(13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알루미늄 플레이트(13B) 부분에 형성된다. 알루미늄 플레이트(13B0 내의 가스 유로(17)는 직선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 플레이트(11)로부터 연속하고 있다.
히터 플레이트(13)는 세라믹 기판(15)의 상면에 배치된 웨이퍼의 온도를 관리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히터 플레이트(13)와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서셉터를 구성한다.
실리콘 수지층(14)은 히터 플레이트(13)와 세라믹 기판(15)을 함께 접착하기 위해 설치된다. 실리콘 수지층(14)은 히터 플레이트(13)의 상면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실리콘 수지는,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세라믹 기판(15)은 내부에 형성된 전극(16)을 갖는다. 세라믹 기판(15)은 웨이퍼(미도시)가 배치될 상면을 갖는 기판이다. 가스 구멍(15A)은 전극(1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세라믹 기판(15) 부분에 형성된다. 가스 구멍(15A)은 베이스 플레이트(11) 내에 형성된 가스 유로(17)로부터 연속하고 있다.
전극(16)은 세라믹 기판(15) 내부에 설치된 고융점 전극이다. 전극(16)은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압이 전극(16)에 인가될 때에 세라믹 기판(15)의 상면에 배치된 웨이퍼를 흡착하는 정전력(쿨롬력 또는 존슨-라벡력)을 발생시킨다.
가스 유로(17)는 베이스 플레이트(11)와 히터 플레이트(13)를 직선 형상으로 관통하는 유로이다. 가스 유로(17)는 세라믹 기판(15)의 가스 구멍(15A)에 접속되어 있다. 가스 유로(17)에는 가스 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냉각 가스가 공급되어, 세라믹 기판(15)의 가스 구멍(15A)으로부터 분사된다. 냉각 가스는, 예를 들면 헬륨과 같은 불활성 가스일 수 있다.
반도체에 건식 에칭 공정을 행하기 위해서 정전 척(10A)을 사용하는 경우, 세라믹 기판(15)의 상면에 배치된 웨이퍼가 플라스마에 의해 용이하게 가열된다. 이에 따라, 웨이퍼의 온도가 상승한다. 웨이퍼의 온도가 상승하면 에칭 시에 사용되는 마스크의 포토레지스트가 열적으로 손상될 수 있고 에칭 대상의 형상이 열화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웨이퍼를 에칭 공정 중에 미리 정해진 온도로 냉각해야 한다.
웨이퍼의 온도를 관리하기 위해서, 정전 척(10A)은 웨이퍼와 세라믹 기판(15) 사이에 불활성 가스(예를 들면, 헬륨)를 흘려서 웨이퍼를 냉각하거나, 서셉터 내에 냉각 채널 또는 히터(13A)를 설치하여 웨이퍼가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가스 유로(17)와 가스 구멍(15A)을 통하여 웨이퍼에 냉각 가스를 공급하는 것 외에, 정전 척(10A)은 웨이퍼가 세라믹 기판(15)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고주파 전력을 공급한다.
이 상태에서, 히터 플레이트(13)의 알루미늄 플레이트(13B) 및 베이스 플레이트(11) 내의 가스 유로(17)의 노출된 내벽면에 기인하여 아크 방전과 같은 이상 방전이 비교예 1의 정전 척에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상 방전이 생기면, 정전 척(10A)의 세라믹 기판(15)의 표면에 구멍이 형성되거나, 또는 정전 척(10A)의 세라믹 기판(15)의 표면이 그을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정전 척(10A)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이상 방전이 생긴 경우에 반도체 제조 공정 중에 웨이퍼가 손상되어 반도체 장치의 제조수율이 열화된다.
다음으로, 비교예 2에 따른 정전 척(10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비교예 2에 따른 정전 척(10B)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비교예 2의 정전 척(10B)은 비교예 1의 정전 척(10A)에 추가하여 절연부(18)를 갖는다. 절연부(18)가 추가된 것 외에는, 비교예 2의 정전 척(10B)은 비교예 1의 정전 척(1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절연부(18)는 히터 플레이트(13)의 가스 유로(17) 내부에 설치된 튜브 형상의 절연 부재이다. 절연부(18)는 가스 유로(17) 내에 설치되어, 절연부(18)의 상단이 히터 플레이트(13)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 한편, 절연부(18)의 하단이 히터 플레이트(13)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 또는 실리콘 수지층(12)의 두께 방향으로 그 실리콘 수지층(12)의 실질적으로 중간 정도의 높이(실리콘 수지층(12)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절연부(18)는 히터 플레이트(13)의 가스 유로(17) 내부에 설치되어, 히터 플레이트(13)의 알루미늄 플레이트(13B)의 내벽에서 이상 방전이 생기는 것으로 방지한다.
그러나, 절연부(18)가 가스 유로(17) 내부에 설치된 경우이더라도, 이상 방전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터 플레이트(13)의 상면을 향해서 실리콘 수지층(14) 내에 보이드가 있으면, 실리콘 수지층(14)은, 가스 유로(17) 내부에 절연부(18)가 설치된 경우이더라도 보이드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충분한 절연을 제공할 수 없다. 그 결과, 알루미늄 플레이트(13B)의 내벽에 인가된 고주파 전압에 기인하여 이상 방전이 생길 수 있다.
마찬가지로, 히터 플레이트(13)의 하측을 향하여 실리콘 수지층(12) 내에 보이드가 있으면, 실리콘 수지층(12)은, 보이드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충분한 절연을 제공할 수 없다. 그 결과, 알루미늄 플레이트(13B)의 내벽에 인가된 고주파 전압에 기인하여 이상 방전이 생길 수 있다.
히터 플레이트(13) 내의 가스 유로(17)의 내벽이 절연부(18)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만, 베이스 플레이트(11) 내의 가스 유로(17)의 내벽은 절연부(18)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고주파 전압의 전압 레벨이 높은 경우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 내의 가스 유로(17)의 내벽에서 이상 방전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비교예 1 및 2의 정전 척(10A, 10B)에 따르면, 가스 유로(17) 내에 이상 방전이 생길 수 있다.
이상의 관점에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는 이상 방전과 같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정전 척 및 정전 척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 척(10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1 실시예의 정전 척(100)은 베이스 플레이트(11), 실리콘 수지층(12), 히터 플레이트(13), 실리콘 수지층(14), 세라믹 기판(115), 전극(16), 및 절연 슬리브(12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히터 플레이트(13) 내에는 가스 유로(17)가 형성되어 있다.
정전 척(1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부품 중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 실리콘 수지층(12), 히터 플레이트(13), 실리콘 수지층(14), 및 전극(16)은 비교예 1 및 2의 정전 척(10A, 10B)의 것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대좌부의 일례이다.
세라믹 기판(115)은 내부에 형성된 전극(16)을 갖는다. 세라믹 기판(115)은 웨이퍼(미도시)가 배치될 상면을 갖는다. 세라믹 기판(115)은 절연 기판의 일례이다.
세라믹 기판(115) 내에는 구멍부(115A1, 115A2)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115A1, 115A2)는 세라믹 기판(115)의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는 가스 구멍(115A)을 구성한다.
구멍부(115A1)는 히터 플레이트(13)를 향해서 세라믹 기판(115)의 일면(하면)으로부터 형성된다. 구멍부(115A1)는 히터 플레이트(13) 내의 가스 유로(17)와 연통하는 제1 구멍부의 일례이다. 구멍부(115A1)는 구멍부(115A2)보다도 큰 개구(구경)를 갖는다. 절연 슬리브(12)의 상단(120A)이 구멍부(115A1) 내에 삽입된다. 구멍부(115A1)는 슬리브(120)의 상단(120A)을 수납하기 위한 카운터보(counterbore)이다.
구멍부(115A2)는 구멍부(115A1)보다도 작은 개구(구경)를 갖는다. 구멍부(115A2)는 구멍부(115A1)로부터 세라믹 기판(115)의 다른 면(상면)까지 연장하여 형성된 제2 구멍부의 일례이다.
구멍부(115A1, 115A2)의 개구가 원형이지만, 구멍부(115A1, 115A2)의 개구는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멍부(115A1, 115A2)의 개구의 형상은, 타원형, 다각형(예컨대, 삼각형, 사각형) 등일 수 있다.
절연 슬리브(120)은 튜브 형상의 절연 부재이다. 절연 슬리브(120)는 상단(120A), 본체(120B), 및 하단(120C)을 포함한다. 절연 슬리브(120)는 절연 통류부의 일례이다. 절연 슬리브(120)는 상단(120A)으로부터 하단(120C)까지 절연 슬리브(120)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120D)을 갖는다. 관통 구멍(120D)은 상단(120A)이 구멍부(115A1) 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멍부(115A2)와 연통한다.
상단(120A)의 상측을 향해서 구멍부(115A1) 내부에 갭(A)이 형성되어 있다. 갭(A)은, 구멍부(115A1)의 수직 방향으로의 구멍부(115A1)의 길이(깊이)가 상단(120A)의 길이 방향으로의 상단(120A)의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갭(A)은 절연 슬리브(120)의 길이의 허용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갭(A)은, 상면(120A)이 구멍부(115A1)의 상면(즉, 구멍부(115A1)의 구경과 구멍부(115A2)의 구경의 차에 의해 형성된 구멍부(115A1)의 원환(圓環) 형상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면(120A)은 세라믹 기판(115)의 구멍부(115A1)에 삽입된다. 본체(120B)는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히터 플레이트(13) 내에 형성된 가스 유로(17)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하단(120C)은 가스 유로(17)의 하단(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정전 척(100)은 세라믹 기판(115) 내에 구멍부(115A1)가 설치되고 구멍부(115A1)에 절연 슬리브(120)의 상단(120A)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 슬리브(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히터 플레이트(13) 내에 형성된 가스 유로(17) 내부에 설치되고, 절연 슬리브(120)의 하단(120C)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단(11x)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하단(120C)은 가스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의 냉각 가스를 가스 유로(17) 내로 유입하도록 하는 가스 유로(17)의 입구이다.
즉, 히터 플레이트(13) 내의 가스 유로(17)의 내벽 및 베이스 플레이트(11) 내의 가스 유로(17)의 내벽은 절연 슬리브(120)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따라서, 고주파의 전력이 고주파 전원(1000)(도 3 참조)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공급된 상태에서, 냉각 가스가 세라믹 기판(15) 상에 배치된 웨이퍼에 공급된 경우이더라도, 절연 슬리브(120)의 관통 구멍(120D) 및 구멍부(115A2)에 의해, 가스 유로 내부에 이상 방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a)~(d)를 참조하여 구멍부(115A2)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d)는 제1 실시예의 정전 척(100)의 구멍부(115A2)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도 4(a)는 도 3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다. 도 4(b)~(d)는 도 4(a)의 구성의 변형예이다.
도 4(a)는 세라믹 기판(115) 내에 형성된 구멍부(115A2)의 평면도이다. 도 4(a)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원은 구멍부(115A1)의 윤곽이다. 양 구멍부(115A1, 115A2)는 원형이며 서로 동심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4(b)는 단일의 구멍부(115A1)에 대하여 세라믹 기판(115) 내에 2개의 구멍부(125A2)가 형성된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에서는, 냉각 가스가 단일의 구멍부(115A1)로부터 2개의 구멍부(125A2)를 통하여 분사된다. 2개의 구멍부(125A2)는 구멍부(115A1)의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4(c)는 단일의 구멍부(115A1)에 대하여 세라믹 기판(115) 내에 3개의 구멍부(135A2)가 형성된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에서는, 냉각 가스가 단일의 구멍부(115A1)로부터 3개의 구멍부(135A2)를 통하여 분사된다. 3개의 구멍부(135A2)는 구멍부(115A1)의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4(d)는 단일의 구멍부(115A1)에 대하여 세라믹 기판(115) 내에 4개의 구멍부(145A2)가 형성된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에서는, 냉각 가스가 단일의 구멍부(115A1)로부터 4개의 구멍부(145A2)를 통하여 분사된다. 4개의 구멍부(135A2)는 구멍부(115A1)의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a)~(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 척(1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 척(10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와 히터 플레이트(13)를 실리콘 수지층(12)에 의해 서로 접착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히터 플레이트(13) 각각에 가스 유로(17)를 사전에 형성한다.
그 후,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부(115A1, 115A2) 및 절연 슬리브(120)를 포함하는 세라믹 기판(115)을 준비한다. 그 후, 절연 슬리브(120)의 단부(본 실시예에서는, 상단)(120A)를 구멍부(115A2)에 접착한다. 예를 들면, 상단(120A) 또는 구멍부(115A2)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상단(120A)이 구멍부(115A2)에 접착될 수 있다.
그 후,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실리콘 수지층(12)을 도 5(a)의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에 형성한다. 그 후, 도 5(b)의 절연 슬리브(120)의 본체(120B)를 가스 유로(17) 내에 삽입한다. 그 후, 실리콘 수지층(14)에 의해 히터 플레이트(13)의 상면과 세라믹 기판(115)의 하면을 접착하여,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전 척(100)의 제조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정전 척(100)에 따르면, 절연 슬리브(120)의 상단(120A)이 세라믹 기판(115)의 구멍부(115A1)에 삽입된다. 또한, 히터 플레이트(13) 내의 가스 유로(17)의 내벽과 베이스 플레이트(11) 내의 가스 유로(17)의 내벽이 절연 슬리브(120)에 의해 피복된다.
따라서, 고주파 전원으로부터의 고주파 전력이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공급되는 상태에서, 냉각 가스가 세라믹 기판(115) 상에 배치된 웨이퍼에 공급되는 경우이더라도, 절연 슬리브(120)의 관통 구멍(120D) 및 구멍부(115A2)에 의해, 가스 유로(17) 내부에 이상 방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상 방전은, 절연 슬리브(120)의 상단(120A)을 세라믹 기판(115)의 구멍부(115A1)에 삽입하고 히터 플레이트(13) 및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내벽을 절연 슬리브(120)로 피복하여 세라믹 기판(15)과 히터 플레이트(13) 간의 절연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절연 슬리브(120)가 히터 플레이트(13) 및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내벽 전체를 피복하고 있다. 그러나, 절연 슬리브(120)의 하단(120C)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단(11x)에 도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절연 슬리브(120)가 반드시 히터 플레이트(13) 및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내벽을 피복할 필요는 없다.
즉, 절연 슬리브(120)의 하단(120C)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단(11y)보다는 낮지만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단(11x)보다는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히터 플레이트(13)가 정전 척(100) 내에 포함된다. 하지만, 다른 경우에서는 정전 척(100)이 히터 플레이트(13)없이 형성될 수 있다. 히터 플레이트(13)가 정전 척(100) 내에 포함되지 않는 이러한 다른 경우에는, 세라믹 기판(115)이 실리콘 수지층(12)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탑재된다.
또한, 이러한 다른 경우에는, 절연 슬리브(120)의 하단(120C)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단(11x)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즉, 가스 유로(17) 내부의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내벽 전체가 절연 슬리브(120)에 의해 피복된다.
그러나, 절연 슬리브(120)의 하단(120C)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단(11x)에 도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절연 슬리브(120)가 반드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내벽을 피복할 필요는 없다. 즉, 절연 슬리브(120)의 하단(120C)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단(11y)보다는 낮지만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단(11x)보다는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 척(20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2 실시예의 정전 척(200)은 제1 실시예의 정전 척(100)의 절연 슬리브(120) 대신에 절연 슬리브(220)를 포함한다. 절연 슬리브(220) 외에, 정전 척(2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부품은 정전 척(1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정전 척(100)의 구성요소/부품과 같은 정전 척(200)의 구성요소/부품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절연 슬리브(220)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다공질의 기둥 형상 부재이다. 절연 슬리브(220)는 상단(220A), 본체(220B), 및 하단(220C)을 포함한다. 절연 슬리브(220)가 다공성이고 통기성이므로, 가스 유로(17)는 상단(220A)이 구멍부(115A1) 내에 설치될 때에 구멍부(115A2)와 연통하고 있다.
제2 실시예의 절연 슬리브(220)가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히터 플레이트(13) 내에 형성된 모든 가스 유로(17) 내에 설치되지만, 절연 슬리브(220)가 다공질의 절연 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냉각 가스는 가스 유로(17)의 하단으로부터 가스 유로(17)의 상단으로 흐를 수 있다. 절연 슬리브(220)에서 사용되는 다공질의 절연 부재는 제1 실시예의 관통 구멍(120D)을 포함하는 절연 슬리브(120)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통기성을 갖는다.
상단(220A)의 상측을 향해서 구멍부(115A1) 내부에 갭(A)이 형성된다. 갭(A)은, 구멍부(115A1)의 수직 방향으로의 구멍부(115A1)의 길이(깊이)가 상단(220A)의 길이 방향으로의 상단(220A)의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갭(A)은 상단(220A)이 구멍부(115A1)의 상면(즉, 구멍부(115A1)의 구경과 구멍부(115A2)의 구경의 차에 의해 형성된 구멍부(115A1)의 원환 형상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단(220A)은 세라믹 기판(115)의 구멍부(115A1) 내에 삽입된다. 본체(220B)는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히터 플레이트(13) 내에 형성된 가스 유로(17)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하단(220C)은 가스 유로(17)의 하단(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정전 척(200)은 구멍부(115A1)(카운터보)가 세라믹 기판(115) 내에 형성되고 절연 슬리브(220)의 상단(220A)이 구멍부(115A1)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절연 슬리브(2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히터 플레이트(13) 내에 형성된 가스 유로(17) 내부에 설치되고, 절연 슬리브(220)의 하단(220C)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단(11x)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즉, 히터 플레이트(13) 내의 가스 유로(17)의 내벽 및 베이스 플레이트(11) 내의 가스 유로(17)의 내벽이 절연 슬리브(220)에 의해 피복된다.
따라서, 고주파 전력을 고주파 전원(1000)(도 6 참조)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공급한 상태에서, 냉각 가스가 세라믹 기판(15) 상에 배치된 웨이퍼에 공급되는 경우이더라도, 절연 슬리브(220) 및 구멍부(115A2)에 의해, 가스 유로(17) 내부에 이상 방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a)~(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 척(2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 척(20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히터 플레이트(13)를 실리콘 수지층(12)에 의해 서로 접착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히터 플레이트(13) 각각에 가스 유로(17)를 사전에 형성한다.
그 후,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부(115A1, 115A2) 및 절연 슬리브(220)를 포함하는 세라믹 기판(115)을 준비한다. 그 후, 절연 슬리브(220)의 단부(본 실시예에서는, 상단)(220A)를 구멍부(115A2)에 접착한다. 예를 들면, 상단(220A)은 에폭시 수지를 상단(220A) 또는 구멍부(115A2)에 도포하여 구멍부(115A2)에 접착될 수 있다.
그 후, 히터 플레이트(13)의 상면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도 7(a)의 히터 플레이트(13)의 상면에 실리콘 수지층(14)을 형성한다. 그 후, 도 7(b)의 절연 슬리브(220)의 본체(220B)를 가스 유로(17) 내에 삽입한다. 그 후, 히터 플레이트(13)의 상면과 세라믹 기판(115)의 하면을 실리콘 수지층(14)에 의해 접착하여,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전 척(200)의 제조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정전 척(200)에 따르면, 절연 슬리브(220)의 상단(220A)이 세라믹 기판(115)의 구멍부(115A1) 내에 삽입된다. 또한, 히터 플레이트(13) 내의 가스 유로(17)의 내벽 및 베이스 플레이트(11) 내의 가스 유로(17)의 내벽이 절연 슬리브(220)에 의해 피복된다.
따라서, 고주파 전력이 고주파 전원(1000)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공급되는 상태에서, 냉각 가스가 세라믹 기판(15) 상에 배치된 웨이퍼에 공급되는 경우이더라도, 절연 슬리브(220) 및 구멍부(115A2)에 의해, 가스 유로(17) 내부에 이상 방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상 방전은, 세라믹 기판(115)의 구멍부(115A1) 내에 절연 슬리부(220)의 상단(220A)을 삽입하고 히터 플레이트(13) 및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내벽을 절연 슬리브(220)로 피복하여 세라믹 기판(15)과 히터 플레이트(13) 간의 절연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는, 절연 슬리브(220)가 히터 플레이트(13) 및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내벽 전체를 피복하고 있다. 그러나, 절연 슬리브(220)는, 절연 슬리브(220)의 하단(220C)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11x)에 도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히터 플레이트(13) 및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내벽을 반드시 피복할 필요는 없다.
즉, 절연 슬리브(220)의 하단(220C)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단(11y)보다는 낮지만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단(11x)보다는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는, 히터 플레이트(13)가 정전 척(200) 내에 포함된다. 하지만, 다른 경우에서는 정전 척(200)이 히터 플레이트(13)없이 형성될 수 있다. 히터 플레이트(13)가 정전 척(200) 내에 포함되지 않는 이러한 다른 경우에는, 세라믹 기판(115)이 실리콘 수지층(12)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탑재된다.
또한, 이러한 다른 경우에는, 절연 슬리브(220)의 하단(220C)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단(11x)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즉, 가스 유로(17) 내부의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내벽 전체가 절연 슬리브(220)에 의해 피복된다.
그러나, 절연 슬리브(220)의 하단(220C)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단(11x)에 도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절연 슬리브(220)가 반드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내벽을 피복할 필요는 없다. 즉, 절연 슬리브(220)의 하단(220C)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단(11y)보다는 낮지만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단(11x)보다는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전 척(30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3 실시예의 정전 척(300)은, 베이스 플레이트(11), 히터 플레이트(13), 세라믹 기판(15), 및 절연 슬리브(220) 대신에,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311), 히터 플레이트(313), 세라믹 기판(315), 및 절연 슬리브(32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11)는 제2 실시예의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선형 가스 유로(17) 대신에 분기형 가스 유로(317)를 포함한다. 또한, 가스 유로(17)에 대하여 가스 유로(317)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절연 슬리브(320)의 형상도 제2 실시예의 절연 슬리브(220)의 형상과 다르다. 또한, 절연 슬리브(220)에 대하여 절연 슬리브(320)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히터 플레이트(313)의 형상도 히터 플레이트(13)의 형상과 다르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311), 히터 플레이트(313), 가스 유로(317), 및 절연 슬리브(320) 외에, 정전 척(3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부품은 제2 실시예의 정전 척(2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정전 척(200)의 구성요소/부품과 같은 정전 척(300)의 구성요소/부품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기형 가스 유로(317)는 베이스 플레이트(311) 내에 형성된다. 가스 유로(317)는 가스 유로부(317A, 317B, 317C)를 포함한다. 가스 유로부(317A)는 베이스 플레이트(311)의 하단에 배치된 하단(317A1)을 갖는다. 가스 유로부(317A)는 그 가스 유로부(317A)의 하단(317A)과 상단(317A2) 사이에서 선형이다. 가스 유로부(317A)는 베이스 플레이트(311)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스 유로부(317B)에 접속되어 있다. 가스 유로부(317A) 및 가스 유로부(317B)는 가스 유로부(317A)의 상단(317A2)에서 접속된다. 가스 유로부(317B)는 베이스 플레이트(311)의 상단을 향해서 연장하는 가스 유로부(317C)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가스 유로(317)는 가스 유로부(317B) 내로 분기하는 가스 유로부(317A)를 가지며, 가스 유로부(317C) 내로 더욱 분기하는 가스 유로(317B)를 갖는다. 도 8은 가스 유로부(317C)를 구성하는 2개의 브랜치를 갖는 가스 유로(317)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 가스 유로(317)는 가스 유로부(317C)를 구성하는 더 많은 브랜치를 갖는다. 따라서, 가스 유로부(317B)는 가스 유로부(317C)의 2개의 브랜치보다도 더욱 외측으로 연장한다.
히터 플레이트(313)는 제2 실시예의 알루미늄 플레이트(13B)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갖는 알루미늄 플레이트(313B)를 포함한다. 알루미늄 플레이트(313B)의 가스 유로(317) 내에는 단차부(313B1)가 형성된다. 단차부(313B1) 위의 가스 유로(317) 부분의 개구(구경)는 단차부(313B1) 아래의 가스 유로 부분의 개구(구경)에 비해서 크다. 절연 슬리브(320)의 단차부(320B)가 단차부(313B1) 내에 설치된다. 단차부(313B1)는 가스 유로(317) 내에 카운터보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구멍부(315A1) 및 구멍부(315A2)가 세라믹 기판(315) 내에 형성된다. 구멍부(315A1, 315A2)는 세라믹 기판(315)의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는 가스 구멍(315A)을 구성한다. 구멍부(315A1)는 제2 실시예의 세라믹 기판(115)의 구멍부(115A1)의 개구(구경)보다 큰 개구(구경)를 갖는다. 구멍부(315A1)의 개구(구경)는 히터 플레이트(313)의 알루미늄 플레이트(313B)의 단차부(313B1) 위의 가스 유로(317) 부분의 개구(구경)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다.
절연 슬리브(320)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다공질의 기둥 형상 부재이다. 절연 슬리브(320)는 상단(320A), 단차부(320B), 및 하단(320C)을 포함한다. 제3 실시예의 절연 슬리브(320)는 제2 실시예의 절연 슬리브(220)보다 짧다. 제3 실시예의 절연 슬리브(320)는, 제2 실시예의 선형 가스 유로(예를 들면, 도 6 참조) 대신에 분기형 가스 유로(317)의 형상과 매칭하도록 제2 실시예의 절연 슬리브(220)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차부(320B) 위의(상단(320A)을 향하는) 절연 슬리브(320) 부분은 단차부(320B) 아래의(하단(320C)을 향하는) 절연 슬리브(320) 부분보다 넓다(두껍다).
절연 슬리브(320)가 다공성이고 통기성이므로, 가스 유로(317)는 상단(320A)이 구멍부(315A1) 내에 설치될 때에 구멍부(315A2)와 연통하고 있다.
제3 실시예의 절연 슬리브(320)가 히터 플레이트(313) 내에 형성된 가스 유로(317) 내에 설치되지만, 절연 슬리브(320)가 다공질의 절연 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냉각 가스는 가스 유로부(317C)와 구멍부(315A2) 사이에서 흐를 수 있다.
상단(320A)은 세라믹 기판(315)의 구멍부(315A1) 내에 삽입된다. 단차부(320B)는 히터 플레이트(313)의 단차부(313B1) 내에 설치된다. 또한, 하단(320C)은 알루미늄 플레이트(313B)의 하단(313x)보다는 낮고 실리콘 수지층(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정전 척(300)은 세라믹 기판(315) 내에 구멍부(315A1)(카운터보)가 형성되고 구멍부(315A1) 내에 절연 슬리브(320)의 상단(320A)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절연 슬리브(320)는 히터 플레이트(313) 내에 형성된 가스 유로(317) 내부에 설치되고, 절연 슬리브(320)의 하단(320C)은 알루미늄 플레이트(313B)의 하단(313x)보다도 낮게 배치된다.
즉, 히터 플레이트(313) 내의 가스 유로부(317C)의 내벽이 절연 슬리브(320)에 의해 피복된다.
따라서, 고주파 전력을 고주파 전원(1000)(도 8 참조)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311)에 공급한 상태에서, 냉각 가스가 세라믹 기판(315) 상에 배치된 웨이퍼에 공급되는 경우이더라도, 절연 슬리브(320) 및 구멍부(315A2)에 의해, 가스 유로(317) 내부에 이상 방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방전"은, 세라믹 기판(315) 상에 배치된 웨이퍼에 비교적 가까운 영역(예를 들면, 가스 유로(317)의 가스 유로부(317C))에서 생기는 이상 방전과, 세라믹 기판(315) 상에 배치된 웨이퍼로부터 비교적 먼 영역(예를 들면, 가스 유로(317)의 가스 유로부(317A, 317B))에서 생기는 이상 방전을 포함한다.
전자의 이상 방전은, 예를 들면 웨이퍼의 표면 상에서 발생하는 플라스마의 전위 및 전력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는 영역에서 생기는 반면에, 후자의 이상 방전은 이러한 플라스마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지 않는 영역에서 생긴다.
제3 실시예의 정전 척(300)은 플라스마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는 영역에서 생기는 이상 방전(즉, 전자의 이상 방전)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이상 방전의 방지에 의해 후자의 이상 방전의 방지도 초래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정전 척(300)에 따르면, 고주파 전력을 베이스 플레이트(311)에 공급한 상태에서, 냉각 가스가 세라믹 기판(315) 상에 배치된 웨이퍼에 공급되는 경우이더라도, 절연 슬리브(320) 및 구멍부(315A2)에 의해, 모든 가스 유로(317) 내부에 이상 방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연 슬리브(320)가 상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 유로부(317C)에만 설치되지만, 절연 슬리브(300)는 가스 유로부(317A, 317B)에도 설치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든 가스 유로(317)에 절연 슬리브(320)를 설치하는 대신에 가스 유로(317)의 일부에 절연 슬리브(320)를 설치하는 경우, 절연 슬리브(320)로서 튜브 형상의 절연 부재를 이용하는 것보다도 다공질의 절연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이상 방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절연 슬리브(320)는 다공질의 절연 부재 대신에 튜브 형상의 절연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a)~(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전 척(3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전 척(30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11) 및 히터 플레이트(313)를 실리콘 수지층(12)에 의해 서로 접착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11) 및 히터 플레이트(313) 각각에 가스 유로(17)를 사전에 형성한다.
그 후,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플레이트(313B)의 가스 유로부(317C)에 절연 슬리브(320)를 접착한다. 예를 들면, 절연 슬리브(320)는 에폭시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플레이트(313B)의 가스 유로부(317C)에 접착될 수 있다. 절연 슬리브(320)를 접착함에 있어서, 절연 슬리브(320)는, 절연 슬리브(320)의 단차부(320B)와 알루미늄 플레이트(313B)의 단차부(313B1)를 걸어맞춤해서 알루미늄 플레이트(313B)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높이에 매칭될 수 있다.
그 후, 히터 플레이트(313)의 상면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도 9(b)의 히터 플레이트(313)의 상면에 실리콘 수지층(14)을 형성한다. 그 후, 실리콘 수지층(14)에 의해 히터 플레이트(313)의 상면과 세라믹 기판(315)의 하면을 접착하여,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전 척(300)의 제조를 완료한다. 히터 플레이트(313)를 세라믹 기판(315)에 접착함에 있어서, 절연 슬리브(320)의 상단(320A)이 세라믹 기판(315)의 구멍부(315A1) 내에 설치되도록 위치 맞춤이 수행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제는 상단(320A)과 구멍부(315A1) 사이에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정전 척(300)에 따르면, 고주파 전원(1000)으로부터의 고주파 전력이 베이스 플레이트(311)에 공급된 상태에서, 냉각 가스가 세라믹 기판(315) 상에 배치된 웨이퍼에 공급되는 경우이더라도, 절연 슬리브(320) 및 구멍부(315A2)에 의해, 모든 가스 유로(317) 내부에 이상 방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모든 예들 및 조건부의 언어는 발명자가 기술 발전에 기여한 개념들 및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교육적인 목적을 의도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러한 특별히 인용된 예들 및 조건들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의 이러한 예들의 조직 구성이 본 발명의 우월성 또는 열등감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서 다양한 변경, 치환 및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200, 300 : 정전 척
11, 311 : 베이스 플레이트
13, 313 : 히터 플레이트
115, 315 : 세라믹 기판
16 : 전극
120, 220, 320 : 절연 슬리브

Claims (9)

  1. 금속으로 형성되고 고주파 전원에 접속되며 가스 유로를 포함하는 대좌부(臺座部; pedestal part);
    상기 대좌부 상에 탑재되며, 상기 대좌부와 대면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대향측 상의 제2 면을 포함하는 절연 기판으로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가스 유로와 연통하는 제1 구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구멍부보다도 구경(bore diameter)이 작고 상기 제1 구멍부와 연통하는 제2 구멍부를 포함하는, 절연 기판; 및
    절연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멍부 내에 설치된 제1 단 및 상기 가스 유로 내에 설치된 제2 단을 포함하는 절연 통류부(通流部)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통류부는 상기 가스 유로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상기 제2 구멍부 내로 통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정전 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로는 가스가 유입되는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통류부의 상기 제2 단은 상기 가스 유로의 상기 입구에 배치되는 정전 척.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통류부는 튜브 형상 부재로 형성되는 정전 척.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통류부는 다공질의 기둥 형상 부재로 형성되는 정전 척.
  5. 금속으로 형성되고 고주파 전원에 접속되며 제1 가스 유로를 포함하는 대좌부;
    상기 대좌부 상에 탑재되며, 상기 제1 가스 유로와 연통하는 제2 가스 유로를 포함하는 히터 플레이트;
    상기 히터 플레이트 상에 탑재되며, 상기 히터 플레이트와 대면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대향측 상의 제2 면을 포함하는 절연 기판으로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2 가스 유로와 연통하는 제1 구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구멍부보다도 구경이 작고 상기 제1 구멍부와 연통하는 제2 구멍부를 포함하는, 절연 기판; 및
    절연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멍부 내에 설치된 제1 단 및 상기 제1 가스 유로 또는 상기 제2 가스 유로 내에 설치된 제2 단을 포함하는 절연 통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통류부는 상기 제1 가스 유로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상기 제2 구멍부 내로 통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정전 척.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스 유로는 가스가 유입되는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통류부의 상기 제2 단은 상기 제1 가스 유로의 상기 입구에 배치되는 정전 척.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통류부는 튜브 형상 부재로 형성되는 정전 척.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통류부는 다공질의 기둥 형상 부재로 형성되는 정전 척.
  9.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대향측 상의 제2 면을 갖는 절연 기판 내에, 상기 제1 면 내에 형성되는 제1 구멍부 및 상기 제1 구멍부와 연통하여 상기 제2 면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멍부보다도 구경이 작은 제2 구멍부를 형성하는 단계;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절연 통류부로서, 상기 절연 통류부가 삽입되는 측이되는 제1 단 및 상기 제1 단의 대향측 상의 제2 단을 포함하며, 가스가 상기 제1 단으로부터 상기 제2 단으로 통류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절연 통류부를 상기 제1 구멍부 내에 삽입하는 단계; 및
    금속으로 형성되며 고주파 전원에 접속되는 대좌부 내에 형성된 제1 가스 유로 또는 상기 대좌부 상에 탑재되는 히터 플레이트 내에 형성된 제2 가스 유로 내에 상기 제2 단을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전 척의 제조 방법.
KR1020130055479A 2012-05-21 2013-05-16 정전 척 및 정전 척의 제조 방법 KR102048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6035 2012-05-21
JP2012116035A JP5984504B2 (ja) 2012-05-21 2012-05-21 静電チャック、静電チャック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842A true KR20130129842A (ko) 2013-11-29
KR102048789B1 KR102048789B1 (ko) 2019-11-26

Family

ID=4958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479A KR102048789B1 (ko) 2012-05-21 2013-05-16 정전 척 및 정전 척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60557B2 (ko)
JP (1) JP5984504B2 (ko)
KR (1) KR102048789B1 (ko)
TW (1) TWI5917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8462A (zh) * 2018-10-15 2020-04-21 细美事有限公司 基板支承装置及其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1513B2 (ja) * 2014-03-27 2015-11-11 Toto株式会社 静電チャック
JP6658509B2 (ja) * 2015-02-18 2020-03-04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静電チャック装置及び半導体製造装置
CN110770877A (zh) * 2017-06-13 2020-02-07 日本碍子株式会社 半导体制造装置用部件
CN111213230B (zh) 2017-10-26 2023-10-10 京瓷株式会社 试料保持器具
US10483147B2 (en) 2017-11-21 2019-11-19 Wal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Dual-purpose vias for use in ceramic pedestals
US11456161B2 (en) * 2018-06-04 2022-09-27 Applied Materials, Inc. Substrate support pedestal
US11842915B2 (en) 2019-01-24 2023-12-12 Kyocera Corporation Electrostatic chuck
TWI684241B (zh) * 2019-01-31 2020-02-01 台灣積體電路製造股份有限公司 靜電吸盤及其製造方法
CN111508883B (zh) * 2019-01-31 2024-02-13 台湾积体电路制造股份有限公司 静电吸盘及其制造方法
JP7291046B2 (ja) * 2019-09-18 2023-06-14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基板固定装置
KR20210057384A (ko) *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미코세라믹스 정전척
CN117099194A (zh) * 2021-03-25 2023-11-21 京瓷株式会社 静电吸盘
WO2024090276A1 (ja) * 2022-10-24 2024-05-0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支持器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JP7409536B1 (ja) 2023-02-22 2024-01-09 Toto株式会社 静電チャ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7480876B1 (ja) 2023-02-22 2024-05-10 Toto株式会社 静電チャ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7409535B1 (ja) 2023-02-22 2024-01-09 Toto株式会社 静電チャ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182A (ko) * 2004-12-07 2006-06-12 주성엔지니어링(주) 정전척
JP2006344766A (ja) * 2005-06-09 2006-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処理装置
KR20090097229A (ko) * 2008-03-11 2009-09-16 전영재 반도체 및 lcd 제조용 정전척
JP2009218592A (ja) * 2008-03-11 2009-09-24 Ngk Insulators Ltd 静電チャック
JP2010153490A (ja) 2008-12-24 2010-07-08 Shinko Electric Ind Co Ltd 基板温調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0818A (en) * 1996-04-26 1998-02-24 Applied Materials, Inc. Conduits for flow of heat transfer fluid to the surface of an electrostatic chuck
US7479456B2 (en) * 2004-08-26 2009-01-20 Applied Materials, Inc. Gasless high voltage high contact force wafer contact-cooling electrostatic chuck
US7697260B2 (en) * 2004-03-31 2010-04-13 Applied Materials, Inc. Detachable electrostatic chuck
KR101125885B1 (ko) * 2007-07-31 2012-03-22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감소된 플라즈마 침투 및 아킹을 갖는 정전척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9123929A (ja) * 2007-11-15 2009-06-04 Tokyo Electron Ltd プラズマ処理装置
JP5449750B2 (ja) * 2008-11-19 2014-03-19 株式会社日本セラテック 静電チャ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04888B2 (ja) * 2009-12-21 2014-10-15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静電チャックの製造方法
JP6096470B2 (ja) * 2012-10-29 2017-03-1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方法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182A (ko) * 2004-12-07 2006-06-12 주성엔지니어링(주) 정전척
JP2006344766A (ja) * 2005-06-09 2006-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処理装置
KR20090097229A (ko) * 2008-03-11 2009-09-16 전영재 반도체 및 lcd 제조용 정전척
JP2009218592A (ja) * 2008-03-11 2009-09-24 Ngk Insulators Ltd 静電チャック
JP2010153490A (ja) 2008-12-24 2010-07-08 Shinko Electric Ind Co Ltd 基板温調固定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8462A (zh) * 2018-10-15 2020-04-21 细美事有限公司 基板支承装置及其制造方法
KR20200042330A (ko) * 2018-10-15 2020-04-23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지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011405B2 (en) 2018-10-15 2021-05-18 Semes Co., Ltd. Apparatus for supporting substrate having gas supply h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91751B (zh) 2017-07-11
KR102048789B1 (ko) 2019-11-26
US9660557B2 (en) 2017-05-23
JP5984504B2 (ja) 2016-09-06
JP2013243267A (ja) 2013-12-05
US20130308244A1 (en) 2013-11-21
TW201409604A (zh) 201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789B1 (ko) 정전 척 및 정전 척의 제조 방법
CN101300495B (zh) 导电性触头支架的制造方法及导电性触头支架
US10153192B2 (en) Electrostatic chuck device
JP5029089B2 (ja) プラズマ処理装置用の載置台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KR102642769B1 (ko) 정전 척 장치 및 정전 척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8101773A (ja) 保持装置
JP6226092B2 (ja) 静電チャック
KR102155122B1 (ko) 정전 척 장치
US11515192B2 (en) Sample holder
JP2009290213A (ja) 基板支持装置及びこれを含む基板処理装置
WO2019131115A1 (ja) 静電チャック装置
JP2018022873A (ja) 静電チャック
US20220026151A1 (en) Plate with flow channel
JP7083923B2 (ja) 静電チャック
JP6511807B2 (ja) 半導体レーザ装置、光源装置、半導体レーザ装置の製造方法、及び光源装置の製造方法
KR20120043574A (ko) 반도체 제조설비의 정전척
KR101949175B1 (ko) 정전척, 그를 가지는 기판처리장치, 및 정전척의 제조방법
JP2011253091A (ja) 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7319158B2 (ja) 保持装置
WO2018123729A1 (ja) 試料保持具
JP2023031603A (ja) 基板固定装置
JP7164979B2 (ja) 静電チャック
JP7299805B2 (ja) 保持装置
JP7433857B2 (ja) 試料保持具
CN214149334U (zh) 一种具有双层磁屏蔽结构的光纤陀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