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625A -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갖는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갖는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625A
KR20130129625A KR20120053652A KR20120053652A KR20130129625A KR 20130129625 A KR20130129625 A KR 20130129625A KR 20120053652 A KR20120053652 A KR 20120053652A KR 20120053652 A KR20120053652 A KR 20120053652A KR 20130129625 A KR20130129625 A KR 20130129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conductive
conductive film
hybrid
undercoat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53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0092B1 (ko
Inventor
류무선
김원국
권동주
서지연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053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092B1/ko
Priority to US14/399,042 priority patent/US20150125690A1/en
Priority to PCT/KR2013/003947 priority patent/WO2013176422A1/ko
Priority to CN201380026018.2A priority patent/CN104321831A/zh
Priority to JP2015513884A priority patent/JP2015525387A/ja
Priority to TW102117771A priority patent/TWI512362B/zh
Publication of KR2013012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08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xi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26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ducting or semi-conducting layers, e.g. deposition of met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단층의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이용하여 인덱스 매칭이 가능하고 배리어 성능이 우수한 터치패널용 투명 도전성 필름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도전성 필름은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 상부에 형성되며, 무기 네트워크와 유기 네트워크의 혼성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굴절율이 1.55~ 1.7, 두께가 10nm ~ 1.5 ㎛인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및 상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상부에 형성되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여, 기존의 투명 도전성 필름에 비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우수하고, 또한 우수한 배리어 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안정적인 인덱스 매칭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갖는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TRANSPARENT CONDUCTIVE FILM WITH A HYBRID UNDER COATING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TOUCH PAN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패널용 투명 도전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층의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통해서 인덱스 매칭이 가능하고 배리어 성능이 우수한 터치패널용 투명 도전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투명 도전성 필름은 터치 패널의 제조 시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다. 이러한 투명 도전성 필름으로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필름이다.
이와 관련된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1-0030578호 등의 문헌에서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인 투명 도전성 필름은 투명한 고분자 필름에 표면 평탄성과 내열성을 구비하기 위해 프라이머 코팅(primer coating) 처리를 한 후 하드코팅 처리한 것을 기재 필름(base film)으로 사용한다.
이 기재 필름 상에, 투명한 언더코팅(under coating)층을 습식 코팅(wetcoating)이나 진공 스터터링 방법으로 형성한 후, ITO와 같은 투명 도전층을 스퍼터 방식으로 형성하였다.
한편, 최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사용이 증가되면서 저저항 구현과 투명 도전층 패턴의 시인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저저항의 구현을 위해서는 투명 도전층의 두께가 두꺼워져야 하는데, 투명 도전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투과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투명 도전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이를 패터닝한 후에 투명 도전층과 언더코팅층 사이의 굴절율 차이에 의해서 시인성 문제가 더욱 심각해진다. 결국, 저항값을 낮추기 위해 ITO층이 일정두께로 두꺼워지기 마련이며 이러한 층 간의 굴절율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 인덱스 매칭이다. 인덱스 매칭을 위해서는 굴절율 차이를 상쇄할 수 있도록, 투명 도전층과 투명 기재 필름 사이에 굴절율이 다른 여러 언더코팅층을 형성한다.
다만, 언더코팅층을 여러 층으로 형성하게 되면 필름의 수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어, 단층의 언더코팅층을 통해서도 인덱스 매칭이 가능한 투명 도전성 필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층의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통해서 인덱스 매칭이 가능하고 배리어 성능이 우수한 터치패널용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단층의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통해서 인덱스 매칭이 가능하고 배리어 성능이 우수한 터치패널용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과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도전성 필름은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 상부에 형성되며, 무기 네트워크와 유기 네트워크의 혼성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굴절율이 1.55 ~ 1.7, 두께가 10 nm ~ 1.5 ㎛인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및 상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상부에 형성되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a) 금속 알콕사이드와 실리콘(si) 알콕사이드를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시키고, 가교제를 부여하여 무기 네트워크를 제조하는 단계와 (b)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네트워크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무기 네트워크와 유기 네트워크를 혼합하여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d) 투명 기재 상부에 상기 조성물을 코팅하고 경화시켜 굴절율이 1.55 ~ 1.7이고 두께가 10 nm ~ 1.5 ㎛인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상부에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도전성 필름은 단층의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투명 도전성 필름에 비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우수하고, 또한 우수한 배리어 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안정적인 인덱스 매칭을 나타낼 수 있으며, 투명 도전층의 에칭 시에 산 혹은 염기성 용액에 매우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도전성 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투명 도전성 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명 도전성 필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도전성 필름(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도전성 필름(100)은 투명 기재(10),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20), 투명도전층(3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2) 상부의 투명 도전층(30)은 패턴화 되어 있으며, 에칭과 같은 과정으로 도전막이 제거된 비패턴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먼저, 투명 기재(10)는 투명성과 강도가 우수한 필름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기재(10)의 재질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PC(Poly carbonate), PP(poly propylene), 노보르넨계 수지 등이 제시될 수 있으며, 이들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투명 기재(10)는 단일 필름의 형태 또는 적층 필름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투명 기재(10)의 상부에는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20)이 형성된다. 상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20)은 상기 투명 기재(10)의 상부면에 바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투명 기재의 상부면에 하드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되고 그 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20)은 투명 기재(10)과 투명 도전층(30) 사이의 절연특성 및 투과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에서는 기존의 투명 도전성 필름(2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기존의 투명 도전성 필름(200)에서는 투명 기재(10) 상부에 고굴절율을 갖는 제1언더코팅층(21), 그 위에 저굴절율을 갖는 제2언더코팅층(22)이 형성된다. 즉, 종래의 투명 도전성 필름(200)은 패턴화된 투명 도전층(30)과의 굴절율 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2개 이상의 언더코팅층을 이용하였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도전성 필름은 단층의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20)을 갖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20)은 무기 네트워크와 유기 네트워크의 혼성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굴절율이 1.55~ 1.7, 두께가 10nm ~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20)은 유기 네트워크와 무기 네트워크의 혼성 중합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리어 성능이 우수하여 투명 도전층의 전도도를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20)은 단층으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굴절율의 범위가 1.55~ 1.7,을 만족하고, 또한 두께가 10nm ~ 1.5 ㎛의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인덱스 매칭에 매우 안정적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굴절율의 범위가 1.6 ~ 1.67, 두께 범위가 20 ~ 200 nm 이다.
상기 굴절율이 1.55 미만인 경우에는 기재와의 굴절률 차이가 커서 인덱스 매칭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기 굴절율이 1.7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굴절률 차이로 인하여 인덱스 매칭에 문제점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20)의 두께가 10 nm 미만인 경우에는 코팅 공정의 평탄성 및 굴곡도 문제로 인해 생산성 저하에 따른 문제점이 있고, 1.5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명성의 문제와 인덱스 매칭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20)은 무기 네트워크와 유기 네트워크가 포함된 조성물로 형성된다. 상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20)은 투명 기재(10) 상부에 상기 조성물을 코팅하여 졸-겔 공법으로 형성된다.
상기 무기 네트워크는 금속 알콕사이드와 실리콘(si) 알콕사이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는 지르코늄(Zr) 알콕사이드 및 티타늄(Ti) 알콕사이드 가운데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리콘 알콕사이드는 알콕시실란과 같은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네트워크는 유기 네트워크와 광중합 및 열경화에 참여할 수 있도록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네트워크는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중합성 화합물과 중합개시제, 첨가제 및 용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이란 광중합 또는 열경화가 가능한 단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모노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페닐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2관능 이상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네트워크 자체의 굴절율은 1.5 ~ 1.59에 해당하지만, 유기 네트워크와 무기 네트워크가 혼합되는 조성물은 굴절율이 1.55 ~ 1.7에 해당하여 고굴절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단층의 언더코팅층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2층 이상의 언더코팅층을 갖는 투명 도전성 필름에 비하여 생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은 단층임에도 불구하고 유기 네트워크와 무기 네트워크의 하이브리드로 형성되기 때문에 배리어 성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은 유기 네트워크와 무기 네트워크의 혼합으로 인해 1.55~1.7 의 고굴절율을 가지며, 두께가 10 nm~1.5 ㎛의 범위를 만족할 때 안정적인 인덱스 매칭 효과를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은 유기 네트워크와 무기 네트워크의 혼합으로 형성되므로, 투명 도전층의 패턴 형성을 위한 에칭 공정 시에 기존의 언더코팅층에 비하여 산 혹은 염기성 용액에 매우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도전성 필름은 표면 경도 향상을 위하여, 투명 기재(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 화합물 등으로 하드코팅층(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은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20)이 형성되지 않은 투명 기재(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고,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20)이 형성된 상태에서 투명 필름(10)의 하부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a) 무기 네트워크를 제조하는 단계와 (b) 유기 네트워크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무기 네트워크와 유기 네트워크를 혼합하여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상부에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는 금속 알콕사이드와 실리콘(si) 알콕사이드를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시키고, 가교제를 부여하여 무기 네트워크를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효율적인 가수분해 및 축합을 위해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에 아세트 산과 같은 물질을 이용하여 코디네이트(coordinate)하는 단계를 거친 후, 이를 실리콘(si) 알콕사이드와 함께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무기 네트워크가 광중합 및 열경화에 참여할 수 있도록 실란커플링제와 같은 가교제를 부여하는 표면개질 단계를 통해 최종적으로 무기 네트워크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b)단계에서는 광중합 또는 열경화가 가능한 단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모노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와 같은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네트워크를 제조한다.
상기 (a)단계와 (b)단계는 순서에 상관없다.
상기 (c)단계에서는 (a)단계를 통해 제조된 무기 네트워크와 (b)단계를 통해 제조된 유기 네트워크를 혼합하여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그리고, (d)단계에서 투명 기재의 상부에 상기 조성물을 상기 조성물을 코팅하고 경화시켜 굴절율이 1.55 ~ 1.7이고 두께가 10nm ~ 1.5 ㎛ 인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은 졸-겔 공법으로 형성된다.
(e)단계에서는 상기 하이브리드 코팅층의 상부에 투명 도전층을 형성한다. 상기 투명 도전층은 스퍼터링 방식 등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공정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도전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터치 패널용으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다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지르코늄 알콕사이드와 알코올계 용매를 혼합한 혼합물에 아세트 산을 부여하여 지르코늄 알콕사이드를 코디네이트하였다. 상기 지르코늄 알콕사이드와 알콕시실란을 함께 가수분해하고 축합 반응시킨 후, 이를 실란커플링제로 표면 개질하여 무기 네트워크를 제조하였다.
페닐기를 갖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프리폴리머와, 광개시제를 포함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기 네트워크를 제조하였다.
위와 같이 제조된 무기 네트워크와 유기 네트워크를 혼합하여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PET 필름의 한 면 위에 코팅한 후,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형성하였다.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의 두께는 500nm가 되도록 형성하였고, 굴절율은 1.63으로 측정되었다.
상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상부에 스퍼터링 방식으로 ITO층을 20㎚ 성막하고, 상기 ITO층을 패터닝하여 실시예1에 따른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1에서, 지르코늄 알콕사이드 대신 티타늄 알콕사이드를 사용하여 무기 네트워크를 제조하였으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의 두께를 150nm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투명 전도성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에서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의 굴절율은 1.66 측정되었다.
[실시예 3]
열개시제인 라디칼 개시제를 이용하여 스타이렌모노머와 같은 페닐기와 아크릴레이트 실란 모노머을 포함한 코폴리머를 중합하여 유기 네트워크를 제조하였다.
이에 지르코늄 알콕사이드와 알코올계 용매를 혼합한 혼합물에 아세트 산을 부여하여 지르코늄 알콕사이드를 코디네이트하였다. 상기 지르코늄 알콕사이드와 알콕시실란을 함께 가수분해하고 축합 반응시킨 후, 이를 실란커플링제로 표면 개질하여 무기 네트워크를 제조하였다
위와 같이 제조된 무기 네트워크와 유기 네트워크를 혼합하여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PET 필름의 한 면 위에 코팅한 후,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형성하였다.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의 두께는 1㎛가 되도록 형성하였고, 굴절율은 1.60으로 측정되었다.
상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상부에 스퍼터링 방식으로 ITO층을 20㎚ 성막하고, 상기 ITO층을 패터닝하여 실시예1에 따른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1에서,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의 두께를 5nm 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투명 전도성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의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의 굴절율은 1.63으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1에서,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의 두께를 2㎛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투명 전도성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의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의 굴절율은 1.63으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3]
비교예 3에서는 실시예1의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대신 SiO2 막을 50nm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SiO2로 형성된 언더코팅층의 굴절율은 1.47로 측정되었다.
<평가>
하기 표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필름에 대하여 ITO층 식각 패턴의 인덱스 매칭 여부를 평가한 결과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인덱스 매칭 여부는 ITO층의 식각 패턴이 육안으로 확인되는지 여부로 평가하였으며, 인덱스 매칭이 우수한 경우는 O, 인덱스 매칭이 미흡한 경우는 X로 표시하였다.
언더코팅층 언더코팅층
두께
언더코팅층
굴절율
인덱스 매칭
평가 결과
실시예1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500nm 1.63 O
실시예2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150nm 1.66 O
실시예3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1㎛ 1.60 O
비교예1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5nm 1.63 X
비교예2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2㎛ 1.63 X
비교예3 SiO2 50nm 1.47 X
상기 표1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3의 투명 전도성 필름들은 ITO 식각 패턴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워 인덱스 매칭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달리 비교예 1~3에 따른 투명 전도성 필름들은 ITO 패턴이 육안으로 확실히 구분 가능하였다.
실시예 1~3의 투명 전도성 필름들은 투명 전도성 필름과 투명 기재 사이에 단층의 언더코팅층을 가지고 있지만, 상기 언더코팅층이 무기 네트워크와 유기 네트워크로 형성되고 특정 두께 범위와 굴절율이 만족되면서 우수한 인덱스 매칭 결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 및 2는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이용한 투명 전도성 필름에 관한 것이지만, 두께가 너무 얇거나 두껍기 때문에 인덱스 매칭이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교예 3의 경우는 SiO2 로 형성된 단층의 언더코팅층을 갖는 투명 전도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 SiO2 단층만으로는 인덱스 매칭이 미흡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 : 투명기재
20 :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21 : 제1언더코팅층
22 : 제2언더코팅층
30 : 투명 도전층
31 : 비패턴부
100, 200 : 투명 도전성 필름

Claims (10)

  1. 투명 기재;
    상기 투명 기재 상부에 형성되며, 무기 네트워크와 유기 네트워크의 혼성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굴절율이 1.55~ 1.7, 두께가 10nm ~ 1.5 ㎛인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및
    상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상부에 형성되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네트워크는
    금속 알콕사이드 및 실리콘(si) 알콕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는
    지르코늄(Zr) 알콕사이드 및 티타늄(Ti) 알콕사이드 가운데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네트워크는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작용기를 갖는 열 또는 광 중합성 모노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 가운데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PC(Poly carbonate), PP(poly propylene), 노보르넨계 수지 가운데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단일 또는 적층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FTO(Fluorine-doped Tin Oxi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하드코팅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9. (a) 금속 알콕사이드와 실리콘(si) 알콕사이드를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시키고, 가교제를 부여하여 무기 네트워크를 제조하는 단계;
    (b)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네트워크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무기 네트워크와 유기 네트워크를 혼합하여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d) 투명 기재 상부에 상기 조성물을 코팅하고 경화시켜 굴절율이 1.55~ 1.7, 두께가 10nm ~ 1.5 ㎛인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상부에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에 기재된 투명 도전성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1020120053652A 2012-05-21 2012-05-21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갖는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KR101550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652A KR101550092B1 (ko) 2012-05-21 2012-05-21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갖는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US14/399,042 US20150125690A1 (en) 2012-05-21 2013-05-07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ncluding hybrid undercoating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ouch panel using same
PCT/KR2013/003947 WO2013176422A1 (ko) 2012-05-21 2013-05-07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갖는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CN201380026018.2A CN104321831A (zh) 2012-05-21 2013-05-07 具有混合底涂层的透明导电膜及其制备方法,利用该透明导电膜的触摸板
JP2015513884A JP2015525387A (ja) 2012-05-21 2013-05-07 ハイブリッドアンダーコーティング層を有する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TW102117771A TWI512362B (zh) 2012-05-21 2013-05-20 具有混合底塗層的透明傳導膜及其製備方法,利用該透明傳導膜的觸控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652A KR101550092B1 (ko) 2012-05-21 2012-05-21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갖는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625A true KR20130129625A (ko) 2013-11-29
KR101550092B1 KR101550092B1 (ko) 2015-09-03

Family

ID=4962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652A KR101550092B1 (ko) 2012-05-21 2012-05-21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갖는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125690A1 (ko)
JP (1) JP2015525387A (ko)
KR (1) KR101550092B1 (ko)
CN (1) CN104321831A (ko)
TW (1) TWI512362B (ko)
WO (1) WO201317642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811A1 (ko) * 2016-07-21 2018-01-25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터치 센서
KR101866692B1 (ko) 2017-04-25 2018-06-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974A (ko) * 2014-06-13 2015-12-24 (주)엘지하우시스 고굴절 조성물, 반사방지 필름 및 제조방법
US10246593B2 (en) 2016-07-20 2019-04-02 The Boeing Company Sol-gel coating compositions including corrosion inhibitor-encapsulated layered double hydroxide and related processes
US10428226B2 (en) 2016-07-20 2019-10-01 The Boeing Company Sol-gel coating compositions and related processes
US10246594B2 (en) 2016-07-20 2019-04-02 The Boeing Company Corrosion inhibitor-incorporated layered double hydroxide and sol-gel coating compositions and related processes
CN108285736A (zh) * 2016-11-04 2018-07-17 江苏日久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耐 uv 消影膜涂层材料
US10421869B2 (en) 2017-01-09 2019-09-24 The Boeing Company Sol-gel coating compositions including corrosion inhibitor-encapsulated layered metal phosphates and related processes
CN113242792B (zh) * 2018-12-12 2023-05-23 大塚化学株式会社 透明导电层形成用基材、透明导电性膜、触摸面板以及透明导电层形成用基材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90328B (en) * 2002-05-23 2007-11-21 Nof Corp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d film and touch panel
JP2005018551A (ja) * 2003-06-27 2005-01-20 Teijin Ltd 電磁波シールド機能を有する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に用いる透明積層フィルム
US7378040B2 (en) * 2004-08-11 2008-05-27 Eikos, Inc. Method of forming fluoropolymer binders for carbon nanotube-based transparent conductive coatings
JP4667471B2 (ja) * 2007-01-18 2011-04-13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
KR101546222B1 (ko) * 2008-02-25 2015-08-20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공정가능한 무기 및 유기 중합체 배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022030B1 (ko) * 2009-04-20 2011-03-16 이미지랩(주) 저항막 방식 터치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14024B1 (ko) * 2010-07-30 2012-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JP2012056309A (ja) * 2010-08-12 2012-03-22 Lintec Corp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透明導電性フィルムを用いた太陽電池及び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848565B2 (ja) * 2010-09-29 2016-01-2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樹脂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JP2012081663A (ja) * 2010-10-12 2012-04-26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透明導電基材及びタッチパネ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811A1 (ko) * 2016-07-21 2018-01-25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터치 센서
KR101866692B1 (ko) 2017-04-25 2018-06-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092B1 (ko) 2015-09-03
CN104321831A (zh) 2015-01-28
TW201350983A (zh) 2013-12-16
JP2015525387A (ja) 2015-09-03
US20150125690A1 (en) 2015-05-07
TWI512362B (zh) 2015-12-11
WO2013176422A1 (ko)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092B1 (ko)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을 갖는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TWI460742B (zh) 透明導電膜
KR101187810B1 (ko) 반사방지층이 코팅된 투명도전성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TWI453767B (zh)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s and touch panels
JP5739742B2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CN100555474C (zh) 透明导电性层合体以及使用其的透明触摸面板
KR101303982B1 (ko) 시인성이 우수한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0159B1 (ko)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제조 방법
CN105829999A (zh) 光学用片材及导电性片材、以及具备该光学用片材的显示装置
KR20090110914A (ko)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터치 패널
KR20110037881A (ko) 투명 도전성 필름
KR102196429B1 (ko)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5906562B2 (ja) 視認性に優れた両面透明伝導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601264B2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製造方法
KR101512546B1 (ko) 시인성이 개선된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2774B1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극 부재
TWI696554B (zh) 透明導電膜積層用薄膜及其製造方法以及透明導電性薄膜
KR102432417B1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터치 패널
JP2013174787A (ja) 光学部材
KR101590676B1 (ko) 하이브리드 언더코팅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KR101398385B1 (ko) 도전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도전성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패널
JP6002801B2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KR20150126468A (ko) 고굴절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투명 기재,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및 터치패널
KR20150126469A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20150126470A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